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493B1 -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493B1
KR102372493B1 KR1020210128285A KR20210128285A KR102372493B1 KR 102372493 B1 KR102372493 B1 KR 102372493B1 KR 1020210128285 A KR1020210128285 A KR 1020210128285A KR 20210128285 A KR20210128285 A KR 20210128285A KR 102372493 B1 KR102372493 B1 KR 102372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broadcast
disaster
information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익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천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천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천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128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은 기존대로 영역/그룹/채널별로 방송을 하는 상황 하에서 재난과 재해 등이 발생할 경우, 원격지의 여러 장소에서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관련 영역/그룹/채널만을 선택적으로 실시간으로 절체해서 방송한다.
그리고, 이렇게 절체 방송을 할 경우에, 상기 각 정보처리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에 우선순위를 재난/재해 유형별로 상이하게 부여하여 각각의 장치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기본적으로는 여러 가지의 다양한 정보를 방송할 경우에, 각각의 그룹별로 또는 개별적으로 같은 시간에 네트워크 통합 방송을 수행하므로, 다채널 다중 교차방송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이렇게 네트워크 방송을 하는 상황하에서 재난과 재해 등이 발생할 경우, 원격지에 위치한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 등에서 관련 영역/그룹/ 채널만을 선택적으로 실시간 절체해서, 관련 상황에서 즉각 방송한다.

Description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System for broadcasting employing remote doubling}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여러 위치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방송을 할 경우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방송을 수행하므로, 많은 사용자들이 그룹별 또는 개별적으로 신속히 즉각적으로 방송을 듣도록 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학교와, 일정한 규모 이상의 건물 등에는 전관방송 시스템이 갖추어져 다양한 오디오 소스를 통한 방송이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비상상황을 오디오 안내 방송으로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송 시스템은 예를 들어, 학교에 설치되는 경우에, 각각의 학년과 또는 반별로 스피커가 설치되어 중앙의 주 정보처리장치와 연결되며, 그래서 주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방송을 하면 특정 위치의 스피커를 통하여 방송이 나가게 된다.
이로 말미암아, 이러한 방송 시스템은 동시에 여러 가지 방송을 하기가 쉽지 않았으며, 전체적인 방송을 내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만 전달사항 등을 방송하여도 전체방송을 중단하고, 다시 특정 스피커만을 선택하여 다시 방송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특정 소규모 그룹에서 별도의 네트워크 방송을 할 경우에는, 실제 현장에서 여러 가지 상황별로 방송을 수행해서 다양한 각종 환경에 맞추어서 방송이 되도록 하는 경우도 있어야 하였다.
그래서 이를 위해 여러 형태의 선행기술이 발명되었으며, 예를 들어 이러한 배경의 선행기술은 아래의 특허문헌에 나오는 정도로 된다.
(특허문헌 1) KR1020030047191 A
(특허문헌 2) KR1020020071605 A
추가적으로, 위의 특허문헌 1의 선행기술은 네트워크 방송이 될 경우, 주 정보처리장치에서 음성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목적지를 지정해줌으로써, 일부의 선택된 스피커로 음성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하여 한꺼번에 여러 개의 방송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특허문헌 2의 선행기술은 기존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디지털 스피커 시스템을 구현하는 기술 정도이다.
한편, 최근에는 통신과, 네트워크 기술 등이 많이 개량되어져서, 원격지에서 관리자의 태블릿과, 핸드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해서 네트워크 통합 방송 시스템을 구현하므로, 다양한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래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관련된 점을 조금 더 개발해서, 원격지에 위치한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 예를 들어, 소방과 지진 관리장치와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 등에서 일종의 절체 방송을 기존의 네트워크 통합 방송 시스템과 연계해서 종합적으로 서비스하므로, 관련된 방송서비스 편의를 더욱 더 높인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절체 방송의 한 형태는 네트워크 방송을 하는 상황 하에서 재난과 재해 등이 발생할 경우, 기존의 전체 영역/그룹/채널 중에서 관련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실시간 절체함으로써, 관련 상황에서 즉각 방송한다.
이때, 실제적으로는 재난/재해/안전 등의 큰 규모와, 긴급성으로 하는 방송과 또는, 특정 장소에서 소규모적으로 각종 관리를 위한 안내와 공지 등을 하는 방송 등이다. 그리고 혹은, 특정 장소에서 고장수리와 유지보수, 관련된 단체와 개인 등의 축하와 같은 이벤트 상황에서 하는 방송 등이다.
개시된 내용은, 기본적으로는 여러 가지의 다양한 정보를 방송할 경우에, 각각의 그룹별로 또는 개별적으로 같은 시간에 네트워크 통합 방송을 수행하므로, 다채널 다중 교차방송을 하는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방송을 하는 상황 하에서 재난과 재해 등이 발생할 경우, 원격지에 위치한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 등에서 관련 영역/그룹/ 채널만을 선택적으로 실시간 절체해서, 관련된 상황에서 즉각 방송을 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은,
기존대로 영역/그룹/채널별로 방송을 하는 상황 하에서 재난과 재해 등이 발생할 경우, 원격지의 여러 장소에서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관련 영역/그룹/채널만을 선택적으로 실시간으로 절체해서 방송한다.
그리고, 이렇게 절체 방송을 할 경우에, 상기 각 정보처리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에 우선순위를 재난/재해 유형별로 상이하게 부여하여 각각의 장치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은,
외부에 다수의 상이한 원격지에 위치한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
외부에 원격지 상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 및
내부에 메인 방송 정보처리장치와 다수의 상이한 영역/그룹/채널별로 설치한 스피커를 구비하여, 상기 각 정보처리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의 방송정보를 해당하는 영역/그룹/채널별로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기본방송하는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는
a) 상기 기본방송을 할 경우에, 상기 기본방송 모드에서 상기 각 정보처리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의 방송정보를 재난/재해 방송 여부에 따라 재난/재해가 발생한 영역/그룹/채널별로 상이하게 시스템적으로 온 또는 오프하여 절체방송하고,
b) 상기 절체방송을 할 경우에, 상기 각 정보처리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에 우선순위를 재난/재해 유형별로 상이하게 부여하여 각각의 장치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여러 가지의 다양한 정보를 방송할 경우에, 각각의 그룹별로 또는 개별적으로 같은 시간에 네트워크 통합 방송을 수행하므로, 다채널 다중 교차방송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이렇게 네트워크 방송을 하는 상황하에서 재난과 재해 등이 발생할 경우, 원격지에 위치한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 등에서 관련 영역/그룹/ 채널만을 선택적으로 실시간 절체해서, 관련 상황에서 즉각 방송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보충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시스템에 관한 사용 상태도
도 4는 도 2의 시스템에 적용한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절차 흐름도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보충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은 우선 기존과 같이, 학교와 사무실, 각종 구내 등에서 방송을 할 경우, 다수의 상이한 영역별로(도 1의 a참조, 여기에서는 A와, B 등) 설치된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에서 영역/그룹/채널을 관리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그룹핑해서 네트워크로 방송하므로, 다양한 방송환경과 방송대상별로 맞추어서 방송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방송은 내부에 A영역과, B영역, C, D, E가 있고, 외부에서는 F, G, ... N 등으로 내/외부에 여러 영역이 있어야 되는 상황에 있어서는, 전체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에서 동일한 내부에서는 A, B, D를 그룹핑해서 부분방송을 하고(b 참조), 이때 C와 E는 상이한 방송정보로 교차방송을 한다.
그리고, 또한 특정 A영역만을 개별방송하고, A ~ N 등으로 모든 내부와, 외부 영역에 전체방송을 하기도 하며, 더 나아가서, A영역에서는 여러 그룹과, 채널별로 예를 들어, 학교에서 각각의 학년마다(그룹) 반별로서(채널) 방송을 수행함으로써, 이러한 형태의 방송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으로, 이렇게 영역/그룹/채널별로 방송을 하는 상황 하에서 재난과 재해 등이 발생할 경우, 원격지의 여러 장소에서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관련 영역/그룹/채널만을 선택적으로 실시간으로 절체해서 방송한다.
그리고, 이렇게 절체 방송을 할 경우에, 상기 각 정보처리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에 우선순위를 재난/재해 유형별로 상이하게 부여하여 각각의 장치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관련 각종 장치 등에서 상호 간에 영역/그룹/채널에 관한 설정을 실시간으로 동기화하므로, 관련 DB를 일치, 유지해서 실제 도움을 받는 방송을 한다.
우선적으로, 이러한 절체 방송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먼저 전술한 기존의 방송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므로, 절체방송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시스템은 먼저 내부에서의 네트워크 방송을 위해서 크게, 주 정보처리장치(100)와, 전력 분배기(150), 네트워크 I/O 마스터(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수의 앰프(160)와 스피커 셀렉터(170) 및 스피커를 포함한 음성출력부도 포함한다.
그리고, 이때 원격 마이크(110)를 더 포함해서 현장에서 직접 네트워크 방송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시스템은 원격지에서도 네트워크 방송을 하기 위해서, 관리자의 핸드폰(100-11)이나, 태블릿(100-12) 등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A영역의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은 외부에서 주변의 다른 B영역 등에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과 또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100-11, 100-12)와 네트워크 방송을 수행하기 위해서, 오디오 엔코더(130)를 포함한다.
특히,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러한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100-11, 100-12)에서 직접적으로 방송정보를 송출해서 즉시 네트워크 방송을 하기 위해 트랜시버(18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부가적으로는 내부와, 외부에서 네트워킹을 위해, 허브(h)와 게이트웨이(g)도 포함하게 된다.
참고로,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을 조금 더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주 정보처리장치(100)는 네트워크 방송을 할 경우에, 관리자 키 조작에 따라 방송할 기본 방송정보를 관리자가 원하는 영역/그룹/채널별로 설정해서 송출하고, 전체적으로 관리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본 방송정보는 CD 플레이어와 튜너 등을 통해 시스템적으로 방송업체 등에서 제공받고, 또한 원격 마이크(!10)를 통해 현장에서 관리자를 통해 직접적으로 제공받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 일반적으로 주 정보처리장치(100)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네트워크 방송 설정정보 등을 수시로 변경하여 방송시스템을 운용한다. 부가적으로, 이와 관련된 서비스는 예를 들어, 스피커 선로의 채널별로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또한 출력 소리 상태를 들을 수 있으면서 온/오프하는 스피커 셀렉터 및 제어시스템 등이다. 그리고, 주 정보처리장치(100)는 전관방송을 할 경우에 윈도우 기반의 GUI가 구성되어서, 전관방송을 효율적으로 제어와, 관리, 검색, 방송을 수행한다. 이때, 산업용 서버로 제작되어 내구성 및 안전성이 뛰어나도록 하며, 24시간 운용에도 적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소프트웨어는 모바일 단말기 즉, 핸드폰(100-11) 및 태블릿(100-12)에 의한 원격 제어 지원에도 사용되는 형태이다.
전력 분배기(150)는 이렇게 상기 주 정보처리장치(100)를 통해 네트워크 방송을 할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전원으로부터 방송구동 전력을 공급받아 내부의 각 부에 분배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평상시에 랙 장비의 전원을 공급하며, 정전 시에는 AC전원에서 DC전원(배터리)으로 시스템적으로서 전환되어 DC전원을 우선적으로 공급한다.
네트워크 I/O 마스터(140)는 주 정보처리장치(100)의 방송정보를 내부에서 상이한 영역/그룹/채널별로 송출할 경우에, 주 정보처리장치(100)에서 방송정보를 전달받아 해당하는 채널 등으로 멀티플렉싱해서 방송을 하도록 한다.
한편으로, 이에 더하여 기존의 시스템은 이렇게 네트워크 방송을 할 경우에, 원격지에서도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100-11, 12) 등을 통해 방송정보를 각각의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마다 송출하므로, 관리자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외부에서 원격방송을 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은 한번에 많은 영역으로 방송을 제공하고 또는 다양한 건물 등이 있고, 혹은 비교적 먼 곳으로 방송 등을 제공하므로, 다양한 사용자 편의를 서비스하게 된다.
즉, 내/외부에서 주변의 다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또는, 관리자의 태블릿이나, 핸드폰 등과도 네트워크 방송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아래 구성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오디오 엔코더(130)는 상기 주 정보처리장치(100)를 통해 외부에 방송정보를 송출할 경우에, 해당하는 방송정보를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해서 외부의 다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또는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100-11, 12) 등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오디오 엔코더(!30)는 CD 플레이어와 튜너 같은 소스기기의 라인 출력 신호와, 원격 마이크 등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예를 들어, 8채널까지 입력받아서 8채널의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또한 이때, 채널별로 오디오 입력 상태를 쉽게 확인하기도 한다.
특히, 일실시예와 관련된 트랜시버(180)는 이렇게 외부와 네트워크 방송을 할 경우에, 오디오 엔코더(130) 또는, 모바일 단말기(100-11, 12)에 의해 전달된 내/외부 방송정보를 수집하고 각각의 영역/그룹/채널별로 멀티플렉싱해서 방송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180)는 이러한 오디오 엔코더(!30)의 네트워크 오디오 신호를 최대 5채널까지 수신하여 별도의 오디오 믹서가 없이 믹싱 출력한다.
그리고, 이때 실제 바깥으로 방송을 송출하기 위해서, 영역/그룹/채널별로 다수의 앰프(160)와, 스피커 셀렉터(170), 스피커를 상이하게 설치해서, 관리자가 원하는 위치만으로 네트워크 방송을 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다수의 앰프(160)는 내/외부별로 즉, 네트워크 I/O마스터(140)와, 트랜시버(180)별로 설치되고, 또한 다수의 상이한 영역/그룹/채널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이렇게 해서 복수의 방송정보를 증폭한다.
그리고, 다수의 스피커 셀렉터(170)는 이상이 발생될 경우 등에 특정한 채널 등으로만 방송하도록 선택한다. 이러한 경우에, 다수의 스피커 셀렉터(170)는 예를 들어, 최대 8대의 파워 앰프의 출력신호를 16개의 개별과, 그룹, 전체 선택 스위치에 의해 스피커를 동작시킨다. 특히, 채널별로 평상시 실시간 방송중 3선식 스피커 라인체커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방송중 실시간 오디오 출력 신호를 채널별로 원격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로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기도 한다.
또한 다수의 스피커는 방송정보를 각각의 채널 등으로 세분화하여 출력하는데, 예컨대 각각의 영역별로 설치되어 개별 IP 주소를 할당받아서 이루어진다. 이때, 이러한 스피커는 디지털 앰프를 이용한 형태(190) 또는, 앰프 내장형 스피커(191) 등도 병행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으로, 기존 시스템에서, 허브(h)는 내부와 외부에서 네트워크 방송을 할 경우, 각각의 시스템 내부에서 방송정보를 상기 각 부 상호 간에 예를 들어, 주 정보처리장치(100)에서 네트워크 I/O 마스터(140)로 또는, 오디오 엔코더(130)에서 게이트웨이(g)로 중계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허브(h)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로 이루어지며, 내부망과 외부망을 연계하여 사용하며, 내부망에 사용되는 멀티캐스트 패킷을 외부망에서 사용할 수 있는 TCP/IP로 변경하여 송수신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g)는 이렇게 네트워크 방송이 될 경우, 각각의 시스템 외부에서 방송정보를 상기 각 시스템 상호 간에 예를 들어, a영역의 시스템과 b영역의 시스템을 연결해서 또는, a영역의 시스템과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100-11, 12)를 연결하므로, 중계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기존의 방송을 수행한다.
한편, 이에 따라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는 추가적으로, 이때 원격지에 위치한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100-11, 100-12)를 통해 절체방송을 수행하는 것이다(아래의 도 2 참조).
그래서, 기존에 영역/그룹/채널별로 방송을 하는 중에 재난/재해가 발생하면, 관련 영역과 그룹, 채널만으로 실시간으로 선택적으로 절체하여 즉각 방송한다. 이외에도 이러한 절체방송은 관리자를 통한 비상/안내 방송 형태 등이 있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기술적 배경이 되는 실제상황을 보면, 소방 관리 정보처리장치 또는 관리자 핸드폰(100-11)에서 재난/재해가 발생한 영역/그룹/채널로 방송해야 할 비상상황하에서는, 즉시 직접 일실시예의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에 접속해서 해당하는 부분만을 온하고 나머지 부분과 다른 방송 등은 오프해서 방송해야 한다.
조금 더 상세하게 이러한 절체 방송의 구성은 아래의 도면 등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실시예의 이중화 방송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 방송을 할 경우에 재난 또는 재해가 발생하면, 원격지의 여러 장소에서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관련 영역/그룹/채널별로 즉, 재난/재해가 발생한 장소와 관련한 곳으로 선택적으로 실시간으로 절체해서 방송한다. 이때, 이러한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예를 들어 소방과 지진 등의 관리 정보처리장치 등이다.
그리고, 상기 이중화 방송 제어기는 이러한 경우에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정보처리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의 방송정보를 재난/재해 방송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영역/그룹/채널별로 상이하게 절체해서 방송한다.
또한, 이렇게 절체 방송을 할 경우에, 상기 각 정보처리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에 우선순위를 재난/재해 유형별로 상이하게 부여하여 각각의 장치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때, 우선순위는 다른 예를 들어, 원격지의 관리자 모바일 휴대폰에 맨 먼저 우선순번을 부여해서,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에서 나머지 영역/그룹/채널은 오프하고 관리자가 선택한 부분만을 우선적으로 방송한다. 그리고, 다음번째 우선순위로 관리자 태블릿 또는, 노트북, 기타 방송서버 등을 수행한다.
그래서, 재난/재해 방송을 해야 할 경우에, 관련 영역/그룹/채널만으로 방송정보를 우선적으로 송출해서 중요한 상황을 즉각적으로 관련된 사람들에게 일괄 알림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이러한 관련 각종 장치 등에서 상호 간에 영역/그룹/채널과 관련된 설정을 실시간으로 동기화하므로, 관련 DB를 일치, 유지해서 실제 도움을 받는 방송을 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각각의 영역별로 설치된 다수의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200-1, 200-2, ... )와, 여기에 자가망을 통해 연결된 원격지의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100-1, 100-2, ... ) 및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때 이러한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200-1, 200-2, ... )는 각기 전술한 내부의 메인 방송 정보처리장치와(미도시) 스피커 등을 상이한 영역/그룹/채널별로 연결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자가망은 TCP/IP망, LTE망, 무선 통신망 등을 사용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네트워크 방송과 관련해서 외부연계기관과 연동하는데, 병원 관리장치(미도시)와, 교육 관리장치(미도시), 경찰서 관리장치(미도시) 등이다.
상기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200-1, 200-2, ... )는 다수의 상이한 장소 또는 영역별로 설치해서, 메인 방송 정보처리장치(미도시)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미도시)로부터 각종 방송정보를 제공받아서 상이한 영역/그룹/채널별로 스피커를 통해 송출함으로써, 네트워크 방송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200-1, 200-2, ... )는 각각의 영역과 그룹, 채널별로에 대한 방송 동작을 관리자가 원하는 방송 형태로 제어하여 예를 들어, 개별 방송과, 전체 방송, 교차 방송 등으로 전체적으로 제어하므로, 네트워크 통합 방송을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이때.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200-1, 200-2, ... )는 전술한 네트워크 통합 방송과 연계해서 일실시예에 따른 절체 방송을 수행하므로, 기존보다 더 다양한 형태로 네트워크 방송을 많이 제공한다.
도 3은 도 2의 시스템에 적용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재난/재해가 발생한 영역/그룹/채널로 방송해야 할 비상상황하에서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즉시 일실시예의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200)에 접속해서 해당하는 영역/그룹/채널 부분만을 온하여 방송한다. 그리고, 나머지 부분의 다른 방송 등은 오프해서 절체방송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절체방송을 여러 종류로 예를 들어, 부가 절체방송 또는 멀티미디어 절체방송 등으로 상이하게 제공해서 조금 더 편리함을 주기도 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부가 절체방송은 아래와 같이 구성한다.
1. 예 1
먼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는 재난/재해/안전 안내문자와, 공지와 알람, 예약을 포함한 관리자 안내문자, 관리자 이벤트문자, 관리자 안내음성, 관리자 이벤트음성을 포함한 다수의 상이한 원격 부가방송정보를 설정 모바일 앱으로 해당하는 영역/그룹/채널별로 동보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200)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먼저 상기 절체방송을 할 경우, 설정 포맷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에 의한 원격 부가방송정보의 방송정보 유형을 확인한다.
b) 상기 확인 결과, 방송정보 유형이 문자인 경우에는 내부 TTS엔진에 의해 방송정보로 변환하여 온/오프하고, 방송정보 유형이 음성인 경우에는 변환하지 않고 온/오프하므로,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부가 절체방송을 한다.
2. 예 2
다음,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는 아래의 동작도 수행한다.
a) 먼저 상기 원격 부가방송정보를 동보 전송할 경우에, 해당하는 영역/그룹/채널에 속한 다수의 방송대상자 모바일 단말기(110)에도 원격 부가방송정보를 제공한다.
b) 그리고 나서, 상기 다수의 방송대상자 모바일 단말기별로는 상기 포맷으로 상기 원격 부가방송정보의 방송정보 유형을 확인한다.
c)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원격 부가방송정보의 방송정보 유형이 문자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모바일 앱의 내부 TTS엔진에 의해 방송정보로 변환하여 온/오프하고, 방송정보 유형이 음성인 경우에는 변환하지 않고 온/오프하므로, 원격지에서 부가 절체방송을 한다.
3. 예 3
한편으로, 상기 메인 방송 정보처리장치는 아래의 종류로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관리용 공지와, 알람, 예약을 포함한 관리자 안내텍스트와, 관리자 이벤트텍스트, 관리자 안내음성, 관리자 이벤트음성을 포함한 다수의 상이한 기본 부가방송정보를 해당하는 영역/그룹/채널별로 동보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200)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즉, 상기 절체방송을 할 경우, 상기 메인 방송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기본 부가방송정보 방송정보 유형을 상기 포맷으로 확인한다.
b)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기본 부가방송정보의 방송정보 유형이 문자인 경우에는 내부 TTS엔진에 의해 방송정보로 변환하여 온/오프하고, 방송정보 유형이 음성인 경우에는 변환하지 않고 온/오프하므로, 실시간 부가 절체방송을 한다.
4. 예 4
다른 한편으로, 아래의 종류로 동작을 수행하기도 한다.
먼저,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는 상기 원격 부가방송정보를 동보 전송할 경우, 재난/재해/안전 안내문자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방송정보를 수신 시점에 시스템적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200)는 상기 절체방송을 할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의 재난/재해/안전 안내문자를 상기 포맷으로 내부 TTS엔진에 의해 방송정보로 시스템적으로 변환하여 온/오프하므로, 긴급 부가 절체방송을 한다.
다음, 이러한 멀티미디어 절체방송은 예를 들어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구체적으로는, 상기 원격 부가방송정보를 송출할 경우에, 내부 카메라의 촬영동작을 관리자설정에 따라 개시, 수행하고, 또는 내부에 해당하는 녹화방송과, 관련된 동영상, 사진을 추출해서, 현장 상황에 관한 방송영상을 획득한다.
b) 그리고 나서, 상기 방송영상 정보를 해당하는 영역/그룹/채널마다 설정 통신채널로서 실시간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200)는 상기 절체방송을 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의 방송영상을 상이한 방송장치별 해상도 정보에 따라 변환해서 온/오프하므로, 멀티미디어 절체방송을 한다.
한편, 이러한 부가 절체방송과 멀티미디어 절체방송 등은 각각의 방송을 할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110) 내부에서 방송대상자 정보를 추출해서 실제적으로 도움을 주는 방송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110)는 원격 부가방송정보를 방송대상자에게 동보 전송할 경우, 내부 전화번호 목록 또는 SNS 목록으로부터 방송대상자 정보를 영역/그룹/채널별로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등록함으로써, 해당하는 방송대상자에게 실제 정보를 제공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200)는 인터페이스부(201)와 스위칭부(202), 음성구동부(203), 키신호 입력부(204), 표시부(205) 및 제어부(206)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200)는 FPGA(207)와 센서부(208)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01)는 내부의 메인 방송 정보처리장치와 외부의 원격지에 위치한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 예를 들어, 소방과 지진 등의 관리장치 및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각종 방송정보를 입력받는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부(201)는 각종 A/I모듈과, D/I모듈, 통신모듈로부터 방송정보를 일괄 수집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내부의 다수의 상이한 영역/그룹/채널별로 설치한 스피커에도 연결한다.
상기 스위칭부(202)는 상기 각 정보처리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의 방송정보를 상기 각 영역/그룹/채널별로 온/오프한다.
상기 음성구동부(203)는 상기 스위칭부(202)에 의해 온/오프한 방송정보를 음성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음성구동부(203)는 현재 네트워크 방송에 적합하게 음향과 음색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음성구동부(203)는 네트워크 방송과 관련한 디지털 신호를 채널별로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음향과 음색 등을 조절한다.
상기 키신호 입력부(204)는 상기 음성구동부(203)에 의해 변환한 방송정보가 디지털인 경우에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205)는 상기 방송정보 출력과 관련된 알림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206)는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다양한 각종 방송정보를 입력받을 경우에, 관리자를 통해 설정된 상이한 영역/그룹/채널별로서 방송정보를 송출하도록 해서, 여러 곳으로 상이한 시간대에 네트워크 방송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206)는 a) 상기 방송정보를 출력할 경우에, 상기 스위칭부(202)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각 정보처리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의 방송정보를 재난/재해 방송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영역/그룹/채널별로 상이하게 절체해서 방송한다. b) 그리고 나서, 이렇게 절체를 할 경우에, 상기 각 정보처리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에 우선순위를 재난/재해 유형별로 상이하게 부여하여 각각의 장치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FPGA(207)는 이러한 방송정보를 전달할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오디오 형식별로 방송 정보를 변환하는 제 1 포맷을 미리 등록해서 현재 방송정보를 관리자가 지정한 오디오 형식에 따라 변환하므로, 관리자가 원하는 방송을 적합한 음량과, 음색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오디오 형식은 MP3-1과, MP3-2, PC오디오, 네트워크 디지털 오디오 등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상기 FPGA(207)는 입력단에 MP3 2개의 I2S 2채널과, PC 오디오 I2S 1채널, 그리고 네트워크 디지털오디오 TDM 16채널을 구비한다. 그리고, 출력단에는 2개 포트의 TDM 16채널과 1개 포트의 TDM 8채널을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FPGA(207)는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6)의 제어에 의해서 상이한 오디오 형식별로 비트와, 샘플링에 관한 변환데이터 형식이 규정되어 판단되어져서, 오디오 형식 상호 간에 데이터 변환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부(206)는 상기 FPGA(207)에 의해 방송정보를 변환할 경우에는, 오디오 형식별로 음향을 조절하는 제 2 포맷을 미리 등록해서 방송정보를 관리자가 원하는 현재 오디오 형식별로 상이하게 음향조절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장치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주변 방송상태에 따라 방송 음향과, 음색 등을 원활히 듣기가 조금 어려울 수 있는 상황이 있다.
상기 센서부(208)는 실제 주변상태와 연계해서, 사물 인터넷 등을 활용하여 지진 및 연기, 불꽃, 공기 오염도 등을 측정하는 각종 센서와 연동하므로, 실제 방송환경에 적합하게 방송 음량 등을 조절해서 편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상이한 스피커별로 설치해서, 각각의 스피커를 설치한 주변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06)로 제공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제어부(206)는 a) 미리 다수의 상이한 주변 상태별로 대응하여 오디오 형식 또는 음향을 상이하게 변환하는 제 3 포맷을 등록한다. b) 그래서, 이렇게 주변 정보를 제공할 경우에, 상기 제 3 포맷으로부터 상기 FPGA의 오디오 형식 변환동작 또는, 상기 음성구동부의 음성변환 동작을 제어해서, 오디오 형식과 음향을 현재 주변 상태별로 상이하게 변환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도 2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은 먼저 외부에 다수의 상이한 원격지에 위치한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외부에 원격지 상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일실시예의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도 구비한다.
이때,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는 전술한 대로 내부에 메인 방송 정보처리장치와 다수의 상이한 영역/그룹/채널별로 설치한 스피커를 구비하여, 각 정보처리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의 방송정보를 해당하는 영역/그룹/채널별로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기본방송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은 이러한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에서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먼저 상기 기본방송을 할 경우에, 상기 기본방송 모드에서 상기 각 정보처리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의 방송정보를 재난/재해 방송 여부에 따라 재난/재해가 발생한 영역/그룹/채널별로 상이하게 시스템적으로 온 또는 오프하여 절체방송한다.
b) 그리고, 이렇게 절체방송을 할 경우에, 상기 각 정보처리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에 우선순위를 재난/재해 유형별로 상이하게 부여하여 각각의 장치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기존대로 영역/그룹/채널별로 방송을 하는 상황 하에서 재난과 재해 등이 발생할 경우, 원격지의 여러 장소에서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관련 영역/그룹/채널만을 선택적으로 실시간으로 절체해서 방송한다.
그리고, 이렇게 절체 방송을 할 경우에, 상기 각 정보처리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에 우선순위를 재난/재해 유형별로 상이하게 부여하여 각각의 장치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재난/재해 방송을 해야 할 경우에, 관련 영역/그룹/채널만으로 방송정보를 우선적으로 송출해서 중요한 상황을 즉각적으로 관련된 사람들에게 일괄 알림한다.
100 :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
110 :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
200 :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
201 : 인터페이스부 202 : 스위칭부
203 : 음성구동부 204 : 키신호 입력부
205 : 표시부 206 : 제어부
207 : FPGA 208 : 센서부

Claims (7)

  1. 외부에 다수의 상이한 원격지에 위치한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
    외부에 원격지 상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기; 및
    관리자 키 조작에 따라 방송할 메인 기본방송정보를 관리자가 원하는 영역/그룹/채널별로 설정해서 송출하고,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메인 방송 정보처리장치와 다수의 상이한 영역/그룹/채널별로 설치한 스피커를 각기 구비하여,
    상기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메인 방송 정보처리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방송정보를 해당하는 영역/그룹/채널별로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기본방송하는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는,
    a) 상기 기본방송을 할 경우에, 상기 기본방송 모드에서 상기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메인 방송 정보처리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방송정보를 재난/재해 방송 여부에 따라 재난/재해가 발생한 영역/그룹/채널별로 상이하게 시스템적으로 온 또는 오프하여 절체방송하고,
    b) 상기 절체방송을 할 경우에, 상기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메인 방송 정보처리장치, 모바일 단말기에 우선순위를 재난/재해 유형별로 상이하게 부여하여 각각의 장치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는,
    a) 상기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메인 방송 정보처리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방송정보를 절체방송할 경우에, MP3-1과 MP3-2, PC오디오를 포함한 다수의 상이한 오디오 형식별로 비트와 샘플링의 변환데이터 형식을 규정하여 방송정보를 변환하는 제 1 포맷을 미리 등록해서,
    상기 재난/재해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메인 방송 정보처리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절체방송 정보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제 1 포맷에 따라 현재 방송정보를 관리자가 지정한 오디오 형식에 따라 변환하므로, 관리자가 원하는 방송을 적합한 음량과, 음색으로 제공하고,
    b) 상기 제 1 포맷에 따라 방송정보를 변환할 경우에, 또한 각각의 오디오 형식별로 대응하여 음향을 조절하는 제 2 포맷도 미리 등록해서,
    상기 방송정보를 변환한 경우, 해당하는 방송정보를 관리자가 원하는 현재 오디오 형식별로도 해당하는 음성구동부의 음성변환 동작을 제어해서 상이하게 음향조절하고,
    c) 각각의 방송정보를 오디오 형식별로 변환하거나 또는 음향조절을 할 경우, 다수의 상이한 스피커별로 주변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설치하며,
    또한, 상기 센서부에 의한 다수의 상이한 주변 상태별로 대응하여 상기 제 1 포맷과 상기 제 2 포맷의 오디오 형식 또는 음향을 상이하게 변환하는 제 3 포맷을 미리 등록해서,
    각각의 주변 상태정보를 감지할 경우에, 상기 제 3 포맷으로부터 상기 제 1 포맷과 제 2 포맷의 오디오 형식 변환동작 또는, 상기 음성구동부의 음성변환 동작을 각기 제어해서, 오디오 형식과 음향을 현재 주변 상태별로 상이하게 변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재난/재해/안전 안내문자와, 공지와 알람, 예약을 포함한 관리자 안내문자, 관리자 이벤트문자, 관리자 안내음성, 관리자 이벤트음성을 포함한 다수의 상이한 원격 부가방송정보를 설정 모바일 앱으로 해당하는 영역/그룹/채널별로 동보 전송하고,

    상기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는,
    a) 상기 절체방송을 할 경우, 설정 포맷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한 원격 부가방송정보의 방송정보 유형을 확인해서,
    b) 상기 확인 결과, 방송정보 유형이 문자인 경우에는 내부 TTS엔진에 의해 방송정보로 변환하여 온/오프하고, 방송정보 유형이 음성인 경우에는 변환하지 않고 온/오프하므로,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부가 절체방송을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a) 상기 원격 부가방송정보를 동보 전송할 경우에, 해당하는 영역/그룹/채널에 속한 다수의 방송대상자 모바일 단말기에도 원격 부가방송정보를 제공하고,
    b) 상기 다수의 방송대상자 모바일 단말기별로는 상기 포맷으로 상기 원격 부가방송정보의 방송정보 유형을 확인해서,
    c)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원격 부가방송정보의 방송정보 유형이 문자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모바일 앱의 내부 TTS엔진에 의해 방송정보로 변환하여 온/오프하고, 방송정보 유형이 음성인 경우에는 변환하지 않고 온/오프하므로, 원격지에서 실시간 부가 절체방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방송 정보처리장치는,
    관리용 공지와, 알람, 예약을 포함한 관리자 안내텍스트와, 관리자 이벤트텍스트, 관리자 안내음성, 관리자 이벤트음성을 포함한 다수의 상이한 기본 부가방송정보를 해당하는 영역/그룹/채널별로 동보 전송하고,

    상기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는,
    a) 상기 절체방송을 할 경우, 상기 메인 방송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기본 부가방송정보 방송정보 유형을 상기 포맷으로 확인해서,
    b)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기본 부가방송정보의 방송정보 유형이 문자인 경우에는 내부 TTS엔진에 의해 방송정보로 변환하여 온/오프하고, 방송정보 유형이 음성인 경우에는 변환하지 않고 온/오프하므로, 실시간 부가 절체방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원격 부가방송정보를 동보 전송할 경우, 재난/재해/안전 안내문자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방송정보를 수신 시점에 시스템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는,
    상기 절체방송을 할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재난/재해/안전 안내문자를 상기 포맷으로 내부 TTS엔진에 의해 방송정보로 시스템적으로 변환하여 온/오프하므로, 긴급 부가 절체방송을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이중화 방송.시스템
  6. 청구항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a) 상기 원격 부가방송정보를 송출할 경우에, 내부 카메라의 촬영동작을 관리자설정에 따라 개시, 수행하고, 또는 내부에 해당하는 녹화방송과, 관련된 동영상, 사진을 추출해서, 현장 상황에 관한 방송영상을 획득하고,
    b) 상기 방송영상 정보를 해당하는 영역/그룹/채널마다 설정 통신채널로서 실시간 제공해서,

    상기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는,
    상기 절체방송을 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방송영상을 상이한 방송장치별 해상도 정보에 따라 변환해서 온/오프하므로, 멀티미디어 절체방송을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원격 부가방송정보를 방송대상자에게 동보 전송할 경우, 내부 전화번호 목록 또는 SNS 목록으로부터 방송대상자 정보를 영역/그룹/채널별로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등록함으로써, 해당하는 방송대상자에게 실제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KR1020210128285A 2021-09-28 2021-09-28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KR102372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285A KR102372493B1 (ko) 2021-09-28 2021-09-28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285A KR102372493B1 (ko) 2021-09-28 2021-09-28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493B1 true KR102372493B1 (ko) 2022-03-10

Family

ID=80816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285A KR102372493B1 (ko) 2021-09-28 2021-09-28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527B1 (ko) * 2022-06-17 2022-09-21 주식회사 올인원 코리아 자가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상황알림에 사용하는 방송장비와 ai기법을 활용한 단말장애 관리기능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130B1 (ko) * 2017-02-23 2017-09-13 (주)진명아이앤씨 화재 및 지진에 대비한 원터치 멀티타입 통합방송 시스템
KR102180335B1 (ko) * 2020-05-15 2020-11-18 주식회사 에이디소프트 건물 내 설치되는 재난 방송 시스템
KR20210040525A (ko) * 2019-10-04 2021-04-14 권우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130B1 (ko) * 2017-02-23 2017-09-13 (주)진명아이앤씨 화재 및 지진에 대비한 원터치 멀티타입 통합방송 시스템
KR20210040525A (ko) * 2019-10-04 2021-04-14 권우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2180335B1 (ko) * 2020-05-15 2020-11-18 주식회사 에이디소프트 건물 내 설치되는 재난 방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527B1 (ko) * 2022-06-17 2022-09-21 주식회사 올인원 코리아 자가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상황알림에 사용하는 방송장비와 ai기법을 활용한 단말장애 관리기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43217B (zh) 因特网促进的紧急和一般寻呼系统
KR102384480B1 (ko) 비상방송 기능을 가진 오디오 매트릭스
JPWO2004030328A1 (ja) テレビ電話通訳システムおよびテレビ電話通訳方法
JPH06296278A (ja) 多地点制御装置、テレビ会議端末装置及び多地点テレビ会議システム
WO2012067436A2 (ko) 디지털 매트릭스 앰프를 이용한 다원화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80659A (ko) 디지털 다원화 전관방송 제어장치
KR101778130B1 (ko) 화재 및 지진에 대비한 원터치 멀티타입 통합방송 시스템
KR102372493B1 (ko)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KR102389905B1 (ko)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
KR102372495B1 (ko) 동보장치형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
KR102432369B1 (ko) 비상방송제어 시스템
KR102384478B1 (ko)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비상방송 제어기
KR102377125B1 (ko) 자동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KR102487629B1 (ko) 카메라 내장형 ip 스피커 및 이를 이용한 ip 네트워크 기반 방송시스템
WO2022260231A1 (ko) Poe 스위칭 허브를 이용한 ip 네트워크 기반 방송시스템
JP2005260359A (ja) 集合住宅用監視・通話システム
GB2499695A (en) Wireless mobile telephony public address system
JPH02288540A (ja) 遠隔講義通信方式
KR102607096B1 (ko) 재난 및 민방위 경보 수신시 즉시 방송이 가능한 경보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단말장치, 그리고 동작방법
JP4050693B2 (ja) 告知放送システム、告知放送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用いられる情報端末
JP2003281650A (ja) 防災システム
KR102350936B1 (ko) 클라우드 서버 기반 전관방송 이원화 시스템
NO20006570L (no) Kommunikasjonssystem for et bygg
JP2000101526A (ja) 市町村防災無線システム
JP3697423B2 (ja) 多地点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