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934A -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934A
KR20220054934A KR1020200138887A KR20200138887A KR20220054934A KR 20220054934 A KR20220054934 A KR 20220054934A KR 1020200138887 A KR1020200138887 A KR 1020200138887A KR 20200138887 A KR20200138887 A KR 20200138887A KR 20220054934 A KR20220054934 A KR 20220054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tractor
root crop
vibrating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660B1 (ko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김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현 filed Critical 김기현
Priority to KR1020200138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6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8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haker type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5/00Auxiliary drives
    • B60K25/06Auxiliary drives from the transmission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고구마, 감자 등과 같은 뿌리 작물을 수확기(트랙터)를 이용하여 채굴할 경우 고구마가 땅속에 묻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는
트랙터에 연결되는 채굴기에 의해 채굴되는 뿌리 작물로부터 흙을 털어내기 위한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에 적용되고,
상기 트랙터 뒷쪽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채굴프레임;
상기 채굴프레임 임의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트랙터의 동력인출장치(P.T.O)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유압펌프;
상기 채굴프레임의 뒷쪽 수평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간격조절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유입되는 작동유 량을 제어하는 컨트롤밸브에 의해 구동속도가 제어되는 복수개의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의 출력축이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홈에 결합되는 진동축의 외측면에 형성된 진동추 회전시 갈고리형태의 흙털이구에 진동이 발생되어 채굴되는 뿌리 작물로부터 흙을 털어 분리시키는 진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a vibration device for root crops harvester}
본 명세서는 뿌리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구마, 감자 등과 같은 뿌리 작물(구황작물)을 수확기를 이용하여 채굴할 경우 고구마가 땅속에 묻히는(매몰) 것을 방지하기 위한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감자, 고구마 등의 뿌리 작물은 물 빠짐이 좋은 생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두둑을 형성하여 재배하고, 수확시기가 되면 작물 줄기를 먼저 제거한 후에 두둑에 씌운 피복비닐을 걷고, 호미, 괭이 등의 농기구를 이용하여 채굴하고, 채굴된 뿌리 작물은 상자, 망포대와 같은 포장수단에 담은 상태로 판매하거나 저온 창고에 보관하게 된다.
전술한 뿌리 작물은 수확시 트랙터 등의 채굴장치를 이용하여 흙을 파면서 채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지만, 채굴된 뿌리 작물이 흙에 다시 묻히거나(매몰) 뿌리에서 흙이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아 작업자가 뿌리 작물의 흙을 재차 털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또한, 채굴장치를 이용하여 뿌리 작물을 채굴하는 과정에서 고구마가 절단되어 손상되거나 외관이 훼손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판매시 제값을 받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트랙터와 같은 채굴장치를 이용하여 뿌리 작물을 수확할 경우, 진동장치에 채굴날을 연결시켜 채굴날에 의해 채굴되는 고구마로부터 흙을 털어내어 땅속에 고구마가 묻히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이 손상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진동장치가 구비된 채굴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48005호에 역회전 컨베이어에 의한 토양 분리 기능을 갖는 구근류 수확장치가 출원공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트랙터에 연결되는 채굴기를 이용하여 고구마, 감자 등과 같은 뿌리 작물을 채굴할 경우, 갈고리형태의 흙털이구를 진동시켜 흙을 털어줌에 따라 고구마가 땅속에 묻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땅속의 고구마를 채굴하는 과정에서 고구마가 절단되거나 외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 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랙터에 연결되는 채굴기에 의해 채굴되는 뿌리 작물로부터 흙을 털어내기 위한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에 적용되고,
상기 트랙터 뒷쪽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채굴프레임;
상기 채굴프레임 임의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트랙터의 동력인출장치(P.T.O)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유압펌프;
상기 채굴프레임의 뒷쪽 수평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간격조절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유입되는 작동유 량을 제어하는 컨트롤밸브에 의해 구동속도가 제어되는 복수개의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의 출력축이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홈에 결합되는 진동축에 형성된 진동추 회전시 갈고리형태의 흙털이구에 진동이 발생되어 채굴되는 뿌리 작물로부터 흙을 털어 분리시키는 진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트랙터에 연결된 채굴기를 이용하여 고구마 등과 같은 뿌리 작물을 채굴할 경우, 갈고리형태의 흙털이구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진동시켜 흙을 털어줌에 따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고구마가 땅속에 묻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고구마 수확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땅속의 고구마를 채굴하는 과정에서 고구마가 절단되어 손상되거나 외관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상품성 및 저장성이 보다 향상되어 재배농가 수입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에서, 진동장치를 구동시키는 유압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본 명세서의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의 요부발췌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동장치의 장착상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장치를 트랙터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채굴프레임에 장착시킨 도면,
도 6은 본 명세서의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는
트랙터에 연결되는 채굴기에 의해 채굴되는 고구마 등의 뿌리 작물로부터 흙을 털어내기 위한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에 적용되고,
트랙터(10) 뒷쪽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채굴프레임(11);
채굴프레임(11) 임의위치에 장착되고, 트랙터(10)의 동력인출장치(미 도시)(P.T.O)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유압펌프(12);
채굴프레임(11)의 뒷쪽 수평간(13)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간격조절가능하게 고정되며, 유압펌프(12)로부터 유입되는 작동유 량을 제어하는 컨트롤밸브(MCV)(미 도시)에 의해 구동속도가 제어되는 복수개의 유압모터(14);
유압모터(14)의 출력축(15)이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상단의 결합홈(20)(일 예로서, 사각홈, 키이홈(keyway)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에 결합되는 진동축(16)(즉, 출력축(15)을 진동축(16)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하되, 출력축(15)이 진동축(16)에 단일체로 연결되지않은 상태임)의 외측면에 형성된 진동추(17) 회전시 갈고리형태의 흙털이구(18)에 진동이 발생되어 채굴기(27)(트랙터(10) 주행시 뿌리 작물이 심어진 두둑(30)을 파 헤치는 괭이, 호미 등의 농기구 역할을 하게 됨)에 의해 채굴되는 뿌리 작물로부터 흙을 털어 분리시키는 진동장치(1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진동장치(19)는
흙털이구(18)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진동추(17)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중간 하우징(21);
중간 하우징(21) 저면에 장착되고, 내부의 제1베어링(미 도시)에 의해 진동축(16) 하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23);
중간 하우징(21) 상면에 장착되고, 내부의 제2베어링(미 도시)에 의해 진동축(16) 상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하우징(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진동추(17)는
진동축(16) 회전시 진동이 크게 발생되도록 진동축(16)에 고정되는 내측 사이즈보다 외측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어 부채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출력축(15)은
진동추(17)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와이어(wire)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28 및 29는 전술한 진동추(17) 회전시 중간 하우징(21) 외측면에 고정된 흙털이구(18)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중간 하우징(21)의 외측면에 대칭되게 연장형성된 고정날개(24)의 일단 및 타단을 가이더(26)에 상하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도록 고정하기 위한 압축코일스프링 및 원통형태의 내부가 빈 고무재질의 탄성체이며, 25는 유압모터(14) 회전시 축방향으로 유동되는 출력축(15)을 수용하여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전술한 트랙터(10)에 연결된 채굴기(27)를 이용하여 두둑(30)에 심어진 고구마 등의 뿌리 작물을 채굴(수확)할 수 있도록 뿌리 작물에 연결된 두둑(30) 위의 고구마 줄기를 제순기(미 도시)를 이용하여 먼저 제거하게 된다.
줄기가 제거된 뿌리 작물의 수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트랙터(10) 주행시 트랙터(10)의 동력인출장치(P.T.O)에 연결된 유압펌프(12)를 구동시킴에 따라 유압탱크(T)의 작동유가 유압펌프(12) 및 메인컨트롤밸브(MCV)(도면부호 미 표기)를 경유하여 유압모터(14)에 공급되어 임의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트랙터(10)의 P.T.O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유압펌프(12)를 회전시키고, 유압펌프(12)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를 메인컨트롤밸브에 의해 작동유를 제어하여 유압모터(14)에 공급하여 회전시키는 유압시스템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구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구마 줄기가 제거된 고구마 밭에 트랙터(10)가 진입하여 주행함에 따라 두둑(30)의 고구마를 채굴기(27)에 의해 채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트랙터(10) 뒷쪽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채굴프레임(11)에 형성된 가이더(26)(소위 '성애'를 말함)는 인접한 두둑(30)과 두둑(30) 사이의 골(도면부호 미 표기)에 위치하고, 채굴기(27)의 중심은 두둑(30)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트랙터(10)를 주행시켜 채굴기(27)에 의해 두둑(30)의 고구마를 채굴할 경우, 채굴프레임(11)의 뒷쪽에 위치한 수평간(13)에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된 유압모터(14)에 연결되는 진동장치(19) 구동에 의해 진동되는 흙털이구(18)에 의해 채굴된 고구마 표면에 달라붙은 흙을 포함한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전술한 수평간(13)에 고정된 유압모터(14)가 임의속도로 구동될 경우, 유압모터(14)의 출력축(15) 하단에 연결되고, 가이더(26)에 장착된 진동장치(19)에 의해 흙털이구(18)에 진동을 발생시켜 고구마 표면의 잔류된 흙을 털어낼 수 있다.
즉, 유압모터(14) 구동시 이의 출력축(15) 하단이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상단의 결합홈(20)에 결합된 진동축(16)이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축방향으로 유동되는 진동축(16)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케이스(25)에 의해 진동축(16)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유압모터(14)에 의해 진동축(16)이 회전하게 되어 진동축(16) 외측면에 형성된 부째꼴 형태의 진동추(17)가 회전하게 되므로, 가이더(26)에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도록 압축코일스프링(28) 및 탄성체(29)에 의해 고정날개(24)가 부착된 진동장치(19)의 중간 하우징(21)이 진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중간 하우징(21) 외측면에 형성된 흙털이구(18)를 진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트랙터(10) 주행시 채굴기(27)(호미 또는 괭이 역할을 함)에 의해 두둑(30)속의 고구마를 채굴(수확)할 경우, 채굴기(27)에 의해 두둑(30)으로부터 퍼올려지는 고구마를 포함한 흙이 채굴기(27) 상면에 올려진 후, 채굴기(27)뒷쪽의 흙털이구(18)에 이동되는 동작이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이때, 전술한 진동장치(19)의 진동추(17) 회전으로 인해 흙털이구(18)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진동시킴에 따라 흙털이구(18)에 올려진 고구마에 달라붙은 흙을 털어내어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전술한 트랙터(10) 뒷쪽에 채굴프레임(11)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되, 채굴프레임(11)의 뒷쪽 수평간(13)에 고정되는 가이드(26)(성애)를 두둑(3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시킨 수확기를 이용하여 고구마 등의 뿌리 작물을 채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트랙터
11; 채굴프레임
12; 유압펌프
13; 수평간
14; 유압모터
15; 출력축
16; 진동축
17; 진동추
18; 흙털이구
19; 진동장치
20; 결합홈
21; 중간 하우징
22; 상부 하우징
23; 하부 하우징
24; 고정날개
25; 케이스
26; 가이더(성애)
27; 채굴기
28; 압축코일스프링
29; 탄성체

Claims (4)

  1. 트랙터에 연결되는 채굴기에 의해 채굴되는 뿌리 작물로부터 흙을 털어내기 위한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에 적용되고,
    상기 트랙터 뒷쪽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채굴프레임;
    상기 채굴프레임 임의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트랙터의 동력인출장치(P.T.O)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유압펌프;
    상기 채굴프레임의 뒷쪽 수평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간격조절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유입되는 작동유 량을 제어하는 컨트롤밸브에 의해 구동속도가 제어되는 복수개의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의 출력축이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홈에 결합되는 진동축의 외측면에 형성된 진동추 회전시 갈고리형태의 흙털이구에 진동이 발생되어 채굴되는 뿌리 작물로부터 흙을 털어 분리시키는 진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장치는
    상기 흙털이구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진동추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중간 하우징;
    상기 중간 하우징 저면에 장착되고, 내부의 제1베어링에 의해 상기 진동축 하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
    상기 중간 하우징 상면에 장착되고, 내부의 제2베어링에 의해 상기 진동축 상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추는
    상기 진동축에 고정되는 내측 사이즈보다 외측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어 부채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은
    상기 진동추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




KR1020200138887A 2020-10-26 2020-10-26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 KR102585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887A KR102585660B1 (ko) 2020-10-26 2020-10-26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887A KR102585660B1 (ko) 2020-10-26 2020-10-26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934A true KR20220054934A (ko) 2022-05-03
KR102585660B1 KR102585660B1 (ko) 2023-10-05

Family

ID=8159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887A KR102585660B1 (ko) 2020-10-26 2020-10-26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66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8969A1 (en) * 1992-05-07 1993-11-10 JOHNSON FARM MACHINERY COMPANY, Inc. Multiple weight drum shaker
KR19980055623U (ko) * 1998-03-02 1998-10-07 한정식 땅속 농작물 수확기
KR20050121286A (ko) * 2004-06-22 2005-12-27 김순길 알 뿌리 채취기
KR100645989B1 (ko) * 2004-11-02 2006-11-15 경 호 김 심토파쇄기용 구동장치
US20070222242A1 (en) * 2006-03-23 2007-09-27 Daniels Richard D Sr Vibrating manure fork
KR100912925B1 (ko) * 2009-06-19 2009-08-20 이시환 마늘 수확기
KR20100000037A (ko) * 2008-06-24 2010-01-06 전영후 땅속 작물 수확장치
KR101476921B1 (ko) * 2013-08-01 2014-12-26 정근화 진동식 굴취기
KR20170000202A (ko) * 2015-06-23 2017-01-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2중 진동형 수확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8969A1 (en) * 1992-05-07 1993-11-10 JOHNSON FARM MACHINERY COMPANY, Inc. Multiple weight drum shaker
KR19980055623U (ko) * 1998-03-02 1998-10-07 한정식 땅속 농작물 수확기
KR20050121286A (ko) * 2004-06-22 2005-12-27 김순길 알 뿌리 채취기
KR100645989B1 (ko) * 2004-11-02 2006-11-15 경 호 김 심토파쇄기용 구동장치
US20070222242A1 (en) * 2006-03-23 2007-09-27 Daniels Richard D Sr Vibrating manure fork
KR20100000037A (ko) * 2008-06-24 2010-01-06 전영후 땅속 작물 수확장치
KR100912925B1 (ko) * 2009-06-19 2009-08-20 이시환 마늘 수확기
KR101476921B1 (ko) * 2013-08-01 2014-12-26 정근화 진동식 굴취기
KR20170000202A (ko) * 2015-06-23 2017-01-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2중 진동형 수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660B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585B1 (ko) 양파 수확기
KR101587220B1 (ko) 2중 진동형 구근작물 수확기
US5353881A (en) Counter-rotating twin shaft system for gardening machines
CN103918395B (zh) 一种胡萝卜切缨收获机
US4329836A (en) Harvesting units
KR200353996Y1 (ko) 마늘 수확기
KR20220167355A (ko)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CN209120649U (zh) 一种分段式大葱收获机
CN103430684A (zh) 花生收获机
KR101663868B1 (ko) 땅속 작물 수확기
KR20220054934A (ko)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
CN109429666A (zh) 一种分段式大葱收获机及收获方法
KR200432293Y1 (ko) 땅속작물 수확기
CN206136619U (zh) 硒砂瓜种植挖穴机
KR100883325B1 (ko) 땅속 작물수확기
JP3597914B2 (ja) 圃場への流動性肥料施肥方法と装置
JP2968383B2 (ja) 覆土機
CN103814672A (zh) 一种丹参联合作业收获机
KR20220033253A (ko) 트랙터용 수집형 구근류 농작물수확기
CN2901827Y (zh) 高效花生收割机
KR200327689Y1 (ko) 비료 공급을 겸한 진동형 심토파쇄기
KR0115759Y1 (ko) 트렉터용 구근류 수확기
KR102249157B1 (ko) 구근작물 수확기
KR20140032593A (ko) 작물줄기 분쇄장치 부착 땅속작물 수확기
CN211831906U (zh) 一种大蒜洋葱花生联合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