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385A -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385A
KR20220052385A KR1020200135594A KR20200135594A KR20220052385A KR 20220052385 A KR20220052385 A KR 20220052385A KR 1020200135594 A KR1020200135594 A KR 1020200135594A KR 20200135594 A KR20200135594 A KR 20200135594A KR 20220052385 A KR20220052385 A KR 20220052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ntibacterial
composition
antiviral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3982B1 (ko
Inventor
이호
김철
최일
임경현
Original Assignee
(주) 비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에스티 filed Critical (주) 비에스티
Priority to KR102020013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982B1/ko
Priority to PCT/KR2020/016705 priority patent/WO2022085847A1/ko
Publication of KR2022005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1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Vir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고추냉이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고추냉이가 아임계 추출 공정에 의하여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 고추냉이 추출물을 발효시켜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 발효 추출물에 천연 추출물을 첨가하여 천연 발효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천연 발효 복합물을 미세 유화 공정에 의하여 안정화를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 Natural Extracted Composite Composition Containing a Fermented Extract of a Wasabia japonica Matsum for An Antimicrobial and Antiviral Activity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아임계 추출(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 공정에 의하여 고추냉이로부터 추출된 유효 성분의 발효 성분을 함유하는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추냉이(Wasabia japonica Matsum)는 십자화과 다년생 숙근성 식물로 한랭한 계곡에서 자생하며 냉지에서 재배될 수 있는 식물이다. 고추냉이가 식중독세균, 병원성 효모, 곰팡이와 같은 병원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은 밝혀져 있고, 또한 항산화 활성, 혈소판 응집의 억제활성, 항변이원 활성 또는 항암활성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추냉이는 고유의 매운맛, 단맛 및 향을 가지고 있어 회, 초밥, 국수와 같은 음식의 향신료로 이용될 수 있다. 고추냉이 특유의 독특한 향미의 주성분은 고추냉이에 포함된 휘발성 성분에 해당하는 이소티오시안산 알킬(ally isothiocyanate: AIT)이 되고, 이 성분에 조직에 시니그린(sinigrin)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와 같은 배당체 자체는 매운맛이 없으나 조직이 파괴되면 조직 내에 존재하는 마이로시나아제(myrosinase)에 의하여 배당체가 가수분해 되어 매운맛을 나타낼 수 있다. 이소티오시안산 알킬(AIT)은 겨자무, 고추냉이를 비롯하여 백겨자, 흑겨자, 유채, 무, 양배추, 배추 또는 이와 유사한 십자화가 식물에만 분포하며 식욕 및 소화촉진, 비타민B1의 합성촉진, 비타민C의 산화억제, 식후 체내 이상발효 억제, 구충제, 항균, 항진균, 항암, 살충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추냉이로부터 AIT와 같은 유효 성분을 열수 추출, 유기 용매 추출, 초임계 추출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공개번호 10-2005-0055644 또는 특허공개번호 10-2016-0044084는 증류 또는 유기 용매에 의하여 고추냉이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제시된 방법 또는 공지 기술에 해당하는 열수 추출 방법 또는 중성염 추출 방법의 경우 불순물의 혼입될 수 있고, 유해물질이 될 수 있는 용매가 남아 제품의 품질에 대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또한 다수 단계의 공정을 거치므로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유효 성분이 유실될 수 있고, 이물질이 혼입 가능성이 있고, 추출물의 순도가 낮다는 단점을 가진다. 열수 추출법과 중성염 추출법도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추출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10-2005-0055644(주식회사 유니베라 외, 2016.12.08. 공개)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및 식품 조성물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10-2016-0044084(신영호 외, 2005.06.13. 공개) 증류 추출공정을 이용하여 고추냉이로부터 고농도의 항균성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고추냉이를 아임계 추출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소티오시안산 알킬(AIT) 성분을 포함하면서 항균 효과, 항진균 효과, 살균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고추냉이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고추냉이가 아임계 추출 공정에 의하여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 고추냉이 추출물을 발효시켜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 발효 추출물에 천연 추출물을 첨가하여 천연 발효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천연 발효 복합물을 미세 유화 공정에 의하여 안정화를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아임계 추출은 130 내지 200 ℃의 온도 및 15 내지 30 기압의 조건에서 추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은 브로콜리 추출물, 마늘 추출물, 녹차 추출물, 깻잎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발효 단계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 의하여 액체배지로 25 내지 35℃에서 48 내지 96시간 동안 배양하여 획득한 배양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은 고추냉이 추출물; 및 브로콜리 추출물, 마늘 추출물, 녹차 추출물, 깻잎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고, 항균 효과, 항진균 효과, 살균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또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Saccharomyces Cerevisiae)에 의한 발효물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aureus), 페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MRSA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 살모넬라균(Salmonella typhimurium), 리스테리아(Listeria monocytogenes) 및 시겔라 플렉스네리(Shigella flexneri)에 대해 항균 활성 또는 살균 활성을 갖고,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niger)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가지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합 조성물은 화장품, 피부 세정제, 모발 세정제, 질 세정제, 욕실용 세정제, 구강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화장품 보존제, 식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 식품 첨가제 및 사료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성물에 첨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아임계(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 공정과 미세유화 공정(micro fluidizer)에 의하여 고추냉이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추출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불순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균, 항진균, 항바이러스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이로 인하여 식품, 화장품 또는 생활용품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 피부 세정제, 모발 세정제, 질 세정제, 욕실용 세정제, 구강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화장품 보존제, 식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 식품 첨가제 또는 사료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세균 및 진균 활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속공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지속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고추냉이를 준비하는 단계(P11); 준비된 고추냉이가 아임계 추출 공정에 의하여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P12); 고추냉이 추출물을 발효시켜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P13); 발효 추출물에 천연 추출물을 첨가하여 천연 발효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P14); 및 천연 발효 복합물을 미세 유화 공정에 의하여 안정화를 시키는 단계(P15)를 포함한다.
고추냉이(Wasabia japonica Matsum)는 십자화과 다년생 숙근성 식물이 되고, 시니그린(singrin) 또는 이소티오시안산 알킬(Allyl Isothiocyanate: AIT)을 생성시키는 성분을 포함하는 식물이 될 수 있다. 고추냉이는 수경 재배가 되거나, 밭 재배가 될 수 있고, 1 내지 2년 동안 생장된 고추냉이가 준비될 수 있다(P11). 고추냉이의 근경(rhizome)과 잎(leaf)이 분리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분리된 잎이 준비될 수 있다. 준비된 근경은 세척되어 건조가 되어 함수율이 5 내지 15 wt%가 되도록 건조될 수 있다. 건조가 된 고추냉이의 근경은 분쇄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0.5 내지 10 ㎜의 평균 직경을 가지도록 분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준비된 고추냉이로부터 아임계 추출 공정((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에 의하여 유효 성분이 추출될 수 있다(P12). 정상비점과 임계온도 사이에서 가압에 의해 액체인 아임계수의 초임계 온도와 압력 이상의 상태에서 존재하는 유체가 아임계 유체가 되고, 아임계 유체를 용매로 하여 다양한 원료 물질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이 아임계 추출 공정이 된다. 용매로 물이 사용되는 경우 130 내지 200 ℃의 온도 및 15 내지 30 기압의 조건에서 아임계수가 만들어질 수 있다. 아임계수는 가수분해 능력이 크면서 유기물을 용해시킬 수 있으므로 고추냉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아임계 용매는 물, 에탄올 또는 메탄올이 되거나, 온도 및 압력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면서 유기물의 분해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물과 알코올의 혼합 용액이 아임계 유체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과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 중량 비율로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 = 100: 10 내지 30의 비율이 되는 혼합 용매가 아임계 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아임계 추출 공정에 의하여 고추냉이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물, 물과 에탄올 또는 물과 메탄올 혼합 용매가 준비될 수 있고, 고추냉이가 용매에 침지되어 130 내지 200 ℃의 온도 및 15 내지 30 기압의 압력 범위에서 온도와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아임계 추출은 예를 들어 30 내지 1000초 동안 진행될 수 있고, 추출된 유효 성분이 원심분리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성분이 여과되어 고추냉이 추출물이 준비되면(P12), 천연 첨가물이 혼합될 수 있다(P13).
천연 첨가물은 브로콜리 추출물, 마늘 추출물, 녹차 추출물, 깻잎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천연 첨가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고 아임계 추출 공정, 열수 추출 공정, 초임계 추출 공정 또는 이와 유사한 추출 공정을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천연 첨가물은 조성물의 적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중량 비율로 고추냉이 추출물: 천연 첨가물 = 10: 10 내지 500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첨가되는 천연 첨가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천연 첨가물의 양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녹차 추출물은 황금 추출물에 대하여 중량 비율로 황금 추출물: 녹차 추출물 = 100: 50 내지 150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마늘 추출물은 황금 추출물에 대하여 중량 비율로 황금 추출물: 녹차 추출물 = 100: 10 내지 30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천연 첨가물은 용도에 따라 종류 또는 양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천연 첨가물이 첨가되면(P13), 복합물은 발효가 될 수 있다(P14). 발효는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Saccharomyces Cerevisiae), Leuconostoc spp., Pichia spp., Latobacillus paracasei,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tobellius spp. 또는 Sacharomyces spp.에 의하여 발효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배지에서 25 내지 35 ℃의 온도 조건으로 48 내지 96 시간 동안 배양될 수 있고, 배양된 발효물이 여과되어 발효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발효 추출물이 얻어지면(P14) 미세 유화 공정에 의하여 안정화가 될 수 있다(P15). 미세 유화 공정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idzer)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100 내지 500 MPa의 압력 조건으로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1 내지 5회 통과를 시켜 50 내지 500 ㎚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나노 에멀젼이 만들어지도록 진행될 수 있다. 마이크로플루다이저에 의하여 나노 에멀젼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먼저 천연 발효 복합물은 고속 혼합기(high speed mixer)에 의하여 마이크로 에멀전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후 1 내지 5회에 걸쳐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통과시켜 50 내지 500 ㎚, 바람직하게 50 내지 200 ㎚의 평균 직경을 가지면서 입자 분산 지수가 0.45 이하, 바람직하게 0.35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노 에멀젼 형태로 만들어진 화장품, 피부 세정제, 모발 세정제, 질 세정제, 욕실용 세정제, 구강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화장품 보존제, 식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 식품 첨가제 및 사료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성물에 첨가되어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이와 같이 만들어진 조성물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된다.
실시 예
가. 생육 기간이 약 15개월이 되고, 중량이 120 내지 150g이 되는 고추냉이의 근경을 평균 직경 0.8 내지 1.2 ㎜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되었다.
나. 물과 에탄올이 중량 비율로 100: 20이 되는 아임계 용매가 준비되고, 150 내지 180 ℃의 온도 및 20 기압의 조건에서 120초 동안 분쇄 고추냉이가 아임계 추출이 되었다.
다. 추출물을 원심 분리하여 유효성분을 분리하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액체 배지에서 30 ℃의 온도에서 60 시간 동안 발효가 되었다. 발효 추출물에 녹차 추출물 및 마늘 추출물이 각각 발효 추출물에 대하여 중량 비율로 발효 추출물: 녹차 및 마늘 추출물 = 20: 100이 되도록 혼합되었다.
라. 이와 같이 혼합된 복합 천연 추출물이 고속 혼합기에 투입되어 마이크로 에멀젼으로 만들어지고, 이후 120 내지 150 MPa의 압력 조건에서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3회 통과시켜 평균 직경 150 내지 180 ㎚ 그리고 입자 분산 지수가 0.40이 되도록 나노 에멀젼으로 만들었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에 대한 효능 시험이 이루어졌다.
효능 시험
1. 세균 및 진균 활성 시험
제조된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효능 시험이 이루어졌고, 시험 결과가 아래의 표 1 및 도 2로 제시되었고, MIC의 (Microdilution method) 조건은 아래와 같다.
- NB (Nutrient broth, 박테리아), PDB (Potato Dextrose broth, 곰팡이)
- 박테리아: 5.0x104 CFU/mL, 곰팡이: 6.0x104 CFU/mL
- 박테리아: 35℃/48h, 곰팡이: 25℃/48h 배양
- pH 6.0으로 조절
스트레인 추출 조성물 Sodium Benzonate 자몽 종자 추출물
S.aureus 0.156 0.078 0.156
E.coli 0.313 0.156 0.156
P.aeruginosa 0.626 0.156 0.313
C.albicans 0.156 0.078 0.313
A.niger 0.156 0.039 0.313
<항균 및 진균 활성 시험>
2. 항균 시험으로 30초 속공성 시험이 진행되었고, 시험 결과가 도 2로 제시되었다.
시험 결과로 알 수 있는 것처럼, 추출 조성물 1.0 wt% 내지 2.0 wt%의 농도에서 세균이 99.99 % 이상이 사멸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지속성 시험이 이루어졌고, S.aureus 및 E.coli에 대한 시험 결과가 각각 표 2 및 표 3 그리고 도 4의 (가) 및 (나)로 제시되었다. 지속성 시험을 위하여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에 각각의 샘플을 주입한뒤 0 / 30 / 60 분간 정치 보관 후 미생물 도말 진행되었다. 발효 주정의 경우 샘플 주입 후 즉시 미생물 도말시 미생물 제어 활성을 보인 반면, 30 / 60 분 정치 후 미생물 도말 시 미생물 제어 효능이 관찰되지 않았고, 복합 조성물의 경우 모든 실험구에서 미생물의 제어 활성이 확인되었다.
샘플 Inhibition Zone(㎜)
0 min 30 min 1 hr
발효주정 65 % 30 - -
복합조성물 0.5 wt% 21 21 20
<S.aureus의 지속성 시험>
샘플 Inhibition Zone(㎜)
0 min 30 min 1 hr
발효주정 65 % 27 - -
복합조성물 0.5 wt% 24 24 22
<E.coli의 지속성 시험 결과>
위의 시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은 화장품, 피부 세정제, 모발 세정제, 질 세정제, 욕실용 세정제, 구강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화장품 보존제, 식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 식품 첨가제 및 사료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김치의 장기간 보관을 위하여 전체 보존제의 0.5 내지 4.0 wt%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aureus), 페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MRSA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 살모넬라균(Salmonella typhimurium), 리스테리아(Listeria monocytogenes) 및 시겔라 플렉스네리(Shigella flexneri)에 대해 항균 활성 또는 살균 활성을 갖고,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niger)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가지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아임계 추출 공정에 의하여 추출 효율이 높고, 예를 들어 0.40 내지 0.80 ㎎/g의 이소티오시안산 알킬(Allyl Isothiocyanate: AIT)의 추출이 가능하면서 마르크로플루다이저에 의하여 나노 에멀젼 형태로 만들어져 안정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P11: 고추냉이 준비 P12: 아임계 추출
P13: 천연 혼합물 첨가 P14: 발효
P15: 미세 유화

Claims (8)

  1. 고추냉이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고추냉이가 아임계 추출 공정에 의하여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
    고추냉이 추출물을 발효시켜 발효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
    발효 추출물에 천연 추출물을 첨가하여 천연 발효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천연 발효 복합물을 미세 유화 공정에 의하여 안정화를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아임계 추출은 130 내지 200 ℃의 온도 및 15 내지 30 기압의 조건에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천연 추출물은 브로콜리 추출물, 마늘 추출물, 녹차 추출물, 깻잎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발효 단계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 의하여 액체배지로 25 내지 35℃에서 48 내지 96시간 동안 배양하여 획득한 배양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고추냉이 추출물; 및 브로콜리 추출물, 마늘 추출물, 녹차 추출물, 깻잎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고, 항균 효과, 항진균 효과, 살균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또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Saccharomyces Cerevisiae)에 의한 발효물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aureus), 페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MRSA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 살모넬라균(Salmonella typhimurium), 리스테리아(Listeria monocytogenes) 및 시겔라 플렉스네리(Shigella flexneri)에 대해 항균 활성 또는 살균 활성을 갖고,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niger)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가지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8. 청구항 5에 있어서, 복합 조성물은 화장품, 피부 세정제, 모발 세정제, 질 세정제, 욕실용 세정제, 구강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화장품 보존제, 식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 식품 첨가제 및 사료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KR1020200135594A 2020-10-20 2020-10-20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3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594A KR102433982B1 (ko) 2020-10-20 2020-10-20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0/016705 WO2022085847A1 (ko) 2020-10-20 2020-11-24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594A KR102433982B1 (ko) 2020-10-20 2020-10-20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385A true KR20220052385A (ko) 2022-04-28
KR102433982B1 KR102433982B1 (ko) 2022-08-22

Family

ID=8128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594A KR102433982B1 (ko) 2020-10-20 2020-10-20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3982B1 (ko)
WO (1) WO20220858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325B1 (ko) * 2022-11-15 2023-12-04 주식회사 큐옴바이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 균주를 함유하는 피부 유해균에 대한 항균 및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318A (ko) * 2002-11-11 2004-05-17 주식회사 바이오메타 초임계 및 아임계 유체 추출공정을 이용하여고추냉이로부터 항균성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KR20050055644A (ko) 2005-04-27 2005-06-13 주식회사 엠씨바이오텍 증류 추출공정을 이용하여 고추냉이로부터 고농도의 항균성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JP2007137768A (ja) * 2005-11-14 2007-06-07 Eikoudou:Kk 皮膚若しくは毛髪用化粧料
KR20160044084A (ko) 2014-10-14 2016-04-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추냉이 추출물을 함유한 항균성 막걸리박 단백질 필름의 제조방법
KR101864409B1 (ko) * 2017-12-19 2018-06-04 이엠생활환경 주식회사 한방 추출물 및 미생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살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20190019353A (ko) *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울금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고추냉이 추출물의 발효액을 함유한 세라마이드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8197A (ko) * 2019-01-14 2020-07-22 주식회사 에스앤엘에스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318A (ko) * 2002-11-11 2004-05-17 주식회사 바이오메타 초임계 및 아임계 유체 추출공정을 이용하여고추냉이로부터 항균성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KR20050055644A (ko) 2005-04-27 2005-06-13 주식회사 엠씨바이오텍 증류 추출공정을 이용하여 고추냉이로부터 고농도의 항균성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JP2007137768A (ja) * 2005-11-14 2007-06-07 Eikoudou:Kk 皮膚若しくは毛髪用化粧料
KR20160044084A (ko) 2014-10-14 2016-04-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추냉이 추출물을 함유한 항균성 막걸리박 단백질 필름의 제조방법
KR20190019353A (ko) *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울금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고추냉이 추출물의 발효액을 함유한 세라마이드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4409B1 (ko) * 2017-12-19 2018-06-04 이엠생활환경 주식회사 한방 추출물 및 미생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살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20200088197A (ko) * 2019-01-14 2020-07-22 주식회사 에스앤엘에스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325B1 (ko) * 2022-11-15 2023-12-04 주식회사 큐옴바이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q1 균주를 함유하는 피부 유해균에 대한 항균 및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5847A1 (ko) 2022-04-28
KR102433982B1 (ko) 202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745B1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1367512B1 (ko) 진달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4821A (ko)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20090083083A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20180011618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698774B1 (ko)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
KR101824687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433982B1 (ko)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6666B1 (ko) 섭취 성분에 기초하는 화장료 천연방부제 조성물
KR101465696B1 (ko) 항균 및 방충 조성물
KR20130001842A (ko) 쪽동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102260782B1 (ko)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989999B1 (ko) 장미숙성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9593B1 (ko)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839612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2189326B1 (ko) 용암해수 미네랄수를 포함하는 유익균 증진 및 유해균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3575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80103374A (ko) 황칠나무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1119A (ko)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0481A (ko) 김치유산균 발효액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항균 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KR101476220B1 (ko) 토복령 추출액을 함유하는 천연 보존제의 제조 방법
KR102050305B1 (ko) 딸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KR102196276B1 (ko) 여드름 유발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산화 효능을 갖는 녹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