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397A -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황화아연을 포함하는 등속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황화아연을 포함하는 등속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397A
KR20220064397A KR1020227012671A KR20227012671A KR20220064397A KR 20220064397 A KR20220064397 A KR 20220064397A KR 1020227012671 A KR1020227012671 A KR 1020227012671A KR 20227012671 A KR20227012671 A KR 20227012671A KR 20220064397 A KR20220064397 A KR 20220064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rease composition
additive
zinc sulfide
total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성 이
크리스토프 린드라흐
마리오 비츠담
Original Assignee
게케엔 드리펠린 인터나쇼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케엔 드리펠린 인터나쇼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게케엔 드리펠린 인터나쇼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64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 C10M105/02Well-defined hydrocarbons
    • C10M105/04Well-defined hydrocarbon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 C10M105/02Well-defined hydrocarbons
    • C10M105/06Well-defined hydrocarbons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1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thickener being a non-macromolecular carboxylic acid or salt thereof
    • C10M117/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thickener being a non-macromolecular carboxylic acid or salt thereof having only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cycloaliphatic carbon atom or hydrogen
    • C10M117/04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thickener being a non-macromolecular carboxylic acid or salt thereof having only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cycloaliphatic carbon atom or hydrogen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25/22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10M135/02Sulfurised compounds
    • C10M135/04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 C10M137/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
    • C10M137/04Phosphate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41/0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at least one of them being an organic 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41/1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at least one of them being an organic phosphorus-containing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4Elements
    • C10M2201/041Carbon; Graphite; 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6Metal compounds
    • C10M2201/065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6Metal compounds
    • C10M2201/065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 C10M2201/066Molybdenum sulf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8Inorganic acids or salts thereof
    • C10M2201/084Inorganic 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02Well-defined aliphatic compounds
    • C10M2203/0206Well-defined aliphatic compound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06Well-defined aromatic compounds
    • C10M2203/065Well-defined aromatic compound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10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 C10M2203/1006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10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 C10M2203/106Naphthenic fractions
    • C10M2203/1065Naphthenic fraction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02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 C10M2205/028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containing aliphatic monomers having more than four carbon atoms
    • C10M2205/0285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containing aliphatic monomers having more than four carbon atom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10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 C10M2207/12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07/125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hydrocarbon chains of eight up to twenty-nine carbon atoms, i.e. fatty acids
    • C10M2207/128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hydrocarbon chains of eight up to twenty-nine carbon atoms, i.e. fatty acids containing hydroxy groups; Ethers thereof
    • C10M2207/1285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hydrocarbon chains of eight up to twenty-nine carbon atoms, i.e. fatty acids containing hydroxy groups; Ethers thereof used as thicken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05Ester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10Amide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10M2215/102Ureas; Semicarbazides; Allophanates
    • C10M2215/1026Ureas; Semicarbazides; Allophanates used as thicken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9/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9/02Sulfur-containing compounds obtained by sulfurisation with sulfur or sulfur-containing compounds
    • C10M2219/022Sulfur-containing compounds obtained by sulfurisation with sulfur or sulfur-containing compounds of hydrocarbons, e.g. olef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3/02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s
    • C10M2223/04Phosphate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55Particles related characteristics
    • C10N2020/06Particles of special shape or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0Inhibition of oxidation, e.g. anti-oxid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30Anti-mis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4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 C10N2040/046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for traction dr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50/00Form in which the lubricant is applied to the material being lubricated
    • C10N2050/10Semi-solids; greas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자동차의 드라이브라인에 사용되는 등속 조인트(constant velocity joints, CV joints), 특히 볼 조인트 및/또는 삼각대 조인트에 사용하기 위한 그리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등속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기유,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황화아연, 및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등속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황화아연을 포함하는 등속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
본 발명은 주로 자동차의 드라이브라인에 사용되는 등속 조인트(constant velocity joints, CV joints), 특히 볼 조인트 및/또는 삼각대 조인트에 사용하기 위한 그리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등속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전륜구동 자동차는 구동축(하프샤프트)의 양쪽 끝에 CV 조인트가 있다. 내부 CV 조인트는 구동축을 변속기에 연결한다. 외부 CV 조인트는 구동축을 바퀴에 연결한다. 많은 후륜구동 및 4륜구동 자동차와 트럭에는 CV 조인트가 있다. CV 조인트 또는 호모키네틱 조인트를 사용하면 구동 샤프트가 일정한 회전 속도로 가변 각도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마찰이나 유격의 현저한 증가 없이, 동력을 전달하게 할 수 있다. 전륜구동 자동차에서 CV 조인트는 회전하는 동안 전륜에 토크를 전달한다.
CV 조인트에는 볼 유형과 삼각대 유형의 두 가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이 있다. 전륜구동차의 경우 구동축 외측(외부 CV조인트)에는 볼형 CV조인트를 사용하고, 내측(내측 CV조인트)에는 삼각대형 CV 조인트를 주로 사용한다. 롤링과 슬라이딩의 조합으로 CV 조인트 내 구성요소의 모션은 복잡하다. 조인트에 토크가 가해지면 구성요소가 함께 로드되어 구성요소의 접촉면이 마모될 뿐만 아니라 회전 접촉 피로와 표면 간의 상당한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다.
CV 조인트에는 또한 일반적으로 벨로우즈 모양의 탄성 재료로 된 밀봉 부트가 있으며, 한쪽 끝은 CV 조인트의 외부 부분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CV 조인트의 상호 연결 또는 출력 샤프트에 연결된다. 밀봉 부트는 조인트에 그리스를 유지하고 먼지와 물을 차단한다.
그리스는 마모와 마찰을 줄여야 하고 CV 조인트에서 회전 접촉 피로의 조기 시작을 방지해야 할 뿐만 아니라 밀봉 부트를 형성하는 엘라스토머 재료와도 호환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밀봉 부트 재료가 감소되어 밀봉 부트가 조기에 파손되어 그리스가 빠져나가 궁극적으로 CV 조인트가 파손된다. 보호 밀봉 부트가 갈라지거나 손상될 때 CV 조인트에서 가장 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그리스가 빠져나갈 뿐만 아니라 습기와 먼지가 유입되어 CV 조인트가 더 빨리 마모되고 결국 윤활 부족과 부식으로 인해 실패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외부 CV 조인트 밀봉 부트는 내부보다 더 많은 움직임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먼저 부러진다. CV 조인트 자체가 마모되면 수리할 수 없으며 새 부품이나 재생 부품으로 교체해야 한다. CV 조인트 밀봉 부트에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의 재료는 폴리클로로프렌 고무(CR)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특히 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C-ET)이다.
일반적인 CV 조인트 그리스에는 나프텐계(포화 고리)와 파라핀계(직선 및 분지형 포화 사슬) 광물유가 혼합된 기유(base oils)가 있다. 합성 오일을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기유는 CR 및 TPC-ET로 된 밀봉 부트의 열화(팽윤 또는 수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물유 및 합성 기유 모두 밀봉 부트 재료에서 가소제 및 기타 유용성 보호제를 추출한다. 파라핀계 광물유 및 폴리-α-올레핀(PAO) 합성 기유는 특히 밀봉 부트에 거의 확산되지 않지만, 반면에 나프텐계 광물유 및 합성 에스테르는 고무 및 TPC-ET와 같은 밀봉 부트 재료에 확산되어 가소제로 작용할 수 있고 팽윤(swelling)을 유발할 수 있다. 나프텐계 광물유에 대한 가소제 또는 가소제 조성물의 교환은 특히 저온에서 밀봉 부트 성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냉간 균열에 의해 밀봉 부트가 실패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CV 조인트의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현저한 팽창 또는 연화 현상이 발생하면 속도에서의 안정성 불량 및/또는 반경 방향의 과도한 팽창으로 인해 밀봉 부트의 최대 고속 성능이 감소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S 5,670,461 A는, 적어도 하나의 광물유 및 적어도 하나의 합성 오일을 포함하는 기유 혼합물 60 내지 90 중량%, 증점제로서 적어도 하나의 우레아 화합물 5 내지 16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우레아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지방 아민과 적어도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이고, 칼슘 복합 그리스 2 내지 20 중량%, 이황화몰리브덴 1 내지 4 중량%, 흑연 분말 0.2 내지 1 중량%,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분말 0.2 내지 1 중량%, 몰리브덴 디티오카르바메이트(MoDTC) 및 몰리브덴 디티오-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몰리브덴 화합물의 고체 입자 0.2 내지 1 중량%, 금속 비활성화제 최대 2 중량% 및 부식 억제제 최대 2 중량%로 본질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경우에 양은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는, 고온용 윤활 그리스를 제안한다. 그러나, 부트 적합성 시험에서 측정된 US 5,670,461 A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밀봉 부트 적합성 및 전체 CV 조인트의 수명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SMBP(Standard Multi Block Program) 테스트에서 측정된 CV 조인트의 수명에 특히 해당된다. 상기 그리스 조성물에 개시된 첨가제가 밀봉 부트 재료와 반응하여 조기 노화를 유발하여 밀봉 부트의 조기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개선이 더 필요하다. 특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은 재생 독성 뿐만 아니라 높은 환경 안정성으로 인해 재활용되어야 하고 수출이 현재 승인 대상이다. 더 나아가, PTFE는 기계적 응력 및 고온에서 분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알칼리 금속은 PTFE와 반응할 수 있으며, 이는 윤활유 그리스에서 반응성 분해 산물을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알칼리 금속은 증점제 또는 그리스 제형에 사용되고, 예를 들어, US 5,670,461 A에서는 칼슘 복합 그리스가 사용된다. CV 조인트를 사용하여 생성된 열화 산물은 밀봉재를 공격하여 조기 파손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TFE 증기가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그리스 호환성을 개선하고 밀봉 부트 재료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좋다.
US 5,670,461 A와 같이 대부분의 상용 CV 조인트 윤활유에는 몰리브덴 디티오포스페이트(MoDTP) 또는 몰리브덴 디티오카르바메이트(MoDTC)가 포함되어 있고, 이는 내마모성 및 EP 성능, 특히 초기 작동 시간(런-인)에서 향상된 마찰 방지 특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몰리브덴 디티오포스페이트(MoDTP)는 밀봉 부트 재료를 분해하여 팽창 및 연화를 유발하여 완전한 밀봉 부트의 조기 노화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나아가, 자주 사용되는 징크 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ZnDTP) 또는 몰리브덴 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MoDTP)는 CV 조인트의 금속 표면에 대한 마찰 화학 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내마모 성능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금속 표면에 층이 형성된다.
특히 ZnDTP 및 MoDTP와 같은 첨가제를 포함하는 인을 사용하는 경우의 단점은 밀봉 재료, 특히 밀봉 부트와의 상용성이 좋지 않다는 것이다. ZnDTP 또는 MoDTP의 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는 고온에서 밀봉 부트 재료와 반응하여 조기 노화를 유발한다. 또한, ZnDTP에 포함된 황과 인은 화학적으로 활성화되어 밀봉 부트 재료의 노화를 더 심화시킨다. 따라서 많은 양의 그리스로 인해 CV 조인트에 사용되는 밀봉 부트가 조기에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CV 조인트의 더 긴 수명을 달성하기 위해 전체 윤활 특성을 유지하면서 밀봉 부트 재료에 대한 적어도 전술한 그리스 조성물 성분의 부정적인 화학적 영향을 줄이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제조된 밀봉 부트와 우수한 상용성을 갖고, 또한 전체 CV 조인트에서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하는 CV 조인트에 주로 사용하기 위한 그리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a) 적어도 하나의 기유;
b)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c) 황화아연; 및
d)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을 포함하는 그리스 조성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TPE로,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TPC-EP로 만들어진 부트와 함께 등속 조인트에 사용하기 위한 그리스 조성물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등속 조인트에서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등속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등속 조인트에 사용하기 위한 본 조성물의 장점은 MoDTP, MoDTC 및 PTFE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MoDTP, MoDTC 및 PTFE 대신에 이황화몰리브덴(MoS2) 및/또는 이황화텅스텐(WS2)과 황화아연(ZnS)의 혼합 제형이 사용된다. 황화아연은 황이 제공하는 우수한 EP 성능과 아연이 제공하는 내마모 성능이라는 두 가지 주요 특성을 통합한다. 더 나아가, 이황화 몰리브덴과 이황화 텅스텐이 마찰을 줄이고 내마모성을 제공하며 그리스 구성에서 EP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황화아연과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조성물이 전체 윤활 특성을 유지하고 더 긴 수명을 가능하게 하면서 그리스 조성물에서 첨가제 MoDTC, MoDTP 및 ZnDTP 뿐만 아니라 PTFE를 효과적으로 대체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에 의해 CV 조인트의 과중한 적용에서의 내구성 및 CV 조인트 밀봉 부트 재료와의 상용성이 향상된다.
황화아연은 0.25 중량%에 이미 약 1700 ppm의 아연을 제공하지만, 동일한 아연의 양은 분자 내부에 중요한 화학적 활성 없이 2 중량%의 ZnDTP에 존재하며,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ZnDTP 및 MoDTP와 같은 유기 금속 염은 무거운 적용 하에서 무기 염과 유기 라디칼로 분해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유기 라디칼은 밀봉 부트 재료와 반응하여 조기에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황화아연은 무기염이기 때문에 열을 가하거나 과도하게 도포해도 유기 분해 생성물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마찰화학적 특성이 유지되는 동안 황화아연과 밀봉 부트 재료의 반응이 최소화된다.
또한 발명된 그리스 조성물은 첨가제 측면에서 더 적은 재료를 필요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황화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텅스텐이 일종의 시너지 효과로서 황화아연의 마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사실 때문에 이들 첨가제의 필요한 양은 더 감소된다. 이미 언급된 첨가제 양의 감소는 또한 정교하게 합성된 또는 유기 금속 화합물 대신 염이 사용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발명된 그리스 조성물의 생산에서 개선된 경제성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자들은 적당한 양의 이황화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텅스텐이 황화아연이 유리한 내마모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특히 개선된 내마찰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조합된 황화아연이 유기 황-함유 첨가제 및 유기 인-함유 첨가제와 조합하여 마찰 성능을 CV 조인트의 초기 실행 시간(런-인) 동안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결과적으로, 유기 황-함유 첨가제와 유기 인-함유 첨가제의 알려진 상승 효과는 마찰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조합된 황화아연도 함께 상승적으로 작용한다. 이 시너지 효과는 표준 SRV 테스트로 측정된 마찰 계수와 마모량에서 잘 나타난다.
도 1a 및 1b: 각각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은 마찰 및 마모에 대한 실험 결과가 A1 내지 A12에서의 황화아연 첨가제의 상승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 및 2b: 표 3에 제시된 마찰 및 마모에 대한 실험 결과가 A1에서 A12에서의 이황화 몰리브덴(MoS2) 첨가제의 상승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 및 3b: 표 4에 제시된 마찰 및 마모에 대한 실험 결과가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 A1, A2, B1, B2와 상용 그리스 C1의 비교를 위해 도시된 도면; 및
도 4a 및 4b: 표 4에 제시된 밀봉 부트 재료의 적합성 및 CV 조인트의 수명 내구성 시간에 대한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중량 퍼센트 또는 중량%라는 용어가 청구된 그리스 조성물로부터 구성되는 성분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한, 중량 퍼센트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의 양을 나타낸다. "중량%"라는 표현은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중량 퍼센트에 대한 약어로 본 발명 전체에 걸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수치 또는 범위와 관련된 표현 "약" 및 "대략"은 허용 범위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는 당업자가 자신의 기준에 따라 일반적이거나 합리적인 것으로 간주할 것이다. 특히, "약" 및 "대략"이라는 표현은 지정된 값에 대해 ±20%, 바람직하게는 ±10%, 더 바람직하게는 ±5%의 허용 오차 범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청구된 다양한 범위, 특히 중량 퍼센트 범위의 하한 값 및 상한 값은 새로운 범위를 정의하기 위해 서로 결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맥락에서, 표준, 규범 또는 표준화 프로토콜에 대한 모든 참조는 예를 들어 ISO, ASTM 등은 속성, 수치 또는 범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작성일에 시행 중인 상기 표준, 규범 또는 표준화 프로토콜의 최신 업데이트 버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에 사용되는 기유는 폴리-α-올레핀,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및/또는 합성 유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기유로서, US 6,656,890 B1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기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그러나, 임의의 추가적인 종류의 기유, 특히 광물유의 블렌드, 합성 오일의 블렌드 또는 광물유와 합성 오일의 혼합물의 블렌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바람직하게는 40℃에서 약 32 내지 약 250mm2/s, 100℃에서 약 5 내지 약 25mm2/s의 동점도를 가져야 한다. 광물유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합성 오일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α-올레핀(PAO)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유기 합성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알코올을 기반으로 하는 하위 그룹을 갖는 디-카르복실산 유도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알코올은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차, 직쇄 또는 분지형 탄소 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합성 에스테르는 세바스산-비스(2-에틸헥실에스테르)("디옥틸 세바케이트"(DOS)), 아디프산-비스-(2-에틸헥실에스테르)("디옥틸 아디페이트"(DOA)), 디옥틸 프탈레이트(DOP) 및/또는 아젤라산-비스(2-에틸헥실에스테르)("디옥틸 아젤레이트(DOZ))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폴리-α-올레핀이 기유에 존재하는 경우, 폴리-α-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1-도데센 올리고머, 1-데센 올리고머, 1-옥텐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1-옥텐, 폴리-1-데센 올리고머, 폴리-1-도데센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고, 여기서 폴리-1-데센 올리고머 및 폴리-1-도데센 올리고머는 이량체, 삼량체, 사량체, 오량체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α-올레핀은 ASTM D445에 정의된 바와 같이 40℃에서 약 2 내지 약 60 센티스토크 범위의 동점도를 갖는 것으로 선택된다. 기유에 대하여 선택된 나프텐계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40℃에서 약 3 내지 약 370 mm2/s,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150 mm2/s 범위의 동점도를 갖는다. 밀도(ASTM D1250에 따라 측정)는 15.6℃에서 약 0.9 내지 약 1.0 g/cm3이다. 적어도 하나의 기유에 존재하는 파라핀계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의 선형, 분지형 및 환형 포화 알칸, 수소화 이성질화된 피셔-트롭쉬 왁스, 및 피셔-트롭쉬 올리고머화된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이소파라핀, 모노-고리 및/또는 다중 고리 구조 함유 시클로파라핀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라핀계 오일은 40℃에서 약 9 내지 약 170 mm2/s, 바람직하게는 40℃에서 약 50 내지 약 130 mm2/s 범위의 동점도를 갖는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에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약 63 중량% 내지 최대 93 중량%의 양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약 75 중량% 내지 약 92.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78 중량% 내지 약 92 중량%, 및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을 약 30 중량% 내지 약 8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35 중량% 내지 약 75 중량%, 및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37 중량% 내지 약 72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경우에 기유의 총량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을 약 15 중량% 내지 약 8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중량% 내지 약 7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유는 기유가 다양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기유 조성물일 수도 있고, 특히 기유가 폴리-α-올레핀,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및/또는 합성 유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기유 조성물일 수도 있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을 약 30 중량% 내지 약 8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5 중량% 내지 약 75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37 중량% 내지 약 72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을 약 15 중량% 내지 약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중량% 내지 약 65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중량% 내지 약 62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기유의 총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는 바람직하게는 리튬 비누 증점제 또는 우레아 증점제이고, 이 중에서 리튬 비누 증점제의 사용이 가장 바람직하다. 리튬 비누 증점제는 적어도 하나의 지방산과 수산화리튬의 반응 생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증점제는 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 스테아르산, 수소화된 피마자유 또는 기타 유사한 지방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러한 산의 메틸에스테르로부터 형성된 단순 리튬 비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장쇄 지방산과 착화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디카르복실산의 붕산염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리튬 착물 비누가 사용될 수 있다. 복합 리튬 비누의 사용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이 약 180℃의 온도까지 작동하도록 하는 반면, 단순 리튬 비누의 경우 그리스 조성물은 약 120℃의 온도까지만 작동할 것이다. 우레아 증점제는 폴리우레아 화합물 뿐만 아니라 디우레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우레아 화합물은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모노아민의 반응을 통해 수득되는 군에서 선택되고, 이러한 모노아민의 예는 옥틸아민, 도데실아민, 헥사데실아민, 옥타데실아민, 올레일아민, 아닐린, p-톨루이딘 및 사이클로헥실아민이고; 폴리우레아 화합물은 디아민과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반응을 통해 수득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디아민에는 에틸렌디아민, 프로판디아민, 부탄디아민, 헥산디아민, 옥탄디아민, 페닐렌디아민, 톨릴렌디아민 및 크실렌디아민이 포함되고; 또는 우레아 증점제는 p-톨루이딘 또는 아닐린과 같은 아릴 아민, 시클로헥실 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을 통해 수득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디우레아 화합물의 아릴 기는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6 또는 7개의 탄소 원자로 구성된다. 그러나, 리튬 비누 증점제 및 요소 증점제와 같은 전술한 모든 증점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중량% 내지 약 17.0 중량%의 양으로 각각 존재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황화아연은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황화아연은 자연적으로 입방형 스팰러라이트(sphalerite) 또는 육각형 우르자이트(wurtzite)로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공업적으로 생산된 황화아연 분말이 사용되지만, 결정 구조는 더 이상 구별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황화아연은 ISO 13320에 관한 CLIAS 1064 Nass에 의한 주 입자 크기 D90이 0.80㎛인 무색 및 무취 분말이다. 더 나아가 20℃에서의 밀도는 최대 4.0 g/cm3이고 융점은 800℃(승화)보다 높다. 분해 온도는 600℃ 이상이다.
황화아연은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2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각각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이황화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텅스텐을 포함한다. 이황화 몰리브덴(몰리브덴(IV) 황화물(MOS2))은 몰리브덴(VI) 황화물(MoS3) 및/또는 몰리브덴(V) 황화물(MO2S5) 이상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리스 조성물에서 이황화 몰리브덴 초미세 분말은 결정, 분산액 또는 물 또는 에탄올 용액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바람직한 초미립자 이황화 몰리브덴 분말은 순도가 97 중량%이고 피셔 수(Fisher number)가 0.40 내지 0.50 ㎛ 이며, 나아가 ISO13320의 표준의 Microtrac X11002 레이저 회절 기기에 의한 입자 크기 분포 D90는 7.0 ㎛ 이고, 벌크 밀도는 0.4 g/cm3인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하다. 산화 전에 이황화 몰리브덴을 보호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항산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황화 텅스텐(tungsten(IV) sulfide, WS2)은 이황화 몰리브덴(MOS2)과 같은 고체 상태로 존재하며, 결정, 분산액 또는 물 또는 에탄올의 용액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짙은 회색 분말로 존재한다. 짙은 회색의 이황화텅스텐 분말은 평균 입자 크기 D90이 4㎛이고 밀도가 7.5 g/cm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황화 텅스텐은 열안정성 화합물이다.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은 마찰 감소 및 내마모 성능과 EP 성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에서, 황화아연과 이황화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텅스텐의 조합은 CV 조인트의 내마모 및 내마찰 특성에 대한 SRV 시험에서 상승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임의의 유기 몰리브덴-함유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은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은 황화아연의 양(중량%)에 대한 총량(중량%)이 약 1:1에서 약 20:1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10:1 사이의 범위로 서로 조합되어 존재한다. 이황화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약 7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1.2 중량% 내지 약 4 중량%이고, 각각의 경우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에는 항산화제, 방청제, 극압(EP) 개질제, 내마모제 및 오일 개량제와 같은 공지된 각종 그리스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그리스 첨가제가 그리스 조성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황-함유 EP 개질제 및/또는 인-함유 EP 개질제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리스 첨가제가 존재하여 황화아연의 이황화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의 마찰화학적 효과를 필요한 양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바람직한 동시 환원에 의하여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황-함유 EP 개질제라는 표현은 유기 황-첨가제로 지칭되고, 표현 인-함유 EP 개질제는 하기 설명에서 또는 유기 인-첨가제로 지칭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적어도 10 중량%의 황을 포함하며, 중량%는 유기 황-첨가제의 총량을 나타낸다. ZnDTP, ZnDTC, MoDTP 및 MoDTC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 유기 황-첨가제라는 용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 설파이드, 알킬 티아디아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올레핀 설파이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탄-1 및/또는 4-메틸펜텐의 올레핀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알킬 티아디아졸은 1,2,3-티아디아졸, 1,2,4-티아디아졸, 1,2,5-티아디아졸 및/또는 1,3,4-티아디아졸의 티아디아졸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황을 적어도 1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70 중량% 사이이며, 중량%는 유기 황-첨가제의 총량을 나타낸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에 존재한다. 의도된 유기 인 첨가제는 금속염도 아니고 ZnDTP 또는 MoDTP와 같은 황을 포함하지 않는다. 포함된 인은 피해야 할 상기 첨가제보다 덜 활성화되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 첨가제가 밀봉 부트 재료와 양립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는 유기 인 첨가제가 밀봉 부트의 열화, 밀봉 부트 재료의 팽창 또는 수축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TiBP에서 이소부틸로 모든 수소가 치환된 인산(H3PO4) 유도체인 이소부틸 포스페이트(TiBP)와 같은, 삼치환된 유기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 특별한 디자인은 유기 측쇄에 의해 인산의 수소 원자가 1개 또는 2개만 치환된 일반적인 인 첨가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비활성인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제공한다. 삼치환된 유기 인-첨가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트리이소부틸 포스페이트(TiBP)는 SMBP 테스트에 의해 입증된 CV 조인트의 연장된 수명을 초래하는 밀봉 부트 재료와의 제한된 상호 작용으로 향상된 EP 성능 및 온도 독립적 점도를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0.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3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가 그리스 조성물에 존재한다.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로서,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아민,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즈아민, 2,4,4-트리메틸펜텐과 반응하거나 옥틸화/부틸화 디페닐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옥틸 디페닐아민, 옥틸 디페닐아민, 옥틸/스티릴 디페닐아민, 디헵틸 디페닐아민, 디노닐 디페닐아민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N-페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0℃에서 약 250 내지 약 370 mm2/s , 20℃에서 약 0.9 내지 약 1.0 g/cm3의 동점도(ASTM D445에 따름) 및 밀도(ASTM D1298에 따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가 선택된다.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는 산화와 관련된 그리스 조성물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은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2 중량% 범위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유 및/또는 이황화 몰리브덴의 열화 뿐만 아니라 그리스 조성물의 수명을 연장하여 CV 조인트의 수명을 연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CV 조인트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추가로 청구된 바와 같은 그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CV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CV 조인트는 특히 밀봉 부트를 포함하며, 부트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로 채워지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인트에 할당된 제1 부착 영역 및 제2 부착 영역을 갖는 밀봉 부트 샤프트에 할당된다. 밀봉 부트는 조인트 및/또는 샤프트에 일반적인 클램프 장치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텅스텐,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의 총량을 나타낸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폴리-α-올레핀 및/또는 나프텐계 오일 및/또는 파라핀계 오일 및/또는 합성 유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을 약 30 중량% 내지 약 8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후자의 양은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며, 여기서 파라핀계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의 선형, 분지형 및 환형 포화 알칸, 수소화 이성질화된 피셔-트롭쉬 왁스, 및 피셔-트롭쉬 올리고머화된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이소파 아핀, 모노-고리 및/또는 다중-고리 구조를 함유하는 시클로 파라핀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을 약 15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고, 후자의 양은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나프텐계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포화 시클릭 알칸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는 리튬 비누 증점제 및 우레아 증점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리튬 비누 증점제는 수산화리튬과 적어도 하나의 지방산의 반응 생성물이고, 우레아 증점제는 적어도 하나의 디우레아 및/또는 폴리우레아 화합물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여기서 황화아연은 고체 상태로 포함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여기서 이황화 몰리브덴은 고체 상태로 포함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은 황화아연의 양(중량%)에 대한 총량(중량%)으로 약 1:1 내지 약 20:1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3: 1 내지 약 10:1 범위로 존재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약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중량% 내지 약 4 중량%이고, 각각의 경우에는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황을 적어도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70 중량% 의 양으로 포함하고, 중량%는 유기 황-첨가제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탄-1 및/또는 4-메틸펜텐과 같은 올레핀 단량체와의 반응 생성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알킬 티아디아졸 또는 올레핀 설파이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0.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삼치환 또는 유기 포스페이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틸 포스페이트(TiBP)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아민,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벤즈아민 및/또는 2,4,4-트리메틸 펜텐 또는 옥틸화/ 부틸화 디페닐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옥틸 디페닐아민, 옥틸 디페닐아민, 옥틸/스티릴 디페닐아민, 디헵틸 디페닐아민, 디노닐 디페닐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과 반응하는 N-페닐 화합물일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폴리-α-올레핀 및/또는 나프텐계 오일 및/또는 파라핀계 오일 및/또는 합성 유기 에스테르로 구성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중량% 내지 약 85 중량%의 양으로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을 포함하고,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알칸, 수소화이성질체화된 피셔-트롭쉬 왁스, 및 피셔-트롭쉬 올리고머화된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이소파라핀, 모노-고리 및/또는 다중-고리 구조를 함유하는 시클로파라핀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약 15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양으로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을 포함하고,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포화 시클릭 알칸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는 리튬 비누 증점제 및 우레아 증점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리튬 비누 증점제는 적어도 하나의 지방산의 수산화리튬과의 반응 생성물이고, 우레아 증점제는 디우레아 및/또는 폴리우레아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황화아연은 고체 상태로 포함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은 고체 상태로 포함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은 황화아연의 양(중량%)에 대한 총량(중량%)으로 약 1:1 내지 약 20:1, 바람직하게는 약 3:1에서 약 10:1 사이의 범위에서 존재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약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중량% 내지 약 4 중량%이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황을 10 중량% 이상,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중량%는 유기 황-첨가제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탄-1 및/또는 4-메틸펜텐과 같은 올레핀 단량체와의 반응 생성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알킬 티아디아졸 또는 올레핀 설파이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0.2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삼치환 또는 유기 포스페이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틸 포스페이트(TiBP)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아민,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벤즈아민 및/또는 2,4,4-트리메틸 펜텐 또는 옥틸화/ 부틸화 디페닐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옥틸 디페닐아민, 옥틸 디페닐아민, 옥틸/스티릴 디페닐아민, 디헵틸 디페닐아민, 디노닐 디페닐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과 반응하는 N-페닐 화합물일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폴리-α-올레핀 및/또는 나프텐계 오일 및/또는 파라핀계 오일 및/또는 합성 유기 에스테르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중량% 내지 약 85 중량%의 양으로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을 포함하고,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알칸, 수소화이성질체화된 피셔-트롭쉬 왁스, 및 피셔-트롭쉬 올리고머화된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이소파라핀, 모노-고리 및/또는 다중-고리 구조를 함유하는 시클로파라핀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약 15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양으로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을 더 포함하고,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나프텐계 오일은 포화 시클릭 알칸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이황화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은 바람직하게는 고체 상태로 포함되고, 이때 상기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은 황화아연의 양(중량%)에 대한 총량(중량%)으로 약 1:1 내지 약 20:1, 바람직하게는 약 3:1에서 약 10:1 사이의 범위에서 존재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약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중량% 내지 약 4 중량%이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적어도 10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양으로 황을 포함하며, 중량%는 유기 황-첨가제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탄-1 및/또는 4-메틸펜텐과 같은 올레핀 단량체와의 반응 생성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알킬 티아디아졸 또는 올레핀 설파이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0.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삼치환 또는 유기 포스페이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틸 포스페이트(TiBP)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아민,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벤즈아민 및/또는 2,4,4-트리메틸 펜텐 또는 옥틸화/ 부틸화 디페닐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옥틸 디페닐아민, 옥틸 디페닐아민, 옥틸/스티릴 디페닐아민, 디헵틸 디페닐아민, 디노닐 디페닐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과 반응하는 N-페닐 화합물일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폴리-α-올레핀 및/또는 나프텐계 오일 및/또는 파라핀계 오일 및/또는 합성 유기 에스테르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중량% 내지 약 85 중량%의 양으로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을 포함하고,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알칸, 수소화이성질체화된 피셔-트롭쉬 왁스, 및 피셔-트롭쉬 올리고머화된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이소파라핀, 모노-고리 및/또는 다중-고리 구조를 함유하는 시클로파라핀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약 15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양으로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을 더 포함하고,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나프텐계 오일은 포화 시클릭 알칸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는 리튬 비누 증점제 및 우레아 증점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바람직하게는 리튬 비누 증점제는 수산화리튬과 적어도 하나의 지방산의 반응 생성물이고, 우레아 증점제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디우레아 및/또는 폴리우레아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은 바람직하게는 고체 상태로 구성되어 있고, 이때 상기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은 황화아연의 양(중량%)에 대한 총량(중량%)으로 약 1:1 내지 약 20:1, 바람직하게는 약 3:1에서 약 10:1 사이의 범위에서 존재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약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중량% 내지 약 4 중량%이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황을 10 중량% 이상,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중량%는 유기 황-첨가제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탄-1 및/또는 4-메틸펜텐과 같은 올레핀 단량체와의 반응 생성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알킬 티아디아졸 또는 올레핀 설파이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광체-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0.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3 중량% 내지 대략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삼치환 또는 유기 포스페이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틸 포스페이트(TiBP)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아민,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벤즈아민 및/또는 2,4,4-트리메틸 펜텐 또는 옥틸화/ 부틸화 디페닐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옥틸 디페닐아민, 옥틸 디페닐아민, 옥틸/스티릴 디페닐아민, 디헵틸 디페닐아민, 디노닐 디페닐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과 반응하는 N-페닐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폴리-α-올레핀,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및/또는 합성 유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을 약 30 중량% 및 약 85 중량% 사이의 양으로 포함하고,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알칸, 수소화이성질체화된 피셔-트롭쉬 왁스, 및 피셔-트롭쉬 올리고머화된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이소파라핀, 모노-고리 및/또는 다중-고리 구조를 함유하는 시클로파라핀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약 15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양으로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을 더 포함하고,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나프텐계 오일은 포화 시클릭 알칸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는 리튬 비누 증점제 및 우레아 증점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리튬 비누 증점제는 적어도 하나의 지방산의 수산화리튬과의 반응 생성물이고, 우레아 증점제는 디우레아 및/또는 폴리우레아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황화아연은 고체 상태로 포함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은 고체상태로 포함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은 황화아연의 양(중량%)에 대한 총량(중량%)으로 약 1:1 내지 약 20:1, 바람직하게는 약 3:1에서 약 10:1 사이의 범위에서 존재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약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중량% 내지 약 4 중량%이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적어도 10 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70량%의 양으로 황을 포함하며, 중량%는 유기 황-첨가제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탄-1 및/또는 4-메틸펜텐과 같은 올레핀 단량체와의 반응 생성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알킬 티아디아졸 또는 올레핀 설파이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이때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0.2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삼치환 또는 유기 포스페이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틸 포스페이트(TiBP)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아민,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벤즈아민 및/또는 2,4,4-트리메틸 펜텐 또는 옥틸화/ 부틸화 디페닐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옥틸 디페닐아민, 옥틸 디페닐아민, 옥틸/스티릴 디페닐아민, 디헵틸 디페닐아민, 디노닐 디페닐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과 반응하는 N-페닐 화합물일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폴리-α-올레핀 및/또는 나프텐계 오일 및/또는 파라핀계 오일 및/또는 합성 유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을 약 30 중량% 내지 약 8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고 , 상기 파라핀계 오일은 폴리올레핀의 선형, 분지형 및 환형 포화 알칸, 수소화 이성질화된 피셔-트롭쉬 왁스, 및 피셔-트롭쉬 올리고머화된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이소파 아핀, 모노-고리 및/또는 다중-고리 구조를 함유하는 시클로 파라핀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을 약 15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포화 시클릭 알칸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는 리튬 비누 증점제 및 우레아 증점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리튬 비누 증점제는 수산화리튬과 적어도 하나의 지방산의 반응 생성물이고, 우레아 증점제는 적어도 하나의 디우레아 및/또는 폴리우레아 화합물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황화아연은 고체 상태로 포함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은 고체상태로 포함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은 황화아연의 양(중량%)에 대한 총량(중량%)으로 약 1:1 내지 약 20:1, 바람직하게는 약 3:1에서 약 10:1 사이의 범위에서 존재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약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중량% 내지 약 4 중량%이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적어도 10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중량% 내지 약 70중량%의 양으로 황을 포함하며, 중량%는 유기 황-첨가제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탄-1 및/또는 4-메틸펜텐과 같은 올레핀 단량체와의 반응 생성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알킬 티아디아졸 또는 올레핀 설파이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이때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0.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3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경우 중량%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삼치환 또는 유기 포스페이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틸 포스페이트(TiBP)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 중량%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아민,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벤즈아민 및/또는 2,4,4-트리메틸 펜텐 또는 옥틸화/ 부틸화 디페닐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옥틸 디페닐아민, 옥틸 디페닐아민, 옥틸/스티릴 디페닐아민, 디헵틸 디페닐아민, 디노닐 디페닐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과 반응하는 N-페닐 화합물일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 중량%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폴리-α-올레핀,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및/또는 합성 유기 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폴리-α-올레핀,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및/또는 합성 유기 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을 약 30 중량% 및 약 85 중량% 사이의 양으로 포함하고,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은 폴리올레핀의 선형, 분지형 및 환형 포화 알칸, 수소화 이성질화된 피셔-트롭쉬 왁스, 및 피셔-트롭쉬 올리고머화된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이소파 아핀, 모노-고리 및/또는 다중-고리 구조를 함유하는 시클로 파라핀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바람직하게는 약 15 중량% 내지 약 85 중량%의 양으로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을 포함하고,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나프텐계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포화 시클릭 알칸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 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 중량%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은 바람직하게는 고체 상태로 포함되고, 이때 상기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은 황화아연의 양(중량%)에 대한 총량(중량%)으로 약 1:1 내지 약 20:1, 바람직하게는 약 3:1에서 약 10:1 사이의 범위에서 존재하고, 이때 상기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약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중량% 내지 약 4 중량%이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 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 중량%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황을 적어도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70 중량% 사이이며, 중량%는 유기 황-첨가제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적어도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탄-1 및/또는 4-메틸펜텐과 같은 올레핀 단량체와의 반응 생성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알킬 티아디아졸 또는 올레핀 설파이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유기 인-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0.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삼치환 또는 유기 포스페이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틸 포스페이트(TiBP)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아민,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벤즈아민 및/또는 2,4,4-트리메틸 펜텐 또는 옥틸화/ 부틸화 디페닐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옥틸 디페닐아민, 옥틸 디페닐아민, 옥틸/스티릴 디페닐아민, 디헵틸 디페닐아민, 디노닐 디페닐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과 반응하는 N-페닐 화합물일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79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4 중량% 내지 약 1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황화 아연,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5 중량% 내지 약 0.7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폴리-α-올레핀,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및/또는 합성 유기 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중량% 내지 약 85 중량%의 양으로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을 포함하고,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알칸, 수소화이성질체화된 피셔-트롭쉬 왁스, 및 피셔-트롭쉬 올리고머화된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이소파라핀, 모노-고리 및/또는 다중-고리 구조를 함유하는 시클로파라핀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약 15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양으로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을 포함하고, 중량% 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은 포화 시클릭 알칸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튬 비누 증점제 및 우레아 증점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리튬 비누 증점제는 적어도 하나의 지방산의 수산화리튬과의 반응 생성물이고, 상기 우레아 증점제는 디우레아 및/또는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은 고체 상태로 포함되고, 이때 상기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은 황화아연의 양(중량%)에 대한 총량(중량%)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약 1:1 내지 약 20:1, 바람직하게는 약 3:1에서 약 10:1 사이의 범위에서 존재 하고, 이때 상기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약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중량% 내지 약 4 중량%이고, 각각의 경우 중량%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10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중량% 내지 약 70중량%의 양으로 황을 포함하며, 중량%는 유기 황-첨가제의 총량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탄-1 및/또는 4-메틸펜텐과 같은 올레핀 단량체와의 반응 생성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알킬 티아디아졸 또는 올레핀 설파이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0.2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삼치환 또는 유기 포스페이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틸 포스페이트(TiBP)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아민,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벤즈아민 및/또는 2,4,4-트리메틸 펜텐 또는 옥틸화/부틸화 디페닐아민,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옥틸 디페닐아민, 옥틸 디페닐아민, 옥틸/스티릴 디페닐아민, 디헵틸 디페닐아민, 디노닐 디페닐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과 반응하는 N-페닐 화합물일 수 있다.
CV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기유,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황화아연,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적어도 하나의 유기황-첨가제,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양과 황화아연의 양 사이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1:1에서 약 20:1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10:1 사이의 범위로 존재한다.
CV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기유,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황화아연, 및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양과 황화아연의 양 사이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1:1에서 약 20:1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10:1 사이의 범위에 있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최대로 약 7 중량%이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CV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기유,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황화아연, 및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양과 황화아연의 양 사이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1:1에서 약 20:1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10:1 사이의 범위에 있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최대로 약 7 중량%이고, 황화아연은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CV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기유,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황화아연, 및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양과 황화아연의 양 사이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1:1에서 약 20:1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10:1 사이의 범위에 있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최대로 약 7 중량%이고,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은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CV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기유,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황화아연, 및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양과 황화아연의 양 사이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1:1에서 약 20:1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10:1 사이의 범위에 있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최대로 약 7 중량%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적어도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고, 중량%는 유기 황-첨가제의 총량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CV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기유,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황화아연, 및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양과 황화아연의 양 사이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1:1에서 약 20:1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10:1 사이의 범위에 있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최대로 약 7 중량%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는 약 0.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CV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기유,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황화아연, 및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양과 황화아연의 양 사이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1:1에서 약 20:1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10:1 사이의 범위에 있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최대로 약 7 중량%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는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며,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CV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기유,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황화아연, 및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양과 황화아연의 양 사이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1:1에서 약 20:1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10:1 사이의 범위에 있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최대로 약 7 중량%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는 바람직하게는 리튬 비누 증점제 또는 우레아 증점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는 약 4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CV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기유,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황화아연, 및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양과 황화아연의 양 사이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1:1에서 약 20:1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10:1 사이의 범위에 있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최대로 약 7 중량%이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폴리-α-올레핀,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및/또는 합성 유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CV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기유,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황화아연, 및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양과 황화아연의 양 사이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1:1에서 약 20:1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10:1 사이의 범위에 있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최대로 약 7 중량%이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을 약 30 중량% 내지 약 8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을 약 15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CV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기유,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황화아연, 및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양과 황화아연의 양 사이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10:1 사이의 범위에 있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최대로 약 7 중량%이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CV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기유,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황화아연, 및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양과 황화아연의 양 사이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1:1 내지 약 10:1 사이의 범위에 있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최대로 약 7 중량%이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CV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기유,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황화아연, 및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양과 황화아연의 양 사이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20:1 사이의 범위에 있고,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함께 황화아연의 총량은 약 0.6 중량% 내지 최대로 약 7 중량%이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언급된 이황화 몰리브덴은 이황화 텅스텐(WS2)과 함께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이황화 텅스텐 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범위 내에서 이황화 몰리브덴의 양을 부분적으로 대체한다. 상술한 그리스 조성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은 비제한적인 바람직한 예이며, 이에 의해 상기 언급된 범위 및 첨가제의 상이한 조합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제한적인 실시예 및 각종 그리스 조성물의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에 의한 마찰계수 및 마모저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Optimol Instruments SRV 테스터를 사용하여 Schwingungs-ReibverschleiR SRV 테스트를 수행한다. 용매를 사용하여 잘 세척한, Optimol Instruments Pruftechnik GmbH(Munich West-endstrasse 125)의 100Cr6 표준 베어링 스틸 소재의 평평한 디스크 하부 시편을 준비하고 검사할 그리스 조성물과 접촉시킨다. SRV 테스트는 산업 표준 테스트이며 특히 CV 조인트용 그리스 테스트와 관련이 있다. 시험은 위에 표시된 평평한 디스크 하부 시편에 하중을 가해 왕복하는 100Cr6 베어링 스틸로 만든 직경 10mm의 상부 볼 시편으로 구성된다. 볼 조인트를 모방하기 위한 테스트에서 500N의 하중이 가해진 40Hz의 주파수가 80℃에서 60분(실행시간(running-in) 포함) 동안 적용되었다. 스트로크는 1.5mm였다. 얻은 마찰 계수를 컴퓨터에 기록했다. 각 대해 보고된 값은 2회 테스트 종료 시 2개 데이터의 평균이다. 마찰 계수의 진입 측정을 위해, 상기 명시된 조건에서 1분 동안 50N의 적용 하중으로 시작된다. 그 후 가해진 하중을 30초 동안 50N씩 최대 500N까지 증가시킨다. 마모는 형상측정기(profilometer)와 디지털 평면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형상측정기를 사용하여 마모된 표면 중앙의 단면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다. 이 단면의 면적(S)은 디지털 평면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마모량은 V=SI로 평가되며, 여기서 V는 마모량이고 I는 스트로크이다. 마모율(Wr)은 Wr=V/L[μm3/m]에서 구하며, 여기서 L은 테스트의 총 슬라이딩 거리이다.
표준 다중 블록 프로그램 SMBP 테스트는 CV 조인트의 수명 내구성 특성을 비교 및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CV 조인트는 250 Nm/sec의 가속도에서의 토크, 100 mm/sec의 속도에서의 자운스 편향(jounce deflection) 및 적어도 40 rpm/sec 내지 적어도 1000Nm 및 2000rpm의 최대값까지의 가속도에서의 회전 속도에서 노출된다. 프로그램 중에 실제 토크, 속도 및 자운스 편향(각도)에 대한 영구 기록이 테스트 장비에 의해 제공된다. 프로그램은 CV 조인트가 심각한 손상의 첫 징후를 얻을 때까지 정의된 부하 주기를 실행한다. 1주기는 51.3분 및 39973 회전수로 정의된다. 수명 내구성은 CV 조인트가 파손될 때까지 달성된 주기로 평가된다. 고장은 과도한 온도 상승 또는 마모를 나타내는 소음의 출현으로 정의된다. CV 조인트 수명 내구성은 CV 조인트가 파손될 때까지 수행된 사이클 수로 평가된다. 더 나은 통계적 검정력을 위해 동일한 그리스 구성을 포함하는 최대 4 CV 조인트가 동시에 테스트된다. CV 조인트 4개 중 4개가 실패하면 테스트가 완료되고 전체 주기가 계산된다. 비교로써 상용 그리스가 사용된다.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밀봉 부트, 즉 Pibiflex B5050 MWR의 상용성 특성에 관한 테스트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과 하나의 상용 그리스, 즉 상용 그리스 조성물 C1(표 3 참조)을 사용하여 125℃에서 336시간 동안 그리스에 침지된 밀봉 부트 재료의 열 노화 전후의 경도(shore D) 변화 및 인장, 연신율 및 체적의 백분율 변화에 대해 수행되었다. 상기 값들은 ISO 868(shore D), ISO 37(인장 변화 및 연신율 변화) 및 ISO 2781(체적 변화)에 의거하여 측정되었다.
그리스 조성물 A1 내지 A12 및 B1 및 B2 에 사용되는 기유는 파라핀계 오일 83 중량% 내지 84 중량% 및 나프텐계 오일 16 중량% 내지 17 중량%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기유의 총량을 나타낸다.
표 1 및 표 2의 그리스 조성물에서는 하기 표시된 화합물들을 사용하였다. 상용 그리스(Cl)는 기유, Li-비누유 8 중량%, MoS2 약 2.5 중량%, 흑연 약 0.35 중량%를 포함하고,각각의 경우에 중량%는 상용 그리스의 총량을 나타낸다.
순도 97 중량%와 평균 입경 0.80㎛인 황화아연(ZnS) 분말을 사용하였다. 순도 97 중량%, 입도 0.40 내지 0.50 ㎛(Fischer No.)의 초미세 이황화몰리브덴(MoS2) 분말을 사용하였다. D90인 평균 입경 7㎛인 이황화텅스텐(WS2) 분말을 사용하였다. 유기 황-첨가제로는 Rouen Cedex, France (Lubrizol France, 25 Quai de France, 76173)의 Anglamol 33을 사용하였다. 유기 인-첨가제로는 순도 99 중량%를 가지는 트리 이소부틸 포스페이트를 사용하였다. Li 비누 증점제로는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과 수산화리튬(LiOH)을 반응시켜 얻은 스테아르산리튬을 사용하였다.
상용 그리스는 이하에서 C1으로 지칭되며, 이황화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A1 및 A2로 지칭되며, 이때 A3 내지 A12로 지칭된 그리스 조성물은 비교 샘플이다.
[중량%] C1 A1 A2 A3 A4 A5 A6 A7 A8 A9 A10 A11 A12
리튬-비누 8 8 8 8 8 8 8 8 8 8 8 8 8
기유(총합)

기유내 파라핀계 오일

기유내 나프텐계 오일
n.d.

n.d.


n.d.
88.5

73.5


15
88.8

73.8


15
92.0

77.0


15
91.5

76.5


15
91.0

76.0


15
90.5

75.5


15
88.5

73.5


15
89.0

74.0


15
89.0

74.0


15
89.0

74.0


15
89.5

74.5


15
90.0

75.0


15
ZnS 0 0.5 0.56 0 0 0.5 0.5 0 0 0.5 0.5 0.5 0
MoS2 >2.5 2 1.69 0 0 0 3 2 2 2 2 2
유기 황-첨가제 0 0.5 0.5 0 0 0.5 0.5 0.5 0.5 0 0.5 0 0
유기 인-첨가제 0 0.5 0.5 0 0.5 0 0.5 0 0.5 0.5 0 0 0
상용 그리스(Cl) 및 이황화 텅스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B1 내지 B2로 지칭되며, B2는 황화 몰리브덴과 이황화 텅스텐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중량%] C1 B1 B2
리튬 비누 8 8 8
기유(총합) n.d. 89.1 88.8
기유내 파라핀계 오일 n.d. 74.1 73.8
기유내 나프텐계 오일 n.d. 15 15
ZnS 0 0.25 0.25
MoS2 >2.5 0 1.5
WS2 0 1.69 0.5
유기 황-첨가제 0 0.5 0.5
유기 인-첨가제 0 0.5 0.5
마찰, 마모 및 부트 호환성에 대한 실험 값은 표 3 내 4와 도 1a, 1b, 2a, 2b, 3a, 3b, 4a 및 4b에 다음과 같이 표시되어 있다:
도 1a 및 1b: 각각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은 마찰 및 마모에 대한 실험 결과가 A1 내지 A12에서의 황화아연 첨가제의 상승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 및 2b: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마찰 및 마모에 대한 실험 결과가 A1에서 A12에서의 이황화 몰리브덴(MoS2) 첨가제의 상승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 및 3b: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마찰 및 마모에 대한 실험 결과가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 A1, A2, B1, B2와 상용 그리스 C1의 비교를 위해 도시된 도면; 및
도 4a 및 4b: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밀봉 부트 재료의 적합성 및 CV 조인트의 수명 내구성 시간에 대한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용 그리스 C1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의 마찰 계수 및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의 마모에 관한 실험 결과를 표 3에 제시하였다.
C1 A1 A2 A3 A4 A5 A6 A8 A10 A12 B1 B2
ZnS - 0.5 0.56 0 0 0.5 0.5 0 0.5 0 0.25 0.25
MoS2 >2.5 2 1.69 0 0 0 0 2 2 2 0 1.5
WS2 0 0 0 0 0 0 0 0 0 0 1.69 0.5
유기 황-첨가제 - 0.5 0.5 0 0 0.5 0.5 0.5 0.5 0 0.5 0.5
유기 인-첨가제 - 0.5 0.5 0 0.5 0 0.5 0.5 0 0 0.5 0.5
마찰계수 0.105 0.044 0.055 0.1625 0.115 0.118 0.1075 0.085 0.136 0.142 0.106 0.1
마모량[μm3/m] 1181 639 380 13498 811 8905 868 918 840 8708 882 950
상용 그리스 C1과 비교하여 CV 조인트를 갖는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의 수명 내구성 및 밀봉 부트 재료와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 A1의 상용성에 관한 실험 결과가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내구성 SMBP 테스트 C1 A1 B1
ZnS 0 0.5 0.25
MoS2 x 2 0
WS2 0 0 1.69
수명 내구성 [파손시까지의 사이클수] 925 943 2342
밀봉부트 재료에 대한 상용성 테스트

n.d.=감지되지 않음
인장 변화[%] -47 -16 n.d.
연신율 변화[%] -21 +5 n.d.
경도 변화[Shore D] 0 -6 n.d.
체적 변화[%] +15 +11 n.d.
표 3 및 도 1a 및 도 1b는 기유 A3, 그리스 A12 포함하는 이황화몰리브덴 (MOS2), 유기 황첨가제 A10이 포함된 이황화몰리브덴, 유기 인-첨가제 A4 및 이황화 몰리브덴과 유기 인- 및 유기 황-첨가제 A8이 포함된 이황화 몰리브덴과 비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 A1의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마찰 계수의 감소는 그리스 조성물에 이황화 몰리브덴을 첨가할 때 단계적으로 관찰된다. 그리스 조성물 A8 및 A10은 CV 조인트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그리스 조성물 둘 다 마찰 및 마모에 대해 좋은 값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황화 몰리브덴, 유기 황-첨가제 및 유기 인-첨가제와 함께 황화 아연을 추가하면 마찰 계수가 0.072에서 0.044로 크게 감소한다. 가장 낮은 마모량은 이황화 몰리브덴, 유기 황-첨가제, 유기 인-첨가제 및 황화아연을 포함하는 그리스 조성물로 달성된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그리스 마찰 성능에 대한 황화아연의 영향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도 2a 및 2b는 기유 A3, 유기 인- 첨가제 함유 그리스 A4, 황화아연 및 유기 황-첨가제 함유 그리스 조성물 A5 및 황화아연, 유기 황-첨가제 및 유기 인-첨가제 함유 그리스 조성물 A6과 비교한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 A1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마찰 계수의 감소는 그리스 조성 샘플에 황화아연을 첨가할 때 단계적으로 관찰된다. 그러나 이황화몰리브덴을 황화아연, 유기 황-첨가제 및 유기 인-첨가제와 조합하여 첨가하면 마찰 계수가 0.108에서 0.044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가장 낮은 마모량은 황화아연, 유기 황-첨가제, 유기 인-첨가제 및 이황화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그리스 조성물로 달성된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그리스 마찰 성능에 대한 이황화 몰리브덴의 영향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도 1a, 1b, 2a 및 도 2b에 표시된 실험 데이터는 그리스 조성물에서 황화아연과 이황화몰리브덴을 사용하는 상승 효과를 입증한다. 황화아연과 이황화몰리브덴을 결합하는 것만으로 마찰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도 3a 및 도 3b는 상용 그리스 조성물 C1 및 기유 A3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A1, A2 및 B1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Al의 2.0 중량%에서 A2의 1.69 중량%로 이황화 몰리브덴 양이 약간 감소하더라도 양호한 마찰 성능이 여전히 나타난다. B1은 이황화 몰리브 대신 1.69 중량%의 이황화 텅스텐을 함유한다. B2는 1,5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과 0.5 중량%의 이황화 텅스텐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이때 황화아연의 양이 0.25 중량%로 낮아졌다. 상용 그리스 조성물 C1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모든 그리스 조성물 A1, A2, B1 및 B2는 마찰 계수 및 마모량의 감소를 나타낸다. 이황화몰리브덴을 함유하는 그리스 조성물 A1 및 A2는 이황화텅스텐 함유 그리스 제형 B1보다 우수한 마찰 성능을 나타낸다. 이황화몰리브덴과 이황화텅스텐을 함유한 그리스 제형 B2는 B1, Al 및 A2보다 마찰 및 내마모 성능이 낮다. B1 및 B2는 여전히 상용 그리스 Cl과 비교하여 허용 가능한 마찰 및 내마모 성능을 보여준다. 표 4와 도 4a 및 4b는 상용 그리스 C1과 비교하여 CV 조인트 부트(Pibiflex B5050 MWR)와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 A1 및 B1의 상용성을 보여준다. 상용 그리스 Cl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그리스 Al의 수명 내구성은 약간 더 높다.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 B1은 상용 그리스 C1보다 2배 이상 더 높은 수명 내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 A1은 상용 그리스 C1보다 인장, 연신율 및 체적 변화에서 더 낮은 값을 제공한다. 상업용 그리스 C1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 A1은 경도 변화와 관련하여 유사한 값을 제공하지만, 특히 인장 변화 및 연신율 변화와 관련하여 상당히 개선된 값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예는 황화아연과 이황화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텅스텐의 조합이 그리스 조성물의 일반적인 윤활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추가로 CV 조인트의 수명 내구성 뿐만 아니라 밀봉 부트 재료와의 상용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Claims (16)

  1. a) 적어도 하나의 기유;
    b)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c) 황화아연; 및
    d)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을 포함하는 등속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
  2. 제1항에서,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의 중량% 양 대 황화아연의 양의 비율이 약 1:1 내지 약 20:1 인 것인 그리스 조성물.
  3. 제1항 및 제2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서,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황화아연의 총량은 최대 약 7 중량% 이고, 상기 중량%는 상기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는 것인 그리스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양으로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을 포함하고, 상기 중량%는 상기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는 것인 그리스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황화아연을 포함하고, 상기 중량%는 상기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는 것인 그리스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고, 상기 중량%는 상기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는 것인 그리스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는 황을 적어도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상기 중량%는 상기 유기 황-첨가제의 총량을 나타내는 것인 그리스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는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고, 상기 중량%는 상기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는 것인 그리스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는 상기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는 것인 그리스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는 적어도 하나의 우레아 증점제, 적어도 하나의 리튬 비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리튬 복합 비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그리스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폴리-α-올레핀,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및/또는 합성 유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그리스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핀계 오일을 약 30 중량% 내지 약 8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상기 중량%는 상기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는 것인 그리스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유는 적어도 하나의 나프텐계 오일을 약 15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상기 중량%는 상기 기유의 총량을 나타내는 것인 그리스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서,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약 65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유,
    약 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황화아연,
    약 0.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황-첨가제, 및
    약 0.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인-첨가제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상기 중량%는 상기 그리스 조성물의 총량을 나타내는 것인 그리스 조성물.
  15. 등속 조인트, 특히 볼 조인트 및/또는 삼각대 조인트에서의 제1항 내지 제14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의 용도.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그리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등속 조인트.
KR1020227012671A 2019-09-18 2019-09-18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황화아연을 포함하는 등속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 KR202200643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9/075034 WO2021052577A1 (en) 2019-09-18 2019-09-18 A grease composition comprising zinc sulfide with molybdenum disulfide and/or tungsten disulfide for constant velocity joi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397A true KR20220064397A (ko) 2022-05-18

Family

ID=6815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671A KR20220064397A (ko) 2019-09-18 2019-09-18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황화아연을 포함하는 등속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25158B2 (ko)
EP (1) EP4010453B1 (ko)
JP (1) JP7385746B2 (ko)
KR (1) KR20220064397A (ko)
CN (1) CN114302941B (ko)
BR (1) BR112022001823A2 (ko)
WO (1) WO20210525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397A (ko) 2019-09-18 2022-05-18 게케엔 드리펠린 인터나쇼날 게엠베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황화아연을 포함하는 등속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
US11732209B2 (en) 2019-10-30 2023-08-22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Grease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42547A (en) * 1952-05-02 1955-12-30 Bataafsche Petroleum Lubricating greases
US2790776A (en) * 1952-08-26 1957-04-30 Shell Dev Water-resistant gels and their manufacture
US3127346A (en) 1961-03-23 1964-03-31 Dry lubricant composition and a
CH407382A (de) * 1961-04-08 1966-02-15 Alpha Molykote Corp Verwendung von Mischungen, welche Molybdändisulfid und Zinksulfid enthalten
DE2514575C3 (de) * 1975-04-03 1978-06-01 Dow Corning Gmbh, 8000 Muenchen Festschmierstoffkombination
JPH075901B2 (ja) 1989-01-06 1995-01-25 株式会社フジクラ 潤滑処理鉄系部品及びその製造法
JP3298930B2 (ja) 1992-07-06 2002-07-08 逢坂 哲彌 磁性薄膜の製造方法
AT399162B (de) 1993-07-14 1995-03-27 Chemson Polymer Additive Festschmierstoffzusatz für harzgebundene reibbelagmischungen
US5670461A (en) 1994-08-19 1997-09-23 Gkn Automotive Ag High temperature lubricating grease containing urea compounds
JPH08165488A (ja) 1994-12-13 1996-06-25 Kyodo Yushi Co Ltd 等速ジョイント用グリース組成物
JPH10121086A (ja) * 1996-10-16 1998-05-12 Honda Motor Co Ltd 等速ジョイント用グリース組成物
GB2346892B (en) 1999-02-16 2002-10-09 Gkn Technology Ltd Grease for constant velocity joints
CN1100131C (zh) 2000-04-29 2003-01-29 中国石油化工集团公司 用于等速万向节的润滑脂及其制备方法
US6376432B1 (en) 2001-03-26 2002-04-23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Low friction grease for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s, particularly plunging type joints that is compatible with silicone elastomer boots
JP2004123858A (ja) 2002-10-01 2004-04-22 Kyodo Yushi Co Ltd 等速ジョイント用グリース組成物
JP4829523B2 (ja) * 2005-04-15 2011-12-07 Ntn株式会社 等速ジョイント用グリースおよび等速ジョイント
JP4886304B2 (ja) * 2006-01-27 2012-02-29 昭和シェル石油株式会社 グリース組成物
BRPI0622179A2 (pt) * 2006-10-07 2011-12-27 Gkn Driveline Int Gmbh composiÇço de graxa para uso em juntas de velocidade constante
BRPI0622181A2 (pt) * 2006-10-07 2011-12-27 Gkn Driveline Int Gmbh composiÇço de graxa para uso em juntas de velocidade constante
JP5165887B2 (ja) * 2006-12-28 2013-03-21 協同油脂株式会社 等速ジョイント用グリース組成物及び等速ジョイント
EP1967572A1 (de) * 2007-02-27 2008-09-10 Setral Chemie GMBH Schmiermittel-Additiv
EP2260090B1 (en) * 2008-04-01 2013-08-28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Grease composition for use in constant velocity joints
WO2010018148A2 (en) * 2008-08-11 2010-02-18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Lubricating composition
FR2949786B1 (fr) 2009-09-10 2013-07-05 Total Raffinage Marketing Composition de graisse.
CN109777554B (zh) 2019-02-25 2021-10-26 江苏澳润新材料有限公司 一种有机硅硅脂及其制备方法
US11643613B2 (en) 2019-09-18 2023-05-09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Grease composition including copper sulfide for constant velocity joints
KR20220064397A (ko) 2019-09-18 2022-05-18 게케엔 드리펠린 인터나쇼날 게엠베하 이황화 몰리브덴 및/또는 이황화 텅스텐과 황화아연을 포함하는 등속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01823A2 (pt) 2022-03-29
JP2022548661A (ja) 2022-11-21
CN114302941B (zh) 2023-04-04
EP4010453B1 (en) 2023-10-25
JP7385746B2 (ja) 2023-11-22
US20220275302A1 (en) 2022-09-01
US11725158B2 (en) 2023-08-15
CN114302941A (zh) 2022-04-08
EP4010453A1 (en) 2022-06-15
WO2021052577A1 (en)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6776A1 (en) Grease Composition For Use In Constant Velocity Joints
US20090247437A1 (en) Grease composition for use in constant velocity joints comprising at least two different molybdenum compounds
JP7385746B2 (ja) 硫化亜鉛と二硫化モリブデン及び/又は二硫化タングステンとを含む等速ジョイント用グリース組成物
US20090247435A1 (en) Grease composition for use in constant velocity joints comprising at least one tri-nuclear molybdenum compound
JP7428788B2 (ja) 硫化銅を含む等速ジョイント用グリース組成物
KR101980635B1 (ko) 등속 조인트에서 사용하기 위한 그리스 조성물
EP4090724B1 (en) Grease composition
KR100503107B1 (ko) 요소 그리스 조성물
JP7341335B2 (ja) 硫化亜鉛と硫化銅に二硫化モリブデンおよび/または二硫化タングステンを組み合わせて含む等速ジョイント用グリース組成物、それの使用、及びそれを含む等速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