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683A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683A
KR20220027683A KR1020200108856A KR20200108856A KR20220027683A KR 20220027683 A KR20220027683 A KR 20220027683A KR 1020200108856 A KR1020200108856 A KR 1020200108856A KR 20200108856 A KR20200108856 A KR 20200108856A KR 20220027683 A KR20220027683 A KR 20220027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ver panel
locking
slid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694B1 (ko
Inventor
김원섭
박현익
배희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8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694B1/ko
Priority to US17/640,820 priority patent/US20230175721A1/en
Priority to PCT/KR2021/011387 priority patent/WO2022045776A1/ko
Priority to TW110131742A priority patent/TWI801981B/zh
Priority to TW111133029A priority patent/TW202300831A/zh
Priority to TW111133028A priority patent/TW202300830A/zh
Priority to TW111133030A priority patent/TW202300832A/zh
Publication of KR2022002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683A/ko
Priority to IL291918A priority patent/IL291918A/en
Priority to KR1020220055887A priority patent/KR102582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후크홀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후크홀에 걸림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 후크를 구비하는 커버 판넬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미리 정해진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을 갖는 슬라이드 슬롯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 판넬은, 상기 걸림 후크를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상기 후크홀에 안내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 리브를 갖는 안내 후크를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먼지, 기타 오염물에 의해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의 공기질을 개선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함과 함께,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다시 토출하는 송풍팬, 송풍팬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필터, 송풍팬, 구동 모터 등 공기 청정기에 포함된 각종의 부품들이 장착되는 부품들이 설치되는 하우징 등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하우징의 측면에 장착된 커버 판넬의 흡입홀을 통해 실내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필터를 이용해 정화한 후 하우징의 상면에 장착된 토출 그릴의 토출홀을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하도록 마련된 타워형 공기 청정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타워형 공기 청정기에는,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고정형 커버 판넬과 이러한 고정식 커버 판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리형 커버 판넬을 구비하는 제1 방식에 따른 공기 청정기와,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된 다수의 분리형 커버 판넬들을 구비하는 제2 방식에 따른 공기 청정기 등이 있다.
그런데, 제1 방식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고정형 커버 판넬의 청소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2 방식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자석 및 자석의 부착을 위한 자성체 등 분리형 커버 판넬들의 상호 결합을 위한 부자재의 비용 및 이러한 부자재의 조립을 위한 인건비 등이 요구되어 단가가 높다는 문제점과, 분리형 커버 판넬들의 결합부에 단차가 발생하는 등 외관에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 판넬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부자재가 필요하지 않도록 구조를 개선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커버 판넬을 외관 단차 없이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후크홀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후크홀에 걸림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 후크를 구비하는 커버 판넬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미리 정해진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을 갖는 슬라이드 슬롯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 판넬은, 상기 걸림 후크를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상기 후크홀에 안내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 리브를 갖는 안내 후크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크홀 및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후크홀에 미리 정해진 걸림 방향으로 걸림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상기 슬라이드홈을 통과한 상기 안내 리브가 진입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과 연결되며, 상기 안내 리브가 상기 슬라이드홈을 통과하면 상기 커버 판넬이 상기 걸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미리 정해진 걸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을 더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크홀 및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후크홀에 중력 방향으로 걸림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걸림홈은 당해 걸림홈과 연결된 상기 슬라이드부의 단부로부터 중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크홀 및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걸림 후크가 미리 정해진 걸림 높이에서 상기 후크홀에 걸림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은 상기 걸림홈과 연결된 단부가 상기 걸림 높이에 비해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높게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드홈은 상기 걸림홈과 연결된 단부 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판넬이 상기 하우징의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결합되었는 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 판넬은, 상기 커버 판넬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정위치에 결합될 때 상기 스위치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감지 리브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 리브는, 상기 걸림홈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안내 리브의 안내 하에 상기 커버 판넬이 상기 걸림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스위치와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 후크는, 상기 슬라이드홈의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안내 리브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더 갖고,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내측면에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림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턱의 내측면은,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걸림턱의 내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미리 정해진 에 형성되는 거치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 판넬은, 상기 거치홀에 거치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거치 후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는, 상기 거치 후크를 상기 거치홀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 판넬을 상기 하우징에 근접하게 회전시키면 상기 안내 리브가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도록 정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후크홀이 형성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를 지지하며, 상기 거치홀이 형성된 베이스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후크홀이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 고정바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크홀은, 상기 고정바의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과 반대되는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커버 판넬은, 상기 일측면에 형성된 후크홀에 어느 하나의 커버 판넬의 걸림 후크를 걸림 결합함과 함께, 상기 타측면에 형성된 후크홀에 다른 하나의 커버 판널의 걸림 후크를 걸림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자석, 기타 부자재를 별도로 사용할 필요없이, 하우징과 커버 판넬 자체에 마련된 후크 결합 구조만으로 커버 판넬을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바, 재료 원가 및 조립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전체 커버 판넬들을 개별적으로 하우징에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는바, 커버 판넬을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물청소하는 경우 등에 발생하는 자재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커버 판넬을 미리 정해진 곡률 반경을 갖도록 탄성 변형시킬 수 있는바, 커버 판넬의 곡률 불균일에 따른 오장착, 외부 단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 판넬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버 판넬의 사시도.
도 4는 커버 판넬이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공기 청정기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거치 후크가 거치홀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슬라이드 슬롯의 걸림홈에 안내 후크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제1 걸림 후크가 제1 후크홀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제2 걸림 후크가 제2 후크홀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감지 리브가 스위치와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거치 후크가 거치홀에 비스듬히 거치되도록 커버 판넬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거치 후크가 거치홀에 비스듬히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슬라이드 슬롯과 안내 후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안내 후크가 슬라이드 슬롯의 슬라이드홈에 삽입되도록 커버 판넬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슬라이듯 슬롯과 안내 후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후크홀의 둘레면이 걸림 후크를 간섭하지 않도록 커버 판넬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슬라이드 슬롯과 안내 후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제2 걸림 후크와 제2 후크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 판넬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버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하우징(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판넬(20)과,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 그릴(30)과, 토출 그릴(30)의 안착홈(32)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며, 공정 청정기(1)에 대한 각종의 정보를 입출력 하기 위한 입출력 모듈(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0)은, 공기 청정기(1)에 포함된 각종의 부품들을 설치하기 위한 골격 및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하우징(1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우징(10)은, 베이스(11)와, 각종의 부품들을 설치하기 위한 골격 및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본체(13)와, 커버 판넬(2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바(15)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11)는 공기 청정기(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베이스(1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는, 거치홀(11a)과, 스위치홀(11b)과, 스위치(11c) 등을 가질 수 있다.
거치홀(11a)은, 후술할 거치 후크(22)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거치홀(11a)은, 거치 후크(22)를 거치홀(11a)에 거치한 상태에서 커버 판넬(20)을 하우징 본체(13)의 외면을 향해 회전시킬 때 후술할 안내 후크(23)가 슬라이드 슬롯(13d)에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11)의 미리 정해진 거치 위치에 설치된다.
거치홀(11a)의 형성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거치홀(11a)이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홀(11b)은 거치홀(11a)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베이스(11)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스위치홀(11b)에는 스위치(11c)가 공기 청정기(1)의 상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스위치(11c)는 후술할 커버 판넬(20)의 감지 리브(26)에 의해 눌러지면, 커버 판넬(20)이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설치되었음을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제어기(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3)는, 제1 개구부(13a), 내부 유로(13b), 제2 개구부(13c), 슬라이드 슬롯(13d), 제1 후크홀(13e)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개구부(13a)는 공기 청정기(1)의 수평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우징 본체(13)의 측면에 형성되고, 제2 개구부(13c)는 공기 청정기(1)의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우징 본체(13)의 상면에 형성되고, 내부 유로(13b)는 제1 개구부(13a)와 제2 개구부(13c)를 연결하도록 하우징 본체(13)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유로(13b)에는, 내부 유로(13b)에 수용된 공기를 제2 개구부(13c)를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팬이 구동되면, 제1 개구부(13a)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이 제공되고, 내부 유로(13b)에 설치된 필터(미도시)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송풍팬에 의해 제2 개구부(13c)를 향해 송풍된 후 제2 개구부(13c)에 결합된 토출 그릴(30)의 토출홀들(3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슬라이드 슬롯(13d)은 하우징 본체(13)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하우징 본체(13)의 벽체에 요입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슬롯(13d)은, 미리 정해진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드홈(13f)과, 슬라이드홈(13f)의 단부와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걸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13g)과, 슬라이드홈(13f)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3h) 등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드 슬롯(13d)의 형성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슬롯(13d)은, 한 쌍이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홈(13f)은 커버 판넬(20)을 하우징 본체(13)의 벽체 쪽으로 접근시킬 때 후술할 커버 판넬(20)의 안내 후크(23)가 슬라이드홈(13f)의 선단부를 통해 슬라이드홈(13f)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드홈(13f)의 선단부는 슬라이드홈(13f)의 양측 단부 중 고정바(15)로부터 멀게 위치하는 단부를 말하고, 슬라이드홈(13f)의 후단부는 슬라이드홈(13f)의 양측 단부 중 고정바(15)에 가깝게 위치하는 단부를 말한다.
슬라이딩 방향은, 후술할 커버 판넬(20)의 안내 후크(23)가 슬라이드홈(13f)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때 후술할 커버 판넬(20)의 걸림 후크들(24, 25)이 후크홀들(13e, 15a)로 안내되도록 정해진다. 여기서, 걸림 후크들(24, 25)이 후크홀들(13e, 15a)로 안내된 경우란, 걸림 후크들(24, 25)이 후크홀(13e, 15a)에 삽입되거나 걸림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를 말한다.
슬라이드홈(13f)의 바닥면은 슬라이딩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슬라이드홈(13f)의 경사 구조는, 안내 후크(23)가 슬라이드홈(13f)의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커버 판넬(20)을 회전시킬 때, 커버 판넬(20)을 걸림 후크들(24, 25)의 걸림 높이에 비해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만큼 높게 상승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슬라이드홈(13f)은, 걸림 후크들(24, 25)이 후크홀들(13e, 15a)의 둘레면에 충돌되지 않은 상태로 후크홀들(13e, 15a)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높이까지 커버 판넬(20)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걸림홈(13g)은 슬라이드홈(13f)의 후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걸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 방향이란, 걸림 후크들(24, 25)이 후크홀들(13e, 15a)에 걸림되는 방향을 말한다.
걸림홈(13g)을 이러한 걸림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하면, 안내 후크(23)가 걸림홈(13g)에 진입되도록 커버 판넬(20)이 이동되어 걸림 후크들(24, 25)이 후크홀(13e, 15a)로 안내된 상태에서, 안내 후크(23)가 걸림홈(13g)을 따라 이동되도록 커버 판넬(20)이 걸림 방향으로 이동되면, 걸림 후크들(24, 25)이 후크홀들(13e, 15a)에 걸림 방향으로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이런 걸림 방향의 방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걸림 방향은 중력 방향일 수 있다. 그러면, 안내 후크(23)가 걸림홈(13g)으로 진입되면, 안내 후크(23) 및 커버 판넬(20)이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낙하됨에 따라 걸림 후크들(24, 25)이 후크홀들(13e, 15a)에 자동으로 걸림되어 편리하고, 커버 판넬(20)의 자중을 이용해 걸림 후크들(24, 25)을 후크홀들(13e, 15a)에 강하게 결속시켜 걸림 후크들(24, 25)이 후크홀(13e, 15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턱(13h)은 슬라이드홈(13f)의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되, 슬라이드홈(13f)의 내측면 즉, 하우징 본체(13)의 외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드홈(13f)의 내측면과 대면하는 걸림턱(13h)의 내측면은, 슬라이딩 방향으로 갈수록 슬라이드홈(13f)의 내측면과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진 경사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걸림턱(13h)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후크홀(13e)의 형성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후크홀(13e)은 하우징 본체(13)의 벽체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크홀(13e)의 형성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크홀들(13e)이 하우징 본체(13)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후크홀(13e)은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15)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상을 갖고, 하우징 본체(13)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하우징 본체(13)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바(15)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바(15)는, 베이스(11) 및 하우징 본체(13)를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분할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180°의 각도 간격을 두고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술한 거치홀(11a), 스위치홀(11b), 스위치(11c), 슬라이드 슬롯(13d), 제1 후크홀(13e) 등은 각각의 분할 영역마다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바(15)는 전술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측면에 형성된 제2 후크홀(15a)을 가질 수 있다. 제2 후크홀(15a)은, 한 쌍의 커버 판넬들(20)을 고정바(15)의 양측면에 대칭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바(15)의 일측면 및 일측면과 반대되는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후크홀(15a)의 형성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2 후크홀들(15a)이 하우징 본체(13)의 높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커버 판넬이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공기 청정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거치 후크가 거치홀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슬라이드 슬롯의 걸림홈에 안내 후크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제1 걸림 후크가 제1 후크홀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제2 걸림 후크가 제2 후크홀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감지 리브가 스위치와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커버 판넬(20)은, 하우징 본체(13)의 제1 개구부(13a)를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1) 및 하우징 본체(13)는 고정바들(15)에 의해 한 쌍의 분할 영역들로 구획된다. 이에 대응하여, 커버 판넬(20)은, 분할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개별적으로 각각 커버할 수 있도록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커버 판넬(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우징 본체(13)가 원통 형상을 가는 경우에, 커버 판넬(20)은, 하우징 본체(13)의 곡률 반경과 대응하는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커버 판넬(20)은, 흡입홀(21)과, 거치 후크(22)와, 안내 후크(23)와, 제1 걸림 후크(24)와, 제2 걸림 후크(25)와, 감지 리브(26) 등을 가질 수 있다.
흡입홀(21)은 제1 개구부(13a)와 연통되도록 커버 판넬(20)의 두께 방향으로 천공된다. 흡입홀(21)의 크기 및 형성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면, 공기는 통과 가능하되 외부의 물체는 흡입홀(21)을 통과할 수 없는 크기를 갖는 다수의 흡입홀들(21)이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유로(11b)에 수용된 공기를 제2 개구부(13c) 쪽으로 송풍하도록 송풍팬을 구동하면, 제1 개구부(13a) 및 제1 개구부(13a)와 연통된 흡입홀들(21)에는 흡입력이 인가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흡입홀들(21)에 흡입된 외부의 공기는 제1 개구부(13a)를 통해 내부 유로(13b)로 진입될 수 있다.
거치 후크(22)는 커버 판넬(20)을 하우징 본체(13)에 결합할 때 베이스(11)의 거치홀(11a)에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홀(11a)의 형성 위치와 대응하는 커버 판넬(20)의 내측면의 특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거치 후크(22)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후크(22)는, 커버 판넬(2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부(22a)와, 지지부(22a)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도록 지지부(22a)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부(22b) 등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22a)와 걸림부(22b)는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거치 후크(22)의 형성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거치홀(11a)과 동일한 개수의 거치 후크들(22)이 거치홀(11a)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판넬(20)이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본체(13)에 결합된 경우에, 이러한 거치 후크(22)는, 지지부(22a)가 거치홀(11a)의 둘레면(11e)에 의해 지지됨과 함께, 걸림부(22b)가 거치홀(11a)에 삽입되도록, 거치홀(11a)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안내 후크(23)는, 커버 판넬(20)을 하우징 본체(13)에 결합할 때 하우징 본체(13)의 슬라이드 슬롯(13d)에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슬롯(13d)의 형성 위치와 대응하는 커버 판넬(20)의 내측면의 특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안내 후크(23)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후크(23)는, 커버 판넬(2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안내 리브(23a)와, 안내 리브(23a)의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 리브(23b)와, 안내 후크(23)가 슬라이드홈(13f)에 진입된 경우에 슬라이드홈(13f)의 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안내 리브(23a)의 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23c) 등을 가질 수 있다.
안내 후크(23)는 슬라이드 슬롯(13d)에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걸림 돌기(23c)는 슬라이드 슬롯(13d)의 걸림턱(13h)에 비해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걸림 돌기(23c)는 안내 후크(23)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안내 후크(23)의 형성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슬라이드 슬롯(13d)과 동일한 개수의 안내 후크들(23)이 슬라이드 슬롯(13d)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판넬(20)이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본체(13)에 결합된 경우에, 이러한 안내 후크(23)는, 슬라이드홈(13f)의 바닥면에 비해 상기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 이상만큼 낮게 위치하도록 걸림홈(13g)에 삽입될 수 있다. 안내 후크(23)와 슬라이드 슬롯(13d)의 결합 관계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걸림 후크(24)는, 커버 판넬(20)을 하우징 본체(13)에 결합할 때 하우징 본체(13)의 제1 후크홀(13e)에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후크홀(13e)의 형성 위치와 대응하는 커버 판넬(20)의 내측면의 특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 후크(24)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 후크(24)는, 커버 판넬(2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부(24a)와, 지지부(24a)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도록 지지부(24a)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부(24b) 등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24a)와 걸림부(24b)는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 걸림 후크(24)의 형성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후크홀(13e)과 동일한 개수의 제1 걸림 후크들(24)이 제1 후크홀(13e)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판넬(20)이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본체(13)에 결합된 경우에, 제1 걸림 후크(24)는, 걸림부(24b)가 제1 후크홀(13e)에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되도록, 제1 후크홀(13e)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제2 걸림 후크(25)는, 커버 판넬(20)을 하우징 본체(13)에 결합할 때 고정바(15)의 제2 후크홀(15a)에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후크홀(15a)의 형성 위치와 대응하는 커버 판넬(20)의 내측면의 특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 후크(25)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 후크(25)는, 커버 판넬(2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부(25a)와, 지지부(25a)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도록 지지부(25a)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부(25b) 등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25a)와 걸림부(25b)는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2 걸림 후크(25)의 형성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2 후크홀(15a)과 동일한 개수의 제2 걸림 후크들(25)이 제2 후크홀(15a)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판넬(20)이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본체(13)에 결합된 경우에, 이러한 제2 걸림 후크(25)는, 지지부(25a)가 제2 후크홀(15a)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되, 걸림부(25b)가 제2 후크홀(15a)에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되도록, 제2 후크홀(15a)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감지 리브(26)는, 커버 판넬(20)을 하우징 본체(13)에 결합할 때 베이스(11)의 스위치(11c)를 누를 수 있도록, 스위치(11c)의 설치 위치와 대응하는 커버 판넬(20)의 내측면의 특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감지 리브(26)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리브(26)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도록 커버 판넬(2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감지 리브(26)는, 스위치(11c)를 누를 수 있도록 감지 리브(26)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누름 돌기(26a)를 가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판넬(20)이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본체(13)에 결합된 경우에, 이러한 감지 리브(26)의 누름 돌기(26a)는 스위치(11c)를 누르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스위치(11c)는 커버 판넬(20)이 정위치에 설치되었음을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제어기에 입력할 수 있다. 제어기는, 이러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커버 판넬(20)이 정위치에 설치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공기 청정기(1)를 정상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거치 후크가 거치홀에 비스듬히 거치되도록 커버 판넬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거치 후크가 거치홀에 비스듬히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슬라이드 슬롯과 안내 후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안내 후크가 슬라이드 슬롯의 슬라이드홈에 삽입되도록 커버 판넬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슬라이듯 슬롯과 안내 후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후크홀의 둘레면이 걸림 후크를 간섭하지 않도록 커버 판넬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슬라이드 슬롯과 안내 후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제2 걸림 후크와 제2 후크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커버 판넬(20)을 하우징 본체(13)에 결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후크(23)가 슬라이드홈(13f)에 미진입된 상태에서, 거치 후크(22)가 거치홀(11a)에 비스듬하게 거치되도록 커버 판넬(20)을 베이스(11)에 안착시킨다. 이 경우에, 제2 걸림 후크들(25) 및 제2 후크홀들(15a) 사이의 거리는, 하측에 위치한 제2 걸림 후크들(25) 및 제2 후크홀들(15a)일수록 가깝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후크(23)가 슬라이드홈(13f)에 진입되도록, 커버 판넬(20)을 하우징 본체(13) 쪽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슬라이드홈(13f)에 진입된 안내 후크(23)의 걸림 돌기(23c)는 슬라이드홈(13f)의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런데, 슬라이드홈(13f)의 바닥면은 슬라이딩 방향 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 구조를 가지므로, 걸림 돌기(23c)가 이러한 슬라이드홈(13f)의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됨으로 인해 커버 판넬(20)은 고정바(15) 쪽으로 갈수록 슬라이드홈(13f)의 바닥면의 경사 높이만큼 상승하게 된다.
또한, 걸림턱(13h)의 내측면은 슬라이딩 방향으로 갈수록 슬라이드홈(13f)의 내측면과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사 구조를 갖는바, 걸림 돌기(23c)가 이러한 걸림턱(13h)의 내측면에 의해 슬라이드홈(13f)의 내측면 즉, 하우징 본체(13)의 외면 쪽으로 가압된다. 커버 판넬(20)은 이처럼 걸림턱(13h)으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하우징 본체(13)와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탄성 변형된다.
일반적으로 커버 판넬은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플레이트로 구성되는바, 제조 상의 공차 또는 장시간 사용에 따른 변형으로 인해 커버 판넬마다 곡률 반경이 미소하게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곡률 반경의 불균일은, 커버 판넬(20)의 오장착, 외부 단차의 발생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슬라이드 슬롯(13d)은 걸림턱(13h)을 통해 커버 판넬(20)을 하우징 본체(13)의 곡률 반경과 대응하는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릍 통해, 슬라이드 슬롯(13d)은, 곡률 반경의 불균일에 따른 커버 판넬(20)의 오장착, 외부 단차의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처럼 안내 후크(23)가 슬라이딩 슬롯에 진입된 경우에는, 제2 걸림 후크들(25) 중 하측에 위치한 제2 걸림 후크들(25)은 당해 걸림 후크(25)와 대응하는 제2 후크홀(15a)에 삽입되고, 이처럼 제2 후크홀들(15a)에 삽입된 제2 걸림 후크들(25)은, 커버 판넬(20)이 오장착되지 않도록 커버 판넬(20)을 안내할 수 있다.
이후에,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후크(23)가 걸림홈(13g)에 진입되도록, 커버 판넬(20)을 하우징 본체(13) 쪽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안내 후크(23)는 슬라이드홈(13f)의 바닥면의 경사 높이만큼 상승된 상태로 걸림홈(13g)에 진입되고, 제1 걸림 후크(24)는 제1 후크홀(13e)의 둘레면과 충돌되지 않은 상태로 제1 후크홀(13e)과 대면하는 위치까지 진입되고, 제2 걸림 후크(25)는 제2 후크홀(15a)의 둘레면과 충돌되지 않은 상태로 제2 후크홀(15a)의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안내 후크(23)는 슬라이드홈(13f)의 바닥면의 경사 높이만큼 상승된 상태로 걸림홈(13g)에 진입되면, 커버 판넬(2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가 순간적으로 사라지는 바, 커버 판넬(20)은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하게 된다. 그러면, 걸림 후크들(24, 25)이 후크홀들(13e, 15a)에 중력 방향으로 걸림됨으로써 커버 판넬(20)은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본체(13)에 결합되고, 감지 리브(26)의 누름 돌기(26a)는 스위치(11c)를 누르게 된다.
한편, 커버 판넬(20)을 하우징 본체(13)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전술한 결합 작업을 반대 순서로 실시하여야 한다. 즉, 후크홀들(13e, 15a)의 둘레면이 걸림 후크들(24, 25)을 진행을 간섭하지 않음과 동시에, 안내 후크(23)가 슬라이드홈(13f)으로 재진입될 수 있도록, 커버 판넬(20)을 상승시킨 후, 커버 판넬(20)을 슬라이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우징 본체(1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공기 청정기(1)는, 자석, 기타 부자재를 별도로 사용할 필요없이, 하우징(10)과 커버 판넬(20)에 마련된 후크 결합 구조만으로 커버 판넬(20)을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바, 재료 원가 및 조립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1)는, 전체 커버 판넬들(20)을 개별적으로 하우징(10)에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는바, 커버 판넬(20)을 하우징(10)에 고정된 상태로 물청소하는 경우 등에 발생하는 자재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1)는, 커버 판넬(20)을 미리 정해진 곡률 반경을 갖도록 탄성 변형시킬 수 있는바, 커버 판넬(20)의 곡률 불균일에 따른 오장착, 외부 단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공기 청정기
10 : 하우징
11 : 베이스
11a : 거치홀
11b : 스위치홀
11c : 스위치
13 : 하우징 본체
13a : 제1 개구부
13b : 내부 유로
13c : 제2 개구부
13d : 슬라이드 슬롯
13e : 제1 후크홀
13f : 슬라이드홈
13g : 걸림홈
13h : 걸림턱
34 : 토출홀
15 : 고정바
15a : 제2 후크홀
20 : 커버 판넬
21 : 흡입홀
22 : 거치 후크
22a : 지지부
22b : 걸림부
23 : 안내 후크
23a : 안내 리브
23b : 보강 리브
23c : 걸림 돌기
24 : 제1 걸림 후크
24a : 지지부
24b : 걸림부
25 : 제2 걸림 후크
25a : 지지부
25b : 걸림부
26 : 감지 리브
26a : 누름 돌기
30 : 토출 그릴
32 : 안착홈
34 : 토출홀
40 : 입출력 모듈

Claims (13)

  1. 후크홀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후크홀에 걸림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 후크를 구비하는 커버 판넬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미리 정해진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을 갖는 슬라이드 슬롯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 판넬은, 상기 걸림 후크를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상기 후크홀에 안내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 리브를 갖는 안내 후크를 더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홀 및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후크홀에 미리 정해진 걸림 방향으로 걸림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상기 슬라이드홈을 통과한 상기 안내 리브가 진입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과 연결되며, 상기 안내 리브가 상기 슬라이드홈을 통과하면 상기 커버 판넬이 상기 걸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미리 정해진 걸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을 더 갖는, 공기 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홀 및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후크홀에 중력 방향으로 걸림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걸림홈은 당해 걸림홈과 연결된 상기 슬라이드부의 단부로부터 중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홀 및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걸림 후크가 미리 정해진 걸림 높이에서 상기 후크홀에 걸림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은 상기 걸림홈과 연결된 단부가 상기 걸림 높이에 비해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높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공기 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은 상기 걸림홈과 연결된 단부 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공기 청정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판넬이 상기 하우징의 미리 정해진 정위치에 결합되었는 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 판넬은, 상기 커버 판넬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정위치에 결합될 때 상기 스위치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감지 리브를 더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리브는, 상기 걸림홈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안내 리브의 안내 하에 상기 커버 판넬이 상기 걸림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스위치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공기 청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후크는, 상기 슬라이드홈의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안내 리브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더 갖고,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내측면에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림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갖는, 공기 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내측면은,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걸림턱의 내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미리 정해진 에 형성되는 거치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 판넬은, 상기 거치홀에 거치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거치 후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거치 위치는, 상기 거치 후크를 상기 거치홀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 판넬을 상기 하우징에 근접하게 회전시키면 상기 안내 리브가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도록 정해지는, 공기 청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후크홀이 형성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를 지지하며, 상기 거치홀이 형성된 베이스를 더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후크홀이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 고정바를 더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홀은, 상기 고정바의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과 반대되는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커버 판넬은, 상기 일측면에 형성된 후크홀에 어느 하나의 커버 판넬의 걸림 후크를 걸림 결합함과 함께, 상기 타측면에 형성된 후크홀에 다른 하나의 커버 판널의 걸림 후크를 걸림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설치되는, 공기 청정기.
KR1020200108856A 2020-01-30 2020-08-27 공기 청정기 KR102450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56A KR102450694B1 (ko) 2020-08-27 2020-08-27 공기 청정기
PCT/KR2021/011387 WO2022045776A1 (ko) 2020-08-27 2021-08-25 공기 청정기
US17/640,820 US20230175721A1 (en) 2020-08-27 2021-08-25 Air cleaning apparatus
TW111133029A TW202300831A (zh) 2020-08-27 2021-08-26 空氣淨化器
TW110131742A TWI801981B (zh) 2020-08-27 2021-08-26 空氣淨化器
TW111133028A TW202300830A (zh) 2020-08-27 2021-08-26 空氣淨化器
TW111133030A TW202300832A (zh) 2020-08-27 2021-08-26 空氣淨化器
IL291918A IL291918A (en) 2020-01-30 2022-04-03 Air cleaning device
KR1020220055887A KR102582130B1 (ko) 2020-08-27 2022-05-06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56A KR102450694B1 (ko) 2020-08-27 2020-08-27 공기 청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887A Division KR102582130B1 (ko) 2020-08-27 2022-05-06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683A true KR20220027683A (ko) 2022-03-08
KR102450694B1 KR102450694B1 (ko) 2022-10-04

Family

ID=808125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856A KR102450694B1 (ko) 2020-01-30 2020-08-27 공기 청정기
KR1020220055887A KR102582130B1 (ko) 2020-08-27 2022-05-06 공기 청정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887A KR102582130B1 (ko) 2020-08-27 2022-05-06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50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004A1 (ko) * 2022-10-06 2024-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 살균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128A (ko) * 2005-06-2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20113163A (ko) * 2011-04-04 2012-10-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습 장치
KR20170141583A (ko) * 2016-06-15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128A (ko) * 2005-06-2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20113163A (ko) * 2011-04-04 2012-10-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습 장치
KR20170141583A (ko) * 2016-06-15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694B1 (ko) 2022-10-04
KR20220066014A (ko) 2022-05-23
KR102582130B1 (ko)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42796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220066014A (ko) 공기 청정기
KR10181538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08954571A (zh) 中央空调室外机的控制器组件及中央空调室外机
JPS61202028A (ja) 除塵装置内蔵の壁部材
KR100652800B1 (ko) 공기 청정기
KR101861669B1 (ko)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WO2018150538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060094750A (ko)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US11260405B2 (en) Ventilation module for a rail vehicle
JPH06300341A (ja) 天井用換気扇
CN1886624B (zh) 空调装置、控制该空调装置的方法、以及控制程序
KR20100027305A (ko) 공기조화기
EP1701099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
KR10044100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23066161A (ja) 空気調和機
JPH03204524A (ja) 空気調和機の吸込グリル
CN218868464U (zh) 用于生物安全柜的电控箱组件和生物安全柜
CN110360743A (zh) 用于空调室内机的安装组件
CN219976581U (zh) 风管机
CN213162236U (zh) 清洁设备
CN219036848U (zh) 室内机及空调器
CN219036844U (zh) 室内机及空调器
KR10230604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EP4323084A1 (en) Air filte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