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675A - 고흡수성 복합섬유, 고흡수성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 Google Patents

고흡수성 복합섬유, 고흡수성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675A
KR20220050675A KR1020200134626A KR20200134626A KR20220050675A KR 20220050675 A KR20220050675 A KR 20220050675A KR 1020200134626 A KR1020200134626 A KR 1020200134626A KR 20200134626 A KR20200134626 A KR 20200134626A KR 20220050675 A KR20220050675 A KR 20220050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e fiber
sheath
parts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139B1 (ko
Inventor
한만재
정긍식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4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139B1/ko
Priority to PCT/KR2021/014368 priority patent/WO2022080953A1/ko
Priority to JP2023515169A priority patent/JP2023540764A/ja
Priority to CN202180070432.8A priority patent/CN116507765A/zh
Publication of KR2022005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139B1/ko
Priority to US18/134,764 priority patent/US2023025791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D04H1/43828Composite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2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6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e.g. polyvinyl alcohol, or of their acetals or keta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yl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고흡수성 복합섬유, 고흡수성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이 개시된다. 개시된 고흡수성 복합섬유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코어 및 EVOH(ethylene vinyl alcohol)를 포함하는 시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흡수성 복합섬유, 고흡수성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Highly absorbent composite fiber, highly absorbent non-woven fabric and article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고흡수성 복합섬유, 고흡수성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성 및 냉감 성능이 우수한 고흡수성 복합섬유, 고흡수성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이 개시된다.
통상적으로, 부직포는 그 적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위생재 및 미용 마스크팩에 적용되는 부직포는 우수한 흡수성 및 냉감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부직포에 우수한 흡수성 및 냉감성을 부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부직포 제조 후 친수성 유제로 후처리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부직포가 연속해서 수분을 흡수할 경우 유제가 세척되어 친수성을 상실하게 되고 흡수 성능도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06115호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친수제를 제조한 후 이러한 친수제에 부직포를 침지시킨 후 건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나, 상기 방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성이 낮으며 부직포가 연속해서 수분을 흡수할 경우 친수성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등록공보 제10-2106115호(등록일 2020.04.23)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흡수성 및 냉감 성능이 우수한 고흡수성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고흡수성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고흡수성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코어; 및
EVOH(ethylene vinyl alcohol) 및 PEG(polyethylene glycol)를 포함하는 시스를 포함하는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상기 코어 대 상기 시스의 중량비는 50~90:10~50일 수 있다.
상기 시스에서 상기 PEG의 함량은 상기 EVOH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 부일 수 있다.
상기 시스의 용융지수는 10~60g/10min일 수 있다.
상기 시스는 상기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5중량부의 무기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는 수분 흡수율이 550~1,500%이고, 열전도도가 0.1W/m·K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상기 물품은 위생재 또는 미용 마스크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고흡수성 복합섬유, 고흡수성 부직포 및 물품은 우수한 흡수성 및 냉감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고흡수성 복합섬유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고흡수성 복합섬유(이하, 간단히 "복합섬유"라고 함)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섬유는 코어 및 시스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각종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에틸렌과 각종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소수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는 EVOH(ethylene vinyl alcohol) 및 PEG(polyethylene glycol)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는 소수성의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되 EVOH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가 물에 침지되었을 경우, 상기 EVOH가 포함된 복합섬유의 표면에만 물이 흡수되고 복합섬유의 내부로는 물이 침투하지 않아 상기 코어의 부피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시스는 EVOH 및 PEG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VOH는 에틸렌과 비닐알코올의 공중합체로서 수산기(OH)를 포함하고 있어 친수성을 가지며, 이로 인해 물을 잘 흡수할 수 있으며, 에틸렌 함량이 적을수록 수산기가 많아져 수분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EVOH는 열전도도가 0.3~0.4W/m·K로서 올레핀 수지인 폴리프로필렌(PP)의 열전도도인 0.1~0.15W/m·K보다 2배 이상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다. 열전도는 물질 내에서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지칭하는데, 열전도도가 높은 EVOH가 인체 피부에 접촉할 경우에는 인체의 열이 보다 쉽게 EVOH로 이동하여 시원한 느낌을 주는 냉감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VOH는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된 용융지수(MI: 측정온도 210℃, 하중 2.16kg)가 10~60g/10min일 수 있다. 상기 EVOH의 용융지수가 10g/10min미만일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아 노즐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장기간 생산이 불가능하며, 60g/10min을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낮아 복합섬유 구조를 형성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EVOH는 용융온도(Tm)가 155℃~185℃일 수 있다.
상기 PEG는 친수성 성분으로서 상기 시스에 존재할 경우 상기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수분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재 열량이 높아 지속적인 냉감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시스에서 상기 PEG의 함량은 상기 EVOH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 부일 수 있다. 상기 PEG의 함량이 상기 EVOH 100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EVOH 단독인 경우 보다 더 높은 수분 흡수율을 구현할 수 없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사성이 안 좋아져서 섬유의 사절(絲切)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시스는 상기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5중량부의 무기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 효과가 미미하고, 15중량부를 초과하면 분산성이 낮아져서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고 사절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첨가제는 상기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냉감 효과를 추가적으로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무기 첨가제는 열전도도가 0.5W/m·K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첨가제의 열전도도가 0.5W/m·K 미만이면, 충분한 냉감 효과를 부여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무기 첨가제는 이산화티타늄(TiO2), 탄산칼슘(CaCO3), 산화아연(ZnO), 산화알루미늄(Al2O3), 그래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대 상기 시스의 중량비는 50~90:10~50일 수 있다. 상기 시스의 중량비가 10 미만일 경우에는 높은 수분 흡수율 및 냉감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시스의 중량비가 50을 초과할 경우에는 섬유 방사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부직포(이하, 간단히 "부직포"라고 함)를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는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수분 흡수율(Wf)이 550~1,500%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식 중, Wa는 수분 흡수 후 부직포 샘플의 무게이고, Wb는 수분 흡수 전 부직포 샘플의 무게이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열전도도가 0.1W/m·K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상기 물품은 위생재 또는 미용 마스크팩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폴리프로필렌이 코어에 사용되었으며, 융점이 171℃이고 용융지수가 50g/10min(측정온도 210℃, 하중 2.16kg)인 EVOH가 시스에 사용되었다. 상기 수지를 용융시키는 익스투르더의 온도는 220℃이었다. 용융된 수지는 복합방사 노즐안의 분배판에 의해 폴리프로필렌은 코어로 이동하고, EVOH는 시스로 이동하여, 노즐을 통해 복합단면 형태로 2,500mpm 속도로 방사되어 복합섬유를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복합섬유를 개섬하여 웹을 형성하고 캘린더링을 거쳐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형성된 필라멘트의 코어:시스의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70:30이었다.
실시예 1: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PEG 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PEG 5중량부를 첨가하고 코어:시스의 중량비를 50:50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PEG 5중량부를 첨가하고 코어:시스의 중량비를 90:10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PEG 1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PEG 1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전도도가 2.5W/m·K인 무기 첨가제로서 탄산칼슘(CaCO3) 7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전도도가 2.5W/m·K인 무기 첨가제로서 탄산칼슘(CaCO3) 7중량부를 첨가하고 코어:시스의 중량비를 50:50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전도도가 2.5W/m·K인 무기 첨가제로서 탄산칼슘(CaCO3) 1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PEG 5중량부 및 열전도도가 2.5W/m·K인 무기 첨가제로서 탄산칼슘(CaCO3) 7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PEG 5중량부 및 열전도도가 2.5W/m·K인 무기 첨가제로서 탄산칼슘(CaCO3) 7중량부를 첨가하고 코어:시스 중량비를 50:50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PEG 5중량부를 첨가하고 코어:시스의 중량비를 45:55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PEG 5중량부를 첨가하고 코어:시스의 중량비를 95:5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PEG 0.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PEG 12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9: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전도도가 2.5W/m·K인 무기 첨가제로서 탄산칼슘(CaCO3) 7중량부를 첨가하고 코어:시스 중량비를 45:55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전도도가 2.5W/m·K인 무기 첨가제로서 탄산칼슘(CaCO3) 7중량부를 첨가하고 코어:시스 중량비를 95:5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전도도가 2.5W/m·K인 무기 첨가제로서 탄산칼슘(CaCO3) 17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PEG 0.5중량부 및 열전도도가 2.5W/m·K인 무기 첨가제로서 탄산칼슘(CaCO3) 0.0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시스에 EVOH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PEG 12중량부 및 열전도도가 2.5W/m·K인 무기 첨가제로서 탄산칼슘(CaCO3) 17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복합섬유 및 부직포의 제조
코어:시스의 중량비를 100:0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평가예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수분 흡수율을 평가하고, 아울러 열전도도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코어:시스
중량비
시스 중
PEG 함량
(EVOH 100중량부 기준)
시스 중
무기계 함량
(EVOH 100중량부 기준)
수분 흡수율(%) 열전도도
(W/m·K)
비교예 1 70:30 0 0 500 0.1
실시예 1 70:30 5 0 700 0.1
실시예 2 50:50 5 0 900 0.1
실시예 3 90:10 5 0 600 0.1
실시예 4 70:30 1 0 560 0.1
실시예 5 70:30 10 0 850 0.1
비교예 2 70:30 0 7 500 0.2
비교예 3 50:50 0 7 500 0.2
비교예 4 70:30 0 15 500 0.3
실시예 6 70:30 5 7 700 0.25
실시예 7 50:50 5 7 910 0.3
비교예 5 45:55 5 0 방사불가 방사불가
비교예 6 95:5 5 0 300 0.1
비교예 7 70:30 0.5 0 500 0.1
비교예 8 70:30 12 0 방사불가 방사불가
비교예 9 45:55 0 7 방사불가 방사불가
비교예 10 95:5 0 7 300 0.05
비교예 11 70:30 0 17 방사불가 방사불가
비교예 12 70:30 0.5 0.05 500 0.1
비교예 13 70:30 12 17 방사불가 방사불가
비교예 14 100:0 0 0 15 0.05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부직포는 수분 흡수율(≥ 550%) 및 열전도도(≥ 0.1 W/m·K) 가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교예 1~4, 6~7, 10, 12 및 14에서 제조된 부직포는 열전도도(≥ 0.1 W/m·K)는 우수하지만, 수분 흡수율(< 550%)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5, 8~9, 11 및 13에서는 방사 불능으로 인해 부직포를 제조하지 못하여 열전도도와 수분 흡수율을 측정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복합섬유 11: 코어
12: 시스

Claims (7)

  1.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코어; 및
    EVOH(ethylene vinyl alcohol)를 포함하는 시스를 포함하는 복합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대 상기 시스의 중량비는 50~90:10~50인 복합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의 용융지수는 10~60g/10min인 복합섬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수분 흡수율이 550~1,500%이고, 열전도도가 0.1W/m·K 이상인 부직포.
  6. 제4항에 따른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위생재 또는 미용 마스크팩인 물품.


















KR1020200134626A 2020-10-16 2020-10-16 고흡수성 복합섬유, 고흡수성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102420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626A KR102420139B1 (ko) 2020-10-16 2020-10-16 고흡수성 복합섬유, 고흡수성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PCT/KR2021/014368 WO2022080953A1 (ko) 2020-10-16 2021-10-15 고흡수성 복합섬유, 고흡수성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JP2023515169A JP2023540764A (ja) 2020-10-16 2021-10-15 高吸水性複合繊維、高吸水性不織布、及びそれを含む物品
CN202180070432.8A CN116507765A (zh) 2020-10-16 2021-10-15 高吸收性复合纤维、高吸收性无纺布及含有该无纺布的物品
US18/134,764 US20230257912A1 (en) 2020-10-16 2023-04-14 Highly absorbent composite fibre, highly absorbent non-woven fabric, and articl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626A KR102420139B1 (ko) 2020-10-16 2020-10-16 고흡수성 복합섬유, 고흡수성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675A true KR20220050675A (ko) 2022-04-25
KR102420139B1 KR102420139B1 (ko) 2022-07-12

Family

ID=8120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626A KR102420139B1 (ko) 2020-10-16 2020-10-16 고흡수성 복합섬유, 고흡수성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57912A1 (ko)
JP (1) JP2023540764A (ko)
KR (1) KR102420139B1 (ko)
CN (1) CN116507765A (ko)
WO (1) WO20220809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247B1 (ko) * 2022-08-26 2023-07-13 (주) 예스, 텍스타일컨설팅랩 냉감 기능성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5518A (ja) * 1986-12-25 1988-07-08 Daiwa Spinning Co Ltd 複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93223A (ja) * 2002-03-29 2003-10-15 Kuraray Co Ltd 吸熱性複合繊維
JP2005503497A (ja) * 2001-09-21 2005-02-03 アウトラスト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可逆熱特性を有する多成分繊維及び該多成分繊維の製造方法
KR20160062055A (ko) * 2013-09-27 2016-06-01 구라레 구라후렛쿠스 가부시키가이샤 보액 시트 및 페이스 마스크
KR102106115B1 (ko) 2012-11-06 2020-05-04 실 운트 자일라커 게엠베하 폴리올레핀 섬유를 영구적으로 친수화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0882B2 (ja) * 1996-05-23 2004-08-04 チッソ株式会社 極細繊維不織布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5518A (ja) * 1986-12-25 1988-07-08 Daiwa Spinning Co Ltd 複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503497A (ja) * 2001-09-21 2005-02-03 アウトラスト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可逆熱特性を有する多成分繊維及び該多成分繊維の製造方法
JP2003293223A (ja) * 2002-03-29 2003-10-15 Kuraray Co Ltd 吸熱性複合繊維
KR102106115B1 (ko) 2012-11-06 2020-05-04 실 운트 자일라커 게엠베하 폴리올레핀 섬유를 영구적으로 친수화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60062055A (ko) * 2013-09-27 2016-06-01 구라레 구라후렛쿠스 가부시키가이샤 보액 시트 및 페이스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247B1 (ko) * 2022-08-26 2023-07-13 (주) 예스, 텍스타일컨설팅랩 냉감 기능성 직물원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139B1 (ko) 2022-07-12
CN116507765A (zh) 2023-07-28
JP2023540764A (ja) 2023-09-26
WO2022080953A1 (ko) 2022-04-21
US20230257912A1 (en)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6418B1 (en) Surface modified bi-component polymeric fiber
KR100776878B1 (ko) 다층 부직포 및 그의 용도
US5188895A (en) Split fibers, integrated split fiber articl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483363B1 (ko) 소프트성 및 독특한 시각적 특징을 갖는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EP3008230A1 (en) Porous polyolefin fibers
US20230257912A1 (en) Highly absorbent composite fibre, highly absorbent non-woven fabric, and article comprising same
WO2017150728A1 (ja) 吸収体及び衛生用品
JP2001355173A (ja) 不織布積層体およびその用途
US6239047B1 (en) Wettable soft polyolefin fibers and fabric
JP4670580B2 (ja) 高強度熱融着性複合繊維
KR100746819B1 (ko)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 및 이의제조 방법
KR102356631B1 (ko) 마스크팩 시트
CN107307944A (zh) 一种薄型多层级吸收芯体及其制备方法
KR100361596B1 (ko) 이소택틱및아택틱폴리올레핀의블렌드로부터제조된부직포
CN112481720B (zh) 一种pe凉感纤维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20040009721A (ko) 재역류방지성이 우수한 다층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제조방법
KR910004459B1 (ko) 부직포용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101690837B1 (ko) 소프트성이 우수하고 보풀 발생이 적은 부직 웹 및 그 제조방법
JPH03249217A (ja) 軽量芯鞘複合中空ポリエステル繊維
KR20240045491A (ko) 냉감이 향상된 플랫본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72529A1 (ja) 繊維成型体の製造方法、繊維成型体、吸音材、自動車内装材及び極細繊維
JPH03234819A (ja) 軽量海島複合型ポリエステル繊維
KR100518107B1 (ko) 위생재 코아랩용 다층구조의 친수성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73107A (ko) 부직포,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물품
KR101571995B1 (ko) 섬유, 부직포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