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476B1 - 긴급알림용 pa 시스템 - Google Patents

긴급알림용 pa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476B1
KR101400476B1 KR1020130009096A KR20130009096A KR101400476B1 KR 101400476 B1 KR101400476 B1 KR 101400476B1 KR 1020130009096 A KR1020130009096 A KR 1020130009096A KR 20130009096 A KR20130009096 A KR 20130009096A KR 101400476 B1 KR101400476 B1 KR 101400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fire
sound source
electrically connected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원
Original Assignee
(주)합동전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합동전자산업 filed Critical (주)합동전자산업
Priority to KR102013000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04H60/8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 등)이 발생할 경우, 거주자에게 긴급상황을 정확하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한 긴급알림용 PA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건물의 복도에 설치되되,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으로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14)와;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건물의 복도에 설치되되,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으로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 )을 촬영하는 CCTV(116)와;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건물에 살고 있는 가정집에 설치되되,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CCTV(116)에서 촬영되는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 )을 거주자에게 실시간적으로 디스플레이해 주는 IPTV(118)와;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거주자의 스마트폰(120)으로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을 알려 주는 통신부(122)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긴급알림용 PA 시스템{Public Address System Having Emergency inform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긴급알림용 PA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교, 기업체, 빌딩, 아파트 등을 포함한 많은 사람이 거주하는 건물에 적용되어 해당 건물에 화재 등과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거주자에게 긴급상황을 정확하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한 긴급알림용 PA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현대사회의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과 여러 가지 정보를 전달 또는 교환하지 않으면 않된다. 정보의 전달, 교환을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이라 하고 이 수단의 한 분야로 PA 시스템이 생겨나게 되었다.
PA(Public Address)는 많은 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PA시스템(Public Address System)은 학교, 기업체, 빌딩, 아파트 등 공중 설비에 대한 안내방송, 음악방송 등에 사용되는 다목적 방송시스템이다.
도 1은 일반적인 PA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PA 시스템(10)은,
음원발생장치(12)와, 전관방송 제어장치(14)와, 오디오 매트릭스(16)와, 파워 앰프(18)와, 릴레이 그룹(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음원발생장치(12)는 시디플레이어(CD Player), 카세트 데크(Cassete Deck), 튜너(Tuner), 무선 마이크(Wireless Mike), 마이크로폰(Microphone), 리모우트 앰프(Remote Amp) 등의 음원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4)는 상기 음원발생장치(12)에서 발생한 음원에 대한 입·출력 채널제어 및 볼륨제어, 출력 스피커의 선택제어를 수행하여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매트릭스(16)는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4)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Analog) 신호를 믹싱(Mixing)하고 변환하여, 이를 디지탈(Digital) 신호로 분배(Distribution)하여 출력한다.
상기 파워 앰프(18)는 상기 오디오 매트릭스(16)에 의해 분배된 각 분배신호를 각각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릴레이 그룹(20)은 상기 각 파워 앰프(18)로부터 출력된 증폭신호를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4)의 출력 스피커의 선택제어에 따라 선택된 스피커(22)로 분배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음원발생장치(12)에서 발생한 아날로그(Analog) 음원은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4)의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오디오 매트릭스(16)를 통해 믹싱(Mixing) 및 디지탈(Digital) 변환되고, 상기 파워 앰프(18)를 통해 증폭되어 상기 릴레이 그룹(20)을 통해 선택된 스피커(22)로 출력되는 동작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일반적인 PA 시스템은 건물에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 등)이 발생할 경우,
음성으로만 거주자에게 긴급상황을 알려주기 때문에, 방에서 TV를 시청하는 사람에게는 긴급상황이 음성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거주자에게 긴급상황을 정확하게 알려 주지 못한 관계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에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 등)이 발생할 경우, 안내방송을 통해 거주자에게 긴급상황을 정확하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긴급알림용 PA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TV를 시청하는 경우 TV의 채널이 긴급방송 채널로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TV를 시청하는 사람에게 긴급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긴급알림용 PA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주자의 스마트폰으로 긴급상황을 알려주어 인명피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긴급알림용 PA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V 또는 스마트폰으로 대피경로를 전송함으로써 거주자가 신속하게 건물밖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알림용 PA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알림용 PA시스템은,
시디플레이어, 카세트 데크, 튜너, 무선 마이크, 마이크로폰, 리모우트 앰프를 구비하여 음원을 발생하는 음원발생장치(102)와, 상기 음원발생장치(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원발생장치(102)에서 발생한 음원에 대한 입·출력 채널제어 및 볼륨제어, 출력 스피커의 선택제어를 수행하여 여러 개의 채널로 음원데이터를 출력하는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와,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로부터 여러 개의 채널을 통해 출력된 아날로그(Analog) 음원데이터를 믹싱(Mixing)하고 변환하여, 이를 디지털(Digital) 음원데이터로 분배(Distribution)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매트릭스(106)와, 상기 오디오 매트릭스(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오디오 매트릭스(106)에 의해 분배된 각 분배신호를 각각 증폭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1 이상의 파워 앰프(108)와, 상기 파워 앰프(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각 파워 앰프(108)로부터 출력된 증폭신호를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출력 스피커의 선택제어에 선택된 건물의 복도에 설치된 스피커(110)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릴레이 그룹(112)을 구비한 PA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건물의 복도에 설치되되,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으로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14)와;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건물의 복도에 설치되되,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으로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 )을 촬영하는 CCTV(116)와;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건물에 살고 있는 가정집에 설치되되,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CCTV(116)에서 촬영되는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 )을 거주자에게 실시간적으로 디스플레이해 주는 IPTV(118)와;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거주자의 스마트폰(120)으로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을 알려 주는 통신부(122)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긴급알림용 PA 시스템은 건물에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 등)이 발생할 경우, 안내방송을 통해 거주자에게 긴급상황을 정확하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물에 긴급상황(화재 등)이 발생할 경우, IPTV의 채널이 긴급방송 채널로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IPTV를 시청하는 사람에게 긴급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주자의 스마트폰으로 긴급상황을 알려주어 IPTV를 시청하지 않거나 다른 작업을 하고 있는 거주자 등 모든 거주자에게 긴급상황을 신속하게 전달하여 인명피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IPTV 또는 스마트폰으로 대피경로를 전송함으로써 거주자가 신속하게 건물밖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PA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알림용 PA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긴급알림용 PA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알림용 PA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긴급알림용 PA시스템은,
시디플레이어, 카세트 데크, 튜너, 무선 마이크, 마이크로폰, 리모우트 앰프를 구비하여 음원을 발생하는 음원발생장치(102)와;
상기 음원발생장치(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원발생장치(102)에서 발생한 음원에 대한 입·출력 채널제어 및 볼륨제어, 출력 스피커의 선택제어를 수행하여 여러 개의 채널로 음원데이터를 출력하는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와;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로부터 여러 개의 채널을 통해 출력된 아날로그(Analog) 음원데이터를 믹싱(Mixing)하고 변환하여, 이를 디지털(Digital) 음원데이터로 분배(Distribution)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매트릭스(106)와;
상기 오디오 매트릭스(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오디오 매트릭스(106)에 의해 분배된 각 분배신호를 각각 증폭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1 이상의 파워 앰프(108)와;
상기 파워 앰프(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각 파워 앰프(108)로부터 출력된 증폭신호를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출력 스피커의 선택제어에 선택된 건물의 복도에 설치된 스피커(110)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릴레이 그룹(112)과;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건물의 복도에 설치되되,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으로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14)와;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건물의 복도에 설치되되,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으로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 )을 촬영하는 CCTV(116)와;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건물에 살고 있는 가정집에 설치되되,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CCTV(116)에서 촬영되는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 )을 거주자에게 실시간적으로 디스플레이해 주는 IPTV(118)와;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거주자의 스마트폰(120)으로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을 알려 주는 통신부(122)로 구성된다.
결국, 본 발명의 긴급알림용 PA 시스템은 기존의 PA 시스템에 화재감지센서(114), CCTV(116), IPTV(118), 통신부(122)의 구성을 추가적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긴급알림용 PA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음원발생장치(102)는 시디플레이어, 카세트 데크, 튜너, 무선 마이크, 마이크로폰, 리모우트 앰프 등의 음원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는 상기 음원발생장치(102)에서 발생한 음원에 대한 입·출력 채널제어 및 볼륨제어, 출력 스피커의 선택제어를 수행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매트릭스(106)는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Analog) 신호를 믹싱(Mixing)하고 변환하여, 이를 디지탈(Digital) 신호로 분배(Distribution)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파워 앰프(108)는 상기 오디오 매트릭스(106)에 의해 분배된 각 분배신호를 각각 증폭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 그룹(112)은 상기 각 파워 앰프(108)로부터 출력된 증폭신호를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출력 스피커의 선택제어에 따라 선택된 스피커(110)로 분배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음원발생장치(102)에서 발생한 아날로그(Analog) 음원은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오디오 매트릭스(106)를 통해 믹싱(Mixing) 및 디지탈(Digital) 변환되고, 상기 파워 앰프(108)를 통해 증폭되어 상기 릴레이 그룹(112)을 통해 선택된 스피커(110)로 출력되는 동작을 한다.
한편,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는 건물의 복도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14)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계속적으로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114)는 연기를 감지하고, 연기의 양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로 보낸다. 이때, 감지된 연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화재로 판단하게 되고 그 신호를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로 보낸다. 상기 화재의 판단은 상기 화재감지센서(114)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는 기 설정된 연기의 기준치와 감지된 연기 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연기의 기준치 보다 감지된 연기 값이 높으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스피커(110)를 통해 안내방송을 출력하여 거주자에게 긴급상황을 정확하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그와 동시에 상기 CCTV(116)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상기 CCTV(116)는 연기가 발생 된 복도를 실시간적으로 촬영하고, 촬영되는 영상을 전관방송 제어장치(104)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는 가정집에 설치된 IPTV(118)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상기 IPTV(118)는 시청중인 채널이 긴급방송 채널로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CCTV(116)에서 촬영되는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 )을 거주자에게 실시간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건물에 긴급상황(화재 등)이 발생할 경우 IPTV를 시청하는 사람에게 긴급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해 준다. 이때, 상기 IPTV(118)의 화면에는 몇 층에서 화재가 발생 되었는지 표시된다.
이때, 상기 IPTV(118)가 오프(OFF) 되어 있는 경우에 자동으로 온(ON)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볼륨을 자동으로 일정치 이상으로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거주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는, 통신부(122)가 연결되어 있는바, 긴급상황 발생시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는 통신부(122)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부(122)는 거주자의 스마트폰(120)으로 긴급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거주자의 스마트폰으로 긴급상황을 알려주어 IPTV(118)를 시청하지 않거나 다른 작업을 하고 있는 거주자 등 모든 거주자에게 긴급상황을 신속하게 전달하여 인명피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IPTV(118) 또는 스마트폰(120)으로 대피경로를 전송함으로써 거주자가 신속하게 건물 밖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2 : 음원발생장치
104 : 전관방송 제어장치
106 : 오디오 매트릭스
108 : 파워 앰프
110 : 스피커
112 : 릴레이 그룹
114 : 화재감지센서
116 : CCTV
118 : IPTV
120 : 스마트폰
122 : 통신부

Claims (1)

  1. 시디플레이어, 카세트 데크, 튜너, 무선 마이크, 마이크로폰, 리모우트 앰프를 구비하여 음원을 발생하는 음원발생장치(102)와, 상기 음원발생장치(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원발생장치(102)에서 발생한 음원에 대한 입·출력 채널제어 및 볼륨제어, 출력 스피커의 선택제어를 수행하여 여러 개의 채널로 음원데이터를 출력하는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와,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로부터 여러 개의 채널을 통해 출력된 아날로그(Analog) 음원데이터를 믹싱(Mixing)하고 변환하여, 이를 디지털(Digital) 음원데이터로 분배(Distribution)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매트릭스(106)와, 상기 오디오 매트릭스(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오디오 매트릭스(106)에 의해 분배된 각 분배신호를 각각 증폭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1 이상의 파워 앰프(108)와, 상기 파워 앰프(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각 파워 앰프(108)로부터 출력된 증폭신호를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출력 스피커의 선택제어에 선택된 건물의 복도에 설치된 스피커(110)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릴레이 그룹(112)을 구비하여, 건물에 발생한 화재에 대하여 거주자에게 정확하게 알려주도록 하는 긴급알림용 PA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건물의 복도에 설치되되,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으로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14)와;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건물의 복도에 설치되되,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으로 화재의 긴급상황을 촬영하는 CCTV(116);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건물에 살고 있는 가정집에 설치되되,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CCTV(116)에서 촬영되는 화재의 긴급상황을 거주자에게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해 주는 IPTV(118); 및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거주자의 스마트폰(120)으로 긴급상황(예를 들어, 화재)을 알려 주는 통신부(122)로 구성되어;
    상기 화재감지센서(114)를 통해 감지되는 연기의 감지신호가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로 전송되고,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서 상기 화재감지센서(114)를 통해 감지된 연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화재로 판단하고;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서 화재로 판단될 경우, 상기 IPTV(118)의 채널을 긴급방송 채널로 자동 변경시키고, 상기 IPTV(118)가 오프(OFF)일 경우 자동으로 온(ON)시키며, 볼륨을 자동으로 일정치 이상으로 변경시키며;
    상기 전관방송 제어장치(104)에서 상기 IPTV(118) 또는 스마트폰(120)으로 대피경로를 전송하여 거주자가 신속하게 건물 밖으로 대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알림용 PA시스템.
KR1020130009096A 2013-01-28 2013-01-28 긴급알림용 pa 시스템 KR101400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096A KR101400476B1 (ko) 2013-01-28 2013-01-28 긴급알림용 pa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096A KR101400476B1 (ko) 2013-01-28 2013-01-28 긴급알림용 pa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476B1 true KR101400476B1 (ko) 2014-06-02

Family

ID=5113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096A KR101400476B1 (ko) 2013-01-28 2013-01-28 긴급알림용 pa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4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446B1 (ko) * 2015-04-22 2016-01-26 주식회사 올인원 코리아 원격 방송이 가능한 비상방송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131722B1 (ko) * 2020-03-27 2020-07-08 정병석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096Y1 (ko) * 2003-04-14 2003-09-19 (주)극동네트워크 건물 화재 예방을 위한 원격 통합 자동 감시 시스템
KR20100039757A (ko) * 2008-10-08 2010-04-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감시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감시영상 모니터링 방법
KR101191313B1 (ko) 2011-11-30 2012-10-16 주식회사 인켈피에이 개별 음원출력 제어가 가능한 다원화 방송 시스템
KR20130011887A (ko) * 2011-11-11 2013-01-30 강준희 전관 방송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096Y1 (ko) * 2003-04-14 2003-09-19 (주)극동네트워크 건물 화재 예방을 위한 원격 통합 자동 감시 시스템
KR20100039757A (ko) * 2008-10-08 2010-04-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감시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감시영상 모니터링 방법
KR20130011887A (ko) * 2011-11-11 2013-01-30 강준희 전관 방송 제어 시스템
KR101191313B1 (ko) 2011-11-30 2012-10-16 주식회사 인켈피에이 개별 음원출력 제어가 가능한 다원화 방송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446B1 (ko) * 2015-04-22 2016-01-26 주식회사 올인원 코리아 원격 방송이 가능한 비상방송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131722B1 (ko) * 2020-03-27 2020-07-08 정병석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3902B2 (en) Multi-channel broadcasting system using digital matrix amplif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173588B1 (ko) 시각화 비상방송이 가능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9652961B2 (en) Alarm notifying system
JP2018073227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20180066700A (ko)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US20070096895A1 (en) Mass notification controller system X 4
KR101400476B1 (ko) 긴급알림용 pa 시스템
KR101237414B1 (ko) 영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비상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106754B1 (ko) 비상 사고 방송 안내를 위한 지능형 멀티 인터콤 방송시스템
KR101087290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 무선제어 시스템
KR100883906B1 (ko) 학교 방송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967617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자동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KR101017681B1 (ko)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KR102292427B1 (ko) 잡음에 따른 스피커 출력 조절이 가능한 전관 방송 장치
KR101815648B1 (ko) 구내 방송망을 이용하는 강제방송코드송출기 및 그의 수신기
JP6105341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装置および情報通信端末
KR100585553B1 (ko) 보안감시 시스템
JP2009005284A (ja) 集合住宅セキュリティ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6143923B1 (ja) 防災無線システム
KR101755205B1 (ko) 중 고등 학교 방송 및 소방 시스템
JP2008244954A (ja) セキュリティドアホン装置
JP200905405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インターホン親機
KR102339731B1 (ko) 유료방송 서비스 사업자의 재난정보 송출시스템
KR100917713B1 (ko) 비디오매트릭스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전관방송시스템
JP2013255043A (ja) 告知放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