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058A - 경사식 스윙 스텝 및 트럭 - Google Patents

경사식 스윙 스텝 및 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058A
KR20220064058A KR1020200150154A KR20200150154A KR20220064058A KR 20220064058 A KR20220064058 A KR 20220064058A KR 1020200150154 A KR1020200150154 A KR 1020200150154A KR 20200150154 A KR20200150154 A KR 20200150154A KR 20220064058 A KR20220064058 A KR 20220064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hinge
swing arm
spring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0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4058A/ko
Priority to US17/340,375 priority patent/US11667242B2/en
Priority to DE102021116251.3A priority patent/DE102021116251A1/de
Priority to CN202110707025.5A priority patent/CN114537285A/zh
Publication of KR20220064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9/00Vehicle bod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afety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트럭(100)에 적용된 경사식 스윙 스텝(1)은 운전석을 이루는 캐빈(Cabin)의 하부부위로 장착된 스텝 브래킷(50), 발판을 위한 스텝(40), 및 상기 스텝(40)을 상기 스텝 브래킷(50)과 이격된 상태에서 일측 경사로 기울여 바퀴(120)의 앞쪽에서 지면에 대해 형성하는 가상의 접근경사라인(Approach angle line)의 안쪽에 위치시켜 주며, 상기 스텝(40)의 하향 이동 후 초기 위치 복귀에 작용하는 스프링 탄성을 발생시키는 힌지 축 스프링(22) 및/또는 눌림 축 스프링(26)으로 구성된 스텝 스윙 장치(10)가 포함됨으로써 스프링과 힌지의 스윙 구조로 운전자 답단에 의한 스텝(40)의 흔들림을 잡아 주고, 특히 둔턱 및 경사로 주행 시 스텝(40)에 의한 간섭 방지로 차량 진입성을 향상하면서도 스텝 스윙 장치(10)의 상황별 선택적인 회전으로 접근경사각(Approach angle)을 초과하는 외부 물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특징이 구현된다.

Description

경사식 스윙 스텝 및 트럭{Inclined Type Swing Step and Truck Thereof}
본 발명은 트럭의 스윙 스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 답단 시 스텝이 흔들림 없는 답단 고정력을 가지면서도 스텝에 대한 선택적인 회전으로 접근경사라인(Approach angle line)의 안쪽에 위치되는 경사식 스윙 스텝이 적용된 트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은 도어의 아래쪽에서 타이어의 상부측을 감싸는 가니쉬 부위로 다단 구조의 스텝(Step)을 구비함으로써 운전자 및 승객이 지면으로부터 높게 형성된 캐빈(Cabin)에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상기 스텝(Step)은 고정 스텝 및 스윙 스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식 스텝은 가니쉬 부위에 다수의 스텝(즉, 발판)를 고정하여 구조적 단순함으로 덤프 및 일반 트럭에 적용된다. 반면 상기 스윙 스텝은 힌지/스프링 구조로 지지되어 회동 가능한 스텝 플레이트를 적용함으로써 고정 스텝 대비 외부 충격에 강한 장점을 갖는 장점이 있다.
미국공개특허 US 2016/0152188(2016.06.02)
하지만, 상기 고정 스텝은 구조가 간단한 반면 타이어 비산물에 의한 오염 및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특히 상기 고정 스텝은 스텝 구조상 답단면인 스텝(즉, 발판)가 트럭의 접근경사라인(Approach angle line) 밖에 위치함으로써 외부 돌출물 등의 충격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다. 여기서 상기 접근경사라인(Approach angle line)은 경사로나 둔턱에 대한 트럭의 헙로 주행 기준이 되는 가상선(Imaginary line)으로서 전륜 타이어의 지면 접촉부에서 지면과 이격된 트럭 전방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경사각을 형성한다.
더구나 상기 고정 스텝은 운전자 승강성 및 최하단 지상고 법규(예, 지면에서 600mm)로 인해 답단면인 스텝(즉, 발판)를 접근경사각(Approach angle)의 안쪽으로 위치시키기가 구조적으로 어려울 수밖에 없다.
또한 상기 스윙 스텝은 답단면인 스텝(즉, 발판)에 대한 고정구조가 없어 운전자 사용 시 상해 우려가 있을 수밖에 없다.
더구나 상기 스윙 스텝은 힌지와 함께 스프링을 적용하여 스텝(즉, 발판)를 지지함으로써 강한 스프링 강도에선 우수한 답단 고정력 대비 외부 충격 흡수가 어렵고 반면 약한 스프링 강도에선 우수한 외부 충격 흡수 대비 운전자 답단 시 스프링 강도 부족에 의한 흔들림을 발생하므로 적정한 스프링 강도 선정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스프링과 힌지를 이용한 스윙 구조로도 스텝을 강한 고정력으로 흔들림을 잡아줌으로써 운전자 답단을 용이하게 하고, 특히 스텝을 일측 경사 상태로 하는 레이아웃으로 바퀴의 앞쪽에서 지면에 대해 형성하는 가상의 접근경사라인(Approach angle line)의 안쪽에 위치시킴으로써 둔턱 및 경사로 주행 시 스텝에 의한 간섭 방지로 차량 진입성을 향상하면서도 접근경사각(Approach angle)을 초과하는 외부 물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경사식 스윙 스텝 및 트럭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윙 스텝은 발판을 형성하는 스텝의 위쪽으로 위치된 스텝 브래킷과 연결된 스윙 서포터, 및 상기 스텝이 상기 스텝 브래킷과 이격된 상태에서 일측 경사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스윙 서포터와 상기 스텝을 연결하는 스윙 암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윙 서포터는 상기 스텝 브래킷의 한쪽에 형성된 힌지 가이드로 결합된 제1 스윙 서포터와 상기 스텝 브래킷의 다른쪽에 형성된 힌지 가이드로 결합된 제2 스윙 서포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윙 암은 상기 제1 스윙 서포터와 연결된 제1 스윙 암과 상기 제2 스윙 서포터와 연결된 제2 스윙 암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스윙 암은 상기 제2 스윙 암 보다 상기 스텝을 위로 들어 올려 상기 스텝이 기울여 지는 상기 일측 경사를 형성해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스윙 서포터는 상기 제1 스윙 암과 연결된 힌지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고, 상기 힌지 축은 상기 힌지 가이드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스토퍼 부시와 제2 스토퍼 부시를 상기 힌지 축의 축부 양쪽으로 구비하며, 상기 제1 스토퍼 부시와 상기 제2 스토퍼 부시는 제한 회전각도 영역으로 상기 힌지 축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스텝에 상기 일측 경사가 형성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스토퍼 부시와 상기 제2 스토퍼 부시의 각각은 상기 힌지 가이드의 내벽면과 접촉하는‘D’단면 형상으로 상기 제한 회전각도 영역을 형성해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스윙 서포터에는 상기 힌지 축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윙 암의 회전으로 스프링 탄성이 발생되는 힌지 축 스프링, 상기 제1 스토퍼 부시와 상기 제2 스토퍼 부시의 각각과 접촉되어 상기 힌지 축과 함께 하방향 이동되는 눌림 축, 및 상기 눌림 축의 하방향 이동에 의한 압축으로 스프링 탄성을 발생시키는 눌림 축 스프링이 더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힌지 축 스프링의 스프링 탄성은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발생되고, 상기 스프링 탄성은 상기 제1 스윙 암에 가해져 상기 스텝의 초기 상태를 일측 경사로 기울어지게 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눌림 축 스프링의 스프링 탄성은 압축 스프링으로 발생되고, 상기 스프링 탄성은 상기 눌림 축을 위로 밀어내어 상기 힌지 축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스윙 서포터는 상기 힌지 가이드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윙 암과 연결되어 회전 중심을 이루는 힌지 축, 상기 힌지 축의 축부 양쪽으로 구비된 제1 회전 부시와 제2 회전 부시, 상기 제1 회전 부시와 상기 제2 회전 부시의 각각과 접촉되어 상기 힌지 축과 함께 하방향 이동되는 눌림 축, 및 상기 눌림 축의 하방향 이동에 의한 압축으로 스프링 탄성을 발생시키는 눌림 축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회전 부시와 상기 제2 회전 부시의 각각은‘O’단면 형상으로 상기 힌지 가이드의 내부공간에서 회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눌림 축 스프링의 스프링 탄성은 압축 스프링으로 발생되고, 상기 스프링 탄성은 상기 눌림 축을 위로 밀어내어 상기 힌지 축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스윙 암과 상기 제2 스윙 암의 각각은 상기 스텝이 밑으로 내려온 상태에서 상기 스텝과 상기 스텝 브래킷의 운전자 답단 공간을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만들어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텝은 일측에 형성된 제1 힌지 보스로 상기 제1 스윙 암과 연결되고, 타측에 형성된 제2 힌지 보스로 상기 제2 스윙 암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힌지 보스와 상기 제1 스윙 암 및 상기 제2 힌지 보스와 상기 제2 스윙 암의 각각은 힌지 핀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힌지 가이드는 상기 제1 스윙 서포터와 상기 제2 스윙 서포터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스텝 브래킷의 사각 모서리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럭은 스텝 브래킷, 상기 스텝 브래킷과 이격되어 운잔자 답단 공간을 형성하는 스텝, 상기 스텝 브래킷과 연결된 스윙 서포터, 및 상기 스텝이 상기 스텝 브래킷과 이격된 상태에서 일측 경사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스윙 서포터와 상기 스텝을 연결하는 스윙 암으로 이루어진 스윙 스텝; 운전석을 이루고, 상기 스텝이 상기 일측 경사로 바퀴의 앞쪽에서 지면에 대해 형성하는 가상의 접근경사라인의 안쪽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텝 브래킷이 장착되는 하부부위를 형성한 캐빈(Cabin)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텝 브래킷은 상기 스윙 서포터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 가이드와 상기 캐빈의 하부부위에 채결되는 고정 플랜지를 갖춘 마운팅 브래킷, 및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 가이드를 가려주는 측면 커버 브래킷으로 구성되며, 상기 힌지 가이드는 상기 스윙 암의 움직임이 상기 스텝의 위/아래 이동과 연동되도록 상기 스윙 서포터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공간을 형성해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캐빈의 하부부위는 바퀴의 위쪽을 감싸는 가니쉬(Garnish)의 연장부위 또는 범퍼의 연장부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트럭에 적용된 경사식 스윙 스텝은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스윙 스텝이 스프링과 힌지를 이용한 스윙 구조이면서 강한 답단 고정력 및 상황별 선택적 회전이 가능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둘째, 답단 상태에서 스텝 플레이트가 강한 답단 고정력으로 흔들라지 않음으로써 운전자 및 승객이 캐빈으로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다. 셋째, 스텝이 접근경사각(Approach angle)을 초과하는 외부 물체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파손에 따른 A/S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넷째, 스텝이 접근경사각(Approach angle)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황별 선택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다섯째, 주행 시 스텝이 접근경사각(Approach angle) 내측에 위치됨으로써 주행 중 만나는 둔턱 및 경사로에서 간섭 발생이 없어 차량 진입성 향상이 가능하다. 여섯째, 스윙 스텝에 대한 운전자 답단 승강성 만족으로 고객 상품성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식 스윙 스텝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식 스윙 스텝에 적용된 스텝 스윙 장치 중 스윙 서포터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텝 스윙 장치 중 스윙 암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식 스윙 스텝에 적용된 스텝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식 스윙 스텝에 적용된 스텝 브래킷의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텝 스윙 장치를 통한 경사식 스윙 스텝이 스윙 서포터에 의해 형성되는 초기 상태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식 스윙 스텝이 적용된 트럭의 예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에 장착된 경사식 스윙 스텝이 외부 충격을 받아 스텝 스윙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텝 스윙 장치가 충격 흡수 후 초기 상태로 복귀되는 작동 상태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럭으로 운전자 답단 시 스텝에 가해진 답단력에 의한 스텝 스윙 장치의 작동 중 상태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텝을 이용한 운전자 답단 중 스텝 스윙 장치의 작동 후 상태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텝의 답단력 해제 시 스텝 스윙 장치의 복귀 작동 중 상태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텝 스윙 장치의 복귀 작동 후 스텝이 경사를 갖도록 초기 형상으로 돌아온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스윙 스텝(1)은 스텝 스윙 장치(10), 스텝(40) 및 스텝 브래킷(5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스텝 스윙 장치(10)는 제1,2 스윙 서포터(20-1,20-2)를 한 쌍으로 하는 스윙 서포터(Swing Supporter)(20)와 제1,2 스윙 암(30-1,30-2)을 한 쌍으로 하는 스윙 암(Swing Arm)(30)으로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제1,2 스윙 서포터(20-1,20-2) 중 제1 스윙 서포터(20-1)는 힌지 축 스프링(22)의 스프링 탄성으로 스텝(40)에 가해진 외부 충격을 흡수/완화시켜 주고, 제1,2 스토퍼 부시(23-1,23-2)는 힌지 축(21)의 회전에 대한 제한 회전각도 영역으로 제1.2 스윙 암(30-1,30-2) 중 제1 스윙 암(30-1)의 회전을 구속해 스텝(40)을 일측 경사 상태로 만들어 주며, 눌림 축 스프링(26)의 스프링 탄성으로 제1 스윙 암(30-1)을 위쪽으로 상승시켜 스텝(40)이 일측 경사 상태를 초기 위치로 유지하도록 한다.
반면 제2 스윙 서포터(20-2)는 제1,2 회전 부시(23-3,23-4)의 회전으로 제1.2 스윙 암(30-1,30-2) 중 제2 스윙 암(30-2)이 제1 스윙 암(30-1)의 회전 움직임과 연동되도록 하며, 눌림 축 스프링(26)의 스프링 탄성으로 제2 스윙 암(30-2)의 상승 움직임과 연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2 스윙 암(30-1,30-2)은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둔 상태에서 제1.2 스윙 암(30-1,30-2) 중 제1 스윙 암(30-1)이 제2 스윙 암(30-2)의 경사각(K)과 동일한 경사각(K)을 갖도록 펼쳐짐으로써 스텝(40)이 내려온 상태에서 스텝(40)과 스텝 브래킷(50)의 간격을 넓혀 스텝(40)을 밟는 운전자 답단이 가능한 공간을 만들어 준다.
즉, 상기 제1 스윙 암(30-1)과 상기 제2 스윙 암(30-2)의 각각은 상기 스텝(40)이 밑으로 내려온 상태에서 스텝(40)과 스텝 브래킷(50)의 운전자 답단 공간을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만들어 준다.
그리고 상기 제1 스윙 서포터(20-1)와 상기 제1 스윙 암(30-1)은 서로 결합되어 스윙 스텝(1)의 앞쪽(즉, 도 9의 트럭(100)의 전방 방향(또는 범퍼(130)쪽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스윙 서포터(20-2)와 상기 제2 스윙 암(30-2)은 서로 결합되어 스윙 스텝(1)의 뒤쪽(즉, 도 9의 트럭(100)의 후방 방향(또는 바퀴(110)쪽 위치))에 위치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는 상기 스텝 스윙 장치(10) 중 스윙 서포터(2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윙 서포터(20)를 구성하는 제1.2 스윙 서포터(20-1,20-2) 중 제1 스윙 서포터(20-1)는 힌지 축(21), 힌지 축 스프링(22), 제1,2 스토퍼 부시(23-1,23-2), 눌림 축(25) 및 눌림 축 스프링(26)으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힌지 축(21)은 원형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스윙 암(30-1)의 하프 보스(32)와 결합되어 제1 스윙 암(30-1)의 회전 움직임을 위한 회전 중심으로 작용한다. 상기 힌지 축 스프링(22)은 힌지 축(21)에 감겨져 스텝(40)에 가해진 외부 충격을 흡수/완화시켜 주는 스프링 탄성을 발생한다.
특히 상기 힌지 축(21)은 스텝 브래킷(50)을 구성하는 마운팅 브래킷(50-1)과 측면 커버 브래킷(50-2) 중 마운팅 브래킷(50-1)에 서로 이격되어 제1 스윙 암(30-1)의 움직임을 위한 개구 공간을 형성해주는 좌/우측의 힌지 가이드(53)로 위치된다.
일례로 상기 제1,2 스토퍼 부시(23-1,23-2)는 제1 스토퍼 부시(23-2)와 제2 스토퍼 부시(23-2)로 구성되고, 스텝(40)이 일측 경사 상태로 접근경사라인(Approach angle line)의 안쪽에 위치되도록 제한된 회전각도 영역을 형성하여 준다. 이 경우 상기 제1 스토퍼 부시(23-2)는 힌지 축(21)의 일측 끝부위로 반면 상기 제2 스토퍼 부시(23-2)는 힌지 축(21)의 타측 끝부위로 결합되고, 서로에 대한 이격 간격으로 제1 스윙 암(30-1)의 하프 보스(32)가 힌지 축(21)과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의 각각은 힌지 축(21)의 회전에 의한 초기 상태일 때, 회전 바디(23A)가 눌림 축 스프링(26)에 의해 위로 올라간 눌림 축(25)과 접촉되지만 직선 면(23B)이 힌지 가이드(53)의 스프링 변형 공간부(53B)에서 나와 축 위치부(53A)의 벽면에 걸려 짐으로써 제1 스윙 암(30-1)은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여 스텝(40) 쪽을 들어 올려 경사 상태로 만들어 준다.
일례로 상기 눌림 축(25)은 제1 스토퍼 부시(23-1)와 제2 스토퍼 부시(23-2)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힌지 축(21)에 의한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의 회전으로 밑으로 눌려진다. 상기 눌림 축 스프링(26)은 눌림 축(25)의 눌림 시 압축된 후 눌림 해제 시 스프링 탄성으로 힌지 축(21)과 제1,2 스토퍼 부시(23-1,23-2)를 위로 올려 초기 상태로 복귀시켜 준다.
특히 상기 눌림 축(25)은 스텝 브래킷(50)을 구성하는 마운팅 브래킷(50-1)과 측면 커버 브래킷(50-2) 중 마운팅 브래킷(50-1)의 좌/우측의 힌지 가이드(53)에 각각 위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축(21)은 힌지 가이드(53)의 개구 반원 형상의 축 위치부(53A)에 위치되며, 상기 눌림 축(25)은 축 위치부(53A)의 하부에서 빈 공간을 형성하는 스프링 변형 공간부(53B)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의 각각은 회전 바디(23A)와 직선 면(23B)을 이용하여 ‘D’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바디(23A)는 힌지 축(21)에 끼워짐으로써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의 각각을 힌지 축(21)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직선 면(23B)은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의 회전으로 힌지 가이드(53)의 축 위치부(53A)에서 나와 스프링 변형 공간부(53B)로 내려와 스프링 변형 공간부(53B)의 벽면과 접촉으로 회전 불가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에 제한된 회전각도 영역을 만들어 준다. 이 경우 상기 제한된 회전각도 영역은 제1.2 스윙 암(30-1,30-2) 중 제1 스윙 암(30-1)을 구속하므로 제1 스윙 암(30-1)의 회전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눌림 축(25)은 눌림 판(25A), 연장로드(25B) 및 돌출 핀(25C)으로 이루어져 “T" 단면 형상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눌림 판(25A)은 사각 평판으로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의 각각은 회전 바디(23A)와 접촉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하방향 가압력을 받고, 상기 연장로드(25B)는 직선 한 또는 원형 로드로 이루어져 힌지 가이드(53)의 스프링 변형 공간부(53B)의 바닥면에 뚫린 홀(53C)을 통해 밑으로 내려가며, 상기 돌출 핀(25C)(도 2 참조)은 눌림 판(25A)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힌지 가이드(53)의 스프링 변형 공간부(53B)에 형성된 슬롯(53D)(도 2 참조)을 따라 이동한다.
특히 상기 돌출 핀(25C)은 스프링 변형 공간부(53B)의 내부 공간에서 눌림 축(25)의 위치를 잡아주지만 연장로드(25B)와 스프링 변형 공간부(53B)의 홀(53C)의 결합을 통해 위치가 잡아지므로 삭제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힌지 축 스프링(22)은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권치부(22A), 하단 접촉부(22B) 및 상단 접촉부(22C)로 구분된다. 이 경우 상기 권치부(22A)는 서로 이격된 두 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하단 접촉부(22B)는 두 부분의 권치부(22A)에서 소정 길이로 나와 제1 스윙 암(30-1)의 암 바디(31)를 탄발지지하며, 상기 상단 접촉부(22C)는 두 부분의 권치부(22A)의 코일 단부를 각각 형성하면서 소정 길이로 나와 스텝 브래킷(50)의 마운팅 브래킷(50-1)과 측면 커버 브래킷(50-2) 중 마운팅 브래킷(50-1)의 브래킷 바디(51)를 탄발지지한다.
반면 상기 눌림 축 스프링(26)은 압축 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윙 서포터(20)를 구성하는 제1.2 스윙 서포터(20-1,20-2) 중 제2 스윙 서포터(20-2)는 힌지 축(21), 제1,2 회전 부시(23-3,23-4), 눌림 축(25) 및 눌림 축 스프링(26)으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힌지 축(21)은 원형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 스윙 암(30-2)의 하프 보스(32)와 결합되어 제2 스윙 암(30-2)의 회전 움직임을 위한 회전 중심으로 작용한다. 상기 눌림 축(25)은 눌림 판(25A), 연장로드(25B) 및 돌출 핀(25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눌림 축 스프링(26)은 압축 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힌지 축(21), 상기 눌림 축(25) 및 상기 눌림 축 스프링(26)은 각각 도 2,3에서 기술한 제1 스윙 서포터(20-1)의 힌지 축(21), 눌림 축(25) 및 눌림 축 스프링(26)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1,2 회전 부시(23-3,23-4)의 각각은 “O"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회전 부시(23-3)는 힌지 축(21)의 일측 끝부위로 반면 제2 회전 부시(23-4)는 힌지 축(21)의 타측 끝부위로 결합되고, 서로에 대한 이격 간격으로 제2 스윙 암(30-2)의 하프 보스(32)가 힌지 축(21)과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2 스윙 서포터(20-2)는 도 2,3에서 기술한 제1 스윙 서포터(20-1) 대비, 상기 제1,2 회전 부시(23-3,23-4)가 “O" 단면 형상인 차이가 있고, 힌지 축 스프링(22)이 적용되지 않는 차이가 있다.
특히 상기 제1,2 회전 부시(23-3,23-4)의 각각은 힌지 축(21)의 회전에 의한 초기 상태에서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의 회전각도 제한과 달리 힌지 가이드(53)에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므로 제2 스윙 암(30-2)은 제1 스윙 암(30-1)은 의 반시계 방향 회전각 대비 시계 방향 회전이 작게 발생되고, 이는 제1 스윙 암(30-1)과 제2 스윙 암(30-2)에 대한 경사각 차이를 가져옴으로써 스텝(40)이 경사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텝 스윙 장치(10) 중 스윙 암(3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 암(30)은 제1 스윙 암(30-1)과 제2 스윙 암(30-2)으로 한 쌍을 이루고, 상기 제1 스윙 암(30-1)과 상기 제2 스윙 암(30-2)의 각각은 암 바디(31), 하프 보스(32), 중공 보스(33) 및 힌지 핀(34)을 동일한 구성요소로 한다.
일례로 상기 암 바디(31)는 소정 길이를 갖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 길이는 제1 스윙 암(30-1)과 제2 스윙 암(30-2)이 밑으로 내려가 펼쳐질 때 스텝(40)과 스텝 브래킷(50)의 간격을 운전자 답단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는 길이이다.
일례로 상기 하프 보스(32)는 암 바디(31)의 일단에서 한쪽이 트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와 제1,2 회전 부시(23-3,23-4)가 형성하는 이격 간격에서 힌지 축(21)과 끼워진다. 상기 중공 보스(33)는 암 바디(31)의 타단에서 중공 단면으로 이루어져 힌지 핀(34)이 끼워진다. 상기 힌지 핀(34)은 원형 로드로 이루어져 중공 보스(33)를 관통해 스텝(40)의 제1 힌지 보스(41-1) 및 제2 힌지 보스(41-2)에 각각 체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스윙 암(30-1)은 하프 보스(32)로 힌지 축(21)에 끼워져 제1 스윙 서포터(20-1)를 구성해 스텝 브래킷(50)의 마운팅 브래킷(50-1)과 결합되고, 힌지 핀(34)으로 제1 힌지 보스(41-1)에 끼워져 스텝(40)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스윙 암(30-2)은 하프 보스(32)로 힌지 축(21)에 끼워져 제2 스윙 서포터(20-2)를 구성해 스텝 브래킷(50)의 마운팅 브래킷(50-1)과 결합되고, 힌지 핀(34)으로 제2 힌지 보스(41-2)에 끼워져 스텝(40)과 결합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스텝(40) 및 스텝 브래킷(5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텝(40)은 소정 크기의 사각 형상 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서 일측에 제1 힌지 보스(41-1)를 타측에 제2 힌지 보스(41-2)를 돌출 형성하며, 그 측면 중 전/후 측면에 상면에서 절곡된 측면 플랜지(43)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스텝(40)은 그 상면에 홈, 리브, 돌기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함으로써 답단 시 미끄럼을 방지하여 준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스텝 브래킷(50)은 힌지 가이드(53)를 이용하여 제1,2 스윙 서포터(20-1,20-2)가 결합되는 마운팅 브래킷(50-1), 힌지 가이드(53)를 가려주도록 마운팅 브래킷(50-1)의 하부부위와 결합되는 측면 커버 브래킷(50-2)으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마운팅 브래킷(50-1)은 소정 크기의 사각 형상 판으로 이루어진 브래킷 바디(51), 브래킷 바디(51)의 하면에서 사각 모서리(또는 사각 귀퉁이) 각각에 형성된 힌지 가이드(53), 및 브래킷 바디(51)의 측면 중 한쪽 측면에 돌출된 고정 플랜지(55)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힌지 가이드(53)는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기술된 축 위치부(53A), 스프링 변형 공간부(53B), 홀(53C) 및 슬롯(53D)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 플랜지(55)는 상대 부품(예, 도 9의 트럭(100)의 가니쉬(Garnish)(120)의 연장부, 범퍼(130)의 연장부, 캐빈(Cabin)(140)의 연장부 중 어느 한 부위)에 볼트 또는 용접 체결됨으로써 상대 부품에 스윙 스텝(1)이 일체화 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측면 커버 브래킷(50-2)은 사각 귀퉁이 각각에 돌출된 커버 레그(57)를 형성한 사각현상 틀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커버 레그(57)의 각각은 힌지 가이드(53)를 형성하는 축 위치부(53A)와 스프링 변형 공간부(53B)의 트여진 공간을 가려 제1.2 스윙 서포터(20-1,20-2)에 대한 오염 원인을 차단함으로써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와 제1,2 회전 부시(23-3,23-4)의 회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상기 스윙 스텝(1)의 초기 상태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텝 스윙 장치(10)는 초기 상태일 때, 도 2 및 도 4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스윙 서포터(20-1)에 의한 제1 스윙 암(30-1)의 경사각이 제2 스윙 서포터(20-2)에 의한 제2 스윙 암(30-2)의 경사각보더 더 크게 형성되어 경사각 차이를 가짐으로써 스텝(40)은 제1 스윙 암(30-1)과 연결된 부위가 제2 스윙 암(30-2)과 연결된 부위보다 더 위로 올라간다.
그러므로 상기 스텝(40)은 일측 경사 상태로 지면에 대한 접근경사라인(Approach angle line)의 안쪽에 위치되는 레이아웃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스윙 스텝(1)은 제한된 회전각도 영역에 의한 상황 맞춤식 회전 동작과 함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한 흔들림 방지가 가능한 스텝(40)이 일측 경사 상태로 접근경사라인(Approach angle line)의 안쪽에 위치되는 경사식 스윙 스텝으로 특징된다.
특히 이러한 경사식 스윙 스텝의 특징은 첫쩨 스텝(40)의 레이아웃은 주행 시 둔턱 및 경사로를 지나갈 때 스텝(40)으로 인한 간섭 방지로 차량 진입성을 크게 향상하고, 둘째 접근경사각(Approach angle)을 초과하는 외부 물체가 가하는 충격으로부터 스텝(40)의 파손 방지로 A/S 비용 감소도 가능하며, 셋째 스텝(40)을 이용한 운전자 답단 승강성 만족으로 고객 상품성 향상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9는 트럭(100)에 장착된 경사식 스윙 스텝(1)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럭(100)은 운전석을 이루는 캐빈(Cabin)(140)의 아래쪽에서 바퀴(110)의 위쪽을 감싸는 가니쉬(Garnish)(120)의 연장부위와 범퍼(130)의 연장부위 사이로 경사식 스윙 스텝(1)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경사식 스윙 스텝(1)은 경사식 스윙 스텝으로, 제1,2 스윙 서포터(20-1,20-2)를 한 쌍으로 하는 스윙 서포터(20)와 제1,2 스윙 암(30-1,30-2)을 한 쌍으로 하는 스윙 암(30)으로 스텝 스윙 장치(10)를 구성하고, 제1,2 스윙 암(30-1,30-2)의 경사각 차이로 일측 경사지도록 된 스텝(40)에 힌지 핀(34)이 체결된 제1,2 힌지 보스(41-1,41-2)를 형성하며, 및 고정 플랜지(55)로 트럭(100)에 스윙 스텝(1)을 장착하는 마운팅 브래킷(50-1)과 측면 커버 브래킷(50-2)로 스텝 브래킷(50)을 구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경사식 스윙 스텝(1)은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트럭(100)에 스윙 스텝(1)이 장착된 상태에서 도 8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스텝(40)이 일측 경사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바퀴(110)의 앞쪽에서 지면에 대한 접근경사라인(Approach angle line)의 안쪽에 위치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1은 트럭(100)에 장착된 경사식 스윙 스텝(1)이 외부 충격을 흡수한 후 초기 상태로 복귀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의 트럭(100)의 주행 중 외부 물체 충격(A)이 스텝(40)에 가해지는 경우를 참조하면, 상기 스텝(40)은 외부 물체 충격(A)으로 상향 밀림 이동력(B)을 받아 위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스윙 암(30-1)은 중공보스(33)로 결합된 힌지 핀(34) 쪽 부위가 스텝(40)과 함께 위쪽으로 이동되면서 하프보스(32)로 결합된 힌지 축(21)에 반시계방향 회전력(C_1)을 가함으로써 제1 스윙 서포터(20-1)의 힌지 축(21)이 회전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힌지 축(21)의 회전은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형성하고, 상기 반시계방향 회전은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의 “D" 형상 중 직선 면(23B)이 힌지 가이드(53)의 축 위치부(53A)의 벽면 상부쪽 부위에 걸려 짐으로써 더 이상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진행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눌림 축(25) 및 상기 눌림 축 스프링(26)은 움직임이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반면 상기 힌지 축 스프링(22)은 스프링 탄성으로 상기 제1 스윙 암(30-1)의 상향 이동을 완충하여 준다. 즉, 상기 힌지 축 스프링(22)의 하단 접촉부(22B)는 위로 올라간 제1 스윙 암(30-1)의 상방 이동량만큼 변형됨으로써 하방향의 힌지 축 스프링 복원력을 발생시켜 준다.
또한 상기 제2 스윙 암(30-2)은 중공보스(33)로 결합된 힌지 핀(34) 쪽 부위가 스텝(40)과 함께 위쪽으로 밀려가는 힘을 받으므로 하프보스(32)로 결합된 힌지 축(21)에 상대적으로 약한 반시계방향 회전력(C_2)을 가해 주고, 상기 반시계방향 회전력(C_2)은 제1,2 회전 부시(23-3,23-3)를 어느 정도 회전시켜 준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 회전 부시(23-3,23-3)가 상대적으로 미비하더라도 어느 정도 회전함으로써 스텝(40)은 제2 스윙 암(30-2)으로부터 저항을 받지 않고 상향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도 11의 스텝(40)에 가해진 외부 물체 충격(A)이 제거된 경우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 축 스프링(22)은 외부 물체 충격(A)이 사라짐으로써 초기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하단 접촉부(22B)를 통해 하방향의 힌지 축 스프링 복원력을 발생하고, 이러한 상기 하방향의 힌지 축 스프링 복원력은 제1 스윙 암(30-1)에 가해진다.
그러면 상기 제1 스윙 암(30-1)은 축 스프링(22)의 하방향의 힌지 축 스프링 복원력으로 밑으로 내려감으로써 하프보스(32)로 결합된 힌지 축(21)에 시계방향 회전력(D_1)을 가하고, 제1 스윙 서포터(20-1)의 힌지 축(21)은 시계방향 회전력(D_1)으로 회전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힌지 축(21)의 회전은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의 시계방향 회전을 형성하고, 상기 시계방향 회전은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의 “D" 형상 중 직선 면(23B)이 힌지 가이드(53)의 축 위치부(53A)의 벽면 하부쪽 부위에 걸려 짐으로써 더 이상의 시계방향 회전이 진행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제1 스윙 암(30-1)은 중공보스(33)로 결합된 힌지 핀(34) 쪽 부위를 통해 스텝(40)에 하방 이동력(E)을 가하고, 상기 스텝(40)은 하방 이동력(E)으로 밑으로 내려감으로써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제2 스윙 암(30-2)은 중공보스(33)로 결합된 힌지 핀(34) 쪽 부위가 스텝(40)과 함께 밑으로 내려가는 힘을 받으므로 하프보스(32)로 결합된 힌지 축(21)에 상대적으로 약한 시계방향 회전력(D_2)을 가해 주고, 상기 시계방향 회전력(D_2)은 제1,2 회전 부시(23-3,23-3)를 어느 정도 회전시켜 준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 회전 부시(23-3,23-3)가 상대적으로 미비하더라도 어느 정도 회전함으로써 스텝(40)은 제2 스윙 암(30-2)으로부터 저항을 받지 않고 하향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눌림 축(25) 및 상기 눌림 축 스프링(26)은 움직임이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5는 운전자 답단 시 스윙 스텝(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스텝(40)은 하방향으로 가해지는 운전자 답단력(F)으로 밑으로 내려간다.
그러면 상기 스텝(40)의 제1 힌지 보스(41-1)는 중공보스(33)로 결합된 힌지 핀(34)을 통해 제1 스윙 암(30-1)을 밑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하프보스(32)로 결합된 힌지 축(21)을 통해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에 시계방향 회전력(G_1)을 가하여 준다. 동시에 상기 스텝(40)의 제2 힌지 보스(41-2)는 중공보스(33)로 결합된 힌지 핀(34)을 통해 제2 스윙 암(30-2)을 밑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하프보스(32)로 결합된 힌지 축(21)을 통해 제1,2 회전 부시(23-3,23-4)에 시계방향 회전력(G_2)을 가하여 준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1,2 스토퍼 부시(23-1,23-2)는 상기 시계방향 회전력(G_1)으로 “D" 형상 중 직선 면(23B)이 힌지 가이드(53)의 축 위치부(53A)와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세워짐으로써 제1,2 스토퍼 부시(23-1,23-2)가 눌림 축(25)을 누르면서 밑으로 내려갈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텝(40)은 밑으로 내려와 스텝 브래킷(50)과 간격을 넓힌 상태가 된다.
이어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스텝(40)은 운전자 답단력(F)의 지속으로 밑으로 내려감으로써 제1,2 스윙 암(30-1,30-2)에 하방 눌림력(H)이 가해지고, 상기 하방 눌림력(H)은 제1,2 스토퍼 부시(23-1,23-2)를 밑으로 내려준다. 이때 상기 제1,2 회전 부시(23-3,23-4)도 상기 하방 눌림력(H)으로 밑으로 내려간다.
그러면 상기 눌림 축(25)은 눌림 판(25A)을 통해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와 접촉된 상태에서 연장로드(25B) 쪽이 힌지 가이드(53)의 스프링 변형 공간부(53B)의 바닥면에 뚫린 홀(53C)을 통해 밑으로 내려가며, 돌출 핀(25C)(도 2 참조)은 눌림 판(25A)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힌지 가이드(53)의 스프링 변형 공간부(53B)에 형성된 슬롯(53D)(도 2 참조)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2 회전 부시(23-3,23-4) 쪽에 구비된 눌림 축(25)도 동일하게 이동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눌림 축 스프링(26)은 눌림 축(25)의 하방 이동량만큼 압축 변형된다. 또한, 상기 힌지 축 스프링(22)의 하단 접촉부(22B)는 밑으로 내려간 제1 스윙 암(30-1)의 하방 이동량만큼 변형됨으로써 상방향의 힌지 축 스프링 복원력을 발생시켜 준다.
그 결과 상기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의 “D" 형상 중 직선 면(23B)이 힌지 가이드(53)의 축 위치부(53A)를 벗어나 스프링 변형 공간부(53B)의 측 벽면에 위치됨으로써 시계방향 회전에 반하는 반시계방향 회전이 방지되고, 이러한 반시계방향 회전의 구속은 제1,2 스윙 암(30-1,30-2) 및 스텝(40)이 초기 상태로 복귀되려는 움직임을 차단하여 준다.
반면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스텝(40)은 상방향으로 올라가는 스텝 복귀력(J)을 받고, 상기 스텝 복귀력(J)은 눌림 축 스프링(26)의 스프링 복원력(I-1)으로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눌림 축 스프링(26)의 스프링 복원력(I-1)은 운전자 답단력(F)의 제거로 눌림 축(25)의 눌림 판(25A)을 위로 밀어내고, 상기 눌림 판(25A)은 제1,2 스토퍼 부시(23-1,23-2)를 위로 밀어냄으로써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의 “D" 형상 중 직선 면(23B)이 힌지 가이드(53)의 스프링 변형 공간부(53B)를 벗어나 축 위치부(53A)와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위치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2 회전 부시(23-3,23-4) 쪽에 구비된 눌림 축(25)도 동일하게 이동된다.
이어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스텝(40)은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스텝 복귀 유지력(L)을 받고, 상기 스텝 복귀 유지력(L)은 힌지 축 스프링(22)의 하단 접촉부(22B)가 발생하는 상방향의 힌지 축 스프링 복원력에 의한 반시계방향 회전력(K_1)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힌지 축 스프링(22)이 가하는 하방향의 힌지 축 스프링 복원력이 제1 스윙 암(30-1)에 가해짐으로써 제1 스윙 암(30-1)의 움직임이 하프보스(32)로 결합된 힌지 축(21)에 반시계방향 회전력(K_1)을 가하고, 제1 스윙 서포터(20-1)의 힌지 축(21)은 반시계방향 회전력(K_1)으로 회전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힌지 축(21)의 회전은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형성하고, 상기 반시계방향 회전은 제1,2 스토퍼 부시(23-1,23-2)의 “D" 형상 중 직선 면(23B)이 힌지 가이드(53)의 축 위치부(53A)의 벽면 상부쪽 부위에 걸려 짐으로써 더 이상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진행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제1 스윙 암(30-1)은 중공보스(33)로 결합된 힌지 핀(34) 쪽 부위를 통해 스텝(40)에 스텝 복귀 유지력(L)을 가하고, 상기 스텝(40)은 스텝 복귀 유지력(L)으로 위로 올라감으로써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제2 스윙 암(30-2)은 중공보스(33)로 결합된 힌지 핀(34) 쪽 부위가 스텝(40)과 함께 위로 올라가는 힘을 받으므로 하프보스(32)로 결합된 힌지 축(21)에 상대적으로 약한 반시계방향 회전력(K_2)을 가해 주고, 상기 반시계방향 회전력(K_2)은 제1,2 회전 부시(23-3,23-3)를 어느 정도 회전시켜 준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 회전 부시(23-3,23-3)가 상대적으로 미비하더라도 어느 정도 회전함으로써 스텝(40)은 제2 스윙 암(30-2)으로부터 저항을 받지 않고 상향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럭(100)에 적용된 경사식 스윙 스텝(1)은 운전석을 이루는 캐빈(Cabin)의 하부부위로 장착된 스텝 브래킷(50), 발판을 위한 스텝(40), 및 상기 스텝(40)을 상기 스텝 브래킷(50)과 이격된 상태에서 일측 경사로 기울여 바퀴(120)의 앞쪽에서 지면에 대해 형성하는 가상의 접근경사라인(Approach angle line)의 안쪽에 위치시켜 주며, 상기 스텝(40)의 하향 이동 후 초기 위치 복귀에 작용하는 스프링 탄성을 발생시키는 힌지 축 스프링(22) 및/또는 눌림 축 스프링(26)으로 구성된 스텝 스윙 장치(10)가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트럭(100)은 경사식 스윙 스텝(1)의 적용을 통해, 스프링과 힌지의 스윙 구조로 운전자 답단에 의한 스텝(40)의 흔들림을 잡아 주고, 특히 둔턱 및 경사로 주행 시 스텝(40)에 의한 간섭 방지로 차량 진입성을 향상하면서도 스텝 스윙 장치(10)의 상황별 선택적인 회전으로 접근경사각(Approach angle)을 초과하는 외부 물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1 : 스윙 스텝
10 : 스텝 스윙 장치 20 : 스윙 서포터(Swing Supporter)
20-1, 20-2 : 제1.2 스윙 서포터 21 : 힌지 축
22 : 힌지 축 스프링 22A : 권치부
22B : 하단 접촉부 22C : 상단 접촉부
23-1,23-2 : 제1,2 스토퍼 부시
23-3,23-4 : 제1,2 회전 부시
23A : 회전 바디 23B : 직선 면
25 : 눌림 축 25A : 눌림 판
25B : 연장로드 25C : 돌출 핀
26 : 눌림 축 스프링
30 : 스윙 암(Swing Arm) 30-1, 30-2 : 제1.2 스윙 암
31 : 암 바디 32 : 하프 보스
33 : 중공 보스 34 : 힌지 핀
40 : 스텝 41-1,41-2 : 제1,2 힌지 보스
43 : 측면 플랜지
50 : 스텝 브래킷 50-1 : 마운팅 브래킷
50-2 : 측면 커버 브래킷
51 : 브래킷 바디 53 : 힌지 가이드
53A : 축 위치부 53B : 스프링 변형 공간부
53C : 홀 53D : 슬롯
55 : 고정 플랜지 57 : 커버 레그
100 : 트럭 110 : 바퀴
120 : 가니쉬(Garnish) 130 : 범퍼
140 : 캐빈(Cabin)

Claims (20)

  1. 발판을 형성하는 스텝의 위쪽으로 위치된 스텝 브래킷과 연결된 스윙 서포터, 및
    상기 스텝이 상기 스텝 브래킷과 이격된 상태에서 일측 경사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스윙 서포터와 상기 스텝을 연결하는 스윙 암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스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윙 서포터는 상기 스텝 브래킷의 한쪽에 형성된 힌지 가이드로 결합된 제1 스윙 서포터와 상기 스텝 브래킷의 다른쪽에 형성된 힌지 가이드로 결합된 제2 스윙 서포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스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암은 상기 제1 스윙 서포터와 연결된 제1 스윙 암과 상기 제2 스윙 서포터와 연결된 제2 스윙 암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스윙 암은 상기 제2 스윙 암 보다 상기 스텝을 위로 들어 올려 상기 스텝이 기울여 지는 상기 일측 경사를 형성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스텝.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윙 서포터는 상기 제1 스윙 암과 연결된 힌지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고, 상기 힌지 축은 상기 힌지 가이드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스토퍼 부시와 제2 스토퍼 부시를 상기 힌지 축의 축부 양쪽으로 구비하며;
    상기 제1 스토퍼 부시와 상기 제2 스토퍼 부시는 제한 회전각도 영역으로 상기 힌지 축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스텝에 상기 일측 경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스텝.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 부시와 상기 제2 스토퍼 부시의 각각은 상기 힌지 가이드의 내벽면과 접촉하는‘D’단면 형상으로 상기 제한 회전각도 영역을 형성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스텝.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윙 서포터에는
    상기 힌지 축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윙 암의 회전으로 스프링 탄성이 발생되는 힌지 축 스프링,
    상기 제1 스토퍼 부시와 상기 제2 스토퍼 부시의 각각과 접촉되어 상기 힌지 축과 함께 하방향 이동되는 눌림 축, 및
    상기 눌림 축의 하방향 이동에 의한 압축으로 스프링 탄성을 발생시키는 눌림 축 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스텝.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힌지 축 스프링의 스프링 탄성은 상기 제1 스윙 암에 가해져 상기 스텝의 초기 상태를 일측 경사로 기울여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스텝.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눌림 축 스프링의 스프링 탄성은 압축 스프링으로 발생되고, 상기 스프링 탄성은 상기 눌림 축을 위로 밀어내어 상기 힌지 축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스텝.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윙 서포터는
    상기 힌지 가이드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윙 암과 연결되어 회전 중심을 이루는 힌지 축,
    상기 힌지 축의 축부 양쪽으로 구비된 제1 회전 부시와 제2 회전 부시,
    상기 제1 회전 부시와 상기 제2 회전 부시의 각각과 접촉되어 상기 힌지 축과 함께 하방향 이동되는 눌림 축, 및
    상기 눌림 축의 하방향 이동에 의한 압축으로 스프링 탄성을 발생시키는 눌림 축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스텝.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부시와 상기 제2 회전 부시의 각각은 ‘O’단면 형상으로 상기 힌지 가이드의 내부공간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스텝.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눌림 축 스프링의 스프링 탄성은 압축 스프링으로 발생되고, 상기 스프링 탄성은 상기 눌림 축을 위로 밀어내어 상기 힌지 축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스텝.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윙 암과 상기 제2 스윙 암의 각각은 상기 스텝이 밑으로 내려온 상태에서 상기 스텝과 상기 스텝 브래킷의 운전자 답단 공간을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만들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스텝.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텝은 일측에 형성된 제1 힌지 보스로 상기 제1 스윙 암과 연결되고, 타측에 형성된 제2 힌지 보스로 상기 제2 스윙 암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힌지 보스와 상기 제1 스윙 암 및 상기 제2 힌지 보스와 상기 제2 스윙 암의 각각은 힌지 핀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스텝.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 가이드는 상기 제1 스윙 서포터와 상기 제2 스윙 서포터가 위쪽 및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스텝.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힌지 가이드는 상기 스텝 브래킷의 사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스텝.
  16. 스텝 브래킷, 상기 스텝 브래킷과 이격되어 운잔자 답단 공간을 형성하는 스텝, 상기 스텝 브래킷과 연결된 스윙 서포터, 및 상기 스텝이 상기 스텝 브래킷과 이격된 상태에서 일측 경사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스윙 서포터와 상기 스텝을 연결하는 스윙 암으로 이루어진 경사식 스윙 스텝;
    운전석을 이루고, 상기 스텝이 상기 일측 경사로 바퀴의 앞쪽에서 지면에 대해 형성하는 접근경사라인(Approach angle line)의 안쪽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텝 브래킷이 장착되는 하부부위를 형성한 캐빈(Cabin)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스텝 브래킷은 상기 스윙 서포터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 가이드와 상기 캐빈(Cabin)의 하부부위에 채결되는 고정 플랜지를 갖춘 마운팅 브래킷, 및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 가이드를 가려주는 측면 커버 브래킷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힌지 가이드는 상기 스윙 암의 움직임이 상기 스텝의 위/아래 이동과 연동되도록 상기 스윙 서포터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공간을 형성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캐빈(Cabin)의 하부부위는 바퀴의 위쪽을 감싸는 가니쉬(Garnish) 의 연장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캐빈(Cabin)의 하부부위는 범퍼의 연장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KR1020200150154A 2020-11-11 2020-11-11 경사식 스윙 스텝 및 트럭 KR20220064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154A KR20220064058A (ko) 2020-11-11 2020-11-11 경사식 스윙 스텝 및 트럭
US17/340,375 US11667242B2 (en) 2020-11-11 2021-06-07 Inclined type swing step and truck thereof
DE102021116251.3A DE102021116251A1 (de) 2020-11-11 2021-06-23 Neigbare schwingstufe und lastkraftwagen mit dieser
CN202110707025.5A CN114537285A (zh) 2020-11-11 2021-06-24 倾斜式摆动踏板和卡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154A KR20220064058A (ko) 2020-11-11 2020-11-11 경사식 스윙 스텝 및 트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058A true KR20220064058A (ko) 2022-05-18

Family

ID=8125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154A KR20220064058A (ko) 2020-11-11 2020-11-11 경사식 스윙 스텝 및 트럭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67242B2 (ko)
KR (1) KR20220064058A (ko)
CN (1) CN114537285A (ko)
DE (1) DE10202111625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52188A1 (en) 2013-07-31 2016-06-02 Oshkosh Corporation Step assembly for a fire truc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2195A (en) * 1953-03-27 1955-02-15 Merrill Marcellus Samuel Swingable step for vehicles
US4053172A (en) * 1975-11-03 1977-10-11 Caterpillar Tractor Co. Step assembly for construction vehicles
US4333547A (en) * 1980-04-01 1982-06-08 Johansson Gustav I Climbing device for vehicles
US5284349A (en) * 1992-11-30 1994-02-08 May-Wes Manufacturing, Inc. Cab step assembly
JP4919144B2 (ja) * 2006-01-18 2012-04-1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乗降用ステップ取付構造
WO2016151729A1 (ja) * 2015-03-23 2016-09-2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昇降ステップ
US9725041B2 (en) * 2015-05-19 2017-08-08 Randy Rinaldi Welding Ltd. Flexible step assembly for vehicles
CN107614798B (zh) * 2015-05-22 2020-10-30 日立建机株式会社 产业用车辆的台阶以及产业用车辆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52188A1 (en) 2013-07-31 2016-06-02 Oshkosh Corporation Step assembly for a fire tru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37285A (zh) 2022-05-27
DE102021116251A1 (de) 2022-05-12
US11667242B2 (en) 2023-06-06
US20220144174A1 (en)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2173B2 (en) Step tailgate and mounting hardware
KR100446231B1 (ko) 시트 슬라이드 장치
US4352502A (en) Support assembly for mud-flaps
KR20220064058A (ko) 경사식 스윙 스텝 및 트럭
JPH08230724A (ja) トラック
JPH07285466A (ja) 自動車のフード構造
JP5102010B2 (ja) 車両用スロープ装置
DE102006009330A1 (de) Standplattform für einen Hubwagen
NL8603203A (nl) Oplegger, alsmede steunvoet voor een oplegger.
JP2604056Y2 (ja) キャブチルト装置
CN219599429U (zh) 用于安装汽车用垫块的装置
KR102581697B1 (ko) 카 케리어의 추락방지장치
KR100448140B1 (ko)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
JP2019152037A (ja) 駐輪装置
JP2924806B2 (ja) キャスタストッパのロック装置
JPH08180Y2 (ja) 貨物自動車用のアコーデオンアーチ
JP7112243B2 (ja) スロープ装置の取付構造
JPH032421Y2 (ko)
US11872916B2 (en) Damper system for suspension of vehicle seat
JP7357895B2 (ja) 手摺および作業台システム
KR20140076402A (ko) 댐핑하중 조절형 미케니컬 액티브 힌지
JP7442981B2 (ja) 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ストッパ装置
KR100360040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전방 이동 락킹장치
KR200313015Y1 (ko) 슬라이드-링크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루프 캐리어
JPH09202186A (ja) トラックの荷台用ステ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