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021B1 -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021B1
KR101432021B1 KR1020140018586A KR20140018586A KR101432021B1 KR 101432021 B1 KR101432021 B1 KR 101432021B1 KR 1020140018586 A KR1020140018586 A KR 1020140018586A KR 20140018586 A KR20140018586 A KR 20140018586A KR 101432021 B1 KR101432021 B1 KR 101432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sub
signal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길
강준희
Original Assignee
정성길
강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길, 강준희 filed Critical 정성길
Priority to KR1020140018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디지털듀얼원격앰프(digital dual remote amp, 10)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듀얼원격앰프(digital dual remote amp, 10) 각각으로부터 대응하는 수의 우선순위가 정해진 신호가 데이터방식(data type)으로 송출되는 원격제어부(A); 시스템중앙제어기(main control & matrix, 20)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제어부(A)로부터 다수개의 신호를 수신하는 중앙제어부(B); 오디오엔매트릭스(audio & matrix, 3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부(B)로부터 다수개의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제어부(C); 상기 오디오제어부(C)로부터 다수개의 신호를 수신하는 앰프(D); 상기 다수개의 신호 상호간에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최선순위 신호만 전달하는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 및,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로부터 최선순위 신호만 수신하는 스피커(F);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중앙제어부(B)와 상기 오디오제어부(C) 그리고 상기 앰프(D)는 우선순위를 정해 병렬로 구성된 제1중앙송신부(M1) 및 제2중앙송신부(M2)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 및 상기 스피커(F)는 메인지역수신부(MR)에 구성되어,
최선순위의 상기 제1중앙송신부(M1)의 신호가 단절되는 비상시에 차순위의 상기 제2중앙송신부(M2)의 신호만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에서 상기 스피커(F)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the unbroken status propag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parallel multi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특히 군대에서 통신망을 예비적으로 병렬식 구성하여 일부 선로가 단절되는 상황에도 수신부에 통신을 전달하기 위한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신 및 방송시스템은 1개의 송신부에서 1개의 선로로 수신부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1개의 선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통신 및 방송이 단절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군대나 공항 또는 지하철과 같은 특수지역에서 비상시 선로단절로 인한 통신불능 상태는 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예비적으로 다수개의 통신망을 병렬로 구성하여 일부 통신망의 단절이 발생하는 비상시에도 다른 통신망이 작동하므로 수신부에 정확히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8-041592호 ‘데이터통신시스템의 중단없는 기능수행을 위한 프로그래밍 방법’, 1998.08.17.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7-0072725호 ‘수신장치, 수신방법 및 통신시스템’, 1997.11.0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군대나 공항 또는 지하철과 같은 특수지역에서 비상시 선로단절로 인한 통신불능 상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예비적으로 다수개의 통신망을 병렬로 구성하여 일부 통신망의 단절이 발생하는 비상시에도 다른 통신망이 작동하므로 수신부에 정확히 신호를 전달하는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개의 디지털듀얼원격앰프(digital dual remote amp, 10)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듀얼원격앰프(digital dual remote amp, 10) 각각으로부터 대응하는 수의 우선순위가 정해진 신호가 데이터방식(data type)으로 송출되는 원격제어부(A); 시스템중앙제어기(main control & matrix, 20)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제어부(A)로부터 다수개의 신호를 수신하는 중앙제어부(B); 오디오엔매트릭스(audio & matrix, 3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부(B)로부터 다수개의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제어부(C); 상기 오디오제어부(C)로부터 다수개의 신호를 수신하는 앰프(D); 상기 다수개의 신호 상호간에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최선순위 신호만 전달하는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 및,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로부터 최선순위 신호만 수신하는 스피커(F);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중앙제어부(B)와 상기 오디오제어부(C) 그리고 상기 앰프(D)는 우선순위를 정해 병렬로 구성된 제1중앙송신부(M1) 및 제2중앙송신부(M2)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 및 상기 스피커(F)는 메인지역수신부(MR)에 구성되어,
최선순위의 상기 제1중앙송신부(M1)의 신호가 단절되는 비상시에 차순위의 상기 제2중앙송신부(M2)의 신호만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에서 상기 스피커(F)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군대나 공항 또는 지하철과 같은 특수지역에서 비상시 선로단절로 인한 통신불능 상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예비적으로 다수개의 통신망을 병렬로 구성하여 일부 통신망의 단절이 발생하는 비상시에도 다른 통신망이 작동하므로 수신부에 정확히 신호를 전달하는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은 다른 방식으로 표현한 전체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서 원격제어부, 제1중앙송신부 및 제2중앙송신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 및 2에서 메인지역수신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1 및 2에서 백업중앙송신부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1 및 2에서 제1서브지역송신부 및 제2서브지역송신부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1 및 2에서 서브지역수신부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1 및 5에서 서브지역수신부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지털듀얼원격앰프(digital dual remote amp)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격인터페이스(remote interface)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시스템중앙제어기(main control & matrix)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오디오엔매트릭스(audio & matrix)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멀티포트커뮤니케이션(multi port communication)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서지인터베이스(surge interface)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로컬데이터셀렉터(local data selector)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릴레이그룹엔메트릭스(relay group & matrix)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긴급원격인터페이스(emergency remote interface)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신호수신인터페이스(signal receive interface)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피커 주/예비절체기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피커 선로차단기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은 다른 방식으로 표현한 전체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 및 2에서 메인지역수신부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디지털듀얼원격앰프(digital dual remote amp, 10)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듀얼원격앰프(digital dual remote amp, 10) 각각으로부터 대응하는 수의 우선순위가 정해진 신호가 데이터방식(data type)으로 송출되는 원격제어부(A); 시스템중앙제어기(main control & matrix, 20)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제어부(A)로부터 다수개의 신호를 수신하는 중앙제어부(B); 오디오엔매트릭스(audio & matrix, 3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부(B)로부터 다수개의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제어부(C); 상기 오디오제어부(C)로부터 다수개의 신호를 수신하는 앰프(D); 상기 다수개의 신호 상호간에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최선순위 신호만 전달하는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 및,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로부터 최선순위 신호만 수신하는 스피커(F);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중앙제어부(B)와 상기 오디오제어부(C) 그리고 상기 앰프(D)는 우선순위를 정해 병렬로 구성된 제1중앙송신부(M1) 및 제2중앙송신부(M2)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 및 상기 스피커(F)는 메인지역수신부(MR)에 구성되어,
최선순위의 상기 제1중앙송신부(M1)의 신호가 단절되는 비상시에 차순위의 상기 제2중앙송신부(M2)의 신호만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에서 상기 스피커(F)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도 1 및 2에서 원격제어부, 제1중앙송신부 및 제2중앙송신부의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1 및 2에서 제1서브지역송신부 및 제2서브지역송신부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지털듀얼원격앰프(digital dual remote amp)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군대의 통신체계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디지털듀얼원격앰프(digital dual remote amp, 10)는 예비공작과, 예비기작과, 공작과, 기작과, 정훈실, 무선반, PC TIMER/TTS(ext to speech) TIMER, 일반방송 순으로 우선순위를 정하여 나뉘어 우선순위가 정해진 신호가 데이터방식(data type)으로 송출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에서 필터링되어 메인지역수신부(MR)에는 최선순위 신호만 수신된다. 만약 상기 최선순위 신호가 단절되거나 신호가 없을 경우 다음 차선순위 신호가 메인지역수신부(MR)에 수신된다.
각각의 장비는 PC 또는 스마트폰 등의 원격제어장비로 제어되며, 각각의 동작상태가 연결된 모니터를 포함한 GUI로 구현되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장비로 제어되는 항목과 상기 GUI로 구현되어 확인되는 사항을 예로 들면,
- 서브지역의 통신상태
- 스피커 선로차단기(W) 동작상태
- 각 지역의 릴레이그룹엔메트릭스(relay group & matrix) 동작상태
- 볼륨조절
- 동작상태의 서버를 통한 휴대폰 문자전송 및 메일전송
- 서버를 통한 스마트폰의 제어
등이다.
이때, 각각의 장비의 동작상태의 디지털신호를 GUI에서 아날로그이미지로 바꾸어 사용자의 인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스피커 선로차단기(W)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스피커 선로차단기(W)는 기존의 뇌우절체기와 다르게 중앙의 암이 하부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하며 접속한다.
이와 같은 접속상태를 사용자에게 불빛의 색 등으로 전달하는 종래의 방식에서 벗어나 본 발명은 장비에 센서를 탑재하여 각 단계별로 이미 촬영된 사진을 사용자에게 접속상태에 따라 보여주거나, 아날로그이미지로 구현된 그래픽을 사용자에게 접속상태에 따라 보여주어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온오프 등 접속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리모트앰프는 422방식을 포함한 UART방식과 이더넷방식 등 형식의 구애없이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듀얼원격앰프(digital dual remote amp, 10)의 권장되는 사양은 다음과 같다.
(1) 기능
- 본 기기는 system에서 지역을 선택하여 Chime, Siren, Mic 방송을 하기 위한 장비이다.
- 본 기기는 Remote interface unit와 접속되어 동작되어야 한다.
- 본 기기는 전면 판의 지역 선택 스위치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 지역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선택되어진 상태를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 본 기기는 음량을 확인할 수 있는 Level meter를 구비하여야 한다.
- 본 기기는 개별 매크로 기능의 32개 방송 선택용 스위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 본 기기는 선택 상태확인용 LED 주32개 예비32개 구비하여야 한다.
- 본 기기는 방송 예고음인 Chime과 비상방송용인 Siren을 내장하고 있어야 한다.
- 본 기기는 비상방송 선택용 스위치를 구비하여야한다.
(2) 기기 특성
- 통신방식: 주/RS-422 예비/RS-422
- DISPLAY: 주32CH(RED) 예비32CH(YEL)
- Audio matching: 600Ω, 0dBm, Balanced Output
- Frequency Response: 50 - 15000 Hz
- Power Supply: Adaptor(DC 15V 1A) 사용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격인터페이스(remote interface)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원격인터페이스(remote interface, 20)는 선순위 신호가 정상작동 후 오류로 인해 오프(off)되지 않는 비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후순위 신호 작동을 위해 상기 선순위 신호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인터페이스(remote interface, 20)의 권장되는 사양은 다음과 같다.
(1) 기능
본 기기는 DIGITAL 원격제어 장비(REMOTE AMP)을 주장비와 연동 할 수 있어야한다.
- 8 CHANNEL입력에 대해 우선순위 및 DATA 오류를 보정하여야 한다.
- PROGRAM내에 자체 점검 SYSTEM 구성으로 장비의 이상 유무를 알 수 있으며 조작은 간편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 설치 시 8채널 이상으로 확장하고자 할 경우에 필요한 확장용 연결 단자로서 확장 입력, 출력을 계속 링크(link)시켜 사용 가능하다. (장비 최대3대)
(2) 기기특성
- COMMUNICATION PORT : RS422
- INDICATOR : RX, TX
- INPUT IMPEDANCE : LINE 0db /600Ω BALANCED
- OUT IMPEDANCE : LINE 0db /600Ω BALANCED
- FREQUENCY : 60Hz ~ 15KHz
- 사용전압 : DC 24V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시스템중앙제어기(main control & matrix)를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시스템중앙제어기(main control & matrix, 20)의 권장되는 사양은 다음과 같다.
(1) 기능
본 기기는 디지털 제어방식으로 PC에 의해 장비 환경 설정 및 DATA BANK Setting 가능하여야 한다.
릴레이그룹 일반단자/비상단자를 연결 할 수 있으며, 통신 RS-232C 단자를 이용 디지털 릴레이 그룹과도 연결 가능하다.
리모트 및 Fire 매크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비상 판넬과 릴레이 그룹과 연결하여 사용하며, 일반방송중이라도 원격 및 비상 신호가 입력되면 우선순위에 의해 비상방송 및 원격방송으로 전환할 수 있어야 한다.
장비전원 또는 제어 이상 시에는 화재센서 연동하여 릴레이 접점출력 될 수 있어야 한다.
비상 및 화재발생시 일반방송중이라도 비상방송 스피커 선로를 제어할 수 있도록 2선식 및 3선식 방송이 가능하여야 한다. 16회선 초과 시 회선확장이 용이하도록 연결단자가 있어야 한다.
비상 셀렉터, 스피커 셀렉터 , 메트릭스 , 타이머 입력제어를 기능 갖추고 있어 방송 하고자 하는 신호를 쉽게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입력 채널마다 외부 장비 제어를 위한 리모트접점출력 제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접점 입력 및 출력에 대한 자가점검 기능이 있어야 한다.
(2) 기기특성
- 릴레이 그룹 제어 회선수 : 16회선
- Program Exchange Mode: 5
- 우선순위 : Emergency
Timer
Remote 1
Remote 2
DATA > NOR
- Indicator : 5 Mode
ES-16CH(RED),PS-16CH(GREEN)
- 통신방식 : RS-232/4PORT
- 입력접점 : 16CH(REMOTE1),16CH(REMOTE2),16CH(화재)
- 리모트접점출력 : 4CH
- 사용전압 : DC 24V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오디오엔매트릭스(audio & matrix)를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오디오엔매트릭스(audio & matrix, 30)의 권장되는 사양은 다음과 같다.
(1) 기능
본 기기는 8 X 8 MATRIX로 음원을 8개의 입력에 대해 서 믹싱이 가능 하여야한다. 또한 VOLUME과 TONE 에 대한 CONTROL을 PC 통신에 의해 조정 및 자체 조작이 가능하여야 한다.
- 각 CHANNEL은 선택된 입력 상태를 표시 가능하여야 한다.
- 모든 기능에 대한 CONTROL은 전면 Character LCD에 의해 가능하여야 하며 또한 통신을 통한 자동 제어도 가능하여야 한다.
(2) 기기특성
- COMMUNICATION PORT : RS232
- DISPLAY : CHARACTER LCD
- INDICATOR : 64
- 입력 제어 접점 : 1EA(EM)
- INPUT IMPEDANCE MIC(CH1,2) : MIC -50db /600Ω BALANCED
- INPUT IMPEDANCE AUX(CH3~8) : AUX -10db /47kΩ BALANCED
- LINE OUT IMPEDANCE : LINE 0db /600Ω BALANCED
- FREQUENCY : 60Hz ~ 15kHz
- T.H.D : 0.2% 이하
- S/N : 65db 이상
- 사용전압 : DC 24V
도 1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멀티포트커뮤니케이션(multi port communication)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멀티포트커뮤니케이션(multi port communication)의 권장되는 사양은 다음과 같다.
(1) 기능
- 본 유닛은 MAIN CONTROLLER의 command data를 주변장치와 serial통신을 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MAIN CONTROLLER에서 전송된 command data를 serial communication port를 통하여 주변기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기기특성
- 제어방식 : Programed control method
- 통신 port : 4 CH
- Maximum Data Packet : 256 Byte (Port 별)
- 통신방식 : RS-232 비동기 통신방식
- 통신속도 : 9600bps
- Data format : 1 start bit, 8 data bit , 1 stop bit
- Display : TXD - 4EA, RXD - 4EA
- POWER SUPPLY : DC 24V
도 3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은 상기 제1중앙송신부(M1)에 구성된 상기 오디오제어부(C)에는 별도의 제1서브지역송신부(SG1);가 그리고 상기 제2중앙송신부(M2)에 구성된 상기 오디오제어부(C)에는 별도의 제2서브지역송신부(SG2);가 연결되고,
상기 제1서브지역송신부(SG1) 및 상기 제2서브지역송신부(SG2)는 서브지역수신부(SR);에 연결되되,
상기 제1서브지역송신부(SG1) 및 상기 제2서브지역송신부(SG2) 각각은 서지인터베이스(surge interface, 40)와 멀티포트커뮤니케이션(multi port communication, 50) 그리고 오디오엔매트릭스(audio & matrix, 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서브지역송신부(SG1) 및 상기 제2서브지역송신부(SG2)는 우선순위가 정해진 다수개의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서브지역수신부(SR)는 우선순위에 따라 최선순위 신호만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서지인터베이스(surge interface)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서지인터베이스(surge interface, 40)의 권장되는 사양은 다음과 같다.
(1) 기능
- 본 유닛은 PC command data를 스피커 선로차단기와 serial통신을 하여 분석된DB를 상태표시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PC에서 전송된 command data를 serial communication port를 통하여 스피커 스피커 선로차단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기기특성
- 제어방식 : Programed control method
- 통신 port : 4 CH
- Maximum Data Packet : 256 Byte (Port 별)
- 통신방식 : RS-232 비동기 통신방식
- 통신속도 : 9600bps
- Data format : 1 start bit, 8 data bit , 1 stop bit
- Display : TXD - 4EA, RXD - 4EA, FAIL -4EA
- POWER SUPPLY : DC 24V
도 5는 도 1 및 2에서 백업중앙송신부의 상세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은 비상중앙제어부(B`)와 오디오제어부(C`) 그리고 앰프(D`)가 차례로 구성된 별도의 백업중앙송신부(MP);가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비상중앙제어부(B`)는 상기 원격제어부(A)로부터 우선순위가 정해진 상기 신호를 아날로그방식(analog type)으로 수신하며 상기 앰프(D`)는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로 상기 신호를 송신하되,
상기 제1중앙송신부(M1) 및 상기 제2중앙송신부(M2)의 신호가 단절되는 비상시에 차순위의 상기 백업중앙송신부(MP)의 신호만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에서 상기 스피커(F)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도 1 및 2에서 제1서브지역송신부(SG1) 및 상기 제2서브지역송신부(SG2)의 신호를 받는 서브지역수신부의 상세도이고, 도 8은 도 1 및 5에서 백업중앙송신부(MP)의 신호를 받는 서브지역수신부의 상세도이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지역수신부(SR)는 상기 제1서브지역송신부(SG1) 및 상기 제2서브지역송신부(SG2)의 신호가 단절되는 비상시에 차순위의 상기 백업중앙송신부(MP)의 신호만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로컬데이터셀렉터(local data selector)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로컬데이터셀렉터(local data selector)의 권장되는 사양은 다음과 같다.
(1) 개요
-본 기기는 방송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통신이상을 감시하여 자동으로 데이터 선로를 절환 하는 기능이다.
-본 기기는 주/예비 통신에서 정상 수신된 채널의 오디오를 출력하여야한다.
-본 기기는 CRC 체크 기능을 사용 할 수 있어야 하며 패킷 단위로 송, 수신을 하여야 한다.
(2) 기기제원 및 특성
- 주/예비 제어 입, 출력 회선 : RS-232
- 통신 방식 : Async , 8bit , 1 Stop bit, Non-Parity
9600 BPS
- 최대 통신 패킷 : 250 byte
- 음원 전송 : 600ohm Balanced 0dbm 3CCT
- DISPLAY : TXD, RXD,
- 사용 전원 : DC24V
도 1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릴레이그룹엔메트릭스(relay group & matrix)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릴레이그룹엔메트릭스(relay group & matrix)의 권장되는 사양은 다음과 같다.
(1) 기능
- 본 기기는 접점제어 및 RS-232 통신 이용하여 DATA PROCESSOR의 SERIAL DATA를 받아 NORMAL 및 EMERGENCY RELAY 구동하여 SPEAKER LINE에 SOURCE 를 ON/OFF 통제 하는 기기로 출력은 MATRIX 기능을 가져야 하며 2선식 및 3선식 선로제어 할 수 있어야 한다.
- MATRIX 자동/수동 설정 및 SPEAKER LINE에 SOURCE 를 ON/OFF 동작이 가능하여야 하며 다음의 전기적 특성을 가진다.
(2) 기기특성
- 증폭기 입력 수 : 8 EA
- Normal 스피커 선로 수 : 16 EA
- EM 스피커 선로 수 : 16 EA
- Data port : 9600bps
- DISPLAY : AMP 7Segment X 16CH ,LED NOR 16CH
- 수동 제어 방송 신호 수신 : 1회로
- POWER SUPPLY : DC 24V
도 1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긴급원격인터페이스(emergency remote interface)를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긴급원격인터페이스(emergency remote interface)의 권장되는 사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능
- EMERGENCY REMOTE INTERFACE는 8입력된 신호의 우선순위를 정해놓고 우선순위가 늦은 신호를 차단 우선채널을 출력하는 장비이다.
- 접점에 의해 우선순위를 제어 한다
- SIGNAL 제어 시 (무 접점)출력 내장하고 있어야 한다.
- 채널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LED로 표시한다.
(2) 기기특성
- AUDIO 입력 PORT : 8 CH , 1CH MANUAL
- 제어 접점입력 : 8 CH , 1CH MANUAL
- 무 접점 제어 출력 : 1 PORT
- AUDIO IN/OUT IMPEDANCE : 600Ω/BALANCED, 600Ω/UNBALANCED
- AUDIO IN 단자 : 8CH
- AUDIO OUT 단자 : 600Ω/ BALANCED
- 동작전원 : DC 24V
도 1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신호수신인터페이스(signal receive interface)를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신호수신인터페이스(signal receive interface)의 권장되는 사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능
- LOCAL AREA CONTROLLER는 VOICE SIGNAL에 의한 우선동작이 가능하여야 한다.
- VOICE SIGNAL에 의한 각 장비를 연동할 수 있도록 제어 출력 PORT(무접점)를 내장하고 있어야 한다.
- 별도의 REMOTE AMP를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제어는 1PORT)
- 입력 VOICE의 레벨에 따른 작동이 원할 하도록 입력 SIGNAL의 레벨크기에 따른 장비 동작상태를 조절 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장되어야 한다.
- 자체지역 동작인지 원격제어에 의한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LED로 표시한다.
(2) 기기특성
- 입력 PORT: LOCAL-1CH , 원격-1CH, VOX-1CH
- 무접점 제어 출력: 2 PORT
- AUDIO IN/OUT IMPEDANCE: 600Ω/BALANCED, 1.5kΩ/UNBALANCED
- AUDIO IN 단자: LOCAL-1CH , 원격-1CH, VOX-1CH
- AUDIO OUT 단자: 1CH, 600Ω/ BALANCED
- 동작전원: DC 24V
도 1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피커 주/예비절체기를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의 권장되는 사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능
- 본 기기는 대단위 방송 자동화를 위한 MASTER / SLAVE 선로를 선택하여 방송하는 장비이다.
- 본 기기는 REMOTE 접점 제어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수동으로 EM/ 주/ 예비 선로의 전환을 제어 할 수 있어야 한다.
- EM/ 주/ 예비 선로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LED로 표시한다.
(2) 기기특성
- 입력 단자 : MASTER 16CCT, SLAVE 16CCT, EM 16CCT
- 출력 단자 : 16CCT
- 제어 모드 : VOX OR CURRENT CONTROL
- DISPLAY : LED, EM/ MASTER/ SLAVE
- CONTROL SWITCH : EM/ 주/ 예비 설정 스위치
- 동작전원 : DC 24V
도 2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피커 선로차단기를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스피커 선로차단기(W)는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와 상기 스피커(F) 사이에 연결하여 번개 등의 뇌우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피커 선로차단기(W)의 권장되는 사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능
- 본 기기는 외부 선로와 내부 결선 지점에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순간 고전압, 서지에 대하여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장비이며 평시에는 개방되어 외부선로에 유입되는 서지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며 사용 시 바로 동작연결 되도록 속도가 빨라야 한다.
- 본 기기는 접점 제어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시리얼 통신 제어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수동으로 선로의 전환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출력부 점검 시 LED로 표시한다.
(2) 기기특성
- 제어 단자 : 2선식 16회로
- 제어 모드 : RS232C 9600bps, 접점입력, 수동제어
- 무 접점출력: 1 PORT
- 선로 접촉 속도: Max 3sec
- 동작전원: DC 24V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A: 원격제어부
B: 중앙제어부
C: 오디오제어부
D, D`: 앰프
E: 스피커 주/예비절체기
F: 스피커
M1: 제1중앙송신부
M2: 제2중앙송신부
MR: 메인지역수신부
SR: 서브지역수신부
SG1: 제1서브지역송신부
SG2: 제2서브지역송신부
W: 스피커 선로차단기
10: 디지털듀얼원격앰프(digital dual remote amp)
20: 시스템중앙제어기(main control & matrix)
30: 오디오엔매트릭스(audio & matrix)
40: 서지인터베이스(surge interface)
50: 멀티포트커뮤니케이션(multi port communication)
60: 오디오엔매트릭스(audio & matrix)

Claims (6)

  1. 다수개의 디지털듀얼원격앰프(digital dual remote amp, 10)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듀얼원격앰프(digital dual remote amp, 10) 각각으로부터 대응하는 수의 우선순위가 정해진 신호가 데이터방식(data type)으로 송출되는 원격제어부(A);
    시스템중앙제어기(main control & matrix, 20)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제어부(A)로부터 다수개의 신호를 수신하는 중앙제어부(B);
    오디오엔매트릭스(audio & matrix, 3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부(B)로부터 다수개의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제어부(C);
    상기 오디오제어부(C)로부터 다수개의 신호를 수신하는 앰프(D);
    상기 다수개의 신호 상호간에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최선순위 신호만 전달하는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 및,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로부터 최선순위 신호만 수신하는 스피커(F);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중앙제어부(B)와 상기 오디오제어부(C) 그리고 상기 앰프(D)는 우선순위를 정해 병렬로 구성된 제1중앙송신부(M1) 및 제2중앙송신부(M2)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 및 상기 스피커(F)는 메인지역수신부(MR)에 구성되어,
    최선순위의 상기 제1중앙송신부(M1)의 신호가 단절되는 비상시에 차순위의 상기 제2중앙송신부(M2)의 신호만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에서 상기 스피커(F)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제1중앙송신부(M1)에 구성된 상기 오디오제어부(C)에는 별도의 제1서브지역송신부(SG1);가 그리고 상기 제2중앙송신부(M2)에 구성된 상기 오디오제어부(C)에는 별도의 제2서브지역송신부(SG2);가 연결되고,
    상기 제1서브지역송신부(SG1) 및 상기 제2서브지역송신부(SG2)는 서브지역수신부(SR);에 연결되되,
    상기 제1서브지역송신부(SG1) 및 상기 제2서브지역송신부(SG2) 각각은 서지인터베이스(surge interface, 40)와 멀티포트커뮤니케이션(multi port communication, 50) 그리고 오디오엔매트릭스(audio & matrix, 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서브지역송신부(SG1) 및 상기 제2서브지역송신부(SG2)는 우선순위가 정해진 다수개의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서브지역수신부(SR)는 우선순위에 따라 최선순위 신호만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비상중앙제어부(B`)와 오디오제어부(C`) 그리고 앰프(D`)가 차례로 구성된 별도의 백업중앙송신부(MP);가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비상중앙제어부(B`)는 상기 원격제어부(A)로부터 우선순위가 정해진 상기 신호를 아날로그방식(analog type)으로 수신하며 상기 앰프(D`)는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로 상기 신호를 송신하되,
    상기 제1중앙송신부(M1) 및 상기 제2중앙송신부(M2)의 신호가 단절되는 비상시에 차순위의 상기 백업중앙송신부(MP)의 신호만 상기 스피커 주/예비절체기(E)에서 상기 스피커(F)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서브지역수신부(SR)는 상기 제1서브지역송신부(SG1) 및 상기 제2서브지역송신부(SG2)의 신호가 단절되는 비상시에 차순위의 상기 백업중앙송신부(MP)의 신호만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원격인터페이스(remote interface, 20)는 선순위 신호가 정상작동 후 오류로 인해 오프(off)되지 않는 비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후순위 신호 작동을 위해 상기 선순위 신호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6. 제3항에서,
    원격인터페이스(remote interface, 20)는 선순위 신호가 정상작동 후 오류로 인해 오프(off)되지 않는 비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후순위 신호 작동을 위해 상기 선순위 신호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KR1020140018586A 2014-02-18 2014-02-18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KR101432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586A KR101432021B1 (ko) 2014-02-18 2014-02-18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586A KR101432021B1 (ko) 2014-02-18 2014-02-18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021B1 true KR101432021B1 (ko) 2014-08-21

Family

ID=5175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586A KR101432021B1 (ko) 2014-02-18 2014-02-18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0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562A (ko) * 2008-07-01 2010-01-11 주식회사 성창시스템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
KR20100117370A (ko) * 2009-04-24 2010-11-03 권영현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KR20120097137A (ko) * 2011-02-24 2012-09-03 주식회사 케빅 재난 및 안내 방송 시스템
KR20130060782A (ko) *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인켈피에이 이중화 방송 시스템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562A (ko) * 2008-07-01 2010-01-11 주식회사 성창시스템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
KR20100117370A (ko) * 2009-04-24 2010-11-03 권영현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KR20120097137A (ko) * 2011-02-24 2012-09-03 주식회사 케빅 재난 및 안내 방송 시스템
KR20130060782A (ko) *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인켈피에이 이중화 방송 시스템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6990B2 (en) Intelligent multiplexers in an antenna line management system
EP1833271A1 (en) A method for cascade communication device resetting
KR102384480B1 (ko) 비상방송 기능을 가진 오디오 매트릭스
US10701212B2 (en)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s within a digital intercom system
US10397408B2 (en) Digital intercom system having a communication device and linked audio output device
KR100586663B1 (ko) 지역/울타리 감시 및 경보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KR101432021B1 (ko)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KR2015008336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54302B1 (ko)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및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
KR101498674B1 (ko) 영상 신호 스위칭 장치 및 시스템
US10492246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s system for speech communication
KR200388527Y1 (ko) 지역/울타리 감시 및 경보 시스템
US8964534B2 (en) Monitor/control device and monitor target device
KR100888252B1 (ko) 스피커의 개별제어 시스템
EP2811671A1 (en) Satellite distribution device and system with remote selectable modes
US20170302777A1 (en) Satellite terminal wireless voltage control
KR102152257B1 (ko) 스마트폰 운영체제 기반의 전관방송 시스템용 멀티스피커 컨트롤러
EP3422685B1 (en) Intercom system
KR20180045767A (ko) 수동원격노드장치 및 국사용마스터장치와, 이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장치 및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
EP3958482A1 (e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384478B1 (ko)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비상방송 제어기
KR100925967B1 (ko) 재난 방송용 복합 교환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221489B1 (ko) 자동 어드레싱 기법을 이용한 플러그인 타입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JP200634057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遠方監視制御装置
CN114070545A (zh) 一种时钟同步系统及时钟同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