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321A -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321A
KR20180132321A KR1020170069099A KR20170069099A KR20180132321A KR 20180132321 A KR20180132321 A KR 20180132321A KR 1020170069099 A KR1020170069099 A KR 1020170069099A KR 20170069099 A KR20170069099 A KR 20170069099A KR 20180132321 A KR20180132321 A KR 20180132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weight
fermented
soi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561B1 (ko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김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욱 filed Critical 김영욱
Priority to KR1020170069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561B1/ko
Publication of KR2018013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F17/0027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2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using specific microorganisms or substances, e.g. enzymes, for activating or stimulat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2Solid waste from mechan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seed coats, olive pits, almond shells, fruit residue, rice hu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05G3/0058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10Solid or semi-solid fertilisers, e.g. powders
    • C05G5/12Granules or fl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C05G5/37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layered or coated with a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saccharides or on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01/00 or C09D103/00
    • C09D10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02W30/43

Abstract

본 발명은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운모 및 황토와 같은 광물분말과 야자껍질, 왕겨, 숯을 혼합하여 유기산 미생물로 발효시킨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운모 및 황토로 구성된 광물분말과 야자껍질, 왕겨, 숯 분말의 혼합물을 유기산 미생물로 발효시킨 토양개선용 비료에 의하여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개선하고, 묘목 재배에 유용한 미생물들의 생육을 증진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는 고품질·고효능의 토양개선용 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일라이트(illite), 제올라이트(zeolite), 운모 및 황토(黃土)를 초벌구이 가마에서 1,200∼1,300℃의 열을 가하여 광물들을 열처리하는 소성(燒成)단계; 열처리된 광물들을 곱게 분쇄하여 미세 분말로 가공하는 분쇄단계; 왕겨를 고온 고압에서 튀겨내어 팽화(膨化)시킨 후 야자껍질 및 숯과 함께 분쇄하는 단계; 광물분말 83∼87중량%, 야자껍질 4∼6중량%, 왕겨 4∼6중량%, 숯 4∼6중량%를 고르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유기산을 뿌려주고 고르게 반죽한 후 9∼11℃온도를 유지하는 저온 숙성실에 넣고 22∼26시간 숙성시키는 단계; 숙성이 완료된 반죽물 95∼97중량%와 생약재를 유기산으로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액 3∼5중량%를 고르게 혼합하여 1∼2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가 완료된 반죽물을 수분함유량 12∼14% 이하로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반죽물을 프레스 금형에 넣고 압축 성형하여 원통형 입자로 성형하는 단계; 원통형 비료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The fertilizer for soil improvement of the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운모(雲母) 및 황토와 같은 광물분말과 야자껍질, 왕겨, 숯을 혼합하여 유기산 미생물로 발효시킨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운모, 황토로 구성된 광물분말과 야자껍질, 왕겨, 숯 분말의 혼합물을 유기산 미생물로 발효시킨 토양개선용 비료에 의하여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개선하고, 묘목 재배에 유용한 미생물들의 생육을 증진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는 고품질·고효능의 토양개선용 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양에 시비하는 비료는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만든 인공 비료로 비료의 3요소인 질소·인산·칼륨을 함유하는 비료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화학성분으로 구성된 비료는 식물에 필요한 영양소를 직접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토양을 산성화하여 오염시키는 문제점과 함께 너무 많은 양의 비료를 시비하였을 때 식물에 대한 독성이 강하여 뿌리가 썩거나 식물이 고사(枯死)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10-1388907호 "미생물을 함유한 정제형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선행기술1) 및 공개특허 제10-2017-0011100호 "현탁액 비료의 제조방법"(선행기술2)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1은 "저장공간에 미발효된 식물성 유박류의 부산물과 부숙과정을 거친 축분의 퇴비를 원료저장부에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1단계; 미생물 효모 1%중량과 전분류 10%중량을 균등하게 배합하여 원료저장부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제2단계; 제2단계의 혼합물을 입상 성형기를 통하여 원료를 투입하여 일정 형상을 갖는 반제품을 제조하는 제3단계; 입상으로 제조된 반제품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적정 온도를 유지하여 건조시켜 선별기를 통과하여 분말 또는 액상을 선별하는 제4단계; 및 선별된 분말 또는 입상의 물품을 계근장치와 포장기를 통해 완제품의 비료를 생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함유한 정제형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이다.
상기 선행기술2는 "교반기에 정제수를 투입하고 가열하는 정제수가열단계; 상기 단계를 통해 가열된 정제수에 증점제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증점제혼합단계; 상기 단계를 통해 교반된 혼합물에 비료원료를 투입하는 비료원료투입단계; 상기 단계를 통해 비료원료가 혼합된 혼합물에 계면활성제 및 소포제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첨가제혼합단계; 및 첨가제혼합단계를 통해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안정화하는 안정화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비료의 제조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은 발효된 축분을 이용한 부산물이나 미발효된 식물성유박에 천연 미생물을 휴면의 상태로 혼합, 제조한 것으로 자원을 재활용하고 오염토양의 복원 및 농작물 생육기간의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고,
상기 선행기술2는 제조과정을 통해 현탁액비료를 완성하여 전체적인 비료성분의 함량과 흡수율을 높이고, 물에 대해 우수한 용해성을 나타내도록 한 기술이므로,
본원발명과 같이,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운모 및 황토로 구성된 광물분말과 야자껍질, 왕겨, 숯 분말의 혼합물을 유기산 미생물로 발효시켜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개선하고, 묘목 재배에 유용한 미생물들의 생육을 증진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은 찾아볼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광물분말과 야자껍질, 왕겨, 숯 분말의 혼합물을 유기산 미생물로 발효시켜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개선하고, 산성화된 토양을 중성화시킬 수 있는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일라이트(illite), 제올라이트(zeolite), 운모 및 황토(黃土)를 초벌구이 가마에서 1,200∼1,300℃의 열을 가하여 광물들을 열처리하는 소성(燒成)단계; 열처리된 광물들을 곱게 분쇄하여 미세 분말로 가공하는 분쇄단계; 왕겨를 고온 고압에서 튀겨내어 팽화(膨化)시킨 후 야자껍질 및 숯과 함께 분쇄하는 단계; 광물분말 83∼87중량%, 야자껍질 4∼6중량%, 왕겨 4∼6중량%, 숯 4∼6중량%를 고르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유기산을 뿌려주고 고르게 반죽한 후 9∼11℃온도를 유지하는 저온 숙성실에 넣고 22∼26시간 숙성시키는 단계; 숙성이 완료된 반죽물 95∼97중량%와 생약재를 유기산으로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액 3∼5중량%를 고르게 혼합하여 1∼2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가 완료된 반죽물을 수분함유량 12∼14% 이하로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반죽물을 프레스 금형에 넣고 압축 성형하여 원통형 입자로 성형하는 단계; 원통형 비료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제조과정에 의하여 완료된 본 발명의 토양개선용 비료는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운모 및 황토로 구성된 천연 광물(鑛物)과 야자껍질, 왕겨, 숯을 합성하여 발효시킨 것으로서 토양(土壤)에 공급된 발효물이 토양이 필요로 하는 만큼 적절하게 부식물질을 방출함에 따라 토양에 함유된 각종 유기물을 산화 및 분해시켜 토양의 부식물질 함유량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식물이 서식하기 좋은 중성화된 토양으로 개량하는 한편, 토양에 잔류하는 각종 유익한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 유해한 미생물은 흡착 제거하여 토양의 통기성 및 보수성을 좋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산성화된 토양을 중성화시키는 한편 충분한 영양소를 공급하여 묘목과 같은 식물의 생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고효능·고기능성의 토양개선용 비료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학비료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완성된 화학비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완성된 화학비료의 단면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의 제조공정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자연에서 천연광물로 존재하는 일라이트(illite), 제올라이트(zeolite), 운모 및 황토(黃土)를 초벌구이 가마에서 1,200∼1,300℃의 열을 가하여 광물들을 열처리하는 소성(燒成)단계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열처리된 광물들을 곱게 분쇄한 후 100∼150메시의 입도(粒度)를 갖는 체로 걸러서 광물들을 미세 분말로 가공하는 분쇄단계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왕겨를 고온 고압에서 튀겨내어 팽화(膨化)시키는 단계를 실시한 후 팽화된 왕겨와 야자껍질 및 숯을 함께 분쇄하여 분말로 가공하는 분쇄단계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광물분말 83∼87중량%, 야자껍질 4∼6중량%, 왕겨 4∼6중량%, 숯 4∼6중량%를 고르게 혼합하는 단계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분말들의 혼합물에 대해 12∼15중량%의 유기산을 뿌려주고 고르게 반죽한 후 9∼11℃온도를 유지하는 저온 숙성실에 넣고 22∼26시간 숙성시키는 단계를 실시하였다.
상기 단계에 사용된 유기산(organic acid)은 산성을 띠는 카복시기와 설폰기가 들어 있는 유기화합물로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주석산, 호박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구연산과 호박산을 혼합한 복합유기산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숙성이 완료된 반죽물 95∼97중량%와 생약재를 유기산으로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액 3∼5중량%를 고르게 혼합하여 1∼2일간 발효시키는 단계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발효가 완료된 반죽물을 수분함유량 12∼14% 이하로 건조시키는 단계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건조된 반죽물을 프레스 금형에 넣고 압축 성형하여 원통형 입자로 성형하는 단계를 실시하였다.
상기 성형단계에 의하여 완성된 토양개선용 비료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위는 넓고 아래가 좁은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식물이나 묘목이 심어진 토양에 뿌려졌을 때 화학비료가 굴러가더라도 묘목 주위를 맴돌아 벗어나지 않도록 원추형으로 성형하였다.
이어서, 원통형 비료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실시하여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상기 코팅단계에서 사용된 코팅제는 키토산 제재를 사용하였고, 키토산 제재는 불용성 키토산을 염산과 알콜을 사용하여 융해시켜 수용성 키토산으로 처리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키토산 코팅은 물과 접촉하였을 때 비료의 성분 중 질소의 용출을 지연시켜 비가 오더라도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코팅단계에서 비료의 표면에 천연색소인 치자 액으로 염색을 하여 비료를 용도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과정에 사용된 광물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일라이트(illite)는 단사정계(單斜晶系)에 속하는 미세한 운모족(雲母族) 광물로서 그 화학조성은 (K,H3O)Al2(Si,Al)4O10(H2O,OH)2이고, 알루미늄이 풍부한 이질(泥質) 또는 응회암질(凝灰岩質) 구조의 퇴적암 중에 산출되며, 열수성(熱水性) 광상모암의 변질광물로서 산출되는 것으로서 자연상태에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향균성 및 독성의 중화·탈취효과 등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상기 제올라이트(zeolite)는 규산알루미늄 수화물(水化物)인 광물로서 현무암이나 휘록응회암 등 염기성 화성암의 공동(空洞) 속이나 열극에서 산출되며, 결정 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 물질을 흡착하거나 크기가 다른 미립 물질을 분리시키는 분자체(分子篩)로 사용할 수가 있어, 토양의 화학적 성질의 불량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전술한 제조과정에 의하여 완료된 토양개선용 비료는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운모 및 황토로 구성된 천연 광물(鑛物)과 야자껍질, 왕겨, 숯을 합성하여 발효시킨 것으로서 토양(土壤)에 공급된 발효물이 토양이 필요로 하는 만큼 적절하게 부식물질을 방출함에 따라 토양에 함유된 각종 유기물을 산화 및 분해시켜 토양의 부식물질 함유량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생물이 서식하기 좋은 중성화된 토양으로 개량하는 한편, 토양에 잔류하는 각종 유익한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 유해한 미생물은 흡착 제거하여 토양의 통기성 및 보수성을 좋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산성화된 토양을 중성화시키는 한편 충분한 영양소를 공급하여 묘목과 같은 식물의 생육을 활성화시키고, 각종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조과정에 사용된 생약재를 유기산으로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액의 제조과정을 다음과 같다.
생약재의 전체중량에 대해 0.3∼0.8중량%의 소금을 가하고 유산균을 부여하여 발효시킨 다음 가압 증류하여 획득한 추출물을 숙성 발효시키는 1 차 유산균 발효단계, 1차 유산균 발효물에 대해 0.1∼0.5 중량%의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가하고 유산균을 부여하여 발효시키는 2차 유산균 발효단계, 2차 유산균 발효물에 대해 0.5∼2 중량%의 미네랄을 가하고 효모균을 부여하여 발효시키는 3차 효모균 발효단계, 3차 효모균 발효물에 방선균·사상균·고초균·황국균·초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4차 발효단계, 4차 발효물에 대해 0.05∼1중량%의 글리세린을 첨가하고 고속 분산시켜 균질화시킨 다음 발효시키는 5차 발효단계에 의하여 미생물 발효액을 완성하였다.
상기 미생물 발효액의 제조과정에 의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생약재의 전체중량에 대해 0.3∼0.8중량%의 소금을 첨가하고 미량의 유산균을 부여하여 30∼4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조에서 약 2일간 발효시킨 다음 가압 증류하여 추출물을 획득하고, 온도 30∼4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조에서 7∼10 일간 숙성 발효시키는 1차 유산균 발효단계를 실시하였다.
상기 "생약재"란 천연에서 얻어지는 의약품으로서, 천연으로 산출되는 자연물을 그대로 또는 말리던가, 썰거나 가루로 만드는 정도의 간단한 가공처리 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참나무잎, 두송잎, 진피, 갈근, 갈화, 갈엽, 계피, 송순, 약쑥, 헛개나무 열매, 겨우살이, 조릿대, 까마중, 민들레, 인동꽃, 구기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생약재를 사용하였다.
상기 유산균은 통상의 유산균 발효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유산균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한 종류의 유산균 또는 복합 유산균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락토바실러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및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상기 가압증류는 증류장치에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하고 진행하는 증류 방법으로 당해 기술분에서 가압 증류에 의해 추출물 엑스트렉트(extract)를 획득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증류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어서, 1차 유산균 발효물에 대해 0.1∼0.5 중량%의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가하고 유산균을 부여하여 30∼4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조에서 약 2일간 발효시키는 2차 유산균 발효단계를 실시하였다.
상기 수용성 프로폴리스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임의의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사용하였고, 수용성 프로폴리스는 그 자체가 항산화 효과를 갖는 물질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생물 발효액은 프로폴리스의 단순한 부가에 의해 얻어지는 항산화 효과보다 현저히 높은 항산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이어서, 2차 유산균 발효물에 대해 0.5∼2 중량%의 미네랄을 가하고 효모균을 부여하여 30∼4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조에서 약 2일간 발효시키는 3차 효모균 발효단계를 실시하였다.
상기 "미네랄"은 인체의 성장과 유지 및 생식에 비교적 소량 필요한 영양물질인 광물질을 의미하며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황, 염소, 나트륨, 철, 아연, 구리, 망간, 요오드, 셀레늄, 몰리브덴, 코발트, 크롬 및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상기 효모균은 통상의 효모균 발효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효모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아미세스 엘리소이더스(Saccharomyces ellipsoidus)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3차 효모균 발효물에 방선균·사상균·고초균·황국균 및 초산균을 접종하고 30∼4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조에서 약 2일간 발효시키는 4차 발효단계를 실시하였다.
상기 방선균은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스트렙토마이세스 아우레우스(Streptomyces aureus), 스트렙토마이세스 아비도플라부스(Streptomycesabisoflavus)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상기 사상균은 누룩곰팡이속 (Aspergillus), 페니실리움속(Penicillium), 리조푸스속(Rhizopus)이 만들어낸 가는 실 모양의 균사체(菌絲體)와 자실체(子實體)를 사용하였다.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스피지제피아이(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풀미스(Bacillus pumilus)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4차 발효물에 대해 0.05∼1중량%의 글리세린을 첨가하고 고속 분산시켜 균질화시킨 다음 10∼3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조에서 약 2일간 발효시키는 5차 발효단계를 실시하여 복합 미생물 발효액을 완성하였다.
상기 "글리세린"은 화학식 C3H5(OH)3, 분자량 92.10으로 흡습성이 강하고, 수용성이며, 자당의 3분의 1 정도의 감미가 있는 식품 첨가제이다.
상기 고속분산 작업은 4차 복합 발효물과 글리세린의 혼합물을 균질화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것으로서 800∼1000rpm의 속도로 회전시켜 균질화하였다.
상기 5차 발효에 의하여 완성된 복합 미생물 발효액은 그 자체로서 항산화 효과가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토양의 효소작용에 도움을 주며, 토양에 유익한 균은 증식시키고 토양에 해로운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일라이트(illite), 제올라이트(zeolite), 운모 및 황토(黃土)를 초벌구이 가마에서 1,200∼1,300℃의 열을 가하여 광물들을 열처리하는 소성(燒成)단계; 열처리된 광물들을 곱게 분쇄하여 미세 분말로 가공하는 분쇄단계; 왕겨를 고온 고압에서 튀겨내어 팽화(膨化)시킨 후 야자껍질 및 숯과 함께 분쇄하는 단계;
    광물분말 83∼87중량%, 야자껍질 4∼6중량%, 왕겨 4∼6중량%, 숯 4∼6중량%를 고르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유기산을 뿌려주고 고르게 반죽한 후 9∼11℃온도를 유지하는 저온 숙성실에 넣고 22∼26시간 숙성시키는 단계;
    숙성이 완료된 반죽물 95∼97중량%와 생약재를 유기산으로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액 3∼5중량%를 고르게 혼합하여 1∼2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가 완료된 반죽물을 수분함유량 12∼14% 이하로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반죽물을 프레스 금형에 넣고 압축 성형하여 원통형 입자로 성형하는 단계; 원통형 비료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에 의하여 완성된 화학비료는, 위는 넓고 아래가 좁은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화학비료가 굴러가더라도 묘목 주위를 맴돌아 벗어나지 않도록 원추형으로 성형한 것이고,
    상기 유기산(organic acid)은 구연산과 호박산을 혼합한 복합 유기산이고, 상기 코팅단계에는 키토산 제재를 코팅제로 사용하거나, 비료의 표면에 천연색소인 치자 액으로 염색코팅을 하여 비료를 용도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발효액의 제조과정은,
    생약재의 전체중량에 대해 0.3∼0.8중량%의 소금을 가하고 유산균을 부여하여 발효시킨 다음 가압 증류하여 획득한 추출물을 숙성 발효시키는 1 차 유산균 발효단계,
    1차 유산균 발효물에 대해 0.1∼0.5 중량%의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가하고 유산균을 부여하여 발효시키는 2차 유산균 발효단계,
    2차 유산균 발효물에 대해 0.5∼2 중량%의 미네랄을 가하고 효모균을 부여하여 발효시키는 3차 효모균 발효단계,
    3차 효모균 발효물에 방선균·사상균·고초균·황국균·초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4차 발효단계,
    4차 발효물에 대해 0.05∼1중량%의 글리세린을 첨가하고 고속 분산시켜 균질화시킨 다음 발효시키는 5차 발효단계에 의하여 미생물 발효액이 완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
KR1020170069099A 2017-06-02 2017-06-02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 KR102011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099A KR102011561B1 (ko) 2017-06-02 2017-06-02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099A KR102011561B1 (ko) 2017-06-02 2017-06-02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321A true KR20180132321A (ko) 2018-12-12
KR102011561B1 KR102011561B1 (ko) 2019-08-16

Family

ID=6467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099A KR102011561B1 (ko) 2017-06-02 2017-06-02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56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3732A (zh) * 2019-06-19 2019-09-27 海口路氏肥业有限公司 种植用半基质覆盖物的原菌液配方
KR20200093844A (ko) * 2019-01-29 2020-08-06 박찬원 무환자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친환경 농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62355B1 (ko) * 2019-09-19 2020-10-06 주식회사 스마트네오텍 사과 재배 전용 친환경 비료 및 그 제조방법
CN112573672A (zh) * 2020-12-24 2021-03-30 仙桃市信达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工业循环水的环保型阻垢剂及其制备方法
CN113528143A (zh) * 2021-07-08 2021-10-22 华中农业大学 一种稻壳灰粉末复合材料及造粒方法和应用
KR102575819B1 (ko) * 2022-07-18 2023-09-06 박석권 발효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5621B1 (ko) * 2023-03-21 2024-04-11 주식회사 새한바이오 토지 개량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0520A (ko) 2022-04-22 2023-10-31 한국세라믹기술원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복합비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196A (ja) * 2001-12-03 2003-06-17 Gold Kosan Kk 複合肥料
KR20120070552A (ko) * 2012-06-18 2012-06-29 서희동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를 위한 수분조절제의 제조방법
KR20130128093A (ko) * 2012-05-16 2013-11-26 김중곤 퇴비용 및 동물사료용 왕겨 분쇄시스템
KR20140055369A (ko) * 2012-10-31 2014-05-09 김영욱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196A (ja) * 2001-12-03 2003-06-17 Gold Kosan Kk 複合肥料
KR20130128093A (ko) * 2012-05-16 2013-11-26 김중곤 퇴비용 및 동물사료용 왕겨 분쇄시스템
KR20120070552A (ko) * 2012-06-18 2012-06-29 서희동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를 위한 수분조절제의 제조방법
KR20140055369A (ko) * 2012-10-31 2014-05-09 김영욱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844A (ko) * 2019-01-29 2020-08-06 박찬원 무환자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친환경 농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0283732A (zh) * 2019-06-19 2019-09-27 海口路氏肥业有限公司 种植用半基质覆盖物的原菌液配方
KR102162355B1 (ko) * 2019-09-19 2020-10-06 주식회사 스마트네오텍 사과 재배 전용 친환경 비료 및 그 제조방법
CN112573672A (zh) * 2020-12-24 2021-03-30 仙桃市信达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工业循环水的环保型阻垢剂及其制备方法
CN112573672B (zh) * 2020-12-24 2022-08-26 仙桃市信达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工业循环水的环保型阻垢剂及其制备方法
CN113528143A (zh) * 2021-07-08 2021-10-22 华中农业大学 一种稻壳灰粉末复合材料及造粒方法和应用
KR102575819B1 (ko) * 2022-07-18 2023-09-06 박석권 발효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5621B1 (ko) * 2023-03-21 2024-04-11 주식회사 새한바이오 토지 개량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561B1 (ko)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2321A (ko)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
KR100869349B1 (ko) 친환경 토양활성제와 그 제조방법
KR20140055369A (ko)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CN104230589A (zh) 一种土壤改良型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CN103524261A (zh) 一种复合微生物菌剂肥料
CN102910941A (zh) 一种利用山核桃蒲制备生物有机肥的方法
KR20080030102A (ko) 벼의 육묘 시기에 발생하는 병해에 대한 방제제
CN101781146A (zh) 一种高效生物复合肥的制备与应用
CN106396864A (zh) 一种防治马铃薯疮痂病的微生物菌肥及其制备方法
KR102072900B1 (ko) 염분 제거용 퇴비 제조방법
CN104844292A (zh) 一种利用虾废弃物制备肥料的方法及其产品
CN108207520B (zh) 一种有机大米及其种植方法
JP2006016386A (ja) 微生物含有組成物
KR101810224B1 (ko) 해조류를 포함하는 농작물용 천연 영양제 조성물
CN108218587A (zh) 一种高生物活性复合海藻肥及其制备方法
KR102011560B1 (ko) 묘목 재배용 화학비료의 제조방법
KR102533005B1 (ko) 박테리아 및 효모의 공동배양 기술을 활용한 작물 병해방제 및 생육촉진용 친환경 발효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57599B1 (ko) 가축보조사료, 토양개량 및 환경 개선용 미생물제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제제
KR101625996B1 (ko) 화분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100248369B1 (ko) 맥반석과 패화석을 이용한 효모발효비료의 제조방법
CN107417451A (zh) 一种用于花卉种植的肥料及其制备方法
KR100368134B1 (ko) 광물질을 함유하는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165760A (zh) 一种含有有益菌的海洋活性钙的制备方法
CN106116963A (zh) 一种用于蔬菜的微生物发酵有机肥以及发酵方法
KR101219297B1 (ko) 미생물 발효물 및 레몬즙을 이용한 친환경 비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