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227A - 엘리베이터 카 식별 및 추적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 식별 및 추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227A
KR20220062227A KR1020210150710A KR20210150710A KR20220062227A KR 20220062227 A KR20220062227 A KR 20220062227A KR 1020210150710 A KR1020210150710 A KR 1020210150710A KR 20210150710 A KR20210150710 A KR 20210150710A KR 20220062227 A KR20220062227 A KR 20220062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location
identifiers
identifier
in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 아서
구일라니 브래드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22006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66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multiple cars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91For elevator systems with lateral transfers of cars or cabins between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06V10/225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based on a marking or identifier characterising th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7Tandem operation of multiple elevator cars in the sam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복수의 카 식별자, 복수의 위치 식별자,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카 식별자는 엘리베이터 카 중 하나와 관련되고 관련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고유 식별을 제공한다.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선택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선택된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을 제공한다. 제어기는 위치 식별자 중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의 위치에 있는 관련 카 식별자의 적어도 하나의 표시에 기초하여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 식별 및 추적{ELEVATOR CAR IDENTIFICATION AND TRACKING}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예를 들어 건물의 다양한 층 사이에서 승객을 수송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를 따라서 승강장에서 승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승강로 내에서 지지되는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 카는 그 서비스 수명 내내 승강로에 체류한다.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 구성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승강로 내에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고 카들을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엘리베이터 카를 하나의 승강로로부터 다른 승강로로 이동시키는 능력을 포함하는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은 새로운 과제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승강로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를 추적하거나 또는 다른 승강로들 사이를 전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은 단일 카가 단일 승강로에 체류하는 전통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문제가 되지 않았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복수의 카 식별자, 복수의 위치 식별자,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카 식별자는 엘리베이터 카 중 하나와 관련되고 관련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고유 식별을 제공한다.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선택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선택된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을 제공한다. 제어기는 위치 식별자 중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의 위치에 있는 관련 카 식별자의 적어도 하나의 표시에 기초하여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결정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카 식별자 중 하나가 위치 식별자의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카 식별자 중 가까운 카 식별자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제어기에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표시는 카 식별자 중 가까운 카 식별자와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고, 표시는 선택된 위치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카 식별자는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시각적 마킹을 포함하고,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각각의 식별자의 시각적 마킹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광학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광학 디바이스는 판독기, 카메라 또는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시각적 마킹은 이미지, 문자, 바코드, QR 코드, 색상, 또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카 식별자는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장치를 포함한다.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카 식별자 중 하나가 위치 식별자의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카 식별자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적어도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카 식별자 및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대응하는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신호의 양방향 통신을 위해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카 식별자는 위치 식별자 중 가까운 위치 식별자가 카 식별자의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위치 식별자 중 가까운 위치 식별자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카 식별자는 제어기에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표시는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고, 표시는 위치 식별자 중 가까운 위치 식별자의 위치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카 식별자는 카 식별자 중 하나가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카 식별자 중 다른 하나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각각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복수의 승강로, 및 승강로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전환 구역을 포함하고, 위치 식별자의 선택된 위치는 승강로 중 하나와 전환 구역 사이의 전환에 대응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임의의 엘리베이터 카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주차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 구역을 포함하고, 위치 식별자 중 하나의 선택된 위치는 주차 구역에 대응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카 식별자는 시스템 내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카 중 하나와 함께 이동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 중 하나에 각각 지지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위치 식별자의 선택된 위치는 엘리베이터 카가 주행할 수 있는 승강로를 따라서 고정된 위치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엘리베이터 카 중 하나와 각각 관련되어서, 각각의 카 식별자가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고유 식별을 제공하는 복수의 카 식별자,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선택된 위치에 각각 위치되어서, 각각의 위치 식별자가 선택된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을 제공하는 복수의 위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를 추적하는 방법이다. 방법은 카 식별자 중 하나가 위치 식별자 중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카 식별자 중 하나와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표시를 나타내는 단계, 및 수신된 표시 및 위치 식별자 중 하나의 위치의 고유 식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표시의 고유 식별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방법은 위치 식별자 중 하나에 의해, 카 식별자 중 가까운 카 식별자가 위치 식별자의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카 식별자 중 가까운 카 식별자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표시를 나타내는 단계는 위치 식별자 중 하나에 의해 수행된다. 표시를 나타내는 단계는 카 식별자 중 가까운 카 식별자와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표시는 선택된 위치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카 식별자는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시각적 마킹을 포함하고,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각각의 카 식별자의 시각적 마킹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광학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광학 디바이스는 판독기, 카메라 또는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시각적 마킹은 이미지, 문자, 바코드, QR 코드, 색상, 또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카 식별자는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장치를 포함한다.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카 식별자 중 하나가 위치 식별자의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카 식별자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적어도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방법은 카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와 위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양방향 통신은 대응하는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방법은 카 식별자의 하나에 의해, 카 식별자 중 가까운 카 식별자가 위치 식별자의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위치 식별자 중 가까운 위치 식별자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표시를 나타내는 단계는 카 식별자 중 하나에 의해 수행된다. 표시를 나타내는 단계는 위치 식별자 중 가까운 위치 식별자의 위치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표시는 카 식별자 중 하나와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카 식별자는 카 식별자 중 하나가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카 식별자 중 다른 하나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각각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다양한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첨부된 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선택된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선택된 특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22, 24, 26, 28, 3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20)의 선택된 특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배열은 복수의 승강로(32, 34, 36)를 포함한다. 각각의 승강로(32 내지 36)는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엘리베이터 카(22 내지 30)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카(22 내지 30)는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승강로(32 내지 36) 중 선택된 하나를 따라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카(22 내지 30)가 승강로(32 내지 36) 내에서 이동을 위해 지지되는 방식은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20)은, 임의의 엘리베이터 카(22 내지 30)가 승강로(32 내지 36) 중 하나를 빠져나와 승강로(32 내지 36) 중 다른 곳으로 전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환 구역(40)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전환 구역(40)의 각각의 끝은 주차 공간(42, 44)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는 모든 차량보다 적은 수의 차량이 필요한 경우 또는 해당 엘리베이터 카를 보관하거나 유지 보수를 수행할 목적을 위해, 교통량이 적은 상황 동안 주차 공간에 주차될 수 있다. 다른 전환 구역(46)은 승강로(32 내지 36)의 반대쪽 끝 근처에 위치된다. 주차 공간(48, 50)은 전환 구역(46)의 양쪽 끝에 포함된다. 전환 구역(40, 46)은 승강로(32, 34, 36)의 상단과 바닥에서 도시되어 있지만, 전환 구역(40, 46) 및/또는 추가 전환 구역은 승강로(32, 34, 36)의 중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엘리베이터 카(22 내지 30)가 승강로(32 내지 36) 중에서 그리고 그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예시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20)은 엘리베이터 카(22 내지 30)를 식별하고 추적할 수 있는 특징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카 식별자는 각각 엘리베이터 카 중 하나와 관련된다. 카 식별자(52, 54, 56, 58, 60)는 엘리베이터 카(22, 24, 26, 28, 30)와 각각 관련된다. 각각의 카 식별자(52 내지 60)는 관련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고유 식별을 제공한다. 카 식별자(52 내지 60)가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22 내지 30)의 상단 좌측 모서리에서 도시되어 있지만, 카 식별자(52 내지 60)는 엘리베이터 카(22 내지 30) 상의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부 또는 모든 엘리베이터 카(22 내지 30)에 다수의 카 식별자(52 내지 60)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은 선택된 유형의 호출에 특정 카를 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22 내지 30) 중 하나는 VIP 또는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승객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카의 고유 식별은 이러한 카가 유용하거나 필요한 특정 호출에 해당 카를 파견하는 것을 허용한다.
복수의 위치 식별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20) 내의 선택된 위치에 위치된다.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그 위치 식별자가 위치된 선택된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을 제공한다. 위치 식별자(62)는 관련 엘리베이터 카가 주차 공간(42)에 위치될 때 카 식별자와 상호 작용하도록 위치된다. 다른 위치 식별자(64)는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32)와 전환 구역(40) 사이를 전환할 때 카 식별자와 상호 작용하도록 위치된다. 다른 위치 식별자(66)는 승강로(32)의 반대쪽 끝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고, 승강로(32)와 전환 구역(46) 사이를 전환하는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 엘리베이터 카의 카 식별자와 상호 작용하도록 위치된다. 위치 식별자(68)는 주차 공간(48)에 주차된 임의의 엘리베이터 카의 카 식별자와 상호 작용하도록 위치된다.
다른 위치 식별자(70, 72, 74, 76)는 승강로(34, 36)와 전환 구역(40, 46) 사이를 전환할 때 엘리베이터 카가 통과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위치 식별자(70, 72, 74, 76)는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34 또는 36) 중 대응하는 승강로 내로 또는 승강로 밖으로 이동할 때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위치된다. 다른 위치 식별자(78)는 주차 공간(44)에 주차된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 엘리베이터 카의 카 식별자와 상호 작용하도록 위치된다. 위치 식별자(80)는 주차 공간(50)에 주차된 엘리베이터 카(30)의 카 식별자(60)와 상호 작용하도록 위치된다.
시스템 제어기(90)는 위치 식별자 중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의 위치에 있는 관련 카 식별자의 표시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22 내지 30)의 위치를 결정한다. 시스템 제어기(90)는 관련된 위치 식별자 또는 카 식별자로부터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의 위치에 카 식별자가 있다는 표시를 수신한다. 표시는 관련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시스템 제어기(90)는 적어도, 엘리베이터 카(22 내지 30)가 승강로 중 하나(32, 34 또는 36), 전환 구역 중 하나(40 또는 46), 주차 공간 중 하나(42, 44, 48 또는 50)에 있는지를 추적하는 목적을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20)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카(22 내지 30)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이러한 표시를 사용한다. 시스템 제어기(90)는 본 상세한 설명의 범위를 벗어난 다른 정보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현재 위치된 승강장, 또는 승강로(32 내지 36) 중 하나 내의 수직 위치와 같은 엘리베이터 카(22 내지 30)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식별자(80)는 카 식별자(60)가 위치 식별자(80)의 8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전 선택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카 식별자(60)로부터 정보를 획득한다. 카 식별자(60)가 범위(82) 내에 있을 때, 이는 주차 공간(50)에 위치된 엘리베이터 카(30)에 대응한다.
위치 식별자(80)는 정보를 제어기(90)에 제공하도록 제어기(90)와 통신하여, 엘리베이터 카(30)가 주차 공간(50)에 있다는 것을 제어기(90)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위치 식별자(80)로부터의 정보는 적어도 카 식별자(60)로부터 엘리베이터 카(30)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위치 식별자(80)는 또한 그 고유 위치의 표시를 제공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기(90)는, 각각의 위치 식별자의 고유 위치 식별을 관련시키고 그 위치의 표시로서 그 위치 식별자로부터의 임의의 통신을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의 결정된 위치는 관련 카 식별자에 관한 가장 최근의 표시를 제공한 위치 식별자로부터 카가 멀리 이동된 후에 제어기(9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표시는 하나의 승강로로부터 다른 승강로로 이동하는 것과 같이 다른 위치로 이동한 엘리베이터 카에 후속 표시가 대응할 때까지 유효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24)가 최근에 전환 구역(40)으로부터 승강로(34)에 진입했다고 가정하면, 위치 식별자(70)는 카 식별자(54)가 위치 식별자(70)의 범위(82) 내에 있었다는 표시를 제어기(90)에 제공하였을 것이다. 제어기(90)는 카 식별자(54)에 기초한 고유 식별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카(24)가 승강로(34) 내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그 표시를 사용한다. 엘리베이터 카(24)가 전환 구역 중 하나(40 또는 46) 내로 이동하였다는 표시를 위치 식별자 중 하나(70 또는 72)가 제공할 때까지, 제어기(90)는 엘리베이터 카(24)가 승강로(34)에 남아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카 식별자(52 내지 60) 중 하나가 위치 식별자(62 내지 80)의 범위(82) 내에 위치할 때마다, 해당 위치 식별자가 고유 카 식별의 표시를 제어기(90)에 통신하여서, 제어기(90)는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 전환 구역 또는 주차 공간 중 하나에 있는지의 여부를 꾸준히 인지하고 있다.
위치 식별자(62 내지 80)가 카 식별자(52 내지 60) 중 가까운 카 식별자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카 식별자는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시각적 마킹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각각의 카 식별자의 시각적 마킹을 검출하고 제어기(90)에 적절한 대응하는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광학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위치 식별자(62 내지 80)의 광학 디바이스는 판독기, 카메라, 검출기 또는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 식별자(52 내지 60)의 시각적 마킹은 이미지, 문자, 바코드, QR 코드, 색상, 또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 식별자(52 내지 60)의 시각적 마킹은 위치 식별자가 시각적 마킹을 검출하고 이를 제어기(90)에 통신할 때 제어기(90)에게 관련 엘리베이터 카를 고유하게 확인한다.
다른 카 식별자는 마그네틱 스트립과 같이 다양한 검출 가능하거나 판독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위치 식별자는 이러한 매체로부터 카 식별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검출기 또는 판독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카 식별자(52 내지 60)는 관련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장치를 포함한다. 전송된 신호는 예를 들어 자기장, 무선 데이터 신호, 광 또는 소리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위치 식별자(62 내지 80)는 카 식별자 중 하나가 위치 식별자의 사전 결정된 범위(82) 내에 있을 때 카 식별자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적어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카 식별자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RFID 태그, 비콘, 블루투스 송신기, 음향 서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식별자(62 내지 80)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실시형태에서 카 식별자(52 내지 6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정보의 교환은 본질적으로 반대 방향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카 식별자(52 내지 60)는 관련 엘리베이터 카가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를 지나치거나 그 근처에 위치될 때 위치 식별자(62 내지 80)로부터 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카 식별자(52 내지 60)는 카 식별자가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식별자의 위치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시스템 제어기(90)와 통신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위치 식별자는 위에서 설명된 카 식별자의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카 식별자는 위에서 설명된 위치 식별자의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위치 및 카 식별자 정보가 추적되는 통신의 방향 또는 방식은 식별자 구성 요소의 기능에 기초하여, 그리고 특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카 식별자(52 내지 60) 및 위치 식별자(62 내지 80)는 제어기(90)와 통신하여, 카 식별자와 위치 식별자 사이의 상호 작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카 식별자(52 내지 60) 및 각각의 위치 식별자(62 내지 80)는 이것들의 대응하는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신호의 양방향 통신을 위해 구성된다.
어떤 유형의 식별자가 제어기(90)와 통신하는지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카가 특정 승강로, 전환 구역 또는 주차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와 관련된 특정 수준에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시스템(20) 내에서 있는 곳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제어기(9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거나, 제어기와 관련되거나 또는 제어기의 일부인 메모리(92)를 포함한다. 메모리(92)는 적어도 엘리베이터 시스템(20) 내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에 관한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도 2는 카 식별자(52 내지 60)가 위치 식별자(62 내지 80) 및 다른 카 식별자(52 내지 60)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승강로(34) 내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24, 26)를 취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카 식별자(54, 56)는 서로를 인식하고,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기(90)에 통신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카 식별자(54)는 엘리베이터 카(24)의 양쪽 끝에 위치된 통신 디바이스(94)들을 포함한다. 카 식별자(56)는 엘리베이터 카(26)의 양쪽 끝 근처에 있는 통신 디바이스(96)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 상의 카 식별자 또는 관련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디바이스(94, 96)는 위에서 언급된 신호 장치, 검출 또는 통신 디바이스 또는 매체의 임의의 유형을 통합하거나 그 중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배열에서, 카 식별자(54)의 통신 디바이스(94) 중 하나는 엘리베이터 카(24)의 그 위치가 제어기(90)에 통신되도록 위치 식별자(70)에 충분히 가깝다. 엘리베이터 카(26)는 카 식별자(54, 56)가 서로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24 및 26)의 위치의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제어기(90)와 통신하는 방식으로 통신 디바이스(94, 96)가 상호 작용하도록 엘리베이터 카(24)에 충분히 가깝다. 통신 디바이스(94, 96)는 특정 구현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들 사이의 다양한 범위 또는 거리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이러한 유형의 인식은 엘리베이터 카(24, 26)가 승강로(34) 내에서 서로에 대해 예상되는 위치에 있다는 것을 제어기(90)가 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카 사이의 상호 작용 및 식별은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시스템(20) 내의 예상치 못한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에 있는 어떠한 조건도 식별하도록 제어기(90)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하나의 특징은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22 내지 30)의 사용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엘리베이터 카의 서비스 시간, 이동 거리 및 평균 적재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의 일상적인 유지 관리 일정을 잡는데 유용하다.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에 관한 정보는 제어기(90)와 관련된 메모리(92)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는 그 엘리베이터 카에 관한 사용 또는 작동 정보를 포함하는 카 식별자와 관련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관련 카 식별자는 이러한 정보를 제어기(90)에 주기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어기(90)가 업데이트되어야 하는 빈도에 따라, 카 식별자는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임의의 가까운 위치 식별자를 통해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직접 제어기(90)와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정비사와 같은 승인된 개인은 유지 보수가 필요한지의 여부와 어떠한 유형의 유지 보수의 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그 카의 사용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유지 보수 일정을 설정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에 있는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있다.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다수의 카, 다수의 승강로 시스템에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및 사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것은 각각의 카의 위치 또는 고유 특징에 기초하여 특정 호출에 특정 카를 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로,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를 식별하고 추적하며 각각의 카에 관한 정보의 유용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상세한 설명과 일치하는 실시형태는 효율성을 증가시키거나 시스템 작동 파라미터를 충족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카의 계획된 이동을 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가까운 카의 예상 이동에 관한 정보에 액세스하는 카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대안적인 특징으로서 위에서 언급된 변형이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서로 배타적이지 않으며, 개시된 특징의 다양한 조합이 다른 실시형태에서 가능하다.
앞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제한적이기보다는 예시적이다. 본 발명의 본질에서 반드시 벗어나지 않는 개시된 예에 대한 변형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부여된 법적 보호 범위는 다음 청구범위를 연구하는 것에 의해서만 결정될 수 있다.

Claims (20)

  1.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각각의 카 식별자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 중 하나와 관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고유 식별을 제공하는 복수의 카 식별자;
    각각의 위치 식별자가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선택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선택된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을 제공하는 복수의 위치 식별자; 및
    상기 위치 식별자 중 대응하는 위치 식별자의 위치에 있는 관련 카 식별자의 적어도 하나의 표시에 기초하여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상기 카 식별자 중 하나가 상기 위치 식별자의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카 식별자 중 가까운 카 식별자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상기 제어기에 상기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는 상기 카 식별자 중 가까운 카 식별자와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표시는 선택된 위치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 식별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시각적 마킹을 포함하고, 그리고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각각의 식별자의 시각적 마킹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광학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디바이스는 판독기, 카메라 또는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시각적 마킹은 이미지, 문자, 바코드, QR 코드, 색상, 또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 식별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장치를 포함하고, 그리고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상기 카 식별자 중 하나가 상기 위치 식별자의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카 식별자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 식별자 및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대응하는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신호의 양방향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 식별자는 상기 위치 식별자 중 가까운 위치 식별자가 상기 카 식별자의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위치 식별자 중 가까운 위치 식별자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카 식별자는 상기 제어기에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표시는 상기 위치 식별자 중 가까운 위치 식별자의 위치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 식별자는 상기 카 식별자 중 하나가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카 식별자 중 다른 하나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승강로, 및 상기 승강로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전환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식별자의 선택된 위치는 상기 승강로 중 하나와 상기 전환 구역 사이의 전환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임의의 엘리베이터 카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주차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식별자 중 하나의 선택된 위치는 상기 주차 구역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 식별자는 상기 시스템 내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카 중 하나와 함께 이동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 중 하나에 각각 지지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자의 선택된 위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주행할 수 있는 승강로를 따라서 고정된 위치인,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엘리베이터 카 중 하나와 각각 관련되어서, 각각의 카 식별자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고유 식별을 제공하는 복수의 카 식별자,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선택된 위치에 각각 위치되어서, 각각의 위치 식별자가 선택된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을 제공하는 복수의 위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를 추적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카 식별자 중 하나가 상기 위치 식별자 중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카 식별자 중 하나와 관련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표시를 나타내는 단계; 및
    수신된 표시, 및 상기 위치 식별자 중 하나의 위치의 고유 식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표시의 고유 식별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자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카 식별자 중 가까운 카 식별자가 상기 위치 식별자의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카 식별자 중 가까운 카 식별자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를 나타내는 단계는 상기 위치 식별자 중 하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표시를 나타내는 단계는 상기 카 식별자 중 가까운 카 식별자와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표시는 상기 선택된 위치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 식별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시각적 마킹을 포함하고, 그리고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각각의 카 식별자의 시각적 마킹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광학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디바이스는 판독기, 카메라 또는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시각적 마킹은 이미지, 문자, 바코드, QR 코드, 색상, 또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 식별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중 관련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장치를 포함하고, 그리고
    각각의 위치 식별자는 상기 카 식별자 중 하나가 상기 위치 식별자의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카 식별자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위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양방향 통신은 대응하는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 식별자의 하나에 의해, 상기 카 식별자 중 가까운 카 식별자가 상기 위치 식별자의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위치 식별자 중 가까운 위치 식별자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를 나타내는 단계는 상기 카 식별자 중 하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표시를 나타내는 단계는 상기 위치 식별자 중 가까운 위치 식별자의 위치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표시는 상기 카 식별자 중 하나와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식별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카 식별자는 상기 카 식별자 중 하나가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카 식별자 중 다른 하나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방법.
KR1020210150710A 2020-11-07 2021-11-04 엘리베이터 카 식별 및 추적 KR202200622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92,224 US20220144585A1 (en) 2020-11-07 2020-11-07 Elevator car identification and tracking
US17/092,224 2020-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227A true KR20220062227A (ko) 2022-05-16

Family

ID=7850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710A KR20220062227A (ko) 2020-11-07 2021-11-04 엘리베이터 카 식별 및 추적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44585A1 (ko)
EP (1) EP3995427A1 (ko)
KR (1) KR20220062227A (ko)
CN (1) CN114455430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16832A3 (de) * 2004-07-15 2006-07-12 Inventio Ag Auzugsanlage mit mindestens drei nebeneinander angeordneten, vertikalen Aufzugsschächt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Aufzugsanlage
DE102017205353A1 (de) * 2017-03-29 2018-10-04 Thyssenkrupp Ag Aufzuganlage mit mehreren eine Kennung aufweisenden Aufzugkabin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Aufzuganlage
DE102017205354A1 (de) * 2017-03-29 2018-10-04 Thyssenkrupp Ag Mehrkabinenaufzuganlage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ehrkabinenaufzuganlage
US11027944B2 (en) * 2017-09-08 2021-06-08 Otis Elevator Company Climbing elevator transfer system and methods
US20200071126A1 (en) * 2018-08-30 2020-03-05 Otis Elevator Company Determining elevator car location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55430A (zh) 2022-05-10
US20220144585A1 (en) 2022-05-12
EP3995427A1 (en)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38057B (zh) 给用户分配电梯轿厢的方法
KR101554752B1 (ko) 승강기 설비를 사용하기 위해 목적지 호출을 결정하는 방법 및 승강기 설비
CN102414108B (zh) 用于在建筑物中根据位置管理人员的方法
KR100428726B1 (ko)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장치
CN110475737B (zh) 包括多个具有标识符的电梯轿厢的电梯系统和用于运行这种类型的电梯系统的方法
CN105209364A (zh) 在电梯系统中服务乘客特定的目的地呼叫的布置
CN101506078A (zh) 电梯系统
EP3686143B1 (en) Elevator call registration when a car is full
CN111727163B (zh) 用于具有目标呼叫控制器的电梯设备的成本低廉的电梯伺服装置
US7540357B2 (en) Position reference system for elevators
KR20140121500A (ko) 주차유도 시스템
KR20180071458A (ko) 비콘을 이용한 주차 유도 방법 및 시스템
CN110844722A (zh) 基于潜在乘客的邻近度推断的电梯轿厢分配
KR10153354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JP2008143680A (ja) エレベータの誘導案内システム
KR20220062227A (ko) 엘리베이터 카 식별 및 추적
US20210371232A1 (en) Method of configuring an elevator system
CN101549702A (zh) 无线列车控制系统
KR102390752B1 (ko)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EP2348629A2 (en) Absolute position reference system
WO2014033817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EP3882196B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levator-waiting position of robotic passenger
JP2002265154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6658735B2 (ja) 車両誘導システム、車両誘導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830963A (zh) 用于运行无驾驶员的运输系统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