KR102556207B1 -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성 eps 비드 및 상기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성 eps 비드 및 상기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207B1
KR102556207B1 KR1020200102795A KR20200102795A KR102556207B1 KR 102556207 B1 KR102556207 B1 KR 102556207B1 KR 1020200102795 A KR1020200102795 A KR 1020200102795A KR 20200102795 A KR20200102795 A KR 20200102795A KR 102556207 B1 KR102556207 B1 KR 102556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eps
weight
parts
eps b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801A (ko
Inventor
홍창국
상그람 보이테
박대웅
박규환
조완
김종혁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에이치디씨현대이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에이치디씨현대이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2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4Surfac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65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이하 "EPS")의 난연 성능 개선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EPS비드에 코팅되는 난연액의 코팅 안정성 및 난연성능 향상을 통하여 난연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성 EPS 비드 및 상기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성 EPS 비드 및 상기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Organic-inorganic hybrid flame retarding compositions for preparing flame retarding EPS beads, the flame retarding EPS beads coated by the compositions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이하 "EPS")의 난연 성능 개선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EPS비드에 코팅되는 난연액의 코팅 안정성 및 난연성능 향상을 통하여 난연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성 EPS 비드 및 상기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포 폴리스티렌 즉 EPS는 스티렌모노머를 물속에서 현탁중합하여 얻은 구상의 중합체에 저비점 탄화수소계 발포제(펜탄, 부탄 등)를 침투시켜 만들어진 수지로서 우리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스티로폼(styrofoam)을 말한다. 이 수지는 예비발포, 숙성, 성형에 의한 일정한 가공 공정을 거쳐 최종 제품화 하여 완충포장재 및 건축단열재로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수지에 열을 가하면 연화되어 발포제에 의해 입자가 팽창하면서, 발포입자 내부에 무수히 많은 독립기포 구조(Cell)를 가진 발포체가 형성되어 완충성, 단열성, 방음, 방습, 경량성 등과 같은 발포성 수지 특유의 성질을 갖기 때문이다.
특히, 건축단열재로 주로 사용되는 EPS 패널은 폴리스티렌 비드(polystyrene beads)를 특정 발포 비율로 pre-expansion한 후, 사일로(silo)에서 건조 및 숙성 과정을 거치고, 성형기에서 가열하여 연화시켜준 후 냉각시켜서 발포 스티렌 성형체를 성형하고, 열선을 이용하여 용도에 맞추어 절단하여 을 제작하게 되는데, 높은 단열 효과와 경제성, 방음성, 경량성, 기계적강도, 인체 무해성 등의 이유로 건축물의 벽 및 천장 등에 단열재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폴리스티렌이 내화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건축물이 쉽게 전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EPS 패널의 난연 성능 확보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개정된(2004년 10월) 건축법시행령 제61조 규정에 의하면, 일정규모 이상의 다중이용시설물, 공동주택, 생활권 수련시설물, 자연 수련시설물 등의 벽, 천장, 복도, 계단 등의 마감재료를 불연, 준불연 또는 난연재료를 사용하도록 개정함에 따라, 이전에는 내부 마감재료에 한하여 실시되는 난연성능시험(KS F ISO 5660-1) 및 가스유해성시험(KS F 2271)을 폴리우레탄, 스티로폼 샌드위치 패널 등에 대하여도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유해가스가 발생되고, 발암물질이 배출되는 단열 재료는 다중이용시설물 등의 건축재료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그 중 가장 우수한 경제성 및 효율을 가지는 EPS 제품에 무기계, 인계, 멜라민계, 실리카계, 나노 복합체 등의 다양한 난연제를 비닐계 단량체 및 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와 함께 혼합한 난연액을 코팅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0051호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멀젼 및 알칼리 실리케이트 화합물의 복합 용액, 석회석 분말 및 팽창 흑연을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언급된 난연제 및 기타 다양한 무기물을 복합시킨 난연액 조성물을 코팅한 난연성 조성물은 발포 폴리스타이렌 제품 제조시 접착성능이 낮고 무기물의 비율이 너무 높아 코팅소재로서 이를 이용할 경우 코팅되는 것보다 손실되는 난연제의 양이 많아서 코팅 안정성이 낮고, 건축법시행령 규정에서 제시하는 난연성능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난연액의 코팅 안정성 및 난연성능 향상을 통하여 난연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난연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액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5-0000051호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연구결과 난연성은 물론 단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EPS비드에 대한 코팅성능도 우수한 난연성조성물에 대한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성을 갖는 무기물질 및 유기물질을 특정 조합과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난연성은 물론 단열성도 우수하고 EPS비드에 대한 코팅안정성도 우수한 새로운 조성의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 조성의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층 및/또는 난연층과 EPS비드 사이에 버퍼층을 더 형성하는 것을 통해 EPS비드에 대한 난연층의 접착성을 보다 향상시킴으로써 난연성 및 단열성이 극대화된 특성을 갖는 난연성 EPS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규 조성의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환경문제 및 높은 제조 원가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향상된 코팅 안정성과 분산성을 통하여 우수한 난연성능을 갖는 난연성 EPS비드를 제조할 수 있는 난연성 EPS비드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연성 EPS비드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패널 사이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샌드위치 패널의 심재로만 사용범위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난연성 EPS 폼은 물론 이를 심재로 사용되는 샌드위치 패널 등 다양한 응용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목적 역시 당연히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석고(Gypsum), 탈크(Talc),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데카브로모다이페닐에탄(Decabromo diphenylethane), 유기바인더 및 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석고(Gypsum), 탈크(Talc),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유기바인더 및 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물 100중량부 당 팽창흑연은 30 내지 45중량부, 석고는 5 내지 15중량부, 탈크는 0.5 내지 1.5중량부, 칼슘카보네이트는 3 내지 7중량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는 10 내지 20중량부, 데카브로모다이페닐에탄은 3 내지 7중량부, MDI는 1 내지 3중량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는 3 내지 7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은 3 내지 7중량부 및 유기바인더는 50 내지 60 중량부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물 100중량부 당 나머지 성분의 총합이 100 내지 150중량부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바인더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 Vinyl Acetate),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s),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EPS비드; 및 상기 EPS비드 표면상에 상술된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로 형성된 난연층;을 포함하는 난연성 EPS비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난연층이 형성되기 전에 상기 EPS비드 표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EPS비드와 상기 난연층 사이에 위치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그룹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EPS비드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EPS비드의 표면상에 제4항의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로 난연층을 형성하는 난연층코팅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난연층코팅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수행되는 상기 EPS비드의 표면상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버퍼층코팅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코팅단계는 상기 EPS비드 100중량부당 0.1 내지 3 중량부의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그룹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여 버퍼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EPS비드 표면에 형성된 버퍼코팅층을 50 내지 70℃에서 건조하여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난연층코팅단계는 상기 EPS비드 또는 표면상에 버퍼층이 형성된 EPS비드와 제4항의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을 1: 1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교반하여 상기 EPS비드 표면 또는 EPS비드 표면상에 형성된 버퍼층상에 난연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난연코팅층을 85 내지 95℃에서 건조하여 난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난연성 EPS 비드 또는 상술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난연성 EPS 비드를 포함하는 난연성 EPS 폼들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난연성 EPS 폼을 포함하는 응용제품들을 제공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은 난연성을 갖는 무기물질 및 유기물질을 특정 조합과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난연성은 물론 단열성도 우수하고 EPS비드에 대한 코팅안정성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성 EPS비드는 신규 조성의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층 및/또는 난연층과 EPS비드 사이에 버퍼층을 더 형성하는 것을 통해 EPS비드에 대한 난연층의 접착성을 보다 향상시킴으로써 난연성 및 단열성이 극대화된 특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성 EPS비드 제조방법은 신규 조성의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환경문제 및 높은 제조 원가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향상된 코팅 안정성과 분산성을 통하여 우수한 난연성능을 갖는 난연성 EPS비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성 EPS 폼은 난연성 EPS비드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패널 사이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샌드위치 패널의 심재로만 사용범위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를 심재로 사용되는 샌드위치 패널 등 다양한 응용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범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 역시 당연히 포함된다.
도 1a는 일반적인 EPS비드의 SEM 이미지이고, 도 1b는 도 1a의 EPS비드에 버퍼층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SEM이미지이며, 도 1c는 도 1b의 버퍼층이 형성된 EPS비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조성물로 코팅되어 난연층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SEM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난연성 EPS 폼의 실물사진이고, 도 2b는 비고예에서 제조된 비교예EPS 폼의 실물사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물 난연성 EPS 폼의 난연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가스토치로 불꽃을 가하여 방화한 상태 및 방화가 끝난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특히,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이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난연성을 갖는 무기물질 및 유기물질을 특정 조합과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난연성은 물론 단열성도 우수하고 EPS비드에 대한 코팅안정성도 우수한 새로운 조성의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신규 조성의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층 및/또는 난연층과 EPS비드 사이에 버퍼층을 더 형성된 구조의 난연성 EPS비드, 친환경적이며 저가의 난연성 EPS비드 제조방법 및 난연성 EPS비드로 제조되어 패널 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난연성 EPS 폼에 있다.
즉, 무기계 난연제의 난연 메커니즘은 열에 의해 휘발되지 않고 분해되어 물, 이산화탄소, 염화수소와 같은 불연기체를 방출하고 고체상 표면에서 흡열반응을 통해 냉각 및 열분해 생성물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특성을 갖는데, 대표적인 무기 난연제 물질인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Try-Hydroxide)과 수산화마그네슘(Magnesium Di-Hydroxide)이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탈크(Talc),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와 함께 종래 무기계 난연제로 사용된 바 없는 석고(Gypsum: CaSO42H20)를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난연성 조성물에 석고를 사용한 이유는 석고가 100℃ 부근에서 표면의 수분이 제거되고 그 다음 내부의 결정수가 탈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높은 열안정성을 갖는 물질이고, 이의 난연 메커니즘을 통해 본 발명의 난연성 조성물에 포함된 다른 구성성분과 함께 방화 시 내부의 물을 방출하고 표면에 불연성 보호층을 형성하는 시너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은 일 구현예로서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EG), 석고(Gypsum), 탈크(Talc),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CaCO3),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 APP), 데카브로모다이페닐에탄(Decabromodiphenylethane: DBDPE), 유기바인더 및 물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 MDI),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MC),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 PER)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로서 본 발명의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은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석고(Gypsum), 탈크(Talc),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유기바인더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구성성분의 함량은 다수의 반복 실험을 통해 실험적으로 결정되었는데, 일 구현예로서 물 100중량부 당 팽창흑연은 30 내지 45중량부, 석고는 5 내지 15중량부, 탈크는 0.5 내지 1.5중량부, 칼슘카보네이트는 3 내지 7중량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는 10 내지 20중량부, 데카브로모다이페닐에탄은 3 내지 7중량부, MDI는 1 내지 3중량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는 3 내지 7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은 3 내지 7중량부 및 유기바인더는 50 내지 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물 100중량부 당 나머지 성분의 총합이 100 내지 150중량부 포함될 수 있는데, 나머지 성분의 총합이 100미만이면 난연성이 떨어지며, 15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난연조성물의 점도 상승 등으로 접착 성능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조성물에 사용되는 유기바인더는 공지된 모든 유기바인더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 구현예로서 통상의 비닐계 단량체 및 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일 수 있으며, 특히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Poly Vinyl Acetate),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s),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난연성 EPS비드는 EPS비드; 및 상기 EPS비드 표면상에 형성된 난연층;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EPS비드 표면상에 난연층이 형성되기 전에 상기 EPS비드 표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EPS비드와 상기 난연층 사이에 위치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난연층은 상술된 본 발명의 난연조성물로 형성되어 난연성을 발휘하는 구성요소로서 EPS비드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EPS비드 표면상에 바로 난연층을 형성하지 않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층을 형성한 후 버퍼층 표면에 난연층을 형성하게 되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연층이 버퍼층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두껍게 잘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퍼층은 EPS비드 전 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EPS비드에 코팅되는 난연층과 EPS비드의 부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버퍼층상에 난연조성물을 코팅하여 난연층을 형성하게 되면 분산성은 물론 코팅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난연조성물에 다수의 무기물질이 포함되더라도 난연층이 EPS비드 표면에 잘 코팅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버퍼층을 형성하는 구성성분은 EPS비드 표면에 잘 코팅되고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물질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일 구현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다수의 기공 등의 형성으로 표면적이 넓어져 난연층과의 우수한 접착력이 있는 것은 물론 난연층을 형성하는 난연조성물의 구성성분의 종류 및 함량을 고려하여 화학적으로 접착력 및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로서,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그룹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채택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포함하는 화합물은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TDI(Toluene Diisocyanate) 등이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DI가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은 EPS비드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EPS비드의 표면상에 상술된 유무기 난연성복합조성물로 난연층을 형성하는 난연층코팅단계;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난연층코팅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수행되는 상기 EPS비드의 표면상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버퍼층코팅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난연층코팅단계는 상기 EPS 비드 또는 상기 버퍼층이 형성된 EPS비드와 제4항의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을 1: 1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교반하여 상기 EPS비드 표면 또는 버퍼층상에 난연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EPS 비드 표면 또는 버퍼층상에 형성된 난연코팅층을 85 내지 95℃에서 건조하여 난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이러한 난연층코팅단계를 통해 EPS비드표면 또는 버퍼층 상에 난연층이 형성된 난연성 EPS비드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버퍼층코팅단계는 상기 EPS비드 100중량부당 0.1 내지 3 중량부의 이소시아네니트(Isocyanate)그룹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여 버퍼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EPS비드 표면에 형성된 버퍼코팅층을 50 내지 70℃에서 건조하여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이러한 버퍼층코팅단계를 통해 도 1b에 도시된 버퍼층이 형성된 EPS비드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난연성 EPS 폼은 상술된 난연성 EPS 비드 또는 상술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난연성 EPS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상술된 난연성 EPS 비드를 사각 몰드에 넣고 가열 유압 프레스에서 성형하면 도 2a에 도시된 형상의 난연성 EPS 폼을 얻을 수 있는데, 종래의 EPS폼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이 가해지면 녹아서 형태를 유지할 수 없어 샌드위치 패널의 심재 등으로 추가 가공을 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난연성 EPS 폼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이 가해지더라도 성형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어 패널 사이에 심재로 넣어 샌드위치 패널로 완제품을 만들지 않더라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5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및 배합비율로 혼합한 후 24시간 300~500 rpm으로 교반하여 난연성조성물1 내지 5(B 내지 G)를 얻었다.
구분 실시예1(B) 실시예2(C) 실시예3(E) 실시예4(F) 실시예5(G)
Gypsum 9 9 12 12 9
EG 35 35 40 40 35
Talc 1 1 1 1 1
APP 15 15 15 15 15
CaCO3 7.5 7.5 5 5 5
PER - - 5 5 5
MC 7.5 7.5 - - 5
DBDPE 7.5 7.5 5 5 -
Binder 55 55 55 55 55
MDI - 2 - 2 2
Water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1 내지 7
하기 표 2와 같은 성분 및 배합비율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성조성물1 내지 7(A, H 내지 M)을 얻었다.
구분 비교예1
(A)
비교예2
(H)
비교예3
(I)
비교예4
(J)
비교예5
(K)
비교예6
(L)
비교예7
(M)
Gypsum 9 9 9 9 9 9 9
EG 35 35 35 35 35 35 35
Talc 1 1 1 1 1 1 1
APP 15 2 - - - - -
CaCO3 7.5 - 2 - - - -
PER 7.5 - - 2 - - -
DBDPE - - - - 2 - -
MC 7.5 - - - - 2 -
MDI - - - - - - -
Kaolin - - - - - - 2
Binder 55 55 55 55 55 55 55
Water 100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6 , 7, 9 및 10
1. EPS비드 준비단계
공지된 방법으로 도 1a에 도시된 형상을 갖는 다수의 EPS 비드를 준비하였다.
2. 버퍼층코팅단계
준비된 EPS비드 100중량부 당 2 중량부의 MDI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100 rpm으로 혼합해주었다. 이후 오븐에서 60℃로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도 1b와 같이 버퍼층인 MDI 코팅막을 형성하였다.
3.난연층코팅단계
버퍼층이 형성된 EPS비드와 난연성조성물1, 2, 4, 5(B, C, F, G)를 각각 1: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각각 교반한 후 90℃, 6시간 동안 오븐에서 건조시켜 도 1c와 같은 구조를 통해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 난연성 EPS 비드1, 2, 4 및 5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6에서 버퍼층코팅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난연층코팅단계에서 난연성조성물3(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6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난연성 EPS 비드3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내지 14
난연층코팅단계에서 난연성조성물1 내지 5가 아니라, 비교예조성물1 내지 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6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EPS비드1 내지 7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내지 15
실시예 6 내지 10에서 얻어진 난연성 EPS 비드1 내지 5를 각각 사각 몰드에 넣고 2차 발포성형하여 도면 2와 같은 모양의 난연성 EPS 폼1 내지 5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5 내지 21
비교예 8 내지 14에서 얻어진 비교예EPS비드1 내지 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EPS 폼 1 내지 7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1 내지 15에서 얻어진 난연성 EPS 폼1 내지 5와 비교예 15 내지 21에서 얻어진 비교예 EPS 폼 1 내지 7을 대상으로 가스 토치를 이용하여 부탄 가스를 연소하여 생긴 불꽃으로 난연 발포 EPS 폼을 강제연소 시키는 방법으로 불연특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었다.
평가결과 본 발명의 난연성 EPS 폼1 내지 5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a에 도시된 초기 모형을 그대로 유지할 정도로 양호한 난연 특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 등이 없어야 하는 기준에 적합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 EPS 폼 1 내지 7의 경우 비교예 EPS 폼 1을 제외하면 도 3b와 같이 도 2b에 도시된 초기형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기준에 적합하지 못했다. 한편, 비교예 EPS 폼 1의 경우 형태를 유지하였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신뢰성 평가에서 난연특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종래의 EPS폼이 열이 가해지면 녹아서 형태를 유지할 수 없는 특성을 갖고 있어 샌드위치 패널의 심재와 같이 추가 가공을 하지 않으면 사용될 수 없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난연성 EPS 폼은 열이 가해지더라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된 초기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여주므로, 패널 사이에 심재로 넣어 샌드위치 패널 등으로 추가 가공하지 않더라도 난연성을 갖는 완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난연성 EPS 폼은 난연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제품에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응용 및 활용성이 현저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1 내지 15에서 얻어진 난연성 EPS 폼1 내지 5와 비교예 15 에서 얻어진 비교예 EPS 폼 1을 대상으로 콘칼로리미터법(KS F ISO 5660-1)으로 가열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건축용 단열 재료의 난연성능기준 및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 준불연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콘칼로리미터법(KS F ISO 5660-1)로 가열시험 개시 후 10분간 총방출열량 8 MJ/m2 이하여야하며, 10분간 최대 열방출열이 10초 이상 연속으로 200 KW/m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용융상태도 시험체를 관통하는 균열, 구멍 및 용융 등이 없어야한다.
구분 실시예
11(B)
실시예
12(C)
실시예
13(E)
실시예
14(F)
실시예
15(G)
비교예1
(A)
총방출열량
(MJ/m2)
10.1 3.5 8.0 6.0 7.3 17.6
최대방출열량
(kW/m2)
55.6 46.6 53.1 60.1 62.4 70.2
심재상태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보통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2 내지 실시예 15는 건축용 단열 재료의 난연성능기준 및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 준불연등급을 받기에 적합하지만 실시예11은 약간 부족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교예1의 경우 심재상태는 유지하였으나 다른 난연 특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버퍼층이 난연층의 코팅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8 및 9에서 얻어진 난연성 EPS 비드3 및 4(E, F)를 대상으로 코팅 전후 무게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8(E)
실시예
9(F)
코팅전 EPS무게 13.0 14.5
코팅후 EPS무게 35.5 41.9
난연층 함량 22.5 27.4
(단위 : g)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버퍼층이 형성된 실시예 9의 EPS비드(F)가 버퍼층이 형성되지 않은 실시예 8의 EPS비드(E)와 비교하여 난연제의 함량이 5g 정도 더 접착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EPS비드에 본 발명의 난연제조성물을 바로 코팅하여 난연층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버퍼층을 형성하면 난연제조성물의 코팅안정성을 향상시켜 EPS비드에 난연층을 효과적인 두께와 함량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7)

  1. 물 100중량부 당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30 내지 45중량부, 석고(Gypsum) 5 내지 15중량부, 탈크(Talc) 0.5 내지 1.5중량부,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3 내지 7중량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10 내지 20중량부, 데카브로모다이페닐에탄(Decabromo diphenylethane) 3 내지 7중량부, 유기바인더 5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MDI는 1 내지 3중량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는 3 내지 7중량부, 및 펜타에리트리톨은 3 내지 7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3. 물 100중량부 당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30 내지 45중량부, 석고(Gypsum) 5 내지 15중량부, 탈크(Talc) 0.5 내지 1.5중량부,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3 내지 7중량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10 내지 20중량부,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1 내지 3중량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3 내지 7중량부,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3 내지 7중량부, 유기바인더 5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 100중량부 당 나머지 성분의 총합이 100 내지 150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바인더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 Vinyl Acetate),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s),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7. EPS비드; 및
    상기 EPS비드 표면상에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로 형성된 난연층;을 포함하는 난연성 EPS비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층이 형성되기 전에 상기 EPS비드 표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EPS비드와 상기 난연층 사이에 위치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EPS비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그룹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EPS 비드.
  10. EPS비드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EPS비드의 표면상에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로 난연층을 형성하는 난연층코팅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층코팅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수행되는 상기 EPS비드의 표면상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버퍼층코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코팅단계는 상기 EPS비드 100중량부당 0.1 내지 3 중량부의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그룹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여 버퍼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EPS비드 표면에 형성된 버퍼코팅층을 50 내지 70℃에서 건조하여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층코팅단계는 상기 EPS비드 또는 표면상에 버퍼층이 형성된 EPS비드와 상기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을 1: 1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교반하여 상기 EPS비드 표면 또는 EPS비드 표면상에 형성된 버퍼층상에 난연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난연코팅층을 85 내지 95℃에서 건조하여 난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
  14. 제 7 항의 난연성 EPS 비드를 포함하는 난연성 EPS 폼.
  15. 제 10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난연성 EPS 비드를 포함하는 난연성 EPS 폼.
  16. 제 14 항의 난연성 EPS 폼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17. 제 15 항의 난연성 EPS 폼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KR1020200102795A 2020-08-14 2020-08-14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성 eps 비드 및 상기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 KR102556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795A KR102556207B1 (ko) 2020-08-14 2020-08-14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성 eps 비드 및 상기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795A KR102556207B1 (ko) 2020-08-14 2020-08-14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성 eps 비드 및 상기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801A KR20220021801A (ko) 2022-02-22
KR102556207B1 true KR102556207B1 (ko) 2023-07-14

Family

ID=8049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795A KR102556207B1 (ko) 2020-08-14 2020-08-14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성 eps 비드 및 상기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2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33077B1 (en) * 2022-09-20 2024-03-26 Isobouw Systems Bv Expanded polymer foam part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550B1 (ko) 2009-05-06 2009-11-20 (주)폴머 성형성이 개선된 스킨층을 갖는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와 이를 이용한 폴리스티렌 발포 성형물
JP2013100407A (ja) 2011-11-08 2013-05-23 Hideo Kawamura 発泡ポリスチレンビー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33311B1 (en) * 2012-12-17 2019-06-19 Adeka Corporatio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and flame-retardant synthetic resin composition
KR101489583B1 (ko) 2013-06-21 2015-02-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42064B1 (ko) * 2013-10-30 2015-08-05 주식회사 태영산업 발포 스티로폼 입자용 난연 코팅액 및 발포 스티로폼 입자의 난연처리 방법
KR20160072411A (ko) * 2014-12-15 2016-06-2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성형성이 우수하고 단열성능과 난연성능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04875B1 (ko) * 2017-09-28 2023-11-23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난연제 조성물, 상기 난연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난연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550B1 (ko) 2009-05-06 2009-11-20 (주)폴머 성형성이 개선된 스킨층을 갖는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와 이를 이용한 폴리스티렌 발포 성형물
JP2013100407A (ja) 2011-11-08 2013-05-23 Hideo Kawamura 発泡ポリスチレンビー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801A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20808B (zh) 防火保温板及其制备工艺
JP3950980B2 (ja) 発泡体の製造方法
KR101977804B1 (ko) 외부 벽체용 단열재 및 그의 제조 방법
US4447491A (en) Network of bonded expanded polystyrene beads having chemically delaminated vermiculite impregnant
CA2562128A1 (en) Thermal insulation composite with improved thermal stability and improved fire resistance
KR20080100763A (ko) 단열성과 난연성이 향상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 및 그제조방법
KR20170052907A (ko) 준불연 보온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602205B1 (ko) 팽창흑연을 함유한 불연성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수지입자의 제조방법
KR20180117511A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2556207B1 (ko)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성 eps 비드 및 상기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
KR20190068453A (ko) 불연 단열재
KR101489583B1 (ko)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175918B (zh) 一种聚苯乙烯组合物及其制得的隔热复合板
US6344267B1 (en) Foamed polystyrene products and method for their production
JP2006525406A (ja) 耐火性に優れた発泡プラスチック成形体
KR101795750B1 (ko) 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스티로폼 및 그 제조방법
KR101555612B1 (ko) 건축 외장재용 드라이비트 준불연 발포폴리스티렌 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128815A (ko) 천공된 피막구조를 가지는 준불연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20110017794A (ko) 난연제 조성물과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KR101979449B1 (ko) 단열재용 난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난연 단열재
KR101928336B1 (ko) 발포 폴리스티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출 폴리스티렌 폼의 제조방법
KR101683141B1 (ko) 난연성이 부여된 단열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단열재 제조방법
KR20190139116A (ko)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61976A (ko) 난연성 복합단열보드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KR20130066455A (ko) 고단열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