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459B1 - 부직포용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부직포용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4459B1 KR910004459B1 KR1019880003879A KR880003879A KR910004459B1 KR 910004459 B1 KR910004459 B1 KR 910004459B1 KR 1019880003879 A KR1019880003879 A KR 1019880003879A KR 880003879 A KR880003879 A KR 880003879A KR 910004459 B1 KR910004459 B1 KR 9100044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nsity polyethylene
- low density
- ionomer
- component
- nonwoven fabr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복합섬유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아이오노머 리치부분 B : 저융점 폴리에틸렌 리치부분
C : 고융점 코어부분
본 발명은 열접착성이 우수한 부직포용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아이오노머(Ionomer)의 혼합물을 시이드(Sheath)성분으로 하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Core) 성분으로 하여 시이드-코어형으로 복합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이 우수한 부작포용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융점이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 복합성분의 스테이플을 제조하여 저융점 성분의 융점이상, 고융점 성분의 융점이하의 온도로 열처리함으로써 섬유와 섬유간에 자기접착점(自己接着點)을 형성시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며, 특히 저융점 성분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채용할 경우 폴리올레핀의 우수한 기계적 강도, 저비중, 내부식성, 내수성 등의 우수한 특징으로 인해 유아용 기저귀, 생리대, 필터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성분의 스테이플은 단일성분의 스테이플에 비해 고가인 관계로 부직포 제조시 통상 복합성분의 스테이플과 단일성분의 스테이플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열처리하여 접착시켜 왔으며, 이 경우 복합성분의 저융점 성분이 폴리올레핀 수지인 경우, 폴리올레핀 수지 자체에 활성기가 없는 관계로 단일 성분의 스테이플에 대한 접착성이 결여되어 패딩(Padding) 또는 퀄팅(Quilting)분야의 용도 전개가 곤란 하였다.
이러한 접착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캘린더의 온도를 높여주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을 채용할 경우 최종 표면이 딱딱해져 소프트한 촉감이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융점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폴리올레핀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를 블랜딩하거나 개질된 저융점 폴리에스터를 사용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 역시 소프트한 촉감을 발현할 수 없는 관계로 박지 부직포의 제조에는 적합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소프트한 촉감을 유지하면서 접착력을 향상시킨 부직포용 시이드-코어형 복합섬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바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하기의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아이오노머를 0.1 내지 10.0중량% 첨가하여서 된 성분을 시이드 성분으로 하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성분으로 하여 시이드-코어형으로 복합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이 우수한 부직포용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 m과 n은 10내지 100의 정수, M+는 Zn 또는 Na의 금속 이온)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뿐만 아니라 이들을 주체로한 부텐-1과 공중합체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 중합체 또는 혼합물에는 통상 폴리올레핀 수지에 첨가되는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안정제나 착색제, 활제, 대전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시이드 성분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아이오노머를 첨가 혼합하는 방법은 압출기, 반바리 믹서, 스태틱 믹서 등에 의한 통상의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복합섬유의 바람직한 단면 형상은 제 1 도와 같으며, 아이오노머가 저융점 폴리에틸렌보다 리치(Rich : 많이 포함됨을 의미)하게 산재해 있는 (A)부분 및 저융점 폴리에틸렌이 아이오노머보다 리치하게 산재해 있는 (B)부분과 고융점의 코어성분(C)으로 구별되어 구성된 것이다.
제 1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본 발명 복합섬유의 바람직한 단면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아이오노머의 용융지수(MIi)와 고밀도 폴리올레핀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MIo)가 다음 관계식을 만족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아이오노머의 용융지수는 공히 5 내지 40의 범위에 있어야 하며, 만약 5보다 적을 경우 방사 및 연신성이 저하되고, 40이상이 될 경우 접착력이 떨어져 부직포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MIi/MIo의 값이 1이하가 될 경우 제 1 도와 같은 단면의 섬유를 얻을 수가 없음은 물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없다.
그리고, 시이드 성분인 폴리올레핀에 대한 아이오노머의 첨가량이 0.1중량% 이하가 될 경우 접착성 및 촉감이 만족스럽지 못하게 되며, 10.0중량% 이상이면 아이오노머에 존재하는 이온의 흡수효과로 인해 기저귀, 생리대 등의 용도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 1-2]
융점 130℃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융점이 91℃인 폴리(에틸렌-코-메타 크릴산) 아이오노머를 첨가 혼합한 것을 시이드 성분으로 하고, 융점이 160℃이고 MI가 20인 폴리프로필렌을 코어 성분으로 하여 방사구금공의 직경이 0.5mm인 시이드-코어형 복합 구금을 사용 복합비 60 : 40의 미연신사를 얻은 후 통상의 연신장치를 이용 3.5배의 연신배율로 연신함으로써 100°/30Fil의 연신사를 얻은 다음 스터퍼(Stuffer)를 이용 복합 스테이플을 제조하였다.
상기 스테이플을 폴리에스터 스테이플과 50 : 50으로 혼합하여 30g/m2로 카딩 후 캘린더(150℃×60m/min)로 열융착시켰다.
측정된 웹의 CD 강력 및 촉감은 (표-1)과 같다.
[비교예 1]
사이드 성분을 저밀도 폴리에틸렌만으로 한 것외에는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1)에 정리하였다.
[표 1]
측정방법
(1) 용융지수(MI) : ASTM-D-1238에 의함.
(2) 웹의 CD 강력 : 폭 1cm×길이 15cm의 장방형의 시편을 12본 준비한 후 인스트롱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
Claims (3)
- 제 1 항에 있어서, 아이오노머의 용융지수(MIi)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MIo)의 비(MIi/MIo)가 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아이오노머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가 5 내지 4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80003879A KR910004459B1 (ko) | 1988-04-07 | 1988-04-07 | 부직포용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80003879A KR910004459B1 (ko) | 1988-04-07 | 1988-04-07 | 부직포용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6236A KR890016236A (ko) | 1989-11-28 |
KR910004459B1 true KR910004459B1 (ko) | 1991-06-29 |
Family
ID=1927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003879A KR910004459B1 (ko) | 1988-04-07 | 1988-04-07 | 부직포용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1000445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08888B2 (en) | 2003-07-24 | 2006-03-07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Multiple component spunbond web |
US7049254B2 (en) | 2002-11-13 | 2006-05-23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Multiple component meltblown web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8911A (ko) * | 1999-07-06 | 2001-02-05 | 박평렬 | 폴리올레핀 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KR100438331B1 (ko) * | 2001-10-18 | 2004-07-01 | (주)크린앤사이언스 | 내연기관 유입공기 정화용 여재 및 그 제조방법 |
-
1988
- 1988-04-07 KR KR1019880003879A patent/KR91000445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49254B2 (en) | 2002-11-13 | 2006-05-23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Multiple component meltblown webs |
US7008888B2 (en) | 2003-07-24 | 2006-03-07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Multiple component spunbond web |
US7238634B2 (en) | 2003-07-24 | 2007-07-03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Multiple component spunbond web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6236A (ko) | 1989-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31994A (en) | High thermal strength bonding fiber | |
KR100453609B1 (ko) | 열융착성복합섬유및이로부터제조된부직포 | |
DE3650608T2 (de) | 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m Schmelzspinnen von Filamenten | |
JP2828757B2 (ja) | 解繊維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解繊維を用いた解繊維集合体とその製造方法 | |
KR20080071618A (ko) | 표면 변형된 이성분 중합체 섬유 | |
KR870000442B1 (ko) | 복합 모노필라멘트의 제조방법 | |
EP0366379A2 (en) | Bicomponent binder fibers | |
US4798757A (en) | Soft water-permeable polyolefin nonwovens having opaque characteristics | |
KR850006708A (ko) | 올레핀 중합체의 세데니어 섬유 | |
US6646051B1 (en) | Polypropylene fibres | |
KR910004459B1 (ko) | 부직포용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 |
CN110872417B (zh) | 纺丝母粒和丙纶丝及其制备方法和丙纶制品 | |
ATE180024T1 (de) | Fasern zur vliesstoffherstellung mit verbesserter festigkeit und weichheit | |
JP2909837B2 (ja) | 熱融着性繊維 | |
JPS63165511A (ja) | ポリエチレン繊維の製造方法 | |
JP3032075B2 (ja) | 親水性ポリオレフィン繊維 | |
US20210363334A1 (en) | Fiber with Odor Control Component | |
JP2667536B2 (ja) | 難燃性複合繊維 | |
JP3040585B2 (ja) | 親水性ポリオレフィン複合繊維 | |
JP2667533B2 (ja) | 難燃性複合繊維 | |
JP2739230B2 (ja) | ポリプロピレン繊維 | |
JP2711157B2 (ja) | 難燃性複合繊維 | |
JPS5739216A (en) | Flame retardant composite fiber and its preparation | |
JP2594360B2 (ja) | 難燃性複合繊維 | |
JPS6144967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0328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