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874A - 다광축 센서 - Google Patents

다광축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874A
KR20220052874A KR1020220044477A KR20220044477A KR20220052874A KR 20220052874 A KR20220052874 A KR 20220052874A KR 1020220044477 A KR1020220044477 A KR 1020220044477A KR 20220044477 A KR20220044477 A KR 20220044477A KR 20220052874 A KR20220052874 A KR 20220052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uting
state
axis sens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1558B1 (ko
Inventor
임재정
이현승
김성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to KR102022004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55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12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 F16P3/14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the means being photocells or other devices sensitive without mechanical contact
    • F16P3/144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the means being photocells or other devices sensitive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light gr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2Details of end part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en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71Housings; Attachments or accessories for pho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407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 G01J1/0437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using masks, aperture plates, spatial light modulators, spatial filters, e.g. reflective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58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luminescence generated by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광축 센서는 복수의 투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투광부, 상기 복수의 투광 소자들 각각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각 투광 소자로부터, 광을 수신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의 입광 상태 또는 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등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부 또는 상기 수광부는 사이 다광축 센서의 감지 기능을 무효화하는 뮤팅 상태를 감지하기 전, 상기 표시등을 상기 입광 상태 또는 상기 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입차광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뮤팅 상태가 감지된 경우, 상기 표시등의 동작 모드를 상기 입차광 모드에서, 상기 뮤팅 상태를 나타내는 뮤팅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광축 센서{MULTI-OPTICAL AXIS SENSOR}
본 발명은 다광축 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뮤팅 상태를 인지시킬 수 있는 다광축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광축 센서는 투광부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부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빛을 이용하여, 물체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다.
일반적인 다광축 센서는, 복수의 투광 소자가 일렬로 배치된 투광부와, 투광 소자와 동일한 개수의 수광 소자가 일렬로 배치된 수광부를 구비한다. 투광 소자와 수광 소자가 일대일의 관계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복수의 광축들에 의한 검출 영역이 설정된다.
투광부는, 각 투광 소자를 순차 발광시킨다. 수광부는, 투광 소자의 발광 동작에 동기하는 타이밍에서, 각 투광 소자에 대응하는 수광 소자로부터, 그 수광 소자의 수광량을 추출한다. 이에 의해, 다 광축 센서의 광축마다의 차광 상태가 순서대로 검지된다. 수광부는, 광축마다의 검지 결과를 사용하여, 검출 영역에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다광축 센서는, 생산 현장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장치로서 설치된다. 예를 들어, 다광축 센서의 검출 영역 중 어느 한쪽의 광축에 차광 상태가 검출되면, 안전을 위해 생산 설비의 동작이 정지된다.
뮤팅(Muting) 기능은 안전 기능을 일시적으로 무효화하여, 검출 영역(또는 안전 영역) 내에 물체가 있더라도, 제어 출력을 온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이다. 뮤팅 기능은 워크(검출된 물체)가 검출 영역을 수시로 통과하는 환경(예를 들어, 컨베이어 이송 라인)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뮤팅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다광축 센서에 램프 및 배선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또한, 램프 및 배선의 설치를 위한 공간적 제한으로 인해, 사용자가 뮤팅 상태를 제한적으로 인지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뮤팅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램프를 잘못된 위치에 설치할 경우, 사용자가 뮤팅 상태의 진입 및 유지하는 일련의 과정을 인지할 수 없어, 뮤팅 기능의 사용에 있어 오류를 범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된 특허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64043호가 있다.
본 발명은 뮤팅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별도의 외부 표시등 없이, 뮤팅 상태를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상태 표시등을 이용하여, 외부에 뮤팅 상태를 쉽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광축 센서는 복수의 투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투광부, 상기 복수의 투광 소자들 각각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각 투광 소자로부터, 광을 수신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의 입광 상태 또는 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등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부 또는 상기 수광부는 사이 다광축 센서의 감지 기능을 무효화하는 뮤팅 상태를 감지하기 전, 상기 표시등을 상기 입광 상태 또는 상기 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입차광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뮤팅 상태가 감지된 경우, 상기 표시등의 동작 모드를 상기 입차광 모드에서, 상기 뮤팅 상태를 나타내는 뮤팅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광축 센서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상태 표시등을 통해 뮤팅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뮤팅 상태의 개시 및 지속 유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뮤팅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램프 및 배선이 불필요하여, 공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광축 센서의 실제 구성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의 다광축 센서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광축 센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설명된 투광 통신부와 수광 통신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광축 센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광축 센서가 뮤팅 상태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c에 대한 타이밍도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종래 기술에 따라 뮤팅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별도의 외부 표시등을 구비한 다광축 센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뮤팅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기존의 상태 표시등을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뮤팅 상태의 감지 전후의 취급에 대한 종래 기술과 본원발명을 비교하는 표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1)은 제어 장치(100), 다광축 센서(200) 및 뮤팅 센서 그룹(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 다광축 센서(200) 및 뮤팅 센서 그룹(300)은 서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다광축 센서(200) 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다광축 센서(200) 의 설정을 위한 설정 입력 신호,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광축 센서(200)는 생산 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 장치로서, 입광 상태 또는 차광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뮤팅 센서 그룹(300)은 복수의 뮤팅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뮤팅 센서는 투과형 뮤팅 센서 또는 미러 반사형 뮤팅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투과형 뮤팅 센서는 투광 유닛 및 수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 유닛은 광을 전송하고, 수광 유닛은 투광 유닛으로부터 광을 수신할 수 있다.
투과형 뮤팅 센서는 수광 유닛이 투광 유닛이 전송한 광을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물체의 검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미러 반사형 뮤팅 센서는 하나의 반사판과 페어를 이룰 수 있다.
미러 반사형 뮤팅 센서는 광 신호 또는 전파 신호를 전송하고, 반사판을 통해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복수의 뮤팅 센서들은 후술할 뮤팅 모드의 타입에 따라 배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광축 센서의 실제 구성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광축 센서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다광축 센서(200)는 투광부(210) 및 수광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투광부(210)에서 투광된 빛은 수광부(23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투광부(210)는, 각 투광 소자를 순차 발광시킨다. 수광부(230)는, 투광 소자의 발광 동작에 동기하는 타이밍에서, 각 투광 소자에 대응하는 수광 소자로부터, 그 수광 소자의 수광량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광축 센서(200)의 광축마다의 차광 상태가 순서대로 감지될 수 있다. 수광부(230)는, 광축마다의 감지 결과를 사용하여, 검출 영역에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다광축 센서(200)가 도시되어 있다.
다광축 센서(200)는 투광부(210) 및 수광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투광부(210)는 복수의 투광 소자들(T_1 내지 T_14)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부(210)는 복수의 수광 소자들(R_1 내지 R_1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수광 소자들(R_1 내지 R_14)은 복수의 투광 소자들(T_1 내지 T_14)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투광 소자들(T_1 내지 T_14) 각각은 복수의 수광 소자들(R_1 내지 R_14)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투광 소자들(T_1 내지 T_14) 각각은 순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복수의 수광 소자들(R_1 내지 R_14) 각각도 순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투광 소자(T_3)가 단일광을 발광하는 경우, 제3 투광 소자(T_3)에 대응하는 제3 수광 소자(R_3)는 단일광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투광 소자가 단일광을 발광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수광 소자만이 온 되어, 단일광을 수신할 수 있다.
이는 도 2b의 구동 파형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광축 센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광축 센서(200)는 투광부(210) 및 수광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투광부(210)는 투광 전원부(211), 투광 모듈(213), 투광 통신부(215), 디스플레이(217) 및 투광 컨트롤러(219)를 포함한다.
투광 전원부(211)는 투광부(210)의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투광 전원부(211)는 외부 입력 전원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투광부(210)의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다.
투광 모듈(213)는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투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 통신부(215)는 수광부(230)에 구비된 수광 통신부(235)와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투광 통신부(215)는 수광 통신부(235)와 단방향 비 동기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투광 통신부(215) 및 수광 통신부(235)는 시리얼 통신 규격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217)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7)는 입광 상태 또는 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컬러 LED들을 구비할 수 있다.
투광 컨트롤러(219)는 투광부(2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투광 컨트롤러(219)는 수광부(230)로부터 수신된 수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수광량의 레벨에 따른 알람 또는 자기진단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수광부(230)는 수광 전원부(231), 수광 모듈(233), 수광 통신부(235), 디스플레이(237) 및 수광 컨트롤러(239)를 포함한다.
수광 전원부(231)는 수광부(230)의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수광 전원부(231)는 외부 입력 전원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수광부(230)의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다.
수광 모듈(233)는 투광 소자가 발광하는 빛을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수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광 통신부(235)는 투광부(210)에 구비된 투광 통신부(215)와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7)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7)는 입광 상태 또는 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컬러 LE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광 컨트롤러(239)는 수광부(2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투광부(210)로부터 수광 모듈(233)이 수신한 광의 수광량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다광축 센서(200)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투광부(210)와 연결된 입력선을 통해 설정 입력 신호를 수광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투광부(210) 또는 수광부(230)와 연결된 출력선을 통해 투광부(210) 또는 수광부(230)로부터 자기진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의 관리자는 제어 장치(100)가 수신한 자기진단 신호를 통해 수광부(230)의 수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수광부(23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수광부(230)의 입광 상태 또는 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광부(230)는 입광 상태인 경우, 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고, 차광 상태인 경우, 온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100)는 TV, 프로젝터,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컴퓨터 등과 같이, 고정형 기기 또는 이동 가능한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사용자 입력부(130), 디스플레이(150), 메모리(170) 및 프로세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광축 센서(200), 외부 서버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장치와 센싱 정보, 사용자 입력, 제어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시리얼(Serial) 통신 등이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컨대, 제어 장치(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가 PC인 경우, 기계식 입력 수단으로는 마우스 및 키보드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제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50)는 제어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제어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0)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제어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다광축 센서(200)의 안전 관련 기능 설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제어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서 설명된 투광 통신부와 수광 통신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광 통신부(215)는 제1 데이터 송신부(215a), 제1 데이터 수신부(215b) 및 제1 트랜시버(215c)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 통신부(235)는 제2 데이터 송신부(235a), 제2 데이터 수신부(235b) 및 제2 트랜시버(23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시버(215c) 및 제2 트랜시버(235c)는 시리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광축 센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의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단계들은 다광축 센서(200)의 투광부(210) 또는 수광부(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단계들은 투광부(210)의 투광 컨트롤러(219) 또는 수광부(230)의 수광 컨트롤러(239)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광축 센서(200)는 뮤팅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복수의 광원들의 동작 모드를 입차광 모드로 설정한다(S601).
복수의 광원들은 투광부(210) 또는 수광부(230)의 메인 기판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들 각각은 특정 컬러를 출사하는 LED일 수 있다.
복수의 광원들의 동작 모드는 입차광 모드 및 뮤팅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입차광 모드는 다광축 센서(200)의 입광 상태 또는 차광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뮤팅 모드는 다광축 센서(200)가 뮤팅 상태에 있는지를 식별하는 모드일 수 있다. 뮤팅 모드는 다광축 센서(200)의 뮤팅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의 모드일 수도 있다.
복수의 광원들은 다광축 센서(200)의 뮤팅 상태 여부에 따라 동작 모드가 달라질 수 있다.
다광축 센서(200)는 입차광 모드 하에서, 복수의 광원들을 통해 입광 상태를 나타내는 입광 알림 또는 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차광 알림을 출력한다(S603).
다광축 센서(200)는 입광 상태에 있는 경우, 복수의 광원들을 통해 다광축 센서(200)가 입광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입광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입광 알림은 입광 상태 동안, 제1 컬러를 출력하는 알림일 수 있다. 제1 컬러는 녹색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다광축 센서(200)는 차광 상태에 있는 경우, 복수의 광원들을 통해 다광축 센서(200)가 차광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차광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차광 알림은 차광 상태 동안, 제2 컬러를 출력하는 알림일 수 있다. 제2 컬러는 빨간색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다광축 센서(200)는 뮤팅 센서 그룹(300)으로부터 뮤팅 신호를 수신한다(S605).
일 실시 예에서, 뮤팅 센서 그룹(300)에 포함된 복수의 뮤팅 센서들 각각은 뮤팅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광축 센서(200)의 투광부(210) 또는 수광부(230)는 각 뮤팅 센서로부터, 뮤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뮤팅 신호는 하이 신호(또는 온 신호) 또는 로우 신호(오프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뮤팅 센서는 물체가 검출된 경우, 온 신호를 출력하고, 물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오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광축 센서(200)는 수신된 뮤팅 신호에 기초하여, 뮤팅 상태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607).
뮤팅 상태는 다광축 센서(200)의 감지 기능이 일시적으로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뮤팅 상태는 다광축 센서(200)의 뮤팅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다광축 센서(200)는 복수의 뮤팅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뮤팅 신호가 모두 온 신호인 경우, 뮤팅 상태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광축 센서(200)는 복수의 뮤팅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검출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오프 신호인 경우, 뮤팅 상태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광축 센서(200)는 뮤팅 상태가 감지된 경우, 뮤팅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광축 센서(200)는 뮤팅 신호에 기초하여, 뮤팅 상태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복수의 광원들의 동작 모드를 입차광 모드로 유지하고, 뮤팅 상태가 감지된 경우, 복수의 광원들의 동작 모드를 뮤팅 모드로 전환한다(S609).
즉, 다광축 센서(200)는 뮤팅 상태가 감지된 경우, 복수의 광원들의 동작 모드를 입차광 모드에서 뮤팅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다광축 센서(200)는 뮤팅 모드 하에서, 복수의 광원들을 통해 뮤팅 상태를 나타내는 뮤팅 알림을 출력한다(S611).
일 실시 예에서, 뮤팅 알람은 뮤팅 상태 동안, 복수의 광원들을 통해 특정 컬러를 일정 시간 주기로, 점멸하는 알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뮤팅 알람은 복수의 광원들을 통해 녹색의 컬러를 1초 주기로, 점멸하는 알림일 수 있다.
뮤팅 상태의 감지 과정에 대해서는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광축 센서가 뮤팅 상태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서, 뮤팅 모드는 표준 모드로 설정되었고, 2개의 뮤팅 센서들(711, 731)이 사용됨을 가정한다.
뮤팅 모드는 표준 모드 및 출구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준 모드는 물체가 검출 영역을 수시로 통과하는 환경(예를 들어, 컨베이어 이송 라인)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드로, 뮤팅 상태에서, 다광축 센서(200)의 안전 기능이 일시적으로 해제되는 모드일 수 있다.
출구 모드는 뮤트 입력들이 종료된 후, 일정 시간 동안, 뮤팅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일 수 있다. 출구 모드는 물체의 완전 제거를 통한 다광축 센서(200)의 안정적인 동작을 요구하는 모드일 수 있다.
물체(701)의 길이는 L(m)이고, 물체(701)의 이동 속도는 V(m/s)임을 가정한다.
또한, 제1 뮤팅 센서(711) 및 제2 뮤팅 센서(713) 각각이 물체(701)의 감지를 시직한 지점들 간의 거리를 D(m)로 가정한다.
투광부(210) 및 수광부(230)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광축 센서(200)의 뮤팅 모드가 표준 모드인 경우, 물체(WorkPiece, 701)가 다광축 센서(200)를 통과하기 전 영역은 안전 영역으로 명명될 수 있고, 다광축 센서(200)를 통과한 후의 영역은 위험 영역으로 명명될 수 있다.
제1 뮤팅 센서(711) 및 제2 뮤팅 센서(713) 각각은 안전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뮤팅 센서(711)는 수광부(23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뮤팅 센서(713)는 투광부(2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위험 영역에는 투광부(210)의 일측에 위치한 제1 반사판(731) 및 수광부(230)의 일측에 위치한 제2 반사판(73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사판(731)은 제1 뮤팅 센서(711)를 마주보고 배치되고, 제2 반사판(733)은 제2 뮤팅 센서(713)을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제1 뮤팅 센서(711) 및 제1 반사판(731)은 하나의 페어를 이루고, 제2 뮤팅 센서(713) 및 제2 반사판(733)은 하나의 페어를 이룰 수 있다.
제1 반사판(713)은 제1 뮤팅 센서(711)가 출력한 신호를 반사시키고, 제2 반사판(733)은 제2 뮤팅 센서(713)가 출력한 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뮤팅 센서(711)의 제1 광축(751)과 제2 뮤팅 센서(713)의 제2 광축(753) 간의 교차점(755)은 위험 영역에 위치하도록, 제1 뮤팅 센서(711), 제2 뮤팅 센서(713), 제1 반사판(731) 및 제2 반사판(73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뮤팅 센서(711) 및 제2 뮤팅 센서(713) 각각은 광 신호를 출력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신 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제1 뮤팅 센서(711)는 자신이 출력한 제1 신호를 제1 반사판(713)을 통해 일정 시간 내에 수신한 경우, 오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뮤팅 센서(711)는 자신이 출력한 제1 신호를 일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경우, 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뮤팅 센서(713)는 자신이 출력한 제2 신호를 제2 반사판(733)을 통해 일정 시간 내에 수신한 경우, 오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뮤팅 센서(713)는 자신이 출력한 제2 신호를 일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경우, 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뮤팅 센서가 출력하는 오프 신호는 물체(701)가 검출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신호이고, 온 신호는 물체(701)가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뮤팅 입력이 검출되었다고 함은, 뮤팅 센서가 온 신호를 출력한 것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다광축 센서(200) 또는 제어 장치(100)는 각 뮤팅 센서가 출력하는 뮤팅 신호를 각 뮤팅 센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광축 센서(200)는 제1 뮤팅 센서(711) 또는 제2 뮤팅 센서(713)가 출력하는 뮤팅 신호에 기초하여, 물체(701)의 검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뮤팅 신호는 뮤팅 입력 신호로 명명될 수도 있다.
즉, 뮤팅 센서가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다광축 센서(200)는 물체(701)가 해당 뮤팅 센서를 통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뮤팅 센서가 온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다광축 센서(200)는 해당 뮤팅 센서를 통해 물체(701)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물체(701)가 제1 뮤팅 센서(711)를 통과하기 전으로, 제1 뮤팅 센서(711) 및 제2 뮤팅 센서(713) 각각은 오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다광축 센서(200)의 안전 기능이 유효한 상태에 있다.
만약, 물체(701)가 더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1 뮤팅 센서(711)는 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 뮤팅 센서(711) 및 제2 뮤팅 센서(713)를 통해 물체(701)가 감지된 상태를 보여준다.
물체(701)의 이동에 따라, 제1 뮤팅 센서(711) 및 제2 뮤팅 센서(713)는 순서대로, 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뮤팅 센서(711) 및 제2 뮤팅 센서(713) 각각은 뮤팅 신호로, 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다광축 센서(200)는 뮤팅 상태를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뮤팅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뮤팅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다광축 센서(200)의 안전 기능은 무효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뮤팅 영역으로 설정된 광축들은 차광 상태가 되어도, 제어 출력(OSSD)은 온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물체(701)는 제1 뮤팅 센서(711)를 통과하나, 제2 뮤팅 센서(713)를 통과하지는 못했다. 이 때, 제1 뮤팅 센서(711)는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제2 뮤팅 센서(713)는 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광축 센서(200)는 제1 뮤팅 센서(711)가 출력하는 뮤팅 신호가 온 신호에서 오프 신호로 전환된 경우, 뮤팅 상태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광축 센서(200)는 뮤팅 상태의 종료에 따라 다광축 센서(200)의 안전 기능을 유효화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c에 대한 타이밍도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a는 제1 구간(801)에 대응되고, 도 7b는 제2 구간(803)에 대응되고, 도 7c는 제3 구간(805)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파형(810)은 제1 뮤팅 센서(711)가 출력하는 뮤팅 신호의 파형을 보여준다.
제2 파형(820)은 제2 뮤팅 센서(713)가 출력하는 뮤팅 신호의 파형을 보여준다.
뮤팅 입력 시간 제한(T1)은 제1 뮤팅 센서(301)가 온 신호를 출력한 후, 제2 뮤팅 센서(303)가 온 신호를 출력하기 까지 걸리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뮤팅 센서(711) 및 제2 뮤팅 센서(713) 각각이 물체(701)의 감지를 시직한 지점들 간의 거리 D는 물체(701)의 길이 L보다 작을 수 있다.
뮤팅 입력 시간 제한(T1)의 최소 값(T1 min)은 D/V 보다 작고, 뮤팅 입력 시간 제한(T1)의 최대 값(T1 max)은 D1/V 보다 클 수 있다.
제3 파형(830)은 제1 파형(810) 및 제2 파형(820)에 기초하여 얻어진 뮤팅 상태의 온 또는 오프를 나타내는 파형을 보여준다.
뮤팅 상태는 제1 뮤팅 센서(711) 및 제1 뮤팅 센서(713)의 출력이 모두 온일 경우, 온 될 수 있고, 제1 뮤팅 센서(711) 및 제1 뮤팅 센서(713)의 출력들 중 어느 하나가 오프될 경우, 뮤팅 상태는 오프될 수 있다.
뮤팅 상태의 지속 시간(T2)은 제1 뮤팅 센서(711) 및 제1 뮤팅 센서(713)의 출력이 모두 온 될 동안의 시간일 수 있다.
제4 파형(840)은 투광부(210)의 상단 상태 표시등(217a) 및 수광부(230)의 상단에 배치된 상태 표시등(237a) 중 하나 이상이 출력하는 광의 표시 주기를 나타내는 파형이다. 표시 주기는 1초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투광부(210)의 상단에 배치된 상태 표시등(217a) 및 수광부(230)의 상단에 배치된 상태 표시등(237a) 중 하나 이상은 뮤팅 상태의 지속 시간(T2) 동안 특정 컬러의 광을 일정 시간 주기로, 점멸할 수 있다. 특정 컬러는 녹색이고, 일정 시간은 1초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제5 파형(850)은 다광축 센서(200)의 입광 및 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파형이다.
제6 파형(860)은 다광축 센서(200)에 포함된 출력 신호 전환 장치(Output Signal Switching Device, OSSD)의 출력 신호(제어 출력)의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뮤팅 상태는 표준 모드 하에서, 다음의 조건들을 만족한 경우, 활성화(activated) 또는 개시될 수 있다.
(1) 검출 영역에 차광 물체가 없고, 제어 출력인 온 상태임(단, 뮤팅 영역과 블랭킹 영역이 중복일 경우 블랭킹 영역 내 차광 물체가 있어야만 뮤팅 상태를 개시할 수 있음)
(2) 제1 뮤팅 센서(711)가 출력하는 제1 온 신호가 입력된 후, 제2 뮤팅 센서(713)가 제2 온 신호를 순서대로 입력되고, 제1 온 신호 입력 후, 뮤팅 입력 시간 제한이 T1 min 내지 T1 max 사이에 제2 온 신호가 입력되어야 함.
(3) 락 아웃 상태가 아님.
(4) LAMP 출력 모니터링 결과가 정상 상태이어야 함 (단, LAMP 출력 모드가 뮤팅 설정 시).
뮤팅 상태는 표준 모드 하에서, 다음의 조건들을 어느 하나라도 만족한 경우, 비활성화(deactivated) 또는 종료될 수 있다.
(1) 제1 뮤팅 센서(711)가 출력하는 제1 뮤팅 신호 및 제2 뮤팅 센서(713)가 출력하는 제1 뮤팅 신호 중 하나가 중단 허용 시간(0.1s) 이상 OFF 상태를 유지함.
(2) 뮤팅 상태 중 중단 허용 시간(0.1s) 이내에 뮤팅 입력 중단이 5회 이상 검지됨(뮤팅 입력 중단은 채터링 신호가 검출된 경우임).
(3) 뮤팅 상태 개시 후, 뮤팅 상태 최대 유지 시간(T2)을 초과함.
(4) 뮤팅 영역 외의 광축이 차광됨.
(5) 락아웃 상태에 진입함.
(6) LAMP 출력 모니터링 결과가 정상적이지 않음. (단, LAMP 출력 모드가 뮤팅 설정 시)
다시, 도 6을 설명한다.
한편, 다광축 센서(200)는 뮤팅 신호에 기초하여, 뮤팅 상태가 종료됨을 감지한 경우(S613), 다광축 센서(200)의 복수의 광원들의 동작 모드를 뮤팅 모드에서 입차광 모드로 재 전환한다(S615).
즉, 다광축 센서(200)는 뮤팅 상태가 종료된 경우, 입광 상태 또는 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도록, 복수의 광원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입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등(217a, 237a)을 뮤팅 상태를 식별하는 과정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뮤팅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별도의 외부 표시등이 필요 없게 된다.
도 9a 및 도 9b는 종래 기술에 따라 뮤팅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별도의 외부 표시등을 구비한 다광축 센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뮤팅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기존의 상태 표시등을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종래의 다광축 센서(900)의 투광부(910)에는 제1 외부 표시등(901) 및 제1 외부 표시등(901)과 투광부(910)와의 연결을 위한 배선(902)이 구비될 수 있다.
수광부(930)에는 제2 외부 표시등(903) 및 제2 외부 표시등(903)과 수광부(930)와의 연결을 위한 배선(904)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투광부(910)에는 입차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1 상태 표시등(917a)이 구비되고, 수광부(930)에는 입차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2 상태 표시등(937a)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외부 표시등(901) 및 제2 외부 표시등(903) 각각은 다광축 센서(900)의 뮤팅 상태 시, 뮤팅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특정 컬러로 점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다광축 센서(900)는 뮤팅 상태의 진입 시, 뮤팅 상태를 외부에 알리기 위해 제1 외부 표시등(901) 및 제2 외부 표시등(903)을 통해 특정 컬러를 점멸하도록 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광축 센서(200)는 뮤팅 상태 시, 제1 상태 표시등(217a) 및 제2 상태 표시등(217b) 각각의 동작 모드를 입차광 모드에서 뮤팅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다광축 센서(200)는 제1 상태 표시등(217a) 및 제2 상태 표시등(217b)의 동작 모드가 뮤팅 모드 시, 특정 컬러를 점멸하도록 제1 상태 표시등(217a) 및 제2 상태 표시등(217b)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 달리, 뮤팅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기존의 상태 표시등을 활용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외부 표시등 및 배선이 불필요하여, 공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외부 표시등 및 배선의 미 사용에 따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1은 뮤팅 상태의 감지 전후의 취급에 대한 종래 기술과 본원발명을 비교하는 표이다.
먼저, 뮤팅 상태가 감지되기 전에는 종래 기술과 본원발명의 취급은 동일하다. 즉, 입광 상태에서, 상태 표시등은 녹색을 점등한다(제어 출력 온). 차광 상태에서, 상태 표시등은 빨간색을 점등한다(제어 출력 오프).
뮤팅 상태가 감지된 후에서, 종래 기술과 본원발명은 차이를 보인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뮤팅 상태가 감지된 후, 뮤팅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외부 표시등(901, 903)이 점멸될 수 있다.
즉, 상태 표시등(917a, 937a)은 원래의 역할대로, 입광 상태 또는 차광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뮤팅 상태가 감지된 후, 상태 표시등(217a, 237a)의 동작 모드는 뮤팅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태 표시등(217a, 237a)은 뮤팅 상태를 나타내도록, 녹색을 점멸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뮤팅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별도의 외부 표시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외부 표시등의 설치에 따른 공간상의 제약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외부 표시등의 설치에 필요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광부 또는 수광부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2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투광부(210)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수광부(2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투광부(210)는 하우징(20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0)은 투광부(2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2000)은 대략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2000)은 본체(3000) 및 본체(3000)의 양단에 체결된 한 쌍의 엔드캡(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00)는 하우징(20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3000)는 프로파일(Profile)로 명명될 수 있다.
본체(3000)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체(3000)의 양단은 개방될 수 있다. 본체(3000)의 개방된 양단은 엔드캡(4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한 쌍의 엔드캡(400)은 본체(3000)의 일 단부에 체결된 일 엔드캡(400A)과, 타 단부에 체결된 타 엔드캡(400B)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엔드캡(400)은 본체(300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0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엔드캡(400)은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엔드캡(400)의 양 단부 중 본체(3000) 측 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엔드캡(400)이 본체(3000)와 체결되면 엔드캡(400)의 내부 공간과 본체(3000)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투광부(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본체(3000)의 길이는 엔드캡(400)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3000)의 길이가 엔드캡(4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엔드캡(400)의 길이보다 짧을 수도 있다.
하우징(2000)에는 개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20)는 하우징(20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20)는 하우징(2000)의 일면(예를 들어,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20)는 후술할 투광 커버(5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개방부(220)의 일부는 본체(3000)에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한 쌍의 엔드캡(40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투광부(210)는 투광 커버(500)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 커버(500)는 하우징(2000)의 개방부(220)를 커버할 수 있다. 투광 커버(500)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빛이 투광 커버(500)를 통해 투광부(2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투광 커버(500)는 수평한 패널 형상일 수 있다. 투광 커버(500)는 투광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엔드캡(400)에는 투광 커버(500)를 구속하는 엔드 커버(480)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엔드 커버(480)는 투광 커버(500)의 양 단부를 구속할 수 있다. 일례로, 한 쌍의 엔드 커버(480)는 투광 커버(500)의 양 단부를 상하 방향에 대해 구속할 수 있다.
엔드 커버(480)에 의해 투광 커버(500)와 하우징(2000)의 사이의 밀폐 구조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엔드 커버(480)는 엔드캡(400)의 상측에서 체결될 수 있다. 엔드 커버(480) 중 일부는 투광 커버(500)의 단부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엔드 커버(480)는 일 엔드캡(400A)의 상측에 체결된 제1 엔드 커버(480A)와, 타 엔드캡(400B)의 상측에 체결된 제2 엔드 커버(48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엔드 커버(480) 중 적어도 하나에는 투광부(210)의 입광 상태 또는 차광 상태 또는 감지 정보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상태 표시부(4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태 표시부(490)는 도 2a의 상태 표시등(217a 또는 237a)의 다른 표현일 수 있다.
이하, 제1 엔드 커버(480A)에 상태 표시부(490)가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태 표시부(49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엔드캡(400A)에는 상태 표시부(490)를 향하며 빛(가시광선)을 발광시키는 광원(예를 들어, LED)가 내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원은 투광부(210)의 메인 기판에 구비될 수도 있다.
광원은 상태 표시부(490)를 통해 출사되는 빛의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소정 간격으로 빛을 점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태 표시부(490)를 통해 출사되는 빛의 색이나 깜빡임을 통해 투광부(210)의 상태 정보 또는 감지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광부 또는 수광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투광부 또는 수광부의 구성 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투광부(210)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도 13 및 도 14의 구성은 수광부(23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투광부(210)는 투광 커버(500)를 하우징(2000)에 부착시키는 커버 실링(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실링(800)은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실링(800)은 투광 커버(500)의 일면(예를 들어, 저면)의 가장자리에 접착될 수 있다.
커버 실링(800)은 투광 커버(500)와 하우징(2000)을 접착시키는 접착제가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버 실링(800)은 폴리우레탄계(polyurethane) 접착제일 수 있다.
접착제가 경화되어 형성된 커버 실링(800)은 탄성을 가지므로, 하우징(2000)과 투광 커버(500) 사이의 틈을 신뢰성있게 실링할 수 있다.
이로써, 커버 실링(800)이 고무나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투광부(210)가 컴팩트해질 수 있고, 투광 커버(500)의 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한 부착 방식에 비해 다양한 기후적 환경 조건에서도 높은 밀폐 신뢰성을 갖는다. 또한, 접착제가 경화되어 커버 실링(800)을 형성하므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다양한 타입의 투광부(210)를 커버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하우징(2000)에는 커버 실링(800)이 배치된 커버 실링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실링(800)은 커버 실링홈(221)과 투광 커버(5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 실링홈(221)은 커버 실링(800)과 마찬가지로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실링홈(221)은 본체(3000)에 형성된 제1 커버 실링홈(321)과, 한 쌍의 엔드캡(400)에 형성된 제2 커버 실링홈(4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00)의 양단부에 한 쌍의 엔드캡(400)이 체결되면 제1커버 실링홈(321)과 제2커버 실링홈(421)은 연결되어 커버 실링홈(22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엔드 커버(480)는 투광 커버(500)가 하우징(2000)에 부착된 상태에서 엔드캡(400)에 체결될 수 있다. 엔드 커버(480)는 대략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부재(C1)(예를 들어, 스크류 또는 볼트)는 엔드 커버(480)에 형성된 체결공(481)을 관통하여 엔드캡(400)에 형성된 체결홈(440)에 체결될 수 있다.
엔드 커버(480)는 투광 커버(500)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회피홈(482)이 형성될 수 있다. 투광 커버(500)의 단부는 회피홈(482)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투광 커버(500)의 단부는 엔드캡(400)과 엔드 커버(480)의 사이에 구속될 수 있다.
엔드캡(400)에는 엔드 커버(480)에 의해 커버되는 관통부(441)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441)는 투광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일 수 있다.
일 엔드캡(400A)의 관통부(441)는 제1 엔드 커버(480A)에 구비된 상태 표시부(49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엔드캡(400)에 내장된 광원은 관통부(441)를 통해 상태 표시부(490)로 빛을 출사할 수 있다.
또한, 일 엔드캡(400)의 관통부(441)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캡(441a)(cap)이 피팅될 수 있다.
광원의 빛은 캡(441a)을 지나며 확산될 수 있다.
타 엔드캡(400B)의 관통부(441)는 메인 기판에 구비된 전장 부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기판은 하우징(2000)에 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기판의 일부는 본체(3000)의 내부에, 다른 일부는 한 쌍의 엔드캡(4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기판은 투광부(210)의 동작을 제어하는 투광 컨트롤러(219)를 포함할 수 있다.
엔드 캡(400)의 제1 파트(1310) 및 제2 파트(1320)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1320)는 제1 파트(1310)의 상면에 배치되어, 돌출될 수 있다.
제2 파트(1320)는 제1 파트(1310)보다 소정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트(1310) 및 제2 파트(1320) 간의 단차 배치로, 엔드 커버(480)는 ㄷ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엔드 커버(480)는 엔드 캡(400)과 결합될 수 있다.
엔드 캡(400)의 제2 파트(1320)에는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한 쌍의 차단 플레이트(1301)가 형성될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1301)는 제2 파트(1320)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차단 플레이트(1301)의 내부에 광 가이드 유닛(600)이 배치될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1301)는 투광 소자가 출사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1301)의 돌출 높이는 광 가이드부(600)의 돌출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1301)를 통해 광 가이드부(600)에 구비된 투광 소자와 메인 기판(700, 도 14 참조)에 구비된 광원 간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엔드 캡(400)의 제1 파트(1310), 제2 파트(1320)는 앤드 커버(480)와 결합되어, 일체형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장 부품은 리플렉터, 커넥터 또는 제어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엔드 커버(480B)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표시부가 구비되고 메인 기판(700)에 구비된 리플렉터(E1)는 관통공(441)을 통해 상기 표시부에 FND(Flexible Numeric Display)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제2 엔드 커버(480B)만을 분리하고 관통공(441)을 통해 메인 기판에 구비된 커넥터(E2) 및/또는 제어 스위치(E3)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엔드 커버(480)는 본체(3000)와 엔드캡(400)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C2)를 커버할 수 있다. 이로써, 투광부(210)의 외관이 깔끔해질 수 있다.
투광부(210)는 광 가이드 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 유닛(600)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광 가이드 유닛(600)은 투광 커버(5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광 가이드 유닛(600)은 투광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 유닛(600)의 일부는 본체(30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한 쌍의 엔드캡(4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투광부(210)의 광 가이드 유닛(600)은 투과 커버(500)를 통해 빛을 투광부(210)의 외부로 출사시킬 수 있다. 도 13의 실시 예가 수광부(230)에 적용되는 경우, 광 가이드 유닛(600)은 투광 커버(500)를 통해 입사된 빛을 감지할 수 있다.
광 가이드 유닛(600)의 렌즈(610)는 하우징(200)의 개방부(220)를 통해 투광 커버(500)를 향할 수 있다
렌즈(61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렌즈(610)는 투광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 또는 복수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투광부(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복수개의 렌즈들 각각(610)은 일정 피치(P)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메인 기판(700)에는 복수의 광원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들 각각(1401)은 관통부(44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들 각각(1401)은 특정 컬러를 갖는 빛을 출사하는 LED일 수 있다.
관통부(441)는 제1 엔드 커버(480A)에 구비된 상태 표시부(49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엔드캡(400)에 내장된 광원은 관통부(441)를 통해 상태 표시부(490)로 빛을 출사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들 각각(1401)은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들은 빛을 출사하고, 출사된 빛은 관통부(441)를 통해 상태 표시부(490)로 출사될 수 있다.
메인 기판(700)에 구비된 컨트롤러는 입광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컬러를 출력하도록 복수의 광원들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기판(700)에 구비된 컨트롤러는 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컬러를 출력하도록 복수의 광원들을 제어할 수 있다.
작업 관리자는 상태 표시부(490)를 통해 출사된 빛의 컬러를 통해, 입광 상태 또는 차광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메인 기판(700)에 구비된 컨트롤러는 뮤팅 신호에 기초하여, 뮤팅 상태가 감지된 경우, 복수의 광원들의 동작 모드를 입차광 모드에서 뮤팅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메인 기판(700)에 구비된 컨트롤러는 뮤팅 상태가 감지된 경우, 녹색 컬러를 1초 주기로 점멸하도록, 복수의 광원들을 제어할 수 있다.
작업 관리자는 상태 표시부(490)를 통해 출사된 빛을 통해 뮤팅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다광축 센서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다광축 센서에 있어서,
    복수의 투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투광부; 및
    상기 복수의 투광 소자들 각각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각 투광 소자로부터, 광을 수신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광부 또는 상기 수광부는
    내부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양단이 개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단에 체결된 일단 엔드 캡 및 타단 엔드 캡을 포함하는 한 쌍의 엔드 캡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한 쌍의 엔드 캡과 체결된 한 쌍의 엔드 커버,
    상기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엔드 캡에 걸쳐있고, 상기 복수의 투광 소자들 또는 상기 복수의 수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광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일단 엔드 캡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입광 상태, 상기 차광 상태 또는 상기 뮤팅 상태를 나타내는 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하는
    다광축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 엔드 캡 및 상기 타단 엔드 캡 각각은 제1 파트 및 상기 제1 파트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파트로부터 돌출된 제2 파트를 포함하는
    다광축 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 엔드 캡의 상기 제2 파트에는 상기 제1 파트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한 쌍의 차단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투광 소자들이 출사하는 광 또는 상기 복수의 수광 소자들이 수신하는 광과 상기 복수의 광원들이 출력하는 광 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다광축 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돌출 높이는 상기 광 가이드 유닛의 돌출 높이보다 큰
    다광축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 앤드 캡에는 상기 앤드 커버에 의해 커버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다광축 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캡이 피팅되는
    다광축 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 또는 상기 수광부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방부를 커버하는 투광 커버 또는 수광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엔드 커버는
    상기 투광 커버의 양 단부 또는 상기 수광 커버의 양 단부를 구속하는
    다광축 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엔드 커버는
    상기 일단 엔드 캡의 상측에 체결된 제1 엔드 커버 및 상기 타 엔드 캡의 상측에 체결된 제2 엔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엔드 커버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에 의한 광이 출력되는 상태 표시부를 구비하는
    다광축 센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엔드 커버에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가 구비되어 있는
    다광축 센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들은
    입차광 모드에서 상기 입광 상태가 감지된 경우, 상기 입광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입차광 모드에서 상기 차광 상태가 감지된 경우, 상기 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다광축 센서의 안전 기능을 무효화하는 뮤팅 상태가 감지된 경우, 상기 입차광 모드를 뮤팅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뮤팅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알림을 출력하는
    다광축 센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은 상기 복수의 광원들이 제1 컬러를 출력하는 알림이고,
    상기 제2 알림은 상기 복수의 광원들이 제2 컬러를 출력하는 알림이고,
    상기 제3 알림은 상기 복수의 광원들이 제3 컬러를 출력하는 알림인
    다광축 센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은 상기 입광 상태 중, 상기 제1 컬러를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알림이고,
    상기 제2 알림은 상기 차광 상태 중, 상기 제2 컬러를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알림이고,
    상기 제3 알림은 상기 뮤팅 상태 중, 상기 제3 컬러를 점멸하는 알림이고,
    상기 제1 컬러와 상기 제3 컬러는 동일한 컬러인
    다광축 센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 또는 상기 수광부는
    상기 뮤팅 상태가 종료됨을 감지한 경우, 상기 복수의 광원들의 동작 모드를 뮤팅 모드에서 입차광 모드로 재 전환하는
    다광축 센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 또는 상기 수광부는
    제1 뮤팅 센서로부터, 온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뮤팅 센서와 입력의 순서가 미리 정해진 제2 뮤팅 센서로부터 온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뮤팅 상태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다광축 센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 또는 상기 수광부는
    상기 제1 뮤팅 센서로부터, 오프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뮤팅 상태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다광축 센서.
KR1020220044477A 2020-03-03 2022-04-11 다광축 센서 KR102511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477A KR102511558B1 (ko) 2020-03-03 2022-04-11 다광축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480A KR20210111481A (ko) 2020-03-03 2020-03-03 다광축 센서
KR1020220044477A KR102511558B1 (ko) 2020-03-03 2022-04-11 다광축 센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480A Division KR20210111481A (ko) 2020-03-03 2020-03-03 다광축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874A true KR20220052874A (ko) 2022-04-28
KR102511558B1 KR102511558B1 (ko) 2023-03-20

Family

ID=776136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480A KR20210111481A (ko) 2020-03-03 2020-03-03 다광축 센서
KR1020220044477A KR102511558B1 (ko) 2020-03-03 2022-04-11 다광축 센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480A KR20210111481A (ko) 2020-03-03 2020-03-03 다광축 센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06717A1 (ko)
EP (1) EP4116744A4 (ko)
KR (2) KR20210111481A (ko)
CN (1) CN115280186A (ko)
WO (1) WO202117755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1721A (ja) * 2007-01-23 2008-08-07 Keyence Corp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15078946A (ja) * 2013-10-18 2015-04-23 株式会社キーエンス 距離測定型光電センサ及びその投光スポット制御方法
KR101630117B1 (ko) * 2014-04-18 2016-06-1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다광축 광전 센서
KR20180007667A (ko) * 2016-07-13 2018-01-2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다광축 광전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705191D1 (de) 1997-06-30 2001-12-06 Cedes Ag Landquart Lichtschranke oder Lichtvorhang mit Ausrichthilfe
JP4052608B2 (ja) * 1998-06-02 2008-02-27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多光軸光電スイッチ
JP4141169B2 (ja) * 2002-04-26 2008-08-27 サンクス株式会社 エリアセンサ
JP5137054B2 (ja) * 2007-01-25 2013-02-06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多光軸光電センサ
JP5065984B2 (ja) * 2008-04-30 2012-11-07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JP5977564B2 (ja) * 2012-04-11 2016-08-24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多光軸光電センサ
US9671523B2 (en) * 2015-08-05 2017-06-06 Banner Engineering Corp. Field installable light curtain status module
JP6809088B2 (ja) * 2016-09-28 2021-01-06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1721A (ja) * 2007-01-23 2008-08-07 Keyence Corp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15078946A (ja) * 2013-10-18 2015-04-23 株式会社キーエンス 距離測定型光電センサ及びその投光スポット制御方法
KR101630117B1 (ko) * 2014-04-18 2016-06-1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다광축 광전 센서
KR20180007667A (ko) * 2016-07-13 2018-01-2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다광축 광전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7557A1 (ko) 2021-09-10
KR102511558B1 (ko) 2023-03-20
US20230106717A1 (en) 2023-04-06
EP4116744A4 (en) 2024-04-10
CN115280186A (zh) 2022-11-01
KR20210111481A (ko) 2021-09-13
EP4116744A1 (en)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0955B2 (en) Multi-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having an inter-optical-axis indication unit
EP3382489B1 (en) Tour guide robot and moving area calibration metho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EP2584767B1 (en) Protective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511737B1 (en) Modular light curtain and plug-in module therefor
JP5465563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US9874907B2 (en) Display device
US8878687B2 (en) Automatic door sensor and functionality expansion module for use in the same
KR20180096059A (ko) 객체의 특성이 적용된 맵을 작성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KR20160040421A (ko) 센서 장치 및 위험 검지 시스템
KR102511558B1 (ko) 다광축 센서
JP2003317585A (ja) エリアセンサ
US20220146670A1 (en) Visual indicators for presence sensing systems
US8698069B2 (en) Switch
KR101268340B1 (ko) 차단커버가 장착된 일체형 모션 감지 스위치
CN111078045B (zh) 一种显示装置及其触摸检测方法
KR20210120269A (ko) 다광축 센서 및 다광축 센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210130974A (ko) 다광축 센서의 동작 방법
CN214623103U (zh) 电子设备
CN210153526U (zh) 一种漫反射安全光栅
CN108702417B (zh) 终端控制方法以及终端
CN117288328A (zh) 一种色标传感器及其装配方法
KR101337971B1 (ko) 모션 감지 스위치
KR101349257B1 (ko) 모션 감지 스위치
KR101337972B1 (ko) 일체형 모션 감지 스위치
EP4004692A1 (en) Rearview mirr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