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953A - 도금 부착력 및 광 투과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도금 부착력 및 광 투과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953A
KR20220056953A KR1020200141650A KR20200141650A KR20220056953A KR 20220056953 A KR20220056953 A KR 20220056953A KR 1020200141650 A KR1020200141650 A KR 1020200141650A KR 20200141650 A KR20200141650 A KR 20200141650A KR 20220056953 A KR20220056953 A KR 20220056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resin
weight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철
송준호
이춘수
이춘호
김경주
김영승
김영효
전현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6953A/ko
Priority to US17/505,278 priority patent/US11773260B2/en
Publication of KR20220056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95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함량을 조절하여 도금 부착력이 향상되고 광 투과도가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도금 부착력 및 광 투과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etal plating adhesion and light transmission, and a molded product manufactured using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함량을 조절하여 도금 부착력이 향상되고 광 투과도가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 자동차 내외장 부품에 감성 품질 향상을 목적으로 금속 질감과 조명을 동시에 구현하는 부품들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금속 질감은 시각적으로는 금속 고유의 패턴 및 광택을 부여하고, 촉각적으로는 금속 고유의 경도 및 쿨(cool)한 터치감을 부여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내외장 부품에 조명을 부여하여 소비자에게 시각적인 심미성을 부여할 수 있다.
종래의 자동차 내외장 부품에 적용되는 금속 질감과 조명을 연계한 기술은 대표적으로 사출 소재에 마스킹 인쇄 후 인쇄부를 제외하고 도금층을 형성하는 인쇄타입 부분도금 기술, 화학도금 후 레이저를 이용하여 화학도금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전기도금을 수행하는 레이저 커팅 도금 기술, 도장 및 금속 증착 후 도장층을 레이저 커팅으로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건식도금 등이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금용 플라스틱 소재는 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타이렌의 세가지 성분으로 이뤄진 스타이렌계 수지(ABS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PC 수지)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도금용 ABS 수지는 도금성이 우수하나, 사출 소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옐로우(yellow)한 칼라와 광 투과 균일도가 저하되어 자동차용 조명 부품 소재로 사용되기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자동차 내외장 부품의 조명 부품에 다수 적용중인 도금용 PC 수지는 광학 특성이 우수하나(광 투과 균일도 및 투과도 제어 우수) 플라스틱과 도금층간 도금 부착력을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43742호는 도금 밀착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소입경 그라프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스티렌(ABS) 공중합체 수지 및 대입경 그라프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스티렌(ABS) 공중합체 수지로 구성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공중합체 수지를 이용하여 우수한 도금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으나, 소재가 갖는 고유의 옐로우 칼라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광 투과 균일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ABS 수지 대비 조명 구현시 옐로우 칼라감은 저하되고, PC 수지 대비 용이하게 도금 부착력을 구현할 수 있는 조성물 수지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43742호
본 발명에 의하면, 광 투과도, 휘도 균일성 및 투명도가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할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금 적용을 위해 플라스틱과 도금층간의 결합을 위해 5N/cm 이상의 도금 부착력을 갖는 성형품을 제공할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에 노출된 후 우수한 내광성 특성을 유지하는 성형품을 제공할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ABS 수지는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g/mol 내지 40,000g/mol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폴리부타디엔 고무를 50중량% 내지 60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부타디엔 고무의 평균 입자 직경은 200㎚ 내지 40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성분 60중량% 내지 70 중량% 및 시안화 비닐 화합물 성분 30중량% 내지 40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틸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고, 시안화 비닐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는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중량비는 60:40 내지 70:3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70,000g/mol 내지 300,000g/mol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ABS 수지의 중량비는 5:5 내지 6:4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5중량% 내지 70중량%,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24중량% 내지 28중량% 및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 6중량% 내지 21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자외선 안정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및 트리아진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5중량부 내지 3.0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의 두께는 1.0㎜ 내지 3.0㎜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 투과도, 휘도 균일성 및 투명도가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금 적용을 위해 플라스틱과 도금층간의 결합을 위해 5N/cm 이상의 도금 부착력을 갖는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 노출된 후 우수한 내광성 특성을 유지하는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수지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함량을 조절하여 도금 부착력이 향상되고 광 투과도가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에 대해 나누어 설명하겠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ABS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구성들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통해 제조된 성형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베이스 수지
본 발명의 베이스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ABS 수지의 중량비는 5:5 내지 6:4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바람직하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5중량% 내지 70중량%,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24중량% 내지 28중량% 및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 6중량% 내지 21중량% 포함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바람직하게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g/mol 내지 40,000g/mol 이다.
ABS 수지
본 발명의 ABS 수지는 바람직하게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바람직하게 폴리부타디엔 고무를 50중량% 내지 60중량% 포함한다.
상기 폴리부타디엔 고무의 평균 입자 직경은 200㎚ 내지 4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성분 60중량% 내지 70중량% 및 시안화 비닐 화합물 성분 30중량% 내지 40중량% 포함한다.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틸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고, 시안화 비닐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는 바람직하게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중량비는 60:40 내지 70: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g/mol 내지 300,000g/mol 이고, 바람직하게 100,000g/mol 내지 200,000g/mol 이다.
첨가제
본 발명의 첨가제는 바람직하게 자외선 안정제 및 안료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및 트리아진(Triazine)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안료는 바람직하게 카본 블랙을 포함한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5중량부 내지 3.0중량부 포함된다.
성형품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성형품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1.0㎜ 내지 3.0㎜ 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1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은 함량을 갖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3 및 비교예1 내지 비교예9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
(A)
(중량%)
60 60 60 45 75 100 - 60 60
(B)
(중량%)
25 25 27 25 25 - 25 30 15
(C)(중량%) 15 15 13 30 - - 75 10 25
(D1)
(중량부)
1.5 2.5 2.5 1.5 1.5 1.5 1.5 1.5 1.5
(D2)(중량부) - - - - - - - - -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중량평균 분자량 33,000g/mol)
(B)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평균 입자 직경 320㎚, 폴리부타디엔 고무 58%)
(C)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중량평균 분자량 133,000g/mol,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중량비 70:30)
(D1) 자외선 안정제(Benzotriazole계 화합물, Adeka)
(D2) 자외선 안정제(Triazine계 화합물, Ciba)
실시예 비교예
1 2 3 7 8 9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
(A)
(중량%)
60 60 60 60 60 60
(B)
(중량%)
25 25 27 25 25 25
(C)
(중량%)
15 15 13 15 15 15
(D1)
(중량부)
1.5 2.5 2.5 1.0 4.0 -
(D2)
(중량부)
- - - - - 2.5
제조예2
하기 표 3과 같이 베이스 수지에 포함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ABS 수지의 중량비를 조절하여 성형품을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ABS 수지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였다.
소재 등급 #1 #2 #3 #4
PC : ABS 중량비 0:10 5:5 6:4 7:3
제조예3
베이스 수지에 포함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ABS 수지의 중량비를 하나로 통일시키고, 첨가제 등을 하기 표 4와 같이 조절하여 성형품을 제조하였다. 단 칼라는 그레이(Grey) 칼라가 나오도록 안료를 첨가하였다.
소재 등급 #1 #2 #3 #4 #5 #6 #7
PC : ABS 중량비 6:4 6:4 6:4 6:4 6:4 6:4 6:4
자외선 안정제(중량부*) - - - 0.5 0.5 1.0 1.5
안료(중량부*) - 0.5 1.0 - 0.5 0.5 0.5
자외선 안정제 - Benzotriazole계 화합물
첨가제(안료) - 카본블랙(carbon black) 포함
중량부* -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함
실험예1
상기 제조예1에서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에 대해 도금 부착력, 광 투과도, 내광성 및 열변형 온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성형품의 두께 1.2mm)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
(A)
(중량%)
60 60 60 45 75 100 - 60 60
(B)
(중량%)
25 25 27 25 25 - 25 30 15
(C)(중량%) 15 15 13 30 - - 75 10 25
(D1)
(중량부)
1.5 2.5 2.5 1.5 1.5 1.5 1.5 1.5 1.5
(D2)(중량부) - - - - - - - - -
도금 부착력
(N/m)
11.8 11.8 12.0 12.1 부분
미도금
미도금 15.2 12.5 9.3
광 투과도(%) 12.3 12.3 12.0 10.0 16.0 16.0 8.0 11.0 12.3
내광성(△E) 1.9 1.5 1.8 2.2 1.5 1.0 5.1 2.5 1.7
열변형 온도(℃) 110 108 107 98 116 126 85 108 112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중량평균 분자량 33,000g/mol)
(B)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평균 입자 직경 320㎚, 폴리부타디엔 고무 58%)
(C)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중량평균 분자량 133,000g/mol,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중량비 70:30)
(D1) 자외선 안정제(Benzotriazole계 화합물, Adeka)
(D2) 자외선 안정제(Triazine계 화합물, Ciba)

도금 부착력: ASTM 571 11항의 Peel Test로 진행(속도 50㎜/min)
광 투과도: ASTM D1003(SCI L 60 기준)
내광성: ASTM D6695, 84MJ 조사 후 색차 측정
열변형 온도: ASTM D648(시편 크기 127㎜ X 12.7㎜ X 6.4㎜, 하중 0.45MPa)
실시예 비교예
1 2 3 7 8 9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
(A)
(중량%)
60 60 60 60 60 60
(B)
(중량%)
25 25 27 25 25 25
(C)(중량%) 15 15 13 15 15 15
(D1)
(중량부)
1.5 2.5 2.5 1.0 4.0 -
(D2)(중량부) - - - - - 2.5
도금 부착력
(N/m)
11.8 11.8 12.0 11.8 11.8 11.8
투과도(%) 12.3 12.3 12.0 12.3 12.3 12.3
내광성(△E) 1.9 1.5 1.8 5.2 1.2 1.9
열변형 온도(℃) 110 108 107 112 104 104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중량평균 분자량 33,000g/mol)
(B)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평균 입자 직경 320㎚, 폴리부타디엔 고무 58%)
(C)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중량평균 분자량 133,000g/mol,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중량비 70:30)
(D1) 자외선 안정제(Benzotriazole계 화합물, Adeka)
(D2) 자외선 안정제(Triazine계 화합물, Ciba)

도금 부착력: ASTM 571 11항의 Peel Test로 진행(속도 50㎜/min)
투과도: ASTM D1003(SCI L 60 기준)
내광성: ASTM D6695, 84MJ 조사 후 색차 측정
열변형 온도: ASTM D648 (시편 크기 127㎜ X 12.7㎜ X 6.4㎜, 하중 0.45MPa)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비교예2 및 비교예3을 통해 소재의 광 투과도는 PC 함량이 높을수록 유리하나 미도금 이슈가 발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1 및 비교예4를 통해 PC 함량이 낮고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또는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함량이 높을수록 도금 부착력이 좋아지나, 광 투과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5 및 비교예6을 통해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의 함량이 증가시 도금 부착력이 증가하나 내광성 및 내열도가 감소하고, 반대로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의 함량 감소시 도금 부착력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8 및 비교예9를 통해 자외선 안정제의 함량이 증가시 내열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자외선 안정제의 함량이 감소할 시 내광성이 매우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2
상기 제조예2에서 제조된 4가지의 성형품에 대한 도금 부착력 및 내광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성형품의 두께 1.2mm)
소재 등급 #1 #2 #3 #4
PC : ABS 중량비 0:10 5:5 6:4 7:3
도금성 외관 양호 외관 양호 외관 양호 외관 불만족(미도금)
도금 부착력(N/m) 15.2 11.3 11.8 -
내광성(E) 22.5 18.2 13.2 7.5
상기 측정결과를 참고하면, PC 수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도금 부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고, PC 수지 함량이 ABS 수지의 과반을 초과할 경우 도금 부착력이 저하되고 미도금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PC 수지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광성이 우수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3
상기 제조예3에서 제조된 7가지의 성형품에 대한 도금 부착력 및 내광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성형품의 두께 1.2mm)
소재 등급 #1 #2 #3 #4 #5 #6 #7
PC : ABS 중량비(100중량부) 6:4 6:4 6:4 6:4 6:4 6:4 6:4
자외선 안정제(중량부) - - - 0.5 0.5 1.0 1.5
안료(중량부) - 0.5 1.0 - 0.5 0.5 0.5
도금성 외관 양호 외관 양호 외관 양호 외관 양호 외관 양호 외관 양호 외관 양호
도금 부착력(N/cm) 11.5 11.3 11.5 11.5 11.4 11.8 9.7
내광성(E) 15.8 13.2 12.1 9.1 8.2 5.2 1.9
자외선 안정제 - Benzotriazole계 화합물
안료 - 카본블랙(carbon black) 포함
상기 결과를 보면, PC 수지 및 ABS 수지의 중량비가 6:4일 때, 자외선 안정제가 1.5중량부 및 안료가 0.5중량부 사용될 때 내광성 평가 결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왔다. 또한 이때의 도금 부착력 또한 비교적 우수한 결과(양호)를 보여줬다.

Claims (15)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ABS 수지는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g/mol 내지 40,000g/mol 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폴리부타디엔 고무를 50중량% 내지 60중량%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타디엔 고무의 평균 입자 직경은 200㎚ 내지 400㎚ 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성분 60중량% 내지 70 중량% 및 시안화 비닐 화합물 성분 30중량% 내지 40중량%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틸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고, 시안화 비닐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는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중량비는 60:40 내지 70:30 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70,000g/mol 내지 300,000g/mol 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ABS 수지의 중량비는 5:5 내지 6:4 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5중량% 내지 70중량%,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24중량% 내지 28중량% 및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 공중합체 수지 6중량% 내지 21중량%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자외선 안정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및 트리아진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5중량부 내지 3.0중량부 포함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제1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의 두께는 1.0㎜ 내지 3.0㎜ 인 것인 성형품.
KR1020200141650A 2020-10-29 2020-10-29 도금 부착력 및 광 투과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KR20220056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650A KR20220056953A (ko) 2020-10-29 2020-10-29 도금 부착력 및 광 투과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US17/505,278 US11773260B2 (en) 2020-10-29 2021-10-19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produced using the same and having improved plating adhesion and light transmit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650A KR20220056953A (ko) 2020-10-29 2020-10-29 도금 부착력 및 광 투과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953A true KR20220056953A (ko) 2022-05-09

Family

ID=8138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650A KR20220056953A (ko) 2020-10-29 2020-10-29 도금 부착력 및 광 투과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73260B2 (ko)
KR (1) KR202200569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742B1 (ko) 2004-12-27 2006-11-10 제일모직주식회사 도금 밀착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3959A (ja) * 1991-03-25 1992-10-19 Nippon Petro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DE10208674B4 (de) 2002-02-28 2011-07-07 BIA Kunststoff- und Galvanotechnik GmbH & Co. KG, 42655 Verfahren zur Herstellung galvanisch beschichteter Elemente mit hinterleuchtbaren Symbolen und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 Elemente
CN101501136B (zh) * 2006-08-15 2012-02-22 电气化学工业株式会社 导电性树脂组合物及使用该树脂组合物的导电性片材
DE102007015625B4 (de) 2007-03-29 2015-05-07 Bia Kunststoff- Und Galvanotechnik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galvanisch beschichteter Bauteile mit durchleuchtbaren oder unbeleuchteten Strukturen und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 Bedien-, Dekor- oder Anzeigeelemente
DE102010018234A1 (de) * 2010-04-23 2012-03-29 Bayer Materialscience Aktiengesellschaft Leichtfließende Polycarbonat/ABS-Formmassen mit gu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und guter Oberfläche
ES2493290T3 (es) * 2011-06-20 2014-09-11 Styrolution (Jersey) Limited Composiciones de policarbonato modificadas para el impacto
KR101449110B1 (ko) * 2012-08-07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도장 고광택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N108137915A (zh) * 2015-10-06 2018-06-08 电化株式会社 热塑性树脂组合物
KR101954063B1 (ko) * 2015-11-05 2019-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금 밀착력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abs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429024B1 (ko) 2017-12-29 2022-08-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기호 버튼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10139698A1 (en) * 2018-06-20 2021-05-13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High heat resistant impact modified polycarbonate blend
KR20200051080A (ko) 2018-11-02 202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프미러 조명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하프미러 조명
KR102654448B1 (ko) * 2018-12-07 2024-04-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기호 버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69919A (ko) 2018-12-07 2020-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마스킹 패턴,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기호 버튼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742B1 (ko) 2004-12-27 2006-11-10 제일모직주식회사 도금 밀착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35794A1 (en) 2022-05-05
US11773260B2 (en) 202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2789A1 (en)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thereof
CN103910967A (zh) 透明热塑性树脂组合物及使用它的模制品
KR20120059668A (ko)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2013004616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1795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KR10175060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5007653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548158B1 (ko) 성형품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101515430B1 (ko) 라미네이트 시트, 라미네이트 시트의 제조 방법,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이용한 성형품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2019003557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9008207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537004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EP2868691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weather resistance
KR2019005156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220056953A (ko) 도금 부착력 및 광 투과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KR2015006757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0126197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7655726B2 (en) Thermoplastic partially crystalline molding compound having a reduced surface luster and products made therefrom
JPS62222826A (ja) 非充てん外層を結合された充填コア材料
JP4438128B2 (ja) ダイレクト蒸着された熱可塑性樹脂成形品
KR20110027080A (ko) 성형체 조립품
KR2021003341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3327313B2 (ja) 樹脂成形体
JP4921923B2 (ja) 押出成形用樹脂組成物、成形品及び積層品
KR20160141432A (ko)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장재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