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015Y1 - 슬라이드-링크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루프 캐리어 - Google Patents

슬라이드-링크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루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015Y1
KR200313015Y1 KR20-2003-0003667U KR20030003667U KR200313015Y1 KR 200313015 Y1 KR200313015 Y1 KR 200313015Y1 KR 20030003667 U KR20030003667 U KR 20030003667U KR 200313015 Y1 KR200313015 Y1 KR 200313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slide member
link
disposed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준
Original Assignee
황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태준 filed Critical 황태준
Priority to KR20-2003-0003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0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0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드-링크 장치와 슬라이드-링크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루프 패널에 설치되어 스키장비 및 기타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링크 장치는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와 리어 슬라이드 부재(30)가 가이드 레일(10)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와 리어 슬라이드 부재(30)에 제 1 및 제 2 브라켓(40, 50)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40, 50) 사이에 상부링크부재(60)와 하부링크부재(65)이 배치되어 제 1 및 제 2 브라켓(40, 50)에 핀절점 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상부링크부재(60)에 댐퍼 장치(70)의 실린더(71)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링크부재(65)에 댐퍼 장치(70)의 피스톤(73)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링크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루프 캐리어{Slide-link apparatus Roof carrier}
본 고안은 슬라이드-링크 장치와 슬라이드-링크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루프 패널에 설치되어 스키장비 및 기타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와 리어 슬라이드 부재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링크부재에 의해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가 리어 슬라이드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각운동을 하는 슬라이드-링크 장치와, 이와 같이 작동하는 슬라이드-링크 장치를 이용하여 화물을 지지하는 받침 파이프를 차량의 도어 쪽으로 관절과 같이 꺾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스키장비 및 기타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차량의 루프패널에 장착되는 종래의 캐리어는 고정식으로 구성되어, 차고가 높은 차량의 경우, 캐리어에 짐을 싣거나 내리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와 리어 슬라이드 부재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링크부재에 의해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가 리어 슬라이드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각운동을 하는 슬라이드-링크 장치를 이용하여 화물을 지지하는 받침 파이프를 차량의 도어 쪽으로 관절과 같이 꺾어 받침 파이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링크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a 내지 도 1c의 메인 록킹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메인 록킹장치의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a 내지 도 1c의 사이드 보조록킹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슬라이드-링크 장치를 이용한 루프 캐리어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제 1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제 2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가이드 레일 20 :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
30 : 리어 슬라이드 부재 40, 50 : 브라켓
60, 65 : 링크부재 70 : 댐퍼 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루프 캐리어는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링크 장치(1)는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와 리어 슬라이드부재(30)가 가이드 레일(10)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와 리어 슬라이드 부재(30)에 제 1 및 제 2 브라켓(40, 50)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40, 50) 사이에 상부링크부재(60)와 하부링크부재(65)이 배치되어 제 1 및 제 2 브라켓(40, 50)에 핀절점 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상부링크부재(60)에 댐퍼 장치(70)의 실린더(71)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링크부재(65)에 댐퍼 장치(70)의 피스톤(73)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링크 장치(1)는 가이드 레일(10)에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와 리어 슬라이드 부재(30)가 접힌 도 1a의 상태에서 화살표(75) 방향으로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와 리어 슬라이드 부재(30)를 잡아당기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와 리어 슬라이드부재(30)가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하므로서,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가 가이드 레일(10)에서 이탈되고, 리어 슬라이드 부재(30)의 스톱돌기(31)가 가이드 레일(10)의 선단에 배치된 스톱돌기(11)에 부딪쳐 정지되므로서 리어 슬라이드 부재(30)가 가이드 레일(10)의 선단에서 정지한다. 이후,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를 하부로 누르면, 상기 상부링크부재(60)와 하부링크부재(65)가 핀축(41, 51 ; 43, 53)을 중심으로 각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가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부링크부재(60)의 길이와 하부링크부재(70)의 길이가 같고, 제 2 브라켓(50)과 상부 링크부재(60)를 연결하는 핀축(51)과 제2 브라켓(50)과 하부링크부재(53)를 연결하는 핀축(53) 사이의 수평간격(d)이 있는 도 1b의 상태에서 상부링크부재(60)와 하부링크부재(65)가 상기 핀축(51, 53)을 중심으로 각운동을 하여 도 1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링크부재(60)와 하부링크부재(65)의 수평거리(S)가 같아지는 상태에 도달하면, 댐퍼 장치(70)의 피스톤(73)이 실린더(71)로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71) 내의 가스가 압축된다. 이것에 의해,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를 하강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플러저 장치(70)가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에 의해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가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링크 장치(1)는 상부 링크부재(60)와 하부 링크부재(65)의 각운동에 의해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록킹장치(80)를 더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록킹장치(80)는 래칫휠(81 ; rachet wheel)이 제 1 브라켓(40)의 핀축(43)에 장착되며, 상기 래칫휠(81)의 톱니(82)에 걸릴 수 있도록 역전방지쇠(83)가 제 1 브라켓(40)에 장착되고, 상기 역전방지쇠(83)가 와이어(87)에 의해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의 선단에 배치된 레버장치(90)에 연결 된다.
상기 래칫휠(81)은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가 하강에 의해 핀축(4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톱니(82)가 역전방지쇠(83)에 걸리지 않아 자유롭게 회전되지만, 반대의 경우, 톱니(82)가 역전방지쇠(83)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므로서,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의 상승 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를 가이드 레일(10)과 같은 높이로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장치(90)를 이용하여 와이어(87)를 화살표(88) 방향으로 당김으로서, 역전방지쇠(83)를 래칫휠(81)의 톱니(82)에서 분리하여야 한다.
상기 역전방지쇠(83)는 회전축(85)을 중심으로 클로우(84)의 반대편에 스프링(86)이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85)의 하부에 상기 스프링(86)과 반대방향으로 와이어(87)가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와이어(87)가 화살표(88) 방향으로 당겨지면 역전방지쇠(83)의 클로우(84)가 래칫휠(81)의 톱니(82)에서 분리되고 스프링(86)이 인장된다. 또한, 상기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86)의 복원력에 의해 와이어(87)가 화살표(89)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역전방지쇠(83)의 클로우(84)가 래칫휠(81)의 톱니(82)에 걸리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레버장치(90)는 도 1a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가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화살표(99) 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87)가 연결된 샤프트(91)가 상기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91)의 중앙에 걸쇠(92)가 배치되고, 상기 걸쇠(92)가 끼워질 수 있도록 타원형의 록킹홀(97)이 형성된 판스프링(96)이 가이드 레일(10)의 선단 정면에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91)의 일측단에 레버(98)가 장착된다.
상기 걸쇠(92)는 샤프트에 장착된 원통형 바디(95)에 록킹돌기(93)와 가압돌기(94)가 형성되어, 도 1a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록킹돌기(93)가 판스프링(96)의 록킹홀(97)에 걸려 도 1b의 상태로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가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화살표(99) 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1b의 상태로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를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화살표(99) 방향으로 펼치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98)를 화살표(89) 방향으로 당겨, 가압돌기(94)가 판스프링(96)을 하부로 밀어 록킹돌기(93)를 판스프링(96)의 록킹홀(97)에서 분리되어 될 수 있으며,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를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화살표(99) 방향으로 펼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링크 장치(1)는 도 1a와 같이 접혀질 때, 리어 슬라이드 부재(30)가 부딪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이드 레일(10)의 후단에 탄성 스톱퍼(12)가 장착되고, 도 1a의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사이드 보조록킹장치(13)가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의 일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 스톱퍼(12)는 리어 슬라이드 부재(30)와 부딪칠 때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고 스톱퍼(12)가 운행중에 탄성을 가해진 상태로 장착되어 운송하므로 소음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고무 또는 스프링이 내장된 탄성체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 보조록킹장치(13)는 레버(14)의 선단에 록킹돌기(15)가 형성되고, 회전중심핀(16)에 비틀림 스프링(17)이 배치되어, 상기 레버가 회전중심핀(16)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할 수 있다. 즉, 레버(14)가 앞으로 기울어지면, 록킹돌기(15)가 가이드 레일(10)의 선단에 형성된 보조록킹홈(18)에 끼워지고, 사용자가 레버(14)를 누르면 스프링(17)이 압축되면서 록킹돌기(15)가 가이드 레일(10)의 보조록킹홈(18)에서 빠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가 가이드 레일(10)에 완전히 접혀질 때 록킹돌기(15)가 가이드 레일(10)의 보조록킹홈(18)에 끼워지므로서 가이드 레일(10)에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의 접힌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링크 장치를 적용한 본 고안에 따른 루프 캐리어를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루프 캐리어(100)는 차량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루프랙(111, 112)이 루프패널(101)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랙(111, 112)에 제 1 및 제 2 슬라이드-링크 장치(120, 120')가 세로 방향으로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링크 장치(120, 120')에 한쌍의 제 1 및 제 2 커버(140, 150; 140', 150')가 씌워지고, 복수개의 받침 파이프(160)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루프 캐리어(100)는 도 5a의 상태에서 도 5b의 상태로 제 1 및 제 2 슬라이드-링크 장치(120, 120')의 제 2 커버(150, 150')에 의해 커버된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차량의 도어(200) 쪽으로 잡아당긴 후, 도 5c와 같이 받침 파이프(160)을 하부로 회전시킨 후, 받침 파 이프(160)에 하물을 적재할 수 있다. 이후, 메인 록킹장치의 레버(98)를 잡아당겨 록킹을 해제하면, 위에서 설명했던 것과 같이 제 1 및 제 2 슬라이드-링크 장치(120, 120')의 댐퍼 장치(70, 70')에 의해 상부 링크부재(60)와 하부링크부재(65)가 각운동하여 도 5b의 상태로 복귀된 후, 도 5a와 같이 커버(150, 150')에 의해 커버된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가이드 레일(10, 10')로 밀어 넣어 차량의 루프패널(101) 위에 하물을 적재할 수 있다.
제 1 슬라이드-링크 장치(120)의 제 1 커버(140)와 제 2 슬라이드-링크 장치(120')의 제 1 커버(140')의 구성 및 제 1 슬라이드-링크 장치(120)의 제 2 커버(150)와 제 2 슬라이드-링크 장치(120')의 제 1 커버(150')의 구성은 서로 동일하여 어느 하나만을 대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커버(140)는 가이드 레일(10)의 하부를 가로지르는 복수개의 록볼트 바아(141)에 의해 가이드 레일(10)에 고정되고, 상부에 스키를 실을 수 있는 스키 캐리어(142)가 배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커버(150)는 볼트(151)에 의해 상부면이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면에 스키 캐리어(152)가 배치되고, 측면에 사이드 보조록킹장치(13) 및 메인 록킹장치의 레버(98)가 외측면에 배치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링크장치와 이를 적용한 루프 캐리어는 슬라이드-링크장치에 의해 하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 파이프를 차량의 도어 쪽으로 관절과 같이 꺾어 용이하게 하물을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와 리어 슬라이드 부재(30)가 가이드 레일(10)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와 리어 슬라이드 부재(30)에 제 1 및 제 2 브라켓(40, 50)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40, 50) 사이에 상부링크부재(60)와 하부링크부재(65)이 배치되어 제 1 및 제 2 브라켓(40, 50)에 핀절점 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상부링크부재(60)에 댐퍼 장치(70)의 실린더(71)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링크부재(65)에 댐퍼장치(70)의 피스톤(73)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링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슬라이드 부재(30)에 스톱돌기(31)가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10)의 선단에 스톱돌기(11)가 배치되어, 상기 스톱돌기(31)와 가이드 레일(10)의 스톱돌기(11)에 의해 리어 슬라이드 부재(30)가 가이드 레일(10)의 선단에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링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래칫휠(81)이 제 1 브라켓(40)의 핀축(43)에 장착되며, 상기 래칫휠(81)의 톱니(82)에 걸릴 수 있도록 역전방지쇠(83)가 제 1 브라켓(40)에 장착되고, 상기 역전방지쇠(83)가 와이어(87)에 의해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의 선단에 배치된레버장치(90)에 연결되는 메인 록킹장치(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링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장치(90)는 접혀진 상태에서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가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87)가 연결된 샤프트(91)가 상기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91)의 중앙에 걸쇠(92)가 배치되고, 상기 걸쇠(92)가 끼워질 수 있도록 타원형의 록킹홀(97)이 형성된 판스프링(96)이 가이드 레일(10)의 선단 정면에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91)의 일측단에 레버(98)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링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슬라이드 부재(30)가 부딪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이드 레일(10)의 후단에 탄성 스톱퍼(12)가 장착되고,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사이드 보조록킹장치(13)가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2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링크장치.
  6. 차량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루프랙(111, 112)이 루프패널(101)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랙(111, 112)에 제 1 및 제 2 슬라이드-링크 장치(120, 120')가 세로 방향으로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링크 장치(120,120')에 한쌍의 제 1 및 제 2 커버(140, 150; 140', 150')가 씌워지고, 복수개의 받침 파이프(16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140)는 가이드 레일(10)의 하부를 가로지르는 복수개의 록 볼트 바아(141)에 의해 가이드 레일(10)에 고정되고, 상부에 스키를 실을 수 있는 스키 캐리어(14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150)는 볼트(151)에 의해 상부면이 프론트 슬라이드 부재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면에 스키 캐리어(152)가 배치되고, 측면에 사이드 보조록킹장치(13) 및 메인 록킹장치의 레버(98)가 외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캐리어.
KR20-2003-0003667U 2003-02-07 2003-02-07 슬라이드-링크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루프 캐리어 KR200313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667U KR200313015Y1 (ko) 2003-02-07 2003-02-07 슬라이드-링크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루프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667U KR200313015Y1 (ko) 2003-02-07 2003-02-07 슬라이드-링크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루프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015Y1 true KR200313015Y1 (ko) 2003-05-14

Family

ID=4940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667U KR200313015Y1 (ko) 2003-02-07 2003-02-07 슬라이드-링크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루프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0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002B1 (ko) * 2007-05-25 2008-05-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루프캐리어 이송장치
KR101238106B1 (ko) 2006-10-18 2013-02-27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106B1 (ko) 2006-10-18 2013-02-27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0831002B1 (ko) * 2007-05-25 2008-05-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루프캐리어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9853479C2 (de) Fahrzeug mit Sonnendach
US4236854A (en) Portable cargo brace
US6170122B1 (en) Push button device for releasing locking mechanism
WO2010070751A1 (ja) 車両用スロープ装置
JPS6371477A (ja) 常用と緊急用に兼用可能な出入口装置
JP2019516603A (ja) ターポリン構造
WO2012044280A1 (en) Vehicle ladder rack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2102836B1 (ko) 화물용 상하차 장치
US8056782B2 (en) Cross bar of roof carrier for vehicles
EP2144786A1 (en) Tensioning device
KR200313015Y1 (ko) 슬라이드-링크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루프 캐리어
US20060273090A1 (en) Lid device
KR200402088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2139228B1 (ko) 특장차용 발판
KR102491109B1 (ko) 테일게이트 개폐 내구성 시험 장치
KR101417658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및 이를 포함한 자동차용 센터필러
DE202016101826U1 (de) Leiter und Träger mit Haltemechanismen
JP2001276135A (ja) 収納式スライドスロープ
KR100499973B1 (ko) 콘크리트펌프카의 아웃트리거장치
KR20220000069U (ko) 특장차용 사이드 발판
KR101144942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용 핸드레일
JPH0723327Y2 (ja) 鉄道車両用搬送装置
CN212529928U (zh) 转向锁定机构及滑板车
JP4022448B2 (ja) 荷受台昇降装置の荷受台折れ曲がり防止装置
KR100534354B1 (ko) 자동차용 루프캐리어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