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908A -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908A
KR20220041908A KR1020227007181A KR20227007181A KR20220041908A KR 20220041908 A KR20220041908 A KR 20220041908A KR 1020227007181 A KR1020227007181 A KR 1020227007181A KR 20227007181 A KR20227007181 A KR 20227007181A KR 20220041908 A KR20220041908 A KR 20220041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ealing
peeling
section
tobac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슌 저우
šœ 저우
샤오펑 왕
청후 왕
샤오위 장
윈 차오
하이펑 장
Original Assignee
차이나 토바코 안후이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토바코 안후이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차이나 토바코 안후이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14Machines of the continuous-rod type
    • A24C5/18Forming the rod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14Machines of the continuous-rod type
    • A24C5/18Forming the rod
    • A24C5/1807Forming the rod with compressing means, e.g. ga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14Machines of the continuous-rod type
    • A24C5/18Forming the rod
    • A24C5/1835Multiple rod ma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14Machines of the continuous-rod type
    • A24C5/20Reels; Supports for bobbins; Othe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14Machines of the continuous-rod type
    • A24C5/24Pasting the seam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Cigar And Cigarette Tobacco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에 있어서, 이 중, 보터밍 섹션(1)에서 보터밍 드럼(11)을 사용하여 담배 튜브와 상단의 커터 엣지층(12)을 동기화 회전시켜, 상측의 복합 캠(19)과 복합 펀칭핀(13)이 협동하도록 하고, 복합 펀칭핀(13)의 상하 이동으로 담배 튜브에 대한 보터밍을 구현하고; 필링 섹션(2)에서 필링 드럼(21)을 사용하여 상단의 피딩 트레이(22)를 회전시키고, 필링 캠(27)과 피딩 트레이(22) 상의 복수의 이동 피스톤(212)이 협동함으로써, 피딩 트레이(22) 환형홈(111) 상의 각 필링 통공(23)의 관통/차단을 구현하여, 격판(24)이 위치한 필링 작업 영역에서 필링을 수행하고; 글루잉 섹션(3)의 접착제 공급 로드(33)와 담배 튜브는 맞물림 지점에서 글루잉 캠(310)의 압착에 의해 서로 접촉하고, 접착제 풀(35) 중의 글루잉 휠(36)을 통해 접착제 공급 로드(33)에 접착제를 공급하고; 밀봉 섹션(4)에서 밀봉 드럼(41)의 회전으로 밀봉 펀칭핀(43)과 상측의 밀봉 캠(45)을 협력시켜, 밀봉 펀칭핀(43)의 상하 이동을 구현하고, 글루잉 후의 담배 튜브의 밀봉을 완성한다. 해당 장치는 더욱 효과적으로 그리고 고 품질로 과립형의 가열 불연소 담배 제품을 제조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본 발명은 담배 생산 장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담배 규제 기본 협약》의 반포 및 시행에 따라, 각 국 정부의 담배 규제 조치가 점점 더 엄격해지고, 담배에 대한 규제 법률도 점점 더 엄격해지고, 담배 통제와 반대의 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국내외 시장 경쟁 압력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동시에 사람들의 생활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사람들은 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환경 보호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담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되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전통 담배의 발전은 점점 더 많은 제한을 받고 있는 바, 2011년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권연의 생산과 판매량이 감소함과 동시에, 다른 종류의 담배 제품은 급속한 성장 추세를 보였고, 세계 담배 시장 제품 구조는 지속적으로 심각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전 시리즈 담배 제품의 적극적인 발전은 점차적으로 여러 다국적 담배 회사의 전략적 방향이 되었다. 현재 시장에는 가열 불연소형 담배 제품, 전자 담배 및 무연 담배 제품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유형의 새로운 담배 제품 유형이 출시되었다. 이 중, 가열 불연소 담배 제품은 다양한 형태의 담배 재료를 가열하여 연기 방출 효과를 내는 새로운 유형의 담배 제품으로서, 20세기 8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새로운 담배 제품의 중요한 유형 중 하나이다.
가열 불연소 담배 제품은 일반적으로 "가열 불연소" 방식을 통해 소비자에게 담배 향을 전달하고, 외관과 소비 방식도 기존 권연과 유사하여, 소비자의 생리적 및 심리적 수요를 어느 정도 적응하고 충족시킨다. 이러한 "가열 불연소" 방식은 담배가 보다 낮은 온도(일반적으로 500℃ 미만)에서만 가열되도록 하여, 담배의 고온 연소로 인한 타르 및 대량의 유해 화합물의 생성을 방지하고, 기본적으로 부류연이 없기 때문에 간접 흡연이 발생하지 않으며, 공공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담배 제조 회사와 연구 기관에서는 가열 불연소 담배 제품의 엄청난 잠재력을 발견하고, 이 분야에 막대한 투자를 하여 많은 것을 얻었다. 이 중, 전기 가열 불연소 담배 제품은 가열 온도 제어가 가능하고, 가열 방식이 유연하고, 사용이 편리하고, 패셔너블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더욱 주목을 받고 있으며, 현재 국내외 가열 불연소 담배 제품의 중요한 발전 방향이다. 특히 Philip Morris 국제의 IQOS, 영-미 담배의 GLO, 한국 KT&G 회사의 FIIT, 중국 담배 사천 중국 담배의 KUANZHAI BULLET, 광동 중국 담배의 MU, 호북 중국 담배의COO 등 현재 널리 사용되는 저항 가열 기술은 현재 시장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상기 전기 가열식 담배 장치의 부대 담배에 사용되는 연기 방출 재료는 모두 담배 시트, 살담배와 담배 시트의 혼합물 등과 같은 필라멘트 담배 재료이다. 특허 CN109512031A에는 다른 종류의 연기 방출 재료, 즉 과립상 연기 방출 재료를 개시한다. 기존 담배 시트와 비교하면, 해당 과립상 연기 방출 재료는 외부 섬유를 추가할 필요가 없으며, 흡입 시 관능 품질이 더 좋으며,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장비 투자가 크게 줄어든다. 특허 CN109527638A, CN109527639A, CN109512031A 등은 해당 과립상 담배 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가열 불연소 권연 담배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 CN108903065A 및 CN109292115A는 해당 과립상 담배 중 담배 과립의 필링 장비를 개시한다. 그러나 과립 담배의 보터밍 원형 시트는 펀칭핀 세트로 펀칭되고, 원형 캠을 사용하여 펀칭을 제어하는 바, 이 펀칭 제어 방법은 불안정하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결함; 과립 필링의 정량컵이 회전식으로서, 상하로 통로를 형성할 수 없고, 강제 필링을 실현할 수 없으며, 과립 점도가 약간 커서 필링이 불완전한 결함; 종이 튜브 단면에 대한 글루잉이 간헐적 방식을 사용하여, 글루잉 량을 제어하기 어렵고, 접착제를 재활용할 수 없으며; 밀봉 원형 시트는 하나의 원형 캠을 사용하여 블랭킹을 제어하는데, 이런 블랭킹 제어 방법은 불안정하고 효율이 보다 낮은 결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정한 정도에서 상술한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보터밍, 과립 정량 필링, 글루잉 및 밀봉 섹션 장치를 최적화 설계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고품질로 과립형 가열 불연소 담배 제품을 제조하고 동시에 재료 원가 저감을 구현하기 위한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의 기술방안을 사용한다.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에 있어서, 그 구조 특징에 따르면, 스테이지 상에 앞에서 뒤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보터밍 섹션, 필링 섹션, 글루잉 섹션과 밀봉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보터밍 섹션은 담배 저장 호퍼에서 물료가 공급되고, 공급받은 담배 튜브에 대해 보터밍하되, 보터밍 드럼, 보터밍 드럼 상단에 고정 장착된 커터 엣지층, 커터 엣지층 상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된 복수의 복합 펀칭핀, 복합 캠과 보터밍 종이 테이프 통로를 포함하고; 복수의 담배 튜브는 수직되며 개구단이 위를 향하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보터밍 드럼 외주 상의 각 담배 지지슬롯에 균일하게 배치되고; 커터 엣지층, 복수의 복합 펀칭핀과 보터밍 드럼은 동기화 회전 부재이고, 복수의 복합 펀칭핀은 일대일 대응되게 각 담배 튜브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고, 상단부가 커터 엣지층의 상측에 노출되되, 쇼트 펀칭핀과, 축향으로 쇼트 펀칭핀을 관통하고 상단부가 쇼트 펀칭핀 상측에 노출된 포밍핀을 포함하고; 복합 캠은 독립적인 고정 부재이고, 커터 엣지층의 상측에 서스펜딩되고, 각 복합 펀칭핀의 회전 궤적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모두 아래로 돌출된 하층 쇼트 곡면 섹션과 상층 롱 곡면 섹션을 가지며, 상기 하층 쇼트 곡면 섹션은 상층 롱 곡면 섹션의 아래에 위치하고, 바로 아래에서 통과하는 쇼트 펀칭핀의 상단과 서로 저촉 가능하여, 쇼트 펀칭핀이 종이 테이프 통로 상의 종이 테이프 중심 위치에서 하행하도록 하여 종이 테이프에 대한 블랭킹을 구현하고, 상기 상층 롱 곡면 섹션은 바로 아래에서 통과하는 포밍핀 상단과 서로 저촉 가능하여, 포밍핀이 하행하여 펀칭된 보터밍 베이스 원형 시트를 바로 아래의 담배 튜브 내에 압입하도록 하여, 담배 튜브에 대한 보터밍을 구현하고;
상기 필링 섹션은 보터밍된 담배 튜브에 담배 과립을 필링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링 드럼, 필링 드럼 상단에 고정 장착된 피딩 트레이, 피딩 트레이 상의 환형홈 내에 서스펜딩되어 있는 격판, 복수의 이동 피스톤 및 피딩 트레이의 외부 둘레에 구비된 필링 캠을 포함하고; 피딩 트레이와 필링 드럼은 동기화 회전 부재이고, 환형홈의 상부는 개방되어, 필링 및 피딩 홈으로서 작용하고, 피딩 트레이는 환형홈의 홈 바닥 상에 둘레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복수의 수직 필링 통공을 통해 바로 아래의 필링 드럼 상의 각 담배 튜브 개구단과 일대일 대응되게 연결되고; 격판은 환형홈의 홈 바닥에 바로 인접하고, 판체 상에는 각 필링 통공 바로 상측에 대응되게 복수의 기공이 개설되고, 격판에 의해 커버된 환형홈의 영역은 필링 작업 영역이 되고; 복수의 이동 피스톤은 필링 드럼의 지름 방향을 따라 각 필링 통공과 +자로 교차되게 일대일 대응되게 각 필링 통공에 관통 설치되고, 외측이 피딩 트레이 외부에 노출되어, 지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필링 작업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필링 캠의 둘레에는 피딩 트레이를 향하며, 지름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아치형의 필링 곡면 섹션을 구비하여, 필링 곡면 섹션과 통과되는 이동 피스톤이 서로 저촉하는 상태로, 이동 피스톤이 지름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필링 통공이 관통되도록 하거나, 외측으로 리셋되어 상기 필링 통공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글루잉 섹션은 필링된 담배 튜브의 개구단에 대해 글루잉하기 위한 것으로서, 글루잉 부재와 담배 튜브를 운송하기 위한 글루잉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글루잉 부재의 한 쌍의 고정 트레이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동기화 회전 부재이고, 복수의 접착제 공급 로드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고정 트레이 사이에 관통 설치되고, 상하단이 모두 노출되고, 둘레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치되며; 노치를 구비한 환형 접착제 풀은 하층 고정 트레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글루잉 휠의 축선 방향과 고정 트레이의 축선 방향은 수직되고, 접착제 풀에 오버행되어 있으며, 제2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 가능하고, 휠 둘레 상단은 통과하는 접착제 공급 로드의 하단과 바로 인접하고, 한 쌍의 스크레이퍼가 접착제 풀에 설치되어 있고, 글루잉 휠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고정 트레이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글루잉 휠의 상류에 위치한 스크레이퍼의 상단은 바로 상측을 통과하는 접착제 공급 로드의 하단과 서로 접촉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스크레이퍼의 상단과 접착제 공급 로드의 하단 사이에는 간격 a가 존재하고; 글루잉 드럼과 한 쌍의 고정 트레이는 전자 기어 맞물림 전동을 수행하고, 고정 트레이 상의 접착제 공급 로드의 하단과 글루잉 드럼 상의 담배 튜브 개구단은 맞물림 지점에 위치할 때 상하 마주하고, 글루잉 부재의 글루잉 캠은 고정 트레이 상측에 매달려 있고, 맞물림 지점에 위치하고 고정 부재이며, 하단부에는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가 맞물림 지점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는 아래로 돌출된 글루잉 곡면 섹션을 구비하고, 통과되는 접착제 공급 로드의 상단부와 서로 저촉하여, 접착제 공급 로드가 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에서 최저점으로 하행도록 함으로써, 접착제 공급 로드의 하부와 바로 아래의 담배 튜브 개구단이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밀봉 섹션은 글루잉된 담배 튜브 단부를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서, 밀봉 드럼, 밀봉 드럼 상단에 고정 장착된 블랭킹층,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블랭킹층 상에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관통 설치된 복수의 밀봉 펀칭핀, 블랭킹층 상측에 매달려 있는 밀봉 캠과 밀봉 종이 테이프 통로를 포함하고; 복수의 밀봉 펀칭핀은 일대일 대응되게 밀봉 드럼 상의 각 담배 튜브의 바로 상측에 구비되고, 상단부가 블랭킹층 상측에 노출되며; 밀봉 캠은 독립적인 고정 부재이고, 각 담배 튜브의 원심이 위치한 원주에 대응되는 하단면의 바로 상측에는 아래로 돌출된, 담배 튜브의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과 밀봉 롱 곡면 섹션이 구비되고,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이 바로 아래를 통과하는 밀봉 펀칭핀의 상단과 서로 저촉하는 상태로, 밀봉 펀칭핀이 곡면을 따라 점차적으로 하행하도록 하여,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와 밀봉 종이 테이프에 대한 블랭킹을 구현할 수 있으며, 밀봉 롱 곡면 섹션과 밀봉 펀칭핀의 상단이 서로 저촉되는 상태로, 밀봉 펀칭핀이 점차적으로 하행하도록 하여, 블랭킹된 밀봉 베이스 시트를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에서 담배 튜브 글루잉 단부에 누름으로써, 글루잉된 담배 튜브에 대한 밀봉을 구현하고;
상기 보터밍 드럼과 필링 드럼 사이는 제2 트랜지션 드럼을 통해 운송되고, 상기 필링 드럼, 글루잉 드럼과 밀봉 드럼은 순차적으로 맞물리고, 상기 밀봉 드럼 상의 밀봉된 담배 튜브는 제3 트랜지션 드럼을 통해 담배 출력 벨트 상에 운송된다.
본 발명의 구조 특징은 또한 아래와 같다.
담배 튜브는 수평 자세로 상기 담배 저장 호퍼에 보관되고, 조향 드럼, 제1 트랜지션 드럼과 보터밍 드럼은 순차적으로 맞물려, 담배 저장 호퍼 배출구를 통해 낙하된 담배 튜브를 보터밍 드럼에 운송하고, 상기 조향 드럼을 통해 담배 튜브가 수평 자세에서 개구단이 위를 향하는 수직 자세로 전환된다.
상기 보터밍 섹션은 담배 튜브가 보터밍 드럼을 따라 회전하여 보터밍 종이 테이프 통로 상의 종이 테이프의 중심 바로 상측을 통과할 때의 위치를 보터밍 제로 위치로 하고; 상기 복합 캠 하단부에는 한 바퀴의 환형홈이 구비되어, 복합 펀칭핀의 노출 섹션의 회전 통로로 하며; 상층 롱 곡면 섹션은 환형홈의 홈 상벽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가로 눕혀진 “√” 형태를 이루며, 쇼트 곡면 섹션으로부터 보다 가까운 일측 끝단의 바로 상측의 위치로부터 보터밍 드럼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보터밍 제로 위치에 인접한 일측이 보다 긴 변이고; 하층 쇼트 곡면 섹션은 복합 캠의 하단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대칭되게 보터밍 제로 위치의 바로 상측의 양측에 배치되고,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는 보터밍 제로 위치의 바로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쇼트 펀칭핀의 노출 섹션 상에서, 상단부와 커터 엣지층 상단면 사이에 제1 스프링이 끼움 설치되고, 상기 포밍핀의 노출 섹션 상에서, 상단부와 쇼트 펀칭핀의 상단 사이에 제2 스프링이 끼움 설치된다.
상기 필링 통공의 수용 체적과 담배 튜브의 필링 재료의 체적은 서로 어뎁티브하고; 상기 필링 곡면 섹션의 외면은 거칠고, 복수의 미세 돌기를 가지며, 필링 곡면 섹션이 향하는 원심각 a와 필링 작업 영역이 위치한 원호 섹션이 향하는 원심각 b는 동일하다.
상기 필링 통공의 수용 체적과 담배 튜브의 필링 재료의 체적은 서로 어뎁티브하고; 상기 피딩 트레이 상에 각 이동 피스톤에 대응되게 복수의 횡향의 가이드홈이 설치되고, 필링 통공과 +자로 교차되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 피스톤은 기둥 모양으로서, 외부 노출단은 반구형을 이루고, 가이드홈에 내장된 말단부는 개구된 원통형을 이루며, 제3 스프링은 말단부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가이드홈의 홈 바닥과 말단부 실린더 바닥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피스톤 상에는 상기 필링 통공의 홀 지름과 동일한 수직 트랜지션 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필링 통공과 수직으로 정렬될 때, 상기 필링 통공은 상하 관통된다.
상기 접착제 공급 로드 상의, 한 쌍의 고정 트레이 사이에 제4 스프링이 끼움 설치되고, 접착제 공급 로드가 글루잉 곡면 섹션에 접촉하도록 위치할 때 자연 상태를 이루고; 상기 글루잉 곡면 섹션은 둘레 방향을 따라 맞물림 지점 바로 상측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원호형 구조이다.
글루잉된 복수의 담배 튜브는 개구단이 위를 향하도록 세워지며 밀봉 드럼 외원주 상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 각 담배 지지슬롯에 흡착되고, 밀봉 드럼에 따라 회전하여 종이 테이프 통로 상의 종이 테이프 중심 바로 상측을 통과할 때의 위치를 블랭킹 위치로 하며; 상기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은 원호형 구조이고, 둘레 방향을 따라 대칭되게 블랭킹 위치의 바로 상측의 양측에 위치하고,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는 상기 블랭킹 위치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밀봉 롱 곡면 섹션은 눕혀진 “√” 형을 이루고, 밀봉 드럼의 회전 방향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고,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의 후방에 위치하며, 블랭킹 위치에 인접한 일측은 보다 긴 변이고, 보다 긴 변의 말단과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의 말단은 스무스하게 연결되고,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 및 양측은 모두 원호 트랜지션을 이룬다.
상기 밀봉 종이 테이프 통로는 밀봉 드럼의 일측에 구비되고, 종이 테이프가 위치한 평면은 담배 튜브 상단면과 밀봉 펀칭핀 하단면 사이에 위치하고, 종이 테이프의 중심선은 밀봉 드럼 상의 각 담배 튜브의 원심이 위치한 원주에 접하며, 접점은 상기 블랭킹 위치이다.
상기 밀봉 펀칭핀의 상단부는 구결상(球缺狀)을 이루고, 블랭킹층의 상단면과의 사이에 제5 스프링이 끼움 설치되고, 상기 제4 스프링이 자연 상태에 있을 때, 종이 테이프가 위치한 평면과 밀봉 펀칭핀의 하단면 사이에 간격이 존재한다.
기존 기술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의 보터밍 섹션은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이층 곡면 섹션을 구비한 평면 복합 캠을 사용하여, 축향으로 끼움 설치된 복합 펀칭핀이 상하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복합 캠의 곡면 섹션과 복합 펀칭핀의 쇼트 펀칭핀 및 포밍핀 간에 항상 무충격 접촉을 유지하고, 작동 길이도 대폭 증가하여, 과립형 담배 보터밍의 작동 안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2. 본 발명의 필링 섹션에서, 필링 통공과 담배 튜브의 개구단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수직으로 관통된 필링 통로를 구성하여, 격판 상의 기공을 통해 압축 공기를 통과시켜 강제적인 필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동 피스톤의 이동은 필링 캠의 필링 곡면 섹션과의 접촉을 통해 제어되고, 이동은 연속적임으로써 필링의 안정성이 대폭으로 향상되도록 한다.
3. 본 발명의 글루잉 섹션에서, 글루잉 부재의 한 쌍의 스크레이퍼는 글루잉 량에 대한 제어 및 글루잉 후에 잔여 접착제에 대한 회수를 각각 구현할 수 있고, 접착제 공급 로드와 담배 튜브 단부가 맞물림 지점에서 글루잉 캠의 작용 하에 접촉되면서 원호 상대적 이동을 하여 연속적인 방식으로 담배 튜브 단부의 글루잉을 구현하고, 글루잉 시간을 단축하고, 글루잉 효과를 향상시킨다.
4. 본 발명의 밀봉 섹션에서, 단층 평면 밀봉 캠과 밀봉 펀칭핀의 협력으로, 글루잉된 담배 튜브의 밀봉을 구현하여, 밀봉 공정을 대폭으로 간소화시키고, 밀봉 작동 안정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보터밍, 필링, 글루잉 및 밀봉 각 공정 섹션에 대해 모두 최적화 개선하고, 각 공정 섹션의 협동 협력으로, 효율적이고 고품질로 과립형 가열 불연소 담배 제품의 생산을 구현하며, 보터밍 섹션, 필링 섹션 및 밀봉 섹션은 모두 드럼 자체의 회전으로 보터밍, 필링과 밀봉을 완성하고, 각 캠에 별도의 동력을 제공할 필요가 없기에 원가와 공간을 절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보터밍 섹션의 구조 사시도이다(도면 중 화살표는 보터밍 드럼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다른 시각에서의 구조 사시도이다(복합 캠의 행어는 미도시).
도 4는, 보터밍 섹션 중의 복합 펀칭핀이 하층 쇼트 곡면 섹션 및 상층 롱 곡면 섹션을 따라 이동할 때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 중 복합 캠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6은, 필링 섹션의 구조 사시도이다(장착암은 도시되지 않고, 화살표는 필링 드럼의 회전 방향을 도시).
도 7은, 도 6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6의 단면 사시 구조도이다.
도 9는, 필링 캠의 구조 사시도이다.
도 10은, 필링 섹션 중에서 이동 피스톤과 필링 캠의 협력 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글루잉 섹션의 구조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 중의 글루잉 부재의 구조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다른 시각에서의 구조 사시도이다.
도 14는, 밀봉 섹션의 구조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다른 시각에서의 구조 사시도이다(밀봉 종이 테이프 통로는 미도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장점을 더욱 명확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분명한 것은,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분 실시예이며 모든 실시예인 것은 아니다. 본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력을 거치지 않고 획득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는 앞에서 뒤로 순차적으로 스테이지(5) 상에 배치된 보터밍 섹션(1), 필링 섹션(2), 글루잉 섹션(3) 및 밀봉 섹션(4)을 포함하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터밍 섹션(1)은 담배 저장 호퍼(6)에서 물료가 공급되고, 공급받은 담배 튜브에 대해 보터밍하되, 보터밍 드럼(11), 보터밍 드럼(11) 상단에 고정 장착된 커터 엣지층(12), 커터 엣지층(12) 상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된 복수의 복합 펀칭핀(13), 복합 캠(19)과 보터밍 종이 테이프 통로(114)를 포함하고; 복수의 담배 튜브는 수직되며 개구단이 위를 향하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보터밍 드럼(11) 외주 상의 각 담배 지지슬롯에 균일하게 배치되고; 커터 엣지층(12), 복수의 복합 펀칭핀(13)과 보터밍 드럼(11)은 동기화 회전 부재이고, 복수의 복합 펀칭핀(13)은 일대일 대응되게 각 담배 튜브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고, 상단부가 커터 엣지층(12)의 상측에 노출되되, 쇼트 펀칭핀(14)과 축향으로 쇼트 펀칭핀(14)을 관통하고, 상단부가 쇼트 펀칭핀(14) 상측에 노출된 포밍핀(15)을 포함하고; 복합 캠(19)은 독립적인 고정 부재이고, 수평 환형 블록 구조를 이루고, 행어(110)에 의해 커터 엣지층(12) 상측에 서스펜딩되고, 각 복합 펀칭핀(13)의 회전 궤적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모두 아래로 돌출된 하층 쇼트 곡면 섹션(112)과 상층 롱 곡면 섹션(113)을 가지며, 하층 쇼트 곡면 섹션(112)은 상층 롱 곡면 섹션(113) 아래에 위치하고, 바로 아래에서 통과하는 쇼트 펀칭핀(14)의 상단과 서로 저촉 가능하여, 쇼트 펀칭핀(14)이 종이 테이프 통로 상의 종이 테이프 중심 위치에서 하행하도록 하여 종이 테이프에 대한 블랭킹을 구현하고, 상층 롱 곡면 섹션(113)이 바로 아래에서 통과하는 포밍핀(15) 상단과 서로 저촉 가능하여, 포밍핀(15)이 하행하여 펀칭된 보터밍 베이스 원형 시트를 바로 아래의 담배 튜브 내에 압입하도록 하여, 담배 튜브에 대한 보터밍을 구현하고;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링 섹션(2)은 보터밍된 담배 튜브에 담배 과립을 필링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링 드럼(21), 필링 드럼(21) 상단에 고정 장착된 피딩 트레이(22), 피딩 트레이(22) 상의 환형홈(111) 내에 서스펜딩되어 있는 격판(24)(행어 로드(25)에 의해 장착 암(215)에 서스펜딩), 복수의 이동 피스톤(212) 및 피딩 트레이(22)의 외부 둘레에 구비된 필링 캠(27)을 포함하고; 피딩 트레이(22)와 필링 드럼(21)은 동기화 회전 부재이고, 환형홈(111)의 상부는 개방되어, 필링 및 피딩 홈으로서 작용하고, 피딩 트레이(22)가 환형홈(111)의 홈 바닥 상에 둘레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복수의 수직 필링 통공(23)을 통해 바로 아래의 필링 드럼(21) 상의 각 담배 튜브 개구단과 일대일 대응되게 연결되고; 격판(24)은 환형홈(111)의 홈 바닥에 바로 인접하고, 판체 상에는 각 필링 통공(23) 바로 상측에 대응되게 복수의 기공(26)이 개설되고, 격판(24)에 의해 커버된 환형홈(111)의 영역은 필링 작업 영역이 되고; 복수의 이동 피스톤(212)은 필링 드럼(21)의 지름 방향을 따라 각 필링 통공(23)과 +자로 교차되게 일대일 대응되게 각 필링 통공(23)에 관통 설치되고, 외측이 피딩 트레이(22) 외부에 노출되어, 지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필링 작업 영역에 대응되는 필링 캠(27)의 외부 둘레에는 피딩 트레이(22)를 향하며, 지름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아치형의 필링 곡면 섹션(28)을 구비하여, 필링 곡면 섹션(28)과 통과되는 이동 피스톤(212)이 서로 저촉하는 상태로, 이동 피스톤(212)이 지름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필링 통공(23)이 관통되도록 하거나, 외측으로 리셋되어 필링 통공(23)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루잉 섹션(3)은 필링된 담배 튜브의 개구단에 대해 글루잉하되, 글루잉 부재와 담배 튜브를 운송하기 위한 글루잉 드럼(31)을 포함하고; 글루잉 부재의 한 쌍의 고정 트레이(32)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동기화 회전 부재이며, 복수의 접착제 공급 로드(33)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고정 트레이(32) 사이에 관통 설치되고, 상하단이 모두 노출되고, 둘레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치되며; 노치를 구비한 환형 접착제 풀(35)은 하층 고정 트레이(3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글루잉 휠(36)의 축선 방향이 고정 트레이(32)의 축선 방향과 수직되고, 접착제 풀(35)에 오버행되어 있으며, 제2 구동장치(37)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 가능하고, 휠 둘레 상단은 통과하는 접착제 공급 로드(33)의 하단에 바로 인접하고, 한 쌍의 스크레이퍼가 접착제 풀(35)에 설치되어 있고, 글루잉 휠(36)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고정 트레이(32)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글루잉 휠(36)의 상류에 위치한 스크레이퍼(아래 "스크레이퍼 A(38)"이라고 지칭)의 상단은 바로 상측을 통과하는 접착제 공급 로드(33)의 하단과 서로 접촉할 수 있고, 다른 스크레이퍼(아래 "스크레이퍼 B(39)"이라고 지칭)의 상단과 접착제 공급 로드(33)의 하단 사이에는 간격 a(본 실시예에서 간격 a는 0.1mm로 설정됨)가 존재하고; 글루잉 드럼(31)과 한 쌍의 고정 트레이(32)는 각각 서보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전자 기어 맞물림 전동을 수행하고, 고정 트레이(32) 상의 접착제 공급 로드(33)의 하단과 글루잉 드럼(31) 상의 담배 튜브 개구단은 맞물림 지점에서 상하 마주하고, 글루잉 부재의 글루잉 캠(310)은 고정 트레이(32) 상측에 매달려 있고, 맞물림 지점에 위치하고 고정부재이며, 하단부에는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가 맞물림 지점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는 아래로 돌출된 글루잉 곡면 섹션(311)을 구비하고, 통과되는 접착제 공급 로드(33)의 상단부와 서로 저촉 가능하여, 접착제 공급 로드(33)를 하행시켜,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에서 최저점으로 하행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 공급 로드(33)의 하부와 바로 아래의 담배 튜브 개구단이 접촉하도록 하고;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섹션(4)은 글루잉된 담배 튜브 단부를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서, 밀봉 드럼(41), 밀봉 드럼(41) 상단에 고정 장착된 블랭킹층(42),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블랭킹층(42) 상에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관통 설치된 복수의 밀봉 펀칭핀(43), 블랭킹층(42) 상측에 매달려 있는 밀봉 캠(45)과 밀봉 종이 테이프 통로(49)를 포함하고; 복수의 밀봉 펀칭핀(43)은 일대일 대응되게 밀봉 드럼(41) 상의 각 담배 튜브의 바로 상측에 구비되고, 상단부가 블랭킹층(42) 상측에 노출되며; 밀봉 캠(45)은 독립적인 고정 부재이고, 수평으로 놓인 환형 블록상 구조이며, 각 담배 튜브의 원심이 위치한 원주에 대응되는 하단면의 바로 상측에는 아래로 돌출된, 담배 튜브의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과 밀봉 롱 곡면 섹션(46)이 구비되고,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과 바로 아래를 통과하는 밀봉 펀칭핀(43)의 상단과 서로 저촉하는 상태로, 밀봉 펀칭핀(43)이 곡면을 따라 점차적으로 하행하도록 하여,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와 밀봉 종이 테이프에 대한 블랭킹을 구현할 수 있으며, 밀봉 롱 곡면 섹션(46)과 밀봉 펀칭핀(43)의 상단이 서로 저촉되는 상태로, 밀봉 펀칭핀(43)이 점차적으로 하행하도록 하여, 블랭킹된 밀봉 베이스 원형 시트를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에서 담배 튜브 글루잉 단부에 누름으로써, 글루잉된 담배 튜브에 대한 밀봉을 구현하고;
보터밍 드럼(11)과 필링 드럼(21) 사이는 제2 트랜지션 드럼(73)을 통해 운송되고, 필링 드럼(21), 글루잉 드럼(31)과 밀봉 드럼(41)은 순차적으로 맞물리고, 밀봉 드럼(41) 상의 밀봉된 담배 튜브는 제3 트랜지션 드럼(74)을 통해 담배 출력 벨트(8) 상에 운송된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상응한 구조의 구성은 아래의 것들도 포함한다.
보터밍 섹션(1)에서,
담배 튜브는 수평 자세로 담배 저장 호퍼(6)에 보관되고, 조향 드럼(71), 제1 트랜지션 드럼(72)과 보터밍 드럼(11)은 순차적으로 맞물려, 담배 저장 호퍼(6) 배출구를 통해 낙하된 담배 튜브를 보터밍 드럼(11)에 운송하고, 조향 드럼(71)을 통해 담배 튜브를 수평 자세에서 개구단이 위를 향하는 수직 자세로 전환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향 드럼(71)의 휠축은 경사져 수평면과 45° 경사각을 이룬다.
보터밍 섹션(1)은 담배 튜브가 보터밍 드럼(11)과 함께 회전하여 보터밍 종이 테이프 통로(114) 상의 종이 테이프의 중심 바로 상측을 통과할 때의 위치를 보터밍 제로 위치로 하고; 복합 캠(19) 하단부에는 한 바퀴의 환형홈(111)이 구비되고, 환형홈(111)이 아래로 복합 캠(19)의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개구를 형성하고, 환형홈(111)을 복합 펀칭핀(13)의 노출 섹션의 회전 통로로 하며; 상층 롱 곡면 섹션(113)은 환형홈(111)의 홈 상벽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 가로로 눕혀진 “√” 형태를 이루며, 쇼트 곡면 섹션으로부터 보다 가까운 일측 끝단의 바로 상측 위치로부터 보터밍 드럼(1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보터밍 제로 위치에 인접한 일측이 보다 긴 변이고; 하층 쇼트 곡면 섹션(112)은 복합 캠(19)의 하단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원주 방향을 따라 대칭되게 보터밍 제로 위치의 바로 상측 양측에 배치되고,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는 보터밍 제로 위치의 바로 상측에 위치한다. 상층 롱 곡면 섹션(113)과 하층 쇼트 곡면 섹션(112)이 위치한 원주는 모두 각 담배 튜브 원심이 위치한 원주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고, 양자의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 및 두 말단은 모두 원호 트랜지션을 구비한다.
보터밍 드럼(11) 상의 입구 위치와 출구 위치 사이는 180° 이격되고, 보터밍 제로 위치는 입구 위치(도 2 중 a 위치)와 출구 위치(도 2 중 b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고, 쇼트 곡면 섹션이 차지하는 원호 길이와 인접한 3개의 담배 튜브 원심이 차지하는 원호 길이는 서로 어뎁티브하고, 롱 곡면 섹션은 출구 지점에 인접한 바로 상측 위치까지 연장된다.
커터 엣지층(12)의 횡단면은 환형을 이루고, 각 복합 펀칭핀(13)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통 통공(18)이 구비되고, 복합 펀칭핀(13)은 쇼트 펀칭핀(14)으로 관통 통공(18)에 관통 설치된다. 쇼트 펀칭핀(14)의 노출 섹션 상에서, 상단부와 커터 엣지층(12) 상단면 사이에 제1 스프링(16)이 끼움 설치되고, 포밍핀(15)의 노출 섹션 상에서, 상단부와 쇼트 펀칭핀(14)의 상단 사이에 제2 스프링(17)이 끼움 설치되고, 복합 캠(19)의 하층 쇼트 곡면 섹션(112)과 상층 롱 곡면 섹션을 이탈할 때 각각 제1 스프링(16)과 제2 스프링(17)의 회복력에 의해 쇼트 펀칭핀(14)과 포밍핀(15)의 리셋을 보조한다. 제1 스프링(16)과 제2 스프링(17) 모두가 자연 상태일 때, 복합 펀칭핀(13)의 쇼트 펀칭핀(14)과 포밍핀(15)의 하단이 정렬되고, 종이 테이프 상단면과 수직으로 간격이 존재한다.
쇼트 펀칭핀(14), 포밍핀(15)의 이동 거리, 초기 상태에서의 쇼트 펀칭핀(14) 하단으로부터 종이 테이프까지의 수직 간격, 포밍핀(15) 하단과 담배 튜브의 수직 간격과 같은 파라미터는 구체적인 생산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이 부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해하기 용이하고 쉽게 구현할 수 있기에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필링 섹션(2)에서,
필링 통공(23)의 수용 체적과 담배 튜브의 필링 재료의 체적은 서로 어뎁티브하고; 필링 캠(27)은 수평으로 놓여진 아치형 구조를 이루며, 피딩 트레이(22)에 마주한 일측 측벽은 피딩 트레이(22)와 공축되는 호면 구조를 이루고, 필링 곡면 섹션(28)에 마주하는 원심각 a와 필링 작업 영역이 위치한 원호 섹션에 마주하는 원심각 b는 동일하다. 필링 곡면 섹션(28)의 코어 영역은 작업 섹션(29)이고, 작업 섹션(29)으로 이동 피스톤(212)에 접하여 가압함으로써, 필링 통공(23)이 관통될때까지 이동 피스톤(212)이 내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 중, 작업 섹션(29)은 아치형 곡면이고, 위치한 원주와 환형홈(111)은 동축이고, 양측은 각각 기/시(起/始)단 트랜지션 섹션(210)을 통해 필링 캠(27) 측벽까지 원호로 트랜지션되고, 양측 트랜지션 섹션(210)의 역할은 이동 피스톤(212)이 점차적으로 가이드홈(211)에 진입/가이드홈(211)에서 퇴출하도록 확보하는 것이다. 필링 곡면 섹션(28)의 작업 섹션(29) 외면은 거칠고, 복수의 미세 돌기를 가짐으로써, 이에 접촉된 이동 피스톤(212)이 완전히 정지하지 않고, 미량 이동하는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미진동” 효과를 형성하고, 필링 통공(23) 내의 과립이 더욱 원활하게 떨어지는데 유리하다.
격판(24)은 반 환형 구조를 이룬다. 격판(24) 양단은 각각 필링 작업 영역의 시작 종료점이고, 필링 드럼(21)의 회전 방향을 따른 보다 앞 끝은 필링 시작점이고, 보다 후 끝은 필링 종료점이다. 격판(24) 하면에서 환형홈(111) 홈 바닥까지의 수직 간견은 하나의 과립 직경 크기이고, 격판(24)을 이용하여 필링 작업 영역에 있는 각 필링 통공(23)에 대한 이격 역할을 수행하여, 하측의 담배 튜브에 떨어지는 과립 량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확보하며, 동시에 필링 통공(23)의 최상단 과립에 대해 마모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한다. 실제 생산에서 높이 조절 가능한 행어 로드(25)를 사용하여, 환형홈(111)의 홈 바닥에 대한 격판(24)의 높이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규격 모델의 필링 과립에 적응하도록 한다.
필링 통공(23)의 수용 체적과 담배 튜브의 필링 재료의 체적은 서로 어뎁티브하고; 각 이동 피스톤(212)에 대응되게 피딩 트레이(22) 상에는 복수의 횡향의 가이드홈(211)이 설치되고, 필링 통공(23)과 +자로 교차되게 배치되고; 이동 피스톤(212)은 기둥 형태의 구조로서, 외부 노출단은 반구형을 이루고, 가이드홈(211)에 내장된 말단부는 개구된 원통형을 이루며, 제3 스프링(213)은 말단부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가이드홈(211)의 홈 바닥과 말단부 실린더 바닥에 연결되고, 이동 피스톤(212) 상에는 필링 통공(23)의 홀 지름과 동일한 수직 트랜지션 통공(214)이 구비되고, 필링 통공(23)과 수직으로 정렬될 때, 필링 통공(23)은 상하 관통된다.
글루잉 섹션(3)에서,
접착제 공급 로드(33) 상에서, 한 쌍의 고정 트레이(32) 사이에 제4 스프링(34)이 끼움 설치되고, 접착제 공급 로드(33)가 글루잉 곡면 섹션(311)에 위치하여 접촉할 때 자연 상태를 이루고; 접착제 공급 로드(33)가 글루잉 캠(310)으로부터 이탈할 때 탄성 회복력을 통해 접착제 공급 로드(33)가 복귀하도록 보조하고; 글루잉 곡면 섹션(311)은 둘레 방향을 따라 맞물림 지점 바로 상측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원호형 구조이다.
글루잉 휠(36)의 휠 둘레에는 둘레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치된 이홈이 구비되어, 접착체가 더욱 잘 접착되며; 글루잉 휠(36)의 상류 위치에 있는 스크레이퍼A(38)은 경질 고무판이고, 글루잉 휠(36)의 하류 위치에 있는 스크레이퍼B(39)는 나일론 판 또는 철판이다.
글루잉 드럼(31)과 한 쌍의 고정 트레이(32)의 맞물림 부위는 대응되게 접착제 풀(35)의 노치 영역에 위치하여, 전반적인 구조가 콤팩트하고, 공간을 절약하여, 레이아웃에 유리하다.
밀봉 섹션(4)에서,
글루잉된 복수의 담배 튜브는 개구단이 위를 향하도록 세워지고, 밀봉 드럼(41) 외원주 상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 각 담배 지지슬롯에 흡착되고, 밀봉 드럼(41)과 함께 회전하여 종이 테이프 통로 상의 종이 테이프 중심 바로 상측을 통과할 때의 위치를 블랭킹 위치로 하며;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은 원호형 구조이고, 둘레 방향을 따라 대칭되게 블랭킹 위치의 바로 상측의 양측에 위치하고,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는 블랭킹 위치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고; 밀봉 롱 곡면 섹션(46)은 가로로 눕혀진 “√” 형을 이루고, 밀봉 드럼(4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고,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의 후방에 위치하며, 블랭킹 위치에 인접한 일측은 보다 긴 변이고, 보다 긴 변의 말단과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의 말단은 스무스하게 연결되고,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 및 양측은 모두 원호 트랜지션을 이룬다.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이 차지하는 원호 길이와 인접한 3개의 담배 튜브 원심이 차지하는 원호 길이는 서로 어뎁티브하고, 밀봉 롱 곡면 섹션(46)이 차지하는 원호 길이는 각 담배 튜브 원심이 차지하는 원호 길이의 약 1/4이다.
블랭킹층(42) 상의 각 담배 튜브 바로 상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복수의 수직 관통된 블랭킹 통공(48)이 개설되어 있고, 각 밀봉 펀칭핀(43)은 각각 각 블랭킹 통공(48)에 관통 설치되어, 블랭킹 통공(48)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종이 테이프 통로는 밀봉 드럼(41)의 일측에 구비되고, 종이 테이프가 위치한 평면은 담배 튜브 상단면과 자연 상태 시의 밀봉 펀칭핀(43)의 하단면 사이에 위치하고, 종이 테이프의 중심선은 밀봉 드럼(41) 상의 각 담배 튜브 원심이 위치한 원주에 접하고, 접점은 블랭킹 위치이다.
밀봉 펀칭핀(43)의 상단부는 구결상을 이루고, 블랭킹층(42)의 상단면과의 사이에 제5 스프링(44)이 끼움 설치되고, 제4 스프링(34)이 자연 상태에 있을 때, 밀봉 펀칭핀(43)의 하단면과 종이 테이프가 위치한 평면 사이에 수직으로 간격이 존재한다.
본 장치의 동작 과정은 아래와 같다.
담배 저장 호퍼(6) 내의 담배 튜브가 배출구를 통해 낙하되고, 조향 드럼(71), 제1 트랜지션 드럼(72)에 의해 보터밍 드럼(11) 상에 운송되어, 보터밍 섹션(1)에 진입하고, 보터밍 섹션(1) 상에서,
보터밍 드럼(11) 상단에 고정 장착된 커터 엣지층(12), 및 커터 엣지층(12) 상에 관통 설치된 복합 펀칭핀(13)과 보터밍 드럼(11)은 동기화 이동 부재이고, 보터밍 드럼(11)과 함께 동기화 회전한다. 보터밍 드럼(11)의 회전 방향은 입구 위치로부터 보터밍 제로 위치를 지나 출구 위치를 향해 회전한다.
복합 펀칭핀(13)의 쇼트 펀칭핀(14)은 보터밍 드럼(11)의 회전에 따라, 구결상 상단면과 복합 캠(19)의 하단면이 접촉하는 상태로, 보터밍 제로 위치에 접근할 때, 하층 쇼트 곡면 섹션(112)의 보다 가까운 측의 끝단으로부터 시작하여, 하층 쇼트 곡면 섹션(112)의 접촉 가압 작용에 의해 점차적으로 하행하고, 이 과정에서 쇼트 곡면 섹션(112)의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 즉 보터밍 제로 위치가 최저점으로 하행할 때까지 제1 스프링(16)은 압축되어, 바로 아래의 종이 테이프에 대해 블랭킹하여, 보터밍 베이스 원형 시트를 획득하고, 그 후 하층 쇼트 곡면 섹션(112)의 타측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 스프링(16)의 회복력의 작용 하에 안정적으로 상행 리셋되며;
복합 펀칭핀(13)의 포밍핀(15)은 이때 구결상 상단면으로 상층 롱 곡면 섹션(113)과 접촉하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하행하고, 이 과정에서 제2 스프링(17)이 압축되어, 포밍핀(15)이 블랭킹된 베이스 원형 시트를, 상층 롱 곡면 섹션(113)의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가 최저점으로 하행할 때까지 점차적으로 아래로 눌러, 베이스 원형 시트를 담배 튜브 내에 완전히 압입한 후, 상층 롱 곡면 섹션(113)의 보다 짧은 변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2 스프링(17)의 회복력의 작용 하에 안정적으로 상행하여 리셋된다.
이 과정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종이 테이프는 무동력 형체이며, 쇼트 펀칭핀(14) 및 포밍핀(15)에 의해 움직이며, 간헐적으로 이동한다. 쇼트 펀칭핀(14)과 포밍핀(15)의 협력, 각자의 하층 쇼트 곡면 섹션(112) 및 상층 롱 곡면 섹션(113)과의 협력으로, 최종적으로 담배 튜브 내에 압입된 베이스 원형 시트가 U형의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보터밍된 담배 튜브는 제2 트랜지션 드럼(73)을 통해 필링 드럼(21) 상에 운송되고, 아래와 같은 필링 작업을 수행한다.
피딩 트레이(22) 및 피딩 트레이(22) 상의 각 이동 피스톤(212)과 필링 드럼(21)은 동기화 이동 부재이고, 피딩 트레이(22)의 환형홈(111) 중에서 격판(24)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영역은 재료 필링 영역으로서, 과립 재료가 투입되어 있다. 필링 작업 영역에 진입되지 않았을 때, 각 이동 피스톤(212)은 초기 위치에 있어, 필링 통공(23)에 대한 횡향 차단을 형성하고, 이때 제3 스프링(213)은 자연 상태이다. 필링 드럼(21)의 회전에 따라, 각 담배 지지슬롯 상의 담배 튜브는 필링 시작점으로부터 필링 작업 영역에 진입하고, 이동 피스톤(212)과 필링 캠(27) 상의 필링 곡면 섹션(28)은 서로 접촉하여, 필링 곡면 섹션(28) 상의 트랜지션 섹션(210)의 접촉 가압에 의해 점차적으로 가이드홈(211)을 따라, 필링 곡면 섹션(28) 상의 작업 섹션(29)과 서로 접촉할 때까지 내부로 직선 이동하고, 이때 이동 피스톤(212) 상의 트랜지션 통공과 필링 통공(23)은 수직으로 정렬되어, 필링 통공(23)이 상하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관통된 재료 낙하 통로를 형성하고, 필링 드럼(21)을 따라 회전하여 작업 섹션(29)을 경과하는 이러한 과정이 바로 필링 과정인 바, 이 과정에서 필링 통공(23) 중의 과립 재료가 바로 아래의 담배 튜브 내에 떨어져서, 필링을 완성한다. 필링 곡면 섹션(28) 상의 타측 트랜지션 섹션(210)을 경과할 때, 이동 피스톤(212)은 점차적으로 가이드홈(211)을 따라 외부로 이동하여, 제3 스프링(213)의 탄력의 작용으로 리셋을 완료하고, 필링 통공(23)에 대한 횡향 차단을 회복한다. 그리고 필링 과정에서, 격판(24) 상의 기공(26)에 압축 공기를 주입시켜, 기류를 이용하여 강제 필링을 구현함으로써, 필링 효율과 필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반적인 필링 작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순환하여 연속적인 강제 정량 필링을 수행할 수 있다.
글루잉 드럼(31)이 필링 드럼(21)과 맞물려서, 필링 후의 담배 튜브를 전달받아, 글루잉 섹션(3)에 진입하는 작업 과정은 아래와 같다.
글루잉 드럼(31)에 운송된 각 담배 튜브는 글루잉 드럼(31)에 따라 동기화 회전하고, 접착제 공급 로드(33)는 회전축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 트레이(32)를 따라 원주 운동을 수행한다. 접착제 풀(35)에는 접착제가 담겨져 있고, 글루잉 휠(36)은 제2 구동 장치(37)에 의해 구동되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회전함에 따라 점착제를 휠 둘레에 접착시켜, 접착제층을 형성하며, 휠 둘레의 상단에 위치한 접착제 층은 상측을 통과하는 접착제 공급 로드(33)의 하부와 접촉하여, 접착제를 접착제 공급 로드(33)의 하부에 제공하고, 접착제가 접착된 접착제 공급 로드(33)가 계속 회전하여, 스크레이퍼B(39) 지점을 경과할 때, 스크레이퍼B(39)에 의해 여분의 접착제를 긁어 내고, 0.1㎜의 접착제 층을 남기며, 0.1㎜의 접착제 층을 보유한 접착제 공급 로드(33)는 계속 회전하여, 글루잉 캠(310)의 하측을 경과할 때, 글루잉 캠(310)의 하부 글루잉 곡면 섹션(311)의 접촉 가압 작용 하에 점차적으로 하행하고(이 과정에서 제4 스프링(34)은 압축됨), 맞물림 지점에서 최저점까지 하행하여, 그 하부의 0.1㎜의 접착제 층과 글루잉 드럼(31)에 의해 운송된 담배 튜브 개구단과 맞물림 접촉을 수행하고, 원호 상대 이동하여, 0.1㎜ 접착제 층을 담배 튜브 개구단에 도포하여, 필링된 담배 튜브에 대한 글루잉을 구현한다. 접착제 공급 로드(33)는 계속 회전하여, 글루잉 캠(310)을 이탈할 때까지, 글루잉 곡면 섹션(311)의 타단 트랜지션 원호의 가이드에 의해 점차적으로 상행하고, 제4 스프링(34)의 작용에 의해 리셋되고, 계속 회전하여 스크레이퍼A(38)를 경과하여, 스크레이퍼A(38)에 의해 하부의 잔여 접착제가 제거되고, 제거된 접착제는 접착제 풀(35)로 다시 돌아온다. 이렇게 왕복함으로써, 정량, 연속적인 글루잉 및 접착제에 대한 회수 순환을 구현한다.
밀봉 드럼(41)은 글루잉 드럼(31)과 맞물려, 글루잉된 담배 튜브를 공급받고, 밀봉 섹션(4)에 진입하는 작업 과정은 아래와 같다.
밀봉 드럼(41) 상단에 고정 장착된 블랭킹층(42), 및 블랭킹층(42) 상에 구비된 각 밀봉 펀칭핀(43)과 밀봉 드럼(41)은 동기화 회전 부재이고, 상류 글루잉 스테이션에서 본 스테이션으로 운송된 담배 튜브는 밀봉 드럼(41)에 따라 회전할 때, 우선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을 거친 후, 계속 밀봉 롱 곡면 섹션(46)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밀봉 펀칭핀(43)은 밀봉 드럼(41)의 회전에 따라, 구결상 상단면과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이 점차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로,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의 접촉 가압에 의해 곡면을 따라 점차적으로 하행하고, 이 과정에서 제5 스프링(44)이 압축되어,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의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 즉, 블랭킹 위치에서 가장 낮은 점으로 하행하여, 바로 아래의 종이 테이프에 대해 블랭킹함으로써, 밀봉 베이스 원형 시트를 획득하고, 그 후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의 타측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5 스프링(44)의 회복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상향 리셋되며;
이후에, 밀봉 펀칭핀(43)은 계속 둘레 방향을 따라 움직여, 구결상 상단면과 밀봉 롱 곡면 섹션(46)의 보다 긴 변이 접촉하기 시작하여, 저압을 받아 곡면을 따라 점차적으로 하행하고, 이 과정에서 제5 스프링(44)이 다시 압축되어, 밀봉 롱 곡면 섹션(46)의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에서 최저점까지 하행하고, 블랭킹된 밀봉 베이스 원형 시트를 담배 튜브 개구단에 눌러, 글루잉된 담배 튜브에 대한 밀봉을 완성하고, 이후 밀봉 롱 곡면 섹션(46)의 타측의 보다 짧은 변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5 스프링(44)의 회복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상행하여 리셋된다.
상술한 과정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종이 테이프는 무동력 형체이고, 이의 움직임은 밀봉 펀칭핀(43)에 의해 이루어지고, 간헐적으로 이동한다.
밀봉 완성된 후의 담배 튜브는 제3 트랜지션 드럼(74)을 통해 담배 출력 벨트(8) 상에 운송되고, 현장 배치 시, 담배 출력 벨트(8)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밀봉 드럼(41)과 제3 트랜지션 드럼(74) 사이에 조향 드럼(71)을 증설하여, 담배 튜브의 자세 변환을 구현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와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화, 수정, 대체와 변형을 진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 및 이의 등가물에 의해 한정된다.
1: 보터밍 섹션 11: 보터밍 드럼 12: 커터 엣지층
13: 복합 펀칭핀 14: 쇼트 펀칭핀 15: 포밍핀
16: 제1 스프링 17: 제2 스프링 18: 관통 통공
19: 복합 캠 110: 행어 111: 환형홈
112: 하층 쇼트 곡면 섹션 113: 상층 롱 곡면 섹션
114: 보터밍 종이 테이프 통로
2: 필링 섹션 21: 필링 드럼 22: 피딩 트레이
23: 필링 통공 24: 격판 25: 행어 로드
26: 기공 27: 필링 캠 28: 필링 곡면 섹션
29: 작업 섹션 210: 트랜지션 섹션 211: 가이드홈
212: 이동 피스톤 213: 제3 스프링 214: 수직 트랜지션 통공
215: 장착암
3: 글루잉 섹션 31: 글루잉 드럼 32: 고정 트레이
33: 접착제 공급 로드 34: 제4 스프링 35: 접착제 풀
36: 글루잉 휠 37: 제2 구동장치 38: 스크레이퍼A
39: 스크레이퍼B 310: 글루잉 캠 311: 글루잉 곡면 섹션
4: 밀봉 섹션 41: 밀봉 드럼 42: 블랭킹층
43: 밀봉 펀칭핀 44: 제5 스프링 45: 밀봉 캠
46: 밀봉 롱 곡면 섹션 47: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
48: 블랭킹 통공 49: 밀봉 종이 테이프 통로
5: 스테이지 6: 담배 저장 호퍼 71: 조향 드럼
72: 제1 트랜지션 드럼 73: 제2 트랜지션 드럼
74: 제3 트랜지션 드럼 8: 담배 출력 벨트

Claims (10)

  1.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에 있어서,
    스테이지(5)에 앞에서 뒤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보터밍 섹션(1), 필링 섹션(2), 글루잉 섹션(3)과 밀봉 섹션(4)을 포함하고;
    상기 보터밍 섹션(1)은 담배 저장 호퍼(6)에서 물료가 공급되고, 공급받은 담배 튜브에 대해 보터밍하되, 보터밍 드럼(11), 보터밍 드럼(11) 상단에 고정 장착된 커터 엣지층(12), 커터 엣지층(12) 상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된 복수의 복합 펀칭핀(13), 복합 캠(19)과 보터밍 종이 테이프 통로(114)를 포함하고; 복수의 담배 튜브는 수직되며 개구단이 위를 향하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보터밍 드럼(11) 외주 상의 각 담배 지지슬롯에 균일하게 배치되고; 커터 엣지층(12), 복수의 복합 펀칭핀(13)과 보터밍 드럼(11)은 동기화 회전 부재이고, 복수의 복합 펀칭핀(13)은 일대일 대응되게 각 담배 튜브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고, 상단부가 커터 엣지층(12)의 상측에 노출되되, 쇼트 펀칭핀(14)과 축향으로 쇼트 펀칭핀(14)을 관통하고, 상단부가 쇼트 펀칭핀(14) 상측에 노출된 포밍핀(15)을 포함하고; 복합 캠(19)은 독립적인 고정 부재이고, 커터 엣지층(12)의 상측에 서스펜딩되고, 각 복합 펀칭핀(13)의 회전 궤적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모두 아래로 돌출된 하층 쇼트 곡면 섹션(112)과 상층 롱 곡면 섹션(113)을 가지며, 상기 하층 쇼트 곡면 섹션(112)은 상층 롱 곡면 섹션(113)의 아래에 위치하고, 바로 아래에서 통과하는 쇼트 펀칭핀(14)의 상단과 서로 저촉 가능하여, 쇼트 펀칭핀(14)이 종이 테이프 통로 상의 종이 테이프 중심 위치에서 하행하도록 하여 종이 테이프에 대한 블랭킹을 구현하고, 상기 상층 롱 곡면 섹션(113)이 바로 아래에서 통과하는 포밍핀(15) 상단과 서로 저촉 가능하여, 포밍핀(15)이 하행하여 펀칭된 보터밍 베이스 원형 시트를 바로 아래의 담배 튜브 내에 압입하도록 하여, 담배 튜브에 대한 보터밍을 구현하고;
    상기 필링 섹션(2)은 보터밍된 담배 튜브에 담배 과립을 필링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링 드럼(21), 필링 드럼(21) 상단에 고정 장착된 피딩 트레이(22), 피딩 트레이(22) 상의 환형홈(111) 내에 서스펜딩되어 있는 격판(24), 복수의 이동 피스톤(212) 및 피딩 트레이(22)의 외부 둘레에 구비된 필링 캠(27)을 포함하고; 피딩 트레이(22)와 필링 드럼(21)은 동기화 회전 부재이고, 환형홈(111)의 상부는 개방되어, 필링 및 피딩 홈으로서 작용하고, 피딩 트레이(22)가 환형홈(111)의 홈 바닥 상에 둘레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복수의 수직 필링 통공(23)을 통해 바로 아래의 필링 드럼(21) 상의 각 담배 튜브 개구단과 일대일 대응되게 연결되고; 격판(24)은 환형홈(111)의 홈 바닥에 바로 인접하고, 판체 상에는 각 필링 통공(23) 바로 상측에 대응되게 복수의 기공(26)이 개설되고, 격판(24)에 의해 커버된 환형홈(111)의 영역은 필링 작업 영역이 되고; 복수의 이동 피스톤(212)은 필링 드럼(21)의 지름 방향을 따라 각 필링 통공(23)과 +자로 교차되게 일대일 대응되게 각 필링 통공(23)에 관통 설치되고, 외측이 피딩 트레이(22) 외부에 노출되어, 지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필링 작업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필링 캠(27)의 외부 둘레에는 피딩 트레이(22)를 향하며, 지름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아치형의 필링 곡면 섹션(28)을 구비하여, 필링 곡면 섹션(28)과 통과되는 이동 피스톤(212)이 서로 저촉하는 상태로, 이동 피스톤(212)이 지름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필링 통공(23)이 관통되도록 하거나, 외측으로 리셋되어 상기 필링 통공(23)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글루잉 섹션(3)은 필링된 담배 튜브의 개구단에 대해 글루잉하기 위한 것으로서, 글루잉 부재와 담배 튜브를 운송하기 위한 글루잉 드럼(31)을 포함하고; 상기 글루잉 부재의 한 쌍의 고정 트레이(32)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동기화 회전 부재이고, 복수의 접착제 공급 로드(33)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고정 트레이(32) 사이에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하단이 모두 노출되고, 둘레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치되며; 노치를 구비한 환형 접착제 풀(35)은 하층 고정 트레이(3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글루잉 휠(36)의 축선 방향과 고정 트레이(32)의 축선 방향은 수직되고, 접착제 풀(35)에 오버행되어 있으며, 제2 구동장치(37)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 가능하고, 휠 둘레 상단은 통과하는 접착제 공급 로드(33)의 하단에 인접하고, 한 쌍의 스크레이퍼가 접착제 풀(35)에 설치되어 있고, 글루잉 휠(36)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고정 트레이(32)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글루잉 휠(36)의 상류에 위치한 스크레이퍼의 상단은 바로 상측을 통과하는 접착제 공급 로드(33)의 하단과 서로 접촉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스크레이퍼의 상단과 접착제 공급 로드(33)의 하단 사이에는 간격 a가 존재하고; 글루잉 드럼(31)과 한 쌍의 고정 트레이(32)는 전자 기어 맞물림 전동을 수행하고, 고정 트레이(32) 상의 접착제 공급 로드(33)의 하단과 글루잉 드럼(31) 상의 담배 튜브 개구단은 맞물림 지점에 위치할 때 상하 마주하고, 글루잉 부재의 글루잉 캠(310)은 고정 트레이(32) 상측에 매달려 있고, 맞물림 지점에 위치하고 고정부재이며, 하단부에는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가 맞물림 지점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는 아래로 돌출된 글루잉 곡면 섹션(311)을 구비하고, 통과되는 접착제 공급 로드(33)의 상단부와 서로 저촉 가능하여, 접착제 공급 로드(33)가 하행하도록 하여,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에서 최저점으로 하행도록 함으로써, 접착제 공급 로드(33)의 하부와 바로 아래의 담배 튜브 개구단이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밀봉 섹션(4)은 글루잉된 담배 튜브 단부를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서, 밀봉 드럼(41), 밀봉 드럼(41) 상단에 고정 장착된 블랭킹층(42),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블랭킹층(42) 상에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관통 설치된 복수의 밀봉 펀칭핀(43), 블랭킹층(42) 상측에 매달려 있는 밀봉 캠(45)과 밀봉 종이 테이프 통로(49)를 포함하고; 복수의 밀봉 펀칭핀(43)은 일대일 대응되게 밀봉 드럼(41) 상의 각 담배 튜브의 바로 상측에 구비되고, 상단부가 블랭킹층(42) 상측에 노출되며; 밀봉 캠(45)은 독립적인 고정 부재이고, 각 담배 튜브의 원심이 위치한 원주에 대응되는 하단면의 바로 상측에는 아래로 돌출된, 담배 튜브의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과 밀봉 롱 곡면 섹션(46)이 구비되고,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과 바로 아래을 통과하는 밀봉 펀칭핀(43)의 상단이 서로 저촉하는 상태로, 밀봉 펀칭핀(43)이 곡면을 따라 점차적으로 하행하도록 하여,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에서 밀봉 종이 테이프에 대한 블랭킹을 구현할 수 있으며, 밀봉 롱 곡면 섹션(46)과 밀봉 펀칭핀(43)의 상단이 서로 저촉되는 상태로, 밀봉 펀칭핀(43)이 점차적으로 하행하도록 하여, 블랭킹된 밀봉 베이스 시트를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에서 담배 튜브 글루잉 단부에 누름으로써, 글루잉된 담배 튜브에 대한 밀봉을 구현하고;상기 보터밍 드럼(11)과 필링 드럼(21) 사이는 제2 트랜지션 드럼(73)을 통해 운송되고, 상기 필링 드럼(21), 글루잉 드럼(31)과 밀봉 드럼(41)은 순차적으로 맞물리고, 상기 밀봉 드럼(41) 상의 밀봉된 담배 튜브는 제3 트랜지션 드럼(74)을 통해 담배 출력 벨트(8) 상에 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담배 튜브는 수평 자세로 상기 담배 저장 호퍼(6)에 보관되고, 조향 드럼(71), 제1 트랜지션 드럼(72)과 보터밍 드럼(11)은 순차적으로 맞물려, 담배 저장 호퍼 배출구를 통해 낙하된 담배 튜브를 보터밍 드럼(11)에 운송하고, 상기 조향 드럼을 통해 담배 튜브가 수평 자세에서 개구단이 위를 향하는 수직 자세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터밍 섹션(1)은 담배 튜브가 보터밍 드럼(11)과 함께 회전하여 보터밍 종이 테이프 통로(114) 상의 종이 테이프의 중심 바로 상측을 통과할 때의 위치를 보터밍 제로 위치로 하고; 상기 복합 캠(19) 하단부에는 한 바퀴의 환형홈(111)이 구비되어, 복합 펀칭핀(13)의 노출 섹션의 회전 통로로 하며; 상층 롱 곡면 섹션(113)은 환형홈(111)의 홈 상벽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 가로 눕혀진 “√” 형태를 이루며, 쇼트 곡면 섹션으로부터 보다 가까운 일측 끝단의 바로 상측 위치로부터 보터밍 드럼(1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보터밍 제로 위치에 인접한 일측이 보다 긴 변이고; 하층 쇼트 곡면 섹션(112)은 복합 캠(19)의 하단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대칭되게 보터밍 제로 위치의 바로 상측의 양측에 배치되고,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는 보터밍 제로 위치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 펀칭핀(14)의 노출 섹션 상에서, 상단부와 커터 엣지층(12) 상단면 사이에 제1 스프링(16)이 끼움 설치되고, 상기 포밍핀(15)의 노출 섹션 상에서 상단부와 쇼트 펀칭핀(14)의 상단 사이에 제2 스프링(17)이 끼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 통공(23)의 수용 체적과 담배 튜브의 필링 재료의 체적은 서로 어뎁티브하고; 상기 필링 곡면 섹션(28)의 외면은 거칠고, 복수의 미세 돌기를 가지며, 필링 곡면 섹션(28)이 향하는 원심각 a와 필링 작업 영역이 위치한 원호 섹션이 향하는 원심각 b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 통공(23)의 수용 체적과 담배 튜브의 필링 재료의 체적은 서로 어뎁티브하고; 각 이동 피스톤(212)에 대응되게 상기 피딩 트레이(22) 상에는 복수의 횡향의 가이드홈(211)이 설치되고, 필링 통공(23)과 +자로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 피스톤(212)은 기둥 모양으로서, 외부 노출단은 반구형을 이루고, 가이드홈(211)에 내장된 말단부는 개구된 원통형을 이루며, 제3 스프링(213)은 말단부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가이드홈(211)의 홈 바닥과 말단부 실린더 바닥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피스톤(212) 상에는 상기 필링 통공(23)의 홀 지름과 동일한 수직 트랜지션 통공(214)이 구비되고, 상기 필링 통공(23)과 수직으로 정렬될 때, 상기 필링 통공(23)과 상하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공급 로드(33) 상에서, 한 쌍의 고정 트레이(32) 사이에 제4 스프링(34)이 끼움 설치되고, 접착제 공급 로드(33)가 글루잉 곡면 섹션(311)에 접촉하도록 위치할 때 자연 상태를 이루고; 상기 글루잉 곡면 섹션(311)은 둘레 방향을 따라 맞물림 지점 바로 상측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원호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글루잉된 복수의 담배 튜브는 개구단이 위를 향하도록 세워지며 밀봉 드럼(41) 외원주 상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 각 담배 지지슬롯에 흡착되고, 밀봉 드럼(41)에 따라 회전하여 종이 테이프 통로 상의 종이 테이프 중심 바로 상측을 통과할 때의 위치를 블랭킹 위치로 하며; 상기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은 원호형 구조이고, 둘레 방향을 따라 대칭되게 블랭킹 위치의 바로 상측의 양측에 위치하고,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는 상기 블랭킹 위치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밀봉 롱 곡면 섹션(46)은 눕혀진 “√” 형을 이루고, 밀봉 드럼(4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고,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의 후방에 위치하며, 블랭킹 위치에 인접한 일측은 보다 긴 변이고, 보다 긴 변의 말단과 블랭킹 쇼트 곡면 섹션(47)의 말단은 스무스하게 연결되고, 가장 높게 돌출된 부위 및 양측은 모두 원호 트랜지션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종이 테이프 통로(49)는 밀봉 드럼(41)의 일측에 구비되고, 종이 테이프가 위치한 평면은 담배 튜브 상단면과 밀봉 펀칭핀(43) 하단면 사이에 위치하고, 종이 테이프의 중심선은 밀봉 드럼(41) 상의 각 담배 튜브의 원심이 위치한 원주에 접하며, 접점은 상기 블랭킹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펀칭핀(43)의 상단부는 구결상을 이루고, 블랭킹층(42)의 상단면과의 사이에 제5 스프링(44)이 끼움 설치되고, 상기 제4 스프링(34)이 자연 상태에 있을 때, 밀봉 펀칭핀(43)의 하단면과 종이 테이프가 위치한 평면 사이에 수직으로 간격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KR1020227007181A 2019-08-29 2019-09-29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KR202200419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809788.3 2019-08-29
CN201910809788.3A CN110419768B (zh) 2019-08-29 2019-08-29 一种改进的颗粒连续灌装设备
PCT/CN2019/108849 WO2021035871A1 (zh) 2019-08-29 2019-09-29 一种改进的颗粒连续灌装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908A true KR20220041908A (ko) 2022-04-01

Family

ID=6841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181A KR20220041908A (ko) 2019-08-29 2019-09-29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041908A (ko)
CN (1) CN110419768B (ko)
WO (1) WO20210358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82279A (zh) * 2024-02-28 2024-03-29 诸城兴贸玉米开发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用玉米糁自动称重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2237B (zh) * 2020-05-15 2022-08-05 颐中(青岛)烟草机械有限公司 加热不燃烧卷烟的传输装置、生产装置、生产系统及方法
CN113826943B (zh) * 2020-06-24 2023-05-16 安徽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平铺式加热不燃烧卷烟的传输装置、生产系统及方法
CN114291355B (zh) * 2022-01-07 2023-07-14 成都市鹰诺实业有限公司 一种颗粒灌装设备
CN114246361B (zh) * 2022-01-07 2023-03-03 成都市鹰诺实业有限公司 一种加热不燃烧烟支的端口封堵装置
CN114947184B (zh) * 2022-04-14 2023-04-07 常德烟草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烟管封口装置
CN114955034B (zh) * 2022-06-24 2023-11-10 湖北工业大学 一种竹盐灌装生产设备
CN115281368B (zh) * 2022-08-02 2024-03-29 常德烟草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烟管封口装置
CN116969049B (zh) * 2023-09-25 2023-12-19 内蒙古自治区烟草公司通辽市公司 一种烟草运输存储箱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27471A (en) * 1929-01-11 1930-04-10 Frederick Bunting Improvements relating to cigarette making machinery
GB487069A (en) * 1937-01-04 1938-06-15 Frederick William Hacki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cigarettes
IT975404B (it) * 1971-10-29 1974-07-20 Molins Ltd Perfezionamento alle macchine per la fabbricazione di sigarette con bocchino filtro
IT1290636B1 (it) * 1997-01-13 1998-12-10 Gd Spa Metodo per la formazione di gruppi di sigarette.
UA68391C2 (en) * 1998-09-18 2004-08-16 Philip Morris Prod Cigarette manufacturing apparatus (variants) and a method to control making the cigarettes on the apparatus
CN2919897Y (zh) * 2006-04-11 2007-07-11 许昌宏昌实业有限公司 一种烟支分离装置
JP4947271B2 (ja) * 2006-05-16 2012-06-06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カプセルボディへの錠剤充填方法及び該充填方法を用いたカプセルへの錠剤充填装置
CN201094274Y (zh) * 2007-09-25 2008-08-06 中烟机械技术中心有限责任公司 用于生产卷烟的鼓轮装置
CN101336751B (zh) * 2008-08-15 2010-06-23 何正朝 烟支在线激光打孔机械装置
IT1397610B1 (it) * 2009-12-22 2013-01-18 Mg 2 Srl Macchina rotativa intermittente per il riempimento di capsule con prodotti farmaceutici.
CN201657765U (zh) * 2010-04-20 2010-12-01 上海新平科工业技术有限公司 卷烟机组组烟堆码柔性烟支输出系统
CN102845831B (zh) * 2011-06-28 2015-02-04 中烟机械技术中心有限责任公司 用于传递棒状制品的装置和方法
CN202242389U (zh) * 2011-09-29 2012-05-30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卷烟印制钢印的油墨罐连接器及油墨灌装系统
CN102826407B (zh) * 2012-09-18 2015-03-25 中国烟草总公司郑州烟草研究院 一种卷烟滤嘴通风孔堵塞装置
CN104020285B (zh) * 2014-06-16 2015-09-30 无锡国盛生物工程有限公司 金标试剂盒组装自动生产线
CN203894236U (zh) * 2014-06-16 2014-10-22 无锡国盛生物工程有限公司 金标试剂盒组装自动生产线
CN204351057U (zh) * 2014-12-11 2015-05-27 滁州卷烟材料厂 香烟塞入式检测送料结构
CN204354000U (zh) * 2014-12-11 2015-05-27 滁州卷烟材料厂 卷烟检测夹持结构
CN205980955U (zh) * 2016-07-29 2017-02-22 李志强 烟花发射纸筒底部成型模具
CN107212462B (zh) * 2017-05-18 2019-06-04 红云红河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卷烟机新型平准盘
IT201700098827A1 (it) * 2017-09-04 2019-03-04 Gd Spa Macchina confezionatrice per la produzione di cartucce monouso per sigarette elettroniche
CN108903065B (zh) * 2018-09-11 2024-04-12 安徽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颗粒烟支灌封机
CN209176943U (zh) * 2018-11-15 2019-07-30 昆山科瑞森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颗粒状物体连续罐装的设备
CN109292115A (zh) * 2018-11-15 2019-02-01 昆山科瑞森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颗粒状物体连续罐装的设备
CN209300265U (zh) * 2018-12-06 2019-08-27 安徽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草颗粒型加热不燃烧烟草制品
CN109512031B (zh) * 2018-12-06 2023-12-26 安徽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包含烟草颗粒材料的非卷制新型烟草制品
CN109527638B (zh) * 2018-12-06 2023-08-08 安徽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草颗粒型加热不燃烧烟草制品及其制作方法
CN210960400U (zh) * 2019-08-29 2020-07-10 安徽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改进的颗粒连续灌装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82279A (zh) * 2024-02-28 2024-03-29 诸城兴贸玉米开发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用玉米糁自动称重设备
CN117782279B (zh) * 2024-02-28 2024-05-14 诸城兴贸玉米开发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用玉米糁自动称重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19768A (zh) 2019-11-08
CN110419768B (zh) 2024-02-13
WO2021035871A1 (zh)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1908A (ko) 개선된 과립 연속 필링 장치
JP4523595B2 (ja) 煙草のフィルタに対象物を組み込む方法および装置
US262416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ncapsulating liquid and semiliquid substances and the like
CN108000787B (zh) 一种鞋子成型设备
CN103371436B (zh) 台式自动制香烟机
CN107711955A (zh) 一种蛋挞皮自动成型机
CN205482620U (zh) 一种组合烟花机械化生产成套设备
CN206227693U (zh) 搅料送馅装置
CN107520134A (zh) 一种板栗精确分粒装置
CN114013972B (zh) 一种带有限位结构的电子雾化器生产用输送装置
CN104924051B (zh) 橡胶球铰过盈压装工装及方法
CN107440155A (zh) 一种烟用滤棒成型设备高速香珠下料装置
JPS61247340A (ja) 棒付きキヤンデ−の製造方法、その装置および製品
EP2207437A2 (en) Cigarette filter
CN104441075A (zh) 一种自动打孔机及其打孔方法
CN207167747U (zh) 一种烟用滤棒成型设备高速香珠下料装置
CN113320744A (zh) 一种蛋饺生产的转盘式高速移栽机
CN107593850A (zh) 一种食品生产设备
CN107668110A (zh) 均布装置
CN105638304B (zh) 营养钵自动分钵装置
CN210470990U (zh) 一种运行更平稳的颗粒型烟支打底装置
CN204263271U (zh) 一种自动打孔机
CN112438427B (zh) 一种含有果味薄荷香精的卷烟爆珠、植入装置及方法
CN107770659A (zh) 耳机盖自动打胶贴膜装置
CN210474468U (zh) 一种颗粒型烟支圆端面连续涂胶的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