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869A -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869A
KR20220051869A KR1020200135010A KR20200135010A KR20220051869A KR 20220051869 A KR20220051869 A KR 20220051869A KR 1020200135010 A KR1020200135010 A KR 1020200135010A KR 20200135010 A KR20200135010 A KR 20200135010A KR 20220051869 A KR20220051869 A KR 20220051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unnel
adaptation
transmittan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태
조미령
김유신
신경호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13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1869A/ko
Publication of KR20220051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869A/ko
Priority to KR1020230047067A priority patent/KR102624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60K35/285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for improving awareness by directing driver's gaze direction or eye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K2370/152
    • B60K2370/166
    • B60K2370/19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5Direction of ga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터널의 입구 도착 전과 터널의 출구 도착전에 차량에 설치된 스마트 윈도우의 투과율과 실내 디스플레이 장치와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여 운전자의 암순응과 명순응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SIBILITY ADAPTATION OF VEHICLE DRIVER}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의 입구 도착 전과 터널의 출구 도착전에 차량에 설치된 스마트 윈도우의 투과율과 실내 디스플레이 장치와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여 운전자의 암순응과 명순응을 개선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도로는 산악 지형을 관통하는 경우가 많아 자동차의 운행 중 터널을 통과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터널 내부에는 조명 시설이 설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햇빛이 강한 지역에서 어두운 터널로 진입하거나, 반대로 어두운 터널에서 햇빛이 강한 지역으로 나왔을 때, 운전자의 시야가 바뀐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순간적인 시야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터널에서의 운전자 시야 밝기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1을 참조하면, 터널 입구에서 터널 내부 방향으로 주행할수록 운전자의 시야는 어두워져 물체를 인식하기 어려워지고, 터널 내부에서 터널 출구방향으로 주행할수록 운전자의 시야는 급격하게 밝아져 터널 출구에서는 물체의 인식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시야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터널의 입구 측과 출구 측의 일정 거리를 운전자의 시야 순응 구간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입구와 출구에 다량의 조명등을 설치하여 집중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성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터널 입구 및 출구 측에 다량의 조명등을 집중 배치하여 시야 순응성을 확보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터널 조명등의 점등을 위해 필요한 전력이 대폭으로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터널 조명등이 설치되지 않은 터널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실내 조명장치 중에서 내비게이션 및 AVI 시스템과 연동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클러스터의 경우 터널의 진입 후 밝기가 감소되고, 터널의 통과 후 밝기가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운전자의 사전 순응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142274호(발명의 명칭: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 확보 장치 및 방법) 문헌 2.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24188호(발명의 명칭: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널의 입구 도착 전과 터널의 출구 도착전에 차량에 설치된 스마트 윈도우의 투과율과 실내 디스플레이 장치와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여 운전자의 암순응과 명순응을 개선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로서, 차량의 주행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터널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산출하되, 상기 산출된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터널 순응 모드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스마트 윈도우부가 외부에서 실내로 투과되는 빛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차량이 터널 내부에 진입하면,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의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차량이 터널 입구에 도착할 때까지,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의 투과율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차량이 터널 입구에 도착할 때까지, 차량의 전면, 측면, 후면 및 썬루프에 설치된 스마트 윈도우부의 투과율이 서로 차등되게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차량이 주행됨에 따라,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을 산출하되, 상기 산출된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차량이 터널 출구에 도착 또는 통과하면,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의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시야 순응 제어 장치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GPS 수신부; 상기 차량으로부터 주행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부; 상기 위치 정보와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터널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을 터널 순응 모드의 판단을 위한 기준 값과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스마트 윈도우부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현재 설정된 스마트 윈도우부의 투과율이 유지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에서 실내로 투과되는 빛의 투과율이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조절하는 스마트 윈도우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이 터널 내부에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 윈도우부의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시야 순응 제어 장치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밝기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제어되고, 내비게이션, AVI, 차량의 주행 정보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시야 순응 제어 장치는 차량이 주행됨에 따라,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을 산출하되, 상기 산출된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운전자의 시야가 명순응에 적응하도록 명순응 조명을 출력하는 명순응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시야 순응 제어 장치는 실내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방법으로서, a) GPS 수신부가 차량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면, 제어부가 내비게이션 정보이 기반하여 차량의 주행방향에 터널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터널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가 터널 순응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 터널 순응 모드가 설정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30)가 차량 통신부를 통해 차량(200)의 주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터널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터널 순응 모드의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외부에서 실내로 투과되는 빛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스마트 윈도우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차량이 터널 내부에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가 스마트 윈도우부의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d) 상기 제어부가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터널의 출구를 감지하면, 상기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산출된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가 운전자의 시야가 명순응에 적응하도록 명순응 조명을 출력하는 명순응 조명부로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f)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터널 출구에 도착할 때까지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f) 단계는 차량이 상기 터널 출구를 통과하면, 상기 제어부가 스마트 윈도우부의 투과율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명순응 조명부로 소등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널의 입구 도착 전과 터널의 출구 도착전에 차량에 설치된 스마트 윈도우의 투과율과 실내 디스플레이 장치와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여 운전자의 암순응과 명순응을 개선함으로써, 급격한 밝기의 변화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널의 진출입시 급격한 밝기의 변화로 인해 운전자의 시각적 피로도가 최소화되도록 하고, 동시에 시각적 쾌적함은 최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터널에서의 운전자 시야 밝기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3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3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100)는 차량(200)의 주행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터널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터널 순응 모드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스마트 윈도우부(140)가 외부에서 실내로 투과되는 빛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차량(200)이 터널 내부에 진입하면,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GPS 수신부(110)와, 차량 통신부(120)와, 제어부(130)와, 스마트 윈도우부(140)와, 디스플레이부(150)와, 명순응 조명부(160)와, 조도 센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GPS 수신부(110)는 차량(200)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미도시) 정보와 연동하여 차량의 이동에 따른 위치 정보, 예를 들면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상기 차량 통신부(120)는차량의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서, 차량용 근거리 통신망(LAN)의 표준 인터페이스 규격인 CAN(Controller Area Network), 차량 LAN 통신 표준인 상호연결망(LIN), 차세대 엑스 바이 와이어(Anything by Wire; 'X-by-Wire') 시스템용 통신 표준인 플렉스레이(FlexRay)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주행 정보는 제어부(130)로 출력된다.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는, 차량의 속도 정보, 변속기 정보, 조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GPS 수신부(110)가 수신한 위치 정보와, 차량 통신부(120)가 수신한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내비게이션의 지도 정보와 연동하여 차량(2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내비게이션의 지도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의 주행방향 전측에 터널이 있는지 확인하고, 터널이 확인되면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터널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터널 입구까지의 도착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산출된 터널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터널 입구까지의 도착 시간을 터널 순응 모드의 판단을 위한 기준 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현재 설정된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유지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터널 순응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터널 순응 모드 판단을 위한 기준 값이 예를 들어 현재 위치에서 터널 입구까지의 거리가 '4Km' 또는 터널 입구까지의 도착 시간이 '3분'인 경우, 차량의 주행속도에 기초하여 터널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터널 입구까지의 도착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상기 터널 순응 모드 판단용 기준 값에 도달하면,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차량(200)이 터널 입구에 도착할 때까지,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순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하여 운전자의 시야가 터널 진입 전에 순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차량(200)이 터널 입구에 도착할 때까지, 차량(200)의 전면, 측면, 후면 및 썬루프에 설치된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서로 차등되게 감소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안전한 주행을 위해,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200)의 전면 윈도우, 측면 윈도우, 후면 윈도우의 투과율은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터널 입구 도착 거리 또는 도착 시간에 따라 순차 감소되도록 제어하고, 선루프 윈도우는 투과율이 최대 크기로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전면 윈도우의 투과율은 측면 및 후면 윈도의 투과율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감소가 이루어지도록 제어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가 터널 내부의 조명에 순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200)이 터널 내부에 진입하면,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터널에 설치된 조명등이 실내에 최대한 많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200)이 터널 입구에 도착할 때까지, 내비게이션, AVI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차량의 주행 정보를 출력하는 클러스터(미도시)의 밝기가 감소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200)이 주행됨에 따라,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터널 출구의 도착 시간이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는지 분석한다.
여기서,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은 예를 들면, 터널 출구 도착 '30초' 전 또는 터널 출구 도착 '700m' 전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 산출된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터널 출구의 도착 시간이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최대 투과율로 설정된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제어하여 터널 외부 광에 의한 눈부심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200)이 터널 출구에 도착하거나 또는 통과하면,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최대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200)이 터널 출구에 도착할 때까지, 내비게이션, AVI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차량의 주행 정보를 출력하는 클러스터(미도시)의 밝기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산출된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터널 출구의 도착 시간이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이면, 운전자의 시야가 명순응에 적응하도록 명순응 조명을 출력하는 명순응 조명부(160)로 점등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200)이 터널 출구에 도착하거나 또는 통과하면, 명순응 조명부(160)가 소등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140)는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에서 실내로 투과되는 빛의 투과율이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스마트 윈도우(또는 스마트 글래스, smart glass)는 전압을 이용하여 빛의 투과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창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140)는 차량(200)의 전면, 측면, 후면 및 썬루프에 설치되어 실내로 투과되는 빛과 열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차량(200)의 실내 조도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밝기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제어되고, 내비게이션, AVI 등의 정보가 표시되도록하는 대화면 표시수단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클러스터 화면 표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명순응 조명부(160)는 차량(200)의 실내에 설치되고, 제어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점등 신호 또는 소등 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가 명순응에 적응하도록 명순응 조명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명순응 조명부(160)는 제어부(130)의 디밍 제어를 통해 차량(200)이 터널 출구에 도착할 때까지 광량이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동작하여 운전자가 터널의 출구에 도착하거나 또는 통과할 때, 운전자의 시야가 명순응에 충분히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도 센서부(170)는 차량(200) 주변의 조도와 실내의 조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30)의 제어를 통해 스마트 윈도우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등의 동작으로 변경된 실내의 조도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GPS 수신부(110)를 이용한 GPS 위치 좌표 정보의 수신이 어려운 경우, 조도 센서부(170)를 이용하여 감지한 터널 내부의 조도값에 기초하여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내비게이션의 정보로부터 해당 터널의 길이를 산출하고, 터널의 진입 후 차량의 속도 정보와 시간을 이용하여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와 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GPS 수신부(110)가 차량(200)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면, 제어부(130)가 내비게이션 정보이 기반하여 차량(200)의 주행방향에 터널이 있는지 판단(S100)한다.
상기 S100 단계의 판단 결과, 터널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터널 순응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판단(S200)한다.
상기 S200 단계의 판단 결과, 터널 순응 모드가 설정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30)가 차량 통신부(120)를 통해 차량(200)의 주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터널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산출된 터널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터널 입구의 도착 시간이 터널 순응 모드의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외부에서 실내로 투과되는 빛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스마트 윈도우부(140)로 제어 신호를 출력(S300)한다.
또한, 상기 S30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200)이 터널 내부에 진입하면,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미리 설정된 투과율에서 최대 투과율이 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200)이 터널 입구에 도착할 때까지, 내비게이션, AVI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차량의 주행 정보를 출력하는 클러스터(미도시)의 밝기가 감소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S400)하여 실내의 조도가 낮아지도록 한다.
계속해서, 차량(200)이 터널 내부에 진입하여 주행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내비게이션 정보와, 차량의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터널의 출구가 감지되는지 판단(S500)한다.
상기 S500 단계의 판단 결과, 터널의 출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산출된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터널 출구의 도착 시간이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운전자의 시야가 명순응에 적응하도록 명순응 조명을 출력하는 명순응 조명부(160)로 점등 신호를 출력(S600)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부(120)는 내비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200)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200)이 터널 출구에 도착할 때까지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제어(S700)한다.
또한, 상기 S700) 단계에서 차량(200)이 터널 출구를 통과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차량(200)이 터널 출구를 통과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명순응 조명부(160)로 소등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200)이 터널 출구를 통과하면, 내비게이션, AVI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차량의 주행 정보를 출력하는 클러스터(미도시)의 밝기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S800)한다.
따라서, 터널의 입구 도착 전과 터널의 출구 도착전에 차량에 설치된 스마트 윈도우의 투과율과 실내 디스플레이 장치와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여 운전자의 암순응과 명순응을 개선함으로써, 급격한 밝기의 변화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널의 진출입시 급격한 밝기의 변화로 인해 운전자의 시각적 피로도가 최소화되도록 하고, 동시에 시각적 쾌적함은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시야 순응 제어 장치
110 : GPS 수신부
120 : 차량 통신부
130 : 제어부
140 : 스마트 윈도우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명순응 조명부
170 : 조도 센서부
200 : 차량

Claims (14)

  1. 시야 순응 제어 장치(100)로서,
    차량(200)의 주행 정보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터널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산출하되,
    상기 산출된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터널 순응 모드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스마트 윈도우부(140)가 외부에서 실내로 투과되는 빛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차량(200)이 터널 내부에 진입하면,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200)이 터널 입구에 도착할 때까지,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200)이 터널 입구에 도착할 때까지, 차량(200)의 전면, 측면, 후면 및 썬루프에 설치된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서로 차등되게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200)이 주행됨에 따라,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을 산출하되,
    상기 산출된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200)이 터널 출구에 도착 또는 통과하면,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 순응 제어 장치(100)는 차량(200)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GPS 수신부(110);
    상기 차량(200)으로부터 주행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부(120);
    상기 위치 정보와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터널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을 터널 순응 모드의 판단을 위한 기준 값과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현재 설정된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유지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에서 실내로 투과되는 빛의 투과율이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조절하는 스마트 윈도우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200)이 터널 내부에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 순응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밝기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제어되고, 내비게이션, AVI, 차량의 주행 정보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 순응 제어 장치(100)는 차량이 주행됨에 따라,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을 산출하되, 상기 산출된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운전자의 시야가 명순응에 적응하도록 명순응 조명을 출력하는 명순응 조명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산출된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 순응 제어 장치(100)는 실내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11. a) GPS 수신부(110)가 차량(200)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면, 제어부(130)가 내비게이션 정보이 기반하여 차량(200)의 주행방향에 터널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터널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30)가 터널 순응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 터널 순응 모드가 설정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30)가 차량 통신부(120)를 통해 차량(200)의 주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터널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입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터널 순응 모드의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외부에서 실내로 투과되는 빛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스마트 윈도우부(14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차량(200)이 터널 내부에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130)가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d) 상기 제어부(130)가 차량(200)이 주행함에 따라 터널의 출구를 감지하면, 상기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산출된 터널 출구까지의 거리 또는 도착 시간이 명순응 판단을 위한 기준 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130)가 운전자의 시야가 명순응에 적응하도록 명순응 조명을 출력하는 명순응 조명부(160)로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f) 상기 제어부(120)가 차량(200)의 위치를 감지하여 터널 출구에 도착할 때까지 상기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차량(200)이 상기 터널 출구를 통과하면, 상기 제어부(130)가 스마트 윈도우부(140)의 투과율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명순응 조명부(160)로 소등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방법.
KR1020200135010A 2020-10-19 2020-10-19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20051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010A KR20220051869A (ko) 2020-10-19 2020-10-19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230047067A KR102624270B1 (ko) 2020-10-19 2023-04-10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010A KR20220051869A (ko) 2020-10-19 2020-10-19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067A Division KR102624270B1 (ko) 2020-10-19 2023-04-10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869A true KR20220051869A (ko) 2022-04-27

Family

ID=813910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010A KR20220051869A (ko) 2020-10-19 2020-10-19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230047067A KR102624270B1 (ko) 2020-10-19 2023-04-10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067A KR102624270B1 (ko) 2020-10-19 2023-04-10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5186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274A (ko) 2014-06-11 2015-1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 확보 장치 및 방법
KR101624188B1 (ko) 2014-12-04 2016-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0443B2 (ja) 2000-12-05 2005-02-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表示装置
JP2004182006A (ja) 2002-11-29 2004-07-02 Denso Corp 車両の走行安全装置、プログラム
JP2006088789A (ja) 2004-09-22 2006-04-06 Denso Corp 車両用視界支援装置
JP2007125985A (ja) 2005-11-02 2007-05-24 Denso Corp 車室内照明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274A (ko) 2014-06-11 2015-1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 확보 장치 및 방법
KR101624188B1 (ko) 2014-12-04 2016-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267A (ko) 2023-04-19
KR102624270B1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882B1 (ko) 차량용 헤드램프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86363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light emission of a headlight of a vehicle
JP5604802B2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CN112738956B (zh) 汽车室内灯照明自适应系统及控制方法
KR20220098967A (ko) Avn 시스템의 화면 밝기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4182006A (ja) 車両の走行安全装置、プログラム
KR20090095695A (ko) 차량용 표시기기의 자동 휘도 조정 장치
CN107284346A (zh) 大灯亮度无级自动调节系统和方法以及汽车
KR20150142274A (ko)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 확보 장치 및 방법
CN112105526A (zh) 用于设置交通工具的照明状况的方法和系统以及交通工具
US11884207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light adaptation of a vehicle driver when exiting a tunnel
KR20220051869A (ko) 차량 운전자의 시야 순응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034287B2 (en) Controlling a headlight of a motor vehicle
KR101694004B1 (ko) 차량의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 장치
KR20010095807A (ko) 터널 조명 제어방법 및 장치
US20200298677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to adjust dimming associated with vehicle sunroofs
KR20200082258A (ko) 외부 환경 기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6304035B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operating the lights of a motor vehicle
JP2005075304A (ja) 車両用ライト点灯制御装置
KR20210043525A (ko)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 확보 장치 및 방법
CN110519882A (zh) 隧道mesh路灯控制系统、管理方法以及存储介质
JPH0872608A (ja) トンネル入口照明の制御装置
KR102171951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램프 밝기제어장치
KR20040110919A (ko) 공조 패널용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161198B1 (ko) 카메라의 파라미터를 이용한 주간/야간 판단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