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115A -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 - Google Patents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115A
KR20220055115A KR1020200139254A KR20200139254A KR20220055115A KR 20220055115 A KR20220055115 A KR 20220055115A KR 1020200139254 A KR1020200139254 A KR 1020200139254A KR 20200139254 A KR20200139254 A KR 20200139254A KR 20220055115 A KR20220055115 A KR 20220055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conveyor belt
fish
push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523B1 (ko
Inventor
알렉세이 김
Original Assignee
알렉세이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렉세이 김 filed Critical 알렉세이 김
Priority to KR1020200139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5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2Arranging fish, e.g.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head and tail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6Work-tables; Fish-holding and auxiliary devices in connection with work-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구동수단에 의해 캠이 회전하면서 상기 캠에 연결된 작동링크가 캠 표면의 캠 홈을 따라 왕복하는 동안 상기 작동링크의 일측에 연결된 푸셔가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운반되는 생선 머리를 안으로 밀어서 정리하도록 구성된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컨베이어벨트는 헤드푸셔장치의 하부에 위치하고, 캠은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캠축 상에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수평을 이루도록 가로방향으로 배열된다. 캠의 표면에는 캠의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캠 홈이 형성되어 이 캠 홈에 상기 작동링크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캠의 회전과 함께 상기 작동링크가 캠 홈을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내,외측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 끝단에 구비되어 기어들의 결합 형태로 구동원의 동력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된 기어박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로부터 연장되는 캠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캠축은 캠 홈을 따라 동작하는 작동링크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내,외측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반대편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HEAD PUSHING DEVICE FOR ARRANGING FISH}
본 발명은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운반되는 생선들을 정리하기 위한 헤드푸셔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류 가공, 즉 어류의 내장처리는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칼을 이용하여 어류의 길이방향으로 배를 갈라 뱃속의 내장들을 제거해내는 수공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수공적인 어류의 가공에서는 매우 미끄러운 점액으로 쌓여있는 어류의 몸통을 파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유연한 몸체를 잡아 배를 가르는 것에 숙련이 요구되고, 그 처리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가공능률이 저조하고 따라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있다.
그리하여 어류의 가공을 수공적인 방식에서 일련의 기계적이고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특허등록번호 제10-500958호, 특허출원번호 제2006-54733호,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59069호와 같은 어류가공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어류가공장치들은 무한궤도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어류 가공물을 이송시키면서 그 가공물의 이송경로 중에 설치되는 한 쌍의 커터 또는 수압을 이용한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어류의 배를 절개해 배속의 내장들을 제거처리케 하고 있으며, 어류가공장치를 이용할 경우 기계적 절단, 자동이송, 배출 및 분배 등의 어류 가공작업을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가공장치의 경우, 칼날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거나, 일정 크기로 토막을 내거나, 특정 부위를 절개하는 등의 가공 작업에 치우쳐 있어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운반되는 다수의 생선들이 정리되어 있지 않고 컨베이어벨트 밖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이송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별도의 인력을 동원한 추가작업이 필수적이었다.
그로 인해, 어류 가공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작업 효율 저하와 인건비 상승 등의 문제가 있어 개선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발된 것으로,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운반되는 다수의 생선들을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는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구동수단에 의해 캠이 회전하면서 상기 캠에 연결된 작동링크가 캠 표면의 캠 홈을 따라 왕복하는 동안 상기 작동링크의 일측에 연결된 푸셔가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운반되는 생선 머리를 안으로 밀어서 정리하도록 구성된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로서,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헤드푸셔장치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캠은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캠축 상에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수평을 이루도록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캠의 표면에는 캠의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캠 홈이 형성되어 이 캠 홈에 상기 작동링크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캠의 회전과 함께 상기 작동링크가 캠 홈을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내,외측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 끝단에 구비되어 기어들의 결합 형태로 구동원의 동력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된 기어박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로부터 연장되는 캠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캠축은 캠 홈을 따라 동작하는 작동링크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내,외측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반대편으로 연장되되, 상기 작동링크는, 상기 캠의 캠 홈 안에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를 가로질러 컨베이어벨트의 양측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상에 중심부가 축 결합되어 상기 캠의 회전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축 아래의 작동링크 하부가 컨베이어벨트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왕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작동링크의 하단부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운반되는 생선 머리를 안으로 밀어넣기 위한 상기 푸셔가 배치되는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가 제공된다.
상술된 특징들로부터 본 발명은 생선 처리과정에서 정리되지 않고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운반되는 다수의 생선들을 가지런하게 정리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의 측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의 작동에 따른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필연적인 부분들을 제외하고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걸쳐 동일 유사한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의 전체 구성 및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측면, 배면 및 저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는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캠(20)이 회전하면서 이 캠에 연결된 작동링크(30)가 캠 표면의 캠 홈(21)을 따라 왕복하는 동안 상기 작동링크(30)의 일측에 연결된 푸셔(45)가 컨베이어벨트(80, 도 5 참조)를 따라 운반되는 생선 머리(미도시)를 안으로 밀어서 정리하게 되는 작동원리를 제공한다.
캠(20)은 원기둥 형상으로 본 발명의 헤드 푸셔장치의 하부에 위치되는 컨베이어벨트(80)와 수평을 이루도록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며, 캠(20)의 표면에는 캠(20)의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캠 홈(21)이 형성되어 이 캠 홈에 작동링크(30)의 상단부(32)가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캠(20)의 회전과 함께 작동링크(30)가 캠 홈(21)을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내,외측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캠(20)의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축(11)과 이 구동축의 일 끝단에 구비되는 기어박스(12), 그리고 기어박스로부터 연장되는 캠축(13)으로 구성된다. 기어박스(12)는 구동원의 동력 전달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내부에 복수의 기어들의 결합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기어박스(12)로부터 연장된 캠축(13)은 캠 홈(21)을 따라 동작하는 작동링크(30)가 컨베이어벨트(80)의 내,외측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동축(11)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컨베이어벨트(80)의 반대편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축(13) 상에는 캠(20)이 형성되고 이 캠(20)의 캠 홈(21) 안에 상단부(32)가 삽입된 상태로 하향 연장된 작동링크(3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80)의 상부를 가로질러 컨베이어벨트의 양측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50) 상에 그 중심부가 축 결합되어 캠(20)의 회전시 이 축(31)을 중심으로 축(31) 아래의 작동링크 하부가 컨베이어벨트(80)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왕복하게 된다. 또한, 작동링크(30)의 하단부(33)에는 컨베이어벨트(80)를 따라 운반되는 생선 머리(미도시)를 안으로 밀어넣기 위한 푸셔(4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푸셔(45)는 캠(20)의 회전에 의해 캠 홈(21)을 따라 컨베이어벨트(80)의 내,외측 방향으로 왕복하는 작동링크(30)에 의해 컨베이어벨트 밖으로 튀어나온 생선 머리를 안쪽으로 밀어넣어 생선들을 고르게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푸셔(45)와 마주하게 되는 컨베이어벨트(80) 상에는 생선들의 가슴지느러미 부분을 눌러주기 위한 수단으로 일정한 형상의 클램프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부재(60)는 컨베이어벨트(80)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누름대(61)들을 갖는 것으로, 이 누름대(61)들이 연결된 클램프부재(60)의 일측은 푸셔(45)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컨베이어벨트(80) 너머의 외측 일부에 고정된 받침대(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푸셔(45)와 대응하는 각 누름대(61)의 끝단들에는 톱날 형상부(62), 칼날 형상부(63), 바 형상부(64)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부재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누름대(61)들은 끝단에 위치된 톱날 형상부(62), 칼날 형상부(63), 바 형상부(64)가 생선들의 가슴지느러미 부분을 눌러줄 때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각 누름대(61)들의 일측이 스프링(71)에 의해 탄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푸셔(45)는 각각의 누름대(61)들의 끝단에 위치된 톱날 형상부(62), 칼날 형상부(63), 바 형상부(64)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컨베이어벨트(8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80)에 대하여 전후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술한 바와 같이 캠축(13)이 컨베이어벨트(80)와 동일선상에 있지 않고 컨베이어벨트(80)와 일정한 각도를 두고 수평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것이므로, 캠(20)의 캠 홈(21)을 따라 동작하는 작동링크(30)와 푸셔(45)를 연결하도록 이들 사이에 연결바(4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바(41)를 지지하기 위해 이 연결바(41)의 일측에는 작동링크(30)의 왕복운동과 연동하는 작동로드(4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작동로드(40)는 컨베이어벨트(80)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연장되고, 일 끝이 연결바(41)와 연결되어 작동링크(30)와 연동하고 다른 끝이 가로방향으로 피동축(42)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동축(42)은 지지프레임(50)의 가로대(51)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피동축(42)과 작동로드(40)의 연결은 피동축(42)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연장바(43)의 하단 힌지부(44)에 의해 컨베이어벨트(80)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왕복운동가능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푸셔의 푸싱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푸셔의 푸싱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동원인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축(11)이 회전하면 기어박스(12)를 통해 캠축(13)으로 구동원의 동력 방향이 전환되고, 캠축(13)의 회전으로 캠(20)이 회전하면 작동링크(30)의 상단부(32)가 캠 홈(21)을 따라 캠(2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축(31)을 중심으로 축(31) 아래의 작동링크 하부가 컨베이어벨트(80)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왕복하게 된다.
작동링크(30) 하부의 컨베이어벨트(80)의 내,외측 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은 캠축(13)이 컨베이어벨트(80)와 동일선상에 있지 않고 컨베이어벨트(80)와 일정한 각도를 두고 수평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 구성을 갖기 때문으로, 작동링크(30) 하부가 컨베이어벨트(80)의 내,외측 방향으로 왕복함에 따라 작동링크(3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하여 컨베이어벨트(80)의 외측에 위치되는 푸셔(45)가 연결바(41)를 매개로 작동링크(30)와 연동하여 컨베이어벨트(80)의 내,외측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베이어벨트(80) 상에는 생선을 올려놓기 위한 피쉬트레이(90)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피쉬트레이(90)에 올려진 생선들은 머리가 푸셔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향하며 가슴지느러미 부분이 클램프부재(60)의 각 누름대(61)들의 끝단들, 즉 톱날 형상부(62), 칼날 형상부(63), 바 형상부(64)에 의해 눌러진 상태로 운반되는데, 이때 각 누름대(61)들의 끝단들을 지나 컨베이어벨트(80) 밖으로 튀어나온 생선 머리를 푸셔(45)의 푸싱(pushing, 도 5b 참조) 동작에 의해 컨베이어벨트(80) 안으로 밀어 넣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생선 처리과정에서 컨베이어벨트(80)를 따라 운반되는 다수의 생선들을 가지런하게 정리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그 일부를 예시한 정도에 불과하며,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나타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동일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물의 많은 변화, 수정 및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 : 구동축
12 : 기어박스
13 : 캠축
20 : 캠
21 : 캠 홈
30 : 작동링크
31 : 축
32 : 상단부
33 : 하단부
41 : 연결바
42 : 피동축
43 : 연장바
44 : 힌지부
45 : 푸셔
50 : 지지프레임
51 : 가로대
60 : 클램프부재
61 : 누름대
62 : 톱날 형상부
63 : 칼날 형상부
64 : 바 형상부
70 : 받침대
71 : 스프링
80 : 컨베이어벨트
90 : 피쉬트레이

Claims (7)

  1. 하나 이상의 구동수단에 의해 캠이 회전하면서 상기 캠에 연결된 작동링크가 캠 표면의 캠 홈을 따라 왕복하는 동안 상기 작동링크의 일측에 연결된 푸셔가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운반되는 생선 머리를 안으로 밀어서 정리하도록 구성된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헤드푸셔장치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캠은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수평을 이루도록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캠의 표면에는 캠의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캠 홈이 형성되어 이 캠 홈에 상기 작동링크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캠의 회전과 함께 상기 작동링크가 캠 홈을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내,외측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 끝단에 구비되는 기어박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로부터 연장되는 캠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어박스는 구동원의 동력 전달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내부에 복수의 기어들의 결합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 상에 캠이 형성되고, 상기 캠축은 캠 홈을 따라 동작하는 작동링크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내,외측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반대편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링크는, 상기 캠의 캠 홈 안에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를 가로질러 컨베이어벨트의 양측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상에 중심부가 축 결합되어 상기 캠의 회전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축 아래의 작동링크 하부가 컨베이어벨트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왕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작동링크의 하단부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운반되는 생선 머리를 안으로 밀어넣기 위한 상기 푸셔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와 마주하게 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 상에는 생선의 가슴지느러미 부분을 눌러주기 위한 클램프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누름대를 가지되, 상기 푸셔와 대응하는 각 누름대의 끝단들에는 톱날 형상부, 칼날 형상부 및 바 형상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상들로 이루어진 부재들이 구비되고, 상기 각 누름대는 톱날 형상부, 칼날 형상부 및 바 형상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상들로 이루어진 부재들이 생선의 가슴지느러미 부분을 눌러줄 때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각 누름대의 일측이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톱날 형상부, 칼날 형상부 및 바 형상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형상 부재들과 마주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링크와 푸셔를 연결하도록 상기 작동링크와 상기 푸셔 사이에 연결바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바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바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작동링크의 왕복운동과 연동하는 작동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연장하여 일 끝이 상기 연결바와 연결되고 다른 끝이 가로방향으로 피동축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
KR1020200139254A 2020-10-26 2020-10-26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 KR102499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254A KR102499523B1 (ko) 2020-10-26 2020-10-26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254A KR102499523B1 (ko) 2020-10-26 2020-10-26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115A true KR20220055115A (ko) 2022-05-03
KR102499523B1 KR102499523B1 (ko) 2023-02-14

Family

ID=8159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254A KR102499523B1 (ko) 2020-10-26 2020-10-26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52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654Y1 (ko) * 2006-05-24 2006-08-09 김선의 절단기
KR20110048814A (ko) * 2009-11-03 2011-05-1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래버스 캠을 이용한 등속직선 왕복운동장치
KR20150054562A (ko) * 2013-11-12 2015-05-20 주식회사 청하기계 생선 가공기
KR20160104469A (ko) * 2015-02-26 2016-09-05 주식회사 참코청하 생선 두미 절단장치
KR20200025866A (ko) * 2018-08-31 2020-03-10 주식회사 참코청하 생선 가공장치
KR20210117473A (ko) * 2020-03-19 2021-09-29 (주)그랜드벨 어류 필렛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654Y1 (ko) * 2006-05-24 2006-08-09 김선의 절단기
KR20110048814A (ko) * 2009-11-03 2011-05-1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래버스 캠을 이용한 등속직선 왕복운동장치
KR20150054562A (ko) * 2013-11-12 2015-05-20 주식회사 청하기계 생선 가공기
KR20160104469A (ko) * 2015-02-26 2016-09-05 주식회사 참코청하 생선 두미 절단장치
KR20200025866A (ko) * 2018-08-31 2020-03-10 주식회사 참코청하 생선 가공장치
KR20210117473A (ko) * 2020-03-19 2021-09-29 (주)그랜드벨 어류 필렛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523B1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745B1 (ko) 마늘줄기 절단장치
US2716776A (en) Shrimp processing apparatus
PL197172B1 (pl) Urządzenie do obierania warzyw, zwłaszcza szparagów i sposób obierania warzyw, zwłaszcza szparagów
US83429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the second joint of a poultry wing and product therefrom
CN108576169A (zh) 一种自动锯骨机
KR20220055115A (ko) 생선정리용 헤드푸셔장치
KR100807657B1 (ko) 연승채낚기용 미끼세절장치
KR101554330B1 (ko) 건어물 다짐 가공장치
CN111604969A (zh) 自动切花机
US6485363B2 (en) Shrimp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of processing shrimp
CN111071532A (zh) 一种生姜自动切片装盒设备
US20090075579A1 (en) cutting apparatus
KR200306217Y1 (ko) 마늘줄기절단기
JP3325873B2 (ja) 野菜割断装置
KR20080036857A (ko) 자동 닭 절단기
KR101299201B1 (ko) 미역줄기 세절기
KR200172787Y1 (ko) 채낚기 어업용 미끼세절장치
CN211682345U (zh) 一种多规格刀具的切肉机
US5010713A (en) Apparatus for packaging fishes in cans
KR200146978Y1 (ko) 마늘대 절단장치
KR101979736B1 (ko) 참치 살코기 분리장치
US1948622A (en) Slicing machine
KR102486578B1 (ko) 골절기를 이용한 냉동식품 절단장치
KR200415838Y1 (ko) 콩나물 두절기
JP2009160684A (ja) 食肉スライ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