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642B1 -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 Google Patents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642B1
KR102491642B1 KR1020200182479A KR20200182479A KR102491642B1 KR 102491642 B1 KR102491642 B1 KR 102491642B1 KR 1020200182479 A KR1020200182479 A KR 1020200182479A KR 20200182479 A KR20200182479 A KR 20200182479A KR 102491642 B1 KR102491642 B1 KR 102491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lift
rotation
electrode
discharge mach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1201A (ko
Inventor
임한석
Original Assignee
임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한석 filed Critical 임한석
Priority to KR1020200182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642B1/ko
Publication of KR2022009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1/00Auxiliary apparatu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00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e. removing metal with a series of rapidly recurring electrical discharges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in the presence of a fluid dielectric
    • B23H1/04Electr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r thei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22Electr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r thei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26Apparatus for moving or positioning electrode relatively to workpiece; Mounting of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2400/00Moving mechanisms for tool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의 공작기계에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콤팩트한 크기로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된 케이싱(2)과, 케이싱(2)의 상부에 범용공작기계(100)의 스핀들(101)에 장착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장착연결부(3)와, 승강구동모터(41)에 설치된 볼스크루(42) 및 볼스크루(42)를 타고 승강하는 승강너트(43)로 된 승강구동부(4)와, 승강너트(43)에 고정된 승강설치대(51) 및 승강설치대(51) 하단에 설치되는 전극(50)으로 된 방전가공부(5)와, 일단이 승강설치대(51)의 하부에 고정되어 케이싱(2) 일측에 고정된 돌출하우징(21)으로 뻗어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연결로드(61) 및 연결로드(61)의 타단에 상향 기립되어 승강설치대(51)와 함께 승강하게 하단이 고정 설치된 승강서포터(62)로 이루어진 연결지지부(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방전가공대상물을 보다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 및 정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원활한 방전가공과 함께 방전액을 공급 및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Electrode non-rotating type attachment for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본 발명은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극이 회전되지 않으면서 방전되는 타입의 방전가공기를 어태치먼트로 구성하여 범용의 공작기계에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전가공에 대한 본 발명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방전가공(electric discharge machining)은 방전에 의한 열이나 전기적 및 기계적 힘이 전극의 표면을 침식하는 작용을 이용하여 금속이나 비금속을 가공하는 것으로, 즉 두 전극 사이에 방전을 일으켜서 생기는 물리적인, 기계적인, 전기적인 작용을 이용해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전가공은 방전의 종류에 따라 스파크가공, 아크가공, 코로나가공으로 나뉘며, 피가공물의 재질에 따라 금속가공, 비금속가공으로 나뉘며, 작업 종류에 따라 구멍파기, 절단, 연삭 등으로 나뉘며, 이러한 방전가공에 의한 표면가공은 전압이 극간 거리에 따른 가공용액의 절연파괴 전압보다 높아지면, 피가공물 표면에서 방전이 시작되며, 방전에 의하여 단자전압이 낮아지면 방전이 중지되면서 동시에 충전이 시작되며, 이와 같이 충전과 방전이 반복 지속되면서 표면가공이 진행되며, 근례에는 트랜지스터나 사이리스터 등을 이용하여 방전을 단속시키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 가공속도가 빠르고 전극소모가 적으며, 부품의 세밀가공 등에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그리고 방전가공에 의한 절단가공은 브러시를 통하여 +극 쪽에 연결된 금속원판 전극과, -극 쪽에 연결된 피가공물 사이에 물유리 등의 전해질 용액을 주입하여 원판을 회전하면, 방전이 발생하여 피가공물이 절단되게 이루어지며, 재질이 강한 변압기 박판 철심, 자석강·초경질 합금 등의 절단에 주로 이용되며, 연삭가공의 경우 회전식 원판전극을 이용하여 초경(超硬) 바이트 등을 방전 연삭하는데 가공속도가 느리고 균열이 생기는 등의 결점이 있어 전해연삭(電解硏削)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었다.
상술한 방저가공을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83-0002575호(1983년 5월 30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가는 와이어를 전극으로 이용하여 특정 형상의 윤곽을 방전 가공토록 하는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wire cut electric spark machine)가 개발되어 왔으며, 공개특허 제1984-0000323호(1984년 2월 18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초경합금, 담금질한 고속도강, 등과 같이 경도가 높은 재료를 피가공체로 하여 전기가 공급되는 전극과 피가공체 사이의 방전에 의하여 피가공체를 희망하는 다양한 형태의 절삭 및 연삭이나 구멍 뚫기 등의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용의 방전가공기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더하여 종래 방전가공기는 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119978호(2017년 10월 30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방전가공을 위한 방전가공기가 전용 기계로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방전가공기의 경우 일반 가공업체에서는 일반적인 밀링기계나 머시닝센터 등의 공작기계에 더불어서 규격이 큰 별도의 방전가공기를 갖추어야 하므로 장비의 구매비 상승과 함께 설치장소를 많이 차지하게 되며, 휴대하기도 곤란한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며, 물론 근자에 들어서 크기를 보다 콤팩트하게 제작하여 소형으로 이동이 용이하게 제작한 소형방전가공기가 개발되어 오고 있으나, 이 역시 상당한 자중을 가지므로 쉽게 휴대하기에는 다소 어려웠으며, 기존의 밀링기계나 머시닝센터 등의 일반적인 공작기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KR 10-1983-0002575 A 1983. 5. 30. KR 10-1984-0000323 A 1984. 2. 18. KR 10-2017-0119978 A 2017. 10. 30.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극이 회전되지 않고 상하로 이송되게 이루어지면서, 전극을 좌우로 미세하게 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이송수단이 구비되어 다양한 가공대상물의 형태에 탄력적으로 조절하여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한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를 제공코자 함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완성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전극의 중심부로 방전액을 외부에서부터 공급되도록 해서 방전가공을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을 상세하게 기술한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 및 도면 등을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해결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를 구성하되, 상기 본 발명의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된 케이싱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범용공작기계의 스핀들(=주축)에 장착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커플링이 고정 설치된 장착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에 안치 고정된 승강구동모터와, 승강구동모터에서 하향 돌출되어 승강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정역 회전되게 설치된 볼스크루와, 볼스크루에 나사 체결되게 결합되어 볼스크루의 정역회전에 의해서 볼스크루를 타고 상승 및 하강되게 구성된 승강너트로 이루어진 승강구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구동부의 승강너트가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승강너트가 볼스크루를 타고 승강 시 케이싱 내부에서 케이싱 하부로 돌출된 상태로 승강토록 구성된 승강설치대와, 승강설치대의 하단에 탈착하여 교체가 가능토록 고정 설치되어 가공대상물과 근접토록 해서 방전가공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전극으로 이루어진 방전가공부가 구비되며, 일단이 승강설치대의 하부에 고정되어 케이싱 일측에서 하부가 개방되게 돌출된 돌출하우징으로 뻗어서 케이싱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연결로드와, 연결로드에서 외측으로 뻗은 타단에 돌출하우징의 내부로 상향 기립되어 승강설치대가 승강 시 돌출하우징 내부에서 함께 승강하게 하단이 고정 설치된 승강서포터로 이루어진 연결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 일측에 외부로부터 방전액이 공급되도록 와이어커넥터가 결합되는 공급홀과, 연결로드 내부에 공급홀과 연통되어 승강설치대를 향해서 관통 형성된 이송통로와, 승강설치대의 하부 내측에 연결로드의 이송통로와 연통되어 방전액이 유입되게 공간이 형성된 유입챔버와, 승강설치대 하부에 탈착 가능한 전극에 유입챔버와 연통되게 형성된 배출구를 갖도록 구성된 방전액공급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의 외측 하단에 케이싱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테와, 회전테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내측으로 승강서포터가 통과하여 상향 기립되게 연결 설치된 회전이송블록과, 승강서포터의 후방에서 회전이송블록 상부에 하단이 고정되어 돌출하우징 내부에서 상향 기립되게 설치된 회전이송대와, 케이싱의 돌출하우징 양측에 마주보며 나사 체결되어 돌출하우징 내부에서 회전이송대를 좌우로 가압되도록 구성된 좌우 한 쌍의 미세조절노브로 이루어진 회전이송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이송부는 케이싱에 고정된 돌출하우징의 전면 하단에 케이싱과 동심의 원주면을 가지면서 회전각도가 눈금으로 표시되는 회전눈금부와, 케이싱에서 회전되는 회전테에 고정된 회전이송블록의 전면 상단에 회전눈금부의 눈금에 대응되게 표시되어 돌출하우징 내부에서 미세조절노브에 의해서 회전이송대가 고정된 회전이송블록이 회전된 각도를 가리키도록 표시되는 회전지시부로 된 회전감지수단이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방전가공부에서 승강설치대와 승강너트 사이에 절연체가 개재되어 절연되게 설치되며, 상기 방전가공부는 케이싱과의 사이에 절연체가 개재되어 절연되게 고정볼트로 고정시키면서 내측으로 승강설치대가 승강 시 슬라이딩 안내토록 구성된 메인부시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이송부는 회전이송블록과의 사이에 절연체가 개재되어 절연되게 고정볼트로 고정시키면서 내측으로 승강서포터가 승강 시 슬라이딩 안내토록 구성된 보조부시가 더 구비토록 해서 케이싱으로 전극의 전류가 절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는 전극을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방식이 아니라 무회전 방식으로 구성하여 상하로 이송되도록 구현하며, 전극을 회전이송수단에 의해서 좌우로 미세하게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해서 방전가공되는 가공대상물의 다양한 형태에 맞춰 탄력적으로 조절해서 보다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 및 정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전극이 고정된 홀더의 외부로부터 회전방지로드의 하측 및 홀더를 통해서 전극의 중심부로 방전액이 공급되도록 해서 전극에 의한 가공대상물의 방전가공 시 방전액을 전극과 가공대상물 사이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한 방전가공이 이루어지면서, 자동적으로 방전액을 공급 및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한층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로서, 전극이 상승된 상태의 예시도
도 4는 도 1의 측단면도로서, 전극이 하강된 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회전이송부의 일부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이송부에서 미세조절노브에 의해 전극이 우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이송부에서 미세조절노브에 의해 전극이 좌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예시도
본 발명은 전극이 회전되지 않으면서 방전되는 타입의 방전가공기를 어태치먼트로 구성하여 범용의 공작기계에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게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전극(50)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팩트한 구성의 케이싱(2)의 상측으로 장착연결부(3)가 설치되며, 하측으로 승강구동부(4)에 의해서 상하로 승강되는 전극(50)이 구비된 방전가공부(5)가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싱(2)은 범용공작기계(100)의 스핀들(101)(=주축)에 장착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콤팩트한 크기로 구성되어 커플링(31)이 고정 설치된 장착연결부(3)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2)의 일측 외주면에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 돌출하우징(21)의 전면에 외부 전원을 케이싱(2)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커넥터(22)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하우징(21)은 내부가 비어 있고 케이싱(2) 일측에 고정되면서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케이싱(2)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로 승강구동부(4)가 구비되어 하부의 방전가공부(5)의 전극(50)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승강되게 구성되며, 상기 승강구동부(4)는 케이싱(2)의 내부 상측에 안치 고정된 승강구동모터(41)와, 승강구동모터(41)에서 하향 돌출되어 승강구동모터(41)의 구동에 의해서 정역 회전되게 설치된 볼스크루(42)와, 볼스크루(42)에 나사 체결되게 결합되어 볼스크루(42)의 정역회전에 의해서 볼스크루(42)를 타고 상승 및 하강되게 구성된 승강너트(4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케이싱(2) 하부에서 승강구동부(4)에 의해서 승강되는 방전가공부(5)는 승강구동부(4)의 승강너트(43)가 상단에 절연체(200)가 개재되어 절연되게 고정 설치되어 승강너트(43)가 볼스크루(42)를 타고 승강 시 케이싱(2) 내부에서 케이싱(2) 하부로 돌출된 상태로 승강토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전가공부(5)는 승강구동부(4)의 볼스크루(42)를 타고 승강너트(43)가 상승할 시 볼스크루(42) 하부가 내입되게 상향 개구된 내입공간(511)이 형성)된 (원기둥형태의) 승강설치대(51)와, 케이싱(2)과의 사이에 절연체(200)가 개재되어 절연되게 고정볼트(201)로 고정시키면서 내측으로 승강설치대(51)가 승강 시 슬라이딩 안내토록 구성된 메인부시(52)와, 승강설치대(51)의 하단에 탈착하여 교체가 가능토록 고정 설치되는 전극홀더(501) 하부에 장착되어 가공대상물과 근접토록 해서 방전가공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전극(5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입체도 및 도 3 및 도 4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전가공부(5)의 승강설치대(51) 하부에 고정되어 돌출하우징(21)으로 뻗어서 케이싱(2)에서 외향되어 돌출하우징(21) 내부로 기립되게 구성된 연결지지부(6)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지지부(6)는 일단이 메인부시(52) 하부에서 승강설치대(51)의 하부에 고정되어 케이싱(2) 일측에서 하부가 개방되게 돌출된 돌출하우징(21)으로 뻗어서 케이싱(2)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연결로드(61)와, 연결로드(61)에서 외측으로 뻗은 타단에 돌출하우징(21)의 내부로 상향 기립되어 승강설치대(51)가 승강 시 돌출하우징(21) 내부에서 함께 승강하게 하단이 고정 설치된 승강서포터(6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지지부(6)는 상기 승강구동부(4)에 의해서 승강설치대(51)가 승강하면서 연결로드(61) 및 승강서포터(62)가 승강할 시 승강서포터(62)의 상승 또는 하강 시점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승강구동모터(41)의 동작을 제어해서 승강설치대(51)의 승강을 제어하게 구성된 승강감지센서(63)가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부(6)의 연결로드(61)에는 유전체인 방전액을 전극(5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방전액공급부(7)가 구비되며, 이러한 방전액공급부(7)는 연결로드(61)의 타단 일측에 외부로부터 방전액이 공급되도록 와이어커넥터(70)가 결합되는 공급홀(71)과, 연결로드(61) 내부에 공급홀(71)과 연통되어 승강설치대(51)를 향해서 관통 형성된 이송통로(72)와, 승강설치대(51)의 하부 내측에 연결로드(61)의 이송통로(72)와 연통되어 방전액이 유입되게 공간이 형성된 유입챔버(73)와, 승강설치대(51) 하부에 탈착 가능한 전극(50) 및 전극홀더(501)에 유입챔버(73)와 연통되게 형성된 배출구(74) 및 배출유로(75)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도 5 및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50)으로 방전가공되는 가공대상물의 다양한 형태에 맞춰서 탄력적으로 전극(50)을 미세조절하여 좌우로 미세하게 각도 조절을 해서 보다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회전이송부(8)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이송부(8)는 케이싱(2)의 외측 하단에 케이싱(2)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되는 회전테(81)가 설치되고, 이러한 회전테(81)의 일측에 회전이송블록(82)이 고정 설치되어 회전이송블록(82)의 내측으로 승강서포터(62)가 통과하여 상향 기립되게 연결 설치되며, 이때 회전이송블록(82)의 내측으로 보조부시(83)가 설치되어 승강서포터(62)가 내측으로 승강 시 슬라이딩 안내되게 이루어지면서, 보조부시(83)와 회전이송블록(82)과의 사이에 절연체(200)가 개재되어 절연되게 고정볼트(201)로 고정토록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회전이송부(8)는 승강서포터(62)의 후방에서 회전이송블록(82) 상부에 하단이 고정되어 돌출하우징(21) 내부에서 상향 기립되는 회전이송대(84)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2)의 돌출하우징(21) 양측에 마주보며 좌우 한 쌍의 미세조절노브(85)가 나사 체결되어 좌우에서 내향되게 회전 조작 시 돌출하우징(21) 내부에서 회전이송대(84)를 좌우로 가압하여 연결지지부(6)로 연결 설치된 승강설치대(51)가 좌우로 각도 조절되면서 승강설치대(51)의 하단에 고정된 전극(50)이 대상물의 형태에 따라서 각도 조절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이송부(8)는 케이싱(2)에 고정된 돌출하우징(21)의 전면 하단에 케이싱(2)과 동심의 원주면을 가지면서 회전각도가 눈금으로 표시되는 회전눈금부(861)와, 케이싱(2)에서 회전되는 회전테(81)에 고정된 회전이송블록(82)의 전면 상단에 회전눈금부(861)의 눈금에 대응되게 표시되어 돌출하우징(21) 내부에서 미세조절노브(85)에 의해서 회전이송대(84)가 고정된 회전이송블록(82)이 회전된 각도를 가리키도록 표시되는 회전지시부(862)로 이루어진 회전감지수단(86)이 더 구비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극(50)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1)는 일반적인 방전가공에서 전극(50)을 회전시키던 방식이 아닌 전극(50)을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무회전 타입의 방전가공기를 어태치먼트(1)의 형태로 콤팩트하게 구성하되, 전극(50)을 승강구동부(4)에 의해서 상하로 승강시키면서, 회전이송부(8)에 의해서 회전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먼저 케이싱(2)의 일측에서 돌출된 돌출하우징(21) 전면의 전기커넥터(22)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여 돌출하우징(21)의 내부를 통해서 케이싱(2)의 내부의 승강구동모터(41)를 구동시켜서 볼스크루(42)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정회전 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너트(43)가 상승하면서 승강너트(43)가 상단에 고정 설치된 승강설치대(51)가 상승하며, 이때 승강설치대(51)의 하단에 교체 가능토록 고정 설치되는 전극홀더(501)에 장착된 전극(50)이 케이싱(2) 내부로 상승하게 되며, 승강구동모터(41)를 구동시켜서 볼스크루(4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역회전 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너트(43)가 하강하면서 승강설치대(51)가 하강하여서 전극(50)이 케이싱(2)에서 하부로 점점 돌출토록 하강하게 되어 방전가공대상물에 전극(50)을 근접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극(50)에 의해서 방전 가공코자 하는 가공대상물의 가공부분이 전극(50)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면상에서 돌출하우징(21) 우측의 미세조절노브(85)를 회전 조작시켜서 돌출하우징(21)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반대편의 돌출하우징(21) 좌측의 미세조절노브(85)를 회전 조작시켜서 돌출하우징(21)의 내부로 내입시켜 내입되는 좌측편 미세조절노브(85)에 의해서 회전이송대(84)가 오른쪽으로 밀려서 회전이송블록(82)이 동시에 오른쪽으로 밀려 케이싱(2)에 자유 회전하는 회전테(81)가 회전되도록 해서 전극(50)의 전면이 오른쪽으로 회전되도록 하거나,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면상에서 돌출하우징(21) 좌측의 미세조절노브(85)를 회전 조작시켜서 돌출하우징(21)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반대편의 돌출하우징(21) 우측의 미세조절노브(85)를 회전 조작시켜서 돌출하우징(21)의 내부로 내입시켜 내입되는 우측편 미세노절노브에 의해서 회전이송대(84)가 왼쪽으로 밀려서 회전이송블록(82)이 동시에 왼쪽으로 밀려 케이싱(2)에 자유 회전하는 회전테(81)까지 회전되도록 해서 전극(50)의 전면이 왼쪽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전극(50)을 방정가공대상물의 가공부위가 틀어졌는지에 따라 좌우로 회전시켜서 보다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며, 이때 케이싱(2)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돌출하우징(21) 전면의 회전눈금부(861)와 회전테(81)에 고정되어 미세조절노브(85)의 조작에 의해서 좌우로 회전되는 회전이송블록(82) 전면의 회전지시부(862)로 된 회전감지수단(86)에서 대응되는 눈금을 읽어서 전극(50)이 회전된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의 정확성을 높여서 가공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승강설치대(51)와 승강너트(43) 사이에 절연체(200)가 개재되어 승강너트(43)로 절연시켜서 케이싱(2) 및 승강구동모터(41)에 전극(50)으로 흐르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고, 케이싱(2)과 메인부시(52) 사이에 절연체(200)가 개재되어 케이싱(2)으로 절연되게 하며, 회전이송블록(82)과 보조부시(83) 사이에 절연체(200)가 개재되어 회전이송블록(82)으로 절연시켜서 회전테(81)를 통해서 케이싱(2) 및 승강구동모터(41)로의 전류의 흐름을 차단토록 하여 전류에 의해서 승강구동모터(41) 등의 전자기기의 고장 등을 방지토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2:케이싱 21:돌출하우징 22:전기커넥터
3:장착연결부 31:커플링
4:승강구동부 41:승강구동모터 42:볼스크루 43:승강너트
5:방전가공부 50:전극 501:전극홀더 51:승강설치대 511:내입공간 52:메인부시
6:연결지지부 61:연결로드 62:승강서포터 63:승강감지센서
7:방전액공급부 70:와이어커넥터 71:공급홀 72:이송통로 73:유입챔버 74:배출구 75:배출유로
8:회전이송부 81:회전테 82:회전이송블록 83:보조부시 84:회전이송대 85:미세조절노브 86:회전감지수단 861:회전눈금부 862:회전지시부
100:범용공작기계 101:스핀들
200:절연체 201:고정볼트

Claims (5)

  1.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된 케이싱(2);
    케이싱(2)의 상부에 범용공작기계(100)의 스핀들(101)에 장착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커플링(31)이 고정 설치된 장착연결부(3);
    케이싱(2)의 내부 상측에 안치 고정된 승강구동모터(41)와, 승강구동모터(41)에서 하향 돌출되어 승강구동모터(41)의 구동에 의해서 정역 회전되게 설치된 볼스크루(42)와, 볼스크루(42)에 나사 체결되게 결합되어 볼스크루(42)의 정역회전에 의해서 볼스크루(42)를 타고 상승 및 하강되게 구성된 승강너트(43)로 이루어진 승강구동부(4);
    승강구동부(4)의 승강너트(43)가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승강너트(43)가 볼스크루(42)를 타고 승강 시 케이싱(2) 내부에서 케이싱(2) 하부로 돌출된 상태로 승강토록 구성된 승강설치대(51)와, 승강설치대(51)의 하단에 탈착하여 교체가 가능토록 고정 설치되어 가공대상물과 근접토록 해서 방전가공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전극(50)으로 이루어진 방전가공부(5);
    일단이 승강설치대(51)의 하부에 고정되어 케이싱(2) 일측에서 하부가 개방되게 돌출된 돌출하우징(21)으로 뻗어서 케이싱(2)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연결로드(61)와, 연결로드(61)에서 외측으로 뻗은 타단에 돌출하우징(21)의 내부로 상향 기립되어 승강설치대(51)가 승강 시 돌출하우징(21) 내부에서 함께 승강하게 하단이 고정 설치된 승강서포터(62)로 이루어진 연결지지부(6);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로드(61)의 타단 일측에 외부로부터 방전액이 공급되도록 와이어커넥터(70)가 결합되는 공급홀(71)과, 연결로드(61) 내부에 공급홀(71)과 연통되어 승강설치대(51)를 향해서 관통 형성된 이송통로(72)와, 승강설치대(51)의 하부 내측에 연결로드(61)의 이송통로(72)와 연통되어 방전액이 유입되게 공간이 형성된 유입챔버(73)와, 승강설치대(51) 하부에 탈착 가능한 전극(50)에 유입챔버(73)와 연통되게 형성된 배출구(74)를 갖도록 구성된 방전액공급부(7);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싱(2)의 외측 하단에 케이싱(2)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테(81)와, 회전테(8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내측으로 승강서포터(62)가 통과하여 상향 기립되게 연결 설치된 회전이송블록(82)과, 승강서포터(62)의 후방에서 회전이송블록(82) 상부에 하단이 고정되어 돌출하우징(21) 내부에서 상향 기립되게 설치된 회전이송대(84)와, 케이싱(2)의 돌출하우징(21) 양측에 마주보며 나사 체결되어 돌출하우징(21) 내부에서 회전이송대(84)를 좌우로 가압되도록 구성된 좌우 한 쌍의 미세조절노브(85)로 이루어진 회전이송부(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회전이송부(8)는 케이싱(2)에 고정된 돌출하우징(21)의 전면 하단에 케이싱(2)과 동심의 원주면을 가지면서 회전각도가 눈금으로 표시되는 회전눈금부(861)와, 케이싱(2)에서 회전되는 회전테(81)에 고정된 회전이송블록(82)의 전면 상단에 회전눈금부(861)의 눈금에 대응되게 표시되어 돌출하우징(21) 내부에서 미세조절노브(85)에 의해서 회전이송대(84)가 고정된 회전이송블록(82)이 회전된 각도를 가리키도록 표시되는 회전지시부(862)로 된 회전감지수단(86)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방전가공부(5)에서 승강설치대(51)와 승강너트(43) 사이에 절연체(200)가 개재되어 절연되게 설치되며;
    방전가공부(5)는 케이싱(2)과의 사이에 절연체(200)가 개재되어 절연되게 고정볼트(201)로 고정시키면서 내측으로 승강설치대(51)가 승강 시 슬라이딩 안내토록 구성된 메인부시(52)가 더 포함되며;
    회전이송부(8)는 회전이송블록(82)과의 사이에 절연체(200)가 개재되어 절연되게 고정볼트(201)로 고정시키면서 내측으로 승강서포터(62)가 승강 시 슬라이딩 안내토록 구성된 보조부시(83)가 더 포함되어;
    케이싱(2)으로 전극(50)의 전류가 절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KR1020200182479A 2020-12-23 2020-12-23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KR102491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479A KR102491642B1 (ko) 2020-12-23 2020-12-23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479A KR102491642B1 (ko) 2020-12-23 2020-12-23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201A KR20220091201A (ko) 2022-06-30
KR102491642B1 true KR102491642B1 (ko) 2023-01-26

Family

ID=8221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479A KR102491642B1 (ko) 2020-12-23 2020-12-23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6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5027A (ja) 2001-11-30 2003-06-10 Toshiba Mach Co Ltd 放電加工用工具、放電電極ホルダおよびこれを用いた工作機械
JP2006326818A (ja) 2005-05-26 2006-12-07 Yuutorii Kk マシニングセンター主軸に取り付ける放電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265B1 (ko) 1980-06-16 1983-10-21 후지쓰후아낙크 가부시끼 가이샤 와이어-커트 방전 가공기
JPS584320A (ja) 1981-06-25 1983-01-11 Fanuc Ltd 放電加工機制御方式
JP2898233B2 (ja) * 1995-09-29 1999-05-31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放電加工機の給電装置
KR100947414B1 (ko) * 2001-10-15 2010-03-12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공구와 공구홀더 및 공작기계
KR101843254B1 (ko) 2016-04-20 2018-03-28 전창복 방전가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5027A (ja) 2001-11-30 2003-06-10 Toshiba Mach Co Ltd 放電加工用工具、放電電極ホルダおよびこれを用いた工作機械
JP2006326818A (ja) 2005-05-26 2006-12-07 Yuutorii Kk マシニングセンター主軸に取り付ける放電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201A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22722B (zh) 一种磁力控制的复杂型面板件电解加工装置
CN104551283A (zh) 一种旋转超声电火花加工平台
JP2019181659A (ja) 治具部品
KR102491642B1 (ko) 전극 무회전 타입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CN103317207B (zh) 一种磁控电弧加工轴的方法
CN107876914B (zh) 一种龙门中走丝线切割装置
CN101913087B (zh) 一种导电式转台
KR200455903Y1 (ko) 이동식 슈퍼 드릴
CN111069721A (zh) 一种磁性金属加工用电火花机
CN113305377B (zh) 一种压电微动可偏心旋转柱状电极微细电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CN212122650U (zh) 一种立卧两用侧立柱式圆台平面磨床
CN205798623U (zh) 一种电火花机床专用机器人
KR102534820B1 (ko) 범용공작기계에 장착되는 방전가공용 어태치먼트
CN110732929B (zh) 一种耐冲刷铝电极表面精磨装置
CN212286185U (zh) 一种硬质合金生产用火花机
CN214291233U (zh) 电火花成型机床
CN111037018A (zh) 一种数控走丝线切割机穿丝器
CN215700073U (zh) 一种锻件机加工车床
CN212351372U (zh) 一种高精度轧机箱体的磨削工具
CN214134126U (zh) 一种数控加工中心机床钻头检测装置
CN212551827U (zh) 一种电机机壳钻孔装置
CN216441843U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搅拌摩擦焊刀柄
CN114029568B (zh) 一种简单高效的螺杆钻具转子电解加工工艺以及装置
CN110899875B (zh) 一种电极丝可整体伸入待加工工件的电火花线切割设备
CN216028612U (zh) 一种电火花加工放电间隙距离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