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300A - 생약재 발효에 의한 건강식품 원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약재 발효에 의한 건강식품 원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300A
KR20160074300A KR1020140183475A KR20140183475A KR20160074300A KR 20160074300 A KR20160074300 A KR 20160074300A KR 1020140183475 A KR1020140183475 A KR 1020140183475A KR 20140183475 A KR20140183475 A KR 20140183475A KR 20160074300 A KR20160074300 A KR 20160074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fermentation
culture
culture medium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쯔루신야
Original Assignee
최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희 filed Critical 최정희
Priority to KR1020140183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4300A/ko
Publication of KR2016007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4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B7/155Microorganisms; Enzymes; Antib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3Lactobacillus acidophi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66Aspergillus
    • C12R2001/69Aspergillus oryz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85Saccharomyces
    • C12R2001/865Saccharomyces cerevisi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74Pseudomonas
    • Y10S435/877Pseudomonas putid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재 발효에 의한 건강식품 원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파쇄된 생약재와 현미를 원료로 하여 제1차 배양, 제2차 배양, 및 제3차 배양을 거친 후에 제3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혼합원료를 압축 여과하여 수용액과 원료찌꺼기로 분리하고, 상기 수용액을 폭기배양 및 숙성하여 액상성분의 건강식품 원료를 얻고, 또한 상기 원료찌꺼기를 중온 가열건조하여 고형의 건강식품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약재 발효에 의한 건강식품 원료의 제조방법{Method of Making Material for Health Food by Fermentation of Medical Herbs}
본 발명은 생약재 발효에 의한 건강식품 원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파쇄된 생약재와 현미를 원료로 하여 제1차 배양, 제2차 배양, 및 제3차 배양을 거친 후에 제3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혼합원료를 압축 여과하여 수용액과 원료찌꺼기로 분리하고, 상기 수용액을 폭기배양 및 숙성하여 액상성분의 건강식품 원료를 얻고, 또한 상기 원료찌꺼기를 중온 가열건조하여 고형의 건강식품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원료(수용액, 생약 가루형태의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생약재에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 효소, 비타민류 등의 성분을 염소를 이용하여 공업적인 가수분해처리를 실시하는 제조방법에 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원료의 지방에 유래하는 글리세린과 염산에 의해서 변이원성의 우려가 있는 클로로프로판올 등의 불순물이 생성되므로 건강식품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건강식품 원료를 제조방법은 끓이거나 또는 건조생약 상태를 이용하는 방법이 대부분인데, 이 방법으로는 가열에 의한 유효성분의 소멸이 많고, 생약재가 본래 가지고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또한 건조 생약을 그대로 사용한 경우, 대부분의 생약은 체내에서 흡수할 수 없는 산화형 NAD를 가지고 있고, 체내에 흡수한 후, 환원형 NAD로 변환되어 흡수되든가, 변환된 환원형 NAD성분은 다시 산화형 NAD로 재변환되어 대부분의 유효성분이 체외로 배출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균류의 분해생성, 효소대사기능을 활용하여 발효미생물에 의한 효소가수분해처리를 이용하여 원료의 지방에 유래하는 글리세린과 염산에 의해서 변이원성의 우려가 있는 클로로프로판올 등의 불순물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이 높은 건강식품 원료를 제조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전분함유가 많고, 현미에 분쇄건조생약을 혼합하여 양조공정과 유사한 공정에 의해 환원형 성분으로의 변환과 안정한 유기체의 유지를 도모하는 건강식품 원료를 제조가능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누룩균과 효모에 대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누룩균은 번식하는 과정에서 균사를 늘려 군집을 형성하고, 단백질이나 전분을 분해하는 효소를 대사하여, 원료의 단백질, 전분을 분해하고, 생성하는 포도당이나 아미노산을 영양원으로 하여 증식하는 기능을 활용하고, 원료인 생약의 당질을 생성한다. 누룩균은 여러 가지 효소나 대사물을 생성하여 단백질 분해효소 「프로테아제」, 전분분해효소 「아밀라아제」 또한 제약을 구성하는 포도당 중합체의 셀룰로오스, 세미셀룰로오스 분해효소 셀룰라아제, 헤미셀룰라아제의 대사생성에 의한 섬유질 분해를 행한다. 누룩균인 누룩곰팡이(Aspergillus oryzae)에 의한 1차 발효로 분해된 단백질은 연쇄 폴리펩티드 상태의 고분자 화합물을 효모에 의한 가수분해작용에 의해 α-아미노산으로 변환하고 또한 사과산, 숙신산, 주석산, 엽산(비타민 B12) 등의 유기산의 생성을 촉진한다.
효모는 발효공정으로 생성된 포도당을 당분해 복수의 효소에 의해서 2분자의 피루브산으로 분해시킨다. 이 반응은 동시에 실질적으로 2분자의 ADP를 ATP로, 2분자의 NAD+를 NADH로 변환한다. 1분자의 피루브산으로부터 1분자의 이산화탄소가 제거되어 아세트알데히드가 만들어진다. 이 반응은 분해생성된 피루브산 데카르복실라아제가 촉매를 일으킨다. 아세트알데히드는 환원형 NADH의 전자에 의해서 빠르게 환원되어 에탄올이 된다.
이와 같은 발효미생물은 증식경로 과정에서 외부 기질분해반응(이화반응)에 의해서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고, 이렇게 얻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생체고분자화합반응(동화반응)으로 유기산 등의 유기물질을 구성하고, 유기체의 체계를 형성유지하여 가는 발효 미생물 기능을 발효공정으로 처리를 이용하고, 생물이 포도당 등의 당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을 때 포도당을 당분해로 분해하는 에너지를 얻음과 동시에 최종 생성물로서 피루브산을 얻어 산화형 NAD가 환원형 NAD로 변환하므로 안전성이 높고, 체내흡수가 우수한 건강식품원료를 생산하는 제조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76837호(발명의 명칭: 미생물을 이용한 기초화장품 액상성분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에 의해 미생물에 의한 분해, 대사성 생성물인 항산화 물질을 용액용 성분에 함유시킨 기술로서, 화학적 물질, 예를 들면 방부제, 항균제, 살균제, 항산화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곡물류의 미생물 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오리자놀의 변환물질인 페르라산이나 방선균의 대사성분인 키티나아제 등의 항산화 물질을 함유한 환원작용이 있는 수용액(액상 성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발명한 바 있으며, 상기 수용액은 중금속, 대장균, 레지오넬라균 등의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식수 또는 건강식품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공업적인 가수분해처리를 통하여 건강식품 원료를 제조하는 종래의 제조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현미와 건조 생약재의 발효과정을 거쳐 얻어지는 액상 성분과 원료찌꺼기를 활용하여 건강식품 원료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끓이거나 또는 건조생약 상태를 그대로 이용하는 건강식품 원료 제조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미에 분쇄건조생약을 혼합물에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처리하므로써 그 성분을 환원형 성분으로 변환하고 안정한 유기체의 유지가 가능한 건강식품 원료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은 삼백초, 소나무 껍질, 솔잎, 소나무 열매, 둥굴레, 및 오미자를 포함하는 생약재를 파쇄하고, 상기 파쇄된 생약재와 현미를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물에 24시간 동안 침수시켜 쪄내어 원료배지를 준비하고, 상기 원료배지 1㎏에 대하여 누룩균주인 누룩곰팡이(Aspergillus oryzae) 100g을 접종하고, 1일 2회 교반을 행하고, 접종 후 3~4일 경과 후에 누룩균 발효에 의하여 상기 원료배지 중심부 온도가 40℃를 초과하여 원료배지 전체에 누룩균이 증식된 균상배지를 준비하는 제1차 발효 배양 단계; 상기 제1차 발효 배양된 누룩균 증식 균상 배지 1㎏에 대하여 2차 발효 균종으로서 효모인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100g 및 유산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100g을 접종하고, 접종 후 3~4일 경과 후에 원료배지 중심부 온도가 40℃를 초과하여 원료배지 전체에 효모 및 유산균이 증식된 균상배지를 준비하는 제2차 발효 배양 단계; 상기 제2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균상배지와 상기 제1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균상 배지를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준비하고, 상기 혼합원료 1㎏에 대하여 효모인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100g 및 미생물 배양을 통하여 제조된 액상 성분을 첨가하여 수분 함유율이 60%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한 후에, 15 ~ 20℃를 적정온도로 하고, 교반을 행하여 30일을 경과하도록 하여 발효 배양하는 제3차 발효 배양 단계; 상기 제3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혼합원료의 에탄올(알코올) 농도가 8 ~ 10도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제3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혼합원료를 압축 여과하여 수용액과 원료찌꺼기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수용액과 미생물 배양을 통하여 제조된 액상 성분을 1: 1의 비율로 혼합하고, 폭기배양을 30일 행하여 알코올 농도를 0으로 한 후에 여과 처리하여 가열살균을 행하고, 숙성탱크에서 숙성시켜 성분을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기 원료찌꺼기를 70℃의 중온가열건조를 실시하여 수분 함유율 4%로 건조하여 고형의 건강식품 원료를 수득하는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현미와 건조 생약재의 발효과정을 거쳐 얻어지는 액상 성분과 원료찌꺼기를 활용하여 건강식품 원료로 제조하고, 현미에 분쇄건조생약을 혼합물에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처리하므로써 그 성분을 환원형 성분으로 변환하고 안정한 유기체의 유지가 가능한 건강식품 원료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효공정에 대한 개략도이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앞서 본 과제의 해결수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파쇄된 생약재와 현미를 원료로 하여 제1차 배양, 제2차 배양, 및 제3차 배양을 거친 후에 제3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혼합원료를 압축 여과하여 수용액과 원료찌꺼기로 분리하고, 상기 수용액을 폭기배양 및 숙성하여 액상성분의 건강식품 원료를 얻고, 또한 상기 원료찌꺼기를 중온 가열건조하여 고형의 건강식품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미생물 배양을 통하여 제조된 액상 성분에 대하여 살펴보고, 액상성분 및 고형의 건강식품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미생물 배양을 통하여 제조된 액상 성분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을 통하여 제조된 액상 성분은 본 발명자가 등록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76837호(발명의 명칭: 미생물을 이용한 기초화장품 액상성분 제조방법)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서, 미생물에 의한 분해, 대사성 생성물인 항산화 물질을 용액용 성분에 함유시킨 기술이며, 상기 수용액은 중금속, 대장균, 레지오넬라균 등의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식수 또는 건강식품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상기 미생물 배양을 통하여 제조된 액상 성분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화산성 퇴적파쇄토 100㎏당 미강 5㎏, 옥수수분말 5㎏, 키토산분말 2㎏, 배아 1㎏, 당밀 1㎏을 혼합하고 수분함유량을 25-30%로 조정한 유기질 배지에 방선균(Streptomyces griseus), 국균(Aspergillus niger),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접종한 후, 초기온도 30℃, 발효온도 28-30℃로 하여 교반·통기함으로써 종균을 배양하고, 교반시기에 배지를 과립화하는 1차 배양단계; 및 온천수를 2차 배양의 수용액으로 하고, 배지조성을 1차 배양과 동일하게 한 후 용액온도를 30-35℃로 가온하여 48시간 연속 산소폭기처리한 후, 3㎛의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필터여과살균처리를 하며, 여과처리 후의 용액을 다시 5 ~ 7일간 30 ~ 35℃에서 산소순환 폭기처리를 하고, 다시 0.45㎚ 필터여과살균처리를 한 후, 매분 60ppm의 오존을 처리하여 재살균을 하는 2차 배양단계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미생물 배양을 통하여 제조된 액상 성분을 분석하여 이에 포함된 미네랄의 구체적인 조성을 살펴보면 아래 표 1과 같다.
미네랄 성분 조성
미네랄 성분 함유량(%)
나트륨 0.124
마그네슘 0.017
칼륨 0.332
칼슘 0.265
아연 0.006
0.013
구리 0.002
망간 0.006
인산 0.014
질산이온 0.016
아질산 이온 0.018
연소 이온 0.076
불소 이온 0.02
본 발명의 액상성분 및 고형의 건강식품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제1차 발효 배양 단계
본 발명은 삼백초, 소나무 껍질, 솔잎, 소나무 열매, 둥굴레, 및 오미자를 포함하는 생약재를 파쇄하고, 상기 파쇄된 생약재와 현미를 1:3의 비율로 혼합하고 현미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물에 24시간 동안 침수시켜 쪄내어 원료배지를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원료배지 1㎏에 대하여 누룩균주인 누룩곰팡이(Aspergillus oryzae) 100g을 접종하고, 산소결핍상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1일 2회 교반을 행하는데 교반을 행하는 온도는 36 ~ 37℃로 설정하고 또한 온도저하 방지를 위하여 발효실 전체를 보온한다. 상기 접종 후 3~4일 경과 후에 누룩균 발효에 의하여 상기 원료배지 중심부 온도가 40℃를 초과하여 원료배지 전체에 누룩균이 증식된 균상배지를 준비한다.
제2차 발효 배양단계
상기 제1차 발효 배양된 누룩균 증식 균상 배지 1㎏에 대하여 2차 발효 균종으로서 효모인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100g 및 유산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100g을 접종하고, 접종 후 3~4일 경과 후에 원료배지 중심부 온도가 40℃를 초과하여 원료배지 전체에 효모 및 유산균이 증식된 균상배지를 준비한다. 제2차 발효 배양단계는 혐기발효를 촉진하기 위하여 발효탱크를 밀폐상태로 한다.
제3차 발효 배양 단계
상기 제2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균상배지와 상기 제1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균상 배지를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준비하고, 상기 혼합원료 1㎏에 대하여 효모인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100g 및 미생물 배양을 통하여 제조된 액상 성분을 첨가하여 수분 함유율이 60%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한 후에, 15 ~ 20℃를 적정온도로 하고, 교반을 행하여 30일을 경과하도록 하여 발효 배양한다.
수용액과 원료찌꺼기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3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혼합원료의 에탄올(알코올) 농도가 8 ~ 10도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제3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혼합원료를 압축 여과하여 수용액과 원료찌꺼기로 분리한다.
수용액(액상 성분) 배양 단계
상기 분리된 수용액과 미생물 배양을 통하여 제조된 액상 성분을 1: 1의 비율로 혼합한다. 에탄올(알코올) 증산과 용액에 포함된 미립자 미네랄에 의해 지방산, 아미노산, 비타민 등의 유도매체, 환원화가 가능하고, 환원작용에 의해서 혼합용액의 항산화 작용을 하고, 더욱이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의 대사에 관한 효소화학 반응의 인자로서 작용한다. 이후 폭기배양을 30일 행하여 알코올 농도를 0으로 한 후에 여과 처리, 구체적으로는 내압 0.3㎫로 5㎛ 부직포 필터로 여과처리하여 가열살균을 행하고, 숙성탱크에서 숙성시켜 성분을 안정화시킨다.
원료찌꺼기 건조 단계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서 산출된 원료찌꺼기 즉, 분리된 고형원료는 지방산, 유기산, 식물 스테롤 등을 많이 함유하는 것으로, 건강차, 식품첨가물, 요리첨가물로서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원료찌꺼기를 70℃의 중온가열건조를 실시하여 수분 함유율 4%로 건조하여 고형 원료를 확보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수용액에 포함된 주요한 성분을 분석하면 아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용액 100㏄ 당/%).
성분명 함유량(%)
나트륨 0.945
칼륨 1.743
효모발효추출규소 0.636
마그네슘 0.139
칼슘 0.312
인산 0.212
주석산 0.179
낙산 0.112
숙신산 0.108
효모추출 진액 0.305
갈조류 진액 0.174
쌀겨 발효 진액 1.098
시아노코발라민 0.093
아라비노자이란 0.104
메티오닌 0.073
아스파라긴산 0.096
소나무 껍질 발효추출 진액 2.375
삼백초 발효추출 진액 2.748
둥굴레 발효추출 진액 2.319
솔잎 발효추출 진액 2.102
소나무 열매 발효추출 진액 2.059
0.023
아연 0.017
셀렌 0.014
사과산 0.991
구연산 0.864
식물 스테롤 1.063

Claims (3)

  1. 삼백초, 소나무 껍질, 솔잎, 소나무 열매, 둥굴레, 및 오미자를 포함하는 생약재를 파쇄하고, 상기 파쇄된 생약재와 현미를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물에 24시간 동안 침수시켜 쪄내어 원료배지를 준비하고, 상기 원료배지 1㎏에 대하여 누룩균주인 누룩곰팡이(Aspergillus oryzae) 100g을 접종하고, 1일 2회 교반을 행하고, 접종 후 3~4일 경과 후에 누룩균 발효에 의하여 상기 원료배지 중심부 온도가 40℃를 초과하여 원료배지 전체에 누룩균이 증식된 균상배지를 준비하는 제1차 발효 배양 단계;
    상기 제1차 발효 배양된 누룩균 증식 균상 배지 1㎏에 대하여 2차 발효 균종으로서 효모인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100g 및 유산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100g을 접종하고, 접종 후 3~4일 경과 후에 원료배지 중심부 온도가 40℃를 초과하여 원료배지 전체에 효모 및 유산균이 증식된 균상배지를 준비하는 제2차 발효 배양 단계;
    상기 제2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균상배지와 상기 제1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균상 배지를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준비하고, 상기 혼합원료 1㎏에 대하여 효모인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100g 및 미생물 배양을 통하여 제조된 액상 성분을 첨가하여 수분 함유율이 60%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한 후에, 15 ~ 20℃를 적정온도로 하고, 교반을 행하여 30일을 경과하도록 하여 발효 배양하는 제3차 발효 배양 단계;
    상기 제3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혼합원료의 에탄올(알코올) 농도가 8 ~ 10도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제3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혼합원료를 압축 여과하여 수용액과 원료찌꺼기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수용액과 미생물 배양을 통하여 제조된 액상 성분을 1: 1의 비율로 혼합하고, 폭기배양을 30일 행하여 알코올 농도를 0으로 한 후에 여과 처리하여 가열살균을 행하고, 숙성탱크에서 숙성시켜 성분을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재 발효에 의한 건강식품 원료의 제조방법.
  2. 삼백초, 소나무 껍질, 솔잎, 소나무 열매, 둥굴레, 및 오미자를 포함하는 생약재를 파쇄하고, 상기 파쇄된 생약재와 현미를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물에 24시간 동안 침수시켜 쪄내어 원료배지를 준비하고, 상기 원료배지 1㎏에 대하여 누룩균주인 누룩곰팡이(Aspergillus oryzae) 100g을 접종하고, 1일 2회 교반을 행하고, 접종 후 3~4일 경과 후에 누룩균 발효에 의하여 상기 원료배지 중심부 온도가 40℃를 초과하여 원료배지 전체에 누룩균이 증식된 균상배지를 준비하는 제1차 발효 배양 단계;
    상기 제1차 발효 배양된 누룩균 증식 균상 배지 1㎏에 대하여 2차 발효 균종으로서 효모인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100g 및 유산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100g을 접종하고, 접종 후 3~4일 경과 후에 원료배지 중심부 온도가 40℃를 초과하여 원료배지 전체에 효모 및 유산균이 증식된 균상배지를 준비하는 제2차 발효 배양 단계;
    상기 제2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균상배지와 상기 제1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균상 배지를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준비하고, 상기 혼합원료 1㎏에 대하여 효모인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100g 및 미생물 배양을 통하여 제조된 액상 성분을 첨가하여 수분 함유율이 60%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한 후에, 15 ~ 20℃를 적정온도로 하고, 교반을 행하여 30일을 경과하도록 하여 발효 배양하는 제3차 발효 배양 단계;
    상기 제3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혼합원료의 에탄올(알코올) 농도가 8 ~ 10도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제3차 발효 배양 단계를 거친 혼합원료를 압축 여과하여 수용액과 원료찌꺼기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원료찌꺼기를 70℃의 중온가열건조를 실시하여 수분 함유율 4%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재 발효에 의한 건강식품 원료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배양을 통하여 제조된 액상 성분은
    화산성 퇴적파쇄토 100㎏당 미강 5㎏, 옥수수분말 5㎏, 키토산분말 2㎏, 배아 1㎏, 당밀 1㎏을 혼합하고 수분함유량을 25-30%로 조정한 유기질 배지에 방선균(Streptomyces griseus), 국균(Aspergillus niger),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접종한 후, 초기온도 30℃, 발효온도 28-30℃로 하여 교반·통기함으로써 종균을 배양하고, 교반시기에 배지를 과립화하는 1차 배양단계; 및
    온천수를 2차 배양의 수용액으로 하고, 배지조성을 1차 배양과 동일하게 한 후 용액온도를 30-35℃로 가온하여 48시간 연속 산소폭기처리한 후, 3㎛의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필터여과살균처리를 하며, 여과처리 후의 용액을 다시 5 ~ 7일간 30 ~ 35℃에서 산소순환 폭기처리를 하고, 다시 0.45㎚ 필터여과살균처리를 한 후, 매분 60ppm의 오존을 처리하여 재살균을 하는 2차 배양단계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재 발효에 의한 건강식품 원료의 제조방법.

KR1020140183475A 2014-12-18 2014-12-18 생약재 발효에 의한 건강식품 원료의 제조방법 KR20160074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475A KR20160074300A (ko) 2014-12-18 2014-12-18 생약재 발효에 의한 건강식품 원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475A KR20160074300A (ko) 2014-12-18 2014-12-18 생약재 발효에 의한 건강식품 원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300A true KR20160074300A (ko) 2016-06-28

Family

ID=5636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475A KR20160074300A (ko) 2014-12-18 2014-12-18 생약재 발효에 의한 건강식품 원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43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363A (ko) * 2018-01-24 2019-08-01 (주)아로마뉴텍 엉겅퀴 및 모링가의 온천수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608854A (zh) * 2021-02-03 2021-04-06 邵阳学院 一种高耐酸性的酵母菌制备方法
KR102356517B1 (ko) 2021-04-20 2022-02-08 신현제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363A (ko) * 2018-01-24 2019-08-01 (주)아로마뉴텍 엉겅퀴 및 모링가의 온천수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608854A (zh) * 2021-02-03 2021-04-06 邵阳学院 一种高耐酸性的酵母菌制备方法
KR102356517B1 (ko) 2021-04-20 2022-02-08 신현제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77261B (zh) 复合果蔬酵素及其制备方法
KR101082246B1 (ko) 함초가 함유된 함초누룩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5042A (ko) 복합 미생물에 의한 생약재 발효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액, 및 그 발효액에 의해 제조된 발효식품
KR20140067721A (ko) 야채, 과일, 해조류, 곡물 및 씨앗을 이용한 발효조미료의 제조방법
CN103689550A (zh) 一种灵芝功能性食品及其制备方法
CN111642622A (zh) 一种发酵复合菌和桃金娘发酵提取物的制备及应用
CN102488087A (zh) 一种茶籽饼粕的生物脱毒方法
CN110892939A (zh) 枯草芽孢杆菌发酵产黄芩素的方法以及发酵制备的饲料添加剂和制备方法
KR101377586B1 (ko) 고상 발효에 의한 항산화 활성 및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차가버섯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60074300A (ko) 생약재 발효에 의한 건강식품 원료의 제조방법
JP2011050338A (ja) 未利用有機物を用いた有用カビ類菌発酵物による高機能性素材の生産方法及び未利用有機物のリサイクル方法
KR20150105700A (ko) 버섯을 이용한 식품첨가물의 제조방법 및 식품첨가물을 포함한 밀가루 반죽
CN113662139A (zh) 一种豆类复合发酵液及其制备方法
CN102533685A (zh) 一种固态发酵生产漆酶的方法
KR101426853B1 (ko) 항산화용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 방법
JP5410641B2 (ja) 樹木を原料として用いたアルコール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アルコール溶液
KR101180909B1 (ko) 풍미가 개선된 꿀벌 화분 발효액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꿀벌 화분 발효액
CN107988090B (zh) 一种功能微生物组合菌剂及其应用
KR101525533B1 (ko) 미생물 발효액을 사용하여 제조한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발효곡물의 제조방법
KR101625996B1 (ko) 화분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TWI518181B (zh) 一種利用深層海水促進植乳酸桿菌生成兒茶素、兒茶酚與綠原酸之方法
KR20120124877A (ko) 현미를 기질로 하는 함초식초의 방법
KR101435582B1 (ko) 최적의 배지 조성을 이용한 글루콘아세토박터 속 kcg326 균주에 의한 박테리아 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
KR101861819B1 (ko) 식품용 기능성 액상성분 제조방법
KR100903848B1 (ko) 버섯으로부터 식이 섬유를 농축하여 분리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