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722B1 -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722B1
KR102131722B1 KR1020200037506A KR20200037506A KR102131722B1 KR 102131722 B1 KR102131722 B1 KR 102131722B1 KR 1020200037506 A KR1020200037506 A KR 1020200037506A KR 20200037506 A KR20200037506 A KR 20200037506A KR 102131722 B1 KR102131722 B1 KR 102131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module
iot
signal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석
Original Assignee
정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석 filed Critical 정병석
Priority to KR1020200037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는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구내에 설치되어 다수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해서 출력하는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시스템에서 재난/재해 방송신호에 대해서도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신호로 변환해서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단말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유닛은 상기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구내 주변환경을 감시하여 방송신호로서 제공하고,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신호로 변환해서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PLC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상기 PLC 컨트롤러는 PLC 자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과, 상기 센서부의 아날로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모듈, 디지털 유닛의 디지털정보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 모듈, 상기 센서부의 디지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입력받는 D/I 모듈, 상기 디지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해당되는 미리 등록된 제어대상으로 출력하는 D/O 모듈,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수신하고, 자체 TTS엔진을 구비하여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상기 TTS엔진에 의해 오디오 신호로 변환해서 IoT데이터로 상기 방송 시스템에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IoT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CPU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기존에 설치된 방송 시스템의 방송신호보다 먼저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 또는 재해상황 발생 시 선순위로 위급상황을 출력하여 즉각적으로 대처한다.
그리고, 또한 설치된 장소에 맞는 재난 및 재해상황을 전파하고, 구내의 주변환경이 이상한 경우 방송 시스템을 통해 안내한다.

Description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구내의 전관 방송 시스템에 연결되어, 감지되는 재난 또는 재해 신호를 이러한 전관 방송 시스템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일정한 규모 이상의 건물이나 공공장소에는 비상상황 발생 시 비상신호나 오디오 안내 방송을 통해 비상상황 발생을 대중에서 알리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비상상황 발생에 대한 고지의 목적으로 비상벨이나 싸이렌과 같은 오디오 정보가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단순한 비상상황의 알림은 정확한 정보의 부재로 인하여 오히려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일정한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전관방송 시스템이 갖추어져 다양한 오디오 소스를 통한 방송이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비상상황을 오디오 안내 방송으로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역시 비상상황에 맞추어 미리 마련된 안내 방송을 제공하는 것이거나 관리자가 육성으로 비상상황을 안내하는 정도이므로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어렵다. 또한, 비상상황 고지에 의한 혼란으로 주변 소음이 커지는 경우, 관리자의 발음이 부정확한 경우, 오디오 출력의 울림이나 오디오 상태에 따라 내용이 명확하게 들리지 않는 경우 등도 있으므로 정확한 상황 파악이 어려운 가운데 비상에 따른 불안만 가중되어 대피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별도의 재난방송 시스템을 구축하여 재난 및 재해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송출하는 것으로서, 시스템 구축에 따른 비용증가, 인력보충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예산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스마트폰의 보편화 및 IT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공공기관에서는 폭염, 폭설, 폭우, 지진 등의 재난 및 재해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주의 문자를 송출하여 사람들에게 위험을 인지시키고 있으며, 상기 종래기술들은 이러한 안전문자에 대해 충족시키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배경의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의 특허문헌이다.
(특허문헌 1) KR101802204 Y1
(특허문헌 2) KR100770765 Y1
참고적으로,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재난 및 재해 관련 텍스트신호가 수신되면 이 텍스트신호를 음성신호로 전환하고, 전환된 음성신호를 기존에 설치된 방송 시스템의 출력유닛을 통하여 송출하도록 하는 단말유닛을 통하여 즉각적으로 재난 및 재해상황을 인지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특허문헌 2의 기술은 계곡이나 자연휴양림과 같은 행락객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평상시에는 환경캠페인, 지역정보안내 및 홍보등 미리 저장된 음성 및 문자방송을 자동으로 안내 방송하고, 재해발생시에는 재해 상황 등을 확인하면서 실시간으로 신속, 정확하게 안내 방송함으로써 재해로 인한 피해를 극소화하기 위한 자동 재해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편, 부가적으로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은 화재 및 재난 발생 시 방재실(관리실)에서 화재 및 재난 관련 방송을 안내하고 있으나, 일부 가정에서는 방송 때문에 아이를 깨우거나, 학생의 공부를 방해한다고 생각하여 스피커 구멍을 막아 소리를 약하게 함으로써 화재 및 재난 발생 시 재난 방송을 듣지 못하는 일이 발생한다.
또한, 방송을 잘 듣지 못하는 고령자와 청력이 나쁜 청각장애인은 화재 및 재난 관련 방송을 듣지 못하여 빠른 대피가 어려운 실정이다.
개시된 내용은, 기존에 설치된 방송 시스템의 방송신호보다 먼저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 또는 재해상황 발생 시 선순위로 위급상황을 출력하여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상기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은 설치된 장소에 맞는 재난 및 재해상황을 전파하고, 구내의 주변환경이 이상한 경우 방송 시스템을 통해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은,
구내에 설치되어 다수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해서 출력하는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시스템에서 재난/재해 방송신호에 대해서도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신호로 변환해서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단말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유닛은 상기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구내 주변환경을 감시하여 방송신호로서 제공하고,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신호로 변환해서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PLC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상기 PLC 컨트롤러는 PLC 자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과, 상기 센서부의 아날로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모듈, 디지털 유닛의 디지털정보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 모듈, 상기 센서부의 디지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입력받는 D/I 모듈, 상기 디지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해당되는 미리 등록된 제어대상으로 출력하는 D/O 모듈,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수신하고, 자체 TTS엔진을 구비하여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상기 TTS엔진에 의해 오디오 신호로 변환해서 IoT데이터로 상기 방송 시스템에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IoT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CPU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된 방송 시스템의 방송신호보다 먼저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 또는 재해상황 발생 시 선순위로 위급상황을 출력하여 즉각적으로 대처한다.
그리고, 또한 설치된 장소에 맞는 재난 및 재해상황을 전파하고, 구내의 주변환경이 이상한 경우 방송 시스템을 통해 안내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이 적용된 개념도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PLC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의 구내 주변환경정보 알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의 구내 주변환경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이 적용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방송 시스템(100)이 기본적으로 아파트, 회사, 사무소 빌딩 등의 기관이나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입력된 방송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여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적으로, 여기에서는 사무소 빌딩을 예로 하여 1층과, 2층, 3층, 4층, 5층, 6층 등 각 층마다 스피커가 설치되어 구내 방송을 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또한 특히 이러한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방송 시스템(100)이 각종 재난 및 재해와 관련된 긴급 안내를 함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송 시스템(100)은 평상시에 방송신호를 안내하는 동안 재난 또는 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공공기관에서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재난 또는 재해 관련문자를 IoT에 의해 수신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해서 방송신호로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안내한다(보다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함). 이에 더하여, 상기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IoT에 의해서 이때,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이러한 재난 또는 재해 관련데이터를 직접 송출할 수 있는 기능도 수행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재난 및 재해방송을 위한 시스템을 별도로 구축할 필요 없이 기존에 설치된 방송 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소지하지 않는 경우에도 음성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 즉각 대처한다. 또한 기존에 입력된 방송신호보다 재난 및 재해 문자신호를 먼저 송출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재난상황을 전파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기존의 구내방송을 하는 방송 시스템(101 ~ 105-N)과, 재난/재해시에 공공기관에서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재난/재해 관련문자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시스템을 통해 구내방송하도록 하는 단말유닛(110)을 포함한다.
상기 방송 시스템(101 ~ 105-N)은 방송신호를 입력 또는 수신하는 입력유닛(101)과, 이 입력유닛(101)에서 입력된 다수의 방송신호를 믹싱하는 믹서(102), 믹싱된 방송신호의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우선순위설정유닛(103), 우선순위에 따라 방송신호를 분배하는 분배유닛(104) 및 분배된 방송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구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피커로 이루어진 출력유닛(10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유닛(110)은 상기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된 센서부(111)와, 상기 센서부(111)의 감지결과에 따라 구내 주변환경을 감시하여 방송신호로서 제공하고,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하이젝킹하여 오디오신호로 변환해서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PLC 컨트롤러(112)를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 상기 PLC 컨트롤러(112)는 공공기관에서 재난/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문자신호를 하이젝킹하고, 우선순위설정유닛(103)의 방송우선순위를 제어하면서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출력유닛(105-1 ~ 105-N)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기존에 설치된 방송 시스템의 방송신호보다 먼저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 또는 재해상황 발생 시 선순위로 위급상황을 출력하여 즉각적으로 대처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상기 단말유닛(110)은 화재감지센서, 미세먼지감지센서, 지진감지센서 등의 각종 아날로그 센서와 디지털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111)에서 아날로그와 디지털 등 종합적으로 감지된 이상신호는 상기 PLC 컨트롤러(112)의 입출력 모듈을 통해 통합적으로 입력되고, 자체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재난/재해 문자신호와 함께 출력유닛(105-1 ~ 105-N)을 통해 출력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를 통해 설치된 장소에 맞는 재난 및 재해상황을 전파하고, 구내의 주변환경이 이상한 경우 방송 시스템을 통해 안내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단말유닛(110)은 외부입력부(113)가 더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외부입력부(113)는 사용자가 직접 재난 및 재해상황을 중앙처리부에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이나 유선의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문자, 마이크 등의 별도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2의 PLC 컨트롤러(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PLC 컨트롤러(110)는 PLC 자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과, 상기 센서부의 아날로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모듈, 디지털 유닛의 디지털정보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PLC 컨트롤러(110)는 상기 센서부의 디지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입력받는 D/I 모듈과, 상기 디지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해당되는 미리 등록된 제어대상으로 출력하는 D/O 모듈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PLC 컨트롤러(110)는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하이젝킹하고, 자체 TTS엔진을 구비하여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상기 TTS엔진에 의해 오디오 신호로 변환해서 IoT데이터로 상기 방송 시스템에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IoT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CPU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부가적으로, 이와 관련하여 부연설명을 하면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PLC 시스템에 대해서는 여러 기능을 가진 모듈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서 PLC 제조 업체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다양한 모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입출력 모듈, 아날로그 입출력모듈, 통신 모듈 등 여러 기능을 가진 모듈이 PLC 시스템에 사용되고, 이러한 다양한 모듈을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스템이 구축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KR101778333 Y1의 기술은 이러한 기술로서 등록받은 발명이며, 구체적으로는 PLC의 출력모듈의 동작상 결함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모듈을 구비하는 PLC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IOT 모듈은 이러한 점들을 이용해서, 그 IOT모듈로부터 IOT 기능을 제공하는 PLC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더 나아가 사용자에 의해 쉽게 감시와 제어 등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일실시예에 의해 상기 PLC 컨트롤러(110)는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모듈과, 중앙제어부인 CPU모듈, 제어대상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PLC 컨트롤러(110)는 이때 추가적으로 PLC 자체에서 IOT 기능을 수행하는 IOT모듈을 구비해서, 상기 CPU모듈이 이러한 IOT모듈에 의해 상기 입/출력 모듈과 연동하여 해당되는 제어로직으로부터 IOT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추가적으로 이러한 경우, 상기 단말유닛은 IoT 모듈이 공공기관에서 재난/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문자신호를 하이젝킹한다. 그리고, 상기 IoT 모듈은 이렇게 하이젝킹된 문자신호를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우선순위설정유닛으로 송출함으로써, 상기 출력유닛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CPU 모듈은 전술한 우선순위설정유닛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서, 재난 및 재해 신호에 기존 방송신호보다 우선권을 부여하여 선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기존에 설치된 방송 시스템의 방송신호보다 먼저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 또는 재해상황 발생 시 선순위로 위급상황을 출력하여 즉각적으로 대처한다.
또한, 상기 단말유닛은 상기 IoT모듈을 통해 자체적으로 인터넷연결부가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재난 및 재해관련 데이터를 수신함과 더불어 미리 등록된 관리자의 모바일단말기로 직접 송출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적으로, 여기에서 상기 PLC 컨트롤러(110)의 입력모듈 즉, A/D 모듈과 D/I 모듈은 아날로그 구내 주변환경정보와 디지털 구내 주변환경정보 등 각종 아날로그와 디지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통합적으로 일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센서부 예를 들어, 미세 먼지 센서로부터 구내 주변의 미세 먼지 정보를 아날로그 구내 환경경정보로서 입력받는다. 또는 D/I 모듈을 통해 상기 센서부 예를 들어, 구내 주변의 태양광정보를 디지털 구내 주변환경정보로서 입력받는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입력모듈은 PLC의 입력모듈로서 I/O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PLC 컨트롤러(110)의 출력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어 CPU 모듈에 의해 제어신호가 발생될 시, 제어대상으로 예를 들어, 구내에 설치된 미세 먼지 저감 장치 등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IOT모듈은 일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경우, PLC 자체에서 IOT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IOT 기능은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재난/재해 문자신호가 하이젝킹되거나 구내 주변환경정보가 수집될 경우, 자체 유/무선 통신모듈을 예를 들어, LoRa 모듈을 구비하여 방송 시스템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CPU 모듈은 입력모듈에 의해 신호가 입력될 시, 미리 설정된 제어 로직에 따라 입력된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상이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또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CPU모듈은 전술한 IOT모듈에 의해 데이터가 수집될 시, 미리 설정된 제어 로직에 따라 수집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상이한 제어신호를 발생함으로써 IOT 데이터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PLC 컨트롤러(110)는 전술한 바에 더해, 상기한 PLC의 I/O 카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 지정된 음성으로 알람 등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IOT모듈은 자체 TTS엔진을 구비하여 PLC의 입력모듈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 미리 설정된 데이터별 음성정보에 따라 예를 들어, 음성멘트에 따라 상이하게 음성으로 알람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IOT모듈은 자체 TTS엔진을 구비하여 전술한 하이젝킹된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한 구내 주변환경정보 레벨별로 대응하는 음성정보에 따라 음성 알람을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음성멘트는 예를 들어, IOT 모듈 자체에 구비된 플래시 음성메모리에 등록함으로써 된다.
그래서, 이를 통해 PLC의 I/O 카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등에 대해 지정된 음성으로 알람을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상기 PLC 컨트롤러(110)는 외부 음성에 대해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IOT모듈은 재난/재해와 관련된 관리자 등의 음성을 입력받아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하고 오디오 출력을 함으로써 오디오 IOT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경우 외부 오디오 입력을 받아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하고 IOT 모듈 자체에 구비된 오디오 앰프를 통해 오디오 출력을 함으로써 오디오 IOT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단말유닛에는 센서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센서부는 화재감지센서, 미세먼지감지센서, 지진감지센서 등의 각종 아날로그 센서와 디지털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에서 아날로그와 디지털 등 종합적으로 감지된 이상신호는 상기 PLC 컨트롤러의 입출력 모듈을 통해 통합적으로 입력되고, 자체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재난/재해 문자신호와 함께 출력유닛을 통해 출력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를 통해 설치된 장소에 맞는 재난 및 재해상황을 전파하고, 구내의 주변환경이 이상한 경우 방송 시스템을 통해 안내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도 2 참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은 먼저 기본적으로 아파트, 회사, 사무소 빌딩 등의 기관이나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입력된 방송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여 안내한다.
구체적으로는, 방송신호를 입력 또는 수신하고(S401), 입력된 다수의 방송신호를 믹싱한 다음(S402), 믹싱된 방송신호의 우선순위를 부여한다(S403). 그래서, 이러한 우선순위에 따라 방송신호를 분배하여(S404) 출력함으로써(S405), 구내방송을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은 각종 재난 및 재해와 관련된 긴급 안내를 함께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평상시에 방송신호를 안내하는 동안 재난 또는 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공공기관에서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재난 또는 재해 관련문자를 하이젝킹하여(S406) 오디오 신호로 변환해서(S407) 예를 들어, 방송우선순위를 제어하면서 방송신호로서 IoT데이터 전송함으로써(S408) 안내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기존에 설치된 방송 시스템의 방송신호보다 먼저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 또는 재해상황 발생 시 선순위로 위급상황을 출력하여 즉각적으로 대처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은 구내의 주변환경을 화재감지센서, 미세먼지감지센서, 지진감지센서 등의 각종 아날로그 센서와 디지털 센서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이상신호감지해서(S409), 전술한 재난/재해 문자신호와 함께 예를 들어, 방송우선순위를 제어하면서 방송신호로서 IoT데이터전송되도록 한다(S410).
따라서, 이를 통해 설치된 장소에 맞는 재난 및 재해상황을 전파하고, 구내의 주변환경이 이상한 경우 방송 시스템을 통해 안내한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즉, 상기 PLC 컨트롤러의 상기 CPU 모듈은 상기 센서부의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빅데이터화하고 미리 설정된 딥 러닝 기반으로 다수의 상이한 주변 환경 조건별로 예를 들어, 시간대별 또는, 날씨별, 온도별 등으로 학습하여 대표 구내 주변환경을 도출한다.
그래서, 이러한 현재 구내 주변환경을 상기 대표 구내 주변환경과 비교함으로써 구내 주변환경분석을 하고, 상기 IoT 모듈에 의해 상기 방송 시스템에 방송신호로서 알림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인공 지능 주변환경 분석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주변환경 분석이 체계적이고 신뢰성이 있으며,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합한 주변환경 분석과 운영 등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구내에 설치되어 다수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해서 출력하는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시스템에서 재난/재해 방송신호에 대해서도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신호로 변환해서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단말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유닛은 상기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구내 주변환경을 감시하여 방송신호로서 제공하고,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신호로 변환해서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PLC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상기 PLC 컨트롤러는 PLC 자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과, 상기 센서부의 아날로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모듈, 디지털 유닛의 디지털정보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 모듈, 상기 센서부의 디지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입력받는 D/I 모듈, 상기 디지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해당되는 미리 등록된 제어대상으로 출력하는 D/O 모듈,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수신하고, 자체 TTS엔진을 구비하여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상기 TTS엔진에 의해 오디오 신호로 변환해서 IoT데이터로 상기 방송 시스템에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IoT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CPU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기존에 설치된 방송 시스템의 방송신호보다 먼저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 또는 재해상황 발생 시 선순위로 위급상황을 출력하여 즉각적으로 대처한다.
그리고, 또한 설치된 장소에 맞는 재난 및 재해상황을 전파하고, 구내의 주변환경이 이상한 경우 방송 시스템을 통해 안내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의 구내 주변환경정보 알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은 PLC 컨트롤러(112)가 IoT 모듈을 통해 공공기관에서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하이젝킹하여 미리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예: 스마트 폰)로 알림한다.
예를 들어, PLC 컨트롤러(112)는 상기 CPU 모듈이 미리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경우 해당되는 무선통신망의 개별 IP 주소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고, 무선통신망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데이터 망의 단말기 식별 고유 번호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여 관리자 단말기와 실시간 연결을 확보하도록 해서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IoT 모듈은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망의 개별 IP 주소 또는, 이동통신데이터 망의 단말기 식별 고유 번호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방송신호로서 제공한다.
다른 예로,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은 센서부(111)가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감지한다.
그래서, PLC 컨트롤러(112)가 이러한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통해 이상상태로 판별한 경우, 예를 들어, 구내 미세 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미세 먼지 농도보다 초과하는 경우, 자체 IoT 모듈을 통해 미리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 알림한다.
예를 들어, PLC 컨트롤러(112)는 상기 CPU 모듈이 미리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경우 해당되는 무선통신망의 개별 IP 주소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고, 무선통신망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데이터 망의 단말기 식별 고유 번호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여 실시간 연결을 확보하도록 해서 상기 센서부의 구내 주변환경정보 감시 결과에 따른 이상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IoT 모듈은 상기 이상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망의 개별 IP 주소 또는, 이동통신데이터 망의 단말기 식별 고유 번호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방송신호로서 제공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의 구내 주변환경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은 예를 들어, 구내의 미세먼지 정보가 입력될 시, 카메라영상(여기에서는 배경 영상으로 사용함) 또는 CCTV영상과 미세먼지 감시결과를 상호 연동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화함으로써, 미세먼지 정보 등을 포함하여 영상통합계측한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은 미세먼지 정보가 입력될 시, 카메라영상과 미세먼지 양, 양호 등의 미세먼지 상태 정보, 현재온도 정보의 글씨와 그래프, 좌표 등을 상호 연동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화함으로써, 미세먼지 정보 등을 포함하여 영상통합계측한다.
여기서는, ‘구내 공기 청정 이상 !’과, 구역정보인 ‘2층’을 알림하는 예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한 PLC 컨트롤러의 CPU 모듈은 상기 센서부의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각기 미리 설정된 주변 환경 조건별로 예를 들어, 온도와 시간대별로 감시하여 이상상태로 판별한 경우, 상기 IoT 모듈에 의해 상기 방송 시스템에 방송신호로서 알림한다.
그래서, 관리자 단말기에서 이러한 이상상태 즉,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관리자에게 영상으로 통합해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를 위해 상기한 일실시예에 따른 PLC 컨트롤러는 HMI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HMI 모듈은 상기 CPU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한 영상 신호와 상기 센서부에 의한 감지 신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로서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영상통합계측하고, 상기 CPU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알람을 감지한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한 영상 신호에 해당되는 이상상태 UI정보를 팝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IoT 모듈이 상기 영상통합계측된 결과 또는 상기 팝업된 결과를 IoT데이터로 상기 방송 시스템에 방송신호로서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HMI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촬영된 영상이 다수개인 경우, HMI 기반에 맵 형태로 팝업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은 IoT를 적용한 단말유닛의 인증을 수행하여 방송이 선택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은 IoT 네트워크를 위한 위치기반 인증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방송 다중 송출 서비스 시스템 (eMBMS,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을 통해 셀 내부의 IoT (Cellular internet of things) 단말로 시드 코드(Seed Code)를 전송하도록 한다. 시드코드(seed code)는 위치기반 인증 암호화 시스템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말 암호 생성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기본 코드이다. 실시예에서 시드 코드는 대칭 키 교환, 비대칭 키 교환, 대칭 키 암호화, 비대칭 키 암호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 암호화 장치 및 방법은 특정의 암호화 알고리즘 방식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시드코드를 확보할 수 있다.
eMBMS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멀티미디어 방송 다중 송출 서비스) 시스템은 일대 다수를 지원하는 LTE 기반 동영상 전송 서비스이다.
이러한 위치기반 인증 시스템은 IoT를 적용한 단말유닛이 예를 들어, SCEF로부터 요청된 임시 단말그룹 아이디를 전달받아, IoT 네트워크에서 각종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IoT를 적용한 단말유닛에 할당하고, 이러한 IoT 단말유닛으로 위치기반 인증 암호 생성을 위한 시드 코드를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IoT 단말유닛은 단말에 구비된 센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기 설치된 암호 생성 알고리즘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한 단말 인증 암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결합하여 단말 버전 위치기반 생체인증 암호를 생성하고, 이를 위치기반 인증 서버에 전송하여 시드 코드 수신 전 IoT 단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IoT 단말과 위치인증 서버에서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결합한 암호를 생성하여 이를 통해 단말 인증 후 시드코드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IoT 네트워크에서의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은 전술한 PLC와는 다른 형태로서, 외부 입출력 포트, 즉,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 아날로그 입력(Analoge Input:4-20mA입력 등) 통신포트를 RS-485 통신포트, RS-232 통신포트, 랜(LAN)포트, 오디오포트 등을 카메라부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영상 감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은 외부 계측 기기로부터 각각 아날로그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이에 따른 상용의 CPU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아날로그 센서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 컨버터와, 뷰어소프트웨어와 연동되어 전기적 입력을 받거나 출력으로 외부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GPIO 포트와, 상기 외부 계측기기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RS485 포트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와의 통신과 상기 뷰어소프트웨어와의 통신을 위한 RS232 포트 및 상기 ADC 컨버터, GPIO 포트, RS485 포트, RS232 포트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처리하고 뷰어소프트웨어의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MCU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외부 입출력 포트, 즉,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 아날로그 입력(Analoge Input:4-20mA입력 등), RS-485 통신포트, RS232 통신포트, 랜(LAN)포트, 오디오(Audio) 포트 등을 카메라부에서 직접 처리하도록 하여 NVR회사마다 다른 사양을 협의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계측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출력(D/O(data out)), 접점 출력, 알람 등을 제어하기 위한 포트, 데이터 입력(D/I(data in)), 아날로그 입력(Analog Input:4-20mA입력 등)은 MCU에서 전처리하여 CPU에 전달하고, RS-485 통신 포트, 랜(LAN)포트, 오디오 포트 등을 두고, 다양한 포트에서 받아들인 외부 입력 데이터를 카
메라에서 직접 데이터 트렌드화 하여 관리자가 쉽게 수위, 압력, 온도와 같은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외부 시스템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은 외부 입출력 포트에 입력된 데이터를 카메라부의 메모리에 직접적으로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하여 이를 모니터에 영상으로 표출시 그래프 형식의 데이터 트렌드가 함께 표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은 감시구역의 수집된 영상과 함께 처리된 수위, 온도, 압력 등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는 SD에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어 영상과 함께 데이터베이스가 문자 또는 그래프 형식의 데이터 트렌드로 중앙관제센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은 수위, 온도, 압력 등의 각종 상황에 대한 데이터베이
스가 영상과 함께 표출되며, 영상에 문자가 표출 될 시 글자의 문구, 문구 값의 단위, 문구의 화면 상 위치, 폰트, 색상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경고 시, 표출 문구는 지정된 색으로 깜빡 깜빡거리거나, 글자는 지정된 색으로 가만히 있고 화면 전체가 컬러 또는 흑백의 지정된 색으로 깜빡 깜빡거리는 플리커링(flickering)의 경우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며, 영상에 각종 상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그래프 형식의 데이터 트렌드로 표출 할 시 데이터의 문구, 단위, 색깔을 관리자가 설정한대로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에 표출된 트렌드의 바를 원하는 시간에 이동하면 이동된 바가 위치한 트렌드의 시간의 값이 나타나고, 데이터의 확인 후 이동바 위에 위치한 데이터 값은 자동으로 사라지며, 경고 시, 표출 문구는 지정된 색으로 깜빡 깜빡거리거나, 글자는 지정된 색으로 가만히 있고 화면 전체가 컬러 또는 흑백의 지정된 색으로 깜빡 깜빡거리는 플리커링(flickering)의 경우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에 데이터 문자 및 그래프 형식의 데이터 트렌트를 표출 시 표출 방법을 설정하는 프로그램의 방법은 제너럴, 데이터아날로그(Data Analog), 데이터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으로 구성된다.
제너럴에서 일반적인 설정을 하며, 카메라부는 연결된 카메라부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고, 주소(Address)는 선택된 카메라부의 네트워크 주소, 프로토콜(Protocol)은 LS산전, 모드버스(Modbus), 프로피버스(Profibus) 등 카메라부(50)와 맞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통신(Communication)은 RS-232, RS485, 랜 통신 중 선택을 할 수 있으며 통신포트(Comm. Port)는 통신포트(Common Port) 단자 선택(COM1, COM2, ... , COM10), IP주소는 카메라의 IP 주소, 히스토리(History)의 트렌드(Trend)는 Live 또는 저장된 이전 데이터를 검색할 히스토리(History) 중 선택, 히스토리는 이전 데이터 검색의 날짜 선택, 주기(Period)는 검색 날짜 기간을
선택할 수 있다.
Analog에서는, 인에이블(Enable)은 표출 데이터의 사용 유무, 스트링(String)은 데이터 명칭, 메저(Measure)은 데이터 단위, X축은 화면에 문자를 표시할 X축의 좌표, Y축은 화면에 문자를 표시할 Y축의 좌표, 사이즈(Size)는 문자의 크기, 컬러(Color)는 문자의 색깔, 디스플레이상태(Display Status)는 Text 또는 트렌드(Trend) 중 선택, 최소범위(Range Min)은 데이터의 최소 수치, 최대범위(Range Max)는 데이터의 최고 수치, 디스플레이시간(Display Time)은 트렌드(Trend) 표출 시 트렌드(Trend) 좌표 중 시간 영역 X좌표를 설정한 시간으로 표출한다.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의 인에이블(Enable)은 표출 데이터의 사용 유무, 스트링(String)은 데이터 명칭, X축은 화면에 문자를 표시할 X축의 좌표, Y축은 화면에 문자를 표시할 Y축의 좌표, 사이즈(Size)는 문자의 크기, 컬러(Color)는 문자의 색깔, 이펙트(Effect)는 경보의 방법(글자의 빠른 깜빡임, 느린 깜빡임, 화면 깜빡임)을
설정하고, 디스플레이상태(Display Status)는 Text 또는 트렌드(Trend) 중 선택, 디스플레이시간(DisplayTime)은 트렌드(Trend) 표출 시 트렌드(Trend) 좌표 중 시간 영역 X좌표를 설정한 시간으로 표출한다.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의 인에이블(Enable)은 표출 데이터의 사용 유무, 스트링(String)은 데이터 명칭, X축은 화면에 문자를 표시할 X축의 좌표, Y축은 화면에 문자를 표시할 Y축의 좌표, 사이즈(Size)는 문자의 크기, 컬러(Color)는 문자의 색깔, 이펙트(Effect)는 경보의 방법(글자의 빠른 깜빡임, 느린 깜빡임, 화면 깜빡임)을 설정하고, 제어상태(Control Status)는 제어시스템의 제어를 온/오프(ON/OFF) 중 선택하는 프로그램을 관리자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구내 로컬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예를 들어, 구내 냉/난방기의 동작 정보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형 기기에서 감지한 사용자 주변의 온도 및 습도 정보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수신한다.
일측에 따르면, 냉/난방기의 동작 정보는 냉/난방기의 동작 여부, 희망 온도 및 냉/난방기에서 감지한 현재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이러한 실시간의 정보와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화재와 같은 재난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준 데이터는 냉/난방기의 동작 정보에 따른 사용자 주변의 온도 및 습도의 이상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이러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스피커 및 조명을 이용한 재난 발생 알람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재난 발생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스피커 및 조명으로 출력하며, 재난 발생 정보를 서버 및 방송 수신 장치에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 시스템은 이동형 기기에서 재난 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조명 및 진동을 이용해서 재난 상황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방송 시스템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재난 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전용 어플(Application)로 재난 상황을 출력한다.
일측에 따르면,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재난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소리, 진동 및 조명으로 재난 상황의 알림 기능을 제공하고, 재난 상황에 따른 대피 경로 및 주의 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월패드에서 재난 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 알림음을 스피커로 출력하고 구내 로컬네트워크를 통해 IoT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방송 시스템은 월패드에서 재난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냉/난방기 제어 기능, 도어락 제어 기능, 창문의 개폐 제어 기능, 환풍기 제어 기능, 비상등 제어 기능, 가스락 잠금 제어 기능, 스프링쿨러 제어 기능, 호출 기능 및 기설정된 연락처로 비상전화/문자를 송신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여 IoT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결국, 실시예를 이용하면 다중전달방식으로 스마트 디바이스, 재난 방송용 휴대 단말 및 월패드에 재난 상황을 동시 출력함으로써, 고령자 및 청각 장애인과 같이 재난 상황에 취약한 사용자의 재난 발생 인지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냉/난방기의 동작 정보 및 이동형 기기에서 감지한 사용자 주변의 온도 및 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집안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신속하게 감지함으로써, 화재와 같은 재난 상황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을 할 수 있다.
100 : 방송 시스템 110 : 단말유닛
111 : 센서부 112 : PLC 컨트롤러

Claims (10)

  1. 구내에 설치되어 다수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해서 출력하는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시스템은,
    방송신호를 입력 또는 수신하는 입력유닛과;
    상기 입력유닛에서 입력된 다수의 방송신호를 믹싱하는 믹서;
    상기 믹싱된 방송신호의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우선순위설정유닛;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방송신호를 분배하는 분배유닛; 및
    상기 분배된 방송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구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피커로 이루어진 출력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방송 시스템에서 재난/재해 방송신호에 대해서도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신호로 변환해서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단말유닛; 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유닛은,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구내 주변환경을 감시하여 방송신호로서 제공하고,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하이젝킹하여 오디오신호로 변환해서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PLC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PLC 컨트롤러는,
    PLC 자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상기 센서부의 아날로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모듈;
    디지털 유닛의 디지털정보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 모듈;
    상기 센서부의 디지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입력받는 D/I 모듈;
    상기 디지털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해당되는 미리 등록된 제어대상으로 출력하는 D/O 모듈;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수신하고, 자체 TTS엔진을 구비하여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상기 TTS엔진에 의해 오디오 신호로 변환해서 IoT데이터로 상기 방송 시스템에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IoT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CPU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IoT 모듈은,
    상기 센서부의 구내 주변환경정보 레벨에 대응하는 음성정보에 따라 IoT데이터로 상기 방송 시스템에 방송신호로서 음성 알람을 하고,

    상기 CPU 모듈은,
    상기 센서부의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각기 미리 설정된 주변 환경 조건별로 감시하여 이상상태로 판별한 경우, 상기 IoT 모듈에 의해 상기 방송 시스템에 방송신호로서 알림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oT 모듈은
    재난/재해와 관련된 외부 음성을 입력받아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하고 오디오 출력을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구내 주변환경정보 레벨에 대응하는 음성정보에 따라 직접적으로 음성 알람을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유닛은,
    상기 구내 주변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촬영된 구내 주변환경 영상을 디지틸 신호 처리하여 상기 PLC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DSP부; 를 포함하고,
    상기 PLC 컨트롤러는,
    상기 CPU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한 영상 신호와 상기 센서부에 의한 감지 신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로서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영상통합계측하고, 상기 CPU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알람을 감지한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한 영상 신호에 해당되는 이상상태 UI정보를 팝업하도록 하는 HMI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IoT 모듈이 상기 영상통합계측된 결과 또는 상기 팝업된 결과를 IoT데이터로 상기 방송 시스템에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HMI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촬영된 영상이 다수개인 경우, HMI 기반에 맵 형태로 팝업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PU 모듈은
    상기 센서부의 구내 주변환경정보를 빅데이터화하고 미리 설정된 딥 러닝 기반으로 다수의 상이한 주변 환경 조건별로 학습하여 대표 구내 주변환경을 도출해서, 현재 구내 주변환경을 상기 대표 구내 주변환경과 비교함으로써 구내 주변환경분석을 하고, 상기 IoT 모듈에 의해 상기 방송 시스템에 방송신호로서 알림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PU 모듈은,
    미리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경우 해당되는 무선통신망의 개별 IP 주소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고, 무선통신망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데이터 망의 단말기 식별 고유 번호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여 관리자 단말기와 실시간 연결을 확보하도록 해서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하고,
    상기 IoT 모듈은,
    상기 재난/재해 문자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망의 개별 IP 주소 또는, 이동통신데이터 망의 단말기 식별 고유 번호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PU 모듈은,
    미리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경우 해당되는 무선통신망의 개별 IP 주소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고, 무선통신망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데이터 망의 단말기 식별 고유 번호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여 실시간 연결을 확보하도록 해서 상기 센서부의 구내 주변환경정보 감시 결과에 따른 이상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하고,
    상기 IoT 모듈은,
    상기 이상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망의 개별 IP 주소 또는, 이동통신데이터 망의 단말기 식별 고유 번호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방송신호로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KR1020200037506A 2020-03-27 2020-03-27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KR102131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506A KR102131722B1 (ko) 2020-03-27 2020-03-27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506A KR102131722B1 (ko) 2020-03-27 2020-03-27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722B1 true KR102131722B1 (ko) 2020-07-08

Family

ID=7159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506A KR102131722B1 (ko) 2020-03-27 2020-03-27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72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712B1 (ko) 2021-07-22 2022-01-18 주식회사 담소리 1:1 맞춤형 라이브 비상방송출력신호·디지털 프로그램 전환신호로 이루어진 현장지능형 비상방송다중프로그램교환제어장치 및 방법
KR20220026739A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KR102372495B1 (ko) * 2021-09-28 2022-03-10 주식회사 동천아이엔씨 동보장치형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
KR102377125B1 (ko) * 2021-09-28 2022-03-22 주식회사 동천아이엔씨 자동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KR102384478B1 (ko) * 2021-11-05 2022-04-08 (주)신화유디텍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비상방송 제어기
KR102384480B1 (ko) * 2021-11-05 2022-04-08 (주)신화유디텍 비상방송 기능을 가진 오디오 매트릭스
KR102432369B1 (ko) * 2021-11-05 2022-08-16 (주)신화유디텍 비상방송제어 시스템
KR102452820B1 (ko) * 2022-01-14 2022-10-11 (주)진명아이앤씨 공공생활안전을 위한 통합형 정보감지 솔라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3495A (ko) * 1996-07-24 1998-04-30 유기범 통신구 집중 관리 시스템의 보조 장치에 있어서 감시 및 제어 방법
KR101400476B1 (ko) * 2013-01-28 2014-06-02 (주)합동전자산업 긴급알림용 pa 시스템
KR101802204B1 (ko) * 2017-08-18 2017-12-28 (주)로보티어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KR102083167B1 (ko) * 2019-10-18 2020-03-02 비엔시스 주식회사 단일 pcb 기반의 영상통합계측용 무인 선박의 제어반
KR20200029877A (ko)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카이샷 R,c혼합패스 필터를 구비한 마이크 노이즈 캔슬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3495A (ko) * 1996-07-24 1998-04-30 유기범 통신구 집중 관리 시스템의 보조 장치에 있어서 감시 및 제어 방법
KR101400476B1 (ko) * 2013-01-28 2014-06-02 (주)합동전자산업 긴급알림용 pa 시스템
KR101802204B1 (ko) * 2017-08-18 2017-12-28 (주)로보티어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KR20200029877A (ko)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카이샷 R,c혼합패스 필터를 구비한 마이크 노이즈 캔슬러
KR102083167B1 (ko) * 2019-10-18 2020-03-02 비엔시스 주식회사 단일 pcb 기반의 영상통합계측용 무인 선박의 제어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739A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KR102403755B1 (ko) * 2020-08-26 2022-05-30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 냉동시스템의 냉동온도 원격 모니터링 장치
KR102352712B1 (ko) 2021-07-22 2022-01-18 주식회사 담소리 1:1 맞춤형 라이브 비상방송출력신호·디지털 프로그램 전환신호로 이루어진 현장지능형 비상방송다중프로그램교환제어장치 및 방법
KR102372495B1 (ko) * 2021-09-28 2022-03-10 주식회사 동천아이엔씨 동보장치형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
KR102377125B1 (ko) * 2021-09-28 2022-03-22 주식회사 동천아이엔씨 자동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KR102384478B1 (ko) * 2021-11-05 2022-04-08 (주)신화유디텍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비상방송 제어기
KR102384480B1 (ko) * 2021-11-05 2022-04-08 (주)신화유디텍 비상방송 기능을 가진 오디오 매트릭스
KR102432369B1 (ko) * 2021-11-05 2022-08-16 (주)신화유디텍 비상방송제어 시스템
KR102452820B1 (ko) * 2022-01-14 2022-10-11 (주)진명아이앤씨 공공생활안전을 위한 통합형 정보감지 솔라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722B1 (ko)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US201901242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ound during an in-building emergency
US10930130B2 (en) Methods for monitoring security
US7714733B2 (en) Emergency warning system integrated with building hazard alarm notification system
JP7265995B2 (ja) 監視及びコンシェルジェサービスのためのスケーラブルなシステム及び方法
EP2492883A1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monitoring and early fire alarming
US20080224862A1 (en) Selectively enabled threat based information system
US10621838B2 (en) External video clip distribution with metadata from a smart-home environment
KR101901335B1 (ko) 사물지능 통신 기반의 엘이디 실내등을 이용한 재난관제 동보시스템
CN103327283A (zh) 对讲机、对讲系统以及控制对讲机显示面板亮度的方法
JP2007188327A (ja) 災害警報システム
KR101992995B1 (ko)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JPH08273075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
KR200425246Y1 (ko) 센서를 구비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2120635B1 (ko)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JP2008148138A (ja) 監視システム
KR102437437B1 (ko) 아파트 화재 발생 시의 화재 발생 경보 전파 및 대피로 제공 시스템
KR101815842B1 (ko) 재난대피 방송 방법 및 시스템
KR102378126B1 (ko) Lte망을 이용한 건물 절전 시스템의 원격 고장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0633023B1 (ko) 센서 네트워크 및 케이블 방송망을 이용한 화재 경보시스템 및 방법
JP2005208878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RU2303289C1 (ru) Система для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охраны недвижимого имущества
KR101640750B1 (ko) 방송 출력 셀렉터를 통한 통합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93813B1 (ko) 인터넷망과 공중망 및 무선망을 이용한 원격 제어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78854A (ko) 비상호출 신속 대응을 위한 인터라넷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씨씨티브이 통합 보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