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429A - 쿠션재, 쿠션재의 제조 방법,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쿠션재의 사용 방법,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및,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쿠션재, 쿠션재의 제조 방법,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쿠션재의 사용 방법,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및,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429A
KR20220040429A KR1020217002146A KR20217002146A KR20220040429A KR 20220040429 A KR20220040429 A KR 20220040429A KR 1020217002146 A KR1020217002146 A KR 1020217002146A KR 20217002146 A KR20217002146 A KR 20217002146A KR 20220040429 A KR20220040429 A KR 20220040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
cushioning material
resin foam
forming
evacuation she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 마츠다
유 히데시마
히로미 이나다
요스케 고쿠보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쿠션재(1)의 한쪽의 면(표면(3))에는, 산부(5) 및 계곡부(7)가 형성된다. 산부(5) 및 계곡부(7)는, 종횡으로 교대로 주기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쿠션재(1)의 다른 한쪽의 면(이면(5))에는, 산부(5) 및 계곡부(7)는 형성되지 않고, 평탄하다. 쿠션재(1)는, 수지 발포체(15a, 15b)와, 수지 발포체(15a, 15b)의 적층면에 형성되는 접착층(17)을 구비한다.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표면(3)의 소정 높이의 부분에는, 이면(9)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접착층(17)이 노출된다. 접착층(17)에 의해,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다수의 선 형상 모양(11)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쿠션재, 쿠션재의 제조 방법,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쿠션재의 사용 방법,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및,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
본 발명은, 매트재나 파티션재 등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에 융착층 또는 접착층을 노출시킴으로써 선 형상 모양을 갖는 경량이고 의장성이 우수한 쿠션재,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쿠션재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쿠션재의 사용 방법, 또한, 조립 공구나 조립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한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 구획의 형성 방법,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및,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지 발포체를 이용한 쿠션재는, 포장 재료나 매트 등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수지 발포체를 이용한 쿠션재에는, 표면에 산 계곡(山谷)의 요철 형상이 형성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쿠션재로서는, 예를 들면, 완충재, 건축재, 단열재, 소음재 등 각종 산업 용품의 소재로서, 혹은, 일용품 잡화, 스포츠 레저 용품 등 각종 가정 용품, 스포츠 용품의 소재로서 범용되고 있는, 표피 부착 요철면을 갖는 열 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가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의 열 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은, 우선, 균일한 두께를 갖는 띠 형상의 열 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의 상하 방향 중간 정도를 요철 형상으로 절단하여 상하 2층으로 분할하거나, 혹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띠 형상의 열 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를 요철 형상으로 보유 지지하고, 그의 상하 방향 중간 정도를 수평 형상으로 절단하여 상하 2층으로 분할한다. 이에 따라 편면에 요철면을 갖는 발포 시트를 2매 성형한다. 다음으로, 당해 발포 시트의 요철면에 열 에너지를 방사하여 그의 표면을 용융하여 냉각한다. 이상에 의해, 표피 부착 요철면을 갖는 열 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가 형성된다.
또한, 특히 맨션 등의 집합 주택의 바닥재 등의, 각종 주택이나 창고 등의 바닥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플라스틱 발포체에 경질판을 적층한 방음 바닥 구조체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통상, 콘크리트 슬래브 등의 바닥 기체에 마무리재로서 비교적 경질인 재료를 사용하면, 생활 소음이 아래층에 고체음으로서 전달되어, 환경 악화의 문제가 된다. 이들에 대한 방음 수단으로서는, 종래, 폴리우레탄 폼, 합성 섬유 부직포 및, 폴리에틸렌 폼 등 각종 하지(下地)재가 개발되어, 바닥 하지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2는, 표면에 계곡부(谷部) 및/또는 산부(山部)를 갖는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바닥 하지재에, 경질판을 적층시킨 바닥 하지재를 이용한 방음 바닥 구조체이다. 특허문헌 2에서는, 압축 경도가 0.5∼1.5㎏/㎠, 겉보기 밀도가 0.05∼0.12g/㎤, 경도가 5∼35인 플라스틱 발포체에 경질판을 적층시킨 바닥 하지재를 이용한 것으로, 본원과 같이 의장성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쿠션재 또는 적층체에 본원과 같이 발포 수지만을 이용한 것이 아니다.
또한, 매트리스나 베개 등의 쿠션재는, 의료용 재료 등의 분야에 폭넓게 이용되고, 체압 분산성이 우수한 적층 발포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특허문헌 3에서는, 산 계곡면을 구비하는 고(高)반발성 발포체와, 당해 고반발성 발포체의 산 계곡면에 밀착 접합되어 있고, 또한 반발 탄성률이 10% 이하인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저(低)반발성 발포체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반발성 발포체에 일체화함으로써, 충분한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3은, 저반발성 발포체와 고반발성 발포체의 산 계곡면을 조합한 상태로 사용하고, 상면의 저반발성 발포체의 응력을 고반발성 발포체의 산 계곡면에서 지지함으로써 응력을 분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의 방음 바닥 구조체는, 의장면의 선 형상 모양에 의해,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다.
또한, 특허문헌 4는, 섬 형상으로 프로파일 가공함으로써 다수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주기적으로 형성하고, 볼록부에 경도가 단단한 발포재를 배치하는 쿠션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특허문헌 4는, 프로파일 가공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볼록부의 경도를 안정시키기 위해, 연질 폼의 상하에 단단한 연질 폼 또는 반경질 폼을 접착한 3층 발포 수지 적층체를 준비하고, 이것을 상하의 단단한 연질 폼 또는 반경질 폼을 걸치도록 프로파일 가공을 행함으로써 얻는 것이지만, 특허문헌 4의 제조 방법에서는, 융착층 또는 접착층을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에 노출시키고, 환 형상의 선 형상 모양을 다수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허문헌 5에는, 프로파일 가공에 의해, 표면에 폭방향으로 연속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형성하고, 그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소정 위치에 소정의 발포체를 배치하여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폼 매트가 기재되어 있다.(특허문헌 5)
또한, 특허문헌 6에는, 20 가까운 부재를 조립 베드의 길이가 신축 가능하고 테이프 등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 가능한 골판지 베드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6)
특허문헌 7에는, 10개 이상의 복수의 골판지를 조립하여 형성하는 대좌와, 천판으로 이루어지는 골판지 베드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7)
특허문헌 8에는, 골판지 제 구분판을 이용하여 피난소 구획을 구성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에서는, 인접하는 구분판끼리를 접속하기 위해, 상부, 하부의 직선 형상부 및 구부러짐부에 골판지 제의 접속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조립 가능한 피난소 구획을 얻을 수 있다.(특허문헌 8)
특허문헌 9에는, 골판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폭으로 절목(折目)이 형성된 골판지 판재를 절목을 따라 물결 형상으로 반복하여 절곡함으로써, 입설성(立設性)성을 확보한 칸 구분 유닛체를 상호 접착 테이프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용 칸 구분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9)
특허문헌 10에는, 재해 시의 피난 장소로 사용 가능한 방추형(紡錘型)의 독립 기포를 갖는 소정 강도를 갖는 발포 수지를 이용하는 소정 각도로 절곡 가능한 칸 구분재로, 표면에 면재가 접착되어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0)
특허문헌 5의 매트재에서는, 발포재를 폭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연속한 주기적인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매트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것으로, 그 때에, 색이 상이한 다층의 수지 발포체를 적층한 다층 수지 발포체 또는 적층체를 프로파일 가공함으로써, 이에 따라 요철의 주기 구조에 입체적인 띠 형상의 2열 또는 3열의 모양을 형성하거나, 혹은 모양을 형성하는 대신에 이종(異種)의 발포제를 조합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지만, 특허문헌 5의 발명에서는, 융착층 또는 접착층을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에 노출시키고, 환 형상의 선 형상 모양을 다수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 용도로서, 현관 매트, 바스 매트 혹은 다이닝용 플로어링 매트 등 박육 발포재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고, 피난소의 파티션 등에는, 조립 자립성이 없어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쿠션재나 바닥재 등의 외에, 피난소의 바닥재나 구획 부재에는, 특허문헌 6∼특허문헌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골판지 제의 베드나 파티션이 사용되고 있지만, 골판지 제의 바닥재의 경우에는, 다수의 부재의 조립 작업이 필요하고, 흡습성이 높고 쿠션성도 없는 점에서, 피난소를 이용하는 피난 생활자의 생활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없다. 또한,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한 구획용 파티션이나 바닥 매트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파티션용 수지 시트는, 중량이 10㎏ 전후여서, 조인트 부품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 이상과 같이, 지금까지는, 베드 대신에 사용 가능한 바닥 매트나 파티션의 양쪽에 사용 가능한 경량이고, 조립 자립성이나 방습성이 우수하고, 충분한 쿠션성을 갖는 제품은 존재하지 않았다.
특허문헌 10의 칸 구분재는, 바닥재로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두께가 얇고 프로파일 가공된 의장성이 우수한 쿠션재나 적층체도 아니기 때문에, 베드로서는 사용할 수 없고, 발포체 그 자체가 의장성을 갖는 것도 아니다. 조립 시에 접착제나 고정 수단을 필요로 하지만, 본원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적층체를 상호 맞닿음 또는 끼워맞춤시키는 것만으로 조립할 수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과 특허문헌 10은 상이하다.
본 발명의 쿠션재나 그것을 이용한 적층체에 의하면, 경량이고 융착층 혹은 접착층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환 형상의 선 형상 모양이 형성됨으로써 의장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쿠션성도 우수하고, 또한, 단열성과 방습성이 우수하고, 종래의 골판지 제의 바닥재의 결점을 해소하는 매트재를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추가로 조립 시의 조립 자립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에도 사용 가능한 쿠션재나 적층체를 제공 가능한 것으로, 조립이나 수납이 용이하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8087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0-054610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059358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5-120813호 일본실용신안공보 소44-01364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19-122644호 일본등록실용신안 제3226650호 공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12959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274740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17-061827호
그러나, 특허문헌 1∼특허문헌 3은, 표면에 주기적인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 수지 발포체에 관한 것인데, 모두 무언가의 형태로, 외관에 대한 품질 요구 없이 쿠션성을 갖는 용도에 사용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수지 발포체에 의장성을 갖게 하여 사용하는 것은 행해지고 있지 않았다. 예를 들면, 포장 재료의 쿠션재에 사용되는 경우는, 의장성은 필요하지 않고, 침구용 매트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쿠션재 자체가 노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모양 등의 의장성을 부여하는 것은 지금까지 고려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특허문헌 4는, 프로파일 가공에 의해,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의 소정 위치에 경도가 상이한 발포재를 배치하는 발명이고, 특허문헌 5는, 프로파일 가공에 의해, 표면에 폭방향으로 연속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형성하고, 그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소정 위치에 소정의 발포체를 배치하여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인데, 어느 발명이나, 융착층 또는 접착층이 착색된 적층 발포체를, 융착층 또는 접착층을 사이에 끼워 프로파일 가공을 행함으로써,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에 환 형상의 선 형상의 모양을 다수 형성하여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아니고, 또한 융착층 또는 접착층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것도 아니다. 특허문헌 6 내지 특허문헌 9는, 수지 발포체를 사용한 것도 아니고, 의장성이 우수한 것이 아니고, 다수의 부재의 조립 작업이 필요하고, 흡습성이 높고 쿠션성도 없는 점에서, 피난소를 이용하는 피난 생활자의 생활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없다. 특허문헌 10은, 발포체 그 자체가 의장성이 우수한 것이 아니고, 프로파일 가공되어 있지 않아, 베드로서는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쿠션재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쿠션재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표면에 융착층 또는 접착층을 노출시킴으로써, 환 형상의 선 형상 모양을 다수 형성하여 의장성을 향상시키고, 경량이고 의장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쿠션재에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를 채용함으로써 방습성에도 우수하고, 접착층 또는 융착층에 제진성이나 차음성 등의 기능성을 갖게하는 것이 가능한 쿠션재, 적층체, 쿠션재와 적층체의 제조 방법, 쿠션재의 사용 방법,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 구획의 형성 방법,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및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발명은, 산부를 형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와, 계곡부를 형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가 적층되고, 그들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의 적층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또는 융착층을 구비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쿠션재로서, 상기 쿠션재는, 한쪽의 면이 종횡으로 산부와 계곡부가 교대로 주기적으로 배치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프로파일 가공면이고, 다른 한쪽의 면이 평탄면이고,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표면의 소정 높이의 부분에, 상기 다른 한쪽의 면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이 노출되고, 다수의 환 형상의 선 형상 모양이 상호 소정 간격 이간하여 형성되고, 상기 선 형상 모양은,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상기 산부와 상기 계곡부를 구분하고, 각각의 상기 산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산부와 상기 계곡부의 사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이다. 특히, 상기 쿠션재는, 피난소의 구분벽으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의장성과 단열성 및 방습성이 우수하고, 발포재로 형성되어 프로파일 가공되어 있음으로써, 베드 대신으로도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쿠션재의 표면에, 2차원적인 환 형상의 선 형상 모양을 다수 소정 간격 이간하고, 소정 높이로 착색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높이로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선 형상 모양의 형성 위치는, 산부와 계곡부의 사이에서,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선 형상 모양은, 융착층 또는 접착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선 형상 모양이 융착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융착하는 수지 발포체의 적어도 한쪽의 융착면을 상이한 색으로 도장한 수지 발포체를 이용하여 융착됨으로써 형성된 것 이라도 좋고, 상기 선 형상 모양이 접착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층은, 착색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의 어느 하나라도 좋다. 상기 선 형상 모양은, 융착면을 도장에 의해 착색하거나, 접착층은, 착색된 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임의의 색으로 착색할 수 있다.
상기 융착층 또는 상기 접착층이 융착층이고, 상기 융착층은, 융착 시에 융착층을 형성하는 수지 발포체의 표면이 용융 후 고화하는 과정에서 결정화할 때에, 결정화도와 분자 배향의 변화, 이에 더하여 ADCA(아조디카본아미드)의 발포체 표면으로의 잔류 효과 등을 중첩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상이한 색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무착색의 백색의 수지 발포체의 표면을 융착에 의한 재결정화 과정에서 융착층의 결정화도와 분자 배향의 변화에 더하여, ADCA의 발포체 표면으로의 잔류 효과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변색시켜 노랗게 착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발포체의 표면은, 발포체의 표면 근방의 발포한 기체가 빠지기 쉽고, 발포체의 내부에 비하여, 발포제인 ADCA의 소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 융착층의 용융 고화 시의 결정화에 의해 착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무착색의 백색의 수지 발포체를 용융시킴으로써, 수지 발포체 표면 및 융착부가 융착 시에 수지가 재용융하여 재결정화하기 때문에, 그 때의 결정화 상태, 분자 배향, ADCA의 발포체 표면으로의 잔류 효과 등을 중첩시킴으로써, 융착부를 황색으로 착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융착 시의 융착층의 색의 변화를 이용해도 좋다. 혹은, 표면이 소정의 색으로 도장된 수지 발포체를 접착해도 좋다. 또한, 접착에 의해, 쿠션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접착제에 소정의 색의 안료, 예를 들면, 황색이나 적색 등의 안료를 함유시킴으로써, 동일한 선 형상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쿠션재의 상기 한쪽의 면은, 상기 선 형상 모양보다 상측의 수지 발포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산부와, 상기 선 형상 모양이 형성되는 선 형상 모양 형성부와, 상기 선 형상 모양보다 하측의 수지 발포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계곡부의 3개의 부분으로 구획되고, 상기 계곡부는 인접하는 계곡부끼리 상호 연속하여 일체로 되고, 상기 선 형상 모양 형성부에 대하여 상기 산부 혹은 상기 계곡부의 어느 하나가 상이한 색으로 형성됨으로써, 3차원적인 입체 모양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때, 산부, 계곡부와 선 형상 모양을 상이한 색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산부 또는 계곡부와 접착제를 안료 등으로 착색하여 표면을 형성하거나, 융착층을 형성하는 발포체의 피착면을 융착 전에 도장에 의해 착색해 두는 등으로 해 두면 좋다.
상기 선 형상 모양 형성부의 2차원적인 모양에 더하여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상기 산부와 상기 계곡부의 모두가 상이한 색으로 착색됨으로써, 상기 선 형상 모양 형성부와 상기 산부, 상기 계곡부의 모두가 상이한 색으로 착색된 3차원적인 입체 모양이 형성된 쿠션재라도 좋다.
상기 선 형상 모양의 형성 높이는,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범위 내의 임의의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선 형상 모양을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높이의 중심보다, 상기 산부측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선 형상 모양 혹은 착색된 상기 산부의 모양을 작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선 형상 모양을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중심보다 상기 계곡부측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선 형상 모양 혹은 착색된 상기 산부의 모양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는, 프로파일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선 형상 모양의 환 형상의 모양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수지 발포체의 원료 수지는,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코폴리머,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이라도 좋다. 추가로, 상기 수지 발포체는, 상기 원료 수지의 융착 시의 융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수 말렌산 등의 카복시기 또는 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관능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소정량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소정량이란, 상기 원료 수지의 총 배합량을 100질량부로 한 경우의 무수 말렌산 등의 카복시기 또는 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관능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배합 비율은 0.5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 함유하는 수지이지만, 5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발포체는 폴리에틸렌 수지 발포체이고,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발포체는 발포 배율이 20배 내지 40배인 독립 기포 구조를 갖고, 또한 JIS K6767에 기초하는, 압축 영구 변형이 3.0%∼7.4%이고, 시험 온도 25℃에 있어서의 25% 압축 시의 압축 응력이 34㎪∼56㎪라도 좋다.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는, 상기 쿠션재의 상기 접착층에 기능성을 부여한 것이라도 좋다.
상기 수지 발포체의 적층면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에, 우레탄 수지, 아세트산 비닐 에멀젼,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및 변성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가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제진성을 부여하거나, 혹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중합체와 할로겐 함유 인산 에스테르와 무기계 난연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난연성과 제진성을 부여해도 좋다.
상기 수지 발포체는, 소취제로서 실리카, 인산 지르코늄, 제올라이트, 황산 아연, 또는 황산 지르코늄 중 어느 하나를, 소정량 분산시킨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수지 발포체는, 항균제 혹은 항바이러스제로서 은 이온을 흡착 또는 담지한 비정성(非晶性) 인산 칼슘 입자, 혹은 광 촉매 작용을 갖는 아나타제형 결정 구조의 산화 티탄 입자, 혹은 은, 동, 아연의 금속 화합물 입자, 은, 동, 아연의 금속 미립자를 소정량 분산시킨 것이라도 좋다. 이들 소취제나 항균제의 함유량은,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5질량부 내지 10질량부의 범위로 포함해도 좋지만, 0.5질량부 내지 5질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재는,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면을 상면으로 하고, 다른 한쪽의 면을 하면으로 하여, 재해용 매트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상기 쿠션재는, 프로파일 가공된 발포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베드 대신에 사용 가능하다. 그 때문에, 피난소의 각 구획을 베드 전용의 공간을 형성하는 일 없이, 피난소 구획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1 발명에 의하면,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표면의 소정 높이의 부분에, 접착층 또는 융착층이 노출되고, 다수의 선 형상 모양이 상호 소정 거리 이간하여 환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의장성이 높다. 이 때문에, 노출 사용에 적합한 쿠션재를 얻을 수 있다. 제1 발명의 쿠션재는, 쿠션재의 단면에 차지하는 대략 평행한 부분의 단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쿠션재의 프로파일 가공면의 변곡점 위치를 연결하여 직선 형상으로 절단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 형상 모양이,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표면에 노출된 융착층 또는 접착층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산부와 계곡부를 구분하고, 각각의 산부를 둘러싸도록 소정 높이로 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융착시키는 수지 발포체의 융착면인 표면을 도장한 수지 발포체를 융착시키거나, 혹은 안료나 도료 등으로 착색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수지 발포체를 이용함으로써, 선 형상 모양을 임의의 색으로 착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선 형상 모양의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융착층 또는 접착층이 착색되어 있으면, 융착층 또는 접착층을 사이에 끼워 접합되는 발포체는 무착색의 백색이면 좋고, 이 경우에 융착층 또는 접착층이 청색이나 황색 등으로 착색되어 있으면,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산부의 소정 위치에 다수의 청색이나 황색의 환 형상 모양이 형성되고, 그 외의 부분이 백색인 쿠션재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선 형상 모양이 융착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융착 시에 무착색의 용융 후의 고화 결정화 과정에 의한 결정화도, 분자 배향의 변화, ADCA의 발포체 표면으로의 잔류 효과에 의해 융착면만을 선택적으로 착색시키기 때문에, 융착시키는 발포체 표면으로의 안료나 도료의 도포 등이 불필요하다.
또한, 쿠션재의 한쪽의 면이, 산부와 선 형상 모양 형성부와 계곡부의 3개의 부분으로 구획되어, 선 형상 모양 형성부에 대하여, 산부 혹은 계곡부의 적어도 1개 또는 2개의 부분이 상이한 색으로 형성되면, 2차원적인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환 형상 모양에 더하여, 3차원적인 입체 모양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높은 의장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쿠션재의 선 형상 모양이 형성되는 높이를 바꿈으로써, 선 형상 모양의 크기나 산부 혹은 계곡부의 착색부의 표면적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의장성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수지 발포체가 폴리에틸렌이면, 흡수하기 어렵기 때문에, 노출 사용에 최적이다. 이에 대하여, 수지 발포체가 우레탄계 수지이면 가수 분해성이 있고, 또한 통상 연속 기포의 수지 발포체이기 때문에, 노출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와 같이, 수지 발포체에는, 폴리올레핀계의 여러 가지의 수지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특히 독립 기포의 발포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면, 쿠션재가 흡습하지 않고, 쾌적한 수면 환경이나 생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발포체가, 무수 말레산 등의 카복시기 또는 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관능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소정량 포함하고 있으면, 융착면에 있어서의 융착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발포체가, 독립 기포 구조의 폴리에틸렌 수지 발포체이면, JIS K6767에 기초하는, 압축 영구 변형이 3.0%∼7.4%이고, 시험 온도 25℃에 있어서의 25% 압축 시의 압축 응력이 34㎪∼56㎪이면, 적당한 쿠션성과 방습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쿠션재의 접착층에 기능성이 부여되면, 의장성과 동시에, 쿠션성의 외에, 제진성이나 난연성 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쿠션재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총면적에 대한, 대략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접착층의 합계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인 접착층의 합계의 점유율이 높은 쪽이 기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수지 발포체의 접착층에, 특정의 가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아크릴계 수지나 할로겐 인산 에스테르계 수지에 무기계 난연제를 함유하는 접착제로서 이용함으로써, 접착층에 제진성이나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층에 이들 효과를 부여하는 것은 유효하다.
또한, 쿠션재나 적층체에 이용하는 수지 발포체가, 소취제로서 실리카, 인산 지르코늄, 제올라이트, 황산 아연, 또는 황산 지르코늄 중 어느 하나를, 혹은, 항균제 혹은 항바이러스제로서 은이온을 흡착 또는 담지한 비정성 인산 칼슘 입자, 혹은 광 촉매 작용을 갖는 아나타제형 결정 구조의 산화 티탄 입자, 혹은 은, 동, 아연 등의 금속 화합물 입자, 은, 동, 아연의 금속 미립자 중 어느 하나가 소정량 포함됨으로써, 쿠션재에 소취 효과나 항균 효과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유기물 유래 재료나 염류로서는, 알킬벤젠술폰산계 화합물이나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 바륨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 혹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 화합물의 수성 에멀젼 등을 쿠션재의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도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알킬벤젠술폰산계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관한 쿠션재와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서, 상기 쿠션재의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면의 이면의 평탄한 다른 한쪽의 면에, 추가로 다른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가 적층되어 접착 또는 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이다. 예를 들면, 적층체의 평균 두께는 20㎜ 이상 50㎜ 이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4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적층체의 평균 두께가 20㎜ 이하에서는, 단열성이나 방습성이 부족하여 베드로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40㎜를 초과하면 적층체가 무거워져 조립성이 저하함과 동시에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발포 배율이 30배이고 적층체의 치수가 길이 1800㎜×높이 880㎜×산부 두께 30㎜(평균 두께: 25㎜)인 적층체의 중량은 1.25㎏이고, 평균 두께가 50㎜인 경우의 적층체의 중량은 2.5㎏이다.
상기 적층체의 상기 다른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는,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 상기 수지 발포체보다 경질 혹은 동등의 강도를 가져도 좋다. 경질이란, 동일한 압축 하중에 대한 변형량을 적게 하는 것이고, 동등의 강도란 동일한 압축 하중에 대한 변형량을 동일하게 하는 재료의 강도를 말한다.
예를 들면, 동일 조성의 수지 발포체이면, 발포 배율을 낮게 설정함으로써, 수지 발포체를 경질로 할 수 있다. 이하, 수지 발포체라는 기재는, 상기 선 형상 모양이 형성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 쿠션재와 상기 쿠션재의 평탄면에 다른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가 접착 또는 융착된 적층체의 양쪽에 사용되는 수지 발포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적층체는, 재해 시에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 측벽 또는 베드로서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통상 시에는, 충격 흡수용 벽면 패널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획용 파티션은, 피난 시에 피난자를 세대별로 구획하는 세대 구획용 파티션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발포 배율이 40배 이하의 수지 발포체를 이용하여, 상기 적층체의 이면의 시트 형상 발포체의 평탄면에서 적층체의 계곡부까지의 높이(Hv)에 대한, 적층체의 이면의 시트 형상 발포체의 평탄면에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의 중심선 높이(Hc)까지의 높이의 비율을 R로 하면, R이 50% 이상을 만족하면, 조립 자립성이 우수한 적층체로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HC)는, 후술하는 상기 적층체의 이면의 시트 형상 발포체의 평탄면에서 적층체의 산부까지의 높이(Hm)와 상기 적층체의 이면의 시트 형상 발포체의 평탄면에서 적층체의 계곡부까지의 높이(Hv)의 평균 높이이다. 즉, 적층체의 이면에서 프로파일 가공면의 평균 높이와, 프로파일 가공면의 계곡부까지의 높이의 비율이고, 이는 프로파일 가공면의 평균 높이(중심선 높이)와 프로파일 비가공면의 높이의 비율에 상당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립 자립성이란, 소정 치수의 장변의 길이가 단변의 2배인 대략 장방형의 적층체의 이면의 단변의 측단부와 단변측 측면을 고정단으로 하여, 양자를 대략 직각으로 맞닿아 간이 고정 수단으로 조립하는 경우에, 적층체의 반대측의 단변의 단면인 자유단에 휨이나 구부러짐이 생기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구획용 파티션의 조립을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간이 고정 수단으로서는, 면 파스너(fastener)를 이용할 수 있지만, 면 파스너의 외에, 버튼 형상 파스너(스냅 파스너(Snap fastener)라고도 함)나 자석이 고정된 테이프 형상 부재 등등의 간이 고정 수단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간단히 하기 위해, 간이 고정 수단은 고정 수단이라고 기재한다.
면 파스너는, 면 파스너의 이면을 적층체에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하고, 버튼 형상 파스너나 자석을 접착한 테이프 형상 부재는, 테이프 형상 부재를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 수단은, 단변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방, 중간, 하방으로 나누어 지지해도, 충분히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문제는 없다.
또한, 쿠션재의 수지 발포체의 다른 한쪽의 면에, 추가로 다른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를 적층시킨 수지 발포체의 적층체로 함으로써, 수지 발포체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층체의 쿠션성과 동시에, 쿠션재의 방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파티션으로서 이용할 때의 조립 자립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때, 이 다른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가,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 수지 발포체보다 경질 혹은 동등의 강도를 가짐으로써, 쿠션성을 유지한 채로, 쿠션재의 과도한 가라앉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쿠션재를 적층체로 함으로써, 재해 시에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 측벽이나 베드로서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통상 시에는, 충격 흡수용 벽면 패널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쿠션재를 다양한 용도에 사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매우 편리성이 높은 것이 된다.
상기 적층체는, 수지 발포체의 발포 배율이 20배∼40배 이하인 수지 발포체를 이용하여, 상기 적층체의 이면의 시트 형상 발포체의 평탄면에서 적층체의 계곡부까지의 높이(Hv)에 대한, 적층체의 이면의 시트 형상 발포체의 평탄면에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의 중심선 높이(Hc)까지의 높이의 비율을 퍼센트 표시한 양자의 비율 R이, 50% 이상으로 함으로써, 적층체의 중심을 적층체의 평탄 부 내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립 시에 접속부의 사이에 미소한 휨이나 구부러짐이 발생하지 않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층체를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을 간편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발명의 적층체는, 적층체의 단면에 차지하는 대략 평행한 부분의 단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적층체의 프로파일 가공면의 변곡점 위치를 연결하여 직선 형상으로 절단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제2 발명의 적층체에 의하면, 의장성 및 조립 자립성이 우수한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이나 베드로서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재 및 충격 흡수용 벽면 패널재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쿠션재 혹은 적층체는, 베드로서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쿠션재는, 경우에 따라 파티션재 또는 충격 흡수용 벽면 패널재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피난소에 사용하는 경우에, 쿠션재 혹은 적층체에 소취 효과나 항균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 등을 부여한 베드로서 사용 가능한 피난용 매트재, 파티션재 또는 충격 흡수용 벽면 패널재의 어느 것에나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피난소의 위생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발명은, 착색된 접착층 또는 융착층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는 소정 두께의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를, 프로파일 롤 통과 직후의, 상하의 롤에 의한 압압력이 완전하게 탄성 회복하지 않는 중에,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을 포함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지 발포체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스 가공하여 절단함으로써,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이 만곡한 상태에서 만곡한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을 횡단하도록 절단되고, 추가로 절단 분리된 상기 수지 발포체가 탄성 회복하여,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이 소정 길이, 소정 형상으로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지 발포체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표면의 산부와 계곡부의 사이의 소정 높이의 부분에 상기 평탄면의 노출부로서 주기적인 다수의 환 형상의 선 형상 모양이 동일 평면에 2차원적 모양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의 제조 방법이다. 이 경우, 접착층 또는 융착층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는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는 무착색의 흰색의 수지 발포체라도 좋다.
상기 착색된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는 소정 두께의 시트 형상의 상기 수지 발포체의 적어도 한쪽이 착색되어 있거나, 또는 양쪽의 상기 수지 발포체를 상이한 색으로 함으로써, 상기 착색된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을 계면으로 하여, 2차원적인 동일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환 형상 모양에 더하여 상기 수지 발포체의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산부측과 계곡부측이 상이한 색으로 착색된 3차원적인 입체 모양이 형성되어도 좋다.
상하의 상기 롤에 의해 상기 수지 발포체의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에 형성되는 만곡의 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수지 발포체의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의 형성 위치를 어긋나게 하거나, 혹은 상기 롤의 출구측에서의 슬라이스 가공을 실시하는 높이를 바꿈으로써,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상기 산부 및 계곡부의 형성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선 형상 모양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선 형상 모양의 크기가 상이한 2개의 쿠션재를 얻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이와 같이, 상하의 롤간의 중심 높이에 상당하는 위치로부터 오프셋한 위치를 슬라이스함으로써, 선 형상 모양의 크기가 상이한 쿠션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적층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슬라이스 위치를 오프셋함으로써, 선 형상 모양의 크기가 상이한 2개의 적층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의장성이 우수한 다수의 선 형상 모양을 갖는 쿠션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에 상이한 색의 수지 발포체를 사용함으로써, 선 형상 모양으로부터 입체적인 3차원 모양으로 변환을 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롤에 의한 수지 발포체의 접착층 또는 융착층에 형성되는 만곡의 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프로파일 롤 가공 전의 재료의 접착층 또는 융착층의 형성 위치를 어긋나게 하거나, 혹은 롤의 출구측에서의 슬라이스 가공을 실시하는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선 형상 모양이나 수지 발포체에 형성되는 입체 모양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쿠션재의 이면의 평탄면에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를 접합함으로써, 의장성뿐만 아니라, 적층체의 조립 자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열성이나 충격 흡수성이나 방습성 등의 발포 재료로서의 기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스 가공함으로써, 예를 들면, 선 형상 모양이나 수지 발포체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측의 모양을 작게 형성하거나, 반대로 선 형상 모양 혹은 수지 발포체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의 모양을 크게 형성하거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부측을 보다 강조하거나, 계곡부측을 강조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4 발명은, 착색된 접착층 또는 융착층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는 소정 두께의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의, 상기 접착층 또는 융착층과는 반대측의 각각의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의 외측에, 다른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층이 추가로 접착 또는 융착된 4층의 수지 발포체를 이용하여, 프로파일 롤 가공에 의한 만곡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4층 중의 내층의 2층의 수지 발포체층 간의 접착층을 횡단하도록 상기 수지 발포체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스 가공을 행함으로써, 내층 수지층의 2층에만 산부, 계곡부를 형성하고, 내층 수지층과 외층 수지층의 수지 발포체가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4층의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를 소정 조건으로 프로파일 롤 가공 시에 슬라이스 가공을 행함으로써,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쿠션재의 이면에 시트 형상 발포체를 접착하지 않아도, 본원의 적층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발명에 의하면, 의장성이 우수한 쿠션재와 쿠션재의 평탄면에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를 융착 또는 접착한 적층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5 발명은, 제1 발명에 관한 쿠션재의 평탄면을 대향시켜 사용하는 쿠션재의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쿠션재의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면을 외표면을 향하고, 평탄면을 상호 대향시켜 겹쳐 지지 부재로 지지함으로써 입설하여 사용하는, 상기 선 형상 모양이 외표면에 다수 나란히 형성되는 의장성과 충격 흡수성을 갖는 칸막이로서의 사용 방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상기 쿠션재의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면끼리를 상호 반대 방향의 외측을 향하고,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이면인 평탄면끼리를 접촉시킴으로써, 한쪽의 상기 쿠션재에 형성되는 상기 산부와, 다른 한쪽의 상기 쿠션재에 형성되는 상기 계곡부가 소정 거리 이간하여 배치됨과 함께, 한쪽의 상기 쿠션재에 형성되는 상기 계곡부와, 다른 한쪽의 상기 쿠션재에 형성되는 상기 산부가 소정 거리 이간하여 배치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쿠션재의 표면이, 상호 대략 평행한 물결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의 사용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외방을 향함으로써, 적층체의 양면이 의장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칸막이에는,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5 발명은, 제1 발명에 관한 쿠션재를 2매 겹치고, 기능성을 부여한 쿠션재를 적층하여 사용하는 쿠션재의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쿠션재의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면을 상호 겹침으로써, 상기 선 형상 모양이 대략 동일한 평면상에 나란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의 사용 방법이라도 좋다. 상기 선 형상 모양이 대략 동일 평면상에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평면에 대한 접착층의 합계 면적의 점유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쿠션재의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면끼리를 대향시키고, 한쪽의 쿠션재에 형성되는 상기 산부와, 다른 한쪽의 쿠션재에 형성되는 계곡부가 대향하여 배치됨과 함께, 한쪽의 쿠션재에 형성되는 계곡부와, 다른 한쪽의 쿠션재에 형성되는 산부가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각의 산부와 계곡부의 중간에 배치되는 선 형상 모양인 접착면끼리가, 대략 동일 평면상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쿠션재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상호 내방을 향하여 쿠션재를 대향 배치하여 사용하는 사용 방법에서는, 겹쳐 쌓은 쿠션재의 외표면을 평탄한 형상으로 하고, 겹쳐 쌓음면 내에 섬 형상으로 다수 노출하여 형성되는 접착층에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파티션재 또는 충격 완충 벽면 패널재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외방을 향한 경우는 의장성이 우수하고,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대향시켜 내측을 향한 경우는 표면이 평탄하고 기능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접착면이, 기능성을 갖는 평면을 형성해도 좋다.
이 발명에 의하면, 2매의 쿠션재의 물결 형상을 조합함으로써, 파티션재 혹은 공공 시설의 내부의 벽면 패널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2매의 쿠션재는, 접착면을 물결 형상의 소정 위치에 대략 평면 형상으로 배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접착면에 제진성이나 난연성을 부여해 두면, 수지 발포체가 갖는 쿠션성이나 소음성에 더하여, 접착층이 갖는 제진성이나 난연성을 중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서로 겹쳐진 쿠션재의 접착면은, 슬라이스 가공 전은, 프로파일 롤에 의해 꺾여 겹쳐진 연속적인 곡면 형상을 갖고 있지만, 2개의 쿠션재에 슬라이스 가공 후, 쿠션재가 평면 형상으로 전개됨으로써, 슬라이스 가공면이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이 되어, 쿠션재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의 면적이 겉보기상 증가하기 때문에, 2매의 쿠션재의 평면 방향의 총 면적에 대한 쿠션재의 슬라이스 가공면의 소정 높이의 위치에 형성되는 접착면의 면적의 총 합은 100%가 되는 일은 없다.
즉,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총 면적에 대한,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2개의 쿠션재의 접착면의 겉보기의 총 점유율이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쿠션재가 서로 겹쳐져 형성된 접착면의 합계 면적에 대한 접착면을 포함하는 평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합계 면적의 총 점유율이 80% 이상이면, 접착면에 기능성을 부여했을 때에, 그 기능성을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접착면의 겉보기의 총 점유율이 90%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접착면에는,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진성, 난연성, 의장성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의장성을 이용하여 장식성을 높이고, 2매 겹침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능성이나 조립 자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2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의장성을 중시하는 적층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적층체는, 파티션재와 벽면 패널재의 어느 것에나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쿠션재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하여 조합하거나, 혹은 대향시켜 조합함으로써, 파티션재 또는, 벽면 패널재의 구분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조립 자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발명에 의하면, 2매의 쿠션재의 물결 형상을 조합함으로써, 파티션재 혹은 공공 시설 내부의 벽면 패널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쿠션재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면을 외표면을 향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끼리를 대향시켜 이용하는 경우에는, 2매의 쿠션재는, 접착면을 물결 형상의 소정 위치에 대략 평면 형상으로 배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접착면에 기능성을 부여해 두면, 기능성을 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접착층에 정음성이나 제진성을 부여해 두면, 수지 발포체가 갖는 쿠션성이나 차음성에 더하여, 접착층이 갖는 정음성이나 제진성을 중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접착층 혹은 융착층에 부여하는 기능으로서는, 기능성의 발현을, 2매를 상호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수지 발포체의 최표면이 아니어도 효과를 발휘하기 쉬운 물리적 기능이 바람직하다.
제6 발명은, 제2 발명에 관한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 구획의 구조이고, 상기 적층체는, 장변의 길이가 단변의 2배의 대략 장방형이고, 상기 대략 장방형의 장변을 상호 접촉시켜 대략 정방형상의 구획을 형성하도록 바닥면에 베드로서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로서 상기 적층체가 2매 배치되고, 추가로 상기 적층체를, 단변 방향으로 입설한 상태에서, 상기 대략 정방형상의 바닥재로서의 재해용 매트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상기 적층체의 장변을 바닥면과의 접촉면으로 하고, 상기 입설된 적층체의 이면의 평탄면의 단변측의 단부와 단변측 단면의 평탄부에 고정된 고정 수단을 상호 대략 직각으로 맞닿음 또는 끼워맞춤시키는 것을 복수회 반복으로 접속 고정된 접속 구조이고, 대략 장방형의 한쪽이 개구한 ㄷ자형의 측벽이 형성되는 구획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이다.
상기 적층체의 접속 고정은, 조립 시의 접속, 분해 시의 분리가 용이한 적층체의 표면에 접착된 고정 수단으로서, 적층체의 표면에 접착된 테이프 형상 부재에 고정된 버튼 형상 파스너, 자석, 또는 미소 돌기가 다수 형성된 면 파스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접속 고정되는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라도 좋다. 이 때, 면 파스너는, 면 파스너의 이면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하고, 버튼 형상 파스너나 자석을 부착한 테이프 형상 부재는, 테이프 형상 부재를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할 수 있다. 이 적층체는, 5㎏ 이하 통상 2㎏ 이하로 경량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용이한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적층체를 사용하는 상기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단면의 절단면에 차지하는 대략 평행한 부분의 단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적층체의 프로파일 가공면의 변곡점 위치를 연결하여 직선 형상으로 절단됨으로써, 대략 장방 형상으로 절단된 형성된 단변측 단면의 평탄부에 고정 수단이 접합되어도 좋다.
여기에서, 상기 적층체의 프로파일 가공면을, 인접하여 복수 배치된 산부 정부(頂部)와 계곡부 정부를 교대로 통과하는 곡선의, 인접하는 산부 정부에서 산부 정부까지의 거리를 1피치로 하면, 산부 정부 혹은 계곡부 저부로부터 (1/4)피치 어긋난 위치 즉 산부 정부와 계곡부 저부의 중간 혹은 계곡부 저부와 산부 정부의 중간의 복수의 변곡점 위치를 연결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절단됨으로써, 상기 적층체의 단면의 절단면에 차지하는 평행부의 단면적이 최대가 되는 대략 장방 형상의 절단면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인접하여 복수 배치된 산부 정부와 계곡부 정부를 교대로 통과하는 곡선에 있어서의 산부와 계곡부는 상호 직교하도록 지그재그 배치를 하고 있는 점에서, 산부 계곡부의 주기적 구조는, 상기의 곡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주기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곡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산부 정부 혹은 계곡부 저부로부터 (1/4) 피치 어긋난 위치 즉 산부 정부에서 계곡부 저부에 이르는 중간 혹은 계곡부 저부로부터 산부 정부에 이르는 중간의 변곡점 위치를 연결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절단하는 것으로도, 상기 적층체의 단면의 절단면에 차지하는 평행부의 단면적이 최대가 되는 절단면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상기 적층체의 단면의 절단면에 차지하는 대략 평행한 부분의 단면적이 최대가 되는 대략 장방 형상의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적층체 및 상기 쿠션재에 있어서의 고정 수단으로 접속 고정하는 평탄면의 단부와 측단면을 비교하면, 측단면은 프로파일 가공면을 포함하기 때문에, 절단 위치에 의해, 고정 수단을 접합하는 평탄한 부분의 면적이 상이하다. 여기에서, 측단면에 있어서의 평행부 면적이 가장 큰 단면을 선택하여 그 부분을 절단 부위로 하면, 면 파스너 등의 고정 수단을 접합하는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상기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대신하여, 쿠션재를 사용하는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라도 좋다.
제7 발명은, 제2 발명에 관한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으로, 상기 적층체는, 장변의 길이가 단변의 2배인 대략 장방형이고, 상기 대략 장방형의 장변을 상호 접촉시켜 대략 정방 형상의 구획을 형성하도록 바닥면에 베드로서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로서 상기 적층체를 2매 배치하고, 추가로 상기 적층체를, 단변 방향으로 입설한 상태에서, 상기 대략 정방 형상의 바닥재로서의 상기 재해용 매트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상기 적층체의 장변을 바닥면과의 접촉면으로 하여, 상기 입설된 적층체의 이면의 평탄면의 단변측의 단부와 단변측 단면의 평탄부에 고정된 고정 수단을 상호 대략 직각으로 복수회 맞닿음 또는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접속 고정시키고, 대략 정방형의 한쪽이 개구된 ㄷ자형의 측벽을 형성하여 구획함으로써, 피난소의 1구획을 형성하는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이다.
상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략 정방 형상의 제1 구획의 바닥재로서의 상기 재해용 매트에 인접하고, 상기 적층체를 이용하여 상기 대략 정방 형상의 동일한 크기의 제2 구획의 바닥재로서 베드로서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를 형성하고, 상기 ㄷ자형으로 형성한 구획을 제1 구획으로 하면, 상기 제1 구획과 연속하여 반대 방향으로 개구하고, 추가로 상기 적층체를 이용하여, ㄷ자형의 단부 1변을 공유하는 ㄷ자형의 측벽을 제2 구획으로서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2개의 ㄷ자형의 구획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상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략 정방 형상의 개구부를 순차적으로 개구부의 개구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개구한 ㄷ자형으로 형성하여 구획하는 측벽부를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하고, 이 측벽부에 대응하여, 대략 정방 형상의 바닥재로서 상기 재해용 매트를 반복하여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구획을 형성해도 좋다.
상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상기 적층체의 평탄면 혹은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의 어느 하나를 바닥면을 향하여 배치하고,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ㄷ자형의 측벽부는, 상기 적층체의 모양 형성면인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을 ㄷ자형 구획의 각 변을 따라 순서대로 상기 적층체를 외방, 내방, 외방을 향하여 교대로 배치되거나, 혹은, 내방, 외방, 내방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재를, 상기 적층체의 평탄면 혹은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의 어느 하나를 바닥면을 향하여 배치하는 것은, 상기 바닥재는 베드로서도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어느 면을 상면으로서 사용할지는 사용 시에 사용자가 선택하면 좋고, 예를 들면, 낮동안에는 적층체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을 하측을 향하여 사용하고, 밤의 취침 시에는,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을 상측을 향하여 베드로서 사용해도 좋다.
상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구획용 파티션재로서의 조립 시의 접속 고정은, 조립 시의 접속, 분해 시의 분리가 용이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적층체의 표면에 접착된 테이프 형상 부재에 고정된 버튼 형상 파스너, 자석, 또는 미소 돌기가 다수 형성된 면 파스너에 의해 접속되어도 좋다. 여기에서, 면 파스너는, 면 파스너의 이면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하고, 버튼 형상 파스너나 자석을 부착한 테이프 형상 부재는, 테이프 형상 부재를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적층체의 평탄면의 단부의 향의 상방 단부로부터 하방 단부의 소정 위치 혹은, 상기 적층체의 단변의 단면의 평탄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의 소정 위치에 접착되고, 상기 평탄면의 소정 위치에 접착되는 상기 고정 수단과, 상기 단면의 평탄부에 접착되는 상기 고정 수단을 상호 대향 맞닿게 하거나, 혹은 대향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접속되어도 좋다.
상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프로파일 가공면을, 산부 정부와 계곡부 저부를 교대로 통과하는 곡선의, 인접하는 산부 정부에서 산부 정부까지의 거리를 1피치로 하면, 산부 정부 혹은 계곡부 저부로부터 (1/4) 피치 어긋난 위치 즉 산부 정부로부터 계곡부 저부에 이르는 중간 위치 혹은 계곡부 저부로부터 산부 정부에 이르는 중간 위치를 연결하도록 직선 형상으로 절단되거나, 또는 이들 중간 위치가 변곡점인 경우에는, 변곡점 위치를 연결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절단됨으로써, 상기 적층체의 절단면에 차지하는 평행부의 단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대략 장형상으로 형성된 단변측 단면의 절단면에 고정 수단이 접합되어도 좋다. 여기에서, 측단면에 있어서의 평행부 면적이 최대가 되는 절단면에, 면 파스너 등의 고정 수단을 고정하면, 적층체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대신하여, 제1 발명에 관한 표면에 선 형상 모양이 형성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 쿠션재를 사용해도 좋다.
제7 발명에 의하면, 제2 발명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피난소의 구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쿠션재의 외표면 전체의 치수 형상이 적층체와 동일하면, 적층체와 마찬가지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의해, 피난소의 구획을 조립하는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적층체 또는 쿠션재는 경량이고,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면 파스너의 위치를 시인한 것만으로, 어린이라도 용이하게 직감적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8 발명은, 제7 발명에 관한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한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으로서, 상기 적층체의 평탄면의 양측의 소정 위치에 고정 수단이 접합되고, 상기 평탄면의 고정 수단 배설(配設) 위치에 대응시켜 벽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수단이 배설되고, 피난소 구획을 형성한 상기 적층체를 분해 후, 상기 적층체의 평탄면을 벽면을 향하여, 상기 벽면의 고정 수단에, 1매째의 상기 적층체의 고정 수단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적층체를 상기 벽면에 입설 고정하고, 또한 상기 벽면에 입설 고정한 적층체의 이면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표면에, 2매째의 상기 적층체를 1매째의 적층체와 단면을 가지런히 하여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표면을 겹침으로써 2매째를 겹쳐 쌓고, 상기 적층체의 3매째와 4매째를, 각각의 적층면인 평탄면,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을 1매째, 2매째와 동일한 순서로 각각의 적층면과 단면을 가지런히 하여 입설하고, 추가로 그 후도, 상기 적층체를 동일한 순서로, 겹쳐 쌓는 매수에 따라서, 상기 적층체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겹쳐 쌓아 입설하고, 상기 입설된 각각의 적층체의 단면의 소정 위치에는 고정 수단이 접합되고, 상기 적층체의 단면의 고정 수단을, 다른 벽면에 고정된 소정 길이를 갖는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이다.
상기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분해 수납에 이용하는 고정 수단은, 상기 적층체의 조립에 이용한 고정 수단과 동일한, 조립 시의 접속, 분해 시의 분리가 용이한 고정 수단이고, 상기 고정 수단은, 테이프 형상 부재에 고정된 버튼 형상 파스너, 자석, 또는 미소 돌기가 다수 형성된 면 파스너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면 파스너는, 면 파스너의 이면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하고, 버튼 형상 파스너나 자석을 접착한 테이프 형상 부재는, 테이프 형상 부재를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프로파일 가공면을, 산부 정부와 계곡부 저부를 교대로 통과하는 곡선의, 인접하는 산부 정부에서 산부 정부까지의 거리를 1피치로 하면, 산부 정부 혹은 계곡부 저부로부터 (1/4) 피치 어긋난 위치 즉 산부 정부로부터 계곡부 저부에 이르는 중간 위치 혹은 계곡부 저부로부터 산부 정부에 이르는 중간 위치를 연결하도록 직선 형상으로 절단되거나, 또는 이들 중간 위치가 변곡점인 경우에는, 변곡점 위치를 연결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절단됨으로써, 상기 적층체의 절단면에 차지하는 평행부의 단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형성된 단변측 단면의 절단면에 고정 수단이 접합되어도 좋다. 여기에서, 측단면에 있어서의 평행부 면적이 가장 큰 단면에, 면 파스너 등의 고정 수단을 고정하면, 적층체의 단면의 고정 수단을, 다른 벽면에 고정된 소정 길이를 갖는 고정 수단으로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대신하여 제1 발명에 관한 표면에 선 형상 모양이 형성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 쿠션재를 사용해도 좋다.
제8 발명에 의하면, 제7 발명에서 형성한 피난소의 구획을 분해하여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이 피난소 구획의 적층체의 분해 수납 방법에 있어서, 적층체를 대신하여, 쿠션재를 사용해도, 쿠션재의 외표면 전체의 치수 형상이 적층체와 동일하면, 적층체와 마찬가지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8 발명의 피난소 구획의 적층체의 분해 수납 방법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적층체 또는 쿠션재는 경량이고,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면 파스너의 위치를 시인한 것만으로, 어린이라도 용이하게 직감적으로 분해 수납할 수 있다.
제9 발명은, 제7 발명에 관한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으로 이용된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적층체의 평탄면의 양측의 소정 위치에 고정 수단이 접합되고, 상기 적층체의 단변을 벽면에 평행한 입설면으로 하고, 장변 방향이 인접하도록 상기 적층체를 연속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적층체의 상기 평탄면의 고정 수단 배설 위치에 대응시키고, 벽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수단이 배설되고, 상기 피난소 구획을 형성한 적층체를 분해 후, 상기 적층체의 평탄면을 벽면을 향하여, 상기 적층체의 고정 수단 배설 위치에 대응시켜 벽면의 소정 위치에 배설된 고정 수단으로, 상기 적층체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을 실내측을 향하여 고정하고, 추가로 다른 적층체의 평탄면을 벽면을 향하여, 마찬가지로 상기 벽면의 소정 위치에 배설된 고정 수단으로, 다른 적층체를 벽면에, 최초의 적층체와 연속하도록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을 실내측을 향하여 고정하고, 추가로, 차례차례로 다른 적층체를 마찬가지로 직전에 벽면 고정한 적층체와 연속하도록 벽면 고정함으로써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이다.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으로 이용된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적층체를 분해하여 상기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에 이용하는 고정 수단은, 상기 적층체의 조립에 이용하는 고정 수단과 동일한, 조립 시의 접속, 분해 시의 분리가 용이한 고정 수단이고, 상기 고정 수단은, 테이프 형상 부재에 고정된 버튼 형상 파스너, 자석, 또는 미소 돌기가 다수 형성된 면 파스너 중 어느 하나라도 좋다. 면 파스너는, 면 파스너의 이면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하고, 버튼 형상 파스너나 자석을 접착한 테이프 형상 부재는, 테이프 형상 부재를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대신하여 제1 발명에 관한 표면에 선 형상 모양이 형성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 쿠션재를 사용해도 좋다.
제9 발명에 의하면,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피난소 구획의 적층체를 이용한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적층체를 대신하여 쿠션재를 사용해도, 적층체를 사용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발명 내지 제9 발명에 의하면, 쿠션재나 적층체를 이용한 의장성이 우수한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 등의 조립이, 공구나 조립 부품 등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 가능하다. 또한, 쿠션재나 적층체가 경량이기 때문에, 노인이나 어린이라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피난소 구획을 분해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이유에 의해 용이하게 단시간에 분해할 수 있고, 벽면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피난소 구획을 해체한 경우에는, 피난소의 벽면에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통상 시에는, 피난소의 벽면에 충격 완충 벽면 패널로서 사용하고, 비상 시에는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이나 바닥재의 어느 것으로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 발명에 이용하는 쿠션재나 적층체는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융착면 또는 접착면을 착색함으로써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에 선 형상 모양을 형성하는 것에 성공한 것으로, 경량이고 의장성이 우수하고, 단열성이나 충격 완충성, 방습성이 우수한 것이다. 접착층 또는 융착층에 제진성이나 차음성 등의 기능성을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이 적층체에 소정의 치수 형상을 부여하면, 구획용 파티션의 조립 작업성에도 우수한 것이 되어, 조립 공구나 조립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한 구획용 파티션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과 같이,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 구획의 형성 방법과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피난소 구획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이고 의장성이 우수하고, 접착층 또는 융착층에 제진성이나 정음성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한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에 선 형상 모양을 갖는 쿠션재,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쿠션재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쿠션재의 사용 방법, 또한, 조립 공구나 조립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한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 구획의 형성 방법,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및 피난소 구획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쿠션재(1)를 나타내는 표면측 사시도이다.
도 1b는 쿠션재(1)를 나타내는 이면측 사시도이다.
도 2는 쿠션재(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쿠션재(1)의 단면도로,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수지 발포체 제조 장치(20)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a는 롤(31a, 31b)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b는 롤(31a, 31b)의 측면도이다.
도 6a는 롤(31a, 31b)에 의해 쿠션재(1)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C부 확대도이다.
도 7은 적층체(1a)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쿠션재(1)를 대향하여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적층 구조(40)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쿠션재(1)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외표면을 향하여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적층 구조(40a)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적층 구조(40)의 단면도로, 도 8b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쿠션재(1c)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a는 쿠션재(1d)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b는 쿠션재(1d)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피난소 구획(5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는 적층체의 절단 위치와 절단된 단부 측면의 단면의 형상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적층체의 프로파일 가공면으로부터 본 절단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b는 산부 정부와 계곡부 저부를 교대로 통과하는 곡선 상에서 절단한 경우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c는 산부 정부와 계곡부 저부로부터, (1/4) 피치 떨어진 변곡점 위치를 직선 형상으로 연결하도록 절단한 경우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쿠션재(1)의 수납 방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b는 쿠션재(1)의 수납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a는 충격 완충 벽면 패널(6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b는 충격 완충 벽면 패널(6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c는 면 파스너(53c, 53d)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구획용 파티션의 조립 자립성 평가의 대략 직각의 접속 시험의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는 구획용 파티션의 각 부의 치수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b는 산부(5a)를 계곡부(7a)측으로 반전하여 맞추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c는 산부(5a)를 계곡부(7a)측으로 반전하여 맞추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는, 쿠션재(1)의 표면 사시도, 도 1b는 쿠션재의 이면 사시도, 도 2는 쿠션재(1)의 평면 개략도이다.
쿠션재(1)는,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에 의해 형성된다. 쿠션재(1)의 한쪽의 면(표면(3))에는, 산부(5) 및 계곡부(7)가 형성된다. 산부(5) 및 계곡부(7)는, 종횡으로 교대로 주기적으로 배치된다. 즉, 쿠션재(1)의 표면(3)은,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고, 산부(5)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산부(5)끼리의 사이에 계곡부(7)가 형성되고, 산부(5) 및 계곡부(7)가, 각각 소위 지그재그 배치로 형성된다. 따라서, 산부(5)의 종횡에 인접하는 부위에는 계곡부(7)가 형성되고, 계곡부(7)의 종횡에 인접하는 부위에는 산부(5)가 형성된다.
또한, 쿠션재(1)의 다른 한쪽의 면(이면(9))에는, 산부(5) 및 계곡부(7)는 형성되지 않고, 평탄하다. 즉, 쿠션재(1)는, 표면(3)에만, 산부(5)와 계곡부(7)가 형성된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산부(5)는 두께가 두꺼운 부위이고, 계곡부(7)는 두께가 얇은 부위가 된다. 또한, 경사 방향에 인접하는 산부(5)끼리의 사이(경사 방향에 인접하는 계곡부(7)끼리의 사이)에는, 산부(5)와 계곡부(7)의 두께의 대략 중간의 두께의 모서리가 형성된다. 즉, 쿠션재(1)의 표면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는, 이와 같이 매끄럽게 연속하여 형성된다.
또한, 쿠션재(1)는, 산부(5)를 형성하는 수지 발포체(15a)와, 계곡부(7)를 형성하는 (15b)가 적층되고, 수지 발포체(15a, 15b)의 적층면에 형성되는 접착층(17)을 구비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수지 발포체(15a, 15b)의 적층면에 접착층(17)이 형성되는 예를 설명하지만, 접착층(17)을 대신하여 융착층이라도 좋다. 접착층은 착색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융착층과 마찬가지로, 수지 발포체(15a, 15b)와 거의 동색의 백색으로 인식된다. 또한, 통상, 쿠션재의 단면은 시인할 수 없기 때문에, 착색된 접착층 또는 융착층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환 형상의 선 형상 모양으로서 관찰된다.
수지 발포체(15a, 15b)의 적층면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층(17)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우레탄 수지, 아세트산 비닐 에멀젼,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및 변성 실리콘 수지 중 적어도 1종의 가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및 변성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가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쿠션재(1)에 제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17)에,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중합체와 할로겐 함유 인산 에스테르와 무기계 난연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쿠션재(1)에 난연성과 제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쿠션재(1)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는, 접착층(17)(또는 융착층)에 기능성을 부여한 것이라도 좋다.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표면(3)의 소정 높이의 부분에는, 이면(9)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접착층(17)이 노출된다. 접착층(17)에 의해,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다수의 환 형상의 선 형상 모양(11)이 상호 소정 간격 이간하여 형성된다. 선 형상 모양(11)은,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산부(5)와 계곡부(7)를 구분하고, 각각의 산부(5)를 둘러싸도록 산부(5)와 계곡부(7)의 사이에 소정 높이로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의장성과 방습성이 우수하다. 즉, 쿠션재(1)의 표면(3)은, 선 형상 모양(11)보다 상측의 수지 발포체(15a)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5)와, 선 형상 모양(11)이 형성되는 선 형상 모양 형성부(13)와, 선 형상 모양(11)보다 하측의 수지 발포체(15b)에 의해 형성되는 계곡부(7)의 3개의 부분으로 구획된다. 또한, 계곡부(7)는, 인접하는 계곡부(7)끼리 상호 연속하여 일체로 된다.
수지 발포체(15a, 15b)는,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코폴리머,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수지 발포체(15a, 15b)의 발포 배율은 20배 내지 4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지 발포체(15a, 15b)는, 폴리에틸렌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폴리에틸렌 수지는, JIS K6767에 기초하는, 압축 영구 변형이 3.0%∼7.4%이고, 시험 온도 25℃에 있어서의 25% 압축 시의 압축 응력이 34㎪∼56㎪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발포체(15a, 15b)의 압축 응력은, JIS K6767:1999에 있어서의, 압축 응력 변형 ISO3386-1에 의한 압축 응력의 시험으로 측정된다. 이 때, 시험기의 압축판의 이동 속도는 1분당 재료 두께의 약 50%로 하고, 시험 온도는 25℃에서, 재료 두께의 25% 압축 시의 압축 응력이 측정된다.
또한, 수지 발포체(15a, 15b)의 압축 영구 변형은, JIS K6767:1999에 있어서의, ISO1856에 의한 시험에 의해 측정된다. 시험편을 25% 변형한 상태로 압축하고, 온도 23℃±2℃에 있어서 22시간 방치하고, 압축 종료 후 24시간 후의 두께를 측정함으로써 압축 영구 변형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지 발포체(15a, 15b)를 폴리에틸렌 수지로 함으로써, 쿠션재(1)의 흡습성(흡수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 발포체(15a, 15b)의 흡수율은, ISO2896 B법에 의해 측정된다. 또한, 양면 또는 편면에 스킨층이 형성되는 시료의 경우에는, 흡수율은, 하기의 계산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Qs=(W1-W2)/A
Qs: 흡수율(g/㎠)
W1: 100㎜×100㎜로 절단 직후의 시험편의 질량(g)
W2: 60℃에서 24시간 건조 후의 시험편의 질량(g)
A: 시험편의 면적(㎠)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의 흡수율은, 0.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발포체(15a, 15b)의, MD 방향의 인장 강도는 273㎪∼495㎪, TD 방향의 인장 강도는 201㎪∼33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발포체(15a, 15b)의, MD 방향의 신장값은 92%∼100%, TD 방향의 신장값은 114%∼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장 강도 및 신장값은, ISO1798에 준하여, 500㎜/min의 시험 속도로 행한 시험의 파단 시의 인장 강도 및 신장값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수지 발포체(15a, 15b)에는, 소취제로서 실리카, 인산 지르코늄, 제올라이트, 황산 아연, 또는 황산 지르코늄 중 어느 하나를,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5질량부 내지 5질량부의 범위로 포함해도 좋다. 이와 같이 소취제를 함유시켜, 소취 기능을 부여할 수 도 있다.
다음으로, 쿠션재(1)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수지 발포체(15a, 15b)를 제조한다. 도 4는, 수지 발포체 제조 장치(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지 발포체 제조 장치(20)는, 주로, 압출기(21), 롤 성형기(23), 가열로(25) 및 권취기(27) 등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압출기(21)에, 원료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와, 안료, 화학 발포제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투입하고, 소정폭의 시트 형상으로 압출을 행한다. 다음으로, 롤 성형기(23)를 통과시킴으로써, 재료 두께와 폭을 조정한다. 추가로, 가열로(25)에 있어서, 철망제의 컨베이어 상에서, 소정 온도(예를 들면 190℃ 내지 240℃)의 범위에서, 로의 안쪽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온도가 상승하도록 설정된 로 내에 반송한다. 가열로(25)에 있어서는, 우선 가교제를 열 분해시키고, 폴리에틸렌 수지를 가교한 후, 화학 발포제를 열 분해시켜 소정의 발포 배율(예를 들면 30배)로 소정의 시트 두께(바람직하게는 15㎜∼20㎜)의 수지 발포체(15a, 15b)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지 발포체(15a, 15b)의 제조에 있어서는, 가교제로서, DCP(디쿠밀퍼옥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기포 핵제는 사용하지 않고, 화학 발포제로서 ADCA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핵제는, 구연산 모노 Na, 계면 활성제, 실리콘 오일 등 물리 핵재로서 탄산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융착층을 황색으로 변색시키는 경우에는, 화학 발포제는 ADCA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얻어진 수지 발포체(15a, 15b)를 융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적층시킨다. 또한, 접착 또는 융착하는 수지 발포체(15a, 15b)는, 동일한 두께라도 좋고, 상이한 두께라도 좋다.
예를 들면, 수지 발포체(15a, 15b)의 각각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를 도포하고 있지 않은 반대면을, 프레스로 압압하거나, 수지 발포체(15a, 15b)의 어느 한쪽의 발포체를, 접착제를 도포한 롤을 통과시킴으로써, 수지 발포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추가로 접착제를 도포한 면을 접합면으로 하고, 다른 한쪽의 수지 발포체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 다른 롤을 통과시킴으로써, 2개의 수지 발포체를 접착할 수 있다. 이 때 접착제를 유기 색소, 염료, 안료 등으로 착색하거나, 혹은 적어도 한쪽의 접착면을, 유기 색소, 염료나 안료 등으로 착색할 수 있다. 또한, 수지 발포체(15a, 15b)를 열 융착시키는 경우에는, 원적외선 히터로, 180℃ 전후로 10∼20초 정도 가열하고, 그 후, 롤을 통과시킴으로써, 열 융착을 융착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융착면은, 접착 시와 마찬가지로, 유기 색소, 염료 나 안료 등으로 착색할 수 있다. 또한, 수지 발포체 표면 및 융착부가 융착 시에 수지가 재용융하여 재결정화하기 때문에, 그 때의 결정화 상태 및 분자량의 변화나 ADCA의 잔차가 표면에 잔류하기 쉬운 것 등의 효과 등을 중첩시킴으로써, 융착부를 황색으로 착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착층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는 소정 두께의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이하, 적층 수지 발포체)에 대하여, 프로파일 가공을 행한다. 도 5a는, 쿠션재(1)의 프로파일 가공에 이용되는 프로파일 롤인 롤(31a, 31b)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b는 롤(31a, 31b)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롤(31b)은 롤(31a)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롤(31a)은, 원통 형상의 롤의 표면에 볼록부(33)가 복수 형성된 것이다. 볼록부(33)는, 롤(31a)의 표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볼록부(33)는, 롤(31a)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소정 피치)으로 형성되고,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33)는 전술의 설치 피치에 대하여 반피치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볼록부(33)로 둘러싸인 부위가 오목부(35)로 된다. 오목부(35)는 볼록부(33)에 대하여 약간 크고, 서로 대향하는 볼록부(33)와 오목부(35)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롤(31a, 31b)은, 서로 대향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롤(31a, 31b)의 간격은,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이 때, 롤(31a, 31b)은, 서로 대향하는 롤(31a, 31b)의 각각의 볼록부(33)와 오목부(35)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것과 같은 둘레 방향 위치에서 배치된다.
즉, 롤(31a, 31b)이 대향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어느 둘레 방향 단면 위치(예를 들면 도 5b)에 있어서, 상측의 롤(31a)의 볼록부(33)가 최하단(롤(31b)과의 대향측)에 위치했을 때, 하측의 롤(31b)의 최상단(롤(31a)측)에는 오목부(35)가 위치한다. 또한, 이러한 위치가 교대로 반복하도록, 서로의 회전이 제어되어 동기한다. 또한, 롤(31a, 31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33), 오목부(35)도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설치된다.
도 6a는, 롤(31a, 31b)을 이용하여, 쿠션재(1)를 제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롤(31a, 31b)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롤(31a, 31b)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도면 중 화살표 D 방향), 한쪽의 측에서, 적층 수지 발포체(39)를 물고 들어간다. 또한, 적층 수지 발포체(39)는, 전술한 수지 발포체(15a, 15b)를 적층시켜 접착 또는 융착한 것이다.
여기에서, 적층 수지 발포체(39)는, 발포 배율과 시트 두께가 동일한 수지 발포체(15a와 15b) 전술과 같이 적층시켜 접착 또는 융착시킨 것이다. 적층 수지 발포체(39)는, 롤(31a, 31b)에 의해 물려져 순차적으로 후방으로 이송된다(도면 중 화살표 E 방향). 롤(31a, 31b)의 물림부의 약간 후방측에는 절단날(37)이 형성된다. 절단날(37)은, 적층 수지 발포체(39)를 두께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단하는 것으로, 적어도 적층 수지 발포체(39)의 폭 이상의 폭을 갖는다. 적층 수지 발포체(39)는, 롤(31a, 31b)에 의해 찌부러지면서(변형되면서) 롤(31a, 31b) 후방으로 이송되고, 롤(31a, 31b)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절단날(37)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단된다.
도 6b는, 도 6a의 C부 확대도이다. 적층 수지 발포체(39)는, 롤(31a, 31b)의 볼록부(33) 및 오목부(35)에 의해 탄성 변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롤(31a, 31b)은, 롤(31a)의 볼록부(33)(오목부(35))와 롤(31b)의 오목부(35)(볼록부(33))가 서로 틀린 위치가 되도록 회전한다. 따라서, 적층 수지 발포체(39)는, 상측의 롤(31a)의 볼록부(33) 및 오목부(35)와, 하측의 롤(31b)의 볼록부(33) 및 오목부(35)의 사이를 누비듯이 파형이 된다.
절단날(37)은, 적층 수지 발포체(39)가 물결 형상인 상태에서 적층 수지 발포체(39)를 절단한다. 여기에서, 절단날(37)은, 적층 수지 발포체(39)의 두께 방향의 대략 중앙(롤(31a, 31b)의 중간)에 설치된다. 그러나, 실제로 절단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있어서는, 적층 수지 발포체(39)가 파형으로 변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적층 수지 발포체(39)의 두께 방향의 중앙이 똑바로 절단되는 것이 아니라, 적층 수지 발포체(39)는 두께 방향에 대하여 파형으로 절단된다.
여기에서, 적층 수지 발포체(39)는, 내부에 접착층(17)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적층 수지 발포체(39)가 파형으로 변형할 때에는, 접착층(17)은, 적층 수지 발포체(39)의 중심선을 형성하면서, 접착층(17)도 상하로 반복 파형으로 변형한 상태가 된다. 절단날(37)은, 파형의 접착층(17)을 가로로 자르도록 적층 수지 발포체(39)를 절단한다.
절단 후의 적층 수지 발포체(39)는, 롤(31a, 31b)(볼록부(33), 오목부(35))에 의한 변형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면서 롤(31a, 31b)의 후방으로 이송된다. 이 때, 절단날(37)에 의해 절단된 부위가, 파형으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적층 수지 발포체(39)의 절단면에 산부(5)와 계곡부(7)가 형성된다. 즉, 절단날(37)을 중심으로, 롤의 오목부(35) 내에 변형한 부위가, 쿠션재(1)의 산부(5)가 되고, 롤의 볼록부(33)에 의해 눌러찌부러진 부위가, 쿠션재(1)의 계곡부(7)가 된다. 즉, 롤(31a, 31b)과의 접촉면은, 평탄한 형상이 되고, 반대로 절단면은, 롤(31a, 31b)의 요철 피치에 맞추어, 종횡으로 산부 계곡부가 교대로 주기적으로 배치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가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파일 롤인 롤(31a, 31b) 통과 직후의 적층 수지 발포체(39)가, 상하의 롤(31a, 31b)에 의한 압압력이 완전히 탄성 회복하지 않는 중에, 접착층(17)(또는 융착층. 이하 동일)을 포함하는 위치에서 슬라이스 가공하여 절단된다. 이와 같이, 접착층(17)이 만곡한 상태에서 만곡한 접착층(17)을 횡단하도록 절단되기 때문에, 절단 분리된 적층 수지 발포체(39)가 탄성 회복하여 접착층(17)이 소정 길이, 소정 형상으로 평탄면에 형성되면, 적층 수지 발포체(39)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산부(5)와 계곡부(7)의 사이의 표면의 소정 높이의 부분에, 접착층(17)이 노출하고, 평탄면의 노출부로서 주기적인 선 형상 모양(11)이 롤의 길이 방향과 폭방향에 대응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쿠션재(1) 형성된다. 이상에 의해,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가 프로파일 가공에 의해 형성된 쿠션재(1)가 한 쌍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쿠션재(1)는, 예를 들면,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면(표면(3))을 상면으로 하고, 다른 한쪽의 면(이면(9))을 하면으로 하여, 베드로서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표면(3)에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고, 이면(9)이 평탄한 쿠션재(1)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산부(5)의 소정의 높이에 다수의 환상의 선 형상 모양(11)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의장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러한 쿠션재(1)는, 적층 수지 발포체(39)를 프로파일 가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제조성이 양호하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적층되는 각각의 수지 발포체(15a, 15b)의 적어도 한쪽이 착색되어 있거나, 또는 양쪽의 수지 발포체(15a, 15b)를 상이한 색으로 함으로써, 선 형상 모양(11)(접착층(17))의 위치를 계면으로 하여, 선 형상 모양 형성부(13)에 대하여,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산부(5)측과 계곡부(7)측(저부를 포함함)이 상이한 색으로 착색된 3차원적인 입체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절단날(37)은, 롤(31a, 31b)의 대략 중앙(절단 대상의 적층 수지 발포체(39)의 두께 방향의 대략 중앙)에 설치했지만, 이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롤(31a, 31b)에 물려진 상태에 있어서의 접착층(17)의 물결 형상의 산부(5)와 계곡부(7)의 형성 위치에 있어서의 높이의 범위 내에서 (적층 수지 발포체(39)의 접착층 또는 융착층에 형성되는 만곡의 폭(높이)을 초과하지 않도록), 절단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하고, 롤의 출구측에서의 슬라이스 가공을 실시하는 높이를 조정해도 좋다. 또는 절단날(37)을 롤(31a, 31b)의 대략 중앙에 설치한 채로, 수지 발포체(15a, 15b)의 한쪽의 시트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적층 수지 발포체(39)의 접착층(17)의 형성 위치를, 두께의 중앙으로부터 어긋나게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절단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산부(5)와 계곡부(7)의 면적 비율을 바꾸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접착층(17)에 의해 형성되는 선 형상 모양(11)이나 입체 모양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지 발포체(15b)가 형성하는 산부(5)의 면적이나 수지 발포체(15a)가 형성하는 계곡부(7)의 면적 비율을 바꿈으로써, 수지 발포체(15a), 수지 발포체(15b)의 적어도 한쪽이 착색된 3차원적인 의장의 질감이나 의장성을 크게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산부(5) 및 계곡부(7)의 형성 위치를 조정하고, 다수의 환상의 선 형상 모양(11)의 크기를 조정하여, 선 형상 모양(11)의 크기가 상이한 2개의 쿠션재(1)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지 발포체(15a, 15b)가 폴리에틸렌제이면, 흡습성이 낮기 때문에, 쿠션재(1)를 이용한 매트 등의 방습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쿠션재(1)를 재해 시에 있어서의 매트로서 사용했을 때에, 쿠션재(1)가 흡습하지 않고, 또한 프로파일 가공된 발포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베드로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쾌적한 수면 환경이나 생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17)에 대하여, 다른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진성이나 난연성의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지 발포체(15a, 15b)에 소취 기능을 부여해도 좋다.
또한, 상기 외에, 적층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2층의 수지 발포체를 슬라이스 가공하여 성형한 쿠션재(1)에, 롤 성형 후에 평탄한 수지 발포체(15c, 15d)를 접합하여 형성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쿠션재의 이면에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를 융착 또는 접착한 적층체(1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쿠션재(1)와 동일한 구성에는, 도 1a∼도 6b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적층체(1a)는, 쿠션재(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쿠션재(1)의 이면에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15c)를 융착 또는 접착시키고, 수지 발포체(15c)가 적층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적층체(1a)는, 쿠션재(1)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면의 이면의 평탄한 다른 한쪽의 면에, 추가로 별도의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15c)가 적층되어 접착 또는 융착되어 있다. 또한, 이 적층체(1a)의 이면(9)에, 추가로 다른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가 적층되어 접착 또는 융착된 적층체라도 좋지만, 통상 융착 또는 접착하는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는 1층으로 충분하다.
이 때, 쿠션재의 이면에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를 융착 또는 접착시키는 다른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15c)는,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 수지 발포체(15a, 15b)보다 경질 혹은 동등의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쿠션재의 이면에 접착하는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15c)를, 수지 발포체(15a, 15b)보다도 저발포 배율의 수지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구획용 파티션에 사용하는 경우의 조립 자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적층체(1a)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5a, 도 5b에 나타내는 롤(31a), 롤(31b)을 이용하여, 4층의 적층 수지 발포체의 절단을 행해도 좋다. 우선, 접착층 또는 융착층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는 소정 두께의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의, 접착층 또는 융착층과는 반대측의 각각의 외측에, 다른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층이 추가로 접착 또는 융착된, 4층의 적층 수지 발포체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는, 롤(31a)과 롤(31b)의 롤 간격을 조정하여, 상하의 표층(1층째와 4층째)을 제외한 중간의 2층째와 3층째의 사이에 슬라이스 가공을 행함으로써, 2층의 적층 수지 발포체(39)와 동일한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기적인 선 형상 모양(11)이 형성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갖는 수지 발포체(15b)의 평탄한 이면에, 각각 평탄한 수지 발포체(15c 또는 15c와 15d)를 접합한 적층체(1a, 1b)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4층 중의 내층의 2층을 형성하는 수지 발포체층의 내부에 프로파일 롤 가공에 의한 만곡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중간의 2층째와 3층째의 사이에서 슬라이스 가공을 행함으로써, 프로파일 가공한 내층 수지층의 외층에 평탄한 시트 형상 발포 수지층이 일체화한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의장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지 발포체(15c) 등을 적층함으로써, 보다 두께가 두꺼운 적층체(1a, 1b)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쿠션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방습성에 더하여 적층체의 조립 자립성도 높일 수 있다.
이 때, 이 적층체(1a, 1b)는, 피난소의 구획 부재에 필요한 단열성, 쿠션성이나 방습성을 부여할 수 있는 외에, 표면에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주기적 모양을 갖기 때문에 의장성이 우수하지만,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15c, 15d)에 의해 두께를 늘리고 있기 때문에, 조립 자립성도 향상한다. 그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난소의 파티션용 구분벽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자립시킬 수 있다. 추가로 적층체(1a, 1b)는 경량인 것과 동시에 적층체(1a, 1b)의 단부 측면과 적층체(1a, 1b)의 평탄부 등을, 예를 들면 면 파스너에 의해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공구나 조립 부품 등을 사용하지 않고 피난소의 파티션용 구분벽 등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피난소의 파티션 부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적층체(1a, 1b)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융착 또는 접착면의 상하의 발포체의 착색을 바꿈으로써, 추가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피난소의 구분벽의 파티션 부재나 바닥 매트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추가로 단열성, 쿠션성, 방습성 등의 기능성을 갖고 있는 점에서, 바닥 매트는 베드로서도 사용 가능하고, 이재민의 피난소에 있어서의 생활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이재민의 기분을 밝게 유지할 수도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적층시키는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15c) 등을,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 수지 발포체(15a, 15b)보다도 경질 또는 동등한 강도로 함으로써, 적층체(1a, 1b)를 매트로서 사용했을 때에, 쿠션성을 유지한 채로, 과도한 가라앉음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매트재를 예로 취하면, 경량이고 의장성이 우수하고, 방습성, 단열성이 우수한 매트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재해지 등의 체육관의 바닥 등에 노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적층체(1a, 1b)는, 쿠션성을 유지한 채로, 방습성이 우수하고, 과도한 가라앉음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베드로서도 사용 가능하고, 피난소용의 베드를 겸하는 매트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층체(1a, 1b)를 소정 치수 형상의 적층체로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립 자립성이 우수한 구획용 파티션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a는, 쿠션재(1)를 대향하여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 쌍의 쿠션재(1)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면끼리를 대향시켜 배치한다. 본 실시 형태는, 쿠션재(1)를 2매 겹치고, 쿠션재(1)의 적층 구조로서 사용하는 쿠션재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적층 구조란, 쿠션재를 서로 겹쳐 사용하는 구조를 의미하고, 반드시 적층부가 융착 또는 접착 등 접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쿠션재의 평탄면끼리를 면 파스너로 고정하거나, 단순히 쿠션재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을 대향시켜 배치하는 구조라도 좋다.
도 8b는, 한 쌍의 쿠션재(1)의 산부와 계곡부를 서로 조합하여 적층시킨 적층 구조(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8b는, 쿠션재(1)를 2매 겹치고, 쿠션재(1)를 적층하여 사용하는 쿠션재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쪽의 쿠션재(1)(도면 중 하방)에 형성되는 산부(5a)와, 다른 한쪽의 쿠션재(1)(도면 중 상방)에 형성되는 계곡부(7b)가 대향하여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한쪽의 쿠션재(1)(도면 중 하방)에 형성되는 계곡부(7a)와, 다른 한쪽의 쿠션재(1)(도면 중 하방)에 형성되는 산부(5b)가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이, 쿠션재(1)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면을 상호 겹침으로써, 서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끼리가 맞물리고, 선 형상 모양(11)이 대략 동일 평면 상에 나란히 형성된 시트 형상의 적층 구조(40)가 형성된다.
도 9a는, 한 쌍의 쿠션재(1)의 산부(5)와 계곡부(7)를 상호 외측을 향하여, 평탄부끼리를 대향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한 쌍의 쿠션재(1)를 적층시킨 적층 구조(40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9b는, 쿠션재(1)의 평탄면을 대향시켜 사용하는 쿠션재(1)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 쌍의 쿠션재(1)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면끼리를 상호 반대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이면인 평탄면끼리를 접촉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접촉면을 면 파스너 등의 고정 수단으로 상호 고정해도 좋다. 이 때, 한쪽의 쿠션재(1)(도면 중 하방)에 형성되는 산부(5a)와, 다른 한쪽의 쿠션재(1)(도면 중 상방)에 형성되는 계곡부(7b)가 상호 외측을 향하여 소정 거리 이간하여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한쪽의 쿠션재(1)(도면 중 하방)에 형성되는 계곡부(7a)와, 다른 한쪽의 쿠션재(1)(도면 중 상방)에 형성되는 산부(5b)가 상호 외측을 향하여 소정 거리 이간하여 배치된다.
즉, 한쪽의 쿠션재(1)의 산부(5a)의 이면에는, 다른 한쪽의 쿠션재(1)의 계곡부(7b)가 위치하고, 한쪽의 쿠션재(1)의 계곡부(7a)의 이면에는, 다른 한쪽의 쿠션재(1)의 산부(5b)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평탄면을 상호 대향시켜 겹침으로써,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구조(40a)는, 쿠션재의 1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면이 적층 구조(40a)의 양측의 외표면을 향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양면에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가 대략 평행으로 형성되는 것과 함께, 선 형상 모양(11)이 외표면에 다수 나란히 형성되고, 의장성이 우수한 패널 형상의 적층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b의 F-F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쿠션재(1)의 접착층(17a)과 접착층(17b)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즉, 적층 구조(40)를 구성하는 쿠션재(1)의 각각의 산부와 계곡부의 중간에 배치되는 선 형상 모양(11)(접착면끼리 또는 융착면끼리)이, 대략 동일한 평면 상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이, 쿠션재(1)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면을 상호 겹침으로써, 선 형상 모양(11)을 대략 동일한 평면 상에 나란히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층 구조(40)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접착면을 포함하는 평면의 겉보기상의 총면적에 대한, 대략 동일한 평면 상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접착층(17a, 17b)(접착면 또는 융착면)의 겉보기의 총 점유율은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추가로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쿠션재(1)를 대향시켜 형성한 적층 구조(40)에 있어서, 접착층(17a, 17b)을 동일 평면 상에, 대략 전면에 걸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착층(17a, 17b)에 제진성이나 난연성 등의 기능성을 부여했을 때에, 적층 구조(40)의 대략 전면에 있어서,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접착면 또는 융착면에 의해, 기능성을 갖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쿠션재를 적층한 적층 구조는, 예를 들면, 피난소의 파티션재 또는 충격 완충 벽면 패널재로서 적합하다. 의장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적층 구조를 외표면에 배치하고, 기능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기능성을 부여한 면을 대략 일직선 형상으로 배치한다.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적층 구조를 외표면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전용 스탠드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는, 2개의 쿠션재는, 쿠션재의 단부 측면을 면 파스너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쿠션재를 조합하여 적층 구조로 함으로써, 이러한 적층 구조를 방재 현장의 칸막이나 벽면 패널재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구조에 의해, 종래의 골판지 제의 매트나 구분재에서의, 단열성, 쿠션성, 방습성 등의 기능성을 부여하고 있는 점에서, 피난 현장에서의 피난 생활을 어쩔수 없이 하고 있는 이재민에게 조금이라도 청결하고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지 발포체(15a, 15b)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대향하도록 겹쳐 사용함으로써, 물결 형상의 표면에 나타난 주기적인 선 형상 모양(11)이 형성되는 위치를 대략 일치시킬 수 있다. 즉, 이 선 형상 모양(11)(접착면 또는 융착면)은, 조합한 수지 발포체(15a, 15b)의 내부를 관통하여 대략 평면 형상으로 배열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의 선 형상 모양(11)을 구성하는 접착층(또는 융착층)에, 차음성이나 제진성을 부여함으로써, 의장성과 동시에 쿠션성의 외에, 정음성이나 제진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프로파일 가공한 면에는, 접착면이나 융착면이 직사각형 형상,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다수 배열하기 때문에, 프로파일 가공한 면을 대향시키면, 약간의 극간은 존재하기는 하지만, 접착면이나 융착면을 대략 동일 평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부분에 제진성이나 정음성 등의 부가적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사이에 끼우는 수지 발포체(15a, 15b)에도, 소취성, 항균성, 항바이러스성 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조합함으로써, 적층 구조의 두께는, 쿠션재의 두께의 약 2배가 되기 때문에, 파티션 등의 구분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조립 자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외표면에 배치한 경우에도, 조립 자립성에 문제가 없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쿠션재(1c)의 평면도이다. 쿠션재(1c)는, 쿠션재(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쿠션재(1c)가, 복수의 색으로 구성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쿠션재(1c)의 표면(3)은, 선 형상 모양(11)보다 상측의 수지 발포체(15b)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5)와, 선 형상 모양(11)이 형성되는 선 형상 모양 형성부(13)와, 선 형상 모양(11)보다 하측의 수지 발포체(15a)에 의해 형성되는 계곡부(7)의 3개의 부분으로 구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산부(5), 선 형상 모양 형성부(13) 및 계곡부(7)의 적어도 1개 또는 2개의 부분이, 다른 부위와는 상이한 색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선 형상 모양 형성부(13)가 산부(5) 및 계곡부(7)와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거나, 혹은 선 형상 모양 형성부(13)만이 착색됨으로써, 다른 부위와는 상이한 색으로 착색된 선 형상 모양(11)을 형성할 수 도 있다. 또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산부(5)와 계곡부(7)의 어느 하나가 상이한 색으로 착색됨으로써, 산부(5) 혹은 계곡부(7)의 어느 하나가 착색된 3차원적인 입체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 형상 모양(11)이 융착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융착층을 형성하는 수지 발포체의 표면이 용융 후 고화하는 과정에서 결정화할 때에, 결정화도, 분자 배향의 변화, 이에 더하여 ADCA의 발포체 표면으로의 잔류 효과를 중첩시킴으로써 상이한 색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는, 융착하는 수지 발포체의 한쪽의 융착면을 상이한 색으로 도장한 수지 발포체를 이용하여 융착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해도 선 형상 모양 형성부(13)를 산부(5) 및 계곡부(7)와는 상이한 색으로 착색할 수 있다.
또한, 선 형상 모양(11)이, 접착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에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착색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층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도 선 형상 모양 형성부(13)를 산부(5) 및 계곡부(7)와는 상이한 색으로 착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쿠션재(1c)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상이한 색의 수지 발포체(15a)와 수지 발포체(15b)를 이용해도 좋다. 상이한 색의 수지 발포체(15a)와 수지 발포체(15b)를 접착 등에 의해 적층 수지 발포체(39)로 하고,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파일 가공을 행함으로써, 산부(5) 또는 계곡부(7)의 색을 다른 부위의 색과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선 형상 모양 형성부(13)의 2차원적인 모양에 더하여,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산부(5)와 계곡부(7)의 모두가 상이한 색으로 착색됨으로써, 선 형상 모양 형성부(13), 산부(5), 계곡부(7)의 모두가 상이한 색으로 착색된 3차원적인 입체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a는, 쿠션재(1d)의 평면도이고, 도 12b는, 쿠션재(1d)의 측면도이다. 쿠션재(1d)는, 쿠션재(1c)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쿠션재(1c)와는, 선 형상 모양(11)으로 둘러싸인 산부의 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쿠션재(1d)의 표면(3)은, 쿠션재(1c)와 마찬가지로, 선 형상 모양(11)보다 상측의 수지 발포체(15b)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5)와, 선 형상 모양(11)이 형성되는 선 형상 모양 형성부(13)와, 선 형상 모양(11)보다 하측의 수지 발포체(15a)에 의해 형성되는 계곡부(7)의 3개의 부분으로 구획된다. 쿠션재(1d)에서는, 산부(5), 선 형상 모양 형성부(13) 및 계곡부(7)의 적어도 1개 또는 2개의 부분이, 다른 부위와는 상이한 색으로 형성되는 점도 쿠션재(1c)와 동일하다.
한편, 쿠션재(1d)에서는, 도 6b에 나타낸 프로파일 가공 시의 슬라이스 위치를 상측에 오프셋하거나, 혹은 수지 발포체(15a)와 수지 발포체(15b)로, 적층 수지 발포체(39)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측의 수지 발포체(15b)의 두께를, 하측의 수지 발포체(15a)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선 형상 모양(11)으로 둘러싸인 산부의 면적을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12b에 나타내는 쿠션재가 얻어지게 된다.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산부(5), 계곡부(7), 선 형상 모양(11)의 적어도 일부를 다른 부위와는 상이한 색으로 함으로써, 보다 높은 의장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산부(5)와 계곡부(7)의 색이나 상호 면적 비율을 바꿈으로써, 보다 높은 의장성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선 형상 모양(11)의 위치를 경계선으로 하여, 착색하지 않는 경우의 선 형상 모양(11)으로부터, 산부(5)와 계곡부(7)(저부를 포함함)가 상이한 색으로 착색된 3차원적인 의장을 얻을 수 있다.
추가로, 슬라이스 가공 위치를, 접착면 혹은 융착면이 형성하는 물결 형상의 범위 내에서 오프셋함으로써, 선 형상 모양(11)의 형성 높이는,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범위 내의 임의의 높이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선 형상 모양(11)을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높이의 중심보다, 산부(5)측에 형성함으로써, 선 형상 모양(11) 혹은 착색된 산부(5)의 모양을 작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선 형상 모양(11)을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높이의 중심보다 계곡부(7)측에 형성함으로써, 선 형상 모양(11) 혹은 착색된 산부(5)의 모양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산부(5)와 계곡부(7)의 착색되는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의장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의 접속 구조)
도 13은, 피난소 구획(5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에 따라,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적층체(1a)는, 장변의 길이가 단변의 2배인 대략 장방형이다. 피난소 구획(50)은, 복수의 적층체(1a)로 구성되고, 바닥부(52)(재해용 매트재)와 벽부(54)(구획용 파티션 측벽)를 갖는다. 대략 장방형의 장변을 상호 접촉시켜 대략 정방 형상의 구획을 형성하도록 바닥면에 베드로도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에 대해서 적층체(1a)가 바닥부(52)에 2매 배치된다. 또한 적층체(1a)를, 단변 방향으로 입설한 상태에서, 상기 대략 정방 형상의 바닥재로서의 재해용 매트로 형성한 바닥부(52)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적층체(1a)의 장변을 바닥면과의 접촉면으로 하고, 적층체(1a)의 이면의 평탄면의 단변의 단부 근방과 단변측의 측단면을 상호 대략 직각으로 접속시키는 것을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적층체(1a)가 접속 고정된 벽부(54)를 형성한 접속 구조이고, 대략 정방형의 한쪽이 개구한 ㄷ자형의 측벽이 형성되는 구획을 적어도 포함하는 접속 구조이다.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의 접속 구조의 형성에 이용하는 고정 수단으로서는, 면 파스너를 사용하지만, 면 파스너 대신에 테이프 형상 부재에 고정된 버튼 형상 파스너나 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고정 수단은, 적층체(1a)의 단변의 단부 근방 및 단부 측면의 소정 위치에 접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고정 수단이 적층체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고정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적층체끼리를 대향시키고, 맞닿음 또는 끼워맞춤시킴으로써, 구획용 파티션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최대의 특징이다. 면 파스너는, 면 파스너의 이면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하고, 버튼 형상 파스너나 자석을 접착한 테이프 형상 부재는, 테이프 형상 부재를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재해용 매트의 단변측의 단부 측면은, 프로파일 가공면의 인접하는 산부와 산부를 통과하는 곡선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대략 평행 혹은 대략 수직인 방향의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산부 정부 혹은 계곡부 정부로부터 (1/4) 피치 어긋난 위치에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절단한다. 이에 따라, 단변측의 단부 측면의 절단면으로서 대략 장방 형상의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평탄한 대략 장형상의 단면을 갖는 단부 측면에 고정 수단을 고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고정 수단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면 파스너 등의 테이프 형상 고정 수단의 가공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상기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대신하여, 쿠션재를 사용하는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라도 좋다.
제5 실시 형태의 피난소 구획(50)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구획용 파티션재로서 적층체(1a)를 대신하여, 이면에 시트 형상 발포체가 접착된 쿠션재(1)를 사용해도 좋다. 쿠션재(1)는, 쿠션재(1)의 평탄면에서 계곡부까지의 높이(Hv)와, 쿠션재(1)의 평탄면에서 계곡부(7a)와 산부(5a)의 중심선 높이(Hc)까지의 높이의 비율(R)이, 50% 이상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제5 실시 형태 내지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의장성을 희생하면, 산부와 계곡부의 사이에 다수의 환 형상의 선 형상 모양을 갖는 적층체(1a) 대신에, 프로파일 가공면에 선 형상 모양이 없는 적층체를 이용하는 것으로도, 공구나 특별한 부품을 사용하는 일 없이, 조립 분해가 용이한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 구획의 형성 방법,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및 피난소 구획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을 얻을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의 형성 방법)
다음으로, 제6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의 접속 구조로 이용한 도 13으로 설명을 한다. 도 13은, 피난소 구획(5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피난소 구획(50)은, 복수의 적층체(1a)로 구성되고, 바닥부(52)(재해용 매트재)와 벽부(54)(구획용 파티션 측벽)를 갖는다. 적층체(1a)는, 쿠션재(1)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면과는 반대의 면에, 다른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를 적층하여 접착 또는 융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4층의 적층 수지 발포체를 이용하여, 슬라이스 가공기로, 2층째와 3층째를 슬라이스 가공하는 것으로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쿠션재(1)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면과는 반대의 면에, 추가로 다른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가 적층되어 접착 또는 융착되어 있는 복수층의 쿠션재를 적층체라고 칭한다.
다음으로, 도 13에 나타낸 피난소 구획(50)의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이 피난소 구획(50)의 구조에 이용되는 적층체(1a)는, 예를 들면, 장변 길이 1800㎜×단변 길이 880㎜×두께 30㎜(평균 두께는 25㎜)의 대략 장방형의 수지 발포 시트이다. 즉, 적층체(1a)는, 장변의 길이가 단변의 2배인 대략 장방형이다. 적층체(1a)의 한쪽의 표면에는, 선 형상 모양을 갖는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면은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다. 적층체(1a)에는, 발포 배율 20배∼40배의 수지 발포체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발포 배율 30배인 경우에는, 상기 적층체의 중량은, 약 1.25㎏이다. 발포 배율 20배에서도 약 1.9㎏이고, 2㎏ 이하이다. 또한, 평균 두께는, 50㎜까지 허용되기는 하지만, 재해 시 이외의 통상 시의 수납성을 생각하면, 적층체의 두께는 얇은 쪽이 바람직하고 40㎜ 이하로 충분하다. 그 때문에, 적층체의 중량은, 최대라도 5㎏ 이하이고 4㎏을 초과하는 일은 없다.
우선, 피난소 구획(50)의 바닥부(52)를 형성한다. 복수의 적층체(1a)의 평탄면 또는 요철면의 어느 하나를 바닥면을 향하여 병설함으로써, 바닥면 상에 바닥부(5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2매의 적층체(1a)의 장변끼리를 따르게 하여 나열함으로써, 대략 정방 형상의 바닥부(52)로 되고, 약 2첩의 넓이의 바닥부(52)가 형성된다. 즉, 대략 장방형의 장변을 상호 접촉시켜 대략 정방 형상의 구획을 형성하도록, 바닥면에 베드로도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로서 적층체(1a)를 배치한다. 여기에서, 이 적층체(1a)에 의해, 쿠션성을 갖고, 방습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바닥부(5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피난소 구획(50)의 바닥부(52)에 대하여, 구획을 구분하기 위한 벽부(54)를 형성한다. 벽부(54)는, 2매의 적층체(1a)에 의해 형성된 약 2첩의 넓이의 대략 정방 형상의 영역의 3쪽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적층체(1a)를, 단변 방향으로 입설한 상태에서, 대략 정방 형상의 바닥재로서의 베드로도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적층체(1a)의 장변을 상기 재해용 매트와의 접촉면으로 하고, 단변의 단부를 상호 대략 직각으로 접속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선, 적층체(1a)의 장변이, 대략 정방 형상의 바닥부(52)와 접하도록 적층체(1a)를 바닥부(52)에 기립시킨다. 바닥부(52)에 기립하는 3매의 적층체(1a)의 단변을 상호 대략 직각으로 순차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대략 정방형의 구획의 한쪽이 개구한 대략 ㄷ자형의 벽부(54)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체(1a)를 구획용 파티션으로서 사용함으로써, 대략 정방형의 구획의 한쪽이 개구한 ㄷ자형의 측벽이 형성되어 구획된, 피난소의 1구획인 피난소 구획(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재해용 매트의 단변측의 단부 측면은, 프로파일 가공면의 인접하는 산부와 산부를 통과하는 곡선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대략 평행 혹은 대략 수직인 방향의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산부 정부 혹은 계곡부 정부로부터 (1/4) 피치 어긋난 위치에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절단한다. 이에 따라, 단변측의 단부 측면의 절단면으로서 대략 장방 형상의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적층체의 단부 측면을 얻음으로써, 면 파스너나 고정 수단을 접착한 테이프 형상 부재 등을 효율적으로 적층체의 단부 측면에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져, 테이프 형상 부재의 단부 측면에 맞춘 가공이 불필요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3쪽이 적층체(1a)로 둘러싸인 상기 대략 정방 형상의 구획을 기본의 1구획으로 하여, 제1 구획을 형성한다. 이어서, 대략 정방 형상의 제2 구획을 제1 구획에 인접하여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구획의 바닥부(52)를, 제1 구획의 바닥부(52)에 연속하고, 제1 구획과 마찬가지로 형성한다. 즉, 제1 구획의 바닥재로서의 베드에도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에 인접하여, 적층체(1a)를 이용하여 대략 정방 형상의 동일한 크기의 제2 구획의 바닥재로서의 베드에도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1 구획과 반대 방향으로 개구하는 ㄷ자형의 벽부(54)를 배치하고, 제2 구획으로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적층체(1a)를 이용하여, ㄷ자형으로 형성한 제1 구획과 연속하여, 제1 구획과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하고, ㄷ자형의 단부 일편을 공유하는, ㄷ자형의 측벽을 제2 구획으로서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2개의 ㄷ자형의 구획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제2 구획과 마찬가지로, 제2 구획에 인접하여 제3 구획의 상부(52)를 형성한 후, 제2 구획과 반대 방향으로 개구하는 ㄷ자형의 벽부(54)를 배치하여, 제3 구획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즉, 대략 정방 형상의 구획의 개구부를 순차적으로 개구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ㄷ자형으로 형성하고, 구획의 측벽부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형성하고, 이 측벽부에 대응하여, 대략 정방 형상의 바닥재로서 베드로도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를 반복하여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구획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략 정방 형상의 바닥부(52)를 형성하고, 바닥부(52)에 적층체(1a)의 장변을 상호 접하게 하여 벽부(54)를 형성함으로써, 대략 ㄷ자형의 구획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서로 인접하는 구획끼리에 있어서, 반대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연속한 ㄷ자형으로 벽부(54)를 형성하여 구획용 파티션으로 함으로써, 적어도 2개 또는 3개의 대략 정방 형상의 구획을 포함하는 피난소 구획(50)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로, 복수의 대략 정방 형상의 바닥부(52)를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하고, 서로 인접하는 바닥부(52)에 대하여, 각각 개구 방향이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ㄷ자형으로 벽부(54)를 형성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반복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다수의 구획이 연속하여 배치된 피난소 구획(5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형성 방법에 있어서, 적층체(1a)의 평탄면을 바닥면을 향하여 배치해도 좋다. 즉, 바닥재로서는, 적층체(1a)의 평탄면 혹은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의 어느 하나를 바닥면을 향하여 배치하면 좋다. 또한, 적층체(1a)에 의해 형성되는 ㄷ자형의 벽부(54)는, 적층체(1a)의 모양 형성면인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과 반대측의 평탄면을 교대로 향하여 배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적층체(1a)에 의해 형성되는 ㄷ자형으로 배치된 측벽부에 대하여, 적층체(1a)의 적층체(1a)의 모양 형성면인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을 구획의 각 변을 따라, 외방, 내방, 외방의 순을 향하여 교대로 배치하거나, 혹은, 내방, 외방, 내방의 순을 향하여 교대로 배치하여, 피난소 구획(5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로 함으로써, 비난소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방음성이나 방습성, 단열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피난소 이용자가 소정의 구획 내에서 쾌적하게 지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획의 형성에 있어서는 적절히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의 방향을 구획의 각 변을 따라, 어느 방향을 향하는지 의장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또한, 구획용 파티션으로서 적층체(1a)를 조립할 때에, 적층체(1a)의 표면에 첩착된 미소 돌기가 다수 형성된 면 파스너에 의해 적층체(1a)끼리를 접속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적층체(1a)끼리를 면 파스너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접속함으로써, 피난소 구획(50)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적층체(1a)는, 예를 들면, 1매 1.5㎏ 정도로 경량이기 때문에, 조립 시의 운반 이동성에도 우수한 것이다. 또한, 피난소 구획(50)용의 적층체(1a)는, 표면에 모양을 갖는 1매의 쿠션재(1)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와는 반대의 면에, 다른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가 적층된 것이기 때문에, 벽부(54)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조립 자립성에도 우수하다.
여기에서, 조립 자립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적층체(1a)에 의해 피난소 구획(50)을 형성하기 위해, 적층체(1a)끼리를, 예를 들면, 면 파스너 등으로 고정했을 때에, 접속한 적층체(1a)가 면 파스너로 고정한 부분 이외의 반대의 단면에 있어서도, 적층체(1a)의 중심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입설된 적층체(1a)의 단변의 상부가 기울거나, 휘는 일 없이 자립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적층체(1a)를 접속할 때에는, 한쪽의 적층체(1a)의 평탄면의 폭방향의 단부와, 다른 한쪽의 적층체(1a)의 단면을 접촉시키고, 면 파스너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면 파스너는, 적층체(1a)의 평탄면의 장변 방향의 상방 단부로부터 하방 단부의 소정 위치 혹은, 적층체의 단면의 평탄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의 소정 위치에 접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면 파스너는,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상방, 중간부, 하방의 3개소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한쪽의 적층체(1a)에는, 적층체(1a)의 평탄면의 폭 방향의 상방 단부, 중간부 및 하방 단부의 소정 위치에 면 파스너를 접착하고, 다른 한쪽의 적층체(1a)의 단면의 상방, 중간부 및 하방의 소정 위치에 면 파스너를 접착한다. 여기에서, 면 파스너 등의 고정 수단의 고정 위치는, 상기와 같은 배치라도 좋지만, 상방 단부로부터 하방 단부를 향하여 균등 배치해도 좋고, 적층체끼리를 안정되게 접속 지지할 수 있으면 특별히 문제는 없다.
한쪽의 적층체(1a)와 다른 한쪽의 적층체(1a)의 면 파스너의 접착 위치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이면, 한쪽의 적층체(1a)의 평탄면에 접착되는 면 파스너와, 다른 한쪽의 적층체(1a)의 단면에 접착되는 면 파스너를 상호 대향시킴으로써 적층체(1a)끼리를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탄면의 소정 위치에 접착되는 면 파스너와, 단면에 접착되는 면 파스너를 상호 대향시킴으로써 양자가 접속된다. 이 때, 조립 자립성이 우수한 적층체(1a)를 이용하면, 조립한 구획용 파티션에 불필요한 극간이 생기는 일이 없고, 조립성도 우수하게 된다.
여기에서,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의 형성에 이용하는 고정 수단으로서는, 면 파스너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테이프 형상 부재에 고정된 버튼 형상 파스너나 자석을, 면 파스너 대신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그 효과는,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의 접속 구조의 경우와 동일하다. 면 파스너는, 면 파스너의 이면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하고, 버튼 형상 파스너나 자석을 접착한 테이프 형상 부재는, 테이프 형상 부재를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조립 자립성이 우수한 적층체(1a)는, 적층체(1a)의 평탄면에서 계곡부(7a)까지의 높이(Hv)와, 적층체(1a)의 평탄면에서 계곡부(7a)와 산부(5a)의 중심선 높이(Hc)까지의 높이의 비율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피난소 구획(50)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구획용 파티션재로서 적층체(1a)를 대신하여, 표면에 선 형상 모양이 형성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 쿠션재(1)를 사용해도 좋다. 쿠션재(1)를, 조립 자립성이 우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쿠션재(1)의 평탄면에서 계곡부까지의 높이(Hv)와, 쿠션재(1)의 평탄면에서 계곡부(7a)와 산부(5a)의 중심선 높이(Hc)까지의 높이의 비율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적층체의 절단 위치와 절단된 단부 측면의 단면의 형상의 관계)
여기에서, 제5 실시 형태 내지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층체(1a)의 고정 수단이 접합되는 절단면에 대해서 보면, 도 14a∼도 14c에는, 적층체의 절단 위치와 절단된 단부 측면의 단면의 형상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4a는, 적층체의 프로파일 가공면으로부터 본 절단 위치를 나타낸다. 도 14b는, 산부 정부와 계곡부 저부를 교대로 통과하는 곡선 상에서 절단한 경우의 절단면(산부 정부를 연결하는 절단면(71))을 나타낸다. 도 14c는, 산부 정부와 계곡부 저부로부터, (1/4) 피치 떨어진 변곡점 위치를 직선 형상으로 연결하도록 절단한 경우의 절단면(변곡점을 연결하는 절단면(70))을 나타낸다.
적층체(1a)를 도 14a의 XX선을 따라, 산부 정부와 계곡부 저부를 교대로 통과하는 곡선 상에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절단하면,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면의 요철이 가장 커지고, 상기 적층체의 단면의 평행부 단면적이 가장 작아진다. 이에 대하여, 적층체(1a)를, 산부 정부와 계곡부 저부를 교대로 통과하는 곡선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아 대략 평행 혹은 대략 직각인 방향의 어느 한쪽에 (1/4) 피치 어긋난 변곡점 위치를 연결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절단함으로써, 절단면의 요철이 가장 적고, 대략 장형상의 절단면이 얻어지고, 상기 적층체의 단면의 평행부 단면적이 가장 커진다. 예를 들면, 도 14a의 YY선을 따라, 절단하면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면의 요철이 가장 적고, 대략 장 형상의 절단면이 얻어지고, 상기 적층체의 단면의 평행부 단면적이 가장 커진다. 이 때, 산부와 계곡부를 형성하는 수지 발포체(15a)와 수지 발포체(15b)의 경계인 접착층 혹은 융착층과 프로파일 가공면의 산부 정점으로부터 계곡부 저부에 이르는 곡선의 변곡점과 일치하면, 절단한 대략 평행한 단면의 상단부에 주기적인 소정 길이의 선 형상 모양이 형성된다. 또한, 선 형상 모양이 변곡점으로부터 상측이나 하측의 어느 한쪽의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절단면에 선 형상 모양은 나타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산부 정부와 계곡부 저부를 연결하는 선이 곡선 형상이 아니라 직선 형상인 경우에는, 산부 정부와 계곡부 저부의 중간 위치 또는 계곡부 저부와 산부 정부의 중간 위치를 연결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절단하는 것으로도, 변곡점을 갖는 경우와 동일한 대략 장방 형상의 절단면이 얻어져, 동일한 거동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프로파일 가공면의 산부 계곡부는,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동일한 주기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평면에서 보아 대략 평행 혹은 대략 직각인 직교하는 2방향의 어느 산부 정부로부터 계곡부 저부에 이르는 중간 혹은 계곡부 저부로부터 산부 정부에 이르는 중간의 변곡점 위치를 연결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더욱 엄밀하게는, 산부 계곡부의 주기 구조를 생각하면, 이러한 변곡점 위치는, 프로파일 가공면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산부 정부에서 산부 정부까지, 혹은 계곡부 저부에서 계곡부 저부까지의 거리를 1피치로 하면, (1/4), (3/4), (5/4) 피치의 위치에 주기적으로 출원하는 것은, 도 4a의 절단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부터도 이해할 수 있다. 보다 엄밀하게는, (2N+1)/4(N:자연수) 피치마다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4a의 XX선과 도 14b의 YY선의 사이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절단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도 14a의 XX선으로 절단한 경우보다, 절단면의 요철이 작지만 절단면에 요철을 갖는 절단면이 얻어진다. 이 경우에는, 절단 위치가 XX선에 가까운 경우에는, 요철의 크기가 XX선으로 절단한 경우에 가까워지고, 절단 위치가 YY선에 가까운 경우에는, 요철의 크기가 YY선으로 절단한 경우에 가까워짐으로써 평탄에 가까워 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절단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적층체는, 절단 위치에 의해, 고정 수단을 접합하는 평탄한 부분의 면적이 상이하다. 여기에서, 측단면에 있어서의 평행부 면적이 가장 큰 단면을 선택하여 그 부분을 절단 부위로 하면, 면 파스너 등의 고정 수단을 접합하는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 산부 정부와 계곡부 저부, 계곡부 저부와 산부 정부를 연결하는 선상으로부터 (1/4) 피치 어긋난 위치 즉 산부와 계곡부를 연결하는 곡선의 변곡점 위치를 연결하도록 절단함으로써, 절단된 측단면의 주기적인 요철 구조인 측단면의 폭의 협소부를 적게 하여 측단면에 있어서의 평행부 면적이 가장 큰 대략 장방 형상으로 측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단면에 접합하는 고정 수단의 테이프 형상 부재의 폭을 최대화할 수 있고, 그 때문에, 강고한 접속 구조로 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다음으로,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a, 도 15b는, 전술한 방법으로 형성된 피난소 구획(50)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a는 정면도, 도 15b는 평면도이다. 피난소 구획(50)의 수납 시에는, 적층체(1a)의 단면이 고정되어 벽면(51)에 수납된다.
피난소 구획(50)을 분해 수납하기 위해서는, 우선, 피난소 구획(50)을 형성한 적층체(1a)를 분해한다. 적층체(1a)를 분해 후, 1매의 적층체(1a)를, 평탄면을 벽면(51)을 향하여 배치하여 벽면(51)에 고정한다. 이 때, 고정에 이용하는 고정 수단으로서는, 다른 고정 수단도 있지만, 여기에서는, 면 파스너(53)의 경우로 설명한다. 적층체(1a)의 평탄면의 양측의 소정 위치에는 면 파스너(53d)가 배치되고, 벽면(51)의, 면 파스너(53d)의 배설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면 파스너(53c)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면 파스너(53c, 53d)에 의해, 적층체(1a)를 벽면(51)에 고정할 수 있다. 즉, 벽면(51)의 면 파스너(53d)에, 1매째의 적층체(1a)의 면 파스너(53d)를 접촉시킴으로써, 적층체(1a)를 벽면(51)에 입설 고정한다.
추가로, 벽면(51)에 입설 고정한 적층체(1a)의 평탄면의 이면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에, 2매째의 적층체(1a)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을 겹치고, 1매째의 적층체(1a)의 단면을 가지런히 하여 2매 겹쳐 쌓는다. 그 후, 새로운 적층체(1a)인 3매째와 4매째의 적층체(1a)를, 각각의 적층면인 평탄면,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을 1매째, 2매째의 적층체(1a)의 경우와 동일한 순서로 각각의 적층면과 단면을 가지런히 하여 입설한다. 즉, 순차적으로, 평탄면끼리,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끼리를 대향시키고, 각각의 단면을 가지런히 하여 반복하여 입설한다.
추가로 그 후도, 적층체(1a)를 동일한 순서로, 겹쳐 쌓는다. 또한, 겹쳐 쌓는 적층체(1a)의 매수에 따라서, 겹쳐 쌓는 매수가 홀수매인 경우에는, 최종 겹쳐 쌓음면이 평탄면이고, 최표면이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이고, 겹쳐 쌓는 매수가 짝수매인 경우에는, 최종 겹쳐 쌓음면이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으로, 최표면이 평탄면이 된다. 이와 같이, 적층체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겹쳐 쌓아 입설한다.
여기에서, 적층체(1a)의 단면의 소정 위치에는, 면 파스너(53c)가 접합된다. 이 때문에, 입설한 각각의 적층체(1a)의 단면의 면 파스너(53a)에 걸치도록, 서로 겹친 적층체(1a)의 전후에 알맞는 길이의 별도의 면 파스너(53b)를 배치함으로써, 모든 적층체(1a)의 단면을 일괄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의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에 이용하는 고정 수단으로서는, 면 파스너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테이프 형상 부재에 고정된 버튼 형상의 파스너나 자석을, 면 파스너 대신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의 분해 수납 방법에 있어서도, 고정 수단으로서, 테이프 형상 부재에 고정된 버튼 형상 파스너나 자석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이 분해 수납할 수 있다. 면 파스너는, 면 파스너의 이면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하고, 버튼 형상 파스너나 자석을 부착한 테이프 형상 부재는, 테이프 형상 부재를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의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에 이용하는 고정 수단은, 피난소 구획의 조립에 이용하는 적층체의 조립에 이용하는 고정 수단과 동일한 고정 수단을 이용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과 같이 하여, 피난소 구획(50)에 사용된 적층체(1a)를 분해하여 수납할 수 있다. 이 때, 적층체(1a)의 표면에 선 형상 모양이 형성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면이 최표면이 되도록 배치하여,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 때, 적층체(1a)의 단면 형상은, 피난소 구획(50)을 조립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조립 시에 부착 고정하는 적층체(1a)의 단면은, 상기와 같이, 프로파일 가공면의 인접하는 산부와 산부를 통과하는 곡선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대략 평행 혹은 대략 수직인 방향의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산부 정부 혹은 계곡부 정부로부터 (1/4) 피치 어긋난 위치에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절단한다. 이에 따라, 단변측의 단부 측면의 절단면으로서 대략 장방 형상의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적층체의 단부 측면을 얻음으로써, 면 파스너나 고정 수단을 접착한 테이프 형상 부재 등을 효율적으로 적층체의 단부 측면에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테이프 형상 부재의 단부 측면에 맞춘 가공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전술한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에 있어서, 적층체(1a)를 대신하여, 표면에 선 형상 모양이 형성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 쿠션재(1)를 사용해도 좋다.
(제8 실시 형태)
(피난소 구획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
도 16a, 도 16b는, 피난소 구획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60)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6a는 정면도, 도 16b는 평면도, 도 16c는, 도 16b의 면 파스너(53c, 53d) 근방의 확대도이다. 충격 완충 벽면 패널(60)의 형성 방법은, 이하와 같다.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이, 적층체(1a)를 이용한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형성한 피난소 구획(50)을 분해한다. 여기에서도, 전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정 수단으로서는, 면 파스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분해된 적층체(1a)의 평탄면을 벽면(51)을 향하여 배치한다. 이 때, 적층체(1a)의 평탄면의 양측의 소정 위치에 면 파스너(53d)가 배치되고, 면 파스너(53d)의 배설 위치에 대응한 벽면(51)의 소정 위치에 면 파스너(53c)가 배치된다. 즉, 적층체(1a)의 단변을 벽면(51)에 평행한 입설면으로서 연속 배치한 경우에 적층체(1a)의 평탄면의 면 파스너(53d)의 배설 위치에 대응시키고, 벽면(51)의 소정 위치에 면 파스너(53c)가 배설된다. 이 때문에, 면 파스너(53c, 53d)에 의해 적층체(1a)를, 요철면을 실내측을 향하여 벽면(51)에 고정할 수 있다.
추가로 다른 적층체(1a)의 평탄면을 벽면(51)을 향하여, 최초에 고정된 적층체(1a)와 연속하도록,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을 실내측을 향하여 배치하고, 벽면(51)의 소정 위치에 배설된 면 파스너(53c)에서 벽면(51)에 고정한다. 추가로, 차례차례로 직전에 벽면(51)에 고정한 적층체(1a)와 연속하도록 적층체(1a)를 벽면(51)에 고정함으로써, 피난소 구획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6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난소 구획(50)의 상부(52)나 벽부(54), 혹은 칸막이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층체(1a)의 요철면을 실내측을 향하여 벽면(51)에 고정함으로써, 벽면(51)에 소정의 크기의 의장성이 우수한 충격 완충 벽면 패널(6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적층체(1a)를 대신하여, 표면에 선 형상 모양이 형성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 쿠션재(1)를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피난소 구획(50)을 구성하는 쿠션재(1)를 분해하여 충격 완충 벽면 패널(6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체(1a)는, 재해 시에는,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 측벽 또는 베드에도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통상 시에는, 충격 흡수용 벽면 패널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피난소 구획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에 이용하는 고정 수단으로서는, 면 파스너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테이프 형상 부재에 고정된 버튼 형상 파스너나 자석을 면 파스너 대신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피난소 구획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도, 고정 수단으로서, 동일한 고정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면 파스너는, 면 파스너의 이면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하고, 버튼 형상 파스너나 자석을 접착한 부착한 테이프 형상 부재는, 테이프 형상 부재를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적층체에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피난소 구획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에 이용하는 고정 수단은, 피난소 구획의 조립에 이용하는 적층체의 조립에 이용하는 고정 수단과 동일한 고정 수단을 이용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실시예)
(적층체의 조립 자립성의 평가 시험에 의한 평가)
면 파스너로 복수의 적층체(1a)를 접합한 측벽 구획용 파티션(벽부(54))은, 쿠션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사용하는 적층체(1a)는 강성이 반드시 높다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측벽 구획용 파티션의 조립 작업 시의 자립성에 대해서 확인하는 시험을 행했다. 도 17은, 구획용 파티션의 조립 자립성 시험의 설명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a는, 구획용 파티션의 조립 자립성 평가에 이용한 적층체(1a)의 각 부의 치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립 작업 시의 자립성의 평가는, 측벽 구획용 파티션을 모방하여, 적층체(1a)의 장변 길이 방향(도면 중 I) 1800㎜×높이 방향(도면 중 J: 단변 방향) 880㎜의 2매의 적층체(1a’, 1a”)를 작성했다. 절단한 2매의 적층체(1a’, 1a”)의 길이 방향부를 가로로 하여 각각 바닥면에 접하도록, 2매의 적층체(1a’, 1a”)를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적층체(1a’)의 평탄면의 길이 방향의 단부와, 다른 한쪽의 적층체(1a”)의 길이 방향의 측단면을 상호 면 파스너로 접속했다. 적층체(1a’, 1a”)의 접속 위치는, 높이 방향으로 3개소로 하고, 상방의 면 파스너 접착부(61a), 중간의 면 파스너 접착부(61b) 및, 하방의 면 파스너 접착부(61c)에 있어서, 양자를 접속했다. 즉, 한쪽의 적층체(1a’)에는, 적층체(1a’)의 평탄면이 길이 방향 단부로서, 높이 방향의 상방, 중간부 및 하방의 각각에 면 파스너가 접착된다. 또한, 다른 한쪽의 적층체(1a”)에는, 적층체(1a”)의 길이 방향의 측단면으로서, 높이 방향의 상방, 중간부 및 하방의 소정 위치에 면 파스너가 접착된다.
한쪽의 적층체(1a’)의 평탄면에 접착되는 면 파스너와, 다른 한쪽의 적층체(1a”)의 측단면에 접착되는 면 파스너를 서로 대향시켜 접속함으로써, 적층체가 서로 직교하여 접속된 접속 구조체를 작성할 수 있다. 이 적층체의 접속 구조체를 이용하여, 조립 자립성을 평가했다. 적층체는, 적층체의 프로파일 가공면의 산부끼리를 연결하는 곡선인 표면의 요철의 가장 큰 위치에서, 평면에서 보아 대략 평행으로 (1/4) 피치 어긋난 위치에서 직선 형상으로 절단한 것을 이용했기 때문에, 적층체의 측단면은, 프로파일 가공 전의 시트 두께에 상당하는 대략 평행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에서 사용한 적층체의 평균 두께는, 20㎜∼30㎜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적층체는, 적층체의 평균 두께에 상당하는 두께의 대략 평행한 절단면이 얻어지도록 절단했기 때문에, 치수 150㎜×20㎜의 면 파스너는 문제 없이 적층체의 단면에도 접착할 수 있어, 면 파스너의 지지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시험에 이용한 적층체(1a)는, 발포 배율 40배의 폴리에틸렌 발포 시트를 이용하여, 프로파일 가공기에 의해 슬라이스 가공하여 형성했다. 이 때, 적층체 표면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치수 형상이, 조립 자립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적층체의 두께 방향의 평탄부와 산부 계곡부 등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부의 두께의 전체 두께에 대한 비율이 상이한 여러 가지의 치수 형상의 적층체를 작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고, 표면에 주기적인 선 형상 모양이 형성되고, 이면에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가 적층된 적층체를 시험재로서 이용하여 조립 자립성의 평가를 행했다. 조립 자립성의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1,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 표 2에 있어서, 평탄면에서 산부까지의 높이(Hm)는,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의 시트 두께(최대 두께)에 상당하는 것이다. 평탄면에서 산부까지의 높이(Hm)는, 시트 형상 발포체의 두께와 쿠션재의 산부까지의 높이의 합계에 상당한다. 또한, 평탄면에서 계곡부까지의 높이(Hv)는,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곡부(7a)의 저부에 있어서의 적층체의 두께(최소 두께)에 상당하는 것이다. 평탄면에서 계곡부까지의 높이(Hv)는, 시트 형상 발포체의 두께와 쿠션재의 계곡부까지의 높이의 합계에 상당한다. 또한, 적층체의 평탄면에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중심선까지의 높이(Hc)는,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부(5a)의 정부와 계곡부(7a)의 저부의 중심선(K)과 적층체 이면의 평탄면의 거리이다. 즉, Hc=Hv+(Hm-Hv)/2=(Hm+Hv)/2로서 계산된다. 또한 표 1, 표 2의 물결 형상 가공 높이(요철 구조의 반가폭)는, (Hm-Hv)/2에 상당한다.
또한, 표 1, 표 2에 있어서, 조립 자립성 평가는, 도 17에 나타낸 적층체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 면 파스너에 의한 접속부와는 반대측의 폭방향 단부의 상부 선단에 휨이나 구부러짐이 생기지 않은 것을 「good」으로 하고, 상부 선단에 2-3㎜ 정도라도 가벼운 휨이나 구부러짐이 생긴 것을 「not enough」로 했다. 즉, 면 파스너의 접속부와는 반대측의 단면에 휨이나 구부러짐이 생기는 일이 없는 적층체는, 조립 자립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정했다. 이와 같이, 조립 자립성이 우수한 적층체를 이용하면, 조립한 구획용 파티션에 불필요한 간극이 생기는 일이 없고, 조립성도 우수하게 된다.
표 1,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층체의 이면인 평탄면에서 계곡부까지의 높이(Hv)에 대한, 이면인 평탄면으로부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의 중심선 높이(Hc)까지의 높이의 비를 퍼센트 표시한 수치를 R로 하여 이하의 시험재에 대해서, 조립 자립성과 R의 관계를 평가했다. 표 1, 표 2에 있어서, 시험재 1∼4는, 적층체의 산부 높이를 40㎜ 일정하게 하고, 물결 형상 가공 높이를 바꿈으로써, R의 값을 44% 내지 62%까지 바꾼 경우를 나타낸다. 시험재 5∼8, 시험재 9∼11, 시험재 12∼15는, 각각 적층체의 평균 두께를 30㎜, 25㎜, 20㎜로 각각 일정하게 하고, 물결 형상 가공 높이(요철 구조의 반값폭)를 적절히 바꾼 경우의 시험재의 실시예이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매우 미소하지만 변형이 있는 것을 「not enough」, 조립 자립성에 문제가 없는 것에 「good」, 또한 장시간 보관 후에도 조립 자립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것을 「excellent」로서 평가했다.
상기의 적층체의 평균 높이 20㎜ 내지 30㎜의 범위에서, 물결 형상 가공 높이를 여러 가지로 바꾼 시험재(1) 내지 시험재(15)에 있어서의, 시험재(1), 시험재(5), 시험재(12)의 R이 50% 이하인 것은, 매우 미소하지만 휨이나 구부러짐이 생겼지만, R이 50% 이상인 경우에, 이러한 경미한 휨이나 구부러짐이 생기지 않고, 조립 자립성이 우수한 적층체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발포체를 피난소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 보관 중의 경시적인 미소한 강도 저하에 의한 조립 자립성의 저하 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R이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립 자립성의 확인에 사용하는 고정 수단으로서 면 파스너를 대신하여, 테이프 형상 부재에 고정된 버튼 형상 파스너나 자석을, 적층체에 접착해도 좋다. 버튼 형상 파스너나 자석을 고정 수단에 사용하고, 동일한 확인을 행했지만, 이 경우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 이유는, 이하와 같이 생각된다. 중심선(K)보다 상부의 산부 영역의 단면적과 중심선(K)보다 하부의 계곡부 영역의 단면적은 동등하다. 여기에서, 산부(5a)를 계곡부(7a)측으로 어긋나게 하여 반전하고, 적층체의 이면인 평탄면으로부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의 중심선 높이(Hc)의 두께인 가공의 시트 형상 발포체를 생각한다(도 18b, 도 18c 참조). 이 경우, 산부(5a)의 체적과 계곡부(7a)의 체적은 동등한 점에서, 적층체의 중심 위치(도 18c의 L)는, 가공의 시트 형상 발포체의 중심선과 대략 동등하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시트 형상 발포체의 시트 두께의 중심에서 프로파일 가공에 의해 슬라이스하여 얻어지는 2매의 발포체가 대략 동등한 중량인 점에서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R이 50% 이상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으면, 적층체의 단면의 계곡부(7a)보다도 평탄면측에 중심 위치가 배치되게 되어, 적층체가 안정되게 된다. 여기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면 보다 발포체가 안정되게 된다.
이상의, 발포 배율 40배의 폴리에틸렌 발포 시트 조립 자립성의 확인 시험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보다 경질의 재료나 발포 배율이 40배 이하인 재료를 이용하면, 이 재료보다도 조립 자립성은 유리해진다. 따라서 발포 배율 40배 이하의 수지 발포체를 이용하여, 적층체의 이면의 시트 형상 발포체의 평탄면에서 적층체의 계곡부까지의 높이(Hv)에 대한, 적층체의 이면의 시트 형상 발포체의 평탄면에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의 중심선 높이(Hc)까지의 높이의 양자의 비율을 퍼센트 표시한 R이, 50% 이상을 만족하는 적층체를 이용하면, 조립 자립성에 문제는 없다. 또한, 이 적층체는 경량이고, 의장성이 우수한 구획용 파티션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면에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 쿠션재(1)의 이면측에, 다른 시트 형상 발포체를 접착한 적층체(1a)에 있어서, 이면에 형성된 시트 형상 발포체로서, 쿠션재(1)보다도 경질의 수지 발포체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적층체의 중심 위치가 경질의 시트 형상 발포체측으로 조금 이동함으로써, 조립 자립성은 보다 향상한다. 이 때문에, 적층체를 동질의 재료로 작성한 경우와 적어도 동일한 관계를 만족하면, 보다 안정된 상태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적층체(1a) 대신에, 쿠션재(1)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쿠션재(1)로서, 평탄면에서 계곡부까지의 높이(Hv)와 쿠션재(1)의 이면의 평탄면으로부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의 중심선 높이(Hc)의 양자의 비율의 퍼센트 표시 R이, 50% 이상의 관계를 만족하는 쿠션재(1)를 이용하면, 이면에 시트 형상 발포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쿠션재라도 적층체(1a)와 동일한 조립 자립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좌우되지 않는다. 당업자이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당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각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1, 1c, 1d : 쿠션재
3 : 표면
5, 5a, 5b : 산부
7, 7a, 7b : 계곡부
9 : 이면
11 : 선 형상 모양
13 : 선 형상 모양 형성부
15a, 15b, 15c, 15d : 수지 발포체
17, 17a, 17b : 접착층
20 : 수지 발포체 제조 장치
21 : 압출기
23 : 롤 성형기
25 : 가열로
27 : 권취기
31a, 31b : 롤
33 : 볼록부
35 : 오목부
37 : 절단날
39 : 적층 수지 발포체
1a, 1b, 1a’, 1a”: 적층체
40, 40a : 적층 구조
50 : 피난소 구획
51 : 벽면
52 : 바닥부
53a, 53b, 53c, 53d : 면 파스너
54 : 벽부
60 : 충격 완충 벽면 패널
61a, 61b, 61c : 면 파스너 접착부
70 : 변곡점을 연결하는 절단면
71 : 산부 정부를 연결하는 절단면

Claims (40)

  1. 산부(山部)를 형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와, 계곡부(谷部)를 형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가 적층되고, 그들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의 적층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또는 융착층을 구비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쿠션재로서,
    상기 쿠션재는, 한쪽의 면이 종횡으로 산부와 계곡부가 교대로 주기적으로 배치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프로파일 가공면이고, 다른 한쪽의 면이 평탄면이고,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표면의 소정 높이의 부분에, 상기 다른 한쪽의 면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이 노출되고, 다수의 환 형상의 선 형상 모양이 상호 소정 간격 이간하여 형성되고, 상기 선 형상 모양은,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상기 산부와 상기 계곡부를 구분하고, 각각의 상기 산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산부와 상기 계곡부의 사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 형상 모양은, 융착층 또는 접착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선 형상 모양이 융착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융착하는 수지 발포체의 적어도 한쪽의 융착면을 상이한 색으로 도장한 수지 발포체를 이용하여 융착됨으로써 형성된 것 이거나, 접착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층은, 착색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이거나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층 또는 상기 접착층이 융착층이고, 상기 융착층은, 융착 시에 융착층을 형성하는 수지 발포체의 표면이 용융 후 고화하는 과정에서 결정화할 때에, 결정화도와 분자 배향의 변화, 이에 더하여 ADCA의 발포체 표면으로의 잔류 효과를 중첩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상이한 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의 상기 한쪽의 면은, 상기 선 형상 모양보다 상측의 수지 발포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산부와, 상기 선 형상 모양이 형성되는 선 형상 모양 형성부와, 상기 선 형상 모양보다 하측의 수지 발포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계곡부와의 3개의 부분으로 구획되고, 상기 계곡부는 인접하는 계곡부끼리 상호 연속하여 일체로 되고, 상기 선 형상 모양 형성부에 대하여 상기 산부 혹은 상기 계곡부의 어느 하나가 상이한 색으로 형성됨으로써, 3차원적인 입체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 형상 모양 형성부의 2차원적인 모양에 더하여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상기 산부와 상기 계곡부의 모두가 상이한 색으로 착색됨으로써, 상기 선 형상 모양 형성부와 상기 산부, 상기 계곡부의 모두가 상이한 색으로 착색된 3차원적인 입체 모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 형상 모양의 형성 높이는,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범위 내의 임의의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선 형상 모양을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높이의 중심보다, 상기 산부측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선 형상 모양 혹은 착색된 상기 산부의 모양을 작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선 형상 모양을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높이의 중심보다 상기 계곡부측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선 형상 모양 혹은 착색된 상기 산부의 모양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체의 원료 수지는,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코폴리머,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이거나, 이들 원료 수지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한 경우에, 추가로 카복시기 또는 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관능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0.5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 함유하는 수지이거나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체는 폴리에틸렌 수지 발포체이고,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발포체는 발포 배율이 20배 내지 40배인 독립 기포 구조를 갖고, 추가로 JIS K6767에 기초하는, 압축 영구 변형이 3.0%∼7.4%이고, 시험 온도 25℃에 있어서의 25% 압축 시의 압축 응력이 34㎪∼5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9. 제1, 2, 4, 5, 6, 7 또는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는, 상기 쿠션재의 상기 접착층에 기능성을 부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체의 적층면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에, 우레탄 수지, 아세트산 비닐 에멀젼,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및 변성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가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제진성을 부여하거나, 혹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중합체와 할로겐 함유 인산 에스테르와 무기계 난연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난연성과 제진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체는, 소취제로서 실리카, 인산 지르코늄, 제올라이트, 황산 아연 또는 황산 지르코늄 중 어느 하나, 혹은 항균제, 항바이러스제로서 은이온을 흡착한 비정성(非晶性) 인산 칼슘 입자, 혹은 광촉매 작용을 갖는 아나타제형 결정 구조의 산화 티탄 입자, 은, 동, 아연 등의 항균성 금속 화합물 입자, 은, 동, 아연의 금속 미립자를,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5질량부∼10질량부의 범위에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쿠션재와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서,
    상기 쿠션재의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면의 이면의 평탄한 다른 한쪽의 면에, 추가로 다른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가 적층되어 접착 또는 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상기 시트 형상 수지 발포체는,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 상기 수지 발포체보다 경질 혹은 동등의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적층체를 형성하는 수지 발포체가, 쿠션재와 시트 형상 발포체 모두, 발포 배율이 20배 내지 40배인 독립 기포 구조의 폴리에틸렌 수지 발포체이고, 재해 시에는, 피난소의 구획용 파티션 측벽 또는 베드로서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재의 어느 것으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통상 시에는, 충격 흡수용 벽면 패널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적층체의 이면의 시트 형상 발포체의 평탄면에서 적층체의 계곡부까지의 높이(Hv)에 대한, 적층체의 이면의 시트 형상 발포체의 평탄면에서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의 중심선 높이(Hc)까지의 높이의 비율을 R로 하면, R이 50% 이상을 만족하는 조립 자립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6. 착색된 접착층 또는 융착층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는 소정 두께의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를, 프로파일 롤 통과 직후의, 상하의 롤에 의한 압압력이 완전히 탄성 회복하지 않는 중에,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을 포함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지 발포체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스 가공하여 절단함으로써,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이 만곡한 상태에서 만곡한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을 횡단하도록 절단되고, 추가로 절단 분리된 상기 수지 발포체가 탄성 회복하고,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이 소정의 크기로, 소정 형상으로 프로파일 가공된 표면을 관통하는 평탄면으로서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지 발포체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표면의 산부와 계곡부의 사이의 소정 높이의 부분에 상기 평탄면의 노출부로서 주기적인 선 형상 모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는 소정 두께의 시트 형상의 상기 수지 발포체의 적어도 한쪽이, 착색되어 있거나, 또는 양쪽의 상기 수지 발포체를 상이한 색으로 함으로써,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을 계면으로 하여 상기 수지 발포체의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산부측과 계곡부측이 상이한 색으로 착색된 3차원적인 입체 모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하의 상기 롤에 의해 상기 수지 발포체의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에 형성되는 만곡의 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수지 발포체의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융착층의 형성 위치를 어긋나게 하거나, 혹은 상기 롤의 출구측에서의 슬라이스 가공을 실시하는 높이를 바꿈으로써,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상기 산부 및 계곡부의 형성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선 형상 모양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선 형상 모양의 크기가 상이한 2개의 쿠션재를 얻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의 제조 방법.
  19. 착색된 접착층 또는 융착층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는 소정 두께의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의, 상기 접착층 또는 융착층과는 반대측의 각각의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의 외측에, 다른 시트 형상의 수지 발포체층이 추가로 접착 또는 융착된 4층의 수지 발포체를 이용하여, 프로파일 롤 가공에 의한 만곡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4층 중의 내층의 2층의 수지 발포체층 간의 접착층을 횡단하도록 상기 수지 발포체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스 가공을 행함으로써, 내층 수지층의 2층에만 산부, 계곡부를 형성하고, 내층 수지층과 외층 수지층의 수지 발포체가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쿠션재의 평탄면을 대향시켜 사용하는 쿠션재의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쿠션재의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면을 외표면을 향하고, 평탄면을 상호 대향시켜 겹침으로써, 상기 선 형상 모양이 외표면에 다수 나란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의 사용 방법.
  21. 제9항에 기재된 쿠션재를 2매 겹치고, 기능성을 부여한 쿠션재를 적층하여 사용하는 쿠션재의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쿠션재의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형성면을 상호 겹침으로써, 상기 선 형상 모양이 대략 동일 평면 상에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선 형상 모양을 포함하는 평면 전체에 대한 접착면의 합계 면적의 점유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을 부여한 쿠션재의 사용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를 피난소의 파티션재와 충격 완충 벽면 패널재의 어느 것에나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의 사용 방법.
  23.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의 구획의 접속 구조이고, 상기 적층체는, 장변의 길이가 단변의 2배인 대략 장방형이고,
    상기 대략 장방형의 장변을 상호 접촉시켜 대략 정방 형상의 구획을 형성하도록 바닥면에 베드로서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로서 상기 적층체가 2매 배치되고,
    추가로 상기 적층체를, 단변 방향으로 입설(立設)한 상태에서, 상기 대략 정방 형상의 바닥재로서의 상기 재해용 매트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상기 적층체의 장변을 바닥면과의 접촉면으로 하고,
    상기 입설된 적층체의 이면의 평탄면의 단변측의 단부와 단변측 단면의 평탄부에 고정된 고정 수단을 상호 대략 직각으로 맞닿음 또는 끼워맞춤시키는 것을 복수회 반복하여 접속 고정된 접속 구조로, 대략 정방형의 한쪽이 개구한 ㄷ자형의 측벽이 형성되는 구획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접속 고정은, 조립 시의 접속, 분해 시의 분리가 용이한 적층체의 표면에 접착된 고정 수단으로서, 적층체의 표면에 접착된 테이프 형상 부재에 고정된 버튼 형상 파스너, 자석, 또는 미소 돌기가 다수 형성된 면 파스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접속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사용하는 상기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단면의 절단면에 차지하는 대략 평행한 부분의 단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적층체의 프로파일 가공면의 변곡점 위치를 연결하여 직선 형상으로 절단됨으로써, 대략 장방 형상으로 형성된 단변측 단면의 평탄부에 고정 수단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대신하여,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쿠션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
  27.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으로, 상기 적층체는, 장변의 길이가 단변의 2배인 대략 장방형이고,
    상기 대략 장방형의 장변을 상호 접촉시켜 대략 정방 형상의 구획을 형성하도록 바닥면에 베드로서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로서 상기 적층체를 2매 배치하고,
    추가로 상기 적층체를, 단변 방향으로 입설한 상태에서, 상기 대략 정방 형상의 바닥재로서의 상기 재해용 매트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상기 적층체의 장변을 바닥면과의 접촉면으로 하고,
    상기 입설된 적층체의 이면의 평탄면의 단변측의 단부와 단변측 단면의 평탄부에 고정된 고정 수단을 상호 대략 직각으로 맞닿음 또는 끼워맞춤시키는 것을 복수회 반복하여 접속 고정시키고, 대략 정방형의 한쪽이 개구한 ㄷ자형의 측벽을 형성하여 구획함으로써, 피난소의 1구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략 정방 형상의 제1 구획을 바닥재로서의 상기 재해용 매트에 인접하고, 상기 적층체를 이용하여 상기 대략 정방 형상의 동일한 크기의 제2 구획의 바닥재로서 베드로서 사용 가능한 재해용 매트를 형성하고,
    상기 ㄷ자형으로 형성한 구획을 제1 구획으로 하면, 상기 제1 구획과 연속하여 반대 방향으로 개구하고, 추가로 상기 적층체를 이용하여, ㄷ자형의 단부 일변을 공유하는 ㄷ자형의 측벽을 제2 구획으로서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2개의 ㄷ자형의 구획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략 정방 형상의 개구부를 순차적으로 개구부의 개구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개구한 ㄷ자형으로 형성하여 구획하는 측벽부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형성하고, 이 측벽부에 대응하여, 대략 정방 형상의 바닥재로서 상기 재해용 매트를 반복하여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구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상기 적층체의 평탄면 혹은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의 어느 하나를 바닥면을 향하여 배치하고,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ㄷ자형의 측벽부는, 상기 적층체의 모양 형성면인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을 ㄷ자형 구획의 각 변을 따라 순서대로 상기 적층체를 외방, 내방, 외방을 향하여 교대로 배치되거나, 혹은, 내방, 외방, 내방의 어느 하나를 향하여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
  31. 제2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구획용 파티션재로서의 조립 시의 접속 고정은, 조립 시의 접속, 분해 시의 분리가 용이한 적층체의 표면에 접착된 고정 수단으로서, 상기 고정 수단은, 적층체의 표면에 접착된 테이프 형상 부재에 고정된 버튼 형상 파스너, 자석, 또는 미소 돌기가 다수 형성된 면 파스너 중 어느 하나의 고정 수단에 의해 접속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
  32. 제27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프로파일 가공면을, 산부 정부(頂部)와 계곡부 저부를 교대로 통과하는 곡선의, 인접하는 산부 정부에서 산부 정부까지의 거리를 1피치로 하면, 산부 정부 혹은 계곡부 저부로부터 1/4 피치 어긋난 위치 즉 산부 정부로부터 계곡부 저부에 이르는 중간 위치 혹은 계곡부 저부로부터 산부 정부에 이르는 중간 위치를 연결하도록 직선 형상으로 절단되거나, 또는 이들의 중간 위치가 변곡점인 경우에는, 변곡점 위치를 연결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절단됨으로써, 상기 적층체의 절단면에 차지하는 평행부의 단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대략 장방 형상으로 형성된 단변측 단면의 절단면에 고정 수단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
  33. 제27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대신하여,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쿠션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
  34. 제2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한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으로서,
    상기 적층체의 평탄면의 양측의 소정 위치에 고정 수단이 접합되고,
    상기 평탄면의 고정 수단 배설(配設) 위치에 대응시켜 벽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수단이 배설되고,
    피난소 구획을 형성한 상기 적층체를 분해 후,
    상기 적층체의 평탄면을 벽면을 향하여,
    상기 벽면의 고정 수단에,
    1매째의 상기 적층체의 고정 수단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적층체를 상기 벽면에 입설 고정하고,
    추가로 상기 벽면에 입설 고정한 적층체의 이면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표면에, 2매째의 적층체를 1매째의 상기 적층체와 단면을 가지런히 하여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의 표면을 겹침으로써 2매째의 상기 적층체를 겹쳐 쌓고,
    새로운 적층체인 3매째와 4매째의 적층체를, 각각의 적층면인 평탄면,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을 1매째, 2매째의 적층체의 경우와 동일한 순서로 각각의 적층면과 단면을 가지런히 하여 입설하고,
    추가로 그 후도, 상기 적층체를 동일한 순서로, 겹쳐 쌓는 매수에 따라서,
    상기 적층체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겹쳐 쌓아 입설하고,
    상기 입설된 각각의 적층체의 단면의 소정 위치에는 고정 수단이 접합되고, 상기 적층체의 단면의 고정 수단을, 다른 벽면에 고정된 소정 길이를 갖는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분해 수납에 이용하는 고정 수단은, 상기 적층체의 조립에 이용한 고정 수단과 동일한, 분해 시의 분리가 용이한 고정 수단이고, 상기 고정 수단은, 테이프 형상 부재에 고정된 버튼 형상 파스너, 자석, 또는 미소 돌기가 다수 형성된 면 파스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프로파일 가공면을, 산부 정부와 계곡부 저부를 교대로 통과하는 곡선의, 인접하는 산부 정부에서 산부 정부까지의 거리를 1피치로 하면, 산부 정부 혹은 계곡부 저부로부터 1/4 피치 어긋난 위치 즉 산부 정부로부터 계곡부 저부에 이르는 중간 위치 혹은 계곡부 저부로부터 산부 정부에 이르는 중간 위치를 연결하도록 직선 형상으로 절단되거나, 또는 이들 중간 위치가 변곡점인 경우에는, 변곡점 위치를 연결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절단됨으로써, 상기 적층체의 절단면에 차지하는 평행부의 단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대략 장방 형상으로 형성된 단변측 단면의 절단면에 고정 수단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37.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대신하여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쿠션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38. 제2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으로 이용된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적층체의 평탄면의 양측의 소정 위치에 고정 수단이 접합되고,
    상기 적층체의 단변을 벽면에 평행한 입설면으로 하고, 장변 방향이 인접하도록 상기 적층체를 연속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적층체의 상기 평탄면의 고정 수단 배설 위치에 대응시키고, 벽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수단이 배설되고,
    상기 피난소 구획을 형성한 적층체를 분해 후,
    상기 적층체의 평탄면을 벽면을 향하여,
    상기 적층체의 고정 수단 배설 위치에 대응시켜 벽면의 소정 위치에 배설된 고정 수단으로,
    상기 적층체의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을 실내측을 향하여 고정하고,
    추가로 다른 적층체의 평탄면을 벽면을 향하여
    마찬가지로 상기 벽면의 소정 위치에 배설된 고정 수단으로, 다른 적층체를 벽면에, 최초의 적층체와 연속하도록 물결 형상의 요철 구조면을 실내측을 향하여 고정하고,
    추가로, 차례차례 별도의 적층체를 마찬가지로 직전에 벽면 고정한 적층체와 연속하도록 벽면 고정함으로써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으로 이용된 적층체를 이용한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적층체를 분해하여 상기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에 이용하는 고정 수단은, 상기 적층체의 조립에 이용하는 고정 수단과 동일한, 조립 시의 접속, 분해 시의 분리가 용이한 고정 수단으로, 상기 고정 수단은, 테이프 형상 부재에 고정된 버튼 형상 파스너, 자석, 또는 미소 돌기가 다수 형성된 면 파스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대신하여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쿠션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
KR1020217002146A 2019-08-07 2020-08-07 쿠션재, 쿠션재의 제조 방법,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쿠션재의 사용 방법,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및,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 KR202200404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45637 2019-08-07
JP2019145637 2019-08-07
JPJP-P-2020-094258 2020-05-29
JP2020094258 2020-05-29
PCT/JP2020/030486 WO2021025160A1 (ja) 2019-08-07 2020-08-07 クッション材、クッション材の製造方法、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クッション材の使用方法、避難所区画の接続構造、避難所の区画の形成方法、避難所区画の分解収納方法、及び避難所の衝撃緩衝壁面パネルの形成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429A true KR20220040429A (ko) 2022-03-30

Family

ID=7450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146A KR20220040429A (ko) 2019-08-07 2020-08-07 쿠션재, 쿠션재의 제조 방법,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쿠션재의 사용 방법,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및,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7084490B2 (ko)
KR (1) KR20220040429A (ko)
PH (1) PH12021550211A1 (ko)
SG (1) SG11202100882RA (ko)
WO (1) WO2021025160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0813A (en) 1979-03-12 1980-09-17 Mtp Kasei Kk Production of cushion material with different hardness
JPH0780874A (ja) 1993-07-28 1995-03-28 Sekisui Chem Co Ltd 表皮付き凹凸面を有する熱可塑性樹脂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0054610A (ja) 1998-08-07 2000-02-22 Lion Corp プラスチック発泡体を組込んだ防音床構造体
JP2003129593A (ja) 2001-10-19 2003-05-08 Asahi Container Kogyo Kk 段ボールを利用した間仕切り構造
JP2005059358A (ja) 2003-08-11 2005-03-10 Inoac Corp 積層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74740A (ja) 2005-03-30 2006-10-12 Niigata Shiki Kogyo Kk 避難所用間仕切りユニット体、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避難所用間仕切り構造
JP2017061827A (ja) 2015-09-25 2017-03-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間仕切り
JP2019122644A (ja) 2018-01-18 2019-07-25 東京コンテナ工業株式会社 段ボールベッド
JP3226650U (ja) 2020-04-17 2020-07-09 東京コンテナ工業株式会社 段ボールベ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13645Y1 (ko) * 1966-04-07 1969-06-07
JPS5375314A (en) * 1976-12-15 1978-07-04 Zaisou Mokuzai Kk Laminated wall material with embossed pattern
JPS608002A (ja) * 1983-06-27 1985-01-16 松下電工株式会社 人工化粧合板の製法
JPH0827678A (ja) * 1994-07-13 1996-01-30 Sekisui Chem Co Ltd カーペット用下地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763950B2 (ja) * 1997-09-19 2006-04-0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クッション材
JP4043006B2 (ja) * 1998-12-11 2008-02-06 アキレス株式会社 クッション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31400A (ja) * 2002-02-06 2003-08-19 Reina Onizuka 装飾要素、その製造方法、それを使用した物品及びキット
JP3107165U (ja) * 2004-08-11 2005-01-27 岡畑産業株式会社 クッション
JP3874418B2 (ja) * 2005-01-17 2007-01-31 勇 吉野 簡易間仕切り構造
JP2006241886A (ja) * 2005-03-04 2006-09-14 Kaneka Corp 仕切構造体
JP3122662U (ja) * 2006-03-16 2006-06-29 数馬 斎藤 布団用中芯
JP4108103B2 (ja) * 2006-05-18 2008-06-25 勇 吉野 簡易間仕切り構造
JP2012057454A (ja) * 2010-09-13 2012-03-22 Tetsuo Suda 災害用仕切りエアーマット
JP6569113B2 (ja) * 2013-11-01 2019-09-04 株式会社オカムラ パネル体及びパネル体の製造方法
JP3195735U (ja) * 2014-11-19 2015-01-29 株式会社ライズステップ 仙腸関節マッサージ用マット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0813A (en) 1979-03-12 1980-09-17 Mtp Kasei Kk Production of cushion material with different hardness
JPH0780874A (ja) 1993-07-28 1995-03-28 Sekisui Chem Co Ltd 表皮付き凹凸面を有する熱可塑性樹脂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0054610A (ja) 1998-08-07 2000-02-22 Lion Corp プラスチック発泡体を組込んだ防音床構造体
JP2003129593A (ja) 2001-10-19 2003-05-08 Asahi Container Kogyo Kk 段ボールを利用した間仕切り構造
JP2005059358A (ja) 2003-08-11 2005-03-10 Inoac Corp 積層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74740A (ja) 2005-03-30 2006-10-12 Niigata Shiki Kogyo Kk 避難所用間仕切りユニット体、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避難所用間仕切り構造
JP2017061827A (ja) 2015-09-25 2017-03-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間仕切り
JP2019122644A (ja) 2018-01-18 2019-07-25 東京コンテナ工業株式会社 段ボールベッド
JP3226650U (ja) 2020-04-17 2020-07-09 東京コンテナ工業株式会社 段ボールベ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11182A (ja) 2022-07-29
JPWO2021025160A1 (ko) 2021-02-11
JP7084490B2 (ja) 2022-06-14
PH12021550211A1 (en) 2021-11-29
SG11202100882RA (en) 2021-03-30
WO2021025160A1 (ja)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1921A (ko) 방음 패널 및 방음 구조
KR100758336B1 (ko) 층간 소음 차단용 피브이씨 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9019495A (ja) 吸音構造板
KR20120139733A (ko) 차음 바닥 구조 및 차음 바닥 구성재 그리고 바닥 충격음의 저감 방법
JP4836540B2 (ja) 敷物用積層体及びこの積層体を用いた敷物
WO2019083910A1 (en) ACOUSTIC SANDWICH PANEL INSULATOR
JP2014097277A (ja) クッションシート
JP2015159951A (ja) マットレス
TW202144155A (zh) 緩衝材、緩衝材之製造方法、積層體、積層體之製造方法、緩衝材之使用方法、避難所隔間之連接構造、避難所隔間之形成方法、避難所隔間之分解收納方法、及避難所之衝擊緩衝壁面面板之形成方法
KR20220040429A (ko) 쿠션재, 쿠션재의 제조 방법,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쿠션재의 사용 방법, 피난소 구획의 접속 구조, 피난소의 구획의 형성 방법, 피난소 구획의 분해 수납 방법 및, 피난소의 충격 완충 벽면 패널의 형성 방법
TWI585273B (zh) 防音構造以及其施工方法
KR100593562B1 (ko) 층간소음 방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2074A (ko) 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11949B1 (ko) 다층 구조의 단열재
JP2008156781A (ja) 難燃性網状体及び難燃性積層体
JP2007132146A (ja) 遮音床材用裏打材
KR102417250B1 (ko) 난연 및 내화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KR20160025904A (ko) 소음감소 및 충격흡수성이 우수한 다층 구조 매트
JP2000170360A (ja) 合成薄畳用芯材、合成薄畳用畳床及び合成薄畳
JPWO2021025160A5 (ja) 避難所区画の接続構造、避難所区画の形成方法、避難所区画の分解収納方法、避難所の衝撃緩衝壁面パネルの形成方法及びこれらに用いる組立性に優れるクッション材または積層体
JPH10243843A (ja) マットレス芯材
JP2768482B2 (ja) 不織布マット
JP2005028864A (ja) 積層表皮材及びそれを用いた内装材用積層体
KR101313983B1 (ko) 건축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80186Y1 (ko) 건축용 단열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