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562A -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562A
KR20100003562A KR1020080063518A KR20080063518A KR20100003562A KR 20100003562 A KR20100003562 A KR 20100003562A KR 1020080063518 A KR1020080063518 A KR 1020080063518A KR 20080063518 A KR20080063518 A KR 20080063518A KR 20100003562 A KR20100003562 A KR 20100003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sub
speaker devic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524B1 (ko
Inventor
김창용
김형복
김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창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창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창시스템
Priority to KR1020080063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52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7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public addres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각 공간에 음성 방송이 필요한 곳 예를 들면, 아파트나 학교 혹은 병원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는 중앙방송장치와 전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파워앰프부; 상기 파워앰프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부; 상기 중앙방송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온/오프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장치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피커, 음성, 방송, 쌍방향, 경보, 메인, 서브

Description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speaker apparatus and system }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각 공간에 음성 방송이 필요한 곳 예를 들면, 아파트나 학교 혹은 병원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통, 아파트나 학교 등과 같은 곳에는 해당 지역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음성 방송을 하기 위한 스피커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 건물의 어느 한 곳에 방송실이 위하고 있고 방송실 내에 설치되는 중앙방송장치에서 방송을 하면, 이 방송은 건물 내의 각 방과 복도 혹은 건물의 외곽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장치를 통해 출력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은 중앙방송장치에서 스피커장치로의 단방향 통신 방식으로 구축되어 있다. 곧, 종래 스피커 시스템으로는 방송실에서 각 스피커장치의 고장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에 따르면 각각의 스피커장치는 중앙방송장치에 의해 통합 제어되는 방식으로 구축되어 있다. 곧,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에서의 스피커장치는 구내 방송용으로만 국한이 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에 따르면 스피커장치의 구동 여부는 중앙방송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방식으로 구축되어 있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스피커장치에 식별번호(ID)가 부여된다. 그럼으로써, 다수의 스피커장치에서 일부분만이 중앙방송장치의 제어에 의해 구내 방송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모든 스피커장치의 구동 여부가 중앙방송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즉, 다수의 스피커장치는 용도별(예, 라디오방송용/재난방송용) 혹은 지역별(예, 아파트에서의 동별)로 그룹화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또한, 그룹화함에 있어서도 하나의 그룹을 여러 소그룹을 나눌 필요가 생기게 된다. 아파트를 예를 들면, 101동에서 각 층별로 그룹화할 수 있다. 이렇다고 한다면, 스피커장치의 구동 여부를 한 곳(방송실)에서 보다는 여러 곳에서 결정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중앙방송장치가 스피커장치에 응답하라는 명령을 보내게 되면 스피커장치가 이를 인지하여 회답하도록 회신하도록 함으로써, 방송실에서 각각의 스피커장치의 고장 여부 등을 알 수 있도록 한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커장치를 중앙방송장치에 비상 사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신호를 전송하는 경보 발생 수단으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방송실에서 각 스피커장치의 주변에 비상 사태가 일어났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커장치를 외부 오디오 기기의 음성 출력 수단으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구내 방송용으로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한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스피커장치를 메인과 서브단으로 구분하되 서브스피커장치는 중앙방송장치가 아닌, 해당되는 메인스피커장치에 의해 구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한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피커 장치는 중앙방송장치와 전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파워앰프 부; 상기 파워앰프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부; 상기 중앙방송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온/오프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장치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상기 스피커 장치는 경보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경보를 알리기 위한 상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는 상기 전선을 통해 직류전원을 공급받되,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스피커장치에 공급하는 전압조정부 및 상기 전선을 통해서 오는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상기 전원 성분은 상기 전압조정부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성분을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는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파워앰프부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 방송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파워앰프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는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 및 리모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 수신부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볼륨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은 마이크에서 발생되는 음성신호를 전선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중앙방송장치 및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파워앰프부와, 상기 파워앰프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부와, 상기 중앙방송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온/오프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장치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스피커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 경보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경보를 알리기 위한 상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방송장치는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와 상기 메 인스피커장치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메인스피커장치에 공급하는 전압조정부와, 상기 전선을 통해서 오는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상기 전원 성분은 상기 전압조정부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성분을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파워앰프부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파워앰프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와, 리모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 수신부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볼륨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피커 시스템은 상기 중앙방송장치 및 상기 메인스피커장치와 상기 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메인스피커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중앙방송장 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다수의 서브스피커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브스피커장치는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서브스피커장치에 공급하는 서브측 전압조정부,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서브측 파워앰프부,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서브측 온/오프부, 상기 중앙방송장치 및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 상기 전선에서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상기 전원 성분은 상기 서브측 전압조정부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성분을 상기 신호 수신부로 출력하는 필터부 및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서브측 온/오프부를 제어하는 서브측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브스피커장치는 서브측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 및 상기 신호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서브측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로 출력하는 서브측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브측 제어부는 상기 서브측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와 상기 서브측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수신부가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서브측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브스피커장치는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서브측 볼륨조절부와, 리모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서브측 리모컨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서브측 제어부는 상기 서브측 리모컨 수신부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서브측 볼륨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방송장치와 스피커장치 간의 쌍방향 통신에 의해 방송실에서 각각의 스피커장치의 고장 여부 등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경보감지수단을 구비한 스피커장치를 통해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는 모든 곳에서 비상 사태를 즉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장치를 구내 방송용으로만 국한하지 않고 외부 오디오 기기의 음성 출력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스피커장치를 메인과 서브단으로 구분하되 서브스피커장치는 중앙방송장치가 아닌, 해당되는 메인스피커장치에 의해 구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스피커장치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방송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스피커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은 중앙방송장치(100), 다수의 메인스피커장치(200) 및 다수의 서브스피커장치(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들은 전원을 얻고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해 전선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중앙방송장치(100)는 스피커장치(200, 300)에 음성신호를 보내주고, 메인스피커장치(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중앙방송장치(100)는 통신이 이루어지는 전선을 통해 스피커장치(200, 30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스피커장치(200, 300)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필요한 전원을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도 있다.
메인스피커장치(200)는 중앙방송장치(100)가 음성을 출력하도록 명령하면 즉, 중앙방송장치(100)로부터 오는 제어신호에 자신의 식별정보(ID)가 포함되어 있게 되면 중앙방송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메인스피커장치(200)는 중앙방송장치(100)가 제어신호를 보내게 되면, 이에 답하는 신호를 회신하는 것이다. 따라서, 방송실에서는 메인스피커장치(2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서브스피커장치(300)는 메인스피커장치(200)가 음성을 출력하도록 명령하면, 중앙방송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앙방송장치(100)의 바람직한 구성은 마이크(115); 마이크(115)에서 발생되는 음성신호의 출력을 온/오프하기 위한 마이크 스위치(120); 마이크(115)에서 발생된 음성신호의 신호 레벨을 높이기 위한 전치 증폭부(pre-amplifier; 125);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음 발생부(130); 입력되는 디지털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135); 마이크신호, 경보음신호 및 제어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부(140);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150); 데이터(제어신호)와 오디오(음성신호)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부(145); 전선을 통해 중앙방송장치(100) 및 스피커장치(200, 300)에 직류 전원(예, 24V)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85); 전원공급부(185)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중앙방송장치(100)에 공급하는 전압조정부(voltage requlator; 175); 전선에서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전원 성분은 전압조정부(175)로 출력하고 신호 성분은 신호 송/수신부(145)로 출력하는 필터부(170); 전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반사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임피던스 매칭부(180); 중앙방송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키입력부(155); 중앙방송장치(100) 및 메인스피커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60); 각각의 메인스피커장치(200)의 식별정보 및 운영프로그램 등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165); 및 중앙방송장치(100)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의 바람직한 구성은 중앙방송장치(100)와 전선으로 연결되고 전선을 통해 중앙방송장치(100)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215)로 출력하는 파워앰프부(power amplifier; 225); 파워앰프부(225)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부(220); 중앙방송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부(245) 및 신호 송/수신부(245)를 통해 중앙방송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온/오프부(220)를 제어하고 메인스피커장치(200)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신호를 발생하여 신호 송/수신부(245)로 출력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경보발생스위치(255a) 및 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부(2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경보부(255)로부터 전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경보를 알리기 위한 상태 신호를 발생하여 신호 송/수신부(245)로 출력하는 것이다. 그러면, 신호 송/수신부(245)는 이러한 상태 신호를 중앙방송장치(100)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는 전선을 통해 중앙방송장치(100)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이러한 직류전원을 이용하기 위해,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메인스피커장치(200)에 공급하는 전압조정부(275) 및 전선에서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전원 성분은 전압조정부(275)로 출력하고 신호 성 분은 신호 송/수신부(245)로 출력하는 필터부(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285) 및 신호 송/수신부(245)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285)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파워앰프부(225)로 출력하는 스위칭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어부(210)는 스위칭부(240)에 의해 파워앰프부(225)와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285)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신호 송/수신부(245)를 통해 중앙방송장치(1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신호 송/수신부(245)가 파워앰프부(225)에 연결되도록 스위칭부(24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파워앰프부(225)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불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중앙방송장치(100)에서 보내주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볼륨조절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방송실에서 원격으로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리모컨의 무선신호(예, 적외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리모컨 수신부(260)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볼륨조절부(23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210)는 리모컨 수신부(260)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자신에게 해당되는 서브스피커장치들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리모컨 수신부(260)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온/오프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브스피커장치(300)의 바람직한 구성은 전선을 통해 중앙방송장치(100)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서브스피커장치(300)에 공급하는 전압조정부(375); 전선을 통해 중앙방송장치(100)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315)로 출력하는 파워앰프부(325); 파워앰프부(325)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부(320); 중앙방송장치(100) 및 메인스피커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345); 전선에서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전원 성분은 전압조정부(375)로 출력하고 신호 성분을 신호 수신부(345)로 출력하는 필터부(370); 및 신호 수신부(345)를 통해 메인스피커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온/오프부(320)를 제어하는 제어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서브스피커장치(3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385) 및 신호 수신부(345)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385)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파워앰프부(325)로 출력하는 스위칭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어부(310)는 스위칭부(340)에 의해 파워앰프부(325)와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385)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신호 수신부(345)를 통해 메인스피커장치(2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신호 수신부(345)가 파워앰프부(325)에 연결되도록 스위칭부(34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브스피커장치(3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파워앰프 부(325)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불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10)는 메인스피커장치(200)에서 보내주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볼륨조절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서브스피커장치(300)의 볼륨 조절은 중앙방송장치(100)에 의해서도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3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리모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10)는 리모컨 수신부(360)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볼륨조절부(33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310)는 리모컨 수신부(360)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온/오프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250은 ADC이고, 235는 DAC이며, 265는 각각의 서브스피커장치(300)의 식별정보 및 운영프로그램 등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이며, 280은 임피던스 매칭부이다.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350은 ADC이고, 380은 임피던스 매칭부이다.
신호 송/수신부(145, 245) 및 신호 수신부(345)는 입력 신호의 진폭 변동을 검출하여 출력 신호의 진폭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자동이득제어(automatic gain control) 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테면, 자동이득제어회로는 출력신호의 피크 대 피크값(peak-to-peak value)이 5V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중앙방송장치(100)에도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방송장치(100)는 외부 기기 예를 들면, 라디오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장치(200, 3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으로 살펴본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서 여러 예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중앙방송장치(100)의 키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구동시키고 싶은 스피커장치(200, 300)를 선택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구내 방송을 위해 마이크스위치(120)를 켜게 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스피커장치(200, 300)를 구동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자동적으로 출력하는데, 이 신호는 DAC(135)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각각의 메인스피커장치(200)로 전달된다. 그러면, 각각의 메인스피커장치(200)에서 제어부(210)는 중앙방송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자신의 ID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 다음, 그 결과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태신호를 출력하고 자신의 서브스피커장치(300)의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파워앰프부(225)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온/오프부(220)을 제어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방송실에서의 사용자 음성이 건물 곳곳으로 안내된다.
한편, 아파트형 공장을 예를 들어, 층마다 한 업체씩 입주하여 있고 각 층의 모든 호실 및 복도에 스피커장치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만약 음성 안내가 공장 내의 모든 스피커장치에서 행해진다면, 지역에 따라서는 이 구내 방송이 소음이 될 수 있다. 물론, 방송실에서 각 스피커장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공장에 입주하여 있는 업체 사정에 따라 스피커장치의 구동 여부는 각 호 실별로 달리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송실에서 모든 업체의 사정을 감안하여 스피커장치의 구동 여부를 통합 관리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곳에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 및 서브스피커장치(300)를 설치하게 된다면, 업체마다 서브스피커장치(300)의 구동 여부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파트를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가 각 호실마다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만약 1층 10호에서 화재(혹은 주거 침입)가 났다고 한다면 해당 거주자는 경보발생스위치(255a)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이에 따른 경보신호가 중앙방송장치(100)로 전달되고, 이를 인지한 중앙방송장치(100)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보음을 모든 메인스피커장치(200)로 출력하게 되어 경비실, 관리실 및 아파트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이 화재(혹은 주거 침입)를 즉시,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경보감지수단으로서 위 실시예에서는 경보발생스위치(225a) 및 경보부(225)로 설명하였으나, 불꽃 등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장치나 mp3 플레이어 등의 외부 오디오 기기를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285, 385)에 연결하여 스피커장치(200, 300)를 외부음성의 출력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방송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ㅇ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스피커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중앙방송장치
200: 메인스피커장치
300: 서브스피커장치

Claims (17)

  1. 중앙방송장치와 전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파워앰프부;
    상기 파워앰프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부;
    상기 중앙방송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온/오프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장치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경보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경보를 알리기 위한 상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장치는 상기 전선을 통해 직류전원을 공급받되,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스피커장치에 공급하는 전압조정부 및
    상기 전선을 통해서 오는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상기 전원 성분은 상기 전압조정부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성분을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파워앰프부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파워앰프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 및
    리모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 수신부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볼륨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7. 마이크에서 발생되는 음성신호를 전선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중앙방송장치 및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파워앰프부와, 상기 파워앰프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부와, 상기 중앙방송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온/오프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장치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스피커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피커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 경보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경보를 알리기 위한 상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방송장치는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와 상기 메인스피커장치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메인스피커장치에 공급하는 전압조정부와, 상기 전선에서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상기 전원 성분은 상기 전압조정부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성분을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파워앰프부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가 연 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파워앰프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와, 리모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 수신부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볼륨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13.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방송장치 및 상기 메인스피커장치와 상기 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메인스피커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다수의 서브스피커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스피커장치는,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서브스피커장치에 공급하는 서브측 전압조정부,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서브측 파워앰프부,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서브측 온/오프부,
    상기 중앙방송장치 및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
    상기 전선을 통해서 오는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상기 전원 성분은 상기 서브측 전압조정부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성분을 상기 신호 수신부로 출력하는 필터부 및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서브측 온/오프부를 제어하는 서브측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스피커장치는,
    서브측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 및
    상기 신호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서브측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로 출력하는 서브측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측 제어부는,
    상기 서브측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와 상기 서브측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수신부가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서브측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스피커장치는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서브측 볼륨조절부와, 리모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서브측 리모컨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서브측 제어부는 상기 서브측 리모컨 수신부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서브측 볼륨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KR1020080063518A 2008-07-01 2008-07-01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 KR100974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518A KR100974524B1 (ko) 2008-07-01 2008-07-01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518A KR100974524B1 (ko) 2008-07-01 2008-07-01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62A true KR20100003562A (ko) 2010-01-11
KR100974524B1 KR100974524B1 (ko) 2010-08-10

Family

ID=4181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518A KR100974524B1 (ko) 2008-07-01 2008-07-01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5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397B1 (ko) * 2011-10-12 2012-01-02 동화음향산업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파워 앰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2021B1 (ko) * 2014-02-18 2014-08-21 정성길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KR102308945B1 (ko) * 2020-12-18 2021-10-05 (주)미디어디바이스 지향성 음향 출력용 스피커를 이용한 터널 정보 방송시스템
KR102368094B1 (ko) * 2020-08-27 2022-02-25 주식회사 원캐스트 방송 음향 설비의 스피커 회선을 이용한 상태 감시 시스템 및 상태 감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734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코닝 주식회사 피디피 필터의 다층박막 구조
KR100542560B1 (ko) 2003-08-09 2006-01-11 한국스프라이트 주식회사 통합 스피커 제어 시스템
KR100613417B1 (ko) 2004-01-09 2006-08-25 홍기헌 통합 방송시스템
KR200393734Y1 (ko) * 2005-06-14 2005-08-30 (주)디택 다수의 스피커를 제어하는 시스템
KR100587966B1 (ko) * 2006-03-14 2006-06-08 동화음향산업주식회사 중앙관제 방식의 파워앰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397B1 (ko) * 2011-10-12 2012-01-02 동화음향산업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파워 앰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2021B1 (ko) * 2014-02-18 2014-08-21 정성길 병렬식 다중통신을 이용한 중단없는 상황전파 통신시스템
KR102368094B1 (ko) * 2020-08-27 2022-02-25 주식회사 원캐스트 방송 음향 설비의 스피커 회선을 이용한 상태 감시 시스템 및 상태 감시 방법
KR102308945B1 (ko) * 2020-12-18 2021-10-05 (주)미디어디바이스 지향성 음향 출력용 스피커를 이용한 터널 정보 방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524B1 (ko) 201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0975B1 (en) Interactive speech recognition device and system for hands-free building control
US9083443B2 (en) Intelligent notification appliance circuit and system
US20070188307A1 (en) Wireless door intercom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same
KR101017018B1 (ko) 디지털 매트릭스 앰프를 이용한 다원화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63361B1 (ko)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CN111033584A (zh) 用于向烟雾检测器或其他检测器提供附加功能的辅助检测器基座
KR10230773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0974524B1 (ko)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
JP7373500B2 (ja) 無線信号中継器が組み込まれるセンサベースの照明システム
KR20180066700A (ko)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US7742069B2 (en) Telephone ring activation of a wireless transmitter for remote control of a television
EP3145211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0417495B1 (ko)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스피커 및 앰프 제어구조를 갖는방송시스템
US9905125B2 (en) Remote control with microphone used for pairing the remote control to a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017681B1 (ko)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KR101363542B1 (ko) 주변환경 음성안내장치
KR101087290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 무선제어 시스템
KR101619296B1 (ko) 다중 입력 자동 선택 스피커 시스템
KR20210147744A (ko) 공동주택 안내방송 출력 제어회로
KR102571860B1 (ko)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588483B1 (ko) 단선 스피커 시스템
KR100418698B1 (ko) 스피커의 개별제어 방법
KR100888252B1 (ko) 스피커의 개별제어 시스템
KR102389693B1 (ko) 백색 소음기를 이용한 소음 방지 시스템
CN210781303U (zh) 音响系统及电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