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296A - 카메라 기반 주차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 기반 주차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296A
KR20220028296A KR1020200109091A KR20200109091A KR20220028296A KR 20220028296 A KR20220028296 A KR 20220028296A KR 1020200109091 A KR1020200109091 A KR 1020200109091A KR 20200109091 A KR20200109091 A KR 20200109091A KR 20220028296 A KR20220028296 A KR 20220028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information
entry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796B1 (ko
Inventor
김승일
김태수
Original Assignee
김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일 filed Critical 김승일
Priority to KR102020010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7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92Multi-camera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 G06T2207/30252Vehicle exterior; Vicinity of vehicle
    • G06T2207/30264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구역별로 한 쌍의 촬영부들을 설치함과 동시에 촬영부가 차량 진입/진출 감지 시,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인식된 차량번호 및 주차면 위치를 포함하는 진입/진출정보를 생성하여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중앙서버가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주차위치를 요청받을 때,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기 등록된 등록정보를 탐색하여 해당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해당 차량의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해당 차량이 주차된 구역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어 서비스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각 주차면에 별도의 감지센서, 안내장치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및 운영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인력소모를 방지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촬영부가 각 주차면에 주차예약상태에 따른 문구가 표시되도록 광원을 출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주차면에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구현이 가능하여 설치가 간단함과 동시에 차량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과의 접촉 및 마찰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카메라 기반 주차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기반 주차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Park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arking used camera and supplying system for parking information therewith}
본 발명은 카메라 기반 주차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카메라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과 스마트폰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차량의 주차정보를 처리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주차구역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며, 각 주차면에 예약문구가 전시되도록 광원을 출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 등록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해당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된 구역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조작 없이 주차정보 처리가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주차차단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미예약 차량의 주차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카메라 기반 주차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주차장은 제한된 공간에 다수의 주차공간을 제공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최근 들어 차량이 증가하고 도심이 발달함에 따라 관공서, 쇼핑몰, 백화점 등의 대형 건물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대형 건물은 일반적으로 방문 및 유동 차량수가 많기 때문에 다수의 차량들에게 주차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넓은 대형주차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형주차장은 다층의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한 후, 용건을 마치고 난 이후 자신의 차량으로 복귀할 때, 주차위치를 잊어버리거나 또는 정확한 위치를 혼돈하여 시간을 허비하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차가 완료되면, 주차된 차량의 위치를 검출한 후, 해당 운전자의 요청 시, 해당 운전자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키오스크(KIOSK)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해당 차량의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를 제공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국내공개번호 제10-2020-0070479호)을 특허 출원하였으나, 상기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은 1)사용자가 키오스크에 접근하여 직접 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 접근성 및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2)차량주차여부를 감지하는 주차면 안내기들이 각 주차면에 매립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및 운영이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 등록된 국내등록특허 제10-2090203호(발명의 명칭 : 주차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된 주차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의 주차정보 제공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각 주차면에 설치되어 해당 주차면의 차량을 감지하는 주차면 안내기(103)들과, 주차면 안내기(103)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관리서버(107)와, 운전자가 소지하며 주차정보를 처리하는 주차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105)으로 이루어진다.
주차면 안내기(103)는 해당 주차면의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에 의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주차면으로 차량 진입이 이루어졌는지 또는 해당 주차면으로부터 차량 진출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별하는 감지신호 분석모듈과, 감지신호 분석모듈에 의해 해당 주차면의 차량 진입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될 때 구동되어 기 설정된 시간동안 활성화되며, 접속되는 휴대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인 제1 식별ID정보를 전송받는 근거리 통신모듈과,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 받은 제1 식별ID정보, 자신에게 할당된 식별정보인 제2 식별ID정보, 진입내용 및 진입시간을 매칭시킨 진입정보를 생성하는 진입정보 생성모듈과, 진입정보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진입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1)관리서버(107)가 각 주차면의 제2 식별ID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 설정하여 저장하며, 상기 주차면 안내기들로부터 전송받은 진입정보의 제2 식별ID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전송받은 진입정보의 제1 식별ID정보의 휴대단말기로 생성된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로 구성됨과 동시에 2)주차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105)을 통해 관리서버(107)로부터 주차위치정보를 전송받으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주차위치정보를 스마트폰(105)의 모니터를 통해 전시하도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해당 주차면 안내기(103) 및 해당 스마트폰(105)의 일대일 매칭이 이루어져 정보제공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차량 감지가 주차면 안내기(103)의 감지센서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주차면에 주차면 안내기(103)를 일일이 매립되게 설치해야함에 따라 설치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장비점검 및 교체가 복잡하여 불필요한 인력 및 비용소모가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주차면 안내기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공급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탐색하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배터리 교체 작업이 빈번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운영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인력소모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각 구역별로 한 쌍의 촬영부들을 설치함과 동시에 촬영부가 차량 진입/진출 감지 시,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인식된 차량번호 및 주차면 위치를 포함하는 진입/진출정보를 생성하여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중앙서버가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주차위치를 요청받을 때,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기 등록된 등록정보를 탐색하여 해당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해당 차량의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해당 차량이 주차된 구역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어 서비스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카메라 기반 주차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각 주차면에 별도의 감지센서, 안내장치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및 운영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인력소모를 방지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카메라 기반 주차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촬영부가 각 주차면에 주차예약상태에 따른 문구가 표시되도록 광원을 출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주차면에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구현이 가능하여 설치가 간단함과 동시에 차량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과의 접촉 및 마찰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촬영부의 제1, 2 카메라들이 서로 대향되는 주차면들을 촬영하도록 설치되어 서로의 사각지대를 상호 보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검지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카메라 기반 주차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각 구역별로 한 쌍의 촬영부들을 설치함과 동시에 촬영부가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촬영부가 영상분석을 통한 차량 진입/진출 시점과 휴대단말기의 접속시점을 비교하여 진입/진출 차량 및 휴대단말기를 매칭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해당 차량이 주차된 구역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어 서비스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카메라 기반 주차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주차장을 분할한 구역(S)들 각각에 설치되는 촬영부들과, 상기 촬영부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중앙서버와, 운전자가 소지하며 주차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분석을 통해 차량 진입/진출을 판별함과 동시에 차량 진입/진출 판별 시,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차량 진입/진출 시점과 차량번호, 진입/진출 시간을 매칭시켜 진입/진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받은 진입/진출정보에 따라 주차상태정보를 생성 및 갱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중앙서버에는 기 등록된 사용자의 차량번호 및 휴대단말기 고유ID를 포함하는 등록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주차위치 요청 시,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등록정보 및 주차상태정보를 탐색하여 해당 휴대단말기로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객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량객체의 궤적을 트래킹(Tracking)하는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 상기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차량객체의 궤적정보를 통해 감지차량이 진입차량인지 진출차량인지를 판단한 후, 감지차량이 진입차량 또는 진출차량으로 판별될 때, 해당 주차면의 위치를 검출하는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 상기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에 의해 특정 주차면(P)에 차량 진입 또는 차량 진출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해당 진입/진출차량의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 1)상기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에서 감지차량이 진입차량으로 판별될 때, 상기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로부터 입력된 주차면 위치정보와,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로부터 입력된 차량번호와, 진입시간을 매칭시켜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2)상기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에서 감지차량이 진출차량으로 판별될 때, 상기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로부터 입력된 주차면 위치정보와,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로부터 입력된 차량번호와, 진출시간을 매칭시켜 진출정보를 생성하는 진입/진출정보 생성부; 상기 진입/진출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진입정보 또는 진출정보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수단은 카메라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주차장을 분할한 구역(S)들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촬영부들과, 상기 촬영부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중앙서버와, 운전자가 소지하며 주차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분석을 통해 차량 진입/진출을 판별함과 동시에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휴대단말기로부터 고유ID를 전송받으면, 차량 진입/진출 시점과 고유ID 수신시점을 비교하여 차량 및 휴대단말기를 매칭시킨 후, 감지시간, 해당 구역의 식별정보 및 고유ID를 포함하는 진입/진출 매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받은 진입/진출 매칭정보에 따라 주차현황정보를 갱신하며, 주기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로 갱신된 주차현황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중앙서버로 고유ID를 포함하는 위치요청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위치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주차현황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고유ID의 구역위치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구역위치정보를 상기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중앙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 상기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된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고유ID를 수집하는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객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량객체의 궤적을 트래킹(Tracking) 하는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 상기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차량객체의 궤적정보를 통해 감지차량이 진입차량인지 진출차량인지를 판단하는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 상기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에 의해 감지차량이 진입차량이라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진입차량의 진입시간 및 구역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진입정보를 생성하는 진입정보 생성부; 상기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에 의해 감지차량이 진출차량이라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진출차량의 진출시간 및 구역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진출정보를 생성하는 진출정보 생성부; 상기 진입정보 생성부에 의해 진입정보가 생성될 때, 진입차량의 진입시간과 상기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고유ID의 접속시간을 비교하여 해당 진입차량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를 식별한 후, 진입시간, 구역식별정보 및 고유ID를 매칭시켜 진입 매칭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진출정보 생성부에 의해 진출정보가 생성될 때, 진출차량의 진출시간과 상기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고유ID의 접속시간을 비교하여 해당 진출차량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를 식별한 후, 진출시간, 구역식별정보 및 고유ID를 매칭시켜 진출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 상기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에 의해 생성된 진입 매칭정보 또는 진출 매치정보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는 상기 진입정보 생성부에 의해 진입정보가 생성될 때 실행되는 진입모드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입모드 매칭부는 상기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로부터 현재 수집된 고유ID 정보를 입력받으며, 이전에 진입차량에 매칭된 고유ID는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제1 고유ID 입력모듈; 상기 진입정보 생성부로부터 진입정보를 입력받는 진입정보 입력모듈; 상기 제1 고유ID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 및 필터링 된 고유ID들 각각에 대하여, 탐색된 시간부터 탐색 종료된 시간까지의 시간범위인 탐색범위(△T1)들을 각각 검출하는 제1 탐색범위 검출모듈; 상기 진입정보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진입정보로부터 진입차량의 진입시간을 추출한 후, 추출된 진입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임계시간부터 이후 임계시간까지의 시간범위인 진입범위(△T2)를 검출하는 진입범위 검출모듈; 상기 제1 탐색범위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탐색범위(△T1)들 각각을 진입범위(△T2)와 비교하는 제1 비교모듈; 상기 제1 비교모듈에 의해 검출된 비교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탐색범위(△T1)와 진입범위(△T2)의 중복영역을 검출하는 제1 중복영역 검출모듈; 상기 제1 중복영역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중복영역이 가장 높은 탐색범위(△T1)의 고유ID와 해당 진입차량을 동일 운전자로 식별하는 제1 식별모듈; 상기 제1 식별모듈에 의해 식별된 고유ID를 해당 진입차량의 진입정보에 매칭시켜 진입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진입 매칭정보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는 상기 진출정보 생성부에 의해 진출정보가 생성될 때 실행되는 진출모드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출모드 매칭부는 상기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로부터 현재 수집된 고유ID 정보를 입력받으며, 이전에 진출차량에 매칭된 고유ID는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제2 고유ID 입력모듈; 상기 진출정보 생성부로부터 진출정보를 입력받는 진출정보 입력모듈;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주차현황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제2 고유ID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 및 제거된 고유ID들 중 주차현황정보에 등록되지 않은 고유ID를 제거하는 필터링모듈; 상기 필터링모듈에 의해 남은 고유ID들 각각에 대하여, 탐색된 시간부터 탐색 종료된 시간까지의 시간범위인 탐색범위(△T3)들을 각각 검출하는 제3 탐색범위 검출모듈; 상기 진출정보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진출정보로부터 진출차량의 진출시간을 추출한 후, 추출된 진출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임계시간부터 이후 임계시간까지의 시간범위인 진출범위(△T4)를 검출하는 진출범위 검출모듈; 상기 제2 탐색범위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탐색범위(△T3)들 각각을 진출범위(△T4)와 비교하는 제2 비교모듈; 상기 제2 비교모듈에 의해 검출된 비교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탐색범위(△T3)와 진출범위(△T4)의 중복영역을 검출하는 제2 중복영역 검출모듈; 상기 제2 중복영역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중복영역이 가장 높은 탐색범위(△T3)의 고유ID와 해당 진출차량을 동일 운전자로 식별하는 제2 식별모듈; 상기 제2 식별모듈에 의해 식별된 고유ID를 해당 진출차량의 진출정보에 매칭시켜 진출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진출 매칭정보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동일 구역에 설치되는 한 쌍의 촬영부들은 주차면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카메라가 결합되는 하우징에 설치되거나 또는 해당 구역(S)의 주차면들의 직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각 주차면으로 광원을 출사하여 각 주차면에 기 제작된 예약여부문구가 표시되도록 하는 광-출사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주차예약 요청에 따라 주차예약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촬영부들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광-출사수단을 제어 및 관리하는 빔-프로젝트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빔-프로젝트 관리부는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주차예약정보를 입력받는 주차정보 입력모듈; 상기 주차정보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주차예약정보를 탐색하여 각 주차면의 주차예약시간을 추출하는 주차예약시간 추출모듈; 상기 주차예약시간 추출모듈에 의해 주차예약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주차예약시간으로부터 설정값 이전의 시간에 도달하는지를 판별한 후, 현재 시간이 주차예약시간으로부터 설정값 이전의 시간에 도달할 때, 해당 주차면을 표출대상으로 결정하는 표출대상 결정모듈; 상기 표출대상 결정모듈에 의해 표출대상으로 결정된 주차면에 기 제작된 문구가 표시되도록 상기 광-출사수단을 제어하는 빔-프로젝트 출력모듈;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로부터 차량번호를 입력받는 차량번호 입력모듈; 상기 차량번호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주차차량의 차량번호와 해당 주차면의 주차 예약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비교하여 주차된 차량이 예약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약차량여부 판별모듈; 상기 예약차량여부 판별모듈에 의해 주차된 차량이 예약된 차량이 아닐 때 실행되어 기 제작된 경고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경고정보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는 해당 구역(S)의 전체 주차면들을 서로 분할하여 촬영하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구역별로 한 쌍의 촬영부들을 설치함과 동시에 촬영부가 차량 진입/진출 감지 시,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인식된 차량번호 및 주차면 위치를 포함하는 진입/진출정보를 생성하여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중앙서버가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주차위치를 요청받을 때,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기 등록된 등록정보를 탐색하여 해당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해당 차량의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해당 차량이 주차된 구역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어 서비스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주차면에 별도의 감지센서, 안내장치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및 운영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인력소모를 방지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부가 각 주차면에 주차예약상태에 따른 문구가 표시되도록 광원을 출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주차면에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구현이 가능하여 설치가 간단함과 동시에 차량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과의 접촉 및 마찰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부의 제1, 2 카메라들이 서로 대향되는 주차면들을 촬영하도록 설치되어 서로의 사각지대를 상호 보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검지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구역별로 한 쌍의 촬영부들을 설치함과 동시에 촬영부가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촬영부가 영상분석을 통한 차량 진입/진출 시점과 휴대단말기의 접속시점을 비교하여 진입/진출 차량 및 휴대단말기를 매칭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해당 차량이 주차된 구역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어 서비스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 등록된 국내등록특허 제10-2090203호(발명의 명칭 : 주차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된 주차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촬영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촬영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컨트롤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도 5의 빔-프로젝트 관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2의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제2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촬영부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와,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 진입정보 생성부, 진출정보 생성부의 동작과정인 차량검지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도 10의 도 9의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의 각 구역(S)별로 설치되어 해당 구역의 주차면(P)의 차량진입 및 이탈을 감지하는 촬영부(3-1), ..., (3-N)들과, 운전자가 소지한 단말기인 휴대단말기(5)와, 휴대단말기(5)에 설치되어 사용자(운전자)에게 주차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인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6)과, 이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중앙서버(7)와, 중앙서버(7), 휴대단말기(5) 및 촬영부(3-1), ..., (3-N)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망(10)은 중앙서버(7), 휴대단말기(5) 및 촬영부(3-1), ..., (3-N)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통신망(WAN), 유무선 네트워크(Network)망, 이동통신망, L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20)은 휴대단말기(5) 및 촬영부(3-1), ..., (3-N)들 사이의 근거리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촬영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촬영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촬영부(3-1), ..., (3-N)들은 주차장의 기 설정된 구역(S)별로 설치된다.
또한 각 촬영부(3)는 해당 구역(S)의 서로 대향되는 영역의 주차면들을 각각 촬영하는 한 쌍의 제1, 2카메라(31), (32)들을 포함함으로써 사각지대 없이 해당 구역(S)의 모든 주차면들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동일 구역(S)의 주차면(P)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주차면들을 제1, 2 주차부(P1), (P2)라고 할 때, 제1 카메라(31)는 제1 주차부(P1)의 주차면(P)들을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제1 주차부(P1)의 주차면들로 진입 및 이탈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제2 카메라(32)는 제2 주차부(P2)의 주차면(P)들을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제2 주차부(P2)의 주차면들로 진입 및 이탈하는 차량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촬영부(3)가 2개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촬영부(3)의 카메라는 해당 구역(S)들을 분할하여 전체 주차면들을 촬영할 수 있는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동일 구역에 설치되는 한 쌍의 카메라(31), (32)들 각각은 다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될 수 없는 영역을 촬영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당 구역(S)의 모든 주차면들에 대한 차량진입 및 이탈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촬영부(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구역(S)의 주차면들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제1, 2 카메라(31), (32)들과, 각 주차면(P)의 주차예약상태에 따른 문구가 해당 주차면에 표시되도록 광원을 출사하는 광-출사수단(39)과, 제1, 2 카메라(31), (32)들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각 주차면의 차량진입 및 진출을 감지함과 동시에 감지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컨트롤러(30)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도 4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컨트롤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와, 메모리(301), 데이터송수신부(303),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305),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306), 차량번호 인식부(307), 진입/진출정보 생성부(308), 빔-프로젝트 관리부(309)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00)는 컨트롤러(30)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01), (303), (305), (306), (307), (308), (309)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카메라(31)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305)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진입/진출정보 생성부(308)에 의해 생성된 진입정보 또는 진출정보가 중앙서버(7)로 전송되도록 데이터송수신부(303)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중앙서버(7)로부터 전송받은 주차예약정보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주차예약정보를 빔-프로젝트 관리부(309)로 입력한다.
메모리(301)에는 해당 구역(S)의 위치정보 및 식별정보와, 해당 구역(S)을 구성하는 각 주차면의 위치 및 식별정보, 각 주차면(P)의 프레임 상의 픽셀정보들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01)에는 입력영상으로부터 차량객체를 검출하는 영상분석 알고리즘과, 영상 내 차량객체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인식 알고리즘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01)에는 중앙서버(7)로부터 전송받은 주차예약정보가 임시 저장된다.
데이터송수신부(303)는 중앙서버(7)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부(303)는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된 휴대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305)는 카메라(31)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객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량객체의 궤적을 트래킹(Tracking) 한다.
이때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등의 객체를 검출 및 추적하는 기술은 영상분석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306)는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305)에 의해 검출된 차량객체의 궤적정보를 통해 해당 카메라(31)의 감지영역 내 각 주차면의 차량진입 또는 차량진출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306)는 새로 진입한 차량객체(C)가 특정 주차면으로 진입할 때, 해당 차량을 진입차량으로 판단하고, 기존에 주차되어 있던 차량객체가 해당 주차면을 이탈할 때, 감지차량을 진출차량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306)는 감지차량이 진입차량 또는 진출차량으로 판별될 때, 해당 진입/진출 차량의 주차면 위치를 검출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만약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306)에 의해 진입차량 또는 진출차량으로 판단되면, 차량번호 인식부(307)를 실행시킴과 동시에 검출된 주차면 위치정보를 진입/진출정보 생성부(308)로 입력한다.
차량번호 인식부(307)는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306)에 의해 특정 주차면(P)에 차량 진입 또는 차량 진출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해당 진입/진출차량의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한다.
이때 입력영상을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판 인식(LPR) 기술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차량번호 인식부(307)에 의해 인식된 차량번호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진입/진출정보 생성부(308)로 입력된다.
진입/진출정보 생성부(308)는 1)차량 진입/진출 판단부(306)에서 감지차량이 진입차량으로 판별될 때,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306)로부터 입력된 주차면 위치정보와, 차량번호 인식부(307)로부터 입력된 차량번호와, 진입시간을 매칭시켜 진입정보(주차면 위치정보, 차량번호 및 진입시간)를 생성한다.
또한 진입/진출정보 생성부(308)는 2)차량 진입/진출 판단부(306)에서 감지차량이 진출차량으로 판별될 때,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306)로부터 입력된 주차면 위치정보와, 차량번호 인식부(307)로부터 입력된 차량번호와, 진출시간을 매칭시켜 진출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진입/진출정보 생성부(308)DP 의해 생성된 진입정보 또는 진출정보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중앙서버(7)로 전송된다.
도 6은 도 5의 컨트롤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의 컨트롤러의 동작 과정인 주차정보 처리방법(S800)은 카메라(31)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단계(S810)와, 영상입력단계(S810)에 의해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객체를 검출하는 차량객체 검출단계(S820)와, 차량객체 검출단계(S820)에 의해 검출된 차량객체를 트래킹(Tracking) 하여 궤적정보를 생성하는 트래킹단계(S830)와, 트래킹단계(S830)에 의해 생성된 궤적정보를 통해 감지차량이 진입차량인지 또는 진출차량인지를 판단하는 진입/진출 판단단계(S840), 진입/진출 판단단계(S840)에 의해 감지차량이 진입차량으로 판단될 때 진행되어 해당 주차면의 위치를 검출하는 주차면 위치 검출단계(S850)와, 진입차량의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진입차량번호 인식단계(S860)와, 주차면 위치정보, 차량번호 및 진입시간을 매칭시켜 진입정보를 생성하는 진입정보 생성단계(S870)와, 진입/진출 판단단계(S840)에 의해 감지차량이 진출차량으로 판단될 때 진행되어 해당 주차면의 위치를 검출하는 주차면 위치 검출단계(S880)와, 진출차량의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진출차량번호 인식단계(S890)와, 주차면 위치정보, 차량번호 및 진출시간을 매칭시켜 진출정보를 생성하는 진출정보 생성단계(S891)와, 진입정보 생성단계(S870)에 의해 생성된 진입정보 또는 진출정보 생성단계(S891)에 의해 생성된 진출정보를 중앙서버(7)로 전송하는 진입/진출정보 전송단계(S892)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도 5의 빔-프로젝트 관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의 빔-프로젝트 관리부(309)는 중앙서버(7)로부터 전송받은 주차예약정보를 입력받는 주차정보 입력모듈(391)과, 주차정보 입력모듈(391)을 통해 입력된 주차예약정보를 탐색하여 각 주차면의 주차예약시간을 추출하는 주차예약시간 추출모듈(392)과, 주차예약시간 추출모듈(392)에 의해 주차예약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주차예약시간으로부터 설정값 이전의 시간에 도달하는지를 판별한 후, 현재 시간이 주차예약시간으로부터 설정값 이전의 시간에 도달할 때, 해당 주차면을 표출대상으로 결정하는 표출대상 결정모듈(393)과, 표출대상 결정모듈(393)에 의해 표출대상으로 결정된 주차면에 기 제작된 문구가 표시되도록 광원을 출사하는 빔-프로젝트 출력모듈(394)과, 차량번호 인식부(307)로부터 차량번호를 입력받는 차량번호 입력모듈(396)과, 차량번호 입력모듈(396)을 통해 입력된 주차차량의 차량번호와 해당 주차면의 주차 예약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비교하여 주차된 차량이 예약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약차량여부 판별모듈(396)과, 예약차량여부 판별모듈(396)에 의해 주차된 차량이 예약된 차량이 아닐 때 실행되어 기 제작된 경고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경고정보 출력모듈(397)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광원을 출사하여 각 주차면에 문구가 표시되도록 하는 광-출사수단(39)이 촬영부(3)에 자체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표출수단은 각 주차면의 직상부 등의 구조물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중앙서버(7)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는 중앙서버(7)가 해당 주차장에 설치되는 로컬서버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중앙서버(7)는 외부에 설치되어 복수대의 주차장들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7)는 해당 주차장의 위치 및 식별정보, 기 설정된 구역별 위치정보, 각 촬영부(3)의 위치 및 식별정보 등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중앙서버(7)에는 기 등록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인 등록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등록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차량번호, 휴대단말기 고유ID 등을 포함한다.
또한 중앙서버(7)는 촬영부(3)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진입정보 또는 진출정보를 전송받으면, 해당 주차장의 주차상태를 나타내는 주차상태정보를 생성 및 갱신하여 이를 저장함과 동시에 진입/진출정보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기 등록된 등록정보를 탐색하여 해당 차량이 등록된 차량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또한 중앙서버(7)는 휴대단말기(5)를 통해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고유ID를 포함하는 위치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차량이 등록된 차량인 경우, 주차상태정보를 참조 및 활용하여 해당 차량의 주차면 위치를 추출한 후, 해당 휴대단말기(5)로 추출된 주차면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즉 사용자는 사전에 해당 주차장의 사용자로 미리 등록할 경우,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자신의 주차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서버(7)는 휴대단말기(5)의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6)을 통해 주차요청에 따라, 주차예약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주차예약정보를 촬영부(3-1), ..., (3-N)들로 전송한다.
도 8은 도 2의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6)은 휴대단말기(5)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또는 응용프로그램이다.
또한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61)과, 데이터 입출력모듈(62), 부가서비스 모듈(63), 위치요청데이터 생성모듈(65), 디스플레이 모듈(66)로 이루어진다.
제어모듈(61)은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6)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62), (63), (64), (65), (66)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61)은 위치요청데이터 생성모듈(65)에 의해 위치요청 데이터가 생성되면, 휴대단말기(5)를 제어하여 생성된 위치요청 데이터가 중앙서버(7)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모듈(61)은 휴대단말기(5)를 통해 중앙서버(7)로부터 주차위치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주차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66)로 입력한다.
데이터 입출력모듈(62)은 휴대단말기(5)와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부가서비스 모듈(63)은 GUI(Graphic User Interface) 관리, 주차예약, 결제, 주차장 정보제공 등과 같이 주차장 이용에 관련된 통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치요청데이터 생성모듈(65)은 사용자로부터 주차위치를 요청받을 때 실행되며, 해당 휴대단말기(5)의 고유ID를 포함하는 위치요청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위치요청데이터는 제어모듈(61)의 제어에 따라 휴대단말기(5)를 통해 중앙서버(7)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모듈(66)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중앙서버(7)로 전송받은 주차위치정보를 휴대단말기(5)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1)은 각 구역별로 한 쌍의 촬영부들을 설치함과 동시에 촬영부가 차량 진입/진출 감지 시,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인식된 차량번호 및 주차면 위치를 포함하는 진입/진출정보를 생성하여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중앙서버가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주차위치를 요청받을 때,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기 등록된 등록정보를 탐색하여 해당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해당 차량의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해당 차량이 주차된 구역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어 서비스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1)은 각 주차면에 별도의 감지센서, 안내장치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및 운영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인력소모를 방지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1)은 촬영부가 각 주차면에 주차예약상태에 따른 문구가 표시되도록 광원을 출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주차면에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구현이 가능하여 설치가 간단함과 동시에 차량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과의 접촉 및 마찰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1)은 촬영부의 제1, 2 카메라들이 서로 대향되는 주차면들을 촬영하도록 설치되어 서로의 사각지대를 상호 보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검지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제2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의 제2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이다.
제2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의 각 구역(S)별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해당 구역의 주차면(P)의 차량진입 및 이탈을 감지하는 촬영부(23-1), ..., (23-N)들과, 운전자가 소지한 단말기인 휴대단말기(5)와, 휴대단말기(5)에 설치되어 사용자(운전자)에게 주차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인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26)과, 이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중앙서버(27)와, 중앙서버(27), 휴대단말기(5) 및 촬영부(23-1), ..., (23-N)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망(10)과, 휴대단말기(5) 및 촬영부(23-1), ..., (23-N)들 사이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망(20)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망(10)은 중앙서버(27), 휴대단말기(5) 및 촬영부(23-1), ..., (23-N)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통신망(WAN), 유무선 네트워크(Network)망, 이동통신망, L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20)은 휴대단말기(5) 및 촬영부(23-1), ..., (23-N)들 사이의 근거리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촬영부(23-1), ..., (23-N)들은 기 설정된 구역(S) 별로 한 쌍식 설치된다.
이때 동일 구역(S)에 설치되는 촬영부(23-1), (23-2)들은 해당 구역(S)의 주차면(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설치됨으로써 단일 카메라로 구비될 때의 사각지대를 줄여 차량검지율을 높이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동일 구역(S)의 주차면(P)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주차면들을 제1, 2 주차부(P1), (P2)라고 할 때, 일측 촬영부(23-1)는 제1 주차부(P1)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2 주차부(P2)의 주차면(P)들을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제2 주차부(P2)의 주차면들로 진입 및 이탈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타측 촬영부(23-2)는 제2 주차부(P2)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 주차부(P1)의 주차면(P)들을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제1 주차부(P1)의 주차면들로 진입 및 이탈하는 차량을 감지하게 된다.
즉 동일 구역에 설치되는 한 쌍의 촬영부(23-1), (23-2)들 각각은 다른 촬영부에 의해 촬영될 수 없는 영역을 촬영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당 구역(S)의 모든 주차면들에 대한 차량진입 및 이탈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촬영부(23)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해당 구역(S)의 일부 주차면(S)들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미도시)와, 카메라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각 주차면의 차량진입 및 진출을 감지함과 동시에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된 휴대단말기(5)와 접속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후술되는 도 9의 컨트롤러(230)로 이루어진다.
도 10은 도 9의 촬영부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컨트롤러(2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와, 메모리(201), 데이터송수신부(203),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부(203),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204),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205),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206), 진입정보 생성부(207), 진출정보 생성부(208),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209), 빔-프로젝트 관리부(309)로 이루어진다.
제어부(200)는 컨트롤러(230)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카메라(231)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205)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209)에 의해 생성된 진입 매칭정보 또는 진출 매칭정보가 중앙서버(27)로 전송되도록 데이터송수신부(203)를 제어한다.
메모리(201)에는 해당 구역(S)의 위치정보 및 식별정보와, 해당 구역(S)을 구성하는 주차면(P)들 각각을 나타내는 프레임 상의 픽셀정보들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201)에는 입력영상으로부터 차량객체를 검출하는 영상분석 알고리즘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201)에는 해당 구역(S)의 주차현황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주차현황정보는 중앙서버(27)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받는다.
데이터송수신부(202)는 중앙서버(27)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부(203)는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된 휴대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204)는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된 휴대단말기(5)를 실시가 탐색한다.
또한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204)는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된 휴대단말기(5)가 탐색되면, 해당 휴대단말기(5)로부터 전송받은 단말기 고유ID를 수집한다. 이때 휴대단말기(5)는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26)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된 휴대단말기(5)로 단말기 고유ID를 전송한다.
이때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204)에 의해 수집된 고유ID 정보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209)로 입력된다.
즉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209)는 차량 진입 시, 차량이 진입하여 주차한 시점과, 휴대단말기의 고유ID가 접속된 시점을 비교 및 분석하여 영상의 진입차량과 휴대단말기를 매칭시킴과 동시에 차량 진출 시, 차량이 진출한 시점과 휴대단말기의 고유ID가 접속된 시점을 비교 및 분석하여 영상의 진출차량과 휴대단말기를 매칭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해당 차량의 주차위치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205)는 카메라(231)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객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량객체의 궤적을 트래킹(Tracking) 한다.
이때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등의 객체를 검출 및 추적하는 기술은 영상분석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206)는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205)에 의해 검출된 차량객체의 궤적정보를 통해 해당 카메라(231)의 감지영역 내 각 주차면의 차량진입 또는 차량진출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206)는 새로 진입한 차량객체(C)가 특정 주차면으로 진입할 때, 해당 차량을 진입차량으로 판단하고, 기존에 주차되어 있던 차량객체가 해당 주차면을 이탈할 때, 해당 차량을 진출차량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1)만약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206)에 의해 검지차량이 진입차량이고 판단될 때, 진입정보 생성부(207)를 실행시키고, 2)만약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206)에 의해 검지차량이 진출차량이라고 판단될 때, 진출정보 생성부(208)를 실행시킨다.
진입정보 생성부(207)는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206)에서 검지차량이 진입차량이라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해당 진입차량의 진입시간, 주차가 이루어진 주차면 식별정보, 해당 구역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진입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진입정보 생성부(207)에 의해 생성된 진입정보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209)로 입력된다.
진출정보 생성부(208)는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206)에서 검지차량이 진출차량이라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해당 진출차량의 진출시간, 해당 주차면의 식별정보, 해당 구역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진출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진출정보 생성부(208)에 의해 생성된 진출정보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209)로 입력된다.
도 11은 도 10의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와,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 진입정보 생성부, 진출정보 생성부의 동작과정인 차량검지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의 차량검지단계(S900)는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205),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206), 진입정보 생성부(207), 진입/진출 판단부(206), 진입정보 생성부(207) 및 진출정보 생성부(208)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이다.
또한 차량검지단계(S9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230)가 카메라(231)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단계(S910)와, 영상입력단계(S910)에 의해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객체를 검출하는 차량객체 검출단계(S920)와, 차량객체 검출단계(S920)에 의해 검출된 차량객체의 궤적을 트래킹(Tracking)하여 궤적정보를 생성하는 트래킹단계(S930)와, 트래킹단계(S930)에 의해 생성된 궤적정보를 통해 검지차량이 진입차량인지 또는 진출차량인지를 판단하는 진입/진출 판단단계(S940), 진입/진출 판단단계(S940)에 의해 검지차량이 진입차량이라고 판단될 때 진행되어 해당 진입차량에 대한 진입정보를 생성하는 진입정보 생성단계(S950)와, 진입/진출 판단단계(S940)에 의해 검지차량이 진출차량이라고 판단될 때 진행되어 해당 진출차량에 대한 진출정보를 생성하는 진출정보 생성단계(S960)로 이루어진다.
도 12는 도 10의 도 9의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209)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정보 생성부(207)에 의해 진입정보가 생성될 때 실행되는 진입모드 매칭부(291)와, 진출정보 생성부(208)에 의해 진출정보가 생성될 때 실행되는 진출모드 매칭부(293)로 이루어진다.
진입모드 매칭부(291)는 제1 고유ID 입력모듈(2911)과, 진입정보 입력모듈(2912), 제1 탐색범위 검출모듈(2913), 진입범위 검출모듈(2914), 제1 비교모듈(2915), 제1 중복영역 검출모듈(2916), 제1 식별모듈(2917), 진입 매칭정보 생성모듈(2918)로 이루어진다.
제1 고유ID 입력모듈(2911)은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204)로부터 현재 수집된 고유ID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1 고유ID 입력모듈(2911)은 입력된 고유ID들 중 이전에 진입 매칭정보 생성모듈(2918)에 의해 매칭된 고유ID는 리스트에서 제거한다.
예를 들어, 동일 시간대에 주변에 단일 휴대단말기만이 접속될 때, 입력되는 고유ID는 한 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동일 시간대에 주변에 복수개의 휴대단말기들이 접속될 때, 입력되는 고유ID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고유ID 입력모듈(2911)은 입력된 고유ID들 중 이전에 진입 매칭정보 생성모듈(2918)에 의해 매칭된 고유ID를 제거한다.
진입정보 입력모듈(2912)은 진입정보 생성부(207)로부터 진입정보를 입력받는다.
제1 탐색범위 검출모듈(2913)은 제1 고유ID 입력모듈(2911)을 통해 입력 및 필터링 된 고유ID들 각각에 대하여, 탐색된 시간부터 탐색 종료된 시간까지의 시간범위인 탐색범위(△T1)들을 각각 검출한다.
진입범위 검출모듈(2914)은 입력된 진입정보의 진입시간을 추출한 후, 추출된 진입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임계시간부터 이후 임계시간까지의 시간범위인 진입범위(△T2)를 검출한다.
제1 비교모듈(2915)은 제1 탐색범위 검출모듈(2913)에 의해 검출된 탐색범위(△T1)들 각각을 진입범위(△T2)와 비교한다.
제1 중복영역 검출모듈(2916)은 제1 비교모듈(2915)에 의해 검출된 비교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탐색범위(△T1)와 진입범위(△T2)의 중복영역을 각각 검출한다.
제1 식별모듈(2917)은 제1 중복영역 검출모듈(2916)에 의해 검출된 중복영역이 가장 높은 탐색범위(△T1)의 고유ID와 해당 차량을 동일 운전자로 식별한다.
진입 매칭정보 생성모듈(2918)은 제1 식별모듈(2917)에 의해 식별된 차량의 진입정보에 해당 고유ID를 매칭시켜 진입 매칭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진입 매칭정보 생성모듈(2918)에 의해 생성된 진입정보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송수신부(203)를 통해 중앙서버(27)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진입모드 매칭부(291)는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영상을 이용하여 주차된 차량과 휴대단말기를 정확하게 매칭시킴과 동시에 다음과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본 발명의 진입모드 매칭부(291)는 감지차량이 복수대일 때, 1)진입차량의 매칭이 시간순서에 따라 개별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2)한번 매칭된 고유ID는 후속 매칭 연산 시, 제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확한 구역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a’를 소지한 운전자의 차량’A’와, 휴대단말기‘b’를 소지한 운전자의 차량’B’가 동시에 해당 구역(S)에 진입하여 두 휴대단말기의 고유ID가 탐색된 시점이 큰 차이가 없을 때, 진입모드 매칭부(291)는 차량 매칭이 시간순서에 따라 개별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한번 매칭된 고유ID를 후속매칭 연산 시 제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A’-휴대단말기’a’로 정확하게 매칭할 수도 있고 또는 차량’A’-휴대단말기‘b’, 차량‘B’-휴대단말기‘a’로 정확하지 않게 매칭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각 휴대단말기’a’, ‘b’의 진입 매칭정보에 동일한 구역(S) 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정확한 구역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진출모드 매칭부(293)는 제2 고유ID 입력모듈(2931)과, 진출정보 입력모듈(2932), 필터링모듈(2933), 제2 탐색범위 검출모듈(2934), 진출범위 검출모듈(2935), 제2 비교모듈(2936), 제2 중복영역 검출모듈(2937), 제2 식별모듈(2938), 진출 매칭정보 생성모듈(2939)로 이루어진다.
제2 고유ID 입력모듈(2931)은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204)로부터 현재 수집된 고유ID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2 고유ID 입력모듈(2931)은 입력된 고유ID들 중 이전에 진출 매칭정보 생성모듈(2939)에 의해 매칭된 고유ID는 리스트에서 제거한다.
진출정보 입력모듈(2932)은 진출정보 생성부(208)로부터 진출정보를 입력받는다.
필터링모듈(2933)은 메모리(201)에 저장된 주차현황정보를 추출한 후, 제2 고유ID 입력모듈(2931)에 의해 입력 및 제거된 고유ID들 중 주차현황정보에 등록(현재 주차차량으로 등록되지 않은)되지 않은 고유ID를 제거한다.
제2 탐색범위 검출모듈(2934)은 필터링모듈(2933)을 통해 필터링 된 고유ID들 각각에 대하여, 탐색된 시간부터 탐색 종료된 시간까지의 시간범위인 탐색범위(△T3)들을 각각 검출한다.
진출범위 검출모듈(2935)은 입력된 진출정보의 진출시간을 추출한 후, 추출된 진출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임계시간부터 이후 임계시간까지의 시간범위인 진출범위(△T4)를 검출한다.
제2 비교모듈(2936)은 제2 탐색범위 검출모듈(2934)에 의해 검출된 탐색범위(△T3)들 각각을 진출범위(△T4)와 비교한다.
제2 중복영역 검출모듈(2937)은 제2 비교모듈(2936)에 의해 검출된 비교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탐색범위(△T3)와 진출범위(△T4)의 중복영역을 각각 검출한다.
제2 식별모듈(2938)은 제2 중복영역 검출모듈(2937)에 의해 검출된 중복영역이 가장 높은 탐색범위(△T3)의 고유ID와 해당 차량을 동일 운전자로 식별한다.
진출 매칭정보 생성모듈(2939)은 제2 식별모듈(2938)에 의해 식별된 차량의 진출정보에 해당 고유ID를 매칭시켜 진출 매칭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진출 매칭정보 생성모듈(2939)에 의해 생성된 진출정보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송수신부(203)를 통해 중앙서버(27)로 전송된다.
다시 도 8로 돌아가서, 중앙서버(27)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는 중앙서버(27)가 해당 주차장에 설치되는 로컬서버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중앙서버(27)는 외부에 설치되어 복수대의 주차장들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27)는 해당 주차장의 위치 및 식별정보, 기 설정된 구역별 위치정보, 각 촬영부(23)의 위치 및 식별정보 등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중앙서버(27)는 촬영부(23)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진입 매칭정보를 전송받으면, 각 구역별로 주차상태를 나타내는 주차현황정보를 생성 및 갱신한 후, 생성 및 갱신된 주차현황정보를 주기적으로 각 촬영부(23)로 전송한다.
또한 중앙서버(27)는 촬영부(23)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진출 매칭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진출 매칭정보에 대응하여 주차현황정보를 갱신한 후, 갱신된 주차현황정보를 주기적으로 각 촬영부(23)로 전송한다.
또한 중앙서버(27)는 휴대단말기(5)를 통해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26)으로부터 고유ID를 포함하는 위치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저장된 주차현황정보를 탐색하여 해당 고유ID의 구역위치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구역위치정보를 해당 휴대단말기(5)로 전송한다. 이때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26)은 중앙서버(27)로부터 전송받은 구역위치정보를 휴대단말기(5)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구역 위치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도 9의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26)은 휴대단말기(5)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응용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이다. 이때 휴대단말기(5)는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 가능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26)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261)과, 데이터 입출력모듈(262), 부가서비스 모듈(263), AP탐색 제어모듈(265)과, 위치요청데이터 생성모듈(265), 디스플레이 모듈(266)로 이루어진다.
제어모듈(261)은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26)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262), (263), (264), (265), (266)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261)은 위치요청데이터 생성모듈(265)에 의해 위치요청 데이터가 생성되면, 휴대단말기(5)를 제어하여 생성된 위치요청 데이터가 중앙서버(27)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모듈(261)은 휴대단말기(5)를 통해 중앙서버(27)로부터 구역위치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구역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66)로 입력한다.
데이터 입출력모듈(262)은 휴대단말기(5)와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부가서비스 모듈(263)은 GUI(Graphic User Interface) 관리, 주차예약, 결제, 주차장 정보제공 등과 같이 주차장 이용에 관련된 통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AP탐색 제어모듈(265)은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된 촬영부(23)를 탐색하며, 탐색된 촬영부(23)로 휴대단말기(5)의 고유ID가 전송되도록 휴대단말기(5)를 제어한다.
위치요청데이터 생성모듈(265)은 사용자로부터 주차구역 위치를 요청받을 때 실행되며, 해당 휴대단말기(5)의 고유ID를 포함하는 위치요청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위치요청데이터는 제어모듈(61)의 제어에 따라 휴대단말기(5)를 통해 중앙서버(27)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모듈(266)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중앙서버(227)로 전송받은 구역위치정보를 휴대단말기(5)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제2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20)은 각 구역별로 한 쌍의 촬영부들을 설치함과 동시에 촬영부가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촬영부가 영상분석을 통한 차량 진입/진출 시점과 휴대단말기의 접속시점을 비교하여 진입/진출 차량 및 휴대단말기를 매칭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해당 차량이 주차된 구역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어 서비스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20)은 각 주차면에 별도의 감지센서, 안내장치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및 운영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인력소모를 방지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20)은 동시에 복수대의 차량의 진입/진출이 이루어질 때, 휴대단말기들의 동시 접속으로 인한 에러 및 오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진입차량의 휴대단말기로 정확한 구역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20)은 각 구역별로 한 쌍의 카메라들을 설치하되, 카메라들이 해당 구역의 주차면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서로의 사각지대를 상호 보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검지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1: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3-1, ..., 3-N:촬영부들
5:휴대단말기 6: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
7:중앙서버 10:통신망
20:근거리 통신망 30:컨트롤러
31:제1 카메라 32:제2 카메라
39:광-출사수단 300:제어부
301:메모리 303:데이터송수신부
305: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 306:차량 진입/진출 판단부
307:차량번호 인식부 308:진입/진출정보 생성부
309:빔-프로젝트 관리부

Claims (11)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주차장을 분할한 구역(S)들 각각에 설치되는 촬영부들과, 상기 촬영부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중앙서버와, 운전자가 소지하며 주차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분석을 통해 차량 진입/진출을 판별함과 동시에 차량 진입/진출 판별 시,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차량 진입/진출 시점과 차량번호, 진입/진출 시간을 매칭시켜 진입/진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받은 진입/진출정보에 따라 주차상태정보를 생성 및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에는 기 등록된 사용자의 차량번호 및 휴대단말기 고유ID를 포함하는 등록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주차위치 요청 시,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등록정보 및 주차상태정보를 탐색하여 해당 휴대단말기로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객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량객체의 궤적을 트래킹(Tracking)하는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
    상기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차량객체의 궤적정보를 통해 감지차량이 진입차량인지 진출차량인지를 판단한 후, 감지차량이 진입차량 또는 진출차량으로 판별될 때, 해당 주차면의 위치를 검출하는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
    상기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에 의해 특정 주차면(P)에 차량 진입 또는 차량 진출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해당 진입/진출차량의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
    1)상기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에서 감지차량이 진입차량으로 판별될 때, 상기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로부터 입력된 주차면 위치정보와,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로부터 입력된 차량번호와, 진입시간을 매칭시켜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2)상기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에서 감지차량이 진출차량으로 판별될 때, 상기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로부터 입력된 주차면 위치정보와,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로부터 입력된 차량번호와, 진출시간을 매칭시켜 진출정보를 생성하는 진입/진출정보 생성부;
    상기 진입/진출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진입정보 또는 진출정보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4. 카메라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주차장을 분할한 구역(S)들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촬영부들과, 상기 촬영부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중앙서버와, 운전자가 소지하며 주차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분석을 통해 차량 진입/진출을 판별함과 동시에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휴대단말기로부터 고유ID를 전송받으면, 차량 진입/진출 시점과 고유ID 수신시점을 비교하여 차량 및 휴대단말기를 매칭시킨 후, 감지시간, 해당 구역의 식별정보 및 고유ID를 포함하는 진입/진출 매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받은 진입/진출 매칭정보에 따라 주차현황정보를 갱신하며, 주기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로 갱신된 주차현황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중앙서버로 고유ID를 포함하는 위치요청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위치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주차현황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고유ID의 구역위치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구역위치정보를 상기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중앙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
    상기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된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고유ID를 수집하는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객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량객체의 궤적을 트래킹(Tracking) 하는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
    상기 영상분석 및 차량객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차량객체의 궤적정보를 통해 감지차량이 진입차량인지 진출차량인지를 판단하는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
    상기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에 의해 감지차량이 진입차량이라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진입차량의 진입시간 및 구역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진입정보를 생성하는 진입정보 생성부;
    상기 차량 진입/진출 판단부에 의해 감지차량이 진출차량이라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진출차량의 진출시간 및 구역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진출정보를 생성하는 진출정보 생성부;
    상기 진입정보 생성부에 의해 진입정보가 생성될 때, 진입차량의 진입시간과 상기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고유ID의 접속시간을 비교하여 해당 진입차량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를 식별한 후, 진입시간, 구역식별정보 및 고유ID를 매칭시켜 진입 매칭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진출정보 생성부에 의해 진출정보가 생성될 때, 진출차량의 진출시간과 상기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고유ID의 접속시간을 비교하여 해당 진출차량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를 식별한 후, 진출시간, 구역식별정보 및 고유ID를 매칭시켜 진출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
    상기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에 의해 생성된 진입 매칭정보 또는 진출 매치정보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는 상기 진입정보 생성부에 의해 진입정보가 생성될 때 실행되는 진입모드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입모드 매칭부는
    상기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로부터 현재 수집된 고유ID 정보를 입력받으며, 이전에 진입차량에 매칭된 고유ID는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제1 고유ID 입력모듈;
    상기 진입정보 생성부로부터 진입정보를 입력받는 진입정보 입력모듈;
    상기 제1 고유ID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 및 필터링 된 고유ID들 각각에 대하여, 탐색된 시간부터 탐색 종료된 시간까지의 시간범위인 탐색범위(△T1)들을 각각 검출하는 제1 탐색범위 검출모듈;
    상기 진입정보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진입정보로부터 진입차량의 진입시간을 추출한 후, 추출된 진입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임계시간부터 이후 임계시간까지의 시간범위인 진입범위(△T2)를 검출하는 진입범위 검출모듈;
    상기 제1 탐색범위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탐색범위(△T1)들 각각을 진입범위(△T2)와 비교하는 제1 비교모듈;
    상기 제1 비교모듈에 의해 검출된 비교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탐색범위(△T1)와 진입범위(△T2)의 중복영역을 검출하는 제1 중복영역 검출모듈;
    상기 제1 중복영역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중복영역이 가장 높은 탐색범위(△T1)의 고유ID와 해당 진입차량을 동일 운전자로 식별하는 제1 식별모듈;
    상기 제1 식별모듈에 의해 식별된 고유ID를 해당 진입차량의 진입정보에 매칭시켜 진입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진입 매칭정보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및 단말기 매칭부는 상기 진출정보 생성부에 의해 진출정보가 생성될 때 실행되는 진출모드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출모드 매칭부는
    상기 AP 탐색 및 고유ID 수집부로부터 현재 수집된 고유ID 정보를 입력받으며, 이전에 진출차량에 매칭된 고유ID는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제2 고유ID 입력모듈;
    상기 진출정보 생성부로부터 진출정보를 입력받는 진출정보 입력모듈;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주차현황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제2 고유ID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 및 제거된 고유ID들 중 주차현황정보에 등록되지 않은 고유ID를 제거하는 필터링모듈;
    상기 필터링모듈에 의해 남은 고유ID들 각각에 대하여, 탐색된 시간부터 탐색 종료된 시간까지의 시간범위인 탐색범위(△T3)들을 각각 검출하는 제3 탐색범위 검출모듈;
    상기 진출정보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진출정보로부터 진출차량의 진출시간을 추출한 후, 추출된 진출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임계시간부터 이후 임계시간까지의 시간범위인 진출범위(△T4)를 검출하는 진출범위 검출모듈;
    상기 제2 탐색범위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탐색범위(△T3)들 각각을 진출범위(△T4)와 비교하는 제2 비교모듈;
    상기 제2 비교모듈에 의해 검출된 비교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탐색범위(△T3)와 진출범위(△T4)의 중복영역을 검출하는 제2 중복영역 검출모듈;
    상기 제2 중복영역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중복영역이 가장 높은 탐색범위(△T3)의 고유ID와 해당 진출차량을 동일 운전자로 식별하는 제2 식별모듈;
    상기 제2 식별모듈에 의해 식별된 고유ID를 해당 진출차량의 진출정보에 매칭시켜 진출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진출 매칭정보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동일 구역에 설치되는 한 쌍의 촬영부들은 주차면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카메라가 결합되는 하우징에 설치되거나 또는 해당 구역(S)의 주차면들의 직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광원을 출사하여 각 주차면에 기 제작된 예약여부문구가 표시되도록 하는 광-출사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주차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주차예약 요청에 따라 주차예약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촬영부들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광-출사수단을 제어 및 관리하는 빔-프로젝트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빔-프로젝트 관리부는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주차예약정보를 입력받는 주차정보 입력모듈;
    상기 주차정보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주차예약정보를 탐색하여 각 주차면의 주차예약시간을 추출하는 주차예약시간 추출모듈;
    상기 주차예약시간 추출모듈에 의해 주차예약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주차예약시간으로부터 설정값 이전의 시간에 도달하는지를 판별한 후, 현재 시간이 주차예약시간으로부터 설정값 이전의 시간에 도달할 때, 해당 주차면을 표출대상으로 결정하는 표출대상 결정모듈;
    상기 표출대상 결정모듈에 의해 표출대상으로 결정된 주차면에 기 제작된 문구가 표시되도록 상기 광-출사수단을 제어하는 빔-프로젝트 출력모듈;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로부터 차량번호를 입력받는 차량번호 입력모듈;
    상기 차량번호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주차차량의 차량번호와 해당 주차면의 주차 예약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비교하여 주차된 차량이 예약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약차량여부 판별모듈;
    상기 예약차량여부 판별모듈에 의해 주차된 차량이 예약된 차량이 아닐 때 실행되어 기 제작된 경고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경고정보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해당 구역(S)의 전체 주차면들을 서로 분할하여 촬영하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KR1020200109091A 2020-08-28 2020-08-28 카메라 기반 주차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KR102484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091A KR102484796B1 (ko) 2020-08-28 2020-08-28 카메라 기반 주차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091A KR102484796B1 (ko) 2020-08-28 2020-08-28 카메라 기반 주차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296A true KR20220028296A (ko) 2022-03-08
KR102484796B1 KR102484796B1 (ko) 2023-01-04

Family

ID=8081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091A KR102484796B1 (ko) 2020-08-28 2020-08-28 카메라 기반 주차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정보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7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193A (ko) * 2013-03-15 2014-09-24 (주)나노디지텍 주차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00110A (ko) * 2015-06-23 2017-01-02 (주)모가씨앤디 차량 위치 추적을 통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KR20190136238A (ko) * 2018-05-30 2019-12-10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된 주차장의 차량주차구역검출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200004477A (ko) * 2018-07-03 2020-01-14 (주) 하나텍시스템 주차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193A (ko) * 2013-03-15 2014-09-24 (주)나노디지텍 주차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00110A (ko) * 2015-06-23 2017-01-02 (주)모가씨앤디 차량 위치 추적을 통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KR20190136238A (ko) * 2018-05-30 2019-12-10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된 주차장의 차량주차구역검출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200004477A (ko) * 2018-07-03 2020-01-14 (주) 하나텍시스템 주차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796B1 (ko)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92628B (zh) 一种停车场寻车方法及其系统
KR100794513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KR101976110B1 (ko) 스마트시티를 위한 IoT 표준기반 주차 유도 최적화시스템
KR101502574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CN102930744B (zh) 用于停车场的车位引导和反向寻车方法
KR101808669B1 (ko) 주차장 운영시스템
EP1772838B1 (en) Place status management system, radio tag reading apparatus, and management apparatus
KR101641326B1 (ko) 주차관제 시스템
US20120188100A1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uto-valet parking service
KR101929290B1 (ko) IoT를 이용한 신속 주차장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66921A (ko) 차량 탐지 장치, 주차 관리 장치,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311952A (zh) 车辆停车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110133753A (ko) 유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예약안내 시스템
KR101276320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CN110942662A (zh) 一种停车场实时反向寻车系统及其方法
KR20170019573A (ko) 스마트 파킹 시스템
KR102268014B1 (ko) 공유 주차면 요금 결제시스템
KR20100090020A (ko) 알에프아이디 및 유에스엔을 이용한 실시간 주차면 관리와 3차원 가시화 기반의 주차 관리 시스템과 방법
KR101803697B1 (ko)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차 감시장치
KR102090203B1 (ko) 주차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0402A (ko) 차량간 통신기능을 이용한 주차유도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116875A (ko) 번호판 자동 인식을 통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913634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의 주차유도방법
KR102390752B1 (ko)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CN110930754A (zh) 一种寻车路线指引的方法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