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237A - 식품 포장 용지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 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237A
KR20220056237A KR1020227011332A KR20227011332A KR20220056237A KR 20220056237 A KR20220056237 A KR 20220056237A KR 1020227011332 A KR1020227011332 A KR 1020227011332A KR 20227011332 A KR20227011332 A KR 20227011332A KR 20220056237 A KR20220056237 A KR 20220056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food packaging
paper
meth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로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5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23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80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 D21H19/82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superp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specially treated, e.g. surfaced, parchment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0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내수성, 내유성, 가스 배리어성을 갖고, 및 핀홀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는 식품 포장 용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는, 종이 지지체와, 상기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적어도 1 층의 도공층을 갖고, 상기 도공층의 적어도 1 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식품 포장 용지에 의해서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 포장 용지
본 발명은 식품의 포장, 식품을 넣는 봉투 또는 식품을 넣는 용기 등의 식품 포장 재료로서, 지지체가 종이인 식품 포장 용지에 관한 것이다.
식품의 포장, 식품을 넣는 봉투 또는 식품을 넣는 용기 등의 식품 포장 재료는, 플라스틱 필름의 적층 구조 또는 금속 증착막을 갖는 필름이 대부분이었다. 한편, 플라스틱 제품의 환경 문제로부터, 식품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외부로부터의 수증기 및 산소에 대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종이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식품 포장 재료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수계 도료의 도공에 의해서 형성된 수증기 배리어층 및 가스 배리어층을 갖는,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과 수증기 배리어성을 겸비하는 종이제 배리어 포장 재료로서, 종이 기재 상에 안료 및 수증기 배리어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증기 배리어층,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가스 배리어층을 이 순서로 형성하고, 수증기 배리어성 수지가 아크릴계 합성 수지인 종이제 배리어 포장 재료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 식품류 등의 포장에 사용할 수 있는, 각종 플라스틱 재료, 각종 증착 필름 및 종이 등의 기재에 접착제층 및 피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제층이 에틸렌 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및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복합 입자의 분산체를 건조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피접착제층이 폴리염화비닐 및/또는 폴리염화비닐리덴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76950호 국제 공개 팜플렛 제2016/076130호
식품의 포장, 식품을 넣는 봉투 또는 식품을 넣는 용기 등의 식품 포장 용지에는, 식품에서 유래하는 수분 및 유분에 대한 내수성 및 내유성이 필요하다. 또 식품 포장 용지에는, 수증기, 습기 또는 산소의 투과를 방지하여 식품을 열화로부터 지키는 가스 배리어성이 필요하다. 또 포장의 형태에 따라서는 식품을 넣고 나서 봉할 필요가 있어, 식품 포장 용지에는 히트 시일 적성이 필요하다. 또 최근, 냄새에 관한 폐해를 주장하는 세상의 동향에서, 봉하는 식품 포장 용지에는, 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냄새가 새는 것을 경감하는 플레이버 배리어성이 필요하다.
또한, 종이 지지체인 식품 포장 용지에서는, 흡수성 등의 종이의 특성에 의해서 종이 지지체에 형성한 도공층에 핀홀이 발생된다. 내수 내유제 또는 가스 배리어제를 함유하는 도공층을 종이 지지체에 형성한 경우, 핀홀의 존재에 의해서, 내수성, 내유성, 가스 배리어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제조된 식품 포장 용지는 핀홀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사용해야만 되어, 결과적으로 수율은 저하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가스 배리어성을 갖고, 및 핀홀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는 식품 포장 용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내수성, 내유성, 가스 배리어성을 갖고, 플레이버 배리어성을 가지며, 및 핀홀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히트 시일 적성을 갖는 식품 포장 용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에 의해서 달성된다.
[1] 종이 지지체와, 상기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적어도 1 층의 도공층을 갖고,
상기 도공층의 적어도 1 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식품 포장 용지.
[2] 상기 도공층이 1 층인, 상기 [1] 에 기재된 식품 포장 용지.
[3] 상기 도공층이, 제 1 도공층과, 종이 지지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도공층의 외측에 제 2 도공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공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하며,
상기 제 2 도공층이,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식품 포장 용지.
[4] 종이 지지체와, 상기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제 1 도공층과, 종이 지지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도공층의 외측에 제 2 도공층을 갖고,
상기 제 1 도공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하며,
상기 제 2 도공층이,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식품 포장 용지.
[5] 상기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에 있어서, 중합체 중의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의 함량이 85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인, 상기 [4] 에 기재된 식품 포장 용지.
[6] 상기 종이 지지체와 상기 제 1 도공층 사이에 하도층을 갖고, 상기 하도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에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와, 카올린을 함유하는, 상기 [4] 또는 상기 [5] 에 기재된 식품 포장 용지.
[7] ISO5636-5 : 2013 에 준하여 측정되는, 상기 종이 지지체의 거얼리 투기도가 30 초 이상 200 초 이하인, 상기 [4]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품 포장 용지.
[8] 상기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가,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알킬기가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상기 [4]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품 포장 용지.
[9] 상기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에 있어서, 중합체 중의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의 함량이 85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인,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품 포장 용지.
[10] 상기 종이 지지체와 상기 도공층 사이에 하도층을 갖고, 상기 하도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에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와, 카올린을 함유하는, 상기 [1] ∼ [3] 및 상기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품 포장 용지.
[11] ISO5636-5 : 2013 에 준하여 측정되는, 상기 종이 지지체의 거얼리 투기도가 30 초 이상 200 초 이하인, 상기 [1] ∼ [3], 상기 [9] 및 상기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품 포장 용지.
[12] 상기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가,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알킬기가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상기 [1] ∼ [3] 및 상기 [9]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품 포장 용지.
상기 [1] 및 [2] 그리고 이것들에 종속 (단, 상기 [3] 을 제외한다) 되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의해서, 가스 배리어성을 갖고, 및 핀홀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는 식품 포장 용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3] 및 [4] 그리고 이것들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의해서, 내수성, 내유성, 가스 배리어성을 갖고, 플레이버 배리어성을 가지며, 및 핀홀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히트 시일 적성을 갖는 식품 포장 용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써 제 2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식품 포장 용지는, 종이 지지체와, 상기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적어도 1 층의 도공층을 갖고, 상기 도공층의 적어도 1 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한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상기 도공층이 1 층 또는 2 층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상기 종이 지지체와 상기 도공층 사이에, 후술하는 하도층을 가질 수 있다. 그 이유는, 배리어성의 향상, 도공층의 접착성의 향상, 및 핀홀의 발생을 보다 경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 포장 용지의 실시형태로서, 식품과 대향하는 식품 포장 용지의 면은, 식품 포장 용지의 상기 도공층을 갖는 측의 면이다. 또, 식품 포장 용지는, 상기 도공층을 갖는 측에 대한 종이 지지체의 반대측에, 오프셋 인쇄기 및/또는 디지털 인쇄기에 대한 인쇄 적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위해서, 또는 용지의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위해서, 인쇄용 도공층 또는 백 코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인쇄용 도공층과 종이 지지체 사이에 상기 도공층, 후술하는 하도층, 또는 후술하는 제 1 도공층 및/또는 제 2 도공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용 도공층 또는 백 코트층은, 인쇄용 도공지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것이다.
종이 지지체는, 목재 펄프 및/또는 비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슬러리에 대해서, 전료 (塡料), 사이즈제, 바인더, 정착제, 수율제 및 지력제 (紙力劑)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서 첨가한 지료 (紙料) 를, 산성, 중성 또는 알칼리성의 조건에서, 종래 공지된 초지 방법에 의해서 초조 (抄造) 한 원지, 상기 원지를 사이즈 프레스액으로 사이즈 프레스 처리한 상질지, 상기 원지를 표면 처리액으로 표면 처리한 상질지, 또는 상기 원지 혹은 상기 상질지에 대해서 캘린더 처리를 실시한 상질지이다.
또한, 상기 지료에는, 그 밖의 첨가제로서, 안료 분산제, 벌크제, 증점제, 유동성 개량제, 피치 컨트롤제, 소포제, 억포제, 이형제, 발포제, 침투제, 보습제, 방부제, 방미제, 내수화제, 습윤 지력 증강제 및 건조 지력 증강제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본 발명이 원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캘린더 처리란, 롤 사이에 종이를 통과시킴으로써 평활성이나 두께를 평균화하는 처리이다. 캘린더 처리의 장치는, 예를 들어, 머신 캘린더, 소프트 닙 캘린더, 슈퍼 캘린더, 다단 캘린더, 멀티 닙 캘린더 등을 들 수 있다.
목재 펄프는, 제지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것이다. 목재 펄프는, 예를 들어, LBKP (Leaf Bleached Kraft Pulp) 및 NBKP (Needle Bleached Kraft Pulp) 등의 화학 펄프, GP (Groundwood Pulp), PGW (Pressure GroundWood pulp), RMP (Refiner Mechanical Pulp), TMP (ThermoMechanical Pulp), CTMP (ChemiThermoMechanical Pulp), CMP (ChemiMechanical Pulp) 및 CGP (ChemiGroundwood Pulp) 등의 기계 펄프, 그리고 DIP (DeInked Pulp) 등의 폐지 펄프를 들 수 있다.
비목재 펄프는, 제지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비목재 섬유로 이루어지는 펄프이다. 비목재 섬유의 원료는, 예를 들어, 닥나무, 삼지닥나무 및 안피나무 등의 목본 인피, 아마, 대마 및 케나프 등의 초본 인피, 마닐라삼, 아바카 및 사이잘삼 등의 잎 섬유, 벼짚, 보릿짚, 사탕수수 찌꺼기, 대나무 및 에스파르토 등의 화본과 식물, 그리고 목화 및 린터 등의 종모 (種毛) 를 들 수 있다.
목재 펄프 및/또는 비목재 펄프는, 상기 목재 펄프 및 상기 비목재 펄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다.
전료는, 제지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안료이다. 안료는, 예를 들어, 경질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각종 카올린, 탤크,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탄산아연, 새틴 화이트, 실리카, 규산알루미늄, 규조토, 활성 백토, 알루미나, 알루미나 수화물, 수산화알루미늄, 리토폰,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무기 안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 플라스틱 피그먼트, 아크릴계 플라스틱 피그먼트, 폴리에틸렌계 플라스틱 피그먼트,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의 유기 안료를 들 수 있다. 전료는, 상기 무기 안료 및 상기 유기 안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종이 지지체의 회분은 10 질량% 이하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종이 지지체의 회분은 4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다. 회분이 상기 범위에서는, 핀홀의 발생을 양호하게 경감할 수 있다. 용지의 회분은, 용지가 함유하는 전료의 양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용지의 회분은, ISO1762 : 2001「㎩per, board and pulps-Determination of residue (ash) on ignition at 525 degree C」에 준거해서 구해지는 값이다.
사이즈제는, 제지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내첨 사이즈제이다. 내첨 사이즈제는, 예를 들어, 산성지이면 로진계 사이즈제, 중성지이면 알케닐 무수 숙신산, 알킬케텐 다이머, 중성 로진계 사이즈제 및 카티온성 스티렌-아크릴계 사이즈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사이즈 프레스액에 사용하는 표면 사이즈제는, 제지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것이다. 표면 사이즈제는, 예를 들어, 전분계 사이즈제, 셀룰로오스계 사이즈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사이즈제, 스티렌-아크릴계 사이즈제, 올레핀계 사이즈제, 스티렌-말레산계 사이즈제, 및 아크릴아미드계 사이즈제 등을 들 수 있다.
사이즈 프레스는, 제지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사이즈 프레스 장치로 행할 수 있다. 사이즈 프레스 장치는, 예를 들어, 인클라인드 사이즈 프레스, 호리존털 사이즈 프레스, 필름 트랜스퍼 방식으로서 로드 메터링 사이즈 프레스, 롤 메터링 사이즈 프레스, 블레이드 메터링 사이즈 프레스를, 로드 메터링 사이즈 프레스로서 심 사이저, 옵티 사이저, 스피드 사이저를, 롤 메터링 사이즈 프레스로서 게이트 롤 코터, 빌 블레이드 코터, 트윈 블레이드 코터, 벨 바파 코타, 탭 사이즈 프레스, 및 캘린더 사이즈 프레스 등을 들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ISO5636-5 : 2013「㎩per and board-Determination of air permeance (medium range)-㎩rt5 : Gurley method」에 준하여 측정되는, 종이 지지체의 거얼리 투기도는 30 초 이상 200 초 이하이다. 종이 지지체의 거얼리 투기도가 상기 범위에서는, 종이 지지체와 도공층의 상승 효과에 의해서, 또는 하도층을 갖는 경우, 종이 지지체와 하도층과 도공층의 상승 효과에 의해서, 핀홀의 발생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
거얼리 투기도는, 용지편을, 일정 체적의 공기가 투과하는 시간에 의해서 구해진다. 용지편으로 덮은 내통을 준비한다. 오일 등의 액체를 넣은 외통에 상기 내통을 띄운다. 수직 방향의 내통 무게에 의해서 공기를 압축하고, 이 공기가 용지편을 투과하여 내통이 외통 내에서 서서히 하강한다. 일정 체적의 공기가 투과하는 데 필요로 한 시간 (초) 을 측정한다. 수치가 작은 편이 용지의 투기성이 큰 것을 의미한다. 거얼리 투기도는, 예를 들어, 토요 정기 제작소사 제조 B 형 거얼리 덴소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종이 지지체의 거얼리 투기도는,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종이 지지체를 얻었을 때에, 당해 종이 지지체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종이 지지체의 거얼리 투기도는, 예를 들어, 용지의 단면을 관찰하면서 도공층 및 하도층을 슬라이스하여 제거하고, 노출된 종이 지지체로부터도 측정할 수 있다.
보통은, 가스 배리어성의 관점에서 투기성이 작은 종이 지지체가 보다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가 검토한 결과로부터, 투기성이 지나치게 작은 종이 지지체는 핀홀에 관해서 유효하지 않다. 그 이유는 이하로 추측한다.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결정화의 경향이 높기 때문에, 도공액을 도공할 때에 종이 지지체로부터 빠져나가는 공기에 의해서 도공층에 핀홀을 형성하기 쉽다.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층을 형성할 때에, 적당한 투기성을 갖는 종이 지지체는, 도공액 성분의 종이 지지체에 대한 낙하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종이 지지체의 공기가 도공층측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도공층의 핀홀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다.
종이 지지체의 거얼리 투기도는, 제지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종이 지지체의 거얼리 투기도는, 예를 들어, 펄프의 고해 (叩解) 에 의한 프리니스를 제어, 초지기의 프레스의 선압을 제어, 캘린더 처리의 실시와 그 조건 제어, 지료에 대한 전료의 첨가와 그 양, 지료에 벌크제의 첨가와 그 양, 지료에 대한 바인더의 첨가와 그 양, 및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펄프의 고해도를 낮추는 (여수도의 값이 큰), 초지기의 프레스의 선압을 낮추는, 캘린더 처리를 하지 않거나 또는 선압을 낮추는, 그리고 바인더의 첨가량을 낮추는 등의 수단이, 거얼리 투기도의 값을 작게 한다.
종이 지지체의 평량은, 식품 포장의 용도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5 ∼ 120 g/㎡ 가 바람직하다.
상기 [1] 및 [2] 그리고 이것들에 종속 (단, 상기 [3] 을 제외한다) 되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식품 포장 용지의 도공층 및 하도층에 대해서 설명한다.
식품 포장 용지는, 종이 지지체와, 상기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적어도 1 층의 도공층을 갖는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도공층은 1 층이다. 그 이유는,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종이 지지체와, 상기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적어도 1 층의 도공층을 갖고, 상기 종이 지지체와 상기 도공층 사이에 하도층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종이 지지체와, 상기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1 층의 도공층을 갖고, 상기 종이 지지체와 상기 도공층 사이에 하도층을 갖는다. 하도층은, 배리어성의 향상, 층간의 접착성의 향상, 및 핀홀의 발생의 경감에 기여한다.
상기 하도층은,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에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와 카올린을 함유한다.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와 카올린을 함유함으로써, 하도층은, 핀홀의 발생을 경감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스 배리어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또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와 카올린을 함유하는 하도층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갖는 도공층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다.
하도층의 카올린은, 카올리나이트, 나크라이트, 디카이트, 할로이사이트, 가수 할로이사이트 등의 천연에서 산출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분쇄, 세정, 제철 및 분급의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이다. 또 카올린에는, 애스펙트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단력을 걸어서 박판상으로 한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 입도 분포가 샤프해지도록 조정한 엔지니어드 카올린, 응집성을 높인 소성 카올린과 같은 가공성이 높은 것도 포함된다.
하도층의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의 설명에 대해서는, 도공층이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와 동일하여, 후술한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하도층 중의 상기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의 함유량은, 편면당, 하도층 중의 카올린 100 질량부에 대해서 40 질량부 이상 150 질량부 이하이다. 카올린에 대해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의 함유량이 이 범위이면, 식품 포장 용지는, 핀홀의 발생을 보다 경감, 및 가스 배리어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하도층은, 카올린 및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된 각종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는, 예를 들어, 카올린 이외의 백색 무기 안료, 백색 유기 안료, 아크릴계 수지 이외의 각종 수지, 전분류 및 셀룰로오스류 등의 다당류, 계면 활성제, 분산제, 증점제, 보수제, 소포제 및 내수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하도층은, 전분류 및 셀룰로오스류 등의 다당류를 함유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하도층 중의 다당류의 함유량은, 편면당, 하도층 중의 카올린 100 질량부에 대해서 3 질량부 이상 7 질량부 이하이다. 다당류의 함유량이 이 범위이면, 식품 포장 용지는 핀홀의 발생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다당류는 전분류와 셀룰로오스류의 병용이다. 전분류와 셀룰로오스류의 병용이면, 식품 포장 용지는 핀홀의 발생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
전분류는, α-글루코오스가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서 중합된 전분으로서, 각종 변성 전분 및 금속염도 포함한다. 전분류는, 예를 들어, 전분, 산화 전분, 효소 변성 전분, 에테르화 전분, 카티온성 전분, 양성 (兩性) 전분, 디알데히드 전분, 인산에스테르화 전분 등의 에스테르화 전분, 하이드록시에틸화 전분, 그리고 하이드록시부틸화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전분류는, 이것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다.
셀룰로오스류는, 글루코오스가 β-1,4-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서 중합된 셀룰로오스로서, 각종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금속염도 포함한다. 셀룰로오스류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벤질셀룰로오스, 트리틸셀룰로오스,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에틸셀룰로오스, 아미노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에테르,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질산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 프로피온산셀룰로오스, 부티르산셀룰로오스, 황산셀룰로오스, 인산셀룰로오스, 아세트산부티르산셀룰로오스, 질산부티르산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그리고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및 리튬염, 그리고 헤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류는, 이것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다.
식품 포장 용지는, 도공층의 적어도 1 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식품 포장 용지는, 도공층이 1 층인 경우, 당해 도공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층에 대해서 상기 도공층 중의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의 함유량은, 종이 지지체의 편면당 상기 도공층의 건조 고형 분량에 대해서 85 질량% 이상이다.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이면,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가스 배리어제가 되어, 도공층이 가스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한다. 식품 포장 용지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이면, 가스 배리어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공층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된 각종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는, 예를 들어, 백색 무기 안료, 백색 유기 안료, 폴리비닐알코올 이외의 각종 수지, 전분류 및 셀룰로오스류 등의 다당류, 계면 활성제, 분산제, 증점제, 보수제, 소포제, 내수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중합체 중, 염화비닐리덴 단량체가 50 질량% 를 초과하는 수지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도공층 및 하도층이 함유하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와, 그 밖의 단량체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중합된 공중합체이다. 하도층이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와 도공층이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동일한 중합체 및 상이한 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하도층이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와 도공층이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동일하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중합체 중,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의 함량이 80 질량% 를 초과하는 수지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중합체 중,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의 함량이 85 질량% 이상이다.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중합체 중,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의 함량이 50 질량% 를 초과하면 가스 배리어성이 발현된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중합체 중,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의 함량이 95 질량% 이하인 수지이다.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의 함량이 95 질량% 이하이면, 하도층 및 도공층의 조막 (造膜) 시에 폴리염화비닐리덴의 빠른 결정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하도층 및 도공층은 핀홀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에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중합체 중,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의 함량이 50 질량% 를 초과하고 95 질량% 이하인 수지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에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중합체 중,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의 함량이 85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인 수지이다.
상기 그 밖의 단량체는,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단량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밖의 단량체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프로피온산비닐, 스테아르산비닐, 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 및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말레오니트릴, 2-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3-에톡시아크릴로니트릴, α-(2-시아노에틸)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이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알킬기가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상기 그 밖의 단량체로서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상기 그 밖의 단량체로서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알킬기가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와,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다.
또,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및 알킬기가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즉,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와, (메트)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과, 알킬기가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다.
이것들의 이유는,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면서 조막시의 핀홀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로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염화비닐리덴의 함량이 85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 (메트)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의 함량이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및 알킬기가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함량이 0.5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이다.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의 분자량은, 분자량이 이미 알려진 폴리스티렌을 표준 물질로 하여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측정된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 8 만 이상이다. 상기 분자량의 범위이면,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열 및 광에 대한 안정성이 양호해진다.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공지된 유화 중합법에 의해서 합성할 수 있다. 합성은, 예를 들어, 소정의 반응 용기에 각종 단량체, 유화제 및 물을 배합하고,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교반 하 및 가온하는 방법이다. 또,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예를 들어, 아사히 화성사 등에서 시판된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종이 지지체와, 상기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적어도 1 층의 도공층을 갖고, 상기 도공층의 적어도 1 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가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및 알킬기가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 용지는, 상기 도공층이 1 층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 용지는, 상기 도공층이 1 층이며, 및 상기 종이 지지체의 ISO5636-5 : 2013 에 준하여 측정되는 거얼리 투기도가 30 초 이상 200 초 이하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종이 지지체와, 상기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적어도 1 층의 도공층과, 상기 종이 지지체와 상기 도공층 사이에 하도층을 갖고, 상기 도공층의 적어도 1 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하도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에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와 카올린을 함유하고, 상기 도공층 및 상기 하도층이 함유하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가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및 알킬기가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 용지는, 상기 도공층이 1 층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 용지는, 상기 도공층이 1 층이고, 및 상기 종이 지지체의 ISO5636-5 : 2013 에 준하여 측정되는 거얼리 투기도가 30 초 이상 200 초 이하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하도층의 도공량은, 종이 지지체의 편면당 건조 고형 분량으로 0 g/㎡ 이상 15 g/㎡ 이하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도공층의 도공량은, 종이 지지체의 편면당 건조 고형 분량으로 2 g/㎡ 이상 20 g/㎡ 이하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종이 지지체의 편면당, 하도층의 도공량이 건조 고형 분량으로 0 g/㎡ 이상 15 g/㎡ 이하, 및 도공층의 도공량이 건조 고형 분량으로 2 g/㎡ 이상 20 g/㎡ 이하이다. 도공층의 도공량은, 도공층이 1 층인 경우에는 당해 1 층의 도공량을 가리키고, 도공층이 2 층 이상인 경우에는 그것들을 합계한 도공량을 가리킨다.
다음으로, 상기 [3] 및 [4] 그리고 이것들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식품 포장 용지의 도공층 및 하도층에 대해서 설명한다.
식품 포장 용지는, 종이 지지체와, 상기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적어도 1 층의 도공층을 갖고, 상기 도공층은, 제 1 도공층과, 종이 지지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도공층의 외측에 제 2 도공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식품 포장 용지는, 종이 지지체와, 상기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제 1 도공층과, 종이 지지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도공층의 외측에 제 2 도공층을 갖는다.
식품 포장 용지는, 제 1 도공층 및 제 2 도공층 사이에, 배리어성의 향상 및 도공층간의 접착성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중간 도공층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도공층은 제 1 도공층 및 제 2 도공층의 2 층이다. 그 이유는,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3 층 이상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상기지 지지체와 상기 제 1 도공층 사이에 하도층을 갖는다. 하도층은, 배리어성의 향상, 층간의 접착성의 향상, 및 핀홀의 발생의 경감에 기여한다.
여기에서의 하도층은, 상기 [1] 및 [2] 그리고 이것들에 종속 (단, 상기 [3] 을 제외한다) 되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식품 포장 용지에 있어서 설명한 하도층과 동일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1 도공층은,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제 1 도공층 중의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의 함유량은, 종이 지지체의 편면당 상기 제 1 도공층의 건조 고형 분량에 대해서 85 질량% 이상이다. 제 1 도공층 중의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이면,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가스 배리어제가 되어, 제 1 도공층이 가스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한다. 식품 포장 용지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이면, 가스 배리어성이 양호해지고, 또 플레이버 배리어성을 얻을 수 있다.
제 1 도공층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된 각종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는, 예를 들어, 백색 무기 안료, 백색 유기 안료, 폴리비닐알코올 이외의 각종 수지, 전분류 및 셀룰로오스류 등의 다당류, 계면 활성제, 분산제, 증점제, 보수제, 소포제, 내수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제 1 도공층이 함유하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는, 상기 [1] 및 [2] 그리고 이것들에 종속 (단, 상기 [3] 을 제외한다) 되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식품 포장 용지의 도공층에 있어서 설명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와 동일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도공층은,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제 2 도공층 중의 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은, 종이 지지체의 편면당 상기 제 2 도공층의 건조 고형 분량에 대해서 85 질량% 이상이다. 제 2 도공층 중의 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이면, 아크릴계 수지는 내수 내유제 및 히트 시일제가 되어, 제 2 도공층이 내수 내유층 및 히트 시일층으로서 기능한다. 즉, 식품 포장 용지는, 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이면, 내수성, 내유성 및 히트 시일성을 얻을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함유의 단량체 (단량체 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단량체 및/또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량체 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단량체에서 얻어지는 중합체, 혹은, 상기 단량체 a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단량체, 및/또는 상기 단량체 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단량체와, 상기 단량체 a 또는 상기 단량체 b 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단량체 c)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이다.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함유의 단량체 (단량체 a) 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모노알킬말레산, 모노알킬푸마르산, 및 모노알킬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단량체 a 에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이 나트륨염 등의 염을 형성한 단량체가 포함된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량체 b) 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량체 a 또는 상기 단량체 b 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단량체 c) 는, 예를 들어, 스티렌, 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 (메트)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프로필렌,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메틸렌비스(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술폰산나트륨, p-스티렌술폰산나트륨,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애시드포스폭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에탄올아민하프염, 3-아릴옥시-2-하이드록시프로판술폰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스티렌화페닐황산나트륨, 글리세린모노알릴에테르모노술포숙신산나트륨, 2-술포에틸(메트)아크릴산나트륨, (메트)아크릴아미드스테아르산나트륨,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롤레인, 디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포르밀스티롤, 비닐메틸케톤, 비닐에틸케톤,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프로펜알, 디아세톤(메트)아크릴레이트, 아세토닐(메트)아크릴레이트, 2-아세트아세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디알릴프탈레이트, 및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공지된 유화 중합법에 의해서 합성할 수 있다. 합성은, 예를 들어, 소정의 반응 용기에 각종 단량체, 유화제 및 물을 배합하여,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교반 및 가온하는 방법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제 2 도공층의 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단량체 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단량체에서 얻어지는 중합체, 즉,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이면, 제 2 도공층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제 1 도공층에 대해서 밀착성과 조막성이 양호하다. 결과적으로, 식품 포장 용지는, 내수성, 내유성 및 히트 시일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제 2 도공층의 아크릴계 수지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과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공중합체이면, 수증기에 대한 양호해진 가스 배리어성이 얻어지기 때문이다.
제 2 도공층은, 아크릴계 수지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된 각종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백색 무기 안료, 백색 유기 안료, 아크릴계 수지 이외의 각종 수지, 전분류 및 셀룰로오스류 등의 다당류, 계면 활성제, 분산제, 증점제, 보수제, 소포제, 내수화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및 형광제 등을 들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종이 지지체와, 상기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적어도 1 층의 도공층을 갖고, 상기 도공층이 제 1 도공층과, 종이 지지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도공층의 외측에 제 2 도공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공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하며, 상기 제 2 도공층이,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가,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및 알킬기가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과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의 공중합체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 용지는, 상기 도공층이 제 1 도공층과 제 2 도공층의 2 층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 용지는, 상기 도공층이 제 1 도공층과 제 2 도공층의 2 층이며, 및 상기 종이 지지체의 ISO5636-5 : 2013 에 준하여 측정되는 거얼리 투기도가 30 초 이상 200 초 이하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종이 지지체와, 상기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적어도 1 층의 도공층을 갖고, 상기 도공층이 제 1 도공층과, 종이 지지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도공층의 외측에 제 2 도공층을 포함하며, 상기 종이 지지체와 상기 제 1 도공층 사이에 하도층을 갖고, 상기 제 1 도공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하며, 상기 제 2 도공층이,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하도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와 카올린을 함유하고, 상기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가,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및 알킬기가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과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의 공중합체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 용지는, 상기 도공층이 제 1 도공층과 제 2 도공층의 2 층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 용지는, 상기 도공층이 제 1 도공층과 제 2 도공층의 2 층이고, 및 상기 종이 지지체의 ISO5636-5 : 2013 에 준하여 측정되는 거얼리 투기도가 30 초 이상 200 초 이하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하도층의 도공량은, 종이 지지체의 편면당 건조 고형 분량으로 0 g/㎡ 이상 15 g/㎡ 이하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제 1 도공층의 도공량은, 종이 지지체의 편면당 건조 고형 분량으로 2 g/㎡ 이상 8 g/㎡ 이하이다. 몇몇 실시양태에 있어서, 제 2 도공층의 도공량은, 종이 지지체의 편면당 건조 고형 분량으로 3 g/㎡ 이상 12 g/㎡ 이하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종이 지지체의 편면당, 하도층의 도공량이 건조 고형 분량으로 0 g/㎡ 이상 15 g/㎡ 이하, 제 1 도공층의 도공량이 건조 고형 분량으로 2 g/㎡ 이상 8 g/㎡ 이하, 및 제 2 도공층의 도공량이 건조 고형 분량으로 3 g/㎡ 이상 12 g/㎡ 이하이다.
식품 포장 용지는, 종이 지지체 대해서 하도층 및/또는 도공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종이 지지체 대해서 하도층 및/또는 도공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지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도공 장치 및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하도층 또는 도공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공액을 도공 및 건조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공 장치의 예로는, 필름 프레스 코터, 로드 코터, 에어 나이프 코터, 로드 블레이드 코터, 바 코터, 블레이드 코터, 그라비어 코터, 커튼 코터, E 바 코터, 필름 트랜스퍼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건조 장치의 예로는, 직선 터널 건조기, 아치 드라이어, 에어 루프 드라이어, 사인 커브 에어 플로트 드라이어 등의 열풍 건조기, 적외선 가열 드라이어, 마이크로파 등을 이용한 건조기 등의 각종 건조 장치를 들 수 있다.
하도층의 도공액이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및 카올린을 함유하는 것, 도공층의 도공액 또는 제 1 도공층의 도공액이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 그리고 제 2 도공층의 도공액이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얻어지는 각각의 층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및 카올린을,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그리고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식품 포장 용지는, 식품의 포장, 식품을 넣는 봉투 또는 식품을 넣는 용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에서「질량부」 및「질량%」는, 건조 고형 분량 혹은 실질 성분량의 각각「질량부」 및「질량%」를 나타낸다. 도공층의 도공량은, 건조 고형 분량을 나타낸다.
상기 [1] 및 [2] 그리고 이것들에 종속 (단, 상기 [3] 을 제외한다) 되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를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한다.
<종이 지지체>
이하의 지료를 조성하였다.
LBKP (여수도 350 ∼ 480 mlcsf) 50 질량부
NBKP (여수도 350 ∼ 480 mlcsf) 50 질량부
황산 밴드 2 질량부
카올린 (안시렉스 (등록상표), BASF 사) 8 질량부
로진계 사이즈제 (CC1404, 세이코우 PMC 사) 0.3 질량부
지력제 0.6 질량부
상기 배합의 지료를 장망 초지기로 초조하여, 평량 65 g/㎡ 의 원지를 얻었다. 이것에, 머신 캘린더를 사용하여 온도 60 ℃ ㆍ처리 속도 500 m/분의 조건에서 캘린더 처리하여 종이 지지체를 얻었다. 종이 지지체의 회분량은 5.5 질량% 였다. 종이 지지체의 거얼리 투기도는, 펄프의 여수도를 조정하고, 그리고 초지기의 프레스 선압 및 캘린더의 선압을 조정하여 원하는 거얼리 투기도의 값을 얻었다.
얻어진 식품 포장 용지에 대해서, 하기의 평가를 행하였다. 종이 지지체의 거얼리 투기도는, ISO5636-5 : 2013 에 준하여, 토요 정기 제작소사 제조 B 형 거얼리 덴소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거얼리 투기도의 값은 표 1 에 기재한다.
<하도층의 도공액>
물을 매체로 하여 이하의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안료 종류 및 질량부는 표 1 에 기재
수지 종류 및 질량부는 표 1 에 기재
<도공층의 도공액>
물을 매체로 하여 이하의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수지 종류는 표 1 에 기재/100 질량부
Figure pct00001
표 1 에 등장하는 각 재료는 이하이다.
PVDC1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80
메타크릴로니트릴 : 15
에틸아크릴레이트 : 5
PVDC2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85
메타크릴로니트릴 : 10
에틸아크릴레이트 : 5
PVDC3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90
아크릴로니트릴 : 9
에틸아크릴레이트 : 1
PVDC4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95
아크릴로니트릴 : 3
에틸아크릴레이트 : 2
PVDC5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98
메타크릴로니트릴 : 1.5
에틸아크릴레이트 : 0.5
PVDC6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85
메타크릴로니트릴 : 10
메틸아크릴레이트 : 5
PVDC7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95
메타크릴로니트릴 : 3
메틸아크릴레이트 : 2
PVDC8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85
메타크릴로니트릴 : 10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 5
PVA : 폴리비닐알코올
(무변성, 완전 비누화, 평균 중합도 1700)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전분 : 산화 전분
CMC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염
카올린 : 2 ㎛ 이하의 누적 빈도 88 체적% 의 카올린
<도공 (하도층 없음)>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대해서, 도공층의 도공액을 에어 나이프 코터로 도공 및 열풍 건조기로 건조시켰다. 도공층의 도공량은, 8 g/㎡ 가 되도록 코터 조건을 조정하였다.
<도공 (하도층 있음)>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대해서, 하도층의 도공액을 로드 코터로 도공 및 열풍 건조기로 건조시켰다. 하도층의 도공량은 10 g/㎡ 가 되도록 코터 조건을 조정하였다. 다음으로, 하도층에 대해서, 도공층의 도공액을 에어 나이프 코터로 도공 및 열풍 건조기로 건조시켰다. 도공층의 도공량은, 8 g/㎡ 가 되도록 코터 조건을 조정하였다.
<핀홀>
얻어진 식품 포장 용지로부터 임의로 크기 50 ㎝ × 50 ㎝ 로 재단하였다. 재단된 식품 포장 용지 4 장에 착색 톨루엔액을 식품 포장 용지의 표면 (상기 도공층을 갖는 측) 에 도공하고, 핀홀이 존재했을 경우에 핀홀을 통과하여 반대측에 나타나는 반점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로부터, 핀홀의 발생에 대해서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평가 A, B, C 또는 D 이면, 핀홀의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A : 4 장의 어느 것에도 반점이 확인되지 않는다.
B : 4 장으로부터 시인된 핀홀이 1 개이다.
C : 4 장으로부터 시인된 핀홀이 2 개이다.
D : 4 장으로부터 시인된 핀홀이 3 개이다.
E : 4 장으로부터 시인된 핀홀이 4 개 이상이다.
<가스 배리어성>
가스 배리어성의 평가는, ISO15105-2 : 2003「Plastics-Film and sheeting-Determination of gas-transmission rate-㎩rt2 : Equal-pressure method」(JIS K7126-2 : 2006「플라스틱-필름 및 시트-가스 투과도 시험 방법- 제 2 부 : 등압법」) 에 준하여 실시한 측정 결과로부터 행하였다. 측정은, 상기 도공층을 갖지 않는 측을 가스의 공급면으로 하여 행하였다. 가스 투과도 시험의 가스에는 산소 가스를 사용하여 산소 투과도로 하고, 온습도의 조건은, 23 ± 0.5 ℃ 및 상대 습도 85 ± 2 % 로 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A, B, C 또는 D 의 평가이면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것으로 한다.
A : 산소 투과도 50 ㏄/㎡ ㆍ24 hㆍatm 이하로, 양호.
B : 상기 A 보다 열등하기는 하지만,
산소 투과도 100 ㏄/㎡ ㆍ24 hㆍatm 이하로, 대체로 양호.
C : 상기 B 보다 열등하기는 하지만,
산소 투과도 125 ㏄/㎡ ㆍ24 hㆍatm 이하로, 실용 가능.
D : 상기 C 보다 열등하기는 하지만,
산소 투과도 150 ㏄/㎡ ㆍ24 hㆍatm 이하로, 실용 가능.
E : 상기 D 보다 열등하고,
산소 투과도 150 ㏄/㎡ ㆍ24 hㆍatm 초과로, 실용 불가능.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2 로부터, 상기 [1] 및 [2] 그리고 이것들에 종속 (단, 상기 [3] 을 제외한다) 되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해당하는 실시예 1-1 ∼ 실시예 1-34 는, 핀홀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고,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며, 및 플레이버 배리어성을 갖는 식품 포장 용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1-1 및 비교예 1-2 는, 핀홀의 발생을 경감, 가스 배리어성, 및 플레이버 배리어성 중 적어도 1 개를 얻을 수 없는 식품 포장 용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실시예 1-3 및 실시예 1-6 ∼ 실시예 1-11 간의 대비, 그리고 실시예 1-15 및 실시예 1-19 ∼ 실시예 1-24 간의 대비로부터, 식품 포장 용지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에 있어서 중합체 중의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의 함량이 85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실시예 1-3, 실시예 1-15, 실시예 1-29 및 실시예 1-34 간의 대비로부터, 식품 포장 용지는, 종이 지지체와 도공층 사이에 하도층을 갖고, 하도층이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와 카올린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실시예 1-1 ∼ 실시예 1-5 간의 대비, 그리고 실시예 1-15 및 실시예 1-26 ∼ 실시예 1-29 간의 대비로부터, 식품 포장 용지는 핀홀의 발생을 경감의 관점에서, 종이 지지체의 거얼리 투기도가 30 초 이상 200 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실시예 1-3,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10, 실시예 1-11 및 실시예 1-12 간의 대비, 그리고 실시예 1-15, 실시예 1-20, 실시예 1-21, 실시예 1-23, 실시예 1-24 및 실시예 1-25 간의 대비로부터, 식품 포장 용지는 가스 배리어성의 관점에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가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알킬기가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3] 및 [4] 그리고 이것들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를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한다.
<종이 지지체>
상기한 종이 지지체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작하였다.
얻어진 식품 포장 용지에 대해서, 하기의 평가를 행하였다. 종이 지지체의 거얼리 투기도는 ISO5636-5 : 2013 에 준하고, 토요 정기 제작소사 제조 B 형 거얼리 덴소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거얼리 투기도의 값은 표 3 에 기재한다.
<하도층의 도공액>
물을 매체로 하여 이하의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안료 종류 및 질량부는 표 3 에 기재
수지 종류 및 질량부는 표 3 에 기재
<제 1 도공층의 도공액>
물을 매체로 하여 이하의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수지 종류는 표 3 에 기재/100 질량부
<제 2 도공층의 도공액>
물을 매체로 하여 이하의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수지 종류는 표 3 에 기재/100 질량부
Figure pct00003
표 3 에 등장하는 각 재료는 이하이다.
PVDC1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80
메타크릴로니트릴 : 15
에틸아크릴레이트 : 5
PVDC2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85
메타크릴로니트릴 : 10
에틸아크릴레이트 : 5
PVDC3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90
아크릴로니트릴 : 9
에틸아크릴레이트 : 1
PVDC4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95
아크릴로니트릴 : 3
에틸아크릴레이트 : 2
PVDC5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98
메타크릴로니트릴 : 1.5
에틸아크릴레이트 : 0.5
PVDC6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85
메타크릴로니트릴 : 10
메틸아크릴레이트 : 5
PVDC7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95
메타크릴로니트릴 : 3
메틸아크릴레이트 : 2
PVDC8 :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단량체의 배합 질량% 비)
염화비닐리덴 : 85
메타크릴로니트릴 : 10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 5
아크릴레이트계 A : 에틸아크릴레이트-n-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계 B : 메틸메타크릴레이트-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계 : 스티렌-아크릴계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계 : 스티렌-부타디엔계 공중합체
PVA : 폴리비닐알코올
(무변성, 완전 비누화, 평균 중합도 1700)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전분 : 산화 전분
CMC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염
카올린 : 2 ㎛ 이하의 누적 빈도 88 체적% 의 카올린
<도공 (하도층 없음)>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대해서, 제 1 도공층의 도공액을 에어 나이프 코터로 도공 및 열풍 건조기로 건조시켰다. 제 1 도공층의 도공량은, 5 g/㎡ 가 되도록 코터 조건을 조정하였다. 계속해서, 제 1 도공층에 대해서, 제 2 도공층의 도공액을 로드 코터로 도공 및 열풍 건조기로 건조시켰다. 제 2 도공층의 도공량은, 6 g/㎡ 가 되도록 코터 조건을 조정하였다.
<도공 (하도층 있음)>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대해서, 하도층의 도공액을 로드 코터로 도공 및 열풍 건조기로 건조시켰다. 하도층의 도공량은, 10 g/㎡ 가 되도록 코터 조건을 조정하였다. 다음으로, 하도층에 대해서, 제 1 도공층의 도공액을 에어 나이프 코터로 도공 및 열풍 건조기로 건조시켰다. 제 1 도공층의 도공량은, 5 g/㎡ 가 되도록 코터 조건을 조정하였다. 계속해서, 제 1 도공층에 대해서, 제 2 도공층의 도공액을 로드 코터로 도공 및 열풍 건조기로 건조시켰다. 제 2 도공층의 도공량은, 6 g/㎡ 가 되도록 코터 조건을 조정하였다.
<핀홀>
얻어진 식품 포장 용지로부터 임의로 크기 50 ㎝ × 50 ㎝ 로 재단하였다. 재단된 식품 포장 용지 4 장에 착색 톨루엔액을 식품 포장 용지의 표면 (제 1 도공층 및 제 2 도공층을 갖는 측) 에 도공하고, 핀홀이 존재했을 경우에 핀홀을 통과하여 반대측에 나타나는 반점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로부터, 핀홀의 발생에 대해서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평가 A, B, C 또는 D 이면, 핀홀의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A : 4 장의 어느 것에도 반점이 확인되지 않는다.
B : 4 장으로부터 시인된 핀홀이 1 개이다.
C : 4 장으로부터 시인된 핀홀이 2 개이다.
D : 4 장으로부터 시인된 핀홀이 3 개이다.
E : 4 장으로부터 시인된 핀홀이 4 개 이상이다.
<내수성>
내수성의 평가는, 식품 포장 용지의 표면 (제 1 도공층 및 제 2 도공층을 갖는 측) 에 약 2 ml 의 수적을 적하하고, 적하된 물이, 식품 포장 용지의 표면 (제 1 도공층 및 제 2 도공층을 갖는 측) 에서 스며드는 정도 및 식품 포장 용지의 이면 (제 1 도공층 및 제 2 도공층을 갖지 않는 측) 에서 배어 나오는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행하였다. 관찰 결과로부터, 내수성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평가 A 또는 B 이면 내수성을 갖는 것으로 한다.
A : 스며듬이 없고, 및 배어 나옴이 확인되지 않는다.
B : 스며듬이 약간 확인된다. 그러나, 배어 나옴이 확인되지 않는다.
C : 스며듬이 확인된다. 또, 배어 나옴이 확인된다.
<내유성>
내유성의 평가는, 식품 포장 용지의 표면 (제 1 도공층 및 제 2 도공층을 갖는 측) 에 약 1 ml 의 샐러드유의 유적을 적하하고, 적하된 오일이, 식품 포장 용지의 표면 (제 1 도공층, 제 2 도공층을 갖는 측) 에서 스며드는 정도 및 식품 포장 용지의 이면 (제 1 도공층 및 제 2 도공층을 갖지 않는 측) 에서 배어 나오는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행하였다. 관찰 결과로부터, 내유성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평가 A 또는 B 이면 내유성을 갖는 것으로 한다.
A : 스며듬이 없고, 및 배어 나옴이 확인되지 않는다.
B : 스며듬이 약간 확인된다. 그러나, 배어 나옴이 확인되지 않는다.
C : 스며듬이 확인된다. 또, 배어 나옴이 확인된다.
<가스 배리어성>
가스 배리어성의 평가는, ISO15105-2 : 2003「Plastics-Film and sheeting-Determination of gas-transmission rate-㎩rt2 : Equal-pressure method」(JIS K7126-2 : 2006「플라스틱-필름 및 시트-가스 투과도 시험 방법- 제 2 부 : 등압법」) 에 준하여 실시한 측정 결과로부터 행하였다. 측정은, 제 1 도공층 및 제 2 도공층을 갖지 않는 측을 가스의 공급면으로 하여 행하였다. 가스 투과도 시험의 가스에는 산소 가스를 사용하여 산소 투과도로 하고, 온습도의 조건은, 23 ± 0.5 ℃ 및 상대 습도 85 ± 2 % 로 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A, B, C 또는 D 의 평가이면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것으로 한다.
A : 산소 투과도 50 ㏄/㎡ ㆍ24 hㆍatm 이하로, 양호.
B : 상기 A 보다 열등하기는 하지만,
산소 투과도 100 ㏄/㎡ ㆍ24 hㆍatm 이하로, 대체로 양호.
C : 상기 B 보다 열등하기는 하지만,
산소 투과도 125 ㏄/㎡ ㆍ24 hㆍatm 이하로, 실용 가능.
D : 상기 C 보다 열등하기는 하지만,
산소 투과도 150 ㏄/㎡ ㆍ24 hㆍatm 이하로, 실용 가능.
E : 상기 D 보다 열등하고,
산소 투과도 150 ㏄/㎡ ㆍ24 hㆍatm 초과로, 실용 불가능.
<플레이버 배리어성>
냄새 발생 물질로서 시판되는 레귤러 커피 분말을 사용하였다. 유리컵에 레귤러 커피 분말을 넣고, 컵의 개구부를 식품 포장 용지로 덮고, 개구부의 주위를 테이프에 의해서 엄중하게 봉하였다. 5 명의 피험자에게, 식품 포장 용지로 봉한 컵의 개구부에 대해서 냄새를 맡고, 하기의 기준으로 관능 평가하였다.
3 점 : 냄새를 느끼지 못한다.
2 점 : 냄새를 느낄 것같은 기분이 든다.
1 점 : 냄새를 느낀다.
5 명의 관능 평가의 결과에 기초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플레이버 배리어성을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평가 A 또는 B 이면 플레이버 배리어성을 갖는 것으로 한다.
A : 평가 3 이 3 명 이상이며 또한 평가 1 이 0 명이다.
B : 평가 2 가 3 명 이상이며 또한 평가 1 이 0 명이다.
C : 평가 1 이 1 명 이상이다.
<히트 시일 적성>
2 장의 식품 포장 용지를 사용하여, 식품 포장 용지의 제 1 도공층 및 제 2 도공층을 갖는 측의 면끼리를 대향시켜 히트 실러에 의해서 압력 0.5 ㎫, 130 ℃, 1 초 동안의 조건에 의해서 히트 시일을 실시하였다.
히트 시일된 식품 포장 용지를 15 ㎜ 폭으로 잘라내고, 온도 23 ℃, 상대 습도 50 % 에서 24 시간 정치 (靜置)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고, 인장 속도 300 ㎜/분, 인장 각도 180 도로 히트 시일 지점의 박리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히트 시일 적성을 평가하였다. 측정은, 샘플수 5 부로 행하고, 5 부의 평균치로 하였다. 측정치로부터, 히트 시일 적성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지는, 평가 A, B 또는 C 이면 히트 시일 적성을 갖는 것으로 한다.
A : 값이 10 N/15 ㎜ 이상.
B : 값이 6 N/15 ㎜ 이상 10 N/15 ㎜ 미만.
C : 값이 3 N/15 ㎜ 이상 6 N/15 ㎜ 미만.
D : 값이 3 N/15 ㎜ 미만.
평가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표 4 로부터, 상기 [3] 및 [4] 그리고 이것들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해당하는 실시예 2-1 ∼ 실시예 2-38 은, 내수성, 내유성, 가스 배리어성을 갖고, 플레이버 배리어성을 가지며, 및 핀홀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히트 시일 적성을 갖는 식품 포장 용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2-1 ∼ 비교예 2-3 은, 이들 효과의 어느 것을 만족할 수 없는 식품 포장 용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실시예 2-3 및 실시예 2-6 ∼ 실시예 2-11 간의 대비, 그리고 실시예 2-17 및 실시예 2-21 ∼ 실시예 2-26 간의 대비로부터, 식품 포장 용지는 가스 배리어성의 관점에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에 있어서 중합체 중의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의 함량이 85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실시예 2-3, 실시예 2-17, 실시예 2-33 및 실시예 2-38 간의 대비로부터, 식품 포장 용지는, 종이 지지체와 도공층 사이에 하도층을 갖고, 하도층이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와 카올린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실시예 2-1 ∼ 실시예 2-5 간의 대비, 그리고 실시예 2-17 및 실시예 2-30 ∼ 실시예 2-33 간의 대비로부터, 식품 포장 용지는 핀홀의 발생을 경감하는 관점에서, 종이 지지체의 거얼리 투기도가 30 초 이상 200 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실시예 2-3, 실시예 2-7, 실시예 2-8, 실시예 2-10, 실시예 2-11 및 실시예 2-12 간의 대비로부터, 식품 포장 용지는 가스 배리어성의 관점에서,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가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알킬기가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종이 지지체와, 상기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적어도 1 층의 도공층을 갖고,
    상기 도공층의 적어도 1 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식품 포장 용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공층이 1 층인, 식품 포장 용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공층이, 제 1 도공층과, 종이 지지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도공층의 외측에 제 2 도공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공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하며,
    상기 제 2 도공층이,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식품 포장 용지.
  4. 종이 지지체와, 상기 종이 지지체의 편면에 제 1 도공층과, 종이 지지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도공층의 외측에 제 2 도공층을 갖고,
    상기 제 1 도공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를 함유하며,
    상기 제 2 도공층이,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식품 포장 용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에 있어서, 중합체 중의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의 함량이 85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인, 식품 포장 용지.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지지체와 상기 제 1 도공층 사이에 하도층을 갖고, 상기 하도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에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와, 카올린을 함유하는, 식품 포장 용지.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SO5636-5 : 2013 에 준하여 측정되는, 상기 종이 지지체의 거얼리 투기도가 30 초 이상 200 초 이하인, 식품 포장 용지.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가,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알킬기가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식품 포장 용지.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에 있어서, 중합체 중의 염화비닐리덴 단량체의 함량이 85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인, 식품 포장 용지.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지지체와 상기 도공층 사이에 하도층을 갖고, 상기 하도층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염화비닐리덴 단량체를 주성분에 갖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와, 카올린을 함유하는, 식품 포장 용지.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9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SO5636-5 : 2013 에 준하여 측정되는, 상기 종이 지지체의 거얼리 투기도가 30 초 이상 200 초 이하인, 식품 포장 용지.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가,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알킬기가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식품 포장 용지.
KR1020227011332A 2019-11-13 2020-10-06 식품 포장 용지 KR20220056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05342 2019-11-13
JP2019205342 2019-11-13
JPJP-P-2020-129230 2020-07-30
JP2020129230A JP7377176B2 (ja) 2019-11-13 2020-07-30 食品包装用紙
PCT/JP2020/037913 WO2021095402A1 (ja) 2019-11-13 2020-10-06 食品包装用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237A true KR20220056237A (ko) 2022-05-04

Family

ID=7589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332A KR20220056237A (ko) 2019-11-13 2020-10-06 식품 포장 용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77176B2 (ko)
KR (1) KR20220056237A (ko)
WO (1) WO20210954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989B1 (ko) 2023-04-27 2023-09-15 주식회사 마움프린팅 식품 포장용 슬리브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6950A (ja) 2012-02-29 2013-09-09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紙製バリア包装材料
KR20160076130A (ko) 2014-12-22 2016-06-30 (주)에너토크 터미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1474A (en) * 1977-07-19 1979-02-17 Daicel Chem Ind Ltd Coated thin paper
JP2843057B2 (ja) * 1989-06-29 1999-01-06 三菱化学ビーエーエスエフ株式会社 塩化ビニリデン系樹脂水性エマルジョン組成物
JPH0931889A (ja) * 1995-07-10 1997-02-04 Tokai Pulp Kk 防湿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49978A (ja) * 1997-03-18 1998-09-22 Oji Paper Co Ltd バリア性積層体
JP2000248493A (ja) 1999-03-03 2000-09-12 Asahi Chem Ind Co Ltd 防湿紙の製造方法及び防湿紙
JP3133128U (ja) 2007-02-05 2007-07-05 特種製紙株式会社 防湿紙
JP6857042B2 (ja) 2017-02-07 2021-04-14 旭化成株式会社 塩化ビニリデン系共重合体ラテック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6950A (ja) 2012-02-29 2013-09-09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紙製バリア包装材料
KR20160076130A (ko) 2014-12-22 2016-06-30 (주)에너토크 터미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989B1 (ko) 2023-04-27 2023-09-15 주식회사 마움프린팅 식품 포장용 슬리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5402A1 (ja) 2021-05-20
JP2021075833A (ja) 2021-05-20
JP7377176B2 (ja)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3755B2 (ja) 紙製バリア包装材料
FI124806B (fi) Päällystyspastakoostumus ja sillä päällystetty paperi tai kartonki
CA2720388A1 (en) Composition for coating of printing paper
KR20230069087A (ko) 식품 포장 용지
BR112021010958A2 (pt) Material de embalagem repolpável
JP201101144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
WO202221956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rrier film, and a barrier film
JP2022169426A (ja) 紙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05938B2 (ja) 浸透抑制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印刷用塗工原紙並びに印刷用塗工紙
WO2018221016A1 (ja) 水分散性シート
JP2013176950A (ja) 紙製バリア包装材料
KR20220056237A (ko) 식품 포장 용지
JP7141965B2 (ja) 水分散紙
JP2021075827A (ja) 食品包装用紙
JP7342049B2 (ja) 包装用紙
JP5883326B2 (ja) 印刷用非塗工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057028A (ja) 紙製包装材料
JP2008297668A (ja) 印刷用紙
JP2024112673A (ja) 包装用紙
JP2019167663A (ja) 工程剥離紙用原紙
JP7080404B2 (ja) セルロースナノファイバーを含有する紙
JP2023105881A (ja) ヒートシール紙
JP2023074651A (ja) 包装用紙
JP2022147679A (ja) 包装用紙
JP2022069067A (ja) 包装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