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197A -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197A
KR20200088197A KR1020190058933A KR20190058933A KR20200088197A KR 20200088197 A KR20200088197 A KR 20200088197A KR 1020190058933 A KR1020190058933 A KR 1020190058933A KR 20190058933 A KR20190058933 A KR 20190058933A KR 20200088197 A KR20200088197 A KR 20200088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horseradish
composition
domestic
deodoriz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엘에스
주식회사 자연과생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엘에스, 주식회사 자연과생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엘에스
Publication of KR20200088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국내산 고추냉이 및 서양산 고추냉이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발효물을 얻는 단계; 상기 발효물을 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발효물을 증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시니그린 또는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최대로 추출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하여, 항균제 또는 탈취제 관련 산업에 이바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조성물{PREPARATION METHOD OF ANTIMICROBIAL OR DEODORIZING COMPOSITION AND COMPOSITION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선회나 생선 초밥에 요긴한 양념인 고추냉이는 흔히 "와사비"라고 하나, 이는 일본말이다. 고추냉이는 줄기와 뿌리를 이용하는데, 동양종(일본종)과 서양종으로 나뉜다. 동양종은 생것을 강판에 살살 갈아서 사용하며, 서양종은 건조시킨 후에 분쇄하여 물로 반죽한 것을 사용한다. 겨자와 마찬가지로 시니그린(sinigrin, 화학식: C10H16KNO9S2·H2O]이라는 물질이 효소 미로시나아제(myrosinase)에 의해 분해되어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allyl isothiocyanate, 화학식: C3H5CSN)가 생성되기 때문에, 자극성과 매운맛을 나타낸다. 시중에 나와 있는 와사비 분말이나 연와사비는 식감(食感)을 높이기 위해 식용 색소를 첨가했기 때문에 황록색을 띠지만, 원래 와사비 분말은 색이 거의 없다.
겨자의 주요 성분은 30% 내외의 기름과 배당체(配糖體)인 시니그린이 함유되어 있고, 기름은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에이코세노산, 에르스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식용유로서 적당하다. 따라서, 유채(油菜)와 같이 기름을 목적으로도 많이 재배되므로, 유채로 취급하기도 한다.
종자 중에는 배당체 시니그린이 들어 있어 매운맛을 내는데, 시니그린 자체는 신미성을 나타내지 않지만, 종자가 파쇄될 때, 그 속에 들어 있는 효소인 미로시나아제가 작용하여 시니그린은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와 포도당으로 가수분해되고, 휘발성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강력한 자극성 신미를 나타내게 된다.
고추냉이(Wasabia japonica Matsum)는 일본이 원산지인 숙근성, 다년생, 반음지 식물로서 풍미, 향미, 신미를 가지고 있어서 회, 초밥, 국수 등에 이용되는 고급향신료 작물이다(‘95 고추냉이 재배법). 고추냉이의 식물체 부위중 근경에는 매운 맛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매운맛의 주성분은 휘발성 향기성분인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 고추냉이에서 추출된 정유중에 약 80%를 차지하며 그 외 20여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다(이성우 등, 1997).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겨자무, 겨자, 갓, 유채, 무, 배추, 냉이 등에도 존재하며, 건위, 진통, 식욕촉진, 항균, 항진균, 살충, 항암, 혈전응고 방지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기존에 알려진 추출방법은 유기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유용 성분들을 추출하는 경우, 불순물의 혼입이 많아지고 유해 물질인 유기 용매의 잔존으로 인해 제품의 품질에 대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으며,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치므로,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유용한 성분도 유실(遺失)될 수 있으며, 화학약품에 의한 이물질이 혼입될 수도 있고, 추출물의 순도 또한 낮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증류 추출 공정(distilled extraction process)은 종래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지만, 정제, 추출, 분별 그리고 다양한 재료의 재결정화 등과 같이, 식품공업, 화학공업, 의약품 공업, 재료공업, 환경 산업, 에너지 다소비 산업 등의 분야에서 고품질의 제품 생산이나 효율 향상은 물론, 현재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보존이나 에너지 절약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바, 이의 응용범위는 계속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증류 추출공정을 통해 고추냉이로부터 유효 성분인 시니그린 및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최대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59055호
본 발명은 고추냉이로부터 증류추출을 통해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되는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국내산 고추냉이 및 서양산 고추냉이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발효물을 얻는 단계;
상기 발효물을 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발효물을 증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위 1에 있어서, 상기 국내산 고추냉이는 유트레마 자포니쿰(Eutrema japonicum) 또는 카르다미네 슈도와사비(Cardamine pseudowasabi) 중 적어도 하나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위 1에 있어서, 상기 국내산 고추냉이는 국내산 고추냉이의 잎, 줄기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서양산 고추냉이는 아로마시아 루스티카나(Armoracia rusticana)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위 1에 있어서, 상기 서양산 고추냉이는 서양산 고추냉이의 줄기 또는 뿌리 중 적어도 하나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위 1에 있어서, 상기 국내산 고추냉이는 혼합물 총 중량 대비 40 내지 60중량% 포함되는 것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위 1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NG24(Bacillus subtilis NG24) 또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쿠에파시엔스 NBF11-1(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 중 적어도 하나의 미생물로 발효시키는 것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위 1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 내지 12일 간 이루어지는 것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위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30 내지 70℃에서 수행되는 것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위 1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발효물의 입자 크기는 30 내지 55mesh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위 1에 있어서, 상기 증류 추출은 상기 분쇄된 발효물 대비 200 내지 500%(w/v)의 물을 가하여 증류하는 것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위 1에 있어서, 상기 증류 추출은 20 내지 60℃로 40분 내지 140분 간 1차 가열 후, 60 내지 150℃로 2차 가열하는 것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위 12에 있어서, 상기 2차 가열은 90℃ 내지 110℃로 수행되고, 이후 110℃초과 내지 140℃로 3차 가열하는,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위 1에 있어서, 상기 국내산 고추냉이 및 서양산 고추냉이를 혼합하기 전에 각각을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위 14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혼합물의 입자 크기는 20 내지 60 mesh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위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르면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시니그린 또는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최대로 추출할 수 있고, 이에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은 항균 및 탈취 능력이 우수하여 항균제 또는 탈취제 관련 산업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분쇄된 고추냉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발효 전 후의 고추냉이의 비교 결과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항균, 탈취 실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국내산 고추냉이 및 서양산 고추냉이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발효물을 얻는 단계; 상기 발효물을 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발효물을 증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시니그린 또는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최대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국내산 고추냉이는 예를 들어, 유트레마 자포니쿰(Eutrema japonicum) 또는 카르다미네 슈도와사비(Cardamine pseudowasabi)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트레마 자포니쿰(Eutrema japonicu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국내산 고추냉이는 부위에 따라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국내산 고추냉이의 잎, 줄기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양산 고추냉이는 예를 들어, 아로마시아 루스티카나(Armoracia rustican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서양산 고추냉이는 부위에 따라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서양산 고추냉이의 줄기 또는 뿌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국내산 고추냉이는 혼합물 총 중량 대비 20 내지 80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혼합비의 범위에서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시니그린(sinigrin)과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Allyl isothiocyanate)를 최대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는 상기 국내산 고추냉이 및 서양산 고추냉이의 혼합물을 발효시킬 수 있는 미생물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속의 미생물이 사용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NG24(Bacillus subtilis NG24) 또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쿠에파시엔스 NBF11-1(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 중 적어도 하나의 미생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 시 이용되는 미생물은 사전에 자체 배양될 수 있고, 계대배양을 통해 배양된 미생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발효는 상기 혼합물 총 중량 대비 미생물 5 내지 35중량%를 접종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중량%를 접종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중량%를 접종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효는 1일 내지 15일간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일 간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일 내지 10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3일 내지 6일 간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과다 발효되는 경우 오히려 효율이 저하되거나, 이산화탄소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저장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는 배양 방법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치배양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은 발효 후 자체적으로 사멸하는 것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따로 제거하는 공정은 거칠 필요가 없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효 공정을 거침으로써 상기 미생물이 고추냉이의 세포 벽을 파괴하여 세포막 내 액포, 엽록체, 세포질, 핵 등이 분해됨으로써 고추냉이 세포가 갖고 있던 각종 양질의 무기질 과 미네랄, 유기물 및 아미노산 등이 효율적으로 추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시니그린(sinigrin)과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Allyl isothiocyanate)를 최대로 추출할 수 있어 발효 공정을 거치지 않고 추출하는 것보다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는 20 내지 8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쇄된 발효물의 입자 크기는 20 내지 65 mesh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 mesh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5 mesh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증류 추출 이전에 상기 건조 및 분쇄 공정을 거칠 뿐만 아니라 상기 조건의 건조 및 분쇄 공정을 거침으로써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시니그린(sinigrin)과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Allyl isothiocyanate)를 최대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류 추출은 상기 분쇄된 발효물 대비 100 내지 900%(w/v)의 물을 가하여 증류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500%(w/v)의 물을 가하여 증류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w/v)의 물을 가하여 증류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물은 바람직하게는 증류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증류 추출은 1차 가열 후 2차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1차 가열은 1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일 수 있고, 20분 내지 160분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40분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0분간 가열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2차 가열은 1차 가열 이후 50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40℃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2차 가열은 예를 들면 10분 내지 60분, 구체적으로 10분 내지 40분간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2차 가열 후 3차 가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2차 가열은 50 내지 110℃, 구체적으로 90 내지 110℃로 수행될 수 있고, 3차 가열은 110℃ 초과 내지 140℃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3차 가열을 수행하는 경우, 2차 가열 및 3차 가열은 각각 10분 내지 30분간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증류 추출 조건의 추출을 통해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시니그린(sinigrin)과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Allyl isothiocyanate)를 최대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국내산 고추냉이 및 서양산 고추냉이를 혼합하기 전에 각각을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쇄된 혼합물의 입자 크기는 10 내지 70 mesh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mesh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mesh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혼합물의 입자 크기가 상기 범위일 때, 발효효율이 우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시니그린(sinigrin)과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Allyl isothiocyanate)가 최대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됨으로써 유효 성분인 시니그린(sinigrin)과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Allyl isothiocyanate)가 최대로 포함될 수 있어, 우수한 항균 효과 및 탈취 효과를 가지며, 화학적으로 합성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상기 조성물은 항균 효과를 가지며, 예를 들어,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미생물은 대장균 또는 황색포도상구균일 수 있고, 상기 대장균은 구체적으로 Escherichia coli ATCC 25922일 수 있고, 상기 황색포도상구균은 구체적으로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탈취 효과를 가지며, 예를 들어, 암모니아 등으로 인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친환경적으로 고추냉이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인체에 무해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탈취제 제조
(1) 고추냉이의 준비
국내산 고추냉이(유트레마 자포니쿰(Eutrema japonicum))의 잎, 줄기, 뿌리를 채취하여 세척기를 통해 세척하였다. 또한, 서양산 고추냉이(카르다미네 슈도와사비(Cardamine pseudowasabi))의 줄기와 뿌리를 채취하여 세척기를 통해 세척하였다.
(2) 발효 전 분쇄 공정
세척한 고추냉이들을 혼합하여 30 내지 50 메쉬의 입자 크기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내용물은 도 1과 같다.
(3) 발효 공정
B.subtilis NG24 및 B.amyloliquefaciens NBF11-1은 사전에 자체 배양이 이루어졌고, 계대배양을 통해 증식 및 배양되었다. 이 후 상기 고추냉이 분쇄물 10kg에 미생물 1.5 내지 2.5kg을 뿌리고 정치배양을 통해 3 내지 6일 간 발효시켰다. 상기 미생물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사멸하였다.
(4) 증류 추출 전 저온 건조 및 분쇄 공정
상기 발효공정을 거친 발효물을 40 내지 60℃에서 건조시켰다. 이후, 건조된 발효물을 분쇄기를 통해 40 내지 45mesh 크기로 분쇄하였다.
(5) 증류추출 공정
분쇄된 건조 발효물 40 내지 200g을 증류수 200 내지 1000ml에 1:5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이후 해당 혼합물을 농축부원통에 넣었고, 전열장치를 통해 30 내지 50℃로 60분 내지 120분 간 1차 가열하였다. 이 후, 70 내지 140℃로 가열하여 2차 가열하여 발생된 수증기를 농축부를 통과하여 증류관에 수증기를 인양하였고, 증류관을 10 내지 40℃의 냉각장치를 통과시켰다. 냉각장치에 통과된 수증기는 환원수가 되어 환원수통에 저장하였다.
(6) 탈취제의 제조
상기 환원수를 그대로 또는 증류수로 2 내지 20 부피배 희석하여 탈취제로 사용하였다. 또한, 항균 및 탈취 효과에 대한 고추냉이 내 유효 성분인 시니그린(sinigrin) 및 알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Allyl isothiocyanate)의 양은 상기 분쇄된 건조 발효물을 500g까지 사용함으로써 다량 얻을 수 있었다.
2. 추출 성능의 확인
(1) 발효를 거치지 않은 방식에 의한 추출 결과
상기 실시예 1에서 (1), (2), 및 (4) 공정을 거친(발효 X) 분쇄된 고추냉이 건조물 200g을 증류수 550mL와 혼합하여 균질화하고, 37℃에서 90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90 내지 110℃에서 20분 가열 및 120 내지 140℃에서 20분 가열 하면서 회전식 진공농축기로 증류하여 10mL씩 추출액을 수거하고 유효성분인 AIT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농도를 측정하였다
증류온도(℃) ATT 농도(ppm)
뿌리 줄기
90 0 0 0
100 0 0 0
110 5,326 1.263 987
120 7,536 2,526 2,136
130 8,251 2,695 2,314
140 8,310 2,932 2,532
(2) 발효 공정을 통한 증류 추출 결과
1) 실시예 1의 (1) 내지 (4)의 공정을 거친 분쇄된 건조 발효물 200g을 진공농축기에 투입하고 증류수 550mL와 혼합하여 균질화하고, 37℃에서 90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90 내지 110℃에서 20분 가열 및 120 내지 140℃에서 20분 가열 하면서 회전식 진공농축기로 증류하여 10mL씩 추출액을 수거하고 유효성분인 AIT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농도를 측정하였다
증류온도(℃) ATT 농도(ppm)
뿌리 줄기
90 2,324 1,024 841
100 5,247 1,048 912
110 7,246 2,116 2,021
120 8,124 3,021 2,847
130 8,689 3,842 3,125
140 8,694 3,952 3,254
발효공정 후 증류추출한 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저온추출 영역에서부터 상당량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고온영역에서도 기존 일반증류 추출방식 대비하여 30% 이상 유효추출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 120 내지 140℃의 가열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총 가열 시간은 동일), 상기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액을 얻어 ATT 농도를 측정하였다.
증류온도(℃) ATT 농도(ppm)
뿌리 줄기
90 2,301 1,011 821
100 5,142 1,005 894
110 5,177 2,001 1,957
120 - - -
130 - - -
140 - - -
3) 90 내지 110℃의 가열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총 가열시간은 동일), 상기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액을 얻어 ATT 농도를 측정하였다.
증류온도(℃) ATT 농도(ppm)
뿌리 줄기
90
100
110
120 7,326 2,489 1,839
130 7,821 2,941 2,101
140 8,027 3,091 2,839
3. 항균, 탈취 시험
추출된 결과물에 대하여, 전문시험기관에 의뢰,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촉이 이루어지는 식중독의 주요 원인인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시험을 실시한 결과 99.9%의 매우 우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BLANK는 무처리군을 의미한다.

Claims (16)

  1. 국내산 고추냉이 및 서양산 고추냉이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발효물을 얻는 단계;
    상기 발효물을 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발효물을 증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국내산 고추냉이는 유트레마 자포니쿰(Eutrema japonicum) 또는 카르다미네 슈도와사비(Cardamine pseudowasabi) 중 적어도 하나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국내산 고추냉이는 국내산 고추냉이의 잎, 줄기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양산 고추냉이는 아로마시아 루스티카나(Armoracia rusticana)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양산 고추냉이는 서양산 고추냉이의 줄기 또는 뿌리 중 적어도 하나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국내산 고추냉이는 혼합물 총 중량 대비 40 내지 60중량% 포함되는 것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NG24(Bacillus subtilis NG24) 또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쿠에파시엔스 NBF11-1(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 중 적어도 하나의 미생물로 발효시키는 것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 내지 12일 간 이루어지는 것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30 내지 70℃에서 수행되는 것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발효물의 입자 크기는 30 내지 55 mesh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류 추출은 상기 분쇄된 발효물 대비 200 내지 500%(w/v)의 물을 가하여 증류하는 것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류 추출은 20 내지 60℃로 40분 내지 140분 간 1차 가열 후, 60 내지 150℃로 2차 가열하는 것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2차 가열은 90℃ 내지 110℃로 수행되고, 이후 110℃초과 내지 140℃로 3차 가열하는,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국내산 고추냉이 및 서양산 고추냉이를 혼합하기 전에 각각을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혼합물의 입자 크기는 20 내지 60 mesh인,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
KR1020190058933A 2019-01-14 2019-05-20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조성물 KR202000881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4904 2019-01-14
KR1020190004904 2019-0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197A true KR20200088197A (ko) 2020-07-22

Family

ID=7189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933A KR20200088197A (ko) 2019-01-14 2019-05-20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81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385A (ko) * 2020-10-20 2022-04-28 (주) 비에스티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055A (ko) 2016-11-25 2018-06-04 연숙희 고추냉이 또는 산마늘 재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055A (ko) 2016-11-25 2018-06-04 연숙희 고추냉이 또는 산마늘 재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385A (ko) * 2020-10-20 2022-04-28 (주) 비에스티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85847A1 (ko) * 2020-10-20 2022-04-28 (주) 비에스티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rsun et al. Optimization of astaxanthin pigment bioprocessing by four different yeast species using wheat wastes
EP1142988A1 (en) Novel microorganism and use thereof
KR101082246B1 (ko) 함초가 함유된 함초누룩 및 그 제조방법
CN102405292A (zh) 具有0mV以下的氧化还原电位的微生物来源还原性混合物及其制造方法
León-Anzueto et al. Effect of vermicompost, worm-bed leachate and arbuscular mycorrizal fungi on lemongrass (Cymbopogon citratus (DC) Stapf.) growth and composition of its essential oil
KR101895521B1 (ko) 꾸지뽕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101124432B1 (ko) 발아 쥐눈이콩 한방 화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230814B1 (ko)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
KR20200088197A (ko)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조성물
KR20140046865A (ko) 쇠비름 및 미강을 함유하는 발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513233A (zh) 山苍子提取物作为青贮玉米防霉菌添加剂的应用
KR100689584B1 (ko) 배지 원료와 대나무 잎을 이용한 발효액 제조방법
CN105111003A (zh) 一种液态有机肥及其制备方法
KR101387190B1 (ko) 천년초 선인장을 이용한 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1560B1 (ko) 묘목 재배용 화학비료의 제조방법
KR20160074300A (ko) 생약재 발효에 의한 건강식품 원료의 제조방법
KR20150095329A (ko) 천연 살충제의 제조방법
KR101045011B1 (ko) 비타민나무를 이용한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57599B1 (ko)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
KR20180106968A (ko) 허브식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3405B1 (ko) 증류를 이용한 유용 미생물의 수득 방법
KR100870368B1 (ko) 축산 사료용 곡물 발아 방법
KR101219297B1 (ko) 미생물 발효물 및 레몬즙을 이용한 친환경 비료
KR101413455B1 (ko) 스테비아 액상 비료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스테비아 액상 비료
KR20230044612A (ko) 고추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