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859A -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859A
KR20220031859A KR1020217039512A KR20217039512A KR20220031859A KR 20220031859 A KR20220031859 A KR 20220031859A KR 1020217039512 A KR1020217039512 A KR 1020217039512A KR 20217039512 A KR20217039512 A KR 20217039512A KR 20220031859 A KR20220031859 A KR 20220031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olten glass
inlet
upper electrod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사쿠 타마무라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31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4Automatically regulating the melting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18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 C03B5/187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with mov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25Ref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35Heating the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7/00Distributors for the molten glass; Means for taking-off charges of molten glass; Producing the gob, e.g. controlling the gob shape, weight or delivery tact
    • C03B7/02Forehearths, i.e. feeder chan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7/00Distributors for the molten glass; Means for taking-off charges of molten glass; Producing the gob, e.g. controlling the gob shape, weight or delivery tact
    • C03B7/02Forehearths, i.e. feeder channels
    • C03B7/06Means for thermal condition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glass
    • C03B7/07Electric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은, 용융로(1)에서 용융 유리(Gm)를 생성하는 용융 공정과, 용융로(1)에서 생성된 용융 유리(Gm)의 상태를 상태 조정조(6)로 조정하는 상태 조정 공정과, 상태 조정조(6)로 상태가 조정된 용융 유리(Gm)를 성형 장치(3)로 유리 물품으로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구비한다. 상태 조정조(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12)와, 본체부(11)의 하부에 형성된 유출구(13)와, 본체부(11)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전극(15), 중간부 전극(16) 및 하부 전극(17)을 구비한다. 상태 조정 공정에서는 상부 전극(15)과 중간부 전극(16) 사이에 통전함과 아울러, 중간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7) 사이에 통전한다.

Description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본 발명은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 물품의 제조공정에서는 용융로에서 용융 유리를 생성한 후에 용융로에서 생성된 용융 유리를 상태 조정조로 성형에 적합한 상태로 조정하고, 그 상태가 조정된 용융 유리를 성형 장치로 유리 물품으로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상태 조정조로 용융 유리의 상태를 조정할 때,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태 조정조의 통전가열이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 상태 조정조로부터 성형 장치에 공급되는 용융 유리의 유량(점도)이 조정된다.
일본 특허공개 2016-8875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7-14067호 공보
상태 조정조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통형상의 본체부를 갖는다. 특허문헌 2에는 구체적인 통전가열의 방법은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체부의 통전가열의 조정이 불충분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즉, 용융 유리의 유량을 감소시켰을 때에 본체부의 내부에서 액면 부근의 용융 유리의 온도가 저하되어 실투(결정화)가 생기기 쉬워진다. 이러한 실투는 액면 부근에 이질 유리층(예를 들면 크리스토발라이트)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실투에 따른 이질 유리층이 용융 유리에 혼입되어 성형 장치에 공급되면, 제조되는 유리 물품에 결함이 생기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체부의 통전가열의 조정이 불충분한 경우, 실투의 발생을 억제하고자 하면, 용융 유리의 유량의 조정 가능 범위는 필연적으로 매우 좁아진다. 그 결과, 상태 조정조에 있어서, 용융 유리의 유량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태 조정조에 있어서, 용융 유리의 실투를 억제하면서, 용융 유리의 유량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은 용융로에서 용융 유리를 생성하는 용융 공정과, 용융로에서 생성된 용융 유리의 상태를 상태 조정조로 조정하는 상태 조정 공정과, 상태 조정조로 상태가 조정된 용융 유리를 성형 장치로 유리 물품으로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구비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태 조정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부 측방에 형성된 용융 유리의 유입구와,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용융 유리의 유출구와, 본체부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전극, 중간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태 조정 공정에서는 상부 전극과 중간부 전극 사이에 통전함과 아울러, 중간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상부 전극과 중간부 전극 사이의 통전에 의해, 본체부의 내부에서 액면 부근의 용융 유리를 가열해서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액면 부근의 용융 유리의 실투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중간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의 통전량을 조정하면, 액면 부근의 용융 유리의 온도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용융 유리의 유량조정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체부는 유입구가 형성된 대경부와, 대경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또한 하방으로 이행함에 따라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축경부와, 축경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또한 유출구가 형성된 소경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대경부로부터 축경부를 개재해서 소경부로 이행하면, 용융 유리의 유로 단면적이 작아지므로, 용융 유리의 유량을 조정하기 쉬워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중간부 전극은 축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경부는 소경부보다도 통형상부의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통전시에 대경부 및 소경부에 같은 전압을 인가하면, 대경부의 전류밀도는 작고, 소경부의 전류밀도는 커진다. 그 결과, 소경부의 발열이 지나치게 커져, 파손에 이를 우려가 있다. 이것을 저감하기 위해서, 중간부 전극은 대경부의 하부, 축경부 또는 소경부의 상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구성과 같이, 중간부 전극을 축경부에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소경부에 있어서, 통전시에 대경부와 같은 전압이 인가되는 범위가 매우 작아지거나 완전히 없어지므로, 소경부의 발열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부 전극과 중간부 전극 사이의 통전량이 중간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의 통전량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본체부의 내부에 있어서의 액면 부근의 용융 유리의 실투를 확실하게 억제하면서, 용융 유리의 유량을 좁힐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태 조정 공정에서는 통전시에 공급하는 교류 전류의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중간부 전극에 흐르는 전류가 (A2+B2+AB)1/2>C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는 상부 전극과 중간부 전극 사이의 본체부에 흐르는 최대 전류, B는 중간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의 본체부에 흐르는 최대 전류, C는 중간부 전극에 흐르는 최대 전류이다.
이렇게 통전시에 공급하는 교류 전류의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상부 전극과 중간부 전극 사이에 통전할 때와, 중간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통전할 때의 양쪽에서 사용되는 중간부 전극(공통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부 전극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식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통전시에 공급하는 교류 전류의 위상(상부 전극과 중간부 전극 사이의 본체부에 흐르는 전류와, 중간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의 본체부에 흐르는 전류의 위상차)을 조정하면, 중간부 전극에 흐르는 전류가 적절하게 작아진다. 그 때문에 통전시에 공통 전극이 되는 중간부 전극에 대전류가 흐르고, 중간부 전극이 용손(예를 들면 용단 등)된다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부 전극은 유입구보다도 상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부 전극과 중간부 전극 사이에 통전했을 때에 본체부의 내부에 있어서의 액면 부근의 용융 유리를 효율 좋게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태 조정조는 유입구에 접속된 통형상의 유입부와, 유입부에 형성된 유입부 전극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태 조정 공정에서는 유입부 전극과 상부 전극 사이에 통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유입부 전극과 상부 전극 사이의 통전에 의해, 본체부의 내부에서 액면 부근의 용융 유리를 효율 좋게 가열할 수 있다. , 상부 전극을 유입구보다도 상방에 형성하는 경우, 상기 유입부 전극과 상부 전극 사이의 통전과, 전술의 상부 전극과 중간부 전극 사이의 통전에 의해, 본체부의 내부에서 액면 부근의 용융 유리가 2중으로 가열되어서 고온으로 유지되기 쉬워지므로, 액면 부근의 용융 유리의 실투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유입부에 유입부 전극을 형성할 경우, 상태 조정 공정에서는 통전시에 공급하는 교류 전류의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상부 전극에 흐르는 전류가 (D2+E2+DE)1/2≤F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D는 유입부 전극과 상부 전극 사이의 본체부에 흐르는 최대 전류, E는 상부 전극과 중간부 전극 사이의 본체부에 흐르는 최대 전류, F는 상부 전극에 흐르는 최대 전류이다.
이렇게 통전시에 공급하는 교류 전류의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유입부 전극과 상부 전극 사이에 통전할 때와, 상부 전극과 중간부 전극 사이에 통전할 때의 양쪽에서 사용되는 상부 전극(공통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전극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식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통전시에 공급하는 교류 전류의 위상(유입부 전극과 상부 전극 사이의 본체부에 흐르는 전류와, 상부 전극과 중간부 전극 사이의 본체부에 흐르는 전류의 위상차)을 조정하면, 상부 전극에 흐르는 전류가 적절하게 커진다. 그 때문에 통전시에 공통 전극이 되는 상부 전극이나 대경부의 상부에 흐르는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본체부의 내부에 있어서의 액면 부근의 용융 유리를 효율 좋게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태 조정 공정에서는 유입구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용융 유리의 액면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본체부의 내부에 있어서의 액면 부근의 용융 유리가 유입구로부터 본체부의 내부에 유입하는 용융 유리에 의해 흘러가게 된다. 그 때문에 본체부의 내부에 있어서, 액면 부근의 용융 유리가 장시간 정체해서 실투된다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은 용융 유리를 생성하는 용융로와, 용융로에서 생성된 용융 유리의 상태를 조정하는 상태 조정조와, 상태 조정조에서 상태가 조정된 용융 유리로 유리 물품으로 성형하는 성형 장치를 구비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태 조정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부 측방에 형성된 용융 유리의 유입구와,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용융 유리의 유출구와, 본체부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전극, 중간부 전극 및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과 중간부 전극 사이에 통전 가능한 제 1 전기회로와, 중간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통전 가능한 제 2 전기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대응하는 구성과 같은 작용 효과를 향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태 조정조에 있어서, 용융 유리의 실투를 억제하면서, 용융 유리의 유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상태 조정조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상태 조정조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상태 조정조 주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성의 일부분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 당해 구성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해서 설명한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명시하고 있는 구성의 조합 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생기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아도 복수의 실시형태의 구성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내듯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는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용융로(1)와, 이송 장치(2)와, 성형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용융로(1)는 용융 유리(Gm)를 연속 형성하는 용융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용융로(1)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Gm)(또는 유리 원료)의 가열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통전가열만으로 가열하는 방식(전체 전융 방식), 가스 연료의 연소만으로 가열하는 방식, 통전가열과 가스 연료의 연소를 병용해서 가열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융 유리(Gm)는 무알칼리 유리로 이루어진다. 무알칼리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예를 들면 질량%로 SiO2 50∼70%, Al2O3 12∼25%, B2O3 0∼12%, Li2O+Na2O+K2O(Li2O, Na2O 및 K2O의 합량) 0∼1% 미만, MgO 0∼8%, CaO 0∼15%, SrO 0∼12%, BaO 0∼15%를 포함한다. 무알칼리 유리로 이루어지는 용융 유리(Gm)의 전기저항율은 일반적으로 높고, 예를 들면 용융로(1)의 가열온도 1500℃에 있어서 100Ω·cm 이상이 된다.
용융 유리(Gm)는 무알칼리 유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소다 유리, 소다라임 유리, 붕규산 유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알칼리 함유 유리 등이어도 좋다.
이송 장치(2)는 용융로(1)로부터 성형 장치(3)를 향해서 용융 유리(Gm)를 이송하는 이송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고, 필요에 따라 통전 가열된다. 이송 장치(2)는 청징조(4)와, 교반조(5)와, 상태 조정조(포트)(6)와, 이들 각 부를 접속하는 접속관(7∼1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청징조(4) 등의 「조」라는 용어에는 조형상 구조를 갖는 것 외에 관형상 구조를 갖는 것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청징조(4)는 용융로(1)로부터 공급된 용융 유리(Gm)를 청징제 등의 작용에 의해 청징(기포 제거)하는 청징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교반조(5)는 청징된 용융 유리(Gm)를 교반 날개(5a)에 의해 교반하고, 균일화하는 균질화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교반조(5)는 복수의 교반조를 이어놓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인접하는 2개의 교반조의 일방의 상부와, 타방의 하부를 접속관으로 이어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태 조정조(6)는 용융 유리(Gm)를 성형에 적합한 상태로 조정하는 상태 조정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태 조정조(6)는 교반 날개 등의 기계 교반 수단이 없는 조이며, 이송 장치(2)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조를 갖는 경우, 가장 하류측에 위치한다. 바꿔 말하면, 상태 조정조(6)는 성형 장치(3)의 바로 앞에서 용융 유리(Gm)의 유량이나 점도 등을 조정하는 조이다.
접속관(7∼10)은 예를 들면 백금 또는 백금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통형상체(예를 들면 원통체)로 구성되어 있고, 용융 유리(Gm)를 횡 방향(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송 장치(2) 중 최상류부에 위치하는 접속관(7) 및 교반조(5)와 상태 조정조(6)를 접속하는 접속관(9)은 하류측이 상류측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성형 장치(3)는 용융 유리(Gm)를 소망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성형 장치(3)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Gm)로 유리 리본(G)을 연속 성형하는 성형체를 구비하고 있다.
성형 장치(3)는 슬롯 다운드로우법 등의 다른 다운드로우법이나, 플로트법 등,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이외의 공지의 성형 방법을 실시하는 것이어도 좋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의 경우, 성형 장치(3)에 공급된 용융 유리(Gm)는 성형 장치(3)의 정부에 형성된 홈부로부터 흘러 넘쳐 나온 용융 유리(Gm)가 성형 장치(3)의 단면 쐐기형상을 이루는 양측면을 따라 이동해서 하단에서 합류함으로써 판형상의 유리 리본(G)이 연속 성형된다. 성형된 유리 리본(G)은 서냉(어닐) 및 냉각된 후에 소정 사이즈로 절단되고, 유리 물품으로서의 판유리가 제조된다.
제조된 판유리는 예를 들면 두께가 0.01∼10mm(바람직하게는 0.1∼3mm)이며,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유기 EL 조명, 태양 전지 등의 기판이나 보호 커버에 이용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상태 조정조(6)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통형상의 본체부(11)와,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용융 유리의 유입구(12)와, 본체부(11)의 하부에 형성된 용융 유리(Gm)의 유출구(13)와, 통형상의 유입부(14)를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유입구(12)는 본체부(11)의 상부 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유출구(13)는 본체부(11)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출구(13)는 유입구(12)보다도 하방이면 좋고, 예를 들면 본체부(11)의 하부 측방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유입구(12)에는 횡 방향으로 신장하는 통형상(예를 들면 원통형상)의 유입부(14)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유입부(14)의 상류측 단부에는 접속관(9)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유출구(13)는 유출부로서의 접속관(10)의 일단의 개구부(10a)로부터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본체부(11)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의 각각에는 상부 전극(15), 중간부 전극(16) 및 하부 전극(17)이 형성되어 있다. 유입부(14)의 상류측 단부에는 유입부 전극(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전극(15∼18)은 예를 들면 백금 또는 백금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링형상의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본체부(11) 또는 유입부(14)의 외주면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전극(15∼18)은 후술하는 전기회로(19,21,23)를 접속하기 위한 인출 전극(예를 들면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이나, 냉각 기구(예를 들면 수냉)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1)는 유입구(12)가 형성된 대경부(11a)와, 대경부(11a)의 하단에 연결되고 또한 하방으로 이행함에 따라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축경부(11b)와, 축경부(11b)의 하단에 연결되고 또한 유출구(13)가 형성된 소경부(11c)를 구비하고 있다. 또, 대경부(11a) 및 소경부(11c)는 예를 들면 원통체이며, 축경부(11b)는 예를 들면 원뿔체이다. 대경부(11a)의 내경은 예를 들면 소경부(11c)의 내경의 1.5∼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전극(15)은 대경부(11a)에 형성되어 있지만, 유입구(12)보다도 상방(도시예에서는 대경부(11a)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상부 전극(15)은 본체부(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Gm)의 액면(Gs)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부 전극(16)은 대경부(11a)의 하부, 축경부(11b) 또는 소경부(11c)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부 전극(16)은 축경부(11b)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축경부(11b)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중간부 전극(16)의 위치는 상부 전극(15)과 하부 전극(17) 사이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 전극(17)은 소경부(11c)에 형성되어 있지만, 소경부(11c)의 하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전극(15)과 중간부 전극(16) 사이에는 이들 전극(15,16) 사이에 통전하기 위한 제 1 전기회로(19)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전기회로(19)는 전류 공급 경로이다. 제 1 전기회로(19)에는 상부 전극(15)과 중간부 전극(16)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전원(전압원)(20)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7) 사이에는 이들 전극(16,17) 사이에 통전하기 위한 제 2 전기회로(2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전기회로(21)는 전류 공급 경로이다. 제 2 전기회로(21)에는 중간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7)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전원(전압원)(2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중간부 전극(16)은 제 1 전기회로(19) 및 제 2 전기회로(21)의 양쪽에서 사용되는 공통 전극이다.
유입부 전극(18)과 상부 전극(15) 사이에는 이들 전극(18,15) 사이에 통전하기 위한 제 3 전기회로(2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3 전기회로(23)는 전류 공급 경로이다. 제 3 전기회로(23)에는 유입부 전극(18)과 상부 전극(15)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 3 전원(전압원)(2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3 전기회로(23)(제 3 전원(24))는 생략해도 좋지만, 액면(Gs) 부근의 용융 유리(Gm)의 실투를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제 3 전기회로(23)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전극(15)은 제 1 전기회로(19) 및 제 3 전기회로(23)의 양쪽에서 사용되는 공통 전극이다.
또, 각 전기회로(19,21,23)(각 전원(20,22,24))는 인가하는 전압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조 장치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용융 공정과, 이송 공정과, 성형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이송 공정은 청징 공정과, 균질화 공정과, 상태 조정 공정을 포함한다. 이 중, 용융 공정, 청징 공정, 균질화 공정 및 성형 공정은 상술의 제조 장치의 구성에 맞춰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태 조정 공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상태 조정 공정에서는 교반조(5)로 균질화된 용융 유리(Gm)가 접속관(9) 및 유입부(14)를 통해서, 유입구(12)로부터 상태 조정조(6)의 본체부(11)에 공급된다. 본체부(11)에 공급된 용융 유리(Gm)는 전극(15∼18)에 의해 통전 가열되면서, 대경부(11a), 축경부(11b) 및 소경부(11c)의 순서로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사이에 용융 유리(Gm)의 유량이나 점도 등이 성형 장치(3)에 공급하는데에 적합한 상태로 조정된다. 그리고, 상태가 조정된 용융 유리(Gm)가 유출구(13)로부터 유출되고, 유출부로서의 접속관(10)을 통해서 성형 장치(3)에 공급된다.
상태 조정 공정에서는 제 1 전기회로(19) 및 제 2 전기회로(21)에 의해, 상부 전극(15)과 중간부 전극(16) 사이, 및 중간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7) 사이에 각각 통전된다. 즉, 제 1 전기회로(19)에 의해 상부 전극(15)과 중간부 전극(16) 사이에 통전하면, 본체부(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액면(Gs) 부근의 용융 유리(Gm)가 가열되어서 고온으로 유지되므로, 액면(Gs) 부근의 용융 유리(Gm)의 실투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전기회로(21)는 제 1 전기회로(19)로부터 독립되어 있고, 통전량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2 전기회로(21)에 의해 중간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7) 사이의 통전량을 조정하면, 본체부(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액면(Gs) 부근의 용융 유리(Gm)의 온도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용융 유리(Gm)의 유량조정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상부 전극(15)과 중간부 전극(16) 사이의 통전량(전류값)은 중간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7) 사이의 통전량(전류값)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부 전극(15)과 중간부 전극(16) 사이의 통전량을 X[A], 중간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7) 사이의 통전량을 Y[A]로 한 경우, X/Y는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통전시에 대경부(11a) 및 소경부(11c)에 같은 전압을 인가하면, 대경부(11a)의 전류밀도는 작고, 소경부(11c)의 전류밀도는 커지므로, 소경부(11c)의 발열이 지나치게 커져, 파손에 이를 우려가 있다. 이것을 저감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부 전극(16)이 축경부(11b)에 형성되어 있고, 소경부(11c)에 대해서 대경부(11a)와 같은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중간부 전극(16)이 대경부(11a)의 하부, 소경부(11c)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중간부 전극(16)이 축경부(11b)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것은 중간부 전극(16)을 축경부(11b)에 형성한 경우, 용융 유리(Gm)의 저류량이 상대적으로 큰 대경부(11a)의 넓은 범위에 고전압을 확실하게 인가할 수 있고, 용융 유리(Gm)의 유량이나 점도를 조정함에 있어서도 효율이 좋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전기회로(23)에 의해, 유입부 전극(18)과 상부 전극(15) 사이에도 통전된다. 이것에 의해, 유입부 전극(18)과 상부 전극(15) 사이의 통전과, 상부 전극(15)과 중간부 전극(16) 사이의 통전에 의해, 본체부(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액면(Gs) 부근의 용융 유리가 2중으로 가열되므로, 액면(Gs) 부근의 용융 유리(Gm)의 실투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입부 전극(18)과 상부 전극(15) 사이의 통전량을 Z[A], 상부 전극(15)과 중간부 전극(16) 사이의 통전량을 X[A]로 한 경우, Z/X는 0∼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로 상태 조정조(6)에 공급된 용융 유리(Gm)를 통전가열하는 사이, 본체부(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Gm)의 액면(Gs)은 유입구(12)의 상단(12a)과 하단(12b) 사이의 영역(H)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액면(Gs) 부근의 용융 유리(Gm)가 유입구(12)로부터 본체부(11)에 유입되는 용융 유리(Gm)에 의해 흘러가게 된다. 그 때문에 액면(Gs) 부근의 용융 유리(Gm)가 장시간 정체해서 실투된다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용융 유리(Gm)의 유량(점도)을 조정함으로써 용융 유리(Gm)의 액면(Gs)의 높이는 조정할 수 있다. 즉, 유입부 전극(18)과 상부 전극(15) 사이의 통전량, 상부 전극(15)과 중간부 전극(16) 사이의 통전량 및 중간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7) 사이의 통전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용융 유리(Gm)의 액면(Gs)의 높이는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액면(Gs)의 용융 유리(Gm)의 온도(MT)[℃]는 용융 유리(Gm)의 액상온도를 LT[℃]로 한 경우, LT+100℃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유리(Gm)의 액상온도(LT)는 용융체와 결정의 최초 상 사이의 평형 온도이며, 액상온도(LT) 이상에서는 이론상, 결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액상온도」는 표준체 30메시(500㎛)를 통과하고, 50메시(300㎛)에 남는 유리 분말을 백금 보트에 넣어서, 온도 구배로 중에 24시간 유지한 후, 백금 보트를 취출하고, 결정이 석출되는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액면(Gs)의 용융 유리(Gm)의 온도(MT)는 적외 방사 온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3에 나타내듯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태 조정조(6) 및 상태 조정 공정의 변형예를 예시한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위상 조정부(2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점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원(20)에 의해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부 전극(15)과 중간부 전극(16)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부(11)의 대경부(11a) 및 축경부(11b)에 공급되는 제 1 교류 전류를 i1, 제 2 전원(22)에 의해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중간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7)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부(11)의 축경부(11b) 및 소경부(11c)에 공급되는 제 2 교류 전류를 i2로 한다. 또한 제 1 교류 전류(i1) 및 제 2 교류 전류(i2)의 공급에 의해, 중간부 전극(16)에 흐르는 제 3 교류 전류를 i3으로 한다.
상태 조정조(6)에는 제 1 교류 전류(i1)와 제 2 교류 전류(i2)의 위상차(θ1)를 조정하는 위상 조정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위상 조정부(25)는 제 1 전원(20) 및 제 2 전원(22)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전원(20), 제 2 전원(22) 및 위상 조정부(25)는 예를 들면 3상 교류 전원에 의해 구성된다. 3상 교류 전원의 경우, 접속단자를 적당하게 변경함으로써(예를 들면 TR, RT, RS, SR 등), 제 1 교류 전류(i1)와 제 2 교류 전류(i2)의 위상차(θ1)를 조정할 수 있다.
위상 조정부(25)는 제 1 교류 전류(i1)의 최대값을 A, 제 2 교류 전류(i2)의 최대값을 B, 제 1 교류 전류(i1) 및 제 2 교류 전류(i2)의 공급에 의해 중간부 전극(16)에 흐르는 제 3 교류 전류(i3)의 최대값을 C로 한 경우에, 제 3 교류 전류(i3)가 하기의 식(1)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 1 교류 전류(i1) 및 제 2 교류 전류(i2)의 위상차(θ1)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태 조정 공정에 있어서, 제 3 교류 전류(i3)가 하기의 식(1)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 1 교류 전류(i1) 및 제 2 교류 전류(i2)의 위상차(θ1)를 조정한다.
(A2+B2+AB)1/2>C…(1)
여기에서, i1=Asinωt, i2=Bsin(ωt+θ1), i3=i1-i2라고 정의한다. 또, ω는 각속도, t는 시간, θ1은 제 1 교류 전류(i1)에 대한 제 2 교류 전류(i2)의 위상차이다. 위상차(θ1)는 제 1 교류 전류(i1)의 위상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 있어서 각 전류의 방향을 정의하고 있으므로, 중간부 전극(16)이 붙어 있는 부분(본체부(11)와의 접합부)을 분기점이라고 생각한 경우, 분기점에의 유입 전류는 i1, 분기점으로부터의 유출 전류는 i2 및 i3이 되므로, 제 3 교류 전류(i3)는 키르히호프의 법칙으로부터 상기와 같이 「i1-i2」로 나타내어진다.
이 경우, 제 3 교류 전류(i3)는 삼각함수의 가법 정리로부터 하기의 식(2)으로 나타낼 수 있다.
i3=Asinωt-Bsin(ωt+θ1)
=(A-Bcosθ1)sinωt-Bsinθ1cosωt…(2)
또한, 식(2)은 삼각함수의 합성 공식으로부터 하기의 식(2)'으로 나타낼 수 있다.
i3={(A-Bcosθ1)2+B2sin2θ1}1/2sin(ωt-α)
=(A2+B2-2ABcosθ1)1/2sin(ωt-α)… (2)'
단, sinα=Bsinθ1/(A2+B2-2ABcosθ1)1/2이며, cosα=(A-Bcosθ1)/(A2+B2-2ABcosθ1)1/2이다.
-1≤sin(ωt-α)≤1이므로, sin(ωt-α)=1일 때에 식(2)'은 최대값을 나타낸다. 즉, 제 3 교류 전류(i3)의 최대값(C)은 하기의 식(3)으로 나타내어진다.
C=(A2+B2-2ABcosθ1)1/2…(3)
이렇게 제 1 교류 전류(i1)와 제 2 교류 전류(i2)의 위상차(θ1)를 조정함으로써, 중간부 전극(16)에 흐르는 제 3 교류 전류(i3)의 크기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교류 전류(i3)가 상기 식(1)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 1 교류 전류(i1)와 제 2 교류 전류(i2)의 위상차(θ1)를 조정하면, 중간부 전극(16)에 흐르는 제 3 교류 전류(i3)가 적절하게 작아지고, 중간부 전극(16)이나 중간부 전극(16) 근방의 상태 조정조(6)의 용손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위상 조정부(25)는 하기의 식(4)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 1 교류 전류(i1) 및 제 2 교류 전류(i2)의 위상차(θ1)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C=0A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A2+B2-AB)1/2≥C…(4)
여기에서, 위상차(θ1)는 -120°<θ1<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θ1≤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식(1)의 좌변은 θ1=120°(또는 -120°)일 때의 식(3)의 값이며, 식(4)의 좌변은 θ1=60°(또는 -60°)일 때의 식(3)의 값이다.
제 1 교류 전류(i1)의 최대값(A)과 제 2 교류 전류(i2)의 최대값(B)은 다른 값이어도 좋고, 같은 값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식(1) 또는 (4)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위상차(θ1)와 함께, 제 1 교류 전류(i1)의 최대값(A) 및 제 2 교류 전류(i2)의 최대값(B)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도 4에 나타내듯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상태 조정조(6) 및 상태 조정 공정의 변형예를 예시한다. 또,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위상 조정부(25)가 제 1 전원(20) 및 제 2 전원(22)에 추가해서 제 3 전원(24)에도 접속되어 있다. 이 점이 제 2 실시형태와 상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원(20)에 의해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부 전극(15)과 중간부 전극(16)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부(11)의 대경부(11a) 및 축경부(11b)에 공급되는 제 1 교류 전류를 i1, 제 3 전원(24)에 의해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입부 전극(18)과 상부 전극(15) 사이에 위치하는 유입부(14) 및 본체부(11)의 대경부(11a)에 공급되는 제 4 교류 전류를 i4로 한다. 또한 제 1 교류 전류(i1) 및 제 4 교류 전류(i4)의 공급에 의해 상부 전극(15)에 흐르는 제 5 교류 전류(i5)로 한다.
위상 조정부(25)는 제 1 전원(20), 제 2 전원(22) 및 제 3 전원(24)에 접속되어 있고, 제 1 교류 전류(i1)와 제 2 교류 전류(i2)의 위상차(θ1)와, 제 1 교류 전류(i1)와 제 4 교류 전류(i4)의 위상차(θ2)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전원(20), 제 2 전원(22), 제 3 전원(24) 및 위상 조정부(25)는 예를 들면 3상 교류 전원에 의해 구성된다.
위상 조정부(25)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식(1) 또는 (4)를 만족하도록, 제 1 교류 전류(i1)와 제 2 교류 전류(i2)의 위상차(θ1)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상 조정부(25)는 제 1 교류 전류(i1)와 제 4 교류 전류(i4)의 위상차(θ2)는 다음과 같이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위상 조정부(25)는 제 1 교류 전류(i1)의 최대값을 D(제 2 실시형태의 A와 동일), 제 4 교류 전류(i4)의 최대값을 E, 제 1 교류 전류(i1) 및 제 4 교류 전류(i4)의 공급에 의해 상부 전극(15)에 흐르는 제 5 교류 전류(i5)의 최대값을 F로 한 경우에 제 5 교류 전류(i5)가 하기의 식(5)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 1 교류 전류(i1) 및 제 4 교류 전류(i4)의 위상차(θ2)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태 조정 공정에 있어서, 제 3 교류 전류(i3)가 상기 식(1)(또는 식(4))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 1 교류 전류(i1) 및 제 2 교류 전류(i2)의 위상차(θ1)를 조정함과 아울러, 제 5 교류 전류(i5)가 하기의 식(5)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 1 교류 전류(i1) 및 제 4 교류 전류(i4)의 위상차(θ2)를 조정한다.
(D2+E2+DE)1/2≤F…(5)
여기에서, i1=Dsinωt, i4=Esin(ωt+θ2), i5=i4-i1이라고 정의한다. 또, ω는 각속도, t는 시간, θ2는 제 1 교류 전류(i1)에 대한 제 4 교류 전류(i4)의 위상차이다. 위상차(θ2)는 제 1 교류 전류(i1)의 위상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 있어서 각 전류의 방향을 정의하고 있으므로, 상부 전극(15)이 붙어 있는 부분(본체부(11)와의 접합부)을 분기점이라고 생각한 경우, 분기점에의 유입 전류는 i4, 분기점으로부터의 유출 전류는 i1 및 i5가 되므로, 제 5 교류 전류(i5)는 키르히호프의 법칙으로부터 상기와 같이 「i4-i1」로 나타내어진다.
이 경우, 제 5 교류 전류(i5)는 삼각함수의 가법 정리로부터 하기의 식(6)으로 나타낼 수 있다.
i5=Esin(ωt+θ2)-Dsinωt
=(Ecosθ2-D)sinωt+Esinθ2cosωt…(6)
또한, 식(6)은 삼각함수의 합성 공식으로부터 하기의 식(6)'으로 나타낼 수 있다.
i5={(Ecosθ2-D)2+E2sin2θ2}1/2sin(ωt+β)
=(D2+E2-2DEcosθ2)1/2sin(ωt+β) … (6)'
단, sinβ=Esinθ2/(D2+E2-2DEcosθ2)1/2이며, cosβ=(Ecosθ2-D)/(D2+E2-2DEcosθ2)1/2이다.
-1≤sin(ωt+β)≤1이므로, sin(ωt+β)=1일 때에 식(6)'은 최대값을 나타낸다. 즉, 제 5 교류 전류(i5)의 최대값(F)은 하기의 식(7)으로 나타내어진다.
F=(D2+E2-2DEcosθ2)1/2…(7)
이렇게 제 1 교류 전류(i1)와 제 4 교류 전류(i4)의 위상차(θ2)를 조정함으로써, 상부 전극(15)에 흐르는 제 5 교류 전류(i5)의 크기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5 교류 전류(i5)가 상기 식(5)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 1 교류 전류(i1)와 제 4 교류 전류(i4)의 위상차(θ2)를 조정하면, 상부 전극(15)에 흐르는 제 5 교류 전류(i5)가 적절하게 커진다. 이 때문에 상부 전극(15)이나 대경부(11a)의 상부에 흐르는 전류를 증가할 수 있고, 본체부(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액면(Gs) 부근의 용융 유리(Gm)를 효율 좋게 가열할 수 있다.
위상 조정부(25)는 하기의 식(8)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 1 교류 전류(i1) 및 제 4 교류 전류(i4)의 위상차(θ2)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F…(8)
여기에서, 위상차(θ2)는 120°≤θ2≤240°(또는 -120°≥θ2≥-240°)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또는 -1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식(5)의 좌변은 θ2=120°(또는 -120°)일 때의 식(7)의 값이며, 식(8)의 좌변은 θ2=180°(또는 -180°)일 때의 식(7)의 값이다.
상부 전극(15) 근방의 상태 조정조(6)의 용손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D2+E2+DE)1/2>F를 만족하도록 제 1 교류 전류(i1) 및 제 4 교류 전류(i4)의 위상차(θ2)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교류 전류(i1)의 최대값(D)과 제 4 교류 전류(i4)의 최대값(E)은 다른 값이어도 좋고, 같은 값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식(5) 또는 (8)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위상차(θ2)와 함께, 제 1 교류 전류(i1)의 최대값(D) 및 제 4 교류 전류(i4)의 최대값(E)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한 작용 효과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태 조정조(6)의 본체부(11)의 상단의 개구부는 용융 유리(Gm)의 하방을 향하는 흐름을 막는 플런저의 삽입구로서의 역활을 한다. 본체부(11)의 상단의 개구부는 덮개체로 덮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본체부(11)의 상부를 고온으로 유지하기 쉬워지므로, 액면(Gs) 부근의 용융 유리(Gm)의 실투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태 조정조(6)의 본체부(11)가 대경부(11a), 축경부(11b) 및 소경부(11c)를 갖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체부(11)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단일의 통형상체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면(Gs) 부근의 용융 유리(Gm)를 가열하기 위해서, 보조 가열 장치를 상태 조정조(6)의 본체부(11)의 외부에 설치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액면(Gs) 부근의 용융 유리(Gm)의 실투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보조 가열 장치에는 저항 가열식의 것이나 유도 가열식의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성형 장치로 성형되는 유리 물품이 판유리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성형 장치로 성형되는 유리 물품은 예를 들면 유리 필름을 롤형상으로 권취한 유리 롤, 광학 유리 부품, 유리관, 유리 블록, 유리 섬유 등이어도 좋고,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다.
1: 용융로
2: 이송 장치
3: 성형 장치
4: 청징조
5: 교반조
6: 상태 조정조
9: 접속관
10: 접속관(유출부)
11: 본체부
11a: 대경부
11b: 축경부
11c: 소경부
12: 유입구
13: 유출구
14: 유입부
15: 상부 전극
16: 중간부 전극
17: 하부 전극
18: 유입부 전극
19: 제 1 전기회로
20: 제 1 전원
21: 제 2 전기회로
22: 제 2 전원
23: 제 3 전기회로
24: 제 3 전원
25: 위상 조정부
G: 유리 리본
Gm: 용융 유리
Gs: 액면

Claims (10)

  1. 용융로에서 용융 유리를 생성하는 용융 공정과, 상기 용융로에서 생성된 상기 용융 유리의 상태를 상태 조정조로 조정하는 상태 조정 공정과, 상기 상태 조정조로 상태가 조정된 상기 용융 유리를 성형 장치로 유리 물품으로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구비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태 조정조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통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측방에 형성된 상기 용융 유리의 유입구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용융 유리의 유출구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전극, 중간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상태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중간부 전극 사이에 통전함과 아울러, 상기 중간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 사이에 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또한 하방으로 이행함에 따라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축경부와, 상기 축경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 소경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 전극이 상기 축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중간부 전극 사이의 통전량이 상기 중간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 사이의 통전량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조정 공정에서는 통전시에 공급하는 교류 전류의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중간부 전극에 흐르는 전류가 다음 식을 만족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A2+B2+AB)1/2>C
    단, A: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중간부 전극 사이의 상기 본체부에 흐르는 최대 전류
    B:상기 중간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 사이의 상기 본체부에 흐르는 최대 전류
    C:상기 중간부 전극에 흐르는 최대 전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유입구보다도 상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조정조는 상기 유입구에 접속된 통형상의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 형성된 유입부 전극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상태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유입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사이에 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조정 공정에서는 통전시에 공급하는 교류 전류의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상부 전극에 흐르는 전류가 다음 식을 만족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D2+E2+DE)1/2≤F
    단, D:상기 유입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사이의 상기 본체부에 흐르는 최대 전류
    E: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중간부 전극 사이의 상기 본체부에 흐르는 최대 전류
    F:상기 상부 전극에 흐르는 최대 전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조정 공정에서는 상기 유입구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상기 용융 유리의 액면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10. 용융 유리를 생성하는 용융로와, 상기 용융로에서 생성된 상기 용융 유리의 상태를 조정하는 상태 조정조와, 상기 상태 조정조로 상태가 조정된 상기 용융 유리로 유리 물품으로 성형하는 성형 장치를 구비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태 조정조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통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측방에 형성된 상기 용융 유리의 유입구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용융 유리의 유출구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전극, 중간부 전극 및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중간부 전극 사이에 통전 가능한 제 1 전기회로와,
    상기 중간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 사이에 통전 가능한 제 2 전기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KR1020217039512A 2019-07-03 2020-06-24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KR202200318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24635 2019-07-03
JP2019124635 2019-07-03
PCT/JP2020/024832 WO2021002260A1 (ja) 2019-07-03 2020-06-24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859A true KR20220031859A (ko) 2022-03-14

Family

ID=7410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512A KR20220031859A (ko) 2019-07-03 2020-06-24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031859A (ko)
CN (1) CN113874329B (ko)
WO (1) WO2021002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69382A (ja) * 2020-04-14 2021-10-2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
WO2024038740A1 (ja) * 2022-08-19 2024-02-2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8754A (ja) 2014-10-29 2016-05-2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製造装置及びガラス製造方法
JP2017014067A (ja) 2015-07-01 2017-01-1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8107A (ja) * 1974-09-04 1976-03-09 Tokyo Shibaura Electric Co Garasudenkyojuro
JPH04367519A (ja) * 1991-04-03 1992-12-18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の電気溶解炉
JPH0720290A (ja) * 1993-06-30 1995-01-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ガラス溶融炉
WO2012091133A1 (ja) * 2010-12-28 2012-07-05 旭硝子株式会社 清澄槽、ガラス溶融炉、溶融ガラスの製造方法、ガラス製品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製品の製造装置
CN203683349U (zh) * 2014-01-20 2014-07-02 李顺发 全电熔底插式玻璃窑炉
JP6500679B2 (ja) * 2015-07-29 2019-04-17 Agc株式会社 溶融ガラス加熱装置、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KR102289183B1 (ko) * 2016-10-31 2021-08-13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제조 장치, 유리 제조 방법, 유리 공급관 및 용융 유리 반송 방법
WO2018110459A1 (ja) * 2016-12-12 2018-06-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群
JP6792825B2 (ja) * 2017-05-16 2020-12-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溶融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8754A (ja) 2014-10-29 2016-05-2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製造装置及びガラス製造方法
JP2017014067A (ja) 2015-07-01 2017-01-1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74329A (zh) 2021-12-31
CN113874329B (zh) 2024-02-02
JPWO2021002260A1 (ko) 2021-01-07
WO2021002260A1 (ja)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5717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3080025B (zh) 玻璃基板的制造方法
JP7393742B2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
JP5769574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
KR20220031859A (ko)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JP6144740B2 (ja) 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20130112065A (ko) 유리판 제조 방법
KR20220021921A (ko) 유리 이송 장치
JP5711190B2 (ja) ガラス導管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7174360B2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溶解炉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
JP5190531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5731437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6499250B2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基板製造装置
CN109694176A (zh) 玻璃熔化炉以及玻璃物品的制造方法
JP6489783B2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基板の製造装置
KR20220020802A (ko) 유리 이송 장치
JP2018002539A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基板製造装置
JP7497728B2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
JP2019011236A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製造装置
JP6498933B2 (ja) 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21210493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
JP5668066B2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WO2021210495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
JP2015209366A (ja) ガラス板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2014214062A (ja) ガラス板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板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