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077B1 -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077B1
KR100399077B1 KR10-2001-0005726A KR20010005726A KR100399077B1 KR 100399077 B1 KR100399077 B1 KR 100399077B1 KR 20010005726 A KR20010005726 A KR 20010005726A KR 100399077 B1 KR100399077 B1 KR 100399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train
broadcasting
schedul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5289A (ko
Inventor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코모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모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모넷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5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0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65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25Absolute localisation, e.g. providing geodetic coordin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for transportation systems, e.g.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8Subtit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field- or frame-skip recording or reproducing
    • H04N5/915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field- or frame-skip recording or reproducing with sound multiple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 B61L2205/04Satellite based navigation system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행 중인 열차 내에서 열차 안내 정보 및 온라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 열차(4a∼4c)에 탑재되는 다수의 방송 시스템(5a∼5c)과, 상기 다수의 방송 시스템(5a∼5c)을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1)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열차 여행을 하는 승객들에게 다양한 매체를 통한 여러 종류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중요한 내용을 바로 알 수 있도록 하고, 장시간 동안 지루하지 않게 여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Broadcas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Train}
본 발명은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행 중인 열차 내에서 열차 안내 정보 및 온라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Train)는 출발역에서 출발하여 종착역에 도착할 때까지 열차 운행에 관련된 무선망을 제외한 공중 통신망과 같은 대부분의 네트웍이 단절된 상태를 유지한 채 운행을 한다.
따라서, 현재 열차 운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본 정보 외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받기 어렵기 때문에 승객에 대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를 실현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기존에는 부분적으로, 페이징 시스템을 이용하여 간단한 내용의 문자 메시지를 온라인으로 전송하여 표시해 주는 서비스가 있었으나, 장시간동안 열차 여행을 하는 승객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 제공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장시간 동안 외부와 단절된 상황에서 열차 여행을 하는 승객들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방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방송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원격 제어 장치 3 : 제 1통신 단말기
3a : 제 1안테나 3b : 제 1무선 모뎀
4a∼4c : 열차 5a∼5c : 방송 시스템
6a∼6c : 제 2안테나 7a∼7c : 위성 방송 안테나
10 : GPS 단말기 12 : 제 2통신 단말기
14 : 제 2무선 모뎀 16 : 위성 방송 수신기
20 : 제어부 21 : 제 1비디오 처리부
22 : 모니터 23 : 키보드
24 : 메모리 25 : HDD
27 : 착탈식 HDD 30 : 제 2비디오 처리부
32 : MPEG 처리부 34 : 사운드 처리부
40 : 스위칭 박스 42 : 비디오 입출력단
44 : 오디오 입출력단 50 : 오버레이 박스
60 : 디스플레이 62 : 이어폰 잭
65 : 스피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단말기와, 방송 스케줄 변화에 따른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와 자막 방송용 문자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와, 방송 위성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위성 방송 수신기와, 착탈식 장착이 가능하면서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와, 열차 운행 중에 방송할 방송 스케줄과 열차 운행에 따른 정차역 및 정차 시간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저장하는 스케줄 메모리와, 상기 스케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스케줄 정보와 상기 GPS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열차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정차역 안내와 방송을 수행하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스케줄에 의한 방송을 중지하고 다른 내용의 방송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문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막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처리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동영상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동영상 재생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스케줄 정보에 포함된 정차역 안내 아나운스먼트를 사운드로 재생하여 출력하는 사운드 처리부와, 상기 동영상 재생부와 사운드처리부 그리고 위성 방송 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 중에서 상기 제어부가 선택한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승객들에게 전달해 주는 다수의 출력 수단으로 구성되어 다수의 열차에 설치되는 다수의 방송 시스템과;
상기 방송 시스템의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상황을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전화기로 구성되며, 상기 동영상 저장부는 상기 제어부에 착탈이 자유로운 착탈식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구성되고, 상기 동영상 저장부에 저장되는 동영상 데이터는 MPEG 형태의 동영상 데이터이면서, 상기 동영상 재생부는 MPEG 파일 재생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동영상 재생부의 제 1비디오 신호와 제 1오디오 신호, 상기 위성 방송 수신기의 제 2비디오 신호와 제 2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또는 제 2비디오 신호 중에서 어느 한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오디오 신호 중에서 어느 한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며, 상기 사운드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제 3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별도의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스위칭부는 멀티플렉서로 구성된다.
상기 비디오 처리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자막 영상 신호와 상기 스위칭부의 비디오 출력 신호를 오버레이시켜 출력하는 오버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다수의 출력 수단은 비디오 신호를 표시해 주기 위하여 열차의 객차내에 설치된 다수의 모니터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하여 객차 내의 좌석 주변에 설치된 다수의 이어폰 잭 및 이어폰과; 열차의 객차 내에 설치되어 상기 사운드 처리부에 의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켜 주는 다수의 스피커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열차에 설치되어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와 인공 위성 방송 수신기, 그리고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문자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및 인공 위성 방송 수신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열차 승객들에게 방송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열차 방송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열차 운행에 따른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와; 열차 운행 시작 전후에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방송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따라 스케줄에 의한 방송을 하는 도중에 상기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방송 스케줄에 대한 인터럽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인터럽트 해소를 위한 이벤트를 수행하고, 인터럽트가 발생하지 않거나 인터럽트에 따른 이벤트가 종료되면 상기 스케줄에 따른 방송을 열차 운행이 종료할 때까지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방송 제어 방법을 아울러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 스케줄 설정은 열차의 출발에서 종착역에 도착할 때까지의 각 정차역에 대한 정차 시간 및 정차역 위치를 고려하여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인터럽트에 따라 수행되는 이벤트는 예정된 시각 외의 열차의 정차에 따른 정차역 안내 방송,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문자 데이터를 자막으로 방송하는 자막 방송, 상기 인공 위성 방송 수신기를 통한 위성 방송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열차 여행을 하는 승객들에게 다양한 매체를 통한 여러 종류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중요한 내용을 바로 알 수 있도록 하고, 장시간 동안 지루하지 않게 여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방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방송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철도를 따라 운행되는 열차의 객차 내에 탑승한 승객들에 대한 정보 제공 서비스를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열차(4a∼4c)에 탑재되는 다수의 방송 시스템(5a∼5c)과, 상기 다수의 방송 시스템(5a∼5c)을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1)로 구성된다.
상기 방송 시스템(5a∼5c)은 개략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신호 및 문자 데이터 수신을 위한 제 2통신 단말기(12), GPS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GPS 단말기(10), 위성 방송을 수신하는 위성 방송 수신기(16),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면서 착탈이 가능한 착탈식 HDD(27), 자막 처리를 위한 자막 화면을 생성하는 제 2비디오 처리부(30), 동영상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MPEG 처리부(3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처리부(34),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해 주는 스위칭 박스(40), 비디오 신호와 자막을 오버레이시켜 주는 오버레이 박스(50), 비디오를 표시해 주는 다수의 디스플레이(60),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기 위한 이어폰 잭 및 이어폰(62),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구성되는 제 1모니터(22), 제 1비디오 처리부(21), 키보드(23), 메모리(24), HDD(25)를 포함하는 제어부(20)로 구성된다.
본 방송 시스템(5a∼5c)으로 방송 가능한 미디어 종류는 착탈식 HDD(27)에 저장된 MPEG 형태의 동영상 데이터, 위성 방송 등이 시청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문자 데이터 즉, 상기 디스플레이(60)를 통한 자막 정보도 제공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방송을 위하여, 본 발명은 열차(4a∼4c)의 객차 내에 영상물을 볼 수 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60)를 설치하고, 각 좌석에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는 이어폰 잭 및 이어폰(62)을 구비해 놓아야 하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열차 운행에 대한 안내 방송 즉, 정차역 안내 등을 위한 스피커(65)도 아울러 이용한다.
그리고, 열차의 이동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인공 위성으로부터 열차의 현재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 단말기(10)가 설치되며, 상기 GPS 단말기(10)에서 출력되는 위치 데이터는 열차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데 이용되어, 열차의 정차역 안내 정보와 열차 운행 위치에 따른 방송 스케줄 조정에 이용된다.
통신 단말기(12)는 본 방송 시스템(5a∼5c)을 원격 제어하거나,디스플레이(60)를 통해 표시되는 자막 방송을 위한 문자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셀룰러 폰, PCS 폰)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통신 단말기(12)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14)에 의하여 제어부(20)에 연결된다.
위성 방송 수신기(16)는 방송 위성을 통해 방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로써, 위성 안테나와 컨버터로 이루어지며, 제어부(20)에 의하여 동작 및 채널 변경 제어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위성 방송 수신기(16)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되어 비디오 신호는 스위칭 박스(40)의 비디오 입출력단(42) 중에서 2in으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입출력단(44) 중에서 6in으로 입력된다.
제어부(20)는 일반적인 컴퓨터의 기본 구성 요소인 모니터(22), 제 1비디오 처리부(21), 키보드(23), 메모리(24), HDD(25)를 포함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0)는 HDD(25)에 탑재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모니터(22), 제 1비디오 처리부(21), 키보드(23), 메모리(23), HDD(25)와 같은 기본 컴퓨터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열차 운행을 시작하기에 앞서, 운용자가 부팅을 하면, 제어 프로그램이 로딩되어, 본 방송 시스템(5a∼5c)을 제어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춘다.
제어 프로그램은 HDD(25)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스케줄을 이용하여 방송을 시작하면서, 상기 GPS 단말기(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열차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입력받아 열차 운행 여부와 현재 위치를 주기적으로 파악한다.
제어부(20)는 방송 스케줄과 열차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착탈식 HDD(27)에 저장되어 있는 MPEG 형태의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위성 방송 수신기(16)를 통해 수신되는 위성 방송을 방송한다.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은 스케줄에 의하여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상기 착탈식 HDD(27)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를 MPEG처리부(32)를 통하여 재생시켜서, 스위칭 박스(40) 비디오 입출력단(42)의 1in에 입력되어, 1out을 통해 오버레이 박스(50)로 출력된다.
상기 제 2통신 단말기(10)를 통해 수신되는 문자 데이터(SMS 메시지)는 제 2무선 모뎀(14)을 거쳐서 제어부(20)에 입력되어 문자 데이터로 변환된 후에, 제 2비디오 처리부(30)를 통하여 VGA 화면의 자막 영상으로 변환되어 오버레이 박스(50)로 출력된다.
상기 오버레이 박스(50)는 상기 제 2비디오 처리부(3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상기 스위칭 박스(40) 비디오 입출력단(42)의 1out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오버레이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 기능은 동영상 및 위성 방송을 방송하는 도중에 상기 제 2통신 단말기(12)를 통해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를 자막으로 표시해 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위성 방송 수신기(16)를 통한 위성 방송 수신은 열차(4a∼4c)에 설치된 위성 방송 수신용 위성 안테나(7a∼7c)를 이용하여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컨버터(도면에 미도시함)를 통해 TV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렇게 처리된 TV 신호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되어 각각 스위칭 박스(40) 비디오 및 오디오 입출력단(42, 44)의 2in, 6in으로 입력되어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한 스위칭 제어를 통해 1out과 5out을 통해 각각 디스플레이(60)와 이어폰 잭 및 이어폰(60)으로 출력된다.
상기 스위칭 박스(40)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받아 입출력되는 신호의 입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일종의 멀티플렉서(multiplexor)로써, 그 구성은 비디오 입출력단(42)과 오디오 입출력단(44)으로 분리되며, 각각은 입력단자(1in∼8in), 출력단자(1out∼8out)로 분리되어 있으면서 서로의 입출력에 대한 상호 연결이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열차(5a∼5c)를 운행하면서, 운행 스케줄에 따라 각 역(station)에 정차함에 따라서 해당 역에 정차하기 전(보통 5분에서 10분전에)에 정차역에 하차할 승객이 하차 준비를 미리 하도록 정차역 안내 방송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20)는 상기 HDD(25)에 저장되어 있는 운행 스케줄(아래의 표 1 참조) 데이터를 참조하여, GPS 단말기(10)를 이용한 열차의 현재 위치와 시간을 확인하면서 방송 스케줄에 따른 방송을 수행한다.
열차번호 열차종별 운행노선 정차역명(위치데이터) 운행시간표 방송스케줄 안내방송메시지
100 새마을 경부선 서울(x1,y1),영등포(x2,y2),‥‥,부산(x3,y3) 서울-07:00영등포-07:20‥‥,부산-13:00 06:30-운행 스케줄 안내07:00-출발안내‥‥. 정차역지역관광안내,‥‥.
200 새마을 호남선 서울(x1,y1),서대전(x4,y4),‥‥,목포(x5,y5) 서울-08:00영등포-08:20‥‥,목포-14:00 07:30-운행스케줄 안내 방송08:00-출발안내‥‥. 정차역지역 관광안내, ‥‥.
‥‥ ‥‥ ‥‥ ‥‥ ‥‥ ‥‥ ‥‥
특히, GPS 단말기(10)를 통해 수신되는 열차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정차역과 운행 시간표를 참조하여 열차가 다음 정차역에 도착하기 10여분 전에 정차역 안내 방송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20)는 정차역명과 정차 예정 시간을 이용하여 안내 방송 아나운스먼트를 작성하여, 그 것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운드 처리부(34)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킨다.
사운드 처리부(34)는 오디오 신호를 스위칭 박스(40) 오디오 입출력단(44)의 8in으로 입력시켜서, 8out을 통해 객차의 스피커(65)를 통해 방송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8in으로 입력되는 안내 방송을 이어폰 잭 및 이어폰(62)으로 연결시켜 주는 5out으로도 같이 출력할 수 있으며, 이 같은 출력 방향 제어를 제어부(2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흐름을 본 발명의 다른 발명인 열차 방송 제어 방법(도 3참조)을 통하여 다시 설명한다.
먼저, 열차를 운행하기에 앞서, 상기 표 1과 같은 각 열차별로 방송 스케줄을 설정해야 한다(S 10).
상기 방송 스케줄은 열차가 출발하기 전에 열차의 운행 노선과 정차할 역과 정차 시각을 참조하여, 상기 착탈식 HDD(27)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와, 위성 방송 수신기(16)를 통하여 수신되는 위성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방송 스케줄을 설정한다.
특히, 상기 위성 방송 프로그램은 위성 방송을 송출하는 방송사에서 예정된 시간대에 특정 프로그램을 송출하므로, 방송 프로그램을 입수하여 스케줄을 설정하는데 참조한다.
또한, 상기 방송 스케줄에는 광고 내용(상품 및 회사 광고, 지역 정보, 시정, 국정)을 포함하고 있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상기 착탈식 HDD(27)에 다른 동영상 파일과 함께 저장해놓고, 이를 이용한 광고를 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방송 스케줄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그에 따른 방송 스케줄 파일을 HDD(25)나, 착탈식 HDD(27)에 저장하고, 방송을 위한 영상 데이터와 광고 데이터를 착탈식 HDD(27)에 저장하여, 방송 시스템(5a∼5c)에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방송 준비가 완료되면, 열차 운행을 시작하는데, 시발역을 출발하기 전에 열차 운행에 따른 안내 방송을 승객들에게 방송을 한다.
이 과정을 거친 후에, 열차 운행이 시작되면(S 11), 방송 스케줄에 따른 방송을 시작한다(S 12).
방송 스케줄이 상기 표 1의 열차 번호 100에 대하여 아래의 표 2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07:00에 출발하는 서울역 시발, 부산 종착인 열차 번호 100인 새마을 열차에 대하여 출발 시각인 07:00으로부터 약 10여분 전부터 열차 운행에 대한 출발 안내 방송을 승객들에 실시한다.
정차역 · 서울 · · · 대전 · 대구 · 부산
방송스케줄 · · 제1동영상 방송 제 1광고 · 위성방송 제 2광고 위성방송 제2동영상 방송 ·
안내방송내용 출발안내방송 · · · 대전정차안내 · 대구정차안내 · 부산종착안내 ·
예정시간 06:50 07:00 ∼08:10 08:20 08:30 09:50 10:00 12:50 13:00
그리고, 열차가 서울역을 출발하면, 방송 스케줄에 따라 제 1동영상 파일을 착탈식 HDD(27)에서 인출하여, MPEG처리부(32)를 통하여 재생하여 스위칭 박스(40)와 오버레이 박스(5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60)와 이어폰 잭 및 이어폰(62)을 통하여 약 08:10까지 방송한다.
상기 제 1동영상 파일이 종료되면, 방송 스케줄에 따라서 제 1광고를 방송하는데, 상기 제 1광고는 대전역에 도착하기 약 20여분 전에 시작되어 10여분 전에 종료되고, 다시 대전역 정차에 따른 정차역 안내 방송을 수행한다.
대전역을 다시 출발하면, 방송 스케줄에 따라서 순서대로 위성 방송과 제 2광고, 위성 방송, 제 2동영상을 방송하면서, 열차의 정차에 따른 정차역 안내 방송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정차역 안내 방송을 하면서, 해당 정차역이 소재한 도시에 대한 도시의 특색과 관광 안내 방송도 곁들여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는 방송 스케줄에 따른 방송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방송 스케줄에 의한 방송보다 우선 순위를 갖는 방송 내용이 있는지(이벤트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S 13).
그 결과,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원래의 방송 스케줄에 의한 방송을 진행하고,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의 종류를 확인한다(S 14, 15, 16).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벤트의 종류는 정차역 안내, 자막 메시지, 위성 방송 등과 같은 상황이 있는데, 상기 이벤트들은 방송 스케줄과 다르게 승객들에 제공되는 정보 서비스이다.
먼저, 정차역 안내 이벤트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식으로 방송 스케줄에 따른 방송을 수행하는 도중에 정차역에 대한 도착 시간이 예정 시간과 맞지 않아서 방송 스케줄과 정차역 안내 방송이 겹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제어부(20)가 방송 스케줄에 의한 방송을 중단하고(S 141), 해당 정차역에 대한 정차역 안내 방송을 실시한다(S 142).
상기와 같이 정차역 안내 이벤트가 종료되면(S 17), 방송 스케줄에 따른 방송을 재개한다(S 18).
그리고, 디스플레이(60)를 통한 자막 메시지를 송출해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열차 여행을 하는 승객들은 열차에 있는 동안은 새로운 정보로부터 차단된 상태이이다. 따라서, 사회적으로 중요한 사건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원격제어장치(1)를 운용하는 관리자가 해당 내용을 문자 데이터로 정리하여, 이를 제 1무선 모뎀(3b)과 제 1통신 단말기(3) 및 제 1안테나(3a)를 통하여 송출한다.
제어부(20)는 제 2안테나(6a∼6c) 및 제 2통신 단말기(12)를 통하여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예를 들어, SMS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자막 영상으로 처리하여(S 151), 제 2비디오 처리부(30)를 통하여 출력하고, 이는 오버레이 박스(50)를 통하여 현재 방송 중인 비디오 신호와 오버레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60)를 통하여 표시된다(S 152).
자막 방송이 종료되면(S 17), 다시 방송 스케줄에 따른 방송을 수행한다(S 18).
끝으로, 위성 방송 이벤트는, 원격제어장치 관리자의 입장에서 사회적으로 중요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위성 방송 프로그램이 송출되고 있으면, 이를 승객들에 정보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자막 방송과 마찬가지로, 제 1통신 단말기(3)와 제 2통신 단말기(12)를 이용하여 제어부(20)의 제어 과정에 인터럽트를 형성하여, 현재 방송 중인 내용을 중지시키고(S 161), 위성 방송 수신기(16)를 제어하여, 현재 송출 중인 위성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스위칭 박스(40)로 출력하도록 하고, 동시에 스위칭 박스(40)를 제어하여 위성 방송 수신기(16)에 출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각각 디스플레이 및 이어폰으로 출력하도록 하여(S 162), 승객들이 위성 방송을 시청하도록 하는 것이다.
인터럽트에 의한 위성 방송 송출이 종료되면(S 17), 상기 이벤트와 마찬가지로 방송 스케줄에 따른 방송을 송출한다(S 18).
상기와 같은 절차를 거쳐서 방송을 수행하면서, 열차 운행이 종료되면(S 19), 열차 운행 종료에 따른 안내 방송을 마지막으로 하고, 방송을 종료한다(S 20).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열차 여행을 하는 승객들에게 다양한 매체를 통한 여러 종류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중요한 내용을 바로 알 수 있도록 하고, 장시간 동안 즐거운 여행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정보 제공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열차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단말기;
    방송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 및 자막 방송을 위한 문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단말기;
    위성 방송 수신을 위한 위성 방송 수신기;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동영상 저장부;
    방송 및 열차 운행 스케줄 정보가 저장된 스케줄 메모리;
    상기 문자 데이터를 자막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처리부;
    상기 동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방송 스케줄에 따라 재생 출력하는 동영상 재생부;
    상기 열차 운행 스케줄 정보에 포함된 아나운스먼트를 사운드로 재생하여 출력하는 사운드 처리부;
    상기 위성 방송 수신기 동영상 재생부 사운드 처리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부;
    각 객차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선택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시청각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출력 수단으로 구성되어 다수의 객차에 설치되는 다수의 방송 시스템;
    상기 동영상 재생부, 상기 위성 방송 수신부, 상기 비디오 처리부, 상기 사운드 처리부의 각 출력을 상기 스케줄 메모리에 설정된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방송하다가 상기 GPS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열차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정차역 도착 시간 전에 정차역 안내를 처리하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 스케줄을 변경하는 제어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응 연결되어, 상기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방송을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열차 운행 스케줄에 따른 정차역 안내 방송을 포함하는 방송 스케줄을 설정한 후에, 열차 운행 시작 전후에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방송을 하면서 정차역 도착 시간의 미리 설정된 시간 전에 정차역 안내 방송을 하면서, 방송 스케줄에 의한 방송을 하는 도중에 상기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방송 스케줄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 방송 스케줄이 변경되지 않으면 원래의 방송 스케줄 대로 방송하고, 변경되면 변경된 방송 스케줄에 따라 방송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전화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저장부는 상기 제어부에 착탈이 자유로운 착탈식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저장부에 저장되는 동영상 데이터는 MPEG 형태의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재생부는 MPEG 파일 재생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동영상 재생부의 제 1비디오 신호와제 1오디오 신호, 상기 위성 방송 수신기의 제 2비디오 신호와 제 2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또는 제 2비디오 신호 중에서 어느 한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오디오 신호 중에서 어느 한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며, 상기 사운드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제 3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별도의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멀티플렉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자막 영상 신호와 상기 스위칭부의 비디오 출력 신호를 오버레이시켜 출력하는 오버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출력 수단은 비디오 신호를 표시해 주기 위하여 열차의 객차 내에 설치된 다수의 모니터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하여 객차 내의 좌석 주변에 설치된 다수의 이어폰 잭 및 이어폰과; 열차의 객차 내에 설치되어 상기 사운드 처리부에 의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켜 주는 다수의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10. 열차에 설치되어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와 인공 위성 방송 수신기, 그리고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문자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및 인공 위성 방송 수신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열차 승객들에게 방송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열차 방송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열차 운행에 따른 정차역 안내 방송을 포함하는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와;
    열차 운행 시작 전후에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방송을 하면서 정차역 도착 시간의 미리 설정된 시간 전에 정차역 안내 방송을 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따라 스케줄에 의한 방송을 하는 도중에 상기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방송 스케줄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방송 스케줄이 변경되지 않으면 원래의 방송 스케줄 대로 방송하고, 변경되면 변경된 방송 스케줄에 따라 방송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방송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케줄 설정은 열차의 출발에서 종착역에 도착할 때까지의 각 정차역에 대한 정차 시간 및 정차역 위치를 고려하여 방송 스케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방송 제어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방송 스케줄은 예정된 정차 스케줄 외의 정차에 따른 정차역 안내 방송,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문자 데이터를 자막으로 방송하는 자막 방송, 상기 인공 위성 방송 수신기를 통한 위성 방송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방송 제어 방법.
KR10-2001-0005726A 2001-02-06 2001-02-06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99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726A KR100399077B1 (ko) 2001-02-06 2001-02-06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726A KR100399077B1 (ko) 2001-02-06 2001-02-06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289A KR20020065289A (ko) 2002-08-13
KR100399077B1 true KR100399077B1 (ko) 2003-09-26

Family

ID=2769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726A KR100399077B1 (ko) 2001-02-06 2001-02-06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719B1 (ko) 2005-06-30 2007-05-04 김정식 엘리베이터의 lcd 운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826A (ko) * 2002-09-05 2004-03-11 (주)케이티엠 실시간정보 오버랩기능을 가진 방송광고 시스템
KR100680166B1 (ko) * 2004-11-12 2007-02-09 (주)튜브캐스트 방송 시스템
KR100849989B1 (ko) * 2006-06-19 2008-08-01 (주)씨엠케이 디엠비방송이 되는 차량정보표시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562A (ko) * 2000-07-24 2000-11-06 김희상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562A (ko) * 2000-07-24 2000-11-06 김희상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719B1 (ko) 2005-06-30 2007-05-04 김정식 엘리베이터의 lcd 운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289A (ko) 2002-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4087B1 (ko)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20092025A1 (en) System with information out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KR100816407B1 (ko) 디지털 방송수신 광고정보 출력장치
US20070256100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US8254969B1 (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broadcast system for information distribution
US8841990B2 (en)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broadcast messages with selectivity to radio, television, computers and smart phones
WO1999062254A1 (fr) Systeme de radiodiffusion numerique et terminal correspondant
JP3277473B2 (ja) 放送受信装置
KR100399077B1 (ko)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104679A (ja) Dmbサービス中におけるdmbデータの再生のためのdmb端末機及び方法
JP2007243673A (ja) 車内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番組提供方法
JP3651748B2 (ja) ディジタル放送システムの端末装置
JPS63127281A (ja) 車輌用情報伝達装置
KR20070111798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 정보 공유 방법
KR100769591B1 (ko) 전동차용 통합형 안내방송 전달 장치
JP3641136B2 (ja) ディジタル放送システムとその端末装置
JP2008042483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614672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広告情報出力装置
JP4534394B2 (ja) データ放送送出装置及びデータ放送送出方法
JP2009135771A (ja) 放送連携災害対策支援システム
KR200359472Y1 (ko) 위성 디엠비를 이용한 차량정보 단말 시스템
JP2017168943A (ja) 放送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H05219503A (ja) Catvシステムのメッセージ表示装置
JP2005318049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328128B2 (ja) ストリーム切替装置、ストリーム切替プログラムおよびストリーム切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