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681B1 -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681B1
KR101017681B1 KR1020090036084A KR20090036084A KR101017681B1 KR 101017681 B1 KR101017681 B1 KR 101017681B1 KR 1020090036084 A KR1020090036084 A KR 1020090036084A KR 20090036084 A KR20090036084 A KR 20090036084A KR 101017681 B1 KR101017681 B1 KR 10101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main
control device
broadcast
reg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370A (ko
Inventor
권영현
Original Assignee
권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현 filed Critical 권영현
Priority to KR102009003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681B1/ko
Publication of KR20100117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방송을 포함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획된 일정장소(방송실)에 주 방송장치 및 주 제어장치와 이동용방송장치를 구비하고, 다수의 지역에 지역별 방송장치를 구비하며, 주 방송장치가 설치된 일정장소(방송실)에서 주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주 방송장치 및 다수의 지역별 방송장치를 제어하거나 방송 송출하며, 또한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주 방송장치 및 다수의 지역별 방송장치를 제어하여 방송 송출을 자유롭게하며 또한 주 방송 제어장치 및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에서 원격으로 앰프의 방송 음량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상방송, 디지털, 이동용, 앰프

Description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DIGITAL NETWORK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비상방송을 포함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획된 일정장소(방송실)에 주 방송장치 및 주 제어장치와 이동용방송장치를 구비하고, 다수의 지역에 지역별 방송장치를 구비하며, 주 방송장치가 설치된 일정장소(방송실)에서 주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주 방송장치 및 다수의 지역별 방송장치를 제어하거나 방송 송출하며, 또한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주 방송장치 및 다수의 지역별 방송장치를 제어하여 방송 송출을 자유롭게하며 또한 주 방송 제어장치 및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에서 원격으로 앰프의 방송 음량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관공서, 대형 건물 및 독립된 다수의 건물로 구성되는 복합건물 등에, 독립된 다수의 공간을 포함하는 장소에는, 독립된 공간에 분산 설치된 복수의 방송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하나의 장소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시스템이 설치된다.
대형 건물의 수가 증가하는 현재의 추세에서는 이러한 방송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들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공간에 설치되어 음성 등을 출력하는 다수의 방송장치와, 지정된 특정 장소에 설치되며 모든 방송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메인 제어장치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들 중 메인 제어장치는 전체 방송 시스템에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주 방송장치와 전체 방송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지역별 방송장치 각각은, 지역별 방송장치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주 방송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공중에 송출하는 스피커와 스피커에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로컬 앰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송 시스템은, 관리자가 메인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방송실에서만 메인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주 방송장치를 제어할 수 있을뿐, 다수의 지역별 방송장치가 설치된 지역에 나가 방송을 들으면서 메인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없다. 즉, 종래의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는 관리자는 각 다수의 지역별 방송장치가 설치된 공간에서 출력되는 방송을 들으면서 원격으로 앰프의 방송 음량을 자유롭게 조정하며 직접 그 음량 등을 제어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방송 시스템은, 관리자가 각 다수의 지역별 방송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나가, 지역별 방송장치를 통해 출력될 방송 내용을 직접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획된 일정장소에 주 방송장치 및 주 제어장치와 이동용 방송장치를 구비하고, 다수의 지역에 지역별 방송장치를 구비하며, 주 방송장치가 설치된 일정장소에서 주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주 방송장치 및 다수의 지역별 방송장치를 제어하거나 방송 송출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다수의 지역에서 주 방송장치 및 다수의 지역별 방송장치를 제어하여 방송 송출을 자유롭게하며 또한 주 방송 제어장치 및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에서 원격으로 앰프의 방송 음량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독립된 공간에 설치되어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역별 방송장치; 지정된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로 상기 방송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주 방송 제어장치;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독립된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 및 입력된 음성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여 상기 음성이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로 송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음성 또는 상기 방송 신호가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로 송출될 수 있도록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주 제어장치, 이동용 방송 제어장 치, 자가진단 기능을 내장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다양한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과, 관련법령에 적합한 방송을 하며 또한, 주 방송 제어장치 및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에서 원격으로 앰프의 방송 음량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주 제어장치 및 주 방송장치를 통해 각 지역별 방송장치로 전송하는 한편, 디지털 신호로 주 제어장치를 제어하며, 각 독립된 공간에 설치된 각 지역별 방송장치에서는 디지털 신호에 의하여 해당 아날로그 신호를 복조하여 방송함으로, 사용자가 임으로 방송 지역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지역별 방송장치의 제어와 방송 송출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특정 장소(방송실)에 고정 설치되며 모든 지역별 방송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주 방송 제어장치(100), 독립된 공간에 설치되어 주 방송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방송을 출력하는 다수의 지역별 방송장치(200), 지역별 방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독립된 공간에 설치되어 주 방송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300) 및 음성 또는 주 방송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주 방송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400)를 포함한다.
주 방송 제어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 장소(방송실)에 고정 설치되어 모든 지역별 방송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 방송 제어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직접 제어신호를 입력받거나,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주 방송 제어장치는, 방송장치 및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50), 다양한 방송신호를 다수의 지역별 방송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주 방송장치(150) 및 주 방송장치와 지역별 방송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주 제어장치(170)를 포함한다.
주 제어장치(170)는 다수의 지역별 방송장치를 통해 방송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주 방송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10),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120), 주 제어장치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30)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10)는 다양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어 주 제어장치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사용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램프,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 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부는 비상상황인 경우에 방송장치로 출력될 비상방송 내용을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모든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 방송 장치(160)는 지역별 방송장치에서 출력될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인터페이스(150)는 주 제어장치와 주 방송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주 제어장치 또는 주 방송장치가, 각 독립된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지역별 방송장치들 또는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주 방송 제어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AC 전원으로 구동되는 것이나,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들을 AC 또는 DC 겸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역별 방송장치(200) 및 주 방송 제어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에는,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어오면, 주 제어장치의 제어부(140)는 비상상황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모든 구성요소들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비상시 AC 전원이 단절되더라도 소방 법령에 의한 법정 방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 방송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주 방송장치(16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 방송장치(160)는 지역별 방송장치(200)로 방송될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음성을 입력받 기 위한 음성 수신기(163), 카메라,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등과 같은 영상 재생 장치로 구성되어 다양한 영상을 입력받기 위한 영상 수신기(162) 및 TV 방송 수신기, 케이블 방송 수신기, 위성 방송 수신기 등으로 구성되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다양한 방송을 입력받기 위한 방송 수신기(1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주 방송장치에는 프리앰프, 파워앰프 등이 구비되어 있어서, 음성 수신기, 영상 수신기 또는 방송 수신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의 크기를 증폭시켜 지역별 방송장치(200)로 송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앰프는, 디지털 앰프 또는 아나로그 앰프로 구성될 수 있는데, 디지털 앰프의 경우는 방송실에서 사용자가 주 방송장치를 직접 제어하는 방법 또는 이하에서 설명될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에 의해 직접 반응하여 음성의 크기를 증폭시켜 지역별 방송장치로 송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아나로그 앰프인 경우에는 방송실에서 사용자가 주 방송장치를 직접 제어하는 방법에 의해서는 구동이 가능하나,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에 의해서는 구동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 방송 장치(160)에서 사용되는 앰프가 아나로그 앰프(160c)인 경우에도,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방송 장치(160)에 아나로그 입력기(160a) 및 디지털 입력기(160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방송실에서 직접 주 방송 장치의 아나로그 앰프(160a)를 제어 하여 비상방송 등의 출력시에 음성의 크기를 보다 크게 증폭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아나로그 입력기(160a)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방송실이 아닌 독립된 공간에서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아나로그 앰프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를 전송한 경우, 주 제어장치(170)의 제어부(140) 또는 주 방송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온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를 디지털 입력기(160c)로 전송한다. 이때, 디지털 입력기(160c)는 전송되어온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를 아나로그 앰프(160c)에서 사용가능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아나로그 앰프(160c)로 입력시킴으로써, 아나로그 앰프가 음성을 증폭시켜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주 방송 장치에 적용되는 앰프가 아나로그 앰프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지역별 방송 장치(200)에도 앰프가 구비되어, 입력된 음성을 증폭시킬 수 있는데, 지역별 방송 장치에 적용되는 앰프가 아나로그 앰프인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아나로그 입력기 및 디지털 입력기를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아나로그 앰프 제어신호 또는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 모두에 의해 음성을 증폭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역별 방송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지역별 방송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역별 방송장치(200)는 독립된 공간에 설치되어 주 방송 제어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방송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 방송장치에서 송출된 방송 신호 중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기(210) 및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영상 출력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음성 출력기(210)는 스피커와 앰프로 구성되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며, 영상 출력기는 다양한 디스플레이(모니터)로 구성되어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음성 출력기와 영상 출력기는 독립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하나의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지역별 방송장치(200)가 주 방송장치로부터 전송된 방송신호만을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지역별 방송장치(200)는 주 방송장치에서와 같이 음성 수신기, 영상 수신기 또는 방송 수신기를 독립적으로 포함하고 있어서, 지역별 방송장치 자체적으로도 방송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지역별 방송장치(200)들은 주 방송 제어장치(100)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나, 각각의 지역별 방송장치(200)가 음성 수신기, 영상 수신기 또는 방송 수신기를 이용하여 개별적인 방송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지역별 방송장치에 사용되는 앰프가 아나로그 앰프인 경우에는, 아나로그 입력기 및 디지털 입력기를 구비함으로써, 아나로그 앰프 제어신호 및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 모두에 반응하여 음성을 증폭시켜 출력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액세스 포인트(3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300)는, 지역별 방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독립된 공간에 설치되어 주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잭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선 네트워크 연결기(310),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와 무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320) 및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 신호를 주 방송 제어장치로 중계하기 위한 네트워크 중계기(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선 네트워크 연결기(310)는 인터페이스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선의 끝단에 형성되어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에 장착되는 잭이다. 즉, 유선 네트워크는 어떠한 신호도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주 방송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따라서, 유선 네트워크 연결기와 연결되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는 주 방송 제어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이 탑재되어 있어야 한다.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320)는 주 방송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선의 끝단에 형성되어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즉,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는 단순히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주 방송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와 연결되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는 주 방송 제어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이 탑재되어 있어야 한다.
네트워크 중계기(330)는 컴퓨터 또는 PDA 등과 같이 주 방송 제어장치와 통 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한 모듈로서,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와도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중계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주 방송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유선 네트워크 연결기(3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3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네트워크 중계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네트워크 중계기와만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주 방송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을 탑재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서, 네트워크 중계기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 신호를 주 방송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300)는 지역별 방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독립된 공간에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지역별 방송장치(200)와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에서 주 방송 제어장치(100)로 전송된 제어신호는 주 제어장치(100)를 통해 주 방송장치(160)로 전송되어 주 방송장치 또는 지역별 방송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으나, 직접 주 방송장치로 전송되어 주 방송장치 또는 지역별 방송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주 방송 제어장치로 전송된 음성 역시 주 방송장치에서 증폭된 후 지역별 방송장치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4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400)는, 음성 또는 주 방송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주 방송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410), 마이크로 구성되어 사용자로부터 방송용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기(430), 주 방송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신호 입력기(440),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들 또는 주 방송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온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기(450),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주 방송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온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기(460)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성 입력기(430)는 사용자로부터 방송용 음성 또는 방송을 위한 테스트용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마이크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음성 입력기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착탈이 가능한 형태(착탈형)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신호 입력기(4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주 방송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기(45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의 특성상,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이용할 수 있어야 함으로, 그 크기가 작 아야 하며, 따라서, 작은 크기로 다양한 정보들을 입출력 받을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출력기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어신호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신호 입력기(440)와 출력기(45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한편, 다양한 정보들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저장기(460)와 제어기(4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거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41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하여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5에 도시된 인터페이스(41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인터페이스(41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세스 포인트의 유선 네트워크 연결기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선 송신기(411),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412), 네트워크 중계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즉, 유선 송신기(411)는 유선 네트워크 연결기(31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자체적으로 주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며, 무선 송신기(412)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320)를 중계기로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주 방송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한편, 입출력 인터페이스(413)는 단순히 제어신호 또는 음성을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 중계기로 전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뎀과 같은 장치가 탑재되어 있지 않다. 즉,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중계기(330)를 단순히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의 하나의 구성요소로 판단하여 각종 정보를 유선을 통해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이며, 실질적으로는, 네트워크 중계기가 주 방송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들을 송수신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13)가 네트워크 중계기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역시, 블루투스와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중계기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일뿐, 주 방송 제어장치와의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장치들이 탑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신호를 직접 주 방송 제어장치로 전송할 수는 없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유선 송신기, 무선 송신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개별적으로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의 인터페이스에 장착되어 이용될 수도 있으나, 모두 인터페이스에 장착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가 주 방송 제어장치로 전송되는 경우만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주 방송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와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동 방송 제어장치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이 동작되는 방법의 일실시예가 설명된다.
먼저, 사용자는 주 방송 제어장치(100)에 포함되어 있는 주 제어장치(170)의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주 제어장치, 주 방송장치, 지역별 방송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주 방송장치(160)를 통해 방송 신호를 입력시킨 후 지역별 방송장치(200)로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현재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는 직접 지역별 방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독립된 공간에 나아가 방송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방송 상태를 확인하면서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400)로 음성 또는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의 음성 입력기(430)를 통해 직접 음성을 입력한 후 지역별 방송장치(20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들으면서, 주 방송장치 또는 지역별 방송장치의 음량 크기 등을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방송 상태의 테스트를 위한 용도로만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는 각 독립 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지역별 방송장치로 방송을 하기 위하여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방송을 위한 음성을 직접 입력하여 주 방송장치 및 지역별 방송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도 있으며, 주 방송장치를 제어하여 원하 는 방송 신호가 지역별 방송장치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주 제어장치(170) 및 주 방송장치(160) 또는 지역별 방송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들을 AC 또는 DC 겸용으로 구성하는 한편, 각 구성요소들에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시킴으로써, 비상상황 발생 시 주 제어장치(170)에 의해 자동으로 AC 전원이 DC 전원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비상시 AC 전원이 단절되더라도 소방 법령에 의한 법정 방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 제어장치의 제어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센서뿐만 아니라, 별도의 신호라인을 통해 비상상황을 인식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전원을 DC 전원으로 자동 전환시키는 한편, 주 방송장치를 통해 지역별 방송장치로 출력되는 방송 신호의 송출을 차단하고,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비상방송을 지역별 방송장치로 송출시킴으로써, 소방법령에 적합한 방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는 송출되는 방송 신호 또는 비상방송의 음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비상 내용을 상기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방송실이 아닌 독립된 공간에 나가있는 사용자가 비상상황을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비상상황을 인지한 사용자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를 통해 주 제어장치 또는 주 방송장치를 직접 제어하여, 비상방송을 지역별 방송장치로 송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주 제어장치, 주 방송장치 또는 지역별 방송장치들은 자가 진단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서, 현재 전송되고 있는 방송 신호 또는 기기 자체의 동작을 감시하여 이상 발생 시 주 제어장치의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는 이 상 발생 여부를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하거나,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어디에 있더라도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비상방송과 마찬가지로 주 제어장치 또는 주 방송장치를 제어하여 이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비상상황 또는 이상 발생 시, 동작되지 않는 지역별 방송장치 및 동작 가능한 지역별 방송장치를 검출하여, 동작 가능한 지역별 방송장치로 비상방송을 송출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 방송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역별 방송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 제어장치 200 : 다수의 방송장치
300 :액세스 포인트 400 :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

Claims (12)

  1. 독립된 공간에 설치되어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역별 방송장치;
    지정된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로 상기 방송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주 방송 제어장치;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독립된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 및
    입력된 음성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여 상기 음성이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로 송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음성 또는 상기 방송 신호가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로 송출될 수 있도록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는,
    마이크로 구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기;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신호 입력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음성 또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기; 및
    상기 인터페이스, 음성 입력기, 제어신호 입력기, 출력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는,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 및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송신호들을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주 방송장치; 및
    상기 주 방송장치와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주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장치, 주 방송장치 또는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는 AC 또는 DC 겸용으로 구성되며,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주 제어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주 제어장치, 주 방송장치 또는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는,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의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이상이 발생된 경우, 상기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로 이상 발생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는,
    화재를 포함하는 비상상황 발생시에,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차단하고, 비상방송을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로 송출하며, 비상 내용을 상기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 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상기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잭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선 네트워크 연결기,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상기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와 무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 상기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음성 또는 제어 신호를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로 중계하기 위한 네트워크 중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입력기 및 출력기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유선 송신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송신기,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음성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송신기는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와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고, 상기 무선 송신기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와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며,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와는 통신이 불가능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만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방송 장치는,
    아나로그 앰프 또는 디지털 앰프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으며, 아나로그 앰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아나로그 앰프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아나로그 앰프로 전송할 수 있는 아나로그 입력기 및 상기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아나로그 앰프로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입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방송 제어장치 또는 상기 지역별 방송장치에는, 입력된 음성을 증폭하는 아나로그 앰프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아나로그 앰프는 상기 이동용 방송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을 증폭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KR1020090036084A 2009-04-24 2009-04-24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KR10101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084A KR101017681B1 (ko) 2009-04-24 2009-04-24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084A KR101017681B1 (ko) 2009-04-24 2009-04-24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370A KR20100117370A (ko) 2010-11-03
KR101017681B1 true KR101017681B1 (ko) 2011-02-28

Family

ID=4340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084A KR101017681B1 (ko) 2009-04-24 2009-04-24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6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021B1 (ko) * 2014-02-18 2014-08-21 정성길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KR101649171B1 (ko) * 2016-06-30 2016-08-19 주식회사 지브이코리아 복수의 스피커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
CN116455496A (zh) * 2023-02-17 2023-07-18 广州市迪士普音响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音量控制器、网络广播系统及音量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851A (ko) * 2003-08-11 2005-02-23 주식회사 엑사텔레콤 액세스포인트 장치 및 이를 위한 원격설정 방법
KR200434460Y1 (ko) * 2006-09-20 2006-12-21 주식회사 케이이앤티 유선방송망을 이용한 원격제어 행정방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851A (ko) * 2003-08-11 2005-02-23 주식회사 엑사텔레콤 액세스포인트 장치 및 이를 위한 원격설정 방법
KR200434460Y1 (ko) * 2006-09-20 2006-12-21 주식회사 케이이앤티 유선방송망을 이용한 원격제어 행정방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370A (ko)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8930B2 (ja) 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用通信システム
KR100587966B1 (ko) 중앙관제 방식의 파워앰프장치
KR100983334B1 (ko) 무선 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제어 장치
WO2012067436A2 (ko) 디지털 매트릭스 앰프를 이용한 다원화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46964B1 (ko) 실시간 pc 자가 진단을 이용한 방송의 상태 및 고장 유무의 판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KR101476778B1 (ko) 마을 방송 시스템
KR101017681B1 (ko)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KR101007319B1 (ko) 화재지역 통지용 방송 장치
KR100872868B1 (ko) 방송장비의 상호간 이상 체크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구내방송장치
KR20130121394A (ko) 무전기를 이용한 원격 안내방송 시스템
KR100923487B1 (ko) 화재감지수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관방송시스템
KR102145771B1 (ko)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0417495B1 (ko)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스피커 및 앰프 제어구조를 갖는방송시스템
KR100974524B1 (ko)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
KR101087290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 무선제어 시스템
KR100883906B1 (ko) 학교 방송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894748B1 (ko) 로컬용 오디오 앰프 시스템
KR101151626B1 (ko) 통합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합 제어 시스템
KR101866278B1 (ko) 다중제어 음향시스템
KR20100128201A (ko)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
KR20130060781A (ko) 파워앰프와 스피커간의 풀 매트릭스 방식을 이용한 다중화 방송 시스템
JP2011175554A (ja) 自動火災報知設備の動作試験装置及び動作試験方法
KR102047076B1 (ko)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427297Y1 (ko) 양방향 구내 방송용 제어장치
KR102033015B1 (ko) 전관방송시스템의 릴레이그룹 배선 자동 감지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