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032A - 차량 화이트바디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화이트바디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032A
KR20220031032A KR1020227003007A KR20227003007A KR20220031032A KR 20220031032 A KR20220031032 A KR 20220031032A KR 1020227003007 A KR1020227003007 A KR 1020227003007A KR 20227003007 A KR20227003007 A KR 20227003007A KR 20220031032 A KR20220031032 A KR 20220031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vehicle
members
shel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펠릭스 아이직
니르 칸
Original Assignee
플라산 사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라산 사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플라산 사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31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62D23/005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with integrated chassis in the whole shell, e.g. meshwork, 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6Connections by glue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1Understructures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분을 각각 갖는 2개 이상의 구조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적어도 2개의 구조 부재의 맞물림 부분은 서로 조립된 2개 이상의 쉘 부재로 형성된 노드 유닛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노드 유닛은 적어도 2개의 지정 소켓들을 가지며, 각각은 구조 부재들 중 하나의 구조적 부재의 하나의 맞물림 부분을 꼭 맞게 수용하며, 상기 지정 소켓들 중 적어도 하나는 2개 이상의 쉘 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내부 소켓이다.

Description

차량 화이트바디 및 그 제조 방법
본 개시내용은 특히 대량 생산에 적합한 차량 화이트바디(body in white(BIW))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BIW(Body in White)는 엔진, 샤시 서브-조립체, 트림(유리, 잠금/손잡이가 있는 도어, 시트(seat), 업홀스터리, 전자기기 등)과 같은 나머지 부품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차체의 프레임 구조를 구성하고, 함께 영구적으로 확고하게 결합된 차체의 부품들의 조립체라는 것이 자동차 제조 기술에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제조의 전 과정에서 BIW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부품을 도장 및 조립하는 제조 단계보다 선행한다.
전통적으로, BIW의 구조 부재는 금속 및 합금으로 생산되고, 용접, 리베팅, 클린칭, 본딩, 레이저 브레이징 등과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 서로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자동차 산업에서 대량의 제조는 예를 들어 인발(pultrusion)에 의한 복합 구조 부재의 생산 및 가공에 있어서 자동화를 필요로 한다.
복합 구조 부재, 예를 들어 복합 빔/필라(pillar)를 생산하기 위한 인발 기술은 주로 다이(die)에서 함침된 섬유의 형성으로 이루어진다(함침(impregnation)은 개방 배스에서 또는 주입에 의해 수행된다). 다이는 또한 가열 시스템(종종 열 저항기에 의해)에 의한 수지의 경화를 담당한다. 복합 빔이 당겨지면, 이들은 원하는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부재는 종래의 강재로 만들어진 구조부재보다 품질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개시는 BIW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구성된 차량 서브-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노드 유닛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둘 이상의 구조 부재를 포함하고,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복합 재료로 만들어진다.
복합 재료는 통상 BIW가 생산되는 기존 재료에 비해 무게가 훨씬 낮기 때문에 자동차 제조 산업에서 이들의 활용은 매우 매력적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BIW의 제조에 상업적 용도에 적합한 해결책을 제공하여, 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구조 부재를 서로에 대해 그리고 전통적인 금속 및/또는 합금과 같은 비-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구조 부재에 대해 영구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둘 이상의 지정 소켓(designated socket)들을 갖는 공통 일체형 바디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체결된 적어도 두 개의 별개의 쉘 부재들로 조립된 노드 유닛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둘 이상의 구조 부재들을 포함하는 BIW를 갖는 차량이 제공되며, 상기 구조 부재들 각각은 상기 지정 소켓들 중 하나 내에 꼭 맞게(snugly)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분(engaging portion)을 가지며, 상기 지정 소켓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쉘 부재들이 서로 체결될 때에만 완전한 내부 소켓이 형성되도록 상기 쉘 부재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소켓 부분들 사이에 형성된 내부 소켓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상기에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쉘 부재는 구조 부재 중 하나의 맞물림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그 자신의 소켓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자신의 소켓은 서로 쉘 부재의 조립과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노드 유닛의 지정 소켓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은 그 내부에 꼭 맞게 수용되는 구조 부재의 각각의 맞물림 부분의 단면에 대응할 수 있다.
노드 유닛의 쉘 부재들의 각각의 쌍은 짝을 이루는 구성(mating configurations)을 갖는 보조 플랜지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쉘 부재들은 서로 고정/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보조 플랜지들 사이의 접촉 면적이 쌍의 쉘 부재들의 총 접촉 면적의 대부분을 구성한다. 보조 플랜지들을 서로 고정하는 것은 용접, 리베팅, 클린칭, 본딩, 레이저 브레이징,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접착, 또는 임의의 다른 알려진 고정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기술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쉘 부재의 적어도 보조 플랜지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는 판재(sheet material)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보조 플랜지들은 쉘 부재들의 형성 동안 그 위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전체 노드 유닛은 알루미늄, 강철, 마그네슘 등과 같은 금속 또는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는 압착된 판재의 형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노드 유닛의 쉘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복합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노드 유닛은 노드 유닛의 쉘 부재를 서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체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에 따르면, 이러한 체결기는 쉘 부재의 보조 플랜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노드 유닛은 다른 노드 유닛과 연결되어 복합 노드 구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별개의 쉘 부재들은 노드 유닛의 하나 이상의 폴딩 라인들을 따라 연결된 둘 이상의 쉘 부분들을 포함하는 단일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쉘 부분은 서로 통합될 수 있다.
쉘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구조 부재의 일부를 꼭 맞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정 소켓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쉘 부재에 고정되기 전의 원래 상태와 적어도 다른 쉘 부재에 고정된 후의 변형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쉘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의 벽, 예를 들어, 측벽, 바닥 벽, 지붕 벽, 격벽(bulkhead) 등과 같은, BIW가 아닌 차량의 일부에 부착되거나 그 일부의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벽은 금속판재(sheet metal) 벽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판재, 강 합금 판재 또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쉘 부재들은 차량 BIW가 차량 벽들 중 적어도 일부와 함께 층들로 조립되게 한다. 예를 들어, 제1 층은 제1 쉘 부재와 부착되거나 일체화된 벽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층은 구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제3 층은 제1 쉘 부재에 대한 짝을 구성하는 제2 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 유닛의 내부 소켓 내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구조 부재들 중 적어도 맞물림 부분은 복합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쉘 부재들은 그 맞물림 부분 위에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쉘 부재들은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분에 대해 가압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대응하는 내부 소켓은 이 맞물림 부분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렌더링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조 부재의 맞물림 부분은 구조 부재의 측부들 사이에 배치된 중간 맞물림 부분을 구성할 수 있고, 대응하는 소켓은 구조 부재의 측부들이 그로부터 돌출하도록 중간 맞물림 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포용 소켓(embracing socket)을 구성할 수 있다. 포용 소켓은 내부 소켓일 수 있다.
노드 유닛의 2개 이상의 지정 소켓들은 내부 소켓들일 수 있고, 쉘 부재들은 대응하는 2개 이상의 맞물림 부분들 위에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구조 부재는 복합 재료,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탄소 섬유와 결합된 열경화성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복합구조 부재는 강재로 만들어지는 종래의 구조 부재에 비하여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저중량 유지가 가능하여 내식성이 높다.
일 예에 따르면, 복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이들 구조 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인발 공정에서 제조된다.
구조 부재는 차량 BIW의 빔/필라일 수 있다.
노드 유닛은 그것에 의하여 확고하게 연결된 구조부재들보다 응력에 대해 더 큰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조 부재의 맞물림 부분은 대응하는 쉘 부재의 돌출 맞물림 내부 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지정된 함몰부(depression)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조 부재의 맞물림 부분은 구조 부재의 측부들 사이에 배치된 중간 맞물림 부분을 구성할 수 있고, 대응하는 소켓은 구조 부재의 측부들이 그로부터 돌출하도록 중간 맞물림 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포용 소켓을 구성한다.
포용 소켓은 내부 소켓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특징들 중 임의의 특징을 갖는 노드 유닛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각각의 맞물림 부분을 갖는 2개 이상의 구조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특징들 중 임의의 특징을 가지며, 2개 이상의 맞물림 부분이 노드 유닛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구조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에 통합되도록 구성된 노드 유닛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BIW는 하중(load)을 견디도록 설계된 차량 또는 그 일부의 구조 프레임을 나타낸다. 이 용어는 예를 들어 차량 스페이스 프레임, 차량 샤시, 차량 프레임, 차량 모노코크(monocoque), 차량 유니바디(unibody), 프레임 위상의 차체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구조 부재라는 용어는 BIW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구조 또는 조립체를 의미한다. 구조 부재는 단일체, 예를 들어 3D 또는 2D 트러스, 지지 빔, 시트 패널(sheet panel)일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단일체를 포함하는 조립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차량 BIW 서브-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분을 각각 갖는 2개 이상의 구조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b) 서로 조립될 때 2개 이상의 구조 부재의 맞물림 부분 중 하나를 꼭 맞게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 2개 이상의 지정 소켓을 갖는 노드 유닛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쉘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지정 소켓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쉘 부재의 소켓 부분 사이에 형성된 내부 소켓인 단계;
(c) 구조 부재들의 맞물림 부분들이 지정 소켓들 내에 꼭 맞게 수용되도록 하여 쉘 부재들 및 구조 부재들을 조립하는 단계;
(d) 단계 (c)의 조립 단계는 내부 소켓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구조 부재의 맞물림 부분 위에서 쉘 부재들을 서로 체결하는 단계 및 노드 유닛의 내부 소켓 내에 이러한 체결-오버(fasten-over) 맞물림 부분을 확고하게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체결-오버 맞물림 부분 이외의 구조 부재의 맞물림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내부 지정 소켓 이외의 지정 소켓에 꼭 맞게 삽입하고, 이 다른, 비체결-오버 맞물림 부분을 그 내부에 체결하는 중간 단계(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단계(e)는 단계(c)에서의 보장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단계(a)와 동시에 또는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2개의 구조 부재는 종축을 가질 수 있고, 이들의 종축이 서로에 대해 0이 아닌 각도를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확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노드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쉘 부재 노드 유닛을 서로 체결하는 것은 용접, 리베팅, 클린칭, 나사결합/볼팅, 본딩, 레이저 브레이징 체결기, 접착(gluing)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체결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가압, 변형 등을 포함하는 쉘 부재에 힘을 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기 양태들, 특히 BIW의 적어도 2개의 구조적 부재들이 이러한 양태들에 따라 연결되는 특정 방식은 적어도 하나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분이 복합 재료로 만들어질 때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효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러한 서브-조립체들의 대량 생산 및 전통적인 자동차 생산 라인 또는 약간 변형된 자동차 생산 라인으로의 이들의 통합을 본질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은 개시된 주제의 특징이 특정 실시예 및 예에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 실시예들 및 실시예들의 리스트 다음에 제시된 도면들에 도시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하기에 제공된다:
1. 서로 조립된 2개 이상의 쉘 부재들로 형성된 노드 유닛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각각의 맞물림 부분들을 갖는 2개 이상의 구조 부재들을 포함하는 BIW를 갖는 차량으로서, 상기 노드 유닛은 적어도 2개의 지정 소켓들을 가지며, 각각은 상기 하나의 구조 부재들 중 하나의 맞물림 부분을 꼭 맞게 수용하며, 상기 지정 소켓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2개 이상의 쉘 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내부 소켓인, 차량.
2.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차량의 벽에 부착되는, 차량.
3.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차량의 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차량.
4. 실시예 1,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기 벽은 금속 판재 벽인, 차량.
5. 실시예 2 내지 4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기 벽은 알루미늄 합금, 강철 합금, 또는 마그네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로 만들어지는, 차량.
6.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소켓 내에 수용되는 적어도 상기 맞물림 부분은 복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
7. 실시예 6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맞물림 부분 위에 서로 체결되는, 차량.
8.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들의 상기 맞물림 부분들 중 2개 이상은 복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
9.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드 유닛의 상기 지정 소켓들 중 2개 이상은 적어도2개의 상기 쉘 부재들 사이에 정의된(defined) 내부 소켓들이고, 이들 쉘 부재들은 각각의 맞물림 부분 위에서 서로 체결되는, 차량.
10.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복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
11.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들 중 적어도 2개는 복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
12.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는 상기 차량 BIW의 빔 또는 필라인, 차량.
13.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판재로 만들어지는, 차량.
14.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들은 비복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
15.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차량.
16.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분에 대해 가압 되도록 구성되어, 대응하는 상기 내부 소켓이 상기 맞물림 부분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렌더링 되는, 차량.
17.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조 부재의 상기 맞물림 부분은 상기 구조 부재의 측부들 사이에 배치된 중간 맞물림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대응 소켓은 상기 구조 부재의 상기 측부들이 돌출하도록 상기 중간 맞물림 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용 소켓을 구성하는, 차량.
18. 실시예 17에 있어서, 상기 포용 소켓은 상기 내부 소켓인, 차량.
19.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지정 소켓들은 2개 이상의 상기 쉘 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내부 소켓들인, 차량.
20.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분을 각각 갖는 2개 이상의 구조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로서, 적어도 2개의 상기 구조 부재의 맞물림 부분은 서로 조립된 2개 이상의 쉘 부재로 형성된 노드 유닛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노드 유닛은 적어도 2개의 지정 소켓을 갖고, 각각은 하나의 상기 구조 부재 중 하나의 맞물림 부분을 꼭 맞게 수용하며, 상기 지정 소켓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2개 이상의 쉘 부재 사이에 형성된 내부 소켓인, 차량 BIW 서브-조립체.
21. 실시예 20에 따른 차량의 일부를 구성하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22. 실시예 20 또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소켓 내에 수용되는 적어도 맞물림 부분이 복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23. 실시예 20 내지 실시예 22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상기 내부 소켓 내에 꼭 맞게 수용된 맞물림 부분 위에서 서로 체결되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24. 실시예 20 내지 실시예 23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의 2개 이상의 상기 맞물림 부분이 복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25.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노드 유닛의 지정 소켓들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쉘 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내부 소켓들이고, 상기 쉘 부재들은 상기 내부 소켓들 내에 수용된 상기 맞물림 부분들 위에서 서로 체결되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26.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5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복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27.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6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 중 적어도 2개가 복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28.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7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는 차량 빔 또는 필라 형태인, 차량 BIW 서브-조립체.
29.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8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판재로 만들어지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30.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9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비복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31.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30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차량 BIW 서브-조립체.
32.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31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적어도 상기 맞물림 부분에 대해 가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쉘 부재는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대응하는 내부 소켓이 상기 맞물림 부분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렌더링되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33. 실시예 21내지 실시예 32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조 부재의 상기 맞물림 부분은 상기 구조 부재의 측부들 사이에 배치된 중간 맞물림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대응 소켓은 상기 구조 부재의 상기 측부들이 돌출하도록 상기 중간 맞물림 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포용 소켓을 구성하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34.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포용 소켓은 상기 내부 소켓인, 차량 BIW 서브-조립체.
35.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34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정 소켓들 중 적어도 2개는 내부 소켓들인, 차량 BIW 서브-조립체.
36. 2개 이상의 맞물림 부분들이 노드 유닛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구조 부재들을 포함하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에 통합되도록 구성된 노드 유닛으로서, 상기 노드 유닛은 서로 조립되는 2개 이상의 쉘 부재들로 형성되고, 상기 노드 유닛은 상기 구조 부재들 중 하나의 맞물림 부분을 꼭 맞게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지정 소켓들을 가지며, 상기 지정 소켓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쉘 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소켓이고, 상기 쉘 부재들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맞물림 부분 위에 서로 체결되어, 상기 노드 유닛의 내부 소켓 내에 적어도 상기 맞물림 부분을 확고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노드 유닛.
37. 실시예 36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판재로 만들어진, 노드 유닛.
38. 실시예 36 또는 실시예 37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비복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노드 유닛.
39. 실시예 36, 실시예 37 또는 실시예 38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노드 유닛.
40. 실시예 36 내지 실시예 39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적어도 상기 맞물림 부분에 대해 가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쉘 부재는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대응하는 내부 소켓이 상기 맞물림 부분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렌더링 되는, 노드 유닛.
41. 실시예 36 내지 실시예 40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조 부재의 상기 맞물림 부분은 상기 구조 부재의 측부 사이에 배치된 중간 맞물림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대응 소켓은 상기 구조 부재의 측부가 돌출하도록 상기 중간 맞물림 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포용 소켓을 구성하는, 노드 유닛.
42.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포용 소켓은 내부 소켓인, 노드 유닛.
43. 실시예 36 내지 실시예 42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정 소켓들 중 적어도 2개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쉘 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내부 소켓들인, 노드 유닛.
44.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9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시예 20 내지 실시예 35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BIW 서브-조립체, 또는 실시예 36 내지 실시예 43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노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지정 소켓은 상기 맞물림 부분이 내부에 수용될 때, 그들 사이에 하중 지지 인터페이스를 갖는 그러한 상호 배향을 갖는 차량, 서브-조립체 또는 노트 유닛.
45.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 인터페이스는 상기 소켓들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격벽(partition)인, 차량 또는 서브-조립체 또는 노드 유닛.
46.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9, 실시예 44 또는 실시예 45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시예 20 내지 실시예 35, 또는 실시예 44 또는 실시예 45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조립체 또는 실시예 36 내지 실시예 43, 또는 실시예 44 또는 실시예 45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노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차량, 서브-조립체 또는 노트 유닛.
47.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9 또는 실시예 44 내지 실시예 46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시예 20 내지 실시예 35 또는 실시예 44 내지 실시예 46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조립체, 또는 실시예 36 내지 실시예 43 또는 실시예 44 내지 실시예 46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노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들 중 적어도 2개는 짝을 이루는 쉘 부재들을 구성하고, 상기 2개의 쉘 부재들이 서로 체결될 때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각각의 짝을 이루는 보조 플랜지들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들 각각은 2개의 상기 지정 소켓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차량, 서브-조립체 또는 노트 유닛.
48. 실시예 4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짝을 이루는 쉘 부재가 서로 체결될 때, 이들의 보조 플랜지의 접촉 면적이 이들 쉘 부재의 총 접촉 면적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차량 또는 서브-조립체 또는 노드 유닛.
49. 실시예 47 또는 실시예 48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랜지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이에 의해 그와 관련된 상기 쉘 부재를 서로 체결하는, 차량 또는 서브-조립체 또는 노드 유닛.
50. 차량 BIW 서브-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분을 각각 갖는 2개 이상의 구조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b) 서로 조립될 때 2개 이상의 구조 부재의 맞물림 부분 중 하나를 꼭 맞게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 2개 이상의 지정 소켓을 갖는 노드 유닛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쉘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정 소켓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쉘 부재의 소켓 부분 사이에 형성된 내부 소켓인, 단계;
(c) 상기 구조부재들의 상기 맞물림 부분들이 상기 지정 소켓들 내에 꼭 맞게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쉘 부재들 및 상기 구조부재들을 조립하는 단계;
(d) 단계 (c)의 조립 단계는 내부 소켓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구조 부재들의 상기 맞물림 부분 위에서 상기 쉘 부재들을 서로 체결하는 단계 및 노드 유닛의 내부 소켓 내에 이러한 체결-오버 맞물림 부분을 확고하게 고정하는, 단계
51. 실시예 50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체결-오버 맞물림 부분 이외의 구조 부재의 제2 맞물림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내부 지정 소켓 이외의 제2 지정 소켓의 에 꼭 맞게 삽입하는 단계, 및 이 다른, 비체결-오버 맞물림 부분을 그 내부에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2. 실시예 50 또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쉘 부재의 상기 체결은 접착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그리고 그것이 실제로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을 예시하기 위해, 실시예들은 이제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본 개시된 주제에 따른 상이한 노드 유닛들이 사용되는, 차량의 BIW의 일 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BIW에서 사용하기 위해 노드 유닛의 다른 쉘 부재가 고정되기 전에, 본 개시된 주제의 일 예에 따른 노드 유닛의 하나의 쉘 부재의 확대 평면도이고, 관련된 구조 부재들이 내부에 수용된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쉘 부재의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노드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쉘 부재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다른 쉘 부재의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쉘 부재를 갖는 조립된 상태의 노드 유닛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된 주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드 유닛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된 주제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다른 노드 유닛과 부착된 하나의 노드 유닛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BIW의 노드 유닛을 위한 쉘 부재를 구성하는 차량의 측벽을 갖는 차량의 BIW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3개의 구조 부재가 연결된 상태로 도시된, 본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독립적인 소켓을 갖는 노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 7a에 도시된 노드 유닛 및 구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된 주제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체결기를 포함하는 노드 유닛의 평면도이다; 및
도 9는 본 개시된 주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foldable) 노드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은 차량 BIW를 나타낸 것으로, 교차/만남 지역에서 노드 유닛으로 연결된 빔 형태의 구조부재로 이루어진 차량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1)이다. 각각의 노드 유닛은 적어도 2개의 지정 소켓 노드 유닛을 가지며, 각각은, 이 맞물림 부분 및 그에 따른 빔을 제 위치에 확고하게 고정하고, 이에 의해 2개의 상이한 빔들을 그들의 원하는 상호 배향을 유지하면서 통합된 구조로 접합시키기 위해, 상이한 빔의 일부분(본 명세서에서 빔의 맞물림 부분으로서 지칭됨)을 그 안에 꼭 맞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BIW에서, 각각의 노드 유닛들에 수용된 그들의 맞물림 부분들을 갖는 복수의 이러한 빔들이 존재하며, 그 중 간결성을 위해, (15)로 지정된 하나의 노드 유닛, 및 (11) 및 (13)으로 지정된 2개의 빔들만이 하기의 설명에서 참조될 것이지만, 설명은 그에 의해 연결된 모든 다른 노드 유닛들 및 빔들에 완전히 적용 가능하다.
도시된 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빔(11, 13)은 맞물림 부분(111, 113)를 포함하는 반면, 노드 유닛(15)은 2개의 지정 소켓(17, 19)을 포함하고, 각각은 각각의 맞물림 부분(111, 113)를 꼭 맞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2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맞물림 부분(111)은 구조 부재(11)의 측부(11a, 11b)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 중간 맞물림 부분을 구성한다. 적합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맞물림 부분(111)을 수용하는 대응 소켓(17)은 2개의 대향되고 정렬된 개구(17', 17'')를 가지기 때문에 포용 소켓을 구성하며, 이는 빔(11)의 측부가 개구(17', 17'')로부터 돌출되게 하는 방식으로 중간 맞물림 부분(111)을 내부에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한다.
노드 유닛(15)은 도 3a 및 도 3b에 서로 별개로 도시된 2개의 쉘 부재(15a, 15b)로 구성되어 서로 체결되어 지정 소켓(17, 19)을 갖는 노드 유닛(15)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쉘 부재(15a, 15b)는 노드 유닛(15)의 절반을 구성하여, 소켓 부분(154a, 154b)이 지정 소켓(19)을 함께 형성하고, 부분(155a, 155b)이 지정 소켓(17)을 함께 형성한다. 이들 지정 소켓은 내부 소켓(17)에 대해 도 4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쉘 부재(15a, 15b) 사이에 형성된 내부 소켓이다.
본 개시된 주제의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켓은 쉘 부재들 중 하나에 형성된 비-내부 독립 소켓(non-interior, independent socket)일 수 있고, 단일 내부 소켓 및 따라서 완전한 노드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쉘 부재들이 요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구조 부재(11, 13)는 초기에 쉘 부재 중 하나, 예를 들어 부재(15a)에 위치되어 이들의 맞물림 부분(111, 113)이 서로에 대해 90도로 배향되고, 이어서 쉘 부재(15b)가 쉘 부재(15a)에 체결되어 맞물림 부분(111, 113)를 제 위치에 확고하게 고정시킨다.
도 3a 및 3b에서 볼 수 있듯이, 쉘 부재(15a, 15b)는 각각 보조 플랜지(151a, 151b)의 짝을 이루는 쌍을 포함한다. 쉘 부재(15a, 15b)가 조립되어 노드 유닛(15)을 형성할 때, 상기 보조 플랜지의 짝을 이루는 쌍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플랜지들의 상기 쌍들을 따라 그리고 그에 의해 지정 소켓들(17, 19) 내의 2개의 맞물림 부분들(111, 113)을 따라 서로 2개의 쉘 부재들(15a, 15b)을 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고정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의 일 예는 플랜지의 접촉 영역에 적용될 수 있는 접착제에 의해 플랜지를 서로 접착시키는 것이다. 이 예에서, 2개의 쉘 부재의 보조 플랜지 사이의 접촉 영역은 쉘 부재 사이의 총 접촉 영역의 대부분을 구성하며, 이는 2개의 쉘 부재(15a, 15b) 사이에 강한 결합을 생성하기 위해 그 위에 비교적 많은 양의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게 한다.
연결의 완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조 플랜지(151a, 151b)는 접착제의 적용 후에 서로에 대해 가압될 수 있고, 접착제는 또한 소켓(17, 19) 내부뿐만 아니라 쉘 부재(15a)의 내부 표면 상에 그리고 쉘 부재(15b)의 외부 표면 상에 각각 위치된 부분(153a, 153b) 사이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방식은 빔(11, 13)이 그들의 맞물림 부분(111, 113)와 함께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게 한다. 노드(15), 즉 쉘 부재(15a, 15b)에 대해서도 동일한 것이 맞으며, 이 예에서는 가압 처리된 알루미늄 판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전술한 쉘 부재(15a, 15b)는 원하는 구성의 내부를 갖도록 미리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쉘 부재들은, 대응하는 내부 소켓들(17, 19)이 맞물림 부분들(111, 113)의 형상에 부합하여 형성되도록, 그들의 교차 영역에서 원하는 배치로 배열된 대응하는 구조 부재들에 대해 평평한 알루미늄 판재를 가압함으로써 원하는 구성을 수용하도록 강요될 수 있다.
서로에 대한 구조적 부재들, 그리고 결과적으로, 대응하는 노드 유닛과의 그들의 맞물림 부분들의 상호 배치에 관하여, 이들 부분들은 노드 유닛 내에서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빔(11, 13)의 맞물림 부분(111, 113)는 인터페이스 영역(12)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각각의 지정 소켓(17, 19) 내에 수용된다. 이 경우에, 인터페이스(12)는 노드 유닛(15) 내의 빔(11, 13) 사이의 하중 전달을 허용하는 하중 지지 인터페이스이다. 그러나, 노드 유닛에 의해 연결된 2개의 구조 부재 사이의 이러한 하중 전달이 요구되지 않을 때, 예를 들어, 노드 유닛의 바디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두 개의 쉘 부재로 조립된 노드 유닛에 의해 두 개의 구조 부재가 상호 수직 방향으로 접합될 수 있는 방법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개시된 주제에 따라 단일 노드 유닛에 의해 연결된 구조 부재의 수는 임의의 원하는 것일 수 있고, 이들은 임의의 원하는 상호 배향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이 옵션은 구조 부재들이 노드 유닛 내에 배치된 공통 중앙 영역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별 모양' 구성이다. 또한, 본 개시된 주제에 따른 노드 유닛들은 임의의 수의 쉘 멤버들로부터 조립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결합된 노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노드 유닛
이러한 결합된 노드 구조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된 차량 BIW의 2개의 빔(21 및 22)의 맞물림 부분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전자의 2개의 연결된 노드 유닛(25 및 35)을 도시하는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후자는 2개의 빔(23 및 24)의 맞물림 부분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두 개의 노드 유닛 사이의 연결은 구역(30)에서 이들을 서로 용접하거나 고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된 주제에 따른 노드 유닛들은 차량의 부품의 일부에 연결되거나 그 일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반드시 BIW의 일부를 구성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옵션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차량의 측벽(52)과 함께 차량(50)의 BIW를 도시한다. 측벽(52)은 노드 유닛(45)에서 쉘 부재(51)에 짝으로서 형성되는 쉘 부재(미도시)와 일체로 연결된다. 2개의 쉘 부재는 구조 부재(56a, 56b, 56c) 위에서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노드 유닛(45)을 형성한다.
차량의 벽(52)에 일체로 연결된 쉘 부재를 갖는 것은 차량 BIW가 벽(52)과 함께 층들로 조립될 수 있게 한다. 제1 층은 벽(52)과 함께 그와 일체화된 노드[보이지 않음]를 포함하고, 제2 층은 구조 부재(56a, 56b 및 56c)를 포함하며, 제3 층은 쉘 부재(51)를 포함한다. 층들은 예를 들어, 이들의 접촉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 적용되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본 개시된 주제에 따른 그 쉘 부재들을 갖는 노드 유닛은, 쉘 부재들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전술한 것들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 소켓에 더하여, 임의의 다른 쉘 부재와 독립적으로 쉘 부재들 중 하나의 일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소켓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소켓 내에 수용된 구조 부재 또는 적어도 그 맞물림 부분은 내부 소켓 내에 수용된 구조 부재 또는 적어도 그 맞물림 부분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과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자의 재료는 금속 또는 허용물일 수 있고, 후자는 복합 재료일 수 있다.
도 7A는 2개의 쉘 부재(55a, 55b) 및 3개의 지정 소켓(56, 57, 58)을 갖는 이러한 노드 유닛(55)의 일 예를 도시하며, 이들 소켓은 각각 빔(60, 61, 62)의 맞물림 부분을 각각 꼭 맞게 수용한다. 소켓(57, 58)은 쉘 부재(55a, 55b) 사이에 정의된 내부 소켓인 반면, 소켓(56)은 단지 쉘 부재(55a)에 형성된 외부의 독립적인 소켓이다.
빔(60, 61, 62)의 이러한 연결을 조립하기 위해, 쉘 부재(55a, 55b)는 1차적으로 조립되어 빔(60, 62)의 맞물림 부분 위에서 서로 체결될 수 있어서, 이들 빔을 내부 소켓(57, 58) 내에 확고하게 고정하고, 빔(61)은 후속하여 소켓(56) 내에 삽입되고 그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빔(62)은 수직 평면을 따라 배치되고 인터페이스(60')를 통해 빔(61) 상에 기울어져 있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빔(61)은 수평 평면 상에 배치되고 단지 노드 유닛(55)의 바디 상에 기울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예에서, 노드 유닛(55)은 빔(61)을 지원할 수 있게 하는 그러한 무결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구조에서, 빔(61) 또는 적어도 그 맞물림 부분은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반면, 빔(60, 62) 또는 적어도 그 맞물림 부분은 복합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된 주제의 노드 유닛의 쉘 부재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고, 다른 체결 기술이 대신하여 또는 접착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옵션의 일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2개의 쉘 부재(65a, 65b)로 조립된 노드 유닛(65)을 도시하며, 이들은 2개의 체결기(66, 68)에 의해 이들의 보조 플랜지에서 서로에 대해 확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본 개시된 주제에 따른 쉘 부재들은 노드 유닛을 형성하도록 조립되기 전에 그 일 측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2개의 쉘 부재가 폴딩 라인을 따라 연결된 바디의 2개의 쉘 부분으로 구성된 단일 바디로서 형성된 셸 부재의 결과일 수 있다.
도 9는 단일 노드 유닛 바디(75)가 (75')를 따라 연결된 2개의 쉘 부분(75a, 75b)을 포함하는 그러한 옵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노드 유닛 바디(75)는 도 9에서 펼쳐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접힐 때, 쉘 부분(75a, 75b)은 노드 유닛(15)에 대해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지정 소켓을 형성한다.

Claims (21)

  1. 차량 BIW 서브-조립체로서, 상기 차량 BIW 서브-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분을 각각 갖는 2개 이상의 구조 부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구조 부재의 상기 맞물림 부분은 서로 조립된 2개 이상의 쉘 부재로 형성된 노드 유닛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노드 유닛은 적어도 2개의 지정 소켓을 갖고, 각각은 상기 하나의 구조 부재 중 하나의 맞물림 부분을 꼭 맞게 수용하며, 상기 지정 소켓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2개 이상의 쉘 부재 사이에 형성된 내부 소켓인, 차량 BIW 서브-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소켓 내에 수용되는 적어도 상기 맞물림 부분은 복합 재료로 만들어 지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상기 맞물림 부분 위에서 서로 체결되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의 상기 맞물림 부분 중 2개 이상은 복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유닛의 상기 지정 소켓들 중 2개 이상은 적어도 2개의 상기 쉘 부재들 사이에 정의된 내부 소켓들이고, 이들 쉘 부재들은 상기 각각의 맞물림 부분 위에서 서로 체결되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복합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 중 적어도 2개는 복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는 상기 차량 BIW 서브-조립체의 빔 또는 필라인, 차량 BIW 서브-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판재로 만들어지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비복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조 부재의 적어도 상기 맞물림 부분에 대해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대응하는 내부 소켓이 상기 맞물림 부분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렌더링되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조 부재의 상기 맞물림 부분은 상기 구조 부재의 측부들 사이에 배치된 중간 맞물림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대응 소켓은 상기 구조 부재의 상기 측부들이 돌출하도록 상기 중간 맞물림 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용 소켓을 구성하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포용 소켓은 상기 내부 소켓인, 차량 BIW 서브-조립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지정 소켓은 2개 이상의 상기 쉘 부재사이에 형성된 내부 소켓인, 차량 BIW 서브-조립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소켓은, 상기 맞물림 부분이 내부에 수용될 때 그들 사이에 하중 지지 인터페이스를 갖도록 상호 배향을 갖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 인터페이스는 상기 소켓들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격벽인, 차량 BIW 서브-조립체.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 부재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차량 BIW 서브-조립체.
  19. 차량 BIW 서브-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2개 이상의 각각의 맞물림 부분을 갖는 2개 이상의 구조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b) 2개 이상의 쉘 부재를 포함하는 노드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쉘 부재들은 서로 조립될 때, 상기 2개 이상의 맞물림 부분의 각각의 맞물림 부분을 꼭 맞게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 적어도 2개의 지정 소켓을 갖는 상기 노드 유닛을 형성하고, 상기 지정 소켓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2개 이상의 쉘 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내부 소켓이고, 상기 쉘 부재들은 상기 노드 유닛의 상기 내부 소켓 내에 적어도 상기 맞물림 부분을 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맞물림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 위에서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노드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
    (c) 적어도 상기 맞물림 부분을 상기 노드 유닛의 내부 소켓 내에 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쉘 부재를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분 위에서 서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제2 지정 소켓에 제2 맞물림 부분을 꼭 맞게 삽입하고, 이 맞물림 부분을 그 내부에 체결시키는 단계(d)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쉘 부재의 상기 체결은 접착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KR1020227003007A 2019-07-04 2019-07-04 차량 화이트바디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310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L2019/050747 WO2021001813A1 (en) 2019-07-04 2019-07-04 Vehicle body in whit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032A true KR20220031032A (ko) 2022-03-11

Family

ID=74100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007A KR20220031032A (ko) 2019-07-04 2019-07-04 차량 화이트바디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66913A1 (ko)
EP (1) EP3983280A4 (ko)
JP (1) JP2022551024A (ko)
KR (1) KR20220031032A (ko)
WO (1) WO2021001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39079B1 (ja) 2021-05-25 2023-03-14 日本製鉄株式会社 自動車車体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539A (en) * 1933-10-05 1935-10-22 Charles M Soule Adjustable terminal
US2923542A (en) * 1955-07-18 1960-02-02 Douglas Aircraft Co Inc Glass fiber jigs
GB1356112A (en) * 1970-08-26 1974-06-12 British Leyland Truck & Bus Motor vehicles
IT1165208B (it) * 1979-05-25 1987-04-22 Fiat Auto Spa Ossatura portante per autoveicoli
DE4423642C1 (de) * 1994-07-06 1995-10-12 Daimler Benz Aerospace Ag Tragrahmen,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ZA973413B (en) * 1996-04-30 1998-10-21 Autokinetics Inc Modular vehicle frame
AU7458098A (en) 1998-06-01 1999-12-20 Abb Daimler-Benz Transportation, S.A. Connecting element for structures for railway passenger vehicles
DE10032556B4 (de) * 2000-07-05 2010-06-10 Volkswage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rosseriebauteils in Sandwichbauweise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GB2365391B (en) * 2000-08-08 2002-09-04 Lotus Car Land vehicle
EP2543031A1 (en) * 2010-03-01 2013-01-09 Noa Habas Visual and tactile display
US8641133B1 (en) * 2011-10-10 2014-02-04 Robert Joseph Scaringe High strength lightweight vehicle and an improved method for producing same
GB2503886B (en) 2012-07-10 2017-01-11 Gordon Murray Design Ltd Vehicle bodywork
DE102013226607A1 (de) * 2013-12-19 2015-06-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arosseriestruktur in Knotenbauweise
US9731773B2 (en) * 2015-03-11 2017-08-15 Caterpillar Inc. Node for a space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3280A4 (en) 2022-06-08
US20220266913A1 (en) 2022-08-25
JP2022551024A (ja) 2022-12-07
EP3983280A1 (en) 2022-04-20
WO2021001813A1 (en)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2975B2 (ja) 車両骨格構造
US9963172B2 (en) Body structure of vehicle
JPS62214063A (ja) 車輛フレ−ム・レ−ル組立体およびアンダボデ−構造
JP4825640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US8152223B2 (en) Sidewall for a motor vehicle
JP2000130689A (ja) 中空室状の軽量構成部品
JP2009501665A (ja) 一体型自己補剛パネル
WO2015146902A1 (ja) 車体側部構造
US10913500B2 (en) Body structure reinforcement, body structure and related method
JP5641662B2 (ja) 車両シャーシ
WO2015146903A1 (ja) 車体側部構造
US989618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load bearing structure and such a load bearing structure
JP2010533622A (ja) 少なくとも一つの中空形状部を備えるプロファイル部
US20040070229A1 (en) Passenger vehicl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8195223A (ja) 車体骨格構造
KR20220031032A (ko) 차량 화이트바디 및 그 제조 방법
US7575250B2 (en) Cross member for a motor vehicle
CN112172932B (zh) 车身下部构造
JP2002053067A (ja) 車体の骨格構造
US20160304127A1 (en) Support element for absorbing forces in a vehicle
JP2014054963A (ja) 自動車のフロア構造
JP2001018834A (ja) 中空車体枠部材用補強部材
JP4881936B2 (ja) 車体前部構造
JP2008068667A (ja) 車体のエンジンコンパートメント構造
JP2018118585A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