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5623U - 땅속 농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땅속 농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5623U
KR19980055623U KR2019980002846U KR19980002846U KR19980055623U KR 19980055623 U KR19980055623 U KR 19980055623U KR 2019980002846 U KR2019980002846 U KR 2019980002846U KR 19980002846 U KR19980002846 U KR 19980002846U KR 19980055623 U KR19980055623 U KR 199800556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harvester
crops
side frame
pull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식
Original Assignee
한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식 filed Critical 한정식
Priority to KR2019980002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5623U/ko
Publication of KR19980055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623U/ko

Links

Landscapes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수확기의 구동벨트를 트랙터의 유압으로 구동시켜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땅속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확기는 사이드 프레임의 전방에 다수개의 링크들로 설치되며, 상기 트랙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땅속 농작물들의 줄기나 파등의 뿌리식물들을 절단하기 위한 와이어 커터와 ;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양측 내면에 전방으로 경사지게 고정 결합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상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흙을 퍼올리면서 땅속에 묻혀 있는 농작물 등을 캐내는 제2칼날들과 ;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양측 전/후면에 고정된 아이들 풀리 및 구동 풀리들과, 상기 각각의 구동 풀리 및 아이들 풀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벨트들과, 상기 구동벨트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농작물들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봉들과 ;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확기와 연결되는 트랙터의 유압에 의해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구동력으로 구동벨트들을 작동시키는 유압모터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땅속 농작물 수확기
본 고안은 트랙터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확기의 구동벨트를 트랙터의 유압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땅속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땅속 농작물들을 재배하는 수확기는 각각의 부품들이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어느 한 개의 부품이 파손되었을 때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농작물들을 캐내는 칼날들은 수확기의 고정편에 용접작업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 개의 칼날이 파손되면 고정편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농작물들을 이송시키는 구동벨트에는 다수개의 봉들이 별도의 고정쇠 없이 단순히 리벳팅 작업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파손된 봉을 교체시에 구동벨트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또한 종래의 수확기는 봉들이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구동벨트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땅콩 등의 농작물(크기가 작은 농작물)을 수확시에는 다른 수확기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수확기는 부품 교체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과다한 비용을 부가시킬 뿐만 아니라 농작물의 크기가 제한되어 항상 일정한 크기의 농작물만 수확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확기의 구동벨트를 트랙터의 유압으로 구동시켜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땅속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땅속 농작물의 줄기 및 파등의 뿌리식물들을 절단하여 수확할 수 있는 땅속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땅속 농작물 수확기는 수확기의 사이드 프레임의 전방에 다수개의 링크들로 설치되며, 상기 트랙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땅속 농작물들의 줄기나 파등의 뿌리식물들을 절단하기 위한 와이어 커터와 ;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양측 내면에 전방으로 경사지게 고정 결합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상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흙을 퍼올리면서 땅속에 묻혀 있는 농작물 등을 캐내는 제2칼날들과 ;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양측 전/후면에 고정된 아이들 풀리 및 구동 풀리들과, 상기 각각의 구동 풀리 및 아이들 풀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벨트들과, 상기 구동벨트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농작물들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봉들과 ;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확기와 연결되는 트랙터의 유압에 의해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구동력으로 구동벨트를 작동시키는 유압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땅속 농작물 수확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제 2 도는 제 1도의 정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땅속 농작물 수확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 4 도는 제 3 도에서 A-A부분의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땅속 농작물 수확기에서 구동벨트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땅속 농작물 수확기에서 유압모터의 구성 및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8 : 제1칼날 34 : 기어박스
48 : 와이어 커터 50 : 사이드 프레임
56a, 56b, 56c : 아이들 풀리 64 : 제2칼날
68 : 진동자 70 : 구동벨트
72 : 봉 76a, 76b, 76c : 구동풀리
78 : 스프라켓 88 : 베어링
90 : 유압모터 94 : 캠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땅속 농작물 수확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수확기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며, 이는 땅속 농작물들을 캐내는 제2칼날 64, 상기 농작물들을 이송시키는 구동벨트 70 및 다수개의 봉 72들과, 상기 구동벨트 70을 구동시키는 유압모터 90, 상기 농작물들의 줄기나 파등의 뿌리식물들을 절단하는 와이어 커터 48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수확기는 사이드 프레임 50을 양측에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 50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기역자(ㄱ)모양으로 형성된 연결프레임 20의 일측단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 20의 타측단은 좌/우 방향으로 신장된 샤프트 14에 고정 결합된다. 즉, 상기 샤프트 14의 양측단에는 디긋자 모양의 고정구 16이 볼팅작업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구 16의 일측단에는 연결프레임 20이 용접작업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 14의 중간부분에는 제1브라켓 10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양측부분에는 제2 브라켓 12가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수확기를 트랙터에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서이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 50의 상단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1링크 22의 일측단이 고정되며, 타측단은 연결프레임 20에 볼트로 체결된다. 상기 제1링크 22가 고정된 사이드 프레임 50에는 제3링크 24b가 함께 고정되며, 상기 제1링크 22의 구멍에는 제2링크 24a가 볼트로 체결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링크 24a와 제3링크 24b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각각의 타측단은 지지대 26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 26의 하측단에는 제1칼날 28이 설치되며, 상기 제1칼날 28은 트랙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 이동하면서 이랑으로 퍼저 나온(돌출되어 있는) 고구마 등의 농작물 줄기들을 절단시킨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 20과 제1링크 22 및 제2링크 24a는 볼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었다, 풀렸다하면서 사이드 프레임 50의 높낮이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칼날 28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도에서 상기 샤프트 14의 양측면에는 고정구 18이 볼팅작업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각 고정대 18의 하단에는 고정대 30이 결합된다. 상기 각 고정대 30의 일측단은 좌/우로 신장된 고정브라켓 32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브라켓 32의 중간부분 하단에는 기어박스 34가 설치된다. 상기 기어박스 34에는 트랙터의 스플라인 축이 결합되기 위한 연결구 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 34가 설치된 고정브라켓 32의 상단에는 상기 트랙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1풀리 38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라켓 32의 양측단에는 제2풀리 4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풀리 40들과 제1풀리 38은 벨트 42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풀리 40들은 상기 벨트 42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각 제2풀리 40에는 샤프트 44가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 44는 아래로 신장되어 있다. 상기 각 샤프트 44의 일측단에는 제3풀리 46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풀리 46에는 와이어 커터 48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커터 48은 상기 트랙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고구마 등의 농작물 줄기나 파등의 뿌리식물들을 절단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 32는 고정대 3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높낮이가 조절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땅속 농작물 수확기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 50의 후측단에는 샤프트 74가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 74의 양측과 중간부분에는 구동풀리 76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풀리가 결합된 사이드 프레임 50의 일측면에는 유압모터 9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 50의 후단에는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후측프레임 54가 결합된다. 상기 후측프레임 54의 일측단에는 유압모터 90이 고정 설치되며, 이때 상기 유압모터 90은 트랙터의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구동풀리 76을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트랙터로부터 유압을 끌어들여 유압모터 90을 작동시키는 방법은 통상의 공지기술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압모터 90은 트랙터의 유압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일 수도 있다. 상기 유압모터 90의 일측에는 구동축 92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 92에는 캠 94가 고정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압모터 90이 설치된 후측 프레임 54의 상단에는 연결프레임 80의 일측단이 결합되며, 타측단은 배출로 82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 80의 일측단은 후측프레임 54에 단순히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 80의 중간부분에는 베어링 88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 88은 캠 94와 접촉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캠 94는 유압모터 9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회전력에 의해 캠 94의 상사점이 베어링 88과 접촉하면 상기 연결프레임 80은 상부로 이동하며 상기 캠 94의 하사점이 베어링 88과 접촉하면 상기 연결프레임 80은 하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배출로 82로 이송된 고구마 등의 농작물들이 신속하고 빠르게 바닥 혹은 기타 보관통에 적재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구동풀리 76에는 구동벨트 70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모터 9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구동벨트 70의 타측단은 아이들 풀리 56a,56b,56c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아이들 풀리 56a와 56c는 샤프트에 의해 각 사이드 프레임 5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 풀리 56b는 샤프트 60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 60은 사이드 프레임 60에 고정 결합된다. 즉, 상기 샤프트 60의 중간부분에는 디긋자(ㄷ) 모양의 돌출편 60a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편 60a에 아이들 풀리 56b가 끼워지게 되며, 상기 아이들 풀리 56b와 돌출편 60a는 고정핀 60b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벨트 70의 상단에는 다수개의 봉 72들이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이때 한 개의 봉 72는 세 개의 구동벨트 7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다. 즉,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벨트 86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는 고정쇠 84가 리벳 86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쇠 84의 전면에는 봉 72가 끼워져 결합되는 구멍 84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쇠의 구멍82a에 봉 72를 결합시킨 후 상기 고정쇠 84를 구동벨트 70에 리벳 86으로 체결시킨 다. 이때 상기 리벳 86이 체결된 구동벨트 70의 하단에는 테이퍼진 홈 70a가 형성되며, 이는 상기 리벳 86이 작동할 때 구동풀리 76 및 아이들 풀리 56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풀리 76이 결합된 샤프트 74의 일측에는 기어모양의 스프라켓 78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라켓 78은 상기 구동벨트 70에 의해 봉72들이 회전할 때 회전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개의 봉 72들을 잡아서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
다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 50의 일측면에는 축 66이 안쪽으로 설치되며, 상기 축 66에는 진동자 68이 결합된다. 상기 진동자 68은 봉72의 크기에 맞는 기어모양으로 굴곡을 가지면서 형성되며, 이는 상기 봉 72들이 회전하면서 상기 진동자 68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봉 72는 돌출부에서는 위로 오목부에서는 아래로 이동한다. 즉, 상기 봉 72들은 진동자 68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게 되며, 이때 농작물들에 묻어있는 흙은 말끔히 제거된다(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 50들의 전면 내측에는 삼각형 모양의 고정편 63이 용접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상기 고정편 60의 상단에는 용접에 의해 고정쇠 62가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쇠 62의 상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제2 칼날 64가 볼팅작업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제2칼날 64를 볼트로 고정시키는 이유는 상기 제2칼날 64가 파손시에도 고정쇠 62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파손된 칼날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땅속 농작물 수확기의 동작과정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제1링크 22와 제2링크 24a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수확기의 사이드 프레임 50과 제1칼날 28의 위치를 조정한 후, 볼트로 상기 제1링크 22를 연결프레임20에 체결하고 이어서 상기 제2링크 24a를 제1링크 22에 체결한다. 이때 상기 제1링크 22와 제2링크 24a를 연결프레임 20에 함께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트랙터의 스플라인 축(도시하지 않음)을 기어박스의 연결구 36에 결합시킨 후, 수확기의 제1브라켓 10과 제2브라켓 12를 트랙터에 고정시킨다. 그후 상기 트랙터를 작동시키면 유압모터 90은 트랙터의 유압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구동력은 샤프트 74에 전달된다. 이어서 구동풀리 76 및 스프라켓 78은 소정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구동벨트 70은 상기 회전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트랙터의 구동력은 스플라인 축에 의해 기어박스 34로 전달된 후, 다시 제1풀리 38로 전달된다. 이어서 상기 제1풀리 38에 전달된 구동력은 벨트 42에 의해 축 44로 전달되어 제3풀리 46을 회전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3풀리 46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 커터 48은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박스 34에 전달되는 구동력은 언제든지 차단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 커터 48은 고구마 줄기를 절단할 때 혹은 파등의 뿌리식물들을 수확할 때만 사용되기 때문에 그 외의 농작물 수확에는 상기 와이어 커터 48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언제든지 차단시킬 수 있다.
그후, 트랙터를 전진시키면, 수확기의 전면에 설치된 제2칼날 64들은 흙을 퍼올려 땅속에 있는 농작물을 캐낸다. 이와 동시에 제1칼날 28은 이랑 쪽으로 퍼져나와 있는 농작물 줄기를 전달하고 상기 와이어 커터 48은 밭에 있는 농작물 줄기를 절단한다. 이후 상기 제2칼날 64에 의해 수확된 농작물들은 봉 72들의 상면에 놓여져 후방으로 이송된다. 즉, 상기 봉 72들은 구동풀리 76의 구동력과 스프라켓 87의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계속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농작물들은 후방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봉 72들은 진동자 68에 의해 상/하로 약간씩 진동하면서 회전하게 되며, 이때 농작물들에 묻어있는 흙은 말끔히 제거된다. 이후 흙이 제거된 농작물들은 봉 72를 따라 배출로 82쪽으로 이송되며, 상기 배출로 82는 연결브라켓 80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면서 농작물들을 밖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브라켓 80은 캠 94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이로써, 상기와 같은 계속적인 반복동작으로 인해 땅속에 있는 농작물들은 빠른 시간 내에 수확되어진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확기의 각 부품들을 용접작업으로 서로 고정시키지 않고, 볼팅작업으로 서로 고정시킴으로써 부품 교체시에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각 부품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트랙터의 유압으로 구동벨트를 구동시킴으로써 땅속에 있는 농작물을 단시간 내에 수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구동벨트에 결합된 봉들의 조밀도를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농작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수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확기의 전방에 와이어 커터를 설치함으로써 고구마 등의 농작물 줄기를 쉽게 절단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파등의 뿌리식물들을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땅속 농작물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수확기의 사이드 프레임의 양측 내면에 전방으로 경사지게 고정 결합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상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흙을 퍼올리면서 땅속으로 묻혀 있는 농작물 등을 캐내는 제2칼날들과 ;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양측 전/후면에 고정된 아이들 풀리 및 구동 풀리들과, 상기 각각의 구동 풀리 및 아이들 풀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벨트들과, 상기 구동벨트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농작물들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봉들과 ;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확기와 연결되는 트랙터의 유압에 의해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구동력으로 구동벨트들을 작동시키는 유압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 농작물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전방에는 상기 땅속 농작물들의 줄기나 파등의 뿌리식물들을 절단하기 위한 와이어 커터가 다수개의 링크들로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 농작물 수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커터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위치한 제3풀리들에 연결되며, 상기 제3풀리들은 상기 트랙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어 커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 농작물 수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축이 설치되며, 상기 축의 일측단에는 소정의 돌출부를 가지는 진동자가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진동자는 상기 봉들의 하방에 위치하여 농작물들에 묻어있는 흙을 소정의 진동으로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 농작물 수확기.
KR2019980002846U 1998-03-02 1998-03-02 땅속 농작물 수확기 KR199800556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846U KR19980055623U (ko) 1998-03-02 1998-03-02 땅속 농작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846U KR19980055623U (ko) 1998-03-02 1998-03-02 땅속 농작물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623U true KR19980055623U (ko) 1998-10-07

Family

ID=6971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846U KR19980055623U (ko) 1998-03-02 1998-03-02 땅속 농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562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989B1 (ko) * 2004-11-02 2006-11-15 경 호 김 심토파쇄기용 구동장치
KR101134050B1 (ko) * 2011-12-02 2012-04-13 김영석 흙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기
KR20220054934A (ko) * 2020-10-26 2022-05-03 김기현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989B1 (ko) * 2004-11-02 2006-11-15 경 호 김 심토파쇄기용 구동장치
KR101134050B1 (ko) * 2011-12-02 2012-04-13 김영석 흙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기
KR20220054934A (ko) * 2020-10-26 2022-05-03 김기현 뿌리 작물 수확기용 진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387B1 (ko) 땅속 작물 수확기
KR100871106B1 (ko) 구근작물 수확기
JP2008149785A5 (ko)
KR20090109412A (ko) 근채류 수확 장치
CN211458025U (zh) 大蒜收获机的蒜头挖掘输送装置
KR19980055623U (ko) 땅속 농작물 수확기
KR200230253Y1 (ko) 구근 수확기
KR200212531Y1 (ko) 근채 수확기
JP7257017B2 (ja) 切断具及び収穫機
KR0115759Y1 (ko) 트렉터용 구근류 수확기
KR100718656B1 (ko) 경운기용 작물 수확기
JP4781250B2 (ja) 豆刈り装置の刈取り刃体
JP3450740B2 (ja) 栽培作物用作業機
KR200366868Y1 (ko) 구근작물 수확기
JP7198502B2 (ja) 地下茎作物の掘り取り装置
KR20150087649A (ko) 고구마 수확기
JP3390294B2 (ja) 農産物収穫機
JP3287546B2 (ja) 根茎収穫機
JPH0671374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JPH11151010A (ja) 農用走行作業機
KR102462215B1 (ko) 마늘줄기 절단장치
KR200194279Y1 (ko) 땅속 작물 수확기
JP3844948B2 (ja) 根茎収穫機
JP2006000092A (ja) 軟弱野菜収穫機
JP7117006B2 (ja) 地下茎作物収穫機及び作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