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403B1 -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403B1
KR102534403B1 KR1020220090183A KR20220090183A KR102534403B1 KR 102534403 B1 KR102534403 B1 KR 102534403B1 KR 1020220090183 A KR1020220090183 A KR 1020220090183A KR 20220090183 A KR20220090183 A KR 20220090183A KR 102534403 B1 KR102534403 B1 KR 102534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rging
freezing
application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드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드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드맵
Priority to KR1020220090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14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for load cargos on load transpor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conom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을 이용한 트럭용 냉장 냉동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트럭 내에 결합되어 냉매를 이용하여 내부를 냉장 및 냉동시키는 냉동부와 상기 냉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와 상기 냉동부 및 상기 충전부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냉동부의 내부 온도 및 동작 이상 유무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충전부의 상태 정보에 따른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냉동부의 내부온도 정보와 상태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어플로부터 온도 설정 및 상태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냉동부 별로 고유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운전자가 특정 냉동부에 위치하면 해당 냉동부의 위치, 내부 온도를 포함한 냉동부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관리서버와 무선 통신하며, 상기 냉동부를 제어 및 모니터링을 하는 어플이 형성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 {Control system for refrigeration freezing truck us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운전자의 스마트폰에 관련 어플을 다운로드하여 트럭 내의 온도 등을 제어할수 있는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냉동부를 구비하는 냉동탑차 등과 같은 특수차량은 각종 냉동 식품이나 저온 식품 등 상온에서 보관하거나 운 반할 수 없는 저온 식,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차량 적재부에 함체상의 운반고를 형성하고 그 차 량의 헤드 측 또는 운반고 상부 일측에 냉각장치를 부설하여 상기 냉각장치의 증발기를 통해 그 운반고의 내부 온도가 저온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냉동탑차는 수산물 등과 같은 식품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저온 상태를 늘 유지하여 상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탑차나 트럭 등을 이용한 냉동차량은, 냉동/냉장 식품을 운반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단열 처리된 차량의 적재부에는 냉동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운반 또는 보관하는데 이용된다.
특히, 냉동 탑차 또는 냉동 냉장 트럭 등에 관련 냉장기기를 설치하기 위하여 운전석 옆에 컨트롤러를 갖추어야 하므로 이에 알맞는 배선작업 등이 필요하여 설치의 곤란함이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은 주지의 현실이다.
따라서, 최근의 스마트폰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데, 스마트폰에 관련 어플을 다운로드하여, 이를 통하여 트럭 등에 설치된 냉장 냉동시스템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꾸준히 있어 왔다.
더 나아가, 충전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 과부하로 인한 화재발생도 빈번하게 일어나는데, 이에 대한 대책도 요구되어 오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21-0035675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21-0027612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9-005608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어플을 이용하여 와이파이를 작동시켜 냉동기를 제어할수 있는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대중화된 스마트폰의 어플을 이용하므로, 배선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특별한 유지 및 보수가 필요없는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어플을 통하여 기능의 확장,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은 물론, 서버와의 통신을 통한 통합관제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플을 이용한 트럭용 냉장 냉동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트럭 내에 결합되어 냉매를 이용하여 내부를 냉장 및 냉동시키는 냉동부와 상기 냉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와 상기 냉동부 및 상기 충전부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냉동부의 내부 온도 및 동작 이상 유무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충전부의 상태 정보에 따른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냉동부의 내부온도 정보와 상태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어플로부터 온도 설정 및 상태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냉동부 별로 고유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운전자가 특정 냉동부에 위치하면 해당 냉동부의 위치, 내부 온도를 포함한 냉동부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관리서버와 무선 통신하며, 상기 냉동부를 제어 및 모니터링을 하는 어플이 형성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럭 등과 같은 냉장 냉동 차량에 관련 배선 작업이 필요없으며, 차량의 배터리 등을 이용하여 수시로 충전도 역시 가능한 스마트폰의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충전부의 배터리를 충전을 하는 도중에 일어날 수 있는 과부하로 인한 화재 등도 모니터링할 수 있어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충전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에 구현되는 모듈의 구성도.
도 4 ~ 도 7은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에 나타나는 화면의 사진.
도 8은 냉동부에 충전부를 구동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9는 중앙처리장치의 블록도.
도 10은 관리장치의 구성도.
도 11은 관리장치를 이용하여 충전부의 화재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의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가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의미하는 것임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트럭 내에 결합되어 냉매를 이용하여 내부를 냉장 및 냉동시키는 냉동부와 상기 냉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와 상기 냉동부 및 상기 충전부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냉동부의 내부 온도 및 동작 이상 유무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충전부의 상태 정보에 따른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냉동부의 내부온도 정보와 상태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어플로부터 온도 설정 및 상태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냉동부 별로 고유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운전자가 특정 냉동부에 위치하면 해당 냉동부의 위치, 내부 온도를 포함한 냉동부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관리서버와 무선 통신하며, 상기 냉동부를 제어 및 모니터링을 하는 어플이 형성된 사용자 단말기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충전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에 구현되는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4는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 ~ 도 7은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에 나타나는 화면의 사진이고, 도 8은 냉동부에 충전부를 구동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9는 중앙처리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10은 관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11은 관리장치를 이용하여 충전부의 화재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로 한다.
식품 등을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냉동이나 냉장을 하는 일종의 기계장비인 냉동부(50)가 구비된 탑차 형태의 트럭(미도시) 등과 같은 특수 차량에 승선한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 이동하며 관리할 수 있도록 휴대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30)가 형성되어 있다.
특수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해당 냉동부(50)가 임의의 지역에 도달하여 위치하면 자동으로 상기 해당 냉동부(50)의 온도, 습도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30)의 어플(A)을 통한 화면에 분명히 생성되며, 이러한 관련 데이터가 축적되므로 온, 습도 이력 데이터 등을 더욱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30)는 상기 냉동부(50)를 제어 및 모니터링을 하는 어플(A)이 다운로드되어 구비된 것이 특징이며, 후술할 관리서버(40)와도 무선 통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한 GPS 등의 수단을 통하여 배송차량과 배송구간의 실시간 위치의 확인도 역시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의 예로서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셀룰러폰, PCS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등이 가능하며,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전용 어플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거나 기존에 내장된 어플을 구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은 크게 중앙처리장치(10), 통신부(20), 사용자 단말기(30), 관리서버(40), 냉동부(50)및 충전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냉장 냉동용 트럭(미도시)에는 냉동부(50)가 형성되는데, 상기 냉동부(50)는 컨테이너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냉동부(50)는 상기 트럭 내에 결합되어 냉매를 이용하여 전기 압축기(31)를 통한 압축, 응측기(32)를 통한 응축,팽창밸브(미도시)를 통한 팽창, 증발기(33)의 증발의 순환 작용을 통하여 냉동부(50)를 냉장 및 냉동시키는 공지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냉동부(50)가 항상 냉장 및 냉동 상태를 유지하여 원활한 작동을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70)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대로, 상기 충전부(70)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배터리팩 모듈(71), 고전압 입출력단(72), 충전포트(73), BMS(74: Battery Manangement System, 배터리 관리 시스템), 통신제어기(75), 컨트롤러(76)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터리 팩 모듈(71)은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다수개의 배터리셀로 구성된 모듈형태인 것이다. 상기 배터리 팩 모듈(71)의 배터리 셀은 각각에 대응하는 전원라인에 직병렬로 연결되어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전지일 수 있다.
고전압 입출력단(72)은 상기 배터리팩 모듈(71)의 입 출력단에 연결되어, 배터리팩 모듈(71)에 충전된 전류가 냉동부(50)의 냉동 및 냉장의 작동을 위한 장치들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배터리팩 모듈(71)의 충전을 위한 전류가 상기 배터리팩 모듈(71)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충전포트(73)는 상기 고전압 입출력단(72)과 연결되며, 외부에 있는 충전기(79)를 통하여 고전압을 상기 배터리팩 모듈(71)로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 건(미도시)과 연결되는 것이다.
BMS(74)는 배터리팩 모듈(71)의 배터리 셀들의 충전량을 모니터링하고, 배터리를 충전할 때, 다수의 배터리 셀들의 셀 밸런싱(배터리 내부에 존재하는 셀들을 균등 충전시켜,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수명연장)을 수행하며, 상기 배터리 셀들의 충전과 방전을 관리한다.
통신제어기(75)는 상기 BMS(74)와 상기 충전포트(73)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충전포트(73)를 통해서 연결되는 외부 충전기(79)와 통신을 통하여 상기 충전건(미도시)의 연결여부 및 충전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컨트롤러(76)는 상기 BMS(74)와 연결되어 상기 BMS(74)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팩의 상태 정보, 충전건의 정상 연결여부 및 충전 진행여부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배터리팩의 충전을 위한 배터리팩 온, 오프 제어신호를 상기 BMS(74)로 전달한다.
충전 건이 충전포트(73)로 연결되면, 통신제어기(75)에서 이를 확인하여 BMS(74)로 연결정보를 전달하며, 컨트롤러(76)는 상기 BMS(74)로부터 충전건의 연결정보를 전달받아 충전준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수 있다.
충전 건이 충전포트(73)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 셀 모듈(71)의 충전준비가 완료되며, 컨트롤러(76)는 배터리팩 온(ON) 제어신호를 BMS(74)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충전 건을 통하여 전력이 충전되는 짧은 순간동안 일시적으로 배터리팩을 OFF시키고, 상기 충전건이 정상적으로 충전포트(73)에 연결된 후에는 배터리팩을 다시 ON 시킴으로서, 배터리팩이 충전 중에도 냉동부(5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충전과 동시에 상기 냉동부(50)를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입력부(도시하지 않음)는 사용자로부터 배터리팩 충전을 위한 각종 명령을 입력받는 수단으로 키패드, 터치패트, 터치스크린 또는 음성입력부 등이 해당된다.
표시부(미도시)는 배터리팩의 충전 상태 및 충전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수단으로 디스플레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컨트롤러(76)는 배터리팩의 충전모드 개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서 냉동부(50)의 동작 여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 모듈(71)과 고전압 입출력단(72) 사이에는 릴레이 회로(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회로는 배터리팩으로 전류가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스위칭 동작을 통해서 배터리 셀 모듈(71)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차단하거나, 충전기(79)로부터 입력되는 충전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제어부(60)에서는 상기 설명한 충전부(7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냉동부(50)의 내부 온도 정보와 상태정보를 제어하는 신호도 생성한다.
중앙처리장치(10)는 냉동부(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해당되는 냉동부(50)에 도달하면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30)와 무선 통신하며, 해당 냉동부(50)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냉동부(50)의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 다운로드되어 있는 어플(A)로 전송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30)가 접근하면 상기 냉동부(50)가 이를 인식하도록 상기 냉동부(50)의 내부에는 센서(미도시)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냉동부(50) 별로 각각 고유번호를 가지며, 운전자가 특정 냉동부에 위치하면 해당하는 냉동부의 위치와 내부 온도를 포함한 냉동부(50)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서, 상기 통신부(20)로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통신부(20)는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냉동부(50)의 내부온도 정보와 상태 정보를 관리서버(40)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냉동부(50)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 센서(미도시), 습도 센서(미도시)와 온도값과 습도값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MCU 모듈(미도시), 산출한 온도값과 습도값을 관리서버(40) 등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리서버(40)는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면, 해당 중앙처리장치(10)의 고유번호(예, 고유ID)를 통해 어느 냉동부(5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인지를 파악할 수 있고, 해당하는 냉동부(50) 별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 단말기(30)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어떤 운전자가 냉동부(50)의 상태를 모니터링했는지 알 수 있다.
통신부(20)는 트럭 내에 위치하여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해당 냉동부의 위치를 비롯하여 온도, 습도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서버(4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
그러므로, 상기 통신부(20)에는 그때 그때 트럭 내부의 온도와 습도의 기록을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온도, 습도 데이터베이스(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30)에는 운전자가 냉동부(50)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통신부(20)로부터 상기 냉동부(50)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온도값과 습도값에 따른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전용 어플(A)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자신이 모니터링한 일자, 냉동부(50)의 상황 등을 입력하고 체크하며, 온도 및 습도 조정이 필요한 냉동부(50)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기(30)를 작동, 조작하여 온도 또는 습도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는 모니터링한 날짜 등을 관리서버(40)의 해당 운전자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40)는 이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상기 관리서버(40)는 냉동부(50)의 내부 온도 및 동작 이상 유무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충전부(70)의 BMS(74) 등의 상태 정보에 따른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40)는 상기 통신부(30)로부터 컨테이너의 위치 및 상태 정보(온도, 습도 등)를 일정 주기(예로, 1주일, 15일)로 전달받아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기(30)의 어플(A)에 구현되는 모듈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30)의 어플(A)에는 관리자 정보 입력 모듈(31), 온도 표시 및 설정 모듈(32), 습도 표시 및 설정 모듈(33), 알림 모듈(34), 컨테이너 위치 지도 생성 모듈(35), 및 모니터링 결과 입력 모듈(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관리자 정보 입력 모듈(31)은 운전자의 이름, 직급, 방문 일시 등을 포함하는 운전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로서, 특정일에 냉동부(50)를 운행 및 관리하는 운전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창을 생성한다.
상기 관리자 정보 입력 모듈(31)은 특정 일자에 어떤 운전자가 방문을 하였고, 해당 업무를 할당받은 운전자가 냉동부(50)의 현재 온도 및 습도 상황을 체크하였는 지를 기록하기 위하여 담당 운전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일자에 모니터링하는 운전자의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도록 한다.
온도 표시 및 설정 모듈(32)은 냉동부(50) 내부 온도값을 표시하고, 저온, 빙온, 냉동 상태를 포함하는 온도상태를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습도 표시 및 설정 모듈(33)은 냉동부 내부의 습도값을 표시하고, 습도값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독립된 측정 모듈 및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온도조작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알림 모듈(34)은 기 저장된 각 냉동부(50)의 표준 온도값과, 표준 습도값을 기 지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냉동부(50)의 고유번호와 해당 냉동부(50)의 상태 현황을 진동, 알람 방식 및 알림 메시지, 푸쉬 메세지, 카카오토크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통보한다.
트럭 위치 지도 생성 모듈(35)은 사용자 단말기(30)를 사용하여 GPS에 의한 위치값을 생성하고, 중앙처리장치(10)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획화된 영역에 설치된 전체 컨테이너의 배치도를 생성한다. 그러므로, 현재 배송하고 있는 구간의 실시간 위치의 현황과 분석 그리고, 정확한 확인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운행기록의 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냉동부(50)를 갖춘 트럭이 자주 이동하는 위치 등을 분석하여 데이터의 정확도 향상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관리서버(40)는 운전자 데이터베이스(도시는 생략)와 냉동부 데이터베이스(도시는 생략)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운전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와 연동되어 해당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아이디, 운전자의 이름, 직책 등 운전자의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냉동부 데이터베이스는 중앙처리장치(10)의 고유번호를 통해 인식된 냉동부의 고유번호를 저장한다. 따라서, 냉동부(50)의 온, 습도 이력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기록되는 것이다.
상기 운전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냉동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조합하여 매칭하면 어느 운전자가 냉동부(50)를 모니터링하였는지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어플(A)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관리서버(40)는 운전자 아이디와, 냉동부(50)의 고유 아이디, 해당 운전자가 냉동부(50)를 모니터링한 방문일시와, 상기 냉동부(50)의 상태 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저장하여 중앙처리장치(10)로 전송하여 일괄적으로 관리 및 운용하는 데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어플(A)에 대한 구성과 작동에 관한 설명을 도면을 첨부하여 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을 보면, 트럭 운전자 등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어플(A)을 실행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A-1)에서는 화면 및 입력 모드의 설정 및 기능 제어 조작을 지원하며, 제어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A-1)의 양측에는 입력모드의 설정 및 기능 조작을 위한 전환 버튼을 포함한 동일한 간격의 버튼(도면부호는 생략)이 출력되는 버튼 출력창(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버튼은 트럭에 적재된 냉동부(50)의 상태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어플(A)의 버튼을 터치하면 해당하는 기능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어플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상기 버튼의 터치에 따라 상기 화면에 상기 해당 기능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통신부(20)는 어플(A)로부터 온도 설정 및 상태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냉동부(50)를 충전부(70)를 구동하여 배터리 충전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8은 배터리의 충전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배터리팩이 ON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00), 배터리팩이 Off 상태인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충전을 진행(S113)하여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절차를 종료한다(S115). 그러나, 배터리팩이 ON 상태일 때는 컨트롤러(76)의 충전 버튼(미도시)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배터리팩의 충전모드 진입을 수신한다(S101).
이후, 냉동부(50)의 가동 여부 등을 판단하고(S103), 상기 S103 단계에서 판단결과 냉동부(50)이 가동 중인 경우에는 배터리팩의 충전이 불가능하므로 냉동부(50) 등의 가동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킨다(S105).
냉동부(50)의 가동이 안정적으로 중단되면, 컨트롤러(76)는 BMS_Enable 또는 BMS_Ignition 신호를 차단하여 배터리팩의 고압출력을 차단(off)시킨다(S107).
배터리팩이 OFF 되면, 배터리팩을 리셋시킨다(S109). 따라서, 리셋되는 액션으로 인하여 기존의 충전방식인 별도 충전모드를 실행함이 없이 자동으로 전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통신제어기(75)는 충전포트(73)를 통해서 연결되는 충전기(70)와 통신을 통해 충전 건 연결여부 및 충전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BMS(74)로 전달하며, 컨트롤러(76)는 BMS(74)를 통해서 통신제어기(50)에서 전달된 충전 건의 연결여부 및 충전 진행 여부 정보를 전달받고, 배터리팩의 충전을 위한 배터리팩 ON/OFF 제어신호를 BMS(74)로 전달하여 고압출력을 한다(S 111).
다음으로, 충전기(70)는 충전 건을 통하여 BMS_Enable 또는 BMS_Ignition 신호를 배터리팩에 공급하여 배터리팩을 ON 시키면서, 배터리팩의 충전이 진행된다(S113).
이때, 컨트롤러(76)는 BMS_Enable 또는 BMS_Ignition 신호를 충전부(70)와 함께 배터리팩에 다시 공급하여 충전이 완료되어 배터리팩이 OFF 되면서, 냉동부(50)가 멈추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충전이 시작되고 충전 이전에 이미 냉동부(50)가 가동 중이었다면 상기 냉동부(50)의 가동을 다시 재개하는 명령을 전달하여(S114), 배터리팩의 충전과 함께 상기 냉동부(50)를 재가동시킴으로서 보관 온도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배터리팩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배터리팩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모드를 종료한다(S115).
만약, 상기 S103 단계에서 냉동부(50)의 가동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냉동부(50)가 가동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배터리팩의 고압 출력을 차단하고(S106), 배터리팩의 리셋을 실행하여(S108), 충전건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정상적으로 연결된 경우 충전을 진행하여 종료한다(S113, S115).
이하에서는,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의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의 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중앙처리장치(10)를 감시카메라(C)와 연결하여, 배터리 셀 모듈(71)가 내장되어 있는 충전부(90)를 모니터링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중앙처리장치(10)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감시카메라(C)와 연결되어, 상기 감시카메라(C)가 촬영한 촬영 영상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감시카메라(C)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부(90) 주변의 상태를 실시간 촬영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감시카메라(C)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I/F부(11)와 상기 감시카메라(C)로부터 감시 영상을 제공을 받아 영상객체를 인식하여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12)와 상기 메인 제어부(12)로부터 영상 객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와 상기 메인 제어부(12) 관리자의 설정명령을 입력받는 키신호 입력부(14) 및 상기 메인 제어부(12)로부터 감시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15)를 포함한다.
상기 감시카메라(C)는 내부에 데이터 학습부(미도시) 및 데이터 분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학습부는 딥-러닝 프레임 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과 같은 신경망 알고리즘,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와 같은 비전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는 오브젝트/패턴 인지, 오브젝트들의 유사도 검사 등의 다양한 영상 분석 기준들을 학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학습부는 영상 분석을 위하여 어떤 데이터를 이용할지에 관한 기준들을 학습하고 추론(inferencing)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학습부는 학습에 이용될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데이터 분석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영상 분석을 위한 기준을 학습해 나갈 수 있다.
상기 감시카메라(C)의 데이터 분석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입력된 영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학습된 데이터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학습에 의해 설정된 기준들에 따라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하는 데이터 분석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영상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에 따른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의 결과정보는 데이터 분석 모델을 업데이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I/F부(11)는 영상촬영장치인 감시카메라(C)와 감시영상 등의 정보를 송수신하여 이를 메인 제어부(12)로 전송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12)는 상기 감시카메라(C)로부터 감시 영상을 제공받아서, 현재 실시간으로의 감시 영상을 통한 이상상황을 인식하게 된다.
그 다음, 메인 제어부(12)는 이러한 인식 결과에 따라 이상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해당하는 감시카메라(C)의 동작을 예를 들어, 영상 확대 및 줌-인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감시카메라(C)의 렌즈를 팬, 틸트 및 줌 기능을 통해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에도 전송하여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3)는 상기 감시카메라(C)와 외부 연계 기관의 등록정보 등을 등록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연계 기관의 종류로는 긴급시 연락할 관공서가 이에 해당하며, 관할 경찰서 정보처리장치, 긴급구조기관 정보처리장치, 소방서 정보처리장치 등이 해당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13)는 충전장치(90)에 형성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인 BMS(74)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BMS(74)는 화재 등이 발생시, 사용자 단말기(30)에 알람을 제공하며, 화재 등의 발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를 비롯하여, 팝업 메시지나 경보 등의 형태로도 전송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BMS(74)는 화재 발생시, 해당 시점에 수집된 센싱데이터는 타임스탬프(timestamp) 정보를 기반으로 과거 특정 시점 구간 사이의 센싱데이터와 함께 상기 데이터 베이스(13)에 임시로 저장하여 관리하고, 추후 발생된 화재의 발생 위치나 책임 소재를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충전부(90) 주변의 화재 등과 같은 이상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서술한 외부 연계 기관에 자동 통보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즉,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조 또는 증상을 즉각적으로 감지, 관련 기관에 통보, 전달하는 것이다.
키 신호입력부(14)는 중앙처리장치(10)를 통하여 직접 입력하는 것으로, 임의의 상태 예를 들어, 사용을 안할 경우 오프 상태로 설정하기도 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메인 제어부(12)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표시부(15)는 충전부(90) 주변의 현재 상황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키 신호입력부(14)의 조작으로 입력한 내용이 화면(미도시)에 표시되어 출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술할 화재감지부(미도시)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재상황을 표시하여 주는 것이다.
상기 화재감지부는 충전부(90)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0)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화재감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충전부(90)에 있는 배터리 셀(71)의 과부하 등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모니터링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화재를 사전에 진압을 할수 있으므로, 자칫 큰 화재로 번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관리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관리장치(10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중앙처리장치(10)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관리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감시카메라(C)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전송받아 이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하여 수시로 모니터링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경보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하여 표시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보부(120)에 의하여 안내되는 방식은 음성 안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경고음이나 부저 등의 소리를 제공하는 것도 당연히 포함된다.
그리고, 제2 제어부(130)는 관리장치(100)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제어를 하는 것으로, 이를 테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와 상기 경보부(120)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함으로서, 시각과 청각을 통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입력부(140)의 터치스크린(T)의 조작을 통한 전체적인 제어 등을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T)은 키오스크의 형태로도 구성과 설계가 가능한 것이다.
즉, 관리장치(100)의 입력부(140) 표면에는 터치스크린(T)이 형성되어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근무상황, 현재 상태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관리장치(100)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10)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먼저, 관리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를 이용하여 감시부(93)에 형성된 감시카메라(C)에 의하여 촬영되는 개인용 이동장치(10)가 거치 및 충전되고 있는 거치대(20) 주변의 일정 영역의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한다(제1단계).
다음으로, 화재감지부(미도시)와 연동하여 충전부(90) 등의 화재 등의 특이사항이 있을 경우, 경보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하여 표시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이다(제2단계).
따라서, 상기 특이 사항이 화재일 경우에는 경보, 또는 일정한 녹음 음성 등으로 표현하는 방식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와 상기 경보부(120)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함으로서, 시각과 청각을 통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만일, 화재 등과 같은 특이사항이 벌어졌을 경우에는, 상기 경보부(120)에서 소방서 등과 같은 외부 연계기관에 통보하여 주는 것이다(제3단계). 상기 외부 연계 기관의 종류로는 긴급시 연락할 관공서가 이에 해당하며, 관할 경찰서 정보처리장치, 긴급구조기관 정보처리장치, 소방서 정보처리장치 등이 해당된다.
그 다음에, 관리장치(100)의 입력부(140)에 터치스크린(T)이 형성되어 관리자 또는 근무자가 현재의 상태(특이 동향이 잇을 경우, 일어난 날짜와 시각, 조치 또는 해결여부 등을 기록)를 기록한 근무현황 등을 입력할 수 있다(제4단계).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100)를 이용한 화재감지 등의 모니터링 기능도 있으므로, 요즘 크게 부각되고 있는 전기 충전 배터리를 이용한 충전장치의 화재 발생도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술한 실시 예는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중앙처리장치 11 : I/F부
12 : 메인 제어부 13 : 데이터 베이스
14 : 키신호 입력부 15 : 표시부
C : 감시카메라 20 : 통신부
30 : 사용자 단말기 40 : 관리서버
50 : 냉동부 60 : 제어부
70 : 충전부 71 : 배터리셀 모듈
72 : 고전압 입출력단 73 : 충전포트
74 : BMS 75 : 통신제어기
76 : 컨트롤러 79 : 충전기
A : 어플 A -1 : 디스플레이부
100 : 관리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경보부 130 : 제2 제어부
140 : 입력부 T : 터치스크린

Claims (5)

  1.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트럭 내에 결합되어 냉매를 이용하여 내부를 냉장 및 냉동시키는 냉동부;
    상기 냉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
    상기 냉동부 및 상기 충전부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냉동부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트럭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
    상기 냉동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트럭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며, 상기 냉동부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상기 냉동부의 상태 정보를 상기 어플로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냉동부의 내부 온도 및 동작 이상 유무의 상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관리서버;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냉동부의 내부온도 정보와 상태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어플로부터 온도 설정 및 상태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관리서버와 무선 통신하며, 상기 냉동부를 제어 및 모니터링을 하는 어플이 형성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팩;
    상기 배터리팩의 입출력단에 연결되어, 배터리팩에 충전된 전류가 냉동·냉장시스템 구동을 위한 장치들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배터리팩의 충전을 위한 전류가 상기 배터리팩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고전압 입출력단;
    상기 고전압 입출력단과 연결되며, 외부 충전기를 통하여 고전압을 상기 배터리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기의 충전건이 연결되는 충전포트;
    상기 배터리팩의 상기 배터리 셀들의 충전량을 모니터링하고, 배터리 충전시 다수의 배터리 셀들의 셀밸런싱을 수행하며, 상기 배터리 셀들의 충전과 방전을 관리하는 BMS;
    상기 BMS과 상기 충전포트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충전포트를 통해서 연결되는 충전기와 통신을 통해 충전건 연결여부 및 충전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제어기; 및
    상기 BMS과 연결되어 상기 BMS을 통해서 상기 배터리팩의 상태 정보, 충전건 연결여부 및 충전 진행여부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배터리팩의 충전을 위한 배터리팩 온 오프 제어신호를 상기 BMS으로 전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냉동부는 고유번호가 부여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냉동부 별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운전자 데이터베이스와 냉동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어 해당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아이디, 이름, 직책을 저장하며,
    상기 냉동부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고유번호를 통해 인식된 냉동부의 고유번호를 저장하여 상기 냉동부의 온도, 습도 이력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관리서버는 운전자 아이디와, 냉동부의 고유 아이디, 상기 운전자가 상기 냉동부를 모니터링한 일시와, 상기 냉동부의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저장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은
    입력 모드의 설정 및 기능 제어 조작을 지원하며, 제어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냉동부의 상태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가 터치하면 해당하는 기능이 동작하도록 하는 버튼;
    상기 버튼의 터치에 따라 화면에 상기 해당 기능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어플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측에는 화면 및 입력모드의 설정 및 기능 조작을 위한 설정버튼, 전환 버튼을 포함한 버튼이 동일 간격으로 출력되는 버튼 출력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

KR1020220090183A 2022-07-21 2022-07-21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 KR102534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183A KR102534403B1 (ko) 2022-07-21 2022-07-21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183A KR102534403B1 (ko) 2022-07-21 2022-07-21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403B1 true KR102534403B1 (ko) 2023-05-26

Family

ID=8653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183A KR102534403B1 (ko) 2022-07-21 2022-07-21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4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802B1 (ko) * 2016-12-20 2018-06-29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어플을 이용한 냉동탑차의 냉동기 제어 시스템
KR20190056081A (ko) 2017-11-16 2019-05-24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배터리 전력 공급에 의한 차량용 냉동 시스템
KR20210027612A (ko) 2019-08-29 2021-03-11 (주)제인모터스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
KR20210035675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바이오포아 뉴캐슬병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고역가 조류메타뉴모바이러스 백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802B1 (ko) * 2016-12-20 2018-06-29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어플을 이용한 냉동탑차의 냉동기 제어 시스템
KR20190056081A (ko) 2017-11-16 2019-05-24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배터리 전력 공급에 의한 차량용 냉동 시스템
KR20210027612A (ko) 2019-08-29 2021-03-11 (주)제인모터스 독립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냉장 및 냉동 시스템
KR20210035675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바이오포아 뉴캐슬병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고역가 조류메타뉴모바이러스 백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0252B1 (en) Aircraft container tracking device
US7109875B2 (en) Sensor network system managing method, sensor network system managing program, storage medium containing sensor network system managing program, sensor network system managing device, relay network managing method, relay network managing program, storage medium containing relay network managing program, and relay network managing device
US11594123B2 (en) Method for using a drone to test monitoring system sensors
CN102687039B (zh) 无线跟踪和监视电子封条
US20170144562A1 (en) Wireless Batter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20160366372A1 (en) Mobile body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body
US6529133B2 (en) Repository and monitoring system therefor
US11374418B2 (en) Multi-battery analyzing server based on an integrated battery
US9131286B2 (en)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KR20200061881A (ko) 냉장 냉동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 탑재 특수차량용 통합 관제시스템
JP2002039659A (ja) 運行・温度管理システム
JP2001213503A (ja) 物流管理システム
KR102534403B1 (ko) 어플을 이용한 냉장 냉동 트럭용 제어시스템
CN109460083B (zh) 一种保温箱无线监测系统及方法
US8866909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surveillance of an aircraft
JP2002142244A (ja) 通信基地局のサービス巡回経路提供システム、通信基地局のサービス巡回経路提供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4317034A1 (en) Battery movement detection device and battery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same
KR101550035B1 (ko) 냉동컨테이너 id 자동 등록 기능을 갖는 냉동컨테이너 제어 장비 및 방법
CN113643508B (zh) 防灾紧急通道监控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JP2020125897A (ja) 冷蔵庫・冷凍庫デジタル監視・警報システム
US11393307B2 (en) Integrated battery monitoring circuit
US10609346B2 (en) Method of starting information-capturing device
CN105953518A (zh) 电冰箱
JP2003322459A (ja) 物流サイクルにおける保冷庫及びその情報の管理システム
KR102403755B1 (ko)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