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594A -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594A
KR20220016594A KR1020200096698A KR20200096698A KR20220016594A KR 20220016594 A KR20220016594 A KR 20220016594A KR 1020200096698 A KR1020200096698 A KR 1020200096698A KR 20200096698 A KR20200096698 A KR 20200096698A KR 20220016594 A KR20220016594 A KR 20220016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kitchen
control unit
user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관서
차순도
서상훈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096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6594A/ko
Publication of KR20220016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47B77/12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for attachment of portable kitchen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6Laser light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은,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장을 포함하는 싱크대에 마련되며,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 수납장에 마련되어 수납장의 투명도, 조명,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수납장 제어부; 및 모션 감지부로부터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를 전송 받고, 전송 받은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수납장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수납장의 투명도, 조명,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수납장에 수납된 주방용품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마련된 메인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SMART KITCHEN SYSTEM AND METHOD FOR KITCHEN APPLIANCE SEARCHING}
본 발명은 스마트 주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따라 주방 수납장의 내부를 보고, 열고, 닫을 수 있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란 실내에 배치하여 일상생활에 쓰이는 도구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예컨대, 가구는 옷장, 테이블과 같이 이동 가능한 것과 벽난로 등과 같이 건물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있다.
가구는 크게 장롱, 침대, 소파 등 실내용 가구와 싱크대, 식탁 등 주방용 가구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주방용 가구에는 싱크대가 있다.
싱크대는 그 상면에 설거지를 할 수 있도록 수전이 마련된 개수대가 갖춰지며, 개수대의 주변으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대가 마련되고, 가스레인지 등을 올려놓고 음식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대가 마련된다.
이러한 싱크대는 주방의 벽면에 배치되며 상부 및 하부로 나뉘어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싱크대는 조리, 취사를 위한 접시, 그릇, 냄비 등의 주방용 기구나 각종 비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상부 수납장과, 상단부에는 개수대, 조리대 및 가열대가 구비되고 상부 수납장과 마찬가지로 조리, 취사를 위한 접시, 그릇, 냄비 등의 주방용 기구나 각종 비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하부 수납장이 구분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상부 수납장 및 하부 수납장을 포함하는 싱크대는 내부가 투영되지 않도록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리, 취사 시 필요한 접시, 그릇, 냄비 등의 주방용 기구나 각종 비품 들이 필요할 경우 상부 수납장이나 하부 수납장을 일일이 열어서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부 수납장 및 하부 수납장을 포함하는 싱크대는 조리, 취사를 위한 주방용 기구나 각종 비품의 수납 용도와 디자인적 용도에 중점을 두고 설치되므로, 상부 수납장 및 하부 수납장 내부의 온/습도 조절, 수납공간 활용, 수납장 내부 살균소독, 수납장 내/외부의 조명 기능과 같은 기능적 요소는 고려하지 않는다.
한편, 최근에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을 이용하여 주거 생활의 환경 편의성을 높이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발달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센서 기술 등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방용 가구나 전자 제품을 서로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사용자가 주방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로 마련된 단말기에 주방용 가구나 전자 제품들이 모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방에서 사용하는 전자 제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방용 가구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국내 등록특허 10-1866262호(2018.06.04.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와 모션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수납장에 수납된 그릇, 냄비 등의 주방용 기구나 각종 비품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수납장의 개폐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장을 포함하는 주방가구에 마련되며,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 수납장에 마련되어 수납장의 투명도, 조명,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수납장 제어부; 및 모션 감지부로부터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를 전송 받고, 전송 받은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수납장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주방용품이 수납된 수납장의 투명도, 조명,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수납장에 수납된 주방용품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마련된 메인 제어부; 스마트 주방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수납장 내부에 마련되어 수납장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를 더 포함하고, 촬영부에서 촬영된 수납장 내부 정보는 메인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로 전송된 수납장의 투명도, 수납장의 조명, 수납장의 개폐 여부 및 촬영된 수납장 내부 정보는 통신부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수납장에 대한 정보는 통신부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수납장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는, 단말기를 통해 주방 용품의 위치를 보여주거나 수납장의 투명도가 변경되어 보여지거나 수납장이 개방되어 보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납장 제어부는,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아 수납장의 투명도가 변경되도록 마련된 투명도 제어부;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아 수납장 내부의 조명이 변경되도록 마련된 조명 제어부; 및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아 수납장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마련된 개폐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와 투명도 제어부, 조명 제어부 및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납장 제어부는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션 감지부는,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수납장에 대하여 접근한 이후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모듈; 및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사용자가 수납장으로 접근하여 동작한 것이 감지되면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지면을 향해 레이저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레이저 출력 모듈; 을 포함하고,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동작이 감지되면 수납장 제어부에 의해 수납장의 투명도가 변경되어 수납장에 수납된 주방용품이 보여지도록 하거나 레이저 출력 모듈로부터 지면을 향해 레이저가 발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이저 출력 모듈로부터 지면을 향해 발생되는 레이저는 그 형태가 변경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납장은 상부 수납장 및 하부 수납장을 포함하고, 메인 제어부 및 전원부는 상부 수납장 및 하부 수납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모션 감지부와 투명도 제어부, 조명 제어부 및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납장 제어부는 상부 수납장 및 하부 수납장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을 이용한 주방 용품을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납장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주방 용품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주방 용품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알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방 용품 검색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주방 용품의 위치를 알람하는 단계에서, 검색된 주방 용품의 위치는 단말기로 알람하거나 수납장의 투명도를 변경하거나 수납장이 개방되도록 하여 알려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주방 용품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주방 용품의 위치는 사진, 텍스트, 소리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저장되고, 주방 용품을 검색하는 단계에서, 사진, 텍스트, 소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주방 용품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주방 용품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수납장에 수납된 주방 용품은 종류별로 분류되어 그 위치가 저장되며, 주방 용품을 검색하는 단계에서, 수납장에 종류별로 수납된 주방 용품은 종류별로 검색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주방 용품의 위치를 알람하는 단계에서, 종류별로 검색된 주방 용품의 위치는 단말기로 알람하거나 해당 주방 용품이 위치된 수납장의 투명도를 변경하거나 개방하여 알려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수납장의 내부를 보지 않고도 감지된 위치와 모션에 따라 수납장의 투명도, 조명을 변경하거나 수납장을 개폐하여 사용자에게 수납장에 수납된 그릇, 냄비 등의 주방용 기구나 각종 비품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수납장의 열림 또는 닫힘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주방 시스템이 마련된 상부 수납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주방 시스템이 마련된 하부 수납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상부 수납장이 닫힘 상태인 경우와 열림 상태인 경우에서의 사용자의 모션에 의하여 상부 수납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한 하부 수납장인 닫힘 상태인 경우와 열림 상태인 경우에서의 사용자의 모션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스마트 주방 시스템을 이용한 주방 용품 검색 방법을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주방 용품 검색 방법에서 주방 용품을 등록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주방 용품 검색 방법을 이용한 주방 용품을 검색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0)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S100)을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0)은 모션 감지부(130), 수납장 제어부(120), 메인 제어부(110) 및 전원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0)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대,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대 및 음식 조리에 사용하는 그릇, 냄비, 주방 용품 및 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개수대를 포함하는 주방용 가구, 바람직하게는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마트 주방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주방용 가구를 싱크대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그릇, 냄비 등과 같은 주방 용품이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장을 포함한다.
싱크대는 주방의 벽면에 배치되어 내부에 주방 용품이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상부 수납장과 개수대, 조리대 및 가열대를 포함하며 내부에 주방 용품이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하부 수납장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모션 감지부(130)는 주방가구, 즉 싱크대(미도시)에 마련되어 수납장(100)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모션 감지부(130)는 상부 수납장(102)과 하부 수납장(104)에 각각 마련되며, 상부 수납장(102)과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한다.
이때, 모션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모션은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사용자의 동작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수납장(102)의 내부에 제1 모션 감지부(130a)가 마련되어 상부 수납장(102)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사용자의 동작, 예를 들어 상부 수납장(102)을 개폐하기 위한 동작을 감지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수납장(104)의 내부에 제2 모션 감지부(130b)가 마련되어, 하부 수납장(104)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사용자가 상부 수납장(102)을 개폐하려고 하는 동작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내부에 각각 마련된 제1 모션 감지부(130a) 및 제2 모션 감지부(130b)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접근과 사용자의 동작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은 후술하는 메인 제어부(110)로 그 결과가 전송된다.
여기서, 모션 감지부(130)는 감지 센서 모듈(132) 및 레이저 출력 모듈(134)을 포함한다.
모션 감지부(130)의 감지 센서 모듈(132)은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마련되어 상부 수납장(102)으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메인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감지 센서 모듈(132)은 제1 감지센서(미도시)와 제2 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는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부분이고, 제2 감지센서는 수납장(100)으로 사용자가 접근한 후의 동작을 감지하는 부분이다.
예컨대, 제1 감지센서는 감지 거리의 길이가 긴 센서를 사용하여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제2 감지센서는 제1 감지센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감지 거리가 짧은 센서를 사용하여 수납장(100)으로 사용자가 접근하고 난 이후의 동작을 감지한다.
즉, 제1 감지센서를 통해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단순한 접근을 감지하고, 제2 감지센서를 통해 수납장(100)으로 접근한 이후의 사용자의 동작(수납장 개폐 등)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감지 센서 모듈(132)은 초음파 센서, 레이다 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감지 센서 모듈(132)은 센서의 종류에 따라 설치되는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 센서 모듈(132)은 제1 감지센서와 제2 감지센서의 두 개의 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고, 하나의 센서로 마련되어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접근 후의 동작을 감지할 수도 있다.
모션 감지부(130)의 레이저 출력 모듈(134)은 감지 센서 모듈(132)에 의해 사용자가 상부 수납장(102) 또는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 메인 제어부(110)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지면을 향해 레이저(laser)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도 2 및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감지 센서 모듈(132) 및 레이저 출력 모듈(134)은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모션 감지부(130)의 감지 센서 모듈(132)은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각각에 마련되고 레이저 출력 모듈(134)은 하부 수납장(104)에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출력 모듈(134)은 사용자의 상부 수납장(102) 또는 하부 수납장(104)에 대한 접근이 감지되면 지면을 향해 레이저를 출력해야 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레이저 출력 모듈(134)로부터 지면을 향해 발생되는 레이저는 그 형태가 변경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레이저 출력 모듈(134)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의 형태는 사용자가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레이저 출력 모듈(134)로부터 레이저가 발생되면 후술할 수납장 제어부(120)에 의해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의 투명도가 각각 변경되어 수납장에 수납된 주방 용품이 보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납장 제어부(120)는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즉, 수납장 제어부(120)는 모션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사용자의 동작 감지 결과를 전달 받은 메인 제어부(110)에 의해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전면 부분이 투명도가 변경되도록 하거나,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 내부의 조명이 변경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이 개폐를 제어한다.
이러한 수납장 제어부(120)는 투명도 제어부(122), 조명 제어부(124) 및 개폐 제어부(126)를 포함한다.
투명도 제어부(122)는 메인 제어부(110)로부터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동작을 감지한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전달 받아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일부분을 투명하거나 또는 불투명하도록 제어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도 제어부(122)는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에 각각 마련된다. 참고로,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에 마련되는 투명도 제어부(122)는 제1 투명도 제어부(122a)라 하고,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에 마련되는 투명도 제어부(122)는 제2 투명도 제어부(122b)라 한다.
제1, 제2 투명도 제어부(122a,122b)는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의 유리 소재로 마련된 부분에 전류를 가한다. 그러면,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의 유리 소재로 마련된 부분이 투명하게 되어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제2 투명도 제어부(122a,122b)에 의해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의 일부가 투명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나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를 열지 않고도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을 일일이 열지 않고도 찾고자 하는 주방 용품이 어디에 위치되어 있는지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제2 투명도 제어부(122a,122b)는 모션 감지부(130)를 통해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나 모션이 감지되었다고 신호를 전달 받은 경우에,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을 둘 다 투명하게 할 수도 있고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 중에서 해당되는 부분만 투명하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을 열지 않고도 필요한 주방 용품을 찾을 수도 있다.
반대로, 제1, 제2 투명도 제어부(122a,122b)로부터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에 전류가 가해지지 않거나 가해지던 전류가 중단되면,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는 불투명하게 되어 사용자가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을 열지 않고는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내부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의 각각에는 PLDC 필름이 사용되는 유리 또는 변색 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유리에 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명 제어부(124)는 메인 제어부(110)로부터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동작을 감지한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전달 받아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 각각의 내부 조명이 변경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제어부(124)는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내부에 각각 마련된다.
이때, 상부 수납장(102)에 마련된 조명 제어부(124)는 제1 조명 제어부(124a)라 하고, 하부 수납장(104)에 마련된 조명 제어부(124)는 제2 조명 제어부(124b)라 한다.
이러한, 제1, 제2 조명 제어부(124a,124b)는 일종의 LED 조명으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대하여 사용자가 접근했다고 감지되거나 사용자의 동작에 있어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내부를 밝게 하거나, 어둡게 한다.
개폐 제어부(126)는 메인 제어부(110)로부터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및 동작을 감지한 결과에 따른 신호를 전달 받아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 각각을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제어하는 부분이다.
개폐 제어부(126)는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내부에 각각 마련된다. 이때, 상부 수납장(102)에 마련되는 개폐 제어부(126)를 제1 개폐 제어부(126)라 하고, 하부 수납장(104)에 마련되는 개폐 제어부(126)를 제2 개폐 제어부(126)라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폐 제어부(126)는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의 힌지 부분에 마련되어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가 힌지 부분의 힌지 축을 중심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개폐 제어부(126)는 하부 수납장(104)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104a)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제2 개폐 제어부(126a, 126b)는 모터(motor) 등으로 마련되어 메인 제어부(110)로부터 받은 개폐 신호에 따라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를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모션 감지부(130)에 의하여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으로 사용자가 접근하였다고 감지되면, 이러한 감지 결과는 메인 제어부(110)로 전송된다. 이 결과를 수신 받은 메인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거나 찾고 있는 주방 용품이 수납되어 있는 상부 수납장(102) 또는 하부 수납장(104)에 마련된 개폐 제어부(126)로 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수납장이 개방되도록 한다.
한편, 메인 제어부(110)는 모션 감지부(130)로부터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를 전송 받고, 전송 받은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에 따라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를 위하여 투명도 제어부(122), 조명 제어부(124) 및 개폐 제어부(126)를 포함하는 수납장 제어부(120)로 신호를 전달하여 수납장의 상태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110)는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 각각에 마련된 제1, 제2 모션 감지부(130a,130b)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수납장 제어부(120), 즉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각각에 마련된 제1, 제2 투명도 제어부(122a,122b), 제1, 제2 조명 제어부(124a,124b) 및 제1, 제2 개폐 제어부(126a,126b)를 제어하여,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 또는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의 투명도를 변경하거나, 상부 수납장(102) 또는 하부 수납장(104)의 조명을 변경하거나 또는 상부 수납장(102) 또는 하부 수납장(104)을 개폐하여 수납장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전원부(140)는 모션 감지부(130), 투명도 제어부(122), 조명 제어부(124) 및 개폐 제어부(126)를 포함하는 수납장 제어부(120) 및 메인 제어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예컨대, 전원부(140)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하여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스위치 제어 방식인 전원 공급 장치(SMPS: Switched Mode Power Supply)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제어부(11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부(150)는 상부 수납장(102)의 내부, 즉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에 마련되는 제1 촬영부(150a)와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에 마련되는 제2 촬영부(150b)를 포함한다.
제1 촬영부(150a) 및 제2 촬영부(150b)를 통해 촬영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내부 정보는 메인 제어부(110)로 전송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110)로 전송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투명도,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조명,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개폐 여부, 그리고 촬영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내부 정보는 통신부(16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17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170)로 전송되어 저장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대한 세부 상태 정보는 통신부(160)에 의하여 다시 단말기(180)로 전송된다.
단말기(18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휴대폰일 수도 있고, 스마트 주방 시스템(100)을 제어하기 위하여 별도로 마련된 컨트롤러(미도시)일 수도 있으며, 단말기(180)의 형태는 변경될 수 있다.
참고로, 단말기(180)는 메인 제어부(110)와, 투명도 제어부(122), 조명 제어부(124) 및 개폐 제어부(126)를 포함하는 수납장 제어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는 단말기(180)를 통하여 볼 수도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 또는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의 투명도가 변경(투명해짐)되어 보여지거나 또는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가 개방되어 보여지도록 마련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110) 및 전원부(140)는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 중에서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고, 반면에 모션 감지부(130)와 투명도 제어부(122), 조명 제어부(124) 및 개폐 제어부(126)를 포함하는 수납장 제어부(120)는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메인 제어부(110) 및 전원부(140)는 하부 수납장(104)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모션 감지부(130), 메인 제어부(110), 수납장 제어부(120) 및 촬영부(150)는 전원부(140)와 연결되어 전원부(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야 하는데, 이때 전원부(140)를 상부 수납장(102)에 마련되게 되면 모션 감지부(130), 메인 제어부(110), 수납장 제어부(120) 및 촬영부(150)와의 연결이 번거롭게 되고, 그에 따라 싱크대가 지저분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전원부(140) 및 메인 제어부(110)가 하부 수납장(104)에 마련됨에 따라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을 포함하는 전기 배선이 싱크대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되어 싱크대의 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모션에 의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상부 수납장(102)이 닫힘 상태인 경우와 열림 상태인 경우에서의 사용자의 모션에 의하여 상부 수납장(102)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수납장(102)은 대기 모드 상태이며, 닫힘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감지 센서 모듈(132)은 제1 감지센서 및 제2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부 수납장(102)의 내부에 위, 아래로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 센서 모듈(132)은 센서의 종류에 따라 하나로 마련될 수 있지만,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0)의 경우에는 감지 센서 모듈(132)이 제1 감지 센서 및 제2 감지 센서로 분리되어 마련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그 다음, 상부 수납장(102)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간격을 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제1 모션 감지부(130a)에 마련된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을 판단한다.
이때,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하인지 또는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부 수납장(102)의 대기 모드로 되돌아 간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부 수납장(102)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을 판단한다.
이때,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2s가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참고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2s로 짧은 이유는 센서의 특성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센서는 노이즈를 포함한 데이터를 그대로 가공 없이 전송하기 때문에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감지 센서 모듈(132)에 의해 수납장(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시간과 필터링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납장(100)으로의 접근 후의 동작에 대한 의도가 없음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2s가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을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2s가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제1 모션 감지부(130a)에 마련된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부 수납장(102)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간격을 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이후의 상부 수납장(102)에 대한 사용자와의 간격을 판단한다.
이때,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이후의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부 수납장(102)의 대기 모드로 되돌아 간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부 수납장(102)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을 판단한다.
이때,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1.0s 가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1.0s를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을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1.0s가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부 수납장(102)의 투명도를 변경한다.
이때, 상부 수납장(102)의 투명도는 투명 상태(ON)를 의미한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을 판단한다.
이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하로 동시에 감지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감지 센서에 의해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부 수납장(102)의 대기 모드로 되돌아 간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하라고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부 수납장(102)의 조명 상태를 변경한다.
이때, 상부 수납장(102)의 내부 조명은 밝은 상태이다(ON).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 가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감지 센서가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를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을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 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제1 개폐 제어부(126a)가 동작하여 상부 수납장(102)을 열림(개방 상태)으로 변경되도록 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수납장(102)은 대기 모드 상태이며, 열림 상태를 의미한다.
그 다음, 제1 모션 감지부(130a)의 감지 센서 모듈(132), 즉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을 판단한다.
이때,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가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하로 동시에 감지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감지 센서에 의해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상이라고 감지된 경우에는 상부 수납장(102)의 대기 모드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 모두에 의해 상부 수납장(102)과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하라고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부 수납장(102)의 조명을 변경한다.
이때, 상부 수납장(102) 내부의 조명은 밝은 상태이다(ON).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 가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감지 센서에 의해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를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부 수납장(102)의 대기 모드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를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 개폐 제어부(126a)가 동작하여 상부 수납장(102)을 닫힘 상태(폐쇄 상태)로 만들게 된다.
그 다음, 상부 수납장(102)이 닫힘 상태가 된 후에,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를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 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 개폐 제어부(126a)에 의하여 상부 수납장(102)을 닫힘 상태로 만드는 단계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상부 수납장(102)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 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 촬영부(150a)를 제어하여 상부 수납장(102)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한다(ON).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하부 수납장(104)이 닫힘 상태인 경우와 열림 상태인 경우에서의 하부 수납장(104)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수납장(104)은 대기 모드이며, 닫힘 상태(수납장 폐쇄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하부 수납장(104)에 마련되는 제2 모션 감지부(130b)의 감지 센서 모듈(132)은 상부 수납장(102)에 마련된 제1 모션 감지부(130a)와 같이 두 개,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로 마련된다.
하부 수납장(104)의 내부에 마련된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는 하부 수납장(104)의 내부에 각각 위, 아래로 배치된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과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을 판단한다.
이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과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500mm 이하로 감지되는지를 판단하고,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과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하로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과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500mm 이상이고,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과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하부 수납장(104)의 대기 모드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과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500mm 이하이고,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과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하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을 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2s가 경과되었는지 판단하고,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5s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2s가 경과되지 않았고,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5s가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 하부 수납장(104)의 대기 모드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2s가 경과된 경우에 제2 모션 감지부(130b)의 레이저 출력 모듈(134)을 이용하여 지면을 향해 레이저가 발생되도록 한다(레이저 출력: ON).
또한,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5s가 경과된 경우에, 하부 수납장(104)에 마련된 투명도 제어부(122a)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의 투명도를 변경한다.
이때,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의 투명도는 투명 상태이다(투명도 변경: ON).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을 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0s가 경과되었는지 판단하고,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5s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0s가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레이저 출력 모듈(134)을 이용하여 지면을 향해 레이저를 출력하는 단계로 되돌아간다.
또한,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5s가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하부 수납장(104)의 대기 모드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0s가 경과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2 모션 감지부(130b)의 레이저 출력 모듈(134)로부터 지면을 향해 발생되었던 레이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레이저 출력: OFF).
또한,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5s가 경과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2 조명 제어부(124b)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 내부의 조명을 변경한다. 이때, 하부 수납장(104) 내부의 조명은 밝음 상태이다(조명 변경: ON).
그 다음, 하부 수납장(104) 내부의 조명을 변경한 이후에,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가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하부 수납장(104)의 대기 모드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 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2 촬영부(150b)를 제어하여 하부 수납장(104)의 내부가 촬영되도록 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수납장(104)은 대기 모드 상태이며, 열림 상태(개방 상태)를 의미한다.
그 다음, 제2 모션 감지부(130b)의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과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을 판단한다.
이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과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500mm 이하로 감지되는지를 판단하고,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과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하로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과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500mm 이상이고,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과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하부 수납장(104)의 대기 모드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과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500mm 이하이고,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과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와의 간격이 150mm 이하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을 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2s가 경과되었는지,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5s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2s가 경과되지 않았고,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5s가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 하부 수납장(104)의 대기 모드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2s가 경과된 경우에 제2 모션 감지부(130b)의 레이저 출력 모듈(134)을 이용하여 지면을 향해 레이저가 발생되도록 한다(레이저 출력: ON).
또한,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0.5s가 경과된 경우에, 하부 수납장(104)에 마련된 제2 투명도 제어부(122b)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의 투명도를 변경한다. 이때,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의 투명도는 투명 상태이다(투명도 변경: ON).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와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을 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0s가 경과되었는지,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0s가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레이저 출력 모듈(134)을 이용하여 지면을 향해 레이저를 출력하는 단계로 되돌아간다. 또한,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이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하부 수납장(104)의 대기 모드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1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0s가 경과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2 모션 감지부(130b)의 레이저 출력 모듈(134)로부터 지면을 향해 발생되었던 레이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레이저 출력: OFF).
또한,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2 개폐 제어부(126b)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를 닫힘 상태(폐쇄 상태)로 변경한다.
그 다음,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를 닫힘 상태로 변경한 이후에,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가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2 개폐 제어부(126b)를 이용하여 하부 수납장(104)을 닫힘 상태로 만드는 단계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 감지 센서 모듈(132)의 제2 감지 센서에 의하여 하부 수납장(104)으로 접근한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간이 3.0s 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2 촬영부(150b)를 제어하여 하부 수납장(104)의 내부가 촬영되도록 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검색 방법(S100)을 설명한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검색 방법(S100)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주방 용품을 수납한다(S110).
이때,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수납되는 주방 용품은 와인잔, 커피잔, 접시, 그릇, 냄비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 빈도나 용도, 종류 등에 따라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적절하게 나뉘어 수납된다.
그 다음,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저장한다(S120).
사용자는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주방 용품을 수납하고 난 뒤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카메라, 휴대폰 또는 음성으로 저장한다.
이때, 주방 용품의 위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100)의 클라우드 서버(170)에 카메라 사진, 휴대폰이나 단말기 등을 통해 텍스트 또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저장될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170)는 통신부(160)를 통해 단말기(180)와 연동된다.
그 다음, 클라우드 서버(170)에 저장된 주방 용품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주방 용품을 검색한다(S130).
사용자는 단말기(180)를 이용하여 사진, 텍스트 및 음성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가 검색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알람한다(S140).
사용자는 단말기(180)를 통해 사진, 텍스트 및 음성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검색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알람받을 수 있다.
이때, 검색된 주방 용품의 위치는 단말기(180)를 통해 해당되는 주방 용품의 사진으로 보여주거나, 해당되는 상부 수납장(102) 또는 하부 수납장(104)을 투명하게 하거나, 또는 상부 수납장(102) 또는 하부 수납장(104)이 열리도록 하여 알려줄 수 있다.
참고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저장(S120)할 때, 상부 수납장(102) 또는 하부 수납장(104)의 각각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그 위치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주방 용품을 검색(S130)할 때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수납된 주방 용품을 종류별로 검색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180)를 이용하여 그릇을 찾는 경우에, 그릇이 수납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위치를 모두 알려줄 수 있다.
이때, 그릇이 수납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위치는 단말기(180)로 사진을 보여주어 알려주거나 해당 주방 용품이 위치된 수납장을 투명하게 하거나 열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검색 방법(S100)에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주방 용품을 등록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은 대기 모드이다.
이때, 대기 모드는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 각각에 주방 용품이 등록되기 전의 상태를 의미한다.
그 다음, 주방 용품의 등록이 감지되었는지, 다시 말해서 주방 용품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버튼이 활성화 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주방 용품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버튼은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단말기(180)에 마련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주방 용품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버튼이 감지되지 않았다면 다시 대기 모드로 돌아간다.
그 다음, 주방 용품의 위치를 저장한다.
이때,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저장할 때에는 사진, 텍스트, 소리(음성)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수납된 주방 용품을 검색할 때에도 사진, 텍스트, 소리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주방 용품의 위치 등록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주방 용품의 위치 등록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주방 용품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로 돌아가서, 주방 용품의 위치를 계속 저장한다.
그 다음, 주방 용품의 위치 등록이 완료되었다면, 상부 수납장(102)의 도어(102a) 및 하부 수납장(104)의 도어(104a)의 투명도를 변경하고,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내부 조명을 변경한다.
이때,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투명도는 불투명한 상태가 되고, 조명은 어두운 상태가 된다(OFF).
그 다음,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한다.
만약,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된 시간이 3.0s 이하, 즉 3.0s가 지나지 않았다면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의 투명도 및 조명을 변경하는 상태로 돌아간다.
반대로,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된 시간이 3.0s 이상, 즉 3.0s 가 지났다면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은 대기 모드가 된다.
이때, 수납장 대기 모드는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주방 용품의 위치 등록 후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검색 방법(S100)에서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 등록된 주방 용품을 검색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은 대기 모드이다.
이때,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에는 주방 용품이 수납되어 있고,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가 등록(저장)된 후를 의미한다.
그 다음, 주방 용품 위치를 검색하는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기(180)의 주방 용품 위치 검색 버튼이 활성화 되었는지, 또는 주방 용품 위치 검색 모드로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주방 용품 위치 검색 버튼이 활성화되었거나, 또는 주방 용품 위치 검색 모드로 진입하지 않았다면, 대기 모드로 돌아간다.
그 다음, 사진, 텍스트, 음성을 이용하여 원하는 주방 용품의 위치를 검색한다.
그 다음, 검색된 주방 용품의 위치가 사용자가 찾은 주방 용품인지 판단한다.
만약, 검색된 주방 용품의 위치가 사용자가 찾는 주방 용품이 아니라면 주방 용품의 위치를 다시 검색한다.
그 다음, 검색된 주방 용품의 위치 결과 또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때, 검색된 주방 용품의 위치 결과 또는 정보는 단말기(180)를 통해 알려주거나, 해당 주방 용품이 수납된 상부 수납장(102) 또는 하부 수납장(104)의 투명도 및 조명을 변경한다.
여기서, 상부 수납장(102) 또는 하부 수납장(104)의 투명도는 투명 상태이고, 조명은 밝은 상태이다.
그 다음, 해당 주방 용품이 수납된 상부 수납장(102) 또는 하부 수납장(104)이 개폐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해당 주방 용품이 수납된 상부 수납장(102) 또는 하부 수납장(104)이 개폐되었다고 판단되는 동시에 개폐된 시간, 즉 모션 감지 시간이 1min 이상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주방 용품이 수납된 상부 수납장(102) 또는 하부 수납장(104)이 개폐되지 않은 경우에는 검색된 주방 용품의 위치 결과 또는 정보를 사용에게 알려주는 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해당 주방 용품이 수납된 상부 수납장(102) 또는 하부 수납장(104)이 개폐되었다고 판단되고, 모션 감지 시간이 1min 이상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은 대기 모드 상태가 된다.
이때,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 대기 모드는 상부 수납장(102) 및 하부 수납장(104)이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가 등록된 후를 의미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100)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S100)은 사용자가 직접 수납장의 내부를 보지 않고도 감지된 위치와 모션에 따라 수납장의 투명도, 조명을 변경하거나 수납장을 개폐하여 사용자에게 싱크대의 수납장에 수납된 그릇, 냄비 등의 주방용 기구나 각종 비품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주방 시스템(100)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S100)은,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수납장의 열림 또는 닫힘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스마트 주방 시스템
102: 상부 수납장
104: 하부 수납장
110: 메인 제어부
120: 수납장 제어부
122(122a,122b): 투명도 제어부
124(124a,124b): 조명 제어부
126(126a,126b): 개폐 제어부
130(130a,130b): 모션 감지부
132: 감지 센서 모듈
134: 레이저 출력 모듈
140: 전원부
150(150a,150b): 촬영부
160: 통신부
170: 클라우드 서버
180: 단말기

Claims (13)

  1.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장을 포함하는 주방가구에 마련되며,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
    수납장에 마련되어 수납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수납장 제어부; 및
    모션 감지부로부터 사용자의 모션 감지 결과를 전송 받고, 전송 받은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수납장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주방용품이 수납된 수납장의 투명도, 조명 및 개폐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수납장에 수납된 주방용품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마련된 메인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수납장 내부에 마련되어 수납장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를 더 포함하고,
    촬영부에서 촬영된 수납장 내부 정보는 메인 제어부로 전송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로 전송된 수납장의 투명도, 수납장의 조명, 수납장의 개폐 여부 및 촬영된 수납장 내부 정보는 통신부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수납장에 대한 정보는 통신부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수납장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는,
    단말기를 통해 주방 용품의 위치를 보여주거나 수납장의 투명도가 변경되어 보여지거나 수납장이 개방되어 보여지도록 마련된, 스마트 주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수납장 제어부는,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아 수납장의 투명도가 변경되도록 마련된 투명도 제어부;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아 수납장 내부의 조명이 변경되도록 마련된 조명 제어부; 및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아 수납장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마련된 개폐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와 투명도 제어부, 조명 제어부 및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납장 제어부는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마련된, 스마트 주방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모션 감지부는,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수납장으로 접근한 이후의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모듈; 및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사용자가 수납장으로 접근하여 동작한 것이 감지되면 메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지면을 향해 레이저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레이저 출력 모듈; 을 포함하고,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수납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동작이 감지되면 수납장 제어부에 의해 수납장의 투명도가 변경되어 수납장에 수납된 주방 용품이 보여지도록 하거나 레이저 출력 모듈로부터 지면을 향해 레이저가 발생되도록 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레이저 출력 모듈로부터 지면을 향해 발생되는 레이저는 그 형태가 변경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수납장은 상부 수납장 및 하부 수납장을 포함하고,
    메인 제어부 및 전원부는 상부 수납장 및 하부 수납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모션 감지부와 투명도 제어부, 조명 제어부 및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납장 제어부는 상부 수납장 및 하부 수납장에 각각 마련되는, 스마트 주방 시스템.
  10. 제9항의 기재에 따른 스마트 주방 시스템을 이용한 주방 용품을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납장에 수납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주방 용품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주방 용품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알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방 용품 검색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알람하는 단계에서,
    검색된 주방 용품의 위치는 단말기로 알람하거나 수납장의 투명도를 변경하거나 수납장이 개방되도록 하여 열려주는, 주방 용품 검색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주방 용품의 위치는 사진, 텍스트, 소리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저장되고,
    주방 용품을 검색하는 단계에서, 사진, 텍스트, 소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주방 용품의 위치를 검색하는, 주방 용품 검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주방 용품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수납장에 수납된 주방 용품은 종류별로 분류되어 그 위치가 저장되며,
    주방 용품을 검색하는 단계에서, 수납장에 종류별로 수납된 주방 용품은 종류별로 검색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주방 용품의 위치를 알람하는 단계에서, 종류별로 검색된 주방 용품의 위치는 단말기로 알람하거나 수납장의 투명도를 변경하거나 개방하여 알려주도록 마련된, 주방 용품 검색 방법.
KR1020200096698A 2020-08-03 2020-08-03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 KR20220016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698A KR20220016594A (ko) 2020-08-03 2020-08-03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698A KR20220016594A (ko) 2020-08-03 2020-08-03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594A true KR20220016594A (ko) 2022-02-10

Family

ID=8025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698A KR20220016594A (ko) 2020-08-03 2020-08-03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65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730B1 (ko) * 2023-07-03 2024-04-23 김태현 모듈식 싱크대 구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262B1 (ko) 2016-03-02 2018-06-12 고진권 조명장치가 구비된 주방용 싱크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262B1 (ko) 2016-03-02 2018-06-12 고진권 조명장치가 구비된 주방용 싱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730B1 (ko) * 2023-07-03 2024-04-23 김태현 모듈식 싱크대 구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5203B2 (en) Mechanical proximity sensor enabled eService connector system
JP5481733B2 (ja) 家具
US20230209167A1 (en) Connected bathroom components
US20110153739A1 (en) Proximity Sensor Enabled eService Connector System
CN111350243A (zh) 智能水槽
CN105534177B (zh) 智能衣柜
KR20220026253A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8529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plumbing fixture, smart mirror, and the like using projected images
KR20220016594A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주방 용품 검색 방법
CN113874818A (zh) 交互式厨房显示器
KR100661754B1 (ko) 살균 및 조명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11023577A (zh) 存储介质、智能面板及热水器的控制方法
KR102157878B1 (ko) 냉장고
KR102132937B1 (ko) 터치식 디지털 잠금장치
KR20220014562A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45925A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KR20220045924A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CN210768342U (zh) 取餐柜
Sithravel et al. Optimizing presence sensing lighting for energy efficiency and user behavioral needs in small Swedish homes
CN110063700A (zh) 一种基于rfid识别的智能洗碗机
EP4151125A1 (en) Cabinet with a hidden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9619866A (zh) 一种智能橱柜
CN113876125B (zh) 一种用于厨柜的智能交互系统
CN220467620U (zh) 净水机
JP7393733B2 (ja) 洗面化粧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