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904A - 도어체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체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904A
KR20220038904A KR1020200121274A KR20200121274A KR20220038904A KR 20220038904 A KR20220038904 A KR 20220038904A KR 1020200121274 A KR1020200121274 A KR 1020200121274A KR 20200121274 A KR20200121274 A KR 20200121274A KR 20220038904 A KR20220038904 A KR 20220038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dy
door
arm
link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요시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마즈로크 씨오., 엘티디.
쇼와 스프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즈로크 씨오., 엘티디., 쇼와 스프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즈로크 씨오., 엘티디.
Priority to KR1020200121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8904A/ko
Publication of KR20220038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05F3/106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with crank-arm transmission between driving shaft and piston within the closer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7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top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closer housings, covers, end caps or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7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with clos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과제) 암 선단의 피스가 해당 안내홈으로 안내되고 있는 사이, 피스가 안내홈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한 도어체 이동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도어체 이동 장치(p)는 회동하는 암 상(4)을 구비한 장치 본체(200)와, 암(4)을 수용하는 수용구(1)를 구비하고, 장치 본체(200)는 도어 프레임측과 도어체 중 어느 일방에 고정되고, 수용구(1)는 도어 프레임측과 상기 도어체 중 어느 타방에 고정되고, 암(4)이 수용구(1)에 수용된 상태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도어체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고, 수용구(1)는 암(4)의 선단을 수용하는 안내홈(11)을 구비하고, 암(4)의 선단은 안내홈(11)에 수용된 상태로 안내홈(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5)를 구비하고, 수용구(1)는 안내홈(11)의 상기 길이를 따라, 가이드 돌조(10)를 구비하고, 피스(5)는 가이드 돌조(10)에 접촉함으로써 안내홈(11)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는 탈락 방지부(5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도어체 이동 장치{DOOR BODY MOVING DEVICE}
본 발명은 도어체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닫이 도어에 있어서, 도어프레임에 대하여 사람 손으로 도어체를 폐쇄하는 경우에, 불충분한 폐쇄에 의해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어체의 이동을 보조하는 여러가지 도어체 이동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8).
특허문헌 1∼8에서 제안된 종래의 도어체 이동 장치를 총괄하면, 대강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종래의 도어체 이동 장치는 도어프레임과 도어체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 안내부와, 도어프레임측과 도어체 중 어느 다른 일방에 배치되고 또한 선단에 롤러를 피안내부로서 갖고, 후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암과, 암을 바이어싱하는 풀 스프링(pull spring)을 구비하고, 사람 손에 의한 도어체의 폐쇄에 있어서, 도어체가 도어프레임의 폐쇄 위치에 접근하면, 상기 안내부는 피안내부를 받아 들여 피안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고, 롤러가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사이, 풀 스프링의 바이어싱에 의해 롤러가 안내부를 끌어 당기고, 안내부의 상기 끌어 당김에 의해 도어체를 상기 폐쇄 위치로 끌어 당겨서 상기 폐쇄를 완료할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 2011-26954호 공보 일본특허 제4327667호 공보 일본특허 제4875875호 공보 일본특허 제5089208호 공보 일본특허 제5401511호 공보 일본특허 제5437686호 공보 일본특허 제5437723호 공보 일본특허 제5690045호 공보
상기 안내부(수용구)가 상기 피안내부인 롤러(피스)를 수용하는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롤러를 수용하는 입구 이외에, 상기 안내홈의 길이 방향에 따라 신장하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암을 통과하는 상면 개방부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피안내부인 롤러는 상기 안내홈 내를 이동 중, 상기 상면 개방부로부터 상기 안내홈의 외부로 탈락할 우려가 있었다.
여닫이 도어를 예로 채용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문은 개폐 시에 자중으로 휘어지는 경첩을 중심으로서 암의 위치를 상하시켜버린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안내홈으로부터 롤러가 벗어날 우려가 있었다. 일단 안내홈으로부터 롤러가 벗어나면, 상기 암은 상기 스프링의 바이어싱을 받아서 접혀 버려서, 다음에 도어체 이동 장치를 적정하게 작동시키려고 하면, 강력한 상기 스프링 바이어싱에 대항하여 암을 다시 일으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암을 일으키는 작업은 가인(家人)에 있어서 번거로운 일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여닫이 도어 및 미닫이 도어에 사용하는 도어체 이동 장치에 대해서, 상기 문제의 해결을 도모한다.
본 발명에서는 회동하는 암을 구비한 장치 본체와, 상기 암을 수용하는 수용구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도어프레임측과 도어체 중 어느 일방에 고정되고, 상기 수용구는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체 중 어느 타방에 고정되고, 상기 암이 상기 수용구에 수용된 상태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도어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체 이동 장치에 대해서 다음 구성을 채용한다. 즉, 상기 수용구는 상기 암의 선단을 수용하는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암의 선단은 상기 안내홈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안내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구는 상기 안내홈의 상기 길이를 따라 가이드 돌조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는 상기 가이드 돌조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안내홈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는 탈락 방지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측이란 도어프레임 외, 벽이나 천장 등의 도어프레임주위의 건축물의 구성 부재도 포함한다고 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프레임은 도어프레임 본체와 상기 도어프레임본체보다도 돌출한 도어스톱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체를 닫았을 때에, 상기 도어체의 전면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상기 도어스톱에 접촉하는 것이고, 상기 수용구는 상기 도어체의 끝면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체를 닫은 상태로, 상기 수용구의 전면은 상기 도어스톱에 은폐되는 상기 도어체의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에만 노출되고, 전방에서는 상기 도어스톱과 상기 도어체만이 보이도록 구성한 도어체 이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구는 전면부와 끝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체에 노출되고, 상기 끝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체의 상기 끝면에 노출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도어체의 상기 끝면에 노출되는 상면 개방부와, 상기 도어체의 상기 전면에 노출되는 전면 개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는 상기 전면 개방부로부터 상기 안내홈으로 진입하고, 상기 상면 개방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고, 상기 상면 개방부에 상기 가이드 돌조가, 상기 수용구의 수용구 본체와 일체 또는 별체로 설치된 도어체 이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체 이동 장치에서는 수용구에 안내되는 피안내부로서 상기 암의 끝에 탈락 방지부를 구비한 피스를 설치하고, 상기 안내홈의 길이에 따른 가이드 돌조를 상기 수용구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피스가 상기 안내홈으로 안내되고 있는 사이, 상기 피스가 안내홈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안내홈으로부터의 상기 피스의 탈락의 억제에 의해, 일일이 암의 기립 작업이라고 하는 수고를 덜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체 이동 장치가 부착된 도어체와 도어프레임에 대해서 도어체가 도어프레임을 폐쇄하기 직전의 간극이 있는 상태, 즉 안내부가 피안내부의 안내를 개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A)는 실외에서 도어프레임 및 도어체를 상방으로부터 내려다 본 상태의 요부 사시도, (B)는 (A)의 상태로부터 피안내부가 안내부내를 더욱 진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C)는 도어체의 도어프레임을 완전히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A)는 도 1(A)의 상태의 도어프레임 및 도어체를 실내에서 하방으로부터 올려다 본 요부 사시도, (B)는 도 1(B)의 상태의 도어프레임 및 도어체를 실내에서 하방으로부터 올려다 본 요부 사시도, (C)는 도 1(C)의 상태의 도어프레임 및 도어체를 하방으로부터 올려다 본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A)는 도 1(A)의 상태의 도어프레임 및 도어체의 상부 측면도, (B)는 도 1(B)의 상태의 도어프레임 및 도어체의 상부 측면도, (C)는 도 1(C)의 상태의 도어프레임 및 도어체의 상부 단면도, (D)는 (C)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A)에 나타내는 상태의 도어체 이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에 있어서, (A) 및 (B)는 도 4(A)에 나타내는 수용 부재(수용구)의 사시도, (C)는 (A) 및 (B)에 나타내는 수용 부재의 평면도, (D)는 (A)∼(C)에 나타내는 수용 부재의 배면도, (E)는 (A)∼(D)에 나타내는 수용 부재의 우측면도, (F)는 (A)∼(D)에 나타내는 수용 부재의 좌측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A) 및 (B)는 도 5에 나타내는 수용 부재(수용구)의 주로서 저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C)는 (A) 및 (B)에 나타내는 수용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A)는 상기 수용 부재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B)는 도 13(A)에 나타내는 수용 부재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A)는 도 4(A)에 나타내는 피안내부(피스)의 평면도, (B)는 (A)의 피안내부의 측면도, (C)는 (A)의 피안내부의 사시도, (D)는 (A)∼(C)의 피안내부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E)는 (D)에 나타내는 피안내부의 측면도, (F)는 (D)에 나타내는 피안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9에 있어서, (A)는 도 1(B)의 평면도, (B)는 (A)의 X-X 대략 단면도, (C)는 (B)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9(A)의 (피스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A)의 Y-Y 대략 단면도, (C)는 (B)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A)는 실내에서 도어프레임 및 도어체를 하방으로부터 올려다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실외에서 도어프레임 및 도어체를 상방으로부터 내려다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A)는 도 11에 나타내는 도어체를 투시한 상태의 저면도, (B)는 (A)의 상태로부터 피안내부가 안내부 내를 더욱 진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C)는 (B)의 상태로부터 도어체가 도어프레임을 완전히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A)는 좌용(左用)의 안내부의 변경예의 사시도, (B)는 (A)와 동형의 우용(右用)의 안내부의 사시도, (C)는 도 11(A)에 나타내는 도어체 이동 장치의 피안내부측의 구성을 포함한 케이스의 저부판을 분리한 상태의 주된 케이스 본체(20)의 저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A)는 도 1(A)에 나타내는 도어체 이동 장치의 피안내부측의 구성을 포함하고 또한 암을 기립시킨 케이스의 주된 저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A)의 케이스의 암을 넘어뜨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A)는 도 13(C)의 케이스로부터 내판을 더 분리하여 케이스 내부를 나타내는 저면도, (B)는 (A)의 암을 넘어뜨린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C)는 (A)의 케이스에 수용되는 구성 부재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피안내부측의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도어체 이동 장치의 링크 기구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링크 기구의 변경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A)는 도 18에 나타내는 링크 기구의 구성 부재의 사시도, (B)는 (A)의 구성 부재를 수용한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20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체 이동 장치를 세로로 부착해서 도어체를 폐쇄하기 직전의 상태를 실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B)는 (A)의 도어체와 도어프레임의 실내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형태와 다른 실시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U는 상방을, S는 하방을, F는 전방을, B은 후방을, L은 좌방을, R은 우방을 나타내고 있다. 전방 S란 실내측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고, 후방 B란 전방 S의 역방향으로 한다. 또한, 좌방 L을 실외로부터 도어프레임을 정면으로 보았을 때의 좌측을 나타내고, 우방 R이란 실외로부터 도어프레임을 정면으로 보았을 때의 우측을 나타낸다.
단, 특허청구의 범위(청구항 2)에 있어서의 도어체의 「전면」에 대해서는 도어체의 폐쇄 방향, 즉 폐쇄할 때의 도어체의 진행 방향을 「앞」으로 하고 있다. 한편,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도어체를 여는 방향, 즉 개방할 때의 도어체의 진행 방향을 「앞」으로 하고, 상기 폐쇄 시의 도어체의 진행 방향을 「뒤」로 한다. 따라서, 이하 도어체의 후면(배면)을 특허청구 범위의 전면으로 한다.
(개요)
여기에서는 힌지(h)로 도어체(m)가 도어프레임(n)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여닫이 도어에 본 발명에 따른 도어체 이동 장치(p)를 설치할 경우를 예로 채용해서 설명한다.
이 도어체 이동 장치(p)는 도어 노브(knob) 등의 손잡이를 쥐어서 도어체(m)를 닫을 때에, 도어프레임(n)으로 도어체(m)을 폐쇄하는데 최후까지 충분한 힘을 가하지 않은 경우라도, 도어체(m)의 이동의 도중으로부터 도어체(m)의 이동을 보조하여 도어체(m)로 도어프레임(n)을 완전히 폐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도 1, 도 2, 도 11 및 도 12). 또한, 도 11(A) (B)에 있어서 도어체(m) 및 도어프레임(n)은 하방을 잘라낸 상태로 그려져 있다.
상기 도어체 이동 장치(p)는 수용 부재(1)와 장치 본체(200)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는 상기 수용 부재(1)는 도어체(m)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치 본체(200)는 도어프레임(n)에 설치된 케이스(2)과, 케이스(2)에 수용된 바이어싱 수단(3)과, 케이스(2)에 기단측이 수용되어서 선단측을 케이스(2)로부터 노출시키는 암(4)과, 케이스(2)에 수용된 완충 수단(6)을 구비한다.
바이어싱 수단(3)은 신장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푸시 스프링(push spring)(30)을 구비한다. 단, 바이어싱 수단(3)은 푸시 스프링(30)을 구비한 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선행 기술문헌이라고 하는 상술의 각 공보에 나타내는 장치와 같이 풀 스프링을 구비한 것으로서도 실시할 수 있다.
완충 수단(6)은 푸시 스프링(30)에 의한 암(4)의 바이어싱의 저항이 되는 방향으로 힘을 발휘하고, 암(4)의 회전의 세력을 완화한다. 암(4)의 선단에는 피안내부(5)가 설치되어 있다. 피안내부(5)는 암(4)에 설치된 피스이고, 이 예에서는 암(4)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는 롤러(5)이다(필요에 따라서, 피안내부(5)를 롤러(5)나 피스(5)라고 한다).
상기의 수용 부재(1)는 피안내부(5)를 수용하는 수용구이다(필요에 따라서, 수용 부재(1)를 수용구(1)라고 한다).
수용 부재(1)는 피안내부(5)의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피안내부(5)를 인도하는 안내부(11)를 구비한다(도 1(A) (B), 도 4∼도 6). 안내부(11)는 안내홈, 즉 피안내부(5)의 이동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홈이다(필요에 따라서, 안내부(11)를 안내홈(11)이라고 한다).
도어체(m)가 도어프레임(n)으로부터 크게 열린 상태에 있어서, 암(4)은 도어체(m)로부터 멀어지고 있고, 이 때 암(4)은 도어프레임(n)으로부터 기립하고 있다. 사람 손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체(m)를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체(m)가 도어프레임(n)의 폐쇄 위치에 접근하면, 기립하고 있는 암(4) 선단의 피안내부(5)가 수용 부재(1)의 안내부(11)의 입구에 도달하고(도 1(A), 도 2(A), 도 3 (A), 도 11(A) (B) 및 도 12(A)), 피안내부(5)가 안내부(11) 내로 침입을 개시한다(도 1(B), 도 2(B), 도 3(B), 도 9(A) 및 도 12(B)).
피안내부(5)의 안내부(11) 내로의 침입에 따라서, 바이어싱 수단(3)으로부터의 바이어싱을 받은 암(4)은 도어프레임(n)에 대하여 넘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암(4)이 도어프레임(n)에 대하여 넘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사이, 안내부(11)는 피안내부(5)의 이동을 안내하고, 안내부(11)의 내부로 피안내부(5)를 인도한다. 피안내부(5)는 안내부(11)로 인도되어 안내부(11)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이동 사이, 안내부(11)는 암(4)의 도어프레임(n)으로 넘어지는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피안내부(5)로부터 도어프레임(n)측으로 끌어 당겨지는 힘을 받는다.
또한 암(4)의 회전에 따라, 암(4)을 압박하는 푸시 스프링(30)의 암(4)에 대한 힘의 작용점은 암(4)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내부(11)를 따라 피안내부(5)가 이동하여 암(4)이 상기 넘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사이, 푸시 스프링(30)은 암(4)을 도어프레임(n)에 대하여 넘어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싱 한다. 따라서, 피안내부(5)의 안내부(11)로의 침입에 의해, 도어체(m)가 사람 손으로부터 멀어져도, 푸시 스프링(30)에 의한 암(4)의 상기 넘어지는 방향으로의 바이어싱에 의해 안내부(11)는 피안내부(5)에 의해 도어프레임(n)에 끌어 당겨져 자동적으로 도어체(m)는 도어프레임(n)의 폐쇄 위치에 가까이 끌어 당겨져서 도어체(m)에 의한 도어프레임(n) 내의 공간의 폐쇄가 완료된다(도 1(C), 도 2(C), 도 3(C) (D), 도 9(B) 및 도 12(C)).
(본 발명의 주요부)
수용구인 상기 수용 부재(1)는 상기 안내홈인 안내부(11)의 길이를 따라 신장되는 가이드 돌조(10)를 구비한다(도 4∼도 6, 도 9(C)).
상기 수용 부재(1)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내부(11)인 안내홈(11)의 상방은 개방되어 있다. 즉, 수용 부재(1)의 상면(11c)은 안내홈(11)의 상방을 개방하는 상면 개방부(15)를 구비한다. 또한, 안내홈(11)은 피안내부(5)를 안내홈(11) 내로 도입할 수 있는 후술의 도입단(12)으로서, 전면 개방부를 구비한다 (필요에 따라 전면 개방부(12)라고 한다).
전면 개방부(12)는 도어체(m)의 폐쇄 방향을 향하는 수용 부재(1)의 배면(1a)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어체(m) 폐쇄 시에 폐쇄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전면 개방부(12)는 그 전방을 향한다.
안내부(11)(안내홈(11))의 길이를 따라 상면 개방부(15)의 가장자리에 상기 가이드 돌조(10)가 형성되어 있다(도 5(A) (B), 도 6 및 도 9(C)).
가이드 돌조(10)은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안내홈(11)의 길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폭을, 안내홈(11)의 가이드 돌조(10)보다 하방의 부분보다도 좁게 함으로써 형성한 단차 부분이다.
수용 부재(1)는 수지 성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성형 시 안내홈(11)으로 언더컷을 부형함으로써, 가이드 돌조(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안내홈(11)은 수용 부재(1)의 저면으로 개방되어 있고, 바닥을 구비하지 않는다. 즉, 수용 부재(1)의 저면은 안내홈(11)의 하방을 개방하는 하방 개방부를 구비한다.
수용 부재(1)가 바닥을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수용 부재(1)의 상하의 폭(두께)을 작게 할 수 있다.
도어체(m)의 상단면(m3)에는 수용 부재(1)를 매설하는 함몰부(m4)를 구비한다.
수용 부재(1), 즉 수용구(1)는 함몰부(m4)로 끼워져 나사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하방 개방부는 함몰부(m4)의 바닥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 부재(1)의 상하의 폭을 억제함으로써, 도어체(m)에 대하여 함몰부(m4)을 얕게 형성할 수 있다.
함몰부(m4)는 도어체(m)의 배면으로, 수용 부재(1) 배면(1a)에 설치된 안내부(11)의 도입단(12)(청구항 2의 전면 개방부)을 노출시키는 개방 부분(배면 개방 부분(m5))을 구비한다. 함몰부(m4)의 깊이는 수용 부재(1)의 높이(두께)와 같거나 크다. 이 때문에 수용 부재(1)는 도어체(m)의 상단면(m3)에 형성된 함몰부(m4)의 개방 부분(상방 개방 부분(m6))으로부터 상방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함몰부(m4)의 배면 개방 부분(m5)의 하단은 도어프레임(n)의 상변부(上邊部)(n3)의 내측에 형성된 도어스톱(n4)보다 하방으로 나오는 것이 아니고, 도어체(m)를 완전히 폐쇄하면, 수용 부재(1)의 배면(1a)는 도어스톱(n4)에 은폐된다. 상기의 도어스톱(n4)에 대해서 상세하게는, 도어프레임(n)(도어프레임 본체)보다도 도어프레임(n)이 둘러싸는 공간으로 돌출하는 것이고, 도어체(m)를 폐쇄함으로써 도어스톱(n4)은 도어체(m)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접촉한다.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함몰부(m4)의 깊이(t1)는 도어스톱(n4)의 상하의 폭(t2)보다도 작다. 예를 들면, 도어스톱(n4)의 상하의 폭(t2)을 7mm로 한 경우, 함몰부(m4)의 상기 깊이(t1)를 4mm로 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수치는 단지 예시이고, 도어프레임이나 도어체의 다른 부분의 치수나, 도어체 이동 장치의 각 부의 치수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도 13(A)에 나타내는 안내홈(11)이 바닥(14)을 구비하는 수용구(1)에 대해서는 상하의 폭을 16mm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홈(11)이 바닥을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수용구(1)의 상하의 폭을 7mm 정도로 할 수 있다. 단, 이들의 수용구(1)의 상하의 폭은 단지 예시이고, 바닥(14)을 구비하는 경우도 구비하지 않는 경우도 다른 치수를 채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상기 배면 개방 부분(m5)은 수용 부재(1)의 배면(1a) 전체를 노출시키고 있다. 단, 배면 개방 부분(m5)은 수용 부재(1)의 안내부(11)의 상기 도입단(12)만 노출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어체(m)의 배면은 화장판을 붙인 것으로 하고, 상기 화장판으로 수용 부재(11)의 배면의 상기 도입단(12) 이외의 부분을 덮는 것으로 하여도 좋은 것이다. 또한, 함몰부(m4)의 바닥은 도어프레임(n)의 상변부(n3)의 내측에 설치된 도어스톱(n4)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어도, 상기 화장판으로 수용 부재(1)의 배면(1a)의 상기 도어스톱(n4)보다 하방의 부분을 덮음으로써, 도어체(m) 폐쇄시 도어스톱(n4)으로 완전히 은폐할 수 있다. 또한, 화장판을 부착하는 것을 대신해서 함몰부(m4)의 배면 개방 부분(m5)을 함몰부(m4) 내 보다도 상하의 폭이 좁은 창으로서 형성함으로써, 함몰부(n4)의 바닥이 상기 도어스톱(n4)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상기와 동일한 도어스톱(n4)을 이용해서 도어체(m)의 폐쇄로 수용 부재(1)를 은폐할 수 있다.
또한, 도 13(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부(11)인 안내홈은 바닥(14)을 구비하는 것으로서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바닥(14)의 상면에 쿠션(cushion)성을 갖는 부재를 소리발생 방지 쿠션(14a)으로서 설치하여 도어체 개폐 시의 도어체 이동 장치(p)가 발생하는 소리를 억제할 수 있다(도 7(B)). 구체적으로는 우레탄 등의 발포재의 시트나 고무제 시트를 상기 소리발생 방지 쿠션(14a)로서, 안내부(11)의 바닥(14)에 접착제로 고정해 두는 것이다. 단, 소리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상기 소리발생 방지 쿠션을 설치하지 않고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수용 부재(1)(수용구(1))에서는 가이드 돌조(10)는 수용 부재(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밖에,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돌조(10)를 수용 부재(1)(수용구 본체)와 별체로 형성된 가이드판(13)을 수용 부재(1)의 상면에 부착해서 가이드 돌조(10)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실시할 수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가이드판(13)은 나사로 수용 부재(1)에 고정되면 된다.
상기 가이드판(13)은 수용 부재(1)의 안내부(11)의 상방의 개구에 대응하는 노치 부분(13a)을 구비한다. 노치 부분(13a)는 안내부(11), 즉 안내홈(11)이 신장하는 방향에 따라 신장, 굵기를 안내홈(11)의 상방의 개구보다 작은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안내홈(11)의 홈폭(굵기)보다도 노치폭(굵기)을 좁게 하여 가이드판(13)을 수용 부재(1)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홈폭과 상기 노치폭의 차에 의한 단차 부분으로서 가이드 돌조(1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가이드판(13)의 부착에 의해 안내홈(11)을 언더컷으로 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가이드판(14)은 금속제의 판이다. 단, 가이드판(14)에 금속 이외의 주지의 소재를 채용해서 실시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의 피안내부(5), 즉 피스(5)에 관하여 전동자(롤러)로서 변형하기 어려운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피스(5)룰 형성하는 소재로서는 경질의 플라스틱이나 금속, 세라믹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피스(5)로서 변형하기 어려운 것이면, 즉 후술하는 탈락 방지부(50)가 기능하는 것이면, 플라스틱이나 금속, 세라믹 이외의 소재로 롤러(5)를 형성해서 실시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피안내부(5)인 피스(5)의 탈락 방지부(50)에 대해서, 가이드 돌조(10)로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경도나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면, 피안내부(5)는 후술하는 고무 롤러이어도 된다.
또한, 피안내부(5)에 대해서는 전동자로서 상기 롤러(5)을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피안내부(5)는 안내부(11)에 의해 원활하게 안내되는 표면이 매끄러운 마찰 저항이 적은 것을 채용함으로써, 전동자, 즉 롤러(5) 이외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피안내부(5)는 암(4)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 피스이어도 실시 가능하다.
피스(5)는 가이드 돌조(10)에 접촉함으로써, 안내홈인 안내부(11)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상기의 탈락 방지부(50)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는 피안내부(5)는 양단에 플랜지(50a, 50b)가 형성되어 있다. 암(4)측의 플랜지(50b)와 반대측의 플랜지(50a)가 탈락 방지부(50)를 구성한다. 탈락 방지부(50)인 플랜지(50a)의 지름은 안내홈(1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양 가장자리의 가이드 돌조(10) 사이의 간격보다도 크다. 당연한 것이면서 탈락 방지부(50)의 지름은 가이드 돌조(10)보다 하방의 안내홈(11)의 양 내측면간의 간격보다 작다.
또한, 피안내부(5)의 회전축의 축방향에 대해서, 탈락 방지부(50) 이외의 부분(양 플랜지(50a,50b) 사이)의 지름은 안내홈(11)의 양 가장자리의 가이드 돌조(10)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도입단(12)으로부터 안내부(11), 즉 안내홈(11) 내로 침입한 피안내부(5)인 피스(5)에 대해서, 상기 가이드 돌조(10)에 탈락 방지부(50)가 걸려서 안내홈(11)의 상면 개방부(15)로부터 상방으로 빠져 나올 수 없다.
또한, 상기 예에 있어서, 피안내부(5)에 대해서는 가이드 돌조(10)를 레일로 하는 차륜으로 생각하면, 탈락 방지부(50)는 레일로부터 차륜이 탈륜을 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도 8(D)∼(F) 및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5)를 암(4)측을 향해서 선단이 가늘어지는 원추대 형상으로 형성해서 실시할 수도 있다. 피스(5)의 암측(4)의 끝면의 지름을 안내홈(1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양 가장자리의 가이드 돌조(10)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것으로 하고, 피스(5)의 암측(4)과 반대측의 끝면의 지름을 안내홈(1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양 가장자리의 가이드 돌조(10)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것으로 한다. 원추대인 피스(5)의 중심의 축방향에 대해서, 안내홈(11)의 (상면 개방부(15)의) 양 가장자리의 가이드 돌조(10) 사이의 간격보다도 큰 부위가, 탈락 방지부(50)로서 가이드 돌조(10)에 있어서, 안내홈(11) 내로 침입한 피안내부(5)인 피스(5)는 안내홈(11)의 상면 개방부(15)로부터 상방으로 빠져 나올 수 없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 돌조(10)로, 안내홈(11)로부터 탈락하지 않는 것이면, 피스(5)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 단 주변에 플랜지(50a, 50b)를 구비하는 상기 형태(도 8(B) (C)나 상기 원추대(도 8(E) (F)) 이외의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피스(5)에 탈락 방지부(5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피스(5)의 탈락 방지부(50)보다 암(4)측의 부분을 수용구(1)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즉, 탈락 방지부(50)를 설치함으로써 피스(5) 전체를 안내홈(11)내로 수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그 만큼 안내홈(11)을 얕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탈락 방지부(50)를 설치하는 것도, 수용구(1)의 상하의 폭(두께)의 저감에 기여한다.
장치 본체(200)(케이스(2))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n)의 상변부(n3)로 매설된다. 즉, 도어프레임(n)의 상변부(n3)에 미리 오목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 부분에 장치 본체(200)를 끼워 넣고, 상변부(n3)로 장치 본체(200)를 나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장치 본체(200)의 저부를 덮는 화장 커버를 이하 저판(21)이라고 한다.
장치 본체(200)의 도어프레임(n)으로의 부착 후, 암(4) 선단의 피스(5)의 상하 방향에 관한 위치가, 수용구(1)의 안내홈(11)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상기 오목 부분의 깊이를 결정한다.
단, 부착 후에 장치 본체(200)의 상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상하 위치 조정 기구를 도어체 이동 장치(p)에 설치해 둠으로써, 상기 오목부의 치수나 장치 본체(200)의 치수(상하의 폭)에 다소의 오차가 있어도, 나중에 수정해서 대응할 수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장치 본체(200)와 별체로 형성된 부착 금구와 조정 볼트를 상기 상하 위치 조정 기구로서, 상기 설치 구금을 통해서 도어프레임(n)에 장치 본체(200)를 부착하는 것이다.
우선, 상기 부착 구금은 도어프레임(n)의 상기 오목부에 나사나 볼트, 못 등의 주지의 고정 수단으로 의해, 도어프레임(n)에 대하여 상하의 위치를 변하게 하지 않도록 고정해 둔다. 그리고, 도어프레임(n)에 고정한 상기 부착 구금에, 장치 본체(200)를 주지의 상기 조정 볼트를 사용해서 부착한다. 조정 볼트의 조정에 의해, 상기 부착 구금에 대한 장치 본체(200)의 위치를 상하 조정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장치 본체(200)의 상하의 위치 조정에 의해, 피스(5)의 위치를 상기 안내홈(11)의 도입단(12)의 위치에 맞춰 둘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하 위치 조정 기구에는 주지의 다른 수단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수용구(1)의 도어체(m)로의 설치에 있어서도, 상기 상하 위치 조정 기구와 같은 구성의 기구를 부상하 위치 조정 기구로서 채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상하 위치 조정 기구를, 도어체(m)에 고정하는 부착 구금과 조정 볼트로 구성하고, 수용구(1)를 조정 볼트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부착 구금에 부착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부상하 위치 조정 기구에 대해서도, 주지의 다른 수단을 채용해서 실시할 수 있다. 단, 불요하면, 상기 부상하 위치 조정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실시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상하 위치 나사 기구와 부상하 위치 조정 기구의 양방을 채용하여 수용구(1)와 장치 본체(200)의 쌍방에 대해서 상하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 외, 상기 상하 위치 조정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부위치 조정 기구만 설치하고, 수용구(1)만 상하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주변의 구성을 설명함과 아울러 상기 주요 구성의 보충 사항에 대해서 설명한다.
각 부의 상세에 대해서 순서대로 설명한다.
(도어체(m)와 도어프레임(n))
도어체(m)는 실외측을 정면으로 하고, 실내측을 배면으로 해서 좌단면(m1)과 우단면(m2)과 상단면(m3)과 하단면으로 형성된 정면으로 볼 때의 직사각형의 판형상체이다. 이 예에서는 도어체(m)의 우단면(m2)이 상기 힌지(h)로서 도어프레임(n)에 축지지되는 도어체(m)의 축지지단을 구성한다. 또한 좌단면(m1)이 도어체(m)의 자유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단면(m3)은 상기 수용 부재(1)를 매설하는 수용 부재(1)의 설치단을 구성한다.
도어프레임(n)은 상기 폐쇄에 의해 도어체(m)를 내측에 끼워 맞추는 프레임체이다. 도어프레임(n)은 건조물의 벽에 설치되고, 프레임체인 도어프레임(n)의 내측 공간이 부실의 출입구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어프레임(n)은 좌변부(n1)와 우변부(n2)와 상변부(n3)와 하변부로 구성된 정면으로 볼 때의 직사각형의 프레임체다.
도어프레임(n)에 있어서, 우변부(n2)는 도어체(m)의 상기 우단(m2)을 힌지(h)로 축지지되는 축지지용 단이다. 또한, 좌변부(n1)는 도어체(m)의 폐쇄로 도어체(m)의 좌단(m1), 즉 도어체(m)의 자유단을 끼워 맞추는 폐쇄 위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변부(n3)의 하면은 상기 케이스(2)를 부착하는 부착용면을 구성한다.
(수용 부재(1))
수용 부재(1)는 이 예에서는 가늘고 긴 상자체, 즉 가로로 긴 대략 직육면체로서 부형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수용 부재(1)는 상기 도어체(m)의 상단으로 매설된다(도 1(A) (B), 도 2(A) (B) 및 도 11).
이 예에서는 수용 부재(1)의 배면(1a)측이 도어체(m)의 실내측의 면, 즉 도어체(m)의 배면측에 노출된다. 단 도어체(m)의 배면측으로부터 수용 부재(1)를 돌출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 부재(1)의 천부(1c)는 도어체(m)의 상단면(m3)으로부터 노출한다(도 1(A) (B), 도 2(A) (B), 도 9, 도 11 및 도 12). 단, 도어체(m)의 상단면(m3)으로부터 수용 부재(1)를 돌출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어체(m)의 상단면(m3)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해짐과 아울러, 도어체(m)의 배면에 노치해서 상단면(m3)을 따라 횡방향으로 신장하는 오목부를 도어체(m)에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에 가로로 긴 수용 부재(1)을 끼워 넣는다. 수용 부재(1)를 상기 오목부에 끼워 넣은 후 상기 오목부의 바닥에 대하여 수용 부재(1)의 저부(1b)을 나사 고정시키면 된다.
수용 부재(1)에는 상기 안내부(11)가 형성되어 있다(도 1(A) (B), 도 4, 도 5 및 도 6). 상기 홈형상의 안내부(11)는 수용 부재(1)의 천부(1c)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하는 부위이고, 대강 횡방향으로 신장된다. 홈형상의 안내부(11)의 내벽은 롤러인 피안내부(5)와 접촉해서 피안내부(5)를 안내부(11)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인도한다.
안내부(11)의 횡방향의 일단은 도입단(12)으로서, 수용 부재(1)의 상기 배면(1a)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도입단(12)은 상기 안내부(11)의 입구를 구성한다. 이 예에서는 상기 도입단(12)으로부터 안내부(11)은 좌전방을 향해서 기울어져 완만하게 신장된다. 즉, 안내부(11)는 상기 배면(1a)으로부터 좌전방으로 완만하게 신장한다.
안내부(11)의 상기 내벽은 피안내부(5)를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암(4)의 회전으로 주회하는 피안내부(5)로부터의 힘을 받는 면이기도 하다.
(케이스 2)
케이스(2)는 가늘고 긴 대략 직육면체를 나타낸다(도 4, 도 14(A) (B) 및 도13(C)).
케이스(2)는 도어프레임(n)의 상변부(n3)로 매설된다. 즉, 도어프레임(n)의 상변부(n3)에 오목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 부분에 케이스(2)를 끼워 넣고, 상변부(n3)에 케이스(2)를 나사 고정한다. 케이스(2)의 좌우 양단에는 상기 오목 부분의 좌우에 상기 나사 고정의 나사를 통하는 플랜지 부분(2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늘고 길다란 케이스(2)를 도어프레임(n)에 부착했을 때에, 케이스(2)의 장변이 도어체(m)의 상단면(m3)과 대응하는 도어프레임(n)의 상변부(n3)의 길이방향에 따라 신장하고,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케이스(2)의 단변은 도어프레임(n)의 전후 폭, 바람직하게는 도어체(m)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다.
이 예에는 케이스(2)는 가로로 긴 케이스 본체(20)와 저판(21)을 구비한다. 케이스 본체(20)는 상측부(22)와 전측부(23)와 배측부(24)와 좌우의 끝면부(25, 26)를 구비한다. 케이스 본체(20) 자신의 저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저판(21)으로 폐쇄된다.
단, 케이스(2)가 도어프레임(n)에 수용되는 도어프레임(n)에 대한 도어체(m)의 개폐가 원활하게 행해지는 한, 케이스(2)를 상기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케이스 본체(20)에 상기 바이어싱 수단(3)과 상기 완충 수단(6)과 상기 암(4)의 기단측과 부링크용부(8)가 수용된다(도 15(A) (B)). 저판(21)에는 암(4)을 통과하는 암(4)의 선단측을 케이스(2)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통과부(27)가 설치되어 있다(도 14(A) (B) 및 도 13(C)). 통과부(27)는 암(4)의 회동하는 범위에 걸쳐서 형성된 노치부이고, 저판(21)을 원호 형상으로 관통하여 저판(21)의 전변(27a)에 달한다. 단, 통과부(27)를 저판의 전변(27a)에 달하지 않은 관통부로서 형성해도 된다.
(바이어싱 수단(3))
바이어싱 수단(3)은 상기 푸시 스프링(30)과, 스프링 수용부(31)를 구비한다 (도 15 및 도 16).
스프링 수용부(31)는 푸시 스프링(30)의 선단측과 암(4)의 기단측 사이에 개재되어서 푸시 스프링(30)의 바이어싱력을 암(4)측으로 전달하는 전달 부재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는 스프링 수용부(31)는 케이스(2)내에 있어서 가늘고 긴 케이스 본체(20)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신장하는 축을 구비한다. 즉, 스프링 수용부(31)는 코일 형상의 상기 푸시 스프링(30)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을 구비한다.
이 예에서는 스프링 수용부(31)는 기단측부(32)와, 기단측부(32)와 별체로 형성된 선단측부(33)로 구성되어 있다(도 16).
스프링 수용부(31)의 선단측부(33)는 푸시 스프링(30)의 바이어싱력을 암(4)으로 전달하는 상기 전달 부재이다(이하, 필요에 따라서 전달 부재(33)라고 한다).
이 예에서는 스프링 수용부(31)의 기단측부(32)는 코일 형상의 푸시 스프링(30)에 통과하는 봉형상 또는 통형상의 축부분을 구비한다. 기단측부(32)의 상기 축부분의 기단에는 푸시 스프링(30)의 일단과 접촉하는 플랜지 형상의 접촉부(34)가 설치되어 있다.
전달 부재(33)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통부분을 구비한다. 전달 부재(33)의 상기 통부분의 선단측에는 푸시 스프링(30)의 다른 일단과 접촉하는 플랜지 형상의 부접촉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전달 부재(33)의 상기 통형상 부분의 외주에 코일 형상의 상기 푸시 스프링(30)이 배치된다.
전달 부재(33)의 상기 통부분은 기단측부(32)의 상기 축부분의 선단측 외주에 겹쳐서 상기 축을 구성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전달 부재(33)의 상기 통부분의 내경을 기단측부(32)의 상기 축부분의 외경보다 큰 것으로 하여 기단측부(32)의 상기 축부분을 전달 부재(33)의 상기 통부분내에 삽입하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 전달 부재(33)의 상기 통부분의 후단으로부터 기단부(32)의 상기 축부분을 출몰시킬 수 있다. 한편, 푸시 스프링(30)은 접촉부(34)와 부접촉부(35) 사이에 끼워지고, 푸시 스프링(30)은 전달 부재(33)를 기단측부(32)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한다.
또한, 도시한 상기 예와 반대로 전달 부재(33)의 상기 통부분을 상기 축부분으로 하고, 기단측부(32)의 상기 축부분을 상기 통부분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기단측부(32)와 전달 부재(33)는 상기한 바와 같이, 1개의 축으로 하여 겹칠 필요는 없다.
즉, 기단측부(32)의 상기 축부분은 푸시 스프링(30)의 기단측을 통하여 푸시 스프링(30)의 기단측을 받고, 전달 부재(33)의 상기 통부분은 푸시 스프링(30)의 선단측을 통하여 푸시 스프링(30)의 선단측을 받는 것으로 하면서도, 코일 형상의 푸시 스프링(30)내에 있어서 기단측부(32)의 선단측과 전달 부재(33) 후단측은 분리한 상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푸시 스프링(30)내에 있어서 기단측부(32)의 선단측과 전달 부재(33) 후단측을 겹치지 않는 경우, 상기 통형상 부분도 축부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푸시 스프링(30)이 어긋나지 않고 바이어싱력의 전달이 원활하게 행해지는 것이면, 기단측부(32)와 전달 부재(33)는 도시한 형태와 다른 것이어도 되고, 상기 축부분이나 통부분을 구비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푸시 스프링(30)이 어긋나지 않고 바이어싱력의 전달이 원활하게 행해지는 것이라면, 바이어싱 수단(3)에 있어서 푸시 스프링(30) 및 전달 부재(33) 이외의 구성, 구체적으로는 기단측부(32)를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본 예에서는 스프링 수용부(31)의 기단측부(32)의 기단은 가늘고 긴 케이스 본체(20)의 끝면부의 일방의 내측면으로 축지지되어 있다. 기단측부(32)의 상기 접촉부(34)는 중심선(가상선)을 상하 세로로 하는 대략 반원기둥 형상에 따른 부재이고, 반원 기둥의 원주면(34b)과 반대측의 평평한 면을 푸시 스프링(30)과의 접촉면(34a)으로 한다. 케이스 본체(20) 내의 우단면부(25)와 기단측부(32) 사이에는 피봇용 부재(36)와 나사 수용편(37)이 수용되어 있다(도 15(C) 및 도 16).
피봇용 부재(36)는 접촉부(34)의 원주면(34b)과 대응하는 오목 곡면을 수용면(36a)으로서 구비한다. 피봇용 부재(36)의 수용면(36a)과 반대측의 면, 즉 케이스 본체(20)의 우단면부(25)를 향하는 면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상기 우단면부(25)의 내면으로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사면(36b)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에 관한 상하는 앞서 설명한 상방(U)과 하방(S)에 따른 것이고, 도 16의 상하와 반대가 된다(도 4). 이하의 도 17∼19에 나타내는 각 부재 이름 중의 상하도 도 6에 그려진 상태와 반대가 된다.
피봇용 부재(36)의 수용면(36a)의 상부에는 수용면(36a)이 보이는 오목 곡면보다도 작은 지름의 오목 곡면이 베어링면(36c)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피봇용 부재(36)의 사면(36b)에는 오목부(36d)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6d)는 사면(36b)의 중복으로부터 피봇용 부재(36)의 하면(36e)에 걸쳐서 신장한다. 상기 베어링면(36c)의 상방에는 베어링면(36c)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덮개 형상부(36f)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수용편(37)은 피봇용 부재(36)와 별체로 형성된 소편이고, 피봇용 부재(36)와 케이스 본체(20)의 우단면부(25) 사이에 수용된다. 나사 수용편(37)에 있어서, 피봇용 부재(36)와 접촉하는 끝면이 사면(36b)에 대응하는 경사면(37a)을 구성한다. 또한, 나사 수용편(37)에는 나사 수용편(37)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나사 구멍(37b)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37b)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37b)에는 숫나사를 갖는 나사(38)가 비틀려 들어가 있다. 나사 구멍(37b)으로 비틀려 들어가는 것으로 나사(38)는 나사 수용부(37)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기립해 두부(38a)를 하방으로 향한다.
나사(38)는 피봇용 부재(36)의 오목부(36d)에 수용되고, 나사(38)의 두부(38a)는 피봇용 부재(36)의 하면(36e)으로부터 하방으로 노출된다. 나사(38)의 두부(38a)의 좌면은 피봇용 부재(36)의 하면(36e)을 압박한다.
상기 나사 수용부(37)과 나사(38)와 피봇용 부재(36)는 푸시 스프링(30)의 강도 조정 기구를 구성한다. 상기 강도 조정 기구는 케이스 본체(20)의 우단면부(25) 내면과 후술하는 부접촉면(35a) 사이의 폭을 변경함으로써, 푸시 스프링(30)의 신축할 수 있는 폭을 변경하여, 푸시 스프링(30)의 힘을 조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나사(38)를 풀고, 피봇용 부재(36)를 나사(38)에 대하여, 오목부(36d)로부터 나사(38)을 출몰시키는 방향(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피봇용 부재(36)의 사면(36b)에 대한 나사 수용편(37)의 경사면(37a)의 접촉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푸시 스프링(30)이 신장하는 케이스(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푸시 스프링(30)과 케이스 본체(20)의 우단면부(25) 사이에 개재된 피봇용부(36) 및 나사 수용편(37)이 차지하는 합계 폭(w)을 작게 하거나 또는 크게 할 수 있다(도 15(C)). 피봇용부(36)와 나사 수용편(37)의 상기 합계 폭(w)의 대소를 조정함으로써, 케이스(2)의 길이 방향(좌우 방향)에 대해서 푸시 스프링(30)과 케이스 본체(2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푸시 스프링(30)을 강하게 작용시키고 싶을 때는 상기 합계 폭(w)을 크게 하는 방향으로 피봇용부(36)와 나사 수용편(37)을 조정해서 나사(38)로 정지시키고, 푸시 스프링(30)의 기단과 케이스 본체(20)의 우단면부(25)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푸시 스프링(30)을 당초부터 압축시킨 상태로 해서 푸시 스프링(30)의 탄발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어체 이동 장치(p)를 무거운 미닫이 도어(m)에 사용하는 경우 푸시 스프링(30)의 탄발력을 강화하는 상기 조정을 행하면 된다. 반대로 가벼운 미닫이 도어(m)의 경우 등, 푸시 스프링(30)의 강도를 억제하고자 할 때는 상기 합계 폭(w)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피봇용부(36)과 나사 수용편(37)을 조정해서 나사(38)로 정지시키고, 푸시 스프링(30)의 기단과 케이스 본체(20)의 우단면부(25) 간의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푸시 스프링(30)을 강한 압축으로부터 해방해서 푸시 스프링(30)의 탄발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4, 도 11∼도 17에 나타내는 도어체 이동 장치(p)는 상기의 강도 조정 기구를 구비해서 피봇용 부재(36)와 나사 수용편(37) 사이의 서로 접촉하는 위치를 조정해서 상기 합계 폭(w)을 변경함으로써 푸시 스프링(30)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는 타입이지만, 푸시 스프링(30)의 강도의 조정이 불요하면, 상기 강도 조정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체 이동 장치를 콤팩트하게 하고 싶은 경우, 상기 강도 조정 기구를 배제해서 실시하면 된다.
스프링 수용부(31)에 있어서 상기 기단측은 우단면부(25)에 직접 축정지된 것이 아니고, 푸시 스프링(30)의 반발력에 의해 접촉부(34)이 상부(32)의 접촉부(34)는 상기 원주면(34b)이 나타나는 (반)원기둥의 거의 중심선(가상선) 상에 배치된, 성축부(34c)와 하축부(34d)를 구비한다(도 16). 상축부(34c)는 접촉부(34)의 상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피봇용 부재(36)의 상기 베어링면(36c)에 수용된다. 하축부(34d)는 접촉부(34)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다.
후술하는 내판(28)의 저판부(28a)에는 상기 하축부(34d)를 수용하는 관통부(28f)가 형성되어 있고, 관통부(28f) 내에 하축부(34d)가 삽입된다. 관통부(28f)는 케이스(2)의 좌우로 신장하는 긴 구멍이고, 길이 방향에 따라 눈금이 그려져 있다(도 13(C) 및 도 16). 케이스 본체(20)로부터 저판(21)을 분리하고, 관통부(28f)를 보는 것에 의해 하축부(34d)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관통부(28f)는 하축부(34d)의 위치를 보여주는 창이 되어 있고, 하축부(34d)의 위치로부터 푸시 스프링(30)이 상기 강도 조정 기구에 의해 어느 정도 압축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하축부(34d)의 위치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강도 조정 기구에 의한 상기 조정을 행하면 된다.
이 예에서는 기단측부(32)의 기단은 케이스 본체(20)의 상기 피봇용 부재(36) 및 나사 수용편(37)을 통해서 상기의 우단면부(25)로 압박되고 있다.
피봇용 부재(36)의 수용면(36a)으로 수용된 상기 접촉부(34)는 상축부(34c)와 하축부(34c)를 중심으로 해서 수용면(36a)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피봇용 부재(36)는 케이스(2)내에 있어서 접촉부(34)를 중심으로 하는 스프링 수용부(31)의 약간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이다.
전달 부재(33)의 상기 부접촉부(35)는 푸시 스프링(30)의 다른 일단과 접촉하는 상술의 부접촉면(35a)을 구비한다. 부접촉부(35)의 부접촉면(35a)과 반대측의 부위는 부접촉부(35a)를 사이에 두고 푸시 스프링(30)과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작용 단부(35b)를 구비한다. 작용 단부(35b)는 작용 단부(35b)를 상하로 관통하는 제 1 링크용 구멍(35c)을 구비한다(도 16).
바이어싱 수단(3)은 케이스(2)의 저부측에 있어서 상술의 내판(28)으로 덮여 있다. 내판(28)은 케이스 본체(20)와 저판(21) 사이에 배치된 단면, 대략 コ자 형상의 판재이다(도 13(C) 및 도 16).
즉, 내판(28)은 케이스(2)의 저판(21)을 따르는 저판부(28a)와, 케이스 본체(20)의 전측부(23)를 따르는 전판부(28b)와, 케이스 본체(20)의 배측부(24)를 따르는 배판부(28c)로 구성된 금속판이다.
이 예에서는 내판(28)의 전판부(28b)는 케이스 본체(20)의 전측부(23)의 외측면(전측부(23)의 전면)을 따르고, 내판(28)의 배판부(28c)는 케이스 본체(20)의 배측부(24)의 외측면(배측부(24)의 배면)을 따른다.
내판(28)은 금속제의 케이스 본체(20)에 나사 또는 용접으로 고정해도 되지만, 본 예에서는 내판(28)은 금속제의 케이스 본체(20)로 주지의 블라인드 리벳으로 고정되어 있다.
내판(28)의 저판부(28a)에는 상기 나사(38)의 두부(38a)를 내판(28)으로부터 케이스 본체(20)의 저부측으로 노출시키는 관통 구멍(28d)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38)의 두부에는 핀수용편(37)의 나사 구멍(37b)에 나사(38)를 비틀어 넣기 위한 공구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20)로부터 저판(21)을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28d)으로부터 노출하는 나사(38)의 두부(38a)의 상기 공구결합부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결합해서 나사(38)를 나사 구멍(38b)으로 비틀어 넣을 수 있다.
(암(4))
상술한 바와 같이, 암(4)의 선단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안내부(5)로서 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피안내부(5)에는 고무 롤러를 채용할 수 있다. 롤러(5)는 암(4) 선단에 축지지되어서 암(4)의 하면측으로 돌출한다.
케이스 본체(20) 내에 있어서 암(4)의 기단은 바이어싱 수단(3)의 전달 부재(33)의 선단측에 배치된다. 환언하면 바이어싱 수단(3)은 케이스 본체(20)의 우단면부(25)측에 후단측을 향하여 선단측을 암(4)의 기단측으로 향한다.
그리고, 케이스(2)에 수용되는 암(4)의 기단측은 회전축(41)을 구비한다. 회전축(41)은 케이스(2)내에서 상하로 신장하는 축이다. 회전축(41)에는 금속제의 핀을 사용할 수 있다.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함으로써, 암(4)은 케이스(2)에 대하여 기복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5(A)는 암(4)의 케이스(2)로부터 기립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B) 및 도 15(B)는 암(4)의 케이스(2)로 누운 상태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회전축(41)은 내판(28)의 저판부(28a)에 축지지되어 있다. 즉, 회전축(41)은 케이스(2)로 축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단, 암(4)은 케이스(2)로 축지지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암(4)을 케이스(2)에 대하여 완전히 독립한 부재로서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지 않는다.
내판(28)의 저판부(28a)의 좌우의 폭은 케이스 본체(20)의 좌우의 폭보다도 작다. 저판부(28a)의 좌단에는 상기 회전축(41)을 축지지하는 돌편(28e)이 형성되어 있다. 돌편(28e)은 저판부(28a)의 좌단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다. 돌편(28a)은 상하로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을 갖는다. 돌편(28e)은 상기 가요성에 의해 회전축(41)이 받는 상하 방향의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암(4)의 기단측에는 링크용부(7)가 형성되어 있다. 링크용부(7)는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하여 암의 회전 평면(이 예에서는 수평한 가상면)을 따라 회전축(41)의 지름 밖으로 돌출하는 판형상의 부위이다(도 15 및 도 16).
링크용부(7)는 본 예에서는 암(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 링크용부(7)는 암(4)과 별체에 형성되어 용접이나 나사 정지로 암(4)에 고정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링크용부(7)는 회전축(41)을 통과하는 회전축용 구멍(70)을 구비한다(도 17). 링크용부(7)에는 회전축용 구멍(70)의 지름 바깥측에, 회전축용 구멍(70)을 둘러싸서 제 1 링크용 구멍(71)과 제 2 링크용 구멍(72)과 제 3 링크용 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용 구멍(70)과 제 1 링크용 구멍(71)과 제 2 링크용 구멍(72)과 제 3 링크용 구멍(73)은 각각 링크용부(7)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완충 수단(6))
완충 수단(6)은 케이스 본체(20) 내에서, 암(4)의 기단을 사이에 두고 바이어싱 수단(3)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도 15 및 도 16). 완충 수단(6)은 실린더(61)과 실린더(61)의 선단으로부터 출몰하는 피스톤 로드(62)를 구비한 유체압 댐퍼이다. 케이스(2) 내에 있어서 가늘고 긴 케이스 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실린더(61)와 피스톤 로드(62)가 신장된다.
실린더(61)에는 유압 실린더나 에어 실린더 등의 유체압 실린더를 채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실린더(61)는 유압 실린더이다. 피스톤 로드(62)에 실린더(61)로 압입하는 힘이 가해지면 실린더(61) 내의 유압은 상기 압입의 저항이 된다. 한편 피스톤 로드(62)에 실린더(61)로부터 인출하는 힘이 가해지면 실린더(61) 내의 유압은 상기 인출의 저항이 된다.
완충 수단(6)에는 주지의 오일 댐퍼나 에어 댐퍼를 채용할 수 있다.
실린더(61)의 기단측은 고정핀(63)으로 케이스 본체(20)의 다른 일방의 끝면부, 이 예에서는 좌단면부(26)에 축지지되어서, 피스톤 로드(62)의 선단을 암(4)의 기단측으로 향한다(도 15∼도 17). 도 17의 66은 실린더(61)의 기단측에 설치된 상기 고정핀(63)을 통과하는 구멍을 나타내고 있다.
피스톤 로드(62)의 선단에는 부작용 단부(64)가 설치되어 있다. 부작용 단부(64)에는 부작용 단부(64)를 상하로 관통하는 제 2 링크용 구멍(65)이 형성되어져 있다.
(부링크용부(8))
상기의 부링크용부(8)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암(4)의 상기 링크용부(7)와 거의 같은 형상을 구비한다. 단, 부링크용부(8)는 링크용부(7)와 달리 암(4)과 별체로 형성된 부재이다(도 16 및 도 17). 부링크용부(8)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링크용부(7)와 겹치도록 배치된다. 상기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부링크용부(8)에는 링크용부(7)의 상기 회전축용 구멍(70)과 또한 링크용부(7)의 제 1∼제 3 링크용 구멍(71∼73)의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회전축용 부구멍(80)과 제 1∼제 3 링크용 부구멍(81∼8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용부(7)와 부링크용부(8)는 스페이서(94)를 통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로 겹친다.
스페이서(94)는 스페이서(94)를 상하로 관통하는, 중심 구멍(94a)과 부작용구멍(94b)과 보강용 구멍(94c)의 3개의 구멍을 구비한다.
스페이서(94)를 사이에 두고 상하에 링크용부(7)와 부링크용부(8)의 각각이 겹쳐진 상태에 있어서, 스페이서(94)의 중심 구멍(94a)은 링크용부(7)의 회전축용 구멍(70)과 부링크용부(8)의 회전축용 부구멍(80) 사이에 위치하고, 스페이서(94)의 부작용 구멍(94b)은 링크용부(7)의 제 2 링크용 구멍(72)과 부링크용부(8)의 제 2 링크용 부구멍(82) 사이에 위치하고, 스페이서(94)의 보강용 구멍(94c)은 링크용부(7)의 제 3 링크용 구멍(73)과 부링크용부(8)의 제 3 링크용 부구멍(83) 사이에위치한다.
링크용부(7)의 회전축용 구멍(70)과 스페이서(94)의 중심 구멍(94a)과 부링크용부(8)의 회전축용 부구멍(80)에, 암(4)의 기단측의 상기 회전축(41)이 통과된다(도 17).
스페이서(94)에 있어서, 링크용부(7)의 제 2 링크용 구멍(72)과 부링크용부(8)의 제 2 링크용 부구멍(82) 사이에 개재하는 부분의 상하폭은 스페이서(94)에 있어서의 링크용부(7)의 제 3 링크용 구멍(73)과 부링크용부(8)의 제 3 링크용 부구멍(83) 사이에 개재하는 부분의 상하폭보다도 작다. 스페이서(94)에 있어서의 링크용부(7)의 제 2 링크용 구멍(72)과 부링크용부(8)의 제 2 링크용 부구멍(82) 사이에 개재하는 부분은 부링크용부(8) 가까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재 부분과 링크용부(7)의 제 2 링크용 구멍(72) 사이에는 피스톤 로드(62)의 상기 부작용 단부(64)가 삽입된다.
그리고, 링크용부(7)의 제 2 링크용 구멍(72)과 피스톤 로드(62)의 부작용 단부(64)의 제 2 링크용 구멍(65)과 스페이서(94)의 부작용 구멍(94b)과 부링크용부(8)의 제 2 링크용 부구멍(82)에, 제 2 핀(92)이 되는 1개의 금속제의 핀이 통과된다.
스페이서(94)는 링크용부(7)와 부링크용부(8)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용 구멍(71)과 제 1 링크용 부구멍(81) 사이에 개재하는 부분을 구비하지 않는다. 링크용부(7)와 부링크용부(8) 사이에는 스페이서(94)와 병행되어서 스프링 수용부(31)의 상기 작용 단부(35b)가 개재한다. 작용 단부(35b)의 상하의 폭은 스페이서(94)에 있어서의 링크용부(7)의 제 3 링크용 구멍(73)과 부링크용부(8)의 제 3 링크용 부구멍(83) 사이에 개재하는 부분의 상하폭을 초과하지 않는다. 작용 단부(35b)의 상하의 폭은 스페이서(94)의 상기 상하폭보다 약간 작다.
링크용부(7)의 제 1 링크용 구멍(71)과 바이어싱 수단(3)의 작용 단부(35b)의 제 1 링크용 구멍(35c)과 부링크용부(8)의 제 1 링크용 부구멍(81)에, 제 1 핀(91)이 되는 1개의 금속제의 핀이 통과된다.
링크용부(7)의 제 3 링크용 구멍(73)과 스페이서(94)의 보강용 구멍(94c)과 부링크용부(8)의 제 3 링크용 부구멍(83)에, 제 3 핀(93)이 되는 1개의 금속제의 핀이 통과된다.
상기에서 제 1 핀(91)과 제 2 핀(92)과 제 3 핀(92)은 회전축(41)을 둘러싸고, 각각 회전축(41)과 평행하게 신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핀(91)이 스프링 수용부(31)의 작용 단부(35b)의 제 1 링크용 구멍(35c)에 통과되는 것으로 제 1 핀(91)은 링크용부(7) 및 부링크용부(8)에 스프링 수용부(31)의 선단측, 즉 전달 부재(33)를 축지지한다.
또한, 제 2 핀(92)이 피스톤 로드(62)의 부작용 단부(64)의 제 2 링크용 구멍(65)에 통과되는 것으로 제 2 핀(92)은 링크용부(7) 및 부링크용부(8)에 피스톤로드(62)의 선단측을 축지지한다.
본 예에서는 상기의 링크용부(7), 부링크용부(8), 제 1 핀(91), 제 2 핀(92), 스프링 수용부(31)의(전달 부재(33)의) 작용 단부(35b)의 제 1 링크용 구멍(35c) 및 피스톤 로드(62)의 부작용 단부(64)의 제 2 링크용 구멍(65)이 암(4)과 스프링 수용부(31)(바이어싱 수단(3)의 전달 부재(33))와 피스톤 로드(62)(완충 수단(6))를 연동하는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제 1 핀(91)은 암(4)에 대한 바이어싱 수단(3)의 상기 작용점이 되고, 제 2 핀(92)은 암(4)에 대한 피스톤 로드(62)의 작용점(부작용점)이 된다. 제 3 핀(93)은 회전축(41)의 주위를 보강하는 보강용의 핀이다.
제 1 핀(91)과 제 2 핀(92)과 제 3 핀(92)에는 주지의 블라인드 리벳을 채용하고, 링크용부(7)와 부링크용부(8)에 상기 블라인드 리벳을 박는 것으로 제 1 핀(91)과 제 2 핀(92)과 제 3 핀(92)을 설치할 수 있다.
스페이서(94)의 외주면은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스페이서(94) 외주면의 다른 부위보다도 중심(중심 구멍(94a))으로부터의 거리가 큰 돌출부(95)를 구비한다.
돌출부(95)에는 돌출부(95)의 외주면으로부터 스페이서(94)의 중심, 즉 중심구멍(94a)측으로 후퇴하는 오목부가 록킹부(96)로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20)의 전측부(23)에는 케이스 본체(20)를 전후로 관통하는 노치구(23a)가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20)의 배측부(24)에는 케이스 본체(20)를 전후로 관통하는 부노치구(24a)가 형성되어 있다(도 16). 케이스 본체(20)의 배측부(24)에는 판 스프링(97)이 설치되어 있다. 판 스프링(97)은 기단측을 케이스 본체(20)의 배측부(24)의 내면에 고정되어 부노치부(24a)를 폐쇄한다.
판 스프링(97)에는 스페이서(94)의 상기 록킹부(96)에 끼워지는 것이 가능한 피록킹부(98)가 설치되어 있다(도 16 및 도 17). 피록킹부(98)는 기단을 케이스 본체(20)의 전측부(23)로 고정된 판 스프링(97)의 선단, 즉 판 스프링(97)의 자유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피록킹부(98)는 판 스프링(97)의 전면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판 스프링(97)이 구부러진 부위이다.
상기 각 핀(91∼93)의 부착에 의해, 스페이서(94)는 링크용부(7) 및 부링크부(8)와 일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암(4)의 회전에 따라 돌출부(95)의 방향이 변화되어 록킹부(96)는 변위한다.
암(4)이 기립한 상태일 때(도 12(A), 도 14(A) 및 도 15(A)), 록킹부(96)에 피록킹부(98)가 끼워지고, 암(4)은 상기 기립한 상태에 록(록킹)된다.
이 예에서는 바이어싱 수단(3)은 상시 암(4)을 케이스(2)(도어프레임(n))에 대하여 누운 방향으로 바이어싱하고 있다. 록킹부(96)로의 피록킹부(98)의 록킹에 의해, 기립한 암(4)은 바이어싱 수단(3)의 바이어싱에 의해서도 넘어지지 않고 기립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록킹부(96)에 피록킹부(98)가 록킹되어 수용 부재(1)(안내부(11))에 의해 안내되기 전의 암(4)의 방향이 고정되어, 도어체(m)가 도어프레임(n)의 폐쇄 위치에 접근했을 때, 확실하게 안내부(11)의 입구, 즉 상기 도입단(12)으로 피안내부(5)를 향할 수 있다.
(도어체 이동 장치(p)의 동작)
도어프레임(n)에 둘러싸여진 출입구로부터 사람을 출입시킬 수 있는, 도어체(m)가 도어프레임(n)으로부터 완전히 열린 상태에 있어서, 암(4)은 상기 피록킹부(98)의 록킹부(96)로의 록킹에 의해 케이스(2)의 전측면, 즉 도어프레임(n)의 전면으로부터 기립하고 있다(도 1(A), 도 2(A), 도 3(A), 도 4, 도 12(A), 도 14(A) 및 도 15(A)).
사람 손에 의해 도어체(m)를 도어프레임(n)을 향해 밀거나 또는 당김으로써, 피안내부(5)가 안내부(11)의 도입단(12)로부터 안내부(11)내로 침입하면, 피안내부(5)는 안내부(11)로 인도되어 안내부(11)를 따라 이동을 개시한다. 상기 이동의 개시에 의해, 피록킹부(98)가 록킹부(96)로부터 분리되고, 암(4)은 회전 가능해진다. 회전 가능해진 암(4)은 자동적으로 바이어싱 수단(3)의 바이어싱을 받아서 도어프레임(n)에 대하여 넘어진 방향으로 회전한다. 암(4)의 회전에 따른 롤러인 피안내부(5)는 홈인 안내부(11)를 따라 구르면서 안내부(11)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피안내부(5)의 상기 이동 중, 암(4)의 회전에 따른 피안내부(5)는 홈인 안내부(11)의 내벽을 압박해서 자동적으로 상기 도어프레임(n)측으로 안내부(11)를 끌어 당긴다. 상기 끌어 당김에 의해, 암(4)이 도어프레임(n)으로 넘어짐과 아울러, 안내부(11)를 구비하는 도어체(m)가 도어프레임(n)으로 끌어 당겨져, 사람 손이 떨어져도 폐쇄 위치로 도어체(m)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람 손에 의한 암(4)의 상기 초동의 회전에 의해 피록킹부(98)의 록킹부(96)로의 록킹이 해제되면, 암(4)은 바이어싱 수단(3)의 푸시 스프링(30)의 바이어싱에 의해 스프링 수용부(31)의 작용점으로부터 힘을 받아서 사람 손이 떨어져도 자동적으로 넘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암(4)의 회전에 의해 링크용부(7) 및 부링크용부(8)는 회전하고, 상기 스프링 수용부(31) 선단의 작용점은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약 90도 (약 1/4둘레) 주회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암(4)이 넘어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에 의해 피안내부(5)는 안내부(4)를 도어프레임(n)으로 끌어 당기고, 그 결과, 도어체(m)는 도어프레임(n)에 가까이 끌어 당겨져, 최종적으로 암(4)은 케이스(2), 즉 도어프레임(n)으로 넘어진 상태가 되고, 도어프레임(n)은 도어체(m)로 완전히 폐쇄된다.
도어체(m)로 도어프레임(n)이 완전히 폐쇄되어 암(4)이 완전히 넘어진 상태가 되어도, 바이어싱 수단(3)의 상기 넘어지는 방향으로의 암(4)으로의 바이어싱은 유지되어, 도어체(m)는 폐쇄 위치부터 불의로 개방되지 않는다.
또한, 케이스 본체(20)의 후측부(24)의 상기 부노치부(24a)는 암(4)의 기립에 의해 휘는 판 스프링(97)을 케이스 본체(20)의 외측으로 회피하는 회피 장소를 제공한다.
또한 암(4)의 회전 중 상기 작용 단부(35a) 또는 부작용 단부(64)가 전측면(23)과 접촉해서 암(4)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전측부(23)의 상기 노치구(23a)가 작용 단부(35a) 또는 부작용 단부(64)를 회피하는 회피 장소를 제공한다.
또한, 도어체(m)의 상기 이동의 각 과정에 있어서, 완충 수단(6)은 암(4)의 급격한 회전을 억제하도록 상기 부작용점에서 링크용부(7) 및 부링크용부(8)에 저항력을 작용시킨다.
(변경예)
도 11∼도 1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회전축(41)을 보강하는 보강용의 핀은 제 3 핀(93)의 1개뿐이었다. 즉, 회전축(41)은 제 1 핀(91)과 제 2 핀(92)과 제 3 핀(93)의 3개의 핀으로 둘러싸져 있었다.
그러나, 도어체 이동 장치(p)를 보다 컴팩트하게 형성하기 위해서, 각 핀(91∼93)을 가늘게 하는 경우, 회전축(41)의 보강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다른 핀(91∼93)과 함께 회전축(41)을 둘러싸는 보강용의 핀으로서, 제 4 핀(99)을 더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8).
상세하게는 링크용부(7)와 부링크용부(8)에 회전축용 구멍(70)이나 회전축용 부구멍(80)을 상기 다른 구멍과 함께 둘러싸는 제 4 링크용 구멍(74) 및 제 4 링크용 부구멍(84)을 형성하고, 제 4 핀(99)을 통과하는 것이다. 스페이서(94)에도 상기 제 4 핀(99)을 통과하는 구멍(부보강용 구멍(94d))을 형성해 두면 된다.
또한, 보강용의 핀은 상기 제 3 핀(93) 및 제 4 핀(99)의 2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컴팩트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제 5 핀을 추가하는 등 더욱 많은 보강용의 핀을 설치해서 실시해도 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스페이서(94)는 상기 중심 구멍(94a)을 대신하여 회전축(41)과의 접촉을 회피하는 공간부(94e)를 구비한다. 공간부(94e)는 스페이서(94)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후퇴하는 함몰 부분으로 형성된 공간이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어체 이동 장치(p)를 보다 컴팩트하게 형성하기 위해서, 피스톤 로드(62)의 상기 부작용 단부(64)의 전후 방향의 가동폭을 작게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11∼도 17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상기 제 2 핀(92)에 의해 완충 수단(6)의 부작용 단부(64)를 직접 링크용부(7)나 부링크용부(8)로 링크시키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완충 수단(6)의 부작용 단부(64)의 제 2 링크용 구멍(65)에, 중개 핀(92a)을 통하는 것으로 한다. 링크용부(7) 및 부링크용부(8)와 별체로 형성된 2매의 링크편(92b)의 일단을, 상기 중개 핀(92a)으로 부작용 단부(64)에 축지지한다(도 18 및 도 19). 그리고, 링크편(92b)의 다른 일단을, 상기 제 2 링크용 구멍(72) 및 제 2 링크용 부구멍(82)으로 통과시키는 상기 제 2 핀(92)에 의해 링크용부(7) 및 부링크용부(8)으로 축지지한다. 2매의 링크편(92b)은 각각 평면으로 볼 때, 원호 형상으로 신장되는 박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방의 링크편(92b)(이하 필요에 따라서 상부 링크편(92b)이라고 한다)의 일단이 상기 부작용 단부(64) 상에 배치되고, 또한 다른 일방의 링크편(92b)(이하, 필요에 따라서 하부 링크편(92b)이라고 한다)의 일단이 상기 부작용 단부(64) 아래에 배치되어서, 상하 양 링크편(92b)의 일단의 각각으로 중개 핀(92a)이 통과된다.
하부 링크편(92b)의 타단이 링크용부(7)의 상면에 겹쳐지고, 또한 상부 링크편(92b)의 타단이 부링크용부(8)의 하면에 겹쳐져서, 상하 양 링크편(92b)의 타단의 각각에 제 2 핀(92)이 통과된다.
완충 수단(6)은 상기 링크편(92b)을 통해서 부작용점이 되는 제 2 핀(92)에 저항력을 작용시킨다.
피스톤 로드(62)의 출몰에 의해, 링크편(92b)의 각각은, 링크용부(7)와 부링크용부(8)에 대하여 기복하고, 링크용부(7)와 부링크용부(8) 사이로부터 출몰한다.스페이서(94)와 링크용부(7) 사이, 스페이서(94)와 부링크용부(8) 사이에는 링크편(92b)의 각각을 수용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62)가 실린더(61)로부터 신장했을 때, 상기 간극에 링크편(92b)은 수용되어서, 하부 링크편(92b)의 거의 전체가 링크용부(7)의 상면에 겹치고, 상부 링크편(92b)의 거의 전체가 부링크용부(8)의 하면에 겹친다.
상기 링크편(92b)의 동작에 의해, 완충 수단(6)은 고정핀(63)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을 거의 하지 않고, 부작용 단부(64)는 링크용부(7) 및 부링크용부(8)(필요에 따라 링크용부(7)와 부링크용부(8)를 통합해서 회전 동작부라고 한다)를 향해서 대부분 직선 운동을 할뿐이다. 따라서, 상기 링크편(92b)을 사용함으로써, 케이스(2)의 전후 폭을 작게 형성할 수 있다(도 18 및 도 19).
본 예에서는 격벽부(29)가 케이스 본체(20) 내에 설치되어 있다(도 18 및 도 19(A)).
격벽부(29)은 케이스 본체(20)내를 좌우로 구획함으로써, 실린더(61)와 상기 회전 동작부를 구획한다. 격벽부(29)는 피스톤 로드(62)를 통해 또한 부작용 단부(64)의 상기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홈형상부(29a)를 구비한다. 홈형상부(29a)는 피스톤 로드(62)의 출몰에 따르는 링크편(92b)의 상기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서 전후에 폭을 넓히는 대폭 부분(29b)을 구비한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케이스 본체(20)는 상기 우단면부(25)를 구비하지 않고, 케이스 본체(20)의 상기 우단면부를 피봇용 부재(36)가 겸한다. 이 때문에,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도어체 이동 장치(p)는 푸시 스프링(30)의 강도 조정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도어체 이동 장치(p)는 도 11∼도 17에 나타낸 나사 수용편(37)이나 나사(38)를 구비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강도 조정 기구의 배제에 의해, 케이스(2)의 좌우 방향의 폭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케이스(2)의 우측 플랜지 형상부(20a)는 케이스 본체(20)가 아니고, 내판(28)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대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사항은 도 1∼도 17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같다.
(다른 변경예)
도시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이어싱 수단(3)은 상시 암(4)을 넘어뜨리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것으로 하고, 도어체(m)의 개방 시에 암(4)이 기립한 상태를 록킹부(96)로의 피록킹부(98)의 록킹에 의해 유지하는 것으로 했다. 이 밖에 도어프레임(n)이 개방되어 있을 때 바이어싱 수단(3)이 암(4)을 기립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해서 암(4)을 기립시키는 것으로 하고, 도어체(m)로 도어프레임(n)을 폐쇄할 때, 바이어싱 수단(3)의 상기 바이어싱에 저항하여 사람 손으로 도어체(m)를 도어프레임(n)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암(4)과 함께 링크용부(7)(및 부링크용부(8))를 회전시켜, 안내부(11) 내를 피안내부(5)가 이동하는 사이에 피안내부(5)의 가동범위 중 푸시 스프링(30)의 가장 압축되는 하사점을 상기 작용점이 통과하는 것으로 하고, 작용점의 상기 하사점 통과 후, 바이어싱 수단(3)의 바이어싱이 암(4)을 넘어뜨리는 방향으로 스위칭하고, 자동적으로 도어체(m)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내부(11)에 피안내부(5)가 침입하고 있는 사이, 푸시 스프링(30)의 가장 압축되는 최압축 점 ,즉 상기 하사점을 상기 작용점이 통과하도록 설정해서 도어프레임(n) 개방 시 암(4)을 기립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 수단(3)이 바이어싱하는 것으로 하는 경우, 상기 피록킹부(98)는 도어프레임(n) 폐쇄 시에 록킹부(96)로 록킹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완충 수단(6)에 대해서, 실린더(61)의 기단측이 고정핀(63)으로 케이스 본체(20)의 다른 일방의 끝면부에 축지지되어서, 피스톤로드(62)의 선단을 암(4)의 기단측을 향하는 것으로 하고, 피스톤 로드(62)의 선단에 부작용 단부(64)가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62)의 선단이 제 2 핀(92)으로 링크용부(7) 및 부링크용부(8)로 링크되는 것으로 했다. 이 밖에, 완충 수단(6)을 도시한 것과 좌우 반대로 해서 실시해도 된다. 즉, 피스톤 로드(62)의 선단이 고정핀(63)으로 케이스 본체(20)의 다른 일방의 끝면부에 축지지되어서, 실린더(61)의 기단측에 부작용 단부(64)가 설치되어 실린더(61)의 기단이 제 2 핀(92)으로 링크용부(7) 및 부링크용부(8)에 링크되는 것으로 해도 좋은 것이다.
도시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어체(m)가 우개방인지 좌개방인지에 의해, 수용 부재(1)의 위치나 수용 부재(1) 및 케이스(2)측의 각 부의 구성을 변경하면 된다. 예를 들면, 도 1∼3, 도 11에 나타내는 좌개방의 도어체(m)에서는 도 4∼도 7에 나타내는 좌개방용의 수용 부재(1)를 사용했지만, 우개방의 도어체(m)에 대해서는 도 13(B)에 나타내는 우개방용의 수용 부재(1)를 사용하면 된다. 도 13(A)의 수용 부재(1)에 대하여 도 13(B)의 수용 부재(1)는 좌우 경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도 1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가늘고 길다(가로로 긴) 케이스(2)를 도어프레임(n)에 가로로 부착하는 것으로 했지만, 도 20(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를 도어프레임(n)에 세로로 부착하는 것으로서 하여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내부를 도어체(m)측에 설치해서 피안내부를 도어프레임(n)측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했지만, 피안내부를 도어체(m)측에 설치해서 안내부를 도어프레임(n)측으로 설치하는 것으로서 하여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를 도어체(m)측에 설치하는 경우, 피안내부(5), 즉 롤러를 구비하는 암(4)이나 케이스(2)는 도어프레임(n)에 직접 설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프레임(n) 주변의 벽이나 천장에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피안내부(5)인 롤러를 구비하는 암(4)이나 케이스(2)를 도어체(m)측에 설치하는 경우도, 안내부는 도어프레임(n)에 직접 설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프레임(n) 주변의 벽이나 천장에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여닫이 도어에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을 예시했지만, 미닫이 도어에 본 발명에 따른 도어체 이동 장치를 실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가옥이나 빌딩 등의 건조물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형의 록커(locker)나 배전 박스, 조립식 창고 등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도 7에 나타내는 수용 부재(1)에 대해서도, 도 13(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도 4∼도 7과 좌우 경면 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우개방의 도어체(m)에 사용할 수 있다.
(총괄)
본 발명은 여닫이 도어 또는 미닫이 도어에 있어서 도어프레임(n)에 대하여 사람 손으로 도어체(m)를 폐쇄하는 경우에, 불충분한 폐쇄에 의해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어체(m)의 이동을 보조하는 도어체 이동 장치(p)에 있어서, 도어프레임(n)측과 도어체(m)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 안내부(11)와, 도어프레임(n)측과 도어체(m) 중 어느 타방에 설치된 피안내부(5)와, 피안내부(5)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수단(3)을 구비하고, 사람 손에 의한 도어체(m)의 상기 폐쇄에 있어서, 도어체(m)가 도어프레임(n)의 상기 폐쇄 위치에 접근하면, 피안내부(5)는 안내부(11)로 접촉해서 이동하기 시작하고 상기 이동 중 바이어싱 수단(3)의 바이어싱을 받아서 피안내부(5)는 도어프레임(n)측과 도어체(m) 중 상기 타방으로 더욱 접근하고, 피안내부(5)의 바이어싱 수단(3)의 바이어싱을 받은 상기 접근에 의해, 피안내부(5)가 안내부(11)를 도어프레임(n)측과 도어체(m)의 상기 타방으로 끌어 당겨서 안내부(11)의 상기 가까이 끌어 당김에 의해 도어체(n)를 상기 폐쇄 위치에 끌어 당겨서 상기 폐쇄를 완료하는 것이고, 바이어싱 수단(3)은 신장하는 방향으로 압박력을 발휘하는 푸시 스프링을 구비한 도어체 이동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도어체 이동 장치(p)는 회동하는 암 상(4)을 구비한 장치 본체(200)와, 암(4)을 수용하는 수용구(1)를 구비하고, 장치 본체(200)는 도어프레임측과 도어체 중 어느 일방에 고정되고, 수용구(1)는 도어프레임측과 상기 도어체중 어느 타방에 고정되고, 암(4)이 수용구(1)에 수용된 상태로 회동함으로써, 상기도어체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며, 수용구(1)는 암(4)의 선단을 수용하는 안내홈(11)을 구비하고, 암(4)의 선단은 안내홈(11)에 수용된 상태로 안내홈(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5)를 구비하고, 수용구(1)는 안내홈(11)의 상기 길이를 따라, 가이드 돌조(10)를 구비하고, 피스(5)는 가이드 돌조(10)에 접촉함으로써 안내홈(11)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는 탈락 방지부(50)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암(4) 선단의 피스(5)가 상기 안내홈(11)으로 안내되고 있는 사이, 피스(5)가 안내홈(11)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었다.
1 수용 부재
1a (수용 부재(1)의) 배면
1b (수용 부재(1)의) 저부
1c (수용 부재(1)의) 천부
2 케이스
3 바이어싱 수단
4 암
5 피안내부 (피스)
6 완충 수단
7 링크용부
8 부링크용부
10 가이드 돌조
11 안내부(안내홈)
12 (안내부(11)의) 도입단
13 가이드판
13a (가이드판(13)의) 노치 부분
14 (안내부(11)의) 바닥
14a (안내부(11)의) 소리발생 방지 쿠션
15 (안내부(11)의) 상면 개방부
20 (케이스 본체(20)의) 케이스 본체
21 (케이스 본체(20)의) 저판
22 (케이스 본체(20)의) 상측부
23 (케이스 본체(20)의) 전측부
23a (전측부(23)의) 노치구
24 (케이스 본체(20)의) 배측부
24a (배측부(24)의) 부노치구
25 (케이스 본체(20)의) 우단면부
26 (케이스 본체(20)의) 좌단면부
27 (저판(21)의) 통과부
27a (통과부 27의) 전변
28 내판
28a (내판(28)의) 저판부
28b (내판(28)의) 전판부
28c (내판(28)의) 배판부
28d (내판(28)의) 관통 구멍
28e (내판(28)의) 돌편
28f (내판(28)의) 관통부
29 격벽부
29a (격벽부(29)의) 홈형상부
29b (홈형상부(29a)의) 대폭 부분
30 (바이어싱 수단(3)의) 푸시 스프링
31 (바이어싱 수단(3)의) 스프링 수용부
32 (스프링 수용부(31)의) 기단측부
33 전달 부재(스프링 수용부(31)의 선단측부)
34 (기단측부(32)의) 접촉부
34a (접촉부(34)의) 접촉면
34b (접촉부(34)의) 원주면
34c (접촉부(34)의) 상축부
34d (접촉부(34)의) 하축부
35 (전달 부재(33)의) 부접촉면
35a (부접촉부(35)의) 부접촉면
35b (부접촉부(35)의) 작용단부
35c (부접촉부(35)의) 제 1 링크용 구멍
36 피봇용 부재
36a (피봇용 부재(36)의) 평판면
36b (피봇용 부재(36)의) 사면
36c (피봇용 부재(36)의) 베어링면
36d (피봇용 부재(36)의) 오목부
36e (피봇용 부재(36)의) 하면
36f (피봇용 부재(36)의) 덮개형상부
37 나사 수용편
37a 경사면
37b 나사 구멍
38 나사
38a (나사(38)의) 두부
41 회전축
50 탈락 방지부
61 (완충 수단(6)의) 실린더
62 (완충 수단(6)의) 피스톤 로드
63 (실린더(61)의) 고정핀
64 (피스톤 로드(62)의) 부작용 단부
65 (부작용 단부(64)의) 제 2 링크용 구멍
41 (암(4)의) 회전축
70 (링크용부(7)의) 회전축용 구멍
71 (링크용부(7)의) 제 1 링크용 구멍
72 (링크용부(7)의) 제 2 링크용 구멍
73 (링크용부(7)의) 제 3 링크용 구멍
80 (부링크용부(8)의) 회전축용 부구멍
81 (부링크용부(8)의) 제 1 링크용 부구멍
82 (부링크용부(8)의) 제 2 링크용 부구멍
83 (부링크용부(8)의) 제 3 링크용 부구멍
84 (부링크용부(8)의) 제4링크용 부구멍
91 제 1 핀
92 제 2 핀
92a 중개 핀
92b 링크편
93 제 3 핀
94 스페이서
94a (스페이서(4)의) 중심 구멍
94b (스페이서(40의) 부작용 구멍
94c (스페이서(4)의) 보강용 구멍
94d (스페이서(4)의) 부보강용 구멍
94e (스페이서(4)의) 공간부
95 돌출부
96 록킹부
97 판 스프링
98 피록킹부
99 제 4 핀
200 장치 본체
h (여닫이 도어) 힌지
m 도어체
m1 (도어체(m)의) 좌단면(자유단)
m2 (도어체(m)의) 우단면(축지지단)
m3 (도어체(m)의) 상단면(부착용 단)
m4 (도어체(m)의) 함몰부
m5 (도어체(m)의) 배면 개방 부분
m6 (도어체(m)의) 상면 개방 부분
n 도어프레임
n1 (도어프레임(n)의) 좌변부(폐쇄 위치)
n2 (도어프레임(n)의) 우변부(축지지용 단)
n3 (도어프레임(n)의) 상변부(부착용 면)
p 도어체 이동 장치
w (피봇용부(36)와 나사 수용편(37)의) 합계 폭

Claims (3)

  1. 회동하는 암을 구비한 장치 본체와, 상기 암을 수용하는 수용구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도어프레임측과 도어체 중 어느 일방에 고정되고,
    상기 수용구는 상기 도어프레임측과 상기 도어체 중 어느 타방에 고정되고,
    상기 암이 상기 수용구에 수용된 상태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도어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체 이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는 상기 암의 선단을 수용하는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암의 선단은 상기 안내홈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안내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구는 상기 안내홈의 상기 길이를 따라, 가이드 돌조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는 상기 가이드 돌조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안내홈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는 탈락 방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 이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도어프레임 본체와 상기 도어프레임 본체보다 돌출된 도어스톱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체를 닫았을 때에, 상기 도어체의 전면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상기도어스톱에 접촉하는 것이고,
    상기 수용구는 상기 도어체의 끝면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체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수용구의 전면은 상기 도어스톱에 은폐되는 상기 도어체의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에만 노출되어 전방으로부터는 상기 도어스톱과 상기 도어체만이 보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 이동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는 전면부와 끝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체에 노출되고,
    상기 끝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체의 상기 끝면에 노출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도어체의 상기 끝면에 노출되는 상면 개방부와, 상기 도어체의 상기 전면에 노출되는 전면 개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는 상기 전면 개방부에서부터 상기 안내홈으로 진입하고, 상기 상면 개방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고,
    상기 상면 개방부에 상기 가이드 돌조가, 상기 수용구의 수용구 본체와 일체 또는 별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 이동 장치.
KR1020200121274A 2020-09-21 2020-09-21 도어체 이동 장치 KR20220038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274A KR20220038904A (ko) 2020-09-21 2020-09-21 도어체 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274A KR20220038904A (ko) 2020-09-21 2020-09-21 도어체 이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904A true KR20220038904A (ko) 2022-03-29

Family

ID=8099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274A KR20220038904A (ko) 2020-09-21 2020-09-21 도어체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8904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7667B2 (ja) 2004-05-28 2009-09-09 マツ六株式会社 閉扉装置
JP2011026954A (ja) 2010-11-08 2011-02-10 Matsuroku Kk 戸体移動装置
JP4875875B2 (ja) 2005-09-22 2012-02-15 昭和スプリング株式会社 戸体閉鎖装置
JP5089208B2 (ja) 2006-03-20 2012-12-05 昭和スプリング株式会社 戸体移動装置
JP5401511B2 (ja) 2011-07-07 2014-01-29 昭和スプリング株式会社 戸体閉鎖装置
JP5437686B2 (ja) 2008-11-10 2014-03-12 マツ六株式会社 戸体移動装置
JP5437723B2 (ja) 2009-07-24 2014-03-12 マツ六株式会社 戸体移動装置
JP5690045B2 (ja) 2008-11-06 2015-03-25 マツ六株式会社 戸体移動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7667B2 (ja) 2004-05-28 2009-09-09 マツ六株式会社 閉扉装置
JP4875875B2 (ja) 2005-09-22 2012-02-15 昭和スプリング株式会社 戸体閉鎖装置
JP5089208B2 (ja) 2006-03-20 2012-12-05 昭和スプリング株式会社 戸体移動装置
JP5690045B2 (ja) 2008-11-06 2015-03-25 マツ六株式会社 戸体移動装置
JP5437686B2 (ja) 2008-11-10 2014-03-12 マツ六株式会社 戸体移動装置
JP5437723B2 (ja) 2009-07-24 2014-03-12 マツ六株式会社 戸体移動装置
JP2011026954A (ja) 2010-11-08 2011-02-10 Matsuroku Kk 戸体移動装置
JP5401511B2 (ja) 2011-07-07 2014-01-29 昭和スプリング株式会社 戸体閉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9928B2 (ja) 戸体移動装置
CN101068997B (zh) 用于提升滑动门窗的开启和关闭设备
US8215061B2 (en) Sliding door apparatus having a damping mechanism
US11352832B2 (en) Air tight door
GB2437530A (en) Door closer having hydraulic damper comprising compressible foam accumulator
JP5031706B2 (ja) 建具
JP4422786B1 (ja) 扉用シャッタ装置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20220038904A (ko) 도어체 이동 장치
JP4850128B2 (ja) 建具
JP2022535338A (ja) 建具の召合せ框の気密維持装置
JPH0765438B2 (ja) 高周波密封遮蔽扉
EP1891292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up sliding doors and windows
EP2171380B1 (de) Kältegerät
JP7176696B2 (ja) 戸体移動装置
KR102255003B1 (ko) 여닫이문 귀환장치
DE19749559A1 (de) Tür oder Fenster
JP4881700B2 (ja) 内倒し窓の傾斜角度調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内倒し窓
JP5154257B2 (ja) 移動間仕切り装置におけるドア付間仕切りパネル
JP5013537B2 (ja) 建物用スライドドア
JP6655315B2 (ja) 扉用シャッタ装置
CN110998051B (zh) 用于对用于家具件等的门翼的打开/闭合进行控制的设备
JPH084445A (ja) ドアの気密保持装置
JP7384650B2 (ja) 止水装置
JP7060472B2 (ja) 建具
JPH10121831A (ja) 自閉式の上吊り引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