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774B1 -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774B1
KR101698774B1 KR1020140100009A KR20140100009A KR101698774B1 KR 101698774 B1 KR101698774 B1 KR 101698774B1 KR 1020140100009 A KR1020140100009 A KR 1020140100009A KR 20140100009 A KR20140100009 A KR 20140100009A KR 101698774 B1 KR101698774 B1 KR 101698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fermentation
filtrate
bevera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275A (ko
Inventor
정명기
부상일
조현호
김겸인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제주파나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파나텍 (주) filed Critical 제주파나텍 (주)
Priority to KR102014010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7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6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4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B7/155Microorganisms; Enzymes; Antibiotics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황칠나무의 발효물은 홍국균을 이용하거나 효모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비발효물에 비해서 추출 수율을 높고,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으며 항산화 활성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eparing Fermented Materials of Korean Dendropanax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Beverage Using the Fermented Materials}
본 발명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발효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교목인 황칠나무는 세계에서 오직 한국의 해남 완도 등의 남부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며 겨울에도 낙엽이 지지 않는 수종으로 수피에 상처를 주면 황색의 수액이 나오는데, 이를 황칠이라 한다.
황칠은 삼국시대부터 황제의 갑옷, 투구, 기타 금속 장신구의 황금색을 발하는 진귀한 도료로 이용되어 왔다.
황칠은 이러한 도료적 기능 이외에 안식향으로서의 신경 안정 효능을 가지고 있고(이영민, 장흥군농업기술센터, 2012), 이시진의 본초강목에는 번열 제거, 안질 및 화상 치료, 중풍, 나병 등에 효과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그 뿌리와 줄기는 거풍습, 황멸맥, 풍습비통, 편두통, 월경불순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63-66, 2000). 또한 황칠나무에는 세스퀴페르펜류에 속하는 β-seline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capnellane-8-one가 다음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Korean J. Biotechnol. Bioeng. 10:393-400, 1995).
최근에 황칠나무 추출물의 피부 미백 활성, 항암 활성, 항염증 활성, 항산화 활성, 숙취 해소 기능, 진해 활성 등 생리활성이 보고된 바 있으며(박수아 등, 한국미생물 생명공학학회지 41(4):407-415, 2013; 유해양, 동아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12; 문창곤, 인제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7; 한국 공개특허 제2014-0070470호; 한국 등록특허 제1283775호), 건강보조식품, 식품 첨가제 등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한국 등록특허 제1162699호; 한국 등록특허 제1333007호).
본 발명은 추출 수율이 향상되고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황칠나무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여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황칠나무 잎과 줄기를 홍국균으로 고상 발효시키 열수 추출하거나 그 효모를 추가로 접종하여 다시 고상 발효시켜 그 발효물을 열수 추출할 경우 발효시키지 않고 추출할 경우에 비하여 수율(추출 용매를 제거하고 남는 고형분 함량)이 향상되고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며 항산화 활성이 높아짐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상기 발효 열수 추출액에 대해서 색도, 맛, 향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관능평가 하였을 때 발효시키지 않고 얻은 추출액에 비하여 색도가 높고 향이 좋으며 맛도 우수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황칠나무 발효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황칠나무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은 (a) 황칠나무 수피, 잎, 가지, 줄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홍국균을 접종하는 단계, 및 (b) 접종 후 배양하여 고상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홍국균(Monascus sp.)은 모나스쿠스 루버(Monascus ruber), 모나스쿠스 퍼퍼레우스(Monascus purpureus), 모나스쿠스 루버반(Monascus rubervan), 모나스쿠스 풀리기노서스(Monascus fuliginosus), 모나스쿠스 필로수스(Monascus pilosus), 모나스쿠스 안카(Monascus anka), 모나스쿠스 바리케리(Monascus barykery), 모나스쿠스 퍼퓨렌스(Monascus purpurens), 모나스쿠스 알비두스(Monascus albidus Sato)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균주는 생명공학 관련 회사에서 판매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국내외 미생물 기탁기관(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 한국미생물보존센타, 농업유전자자원센터,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sociacin))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고상 발효란 발효 원료인 황칠나무 수피, 잎, 가지, 줄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물을 첨가함이 없이 발효시키는 것을 말한다. 물을 첨가하여 액상 발효시킬 경우 사용된 물의 종류(예컨대 정제수, 수돗물, 약수, 지하수 등)에 따라 최종 산물인 황칠나무 발효물의 향, 맛 등 기호성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주변 환경으로부터 원치 않는 미생물의 자연 접종이 용이해져 최종 산물인 황칠나무 발효물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접종 후의 배양은 15℃~45℃의 온도 조건 특히 25℃~40℃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양 온도가 상기 범위 보다 낮을 경우 발효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또한 원하지 않는 발효 산물이 생겨날 수 있으며, 배양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높을 경우도 발효 미생물의 사멸에 따라 마찬가지로 발효 속도가 느려지거나 원하지 발효 산물이 생겨날 수 있다. 배양 시간의 경우는 충분히 발효될 때까지 즉 접종된 미생물의 생장이 최대에 이를 때까지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종된 미생물이 생장이 최대에 이르는 시점은 배양 온도, 발효 원료의 양, 습도 등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당업자는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배양 온도, 발효 원료의 양, 습도 등을 고려하여 접종된 미생물의 생장이 최대에 이르는 시점이 어느 시점인가를 결정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70±5% 습도 및 40℃의 온도에서 18일 동안 발효시켰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접종 후의 배양은 그 습도를 70±10%, 바람직하게는 70±5%로 조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의 발효가 고상 발효이기 때문에 습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 충분한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충분한 발효를 위해서 발효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습도가 상기 범위보다 높을 경우 원치 않는 미생물의 자연 접종이 용이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에 효모를 접종·배양하여 고상 발효시키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효모를 추가적으로 접종·배양하여 발효시킬 경우 수율이 더 증가하고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더 증가하며 또 항산화 활성도 더 높아짐을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효모도 사카로마이세스속 효모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카로마이세스 루시(Saccharomyces rouxii),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Saccharomyces cereviciae), 사카로마이세스 오비폴미스(Saccharomyces oviformis), 사카로마이세스 스테이네리(Saccharomyces steineri)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효모의 접종·배양시 앞서 설명한 이유에서와 마찬가지로 온도는 15℃~45℃ 특히 20~40℃, 습도는 70±10% 특히 70±5%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 기간도 충분한 발효가 이루어질 때까지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70±5% 습도, 30℃의 온도 1개월 동안 발효시켰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효모는 생명공학 관련 회사에서 판매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국내외 미생물 기탁기관(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 한국미생물보존센타, 농업유전자자원센터,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sociacin))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직접 균주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황칠나무 발효액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a) 전술한 바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황칠나무 발효물에 물을 가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 및 (b) 그 추출액을 여과하여 추출 잔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열수 추출은 70~100℃ 특히 90~100℃의 열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용성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도록 하기 위해 추출 시간은 적어도 3시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열수 추출은 발효물에 4~6배 중량의 물을 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여과는 추출 잔사를 제거하여 가용성 성분만이 여과액 중에 포함되도록 하기 위한 단계로, 통상 당업계에서 추출액의 여과에 사용하는 2㎛의 공극을 갖는 여과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양배추 착즙액을 상기 (b) 단계에서 얻어진 여과액에 첨가할 경우 색도, 맛,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상승함을 보여준다. 특히 상기 (b) 단계에서 얻어진 여과액이 약간의 쓴맛을 갖는데, 상기 양배추 착즙액을 첨가할 경우 그 쓴맛을 중화시켜 맛에 대한 평가가 상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에 그 여과액에 양배추 착즙액을 첨가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첨가량은 0.5%(v/v) 내지 2%(v/v)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0.5%(v/v) 이하로 첨가될 경우 그 첨가에 따른 효과가 충분히 발효될 수 없고, 2%(v/v)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최종 산물인 음료의 맛, 향 등 기호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양배추 착즙액은 양배추를 물리적으로 압착하여 얻어진 진액 자체를 말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발효 원료인 황칠나무의 항산화 활성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a) 황칠나무 수피, 잎, 가지, 줄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 발효물을 접종하는 단계, 및 (b) 접종 후 배양하여 고상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b) 단계 후에 (c) 효모를 추가적으로 접종·배양하여 고상 발효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과 그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황칠나무의 발효물은 홍국균을 이용하거나 효모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비발효물에 비해서 추출 수율을 높고,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으며 항산화 활성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제조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제조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황칠나무 발효액과 그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황칠나무 발효액과 그 추출물의 제조예 1
황칠나무 잎과 줄기(황칠나무 잎과 줄기는 동일 중량임)를 동결 건조한 후 건조한 잎과 줄기를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에,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서 준비한 홍국균(Monascus purpureus)을 2.0%(v/w)로 접종하여 70±5% 습도, 40℃의 온도에서 18일 동안 고상 발효시켜(즉 물을 첨가함이 없이 발효시켜) 황칠나무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황칠나무 발효물에 5배 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90~100℃에서 5시간 열수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었다.
<실시예 2> 황칠나무 발효액의 제조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황칠나무 발효물에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서 준비한 효모(Saccharomyces cereviciae)를 0.05%(v/w)로 접종하여 70±5% 습도, 30℃의 온도에서 1개월 동안 고상 발효시켜 황칠나무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황칠나무 발효물에 대해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고 여과액을 얻었다.
< 제조예 > 황칠나무 발효액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제조예 1> 황칠나무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여과액을 그대로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황칠나무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여과액을 그대로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황칠나무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여과액 99%(v/v)에 양배추 착즙액 1%(v/v)을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양배추 압착액은 양배추를 그대로 물리적으로 압착하고 얻었다.
<제조예 4> 황칠나무 발효액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여과액을 양배추 착즙액과 상기 <제조예 3>과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추출 수율, 성분 측정, 항산화 활성 실험 및 관능평가
<실험예 1> 추출 수율
상기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황칠나무 발효액의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로서 상기 실시예의 발효에 사용된 황칠나무 잎과 줄기 분쇄물에 대해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5배 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90~100℃에서 5시간 열수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3번의 실험 결과에 따른 추출 수율은 <실시예 1>의 발효액 추출물의 경우 4.72±0.02%였고, <실시예 1>의 발효액 추출물의 경우 6.32±0.03%였으며, 비교예의 추출물의 경우는 2.62±0.01%였다. 이러한 결과는 발효하였을 때가 추출 수율이 높아지고 특히 효모 발효까지 시킬 경우 추출 수율이 더 높아짐을 보여준다 할 수 있다.
<실험예 2>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의 측정은 Folin-Ciocalteu reagent가 추출물의 폴리페놀성 화합물에 의해 환원된 결과 몰리브덴 청색으로 발색하는 원리를 이용하였다(Method. Enzymol. 299: 152-178 1999).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여과액 100㎕에 2% Na2Cl3 가한 뒤
50% Folin-Ciocalteu 시약 100㎕를 넣고 30초간 vortex를 이용하여 섞어준 뒤 30분간 암소에 방치 한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750nm에서 측정하였다(DU-650, Beckman Coulter, Anaheim, CA, USA). 표준물질로 gallic acid(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총폴리페놀 함량은 건조 시료 중량 당 ㎍ garllic acid equivalent(㎍ GAE/g)로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Jia 등의 방법(Food Chem. 64: 555-559, 1999) 변경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여과액 1㎖에 5% NaNO2를 30㎕ 첨가한 다음 5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10% AlCl3 30㎕와 1M NaOH 200㎕를 혼합하여 반응액의 흡광도값을 510 nm에서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qercetin(Sigma Chemical Co.)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건조 시료 중량 당 ㎍ quercetin equivalent(㎍ QAE/g)로 나타내었다.
결과를 3번 실험의 평균값±표준편차로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구분 총 폴리페놀(㎍ GAE/g) 총 플라보노이드(㎍ QAE/g)
실시예 1의 추출물 322.8±8.4 58.6±5.2
실시예 2의 추출물 398.6±5.7 74.5±6.8
비교예의 추출물 262.5±6.4 41.2±3.8
상기 [표 1]의 결과는 황칠나무 잎과 줄기를 발효시킬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특히 효모 발효까지 시킬 경우가 가장 증가하였다.
<실험예 3> 항산화 활성의 측정
항산화 활성을 Blois 방법(Nature 181:1198-1200, 1958)을 변형하여 DPPH 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Methanol 4 ㎖에 농도별로 시료(100㎍ 및 200㎍)를 첨가한 후 0.15 mM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1 ㎖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안정화시킨 다음 UV-vis spectrophotometer로 517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황산화 활성은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율(%) = (Control-sample) / Control X 100
결과를 3번 실험의 평균값±표준편차로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구분 100㎍ 200㎍
실시예 1의 추출물 29.4±0.4 54.2±1.5
실시예 2의 추출물 38.4±2.3 74.6±3.3
비교예의 추출물 17.4±1.2 35.2±1.1
상기 [표 2]의 결과는 발효시킬 경우 항산화 활성이 뚜렷하게 상승함을 보여준다.
<실험예 4> 관능평가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음료에 대해서 관능평가의 취지를 주지시킨 20명의 요원을 상대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색도(상대적 진한 정도), 맛, 향, 및 종합적 기호도를 5점 척도법(5점: 매우 우수하다, 4점: 우수하다, 3점: 보통이다, 2점: 나쁘다, 1점: 매우 나쁘다)에 따라 평가하였다.
비교예는 상기 <실시예 2>의 발효 여과액만으로 제조한 음료(비교예 1)와, 발효하지 아니한 황칠나무 잎과 줄기 분쇄물에 대해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5배 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90~100℃에서 5시간 열수 추출하고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만으로 제조한 음료(비교예 2) 그리고 <비교예 2>의 여과액 90%(v/v)와 양배추 착즙액 10%(v/v)을 혼합하여 제조한 음료(비교예 3)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평균값과 표준편차로 하여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
구분 색도 전반적 기호도
제조예 1 3.4±0.2 3.6±0.2 3.8±0.2 3.7±0.2
제조예 2 3.8±0.2 3.8±0.1 4.3±0.3 4.0±0.1
제조예 3 3.6±0.2 3.8±0.1 3.9±0.1 3.7±0.1
제조예 4 4.1±0.0 4.1±0.3 4.5±0.2 4.4±0.2
비교예 1 2.9±0.1 2.8±0.2 3.5±0.2 3.1±0.2
비교예 2 3.2±0.3 3.2±0.2 3.4±0.1 3.3±0.2
색도에 있어서 발효 음료(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가 비발효 음료(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높았는데, 이는 상기 <실험예 1>의 추출 수율의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발효 음료 중에서도 양배추 착즙액과 혼합한 음료(제조예 3 및 4)가 약간 높았는데, 이는 양배추 착즙액에 포함된 고형분 함량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맛에 있어서도, 발효 음료(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가 비발효 음료(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높았으며, 특히 발효 음료 중에서도 양배추 착즙액과 혼합한 음료(제조예 3 및 4)가 높았는데, 이는 양배추 착즙액이 단맛을 높이고 발효 음료가 가지는 약간의 쓴맛을 중화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향에 있어서도, 발효 음료(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가 비발효 음료(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높았는데, 이는 상기 <실험예 2>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와 일치한다. 즉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아짐으로써 향에 대한 평가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인 기호도의 경우도 발효 음료(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가 비발효 음료(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높았다.

Claims (6)

  1. (a) 황칠나무 수피, 잎, 가지, 줄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홍국균인 모나스커스 푸르푸레우스(Monascus purpureus)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고상 발효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발효물에 효모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Saccharomyces cereviciae)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고상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 기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황칠나무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 기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황칠나무 발효물에 물을 가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 및 그 추출액을 여과하여 추출 잔사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황칠나무 발효액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액을 얻는 단계 후에, 그 여과액에 양배추 착즙액이 0.5%(v/v) 내지 2%(v/v)의 범위로 첨가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황칠나무 발효액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
KR1020140100009A 2014-08-04 2014-08-04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 KR101698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009A KR101698774B1 (ko) 2014-08-04 2014-08-04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009A KR101698774B1 (ko) 2014-08-04 2014-08-04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275A KR20160016275A (ko) 2016-02-15
KR101698774B1 true KR101698774B1 (ko) 2017-01-23

Family

ID=5535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009A KR101698774B1 (ko) 2014-08-04 2014-08-04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7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765A (ko) 2018-12-31 2020-07-08 정혜린 엿기름을 이용한 황칠 과립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69089A (ko) 2021-06-18 2022-12-27 엠케이바이오파낙스 주식회사 황칠나무와 흑마늘을 이용한 건강보조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357B1 (ko) * 2017-11-27 2019-11-19 제주황칠바이오테크(주) 황칠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음료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102365480B1 (ko) * 2019-12-24 2022-02-21 노정수 개미취(Aster tataricus)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97135B1 (ko) * 2021-03-05 2023-11-01 정혜린 황칠나무를 이용한 황칠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1467B1 (ko) * 2022-11-30 2023-10-19 (주)우리아이들플러스 황칠 발효 추출물 및 당유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645B1 (ko) 2002-02-25 2004-07-23 황백 황칠 원액을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0988072B1 (ko) 2010-03-22 2010-10-18 정철화 황칠나무 발효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054041B1 (ko) * 2011-01-31 2011-08-04 최재홍 황칠나무를 이용한 발효산물과 발효추출물을 대량가공 하는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101333007B1 (ko) 2012-01-31 2013-11-26 정명기 황칠나무 액기스 추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645B1 (ko) 2002-02-25 2004-07-23 황백 황칠 원액을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0988072B1 (ko) 2010-03-22 2010-10-18 정철화 황칠나무 발효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054041B1 (ko) * 2011-01-31 2011-08-04 최재홍 황칠나무를 이용한 발효산물과 발효추출물을 대량가공 하는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101333007B1 (ko) 2012-01-31 2013-11-26 정명기 황칠나무 액기스 추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765A (ko) 2018-12-31 2020-07-08 정혜린 엿기름을 이용한 황칠 과립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69089A (ko) 2021-06-18 2022-12-27 엠케이바이오파낙스 주식회사 황칠나무와 흑마늘을 이용한 건강보조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275A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774B1 (ko)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
KR101464745B1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1451981B1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1591708B1 (ko) 곰팡이를 이용한 천연양조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4821A (ko)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101377586B1 (ko) 고상 발효에 의한 항산화 활성 및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차가버섯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0907037B1 (ko) 녹차성분을 함유하는 영지버섯 또는 표고버섯 균사체의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KR101923571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
KR101889605B1 (ko) 사카로마이세스 종과 비-사카로마이세스 종의 혼합균을 이용한 향미가 증진된 참다래 와인의 제조방법
KR100905604B1 (ko) 햅쌀과 새송이버섯을 이용한 홍주 제조 방법
KR101837937B1 (ko) 황칠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간장과 된장의 제조 방법
KR20190060023A (ko) 오미자와 아로니아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음료
KR101134109B1 (ko) 자색고구마와 버섯을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1397405B1 (ko) 복분자 주박을 활용한 복분자 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1989999B1 (ko) 장미숙성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8551B1 (ko)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
KR20190042433A (ko) 동백꽃 추출물 또는 동백꽃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8066A (ko) 설탕이 배제된 콤부차 제조방법
KR20160075114A (ko) 발효커피추출액을 포함하는 커피 식초의 제조방법
KR101949936B1 (ko) 와송 발효 식초의 제조 방법
KR101200339B1 (ko) 핑크팝 보리수 열매를 이용한 와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55899B1 (ko) 감귤과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의제조방법과 이를 사용하여 재배한 버섯
KR101754812B1 (ko) 뜰보리수 발효차, 뜰보리수 발효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824107B1 (ko) 녹차씨 또는 녹차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효모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0069B1 (ko) 천문동발효진액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