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262A - 관중 유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관중 유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262A
KR20220044262A KR1020220037809A KR20220037809A KR20220044262A KR 20220044262 A KR20220044262 A KR 20220044262A KR 1020220037809 A KR1020220037809 A KR 1020220037809A KR 20220037809 A KR20220037809 A KR 20220037809A KR 20220044262 A KR20220044262 A KR 20220044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
formula
infection
sars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616B1 (ko
Inventor
권선오
진영희
김동언
민정선
김형래
송종환
박철민
이준영
신영섭
김승택
이지혜
장민성
전상은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재단법인 한국파스퇴르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재단법인 한국파스퇴르연구소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20044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중 유래의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코로나바이러스, 보다 구체적으로 MERS-CoV 또는 SARS-CoV-2를 비롯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억제 효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당 감염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항바이러스제제인 Chloroquine 및 Lopinavir보다 우월한 MERS-CoV 또는 SARS-CoV-2 감염억제 효능을 보이고 있다.

Description

관중 유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compound from extract of Dryopteris crassirhizoma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본 발명은 관중 추출물 유래 화합물, 특히 큐놀린계(Quinoid)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중동호흡기증후군)은 베타코로나바이러스 속(genus)에 속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CoV)인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V)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호흡기질환이다. MERS는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보고되었고, 이후 2016년 10월까지 12개 국가에서 1,843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705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질병관리본부 2016). 임상적 특성으로는 심각한 급성호흡기 증상(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을 중심으로 두통, 인후통, 콧물, 근육통,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등을 동반하다가 호흡부전, 패혈성 쇼크, 다발성 장기부전 등의 합병증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ERS-CoV의 발원지는 박쥐인 것으로 규명되었고, 박쥐에 감염된 MERS-CoV가 낙타를 감염시키고, 다시 인간을 감염시키는 것이 가장 유력한 전파경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Zaki, van Boheemen et al. 2012).
2015년 4월 24일 중동지역을 방문하여 2주간 체류하다 귀국한 68세 남자 환자가 우리나라의 첫 번째 MERS 환자로 확진되었고, 증상 발생 이후 약 10일 동안 여러 병의원을 다니며 가족, 타 환자, 의료진 등과 접촉하여 다수의 2차 감염자가 발생하였다. 2015년 MERS 감염이 확진된 환자 수는 185명, 그 중 2015년 9월 2일까지 총 36명이 사망하였다. 이와 같은 MERS 감염자의 증가는 사회,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였고, 국가 보건의료 시스템의 중대한 결점을 드러나게 한 계기가 되었다.
한편, COVID-19(Coronavirus Disease-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Coronavirid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 감염에 의한 호흡기 증후군이다. COVID-19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감염 시 약 1~14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권태감, 기침, 호흡곤란 및 폐렴 등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한 호흡기감염증이 나타나고, 그 외 가래, 인후통, 두통, 객혈과 오심, 설사 등의 증상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령이나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 기저질환을 가진 환자가 주로 증증 또는 사망하였으며, 전 세계 치명률은 약 5.4%로, 2020년 6월 16일 기준 COVID-19 감염이 확진된 환자 수는 8,118,220명이며, 그 중 439,156명이 사망하였다. 한국의 경우 2020년 6월 16일 기준 확진자 수는 12,155명이며, 사망자 수는 278명으로, 치사율 2.29%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MERS와 COVID-19를 비롯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질환에 유효한 공인된 치료제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하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여, MERS 또는 COVID-19 감염의 예방, MERS 또는 COVID-19 감염 환자의 증상 완화 및 치료율 향상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한편, 관중은 면마과(Aspidiaceae)에 속한 다년생 양치식물인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의 뿌리줄기로 熱毒으로 인한 급성염증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전통의학에서 疫病의 치료에 활용해 왔다. 이에 관중의 활성성분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호흡기 감염증상에 유효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하여, 관중의 활성성분 각각의 MERS-CoV 또는 SARS-CoV-2 감염율 억제여부를 측정하였고, 효과적으로 MERS-CoV 또는 SARS-CoV-2 감염을 억제하는 활성성분을 동정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용 물질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관중 유래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분리한 화합물의 코로나바이러스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KR 101393008 B1
본 발명은 관중 유래 큐놀린계(Quinoid) 화합물, 즉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MERS 또는 COVID-19를 비롯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MERS 또는 COVID-19를 비롯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러스는 중동호흡기증후군-코로나바이러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 MERS-CoV) 또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관중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확산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러스는 중동호흡기증후군-코로나바이러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 MERS-CoV) 또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식품은 식품 첨가제, 음료 또는 음료 첨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관중 유래 단일 화합물을 이용한 MERS 또는 COVID-19를 비롯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조성물을 동정하였다. 본 발명으로 동정된 화합물은 MERS 또는 COVID-19 감염억제에 효과적인 기존 항바이러스제제보다 효능이 우월하고, 세포독성이 낮다.
도 1은 드라요크라신 ABBA(Dryocrassin ABBA)의 용량 대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억제효과(● 표시) 및 세포 생존율(dose-dependent inhibition ratio of MERS-CoV infection and cell survival ratio; ▲ 표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필릭식 산 ABA(Filixic acid ABA)의 용량 대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억제효과(● 표시) 및 세포 생존율(dose-dependent inhibition ratio of MERS-CoV infection and cell survival ratio; ▲ 표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클로퀴닌(Chloroquine)의 용량 대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억제효과(● 표시) 및 세포 생존율(dose-dependent inhibition ratio of MERS-CoV infection and cell survival ratio; ▲ 표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로피나비르(Lopinavir)의 용량 대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억제효과(● 표시) 및 세포 생존율(dose-dependent inhibition ratio of MERS-CoV infection and cell survival ratio; ▲ 표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로피나비르(Lopinavir)의 용량 대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감염 억제효과(● 표시) 및 세포 생존율(dose-dependent inhibition ratio of SARS-CoV-2 infection and cell survival ratio; ▲ 표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드라요크라신 ABBA(Dryocrassin ABBA)의 용량 대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감염 억제효과(● 표시) 및 세포 생존율(dose-dependent inhibition ratio of SARS-CoV-2 infection and cell survival ratio; ■ 표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필릭식 산 ABA(Filixic acid ABA)의 용량 대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감염 억제효과(● 표시) 및 세포 생존율(dose-dependent inhibition ratio of SARS-CoV-2 infection and cell survival ratio; ■ 표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관중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큐놀린계(Quinoid)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예방, 개선, 확산 방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A>
Figure pat00003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화학식 2>
Figure pat00005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중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관중 추출물은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관중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상온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관중 추출물은 상기 용매에 의한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더욱 정제하여 분리한 분획물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분획물은 부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시 온도는 4℃ 내지 12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도 천연물로부터 정제된 것과 동일한 활성을 갖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합물은 관중 추출물로부터 단일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예컨대, 실리카겔 또는 셀라이트(celite)겔 컬럼을 이용한 여과(filtration), 액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크기배제(size-exclusion)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ion-exchange) 크로마토그래피,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친화(affinity)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들 크로마토그래피의 조합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란, 환자에게 비교적 비독성이고 무해한 유효작용을 갖는 농도로서 이 염에 기인한 부작용이 화학식 A의 화합물의 이로운 효능을 떨어뜨리지 않는 화학식 A의 화합물의 어떠한 유기 또는 무기 부가염을 의미한다. 이들 염은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질산, 황산, 과염소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젖산, 말레산, 푸마린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글리콘산, 숙신산, 타타르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옥살산, (D) 또는 (L) 말산, 말레산, 메테인설폰산, 에테인설폰산, 4-톨루엔술폰산, 살리실산, 시트르산, 벤조산 또는 말론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염은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및 알칼리 토금속염(칼슘염, 마그네슘염 등)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산부가염으로는 아세테이트, 아스파테이트, 벤즈에이트, 베실레이트, 바이카보네이트/카보네이트, 바이설페이트/설페이트, 보레이트, 캄실레이트, 시트레이트, 에디실레이트, 에실레이트, 포메이트, 퓨마레이트,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큐로네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하이벤제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디드/요오디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말레이트, 말리에이트, 말로네이트, 메실레이트, 메틸설페이트, 나프틸레이트, 2-나프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나이트레이트, 오로테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포스페이트/수소 포스페이트/이수소 포스페이트, 사카레이트, 스테아레이트, 석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알루미늄, 알기닌, 벤자틴, 칼슘, 콜린, 디에틸아민, 디올아민, 글라이신, 라이신, 마그네슘, 메글루민, 올아민, 칼륨, 나트륨, 트로메타민, 아연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코로나바이러스를 억제시키거나 감염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사이클로덱스트린,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화에 관해서는 레밍턴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제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주사제, 흡입제, 피부 외용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 당 0.001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관중 추출물로부터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해 역상 중압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MPLC) 및 고성능 역상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semi-preperative RP-HPLC)를 수행하거나, 분리된 드라요크라신 ABBA(화학식 1, Dryocrassin ABBA) 또는 필릭식산 ABA(화학식 2, filixic acid ABA) 화합물을 이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분리, 합성 방법은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으며, 공지된 화합물로서 구매가 가능하다.
1. in vitro 시험방법
*1.1. 세포 주 및 바이러스
본 발명에 사용한 vero cell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CCL-81; Manassas, VA)을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10% 열 불활성화 소 태아 혈청 및 1× Antibiotic-Antimycotic (Gibco/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가 포함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Welgene, Gyeongsan, Korea)에 담아 37℃에서 5% 이산화탄소 하에서 배양하였다.
MERS-CoV 한국 분리주(MERS-CoV/KOR/KNIH/002_05_2015, Genbank accession no. KT029139.1 [Kim et al., 2015 doi:10.1128/genomeA.00787-15])를 한국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원으로부터 제공받아, 선행문헌(Kim et al., 2016 doi:10.1093/cid/ciw239)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vero cell에서 증식하였다.
SARS-CoV-2(βCoV/KOR/KCDC03/2020)는 한국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공받아, vero cell에서 배양되었다. 세포 생존율 측정을 위한 바이러스 정량(viral titer)은 plaque assays로 vero cell에서 측정하였다.
MERS-CoV와 SARS-CoV-2를 사용한 모든 실험은 한국질병관리본부로부터 승인받은 국립보건원의 강화된 생물 안전 등급 3단계(Biosafety Level 3, BL-3) 봉쇄 절차를 준수한 한국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수행하였다.
1.2. 시약
Chloroquine diphosphate (CQ; C6628)과 Lopinavir (LPV; S1380)는SelleckChem (Houston, TX)에서 구매하였으며, Lopinavir (LPV; GP6351)는 Glentham Life Science (UK)에서 구매하였다. 일차항체로 사용된 항-MERS-CoV spike 항체와 항-SARS-CoV-2 N protein 항체는 Sino Biological Inc. (Beijing, China)로부터 구매하였다. 이차항체인 Alexa Fluor 488 goat anti-rabbit IgG 및 세포핵 염색체인 Hoechst 33342는 MolecularProbes/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에서 구매하였다. 32% Paraformaldehyde (PFA) 수용액과 정상 염소 혈청은 각각 Electron Microscopy Sciences (Hatfield, PA) 및 Vector Laboratories, Inc. (Burlingame, CA)에서 구매하였다.
1.3. 면역형광어세이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 어세이
MERS-CoV에 감염된 세포는 바이러스 단백질을 발현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MERS-CoV spike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세포를 염색하였고 현미경을 통해 감염된 세포를 이미지화 하였다. 감염률(MERS-CoV spike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의 수/총세포수)은 내부에서 개발된 Image Mining 3.0 (IM 3.0) 플러그인으로 측정되었다. 저분자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음성대조군으로 dimethylsulfoxide (DMSO)가 처리된 감염세포를 사용하였고, MERS-CoV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알려진 2개의 화합물(CQ 및 LPV)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이미지 기반 어세이를 최적화 하였다.
1.4. 저분자 화합물 라이브러리
저분자 화합물들은 DMSO에 녹였으며 분석 전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1.5. 이미지기반 저분자 화합물 스크리닝(MERS-CoV)
Vero cell을 각 웰당 1.2×104 세포를 4 mM L-Glutamine 및 1ⅹ Antibiotic-Antimycotic가 포함된 Opti-PRO™SFM에 담아 블랙, 384-웰, 마이크로클리어 플레이트(Clear plates, Greiner bio-one, Kremsmunster, Austria)에 분주하였다. 24시간 후, 저분자 화합물을 바이러스 감염 전에 automated liquid handling system (Apricot Designs, Covina, CA)을 사용하여 각 웰에 첨가하였다. 실험 화합물의 최종 농도에서 용매 DMSO의 농도는 0.5%로 유지하였다. 화합물이 처리된 BL-3 봉쇄실로 옮겨진 후 0.0625 MOI의 MERS-CoV에 감염되었다. 감염 후 24시간에 PFA를 사용(최종 PAF 농도= 4%)하여 감염을 고정하였다. 항-MERS-CoV spike 항체를 고정된 세포에 처리한 후 Alexa Fluor 488 goat anti-rabbit IgG 및 Hoechst 33342를 사용하여 염색하였다. 감염된 세포의 고정 및 염색 후 20× 배율의 형광 이미징 시스템(Perkin Elmer Operetta, 20×,Waltham, MA) 상에서 이미지화 하였다. 저분자 화합물이 처리된 세포의 MERS-CoV에 대한 감염률은 각 플레이트 상에 있는 음성대조군(0% 감염억제율) 및 양성대조군(100% 감염억제율)으로 하여 환산되었다.
1.6. 면역형광어세이를 이용한 용량-반응곡선(DRC) 기반 어세이(SARS-CoV-2)
실험 24시간 전, 각 웰당 1.2×104 Vero cell을 2% FBS와 1× Antibiotic-Antimycotic solution (Gibco)가 포함된 DMEM에 담아 블랙, 384-웰, μClear plates (Clear plates, Greiner bio-one, Kremsmunster, Austria)에 분주하였다. 저분자 화합물의 0.05 ~ 0.5 μM 농도에서 10개의 용량-반응곡선을 생성하였다. 바이러스 감염의 경우, 플레이트가 BSL-3 봉쇄실로 옮겨진 후 0.0125 MOI의 SARS-CoV-2에 감염되었다. 세포를 4% PFA로 24 hpi로 고정시키고 면역형광어세이로 분석하였다. 획득된 이미지를 내부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여 세포 수 및 감염 비율을 정량하고, 항바이러스 활성을 각 플레이트에서 양성(mock) 및 음성(0.5% DMSO)대조군으로 정규화하였다. 용량-반응곡선은 XLfit 4 Software 또는 Prism7을 사용하여 방정식(반응 = 최소반응 + (최대반응 - 최소반응)/(1 +(IC50/농도의 로그값)곡선의 기울기)))에 따라 S자 곡선을 나타내었다. IC50 값은 정규화된 활성 데이터세트-맞춤 곡선으로부터 계산되었다. 모든 IC50 및 CC50 값을 중복 측정하고, Z'-인자와 변동 계수 퍼센트(%CV)를 지표로 하였다.
2. In vitro 시험결과
2.1. 이미지기반 저분자 화합물스크리닝(MERS-CoV)
양성대조군 Chloroquine은 IC50=29.78 μM, CC50>150 μM으로 측정되었고, Lopinavir는 IC50=16.29 μM, CC50>50 μM으로 측정되었다. Dryocrassin ABBA는 IC50=1.380 μM, CC50>100 μM로 측정되었고, Filixic acid ABA는 IC50=2.651 μM, CC50>100 μM로 측정되었다.
2.2. 용량-반응곡선(DRC) 기반 어세이(SARS-CoV-2)
양성대조군 Lopinavir는 IC50=12.998 μM, CC50>50 μM으로 측정되었다. Dryocrassin ABBA는 IC50=18.40 μM, CC50>29.81 μM로 측정되었고, Filixic acid ABA는 IC50=25.90 μM, CC50>50 μM로 측정되었다.
실험결과, Dryocrassin ABBA (화학식 1) 또는 Filixic acid ABA (화학식 2) 화합물은 기존 항바이러스 제제인 Choloroquine 및 Lopinavir보다 우월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제제예 1-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1 2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1-2. 주사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1 100㎎,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상기 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화학식 2>
    Figure pat00007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관중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확산 방제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8

    <화학식 2>
    Figure pat00009

  4.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에 의한 감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0

    <화학식 2>
    Figure pat0001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식품 첨가제, 음료 또는 음료 첨가제인, 식품 조성물
  6.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에 의한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2

    <화학식 2>
    Figure pat00013
KR1020220037809A 2019-07-30 2022-03-28 관중 유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548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92598 2019-07-30
KR1020190092598 2019-07-30
KR1020200094655A KR102383026B1 (ko) 2019-07-30 2020-07-29 관중 유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655A Division KR102383026B1 (ko) 2019-07-30 2020-07-29 관중 유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262A true KR20220044262A (ko) 2022-04-07
KR102548616B1 KR102548616B1 (ko) 2023-06-28

Family

ID=745593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655A KR102383026B1 (ko) 2019-07-30 2020-07-29 관중 유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20037809A KR102548616B1 (ko) 2019-07-30 2022-03-28 관중 유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655A KR102383026B1 (ko) 2019-07-30 2020-07-29 관중 유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83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100040A1 (sv) * 2021-05-26 2022-11-27 Lars Norrman Covid vaccin utan biverkninga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8940A (ko) * 2012-06-12 2013-12-2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관중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플로로글루시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93008B1 (ko) 2012-09-06 2014-05-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관중 추출물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및 방부활성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7661322A (zh) * 2017-01-13 2018-02-06 北京中医药大学 绵马贯众中间苯三酚类化合物的新用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8940A (ko) * 2012-06-12 2013-12-2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관중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플로로글루시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93008B1 (ko) 2012-09-06 2014-05-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관중 추출물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및 방부활성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7661322A (zh) * 2017-01-13 2018-02-06 北京中医药大学 绵马贯众中间苯三酚类化合物的新用途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27(17), 3846-3852, 2019. *
Frontiers in Microbiology, 6, Article 595/1-8, 2015. *
Molecules, 22(3), 431/1-16, 201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026B1 (ko) 2022-04-05
KR20210014600A (ko) 2021-02-09
KR102548616B1 (ko)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6294B1 (ko)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4191553B (zh) 抗新型冠状病毒SARS-CoV-2的药物及其应用
Xiong et al. The effect of emodin, an anthraquinone derivative extracted from the roots of Rheum tanguticum, against herpes simplex virus in vitro and in vivo
Oker-Blom et al. Protection of man from natural infection with influenza A2 Hong Kong virus by amantadine: a controlled field trial
CN113082049B (zh) 碘化钾或含有碘化钾的组合物在制备用于治疗非洲猪瘟的药物中的新用途
KR102548616B1 (ko) 관중 유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9303006B2 (en) Line leaf inula flower lactone A and methods for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for treating myocarditis
US2013013100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Ligustroflavone, Rhoifolin and Hyperin and Its Pharmaceutical Application
CN113855654A (zh) 一种预防和治疗冠状病毒感染的组合物
JP2000154151A (ja) 免疫抑制剤
KR102456307B1 (ko) 3’-시알릴락토오스, 6’-시알릴락토오스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염에 의한 다발성 장기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e et al. Pine needle extract applicable to topical treatment for the prevention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Skopińska-Różewska et al. The in vivo effect of Rhodiola quadrifida extracts on the antibody production, on the blood leukocytes subpopulations and on the bacterial infection in mice
Jimenez-Coello et al. Antitrypanosomal activity of Senna villosa in infected Balb/C mice with Trypanosoma cruzi during the sub acute phase of infection
KR20220044084A (ko) 지구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531945C2 (ru) Средство против передачи вич/спид половым путем
CN108451949B (zh) 芍药苷代谢素i在制备治疗结肠炎药物中的应用
JPWO2020138447A1 (ja) 抗ヒトノロウイルス剤
WO2022220339A1 (ko)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Habboo et al. Orthosiphon stamineus water extracts inhibit human herpes virus 1 KOS-1 and acyclovir-resistant strains by virucidal activity and suppressing virus early infection.
CN114159474B (zh) 六神丸在制备治疗真菌性肺炎的药物中的应用
KR102665503B1 (ko)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569595B (zh) 猴头菌来源芳香类化合物在制备抗炎药物中的用途
WO2023089862A1 (ja) タマサキツヅラフジ由来アルカロイド含有製剤
EP0245486A1 (en) Method for treating genital and oral her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