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739A -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739A
KR20220026739A KR1020200107629A KR20200107629A KR20220026739A KR 20220026739 A KR20220026739 A KR 20220026739A KR 1020200107629 A KR1020200107629 A KR 1020200107629A KR 20200107629 A KR20200107629 A KR 20200107629A KR 20220026739 A KR20220026739 A KR 20220026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ion
module
temperature
cooling unit
tow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755B1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07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755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6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arrangements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s, e.g. by multiple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freezer compart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실시예는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원격 모니터링 장치는 냉동탑차가 운행을 할 경우, 중앙관제센터에서 운행되는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를 GPS를 통해 수신받아서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특히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는 이러한 모니터링을 할 경우에, GPS 통신 모듈형 PLC형태를 기반으로 냉동온도를 감시하면서 직접적으로 외부의 기기(예: 엔진 등의 구동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모듈)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상의 편의와 간소화 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remote employing cooling system for refrigeration tower vehicl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탑차가 운행을 할 경우에, 중앙관제센터에서 운행되는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냉동기가 구비된 냉동탑차는 냉동 및 냉장이 필요한 화
물을 냉동탑차를 구성하는 냉동탑에 적재하여 이송하는 동안 상기 냉동기에 의한
화물의 냉동에 의한 화물의 품질이나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냉동탑차에 구성되는 냉각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여 액체로 변환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
의해 액체로 변환된 저온 및 저압의 냉매가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탑차의 냉동
탑 내부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냉각장치는 한국공개특허 제2005-00870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압축기를 엔진에 직결시켜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
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하였다.
압축기가 구동됨에 따라 고온저압상태의 냉매는 응축기에 이르러 중
온고압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응축기로부터 제공되는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과하며 증
발기로 유입되어, 액체상태의 냉매가 순간적으로 기화되면서 주변열을 흡수하므로
증발기의 주변에는 차가운 공기가 형성되므로 별도의 배기팬에 의해 차가운 공기를
운반고의 내부로 토출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냉각사이클을 지속적으로 순환반복
하므로 그 운반고의 내부에는 설정된 저온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냉동 및
냉장을 요하는 모든 식음료 및 저온 보관 물품 등을 최적의 온도로 안전하게 운반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의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의 특허문헌이다.
(특허문헌 1) KR1020050087005 A
(특허문헌 2) KR200288717 Y1
(특허문헌 3) KR101917750 B1
(특허문헌 4) KR 100816642 B1
(특허문헌 5) KR 1020010016277 A
다른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탑차 등의 냉동차량은, 냉동/냉장 식품을 운반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단열처리된 차량의 적재부에는 냉동장치를 구비하여 식품
을 운반 또는 보관하는데 이용된다.
특히, 냉동탑차 등에 보관된 제품의 신선도 유지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각종 세균 발생의 원인이 되고, 품질 저하 등의 문제로 인해
유통 상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탑차의 개별적인 모니터링이 필수
적이며 특히, 일시에 대량으로 운송되는 탑차 등에서는 명확한 시스템의 확립이 필
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로서 한국 특허출원 2010-0065254호에서는
냉동탑차 적재함 도어에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설치하여 외부 침입 도는 도난사고
를 방지하고 온도데이터와 영상기록을 저장하여 저장된 데이터는 네트웍 통신을 통
해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냉동탑차 적재함 제어시스템을 선보였으나 상기 발명은 수
송차량의 위치 추적이 불가능하며 데이터 전송환경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유선센서를 이용한 특수차량 통합 관제시스템은 컨테
이너등의 내부에 유선센서가 설치되어 유선센서에서 무선단말기까지 케이블로 연결
되므로 컨테이너에 구멍을 뚫어 급격한 온도변화 특성이 생기지 않도록 마감처리
작업등으로 말미암아 제품비용 외에도 설치비용이 추가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6) KR1020050087005 A
(특허문헌 7) KR1020070016305 A
(특허문헌 8) KR1020120004651 A
(특허문헌 9) KR1020150151338 A
개시된 내용은, 냉동탑차가 운행을 할 경우, 중앙관제센터에서 운행되는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를 GPS를 통해 수신받아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는,
냉동탑차 엔진의 자체 구동전원으로 냉동탑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엔진에서 냉각부로의 구동전원과, 서브 전원용 배터리모듈에서 냉각부로의 구동전원을 각기 단속하는 릴레이모듈; 및
상기 감지된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미리 등록된 중앙관제센터와의 GPS통신에 의해 자체적으로 알림하고, 해당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모듈의 단속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를 모니터링하는 PLC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PLC 컨트롤러는 아래의 구성을 가진다.
a) 상기 릴레이모듈에 의한 각 구동전원을 냉각부로 공급하는 전원 모듈;
b) 다른 제어유닛과의 통신을 위한 시리얼 통신 모듈;
c) 상기 온도센서에 의한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포함한 아날로그 정보를 통합적으로 입력받는 A/I 모듈;
d) 각 아날로그 정보를 해당 기기에 통합적으로 출력하는 A/O 모듈;
e) 디지털센서에 의한 디지털 정보를 통합적으로 입력받는 D/I 모듈;
f)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의한 제어신호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상기 릴레이모듈을 포함한 해당 기기에 통합적으로 출력하는 D/O 모듈;
g) 상기 A/I 모듈에 의한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포함한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서 통합적으로 변환하는 A/D 모듈;
h) 각 디지털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서 통합적으로 변환하는 D/A 모듈;
I) 상기 A/D 모듈에 의한 냉각부의 냉동온도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GPS통신에 의해 자체적으로 송출하고, 해당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GPS 통신 모듈; 및
e)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CPU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냉동탑차가 운행을 할 경우, 중앙관제센터에서 운행되는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를 GPS를 통해 수신받아서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경우에 GPS 통신 모듈형 PLC형태를 기반으로 냉동온도를 감시하면서 직접적으로 외부의 기기(예: 엔진 등의 구동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모듈)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상의 편의와 간소화 등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100)는 냉동탑차가 운행을 할 경우, 중앙관제센터(200)에서 운행되는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를 GPS를 통해 수신받아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100)는 이 모니터링을 할 경우에, GPS 통신 모듈형 PLC형태를 기반으로 냉동온도를 감시하면서 직접적으로 외부의 기기(예: 엔진 등의 구동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모듈)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상의 편의와 간소화 등을 제공한다. 참고적으로, 이러한 GPS 통신 모듈형 PLC형태는 아래의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한편, 여기에서 부가적으로 상기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는 실질적으로는 냉각부의 냉동온도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부는 냉동탑차에 구비되어 냉동탑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냉각모듈과, 제2 냉각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모듈은 냉매 가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교축팽창시키는 팽창변, 상기 팽창변에서 교축된 냉매를 기화시켜 상기 냉동탑 내부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는 차량용 12V 배터리로 구동가능한 DC 압축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제1 냉각모듈과 제2 냉각모듈은 각각 독립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냉동탑 내의 화물 종류, 주변 상황에 따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냉각부는 살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냉각모듈의 증발기에 연결되어 냉각된 공기가 냉동탑 내부로 향하기 전에 살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살균모듈은 자외선 살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살균 방식(이온 살균 방식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냉각부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이나 서버를 통해 상기 냉각부가 모니터링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다수의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100-1, 100-2, ... , 100-n-1, 100-n)와, 자가망을 통해 각 냉동시스템(100-1, 100-2, ... , 100-n-1, 100-n)과 연결된 중앙관제센터(200)를 포함한다.
상기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100-1, 100-2, ... , 100-n-1, 100-n)는 다수의 냉동탑차별로 각기 설치된 것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GPS 통신 모듈형 PLC형태를 기반으로 냉동온도를 GPS에 의해 중앙관제센터에 알림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는 이러한 냉동온도에 따른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이하게 엔진 등에서 냉각부로의 구동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냉동온도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한 모니터링과 제어는 자가망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상기 자가망은 GPS통신망과 부가적으로, TCP/IP망, LTE망, 무선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관제센터(200)는 상기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100-1, 100-2, ... , 100-n-1, 100-n)로부터 냉동온도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각 냉동시스템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관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상기 냉동온도가 높아져서 미리 설정된 위험냉동온도가 된 경우, 냉동탑차 엔진의 구동전원을 기본으로 예비용의 배터리모듈의 구동전원을 추가하여 상기 냉각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상기 냉동온도가 미리 설정된 정상냉동온도인 경우에는, 냉동탑차 엔진의 구동전원만을 상기 냉각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상기 중앙관제센터(200)는 이러한 냉장온도 정보 등과 관련하여 외부연계기관과 연동하는데, 이때 외부연계기관은 자사 정보처리장치와, 환경관리공공기관 정보처리장치, 고장수리처 정보처리장치 등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100)는 냉각부(110)의 냉동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20)와, 냉동온도에 따라 엔진에서 냉각부로의 구동전원과, 서브 전원용 배터리모듈에서 냉각부로의 구동전원을 각기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릴레이모듈(130), 각 부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따른 PLC 컨트롤러(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PLC 컨트롤러(140)는 GPS 통신 모듈형 PLC형태를 기반으로 냉동온도를 감시하면서 직접적으로 외부의 기기(예: 엔진 등의 구동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모듈)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상의 편의와 간소화 등을 제공한다.
상기 온도센서(120)는 냉동탑차 엔진의 자체 구동전원으로 냉동탑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110)의 냉동온도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온도센서(120)는 다수의 상이한 냉각모듈별로 구비된다.
상기 릴레이모듈(130)은 상기 엔진에서 냉각부로의 구동전원과, 서브 전원용 배터리모듈에서 냉각부로의 구동전원을 각기 단속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배터리모듈은 냉동탑차에 구비된 엔진과 연결되며 상기 엔진의 알터네이터에 의해 충전되어 상기 냉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태양광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모듈을 충전하는 광충전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동탑차 외부의 소정의 위치에 태양광 패널유닛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태양광 패널유닛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입사각을 감지하는 입사각 감지유닛과, 상기 태양광 패널유닛을 지지하는 것으로 소정의 신호를 받아 상기 태양광 패널의 각도를 조절하는 태양광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릴레이모듈(130)로 전자기 릴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예를 들면, 반도체 릴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PLC 컨트롤러(140)는 상기 감지된 냉각부(110)의 냉동온도를 미리 등록된 중앙관제센터와의 GPS통신에 의해 자체적으로 알림하고, 해당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모듈의 단속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PLC 컨트롤러(140)는 아래의 구성을 가진다.
a) 상기 릴레이모듈에 의한 각 구동전원을 냉각부로 공급하는 전원 모듈;
b) 다른 제어유닛과의 통신을 위한 시리얼 통신 모듈;
c) 상기 온도센서에 의한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포함한 아날로그 정보를 통합적으로 입력받는 A/I 모듈;
d) 각 아날로그 정보를 해당 기기에 통합적으로 출력하는 A/O 모듈;
e) 디지털센서(예: 디지털광센서)에 의한 디지털 정보를 통합적으로 입력받는 D/I 모듈;
f)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의한 제어신호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상기 릴레이모듈을 포함한 해당 기기에 통합적으로 출력하는 D/O 모듈;
g) 상기 A/I 모듈에 의한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포함한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서 통합적으로 변환하는 A/D 모듈;
e) 각 디지털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서 통합적으로 변환하는 D/A 모듈;
h) 상기 A/D 모듈에 의한 냉각부의 냉동온도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GPS통신에 의해 자체적으로 송출하고, 해당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GPS 통신 모듈; 및
I)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CPU 모듈;
이러한 경우, 상기 CPU 모듈에 의한 제어 동작은 예를 들어 아래와 같다.
a) 상기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가 미리 설정된 위험냉동온도에 따른 제어신호인 경우, 상기 냉동탑차 엔진의 구동전원을 기본으로 상기 배터리모듈의 구동전원을 추가하여 상기 냉각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릴레이모듈의 단속 동작을 제어한다.
b) 반면, 상기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가 미리 설정된 정상냉동온도에 따른 제어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냉동탑차 엔진의 구동전원만을 상기 냉각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릴레이모듈의 단속 동작을 제어한다.
부가적으로, 전술한 일실시예에 따른 GPS 통신 모듈형 PLC형태와 관련하여 부연설명을 하면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PLC 시스템에 대해서는 여러 기능을 가진 모듈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에 따라 PLC 제조 업체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다양한 모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입출력 모듈, 아날로그 입출력모듈, 통신 모듈 등 여러 기능을 가진 모듈이 PLC 시스템에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모듈을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스템이 구축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KR101778333 Y1의 기술은 이러한 기술로서 등록받은 발명이며, 구체적으로는 PLC의 출력모듈의 동작상 결함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모듈을 구비하는 PLC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GPS 통신 모듈은 이러한 점들을 이용해서, 그 GPS 통신 모듈로부터 GPS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PLC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더 나아가 관리자에 의해 쉽게 감시와 제어 등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에 따른 PLC 컨트롤러(140)는 상기 GPS 통신 모듈을 통해 자체적으로 (무선)인터넷연결부가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냉장온도 정보를 미리 등록된 중앙관제센터에 자체적으로 송출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이에 더하여 실시예에 따라 상기 GPS 통신 모듈에 대한 추가적인 구성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GPS 통신 모듈은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냉각부(110)의 냉동온도가 미리 설정된 저임계냉동온도보다 이하로 된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고임계냉동온도보다 이상으로 된 경우,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GPS통신에 의해 자체적으로 알람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배터리모듈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GPS 통신 모듈은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이해 상기 전압센서에 의한 배터리모듈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전압보다 이하로 된 경우,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GPS통신에 의해 자체적으로 알람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GPS 통신 모듈은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한 TTS엔진을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냉각부(110)의 냉동온도가 미리 설정된 저임계냉동온도보다 이하로 된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고임계냉동온도보다 이상으로 된 경우 음성 알람을 한다.
이때, 상기 음성정보 즉, 음성멘트는 예를 들어, GPS 통신 모듈 자체에 구비된 플래시 음성메모리에 등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이에 더하여 상기 GPS 통신 모듈은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냉동온도 감시와 관련된 외부 음성을 자체적으로 입력받아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하고 오디오 출력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관리자 음성 등의 외부 오디오 입력을 받아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하고 GPS 통신 모듈 자체에 구비된 오디오 앰프를 통해 오디오 출력을 한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GPS 통신 모듈은 상기 CPU 모듈에 의한 IoT 모듈을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감지된 냉각부(110)의 냉동온도를 미리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 IoT에 의해 송출하고, 해당 관리자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모듈의 단속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상기 GPS 통신 모듈은 상기 CPU 모듈에 의한 IoT 모듈을 통해 상기 냉각부(110)의 냉동온도가 미리 설정된 저임계냉동온도보다 이하로 된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고임계냉동온도보다 이상으로 된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자체적으로 알람을 한다.
또한, 상기 GPS 통신 모듈은 상기 CPU 모듈에 의한 IoT 모듈을 통해 상기 전압센서에 의한 배터리모듈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전압보다 이하로 된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자체적으로 알람한다.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는 운전자가 냉동시스템의 위치에 도달한 경우, 중계기로부터 각각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냉동온도에 따른 냉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모니터링한 일자, 냉동상태 등을 입력하고 체크하며, 냉동온도 조정이 필요한 냉동시스템 즉, 냉동탑차를 확인하여 관리자 단말기를 작동, 조작함으로써, 냉동온도를 설정하거나 변경하여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중계기는 각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해당 냉동시스템의 위치를 비롯하여 냉동온도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중앙관제센터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러므로, 상기 중계기에는 그때 그때 냉동탑차 내부의 온도 기록을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온도 데이터베이스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4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도 4 참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는 먼저 온도센서가 냉동탑차 엔진의 자체 구동전원으로 냉동탑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감지한다(S501).
다음,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는 PLC 컨트롤러가 상기 감지된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멀리 떨어진 미리 등록된 중앙관제센터와의 GPS통신에 의해 자체적으로 알림한다(S502).
그리고 나서, 해당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에 따라(S503) 상기 릴레이모듈의 단속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를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릴레이모듈은 상기 엔진에서 냉각부로의 구동전원과, 서브 전원용 배터리모듈에서 냉각부로의 구동전원을 각기 단속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가 미리 설정된 위험냉동온도에 따른 제어신호인 경우(S504), 상기 냉동탑차 엔진의 구동전원을 기본으로 상기 배터리모듈의 구동전원을 추가하여 상기 냉각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릴레이모듈의 단속 동작을 제어한다(S505).
반면, 상기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가 미리 설정된 정상냉동온도에 따른 제어신호인 경우에는(S504), 상기 냉동탑차 엔진의 구동전원만을 상기 냉각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릴레이모듈의 단속 동작을 제어한다(S505).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냉동탑차가 운행을 할 경우, 중앙관제센터에서 운행되는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를 GPS를 통해 수신받아서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경우, 일실시예는 이러한 모니터링을 할 경우에, GPS 통신 모듈형 PLC형태를 기반으로 냉동온도를 감시하면서 직접적으로 외부의 기기(예: 엔진 등의 구동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모듈)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상의 편의와 간소화 등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냉동탑차 엔진의 자체 구동전원으로 냉동탑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엔진에서 냉각부로의 구동전원과, 서브 전원용 배터리모듈에서 냉각부로의 구동전원을 각기 단속하는 릴레이모듈; 및
상기 감지된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미리 등록된 중앙관제센터와의 GPS통신에 의해 자체적으로 알림하고, 해당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모듈의 단속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를 모니터링하는 PLC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PLC 컨트롤러는 아래의 구성을 가진다.
a) 상기 릴레이모듈에 의한 각 구동전원을 냉각부로 공급하는 전원 모듈;
b) 다른 제어유닛과의 통신을 위한 시리얼 통신 모듈;
c) 상기 온도센서에 의한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포함한 아날로그 정보를 통합적으로 입력받는 A/I 모듈;
d) 각 아날로그 정보를 해당 기기에 통합적으로 출력하는 A/O 모듈;
e) 디지털센서에 의한 디지털 정보를 통합적으로 입력받는 D/I 모듈;
f)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의한 제어신호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상기 릴레이모듈을 포함한 해당 기기에 통합적으로 출력하는 D/O 모듈;
g) 상기 A/I 모듈에 의한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포함한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서 통합적으로 변환하는 A/D 모듈;
h) 각 디지털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서 통합적으로 변환하는 D/A 모듈;
I) 상기 A/D 모듈에 의한 냉각부의 냉동온도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GPS통신에 의해 자체적으로 송출하고, 해당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GPS 통신 모듈; 및
e)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CPU 모듈;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냉동탑차가 운행을 할 경우, 중앙관제센터에서 운행되는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를 GPS를 통해 수신받아서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경우, 일실시예는 이러한 모니터링을 할 경우에, GPS 통신 모듈형 PLC형태를 기반으로 냉동온도를 감시하면서 직접적으로 외부의 기기(예: 엔진 등의 구동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모듈)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상의 편의와 간소화 등을 제공한다.
한편, 이러한 원격 모니터링 장치는 중앙관제센터에 의한 전술한 방식과 달리, 자체적으로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CPU 모듈은 아래의 구성을 가진다.
a) 먼저 현재 냉동온도와 피드백된 원래 중앙관제센터 제어신호의 오차가 0이 되도록 하기의 [식 1]에 따른 PID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목표값을 직접적으로 산출한다.
[식 1]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u(n)은 현재의 제어 입력이고, u(n-1)은 1차 샘플링 시간 전의 제어 입력, e(n)은 현재의 오차, e(n-1)은 1차 샘플링 시간 전의 오차, e(n-2)는 2차 샘플링 시간 전의 오차, K0과 K1, K2는 e(n)과 e(n-1), e(n-2)의 이득)
b) 그리고, 상기 산출된 목표값에 따라 상기 릴레이모듈의 단속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를 직접적으로 자체 제어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실시예는 냉동탑차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다양한 서비스동작을 예를 들어, 전원관리나, 블랙박스 동작 등을 GPS 모듈과 함께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GPS 모듈의 계속적인 사용으로 인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실시예는 먼저 유선의 서비스동작 제어 장치를 GPS 모듈에서 분리하여, 상기한 PLC 컨트롤러가 서비스동작 제어 장치별로 서비스동작을 통합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동작은 전원관리 서비스동작, 배터리 서비스동작, 무선랜 전송(또는, 네트워크 전송) 서비스동작, 블랙박스 서비스동작, 로봇 서비스동작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는 GPS 모듈을 유선의 서비스동작 제어 장치로부터 분리하고, 각 서비스동작 제어장치의 서비스동작 제어코드 웨어에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상이하게 선택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GPS 모듈의 계속적인 사용으로 배터리가 전원이 소모되는 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서는 아래의 구성을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성은 상기 PLC 컨트롤러가 중앙관제센터 또는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냉동 탑차별로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경우에 따른 냉동 탑차 내의 GPS 모듈에 대한 온 명령과 오프 명령에 따라, GPS 정보 수신 동작을 각기 원격 제어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중앙관제센터 또는 관리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각각으로부터의 상기 온 명령과 상기 오프 명령에 대한 전송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온 명령을 전송받은 경우에 GPS 모듈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오프 명령을 전송받은 경우에는 GPS 모듈에 대하여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UI는 중앙관제센터 또는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으로, 냉동온도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영상으로 표출시 문자 또는 그래프 형식의 데이터 트렌드가 함께 표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은 냉동온도를 포함한 각종 냉동상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되며, 이렇게 표출 될 시 글자의 문구, 문구 값의 단위, 문구의 화면 상 위치, 폰트, 색상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경고 시에, 표출 문구는 지정된 색으로 깜빡 깜빡거리거나, 글자는 지정된 색으로 가만히 있고 화면 전체가 컬러 또는 흑백의 지정된 색으로 깜빡 깜빡거리는 플리커링(flickering)의 경우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된다.
이에 더하여, 각종 냉동상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그래프 형식의 데이터 트렌드로 표출 할 시 데이터의 문구, 단위, 색깔을 관리자가 설정한대로 표출할 수 있다.
또는 표출된 트렌드의 바를 원하는 시간에 이동하면 이동된 바가 위치한 트렌드의 시간의 값이 나타나고, 데이터의 확인 후 이동바 위에 위치한 데이터 값은 자동으로 사라진다.
그리고, 경고 시, 표출 문구는 지정된 색으로 깜빡 깜빡거리거나, 글자는 지정된 색으로 가만히 있고 화면 전체가 컬러 또는 흑백의 지정된 색으로 깜빡 깜빡거리는 플리커링의 경우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기능을 포함한다.
참고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냉동시스템은 아래의 구성을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구성은 즉, 엔진과 압축기를 직결시키지 않고 별도의 배터리전원 또는 가정용 상용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가능한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동탑차용 냉동장치에 관한 것이다(참고로, 이 발명의 내용은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10-2020-0054915호의 기술 내용과 동일하다).
하지만, 다른 점은 전술한 릴레이모듈을 사용하여 구성한 다른 형태의 냉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라는 점이다.
부가하여 이러한 구성은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세부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요약하여 기재한다(전술한 특허출원 기술의 주요한 발명 내용과 대체적으로 동일함).
1) 냉동탑차에 구비되어 냉동탑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에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부는 각각의 압축기로 구동되는 제1 냉각모듈, 제2 냉각모듈 및 제3 냉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냉각모듈, 상기 제2 냉각모듈 및 상기 제3 냉각모듈은 각각 독립되어 선택적으로 구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2) 상기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모듈, 상용전원연결모듈 및 릴레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모듈은 냉동탑차에 구비된 엔진의 알터네이터에 의해 충전되어 상기 냉각부에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상용전원연결모듈은 상기 배터리모듈과는 별도로 가정용 상용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냉각부에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릴레이모듈은 상기 배터리모듈과 상기 상용전원연결모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냉각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모듈 각각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는 스위치모듈과 상기 스위치모듈을 제어하는 마이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4) 상기 제어부는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배터리모듈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마이콤모듈은 상기 전압감지유닛과 연동되어 상기 배터리모듈의 전압값이 제1 설정전압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냉각모듈과 상기 제2 냉각모듈과 상기 제3 냉각모듈이 함께 구동되도록 상기 스위치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5) 상기 제어부는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배터리모듈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마이콤모듈은 상기 전압감지유닛과 연동되어 상기 배터리모듈의 전압값이 제2 설정전압 이상 제1 설정전압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1 냉각모듈과 상기 제2 냉각모듈과 상기 제3 냉각모듈 중 어느 둘만 구동되도록 상기 스위치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6) 상기 제어부는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배터리모듈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마이콤모듈은 상기 전압감지유닛과 연동되어 상기 배터리모듈의 전압값이 제3 설정전압 이상 제2 설정전압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1 냉각모듈과 상기 제2 냉각모듈, 상기 제3 냉각모듈 중 어느 하나만 구동되도록 상기 스위치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7)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배터리모듈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마이콤모듈은 상기 전압감지유닛과 연동되어 상기 배터리모듈의 전압값이 제3 설정전압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1 냉각모듈과 상기 제2 냉각모듈과 상기 제3 냉각모듈 중 어느 하나도 구동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8) 상기 마이콤모듈은 상기 상용전원연결모듈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상용전원연결모듈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냉각모듈과 상기 제2 냉각모듈, 상기 제3 냉각모듈이 함께 구동되도록 상기 스위치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9) 상기 마이콤모듈은 상기 상용전원연결모듈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상용전원연결모듈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냉각모듈과 상기 제2 냉각모듈, 상기 제3 냉각모듈이 함께 구동되도록 상기 스위치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10) 상기 마이콤모듈은 상기 상용전원연결모듈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상용전원연결모듈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냉각모듈과 상기 제2 냉각모듈과 상기 제3 냉각모듈이 함께 구동되도록 상기 스위치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의 냉동시스템은 냉동탑차의 냉동시스템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여 측정된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기록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실시예의 냉동시스템은 다수의 상이한 냉동탑차 또는 냉동시스템 별로 고유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운전자가 특정 냉동탑차 또는 냉동시스템에 근접 위치하면 해당 냉동탑차 등의 위치와, 내부 온도를 포함한 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 등으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냉동온도값을 표시하고, 저온, 빙온, 냉동 상태를 포함하는 온도 상태를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냉동습도값을 표시하고, 습도값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냉동탑차 또는 냉동시스템 별 표준 온도값과, 표준 습도값을 저장하고 있다가 지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서 일정 시간동안 유지될 경우, 해당 냉동탑차 등의 고유번호와 상태 현황을 진동 및 알람 방식, 알림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알려주는 알림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GPS에 의해 위치값을 생성하고, 냉동탑차 등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획화된 영역에 설치된 전체 냉동탑차 등의 배치도를 생성한다. 그리고, 특정 일자에 어떤 운전자가 방문을 하였고, 해당 업무를 할당받은 운전자가 냉동탑차의 현재 냉동온도 및 습도 상황을 체크하였는 지를 기록하기 위하여 담당 운전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관리자 단말기와 연동되어 해당 차량에 승선한 운전자의 아이디, 운전자의 이름, 직책 등 운전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고유번호를 통해 인식된 냉동탑차의 고유 번호를 저장한다. 이에 더하여 운전자와 냉동탑차 등의 데이터를 조합하여 매칭하면 어떤 운전자가 컨테이너를 모니터링하였는지의 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차량 운전자가 소지한 관리자 단말기와 연동되어 냉동온도나 냉동습도 등의 상태 현황에 대한 정보가 저장, 관리되므로 냉동시스템을 갖춘 냉동탑차의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참고적으로, 이를 위한 구성은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냉동탑차에 승선한 운전자가 각 냉동탑차 또는 냉동시스템 별로 이동하며 관리할 수 있도록 휴대가 가능한 관리자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기기를 사용하여, 이를 통해 운전자가 특정 냉동탑차에 도달하여 위치하면 시스템적으로 해당 냉동탑차 등의 냉동온도, 냉동습도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가 화면에 생성된다. 그리고, 이것이 누적되어 데이터가 축적되므로 냉동온습도 이력 데이터등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GPS등의 수단을 통하여 배송차량과 배송구간의 실시간위치의 확인도 역시 가능한 것이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및 CDMA-2000폰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콜드체인 관리가 가능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거나 기존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부가하여, 이러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은 크게 냉동시스템과, 중앙관제센터,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냉동시스템은 냉동탑차의 일측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해당되는 냉동탑차 등에 도달하면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관리자 단말기와 무선통신한다. 그리고, 해당 냉동탑차 등의 냉동온도 및 냉동습도를 포함하는 냉동탑차의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관리자 단말기가 접근하면 상기 냉동탑차 등이 이를 인식하도록 내부에 센서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냉동시스템 또는 냉동탑차는 각기 고유번호가 부여되며, 상기 고유번호는 특수차량(차량 등록지 등) 또는 냉동시스템의 주소값으로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시스템은 무선통신망이 단절되는 음영지역의 상태에서도 냉동탑차 등의 내부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가능하므로 음영지역에서 벗어나 재접속 상태가 되면 무선센서 내부의 플래쉬메모리에 실시간으로 저장된 온도내부 온도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운송중인 내부의 내용물에 대한 전체적인 온도변화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따라서, 중앙관제센터는 냉동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면 해당 냉동시스템의 고유번호(예컨대, 고유ID)를 통해 어느 냉동탑차 등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인지를 파악할 수 있고, 해당 냉동탑차 별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관리지 단말기에는 운전자가 냉동탑차 등의 위치에 도달하면, 냉동시스템으로부터 냉동탑차 등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냉동온도값과 냉동습도값에 따른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모니터링한 일자, 냉동탑차 등의 상황 등을 입력하고 체크하며, 냉동온도 및 냉동습도 조정이 필요한냉동탑차 등을 확인하여 관리자 단말기를 작동, 조작하여 냉동온도 또는 냉동습도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100 :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110 : 냉각부 120 : 온도센서
130 : 릴레이모듈 140 : PLC 컨트롤러

Claims (10)

  1. 냉동탑차 엔진의 자체 구동전원으로 냉동탑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엔진에서 냉각부로의 구동전원과, 서브 전원용 배터리모듈에서 냉각부로의 구동전원을 각기 단속하는 릴레이모듈; 및
    상기 감지된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미리 등록된 중앙관제센터와의 GPS통신에 의해 자체적으로 알림하고, 해당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모듈의 단속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를 모니터링하는 PLC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PLC 컨트롤러는
    상기 릴레이모듈에 의한 각 구동전원을 냉각부로 공급하는 전원 모듈;
    다른 제어유닛과의 통신을 위한 시리얼 통신 모듈;
    상기 온도센서에 의한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포함한 아날로그 정보를 통합적으로 입력받는 A/I 모듈;
    각 아날로그 정보를 해당 기기에 통합적으로 출력하는 A/O 모듈;
    디지털센서에 의한 디지털 정보를 통합적으로 입력받는 D/I 모듈;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의한 제어신호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상기 릴레이모듈을 포함한 해당 기기에 통합적으로 출력하는 D/O 모듈;
    상기 A/I 모듈에 의한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포함한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서 통합적으로 변환하는 A/D 모듈;
    각 디지털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서 통합적으로 변환하는 D/A 모듈;
    상기 A/D 모듈에 의한 냉각부의 냉동온도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GPS통신에 의해 자체적으로 송출하고, 해당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GPS 통신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CPU 모듈; 을 포함하는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PU 모듈은
    a) 상기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가 미리 설정된 위험냉동온도에 따른 제어신호인 경우, 상기 냉동탑차 엔진의 구동전원을 기본으로 상기 배터리모듈의 구동전원을 추가하여 상기 냉각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릴레이모듈의 단속 동작을 제어하고,
    b) 상기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가 미리 설정된 정상냉동온도에 따른 제어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냉동탑차 엔진의 구동전원만을 상기 냉각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릴레이모듈의 단속 동작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PS 통신 모듈은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냉각부의 냉동온도가 미리 설정된 저임계냉동온도보다 이하로 된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고임계냉동온도보다 이상으로 된 경우,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GPS통신에 의해 자체적으로 알람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GPS 통신 모듈은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이해 상기 전압센서에 의한 배터리모듈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전압보다 이하로 된 경우, 상기 중앙관제센터로 GPS통신에 의해 자체적으로 알람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PS 통신 모듈은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한 TTS엔진을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냉각부의 냉동온도가 미리 설정된 저임계냉동온도보다 이하로 된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고임계냉동온도보다 이상으로 된 경우 음성 알람을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PS 통신 모듈은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냉동온도 감시와 관련된 외부 음성을 자체적으로 입력받아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하고 오디오 출력을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PS 통신 모듈은
    상기 CPU 모듈에 의한 IoT 모듈을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감지된 냉각부의 냉동온도를 미리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 IoT에 의해 송출하고, 해당 관리자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모듈의 단속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GPS 통신 모듈은
    상기 CPU 모듈에 의한 IoT 모듈을 통해 상기 냉각부의 냉동온도가 미리 설정된 저임계냉동온도보다 이하로 된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고임계냉동온도보다 이상으로 된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자체적으로 알람을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GPS 통신 모듈은
    상기 CPU 모듈에 의한 IoT 모듈을 통해 상기 전압센서에 의한 배터리모듈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전압보다 이하로 된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자체적으로 알람을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PU 모듈은
    a) 현재 냉동온도와 피드백된 원래 중앙관제센터 제어신호의 오차가 0이 되도록 하기의 [식 1]에 따른 PID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목표값을 직접적으로 산출하고,
    [식 1]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u(n)은 현재의 제어 입력이고, u(n-1)은 1차 샘플링 시간 전의 제어 입력, e(n)은 현재의 오차, e(n-1)은 1차 샘플링 시간 전의 오차, e(n-2)는 2차 샘플링 시간 전의 오차, K0과 K1, K2는 e(n)과 e(n-1), e(n-2)의 이득)
    b) 상기 산출된 목표값에 따라 상기 릴레이모듈의 단속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냉동탑차의 냉동온도를 직접적으로 자체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KR1020200107629A 2020-08-26 2020-08-26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KR102403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629A KR102403755B1 (ko) 2020-08-26 2020-08-26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629A KR102403755B1 (ko) 2020-08-26 2020-08-26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739A true KR20220026739A (ko) 2022-03-07
KR102403755B1 KR102403755B1 (ko) 2022-05-30

Family

ID=8081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629A KR102403755B1 (ko) 2020-08-26 2020-08-26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7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949B1 (ko) * 2013-02-28 2014-06-13 주식회사 이에스티 냉동차용 냉동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1802B1 (ko) * 2016-12-20 2018-06-29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어플을 이용한 냉동탑차의 냉동기 제어 시스템
KR101945399B1 (ko) * 2018-10-04 2019-02-08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냉동차용 냉동 시스템
KR102131722B1 (ko) * 2020-03-27 2020-07-08 정병석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949B1 (ko) * 2013-02-28 2014-06-13 주식회사 이에스티 냉동차용 냉동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1802B1 (ko) * 2016-12-20 2018-06-29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어플을 이용한 냉동탑차의 냉동기 제어 시스템
KR101945399B1 (ko) * 2018-10-04 2019-02-08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냉동차용 냉동 시스템
KR102131722B1 (ko) * 2020-03-27 2020-07-08 정병석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755B1 (ko) 202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251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rving the life of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power source
US2018035687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power supply for a container
US9555772B2 (en) Embedded security system for environment-controlled transportation containers and method for detecting a security risk for environment-controlled transportation containers
EP1226394B1 (en) A refrigerated container control system
KR101201550B1 (ko) 냉동탑차 적재함 제어시스템
US20130298575A1 (en) Remote monitoring of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KR20200061881A (ko) 냉장 냉동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 탑재 특수차량용 통합 관제시스템
JP6004584B2 (ja) 無線lanを利用した冷蔵・冷凍車の配送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配送管理方法
KR102403755B1 (ko)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KR102381249B1 (ko)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US11993452B2 (en) Enclosure with UWB sensor
KR101861802B1 (ko) 사용자 단말의 어플을 이용한 냉동탑차의 냉동기 제어 시스템
KR102403751B1 (ko)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
CN113562310A (zh) 一种冷链物流保冷箱及其保冷方法
KR20220135377A (ko) 냉동 탑차 시스템
CN112622572A (zh) 温度控制方法、装置及冷链车
JP2003130520A (ja) 冷凍コンテナ遠隔監視システム
JP3148813U (ja) 貨物自動車の運行管理システム
JPH0750882A (ja) 冷凍コンテナの遠隔監視装置
JP7374412B2 (ja) コールドチェーンシステム及びコールドチェーンシステムに於ける保冷庫の冷気環境状態報知方法
KR102534403B1 (ko)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
KR102403749B1 (ko)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
JPH06100031A (ja) 定温保存物の管理輸送方法
KR102381234B1 (ko)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CN114675604A (zh) 冷链物流控制装置、冷链物流监控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