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147A -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147A
KR20220031147A KR1020200112039A KR20200112039A KR20220031147A KR 20220031147 A KR20220031147 A KR 20220031147A KR 1020200112039 A KR1020200112039 A KR 1020200112039A KR 20200112039 A KR20200112039 A KR 20200112039A KR 20220031147 A KR20220031147 A KR 20220031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s
functional composition
honey
ginse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성숙
이화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파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파데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파데오
Priority to KR102020011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1147A/ko
Priority to PCT/KR2020/015737 priority patent/WO2022050492A1/ko
Publication of KR2022003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의 다당류로부터 분리된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은,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에 포함된 특정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보다 단기간 내에 항산화 활성을 보일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에 대한 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항염 및 항알러지 효능까지 동시에 보일 수 있으며, 경구 투여 및 피부 투여도 가능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FUNCTIONAL COMPOSITION FOR PET AND USE OF THEREOF}
본 발명은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의 다당류로부터 분리된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과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화와 각종 염증질환, 암의 대처 방안으로 항산화 물질을 비롯한 체내 질병과 대사를 위한 생리활성물질 개발에 대해 관심이 증대되었다(KB Kim, et al.,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50(5);415-425(2017)). 생체 내에서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생화학적 산화 반응은 끊임없이 일어나며 이 과정 중에 발생하는 유해산소라 불려지는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가장 안정한 형태의 산소인 삼중항산소가 산화, 환원과정에서 생성되는 일중항산소인 수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과 같은 불안정한 상태의 유리 라디칼(free radical) 및 과산화수소(H2O2)로 불안정하고 산화력이 높아 생체물질과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인체 내에서 제거되지 못하면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염증반응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여러 대사과정에서 지질과산화를 유도하고, 단백질, 세포막 및 DNA 등을 손상시켜 세포의 노화와 변형을 유도함으로써 뇌졸중, 암, 동맥경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동맥경화증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Valko M, et al., Int J Biochem Cell Biol. 39:44-84(2007); 및 Halliwell B, et al., NY, USA. 968(1999)). 이렇게 생성된 유리 라디칼을 제거시켜 생체를 보호하는 생리학적 항산화 효소로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무타제(superoxide dismutase, SOD), 카탈라제(catalase), 글루타치온-퍼옥시다제(glutathione-peroxidase, GSHpx) 및 글루타치온 S-트랜스퍼라제(glutathione S-transferase, GST) 등이 있으며, 저분자의 항산화제 혹은 유리 라디칼 소거역할을 하는 것으로 α-토코페롤, β-카로틴, 아스코브산 및 글루타치온 등이 알려져 있다(Kim SM, et al., Life Sci. 90(21-22);874-882(2012)).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ROS를 제거해줌으로써 생체 내에서 산화성 스트레스로 인하여 생성되는 산화물질들을 방어하는 항산화제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천연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천연 항산화제의 중요성과 이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염증반응은 외부 물리적, 화학적 자극이나 세균감염에 대한 생체방어 반응으로 염증매개물질이라 불리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α, 인터루킨(IL)-1β, 과립구 마크로파지 콜로니 자극인자(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IL-6와 같은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등을 생산 및 분비한다(YC Yoo, et al., Journal of Life Science. 26(3);338-345(2016)). 또한 염증 전사 인자인 핵 인자 카파(nuclear factor kappa) B (NF-κB)를 활성화시켜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사이클로옥시제나제(cyclooxygenase)-2(COX-2)를 발현시키고,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E2(PGE2)를 생성하고 분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은 다시 NF-κB를 활성화시켜 사이토카인 캐스케이드(cytokine cascade)를 증폭하여 염증상태를 확장시킨다. 특히 NO는 항박테리아, 항종양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병리적 원인에 의해 과량 생성되어 분비되면 과도한 혈관 확장에 의하여 패혈성 쇼크 및 신경조직의 손상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S Han, et al.,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35;34-42(2013)). 이러한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과 염증 매개인자들은 염증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들의 비정상적인 생성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염증성 질환의 치료법으로 제기되고 있다.
인삼은 오가피과의 인삼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동양에서는 전통적으로 항염증, 항산화, 항피로 및 항스트레스, 항당뇨, 항동맥경화, 해독, 진통, 뇌기능활성화, 면역력 증강 효과 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중요하게 여겨지는 약재이다. 20세기에 들어, 전술한 인삼의 효능은 진세노사이드, 페놀화합물, 다당체, 단백질, 아미노산, 폴리아세틸렌 등의 약리성분에 의해 나타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그 중 특히 주 약리활성을 갖는 성분으로 주목받는 것은 진세노사이드이다. 진세노사이드는 진세노사이드 기본골격에 당류가 붙어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공하지 않은 인삼에는 기본골격에 붙은 당류가 다당류로 비교적 분자량이 큰 진세노사이드인 Rg1, Rb1 등이 많이 추출된다. 이들 고분자 진세노사이드는 곧바로 체내로 흡수되기 어려우며, 장내에서 다당류가 단당류로 가수분해되어 저분자 진세노사이드 형태가 된 후에 흡수되므로, 체내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진세노사이드의 저분자화가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
한편, 꿀은 꿀벌이 꽃의 밀선에서 빨아내어 축적한 당분으로, 기침, 불면, 피부질환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균, 항염, 항암, 상처치료, 항산화 등 다양한 효능을 가져 고대에서부터 의학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효능은 꿀의 다양한 성분이 동반 상승효과(synergy)를 낸 결과로, 이러한 성분에는 성분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과당, 포도당, 프락토올리고당 등의 당 외에도 각종 플라보노이드, 페놀산, 토코페롤, 각종 효소, 비타민 B1, B2, B3, B5, B6 및 B9, 및 판토텐산 등이 포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삼이나 꿀과 같은 천연물을 활용하여, 항산화 및 항염 등의 효능을 나타내기 위한 기능성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최근까지 계속해서 진행되어 왔다. 특허 문헌 1은 위와 같은 인삼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기능성 조성물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허 문헌 1에 제안된 기술의 경우, 오미자(五味子, Schisandra chinensis Baill.), 인삼(人蔘, Panax ginseng C.A. Meyer), 하수오(何首烏,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및 복분자(覆盆子 Rubus chingii Hu)를 유효성분로 함유하되, 생지황(生地黃, Rehmannia glutinosa (Gaertner) Liboschitz)) 즙 및 꿀을 추가하여 고제(膏劑)로 제형화된 항산화 기능성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제안된 기술의 경우, 항산화 활성은 보일 수 있으나, 이는 제안된 조성물을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복용해야만 하는 문제점 및 경구 투여만이 가능하여 식품으로만 적용이 될 수 있다는 적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단기간 내에 항산화 활성을 보일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에 대한 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항염 및 항알러지 효능까지 동시에 보일 수 있으며, 경구 투여 및 피부 투여도 가능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5125호(2013. 08. 05.)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물을 활용한 기능성 조성물에 대한 연구를 하던 중,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에 포함된 특정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경우 보다 단기간 내에 항산화 활성을 보일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에 대한 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항염 및 항알러지 효능까지 동시에 보일 수 있으며, 경구 투여 및 피부 투여도 가능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의 다당류로부터 분리된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는 Rg3, F2 및 Compound 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하기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포함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ⅰ) 항알러지;
ⅱ) 항염; 및
ⅲ) 항산화.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g3 60㎍/g 이상, F2 120㎍/g 이상 및 Compound K 90㎍/g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는 LPS로 유도된 비장세포에서의 B 세포를 증식하고, Con A로 유도된 비장세포의 T 세포를 증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는, LPS로 유도된 비장세포에서 분비한 염증성 사이토카인(IL-6)의 함량을 15% 내지 25%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는, Con A로 유도된 비장세포에서 분비한 염증성 사이토카인(IFN-γ)의 함량을 25% 내지 60% 증가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의 함량을 15% 내지 45%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은 식이 섬유 함유량이 0.1 중량% 내지 5 중량%으로서, 동물의 배변 기능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은, pH가 3 내지 4이고, 수분활성도(AW)가 0.8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은, 콜레스테롤, 트랜스 지방 및 포화 지방산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동물은 반려동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구 섭취 또는 피부 투여에서 적용되는, 전술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화장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의약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은,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에 포함된 특정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보다 단기간 내에 항산화 활성을 보일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에 대한 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항염 및 항알러지 효능까지 동시에 보일 수 있으며, 경구 투여 및 피부 투여도 가능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험방법에 대한 실험결과 중 B세포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험방법에 대한 실험결과 중 T세포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4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 5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의 권리범위는 하기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의 다당류로부터 분리된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는 Rg3, F2 및 Compound 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g3는 면역력 증진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 효과, 항 스트레스 효과, 항암 효과, 혈관이완 작용, 혈관내피성인자의 발현 억제 작용, 뇌 보호 작용, 신경 변성 보호 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는 Rg3를 유효성분 중 일부로 포함함으로써, Rg3가 갖는 효능을 그대로 나타낼 수 있고,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의 다른 유효성분들과 함께 포함될 경우, 항알러지,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F2는 인삼에서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물 또는 유기용매로 인삼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을 사용한다. 이때, 추출온도는 10℃ 내지 80℃가 바람직하며, 3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F2는 우수한 항알러지 효능을 가지는 성분이므로,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은 우수한 항알러지 효능을 제공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로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Compound K는 식물에서 추출되어 포함될 수도 있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합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Compound K는 인삼 추출물에서 수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인삼의 종류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수삼, 홍삼, 백삼, 태극삼 또는 미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삼 추출물은 인삼으로부터 침출, 전출하여 얻은 침출액 뿐 아니라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상기의 농축물을 다시 건조시켜 제조한 침체, 전제, 정기, 유동엑기스 및 인삼 중에 함유되어 주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 물질은 물론 식물 그 자체를 모두 포함하며, 줄기, 뿌리, 잎, 꽃, 열매 등 인삼의 모든 부분으로부터의 추출물이 사용 가능하고, 어느 특정 부분의 추출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인삼 추출물로부터 Compound K를 추출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는 항염 및 항산화에 효능을 보이는 Compound K를 유효성분 중 일부로 포함함으로써, Compound K가 갖는 효능을 그대로 나타낼 수 있고,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의 다른 유효성분들과 함께 포함될 경우,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는, 상기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또는 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가지는 항알러지, 항염 및 항산화의 효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은, 전술한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 Rg3 60㎍/g 이상, F2 120㎍/g 이상 및 Compound K 90㎍/g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저분자 진세노사이드 각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가지는 항알러지, 항염 및 항산화의 효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는 LPS로 유도된 비장세포에서의 B 세포를 증식하고, Con A로 유도된 비장세포의 T 세포를 증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는, Con A로 유도된 비장세포에서 분비한 염증성 사이토카인(IFN-γ)의 함량을 25% 내지 60% 증가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의 함량을 15% 내지 45%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는 실험예 등을 통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상기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은 식이 섬유 함유량이 0.1 중량%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동물의 소화 기능을 증진시킴으로써, 동물의 배변 기능, 즉 배변 횟수 또는 배변 수치 등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배변 기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은, pH가 3 내지 4이고, 수분활성도(AW)가 0.8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pH가 3 내지 4로 유지될 경우, 미생물이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을 불식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오랜 기간 보존이 가능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활성도(AW)가 상온 기준으로 0.85 이하일 경우, 이 또한 미생물이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을 불식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오랜 기간 보존이 가능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은, 콜레스테롤, 트랜스 지방 및 포화 지방산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동물들에 대한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은, 하기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ⅰ) 항알러지;
ⅱ) 항염; 및
ⅲ) 항산화.
상기 기능성과 관련된 특성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반려동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의 종류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소, 돼지, 양, 염소, 사슴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우제류), 닭, 오리, 거위, 꿩 등 조류, 장어, 광어 등 어류, 개 또는 고양이 등이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개 또는 고양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은 경구 섭취 또는 피부 투여에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은, 경구 섭취를 통해 동물 체내로 투여할 수 있는 여러가지 형태의 제형이나 제품 등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투여를 통해 체내로 투여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제형이나 제품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 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동물용 식품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물용 식품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가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법률에 따라 어떤 형태로든지 제조, 가공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상기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각각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료 첨가제"는 가축의 생산성 향상, 반려동물의 건강을 증진 및/또는 유지시키거나 신체 컨디션 유지를 위하여 사료에 첨가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사료에 포함되는 상기 사료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0.01%(w/w) 내지 20.0%(w/w)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w/w) 내지 10.0%(w/w)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료 첨가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소, 돼지, 양, 염소, 사슴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우제류), 닭, 오리, 거위, 꿩 등 조류, 장어, 광어 등 어류, 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료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유효성분에 적당한 굳기나 형상을 주기 위해서, 또는 주제(主劑)의 양이 적은 경우에 일정 용량, 중량을 주어 취급하기 쉬운 크기로 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부형제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밀기울, 옥수수 분말, 곡류 전분, 실리카 분말, 규조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료 등 기준 및 규격에서 인정하고 있는 부형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 첨가제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분말 또는 소정의 형태를 가진 펠릿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체내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해 분말화되거나, 소장에서의 항균 활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방 코팅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전체 사료 첨가제 100 중량부에 대해 50 중량부 내지 99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 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α-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중합도 n=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 n=2 이상), 폴리글리세린(중합도 n=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POP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α-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카본블랙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β-알라닌칼슘, N-라우로일-β-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ε-라우로일-L-리진, Nε-팔미토일리진, Nα-파리토일올니틴, Nα-라우로일아르기닌, Nα-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α-아미노카프릴산, α-아미노라우린산 등의 α-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친산페닐, 살리친산옥틸, 살리친산벤질, 살리친산부틸페닐, 살리친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3 중량%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화장료의 형태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비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구체예로서는 세안크림, 세안폼, 클렌징크림, 클렌징밀크, 클렌징로션, 마사지크림, 콜드크림, 모이스처크림, 유액, 화장수, 팩, 에프터세이빙크림, 썬텐방지크림, 썬텐용 오일, 비누, 보디샴푸,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양모료, 육모료, 헤어크림, 헤어리퀴드, 세트로션, 헤어스프레이, 헤어브리지, 컬러린스, 컬러스프레이, 퍼머넌트웨이브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핸드크림, 립스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의약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동물용 의약품에 있어서, 상기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의약품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50 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은데, 예방 및 치료제의 사용방법, 복용자의 상태, 질환의 종류 및 질환의 중증 정도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항염, 항산화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 효과가 미미하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치료효과 증가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동물용 의약품은 전술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즉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일 예로,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중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방 및 치료제가 약제인 경우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용 의약품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P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안연고제(OPHTALMIC OINT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점안제(OPHTHALMIC SOLUTIONS), 정제(TABLETS), 좌제(SUPPOSITIORIES), 주사제(INJECTIONS), 주정제(SPIRITS), 카타플라스마제(CATAPLSMA),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환제(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용 의약품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 동물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유효성분인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일 0.1㎎/㎏ 내지 100㎎/㎏(체중)으로 1회 이상 투여 가능하다. 다만, 상기의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복용자의 상태와 의사의 처방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1. 시험물질
출원인이 직접 제조 판매하고 있는 제품인 라파허니(RH)를 시험물질로 사용하였다. 면역 증진 효능을 가진 건강 기능 식품인 홍삼 제품 홍삼정 플러스(PCM, 정관장)을 양성 대조 물질로 사용하였다.
2. 동물실험 승인
본 시험에서의 동물실험은 한림대학교 실험동물 운영위원회 및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 하에 동물실험 규정에 따라 수행하였다(승인번호: Hallym 2019-63).
3. 실험동물
특정병원체(specific pathogen free)가 없는 5주령, 수컷 Balb/c 생쥐를 (주)두열바이오텍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주일간의 검역 및 적응과정을 거친 뒤 체중 감소 없는 건강한 동물을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온도 23 ± 3℃, 상대습도 50 ± 10%, 환기회수 10-15회/시간, 조명시간 12시간(08:00 - 20:00), 조도 150 - 300 Lux로 설정된 사육환경에서 사육하였다. 시험 전 기간 동안 실험동물은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주) 카길애그리퓨리나, 군산, 한국)와 음수를 자유 섭취하도록 하였다.
4. 시험군 및 시험물질 투여
1주간의 적응 기간을 거친 후 건강한 동물을 선별하여 난괴법에 의거하여 4개의 시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즉, (G1) 대조군, (G2) 100㎎/㎏ body weight (BW) RH 투여군, (G3) 200㎎/㎏ RH 투여군, (G4) 200㎎/㎏ BW PCM 투여군으로 분류하였으며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G1 G2 G3 G4
시험물질
(㎎/㎏ BW)
- RH
100
RH
200
-
양성대조물질
(㎎/㎏ BW)
- - - PCM
200
실험동물수 10 10 10 10
RH: 라파허니
PCM: 홍삼정 플러스
각 시험군은 각 10마리의 실험동물을 사용하였다. 시험 전 기간 실험동물에게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주) 카길애그리퓨리나) 식이를 공급하였고, 식이와 음수는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다. 시험물질과 양성대조물질인 RH와 PCM은 증류수에 녹여 4주 동안 매일 일정한 시간에 각각 경구 투여하였다.
5. 체중 및 식이섭취량 측정
시험기간 동안 매주 일정한 시간에 실험동물의 체중 및 식이섭취량을 측정하였다.
6. 채혈 및 장기무게 측정
실험동물을 희생 전 16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tribromoethanol을 tertiary amylalcohol로 희석하여 만든 마취제를 사용하여 마취한 후 안와에서 채혈하였다. 혈액은 serum separate tube (Becton Dickinson)에 담아 30분간 실온에서 방치하고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고, 분석 전까지 -70℃에 보관하였다. 혈액 채취 후 개복하여 즉시 간, 신장, 흉선 및 비장을 적출하여 차가운 생리식염수에 세척한 후 여과지로 여분의 물기를 제거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7. 비장에서 비장세포 분리
적출한 비장에 RPMI 1640 배양액(WelGENE Inc.)을 첨가한 후 40㎜ stainless steel mesh(BD Falcon, Franklin Lakes, NJ, USA)로 분쇄하여 단일세포용액을 만들었다. 분쇄된 단일세포용액에 RPMI 1640 배양액을 첨가하여 4℃, 1,2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후, Red blood cell lysing buffer(Sigma-Aldrich Co.)로 적혈구를 제거하여 비장세포를 얻었다. 비장세포에 10% FBS, 100units/㎖ penicillin, 100㎎/㎖ streptomycin이 함유된 complete RPMI 1640 배양액을 첨가하여 부유시킨 후, haemacytometer를 사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8. 비장세포의 증식능 측정
비장세포의 증식능은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Assay Kit (Promega, Madison, WI, US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비장에서 분리한 비장세포를 1 × 105cells/well로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complete RPMI 1640 배양액에 5㎍/㎖ concanavalin A(Con A, Sigma-Aldrich Co.) 또는 100㎍/㎖ lipopolysaccharide(LPS, Sigma-Aldrich Co.)을 첨가하여 48시간, 72시간 동안 37℃ 습윤한 CO2 배양기(5% CO2/95% air)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well에 ONE solution 용액을 20㎕씩 첨가하여 2시간 동안 추가 배양한 후 SpectraMaxM2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4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장세포의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9. 비장세포가 생성 분리한 사이토카인 (cytokines) 측정
비장세포가 생성 분비하는 싸이토카인을 측정하기 위해 비장세포를 48 well plate에 2.5 × 105 cells/well 분주하였다. 5㎍/㎖ concanavalin A 또는 100㎍/㎖ LPS를 첨가하여 세포를 자극하였고 세포를 48시간, 72시간 배양한 후 세포배양액을 수거하여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취하였다. Con A로 자극된 비장세포가 생성 분비한 세포 배양액 내 interferon(IFN)-과 tumor necrosis factor(TNF)-α 함량과 LPS로 자극된 비장세포가 생성 분비한 세포 배양액 내 interleukin(IL)-6과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β 함량은 각각의 ELISA 측정 kit(R&D Systems)을 사용하여 제조회사가 제시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10. 통계처리
모든 분석 수치는 mean ± SEM으로 나타내었다. 수집된 결과는 GraphPad Prism 4.0(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시험 물질 투여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Student’s t-test 및 one-way analysis variance (ANOVA)를 이용하였다. p < 0.05 이상일 때만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험 결과]
1. 체중 및 식이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시험 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체중(g) G1 G2 G3 G4
투여 물질
(㎎/㎏ BW)
- RH 100 RH 200 PCM 200
0주 20.56 ± 0.21 20.57 ± 0.31 20.53 ± 0.29 20.72 ± 0.19
1주 20.85 ± 0.43 21.34 ± 0.29 21.20 ± 0.35 21.43 ± 0.21
2주 22.09 ± 0.40 22.49 ± 0.37 22.23 ± 0.39 22.55 ± 0.24
3주 22.82 ± 0.45 23.22 ± 0.38 23.34 ± 0.33 23.45 ± 0.43
4주 23.75 ± 0.38 24.55 ± 0.37 24.70 ± 0.30 24.70 ± 0.31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 SEM.
* p < 0.05, ** p < 0.01, *** p < 0.001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G1 (control) group.
RH, 라파허니; PCM, 홍삼정.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4주 동안의 시험 기간 동안 모든 시험군의 체중은 증가하였다. 시험물질인 RH 저용량, 고용량 투여군(G2, G3)의 체중이 대조군(G1)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양성대조물질인 홍삼추출액(PCM) 투여는 체중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시험 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식이섭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식이섭취량(g) G1 G2 G3 G4
투여 물질
(㎎/㎏ BW)
- RH 100 RH 200 PCM 200
식이섭취량
(g/day)
3.30 ± 0.23 3.15 ± 0.19 3.33 ± 0.17 3.23 ± 0.20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 SEM.
* p < 0.05, ** p < 0.01, *** p < 0.001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G1 (control) group.
RH, 라파허니; PCM, 홍삼정.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험동물의 일일 식이섭취량은 대조군(G1), RH 저용량, 고용량투여군(G2, G3), 양성대조물질 PCM 투여군(G4)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2. 장기 무게에 미치는 영향
실험동물의 간, 신장, 비장 및 흉선의 무게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장기 무게(g) G1 G2 G3 G4
투여 물질
(㎎/㎏ BW)
- RH 100 RH 200 PCM 200
간(g) 1.358 ± 0.028 1.356 ± 0.032 1.341 ± 0.020 1.357 ± 0.037
신장(g) 0.382 ± 0.007 0.376 ± 0.007 0.378 ± 0.007 0.378 ± 0.007
비장(g) 0.080 ± 0.003 0.088 ± 0.004 0.087 ± 0.002* 0.087 ± 0.002
흉선(g) 0.034 ± 0.002 0.045 ± 0.003** 0.046 ± 0.002*** 0.043 ± 0.002**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 SEM.
* p < 0.05, ** p < 0.01, *** p < 0.001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G1 (control) group.
RH, 라파허니; PCM, 홍삼정.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시험물질인 RH 저용량, 고용량 및 양성대조물질인 PCM 투여는 실험동물의 간과 신장의 무게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비장의 무게는 대조군(G1)의 0.080 ± 0.003g에 대해 RH 고용량 투여군(G3)에서 0.087 ± 0.002g으로 비장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흉선의 무게는 대조군(G1)의 0.034 ± 0.002g에 비해 RH 저용량 투여군(G2) 0.045 ± 0.003g, RH 고용량 투여군(G3) 0.046 ± 0.002g, 양성대조물질 PCM 투여군(G4) 0.043 ± 0.002g으로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흉선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3. 비장세포의 증식능에 미치는 영향
각 시험군의 실험동물에서 적출한 비장에서 분리한 비장세포를 이용하여 비장세포의 증식률을 조사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비장세포의 증식율 G1 G2 G3 G4
투여 물질(㎎/㎏ BW) - RH 100 RH 200 PCM 200
Viable cell
numbers
(Absorbance
at 570 ㎚)
0 h 0.407 ± 0.009 0.424 ± 0.015 0.418 ± 0.015 0.412 ± 0.009
48 h 0.963 ± 0.010 1.135 ± 0.041*** 1.189 ± 0.039*** 1.073 ± 0.037**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 SEM.
* p < 0.05, ** p < 0.01, *** p < 0.001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G1 (control) group.
RH, 라파허니; PCM, 홍삼정.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비장세포의 증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정상적인 증식을 나타내었다. 48시간 배양 후 대조군(G1)에 비해 RH 저용량, 고용량 투여군(G2, G3), 양성대조물질 PCM 투여군(G4)에서 세포 증식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RH가 비장세포 내 B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B세포 분열 촉진 인자인 LPS를 처리하여 B 세포의 활성을 유도한 후 각 세포증식을 조사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LPS 유도 비장세포(B세포)의 증식율 투여 물질
(㎎/㎏ BW)
LPS Viable cell numbers
(Absorbance at 570㎚)
G0 - - 1.206 ± 0.012
G1 - + 1.225 ± 0.018
G2 RH 100 + 1.310 ± 0.037
G3 RH 200 + 1.385 ± 0.021###
G4 PCM 200 + 1.352 ± 0.047#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 SEM.
* p < 0.05, ** p < 0.01, *** p < 0.001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G0 (control) group.
# p < 0.05, ## p < 0.01, ### p < 0.001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G1 (control) group.
RH, 라파허니; PCM, 홍삼정.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LPS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G0)의 1.206 ± 0.012에 비해 LPS를 처리한 대조군(G1)은 1.225 ± 0.018로 세포증식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LPS 대조군(G2)에 대해 RH 고용량 투여군(G3), 양성대조물질 PCM 투여군(G5)의 세포증식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RH가 B 세포에 의한 체액성 면역 작용 증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 세포는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에 관여하며 Con A에 의해 활성화가 유도된다. RH가 비장세포 중 T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Con A로 세포를 활성화한 후 세포증식을 조사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Con A 유도 비장세포(T세포)의 증식율 투여 물질
(㎎/㎏ BW)
LPS Viable cell numbers
(Absorbance at 570㎚)
G0 - - 0.988 ± 0.011
G1 - + 1.083 ± 0.023**
G2 RH 100 + 1.247 ± 0.061#
G3 RH 200 + 1.268 ± 0.052##
G4 PCM 200 + 1.272 ± 0.083#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 SEM.
* p < 0.05, ** p < 0.01, *** p < 0.001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G0 (control) group.
# p < 0.05, ## p < 0.01, ### p < 0.001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G1 (control) group.
RH, 라파허니; PCM, 홍삼정.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Con A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G0)의 살아있는 세포 수는 0.988 ± 0.011 이였으며, Con A를 처리한 대조군(G1)의 살아있는 세포 수는 1.083 ± 0.023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T 세포가 Con A에 의해 활성화가 이루어짐을 나타내었다. Con A를 처리한 대조군(G1)에 비해 RH 저용량, 고용량 투여군(G2, G3), 양성대조물질 PCM 투여군(G4)의 세포증식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RH가 T 세포에 의한 세포매개성 면역 작용을 증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 비장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
RH 투여가 LPS 또는 Con A 처리에 의해 유도된 비장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성 및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비장세포를 배양한 세포배양액을 수거하여 IL-6, TGF-β, IFN-γ, TNF-α 함량을 측정하였다.
LPS를 처리하여 비장세포 내의 B 세포의 활성을 유도한 후 비장세포가 생성 분비한 사이토카인(IL-6, TGF-β)을 측정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LPS 유도 비장세포(B세포)가 생성 분비한 싸이토카인 함량 투여 물질
(㎎/㎏ BW)
LPS IL-6
(ng/㎖)
TGF-β
(pg/㎖)
G0 - - 0.069 ± 0.008 13.66 ± 3.12
G1 - + 1.225 ± 0.060*** 19.61 ± 2.87
G2 RH 100 + 1.459 ± 0.057# 22.36 ± 2.97
G3 RH 200 + 1.495 ± 0.070## 25.27 ± 4.41
G4 PCM 200 + 1.432 ± 0.060# 39.43 ± 8.25#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 SEM.
* p < 0.05, ** p < 0.01, *** p < 0.001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G0 (control) group.
# p < 0.05, ## p < 0.01, ### p < 0.001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G1 (control) group.
RH, 라파허니; PCM, 홍삼정.
상기 표 8을 참조하면, IL-6 함량은 LPS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G0)의 0.069 ± 0.008ng/㎖에 비해 LPS를 투여한 대조군(G1)은 1.225 ± 0.060ng/㎖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LPS를 처리한 대조군(G1)에 대해 RH 저용량, 고용량 투여군(G2, G3), 양성대조물질 PCM 투여군(G4)의 IL-6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TGF-β 함량은 LPS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G0)에 대해 LPS를 투여한 대조군(G1)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대조군(G1)에 대해 LPS와 함께 RH 저용량, 고용량 투여군(G2, G3)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Con A를 처리하여 비장세포 내의 T 세포의 활성을 유도한 후 비장세포가 생성 분비 한 IFN-γ과 TNF-α 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Con A 유도 비장세포(T세포)가 생성 분비한 싸이토카인 함량 투여 물질
(㎎/㎏ BW)
Con A IFN-γ
(ng/㎖)
TNF-α
(ng/㎖)
G0 - - 0.720 ± 0.131 0.184 ± 0.030
G1 - + 0.720 ± 0.041 0.320 ± 0.007***
G2 RH 100 + 0.917 ± 0.111 0.386 ± 0.032
G3 RH 200 + 1.127 ± 0.176# 0.456 ± 0.022##
G4 PCM 200 + 1.072 ± 0.122# 0.419 ± 0.031##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 SEM.
* p < 0.05, ** p < 0.01, *** p < 0.001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G0 (control) group.
# p < 0.05, ## p < 0.01, ### p < 0.001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G1 (control) group.
RH, 라파허니; PCM, 홍삼정.
상기 표 9를 참조하면, IFN-γ 함량은 대조군(G1)에 대해 시험물질 RH 고용량 투여군(G3), 양성대조물질 PCM 투여군(G4)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TNF-α 함량은 Con A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G0)이 0.184 ± 0.030ng/㎖, Con A를 투여한 대조군(G1) 0.320 ± 0.007n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대조군(G1)에 대해 Con A와 함께 RH 고용량 투여군(G3), 양성대조물질 PCM 투여군(G4)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B세포에 대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고, T세포에 대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
5년근 인삼을 세척하고, 그 표피를 제거하였다. 상기 인삼과 잡화꿀을 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제1혼합물을 열 중탕기에 넣고, 열 중탕기의 뚜껑을 닫아 밀봉시킨 상태로 약 6시간 동안 약 105℃의 온도로 열 중탕하였다. 이어서, 상기 중탕된 제1혼합물을 열 중탕기의 뚜껑을 닫은 채로 약 80℃로 식히고, 상기 열 중탕과 식히는 과정을 3번 반복한 후, 식힌 제1혼합물을 꿀과 인삼으로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인삼을 약 4℃에서 약 24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상기 분리된 꿀은 상온에서 약 24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이어서, 상기 각각 숙성된 인삼과 꿀을 다시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제2혼합물을 약 4℃에서 약 24시간 동안 저온 숙성시켰다. 이어서, 상기 저온 숙성된 제2혼합물을 인삼과 꿀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꿀을 약 4℃에서 약 24시간 동안 저온 숙성하여 인삼 성분의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광선삼) 및 꿀 성분의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라파허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의 성분 분석
상기 제조예로부터 제조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라파허니)에 대한 성분 분석을 진행하되, 수삼(5년근)과 비교하여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는, 분석에 사용된 HPLC 장치는 Shimadzu 10Avp HPLC system(Shimadzu, 일본)이며, 컬럼은 GraceApollo RP18 column 250*4.6㎜, 5u(Grace, 미국)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acetonitrile(HPLC급, JT Baker, 미국)과 HPLC용 증류수이며, acetonitrile의 비율은 20%(0min)에서 20%(10min), 26%(42min), 40%(67 min), 47%(70min), 65%(80 min) 그리고 65%(93min)로 순차로 늘려주고 마지막으로 다시 20%로 조절하였다. 전개온도는 40℃, 유속은 분당 1.2㎖, 크로마토그램은 SPD-10Avp(Shimadzu, 일본) 검출기를 이용하여 203㎚에서 검출하였다. 표품은 Chromadex(U.S.A)사의 순도 99% 상의 진세노사이드를 각각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분석시료와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하여 정성 및 정량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분석 성분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성분 수삼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Rg3 0.00 0.44
F2 0.00 0.97
Compound K 0.00 0.87
단위: ㎎/g
[실험예 2]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의 식이 섬유량 측정
상기 제조예로부터 제조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라파허니)에 대한 식이 섬유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측정은 한국기능식품연구원에 의뢰하여 식이섬유량 측정에 대한 규격된 실험 방법을 통하여 측정한 후, 측정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의 기타 성분 분석
상기 제조예로부터 제조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라파허니)에 대한 상기 유효성분으로서의 진세노사이드 이외에 다른 성분들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측정은 계명대학교 전통미생물자원개발 및 산업화연구센터에 의뢰하여 성분 분석에 대한 규격된 실험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특히 해당 조성물에 대한 pH 및 수분활성도를 추가로 측정한 후, 측정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의 함유 성분 분석
상기 제조예로부터 제조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라파허니)에 대한 상기 유효성분으로서의 진세노사이드 및 기타 성분 이외에 다른 함유 성분들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측정은 한국식품과학연구원에 의뢰하여 성분 분석에 대한 규격된 실험 방법을 통하여 측정한 후, 측정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5]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의 항산화 효능 분석
상기 제조예로부터 제조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광선삼/라파허니)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산화질소(NO)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RAW264.7 세포주를 이용한 GRIESS 법으로 산화질소(nitric oxide(NO)) 형성 억제력 실험을 하였다.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수차례 계대 배양하고, 웰 하나에 3×105개씩 들어가도록 24-웰 플레이트에 넣은 후, 24 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이어서, 제조예로부터 제조한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의 농도를 각각 달리한 세포 배지로 교체하였다. 이때 자극원으로 LPS(Lipopolysaccharide)를 1㎍씩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100㎕씩 취해 96-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GRIESS 용액을 100㎕씩 가해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54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의 NO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또한, LPS 및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함께 처리한 후의 NO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NO 생성 억제율은 LPS만을 처리한 실험군의 NO 생성량을 기준으로 하여 억제 효과를 판단한 것이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의 다당류로부터 분리된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는 Rg3, F2 및 Compound 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하기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포함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ⅰ) 항알러지;
    ⅱ) 항염; 및
    ⅲ) 항산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g3 60㎍/g 이상, F2 120㎍/g 이상 및 Compound K 90㎍/g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는 LPS로 유도된 비장세포에서의 B 세포를 증식하고, Con A로 유도된 비장세포의 T 세포를 증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는, LPS로 유도된 비장세포에서 분비한 염증성 사이토카인(IL-6)의 함량을 15% 내지 25%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는, Con A로 유도된 비장세포에서 분비한 염증성 사이토카인(IFN-γ) 의 함량을 25% 내지 60% 증가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의 함량을 15% 내지 45%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은 식이 섬유 함유량이 0.1 중량% 내지 5 중량%으로서, 동물의 배변 기능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은, pH가 3 내지 4이고, 수분활성도(AW)가 0.8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또는 인삼 성분이 함유된 꿀은, 콜레스테롤, 트랜스 지방 및 포화 지방산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반려동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10. 경구 섭취 또는 피부 투여에서 적용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식품.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첨가제.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화장료.
  14.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의약품.
KR1020200112039A 2020-09-03 2020-09-03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20031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039A KR20220031147A (ko) 2020-09-03 2020-09-03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CT/KR2020/015737 WO2022050492A1 (ko) 2020-09-03 2020-11-11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039A KR20220031147A (ko) 2020-09-03 2020-09-03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147A true KR20220031147A (ko) 2022-03-11

Family

ID=8049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039A KR20220031147A (ko) 2020-09-03 2020-09-03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31147A (ko)
WO (1) WO202205049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125B1 (ko) 2011-04-21 2013-08-0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9498A (ja) * 2001-02-21 2002-09-06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ジンセノサイド類誘導体からなる抗アポトーシス剤又は再生促進剤
KR102570293B1 (ko) * 2015-11-23 2023-08-25 내츄럴헬스케어 주식회사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조성물
KR101735366B1 (ko) * 2016-11-14 2017-05-15 호성숙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제조방법
KR101858936B1 (ko) * 2017-11-30 2018-05-17 주식회사 라파데오 저분자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함유된 꿀의 제조방법
KR102150162B1 (ko) * 2018-10-15 2020-08-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함양산양삼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가 증진된 활성산양삼 추출액을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용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125B1 (ko) 2011-04-21 2013-08-0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0492A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3697B2 (ja) 抗炎症剤
EP1813309A1 (en) Abnormal protein removing composition
KR10235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08280271A (ja) 皮膚光老化予防剤
US20080261896A1 (en) Testosterone generating and metabolizing enhancer
KR102110902B1 (ko)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JP2007204423A (ja) ササ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該抽出物の利用
JP2012036128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それを用いた美肌用組成物
KR102565127B1 (ko) 뱀독에서 분리한 신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2008074801A (ja) 肝保護剤
KR20180098736A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EP4424299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inflammatory skin diseases comprising strain of genus cutibacterium
JP2007131579A (ja) 生理活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31147A (ko) 동물용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44677B1 (ko) 그린볼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20094565A (ko) 올벚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JP6902392B2 (ja) カルボニル化抑制剤
KR102334154B1 (ko)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8761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또는 항아토피 조성물
KR102334144B1 (ko) 애기쉽싸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0418B1 (ko) 구기자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2009196895A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
KR102688200B1 (ko) 돈카츠 제조를 위한 육류의 가공방법
KR102211873B1 (ko) 인삼 부산물 추출물의 산처리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29699B1 (ko) 피노스트로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