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562A -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562A
KR20220014562A KR1020200094303A KR20200094303A KR20220014562A KR 20220014562 A KR20220014562 A KR 20220014562A KR 1020200094303 A KR1020200094303 A KR 1020200094303A KR 20200094303 A KR20200094303 A KR 20200094303A KR 20220014562 A KR20220014562 A KR 20220014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drawer
chest
drawers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관서
차순도
김진우
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094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562A/ko
Publication of KR20220014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은,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랍장을 포함하는 싱크대에 마련되며, 싱크대의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서랍장 모션감지부; 서랍장에 마련되며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라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를 제어하는 서랍장 제어부; 음료, 식재료가 내부에 수납되는 냉장고에 마련되며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냉장고 모션감지부; 냉장고에 마련되며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라 냉장고의 조명을 제어하거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냉장고 제어부; 및 서랍장 모션감지부, 서랍장 제어부, 냉장고 제어부 및 냉장고 모션감지부와 연결되며, 서랍장 및 냉장고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SMART KITCHE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주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 서랍장 및 냉장고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한 주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란 실내에 배치하여 일상생활에 쓰이는 도구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예컨대, 가구는 옷장, 테이블과 같이 이동 가능한 것과 벽난로 등과 같이 건물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있다.
가구는 크게 장롱, 침대, 쇼파 등 실내용 가구와 싱크대, 식탁 등 주방용 가구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구가 배치되는 공간에는 사용자의 생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전자 제품이 있다.
전자 제품에는 거실이나 침실에서 사용하는 전자 제품이 있고, 주방에서 사용하는 전자 제품이 있다.
대표적으로 주방용 가구에는 싱크대가 있으며, 주방용 전자 제품에는 냉장고, 정수기 등이 있다.
여기서, 싱크대는 그 상면에 설거지를 할 수 있도록 수전이 마련된 개수대가 갖춰지며, 개수대의 주변으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대가 마련되고, 가스레인지 등을 올려놓고 음식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대가 마련된다.
이러한 싱크대는 주방의 벽면에 배치되며 상부 및 하부로 나뉘어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싱크대는 조리, 취사를 위한 접시, 그릇, 냄비 등의 주방용 기구나 각종 비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상부 서랍장과, 상단부에는 개수대, 조리대 및 가열대가 구비되고 상부 서랍장과 마찬가지로 조리, 취사를 위한 접시, 그릇, 냄비 등의 주방용 기구나 각종 비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하부 서랍장이 구분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상부 서랍장 및 하부 서랍장을 포함하는 싱크대는 내부가 투영되지 않도록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리, 취사 시에 필요한 접시, 그릇, 냄비 등의 주방용 기구나 각종 비품 들이 필요할 경우 상부 서랍장이나 하부 서랍장을 일일이 열어서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 상부 서랍장 및 하부 서랍장을 포함하는 싱크대는 조리, 취사를 위한 주방용 전자 제품 또는 주방용 기구, 각종 비품의 수납 용도와 디자인적 용도에 중점을 두고 설치되므로, 상부 서랍장 및 하부 서랍장 내부의 온/습도 조절, 수납공간 활용, 서랍장 내부 살균소독, 서랍장 내/외부의 조명 기능과 같은 기능적 요소는 고려하지 않는다.
한편, 최근에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을 이용하여 주거 생활의 환경 편의성을 높이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발달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센서 기술 등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구나 전자 제품을 서로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방에는 다양한 주방용 가구들과 전자 제품들이 있기과 때문에, 사용자가 주방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로 마련된 단말기에 주방용 가구나 전자 제품들이 모두 연결함으로써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방에서 사용하는 전자 제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방용 가구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4966호(2011.06.15.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과 음료, 식재료가 수납된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서랍장 및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에 해당되는 음료, 식재료 또는 주방 용품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랍장을 포함하는 싱크대에 마련되며, 싱크대의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서랍장 모션감지부; 서랍장에 마련되며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라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를 제어하는 서랍장 제어부; 음료, 식재료가 내부에 수납되는 냉장고에 마련되며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냉장고 모션감지부; 냉장고에 마련되며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라 냉장고의 조명을 제어하거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냉장고 제어부; 및 서랍장 모션감지부, 서랍장 제어부, 냉장고 제어부 및 냉장고 모션감지부와 연결되며, 서랍장 모션감지부로부터 전송 받은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라 서랍장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주방용품이 수납된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서랍장에 수납된 주방용품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냉장고 모션감지부로부터 전송 받은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라 냉장고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냉장고에 조명 및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스마트 주방 시스템에서, 메인 제어부로 전송된 서랍장 및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는 메인 통신부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메인 제어부는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냉장고 와 서랍장이 서로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는,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되면 냉장고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냉장고에 조명이 켜지거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1 모드; 및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에 해당되는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하는 제2 모드; 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에서 제1 모드는,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서랍장에 접근하여 서랍장에 수납된 주방 용품을 인출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서랍장에서 인출된 주방 용품의 종류에 따라 냉장고에 조명이 켜지도록 하거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에서 제2 모드는,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하여 냉장고에 수납된 음료를 인출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냉장고에서 인출된 음료의 종류에 해당되는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부에서 제2 모드는,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하여 냉장고에 수납된 음료를 인출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냉장고에서 인출된 음료의 종류에 대응되는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의 투명도가 변경되고,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서랍장에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투명도가 변경된 서랍장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의 제2 모드는,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하여 냉장고에 수납된 식재료를 인출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냉장고에서 인출된 식재료의 종류에 해당되는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부의 제2 모드는,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하여 냉장고에 수납된 식재료를 인출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냉장고에서 인출된 식재료의 종류에 해당하는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의 투명도가 변경되고,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서랍장으로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투명도가 변경된 서랍장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제어부는 싱크대에 마련된 후드와 연결되고, 제2 모드는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서랍장이 개방된 후에 서랍장에서 주방 용품이 인출된 것이 감지되면 후드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주방 시스템에서, 서랍장 제어부는, 서랍장의 투명도를 감지하며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아 서랍장의 투명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투명도 제어부; 서랍장의 내부 조도를 감지하며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아 서랍장 내부의 조명이 변경되도록 하는 조명 제어부; 및 서랍장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며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아 서랍장을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개폐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주방 시스템에서, 모션감지부는, 냉장고 및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동작을 포함하는 모션을 감지하고, 냉장고 및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 및 냉장고 및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 를 포함하며, 메인 제어부는 제1 감지센서 및 제2 감지센서에 의해 냉장고 및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한 후에 동작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주방 시스템에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에 대한 정보는 단말기로 전송되고 서랍장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는 단말기를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메인 제어부, 서랍장 제어부 및 냉장고 제어부는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서랍장으로부터 인출된 주방 용품의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 및 냉장고 제어부에 의해 냉장고에 알람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냉장고에 알람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서랍장에서 인출된 주방 용품에 따라 냉장고에 조명이 켜지도록 하거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분야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냉장고 제어부에 의해 냉장고로부터 음료 또는 식재료의 인출을 감지하는 단계; 및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서랍장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서랍장에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에서, 냉장고에서 인출된 음료 또는 식재료의 종류에 해당되는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의 투명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서랍장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이후에,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서랍장의 상태를 재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서랍장에 상태를 재변경하는 단계에서,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투명도가 변경된 서랍장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과 음료, 식재료가 수납된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IoT 기술을 이용하여 서랍장과 냉장고가 서로 연계되어 작동되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랍장과 냉장고의 제어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주방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더욱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은 IoT 기술에 의하여 서랍장, 냉장고 및 후드가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서랍장과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감지된 결과에 따라 후드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요리 시에 주방의 공기가 쾌적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스마트 주방 시스템이 마련되는 서랍장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구성도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변형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주방 시스템(10) 및 이의 제어 방법(S100)을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은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을 이용한다.
참고로,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은 서랍장(100)과 냉장고(200)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하기에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방에서 사용하는 모든 가구 및 전자제품 등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은 서랍장(100)과 냉장고(200)가 서로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서랍장(100)과 냉장고(200) 각각은 클라우드 서버(400)와 연결된다. 클라우드 서버(400)로 서랍장(100) 및 냉장고(200)에 대한 상태 정보가 전송되어 저장된다.
서랍장(100) 및 냉장고(200)에 대한 상태 정보가 전송되어 저장된 클라우드 서버(400)는 별도로 마련된 단말기(50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서랍장(100)과 냉장고(200)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서랍장(100)과 냉장고(20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서랍장(100) 및 냉장고(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랍장(100)과 냉장고(200)가 서로 연결되고 서랍장(100)과 냉장고(200)에 대한 상태 정보가 클라우드 서버(400) 및 단말기(500)로 전송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서랍장(100)과 냉장고(200)는 서로 연동되어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은 서랍장 모션감지부(120), 서랍장 제어부(130), 냉장고 모션감지부(220), 냉장고 제어부(230), 메인 제어부(300) 및 전원부(320)를 포함한다.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이 적용되는 서랍장(100)은 주방에 배치되어 내부에 그릇, 냄비 등과 같이 주방에서 음식의 조리 등을 위한 주방 용품이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부분이다.
특히, 서랍장(100)에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대,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대 및 음식 조리에 사용하는 그릇, 냄비와 같은 주방 용품과 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개수대를 포함하는 싱크대가 마련된다.
여기서, 서랍장(100)은 내부에 주방 용품이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서랍장(102)과, 내부에 주방 용품이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단부에 개수대, 조리대 및 가열대가 마련되며 상부 서랍장(102)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서랍장(104)으로 구분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서랍장(100)에는 서랍장 모션감지부(120) 및 서랍장 제어부(130)가 마련된다.
서랍장 모션감지부(120)는 서랍장(100)에 마련되어 서랍장(100)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한다.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모션은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서랍장(100)에 접근 후 사용자의 동작을 포함한다.
서랍장 모션감지부(120)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서랍장(102)에 마련되는 제1 모션감지부(120a)와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서랍장(104)에 마련되는 제2 모션감지부(120b)로 구분되며, 상부 서랍장(102)과 하부 서랍장(104)으로의 사용자 접근과 서랍장(100)으로의 접근 후의 사용자 동작을 포함하는 모션을 감지한다.
제1 모션감지부(120a)는 상부 서랍장(102)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은 물론이고 사용자가 상부 서랍장(102)으로 접근한 이후의 동작, 예컨대 상부 서랍장(102)을 개폐하기 위한 동작을 감지한다.
또한, 제2 모션감지부(120b)는 하부 서랍장(104)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사용자가 서랍장(100)으로 접근한 이후의 동작, 예컨대 하부 서랍장(104)을 개폐하기 위한 동작을 감지한다.
참고로, 제1 모션감지부(120a) 및 제2 모션감지부(120b) 각각은 상부 서랍장(102)과 하부 서랍장(104)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의 내부에 각각 마련된 제1 모션감지부(120a) 및 제2 모션감지부(120b)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 결과는 후술할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한편, 서랍장 모션감지부(120)는 제1 감지센서(122), 제2 감지센서(124) 및 레이저 출력모듈(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122) 및 제2 감지센서(124)는 모두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동작을 감지하는 부분이다.
특히, 제1 감지센서(122)는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제2 감지센서(124)는 서랍장(100)에 대하여 접근 후의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다시 말해서, 제1 감지센서(122)는 감지 거리의 길이가 긴 감지센서를 사용하여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제2 감지센서(124)는 제1 감지센서(12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감지 거리의 길이가 짧은 감지센서를 사용하여 서랍장(100)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즉, 제1 감지센서(122)는 감지 길이가 긴 감지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고, 제2 감지센서(124)는 제1 감지센서(122)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감지 길이를 가진 감지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서랍장(100)으로 접근한 후에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에는 제1 감지센서(122) 및 제2 감지센서(124)가 모두 마련되고, 특히 하부 서랍장(104)에는 레이저 출력모듈(126)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레이저 출력모듈(126)은 제1 감지센서(122) 및 제2 감지센서(124)에 의해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으로의 접근 및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에 메인 제어부(300)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지면을 향해 레이저(laser)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참고로, 도 3의 (b)를 참조하면, 레이저 출력모듈(126)이 하부 서랍장(104)에만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부 서랍장(102)에도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출력모듈(126)은 상부 서랍장(102) 또는 하부 서랍장(104)으로 사용자가 접근한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 지면을 향해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상부 서랍장(102)에는 마련될 필요가 없다.
또한, 레이저 출력모듈(126)로부터 지면을 향해 발생되는 레이저의 형태는 변경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커스터마이징(custormizing)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 출력모듈(126)로부터 지면을 향해 발생되는 레이저는 문자, 그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서랍장 제어부(130)는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서랍장 제어부(130)는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동작 감지 결과를 전송 받은 메인 제어부(300)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서, 해당되는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을 투명하게 변경되도록 하거나 내부의 조명이 켜지도록 하거나 또는 개폐를 제어한다.
서랍장 제어부(130)는 투명도 제어부(132), 조명 제어부(134) 및 개폐 제어부(136)를 포함한다.
이때, 서랍장 제어부(130)는 물론이고 서랍장 제어부(130)의 투명도 제어부(132), 조명 제어부(134) 및 개폐 제어부(136)도 상부 서랍장(102)과 하부 서랍장(104)에 각각 마련된다.
투명도 제어부(132)는 메인 제어부(300)로부터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전달 받고, 전달 받은 신호에 따라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을 투명하게 하거나 또는 불투명하게 제어하며,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의 투명도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서랍장(102)의 도어(102a)에 마련되는 투명도 제어부(132)를 제1 투명도 제어부(132a)라 하고,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서랍장(104)의 도어(104a)에 마련되는 투명도 제어부(132)를 제2 투명도 제어부(132b)라 한다.
제1, 제2 투명도 제어부(132a,132b)는 상부 서랍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서랍장(104)의 도어(104a)의 유리 부분에 전류를 가하게 된다. 그러면, 상부 서랍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서랍장(104)의 도어(104a)의 유리 부분이 불투명한 상태에서 투명한 상태로 변경되고 이를 통해 상부 서랍장(102)과 하부 서랍장(104)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제2 투명도 제어부(132a,132b)는 서랍장 모션감지부(120)를 통해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된 것으로 신호를 전달 받은 경우에,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 모두를 투명하게 할 수도 있고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 중에서 해당되는 부분의 서랍장만을 투명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2 투명도 제어부(132a,132b)에 의해 상부 서랍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서랍장(104)의 도어(104a)의 일부가 투명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부 서랍장(102) 이나 하부 서랍장(104)을 열지 않고도 원하는 주방 용품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제1, 제2 투명도 제어부(132a,132b)로부터 상부 서랍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서랍장(104)의 도어(104a)에 전류가 가해지지 않거나 가해지던 전류가 중단되면, 상부 서랍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서랍장(104)의 도어(104a)는 불투명하게 되어 사용자가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을 열어야만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의 내부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부 서랍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서랍장(104)의 도어(104a)에는 PLDC 필름 또는 변색가능한 유리를 사용하거나 유리에 별도로 코팅을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명 제어부(134)는 메인 제어부(300)로부터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한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전달 받아서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의 내부 조명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며,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의 내부 조도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서랍장(102)에 마련되는 조명 제어부(134)는 제1 조명 제어부(134)라 하고,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서랍장(104)에 마련되는 조명 제어부(134)는 제2 조명 제어부(134)라 한다.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에 마련되는 제1, 제2 조명 제어부(134)는 일종의 LED 형태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에 대하여 사용자가 접근했다고 감지되거나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서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의 내부를 밝게 하거나 또는 어둡게 할 수 있다.
개폐 제어부(136)는 메인 제어부(300)로부터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한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전달 받고, 전달 받은 신호에 따라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개방하거나 폐쇄되도록 하며,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서랍장(102)에 마련되는 개폐 제어부(136)는 제1 개폐 제어부(136a)라 하고,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서랍장(104)에 마련되는 개폐 제어부(136)는 제2 개폐 제어부(136b)라 한다.
제1 개폐 제어부(136a)는 상부 서랍장(102)의 도어(102a)의 힌지(hinge)에 마련되어 상부 서랍장(102)의 도어(102a)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한다. 제2 개폐 제어부(136b)는 하부 서랍장(104)의 도어(104a)에 마련되어 하부 서랍장(104)의 도어(104a)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개방되도록 하거나 후방으로 이동되어 폐쇄되도록 한다.
참고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서랍장(104)은 슬라이딩 방식을 가지는 서랍장의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의 (a)에 도시한 상부 서랍장(102)과 같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만약, 투명도 제어부(132), 조명 제어부(134) 및 개폐 제어부(136)를 포함한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결과는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이러한 결과를 수신 받은 메인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필요하거나 찾고 있는 주방 용품이 수납되어 있는 상부 서랍장(102) 또는 하부 서랍장(104)에 마련된 개폐 제어부(136)로 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서랍장(100)이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서랍장(100)에는 서랍장 촬영부(14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서랍장 촬영부(140)는 상부 서랍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서랍장(104)의 도어(104a)를 개폐할 때에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의 내부를 촬영하는 부분이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서랍장(102)의 내부, 즉 상부 서랍장(102)의 도어(102a)의 내측면에 마련된 서랍장 촬영부(140)는 제1 서랍장 촬영부(140a)라 하고, 하부 서랍장(104)의 내부, 즉 하부 서랍장(104)의 도어(04a)의 내측면에 마련된 서랍장 촬영부(140)는 제2 서랍장 촬영부(140b)라 한다.
제1, 제2 서랍장 촬영부(140a,140b)를 통해 촬영된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의 내부 정보는 서랍장 통신부(110)를 통해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 서랍장(100)의 내부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400)로 전송되어, 사용자는 단말기(500)를 통해 서랍장(1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음료, 식재료 등이 수납되는 냉장고(200)에는 냉장고 모션감지부(220) 및 냉장고 제어부(230)가 마련된다.
냉장고 모션감지부(220)는 냉장고(200)에 마련되어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부분이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냉장고 모션감지부(220)도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와 마찬가지로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사용자의 동작을 포함하는 모션을 감지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냉장고 모션감지부(220)도 상술한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와 같이 제1 감지센서(미도시)와 제2 감지센서(미도시)로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의 제1 감지센서는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의 제2 감지센서는 냉장고(200)에 대하여 접근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된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냉장고(200)에 대한 접근후 사용자의 동작 감지 결과는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한편, 냉장고 제어부(230)는 냉장고(200)의 조명을 제어하거나 냉장고에 메시지가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부분이다.
즉, 냉장고 제어부(230)는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된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동작 감지 결과를 전송 받은 메인 제어부(300)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고, 전달 받은 신호에 따라 냉장고(200)의 조명을 켜거나 냉장고(200)에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300)는 서랍장 모션감지부(120), 서랍장 제어부(130), 냉장고 제어부(230) 및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와 연결되어 서랍장(100)과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라 서랍장(100) 및 냉장고(200)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부(300)는 서랍장 모션감지부(120)로부터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를 전송 받고, 전송된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서랍장 제어부(130)로 신호를 전달하여 서랍장(100)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가 변경되도록 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300)는 냉장고 모션감지부(220)로부터 전송 받은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라 냉장고 제어부(230)로 신호를 전달하여 냉장고(200)에 조명이 켜지도록 하거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 사용자의 모션 결과, 냉장고(200)의 상태, 서랍장(100)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정보는 메인 통신부(31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40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한편, 냉장고(200)에는 냉장고 통신부(210)가 마련되고, 서랍장(100)에는 서랍장 통신부(110)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냉장고(200)의 상태 정보는 냉장고 통신부(210)를 통해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되고 상부 서랍장(102)과 하부 서랍장(104)의 상태 정보는 서랍장 통신부(110)를 통해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되며,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 냉장고(200)와 상부 서랍장(102)과 하부 서랍장(104)을 포함한 서랍장(100)의 상태 정보는 메인 통신부(31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400)로 전송되어 저장되게 된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버(400)로 전송된 냉장고(200)와 서랍장(100)의 상태 정보는 다시 단말기(500)와 연결되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버(400)와 단말기(500)는 냉장고(200)와 서랍장(1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주고 받게 된다.
참고로, 단말기(5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휴대폰일 수도 있고 별도로 마련된 컨트롤러(미도시) 일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단말기(500)가 클라우드 서버(400)와 연결됨에 따라 냉장고 제어부(230), 서랍장 제어부(130) 및 메인 제어부(3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300)는 전원부(3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부(320)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하여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스위치 제어 방식인 전원 공급 장치(SMPS: Switched Mode Power Supply)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제어부(3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인 제어부(300)와 전원부(320)는 상부 서랍장(102) 또는 하부 서랍장(104) 중에서 어느 하나에 마련되거나 냉장고(200)에 마련되거나 또는 서랍장(100)과 냉장고(200)가 위치된 주방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메인 제어부(300)는 서랍장(100)과 냉장고(200)가 서로 연계되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서랍장(100) 및 냉장고(200) 중에서 어디에 먼저 접근하였는지에 따라 제1 모드와 제2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300)의 제1 모드는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되면, 냉장고 제어부(230)로 신호를 전달하여 냉장고에 조명이 켜지거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제1 모드는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사용자가 서랍장(100)에 접근하여 서랍장(100)에 수납된 주방 용품을 인출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서랍장(100)에서 인출한 주방 용품의 종류에 따라 냉장고(200)에 조명이 켜지도록 하거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300)의 제2 모드는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130)로 신호를 전달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에 해당되는 서랍장(100)의 투명도, 조명,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메인 제어부(300)의 제2 모드는 사용자가 냉장고(200)로부터 음료를 꺼내는 경우와 식재료를 꺼내는 경우로 분리되어 동작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가 냉장고(200)로부터 음료를 꺼내는 경우를 물마시기 라고 하고, 사용자가 냉장고(200)로부터 식재료를 꺼내는 경우를 요리하기 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물마시기를 위하여 냉장고(200)로부터 음료를 꺼내는 경우, 메인 제어부(300)에 의한 제2 모드의 동작을 설명한다.
메인 제어부(300)의 제2 모드는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사용자가 냉장고(200)에 접근하여 냉장고(200)에 수납된 음료를 인출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냉장고(200)에서 인출된 음료의 종류에 해당되는 주방 용품(ex. 컵)이 수납된 서랍장(100)의 투명도, 조명,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서랍장(100)의 투명도가 변경되도록 한다.
이때, 메인 제어부(300)의 제2 모드에서,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냉장고(200)에서 인출된 음료의 종류에 대응되는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100)의 투명도가 변경되고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사용자가 서랍장(100)에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투명도가 변경된 서랍장(100)이 개방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냉장고(200)로부터 식재료를 꺼내는 경우의 메인 제어부(300)에 의한 제2 모드의 동작을 설명한다.
메인 제어부(300)의 제2 모드는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사용자가 냉장고(200)에 접근하여 냉장고(200)에 수납된 식재료를 인출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냉장고(200)에서 인출된 식재료의 종류에 해당되는 주방 용품(ex. 냄비, 후라이팬)이 수납된 서랍장(100)의 투명도, 조명,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 바람작하게는 서랍장(100)의 투명도가 변경되도록 한다.
이때, 메인 제어부(300)의 제2 모드에서,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냉장고(200)에서 인출된 음료의 종류에 대응되는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100)의 투명도가 변경되고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사용자가 서랍장(100)에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투명도가 변경된 서랍장(100)이 개방되도록 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은 후드(600)와 연계되어 동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의 메인 제어부(300)는 주방의 싱크대(미도시), 즉 상부 서랍장(102)과 하부 서랍장(104) 사이에 마련된 후드(600)와 연결되어 서랍장(100)과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라 후드(600)가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후드(hood)는 공기 또는 가스의 송기 및 환기용 관로로서, 식재료의 가열 시 사용되는 가스레인지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식재료가 조리될 때 발생되는 연기나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주방 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300)의 제2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에 후드(600)와 연동되어 함께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냉장고(200)에서 식재료를 꺼내어 요리를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후드(600)는 메인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후드(600)에는 후드 통신부(610)와 후드 제어부(630)가 마련될 수 있다
후드 통신부(610)는 서랍장 통신부(110), 냉장고 통신부(310)와 같은 무선 통신의 형태로, 후드(600)와 메인 제어부(300)를 연결하고 후드(600)의 상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0)로 전송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후드 제어부(630)는 서랍장 제어부(130) 및 냉장고 제어부(230)와 같은 형태로, 메인 제어부(300)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서 후드를 제어하기 위한 부분이다.
참고로, 후드(600)에는 서랍장(100) 및 냉장고(200)와 마찬가지로 후드(6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기 위하여 후드 모션감지부(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후드(600)의 상태 정보는 후드 통신부(610)를 통해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되고,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 후드(600)의 상태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40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300)의 제2 모드에서,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사용자가 냉장고(200)에 접근하여 냉장고(200)에 수납된 식재료를 인출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냉장고(200)에서 인출된 식재료의 종류에 해당하는 주방 용품(ex.냄비, 후라이팬)이 수납된 서랍장(100)의 투명도가 변경된다.
서랍장(100)의 투명도가 변경된 후에,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사용자가 서랍장(100)에 대하여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투명도가 변경된 서랍장(100)이 개방된다. 이때, 메인 제어부(300)는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서랍장(100)이 개방된 후에 서랍장(100)에서 주방 용품이 인출된 것이 감지되면 후드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후드가 작동되도록 한다.
참고로, 메인 제어부(300)는 서랍장(100)으로부터 사용자가 주방 용품을 인출한 것이 감지되지 않고,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서랍장(100)이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되 가스레인지는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후드 제어부(630)로 신호를 전달하여 후드(600)가 미리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의 제어 방법(S100,S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 시스템(10)의 제어 방법(S100,S200) 을 설명하기 전에, 서랍장(100)과 냉장고(200) 각각에 주방 용품과 음료 및 식재료를 수납하고, 서랍장(100)과 냉장고(200)에 수납된 주방 용품 및 음료, 식재료 각각의 위치를 저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을 포함하는 서랍장(100)에 주방 용품을 수납하고, 냉장고(200)에 음료, 식재료 등을 수납한다.
이때, 상부 서랍장(102)과 하부 서랍장(104)에 수납되는 주방 용품은 와인잔, 커피잔, 접시, 그릇, 냄비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 빈도나 용도, 종류, 크기 등에 따라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에 적절하게 나눠서 수납되도록 한다.
또한, 냉장고(200)에 수납되는 음료, 식재료 등은 냉장고의 내부 형태 등에 따라 냉장고(200)의 내부에 적절하게 수납되도록 한다.
그 다음,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와 냉장고(200)에 수납된 음료, 식재료의 위치를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부 서랍장(102) 및 하부 서랍장(104)에 주방 용품을 수납하고, 각각의 서랍장(100)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카메라, 휴대폰 및 음성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냉장고(200)에 음료, 식재료를 수납하고, 냉장고(200)에 수납된 음료, 식재료의 위치를 카메라, 휴대폰 및 음성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서랍장(100)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와 냉장고(200)에 수납된 음료, 식재료의 위치는 서랍장(100)과 연결된 클라우드 서버(400)에 저장된다.
특히, 서랍장(100)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종류와 냉장고(200)에 수납된 음료, 식재료의 종류에 해당되는 텍스트,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또는 음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400)는 메인 통신부(310)를 통해 단말기(500)와 연동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텍스트, 사진 및 음성 중에서 하나의 방법으로 서랍장(100)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와 냉장고(200)에 수납된 음료, 식재료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기(500)를 통해 서랍장(100)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와 냉장고(200)에 수납된 음료, 식재료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S100,S200)은 크게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냉장고(200)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과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서랍장(100)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S100)을 설명한다.
먼저, 서랍장(100)은 대기 모드 단계이다(S110).
이때, 서랍장(100)은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의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닫힘 상태로 유지된다.
참고로, 상부 서랍장(102)과 하부 서랍장(104) 모두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
그 다음,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다(S120).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은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의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다.
특히,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의 제1 감지센서(122)에 의해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감지 결과는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만약,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서랍장 대기 모드 단계(S110)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S130).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S120)에서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S130)를 수행한다.
여기서,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은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의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고,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동작 감지 결과는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만약,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서랍장 대기 모드 단계(S110)로 되돌아간다.
특히,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은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 접근 감지 단계(S120)에서 사용자가 서랍장(100)에 접근한 상태에서의 서랍장(100)에 대한 동작(움직임)을 의미한다. 즉,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의 제1 감지센서(122)와 제2 감지센서(124)의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동작을 함께 감지하게 된다.
한편,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S130)에서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서랍장(100)의 개방 여부와 서랍장(100)으로부터 주방 용품의 인출 여부도 함께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130)에서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에 서랍장(100)이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서랍장(100)으로부터 주방 용품이 인출되었다고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동작 여부는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고,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동작에 따른 서랍장(100)의 개방 여부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의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감지된다. 이때,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감지된 서랍장(100)의 개방 여부에 대한 결과는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그 다음, 서랍장(100)으로부터 인출된 주방 용품의 종류를 감지한다(S140).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130)에서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에 서랍장(100)으로부터 인출된 주방 용품의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S140)를 수행한다.
주방 용품의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S140)에서 서랍장(100)으로부터 인출된 주방 용품의 종류는 서랍장(100)에 마련된 서랍장 촬영부(140)에 의해 감지되고, 감지된 결과는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만약,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서랍장 대기 모드 단계(S110)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냉장고(200)에 알람을 표시한다(S150).
냉장고(200)에 알람을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서랍장(100)으로부터 인출된 주방 용품에 따라 냉장고(200)에 조명이 켜지도록 하거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냉장고 제어부(230)에 의해 냉장고(200)에 조명을 켜거나 메시지가 표시된다. 다시 말해서, 냉장고 제어부(230)는 메인 제어부(300)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에 따라 냉장고(200)에 조명을 켜거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주방 용품의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S140)에서 감지된 주방 용품의 종류가 컵인 경우에, 냉장고(200)의 정수장치(미도시)에 마련된 조명이 켜지도록 하거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S200)을 설명한다.
먼저, 냉장고(200)는 대기 모드이다(S210).
이때, 냉장고(200)는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
그 다음,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다(S220).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은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의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되고,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감지 결과는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만약,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냉장고 대기 모드 단계(S210)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S230).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S220)에서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S230)를 수행한다.
여기서,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은 스마트 주방 시스템(10)의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되고,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동작 감지 결과는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만약,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냉장고 대기 모드 단계(S210)로 되돌아간다.
이때,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은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 접근 감지 단계(S220)에서 사용자가 냉장고(200)에 접근한 상태에서의 냉장고(200)에 대한 동작(움직임)을 의미한다.
한편,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S230)에서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냉장고(200)의 개방 여부와 냉장고(200)로부터 음료, 식재료의 인출 여부도 함께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은 감지하는 단계(S230)에서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에 냉장고(200)가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냉장고(200)로부터 음료, 식재료가 인출되었다고 판단한다.
참고로,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동작 여부는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되고,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동작에 따른 냉장고(200)의 개방 여부는 냉장고 제어부(230)에 의해 감지된다. 이때, 냉장고 제어부(230)에 의해 감지된 냉장고(200)의 개방 여부에 대한 결과는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그 다음, 냉장고(200)에서 인출된 음료, 식재료의 종류를 감지한다(S240).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은 감지하는 단계(S230)에서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에 냉장고(200)로부터 인출된 음료, 식재료의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S240)를 수행한다.
음료, 식재료의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S240)에서 냉장고(200)로부터 인출된 음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식재료의 종류는 냉장고(200)에 마련된 냉장고 촬영부(미도시)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감지된 결과는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참고로, 냉장고 촬영부는 상술한 서랍장 촬영부(140)와 같이 냉장고(200)의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결과를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단말기(500)를 통해 냉장고(20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냉장고 촬영부는 일반적으로 카메라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냉장고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냉장고(2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냉장고 대기 모드 단계(S210)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서랍장(100)의 상태를 변경한다(S250).
음료, 식재료의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S240)에서 감지된 음료와 식재료의 종류에 대응되는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100)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단계(S250)를 수행한다.
이때, 서랍장(100)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S250)는 음료, 식재료의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S240)에서 감지된 종류가 음료인 경우에 메인 제어부(300)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은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음료에 대응되는 컵이 수납된 서랍장(100)이 투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랍장(100)이 투명한 상태가 되면 사용자가 서랍장(100)을 열지 않고도, 냉장고(200)에서 인출된 음료, 식재료에 대응되는 주방 용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다(S260).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S260)를 수행한다.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은 감지하는 단계(S260)에서의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감지 결과는 메인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이때,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S260)는 서랍장(100)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S250)에서 인출된 식재료에 대응되는 서랍장(100)이 투명하게 변경된 상태에서 수행된다.
그 다음, 서랍장의 상태를 재변경한다(S270).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S260)에서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투명도가 변경된 서랍장(100)의 상태를 재 변경하는 단계(S270)를 수행한다.
여기서, 서랍장의 상태를 재변경하는 단계(S270)는, 서랍장(100)에서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S260)에서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 메인 제어부(300)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은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투명도가 변경된 서랍장(100)이 개방되도록 한다.
만약, 서랍장 모션감지부(120)에 의해 서랍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냉장고 대기 모드 단계(S210)로 되돌아간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200)은 후드 작동 단계(S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드 작동 단계(S280)는 서랍장의 상태를 재변경하는 단계(S270)에서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서랍장(100)이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300)에 의해 후드 제어부(630)로 신호를 전달 하여 후드(600)가 작동되게 된다.
이때, 후드 작동 단계(S280)에서는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서랍장(100)이 개방된 후에 서랍장(100)에서 주방 용품이 인출된 것이 감지되면 후드(600)가 작동되도록 하거나, 서랍장(100)으로부터 사용자가 주방 용품을 인출한 것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서랍장 제어부(130)에 의해 서랍장(100)이 개방만이 감지되는 경우에 후드(600)가 미리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 및 이의 제어 방법(S100,S200)은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과 음료, 식재료가 수납된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IoT 기술을 이용하여 서랍장과 냉장고가 서로 연계되어 작동되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랍장과 냉장고의 제어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주방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더욱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 및 이의 제어 방법(S100,S200)은 IoT 기술에 의하여 서랍장, 냉장고 및 후드가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서랍장과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감지된 결과에 따라 후드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요리 시에 주방의 공기가 쾌적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스마트 주방 시스템
100: 서랍장 110: 서랍장 통신부
120: 서랍장 모션감지부 122: 제1 감지센서
124: 제2 감지센서 126: 레이저 출력모듈
130: 서랍장 제어부 132: 투명도 제어부
134: 조명 제어부 136: 개폐 제어부
140: 서랍장 촬영부 200: 냉장고
210: 냉장고 통신부 220: 냉장고 모션감지부
230: 냉장고 제어부 300: 메인 제어부
310: 메인 통신부 320: 전원부
400: 클라우드 서버 500: 단말기
600: 후드 610: 후드 통신부
620: 후드 제어부

Claims (15)

  1.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랍장을 포함하는 싱크대에 마련되며, 싱크대의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서랍장 모션감지부;
    서랍장에 마련되며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 결과에 따라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서랍장 제어부;
    음료, 식재료가 내부에 수납되는 냉장고에 마련되며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냉장고 모션감지부;
    냉장고에 마련되며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 결과에 따라 냉장고의 조명을 제어하거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냉장고 제어부; 및
    서랍장 모션감지부, 서랍장 제어부, 냉장고 제어부 및 냉장고 모션감지부와 연결되며, 서랍장 모션감지부로부터 전송 받은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라 서랍장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주방용품이 수납된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서랍장에 수납된 주방용품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냉장고 모션감지부로부터 전송 받은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라 냉장고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냉장고에 조명 및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로 전송된 서랍장 및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는 메인 통신부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메인 제어부는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냉장고와 서랍장이 서로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는,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되면 냉장고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냉장고에 조명이 켜지거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1 모드; 및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에 해당되는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하는 제2 모드; 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모드는,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서랍장에 접근하여 서랍장에 수납된 주방 용품을 인출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서랍장에서 인출된 주방 용품의 종류에 따라 냉장고에 조명이 켜지도록 하거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인, 스마트 주방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제2 모드는,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하여 냉장고에 수납된 음료를 인출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냉장고에서 인출된 음료의 종류에 해당되는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인, 스마트 주방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제2 모드는,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하여 냉장고에 수납된 음료를 인출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냉장고에서 인출된 음료의 종류에 대응되는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의 투명도가 변경되고,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서랍장에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투명도가 변경된 서랍장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인, 스마트 주방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제2 모드는,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하여 냉장고에 수납된 식재료를 인출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냉장고에서 인출된 식재료의 종류에 해당되는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인, 스마트 주방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제2 모드는,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하여 냉장고에 수납된 식재료를 인출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냉장고에서 인출된 식재료의 종류에 해당하는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의 투명도가 변경되고,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서랍장으로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투명도가 변경된 서랍장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인, 스마트 주방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는 싱크대에 마련된 후드와 연결되고,
    제2 모드는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서랍장이 개방되면 후드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 하여 후드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인, 스마트 주방 시스템.
  10.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랍장 제어부는,
    서랍장의 투명도를 감지하며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아 서랍장의 투명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투명도 제어부;
    서랍의 내부 조도를 감지하며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아 서랍장 내부의 조명이 변경되도록 하는 조명 제어부; 및
    서랍장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며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아 서랍장을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개폐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모션감지부는,
    냉장고 및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동작을 포함하는 모션을 감지하고,
    냉장고 및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 및
    냉장고 및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 를 포함하며,
    메인 제어부는 제1 감지센서 및 제2 감지센서에 의해 냉장고 및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한 후에 동작한 것으로 감지되면 서랍장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인, 스마트 주방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서랍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에 대한 정보는 단말기로 전송되고 서랍장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는 단말기를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메인 제어부, 서랍장 제어부 및 냉장고 제어부는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마련된, 스마트 주방 시스템.
  13. 제12항의 기재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서랍장에서 인출된 주방 용품의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 및
    냉장고 제어부에 의해 냉장고에 알람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냉장고에 알람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서랍장으로부터 인출된 주방 용품에 따라 냉장고에 조명이 켜지도록 하거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2항의 기재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냉장고 모션감지부에 의해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냉장고 제어부에 의해 냉장고로부터 음료 또는 식재료의 인출을 감지하는 단계; 및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서랍장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서랍장에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에서,
    냉장고에서 인출된 음료 또는 식재료의 종류에 해당되는 주방 용품이 수납된 서랍장의 투명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서랍장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이후에,
    서랍장 모션감지부에 의해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서랍장 제어부에 의해 서랍장의 상태를 재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서랍장에 상태를 재변경하는 단계에서, 서랍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투명도가 변경된 서랍장이 개방되도록 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200094303A 2020-07-29 2020-07-29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14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303A KR20220014562A (ko) 2020-07-29 2020-07-29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303A KR20220014562A (ko) 2020-07-29 2020-07-29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562A true KR20220014562A (ko) 2022-02-07

Family

ID=80253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303A KR20220014562A (ko) 2020-07-29 2020-07-29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45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966A (ko) 2009-12-09 2011-06-15 (주)바소콤 스마트 수납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966A (ko) 2009-12-09 2011-06-15 (주)바소콤 스마트 수납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5010B2 (en) Sensor system for refrigerator
US8745203B2 (en) Mechanical proximity sensor enabled eService connector system
US20110153739A1 (en) Proximity Sensor Enabled eService Connector System
CN111350243A (zh) 智能水槽
JP6265868B2 (ja) 加熱調理器、加熱調理システム、及び、加熱調理器の制御方法
CN203969676U (zh) 智能餐饮系统
US20150234364A1 (en) Method for operating kitchen appliance
KR20220026253A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661754B1 (ko) 살균 및 조명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14562A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8064858U (zh) 一种消毒式自动出碗柜内部结构
WO2019187376A1 (ja) 吐水制御装置、吐水制御システム、及び吐水制御方法
JP6948213B2 (ja) 冷蔵庫
JPH1019457A (ja) 多機能形冷蔵庫
KR20220016594A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
US20210214992A1 (en) Method of controlling food cabinet
KR100521945B1 (ko) 유도 가열 조리기
CN210713324U (zh) 智能交互墙壁
CN111150310B (zh) 烹饪调料添加设备、炊具和烹饪方法
KR20220045925A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KR20220045924A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CN109619866A (zh) 一种智能橱柜
CN113876125B (zh) 一种用于厨柜的智能交互系统
CN112113393A (zh) 冰箱空置传感器
CN215993243U (zh) 厨房集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