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788A -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788A
KR20220059788A KR1020200145384A KR20200145384A KR20220059788A KR 20220059788 A KR20220059788 A KR 20220059788A KR 1020200145384 A KR1020200145384 A KR 1020200145384A KR 20200145384 A KR20200145384 A KR 20200145384A KR 20220059788 A KR20220059788 A KR 20220059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astening
buffer hole
vehicle
guar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053B1 (ko
Inventor
노명현
김응수
채종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 케이에스아이
철강융합신기술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 케이에스아이, 철강융합신기술연구조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4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0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주부 상에서 회전시 내면에 형성된 마찰돌기가 지주부의 외면과 마찰저항하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외면에서 도로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차량과의 충돌시 일체로 형성된 상기 케이싱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돌출판부; 및, 상기 지주부와 상기 케이싱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가드레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드레일{GUARD RAIL}
본 발명은 충격흡수성능을 향상시킨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노측용 가드레일(방호울타리)은 지반에 삽입하는 지주(1), 지주(1)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보(2),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지주(1)와 가로보(2) 사이에 설치하는 블록아웃(3), 충격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 장치(4)로 구성된다.
도 1의 좌측의 도면을 참조하면, 보조 장치(4)는 지주(1)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주(1)의 내부에 보조 장치(4)를 설치하는 방식과, 도 1의 우측의 도면을 참조하면, 충격 하중에 대한 지반의 수평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주(1)와 지반 사이에 보조 장치(4)를 삽입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기술 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보조 장치(4)는 지주(1)의 강성이나 지반의 수평 반력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대형차가 방호울타리에 충돌 시 방호울타리의 강도 성능을 확보하는 관점에서만 설치하기 때문에 소형차 측면에서는 탑승자의 보호 성능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996-0037969 A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강성을 향상시키고, 충격전달을 완화하여 탑승자 보호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드레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주부 상에서 회전시 내면에 형성된 마찰돌기가 지주부의 외면과 마찰저항하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외면에서 도로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차량과의 충돌시 일체로 형성된 상기 케이싱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돌출판부; 및, 상기 지주부와 상기 케이싱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가드레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싱부는, 상기 지주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싱본체; 및, 상기 케이싱본체의 내면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주부의 외면과 마찰저항하는 마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싱부는, 복수 개의 상기 지주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펜스부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판부는 차량의 주행방향인 제1 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제2 방향으로 1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판부가 도로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1 돌출지점이 상기 펜스부 도로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2 돌출지점 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판부는 평면상에서 'V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개방측의 2개의 선단부가 상기 케이싱부와 접합되면서 상기 케이싱부와 함께 삼각형 형상의 폐단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싱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부가 회전시 상기 체결부와 단면저항을 발생시켜 상기 케이싱부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완충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싱부;상기 케이싱부의 외면에서 도로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차량과의 충돌시 일체로 형성된 상기 케이싱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돌출판부; 상기 지주부와 상기 케이싱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케이싱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부가 회전시 상기 체결부와 단면저항을 발생시켜 상기 케이싱부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완충홀부;를 포함하는 가드레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홀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완충홀이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완충홀은 상기 케이싱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완충홀의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홀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완충홀의 높이가 감소하고, 상기 체결부의 볼트부재의 직경보다 높이가 작은 소직경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홀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완충홀의 높이가 감소하는 사다리꼴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홀부는, 장축방향이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타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축방향의 단부영역에서 상기 체결부의 볼트부재의 직경보다 높이가 작은 소직경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판부의 전면에 설치되고, 빛을 반사시켜 차량의 운행자에게 시인성을 제공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드레일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충격전달을 완화하여 탑승자 보호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드레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드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포함된 케이싱부와 돌출판부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차량이 충돌시 케이싱부와 돌출판부의 회전 전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된 완충홀부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은 지주부(100), 케이싱부(200), 돌출판부(300) 및 체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주부(100)는 도로를 따라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지주부(100)는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고, 챠량 등의 충돌에 의한 충격하중을 지지하고 차량 등이 도로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싱부(200)는 지주부(10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지주부(100) 상에서 회전시 내면에 형성된 마찰돌기(230)가 지주부(100)의 외면과 마찰저항할 수 있다.
케이싱부(200)는 지주부(10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관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지주부(100)의 전체높이의 일부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케이싱부(200)는 지주부(10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지주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강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드레일은 차량 중 대형차가 가드레일에 충돌시에는, 케이싱부(200)가 지주부(10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지주부(100)의 강성을 보강하여 가드레일의 강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케이싱부(200)의 내면에는 지주부(100) 방향으로 복수 개의 마찰돌기(2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케이싱부(200)가 지주부(100)에서 회전시 마찰돌기(230)가 지주부(100)의 외면과 마찰저항하면서 마찰력에 의해 차량의 충격력을 완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돌출판부(300)는 케이싱부(200)의 외면에서 도로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차량과의 충돌시 일체로 형성된 케이싱부(20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돌출판부(300)는 케이싱부(200)의 외면에서 도로측 방향으로 1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드레일은 차량 중 소형차가 가드레일에 충돌시에는, 소형차가 충돌한 돌출판부(300)가 케이싱부(200)와 일체로 회전하고, 케이싱부(200)가 지주부(100)에서 회전시 마찰돌기(230)가 지주부(100)의 외면과 마찰저항하면서 차량의 충격력을 완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체결부(400)는 지주부(100)와 케이싱부(200)를 체결시킬 수 있다.
일례로, 체결부(400)는 지주부(100)와 케이싱부(20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부재(410)와 너트부재(43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싱부(200)는 케이싱본체(210) 및 마찰돌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싱본체(210)는 지주부(10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본체(210)의 내부에는 지주부(100)가 배치되고, 케이싱본체(210)와 지주부(100)를 체결부(400)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케이싱본체(210)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찰돌기(230)는 케이싱본체(210)의 내면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지주부(100)의 외면과 마찰저항할 수 있다.
마찰돌기(230)는 케이싱본체(210)의 내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고, 마찰돌기(230)는 케이싱본체(210)의 내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선형타입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싱부(200)는, 복수 개의 지주부(10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펜스부(E)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펜스부(E)와 지주부(100)의 사이에는 브라켓부(F)가 설치되어 펜스부(E)와 지주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펜스부(E)는 복수 개의 지주부(100)에 걸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챠량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펜스부(E)가 1개일 경우, 케이싱부(200)는 펜스부(E)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펜스부(E)는 복수 개의 지주부(100)를 연결하여 설치되고, 지주부(100)에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주부(100)의 높이방향으로 2개의 펜스부(E)가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고, 케이싱부(200)는 2개의 펜스부(E) 중 최하단의 펜스부(E)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돌출판부(300)는 차량의 주행방향인 제1 방향(D1)과 예각을 이루는 제2 방향(D2)으로 1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챠량의 주행방향인 제1 방향(D1)은 도로를 따라 직선방향일 수 있다.
돌출판부(300)는 케이싱부(200)의 외면에서 도로측으로 제2 방향(D2)으로 1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돌출판부(300)는 제1 방향(D1)과 30 ~ 60 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돌출판부(300)는 제1 방향(D1)과 30 ~ 45 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돌출판부(300)가 도로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1 돌출지점(P1)이 펜스부(E) 도로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2 돌출지점(P2) 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돌출판부(300)가 펜스부(E) 보다 도로방향으로 돌출시, 주행중인 차량에 불필요한 손상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돌출판부(300)가 도로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1 돌출지점(P1)은 펜스부(E)와 지주부(100)의 사이에 설치되는 브라케부(F)가 가장 돌출된 제3 돌출지점(P3) 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돌출판부(300)는 평면상에서 'V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개방측의 2개의 선단부가 케이싱부(200)와 접합되면서 케이싱부(200)와 함께 삼각형 형상의 폐단면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돌출판부(300)는 충격면(310) 및 지지면(330)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면(310)은 차량이 충격하는 부분으로 케이싱부(200)의 외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충격면(310)의 후방을 지지면(330)이 지지할 수 있다.
지지면(330)은 충격면(310)과 함께 'V자형'의 단면을 형성하고, 충격면(310)은 케이싱부(200)의 외면에서 수직하게 접합되는 평판으로 구성되고, 지지면(330)은 만곡진 형상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삼각형 형상의 폐단면공간(S)은 적어도 어느 일측의 변이 만곡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돌출판부(300)에 차량이 충격시 돌출판부(300)와 일체로 형성된 케이싱부(200)가 함께 회전되고, 케이싱부(200)의 내면이 지주부(100)의 외면과 마찰저항하는 힘에 의해 차량의 충격력을 1차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차량이 충격시, 돌출판부(300)와 케이싱부(200)가 접합되면서 폐단면공간(S)으로 돌출판부(300)의 일부가 변형되면서 차량의 충격력을 2차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케이싱부(200)에 관통 형성되고, 케이싱부(200)가 회전시 체결부(400)와 단면저항을 발생시켜 케이싱부(200)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완충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홀부(500)는 케이싱부(20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체결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체결부(400)에 의해 지주부(100)와 케이싱부(2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완충홀부(500)는 체결부(400)와의 단면저항을 제공하여 케이싱부(200)가 지주부(100) 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여 충돌한 차량 등에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이 돌출판부(300)를 충격시, 돌출판부(300)와 일체로 고정된 케이싱부(200)는 지주부(100)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체결부(400)는 완충홀부(500) 상에서 체결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완충홀부(500)는 체결부(400)의 체결위치가 변경되는 과정에서 체결부(400)에 단면저항을 제공하여 케이싱부(200)의 회전을 억제시킴으로써, 돌출판부(300)를 충격하는 차량에 대해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완충홀부(500)는, 케이싱부(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완충홀(510)이 이격하여 형성되고, 복수 개의 완충홀(510)은 케이싱부(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완충홀(510)의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차량의 충격으로 케이싱부(200)가 회전시 체결부(400)의 체결위치는 큰 직경을 가지는 완충홀(510)에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완충홀(510)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차량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케이싱부(200)에는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제1 완충홀(511), 제2 완충홀(512), 제3 완충홀(513)이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완충홀(511)에서 제3 완충홀(513) 방향으로 갈수록 홀의 직경은 작아질 수 있다.
도 5의 좌측의 도면을 참조하면, 체결부(400)는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제1 완충홀(511)에 체결될 수 있다.
도 5의 우측의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이 충격시, 제1 완충홀(511)의 우측부분이 파단되면서 차량의 충격의 일부를 흡수하고, 체결부(400)의 체결위치가 제2 완충홀(512)로 이동한 상태에서 체결부(400)의 볼트부재(410)와 제2 완충홀(512)의 단면저항에 의해 차량의 충격의 일부가 흡수될 수 있다.
이후에도 차량의 충격이 잔존하는 경우에는, 제2 완충홀(512)의 우측부분이 파단되면서 차량의 충격의 일부를 흡수하고, 체결부(400)의 체결위치가 제3 완충홀(513)로 이동한 상태에서 체결부(400)의 볼트부재(410)와 제3 완충홀(513)의 단면저항에 의해 차량의 충격의 일부가 흡수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완충홀부(500)는, 케이싱부(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완충홀(510)의 높이가 감소하고, 체결부(400)의 볼트부재(410)의 직경보다 높이가 작은 소직경영역(530)이 형성될 수 있다.
차량의 충격으로 케이싱부(200)가 회전시 체결부(400)의 체결위치가 소직경영역(530) 방향으로 점점 이동하고, 소직경영역(530)과의 단면저항에 의해 차량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완충홀부(500)는 체결부(400)의 볼트부재(410)의 직경보다 높이가 작은 소직경영역(530)이 존재하고, 체결부(400)가 완충홀부(500)의 소직경영역(530)으로 진입시 완충홀부(500)는 체결부(400)에 단면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케이싱부(200)가 지주부(100) 상에서 회전되는 힘이 제공될 경우, 체결부(400)의 볼트부재(410)는 소직경영역(530)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완충홀부(500)에 의해 체결부(400)로 단면저항이 제공되고, 지주부(100) 상에서 케이싱부(200)가 회전되는 것이 억제되면서 돌출판부(300)에 충돌한 차량 등에 대해 완충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완충홀부(500)는, 케이싱부(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완충홀(510)의 높이가 감소하는 사다리꼴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싱부(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완충홀(510)의 높이가 감소하고, 체결부(400)의 볼트부재(410)의 직경보다 높이가 작은 소직경영역(530)이 형성되는 사다리꼴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완충홀(510)은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홀로 구성될 수 있다.
좌측에 단변이 배치되고, 우측에 장변이 배치되며, 상측과 하측에 각각 빗변이 배치될 수 있다.
완충홀(510)은 케이싱부(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사다리꼴형상의 단변이 배치되고, 케이싱부(200)의 회전방향으로 사다리꼴형상의 장변이 배치될 수 있다.
차량의 충격으로 케이싱부(200)가 회전시 체결부(400)의 체결위치가 사다리꼴 형상의 단변방향으로 점점 이동하고, 사다리꼴 형상의 완충홀부(500)의 종방향 높이가 볼트부재(410)의 직경보다 작아지는 소직경영역(530)에서 단면저항을 형성하면서 차량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완충홀부(500)는, 장축방향이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타원 형상으로 구성되고, 장축방향의 단부영역에서 체결부(400)의 볼트부재(410)의 직경보다 높이가 작은 소직경영역(530)이 형성될 수 있다.
완충홀부(500)는 단축방향이 종방향으로 위치하고, 장축방향이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타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의 충격으로 케이싱부(200)가 회전시 체결부(400)의 체결위치가 타원 형상의 장축방향을 따라 점점 이동하고, 타원 형상의 완충홀부(500)의 종방향 높이가 볼트부재(410)의 직경보다 작아지는 소직경영역(530)에서 단면저항을 형성하면서 차량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은 지주부(100), 케이싱부(200), 돌출판부(300), 체결부(400) 및 완충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레일은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부(100)와, 지주부(10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싱부(200)와, 케이싱부(200)의 외면에서 도로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차량과의 충돌시 일체로 형성된 케이싱부(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돌출판부(300)와, 지주부(100)와 케이싱부(200)를 체결시키는 체결부(400) 및, 케이싱부(200)에 관통 형성되고, 케이싱부(200)가 회전시 체결부(400)와 단면저항을 발생시켜 케이싱부(200)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완충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드레일은 케이싱부(200)가 회전시 체결부(400)와 단면저항에 의해 돌출판부(300)를 충격하는 차량에 대해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드레일은 케이싱부(200)에 지주부(100)의 외면과 마찰저항하는 마찰돌기(23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지주부(100), 케이싱부(200), 돌출판부(300) 및, 체결부(400)를 포함하는 가드레일의 대표실시예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드레일에 포함된 지주부(100), 돌출판부(300), 체결부(400), 완충홀부(50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가스레일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가드레일은 돌출판부(300)의 전면에 설치되고, 빛을 반사시켜 차량의 운행자에게 시인성을 제공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는 돌출판부(300)에 부착되는 반사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지주 2: 가로보
3: 블록아웃 4: 보조 장치
100: 지주부 200: 케이싱부
210: 케이싱본체 230: 마찰돌기
300: 돌출판부 310: 충격면
330: 지지면 400: 체결부
410: 볼트부재 430: 너트부재
500: 완충홀부 510: 완충홀
511: 제1 완충홀 512: 제2 완충홀
513: 제3 완충홀 530: 소직경영역
600: 반사부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E: 펜스부
F: 브라켓부 P1: 제1 돌출지점
P2: 제2 돌출지점 P3: 제3 돌출지점
S: 폐단면공간

Claims (12)

  1.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주부 상에서 회전시 내면에 형성된 마찰돌기가 지주부의 외면과 마찰저항하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외면에서 도로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차량과의 충돌시 일체로 형성된 상기 케이싱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돌출판부; 및,
    상기 지주부와 상기 케이싱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는,
    상기 지주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싱본체; 및,
    상기 케이싱본체의 내면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주부의 외면과 마찰저항하는 마찰돌기;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는,
    복수 개의 상기 지주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펜스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가드레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판부는 차량의 주행방향인 제1 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제2 방향으로 1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판부가 도로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1 돌출지점이 상기 펜스부 도로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2 돌출지점 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가드레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판부는 평면상에서 'V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개방측의 2개의 선단부가 상기 케이싱부와 접합되면서 상기 케이싱부와 함께 삼각형 형상의 폐단면공간을 형성하는 가드레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부가 회전시 상기 체결부와 단면저항을 발생시켜 상기 케이싱부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완충홀부;를 더 포함하는 가드레일.
  7.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외면에서 도로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차량과의 충돌시 일체로 형성된 상기 케이싱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돌출판부;
    상기 지주부와 상기 케이싱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케이싱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부가 회전시 상기 체결부와 단면저항을 발생시켜 상기 케이싱부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완충홀부;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홀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완충홀이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완충홀은 상기 케이싱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완충홀의 직경이 감소하는 가드레일.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홀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완충홀의 높이가 감소하고, 상기 체결부의 볼트부재의 직경보다 높이가 작은 소직경영역이 형성되는 가드레일.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홀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완충홀의 높이가 감소하는 사다리꼴형상으로 구성되는 가드레일.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홀부는,
    장축방향이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타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축방향의 단부영역에서 상기 체결부의 볼트부재의 직경보다 높이가 작은 소직경영역이 형성되는 가드레일.
  12.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판부의 전면에 설치되고, 빛을 반사시켜 차량의 운행자에게 시인성을 제공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가드레일.
KR1020200145384A 2020-11-03 2020-11-03 가드레일 KR102468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384A KR102468053B1 (ko) 2020-11-03 2020-11-03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384A KR102468053B1 (ko) 2020-11-03 2020-11-03 가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788A true KR20220059788A (ko) 2022-05-10
KR102468053B1 KR102468053B1 (ko) 2022-11-17

Family

ID=8159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384A KR102468053B1 (ko) 2020-11-03 2020-11-03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27806A1 (en) * 2020-10-23 2022-04-28 Deck Co., Ltd Safety fence for vehicle prote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969A (ko) 1995-04-13 1996-11-19 윤영호 토목용 가드레일의 연결장치
KR101314875B1 (ko) * 2012-05-26 2013-10-11 이광영 코일 스프링 복원력을 이용한 비상 정지 가드레일
KR101687382B1 (ko) * 2015-08-03 2016-12-16 권오인 탑승자 보호성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969A (ko) 1995-04-13 1996-11-19 윤영호 토목용 가드레일의 연결장치
KR101314875B1 (ko) * 2012-05-26 2013-10-11 이광영 코일 스프링 복원력을 이용한 비상 정지 가드레일
KR101687382B1 (ko) * 2015-08-03 2016-12-16 권오인 탑승자 보호성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27806A1 (en) * 2020-10-23 2022-04-28 Deck Co., Ltd Safety fence for vehicle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053B1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653B1 (ko) 차량방호 울타리의 설치구조
KR20220059788A (ko) 가드레일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AU2006235939A1 (en) Guardrail type road safety barrier
KR100638247B1 (ko) 도로의 곡면 커브길에 설치되는 차량 충격흡수장치
AU2017200567A1 (en) Traffic Barrier Structure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KR200390566Y1 (ko)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KR100692532B1 (ko) 차량 범퍼 충격흡수 조립체
KR20220048795A (ko) 가드레일
KR200281818Y1 (ko) 가드레일의 롤러형 완충장치
KR101118078B1 (ko) 가드레일용 보강부재
KR200263070Y1 (ko) 가드레일용 완충 브라켓
KR100773333B1 (ko) 가드레일용 차량충격 완충장치
KR20070122087A (ko) 도로 설치용 완충장치
KR102534447B1 (ko) 터널용 충격완화장치
KR100804736B1 (ko)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KR100461361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2405808B1 (ko) 충격흡수 및 강성구조를 갖춘 가드레일
KR200327753Y1 (ko) 가드레일용 쿠션부재
JP2010071034A (ja) 道路用防護柵
KR20050064483A (ko) 도로 가드레일의 케이블 장착구조
KR101869058B1 (ko) 상하 비대칭 구조를 갖는 레일을 통한 다단의 충격 흡수 가능한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