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151A - 직동 베어링용 리테이닝 링 및 직동 베어링 - Google Patents

직동 베어링용 리테이닝 링 및 직동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151A
KR20220063151A KR1020227003316A KR20227003316A KR20220063151A KR 20220063151 A KR20220063151 A KR 20220063151A KR 1020227003316 A KR1020227003316 A KR 1020227003316A KR 20227003316 A KR20227003316 A KR 20227003316A KR 20220063151 A KR20220063151 A KR 20220063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outer cylinder
annular plate
retaining ring
annula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5513B1 (ko
Inventor
다이스케 혼다
고우헤이 오카다
히로토 후쿠토메
Original Assignee
히하이스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하이스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하이스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63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8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the bearing body fully encircling the guide rail or track
    • F16C29/068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the bearing body fully encircling the guide rail or track the bearing body encircles a rail or rod of circular cross-section, i.e. the linear bearing is not suited to transmit torque
    • F16C29/0685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the bearing body fully encircling the guide rail or track the bearing body encircles a rail or rod of circular cross-section, i.e. the linear bearing is not suited to transmit torque with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02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 F16C29/0609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the end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where the rolling elements change direction, e.g. end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8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02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 F16C29/0604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the load bearing section
    • F16C29/0607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the load bearing section of parts or members for retaining the rolling elements, i.e. members to prevent the rolling elements from falling out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14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shoe type bearing body, e.g. a body facing one side of the guide rail or track only
    • F16C29/0621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shoe type bearing body, e.g. a body facing one side of the guide rail or track only for supporting load in essentially two directions, e.g. by multiple points of contact or two rows of rolling elements
    • F16C29/062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shoe type bearing body, e.g. a body facing one side of the guide rail or track only for supporting load in essentially two directions, e.g. by multiple points of contact or two rows of rolling elements with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e.g. a carriage or part thereof, provided between the legs of a U-shaped guide rail or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외통의 단부의 내주면에 끼워 넣어지는 합성 수지제 원환판, 그리고, 그 원환판의 외주측면의 바닥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외통의 환상 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불연속인 호상의 후크부를 포함하고, 이 후크부의 내주측에는, 원환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바닥면측에서 개구하는 원환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

Description

직동 베어링용 리테이닝 링 및 직동 베어링
본 발명은 직동 베어링에 장착하는 데 바람직한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 및 이 리테이닝 링이 장착된 직동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축체의 직선 방향의 상대적인 왕복 운동을 안내하는 베어링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직동 베어링 (리니어 베어링이라고도 불린다) 의 대표적인 구성의 예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한 도면에,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직동 베어링의 구성도를 도 1 내지 도 3 으로서 나타낸다. 도 1 은, 직동 베어링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직동 베어링에 축체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 은, 도 1 의 직동 베어링의 축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 직동 베어링 (10) 은, 양 단부의 각각의 근방의 내주측 표면에 원주를 따라서 형성된 홈부 (오목홈) (11a, 11b) 를 구비하는 외통 (11) ; 외통 (11) 의 내부에 장착된, 외주면과 내주면의 각각에 외통 (11)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개구 (슬릿) (12a, 12b) 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구체 유지기 (리테이너라고도 불린다) (12) ; 그리고 구체 유지기 (12) 의 내부에, 외주면과 내주면에 개구 (12a, 12b) 를 개재하여 약간 돌출된 상태에서의 회전 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 유지되어 있는 구체군 (통상적으로는, 복수 개의 강구로 이루어지는 군) (13) 을 포함한다.
외통 (11) 의 양 단부의 각각의 근방의 내주측 표면에 형성된 홈부 (11a, 11b) 에는, 외통 (11) 으로부터의 구체 유지기 (12) 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리테이닝 링 (스냅 링이라고도 불린다) (14a, 14b) 이 장착된다.
또한, 도 3 에 나타낸 단면도에서는, 외통 (11) 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요철이 형성되고, 그리고 구체 유지기 (12) 의 외주면은, 외통 (11) 의 상기 내주면의 형상을 따른 요철을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들 형상은, 구체 유지기 (12) 의 외통 (11) 의 내부에서의 둘레 방향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으로서, 직동 베어링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형상은 아니다.
또, 도 2 에서는, 구체 유지기 (12) 에 수용되어 있는 구체군 중의 서로 인접하는 구체 사이에서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15) 가 삽입되어 있지만, 이 세퍼레이터 (15) 도 또 임의의 부재이다.
직동 베어링 (10) 에 의해서 안내되는 축체 (16) 는, 구체 유지기 (12) 의 내주측에 삽입된다. 그리고, 구체 유지기 (12) 에 수용되어 있는 구체군 (13) 은, 축체 (16) 의 길이 방향에의 상대적인 왕복 운동에 의해서, 구체 유지기 (12) 의 내부에서, 가압 조건 하에 외통 (11) 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구체 순환로 (17) 를 따라서 회전하면서 순환 이동한다.
특허문헌 1 에는, 리테이닝 링은, 금속 재료나 수지 재료 등의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둘레 방향의 일 부분이 절결된 C 자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재라는 기재가 보인다. 그리고, 이 리테이닝 링은, 직동 베어링의 조립에 있어서, 외주 가장자리부에 힘을 가하여 외경이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외통의 단부의 개구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어서 외통의 환상 홈의 내부에 도달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여, 환상 홈의 내부에 수용 배치되는 취지의 설명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87645호
전술한 구성의 직동 베어링에 장착하는 C 자상의 형상 (C 자형) 의 금속 재료제의 리테이닝 링은, 외통으로부터의 구체 유지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효하기 때문에, 현재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있다. 그러나, C 자형의 금속 재료제의 리테이닝 링은, 외통 내에의 장착시에 필요한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는 작업에 있어서, 그 변형에 대해서 강한 저항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 장착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능이 필요해진다. 그리고, 숙련된 기능자라고 해도, 그 장착 작업을 빠르게 (즉, 단시간 내에) 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특히, 최근 들어 수요가 많아진 미소한 직동 베어링의 제조에 필요한 미소한 금속 재료제의 리테이닝 링의 외통 내부에의 장착은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특허문헌 1 에서 언급되어 있는 수지 재료제의 C 자형 리테이닝 링에 관해서는, 외통 내에의 장착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도중에 절단면을 갖는 불연속인 리테이닝 링인 점에서, 장착 후에 있어서, 외통으로부터의 구체 유지기의 탈락 방지 수단으로서의 확실성이나 안정성이 결여된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직동 베어링에 장착하는 리테이닝 링으로서의 수지 재료제의 C 자형 리테이닝 링의 보급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있는 금속 재료제의 C 자형 리테이닝 링, 그리고 이미 제안이 이루어져 있는 합성 수지제의 C 자형 리테이닝 링의 각각이 갖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들 직동 베어링용의 리테이닝 링 대신에, 외통 내부에의 장착이 용이하며, 또한 장착 후에 있어서의 구체 유지기의 확실한 탈락 방지 기능이 실현되는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여 연구를 행하였다. 그리고, 그 연구 결과, 이하에 기재하는 신규한 구조를 갖는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이, 종래 알려져 있는 직동 베어링용의 리테이닝 링이 갖는 문제점 (즉, 과제) 의 해결에 유효한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본 발명은, 첫 번째로,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단부의 내주면에 끼워 넣어지는 합성 수지제 원환판, 그리고, 그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측면의 바닥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상기 외통의 내주측의 단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환상 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불연속인 호상 (弧狀) 의 후크부로 구성되고, 이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후크부의 내주측에는, 그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바닥면측에서 개구하는 원환상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은, 특히, 양 단부의 각각의 근방의 내주측 표면에 원주를 따라서 형성된 환상 홈을 구비하는 외통 ; 이 외통의 내부에 장착된, 외주면과 내주면의 각각에 외통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구체 유지기 ; 그리고 이 구체 유지기 내에, 외주면과 내주면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개재하여 약간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순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 유지되어 있는 구체군을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의 구체 유지기의 외통으로부터의 탈락 방지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의 바람직한 양태를 이하에 기재한다.
(1) 상기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측면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불연속인 호상의 후크부가, 인접하는 후크부의 간격이 균등한 4 개 이상의 짝수 개 (바람직하게는, 6 개, 8 개, 10 개, 12 개) 이다.
(2) 상기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바닥면측에서 개구하는 원환상의 홈이 단면 U 자상의 홈이다.
본 발명은, 두 번째로,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이 장착된 직동 베어링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직동 베어링은, 특히, 양 단부의 각각의 근방의 내주측 표면에 원주를 따라서 형성된 환상 홈을 구비하는 외통 ; 이 외통의 내부에 장착된, 외주면과 내주면의 각각에 외통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구체 유지기 ; 이 구체 유지기 내에, 외주면과 내주면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개재하여 약간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순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 유지되어 있는 구체군 ; 그리고 상기 외통의 단부의 내주면에 끼워 넣어지는 합성 수지제 원환판과, 그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측면의 바닥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상기 외통의 환상 홈에 삽입된 복수의 불연속인 호상의 후크부로 구성되고, 이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후크부의 내주측에는, 그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바닥면측에서 개구하는 원환상 홈이 형성된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을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이다.
본 발명의 직동 베어링의 바람직한 양태를 이하에 기재한다.
(1) 상기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의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측면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불연속인 호상의 후크부가, 인접하는 후크부의 간격이 균등한 4 개 이상의 짝수 개 (바람직하게는, 6 개, 8 개, 10 개, 12 개) 의 후크부이다.
(2) 상기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의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바닥면측에서 개구하는 원환상의 홈이 단면 U 자상의 홈이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은,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단부의 내주면에 끼워 넣어지는 합성 수지제 원환판, 그리고, 그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측면의 바닥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불연속인 호상의 후크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불연속인 호상의 후크부는, 외통의 환상 홈에 삽입되어, 외통과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확실한 걸어 맞춤을 실현한다. 그리고,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후크부의 내주측에는, 그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바닥면측에서 개구하는 원환상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환상 홈의 형성에 의해서, 호상의 후크부는, 그 돌출 방향을 따른 탄성을 갖는 변형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의, 외통의 단부의 내주면에의 끼워 넣기, 그리고 외통의 환상 홈에의 후크부의 삽입이 용이하게, 또한 원활하게 실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이 외통의 양 단부의 내주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직동 베어링은, 그 내주부에 장착된 구체 유지기의 내주측으로 축체가 삽입되고, 그 축체가 격렬한 왕복 운동을 행한 경우여도, 외통 내의 구체 유지기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 은, 리테이닝 링이 장착되어 있는 공지된 직동 베어링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직동 베어링에 축체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직동 베어링의 축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의 평면도 (상면도) 와 측면도 (a), 그리고 바닥면도 (b) 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의 평면도 (a), 그리고 AW-AW 선에서의 단면도 (b), 그리고, 단면도 (b) 의 부분 확대 단면도 (c) 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과, 그 리테이닝 링을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의 각 구성 부품을 나타낸다.
도 8 은,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이 장착된 직동 베어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a) 와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b) 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이 장착된 직동 베어링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직동 베어링에 축체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르는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 그리고 그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이 장착된 본 발명의 직동 베어링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르는 대표적인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 (14) 은, 합성 수지제 원환판 (18), 그리고 합성 수지제 원환판 (18) 의 외주측면의 바닥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불연속인 호상의 후크부 (19) 로 구성되어 있다. 합성 수지제 원환판 (18) 은,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단부의 내주면에 끼워 넣어지고, 그리고 복수의 불연속인 호상의 후크부 (19) 는, 외통의 환상 홈 (도 2 의 11a, 11b) 에 삽입되어, 외통과 합성 수지제 원환판 (18) 의 확실한 걸어 맞춤을 실현하고, 이로써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 (14) 의 직동 베어링의 외통 내부에의 확실한 장착을 실현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 (14) 의 평면도 (상면도) 와 측면도, 그리고 바닥면도를 도 5a 그리고 5b 에 나타낸다. 도 5 에 나타낸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 (14) 은, 합성 수지제 원환판 (18) 에 8 개의 후크부 (19) 가 부설되어 있다. 이 후크부 (19) 는, 모두 동형 (同形) 으로서, 4 개 이상의 짝수 개 (예를 들어, 4 개, 6 개, 8 개, 10 개, 12 개) 가 부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복수 개의 후크부 (19) 는 모두,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 원환판 (18) 의 중심점에 대해서 점 대칭으로 부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의 단면 구조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도 6 에, 평면도 (a), 그리고 AW-AW 선에서의 단면도 (b), 그리고, 단면도 (b) 의 부분 확대 단면도 (c) 를 나타낸다. 이 단면도 (b), 그리고, 부분 확대 단면도 (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 (14) 의 합성 수지제의 원환판 (18) 에 부설되어 있는 복수 개의 후크부 (19) 의 내주측에는, 합성 수지제 원환판 (18) 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바닥면측에서 개구하는 U 자상 단면을 갖는 원환상 홈 (20)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환상 홈 (20) 의 형성에 의해서, 복수 개의 후크부 (19) 의 합성 수지제 원환판 (18) 의 평면 방향을 따른 탄성적인 변형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후크부 (19) 의 탄성적인 변형에 의해서, 외통의 환상 홈 (19a, 19b) 에의 후크부 (19) 의 삽입이 용이해지고, 또 그 환상 홈과 후크부 (19) 의 확실한 걸어 맞춤이 실현된다. 따라서, 직동 베어링의 외통 내에 수용되어 있는 구체 유지기의 외통으로부터의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크부 (19) 는, 그 단면이 도 6(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선단이 잘라내어진 델타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을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의 대표적인 구성 부품을 도 7 에 나타낸다.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동 베어링은, 그 기본 부품으로서, 양 단부의 각각의 근방의 내주측 표면에 원주를 따라서 형성된 환상 홈 (11a) 을 구비하는 외통 (11) ; 외통 (11) 의 내부에 장착되는, 외주면과 내주면의 각각에 외통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구체 유지기 (12) ; 그리고 이 구체 유지기 내 (12) 에, 외주면과 내주면의 각각에 형성된 가늘고 긴 개구를 개재하여 약간 돌출된 상태에서의 회전 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 유지되는 구체군 (13) 을 포함하고, 추가로 외통 (11) 의 환상 홈 (11a) 의 내부에 끼워 넣어지는 복수 개의 후크부 (19) 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 원환체 (18) 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 (14) 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은, 합성 수지의 성형에 의해서 제조된다. 합성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압력이 가해졌을 경우에,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고, 압력의 부하가 없어진 경우에는, 원래의 형상으로 변형될 정도의 탄성을 나타내는 합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페닐렌술파이드 (PPS) 수지, 혹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직동 베어링의 외통은, 일반적으로 금속 재료의 주조에 의해서 제조되지만, 경질의 합성 수지의 성형에 의해서 제조되는 경우도 있다. 또, 구체 유지기는, 통상적으로는 수지 재료의 성형에 의해서 제조되지만, 금속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구체 유지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동 베어링의 내부로 축체가 삽입되고, 그 축체가 직동 베어링에 대해서, 축 방향에서의 반복된 상대적인 왕복 운동을 행하면, 그 축체의 외주면과 외통의 내주면을 따라서 내부의 구체군이 가압 하에 회전하면서 순환 이동함으로써, 직동 베어링의 내주를 따른 축체의 원활한 상대 운동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축체 지지 구체 회전 순환로와, 축체 지지 구체 회전 순환로의 양 단부를 접속하는 구체 귀환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직동 베어링의 구성은 이미 알려져 있고, 그러한 구성의 직동 베어링은, 직동 베어링을 개시하는 각종 문헌에 개시되고, 또 실제로 각종 구성에서 다수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구성의 직동 베어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이 장착된 직동 베어링의 구성의 예를, 도 8 의 부분 단면도 (a) 와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b) 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 (14) 은, 그 합성 수지제 원환판 (18) 을 외통의 단부 내주측에 장착한 후, 강한 힘으로 외통 내로 밀어넣음으로써, 합성 수지제 원환판 (18) 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후크부 (19) 가, 약간 변형 (탄성 변형) 된 후, 외통의 환상 홈 (11a) (혹은 11b) 으로 들어가 걸어 맞추어진다. 그리고, 이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 (14) 의 후크부 (19) 의 외통의 환상 홈 (11a) 과의 걸어 맞춤에 의해서,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 (19) 은, 외통의 내주측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이 장착된 직동 베어링의 사시도를 도 9 에 나타낸다. 도 9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이 장착된 직동 베어링은, 도 1 에 나타낸 일반적인 직동 베어링과 외관에 관해서는 특별히 두드러지게 다른 곳은 없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낸 직동 베어링 (10) 에 축체 (21) 가 삽입된 상태를 단면도로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10 : 직동 베어링
11 : 외통
11a, 11b : 환상 홈
12 : 구체 유지구
13 : 구체
14a, 14b : 리테이닝 링 (금속 재료제)
14 :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닝 링
18 : 합성 수지제 원환판
19 :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의 후크부
20 :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의 원환상 홈
21 : 축체

Claims (7)

  1. 직동 베어링의 외통의 단부의 내주면에 끼워 넣어지는 합성 수지제 원환판, 그리고, 그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측면의 바닥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상기 외통의 내주측의 단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환상 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불연속인 호상의 후크부로 구성되고, 이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후크부의 내주측에는, 그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바닥면측에서 개구하는 원환상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동 베어링이, 양 단부의 각각의 근방의 내주측 표면에 원주를 따라서 형성된 환상 홈을 구비하는 외통 ; 이 외통의 내부에 장착된, 외주면과 내주면의 각각에 외통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구체 유지기 ; 그리고 이 구체 유지기 내에, 외주면과 내주면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개재하여 약간 돌출된 상태에의 회전하면서 순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 유지되어 있는 구체군을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인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
  3.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측면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불연속인 호상의 후크부가, 인접하는 후크부의 간격이 균등한 4 개 이상의 짝수 개의 후크부인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
  4.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바닥면측에서 개구하는 원환상의 홈이 단면 U 자상의 홈인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
  5. 양 단부의 각각의 근방의 내주측 표면에 원주를 따라서 형성된 환상 홈을 구비하는 외통 ; 이 외통의 내부에 장착된, 외주면과 내주면의 각각에 외통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구체 유지기 ; 이 구체 유지기 내에, 외주면과 내주면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개재하여 약간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순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 유지되어 있는 구체군 ; 그리고 상기 외통의 단부의 내주면에 끼워 넣어지는 합성 수지제 원환판과, 그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측면의 바닥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상기 외통의 환상 홈에 삽입된 복수의 불연속인 호상의 후크부로 구성되고, 이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후크부의 내주측에는, 그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바닥면측에서 개구하는 원환상 홈이 형성된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을 포함하는 직동 베어링.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의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측면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불연속인 호상의 후크부가, 인접하는 후크부의 간격이 균등한 4 개 이상의 짝수 개의 후크부인 직동 베어링.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제 리테이닝 링의 합성 수지제 원환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바닥면측에서 개구하는 원환상의 홈이 단면 U 자상의 홈인 직동 베어링.
KR1020227003316A 2019-11-08 2020-10-29 직동 베어링용 리테이닝 링 및 직동 베어링 KR102665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03059 2019-11-08
JPJP-P-2019-203059 2019-11-08
PCT/JP2020/040625 WO2021090757A1 (ja) 2019-11-08 2020-10-29 直動軸受用止め輪及び直動軸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151A true KR20220063151A (ko) 2022-05-17
KR102665513B1 KR102665513B1 (ko) 2024-05-10

Family

ID=7584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316A KR102665513B1 (ko) 2019-11-08 2020-10-29 직동 베어링용 리테이닝 링 및 직동 베어링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92422B2 (ko)
KR (1) KR102665513B1 (ko)
CN (1) CN114127433A (ko)
WO (1) WO20210907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6962B2 (ja) 2020-09-21 2024-03-11 倫文 木原 紫外線カットフィルタ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044A (ko) * 2007-12-17 2009-06-22 셰플러코리아(유)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리테이너 제조 방법
JP2009287645A (ja) 2008-05-28 2009-12-10 Thk Co Ltd 直動軸受
KR20170010920A (ko) * 2015-07-20 2017-02-02 셰플러코리아(유)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KR20180075744A (ko) * 2016-12-26 2018-07-05 셰플러코리아(유) 조립성이 개선된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 그 조립 방법 및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용 케이지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79721A5 (ko) * 1974-12-24 1976-09-15 Borel Denis
CH631244A5 (fr) * 1979-02-26 1982-07-30 Schmid Roost J Sro Kugellagerw Element de guidage a billes axial-rotatif.
JPS5682313U (ko) * 1979-11-30 1981-07-03
JPS6193611U (ko) * 1984-11-26 1986-06-17
JPH01154316U (ko) * 1988-04-18 1989-10-24
DE3910457A1 (de) * 1989-03-31 1990-10-04 Star Gmbh Linearkugelbuechse
JP2981730B2 (ja) * 1997-04-23 1999-11-22 日本ベアリング株式会社 軸受部材
DE102007012647A1 (de) * 2007-03-16 2008-09-25 Ab Skf Linearwälzlager
JP2013155818A (ja) * 2012-01-31 2013-08-15 Hiihaisuto Seiko Kk ハウジング付き直動軸受
JP2013189994A (ja) * 2012-03-12 2013-09-26 Hiihaisuto Seiko Kk 直動軸受および直動装置
JP6393496B2 (ja) * 2014-03-24 2018-09-19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潤滑部材を備えた直動案内ユニット
JP2018138816A (ja) * 2017-02-24 2018-09-06 日本ベアリング株式会社 直線運動装置
JP7125131B2 (ja) 2018-10-11 2022-08-24 ヒーハイスト株式会社 直動軸受用止め輪及び直動軸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044A (ko) * 2007-12-17 2009-06-22 셰플러코리아(유)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리테이너 제조 방법
JP2009287645A (ja) 2008-05-28 2009-12-10 Thk Co Ltd 直動軸受
KR20170010920A (ko) * 2015-07-20 2017-02-02 셰플러코리아(유)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KR20180075744A (ko) * 2016-12-26 2018-07-05 셰플러코리아(유) 조립성이 개선된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 그 조립 방법 및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용 케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5513B1 (ko) 2024-05-10
CN114127433A (zh) 2022-03-01
WO2021090757A1 (ja) 2021-05-14
JP7092422B2 (ja) 2022-06-28
JPWO2021090757A1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28550A1 (en) Bearing apparatus
KR102013084B1 (ko) 원추 롤러 베어링 및 원추 롤러 베어링의 제조 방법
CN111954767B (zh) 球轴承保持架和球轴承
KR20220137079A (ko) 볼 베어링용 관형 유지기 및 볼 베어링
US20170023062A1 (en) Ball Bearing
KR20220063151A (ko) 직동 베어링용 리테이닝 링 및 직동 베어링
US3624815A (en) Ball retainer and bearing
JP5768562B2 (ja) アンギュラ玉軸受用樹脂保持器
CN110462233B (zh) 直动轴承和带有壳体的直动轴承
US2923582A (en) Separator
CN106996421B (zh) 设置有线材和增加的插入部件的滚珠轴承保持架
JPH0979270A (ja) ころ軸受用の合成樹脂製保持器
CN111465774B (zh) 伸缩导轨
JP6197664B2 (ja) ボールねじ
KR200472196Y1 (ko) 스러스트 볼 베어링
JP7125131B2 (ja) 直動軸受用止め輪及び直動軸受
JP4380263B2 (ja) シェル形ころ軸受
CN111868396B (zh) 改进的承窝组件及其制造方法
JPS62233817A (ja) ガイド孔内を縦方向移動可能なロツドを位置固定するためのピン
US20240167511A1 (en) Two-part bearing cage for a rolling bearing
JP2006153200A (ja) ころ軸受用保持器およびころ軸受
US20240167510A1 (en) Two-part bearing cage for a rolling bearing
JP2006161882A (ja) 転がり軸受用保持器
EP3530970A1 (en) Sliding bearing
CN114080512B (zh) 用于蜗杆轴的轴承配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