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599B1 -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 - Google Patents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599B1
KR102057599B1 KR1020190094777A KR20190094777A KR102057599B1 KR 102057599 B1 KR102057599 B1 KR 102057599B1 KR 1020190094777 A KR1020190094777 A KR 1020190094777A KR 20190094777 A KR20190094777 A KR 20190094777A KR 102057599 B1 KR102057599 B1 KR 102057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ermentation
compound
improvement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열
Original Assignee
(주)케이씨애니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씨애니헬 filed Critical (주)케이씨애니헬
Priority to KR102019009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3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mola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장석분말, 미강, CMS(Condensed Molasses Solubles)를 포함하는 천연의 발효원료에 자연에서 포집한 복합균주를 접종하여 배양 제조하므로 넓은 적용환경에 변이없이 안전하게 사용되며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자연정화기능도 우수하고, 안전한 축산물 생산 및 고품질 농산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A method for producing a microorganism preparation for livestock supplementary feed, soil improvement and environment improvement, and a microorganism preparation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장석분말, 미강, CMS(Condensed Molasses Solubles)를 포함하는 천연의 발효원료에 자연에서 포집한 복합균주를 접종하여 배양 제조하므로 넓은 적용환경에 변이없이 안전하게 사용되며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자연정화기능도 우수하고, 안전한 축산물 생산 및 고품질 농산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계화, 산업화 및 과학 영농의 가속화로 항생제가 남용된 축산물과 토양의 오염 및 환경 파괴가 심각하게 증가되고 있다.
특히, 자연환경 훼손으로 토양의 유기물과 토양의자정력 회복에 기초가 되는 미생물의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되고 있어 환경파괴로 인한 피해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오염은 기계화, 산업화가 가속화됨으로서 필연적으로 수반된 현상으로 산업화 사회의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선진국을 필두로 개발 제한 및 자원의 대물림을 위한 환경개선 및 오염된 토양의 복원을 위하여 해마다 많은 돈을 투자하여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있는 실정이지만, 환경오염 및 파괴로 인한 세계 각처에서의 피해 상황은 해가 거듭 될수록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피해 상황을 지금부터라도 줄여나가기 위한 노력으로 많은 협약과 국제적인 조약들을 내세워 국가간의 규제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러한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해상황은 기상 이변에 따른 자연재해 및 재앙으로까지 발전하여 산업화에 따른 자연의 오염도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반영하고 있다.
자연재해의 피해는 산업화 수준이 높은 지역을 주변으로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중남미 지역의 태풍피해와 서부유럽 지역의 폭우, 한파 피해 등 피해 발생 지역이 점점 광역화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행스럽게도 최근에는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지속가능한 자연의 생산능력을 이용하기 위한 각국의 노력들이 활성화되기 시작하면서 각종 환경오염을 줄이고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제제와 처리법들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지금까지의 다양한 오염원들을 효율적으로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은 개발되지 않았지만, 그 가능성을 자연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서만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정도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으면서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는 새로운 개념의 친환경 순환농법을 하기 위한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개선을 위한 미생물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664730호(2006.12.27.)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에 의해 제조한 미생물제제 국내 등록특허 제10-1545537호(2015.08.12.) 토양개량 및 토양환경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미생물제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정장석분말, 미강, CMS(Condensed Molasses Solubles)를 포함하는 천연의 발효원료에 자연에서 포집한 복합균주를 접종하여 배양 제조하므로 넓은 적용환경에 변이없이 안전하게 사용되며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자연정화기능도 우수하고, 안전한 축산물 생산 및 고품질 농산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효원료 제조단계, 복합미생물액 제조단계, 배합물 조성단계, 배합물 접종단계, 배합물 발효단계, 발효물 건조 및 분말화단계를 포함하는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효원료 제조단계는 CMS(Condensed Molasses Solubles) 10중량%와, 정장석 분말 10중량%와, 옥분 5중량%와, 조선간장 0.5중량%와, 천일염 1.5중량% 및 나머지 미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건조 분쇄하여 분말상태로 만드는 단계이고; 상기 복합미생물액 제조단계는 발효종균 0.01-0.02중량%와, 미강 5중량%와, 당밀 15중량%와, 황설탕 4중량%와, 정장석 분말 1.5중량% 및 나머지 물을 혼합하는 혼합물 생성과정과; 생성된 혼합물을 25±2℃로 유지하면서 2시간을 주기로 10㎥/h의 공기를 2시간 동안 공급하는 폭기과정과; 폭기과정을 유지하면서 3일간 배양시켜 미생물액을 만드는 배양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배합물 조성단계는 상기 발효원료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발효원료 20-30중량%와, 상기 복합미생물액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복합미생물액 70-80중량%를 배합한 후 30 내지 50rpm/min의 속도로 저속교반하면서 충분하고 완전하게 배합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이고; 상기 배합물 접종단계는 발효원료와 복합미생물액이 배합된 배합물에 상술한 발효종균을 0.1-0.2중량% 접종하여 배합물이 발효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단계이며; 상기 배합물 발효단계는 접종된 발효종균을 증식 발효시켜 배합물이 유기산을 포함한 유용물 상태로 전환되게 처리하는 단계이고; 상기 발효물 건조 및 분말화단계는 발효물을 말린 후 일정크기로 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만드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배합물 발효단계는 상기 발효종균이 접종된 배합물을 80℃ - 95℃에서 최소한 4시간 이상 50-80rpm/min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증식 발효시키고; 상기 발효물 건조 및 분말화단계는 발효물을 건조로에 넣고 20-30rmp/h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상온풍(18-20℃의 바람)으로 6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된 발효물을 파쇄하여 분말상태로 만드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를 제공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장석분말, 미강, CMS(Condensed Molasses Solubles)를 포함하는 천연의 발효원료에 자연에서 포집한 복합균주를 접종하여 배양 제조하므로 넓은 적용환경에 변이없이 안전하게 사용되며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자연정화기능도 우수하고, 안전한 축산물 생산 및 고품질 농산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발효원료 제조단계, 복합미생물액 제조단계, 배합물 조성단계, 배합물 접종단계, 배합물 발효단계, 발효물 건조 및 분말화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발효원료 제조단계는 CMS(Condensed Molasses Solubles) 10중량%와, 정장석 분말 10중량%와, 옥분 5중량%와, 조선간장 0.5중량%와, 천일염 1.5중량% 및 나머지 미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건조 분쇄하여 분말상태로 만드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CMS는 당밀을 발효시켜 라이신(lysine)을 만들면서 트레할로스(trehalose)를 포함시켜 만든 검은색의 액상 비단 백태 질소원을 통칭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CMS는 유기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가축의 휘발성 지방산 생성을 도와주고, 특히 산화방지효과를 가져 사료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며 토양에 살포되었을 때 토양의 유기물 분해, 중화작용을 통한 토양개량 효과가 뛰어나다.
그리고, 상기 정장석 분말은 정장석을 분말화시킨 것으로, 정장석은 규산염광물이며 유기물을 비롯한 70여종 미네랄과 필수 미량 희귀원소가 풍부한 광물이다. 특히, 원적외선 방사율이 92.6%이고, ph 6.5~7.5이며, 70여종의 미네랄과 토착 미생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미생물 증식에 지대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정장석 분말은 작토층을 깊게 하고 흙을 살리는 효과가 있으며, 정장석 분말에 함유된 황산화균은 유황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고, 토양중의 유기물 분해 작용, 토양 산성 중화 작용을 하여 토양을 개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옥분은 토양 활성화에 따른 병충해를 예방하고, 가축사료로 첨가시에는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조선간장은 자연발효시킨 천연 염액으로서 미네랄이 풍부하여 가축 사료에 매우 적합하다.
아울러, 상기 천일염은 미생물의 배양 및 발효 작용을 더욱 향상시키고 미네랄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미강은 섬유질이 풍부하고, 발효시 유기산을 생성하기 때문에 항균성 및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 별도의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항생제 역할을 수행하므로 토지개량, 가축 사료 등에 매우 효과적이다.
한편, 복합미생물액 제조단계는 발효종균 0.01-0.02중량%와, 미강 5중량%와, 당밀 15중량%와, 황설탕 4중량%와, 정장석 분말 1.5중량% 및 나머지 물을 혼합하는 혼합물 생성과정과; 생성된 혼합물을 25±2℃로 유지하면서 2시간을 주기로 10㎥/h의 공기를 2시간 동안 공급하는 폭기과정과; 폭기과정을 유지하면서 3일간 배양시켜 미생물액을 만드는 배양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발효종균은 바실러스 속 균주 또는 유산균을 포함하되, 바람직하기로는 페디오코커스 액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엔테로박터 호마에체이(Enterobacter hormaechei), 웨이셀라 헬레니카(Weissella hellenica), 크산토모나스 EBHRS01-2(Xanthomonas sp. EBHRS01-2),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소노렌시스(Bacillus sonorensis), 바실러스터모아밀로보란스(Bacillusthermoamy lovorans), 류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이스 스트레인 LM2632(Pediococcus pentosaceis strain LM2632)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물 생성과정에서 당밀과 황설탕은 미생물의 배양 증식을 위한 먹이가 된다.
또한, 폭기과정을 수행하는 이유는 배양을 원활하게 하도록 산소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다른 한편, 배합물 조성단계는 상기 발효원료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발효원료 20-30중량%와, 상기 복합미생물액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복합미생물액 70-80중량%를 배합한 후 30 내지 50rpm/min의 속도로 저속교반하면서 충분하고 완전하게 배합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를 거치게 되면, 복합미생물액에 발효원액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상호 상승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배합물 접종단계는 발효원료와 복합미생물액이 배합된 배합물에 상술한 발효종균을 0.1-0.2중량% 접종하여 배합물이 발효 촉진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배합물 발효단계는 접종된 발효종균을 증식 발효시켜 배합물이 유기산을 포함한 유용물 상태로 전환되게 처리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발효종균이 접종된 배합물을 80℃ - 95℃에서 최소한 4시간 이상 50-80rpm/min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증식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발효촉진과 함께 증식 배양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때문에, 통상적으로 저온 배양이 이루어지는 미생물 배양의 개념과 달리 본 발명의 경우는 기존 일반 배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온도에서 증식 발효가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발효물 건조 및 분말화단계는 발효물을 말린 후 일정크기로 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만드는 단계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물 건조 및 분말화단계는 발효물을 건조로에 넣고 20-30rmp/h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상온풍(18-20℃의 바람)으로 6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된 발효물을 파쇄하여 분말상태로 만드는 단계이다.
이것은 가축 사료로 직접 급여할 수도 있고, 또한 토양에 살포하여 토양개량제로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미생물제제는 정장석분말, 미강, CMS(Condensed Molasses Solubles)를 포함하는 천연의 발효원료에 자연에서 포집 분리한 복합균주를 접종하여 배양 제조하므로 넓은 적용환경에 변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가축의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가축의 성장을 촉진시키며, 장을 튼튼하게 하여 면역력을 높이고 설사를 예방하고, 항생제 대체제로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으며, 물에 희석하여 토양에 살포하므로 토양개량 및 환경개선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자연정화기능도 우수하고, 농가에서 쉽게 배양하여 사용할 수 있어 비료, 농약 등의 처리없이도 병충해없이 기존과 동일한 수확량을 확보하면서 고품질의 농산물을 배재할 수 있어 안전한 먹거리 재배 및 고품질 농산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발효원료로 사용되는 정장석 분말은 황산화균과 방선균 등과 유기물을 비롯한 70여종의 미네랄과 필수 미량 희귀원소가 풍부하고,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으며, 미네랄과 토착 미생물이 다량 함유된 천연 활성제로서 미생물의 증식효과, 가축의 면역력 증진효과, 가축 성장촉진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토양을 살리는 효과, 유황을 분해하는 효과 및 토양중의 유기물 분해 작용, 토양 산성 중화작용을 하여 토양을 개량시켜 주므로 토양개량 및 환경개선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자연정화기능이 우수한 자연 친화성 미생물제제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배합물 조성단계에서 배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글루타싸이온(glutathione) 25중량부와, 알긴산 10중량부와, 애타풀자이트 5중량부와, 폴리글리세릴-3코코에이트 5중량부와, 한련초추출물 10중량부와, 티오바실리스페로옥시딘스 10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글루타싸이온은 글루탐산, 시스테인, 글라이신 세개의 펩티드로 구성되어 산화와 환원의 순환이 반복되면서 독성 과산화물을 제거하고 항산화효과가 뛰어나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천연 항생제 기능을 수행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알긴산과 애타풀자이트는 상보하면서 특히 중금속 제거능력이 우수하여 토양오염을 막고, 토양 개량에 효과적인 물질이다.
그리고, 상기 폴리글리세릴-3코코에이트는 천연 방부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한련초추출물은 항균 및 항산화 효능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티오바실리스페로옥시단스(Thiobacillus ferrooxidans)는 대표적인 황화수소 제거기능을 갖는 악취제거 성분으로서 냄새 억제, 제거를 위해 첨가된다.
이와 같은 물질들을 더 첨가함으로써 효능과 효과를 더욱 더 높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
상술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발효 분말인 미생물제제를 제1시료로 만들었다.
이렇게 제조된 제1시료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시예2]
실시예 1의 배합물에 글루타싸이온(glutathione) 25중량부와, 알긴산 10중량부와, 애타풀자이트 5중량부와, 폴리글리세릴-3코코에이트 5중량부와, 한련초추출물 10중량부와, 티오바실리스페로옥시딘스 10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제2시료를 제조하였다.
[농장물 실험예]
실시예1,2에 따른 제1,2시료를 물에 희석하여 토양에 살포하되, 작물은 물에 100배 희석하여 100평당 10L를 파종 일주일전 1회, 파종후 일주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하고, 과수는 물에 50배 희석하여 개화기, 장마기, 수확전 각 1회 살포하여 재배하였다.
먼저, 고추 재배의 경우(충북 영동군 비닐하우스 농가), 제1,2시료를 모두 사용하였고, 일반적인 농법에서 20~30% 발생하는 죽은엽(사엽)의 발생이 없어 생산량이 증대되고 상품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참외 재배의 경우(경상북도 칠곡군 신리 농가), 제1,2시료를 모두 사용하였고, 일반적인 농법에서 나타내는 연작 피해 및 참외의 토양병이 발생되지 않아 작물의 증수 효과 및 병해 예방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딸기 재배의 경우(전라북도 익산군 기산리 농가), 제1,2시료를 모두 사용하였고, 일반적인 농법 보다 생산량이 증대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가축 보조사료 급여예]
가축 보조사료 급여의 경우, 최소 1년 이상을 실험해야 하나 여건상 충북 영동에 있는 농가에서 기르고 있는 20두 중 5두씩 15두를 취하여 이를 3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제1군은 기본사료에 보조사료로 제1시료를 첨가 급여하고, 제2군은 기본사료에 보조사료로 제2시료를 첨가 급여하며, 나머지 제3군은 보조사료없이 기본사료만 급여하는 형태로 6개월간 비육상태 및 설사, 축사내 냄새 등을 확인하였다.
이때, 기본사료는 조사료와 농후사료를 혼합한 사료이다.
비교를 위해, 실험전 각 개체두의 평균 중량을 측정하였으며, 제1군은 370kg, 제2군은 378kg, 제3군은 374kg이었다.
6개월간 실험 후 각 군의 평균 중량은 제1군 482kg, 제2군 502kg, 제3군 458kg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비육 측면에서도 제1,2시료가 보조사료로서의 특징을 발현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설사가 종종 일어났던 제3군에 비해 제1,2군의 경우 급여되는 동안 설사를 하지 않았으며, 축사에서 발생하는 냄새도 제1,2군이 제3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줄어 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발효원료 제조단계, 복합미생물액 제조단계, 배합물 조성단계, 배합물 접종단계, 배합물 발효단계, 발효물 건조 및 분말화단계를 포함하는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효원료 제조단계는 CMS(Condensed Molasses Solubles) 10중량%와, 정장석 분말 10중량%와, 옥분 5중량%와, 조선간장 0.5중량%와, 천일염 1.5중량% 및 나머지 미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건조 분쇄하여 분말상태로 만드는 단계이고;
    상기 복합미생물액 제조단계는 발효종균 0.01-0.02중량%와, 미강 5중량%와, 당밀 15중량%와, 황설탕 4중량%와, 정장석 분말 1.5중량% 및 나머지 물을 혼합하는 혼합물 생성과정과; 생성된 혼합물을 25±2℃로 유지하면서 2시간을 주기로 10㎥/h의 공기를 2시간 동안 공급하는 폭기과정과; 폭기과정을 유지하면서 3일간 배양시켜 미생물액을 만드는 배양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배합물 조성단계는 상기 발효원료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발효원료 20-30중량%와, 상기 복합미생물액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복합미생물액 70-80중량%를 배합한 후 30 내지 50rpm/min의 속도로 저속교반하면서 충분하고 완전하게 배합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이고;
    상기 배합물 접종단계는 발효원료와 복합미생물액이 배합된 배합물에 상술한 발효종균을 0.1-0.2중량% 접종하여 배합물이 발효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단계이며;
    상기 배합물 발효단계는 접종된 발효종균을 증식 발효시켜 배합물이 유기산을 포함한 유용물 상태로 전환되게 처리하는 단계이고;
    상기 발효물 건조 및 분말화단계는 발효물을 말린 후 일정크기로 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만드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합물 발효단계는 상기 발효종균이 접종된 배합물을 80℃ - 95℃에서 최소한 4시간 이상 50-80rpm/min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증식 발효시키고;
    상기 발효물 건조 및 분말화단계는 발효물을 건조로에 넣고 20-30rmp/h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8℃-20℃의 바람으로 6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된 발효물을 파쇄하여 분말상태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
KR1020190094777A 2019-08-05 2019-08-05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 KR102057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77A KR102057599B1 (ko) 2019-08-05 2019-08-05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77A KR102057599B1 (ko) 2019-08-05 2019-08-05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599B1 true KR102057599B1 (ko) 2019-12-18

Family

ID=6905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777A KR102057599B1 (ko) 2019-08-05 2019-08-05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69B1 (ko) * 2020-02-18 2020-08-26 이상국 천연광물 미네랄 이온 교환을 이용한 토양 미생물 활성화 환경 조성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69B1 (ko) * 2020-02-18 2020-08-26 이상국 천연광물 미네랄 이온 교환을 이용한 토양 미생물 활성화 환경 조성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77137B (zh) 一种微生物秸秆腐熟剂及其制备方法
CN101602623B (zh) 一种微生物有机肥和复混肥及其制作方法
CN103113167B (zh) 一种复合型微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5948915A (zh) 一种用于制备微生物肥料的微生物包膜剂
CN102417415A (zh) 一种用中药渣生产的抗病虫害高效肥料及生产方法
CN107580818B (zh) 一种土壤调理与修复的综合方法
US4666497A (en) Bioactivating system for increased plant growth and yields
CN106187364A (zh) 一种园林花卉专用肥料
KR20180132321A (ko)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
CN105936613A (zh) 一种促进开花的花卉专用肥料
CN104106374B (zh) 利用甘蔗渣、桑杆和玉米渣生产姬菇的方法
CN104094772B (zh) 利用木薯渣、桑杆和稻草生产姬菇的方法
CN107089846B (zh) 一种应用于韭菜地的微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KR102057599B1 (ko)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
CN113004095A (zh) 一种防控黄曲霉毒素污染复合微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CN104692970A (zh) 一种油菜专用生物活性有机肥及其应用
CN104496575A (zh) 一种抗滁菊连作障碍的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9438079B (zh) 一种可溶性生物有机肥料及其生产方法
CN111484368A (zh) 一种微生物肥料固体发酵生产方法及固体复合微生物肥料
CN111205141A (zh) 一种生物有机肥及其制作工艺
KR101165154B1 (ko) 석탄재를 이용한 토양 개량제의 제조방법
CN1210841A (zh) 一种固氮菌微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KR20090095149A (ko) 목초액 함유 비료용 조성물
JP2022127083A (ja) 液状特殊肥料の製造方法
Nurjannah et al. The influence of fermented brown algae extract (Sargassum sp.) on corn plant growth (Zea mays 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