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369A -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369A
KR20140055369A KR1020120122070A KR20120122070A KR20140055369A KR 20140055369 A KR20140055369 A KR 20140055369A KR 1020120122070 A KR1020120122070 A KR 1020120122070A KR 20120122070 A KR20120122070 A KR 20120122070A KR 20140055369 A KR20140055369 A KR 20140055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rals
mixture
fermented
fermenting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김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욱 filed Critical 김영욱
Priority to KR1020120122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5369A/ko
Publication of KR20140055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쌀겨와 광물의 혼합물을 발효시킨 후 증류하여 고품질·고효능의 식물 영양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일라이트(illite), 옥(玉), 흑운모, 제올라이트(zeolite), 사문석, 게르마늄, 페그마타이트(pegmatite)를 굵은 입자로 파쇄(破碎)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선별단계; 선별된 광물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광물들에 1,200∼1,300℃의 열을 가하면서 8∼11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처리하는 소성(燒成)단계; 열처리된 광물들을 곱게 분쇄하여 250∼300메시의 입도(粒度)를 갖는 체로 걸러서 미세 분말로 가공하는 분쇄단계; 쌀겨 58∼62중량%, 톱밥 12∼16중량%, 숯 8∼12중량%, 광물분말 10∼12중량%, 생약재를 유기산으로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액 4∼6중량%를 고르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25∼36℃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실에 투입하여 24∼72시간 발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a plants nutrient solution process utilization of rice bran and mineral powder}
본 발명은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쌀겨와 광물의 혼합물을 발효시킨 후 증류하여 고품질·고효능의 식물 영양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뿌리에서 물과 무기물질 양분을 흡수하고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광합성작용으로 여러 가지 생육에 필요한 유기물을 합성하여 성장한다. 특히 농경지(農耕地)의 식물은 토양에 있는 양분을 흡수하여 성장하면서 대부분의 양분이 토양으로 되돌아가지 못하게되므로 농작물에 의하여 빼앗겨 감소된 양분을 보급하지 않으면 작물의 생산량은 점점 감소된다.
따라서, 농작물에 의하여 빼앗긴 영양분을 알맞게 보급하지 않으면 작물의 생산량은 점점 감소하므로 토지(土地)의 생산력을 유지시키거나 더욱 많은 양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거름이나 비료와 같은 지력(地力) 회복용 영양제를 주어 토양관리를 잘하고, 식물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하여야 한다.
그러나, 화학성분으로 구성된 식물비료는 식물에 필요한 영양소를 직접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토양을 산성화하여 오염시키고 식물에 대한 독성이 강하여 뿌리가 썩거나 식물이 고사(枯死)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된다.
또한, 기존의 식물비료는 농작물에 다양한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할 수 없었으므로 미네랄· 비타민·칼슘과 같은 기초 영양성분이 결핍되어 있다. 따라서 식물에 다양한 영양소를 공급하는 한편 비료에 의하여 오염 및 산성화된 농지를 개선하여 비료나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 영양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식물에 충분한 영양소를 공급하여 농산품의 품질을 높여줄 수 있는 동시에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개선하고, 식물에 유용한 미생물들의 생육을 증진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는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일라이트(illite), 옥(玉), 흑운모, 제올라이트(zeolite), 사문석, 게르마늄, 페그마타이트(pegmatite)를 굵은 입자로 파쇄(破碎)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선별단계; 선별된 광물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광물들에 1,200∼1,300℃의 열을 가하면서 8∼11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처리하는 소성(燒成)단계; 열처리된 광물들을 곱게 분쇄하여 250∼300메시의 입도(粒度)를 갖는 체로 걸러서 미세 분말로 가공하는 분쇄단계; 쌀겨 58∼62중량%, 톱밥 12∼16중량%, 숯 8∼12중량%, 광물분말 10∼12중량%, 생약재를 유기산으로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액 4∼6중량%를 고르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25∼36℃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실에 투입하여 24∼72시간 발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과정에 의하여 완료된 식물 영양제는 천연 광물(鑛物)과 쌀겨, 톱밥, 숯을 합성하여 발효시킨 것으로서 토양(土壤)에 공급된 발효물이 토양이 필요로 하는 만큼 적절하게 부식물질을 방출함에 따라 토양에 함유된 각종 유기물을 산화 및 분해시켜 토양의 부식물질 함유량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여 생물이 서식하기 좋은 중성화된 토양으로 개량하는 한편, 토양에 잔류하는 각종 유익한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 유해한 미생물은 흡착 제거하여 토양의 통기성 및 보수성을 좋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산성화된 토양을 중성화시키는 한편 충분한 영양소를 공급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활성화시키고, 각종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농작물에 칼륨, 미네랄, 칼슘, 인산과 같은 다양한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활성화시켜 수확량을 증대시키고 색깔과 향미(香味)가 좋은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제조공정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의 제조 공정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자연에서 천연광물로 존재하는 일라이트(illite), 옥(玉), 흑운모, 제올라이트(zeolite), 사문석, 게르마늄, 페그마타이트(pegmatite) 등의 광물을 파쇄기(破碎機)에 투입하여 약 35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입자(粒子)들로 파쇄(破碎)한 후 입자들을 선별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선별단계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선별된 광물을 깨끗하게 세척한 후 건조로에 투입하여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실시하였다.
상기 건조로는 경사지게 장착되어 가열되는 회전로에 광물을 투입하여 열 건조시킨 것이나 열풍이 순환되는 건조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조로의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건조된 광물들을 초벌구이용 가마에 투입하여 1,200∼1,300℃의 열을 가하면서 8∼11시간 동안 가열하여 광물들을 열처리하는 소성(燒成)단계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열처리된 광물들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곱게 분쇄한 후 250∼300메시의 입도(粒度)를 갖는 체로 걸러서 광물을 미세 분말로 가공하는 분쇄단계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쌀겨 58∼62중량%, 톱밥 12∼16중량%, 숯 8∼12중량%, 광물분말 10∼12중량%, 생약재를 유기산으로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액 4∼6중량%를 고르게 섞여지도록 하는 혼합단계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25∼36℃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실에 투입하여 24∼72시간 발효시켜 식물 영양제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전술한 제조과정에 의하여 완료된 식물 영양제는 천연 광물(鑛物)과 쌀겨, 톱밥, 숯을 합성하여 발효시킨 것으로서 토양(土壤)에 공급된 발효물이 토양이 필요로 하는 만큼 적절하게 부식물질을 방출함에 따라 토양에 함유된 각종 유기물을 산화 및 분해시켜 토양의 부식물질 함유량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생물이 서식하기 좋은 중성화된 토양으로 개량하는 한편, 토양에 잔류하는 각종 유익한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 유해한 미생물은 흡착 제거하여 토양의 통기성 및 보수성을 좋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산성화된 토양을 중성화시키는 한편 충분한 영양소를 공급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활성화시키고, 각종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식물 영양제를 살포한 농작물을 수확한 결과 농작물의 생육이 활성화되어 수확량이 약 30% 정도 증대되었을 뿐 아니라 농작물이 색깔과 향미(香味)가 좋고, 농산물의 유통기간을 상당기간 늘릴 수 있었다.
한편, 상기 제조과정에 사용된 생약재를 유기산으로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액의 제조과정을 다음과 같다.
생약재의 전체중량에 대해 0.3∼0.8중량%의 소금을 가하고 유산균을 부여하여 발효시킨 다음 가압 증류하여 획득한 추출물을 숙성 발효시키는 1 차 유산균 발효단계, 1차 유산균 발효물에 대해 0.1∼0.5 중량%의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가하고 유산균을 부여하여 발효시키는 2차 유산균 발효단계, 2차 유산균 발효물에 대해 0.5∼2 중량%의 미네랄을 가하고 효모균을 부여하여 발효시키는 3차 효모균 발효단계, 3차 효모균 발효물에 방선균·사상균·고초균·황국균·초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4차 발효단계, 4차 발효물에 대해 0.05∼1중량%의 글리세린을 첨가하고 고속 분산시켜 균질화시킨 다음 발효시키는 5차 발효단계에 의하여 미생물 발효액을 완성하였다.
상기 미생물 발효액의 제조과정에 의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생약재의 전체중량에 대해 0.3∼0.8중량%의 소금을 첨가하고 미량의 유산균을 부여하여 30∼4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조에서 약 2일간 발효시킨 다음 가압 증류하여 추출물을 획득하고, 온도 30∼4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조에서 7∼10 일간 숙성 발효시키는 1차 유산균 발효단계를 실시하였다.
상기 "생약재"란 천연에서 얻어지는 의약품으로서, 천연으로 산출되는 자연물을 그대로 또는 말리던가, 썰거나 가루로 만드는 정도의 간단한 가공처리 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참나무잎, 두송잎, 진피, 갈근, 갈화, 갈엽, 계피, 송순, 약쑥, 헛개나무 열매, 겨우살이, 조릿대, 까마중, 민들레, 인동꽃, 구기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생약재를 사용하였다.
상기 유산균은 통상의 유산균 발효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유산균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한 종류의 유산균 또는 복합 유산균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락토바실러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및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상기 가압증류는 증류장치에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하고 진행하는 증류 방법으로 당해 기술분에서 가압 증류에 의해 추출물 엑스트렉트(extract)를 획득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증류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어서, 1차 유산균 발효물에 대해 0.1∼0.5 중량%의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가하고 유산균을 부여하여 30∼4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조에서 약 2일간 발효시키는 2차 유산균 발효단계를 실시하였다.
상기 수용성 프로폴리스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임의의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사용하였고, 수용성 프로폴리스는 그 자체가 항산화 효과를 갖는 물질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생물 발효액은 프로폴리스의 단순한 부가에 의해 얻어지는 항산화 효과보다 현저히 높은 항산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이어서, 2차 유산균 발효물에 대해 0.5∼2 중량%의 미네랄을 가하고 효모균을 부여하여 30∼4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조에서 약 2일간 발효시키는 3차 효모균 발효단계를 실시하였다.
상기 "미네랄"은 인체의 성장과 유지 및 생식에 비교적 소량 필요한 영양물질인 광물질을 의미하며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황, 염소, 나트륨, 철, 아연, 구리, 망간, 요오드, 셀레늄, 몰리브덴, 코발트, 크롬 및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상기 효모균은 통상의 효모균 발효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효모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아미세스 엘리소이더스(Saccharomyces ellipsoidus)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3차 효모균 발효물에 방선균·사상균·고초균·황국균 및 초산균을 접종하고 30∼4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조에서 약 2일간 발효시키는 4차 발효단계를 실시하였다.
상기 방선균은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스트렙토마이세스 아우레우스(Streptomyces aureus), 스트렙토마이세스 아비도플라부스(Streptomycesabisoflavus)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상기 사상균은 누룩곰팡이속 (Aspergillus), 페니실리움속(Penicillium), 리조푸스속(Rhizopus)이 만들어낸 가는 실 모양의 균사체(菌絲體)와 자실체(子實體)를 사용하였다.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스피지제피아이(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풀미스(Bacillus pumilus)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4차 발효물에 대해 0.05∼1중량%의 글리세린을 첨가하고 고속 분산시켜 균질화시킨 다음 10∼30℃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조에서 약 2일간 발효시키는 5차 발효단계를 실시하여 복합 미생물 발효액을 완성하였다.
상기 "글리세린"은 화학식 C3H5(OH)3, 분자량 92.10으로 흡습성이 강하고, 수용성이며, 자당의 3분의 1 정도의 감미가 있는 식품 첨가제이다.
상기 고속분산 작업은 4차 복합 발효물과 글리세린의 혼합물을 균질화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것으로서 800∼1000rpm의 속도로 회전시켜 균질화하였다.
상기 5차 발효에 의하여 완성된 복합 미생물 발효액은 그 자체로서 항산화 효과가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토양의 효소작용에 도움을 주며, 토양에 유익한 균은 증식시키고 토양에 해로운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식물 영양제의 제조에 사용된 광물인 일라이트(illite), 옥(玉), 흑운모, 제올라이트(zeolite), 사문석, 게르마늄, 페그마타이트(pegmatite)는 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물들 중 주요광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일라이트(illite)는 단사정계(單斜晶系)에 속하는 미세한 운모족(雲母族) 광물로서 그 화학조성은 (K,H3O)Al2(Si,Al)4O10(H2O,OH)2이고, 알루미늄이 풍부한 이질(泥質) 또는 응회암질(凝灰岩質) 구조의 퇴적암 중에 산출되며, 열수성(熱水性) 광상모암의 변질광물로서 산출되는 것으로서 자연상태에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향균성 및 독성의 중화·탈취효과 등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상기 흑운모는 운모와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로 색깔은 흑색, 갈흑색, 녹흑색을 띄고, 화학성분은 K(Mg,Fe)3AlSi3O10(OH)2이다. 판상 또는 인상(鱗狀)을 이루며 흔히 육각형 또는 능면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자연상태에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상기 제올라이트(zeolite)는 규산알루미늄 수화물(水化物)인 광물로서 현무암이나 휘록응회암 등 염기성 화성암의 공동(空洞) 속이나 열극에서 산출되며, 결정 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 물질을 흡착하거나 크기가 다른 미립 물질을 분리시키는 분자체(分子篩)로 사용할 수가 있어, 토양의 화학적 성질의 불량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게르마늄(germanium)은 회백색 광택을 띤 반금속 원소이고 주로 아연·구리의 부산물로서 산화물의 형태로 산출되고, 석탄에도 포함되어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중합 촉매, 적외선 관계 렌즈 재료, 또는 유기 게르마늄으로서 보건 약제에 이용된다.
상기 제조과정에 의하여 완성된 식물 영양제를 증류하여 액상의 영양제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액상의 영양제의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발효가 완료된 혼합물 5∼20중량%와 80∼95중량%의 물과 함께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탱크에 50∼70℃의 열을 가하면서 20∼30시간 가열하여 혼합물이 융해된 물을 증발시키고, 냉각기를 통과하는 증기를 응축하여 증류액을 포집하는 단계; 포집된 증류액 30∼50중량%, 인산 15∼40중량%, 칼륨 5∼15중량%, 새우나 게 껍질 5∼15중량%, 생약재를 유기산으로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액 8∼10중량%를 고르게 혼합하여 25∼36℃를 유지하는 발효실에서 3∼6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가 완료된 혼합물을 4∼6시간 시간 침전시켜 슬러지에서 상등액을 분리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상등액을 식물 영양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침전물의 슬러지에서 분리된 상등액은 칼륨, 미네랄, 칼슘, 인산과 같은 다양한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활성화시켜 수확량을 증대시키고 색깔과 향미(香味)가 좋은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슬러지에서 분리된 상등액은 식물 영양제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타 미생물용 배지, 화장품용액 및 음료용 첨가물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영양제는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침전과정에서 발생된 침전물 슬러지는 왕겨·톱밥·황토의 혼합물과 3 : 7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6∼8일간 숙성시킨 후 농사용 거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일라이트(illite), 옥(玉), 흑운모, 제올라이트(zeolite), 사문석, 게르마늄, 페그마타이트(pegmatite)를 굵은 입자로 파쇄(破碎)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선별단계;
    선별된 광물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광물들에 1,200∼1,300℃의 열을 가하면서 8∼11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처리하는 소성(燒成)단계;
    열처리된 광물들을 곱게 분쇄하여 250∼300메시의 입도(粒度)를 갖는 체로 걸러서 미세 분말로 가공하는 분쇄단계;
    쌀겨 58∼62중량%, 톱밥 12∼16중량%, 숯 8∼12중량%, 광물분말 10∼12중량%, 생약재를 유기산으로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액 4∼6중량%를 고르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25∼36℃의 온도를 유지하는 발효실에 투입하여 24∼72시간 발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과정에 사용된 광물인 일라이트(illite), 옥(玉), 흑운모, 제올라이트(zeolite), 사문석, 게르마늄, 페그마타이트(pegmatite)는 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발효액의 제조과정은,
    생약재의 전체중량에 대해 0.3∼0.8중량%의 소금을 가하고 유산균을 부여하여 발효시킨 다음 가압 증류하여 획득한 추출물을 숙성 발효시키는 1 차 유산균 발효단계,
    1차 유산균 발효물에 대해 0.1∼0.5 중량%의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가하고 유산균을 부여하여 발효시키는 2차 유산균 발효단계,
    2차 유산균 발효물에 대해 0.5∼2 중량%의 미네랄을 가하고 효모균을 부여하여 발효시키는 3차 효모균 발효단계,
    3차 효모균 발효물에 방선균·사상균·고초균·황국균·초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4차 발효단계,
    4차 발효물에 대해 0.05∼1중량%의 글리세린을 첨가하고 고속 분산시켜 균질화시킨 다음 발효시키는 5차 발효단계에 의하여 미생물 발효액이 완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과정에 의하여 발효가 완료된 혼합물 5∼20중량%와 80∼95중량%의 물과 함께 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탱크에 50∼70℃의 열을 가하면서 20∼30시간 가열하여 혼합물이 융해된 물을 증발시키고, 냉각기를 통과하는 증기를 응축하여 증류액을 포집하는 단계;
    포집된 증류액 30∼50중량%, 인산 15∼40중량%, 칼륨 5∼15중량%, 새우나 게 껍질 5∼15중량%, 생약재를 유기산으로 발효시킨 미생물 발효액 8∼10중량%를 고르게 혼합하여 25∼36℃를 유지하는 발효실에서 3∼6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가 완료된 혼합물을 4∼6시간 시간 침전시켜 슬러지에서 상등액을 분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상등액을 식물 영양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과정에서 발생된 침전물 슬러지는 왕겨·톱밥·황토의 혼합물과 3 : 7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6∼8일간 숙성시킨 후 거름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KR1020120122070A 2012-10-31 2012-10-31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KR20140055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070A KR20140055369A (ko) 2012-10-31 2012-10-31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070A KR20140055369A (ko) 2012-10-31 2012-10-31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369A true KR20140055369A (ko) 2014-05-09

Family

ID=5088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070A KR20140055369A (ko) 2012-10-31 2012-10-31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5369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2151A (zh) * 2014-05-29 2014-08-20 钱峰 含猪粪、蚕沙、稻壳的生物肥料组合物
KR101467180B1 (ko) * 2014-06-17 2014-12-01 남희주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숙성된 식물 영양제와 그 제조방법
KR101483913B1 (ko) * 2014-08-08 2015-01-16 장종엽 기능성 식물 생장촉진 스틱
CN105601416A (zh) * 2015-12-18 2016-05-25 郎溪县新发镇华兵农作物种植家庭农场 一种降血糖、降血脂水稻的水稻育苗营养液
CN107686387A (zh) * 2016-08-04 2018-02-13 张秀兰 一种农用化肥
KR20180132321A (ko) * 2017-06-02 2018-12-12 김영욱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
KR20180132316A (ko) * 2017-06-02 2018-12-12 김영욱 묘목 재배용 화학비료의 제조방법
CN109180277A (zh) * 2018-11-15 2019-01-11 若羌县圣地石棉尾料再利用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利用旋转窑煅烧蛇纹石生产硅钙镁钾肥的方法
CN109942343A (zh) * 2019-03-11 2019-06-28 安徽泓森高科林业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微生物肥
KR20190106351A (ko) * 2018-03-09 2019-09-18 환경화학 주식회사 이온 유기태화 미네랄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99253B1 (ko) * 2019-04-09 2020-04-09 이중근 천연 포졸란을 이용한 액상 비료의 제조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2151A (zh) * 2014-05-29 2014-08-20 钱峰 含猪粪、蚕沙、稻壳的生物肥料组合物
CN103992151B (zh) * 2014-05-29 2016-04-06 钱峰 含猪粪、蚕沙、稻壳的生物肥料组合物
KR101467180B1 (ko) * 2014-06-17 2014-12-01 남희주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숙성된 식물 영양제와 그 제조방법
KR101483913B1 (ko) * 2014-08-08 2015-01-16 장종엽 기능성 식물 생장촉진 스틱
CN105601416A (zh) * 2015-12-18 2016-05-25 郎溪县新发镇华兵农作物种植家庭农场 一种降血糖、降血脂水稻的水稻育苗营养液
CN107686387A (zh) * 2016-08-04 2018-02-13 张秀兰 一种农用化肥
KR20180132321A (ko) * 2017-06-02 2018-12-12 김영욱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
KR20180132316A (ko) * 2017-06-02 2018-12-12 김영욱 묘목 재배용 화학비료의 제조방법
KR20190106351A (ko) * 2018-03-09 2019-09-18 환경화학 주식회사 이온 유기태화 미네랄을 제조하는 방법
CN109180277A (zh) * 2018-11-15 2019-01-11 若羌县圣地石棉尾料再利用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利用旋转窑煅烧蛇纹石生产硅钙镁钾肥的方法
CN109942343A (zh) * 2019-03-11 2019-06-28 安徽泓森高科林业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微生物肥
KR102099253B1 (ko) * 2019-04-09 2020-04-09 이중근 천연 포졸란을 이용한 액상 비료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5369A (ko) 쌀겨와 광물을 이용한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KR100869349B1 (ko) 친환경 토양활성제와 그 제조방법
KR102011561B1 (ko) 토양개선용 비료의 제조방법
CN103073351B (zh) 一种食用菌的栽培基质及其制备方法和食用菌的栽培方法
KR101630824B1 (ko) 농축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 복합 퇴비의 제조방법
CN104193546A (zh) 一种降低镉、铅含量的复合土壤钝化剂及其制备和使用方法
CN104130075B (zh) 一种新型海藻生物菌肥及其生产方法
CN103113167A (zh) 一种复合型微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4230589A (zh) 一种土壤改良型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CN1919807A (zh) 一种用于土壤修复及改良环境的海藻生物肥及其制备方法
CN102910941A (zh) 一种利用山核桃蒲制备生物有机肥的方法
CN104692965A (zh) 一种有机肥的生产工艺
CN105418317A (zh) 具有盐碱地改良功效的海藻生物土壤调理剂的制备方法
KR101264876B1 (ko) 동물 혈액을 이용한 액비의 제조방법
CN102515887B (zh) 利用污泥生产微生物复合肥生物肥料的方法
CN104086307A (zh) 一种纳米微生物肥料、纳米微生物肥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4478501A (zh) 一种复合生物有机肥的制备方法
KR20190092761A (ko) 염분 제거용 퇴비 제조방법
KR100267461B1 (ko) 혼합미생물-다공성광석의 복합분말
CN108207520B (zh) 一种有机大米及其种植方法
CN104892169A (zh) 一种水稻专用有机肥的生产工艺
CN101723714B (zh) 鸡粪有机肥及其生产方法
KR102011560B1 (ko) 묘목 재배용 화학비료의 제조방법
KR102533005B1 (ko) 박테리아 및 효모의 공동배양 기술을 활용한 작물 병해방제 및 생육촉진용 친환경 발효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1219912A (zh) 八角渣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