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732A -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 Google Patents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732A
KR20220043732A KR1020200127471A KR20200127471A KR20220043732A KR 20220043732 A KR20220043732 A KR 20220043732A KR 1020200127471 A KR1020200127471 A KR 1020200127471A KR 20200127471 A KR20200127471 A KR 20200127471A KR 20220043732 A KR20220043732 A KR 20220043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discharge
general
discharge machining
casing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820B1 (ko
Inventor
임한석
Original Assignee
임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한석 filed Critical 임한석
Priority to KR1020200127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8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3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1/00Auxiliary apparatu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00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e. removing metal with a series of rapidly recurring electrical discharges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in the presence of a fluid dielectric
    • B23H1/04Electr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r thei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22Electr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r thei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26Apparatus for moving or positioning electrode relatively to workpiece; Mounting of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2400/00Moving mechanisms for tool electrodes
    • B23H2400/10Moving mechanisms for tool electrodes for rotating the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가공기를 어태치먼트(1)로 구성하여 범용의 공작기계에 쉽게 장착 및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범용공작기계(10)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1)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콤팩트한 케이싱(2)의 상부에 범용공작기계(10)의 스핀들(11)에 장착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커플링(41)이 고정 설치된 장착연결부(4)와, 케이싱(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방전가공부(7)를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승강구동부(5)와, 케이싱(2)의 내부 일측에서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방전가공부(7) 하단의 전극(7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구동부(6)와, 회전구동부(6)의 하부에 전기가 공급되게 설치되어 가공대상물(100)과의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는 전극(70)이 구비된 방전가공부(7)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범용의 공작기계에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으면서 구매비용과 설치장소의 감소 및 휴대의 용이함과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제조원가의 절감과 자체 중량의 절감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Attachment for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installed on general-purpose machine tools}
본 발명은 방전가공기를 일반적인 범용의 공작기계에 장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방전가공기를 어태치먼트로 구성하여 범용의 공작기계에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전가공(electric discharge machining)은 방전에 의한 열이나 전기적 및 기계적 힘이 전극의 표면을 침식하는 작용을 이용하여 금속이나 비금속을 가공하는 것으로서, 즉 두 전극 사이에 방전을 일으켜서 생기는 물리적인, 기계적인, 전기적인 작용을 이용해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방전가공을 위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83-0002575호(1983년 5월 30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가는 와이어를 전극으로 이용하여 특정 형상의 윤곽을 방전 가공토록 하는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wire cut electric spark machine)가 개발되어 왔으며, 공개특허 제1984-0000323호(1984년 2월 18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초경 합금, 담금질한 고속도강, 등과 같이 경도가 높은 재료를 피가공체로 하여 전기가 공급되는 전극과 피가공체 사이의 방전에 의하여 피가공체를 희망하는 다양한 형태의 절삭 및 연삭이나 구멍 뚫기 등의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용의 방전가공기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통상 방전가공은 방전의 종류에 따라 스파크가공, 아크가공, 코로나가공으로 나뉘며, 피가공물의 재질에 따라 금속가공, 비금속가공으로 나뉘며, 작업 종류에 따라 구멍파기, 절단, 연삭 등으로 나뉘며, 이러한 방전가공에 의한 표면가공은 전압이 극간 거리에 따른 가공용액의 절연파괴 전압보다 높아지면, 피가공물 표면에서 방전이 시작되며, 방전에 의하여 단자전압이 낮아지면 방전이 중지되면서 동시에 충전이 시작되며, 이와 같이 충전과 방전이 반복 지속되면서 표면가공이 진행되며, 근례에는 트랜지스터나 사이리스터 등을 이용하여 방전을 단속시키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 가공속도가 빠르고 전극소모가 적으며, 부품의 세밀가공 등에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또한 방전가공에 의한 절단가공은 브러시를 통하여 +극 쪽에 연결된 금속원판 전극과, -극 쪽에 연결된 피가공물 사이에 물유리 등의 전해질 용액을 주입하여 원판을 회전하면, 방전이 발생하여 피가공물이 절단되게 이루어지며, 재질이 강한 변압기 박판 철심, 자석강·초경질합금 등의 절단에 주로 이용되며, 연삭가공의 경우 회전식 원판전극을 이용하여 초경(超硬) 바이트 등을 방전 연삭하는데 가공속도가 느리고 균열이 생기는 등의 결점이 있어 전해연삭(電解硏削)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방전가공기는 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119978호(2017년 10월 30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방전가공을 위한 방전가공기가 전용 기계로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방전가공기의 경우 일반 가공업체에서는 일반적인 밀링기계나 머시닝센터 등의 공작기계에 더불어서 규격이 큰 별도의 방전가공기를 갖추어야 하므로 장비의 구매비 상승과 함께 설치장소를 많이 차지하게 되며, 휴대하기도 곤란한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며, 물론 근자에 들어서 크기를 보다 콤팩트하게 제작하여 소형으로 이동이 용이하게 제작한 소형방전가공기가 개발되어 오고 있으나, 이 역시 상당한 자중을 가지므로 쉽게 휴대하기에는 다소 어려웠으며, 기존의 밀링기계나 머시닝센터 등의 일반적인 공작기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KR 10-1983-0002575 A 1983. 5. 30. KR 10-1984-0000323 A 1984. 2. 18. KR 10-2017-0119978 A 2017. 10. 30.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방전가공기를 대형의 전용기로 설치하지 않고, 어태치먼트형태로 제작하여 가볍게 휴대하면서 밀링장치나 머시닝센터 등의 일반적인 공작기계에 손쉽게 결합하여 방전가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미 사용 시 손쉽게 분리하여 협소한 공간에 보관이 가능토록 한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를 제공코자 함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완성한 것이다.
또한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을 상세하게 기술한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 및 도면 등을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해결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를 구성하되, 상기 본 발명의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는 개략 원통형의 콤팩트한 크기로 하부의 방전가공을 위한 전극이 승강 및 회전할 수 있도록 내부에 구동을 위한 장치가 내장된 케이싱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외부전원을 케이싱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전기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범용공작기계의 스핀들(=주축)에 장착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커플링이 고정 설치된 장착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방전가공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승강구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 일측에서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방전가공부 하단의 전극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구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구동부의 하부에 전기가 공급되게 설치되어 가공대상물과의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는 전극이 구비된 방전가공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승강구동부는 케이싱의 상부에 고정된 승강구동모터와, 승강구동모터에서 하향 돌출되어 승강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게 구성된 볼스크루와, 볼스크루에 나사 체결되게 결합되어 볼스크루의 정역회전에 의해서 볼스크루를 타고 상승 및 하강되게 구성된 승강너트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 회전구동부는 승강너트에 일측이 고정된 연결브래킷의 하부로 고정되어 승강너트의 승강에 따라 케이싱 하부에서 돌출되어 승강되게 구성된 하우징과, 승강너트에 일측이 고정된 연결브래킷의 상부로 고정되어 하우징의 내측으로 하향 돌출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게 구성된 회전구동모터와,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축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축이 회전되면 함께 회전되게 구성된 자체스핀들과, 하우징의 내측 상하로 각각 하우징의 내면과 자체스핀들의 외면 사이로 개재되어 자체스핀들의 회전 시 흔들림이나 소음을 방지토록 구성된 세라믹베어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 방전가공부는 하우징의 하부에서 회전되는 자체스핀들의 외주면에 근접되어 전압을 공급토록 설치된 카본브러시와, 하우징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면서 자체스핀들과 근접되도록 카본브러시가 내장되게 구성된 브러시홀더와, 자체스핀들의 하단에 카본브러시로부터 공급된 전압이 전달되도록 설치된 홀더와, 홀더의 하부로 전압이 전달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 콜릿과, 콜릿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 전극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는 콤팩트한 케이싱의 상측으로 범용공작기계의 주축인 스핀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연결부에 의해서 밀링이나 머시닝센터 등의 다양한 범용의 공작기계에 장착하여 방전가공을 전용의 방전가공기에 의해서 가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매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방전가공 시 전용 장치를 둘 설치 장소가 별도로 더 둘 필요가 없이 항상 설치되어 있던 범용공작기계의 스핀들에 장착하므로 별도의 설치 장소가 필요 없으며, 미사용 시 범용공작기계에서 분리하여 보관하면 되므로 협소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케이싱 상부의 장착연결부가 규격화되어 있어서 범용공작기계에 손쉽게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고시키게 되며, 방전가공 시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가 결합되는 범용공작기계의 스핀들 회전력 등의 동력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내부에 승강 및 회전을 구동하는 승강구동부와 회전구동부를 가지면서 브러시홀더를 통해서 카본브러시에 의해 전극으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어서 범용공작기계와 동력적으로 연결하는 구조가 필요 없이 탈착하는 구조만 있으면 되므로 자체 구조가 단순하고, 이로 인하여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자체 중량이 방전가공기를 전용으로 제작하였을 때보다 현저히 가볍기 때문에 휴대가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의 입체도로서, 다양한 범용공작기계의 스핀들 형태에 따른 장착연결부의 2가지 실례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승강구동부의 작용에 의해서 방전가공부가 상승하였을 때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승강구동부의 작용에 의해서 방전가공부가 하강하였을 때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방전가공기를 어태치먼트로 구성하여 범용의 공작기계에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게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범용공작기계(10)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의 상부에 다양한 범용공작기계(1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장착연결부(4)가 구비되며, 케이싱(2)의 하부에는 케이싱(2) 내부의 승강구동부(5)와 회전구동부(6)에 의해서 승강작용 및 회전작용이 이루어지는 전극(70)을 갖는 방전가공부(7)가 구비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케이싱(2)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략 원통형의 콤팩트한 크기로 제작되면서, 내부에는 하부의 방전가공을 위한 전극(70)이 승강 및 회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의 장치가 구동되게 내장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2)의 일측으로 외부전원을 케이싱(2)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커넥터(3)가 설치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장착연결부(4)는 범용공작기계(10) 스핀들(11)의 연결 인터페이스구조(테이퍼 각도, 플랜지 접촉 유무, 클램핑 방법, 토크 전달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되 도 1에 2가지 실례로 도시하였는바, 이러한 장착연결부(4)는 케이싱(2)의 상부에 범용공작기계(10)의 스핀들(11)(=주축)에 장착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커플링(41)이 고정 설치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구동부(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부분의 내부 일측에 케이싱(2)의 하부에서 방전가공부(7)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되, 이러한 승강구동부(5)는 케이싱(2)의 내측 상부에 승강구동모터(51)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승강구동모터(51)의 하부에 볼스크루(52)가 승강구동모터(51)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게 구성되며, 상기 볼스크루(52)에 승강너트(53)가 나사 체결되게 결합되어 볼스크루(52)의 정역(正逆)회전에 의해서 볼스크루(52)를 타고 상승 및 하강되게 구성된 것이다.
이와 함께 케이싱(2) 내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회전구동부(6)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부(5)와 연동되게 설치되면서, 케이싱(2)의 내부 일측에서 하향 돌출되어 방전가공부(7) 하단의 전극(7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바, 이러한 회전구동부(6)는 승강너트(53)에 일측이 고정된 연결브래킷(54)의 하부로 고정되어 승강너트(53)의 승강에 따라 케이싱(2) 하부에서 돌출되어 승강되게 구성된 하우징(60)과, 승강너트(53)에 일측이 고정된 연결브래킷(54)의 상부로 고정되어 하우징(60)의 내측으로 하향 돌출되는 회전축(62)이 구비되게 구성된 회전구동모터(61)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60)의 내부에서 회전축(62)의 하부에 자체스핀들(63)이 고정 설치되어 회전구동모터(61)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축(62)이 회전되면 함께 회전되게 구성되며, 이때 상기 하우징(60)의 내측 상하로 각각 하우징(60)의 내면과 자체스핀들(63)의 외면 사이로 세라믹베어링(64)이 개재되어 자체스핀들(63)의 회전 시 흔들림이나 소음을 방지하면서 자체스핀들(63)과 하우징(60)을 절연시키도록 구성되며, 이때 회전구동모터(61)의 회전축(62)과 자체스핀들(63)이 상부와 하부로 절연커플링(65)이 결합 설치되어 회전축(62)의 회전력을 자체스핀들(63)로 전달하면서 자체스핀들(63)과 회전축(62)을 절연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연커플링(65)은 도 2의 확대부분에서와 같이 상부로 회전축(62)이 고정 설치되는 구동연결구(651)와, 하부로 자체스핀들(63)이 고정 설치되는 종동연결구(652)와, 상기 구동연결구(651)와 종동연결구(652)가 절연되게 축연결되도록 절연체스테이서가 개재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방전가공부(7)는 도 2에서와 같이 회전구동부(6)의 하부에 전기가 공급되게 설치되어 가공대상물(100)과의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는 전극(70)이 구비되는바, 이러한 방전가공부(7)는 하우징(60)의 하부에서 회전되는 자체스핀들(63)의 외주면에 카본브러시(71)가 근접되게 하여 자체스핀들(63)로 전압을 공급토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60)의 하단에 카본브러시(71)가 자체스핀들(63)과 근접되도록 내장되게 구성된 브러시홀더(72)가 고정 설치되어 근접되는 카본브러시(71)에 의해서 자체스핀들(63)로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이때 자체스핀들(63)의 하단에 카본브러시(71)로부터 공급된 전압이 전달되도록 결합홀더(73)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홀더(73)의 하부로 전압이 전달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 콜릿(74)이 구비되며, 이러한 콜릿(74)의 하부에 전극(7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는 것이며, 콜릿(74)을 대신하여 전극(70)을 장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극(70)고정구를 사용하여 자체스핀들(63) 하단의 결합홀더(73)에 전극(70)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범용공작기계(10)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1)는 콤팩트한 크기로 제작하여 밀링머신이나 머시닝센터 등의 다양한 범용공작기계(10)의 주축인 스핀들(11)에 장착연결부(4)의 커플링(41)을 탈착 가능토록 결합 설치하여 케이싱(2)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방전가공부(7)의 전극(70)(+극)에 의해서 가공대상물(100)(-극)을 방전가공토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콤팩트한 크기로 휴대가 용이하면서 협소한 장소에서 보관이 가능하며, 다양한 공작기계에 쉽게 탈착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케이싱(2) 내부의 승강구동부(5)에서 승강구동모터(51)의 구동에 의해서 볼스크루(52)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너트(53)가 볼스크루(52)를 타고 상승하게 되고, 이때 승강너트(53)에 고정된 연결브래킷(54)에 고정된 하우징(60)과 회전구동모터(61)가 포함되는 회전구동부(6)가 상승하면서, 하우징(60)의 하단과 자체스핀들(63) 하단에 고정된 카본브러시(71)를 가지는 브러시홀더(72)와 콜릿(74)으로 연결된 전극(70)이 포함되는 방전가공부(7)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볼스크루(52)가 반대방향으로 역회전 또는 정회전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너트(53)가 볼스크루(52)를 타고 하강하게 되고, 이때 승강너트(53)에 고정된 연결브래킷(54)에 고정된 하우징(60)과 회전구동모터(61)가 포함되는 회전구동부(6)가 하강하면서, 하우진 및 자체스핀들(63)의 하단에 고정된 카본브러시(71)를 가지는 브러시홀더(72)와 전극(70)이 포함되는 방전가공부(7)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방전가공부(7)가 하강하면서 회전구동부(6)의 회전구동모터(61)가 구동되면 회전축(62)이 회전하게 되어 회전축(62)과 전열커플링(41)으로 연결된 자체스핀들(63)이 회전하게 되며, 자체스핀들(63)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홀더(73)에 콜릿(74)으로 장착되는 전극(70)도 회전되며, 이때 자체스핀들(63)의 회전 시 하우징(60) 하단에 고정된 브러시홀더(72) 내부에 장착된 카본브러시(71)에 의해서 자체스핀들(63)과 자체스핀들(63)에 고정된 콜릿(74)과 전극(70)으로 전기가 공급되어 전극(70)과 가공대상물(100) 사이에서 방전현상이 발생되어 방전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체스핀들(63)로 인가된 전압이 회전구동모터(61)로 전달되어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구동모터(61)의 회전축(62)과 자체스핀들(63)의 연결 시 절연커플링(65)을 사용하여 회전축(62)이 고정되는 구동연결구(651)와 자체스핀들(63)이 고정되는 종동연결구(652) 사이로 개재된 전연체스페이서에 의하여 회전구동모터(61)로 카본브러시(71)에 의한 전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더불어서 자체스핀들(63)과 하우징(60) 사이에 게재되는 베어링도 절연이 되는 세라믹베어링(64)을 사용하여 카본브러시(71)에 의한 전기가 하우징(60)으로 통해서 연결브래킷(54)을 거쳐서 회전구동모터(61)나 승강구동모터(5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토록 해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인 범용공작기계(10)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1)는 콤팩트한 케이싱(2)의 상측으로 범용공작기계(10)의 스핀들(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연결부(4)에 의해서 밀링이나 머시닝센터 등의 다양한 범용의 공작기계에 장착하여 방전가공이 되도록 하여 전용 방전가공기의 구매비에 비하여 구매비가 절감되며, 협소한 장소에서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는 효능도 함께 가지는 것이다.
이에 더불어서 본 발명은 케이싱(2) 상부의 장착연결부(4)가 규격화되어 있어서 범용공작기계(10)에 손쉽게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인하여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자체 중량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능을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어태치먼트
2:케이싱
3:전기커넥터
4:장착연결부 41:커플링
5:승강구동부 51:승강구동모터 52:볼스크루 53:승강너트 54:연결브래킷
6:회전구동부 60:하우징 61:회전구동모터 62:회전축 63:자체스핀들 64:세라믹베어링 65:절연커플링 651:구동연결구 652:종동연결구 653:절연체스페이서
7:방전가공부 70:전극 71:카본브러시 72:브러시홀더 73:결합홀더 74:콜릿
10:범용공작기계 11:스핀들
100:가공대상물

Claims (4)

  1. 하부의 방전가공을 위한 전극(70)이 승강 및 회전할 수 있도록 내부에 구동을 위한 장치가 내장된 케이싱(2);
    케이싱(2)의 상부에 범용공작기계(10)의 스핀들(11)(=주축)에 장착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커플링(41)이 고정 설치된 장착연결부(4);
    케이싱(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방전가공부(7)를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승강구동부(5);
    케이싱(2)의 내부 일측에서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방전가공부(7) 하단의 전극(7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구동부(6);
    회전구동부(6)의 하부에 전기가 공급되게 설치되어 가공대상물(100)과의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는 전극(70)이 구비된 방전가공부(7);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승강구동부(5)는 케이싱(2)의 상부에 고정된 승강구동모터(51);
    승강구동모터(51)에서 하향 돌출되어 승강구동모터(51)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게 구성된 볼스크루(52);
    볼스크루(52)에 나사 체결되게 결합되어 볼스크루(52)의 정역회전에 의해서 볼스크루(52)를 타고 상승 및 하강되게 구성된 승강너트(53);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구동부(6)는 승강너트(53)에 일측이 고정된 연결브래킷(54)의 하부로 고정되어 승강너트(53)의 승강에 따라 케이싱(2) 하부에서 돌출되어 승강되게 구성된 하우징(60);
    승강너트(53)에 일측이 고정된 연결브래킷(54)의 상부로 고정되어 하우징(60)의 내측으로 하향 돌출되는 회전축(62)이 구비되게 구성된 회전구동모터(61);
    하우징(60)의 내부에서 회전축(62)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구동모터(61)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축(62)이 회전되면 함께 회전되게 구성된 자체스핀들(63);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방전가공부(7)는 하우징(60)의 하부에서 회전되는 자체스핀들(63)의 외주면에 근접되어 전압을 공급토록 설치된 카본브러시(71);
    하우징(6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면서 자체스핀들(63)과 근접되도록 카본브러시(71)가 내장되게 구성된 브러시홀더(72);
    자체스핀들(63)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홀더(73)의 하부로 전압이 전달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 콜릿(74);
    콜릿(74)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 전극(70);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KR1020200127471A 2020-09-29 2020-09-29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KR102534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471A KR102534820B1 (ko) 2020-09-29 2020-09-29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471A KR102534820B1 (ko) 2020-09-29 2020-09-29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732A true KR20220043732A (ko) 2022-04-05
KR102534820B1 KR102534820B1 (ko) 2023-05-19

Family

ID=8118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471A KR102534820B1 (ko) 2020-09-29 2020-09-29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82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575A (ko) 1980-06-16 1983-05-30 이나바 세이우에몽 전기 방전 기계
KR840000323A (ko) 1981-06-25 1984-02-18 이나바 세이우에몽 방전 가공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JP2898233B2 (ja) * 1995-09-29 1999-05-31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放電加工機の給電装置
JP2005088183A (ja) * 2003-09-16 2005-04-07 Shunichi Maeda ツールホルダ
KR100601208B1 (ko) * 1999-07-08 2006-07-19 가부시키가이샤 소딕 방전 가공 장치
JP2006326818A (ja) * 2005-05-26 2006-12-07 Yuutorii Kk マシニングセンター主軸に取り付ける放電加工装置
JP6077915B2 (ja) * 2013-04-05 2017-02-08 株式会社エレニックス 細穴放電加工装置および微細電極用電極ホルダ装置
KR20170119978A (ko) 2016-04-20 2017-10-30 주식회사 와이제이 방전가공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575A (ko) 1980-06-16 1983-05-30 이나바 세이우에몽 전기 방전 기계
KR840000323A (ko) 1981-06-25 1984-02-18 이나바 세이우에몽 방전 가공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JP2898233B2 (ja) * 1995-09-29 1999-05-31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放電加工機の給電装置
KR100601208B1 (ko) * 1999-07-08 2006-07-19 가부시키가이샤 소딕 방전 가공 장치
JP2005088183A (ja) * 2003-09-16 2005-04-07 Shunichi Maeda ツールホルダ
JP2006326818A (ja) * 2005-05-26 2006-12-07 Yuutorii Kk マシニングセンター主軸に取り付ける放電加工装置
JP6077915B2 (ja) * 2013-04-05 2017-02-08 株式会社エレニックス 細穴放電加工装置および微細電極用電極ホルダ装置
KR20170119978A (ko) 2016-04-20 2017-10-30 주식회사 와이제이 방전가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820B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040B1 (ko) 공구와 방전전극 홀더 및 공작기계
CN100566894C (zh) 超声振动钻孔的回转式换能器主轴装置
CN204934742U (zh) 一种基于非接触能量传输的旋转超声加工装置
CN203266329U (zh) 驱动电机及磨珠机磨盘升降机构
CN111151832B (zh) 旋转电弧铣削加工装置、铣削加工机床及其的控制系统
CN105478809B (zh) 一种分体式超声波电主轴
CN103934524B (zh) 一种电解磨削机床工件主轴单元
CN105562726A (zh) 一种超声切削加工专用伺服电主轴
JP2008136270A (ja) 給電装置
US20030102287A1 (en) Tool, tool holder, and machine tool
CN101913087B (zh) 一种导电式转台
KR20220043732A (ko)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CN104959685A (zh) 一种电火花磨削磨轮主轴装置及加工方法
CN100488688C (zh) 非导电材料电火花铣削电极头
CN106216807A (zh) 用于数控短电弧铣床的内外冲液组合式装置
CN208743856U (zh) 一种电弧放电加工区域与设备本体的绝缘装置
JP2013180381A (ja) 自動ねじ締め機
KR102491642B1 (ko)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CN116197713A (zh) 一种超声电能装置及超声刀具系统
JP2012500123A (ja) 新型電気グラインダ
CN103831704A (zh) 一种滑环变级调压在线磨削装置及其使用方法
CN218657200U (zh) 回转工作台
CN108637409A (zh) 一种电弧放电加工区域与设备本体的绝缘方法及绝缘装置
CN209408400U (zh) 一种取深孔断裂钻头装置
CN208811130U (zh) 一种新型保护盖多孔台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