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926A - 스마트 주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주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926A
KR20220045926A KR1020210132724A KR20210132724A KR20220045926A KR 20220045926 A KR20220045926 A KR 20220045926A KR 1020210132724 A KR1020210132724 A KR 1020210132724A KR 20210132724 A KR20210132724 A KR 20210132724A KR 20220045926 A KR20220045926 A KR 20220045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abinet
detection
movement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관서
김봉준
신연지
차순도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220045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4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ish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스마트 주방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은, 지면을 향해 레이저가 발생되도록 하는 광원 및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모션 감지부, 수납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수납장 제어부 및 모션 감지부 및 수납장 제어부와 연결되며, 모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수납장으로부터 제1 유효 감지거리 이내에 위치할 때, 수납장과 인접한 지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모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수납장으로부터 제1 유효 감지거리보다 짧은 제2 유효 감지거리 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에 기초하여, 수납장의 투명도 및 조명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주방 시스템{SMART KITCHEN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주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한 주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란 실내에 배치하여 일상생활에 쓰이는 도구를 의미한다. 예컨대, 가구는 옷장, 테이블과 같이 이동 가능한 것과 벽난로 등과 같이 건물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있다.
가구는 크게 장롱, 침대, 쇼파 등 실내 가구와 싱크대, 식탁 등의 주방 가구로 분류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주방 가구에는 싱크대가 있다.
여기서, 싱크대는 그 상면에 설거지를 할 수 있도록 수전이 마련된 개수대가 갖춰지며, 개수대의 주변으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대가 마련되고, 가스레인지 등을 올려놓고 음식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대가 마련된다.
이러한 싱크대는 주방의 벽면에 배치되며 상부 및 하부로 나뉘어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싱크대는 조리, 취사를 위한 접시, 그릇, 냄비 등의 주방용 기구나 각종 비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상부 수납장과, 상단부에 개수대, 조리대 및 가열대가 구비되고 상부 수납장과 마찬가지로 조리, 취사를 위한 접시, 그릇, 냄비 등의 주방용 기구나 각종 비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하부 수납장으로 구분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상부 수납장 및 하부 수납장을 포함하는 주방의 싱크대는 내부가 투영되지 않도록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리, 취사 시에 필요한 접시, 그릇, 냄비 등의 주방용 기구나 각종 비품 들이 필요할 경우 상부 수납장이나 하부 수납장을 일일이 열어서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2530호(2019.09.10.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방용품이 수납된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수납된 주방용품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에 따른 움직임량을 감지하여 주변 환경에 의한 수납장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면을 향해 레이저가 발생되도록 하는 광원 및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모션 감지부, 수납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수납장 제어부 및 모션 감지부 및 수납장 제어부와 연결되며, 모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수납장으로부터 제1 유효 감지거리 이내에 위치할 때, 수납장과 인접한 지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모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수납장으로부터 제1 유효 감지거리보다 짧은 제2 유효 감지거리 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에 기초하여, 수납장의 투명도 및 조명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모션 감지부는, 수납장에 마련되며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수납장으로 접근한 이후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를 함께 감지하는 하나의 감지 센서 모듈 및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지면을 향해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감지 센서 모듈은, 수납장으로부터 제1 감지거리 이내 및 제1 감지거리보다 짧은 제2 감지거리 이내로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수납장에 대하여 제2 감지거리 보다 짧은 제3 감지거리 및 수납장에 대하여 제3 감지거리보다 짧은 제4 감지거리 이내로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효 감지거리는 제1 감지거리 이하이고, 제2 감지거리 이상이며, 제2 유효 감지거리는 제3 감지거리 이하이고, 제4 감지거리 이상이며, 메인 제어부는,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제1 유효 감지거리 내에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모션 감지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레이저 출력 모듈로부터 지면에 레이저가 발생되도록 하는 제1 제어모드 및 제1 제어모드 동작 상태에서,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제2 유효 감지거리 내에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수납장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수납장의 투명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제2 제어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모드는, 레이저 출력 모듈로부터 지면을 향해 발생된 레이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생되도록 제어하고, 제1 유효 감지거리 내에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이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수납장으로 접근 이후의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지면을 향해 레이저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모드는, 제1 유효 감지거리 내에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인식으로 처리되고,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이후에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음직임 속도가 감지될 수 있다.
제1 제어모드에서는,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와 움직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에 미치지 못하거나 초과되는 경우에는 노이즈로 처리될 수 있다.
제2 제어모드에서는, 수납장 제어부에 의한 수납장의 투명도는 투명 상태(ON)와 불투명 상태(OFF)가 반복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제2 제어모드는, 제2 유효 감지거리 내에사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인식으로 처리되고,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이후에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음직임 속도가 감지될 수 있다.
제2 제어모드는, 제2 유효 감지 거리 내에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는 1차 감지모드와,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가 감지된 상태에서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최종 움직임 크기와 최종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는 2차 감지모드를 포함하고, 1차 감지모드 및 2차 감지모드의 결과를 조합하여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접근 이후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제어모드는, 1차 감지모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작은 속도로 움직이거나 큰 속도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노이즈로 처리되고, 2차 감지모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최종 움직임 속도가 일정하거나 감소되지 않는 경우에는 노이즈로 처리되며, 1차 감지모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가 감소된 상태에서 2차 감지모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최종 움직임 속도가 0인 경우에는 인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모션 감지부로부터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모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접근 이후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를 데이터화하는 연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산 처리부를 이용하여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원거리 및 근거리 접근, 수납장으로 접근 후 움직임 크기에 따른 이동량 및 수납장으로 접근 후 움직임 속도에 따른 움직임량을 감지할 수 있다.
연산 처리부에 의해 데이터화되는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이동량과 움직임량은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반복적인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를 포함하는 모션 결과에 따라 수납장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수납장의 개폐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제2 제어모드 동작 상태에서, 제2 유효 감지거리 내에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수납장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수납장이 개방되도록 하는 제3 제어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션 감지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장의 내부에 마련되고, 수납장의 내부에 감지 센서 모듈 및 레이저 출력 모듈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감지 센서 모듈은 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케이스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위치되고 레이저 출력 모듈은 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마련되되 일부분이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주방 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 수납장의 내부를 보지 않고도, 주방용품이 수납된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수납장의 상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수납된 주방용품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주방 시스템은,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을 통해 수납장에 대한 움직임량을 판단하여, 주변 환경에 의한 수납장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주방 시스템이 주방가구(수납장)에 마련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모션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주방 시스템이 적용된 주방가구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제어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제어모드에서 감지 센서 모듈의 감지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1 제어모드에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감지 센서 모듈의 감지 범위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감지 센서 모듈의 감지 범위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접근 시간에 따른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제1 제어모드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주방 시스템이 적용된 주방가구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제어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제2 제어모드에서 감지 센서 모듈의 감지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제2 제어모드에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감지 센서 모듈의 감지 범위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은 도 11에 도시한 감지 센서 모듈의 감지 범위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와 접근 시간에 따른 그래프와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와 접근 시간에 따른 스래프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한 제2 제어모드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을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은 모션 감지부(120), 수납장 제어부(130) 및 메인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의 모션 감지부(120), 수납장 제어부(130) 및 메인 제어부(110)는 수납장(100)에 마련되어 수납장(100)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수납장(100) 주변의 지면에 미리 설정된 형태를 가지는 레이저를 발생시키거나 수납장(100)의 상태를 변경하여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이 마련되는 수납장(1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주방에 배치되어 내부에 그릇, 냄비 등과 같이 음식의 조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수납장(100)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이 주방 가구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주방 가구가 아닌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장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은 지면을 향해 레이저가 발생되도록 하는 광원 및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 모듈(122)을 포함하는 모션 감지부(120), 수납장(100)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수납장 제어부(130) 및 모션 감지부(120) 및 수납장 제어부(130)와 연결되며, 모션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수납장(100)으로부터 제1 유효 감지거리 이내에 위치할 때, 수납장(100)과 인접한 지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모션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수납장(100)으로부터 제1 유효 감지거리 보다 짧은 제2 유효 감지거리 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에 기초하여, 수납장(100)의 투명도 및 조명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특히, 메인 제어부(110)는 모션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수납장(100)으로부터 제1 유효 감지거리이내에 위치할 때, 사용자의 위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위치가 감지된 이후에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에 기초하여, 수납장(100)과 인접한 지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110)는, 모션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수납장(100)으로부터 제1 유효 감지거리 보다 짧은 제2 유효 감지거리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위치가 감지된 이후에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에 기초하여, 수납장(100)의 투명도 및 조명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모션 감지부(120)는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부분이다.
모션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모션은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이후에 동작, 즉 움직임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션 감지부(120)는 주방 용품이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장(100)에 마련되어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라 지면을 향해 레이저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션 감지부(120)는 감지 센서 모듈(122) 및 레이저 출력 모듈(124)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센서 모듈(122)은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수납장으로 접근한 이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부분이다.
감지 센서 모듈(122)은 수납장(100)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가지는 제1 감지영역(A) 및 제2 감지영역(A′)으로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수납장(100)에 대하여 제1 감지영역(A) 및 제2 감지영역(A′)보다 가까운 영역에 마련된 제3 감지영역(B) 및 제4 감지영역(B′)으로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다.
이때,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감지되는 제1 감지영역(A)은 제2 감지영역(A′) 보다 수납장(100)에 대한 감지 거리가 길게 된다. 반대로, 제2 감지영역(A′)은 제1 감지영역(A)보다 수납장(100)에 대한 감지 거리가 짧다.
레이저 출력 모듈(124)은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수납장(100)으로 사용자의 접근 및 접근 이후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 후술할 메인 제어부(11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서 지면을 향해 레이저(laser)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레이저 출력 모듈(124)은 수납장(100)의 하단부에 지면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레이저 출력 모듈(124)로부터 지면을 향해 발생되는 레이저의 형태는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문자, 그림 등 다양한 형태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하여 지면에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출력 모둘(124)로부터 지면에 형성되는 레이저의 형태는 수납장(100)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웰컴 메시지(welcome message) 일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센서 모듈(122)은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Radar sensor)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모듈(122)은 하나의 레이더 센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레이더 센서는 재질에 관계 없이(단, 금속 재질은 제외) 감지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감지하고자 하는 거리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레이더 센서로 마련되는 감지 센서 모듈(122)은 수납장(100)으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고, 수납장(100)으로부터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이후에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움직임 속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 모듈(122)은 수납장(100)으로부터 약 1020 mm의 감지 거리를 가지는 제1 감지영역(A), 수납장(100)으로부터 약 780 mm의 감지 거리를 가지는 제2 감지영역(A′), 수납장(100)으로부터 약 170 mm의 감지 거리를 가지는 제3 감지영역(B) 및 수납장(100)으로부터 약 100 mm의 감지 거리를 가지는 제4 감지영역(B′)으로 구분하여 수납장(100)으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제1 감지거리는 제1 감지영역(A)의 경계를 의미하며, 수납장(100)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의미하고, 상기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감지거리는 약 1020mm일 수 있고, 제2 감지거리는 제2 감지영역(A′)의 경계를 의미하며, 수납장(100)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의미하고, 상기와 같이 예를 들어 제2 감지거리는 약 780mm일 수 있고, 제3 감지거리는 제3 감지영역(B)의 경계를 의미하며, 수납장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의미하고, 상기와 같이 예를 들어 제3 감지거리는 약 170mm일 수 있고, 제4 감지거리는 제4 감지영역(B′)의 경계를 의미하며, 수납장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의미하고, 상기와 같이 예를 들어 제4 감지거리는 약 100mm일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제1 감지영역(A) 및 제2 감지영역(A′)은 원거리에 해당되고, 제3 감지영역(B) 및 제4 감지영역(B′)은 근거리에 해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 센서 모듈(122)이 레이더 센서(미도시)로 마련되기 때문에 감지 센서 모듈(122)을 외부로 노출시킬 필요가 없이 수납장(10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감지부(120)는 감지 센서 모듈(122) 및 레이저 출력 모듈(124)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스(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1)는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다각형으로 마련되고, 내부에 하나의 감지 센서 모듈(122)과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출력 모듈(124)이 위치될 수 있다.
케이스(121)의 측면 홈을 통해서는 모션 감지부(120)의 감지 센서 모듈(122) 및 레이저 출력 모듈(124)과 메인 제어부(110)가 연결될 수 있다.
감지 센서 모듈(122)은 케이스(121)의 내부 측면에 케이스(121)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위치되고, 레이저 출력 모듈(124)은 지면을 향해 레이저를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에 케이스(121)의 내부에 측면에 마련되되 일부분이 케이스(121)로부터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참고로, 케이스(121)의 크기 및 형태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위치되는 감지 센서 모듈(122)과 레이저 출력 모듈(124)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납장 제어부(130)는 수납장(100)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수납장 제어부(130)는 모션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라 수납장(100)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수납장 제어부(130)는 모션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에 따른 신호를 메인 제어부(110)로부터 전송받고,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수납장(100)을 투명하게 하거나 조명 상태를 변경하거나 개폐 상태를 제어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납장 제어부(130)는 투명도 제어부(132), 조명 제어부(134) 및 개폐 제어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도 제어부(132)는 수납장(100)의 투명도 상태를 감지하고, 메인 제어부(110)로부터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수납장(100)을 투명하게 하거나 불투명하게 제어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도 제어부(132)는 수납장(100)의 도어(102)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투명도 제어부(132)는 수납장(100)의 도어(102)의 유리 부분에 전류를 가한다. 그러면, 수납장(100)의 도어(102)의 유리 부분이 불투명한 상태에서 투명한 상태로 변경된다.
즉, 투명도 제어부(132)는 모션 감지부(120)를 통해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된 것으로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수납장(100)의 도어(102)를 투명하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납장(100)을 열거나 따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수납장(100)의 내부를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수납장(100)의 도어는 PLDC 필름, 변색 가능한 유리 및 별도 코팅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투명도 제어부(132)에 의해 수납장(100)의 도어(102)로 가해지던 전류가 중단되면 수납장(100)의 도어(102)는 다시 불투명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수납장(100)을 열어야만 원하는 주방 용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개폐 제어부(136)는 수납장(10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메인 제어부(110)로부터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해당되는 신호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수납장(100)을 개방하거나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부분이다.
예컨대, 수납장(100)의 도어(102)가 여닫이 형태인 경우, 개폐 제어부(136)는 도어(102)의 힌지(hinge) 부분에 마련되어 수납장(100)의 도어(102)가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수납장(100)의 도어(102)가 슬라이딩 형태인 경우, 개폐 제어부(136)는 도어(102)에 마련되어 수납장(100)의 도어(102)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한다.
참고로, 개폐 제어부(136)는 모터(motor), 실린더(cylinder)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명 제어부(134)는 수납장(100)의 내부 조도를 감지하고, 메인 제어부(110)로부터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전송받아서 수납장(100)의 조명 상태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조명은 수납장(100)의 내부의 조도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살균 LED 조명과 마찬가지로 조명은 메인 제어부(11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의하여 조명 제어부(134)에 의해 동작되어 수납장(100)의 내부 조도가 변경되도록 한다.
이때,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조명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수납장(100)에는 조명과는 별개로 수납장(100)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살균을 위한 살균 LED 램프가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수납장(100)에 살균 LED 램프가 마련되면, 메인 제어부(11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의하여 조명 제어부(134)에 의해 동작됨으로써 수납장(100)에 수납된 주방 용품이 살균되도록 하고, 이에 의하여 수납장(100)의 내부도 살균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납장(100)에는 수납장(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 센서(미도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습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납장(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는 메인 제어부(110)로 전송된다. 메인 제어부(110)는 온/습도 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수납장(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조명 제어부(134)로 신호를 전달하고, 전송받은 신호에 의해 살균 LED 램프가 작동되어 수납장(100)에 수납된 주방 용품이 살균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수납장(100)에는 수납장(100)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영상 촬영장치(미도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영상 촬영장치를 통해 촬영된 수납장(100)의 내부 상태 정보는 메인 제어부(110)로 전송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10)로 전송된 수납장(100)의 내부 상태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미도시)로 전송되고, 사용자는 별도로 마련된 단말기(미도시)나 모니터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된 수납장(100)의 내부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제어부(110)는 모션 감지부(120) 및 수납장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라 수납장(100)의 상태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메인 제어부(110)는 모션 감지부(120)로부터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모션 감지부(120)로 신호를 전달하여 수납장(100)과 인접한 지면에 레이저가 발생되도록 하거나, 수납장 제어부(130)로 신호를 전달하여 수납장(100)의 투명도, 조명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참고로, 메인 제어부(110)는 모션 감지부(120)로부터 수납장(12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모션 감지부(120)로 신호를 전달하여 수납장(100)의 개폐 상태가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인 제어부(110)는 전원부(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부(140)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하여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스위치 제어 방식인 전원 공급 장치(SMPS: Switched Mode Power Supply)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제어부(3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은 연산 처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산 처리부(150)는 모션 감지부(120)로부터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를 전송 받고, 전송받은 모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제1 내지 제4 감지영역(A,A′,B,B′)으로 사용자의 접근 및 접근 이후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를 데이터화할 수 있다.
연산 처리부(150)를 이용하여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원거리 접근, 근거리 접근은 물론, 수납장(100)으로의 원거리 접근 및 근거리 접근 후 움직임 크기에 따른 이동량과 수납장(100)으로의 원거리 접근 및 근거리 접근 후 움직임 속도에 따른 움직임량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연산 처리부(150)에 의해 데이터화되는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이동량과 움직임량은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반복적인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수납장(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제1 내지 제4 감지영역(A,A′,B,B′)로 접근한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는 연산 처리부(150)에 의해 데이터화되어 미리 설정된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와 비교함으로써,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110)는 제1 제어모드 및 제2 제어모드를 포함한다.
우선,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메인 제어부(110)의 제1 제어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제1 제어모드는 수납장(100)으로부터 원거리에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어모드는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사용자의 제1 감지영역(A) 또는 제2 감지영역(A′)으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모션 감지부(120)로 신호를 전달하여 레이저 출력 모듈(124)로부터 지면에 레이저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제1 제어모드는, 레이저 출력 모듈(124)로부터 지면을 향해 발생되는 레이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모드에서 레이저 출력 모듈(124)로부터 레이저 발생 시간은 약 30 초(s)로 설정되고, 레이저 출력 모듈(124)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는 30초 후에는 더 이상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참고로, 제1 제어모드에서는 설정된 시간 동안에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으면 레이저 출력 모듈(124)로부터 레이저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제1 감지영역(A)과 제2 감지영역(A′)은 서로 중첩되는 영역이 발생된다. 여기서, 제1 감지영역(A)과 제2 감지영역(A′)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제1 유효 감지범위(A″)라고 한다. 즉, 제2 감지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제1 감지영역만의 고유 영역은 제1 유효 감지범위(A″)로 정의된다.
제1 유효 감지범위(A″)는 제1 감지영역(A)과 제2 감지영역(A′)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 영역을 의미하며, 제1 감지영역(A)에 포함되게 된다.
이때, 제1 제어모드에서는 제1 유효 감지범위(A″)가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으로 처리하는 구간이 된다.
또한, 본 문서에서, 제1 유효 감지거리는 제1 유효 감지범위의 경계를 의미하며, 제1 유효 감지거리는 제1 감지거리 이하이고, 제2 감지거리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모드는 제1 감지영역(A)과 제2 감지영역(A′)의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미리 지정된 제1 유효 감지범위(A″)에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인식으로 처리된다.
반대로, 제1 제어모드는 제1 유효 감지범위(A″)를 제외한 제1 감지영역(A) 및 제2 감지영역(A′)에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노이즈로 처리하여 무시한다.
예를 들면,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위치 ①에 있는 경우에는 제1 감지영역(A) 및 제2 감지영역(A′)을 초과하므로 노이즈로 처리된다. 또한, 사용자가 위치 ③에 있는 경우에는 제2 감지영역(A′)에 있기는 하지만 제1 감지영역(A)과 제2 감지영역(A′)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인 제1 유효 감지범위(A″)에 있지 않으므로 노이즈로 처리된다.
반면, 사용자가 위치 ②에 있는 경우에는 제1 감지영역(A)에 걸쳐서 있기는 하지만 제1 감지영역(A)과 제2 감지영역(A′)에 서로 중첩되지 않은 제1 유효 감지범위(A″)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인식으로 처리된다.
즉, 제1 제어모드에서는 제1 유효 감지범위(A″)에서의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고,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이후에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①에서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감지영역(A) 이상이므로 노이즈로 처리하고, 위치 ③에서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감지영역(A)과 제2 감지영역(A′) 모두에 해당되므로 노이즈로 처리하며, 위치 ②에서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감지영역(A)과 제2 감지영역(A′)의 중첩되지 않는 영역인 제1 유효 감지범위(A″)에 해당되므로 인식으로 처리한다.
한편, 사용자가 위치 ②에 있다고 하더라도,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와 움직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움직임 크기 및 속도에 미치지 못하거나 초과되는 경우에는 노이즈로 처리되도록 마련되어 결국 노이즈로 처리된다.
하기에서는, 제1 제어모드에서 사용자가 접근한 영역에 따라 감지된 결과의 판단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어모드에서는 레이더 센서로 마련되는 감지 센서 모듈(122)을 통해 제1 감지영역(A), 제2 감지영역(A′) 및 제1 유효 감지범위(A″)로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다.
우선, 레이더 센서로 마련되는 감지 센서 모듈(122)이 감지하는 영역이 대략 일반 사람의 다리 면적 정도가 된다.
참고로, 사람의 다리 면적은 감지 센서 모듈(122)을 통하여 지면으로부터 대략적으로 200mm의 높이까지의 감지 결과와 사람의 발(또는 발바닥) 길이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제어부(110)는 감지 센서 모듈(122)을 통해 제1 감지영역(A)을 전체 감지 범위인 100% 라하고, 제2 감지영역(A)은 제1 감지영역(A)의 약 60% 정도의 비율에 해당되는 감지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메인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수납장(100)에 대하여 제1 감지영역(A)의 40% 정도의 비율에 해당되는 위치에 접근한 경우에만 인식으로 처리하기 위한 인식 판단값으로 설정한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사용자가 위치 ①에 있다고 감지된 경우에는 제1 감지영역(A)를 벗어난 것으로서 100% 를 초과하므로 노이즈로 처리된다. 또한,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사용자가 위치 ③에 있다고 감지된 경우에는 제2 감지영역(A′)에 해당되는 1 ~ 60% 범위에 있으므로 미리 설정된 판단값에 따라 노이즈로 처리된다.
한편,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사용자가 위치 ②에 있다고 감지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체 감지 범위 중에서 61 ~ 100% 범위인 제1 유효 감지범위(A″)에 해당되므로 미리 설정된 판단값에 따라 인식으로 처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110)는 제1 제어모드에서 수납장(100)에 대하여 제1 감지영역(A), 제2 감지영역(A′) 및 제1 유효 감지범위(A″) 로의 사용자의 접근 여부에 대하여 더욱 세분화하여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제어부(110)는 감지 센서 모듈(122)을 통해서 얻는 제1 감지영역(A), 제2 감지영역(A′) 및 제1 유효 감지범위(A″)에 대한 사용자의 판단값에 Gain 값을 추가함으로써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더욱 세밀하게 감지한다.
참고로, Gain 값은 최소 1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감지영역(A), 제2 감지영역(A′) 및 제1 유효 감지범위(A″)를 모두 포함하는 전체 감지범위 값이 100% 이고 여기에 Gain 값 3을 추가한다.
그러면, 메인 제어부(110)는 제1 감지영역(A), 제2 감지영역(A′) 및 제1 유효 감지범위(A″)를 모두 포함하는 감지범위 값은 300%이 된다.
여기서, 제1 감지영역(A)의 40% 정도 비율에 해당되는 181 내지 300% 범위를 가지는 경우에만 인식으로 처리하기 위한 인식 판단값으로 설정한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사용자가 위치 ①에 있는 경우에는 제1 감지영역(A)에 해당되지 않는 300%를 초과한 것이므로 미리 설정된 판단값에 따라 노이즈로 처리된다. 또한,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사용자가 위치 ③에 있는 경우에는 제2 감지영역(A′)에 해당되는 약 1 ~ 180%로 감지되므로, 미리 설정된 판단값에 따라 노이즈로 처리된다.
한편,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사용자가 위치 ②에 있는 경우에는 제1 유효 감지범위(A″)에 해당되는 181 ~ 300%로 감지되므로 미리 설정된 판단값에 따라 인식으로 처리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감지영역(A)과 제2 감지영역(A′) 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인 제1 유효 감지범위(A″) 인 위치 ②에 있다고 가정하고, 또한, 성인의 보통의 움직임 크기는 10(걸음)이고 움직임 속도는 2 m/s 로 미리 설정된다. 이를 통해,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후 움직임을 통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움직임 크기는 ‘걸음′으로 한정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m 로 구분할 수도 있다.
도 7에서,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는 움직임 크기 10 걸음, 움직임 속도 0.1 m/s 로 감지된다(도 7에 도시한 위치 ②′의 그래프 형태 참고).
이때,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의 감지된 움직임 크기는 미리 설정된 움직임 크기 10 걸음에 해당되지만, 감지된 움직임 속도는 미리 설정된 움직임 속도 2 m/s 에는 미치지 못하므로 노이즈로 처리된다.
도 7에서,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는 움직임 크기 10 걸음, 움직임 속도 6 m/s 로 감지된다(도 7에 도시한 위치 ②″의 그래프 형태 참고).
이때,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의 감지된 움직임 크기는 미리 설정된 움직임 크기 10 걸음 에는 해당되지만, 감지된 움직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움직임 속도 2 m/s 보다 초과되므로 노이즈로 처리된다.
도 7에서,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는 움직임 크기 10 걸음, 움직임 속도 2 m/s로 감지된다. 이러한 경우,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의 감지된 움직임 크기는 미리 설정된 움직임 크기 10 걸음 에 해당되고, 감지된 움직임 속도도 미리 설정된 움직임 속도 2 m/s에 해당되므로 인식으로 처리된다.
한편, 제1 제어모드에서는 감지 센서 모듈(122)을 이용하여 초기의 노이즈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초기의 노이즈는 사용자, 애완동물 및 아기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것이 맞는지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수납장(100) 근처의 진동, 빛 반사, 전파불안정 등의 전파 노이즈와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해 빛이 감지되어 오작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오작동을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 센서 모듈(122)이 레이더 센서로 마련되는 경우,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신호는 수십 m/s 단위로, 연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부(110)에는 감지 센서 모듈(122)로부터 발생된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감지 신호가 5개가 연속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의도를 가지고 수납장(100)으로 접근하였다고 판단한 것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제1 제어모드에서는 감지 센서 모듈(122)으로부터 발생된 사용자의 접근 감지 신호가 4개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였지만 5번째의 값이 다른 값이 들어오거나 0으로 감지한 경우에는 노이즈로 처리되고 감지 센서 모듈(122)을 통해 감지된 종전의 감지 기록은 초기화되도록 설정된다. 결국, 메인 제어부(110)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초기 노이즈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모드의 제어 방법(S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수납장(100)은 대기 모드이다(S110).
이때, 수납장(100)은 닫힘, 즉 폐쇄 상태를 의미한다.
그 다음, 모션 감지부(120)의 감지 센서 모듈(122)을 이용하여 수납장(100)으로 제1 감지영역(A)과 제2 감지영역(A′)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인 제1 유효 감지범위(A″)로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를 감지한다(S120).
이때, 감지 센서 모듈(122)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납장(100)에 대하여 780 mm 내지 1020 mm 내의 위치로 접근하였는지를 감지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하여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사용자가 제1 감지영역(A)과 제2 감지영역(A′)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 즉 1020mm과 780mm 과 사이인 781mm 내지 1020mm 거리의 제1 유효 감지범위(A″)에 있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수납장(100) 대기 모드(S110)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S120)에서 수납장(100)에 대하여 접근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기 이전에,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하여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것이 사용자가 맞는지를 추가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 센서 모듈(122)을 이용하여 수납장(100)으로의 사용자의 접근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감지한다.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지된 감지 신호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판단 개수값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것이 맞다고 판단하고, 그 이후에 감지 센서 모듈(122)을 이용하여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접근 위치를 판단한다.
반대로,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지된 감지 신호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판단 개수값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노이즈로 처리한다. 이때, 노이즈로 처리되면, 이전에 감지 센서 모듈(122)을 통해 감지된 값은 초기화 처리된다.
그 다음, 제1 유효 감지범위(A″)로 사용자가 접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유효 감지범위(A″)로 접근한 사용자의 접근 경과 시간을 판단한다(S130).
다시 말해서, 감지 센서 모듈(122)을 이용하여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접근 경과 시간이 0.2 초(s)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하여 수납장(100)에 대하여 제1 유효 감지범위(A″)로 접근한 사용자의 접근 경과 시간이 0.2 초(s)가 경과되지 않은 경우, 모션 감지부(120)의 감지 센서 모듈(122)을 이용하여 수납장(100)으로 제1 감지영역(A)과 제2 감지영역(A′)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은 영역의 제1 유효 감지범위(A″)로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를 감지하는 단계(S120)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모션 감지부(120)의 레이저 출력 모듈(124)을 이용하여 지면을 향해 레이저가 발생되도록 한다(S140).
그 다음, 레이저 출력 모듈(124)을 이용하여 지면을 향해 레이저를 발생 후 경과 시간을 판단한다(S150).
만약, 레이저 출력 모듈(124)에 의한 레이저 발생 시간이 10 초(s)가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레이저 출력 모듈(124)을 이용하여 지면을 향해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단계(S140)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레이저 출력 모듈(124)에 의한 레이저 발생 시간이 10초(s)가 경과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레이저 출력 모듈(124)로부터 더 이상 지면을 향해 레이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S160).
이하,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메인 제어부(110)의 제2 제어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제2 제어모드는 수납장(100)으로부터 근거리에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제어모드는 제1 제어모드가 동작되는 상태에서,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사용자의 제3 감지영역(B) 또는 제4 감지영역(B′)으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수납장 제어부(130)로 신호를 전달하여 수납장(100)의 투명도가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제2 제어모드에서는 수납장 제어부(130)에 의해 수납장(100)의 투명도는 투명 상태(ON)와 불투명 상태(OFF)가 반복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제어모드에서는 수납장 제어부(130)에 의해 수납장(100)의 투명도가 투명 및 불투명 상태가 반복되지만, 주변 환경 등에 따른 노이즈 또는 짧은 반복 동작(1초 미만)의 경우에는 필터링 처리하여 투명 및 불투명 상태가 반복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제어모드는 수납장(100)에 대한 근접한 거리를 가지는 제3 감지영역(B)과 제4 감지영역(B′)으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때문에 재질이나 주변 환경(ex.애완 동물, 아기)에 의한 오작동 가능성이 거의 없다.
한편, 제3 감지영역(B)과 제4 감지영역(B′)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된다. 제3 감지영역(B)과 제4 감지영역(B′)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제2 유효 감지범위(B″)라 한다. 즉, 제4 감지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제3 감지영역(B)의 고유 영역이 제2 유효 감지범위(B″)로 정의된다.
다시 말해서, 제2 유효 감지범위(B″)는 제3 감지영역(B)과 제4 감지영역(B′)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하고, 제3 감지영역(B)에 포함되게 된다.
이때, 제2 제어모드에서는 제2 유효 감지범위(B″)가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으로 처리하는 구간이 된다.
또한, 본 문서에서, 제2 유효 감지거리는 제2 유효 감지범위(B″)의 경계를 의미하며, 제2 유효 감지거리는 제3 감지거리 이하이고, 제4 감지거리 이상이다.구체적으로, 제2 제어모드는 제3 감지영역(B)과 제4 감지영역(B′)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으로 미리 지정된 제2 유효 감지범위(B″)에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인식으로 처리된다.
반대로, 제2 제어모드는 제2 유효 감지범위(B″)를 제외한 제3 감지영역(B)과 제4 감지영역(B′)에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노이즈로 처리하여 무시한다.
예를 들면,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위치 ①에 있는 경우에는 제3 감지영역(B) 및 제4 감지영역(B′)을 초과하므로 노이즈로 처리된다. 또한, 사용자가 위치 ③에 있는 경우에는 제4 감지영역(B′)에 있기는 하지만 제3 감지영역(B)과 제4 감지영역(B′)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인 제2 유효 감지범위(B″)에는 있지 않으므로 노이즈로 처리된다.
반면, 사용자가 위치 ②에 있는 경우에는 제3 감지영역(B)에 걸쳐 있기는 하지만, 제3 감지영역(B)과 제4 감지영역(B′)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인 제2 유효 감지범위(B″)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인식으로 처리된다.
즉, 제2 제어모드에서는 제2 유효 감지범위(B″)에서의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고,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이후에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위치 ②에 있다고 하더라도,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와 움직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움직임 크기 및 속도에 미치지 못하거나 초과되는 경우에는 노이즈로 처리되도록 마련되어 결국 노이즈로 처리된다.
제2 제어모드는 1차 감지모드와 2차 감지모드의 결과를 조합하여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접근 이후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여기서, 1차 감지모드는 제2 유효 감지범위(B″)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는 것이고, 2차 감지모드는 1차 감지모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가 1차로 감지된 상태에서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최종 움직임 크기와 최종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는 것이다.
제2 제어모드는 1차 감지모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작은 속도로 움직이거나 큰 속도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노이즈로 처리하여 무시한다. 또한, 제2 제어모드는 1차 감지모드에서 1차로 감지된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 이후에, 2차 감지모드에서 최종적으로 감지된 사용자의 최종 움직임 속도가 일정하거나 감소되지 않는 경우에는 노이즈로 처리하여 무시한다.
반대로, 제2 제어모드는 1차 감지모드에서 1차로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가 감소된 상태에서 2차 감지모드에서 최종적으로 감지된 사용자의 최종 움직임 속도가 0인 경우에는 인식으로 처리된다.
한편, 제2 제어모드에서 사용자가 접근한 영역에 따라 감지된 결과의 판단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 제어부(110)의 제2 제어모드는, 레이더 센서로 마련되는 감지 센서 모듈(122)을 통해 제3 감지영역(B), 제4 감지영역(B′) 및 제2 유효 감지범위(B″)로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다.
메인 제어부(110)는 감지 센서 모듈(122)을 통해 제3 감지영역(B)을 전체 감지 범위인 100%라 하고, 제4 감지영역(B′)은 제3 감지영역(B)의 약 60% 정도의 비율에 해당되는 감지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메인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수납장(100)에 대하여 제3 감지영역(B)의 40% 정도의 비율에 해당되는 위치에 접근한 경우에만 인식으로 처리하기 위한 판단값으로 설정한다.
이때, 도 11의 (a)를 참조하면,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사용자가 위치 ①에 있는 경우에는 제3 감지영역(B)을 벗어난 것으로서 100 %를 초과하므로 노이즈로 처리된다. 또한,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사용자가 위치 ③에 있는 경우에는 제4 감지영역(B′)에 해당되는 1 ~ 60%의 범위에 있으므로 미리 설정된 판단값에 따라 노이즈로 처리된다.
한편,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사용자가 위치 ②에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체 감지 범위 중에서 61 ~ 100 % 범위인 제2 유효 감지범위(B″)에 해당되므로 미리 설정된 판단값에 따라 인식으로 처리된다.
한편, 메인 제어부(110)는 제2 제어모드에서 수납장(100)에 대하여 제3 감지영역(B), 제4 감지영역(B′) 및 제2 유효 감지범위(B″) 로의 사용자의 접근 여부에 대하여 더욱 세분화하여 감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메인 제어부(110)는 감지 센서 모듈(122)을 통해서 얻은 제3 감지영역(B), 제4 감지영역(B′) 및 제2 유효 감지범위(B″)에 해당되는 사용자의 판단값에 Gain 값을 추가함으로써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세밀하게 감지한다.
참고로, 제2 제어모드에서 Gain 값은 최소 1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3 감지영역(B), 제4 감지영역(B′) 및 제2 유효 감지범위(B″)를 모두 포함하는 감지범위 값이 100% 이고 여기에 Gain 값 3을 추가한다.
결국, 제3 감지영역(B), 제4 감지영역(B′) 및 제2 유효 감지범위(B″)를 모두 포함하는 감지범위 값은 300%가 된다.
여기서, Gain 값이 증가하면, 제3 감지영역(B)은 전체 감지범위인 300% 범위에 해당되고, 제4 감지영역(B′)은 전체 감지 범위의 180% 정도의 비율의 범위에 해당되며, 제3 감지영역(B)과 제4 감지영역(B′)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인 제2 유효 감지범위(B″)는 181 ~ 300% 정도의 범위에 해당된다.
이때, 도 10을 참조하면,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사용자가 위치 ①에 있는 경우에는 제3 감지영역(B)에 해당되지 않는 300%를 초과한 것으로 감지되므로, 미리 설정된 판단값에 따라 노이즈로 처리된다. 또한,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사용자가 위치 ③에 있는 경우에는 제4 감지영역(B′)에 해당되는 1 ~ 180%로 감지되므로, 미리 설정된 판단값에 따라 노이즈로 처리된다.
한편,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사용자가 위치 ②에 있는 경우에는 제2 유효 감지범위(B″)에 위치한 것으로서 181 ~ 300%로 감지되므로 미리 설정된 판단값에 따라 인식으로 처리된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3 감지영역(B)과 제4 감지영역(B′)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인 제2 유효 감지범위(B″)인 위치 ②에 모두 있다고 가정하고, 또한 성인의 보통의 움직임 크기는 10 (걸음)이고 움직임 속도가 2 m/s 로 미리 설정된다. 이를 통해,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후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의 (b)에서,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는 움직임 크기 10 걸음, 움직임 속도 0.1 m/s 로 감지된다(도 11의 (b)에 도시한 위치 ②′의 그래프 형태 참고).
이때,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제2 제어모드의 1차 감지모드에 의하여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의 감지된 움직임 크기는 미리 설정된 움직임 크기 10 걸음에 해당되므로 인식으로 처리된다.
그러나,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제2 제어모드의 2차 감지모드에 의하여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의 감지된 움직임 속도는 미리 설정된 움직임 속도 2 m/s보다는 작은 속도로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감지되어 수납장(100)에 대하여 정지할 의도가 없다고 판단되므로, 최종적으로 노이즈로 처리된다.
도 11의 (b)에서,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는 움직임 크기 10 걸음, 움직임 속도 6 m/s로 감지된다(도 11의 (b)에 도시한 위치 ②″의 그래프 형태 참고).
이때,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제2 제어모드의 1차 감지모드에 의하여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의 감지된 움직임 크기는 미리 설정된 움직임 크기 10에 해당되므로 인식으로 처리된다.
그러나,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제2 제어모드의 2차 감지모드에 의하여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의 감지된 움직임 속도는 미리 설정된 움직임 속도 2 m/s 보다 큰 속도로 계속 움직이는 것으로 감지되어 수납장(100)에 대하여 정지할 의도가 없다고 판단되므로, 최종적으로 노이즈로 처리된다.
도 11의 (b)에서,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는 움직임 크기 10 걸음, 움직임 속도 2 m/s, 0.1 m/s, 0 m/s 로 점차 감소되는 것으로 감지된다(도 11의 (b)에 도시한 위치 ②의 그래프 형태 참고).
이때,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제2 제어모드의 1차 감지모드에 의하여,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의 감지된 움직임 크기는 미리 설정된 움직임 크기 10 걸음에 해당되므로 인식으로 처리된다.
또한,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제2 제어모드의 2차 감지모드에 의하여, 위치 ②에 있는 사용자의 감지된 움직임 속도도 미리 설정된 움직임 속도 2 m/s 에 해당된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움직임 속도를 보이고 최종 움직임 속도가 0 m/s 으로 감지되어, 수납장(100)에 대하여 정지할 의도가 있다고 판단되므로 최종적으로 인식으로 처리된다.
한편, 제2 제어모드는, 제1 제어모드와 마찬가지로, 감지 센서 모듈(122)을 이용하여 초기의 노이즈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초기의 노이즈는 사용자, 애완동물 및 아기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것이 맞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특히, 수납장(100) 근처의 진동, 빛 반사, 전파불안정 등의 전파노이즈와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해 빛이 감지되어 오작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 센서 모듈(122)이 레이더 센서로 마련되면,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신호는 수십 m/s 단위로 연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부(110)에는 감지 센서 모듈(122)로부터 발생된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감지 신호가 5개가 연속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의도를 가지고 수납장(100)으로 접근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설정된다.
반대로, 제1 제어모드에서는 감지 센서 모듈(122)으로부터 발생된 사용자의 접근 감지 신호가 4개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였지만 5번째의 값이 다른 값이 들어오거나 0으로 감지한 경우에는 노이즈로 처리되고, 감지 센서 모듈(122)을 통해 감지된 종전의 감지 기록은 초기화되게 된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모드의 제어 방법(S2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수납장(100)은 대기 모드이다(S210).
이때, 수납장(100)은 닫힘, 즉 폐쇄 상태를 의미한다.
그 다음, 모션 감지부(120)의 감지 센서 모듈(122)을 이용하여 수납장(100)에 대하여 제3 감지영역(B)과 제4 감지영역(B′)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인 제2 유효 감지범위(B″)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20).
이때, 감지 센서 모듈(122)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납장(100)에 대하여 제3 감지영역(B)에 해당되는 약 100 mm 내지 제4 감지영역(B′)에 해당되는 약 170 mm 의 사이의 접근을 감지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하여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사용자가 제3 감지영역(B)과 제4 감지영역(B′)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거리, 즉 170 mm 내지 100 mm 사이 거리인 101mm 내지 170mm의 제2 유효 감지범위(B″)에 있지 않다고 감지되는 경우에는 수납장(100) 대기 모드(S210)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S220)에서 수납장(100)에 대하여 접근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기 이전에,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하여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것이 사용자가 맞는지를 추가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 센서 모듈(122)을 이용하여 수납장(100)으로의 사용자의 접근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감지한다.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지된 감지 신호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판단 개수값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것이 맞다고 판단하고, 그 이후에 감지 센서 모듈(122)을 이용하여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접근 위치를 판단한다.
반대로,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지된 감지 신호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판단 개수값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노이즈로 처리한다. 이때, 노이즈로 처리되면, 이전에 감지 센서 모듈(122)을 통해 감지된 값은 초기화 처리된다.
그 다음, 제2 유효 감지범위(B″)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제2 유효 감지범위(B″)로 접근한 사용자의 접근 경과 시간을 판단한다(S230).
다시 말해서, 감지 센서 모듈(122)을 이용하여 수납장(100)에 대하여 제2 유효 감지범위(B″)로 접근한 사용자의 접근 시간이 0.5 초(S)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22)에 의하여 수납장(100)에 대하여 제2 유효 감지범위(B″)로 접근한 사용자의 접근 시간이 0.5 초(s)가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감지 센서 모듈(122)을 이용하여 제2 유효 감지범위(B″)로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S220)하는 단계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수납장 제어부(130)의 투명도 제어부(132)를 이용하여 수납장(100) 도어(102)의 투명도를 변경한다(S240).
이때, 수납장(100) 도어(102)의 투명도는 투명 상태를 의미한다.
그 다음, 수납장(100)의 투명도 상태가 변경된 후 경과 시간을 판단한다(S250).
만약, 수납장(100)의 투명도 상태가 변경된 후에 경과된 시간이 30 분(min)이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수납장(100) 도어(102)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단계(S240)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수납장(100)의 투명도 상태가 변경된 후에 경과된 시간이 30 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수납장(100) 도어(102)의 투명도 상태를 다시 변경한다(S260).
이때, 수납장(100) 도어(102)의 투명도 상태는 불투명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110)는 제3 제어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3 제어모드는 제2 제어모드 동작 상태에서, 제3 감지영역(B) 및 제4 감지영역(B′)으로의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이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수납장 제어부(130)로 신호를 전달하여 수납장(100)이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제3 제어모드는, 수납장 제어부(130)에 의해 수납장(100)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참고로, 제3 제어모드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를 판단하여 수납장(100)에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여 수납장(100)의 개폐를 결정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직접 수납장(100)의 내부를 보지 않고도, 주방용품이 수납된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수납장(100)의 상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은,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을 통해 수납장에 대한 움직임량을 판단하여, 주변 환경에 의한 수납장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스마트 주방 시스템
100: 수납장 102: 도어
110: 메인 제어부
120: 모션 감지부 122: 감지 센서 모듈
124: 레이저 출력 모듈
130: 수납장 제어부 132: 투명도 제어부
134: 조명 제어부 136: 개폐 제어부
140: 전원부 150: 연산 처리부
A: 제1 감지영역 A′: 제2 감지영역
A″: 제1 유효 감지범위
B: 제3 감지영역 B′: 제4 감지영역
B″: 제2 유효 감지범위

Claims (15)

  1. 지면을 향해 레이저가 발생되도록 하는 광원 및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모션 감지부;
    수납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수납장 제어부; 및
    모션 감지부 및 수납장 제어부와 연결되며, 모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수납장으로부터 제1 유효 감지거리 이내에 위치할 때, 수납장과 인접한 지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모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가 수납장으로부터 제1 유효 감지거리보다 짧은 제2 유효 감지거리 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에 기초하여, 수납장의 투명도 및 조명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모션 감지부는,
    수납장에 마련되며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수납장으로 접근한 이후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를 함께 감지하는 하나의 감지 센서 모듈; 및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지면을 향해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감지 센서 모듈은, 수납장으로부터 제1 감지거리 이내 및 제1 감지거리보다 짧은 제2 감지거리 이내로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수납장에 대하여 제2 감지거리 보다 짧은 제3 감지거리 및 수납장에 대하여 제3 감지거리보다 짧은 제4 감지거리 이내로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마련된, 스마트 주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유효 감지거리는 제1 감지거리 이하이고, 제2 감지거리 이상이며,
    제2 유효 감지거리는 제3 감지거리 이하이고, 제4 감지거리 이상이며
    메인 제어부는,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제1 유효 감지거리 내에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모션 감지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레이저 출력 모듈로부터 지면에 레이저가 발생되도록 하는 제1 제어모드; 및
    제1 제어모드 동작 상태에서,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제2 유효 감지거리 내에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수납장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수납장의 투명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제2 제어모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제어모드는,
    레이저 출력 모듈로부터 지면을 향해 발생된 레이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생되도록 제어하고,
    제1 유효 감지거리 내에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이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수납장으로 접근 이후의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지면을 향해 레이저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제어모드는,
    제1 유효 감지거리 내에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인식으로 처리되고,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이후에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음직임 속도가 감지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제1 제어모드에서는,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와 움직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에 미치지 못하거나 초과되는 경우에는 노이즈로 처리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제2 제어모드에서는,
    수납장 제어부에 의한 수납장의 투명도는 투명 상태(ON)와 불투명 상태(OFF)가 반복적으로 동작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제2 제어모드는,
    제2 유효 감지거리 내에사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인식으로 처리되고,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이후에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음직임 속도가 감지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제2 제어모드는,
    제2 유효 감지 거리 내에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는 1차 감지모드와,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가 감지된 상태에서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최종 움직임 크기와 최종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는 2차 감지모드를 포함하고,
    1차 감지모드 및 2차 감지모드의 결과를 조합하여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접근 이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제어모드는,
    1차 감지모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작은 속도로 움직이거나 큰 속도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노이즈로 처리되고,
    2차 감지모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최종 움직임 속도가 일정하거나 감소되지 않는 경우에는 노이즈로 처리되며,
    1차 감지모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가 감소된 상태에서 2차 감지모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최종 움직임 속도가 0인 경우에는 인식으로 처리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11.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모션 감지부로부터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모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접근 이후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를 데이터화하는 연산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연산 처리부를 이용하여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원거리 및 근거리 접근, 수납장으로 접근 후 움직임 크기에 따른 이동량 및 수납장으로 접근 후 움직임 속도에 따른 움직임량을 감지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연산 처리부에 의해 데이터화되는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이동량과 움직임량은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반복적인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로 미리 설정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는,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속도를 포함하는 모션 결과에 따라 수납장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수납장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스마트 주방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는,
    제2 제어모드 동작 상태에서, 제2 유효 감지거리 내에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수납장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수납장이 개방되도록 하는 제3 제어모드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15. 제2항에 있어서,
    모션 감지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장의 내부에 마련되고,
    수납장의 내부에 감지 센서 모듈 및 레이저 출력 모듈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감지 센서 모듈은 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케이스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위치되고 레이저 출력 모듈은 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마련되되 일부분이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도록 위치된, 스마트 주방 시스템.
KR1020210132724A 2020-10-06 2021-10-06 스마트 주방 시스템 KR202200459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582 2020-10-06
KR20200128582 2020-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926A true KR20220045926A (ko) 2022-04-13

Family

ID=8121488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721A KR20220045923A (ko) 2020-10-06 2021-10-06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210132720A KR20220045922A (ko) 2020-10-06 2021-10-06 스마트 주방 시스템
KR1020210132724A KR20220045926A (ko) 2020-10-06 2021-10-06 스마트 주방 시스템
KR1020210132722A KR20220045924A (ko) 2020-10-06 2021-10-06 스마트 주방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721A KR20220045923A (ko) 2020-10-06 2021-10-06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210132720A KR20220045922A (ko) 2020-10-06 2021-10-06 스마트 주방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722A KR20220045924A (ko) 2020-10-06 2021-10-06 스마트 주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2200459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530B1 (ko) 2017-10-25 2019-11-04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모션 인식을 통해 기기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650B1 (ko) 2018-06-01 2020-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제어 방법
KR102167241B1 (ko) 2019-01-02 2020-10-19 김재기 스마트 수납장 및 수납장의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530B1 (ko) 2017-10-25 2019-11-04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모션 인식을 통해 기기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922A (ko) 2022-04-13
KR20220045923A (ko) 2022-04-13
KR20220045924A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242B1 (ko) 조명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조명유닛
KR101866262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주방용 싱크대
KR20170041947A (ko) Uv 살균장치
US6825453B2 (en) Microwave ov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733449B1 (en) Household Appliance with a Detection System for an Ambient Condition
KR20220026253A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3633141A (zh) 用投影图像控制卫生洁具、智能镜及类似物的系统和方法
KR100661754B1 (ko) 살균 및 조명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45926A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WO2022072411A2 (en) Bimodal ultraviolet disinfec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20220045925A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JP2013066581A (ja) トイレ装置
KR20220016594A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
CN111802982A (zh) 一种复式抽屉洗碗机
KR20170054741A (ko) 냉장고
KR200454436Y1 (ko) 싱크대용 수도밸브 자동개폐장치
JP4051023B2 (ja) 人体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人体検出システム
KR20060092726A (ko) 전원 자동 스위치
CN206451013U (zh) 一种用电器具的智能控制装置
KR20220014562A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7393733B2 (ja) 洗面化粧台
KR101095749B1 (ko) 인간중심 led 조리등 시스템
JP6704610B2 (ja) トイレシステム
CN218763299U (zh) 一种烹饪器具
CN211673039U (zh) 一种智能橱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