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302B1 -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및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및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302B1
KR101654302B1 KR1020150067819A KR20150067819A KR101654302B1 KR 101654302 B1 KR101654302 B1 KR 101654302B1 KR 1020150067819 A KR1020150067819 A KR 1020150067819A KR 20150067819 A KR20150067819 A KR 20150067819A KR 101654302 B1 KR101654302 B1 KR 101654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ellite
civil defense
alarm
civi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완옥
신용균
Original Assignee
(주)시스윈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스윈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시스윈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50067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방위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채널 및 이중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민방위 경보를 전국 또는 각 지역별로 송출하도록 하는 민방위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앙/제2중앙 및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소 중 적어도 어느 한개소로부터 민방위 음성경보 데이터를 다중채널을 통해 입력받는 위성망 미디어 게이트웨이부, 위성망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고, 각 채널별 오디오 레벨을 조정하는 음성신호 정합부,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 및 싸이렌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고, 각 채널별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코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하고 암호화하는 IP 부호화부, 위성 민방위 경보의 지역별 라우팅을 통한 경로를 제공하는 라우터부, 입력되는 IP 기반의 민방위 음성경보 데이터 및 싸이렌 데이트를 위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IP 다중화부, 및 IP 기반의 민방위 음성경보 데이터 및 싸이렌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위성전송에 적합한 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위성 변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및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Apparatus for alarming in civil defence}
본 발명은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및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채널 및 이중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민방위 경보를 전국 또는 각 지역별로 송출하도록 하는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및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전국 또는 각 지역별 민방위 경보발령을 내리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제시스템(100)으로부터 민방위 경보가 발령되어 위성송출 F1/F2 시스템(210,220) 및 위성 RF 시스템(300)을 통해 위성으로 민방위 경보가 송출되어 각 지역별로 같은 민방위 경보가 발령된다.
이때, 종래의 위성송출 F1/F2 시스템(210,220)은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며, 음성 경보의 경우에는 각각 1채널씩 총 2채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모두 회선기반으로 민방위 경보가 발령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각각의 위성송출 시스템은 각각 1채널씩을 사용하여 민방위 경보를 발령하므로 채널 회선의 부족으로(지역에 맞는 음성경보 전달이) 전국 동시 음성 민방위 경보가 불가능하였고, 비표준화된 위성전송 방식을 채택하여 확장이 어려운 구조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29312(발명의 명칭 : 민방위 경보 장치 및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2309(발명의 명칭 : 무선통신(이동전화, 즉 휴대폰)의 위성위치추적시스템(지피에스) 및 무선통신기지국을 활용한 각종 비상경보체계 구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3344(발명의 명칭 : 이중화 기능이 적용된 스마트 재난 경보 단말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위성을 통한 민방위 경보발령을 위해 사용중인 위성주파수의 추가 임대없이 미사용 대역(대략 1MHz)을 활용하여 중앙 및 시도 경보통제소에서 동시 다채널로 위성 경보발령이 가능토록한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제2중앙 및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소 중 적어도 어느 한개소로부터 민방위 음성경보 데이터를 다중채널을 통해 입력받는 위성망 미디어 게이트웨이부, 위성망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고, 각 채널별 오디오 레벨을 조정하는 음성신호 정합부,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 및 싸이렌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고, 각 채널별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코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하고 암호화하는 IP 부호화부, 위성 민방위 경보의 지역별 라우팅을 통한 경로를 제공하는 라우터부, 입력되는 IP 기반의 민방위 음성경보 데이터 및 싸이렌 데이터를 위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IP 다중화부, 및 IP 기반의 민방위 음성경보 데이터 및 싸이렌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위성전송에 적합한 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위성 변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위성망 미디어 게이트웨이부는, 중앙 및 제2중앙 민방위 경보 통제소로부터 각각 1채널, 시도 민방위 경보 통제로소로부터 17채널, 및 방송용 채널 1채널을 포함하여 전체 20채널을 통해 입력받으며, 민방위 음성경보 신호를 E&M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음성신호 정합부는, E&M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IP 부호화부로 전송한다.
또한, IP 부호화부는, 민방위 음성 경보가 없는 채널에는 위성 수신기의 오디오 수신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자체 톤을 발생시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민방위 경보를 발령하는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 민방위 경보 신호인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회선기반으로 위성을 통해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민방위 경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회선기반 위성송출 장치, 및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부호화하여 IP 기반으로 위성을 통해 제3 주파수를 이용하여 민방위 경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를 포함하며, 회선기반 위성송출 장치와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를 통해 민방위 경보를 이원화하여 전국 또는 지역별로 발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방위 경보를 위한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는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 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 및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에서 발령한 민방위 경보는 행정망 또는 전용망을 통해 중앙 또는 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로 전송되며, 회선기반 위성송출 장치는 단일 채널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를 송출하며,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는 다중 채널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각 지역별 동시 음성경보가 가능하다.
또한,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중계하는 위성, 민방위 경보를 위성으로부터 제공받아 IP 패킷을 분석하여 대응되는 경우 싸이렌을 울리거나 민방위 음성지령을 발하는 IP 위성수신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는,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에서 경보방송발령시 경보발령 상황 및 발령내용을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 또는 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에서 감지하여 위성을 통해 송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 주파수의 추가 임대없이 기존 미사용 대역 및 다중채널을 활용하여 중앙 및 시도 경보통제소에서 동시 위성 경보 발령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위성송출 시스템과 이원화로 운용됨으로써 기존 시스템을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소와 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소의 회선을 절체하는 이중화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민방위 경보를 안정적으로 전국에 발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민방위 경보 위성 송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경보 허브 장치가 추가된 민방위 다중채널 위성경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민방위 다중채널 위성경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제2중앙 경보통제시스템 및 시도 경보통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경보 허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민방위 데이터 신호의 발령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민방위 음성 신호의 발령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민방위 음성 신호 발령을 위한 중앙/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 및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민방위 위성경보 장치 및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민방위경보 다중채널 위성송출 시스템은 위성을 통한 민방위 경보발령을 위해 기 사용중인 위성주파수의 추가 임대 없이 미사용 대역을 활용하여 중앙 및 시도 경보통제소에서 동시 위성 경보발령이 가능토록 한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위성의 미사용 대역 주파수를 활용하고, 민방위 음성 지령 경보시 20채널을 동시에 출력하도록 하여 전국 또는 지역별로 동시 음성지령이 가능토록 할 수 있으며(위성 다중경보), 단일채널인 회선기반의 기존의 위성송출 시스템(210,220)과 다중채널인 IP기반의 위성송출 시스템(230)을 이원화하여 민방위 경보를 전국 또는 지역별로 발령한다. 이러한 이원화 시스템을 통해 종래의 중앙, 제2중앙 및 시도 민방위 경보 통제소의 동시 발령시 위성발령회선 부족으로 인한 민방위 경보발령 업무 마비를 해소하도록 하고, 표준화된 위성발령네트워크를 통한 효율적인 민방위 경보발령 및 전달체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때에 따라 시스템이라는 용어와 장치라는 용어가 서로 혼용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민방위 경보 통제시스템(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민방위 경보를 발령하는 발령원으로서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10), 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20), 및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30)으로 대략 구성된다. 상술한 각각의 시스템은 장치라는 용어와 서로 혼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10)이 운용되며, 비상상황시 또는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10)이 고장난 경우에는 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20)이 운용된다.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10)과 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20)은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을 뿐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10)과 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20)은 서로 운용되는 장비 및 기능이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1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20)의 설명은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10)은 중앙경보통제소에 설치되며 상호 용어는 서로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서 서로 혼용될 수 있다. 중앙경보통제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10), 위성송출 시스템(210,220,230), 및 위성 RF 시스템(300)으로 대략 구성되어 민방위 경보를 발령한다. 상술한 장비 이외의 장비 또는 기능이 필요에 따라 더 추가될 수 있다.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1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통제시스템(111), 방송통제시스템(112), 일제지령시스템(113), 위성망 관리서버(114), 위성 다중방송 관리서버(시스템, 도 4참조)로 대략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위성발령 선택기(115)가 추가될 수 있으며, 각각의 시스템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장비가 더 부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통제시스템(111)은 경보 사이렌을 담당하고, 방송통제시스템(112)은 라디오 경보방송 및 텔레비젼 방송을 담당하고, 일제지령시스템(113)은 민방위 경보음성을 담당한다. 위성망 관리서버(114)는 기존 위성송출 F1/F2 시스템(210,220)과 신규 다중경보 허브 시스템(230)을 동시에 이원화하여 운용하며, 위성음성 전송기능, 점유관리기능 수정 및 다중경보 허브 장치(230)를 감시한다.
위성 다중방송 관리서버(238)는 방송발령 우선순위를 설정하거나 설정항목을 변경, 저장, 취소할 수 있으며, 방송경보신호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모니터링 수행시 실시간 지역별 발령원을 표시하고, 지역별 방송상태를 아이콘 화면변경으로 표시하며, 지역별 방송상태를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에서 발령된 민방위 경보를 감시한다. 또한, 민방위 경보방송발령에 따른 이력을 관리하며, 발령원/시작/종료일시 별 검색, 출력, 청취 기능이 가능하다.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통제시스템(131), 방송통제시스템(132), 및 일제지령시스템(133)으로 대략 구성되며, 또한 이에 더하여 각각의 시스템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장비가 더 부가될 수 있다. 경보통제시스템(131)은 경보 사이렌을 담당하고, 방송통제시스템(132)은 라디오 경보방송 및 텔레비젼 방송을 담당하고, 일제지령시스템(133)은 민방위 경보음성을 담당한다.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30)은 민방위 경보를 독자적으로 발령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정업무망 또는 전용망(경보망)을 통해 이를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10)으로 전송하여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10)에서 위성을 통해 민방위 경보를 전국으로 발령한다. 이때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10)에서는 이원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경보를 위성을 통해 발령한다. 일예로서 부산에서 민방위 경보를 발령한 경우 부산에서 발령된 민방위 경보가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소로 전달되고,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소가 위성을 통해 전국으로 민방위 경보를 발령한다. 도 4에 도시된 위성 IP 수신기(500)는 다중경보 허브 시스템(230)에 대응되는 위성 수신기이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위성송출 F1/F2 시스템(210,220)에 대응되는 위성 수신기가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위성송출 F1/F2 시스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위성송출 F1, F2 시스템(210,220)은 서로 다른 주파수(제1,2 주파수)를 사용하며, 1채널의 단일 음성경보 및 경보 데이터를 비표준 위성전송방식으로 위성(400)을 통해 송출하도록 한다. 위성송출 F1, F2 시스템(210,220)은 회선기반으로 운용되며, 음성경보를 전송시 1채널만 전송할 수 있어서 각 지역별 동시발령이 어렵다. 위성송출 F1, F2 시스템(210,220)에서 송출한 민방위 경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전용 위성 수신기가 민방위 경보단말이 위치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다중경보 허브 시스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다중경보 허브 시스템(230)은 중앙, 제2중앙 및 시도통제소의 민방위 경보 데이터(음성 데이터 및 싸이렌 데이터와 IP Address)를 부화화하고 IP 패킷화하여 위성 RF 시스템(300)을 통해 위성(400)으로 송출한다. 이때, 다중경보 허브 시스템(230)은 제3 주파수를 사용하여 위성으로 민방위 경보데이터를 송출한다. 음성 데이터는 일제지령시스템(113,123,133) 중 어느 하나에서 발령한 민방위 음성경보이고, 싸이렌 데이터는 경보통제시스템(111,121,131) 중 어느 하나에서 발령한 싸이렌 데이터이다. 또한 다중경보 허브 시스템(230)은 IP 기반 라우팅 경로설정에 의해 전국 또는 지역별 민방위 경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위성 수신기의 IP Address를 포함하여 위성(400)을 통해 데이터를 송출한다. IP Address 이외에 민방위 경보를 발령하기 위한 추가적인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다중경보 허브 시스템(230)은 각 시도 17개 채널과, 중앙 및 제2중앙 2채널 및 방송채널을 포함하여 총 20개 채널을 동시에 송출할 수 있으며(다중 음성경보 가능), IP 기반에 의해 데이터를 송출하고, 표준 위성전송방식을 사용하므로 추가적인 확장이 용이하다. 다중경보 허브 시스템(230)은 제2중앙 및 시도경보 통제소로부터 음성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행정 전산망 또는 전용망을 통해 수신하여 위성(400)으로 송출한다.
다중경보 허브 시스템(2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망 M/G(231), 음성신호 정합장치(232), IP 부호화기(233), L2 스위치(237), 라우터(234), 다중화기(235), 변조기(236)로 대략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위성망 M/G(231)는 인터넷 패킷 기반에서 중앙 및 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10,120) 및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130)의 입력 M/G와 서로 접속된다. 중앙/제2중앙 경보통제 시스템의 일제지령시스템(113, 123) 또는 시도 경보통제 시스템의 일제지령시스템(133)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된 국소별 민방위 오디오 발령신호를 음성회선(E&M)으로 변환하여 음성신호정합장치(232)로 출력한다. 전체 20채널의 민방위 음성경보를(E&M) 음성신호정합장치(232)에 전달함으로써 기존 시스템과 달리(기존 시스템은 1채널만 전송가능) 20채널을 동시에 위성을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음성신호 정합장치(232)는 입/출력 각 20개의 오디오 수용이 가능하며, 위성망 M/G(231)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E&M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IP부호화기(233)에 전달한다. 전체 20채널의 아날로그 민방위 경보신호를 IP부호화기(233)에 전달하며, IP 부호화기(233)에서 인식하여 동작하도록 오디오 및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각 채널별 음성 레벨의 감쇄/증폭이 가능하고, 채널간 갑섭제거를 통한 고품질 오디오와 제어기능이 지원된다. 각 음성 채널은 서로의 간섭 없이 IP 부호화기(233)에 별도로 신호를 각각 전달한다.
IP 부호화기(233)는 음성신호 정합장치(232)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 위성발령 선택기(115) 또는 시도 경보통제시스템(131)으로부터 입력되는 시리얼 데이터를 입력받아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라우터(234)로 실시간 출력한다. 전체 20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를 각 채널별 코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한다. 또한 민방위 경보 오디오 및 데이터를 암호화(AES방식, 국제표준방식)하여 위성망 전송시 보안 기능이 적용되도록 한다. 민방위 음성 경보가 없는 채널에는 단말국 오디오 수신 상태 확인을 위한 자체 톤(tone)을 발생하여 제공한다. 다중방송 관리서버(238)에 발령채널 및 방송내용 등의 감시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IP 부호화시 사용되는 대역폭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부호화시 압축률을 지정할 수도 있다.
라우터(234)는 위성 경보의 지역별 라우팅을 통한 최적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IP 부호화기(233)로부터 입력된 민방위 경보 IP 패킷을 전달한다.
다중화기(235)는 이더넷 방식의 데이터를 ASI(Asynchronous Serial Interface) 방식으로 변환하여 위성 변조기(236)에 제공한다. 입력되는 IP 기반의 경보 데이터를 위성 데이터 형태로 변경한다.
위성 변조기(236)는 입력된 민방위 경보 데이터를 위성전송방식(일예로 DVB-S/S2)에 맞게 변조하여 RF시스템(300)으로 출력한다.
위성 RF 시스템(300)은 위성 변조기(236)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위성으로 송출하기 위해 중간주파수 밴드(IF-Band)를 Ku-Band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송출 F1/F2 시스템(210.220)과 다중경보 허브 시스템(230)으로부터 민방위 경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위성(400)으로 데이터를 송출한다. 위성(400)은 위성 RF 시스템(300)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다시 지상에 있는 위성 수신기로 민방위 경보 데이터를 중계한다. 위성(400)은 무궁화 위성을 사용할 수 있다.
(IP 위성 수신기)
IP 위성 수신기(500)는 다중경보 허브 시스템(230)에서 송출한 민방위 경보 데이터를 위성으로부터 수신받는다. 반면, 위성송출 F1/F2 시스템(210,220)에서 송출한 민방위 경보 데이터는 전용 위성 수신기가 수신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원화시스템에 의해 기존의 회선기반 위성 수신기와 신규의 IP기반 위성 수신기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P 위성 수신기(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단말이 설치된 각 시군구 또는 읍면동에 각각 설치된다. IP 위성 수신기(500)는 위성(400)으로부터 민방위 경보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싸이렌 또는 음성지령을 경보단말을 통해 방송하도록 한다.
IP 위성 수신기(500)는 동시에 수신되는 중앙, 제2중앙, 시도통제소의 위성방송(재난경계, 화생방, 민방위)에 대하여 발령정보와 연계하여 발령 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 위성방송을 수신하여 싸이렌을 울리도록 한다. 따라서 중앙, 제2중앙, 및 시도통제소에서 송출한 방송중 최종 어느 하나의 채널만 선택되어 출력된다. 위성 수신기 및 경보단말에 필요한 모든 프로토콜은 국제 표준규격 기반의 기술을 적용(DVB-S/S2 방식)하여 안정적인 성능과 추가 확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위성 IP 수신기(500)는 IP기반의 음성/데이터 민방위 경보 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시리얼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민방위 데이터 신호 발령)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소에 위치한 경보통제시스템(111)에서 발령된 민방위 데이터 신호(일예로서 싸이렌 데이터)는 위성발령 선택기(115)를 통해 다중경보 허브 시스템(230)으로 입력되어 부호화되고 IP 패킷화되어 위성 RF 시스템(300)을 통해 위성으로 송출된다. 이때, 민방위 데이터 신호는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소에 위치한 경보통제시스템(131)으로부터 민방위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다중경보 허브 시스템(230)에서 부호화되고 IP 패킷화되어 위성 RF 시스템(300)을 통해 위성으로 송출될 수도 있다. 이때,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소에서 위성지령 발령시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소에 위치한 다중방송 관리서버(238)가 시도에서 내린 경보발령 상황 및 발령내용 등을 감시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위성 다중경보 발령의 통일성, 신속성,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중방송 관리서버(238)는 운용화면을 GUI(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화하여 운용자의 가시성 및 편리성을 높이고, 운용자의 요구사항에 능동적으로 수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민방위 데이터 신호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회선기반 위성 송출 F1/F2 시스템(210,220)으로 송출됨과 동시에 시스템 이원화에 따른 IP기반 다중경보 허브 장치(230)에서도 송출된다. 따라서 위성 수신기에서는 각각의 송출 시스템에 맞는 위성 수신기가 구비될 수 있다.
(민방위 음성 신호 발령)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소에 위치한 일제지령시스템(113)에서 발령된 민방위 음성 신호(일예로서 음성지령 신호)는 IP 교환기를 통해 다중경보 허브 시스템(233)의 위성망 M/G(231)로 입력되어 음성신호 정합장치(232)에 의해 음성신호가 레벨링되고(음성신호의 크기맞춤), 부호화 및 IP 패킷화되어 위성 RF 시스템(300)을 통해 위성으로 송출된다. 이때, 민방위 음성 신호는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소에 위치한 일제지령시스템(133)으로부터 민방위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다중경보 허브 시스템(230)에서 부호화되고 IP 패킷화되어 위성 RF 시스템(300)을 통해 위성으로 송출될 수도 있다. 한편, 각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소는 총 17개로 운영되며, 따라서 모두 17CH(채널)이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소에 위치한 위성망 M/G(231)에 접속된다. 시도 17채널 이외에 중앙 1채널, 제2중앙 1채널 및 방송 1채널을 점유하며 총 20채널이 위성망 M/G(231)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민방위 음성 신호 발령은 중앙, 제2중앙, 및 17개 시도 어디에서 음성지령을 발령해도 위성망 M/G(231)에 의해 전국으로 동시에 20채널을 송출할 수 있어서 위성을 통한 민방위 음성지령의 기존 회선 부족을 해소할 수 있다(위성음성정보 20채널 제공으로 모든 시도통제소에서 각 지역별 동시 발령이 가능).
한편, 민방위 음성 신호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회선기반 위성 송출 F1/F2 시스템(210,220)으로 각각 1채널씩 총 2채널이 송출됨과 동시에 시스템 이원화에 따른 IP기반 다중경보 허브 장치(230)에 의해 총 20채널이 동시에 송출된다. 따라서 위성 수신기에서는 각각의 송출 시스템에 맞는 위성 수신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소의 일제지령시스템(133)에서 민방위 음성경보가 발령되거나 또는 중앙/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소의 일제지령시스템(113,123)에서 민방위 음성경보가 발령된 경우, 발령된 민방위 음성경보는 프리엠프(32,36), 오디오콘솔(33,37), 및 입력M/G(34,38)를 거쳐 위성출력 M/G(231)로 입력된다. 이때,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소에서는 입력M/G(38)의 신호가 네트워크/보안장비(39)로 출력되고 경보망/행정망을 통해 중앙/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소의 네터워크/보안장비(35)로 입력되어 위성출력 M/G(231)로 입력된다.
( 회선절체 )
제2중앙 경보통제소의 위성회선 자동절체기(도면 미도시)는 중앙 경보통제소와 제2중앙 경보통제소간 음성/데이터 민방위 경보신호를 전용회선을 통하여 상호 발령을 이중화시킨다. 위성회선 자동절체기는 중앙 및 제2중앙 경보통제소간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상호 교환하고, 위성으로 송출해야하는 민방위 경보신호를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중앙 경보통제소 단독 운용시에는 중앙 경보통제소에서 경보발령 및 위성 송출이 되도록하고, 중앙 이중화 운용시에는 중앙 경보통제소에서 경보발령 및 제2중앙 경보통제소에서 위성송출 하도록 하며, 제2중앙 경보통제소 단독 운용시에는 제2중앙 경보통제소에서 경보발령 및 위성 송출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음성신호(음성지령 신호)
20 : 데이터신호(싸이렌 데이터, IP Address)
31 : 스피커(중앙)
32 : 프리엠프(중앙)
33 : 오디오콘솔(중앙)
34 : 입력M/G(중앙)
35 : 네트워크/보안장비(중앙)
36 : 프리엠프(시도)
37 : 오디오콘솔(시도)
38 : 입력M/G(시도)
39 : 네트워크/보안장비(시도)
100 :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
110 :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장치)
111 : 경보통제시스템
112 : 방송통제시스템
113 : 일제지령시스템
114 : 위성망 관리서버
115 : 위성발령 선택기
120 : 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장치)
121 : 경보통제시스템
122 : 방송통제시스템
123 : 일제지령시스템
124 : 위성망 관리서버
124 : 위성발령 선택기
130 :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 시스템(장치)
131 : 경보통제시스템
132 : 방송통제시스템
133 : 일제지령시스템
210 : 위성송출 F1 시스템
220 : 위성송출 F2 시스템
230 : 다중경보 허브 장치(IP기반 위성송출 장치)
231 : 위성망 M/G
232 : 음성신호 정합장치
233 : IP 부호화기
234 : 라우터
235 : 다중화기
236 : 변조기
237 : L2 스위치
238 : 다중방송 관리서버
300 : 위성 RF 시스템
400 : 위성
500 : 위성 IP 수신기
510 : 제1 위성 수신기
520 : 제2 위성 수신기
530 : 제n 위성 수신기

Claims (8)

  1. 중앙/제2중앙 및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소 중 적어도 어느 한개소로부터 민방위 음성경보 데이터를 다중채널을 통해 입력받는 위성망 미디어 게이트웨이부,
    상기 위성망 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고, 각 채널별 오디오 레벨을 조정하는 음성신호 정합부,
    입력된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신호 및 싸이렌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고, 각 채널별로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코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하고 암호화하는 IP 부호화부,
    위성 민방위 경보의 지역별 라우팅을 통한 경로를 제공하는 라우터부,
    입력되는 IP 기반의 민방위 음성경보 데이터 및 싸이렌 데이터를 위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IP 다중화부, 및
    IP 기반의 민방위 음성경보 데이터 및 싸이렌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위성전송에 적합한 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위성 변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망 미디어 게이트웨이부는,
    중앙 및 제2중앙 민방위 경보 통제소로부터 각각 1채널, 시도 민방위 경보 통제로소로부터 17채널, 및 방송용 채널 1채널을 포함하여 전체 20채널을 통해 입력받으며,
    민방위 음성경보 신호를 E&M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음성신호 정합부는,
    상기 E&M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IP 부호화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IP 부호화부는,
    민방위 음성 경보가 없는 채널에는 위성 수신기의 오디오 수신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자체 톤을 발생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5. 민방위 경보를 발령하는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
    민방위 경보 신호인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회선기반으로 위성을 통해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민방위 경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회선기반 위성송출 장치, 및
    상기 음성 신호와 상기 데이터 신호를 부호화하여 IP 기반으로 위성을 통해 제3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민방위 경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회선기반 위성송출 장치와 상기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를 통해 민방위 경보를 이원화하여 전국 또는 지역별로 발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방위 경보를 위한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는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 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 및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에서 발령한 민방위 경보는 행정망 또는 전용망을 통해 상기 중앙 또는 상기 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로 전송되며,
    상기 회선기반 위성송출 장치는 단일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는 다중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각 지역별 동시 음성경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방위 경보를 위한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중계하는 위성,
    상기 민방위 경보를 상기 위성으로부터 제공받아 IP 패킷을 분석하여 대응되는 경우 싸이렌을 울리거나 민방위 음성지령을 발하는 IP 위성수신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방위 경보를 위한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는,
    상기 시도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에서 경보방송발령시 경보발령 상황 및 발령내용을 상기 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 또는 상기 제2중앙 민방위 경보통제 장치에서 감지하여 위성을 통해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방위 경보를 위한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
KR1020150067819A 2015-05-15 2015-05-15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및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 KR101654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819A KR101654302B1 (ko) 2015-05-15 2015-05-15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및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819A KR101654302B1 (ko) 2015-05-15 2015-05-15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및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302B1 true KR101654302B1 (ko) 2016-09-05

Family

ID=5693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819A KR101654302B1 (ko) 2015-05-15 2015-05-15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및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3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2721A (zh) * 2017-06-22 2017-09-15 厦门日华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pdt数字集群的人防警报控制系统
KR20200060821A (ko) 2018-11-23 2020-06-02 대한민국(행정안전부장관) 다중이용시설용 경보 단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312B1 (ko) 1997-07-23 1999-11-01 서평원 민방위 경보 장치 및 방법
KR19990082836A (ko) * 1998-04-03 1999-11-25 다나베 마사히코 열가소성수지필름의표면처리방법
KR20050062309A (ko) 2003-12-19 2005-06-23 김영훈 무선통신(이동전화, 즉 휴대폰)의위성위치추적시스템(지피에스) 및 무선통신기지국을활용한 각종 비상경보체계 구축
KR20100118184A (ko) * 2009-04-28 2010-11-05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성을 이용한 재난 경보 방송 시스템
KR101313344B1 (ko) 2013-08-12 2013-09-30 주식회사 토페스 이중화 기능이 적용된 스마트 재난 경보 단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312B1 (ko) 1997-07-23 1999-11-01 서평원 민방위 경보 장치 및 방법
KR19990082836A (ko) * 1998-04-03 1999-11-25 다나베 마사히코 열가소성수지필름의표면처리방법
KR20050062309A (ko) 2003-12-19 2005-06-23 김영훈 무선통신(이동전화, 즉 휴대폰)의위성위치추적시스템(지피에스) 및 무선통신기지국을활용한 각종 비상경보체계 구축
KR20100118184A (ko) * 2009-04-28 2010-11-05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성을 이용한 재난 경보 방송 시스템
KR101313344B1 (ko) 2013-08-12 2013-09-30 주식회사 토페스 이중화 기능이 적용된 스마트 재난 경보 단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2721A (zh) * 2017-06-22 2017-09-15 厦门日华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pdt数字集群的人防警报控制系统
CN107172721B (zh) * 2017-06-22 2023-06-30 厦门日华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pdt数字集群的人防警报控制系统
KR20200060821A (ko) 2018-11-23 2020-06-02 대한민국(행정안전부장관) 다중이용시설용 경보 단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159B1 (ko) 항공교통감시및통신시스템
US98068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break-in signals in communication systems
US931345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receiving circuit module and controlling switching to a back-up receiving circuit module at a local collection facility from a remote facility
US83563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receiving circuit modules at a local collection facility from a remote facility
EP3132547B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transporting facility control data and wireless coverage information
US8841990B2 (en)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broadcast messages with selectivity to radio, television, computers and smart phones
CN1719752B (zh) 无线通信系统
EP3223462B1 (en) Ip address delivery apparatus, ip address delivery system, and ip address delivery method
KR101888141B1 (ko) 터널 라디오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54302B1 (ko)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및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
WO2003030417B1 (es) Sistema de emisoras y dispositivos de captación y fidelización de audiencia radiofónica remotamente configurables
KR102384480B1 (ko) 비상방송 기능을 가진 오디오 매트릭스
US97562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between a local collection facility and a remote facility
CN104717547A (zh) 直播卫星紧急广播系统和直播卫星广播接收装置
US98483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s
KR100740588B1 (ko)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US902606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ource sharing for voice and data interlacing
KR102372493B1 (ko)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KR101920304B1 (ko)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1199542A (ja) 放送装置、番組送出装置、番組配信装置および緊急情報送出装置
KR100399077B1 (ko)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89905B1 (ko)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
JP2013074421A (ja) 配信情報切換システム
JP2024007615A (ja) 無線中継システムとその親機、および通信リソース制御方法
KR100576301B1 (ko) 송수신 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