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8435A - 센서 장치, 처리 방법,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센서 장치, 처리 방법,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8435A
KR20220058435A KR1020210141451A KR20210141451A KR20220058435A KR 20220058435 A KR20220058435 A KR 20220058435A KR 1020210141451 A KR1020210141451 A KR 1020210141451A KR 20210141451 A KR20210141451 A KR 20210141451A KR 20220058435 A KR20220058435 A KR 20220058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ensor device
unit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스케 사루타
나오후미 쇼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58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4Systems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1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2205/02In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사람을 검지하기 위한 복수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배치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센서 시스템(1000)에 포함되는 센서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10), 사람 검지부(240), 출력부(260)를 적어도 포함한다. 사람 검지부(240)는, 사람을 검지한다. 무선 통신부(2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출력부(260)는, 사람 검지부(240)에 있어서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제 1 정보와, 무선 통신부(210)가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한 제 2 정보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센서 장치, 처리 방법, 기록 매체{SENSOR DEVICE, PRE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A}
본 개시는, 검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 장치, 처리 방법,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람을 검지하는 사람 검지 장치가 알려져 있다. 사람 검지 장치는, 사람을 검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화상 센서를 사용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 2018-32527호 공보
한편, 로컬 측위 시스템(LPS:Local Positioning System)은, 대상 공간과 같이, 특정의 공간(영역) 내에서의 휴대 단말의 위치를 계측한다. LPS에서는, 대상 공간에 복수의 수신기를 배치시키고,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한 휴대 단말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기초로 휴대 단말의 위치를 계측한다. 사람 검지 장치와 LPS는 모두 사람을 검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사람을 검지하기 위한 복수의 시스템을 대상 공간에 있어서 제공하는 경우, 사람 검지 장치와 수신기를 배치시킬 필요가 있고, 배치시키는 기기의 수가 증가한다.
본 개시는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사람을 검지하기 위한 복수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배치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임의의 태양의 센서 장치는, 사람을 검지하는 사람 검지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사람 검지부에 있어서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제 1 정보와, 무선 통신부가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한 제 2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다른 태양은, 처리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사람을 검지하는 단계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단계와, 사람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제 1 정보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한 제 2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또,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본 개시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기록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사이에서 변환한 것도 또한, 본 개시의 태양으로서 유효하다.
본 개시에 의하면, 사람을 검지하기 위한 복수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배치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센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센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3(a)-(b)는, 도 1의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출력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센서 시스템에 의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개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개요를 설명한다. 실시예는, 대상으로 하는 공간에 있어서의 사람을 검지하는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센서 시스템은, 검지 정밀도를 향상하기 위해서, 사람 검지 장치의 기능을 갖고, 또한, LPS의 기능도 갖는다. 사람 검지 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복수의 사람 검지 장치를 대상 공간에 설치할 필요가 있고, LPS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단말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 가능한 복수의 수신기를 대상 공간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대상 공간에는, 복수의 사람 검지 장치와 복수의 수신기가 설치되므로, 대상 공간에 설치되는 기기의 수가 증가한다. 한편, 사람 검지 장치의 기능과 LPS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라도, 기기를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시스템은, 대상 공간에 복수의 센서 장치를 배치한다. 각 센서 장치는, 사람 검지 장치에 있어서의 사람 검지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각 센서 장치는, LPS의 수신기와 같이 단말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수신 기능을 갖는다.
도 1은, 센서 시스템(1000)의 구성을 나타낸다. 센서 시스템(1000)은, 단말 장치(100)로 총칭되는 제 1 단말 장치(100a), 제 2 단말 장치(100b), 센서 장치(200)로 총칭되는 제 1 센서 장치(200a), 제 2 센서 장치(200b), 제 3 센서 장치(200c), GW(GateWay)(300), 네트워크(400), 서버 장치(500)를 포함한다. 서버 장치(500)는, 통신부(510), 처리부(520), 기억부(530)를 포함한다. 센서 시스템(1000)에 포함되는 단말 장치(100)의 수는 「2」로 한정되지 않고, 센서 장치(200)의 수는 「3」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시스템(1000)은, 대상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또, 센서 시스템(1000)은, 대상 공간에 단말 장치(100)를 소지하는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시스템이기도 하다. 즉, 센서 시스템(1000)은, 사람을 검지하기 위한 사람 검지 장치의 측면을 갖고, 또한, 단말 장치(100)를 소지하는 사람의 위치를 특정하는 LPS로서의 측면도 갖는다.
복수의 센서 장치(200)는, 대상 공간에 설치된다. 대상 공간은, 예를 들면, 오피스 빌딩 등의 시설이다. 당해 시설에는, 복수의 방이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각 방의 천정에 1개 이상의 센서 장치(200)가 설치된다. 시설은 오피스 빌딩에 한정되지 않고, 단독 주택, 집합 주택(세대, 공용부), 점포, 빌딩(빌딩 전체, 플로어 내)이어도 좋다. 또, 시설은, 건물만이 아니라, 건물과 그 건물이 존재하는 부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공장이나, 공원, 병원, 상업 시설, 미술관, 박물관, 유희 시설, 테마파크, 공항, 철도역, 돔 구장, 호텔 등이어도 좋다. 복수의 센서 장치(200)는, 서로 다른 식별 정보를 갖는다. 센서 장치(200)의 식별 정보는, 센서 장치(200)가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 등에 기억된다.
센서 장치(200)는, 카메라 등에 의해 대상 공간을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을 기초로 대상 공간에 사람의 존재를 검지한다. 이것은, 좌표 화상에 의한 사람 위치 좌표 검출이라고 할 수 있다. 센서 장치(200)는, 검지 결과를 제 1 정보로서 GW(300)에 송신한다. GW(300)는, 네트워크(400)에 접속되고, 네트워크(400)를 거쳐 서버 장치(500)에 제 1 정보를 송신한다. 네트워크(400)는, 예를 들면, 인터넷이다. 네트워크(400)는, 단일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한 네트워크만이 아니라,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한 복수의 네트워크로 구성되어도 좋다. 통신 프로토콜은, 주지의 여러가지 유선 및 무선 통신 규격 중에서 선택된다.
서버 장치(500)는, 각 센서 장치(200)로부터의 제 1 정보를 수신한다. 서버 장치(500)는, 센서 장치(200)가 설치된 시설의 전기 기기(도시하지 않음)에 네트워크(400), GW(300) 경유로 접속되어도 좋다. 서버 장치(500)는, 전기 기기의 작동을 관리하는 콘트롤러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전기 기기가 LED(Light Emitting Diode)를 갖는 조명 기구인 경우, 서버 장치(500)는, 제 1 정보에 있어서 사람의 검지가 표시되면, 조명 기구를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전기 기기는, 조명 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공조기 등이어도 좋다.
단말 장치(100)는, 사람에게 휴대되는 무선 통신 장치이며,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웨어러블 단말 등의 휴대 단말, 퍼스널 컴퓨터이다. 단말 장치(100)는, LPS에 있어서 사람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사람이 단말 장치(100)를 휴대하고 있다고 하는 전제 하에서, 단말 장치(100)의 위치가 사람의 위치로서 취급된다. 단말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적합한 전파인 무선 신호를 송신 가능하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 Low Energy(이하, 「BLE」라고 함)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BLE로 한정되지 않고, Wi-Fi(등록상표)여도 좋다. 또, 무선 신호는, 예를 들면, 애드버타이즈 신호이다. 애드버타이즈 신호에는, 단말 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센서 장치(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행 가능하고, 단말 장치(100)로부터의 무선 신호, 구체적으로는 페어링되어 있지 않은 단말 장치(100)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수신한다. 센서 장치(200)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측정한다. 센서 장치(200)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의 정보가 포함된 제 2 정보를 GW(300)에 송신한다. 제 2 정보에는, 수신 강도를 측정한 무선 신호의 송신원으로 되는 단말 장치(100)의 식별 정보도 포함된다. GW(300)는, 네트워크(400)를 거쳐 서버 장치(500)에 제 2 정보를 송신한다.
서버 장치(500)는, 각 센서 장치(200)로부터의 제 2 정보를 수신한다. 서버 장치(500)는, 제 2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동일한 단말 장치(100)에 대한 수신 강도의 정보를 수집하고, 복수의 수신 강도의 정보를 기초로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추정한다. 그 때문에, 서버 장치(500)는, 추정한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기초로, 당해 단말 장치(100)를 휴대하는 사람을 검지한다. 이것은, 좌표 LPS에 의한 사람 위치 좌표 검출이라고 할 수 있다. 서버 장치(500)에 있어서의 처리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 2는, 센서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다. 센서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10), 제 2 기억부(220), 촬상부(230), 사람 검지부(240), 제 1 기억부(250), 출력부(260)를 포함한다. 촬상부(230)는, 사람을 촬상 가능한 카메라, 예를 들면, 휘도 변화를 이용하여 사람을 검출하는 가시광선 카메라이다. 촬상부(230)는, 가시광선 카메라로 한정되지 않고, 적외선을 이용한 적외선 카메라 또는 적외선 센서여도 좋다. 촬상부(230)는, 촬상한 화상을 사람 검지부(240)에 출력한다.
사람 검지부(240)는, 촬상부(230)에 있어서 촬상한 화상을 기초로, 화상에 있어서의 대상 공간 내의 사람을 검지한다. 사람 검지부(240)에는, 사람의 형상, 크기 및 움직임 등, 사람의 외관에 관한 정보가 미리 기억된다. 사람 검지부(240)는, 촬상부(230)에 있어서 촬상한 화상과, 미리 기억된 사람의 외관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정한다. 또, 사람 검지부(240)는, 화상에 있어서의 대상 공간이 복수의 영역에 의해 구분되어 있는 경우, 방 안의 사람이 복수의 영역 가운데 어느 영역에 있는지를 판정해도 좋다. 검지에는, 예를 들면, 배경 차분 방식이 사용되고, 검지한 사람의 이동/정지 상태가 판별되는 것과 동시에, 검지한 사람의 발밑의 위치 좌표가 추정된다.
사람 검지부(240)에 있어서의 검지 결과는, tag, ID, ID Motion, bottom_x, bottom_y에 의해 나타난다. tag는 검지에 사용한 프레임의 종류이며, 이동 프레임과 정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이다. ID는 프레임의 ID이며, ID Motion는 기초로 된 이동 프레임 ID이며, bottom_x는 발밑의 x 좌표이며, bottom_y는 발밑의 y 좌표이다. 사람 검지부(240)는, tag, ID, ID Motion, bottom_x, bottom_y를 제 1 정보로서 제 1 기억부(250)에 출력한다. 제 1 기억부(250)는, 출력부(260)의 송신 간격이 도래할 때까지, 제 1 정보를 순차 보존한다.
무선 통신부(210)는, 도 1의 단말 장치(100)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행하고, 단말 장치(100)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 BLE가 사용되고, 무선 신호는, 애드버타이즈 신호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선 통신부(21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100msec마다 수신(스캔)한다.
도 3(a)-(b)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포맷을 나타낸다. 도 3(a)는, BLE에 있어서의 애드버타이즈 신호의 포맷을 나타내고, 프리앰블, 주소, PDU 헤더, PDU 페이로드(최대 31바이트), CRC가 순서대로 나열된다. PDU 페이로드에는, AD 구조 1부터 AD 구조 N이 포함된다. AD 구조 1은, Length와 Data를 포함하고, Data는, AD Type와 AD Data를 포함한다. 이러한 신호가 포함되는 값은 도 3(b)와 같이 나타난다. 애드버타이즈 신호에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BD 주소, 메이저, 마이너가 포함된다. UUID는 시스템 공통의 식별 정보이며, 메이저는 큰 그룹 ID이며, 마이너는 작은 그룹 ID이다. 여기서 송신원의 단말 장치(100)의 카테고리로서 복수 종류의 카테고리가 규정되어 있고, 메이저와 마이너는, 송신원의 단말 장치(100)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이다. BD 주소는, 송신원의 단말 장치(100)의 개별 식별 정보이다. 도 2로 돌아온다.
무선 통신부(210)는, 애드버타이즈 신호로부터 UUID, BD 주소, 메이저, 마이너를 추출한다. 또, 무선 통신부(210)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고, 수신 강도의 정보를 생성한다. 수신 강도의 정보는, 예를 들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이다. 무선 통신부(210)는, 취득한 UUID, BD 주소, 메이저, 마이너, RSSI를 제 2 정보로서 제 2 기억부(220)에 출력한다. 제 2 기억부(220)는, 출력부(260)의 송신 간격이 도래할 때까지, 제 2 정보를 순차 보존한다.
출력부(260)는, 유선에 의해 도 1의 GW(300)와의 통신을 실행한다. 또한, 출력부(260)는, GW(300), 네트워크(400)를 거쳐 서버 장치(500)와 통신한다. 여기서, 출력부(260)는, 예를 들면, PoE(Power over Ethernet(등록상표))에 대응하고, 전원 입력부를 겸용한다.
출력부(260)는, 미리 정한 송신 간격마다, 제 1 기억부(250)에 기억한 제 1 정보를 취득하고, 또한, 제 2 기억부(220)에 기억한 제 2 정보를 취득한다. 제 1 정보에 있어서의 tag, ID, ID Motion, bottom_x, bottom_y는, 사람 검지부(240)에 있어서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고, 제 2 정보에 있어서의 UUID, BD 주소, 메이저, 마이너, RSSI는, 무선 통신부(210)가 수신한 무선 신호를 기초로 한 정보이다. 이러한 제 1 정보는, 촬상부(230)에 있어서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의 사람의 유무에 관한 정보라고도 할 수 있다. 출력부(260)는, 송신 간격에 있어서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GW(300)에 송신한다.
도 4는, 출력부(26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포맷을 나타낸다. 프리앰블, 주소, 비컨 1부터 비컨 N, CRC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비컨 1부터 비컨 N은, 다른 타이밍에 있어서 취득된 제 2 정보에 상당한다. 즉, 출력부(260)는, 송신 간격이 도래할 때까지의 제 2 정보를 제 2 기억부(220)에 축적하고, 송신 간격이 도래했을 때에 복수의 제 2 정보를 정리한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신호의 최대치는 1518바이트로 규정되어 있고, 신호에 포함되지 않는 제 2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 2 정보를 복수의 신호로 분할하여 송신한다. 제 1 정보는, 제 2 정보와 동일한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되어도 좋고, 제 2 정보와는 다른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되어도 좋다. 또, 제 1 정보에 대한 송신 간격과 제 2 정보에 대한 송신 간격은, 동일한 값이어도 좋고, 다른 값이어도 좋다.
도 1의 서버 장치(500)의 통신부(510)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특히, 통신부(510)는, 네트워크(400)에 접속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며, 네트워크(400)를 통한 통신을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서버 장치(500)는, 네트워크(400), GW(300)를 통해서 센서 장치(200)와 통신 가능하고, 센서 장치(200)로부터의 제 1 정보, 제 2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부(510)는, 수신한 제 1 정보, 제 2 정보를 처리부(520)에 출력한다.
처리부(520)는, 제 1 정보를 기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기기의 제어를 결정한다. 통신부(510)는, 결정한 제어 내용이 나타난 제어 신호를 통신부(510)로부터 네트워크(400), GW(300) 경유로 전기 기기에 송신한다. 전기 기기는, 제어 신호에 나타난 제어 내용에 따라 동작한다.
기억부(530)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장치이다. 기억부(530)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 등이다. 기억부(530)는, 단말 장치(100)가 대상 공간에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정에 이용되는 판정용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다. 예를 들면, 판정용 정보는, 대상 공간의 정보, 센서 장치(200)의 정보, 단말 장치(100)의 정보를 포함한다. 대상 공간의 정보는, 대상 공간의 크기 및 형상 등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센서 장치(200)의 정보는, 센서 장치(200)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식별 정보), 센서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센서 장치(200)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시설 내에 있어서의 센서 장치(2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이다. 단말 장치(100)의 정보는, 단말 장치(100)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처리부(520)는, 센서 장치(200)의 위치 정보와 제 1 정보의 RSSI를 기초로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추정한다. 센서 장치(200)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시설 내에서의 센서 장치(200)의 좌표 정보이다. 센서 장치(200)에서의 RSSI는, 센서 장치(200)와 단말 장치(100)의 거리의 증가에 대해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센서 장치(200)에 있어서의 RSSI에 의해, 센서 장치(200)로부터의 단말 장치(100)까지의 거리가 추정된다. 처리부(520)는, 기억부(530)에 기억된 센서 장치(200)의 위치 정보로부터, 단말 장치(100)가 존재할 수 있는 범위(일례로서 센서 장치(200)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를 추정한다. 즉, 처리부(520)는, 예를 들면, 센서 장치(200)의 위치 정보(예를 들면, 시설 내에서의 좌표 정보)와 센서 장치(200)에서의 RSSI를 사용하여 측위(여기에서는, 1점 측위)를 행하는 것에 의해 시설 내에서의 단말 장치(100)의 위치(좌표)를 추정한다.
처리부(520)는, 예를 들면, 다른 센서 장치(200)로부터 단말 장치(100)가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구하고, 모든 범위가 중복하는 위치를, 단말 장치(100)의 위치로서 추정해도 좋다. 즉, 처리부(520)는, 예를 들면, 3개의 센서 장치(200) 각각의 좌표 정보와, 이들 3개의 센서 장치(200) 각각에서의 수신 강도의 정보를 이용한 3점 측위에 의해,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추정해도 좋다. 3점 측위의 경우에는, 1점 측위의 경우에 비해, 단말 장치(100)의 위치(좌표)를 보다 고정밀도로 추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점 측위의 경우에는, 센서 장치(200)에 대해서 단말 장치(100)가 존재하고 있는 방위를 추정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00)의 좌표를 추정할 때의 측위는, 3점 측위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2점 측위라도 좋고, 4점 측위라도 좋다. 처리부(520)는, 측위의 결과를 기초로 사람을 검지하고, 검지한 결과를 기초로, 전기 기기를 제어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장치, 시스템, 또는 방법의 주체는,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본 개시에 있어서의 장치, 시스템, 또는 방법의 주체의 기능이 실현된다. 컴퓨터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주된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기능을 실현할 수가 있으면, 그 종류는 상관없다. 프로세서는, 반도체 집적회로(IC), 또는 LSI(Large Scale Integration)를 포함하는 1개 또는 복수의 전자 회로로 구성된다. 복수의 전자 회로는, 1개의 칩에 집적되어도 좋고, 복수의 칩에 마련되어도 좋다. 복수의 칩은 1개의 장치에 집약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장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ROM, 광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비 일시적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도 좋고,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광역 통신망을 거쳐 기록 매체에 공급되어도 좋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센서 시스템(10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센서 시스템(1000)에 의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 1 단말 장치(100a)는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송신한다(S10). 제 1 센서 장치(200a)는, 제 1 단말 장치(100a)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 신호의 수신 강도를 측정한다(S12). 제 2 단말 장치(100b)는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송신한다(S14). 제 1 센서 장치(200a)는, 제 2 단말 장치(100b)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 신호의 수신 강도를 측정한다(S16). 제 1 센서 장치(200a)는 제 2 정보를 서버 장치(500)에 송신한다(S18). 제 1 센서 장치(200a)는 사람 검지를 실행한다(S20). 제 1 센서 장치(200a)는 제 1 정보를 서버 장치(500)에 송신한다(S22).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람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제 1 정보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수신한 무선 신호를 기초로 한 제 2 정보를 출력하므로, 사람을 검지하기 위한 복수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배치시킬 수가 있다. 또, 제 2 정보는, 무선 통신부(210)가 수신한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포함하므로, LPS에 의해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 제 2 정보는, 무선 통신부(210)가 수신한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송신원의 단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므로, 송신원의 단말 장치(100)를 특정할 수 있다.
또, 제 2 정보는, 무선 통신부(210)가 수신한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송신원의 단말 장치(100)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송신원의 단말 장치(100)의 카테고리를 특정할 수 있다. 또, 송신원의 단말 장치(100)의 카테고리로서 복수 종류의 카테고리가 포함되므로, 카테고리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무선 신호는, 페어링되어 있지 않은 송신원의 단말 장치(100)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 신호이므로, 다양한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 제 1 정보는,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의 사람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사람의 유무를 알릴 수가 있다. 또, 출력부(260)는, 전원 입력부를 겸용하므로, 배선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태양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임의의 태양의 센서 장치(200)는, 사람을 검지하는 사람 검지부(24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부(210)와, 사람 검지부(240)에 있어서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제 1 정보와, 무선 통신부(210)가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한 제 2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260)를 구비한다.
출력부(260)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정보는, 무선 통신부(210)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강도를 포함해도 좋다.
출력부(260)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정보는, 무선 통신부(210)가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송신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출력부(260)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정보는, 무선 통신부(210)가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송신원 장치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송신원 장치의 카테고리로서, 복수 종류의 카테고리가 포함된다.
무선 통신부(210)가 수신한 신호에는, 송신원 장치에 있어서 취득된 데이터가 포함되고, 출력부(260)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정보는, 데이터를 기초로 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무선 통신부(210)는, 페어링되어 있지 않은 송신원 장치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수신 가능해도 좋다.
무선 통신부(210)는, 페어링된 송신원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가능해도 좋다.
사람 검지부(240)는, 촬상부(230)를 가져도 좋다. 출력부(260)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정보는, 촬상부(230)에 있어서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의 사람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출력부(260)는, 전원 입력부를 겸용해도 좋다.
출력부(260)는, 제 1 정보보다 제 2 정보를 우선하여 출력해도 좋다.
본 개시의 다른 태양은, 처리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사람을 검지하는 단계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단계와, 사람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제 1 정보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한 제 2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상, 본 개시를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했다. 이 실시예는 예시이며, 그러한 각 구성 요소 혹은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여러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 그러한 변형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센서 장치(200)는,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동시에 또는 따로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260)는, 제 1 정보보다 제 2 정보를 우선하여 출력해도 좋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 1 정보보다 제 2 정보를 우선하여 출력하므로, LPS를 우선적으로 동작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00)는, 무선 신호를 센서 장치(200)에 송신한다. 이러한 단말 장치(100)는, 온습도, CO2 농도(이하, 「데이터」라고 함)의 측정 기능을 갖고, 취득한 데이터를 무선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그 때, 출력부(260)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정보는, 데이터를 기초로 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 2 정보는, 데이터를 기초로 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서버 장치(5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부(210)는, 페어링되어 있지 않은 단말 장치(100)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수신한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210)는, 페어링된 송신원의 단말 장치(1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해도 좋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특정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100 : 단말 장치 200 : 센서 장치
210 : 무선 통신부 220 : 제 2 기억부
230 : 촬상부 240 : 사람 검지부
250 : 제 1 기억부 260 : 출력부
300 : GW  400 : 네트워크
500 : 서버 장치 510 : 통신부
520 : 처리부 530 : 기억부
1000 : 센서 시스템

Claims (13)

  1. 사람을 검지하는 사람 검지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사람 검지부에 있어서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제 1 정보와, 상기 무선 통신부가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한 제 2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센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강도를 포함하는
    센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송신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송신원 장치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원 장치의 카테고리로서, 복수 종류의 카테고리가 포함되는
    센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가 수신한 신호에는, 송신원 장치에 있어서 취득된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기초로 한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페어링되어 있지 않은 송신원 장치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수신 가능한
    센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페어링된 송신원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가능한
    센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 검지부는, 촬상부를 갖고,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촬상부에 있어서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의 사람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전원 입력부를 겸용하는
    센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1 정보보다 상기 제 2 정보를 우선하여 출력하는
    센서 장치.
  12. 사람을 검지하는 단계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단계와,
    사람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제 1 정보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한 제 2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처리 방법.
  13. 청구항 12에 기재된 처리 방법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210141451A 2020-10-30 2021-10-22 센서 장치, 처리 방법, 기록 매체 KR202200584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82934A JP2022073138A (ja) 2020-10-30 2020-10-30 センサ装置、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JP-P-2020-182934 2020-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435A true KR20220058435A (ko) 2022-05-09

Family

ID=8158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451A KR20220058435A (ko) 2020-10-30 2021-10-22 센서 장치, 처리 방법,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073138A (ko)
KR (1) KR20220058435A (ko)
TW (1) TWI826847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2527A (ja) 2016-08-24 2018-03-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47420B (zh) * 2009-10-20 2014-08-01 Inst Information Industry 室內定位方法與系統,及電腦程式產品
TWM460478U (zh) * 2013-03-22 2013-08-21 Jung-Tang Huang 照明控制系統
TWI626857B (zh) * 2017-06-06 2018-06-11 立創智能股份有限公司 無線定位系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2527A (ja) 2016-08-24 2018-03-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26847B (zh) 2023-12-21
JP2022073138A (ja) 2022-05-17
TW202217663A (zh) 202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6009B2 (ja) 測位システム、測位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9245160B2 (en) Method for setting up a beacon network inside a retail environment
JP6087693B2 (ja) チャネル毎の電波受信強度に基づいて特定位置を検知する端末、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532168A (ja) 建物内部における器械および他のオブジェクトをポインティング、アクセス、および制御するための直観的方法
US11736555B2 (en) IOT interaction system
US20180324933A1 (en) Lighting Control With Location Based Communication
JP6624406B2 (ja) 位置検索システム、位置検索方法、発信装置、位置検出装置および設備機器
CN112544122B (zh) 用于在检测到空间中的对象时提供动作的设备
US10064153B2 (en) Position estimation apparatus, position estimation method, target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recording medium, and position estimation system
US9086469B2 (en) Low frequency magnetic inductio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CN109029732A (zh) 人探测装置及方法
US100515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arget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10422626B2 (en)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position measu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2340332B (zh) 一种触摸方式传输数据的装置、设备及方法
JP6986709B2 (ja) 制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発信機
KR20220058435A (ko) 센서 장치, 처리 방법, 기록 매체
JP7072353B2 (ja) 位置探索システムおよび位置探索方法
US10812963B2 (en) Augmented onboarding of internet-of-things devices
US11789109B2 (en) Area determination system, area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US11527926B2 (en) Receiver, reception method,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method
JP7128617B2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複数の識別符号送信装置を備えるシステム
JP2022151306A (ja) 登録方法、プログラム及び登録システム
JP6089816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21022342A (ja) 識別システム、識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