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856A - 열전사 시트 - Google Patents

열전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856A
KR20220047856A KR1020227009249A KR20227009249A KR20220047856A KR 20220047856 A KR20220047856 A KR 20220047856A KR 1020227009249 A KR1020227009249 A KR 1020227009249A KR 20227009249 A KR20227009249 A KR 20227009249A KR 20220047856 A KR20220047856 A KR 20220047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transfer sheet
thermal transfer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히로 오오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92Additives, other than colour forming substances, dyes or pigments, e.g. sensitisers, transfer promoting agents
    • B41M5/395Macromolecular additives, e.g.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6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relating to melt (thermal) mass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0Thermal donors, e.g. thermal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8Intermediate layers; Layers between substrate and imag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40Cover layers; Layers separated from substrate by imaging layer; Protective layers; Layers applied before ima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과제] 높은 전사성 및 세선 인자성을 갖는 열전사 시트의 제공.
[해결수단]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는,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마련된 전사층을 구비하고, 상기 전사층은, 알릴 수지를 포함하는 박리층을 적어도 구비한다.

Description

열전사 시트
본 개시는 열전사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재와 전사층을 구비하는 열전사 시트에 대하여, 서멀 헤드 등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인가하여, 종이나 플라스틱 시트 등의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하여, 화상 형성이나 보호층 형성을 행하는, 열용융 전사 방식이 알려져 있다.
열용융 전사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은, 고농도이며 선예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방식은, 문자, 선화 등의 2치 화상의 기록에 적합하다. 열용융 전사 방식에 의하면, 수신인명, 고객 정보, 넘버링, 바코드 등의 가변 정보를, 컴퓨터 및 열전사 프린터를 이용하여, 피전사체에 기록할 수 있다.
통상, 이러한 열전사 시트에는, 누락이나 끊김이 생기지 않은 양호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높은 전사성을 갖고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열전사 시트에는, 미세한 화상을 깨짐이나 끊김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형성할 수 있는, 높은 세선 인자성을 갖고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전사층에 박리층을 마련하거나, 기재측에 비전사성의 이형층을 마련하거나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등).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7-052278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전사층이 구비하는 박리층에, 알릴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써, 열전사 시트의 전사성 및 세선 인자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본 개시는 상기 지견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은 전사성 및 세선 인자성을 갖는 열전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마련된 전사층을 구비한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전사층은, 적어도 박리층을 구비하고,
상기 박리층이, 알릴 수지를 포함하는, 열전사 시트.
본 개시에 따르면, 높은 전사성 및 세선 인자성을 갖는 열전사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열전사 시트]
본 개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본 개시에 따른 열전사 시트(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11)와, 적어도 박리층(12)을 구비하는 전사층(13)을 구비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사층(1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층(12) 상에 착색층(14)을 구비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층(13)은, 박리층(12) 상에, 보호층(15)을 구비한다. 전사층(13)이 착색층(14)을 구비하는 경우, 보호층(15)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색층(14) 상에 마련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사층(13)은, 착색층(14)을 2층 이상 구비하여도 좋고, 보호층(15)을 2층 이상 구비하여도 좋다. 전사층(13)이, 착색층(14) 및 보호층(15)을 각각 2층 이상씩 구비하는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색층(14)이 연속하여 마련되고, 이 위에 연속한 보호층(15)이 마련되어도 좋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색층(14)과 보호층(15)이 교대로 연속하여 마련되어도 좋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사층(13)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외측 표면에, 접착층(16)을 구비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전사 시트(10)는, 기재(11)의 전사층(13)이 마련된 면과는 반대의 면에 배면층(17)을 구비한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열전사 시트가 구비하는 각 층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재)
기재는, 열전사 시에 부가되는 열에너지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고, 기재 상에 마련되는 전사층 등을 지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나 내용제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기재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1,4-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시클로헥산디메탄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6 및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초산비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등의 비닐 수지; 폴리비닐아세토아세탈 및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비닐아세탈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의 이미드 수지; 셀로판,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CAP)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CAB)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스티렌(PS) 등의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이오노머 수지 등의 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필름(이하, 단순히 「수지 필름」이라고 한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수지 재료 중에서도,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라는 관점에서, PET 및 PEN 등의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PET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과 「메타크릴」의 양방을 포함한다.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의 양방을 포함한다.
상기한 수지 필름의 적층체를 기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수지 필름의 적층체는,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웨트 라미네이션법 및 익스트루전법 등을 이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기재가 수지 필름인 경우, 상기 수지 필름은, 연신 필름이어도, 미연신 필름이어도 좋지만, 강도라는 관점에서는, 일축 방향 또는 이축 방향으로 연신된 연신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일은 없지만, 기재의 기계적 강도 및 열전사 시의 열에너지의 전달성의 관점에서, 3.0 ㎛ 이상 25.0 ㎛ 이하가 바람직하다.
(전사층)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는, 기재 상에 전사층을 구비한다. 전사층은, 적어도 박리층을 구비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박리층이란,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와 전사층이 접하는 면에 배치되는 층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사층은, 박리층 상에 착색층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사층은, 박리층 상에 보호층을 구비한다. 전사층이 착색층을 구비하는 경우, 보호층은, 착색층 상에 마련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사층은, 최외측 표면에 접착층을 구비한다. 여기서, 최외측 표면이란, 전사층이 피전사체에 전사될 때에, 피전사체와 접하는 면을 의미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사층은, 착색층을 2층 이상 구비하여도 좋고, 보호층을 2층 이상 구비하여도 좋다. 전사층이, 착색층 및 보호층을 각각 2층 이상씩 구비하는 경우, 착색층이 연속하여 마련되고, 이 위에 연속한 보호층이 마련되어도 좋고, 착색층과 보호층이 교대로 마련되어도 좋다.
(박리층)
박리층은, 적어도 1종의 알릴 수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릴 수지란, 중합 성분으로서, 적어도 1종의 알릴 모노머를 포함하는 수지를 말한다. 알릴 모노머로서는, 디알릴프탈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디알릴테트라브롬프탈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디알릴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알릴에테르, 트리멜리트산트리알릴, 피로멜리트산테트라알릴, 소르빈산알릴, 말레산디알릴, 푸마르산디알릴, 시트르산디알릴 및 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알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열전사 시트의 전사성 및 세선 인자성이라는 관점에서, 디알릴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알릴 수지는, 알릴 모노머 이외의 화합물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여도 좋다. 알릴 수지에 있어서의 그 외의 화합물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은,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알릴 수지의 요오드가는, 전사층의 내가소재성의 관점에서, 40 g/100 g 이상 95 g/100 g 이하가 바람직하고, 45 g/100 g 이상 70 g/100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알릴 수지는, 하기 일반식 (1)∼(4)로 표시되는 수지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알릴 수지를 박리층에 함유시킴으로써, 열전사 시트의 전사성 및 세선 인자성이 보다 향상된다. 내구성과 내가소제성을 고려하면, 하기 일반식 (1)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고,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박리층은, 일반식 (1)∼(4)로 표시되는 수지를 함께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상기 일반식 (1)∼(4)에 있어서, m, n 및 o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알릴 수지는, 시판품을 사용하여도 좋고,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알릴 수지로서, (주)오사카소다 제조의 다이소 댑(등록상표) A, 다이소 댑(등록상표) S 및 다이소 댑(등록상표) K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알릴 수지로서, 오사카소다 제조의 다이소 이소댑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알릴 수지로서, (주)오사카소다 제조의 래드파(등록상표) AD-032를 사용할 수 있다.
알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열전사 시트의 전사성 및 세선 인자성의 관점에서, 5,000 이상 100,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5,000 이상 70,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폴리스티렌을 표준 물질로 하여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 값을 의미하며, JIS K 7252-1에 준거한 방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박리층에 있어서의 알릴 수지의 함유량은, 열전사 시트의 전사성 및 세선 인자성의 관점에서, 20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5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알릴 수지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거나, 또는 과산화물 등의 중합 개시제를 병용하여 가열함으로써 경화시킬 수 있지만, 본 개시에 있어서는, 경화시키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박리층은, 알릴 수지 이외의 수지 재료(이하, 그 외의 수지 재료라고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지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비닐 수지, 비닐아세탈 수지, 폴리아미드, (메트)아크릴 수지, 이미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이오노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전사층의 포일 고정성의 관점에서, 박리층은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사층의 포일 고정성이란, 전사층의 의도치 않은 기재로부터의 박리가 억제되는 것을 의미한다.
박리층은, 전사층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비닐 수지, 특히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의 수평균 분자량(Mn)은, 전사층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8,000 이상 20,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2,000 이상 16,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평균 분자량(Mn)은, 폴리스티렌을 표준 물질로 하여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 값을 의미하며, JIS K 7252-1에 준거한 방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제품 형태에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45℃ 이상 85℃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리 전이 온도(Tg)는, JIS K 7121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의해 구한 값이다.
박리층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의 함유량과 알릴 수지의 함유량의 비(폴리에스테르의 함유량/알릴 수지의 함유량)는, 세선 인자성 및 전사층의 포일 고정성의 양 관점에서, 질량 기준으로, 10/90 이상 85/15 이하가 바람직하고, 15/85 이상 60/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75 이상 55/4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박리층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의 함유량은, 세선 인자성 및 전사층의 포일 고정성의 양 관점에서, 15 질량% 이상 8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8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상 7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비닐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Mn)은, 전사층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13,000 이상 37,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4,000 이상 30,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비닐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전사층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63℃ 이상 83℃ 이하가 바람직하고, 65℃ 이상 8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층에 있어서의, 비닐 수지의 함유량과 알릴 수지의 함유량의 비(비닐 수지의 함유량/알릴 수지의 함유량)는, 세선 인자성과 전사층의 내구성의 양 관점에서, 질량 기준으로, 10/90 이상 85/15 이하가 바람직하고, 15/85 이상 60/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층에 있어서의 비닐 수지의 함유량은, 세선 인자성과 전사층의 내구성의 양 관점에서, 15 질량% 이상 8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8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상 58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비닐 수지로서,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사용한 경우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초산비닐의 구성 비율은, 박리층의 내가소제성의 관점에서, 질량 기준으로 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8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층의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초산비닐의 구성 비율은, 질량 기준으로, 3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박리층은, 충전재, 가소재, 대전 방지재, 자외선 흡수재, 무기 입자, 유기 입자, 이형재 및 분산재 등의 첨가재를 포함하여도 좋다.
박리층의 두께는, 전사성 및 세선 인자성의 관점에서, 0.1 ㎛ 이상 5.0 ㎛가 바람직하고, 0.2 ㎛ 이상 1.5 ㎛가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층은, 상기 재료를 물 또는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하여 도공액을 조제하고, 공지의 수단에 의해, 도공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공지의 도공 수단으로서는, 예컨대, 롤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리버스 그라비아 코트법, 바 코트법 및 로드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층)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사층은, 착색재 및 상기 알릴 수지를 포함하는 착색층을 구비한다.
착색층에 포함되는 착색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염료여도, 안료여도 좋고, 카드뮴 레드, 카드모폰 레드, 크롬 레드, 버밀리언, 벵갈라, 아조계 안료, 알리자린 레이크, 퀴나크리돈, 코치닐 레이크 페릴렌 등의 적계 착색재; 옐로 오커, 오레올린, 카드뮴 옐로, 카드뮴 오렌지, 크롬 옐로, 징크 옐로, 네이플스 옐로, 니켈 옐로, 아조계 안료, 그리니쉬 옐로 등의 황계 착색재; 울트라마린, 암군청, 코발트, 프탈로시아닌, 안트라퀴논, 인디고이드 등의 청계 착색재, 시나바 그린, 카드뮴 그린, 크롬 그린, 프탈로시아닌, 아조메틴, 페릴렌 등의 녹계 착색재; 카본 블랙 등의 흑계 착색재; 실리카, 탄산칼슘 및 산화티탄 등의 백계 착색재; 알루미늄, 니켈, 크롬, 놋쇠, 주석, 황동, 청동, 아연, 은, 백금, 금 및 이들의 산화물과, 금속 증착이 실시된 유리 등의 입자 등 금속 안료; 및 티탄, 철, 지르코늄, 규소, 알루미늄 및 세륨 등의 금속 산화물에 의해 피복된 인계상(鱗系狀) 알루미나 안료 및 운모 안료 등의 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층에 있어서의 착색재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착색재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고, 예컨대, 50 질량% 이상 85 질량% 이하로 할 수 있다.
착색층에 있어서의 상기 알릴 수지의 함유량은, 열전사 시트의 전사성 및 세선 인자성의 관점에서, 7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3 질량% 이상 33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착색층은, 상기 그 외의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도 좋다. 그 외의 수지 재료 중에서도, 전사층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비닐 수지가 바람직하고,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비닐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Mn) 및 유리 전이(Tg)의 바람직한 범위는 전술한 바와 같다.
착색층에 있어서의, 비닐 수지의 함유량과 알릴 수지의 함유량의 비(비닐 수지의 함유량/알릴 수지의 함유량)는, 세선 인자성 및 전사층의 내구성의 양 관점에서, 질량 기준으로, 10/90 이상 60/40 이하가 바람직하고, 15/85 이상 40/6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착색층에 있어서의 비닐 수지의 함유량은, 세선 인자성 및 전사층의 내구성의 양 관점에서, 0.5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6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착색층은, 상기 첨가재를 포함하여도 좋다.
착색층의 두께는, 피전사체 상에 형성되는 화상 농도의 관점에서, 1.0 ㎛ 이상 1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 이상 5.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착색층은, 상기 재료를 물 또는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하여 도공액을 조제하고, 공지의 수단에 의해, 도공액을 박리층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공지의 도공 수단으로서는, 상기한 방법을 들 수 있다.
(보호층)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사층은, 전사층의 포일 고정성의 관점에서, 박리층 또는 착색층 상에, 상기 알릴 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구비하여도 좋다.
보호층은, 상기 그 외의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도 좋다. 그 외의 수지 재료 중에서도, 전사층의 포일 고정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의 수평균 분자량(Mn) 및 유리 전이(Tg), 알릴 수지와의 함유량비, 및 보호층에 있어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박리층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하다.
보호층은, 전사층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비닐 수지, 특히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Mn) 및 유리 전이(Tg), 알릴 수지와의 함유량비, 및 보호층에 있어서의 비닐 수지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박리층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하다.
보호층은, 상기 첨가재를 포함하여도 좋다.
보호층의 두께는, 전사층의 포일 고정성, 열전사 시트의 전사성 및 세선 인자성의 관점에서, 0.1 ㎛ 이상 3.0 ㎛ 이하가 바람직하고, 0.2 ㎛ 이상 1.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보호층은, 상기 재료를 물 또는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하여 도공액을 조제하고, 공지의 수단에 의해, 도공액을 박리층 또는 착색층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공지의 도공 수단으로서는, 상기한 방법을 들 수 있다.
(접착층)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사층은, 최외측 표면(즉, 전사층이 피전사체에 전사될 때에, 피전사체와 접하는 면)에, 상기 알릴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구비한다. 접착층에 착색재가 포함되어 있으면, 접착층과 피전사체의 밀착성이 저하하여, 열전사 시트의 전사성 및 세선 인자성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지만, 접착층에 알릴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써, 접착층과 피전사체의 밀착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피전사체에 형성되는 화상 농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층에 포함되는 알릴 수지의 연화 온도는, 열전사 시트의 전사성 및 세선 인자성의 관점에서, 55℃ 이상 120℃ 이하가 바람직하고, 60℃ 이상 1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연화 온도는, JIS K 2207의 환구법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온도를 의미한다.
접착층에 있어서의 알릴 수지의 함유량은, 열전사 시트의 전사성 및 세선 인자성의 관점에서, 7 질량% 이상 5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3 질량% 이상 5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층은, 상기 착색재를 포함한다. 이 착색재는, 착색층에 포함되는 착색재와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접착층에 있어서의 착색재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착색재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고, 예컨대, 50 질량% 이상 85 질량% 이하이다.
접착층은, 상기 그 외의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도 좋다. 그 외의 수지 재료 중에서도, 열전사 시트의 전사성 및 세선 인자성과, 전사층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비닐 수지가 바람직하고,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초산비닐의 구성 비율, 비닐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Mn) 및 유리 전이(Tg)의 바람직한 범위는, 전술한 바와 같다. 알릴 수지와의 함유량비 및 비닐 수지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착색층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하다.
접착층은, 상기 첨가재를 포함하여도 좋다.
접착층은, 상기 재료를 물 또는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하여 도공액을 조제하고, 공지의 수단에 의해, 도공액을 박리층 등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공지의 도공 수단으로서는, 상기한 방법을 들 수 있다.
(배면층)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개시의 열전사 시트는, 기재의 주면 중, 전사층이 마련되지 않은 기재의 면측에, 배면층을 구비한다. 열전사 시트가 배면층을 구비함으로써, 열전사 시의 가열에 의한 스티킹이나 주름의 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배면층은, 수지 재료를 포함하며, 예컨대, 셀룰로오스 수지, 스티렌 수지, 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실리콘 변성 폴리우레탄, 불소 변성 폴리우레탄 및 (메트)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배면층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과의 병용에 의해 경화하는 2액 경화형의 수지를 수지 재료로서 포함한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토아세탈이나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폴리비닐아세탈 등을 들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배면층은, 스티킹이나 주름의 억제의 관점에서, 무기 또는 유기의 입자를 포함하여도 좋다.
무기 입자로서는, 예컨대, 탈크 및 카올린 등의 점토 광물, 탄산칼슘 및 탄산마그네슘 등의 탄산염, 수산화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수산화물, 황산칼슘 등의 황산염, 실리카 등의 산화물, 그래파이트, 초석, 및 질화붕소 등의 무기 입자를 들 수 있다. 이들 무기 입자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유기 입자로서는, (메트)아크릴 수지, 테플론(등록상표) 수지, 실리콘 수지, 라우로일 수지, 페놀 수지, 아세탈 수지, 스티렌 수지 및 폴리아미드 등을 포함하는 유기 수지 입자, 또는 이들을 가교재와 반응시킨 가교 수지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입자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배면층의 두께는, 열전사 시의 열에너지의 전달성 및 스티킹이나 주름의 억제의 양 관점에서, 0.1 ㎛ 이상 2 ㎛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 이상 1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배면층은, 상기 재료를 물 또는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하여 도공액을 조제하고, 공지의 수단에 의해, 도공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공지의 도공 수단으로서는, 상기한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개시는, 예컨대 이하의 [1]∼[12]에 관한 것이다.
[1]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마련된 전사층을 구비한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전사층은, 적어도 박리층을 구비하고,
상기 박리층이, 알릴 수지를 포함하는, 열전사 시트.
[2] 상기 전사층은, 상기 박리층 상에 마련된 착색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착색층이, 착색재 및 알릴 수지를 포함하는, [1]에 기재된 열전사 시트.
[3] 상기 전사층은, 상기 박리층 상 또는 상기 착색층 상에 마련된 보호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층이, 알릴 수지를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열전사 시트.
[4] 상기 전사층이, 최외측 표면에, 알릴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구비하는,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전사 시트.
[5] 상기 접착층이, 착색재를 포함하는, [4]에 기재된 열전사 시트.
[6] 상기 알릴 수지가, 중합 성분으로서, 디알릴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전사 시트.
[7] 상기 알릴 수지가, 하기 일반식 (1)∼(4)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인,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전사 시트.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식 (1)∼(4) 중, m, n 및 o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8] 상기 알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5,000 이상 100,000 이하인,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전사 시트.
[9] 상기 박리층이, 폴리에스테르를 더 포함하는,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전사 시트.
[10] 상기 박리층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함유량과 상기 알릴 수지의 함유량의 비(폴리에스테르의 함유량/알릴 수지의 함유량)가, 질량 기준으로, 10/90 이상 85/15 이하인, [9]에 기재된 열전사 시트.
[11] 상기 접착층이, 비닐 수지를 더 포함하는, [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전사 시트.
[12]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의, 상기 비닐 수지의 함유량과 상기 알릴 수지의 함유량의 비(비닐 수지의 함유량/알릴 수지의 함유량)가, 질량 기준으로, 10/90 이상 60/40 이하인, [11]에 기재된 열전사 시트.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개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개시는,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두께 4.5 ㎛의 PET 필름의 한쪽의 면에, 하기 조성의 박리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포, 건조하여, 두께 1.0 ㎛의 박리층을 형성하였다.
<박리층 형성용 도공액>
·알릴 수지 A 100 질량부
((주)오사카소다 제조, 다이소 댑(등록상표) A, Mw 50,000∼60,000, 연화 온도 70∼110℃, 요오드가 50∼60 g/100 g)
·메틸에틸케톤(MEK) 200 질량부
·톨루엔 200 질량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한 박리층 상에, 하기 조성의 착색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포, 건조하여, 두께 1.5 ㎛의 착색층을 형성시켰다.
<착색층 형성용 도공액>
·산화티탄 80 질량부
·알릴 수지 A 20 질량부
·MEK 50 질량부
·톨루엔 50 질량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한 착색층 상에, 하기 조성의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포, 건조하여, 두께 1.0 ㎛의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보호층 형성용 도공액>
·알릴 수지 A 100 질량부
·MEK 200 질량부
·톨루엔 200 질량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한 보호층 상에, 하기 조성의 접착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포, 건조하여, 두께 1.5 ㎛의 착색층을 형성하였다.
<접착층 형성용 도공액>
·산화티탄 80 질량부
·알릴 수지 A 20 질량부
·MEK 50 질량부
·톨루엔 50 질량부
PET 필름의 다른쪽의 면에, 하기 조성의 배면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포, 건조하여, 두께 0.3 ㎛의 배면층을 형성하여,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배면층 형성용 도공액>
·폴리비닐부티랄 2.0 질량부
(세키스이화학공업(주) 제조, 에스레크(등록상표) BX-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9.2 질량부
(DIC(주) 제조, 버노크(등록상표) D750)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1.3 질량부
(다이이치공업제약(주) 제조, 플라이서프(등록상표) A208N)
·탈크 0.3 질량부
(일본타루크공업(주) 제조, 미크로에이스(등록상표) P-3)
·톨루엔 43.6 질량부
·MEK 43.6 질량부
실시예 2∼36 및 비교예 1∼5
박리층의 구성 및 박리층의 두께를 표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열전사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표 1∼3 중 각 성분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알릴 수지 B: (주)오사카소다 제조, 다이소 댑(등록상표) S, Mw 30,000∼40,000, 연화 온도 70∼105℃, 요오드가 50∼60 g/100 g
·알릴 수지 C: (주)오사카소다 제조, 다이소 댑(등록상표) K, Mw 50,000∼60,000, 연화 온도 65∼100℃, 요오드가 50∼60 g/100 g
·알릴 수지 D: (주)오사카소다 제조, 다이소 이소댑(등록상표), Mw 30,000∼50,000, 연화 온도 50∼80℃, 요오드가 75∼90 g/100 g
·알릴 수지 E: (주)오사카소다 제조, 래드파(등록상표) AD-032, Mw 30,000∼60,000, 연화 온도 60∼100℃, 요오드가 55∼70 g/100 g
·폴리에스테르 A: 도요보(주) 제조, 바일론(등록상표) 226, Mn 15,000, Tg 65℃
·폴리에스테르 B: 도요보(주) 제조, 바일론(등록상표) 240, Mn 15,000, Tg 60℃
·폴리에스테르 C: 도요보(주) 제조, 바일론(등록상표) GK250, Mn 10,000, Tg 60℃
·폴리에스테르 D: 도요보(주) 제조, 바일론(등록상표) GK880, Mn 18,000, Tg 84℃
·폴리에스테르 E: 도요보(주) 제조, 바일론(등록상표) 600, Mn 16,000, Tg 47℃
·폴리에스테르 F: 도요보(주) 제조, 바일론(등록상표) 885, Mn 8,000, Tg 79℃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A: 닛신화학공업(주) 제조, 솔바인(등록상표) CNL, Mn 16,000, Tg 76℃, 초산비닐의 구성 비율 10 질량%(또한, 표 중에서는, 염초비 A로 표기함)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B: 닛신화학공업(주) 제조, 솔바인(등록상표) A, Mn 35,000, Tg 76℃, 초산비닐의 구성 비율 3 질량%(또한, 표 중에서는, 염초비 B로 표기함)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C: 닛신화학공업(주) 제조, 솔바인(등록상표) AL, Mn 27,000, Tg 76℃, 초산비닐의 구성 비율 2 질량%(또한, 표 중에서는, 염초비 C로 표기함)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D: 닛신화학공업(주) 제조, 솔바인(등록상표) TAO, Mn 15,000, Tg 77℃, 초산비닐의 구성 비율 2 질량%(또한, 표 중에서는, 염초비 D로 표기함)
·폴리비닐아세탈 A: 세키스이화학공업(주) 제조, 에스레크(등록상표) KS-1, Tg 107℃, 수산기가 25 질량%
·폴리비닐아세탈 B: 세키스이화학공업(주) 제조, 에스레크(등록상표) KS-10, Tg 106℃, 수산기가 25 질량%
·(메트)아크릴수지 A: 미츠비시케미컬(주) 제조, 다이아날(등록상표) BR-87, Mn 25,000, Tg 105℃
·(메트)아크릴수지 B: 미츠비시케미컬(주) 제조, 다이아날(등록상표) BR-83, Mn 40,000, Tg 105℃
<전사성 평가>
카드 프린터(HID-5000, HID사 제조, 서멀 헤드: 주 주사 방향 해상도 300 dpi, 부 주사 방향 해상도 300 dpi)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얻어진 열전사 시트가 구비하는 전사층을, 염화비닐제 카드 상에 전사함으로써 베타 화상(0/255 화상 계조)을 형성하여, 인화물을 얻었다.
형성한 화상을 육안으로 보아 관찰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A: 누락 및 끊김의 발생이 보이지 않았다.
B: 누락 및 끊김의 발생이 약간 보였다.
C: 누락 및 끊김의 발생이 보였다.
NG: 전사층이 전사되지 않아, 실용상 문제가 있었다.
<세선 인자성 평가>
카드 프린터(HID-5000, HID사 제조, 서멀 헤드: 주 주사 방향 해상도 300 dpi, 부 주사 방향 해상도 300 dpi)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얻어진 열전사 시트가 구비하는 전사층을, 염화비닐제 카드 상에 전사함으로써 3 dot분의 세선을 포함하는 화상을 형성하여, 인화물을 얻었다.
형성한 화상을 육안으로 보아 관찰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A: 깨짐 및 끊김의 발생이 보이지 않았다.
B: 깨짐 및 끊김의 발생이 약간 보였다.
C: 깨짐 및 끊김의 발생이 보였다.
NG: 깨짐 및 끊김의 발생이 많이 보여, 실용상 문제가 있었다.
<내구성 평가>
상기 전사성 시험에 있어서 얻어진 인화물에 대하여, 테버 시험기(마모륜 CS-10F)를 이용하여, ANSI-INCITS 322-2002, 5.9 Surface Abrasion에 준거하는 테버 시험(하중 500 gf, 60 사이클/min.)을 실시하였다.
50 사이클 완료마다, 화상의 농도를 상기와 동일하게 측정하여, 화상 농도가 50% 저하하였을 때의 사이클수를 확인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1 및 2에 대해서는, 전사층을 전사할 수 없기 때문에, 「-」로 하였다.
(평가 기준)
A: 400 사이클 이상
B: 300 사이클 이상 400 사이클 미만
C: 200 사이클 이상 300 사이클 미만
D: 200 사이클 미만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내가소재성 평가>
상기 전사성 시험에 있어서, 실시예 1∼10의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얻어진 인화물과, 가소재 함유 연질 염화비닐 시트(미츠비시케미컬(주) 제조, 아트론(등록상표))를 중합시켜, 40 g/㎠의 하중을 건 상태로, 50℃의 환경에서 60시간 정치하였다.
정치 후, 연질 염화비닐 시트를 제거하고, 인화물에 형성된 화상을 육안으로 보아 관찰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A: 시험 전후로 화상에 변화가 보이지 않아, 높은 내가소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B: 화상에 번짐이 생겼다.
Figure pct00012
당업자라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실시예 및 명세서는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개시의 주지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개변 또는 개선을 행할 수 있고, 이들 개변 또는 개선은 모두 보호 청구하고 있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또한 본 개시가 보호 청구하고 있는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뿐만 아니라 그 균등물을 포함한다.
10: 열전사 시트, 11: 기재, 12: 박리층, 13: 전사층, 14: 착색층, 15: 보호층, 16: 접착층, 17: 배면층

Claims (12)

  1.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마련된 전사층을 구비한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전사층은 적어도 박리층을 구비하고,
    상기 박리층이 알릴 수지를 포함하는, 열전사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층은, 상기 박리층 상에 마련된 착색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착색층이 착색재 및 알릴 수지를 포함하는, 열전사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층은, 상기 박리층 상 또는 상기 착색층 상에 마련된 보호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층이 알릴 수지를 포함하는, 열전사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층이, 최외측 표면에, 알릴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구비하는, 열전사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착색재를 포함하는, 열전사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릴 수지가, 중합 성분으로서, 디알릴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열전사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릴 수지가, 하기 일반식 (1)∼(4)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인, 열전사 시트.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식 (1)∼(4) 중, m, n 및 o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5,000 이상 100,000 이하인, 열전사 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층이 폴리에스테르를 더 포함하는, 열전사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층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함유량과 상기 알릴 수지의 함유량의 비(폴리에스테르의 함유량/알릴 수지의 함유량)가, 질량 기준으로, 10/90 이상 85/15 이하인, 열전사 시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비닐 수지를 더 포함하는, 열전사 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에 있어서의, 상기 비닐 수지의 함유량과 상기 알릴 수지의 함유량의 비(비닐 수지의 함유량/알릴 수지의 함유량)가, 질량 기준으로, 10/90 이상 60/40 이하인, 열전사 시트.
KR1020227009249A 2019-08-22 2020-08-24 열전사 시트 KR20220047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52217 2019-08-22
JPJP-P-2019-152217 2019-08-22
PCT/JP2020/031773 WO2021033778A1 (ja) 2019-08-22 2020-08-24 熱転写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856A true KR20220047856A (ko) 2022-04-19

Family

ID=7466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249A KR20220047856A (ko) 2019-08-22 2020-08-24 열전사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81256A1 (ko)
EP (1) EP4019264A4 (ko)
JP (1) JPWO2021033778A1 (ko)
KR (1) KR20220047856A (ko)
WO (1) WO202103377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2278A (ja) 2015-09-11 2017-03-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転写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580B2 (ja) * 1986-12-02 1995-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転写記録媒体
JPS63224991A (ja) * 1987-03-13 1988-09-20 Toppan Printing Co Ltd 感熱転写インキシ−ト
JP3226605B2 (ja) * 1992-05-26 2001-1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転写層を有する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82135A (ja) * 1995-04-20 1996-10-29 Toppan Printing Co Ltd 昇華転写記録用受像体
JPH09175098A (ja) * 1995-12-26 1997-07-08 Dainippon Printing Co Ltd 絵付金属シートの製造方法。
JPH10157307A (ja) * 1996-11-28 1998-06-16 Fujicopian Co Ltd 感熱転写記録材料
JPH10217625A (ja) * 1997-02-07 1998-08-18 Fujicopian Co Ltd 感熱転写記録媒体
KR100331146B1 (ko) * 1999-11-01 2002-04-01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열전사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2278A (ja) 2015-09-11 2017-03-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転写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33778A1 (ja) 2021-02-25
US20220281256A1 (en) 2022-09-08
EP4019264A4 (en) 2023-08-23
EP4019264A1 (en) 2022-06-29
JPWO2021033778A1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29590A1 (ja) 中間転写媒体
JP3898455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
JP2013035192A (ja) 中間転写媒体
JPWO2020026523A1 (ja) 熱転写受像シート
CN108136806B (zh) 热转印片
JP2013180448A (ja) 中間転写媒体
US6819348B2 (en) Thermal transfer film,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image formation using said thermal transfer film
WO2016043236A1 (ja) 転写シート
JP5573069B2 (ja) 保護層転写シート
KR20220047856A (ko) 열전사 시트
TWI795631B (zh) 熱轉印薄片
KR102418729B1 (ko) 열전사 시트
JP6849031B2 (ja) 熱転写シート、中間転写媒体、該熱転写シート又は該中間転写媒体を用いて製造した印画物、印画物の製造方法及び印画物製造システム
JP2021130271A (ja) 熱転写シート
JP2021104631A (ja) 感熱記録媒体及び剥離基材付感熱記録媒体
EP4375082A1 (en) Thermal transfer sheet, method for producing printed matter, and printed matter
JP2020001225A (ja) 熱転写シート
JP3504768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
JP6770699B2 (ja) 中間転写媒体上に透明な凸形状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印画物の形成方法
JP2013180447A (ja) 中間転写媒体
JP2021160349A (ja) 熱転写シートと熱転写受像シートとの組合せ
JP2020163775A (ja) 熱転写シート、熱転写シート及び保護層転写シートの組合せ、並びに印画物の製造方法
WO2020153140A1 (ja) 熱転写シート
WO2019187869A1 (ja) 保護層転写シート
JP2021049648A (ja) 熱転写シート、第1熱転写シートと第2転写シートとの組合せ、熱転写シートと中間転写媒体との組合せ、第1熱転写シートと第2熱転写シートと中間転写媒体との組合せ、印画物の製造方法及び印画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