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794A - 난연제 조성물과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제 조성물과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794A
KR20110017794A KR1020090075448A KR20090075448A KR20110017794A KR 20110017794 A KR20110017794 A KR 20110017794A KR 1020090075448 A KR1020090075448 A KR 1020090075448A KR 20090075448 A KR20090075448 A KR 20090075448A KR 20110017794 A KR20110017794 A KR 20110017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weight
parts
flame
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3995B1 (ko
Inventor
김창환
Original Assignee
부림인슈보드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림인슈보드 (주) filed Critical 부림인슈보드 (주)
Priority to KR102009007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9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9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92Expanding without a foam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6PS, i.e. polystyrene

Abstract

수산화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수화산물과 비금속 수산화물 및 팽창흑연을 이용하여 발연억제특성이 우수한 난연제 조성물과 이를 코팅한 EPS 비드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난연제 조성물은, 수산화알루미늄 20~40중량부, 팽창흑연 10~40중량부, 초산비닐수지 15~40중량부, 경화제 5~10중량부, 물 30~50중량부를 함유하며, 난연 EPS 비드 제조 방법은 상기 난연제 조성물과 EPS 수지입자를 예비 발포하여 얻은 EPS 비드를 1:1의 중량비로 배합기의 교반기에 투입 교반하여 상기 EPS 비드의 표면에 상기 난연제를 코팅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EPS 비드, 난연제, 발포 폴리스티렌, 난연 코팅,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Description

난연제 조성물과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FLAME RETARDANT COMPOSITION AND FLAME-RETARDANT EXPANDED POLYSTYRENE BEA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난연제 조성물과 이를 코팅한 이를 코팅한 발포성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 EPS, 스티로폼, 이하 "EPS"라 칭함) 비드(bead)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산화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수화산물과 수산화칼슘(소석회)과 같은 비금속 수산화물 및 팽창흑연을 이용하여 발연(emitting smoke) 억제특성이 우수한 난연제 조성물과 이를 코팅한 EPS 비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등 다양한 산업에서는 다양한 재료들을 사용하여 외적 미려함, 단열 등을 도모하고 있고, 현재는 EPS 보드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화재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최근에 요구되는 난연성의 수준이 모든 산업분야서 더욱 엄격해졌고, 고난연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브룸 또는 염소를 함유하는 난연제는 연소 시 사람에게 유해한 다이옥신이 발생한다는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어 다이옥신을 저감하는 난연제의 필요성이 한층 강화되고 있다.
또한 건축현장에서 건축물의 단열을 위해 사용되는 성형된 EPS은 보드형태로 가공된 것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EPS는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성과 단열 시공 시 취급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불에 매우 취약하며, 압출보드(압출법 폴리스티렌 XPS)에 비하여 단열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난연 특성이 우수한 팽창흑연를 포함하는 난연 조성물로 EPS비드(입자)에 코팅하는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0-0602205호(발명의 명칭 : 팽창흑연을 함유한 불연성 난연 폴리스티렌 수지입자의 제조방법, 이하 "특허문헌 1"이라 칭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폴리스티렌 발포입자에 팽창흑연, 열경화성 액상 페놀 수지 및 경화 촉매의 혼합물을 코팅 가교하여 EPS 비드의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위 특허문헌 1은 인체에 페놀과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페놀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지 못하였다. 또한 EPS가 발연 시 유해가스가 방출됨으로써 인체에 악영향을 주게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산화알루미늄의 금속 수산화물과 비금속 수산화물 및 팽창 흑연을 이용하여 발연억제특성과 발연 시 유해가스를 억제할 수 있는 난연제 조 성물과 이를 코팅하여 난연성이 우수한 EPS 비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 수산화물과 비금속 수산화물 및 팽창흑연과 초산비닐수지의 혼합물을 EPS 비드에 코팅하여 EPS 비드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이 우수한 EPS 비드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연성이 우수하며 EPS비드에 코팅하여 보드로 성형 시 EPS비드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 난연 EPS 비드 코팅제 및 EPS 비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산화알루미늄 20~40중량부, 팽창흑연 10~40중량부, 초산비닐수지 18~40중량부, 경화제 5~10중량부, 물 30~5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제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난연제 조성물은 난연 보조제로서 수산화칼슘 20~30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제 조성물은 EPS비드의 표면에 코팅되어 성형 시 금형틀에서 EPS 성형물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이형제 2~3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흑연은 밀도가 1~2.5g/㎤이며, 입도는 1~10㎛이며 팽창율은 50~200배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팽창된 흑연층이 절연층으로 작용하여 열 의 이동을 방해, 비할로겐 타입의 저발연성 친환경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분말형태의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칼슘의 입도는 1~10㎛의 것을 사용하여 EPS 비드에 코팅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난연제 조성물의 조성은 50~150rpm의 속도로 회전하는 배합기의 교반기에 상기 수산화알루미늄, 팽창흑연, 수산화칼슘의 분말과 액상의 초산비닐수지, 경화제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입 교반하여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Aspect)에 따른 난연 EPS 비드 제조 방법은 상기 조성된 난연제 조성물과 EPS 수지입자를 가압식 배치 발포기로 50~80배로 예비 발포하여 얻은 EPS 비드를 1:1의 중량비로 배합기의 교반기에 투입하여 50~150rpm의 회전속도로 10~20분 교반하여 상기 EPS 비드의 표면에 상기 난연제를 코팅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난연제 조성물은 팽창된 흑연이 절연층으로 작용하여 열의 이동을 방해하는 팽창흑연과 가열 시 물을 잃고 산화알루미늄으로 변화되어 난연 특성이 우수한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및 물을 이용하여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화재 시 유해가스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친환경적이다. 또한 초산비닐수지를 사용함으로써 EPS 비드의 표면에 코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난연제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금속 수산화물은 가열 시 물을 잃고 산화알루미늄으로 변화되어 저발연 성질을 갖는 수산화알루미늄(AlOH3)을 사용하며, 난연보조제로 사용하는 비금속 수산화물은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CaOH2)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용제로서는 물을 사용하며, EPS 비드의 표면에 코팅을 용이하게 하고 EPS 비드로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 시 EPS 비드간의 결합력을 높이는 접착제로서 초산비닐수지(Polyvinyl Acetate)를 사용한다.
교반기가 장착된 배합기에 수산화알루미늄 분말 20~40중량부, 팽창흑연 분말 10~40중량부, 액상의 초산비닐수지 18~40중량부, 액상의 경화제 5~10중량부, 물 30~50중량부를 투입한 후 50~150rpm으로 교반기를 회전시켜 10~20분간 혼합한다.
이때, 상기 팽창흑연은 밀도가 1~2.5g/㎤이며, 입도는 1~10㎛이며 팽창율은 50~200배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된 흑연은 절연층으로 작용하여 열의 이동을 방해한다. 상기 분말형태의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칼슘의 입 도는 1~10㎛의 것을 사용하여 EPS 비드에 코팅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금속 수산화물인 수산화알루미늄과 팽창흑연 및 초산비닐수지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물에 잘 용해됨으로 배합기의 교반기로 충분히 교반하면 액상상태의 난연제 조성물이 완성된다.
또한 상기 교반시간 내에 난연 보조제로서 수산화칼슘 분말 20~30중량부를 추가로 투입 교반하여 난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수산화칼슘은 pH 12.5 정도의 강한염기성을 나타내고 있고 고온에서는 산화칼슘(calcium oxide)과 물(H2O)로 분해됨으로써 난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산화알루미늄 분말과 팽창흑연 분말 및 수산화칼슘 분말의 입도는 1~10㎛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시간 내에 EPS 비드에 코팅한 후 금형에 투입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 시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EPS 성형물이 잘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이형제 2~3중량부를 추가로 투입 교반하여 난연제 조성물을 완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조성된 난연제 조성물은 난연성이 양호한 수산화알루미늄, 팽창흑연, 수산화칼슘을 이용하고 용제로서 물을 이용함으로써 저발연성의 성질을 가지며, 연소 시에도 유기용제에 의한 유독가스의 분출이 없게 된다.
[EPS 비드의 표면에 난연제 조성물의 코팅]
난연 EPS 비드 제조는 상기 조성된 난연제 조성물과 EPS 수지입자를 가압식 배치 발포기로 50~80배로 예비 발포하여 얻은 EPS 비드를 1:1의 중량비 로 배합기 의 교반기에 투입하여 50~150rpm의 회전속도로 10~20분 교반하여 상기 EPS 비드의 표면에 상기 난연제를 코팅한다.
이때, 상기 EPS 비드의 표면에 난연제를 균질하게 코팅하기 위하여 배합기의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200~300rpm의 속도로 증가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교반기의 회전속도가 증가되면 EPS 비드의 표면에 난연제가 보다 균질하게 코팅된다.
팽창흑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초산비닐수지 등을 포함하여 조성된 난연제 조성물을 피막 코팅하여 만들어진 EPS 비드를 공지된 EPS 패널 제조법에 의해서 패널 형상의 성형체를 만든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만들어진 EPS 성형체는 EPS 비드의 표층에 균일하고 단단하게 난연제의 피막이 코팅되어 성형된 패널이 연소 시 EPS 비드에 피막된 표층으로부터 다공성 차(Char : 탄화코어)에 의한 방화층이 형성되어 불연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적용된 수산화칼슘은 가열 시 고온에서 산화칼슘(calcium oxide)과 물(H2O)로 분해됨으로써 연소를 억제함으로써 성형체가 화염에 전면으로 받더라고 다공성 차에 의한 방화층의 형성과 수산화칼슘의 작용으로 인하여 즉시 소화되며, 열에 의한 더 이상의 형상 붕괴를 억제한다.
수산화알루미늄, 팽창흑연, 수산화칼슘, 초산비닐수지의 조성물에 의해 피막코팅된 EPS 비드로 건축물의 보온단열재나 건축물의 패널 단열재로 성형한 후 건출 물 내부 마감재료의 난연성능기준(건설교통부 고시 제2006-476호, KS F ISO 5660-1)에 따라 난연 테스트를 하였다.
그 결과 화염을 전면으로 받더라도 내장 재료의 피막에 형성되는 다공성 차에 의한 방화층의 형성으로 적합판정을 받았다. 즉, 총열방출률은 8MJ/㎡이하이고, 방출률이 200Kw/㎡를 초과한 시간(초)은 0초로서 10초 이상의 기준에 적합하였으며, 실재의 전부 용융, 관통하는 균열 및 구멍 등의 변화는 없었다. 가스 유해성시험항목인 평균행동정지시간은 13분 이상으로 9분이상의 규정에 적합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난연제 조성물은 난연성이 우수한 수산화알루미늄과 팽창 시 다공성의 방화층을 형성하는 팽창흑연, 가열 시 물과 산화칼슘으로 분해되어 발연을 억제하는 수산화칼슘, EPS 비드간의 결합 및 혼합조성물의 피믹형성을 도모하는 초산비닐수지 및 물에 의해 조성함으로써 화재시 발연을 억제하고, 발연 시 연소가스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유해가스의 생성을 억제한다.

Claims (5)

  1. 난연제 조성물에 있어서, 수산화알루미늄 20~40중량부, 팽창흑연 10~40중량부, 초산비닐수지 18~40중량부, 경화제 5~10중량부, 물 30~5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제 조성물임.
  2. 제1항에 있어서, 난연 보조제로서 수산화칼슘 20~30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흑연은 밀도가 1~2.5g/㎤이며, 입도는 1~10㎛이며 팽창율은 50~200배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이형제 2~3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제 조성물.
  5. 난연 EPS 비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상에 따른 난연조 조성물과 EPS 수지입자를 예비 발포하여 얻은 EPS 비드를 1:1의 중량비로 배합기의 교반기에 투입, 50~150rpm의 회전속도로 10~20분 교반하여 상기 EPS 비드의 표면에 상기 난연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EPS 비드 제조방법.
KR1020090075448A 2009-08-14 2009-08-14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KR101093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448A KR101093995B1 (ko) 2009-08-14 2009-08-14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448A KR101093995B1 (ko) 2009-08-14 2009-08-14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794A true KR20110017794A (ko) 2011-02-22
KR101093995B1 KR101093995B1 (ko) 2011-12-15

Family

ID=4377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448A KR101093995B1 (ko) 2009-08-14 2009-08-14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9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583B1 (ko) * 2013-06-21 2015-02-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7840A (ko) 2017-11-21 2019-05-2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발포 폴리 스티렌 입자의 제조 방법 및 발포 폴리 스티렌 입자
KR20190057841A (ko) 2017-11-21 2019-05-2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발포 폴리 스티렌 입자의 제조 방법
WO2021033888A1 (ko) * 2019-08-20 2021-02-2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용 코팅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411A (ko) 2014-12-15 2016-06-2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성형성이 우수하고 단열성능과 난연성능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7052A (ja) * 2001-11-12 2003-05-21 Nec Corp 難燃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583B1 (ko) * 2013-06-21 2015-02-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7840A (ko) 2017-11-21 2019-05-2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발포 폴리 스티렌 입자의 제조 방법 및 발포 폴리 스티렌 입자
KR20190057841A (ko) 2017-11-21 2019-05-2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발포 폴리 스티렌 입자의 제조 방법
WO2021033888A1 (ko) * 2019-08-20 2021-02-2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용 코팅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3995B1 (ko)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05620A1 (en) Flame retardant particl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flame retardant styrofoam using same
KR101093995B1 (ko)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TWI477552B (zh) 防火聚胺酯材料及防火結構
KR101815556B1 (ko) 불연성 코팅제 조성물
KR20100075911A (ko) 발포체 입자용 코팅 조성물 및 발포체 성형물의 제조 방법
KR101796067B1 (ko)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를 이용한 포장용 스티로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스티로폼
KR100602205B1 (ko) 팽창흑연을 함유한 불연성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수지입자의 제조방법
KR20180117511A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1493434B1 (ko) 발포 폴리스티렌용 난연성 코팅제 조성물
KR102082887B1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친환경 발포 폴리스티렌 폼 제조방법
KR20100120088A (ko) 불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 입자로 제조된 불연성 스티로폴
KR101489583B1 (ko)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8815A (ko) 천공된 피막구조를 가지는 준불연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1555612B1 (ko) 건축 외장재용 드라이비트 준불연 발포폴리스티렌 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86305B1 (ko) 불연성 무기/유기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제품
KR20120075821A (ko) 난연 조성물
KR101795750B1 (ko) 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스티로폼 및 그 제조방법
KR102188608B1 (ko) 그래핀 옥사이드를 이용한 eps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8949B1 (ko)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용 난연 코팅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345148B1 (ko) 염소화파라핀이 침투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90059A (ko) 불연성 스티로폼의 불연성 첨가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66455A (ko) 고단열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KR20160109471A (ko) 난연제 조성물과 이를 코팅한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 방법
KR100602196B1 (ko) 불연성을 갖는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 수지입자 제조 방법
KR101729384B1 (ko) 난연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 성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